KR20170135767A - 트랜스미션 체인 상의 클러치 메카니즘의 축방향 전부하 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미션 체인 상의 클러치 메카니즘의 축방향 전부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767A
KR20170135767A KR1020170067771A KR20170067771A KR20170135767A KR 20170135767 A KR20170135767 A KR 20170135767A KR 1020170067771 A KR1020170067771 A KR 1020170067771A KR 20170067771 A KR20170067771 A KR 20170067771A KR 20170135767 A KR20170135767 A KR 20170135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axial
holder
groov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돌레 아르노
티보 프랑수아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7013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385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double clutches, i.e. comprising two friction disc mounted on one drive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24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conical friction surfaces cone clutches
    • F16D13/3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conical friction surfaces cone clutches in which two or more axially-movable members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0Clutch systems with a plurality of fluid-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2013/581Securing means for transportation or sh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과 트랜스미션(400) 사이에 설치되도록 설계되는 클러치 메카니즘(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클러치 메카니즘(10)은, 클러치(100, 200)와 트랜스미션(400)의 샤프트(A1, A2)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스토퍼를 구현할 수 있는 제2 축방향 차단 요소와 클러치 홀더(500)의 사이에서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부하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랜스미션 체인 상의 클러치 메카니즘의 축방향 전부하 장치{AXIAL PRELOAD DEVICE OF A CLUTCH MECHANISM ON A TRANSMISSION CHAIN}
본 발명은, 클러치 메카니즘, 더 구체적으로는 트랜스미션 체인 상의 이러한 클러치 메카니즘의 축방향 전부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분야에 속한다.
선행 기술로부터, 이하를 포함하는 클러치 메카니즘이 공지되어 있다:
- 엔진 입력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는 엔진 입력 허브,
- 트랜스미션에 연결될 수 있는 출력 허브,
- - 입력 허브 및 입력 디스크 홀더를 통해 입력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회전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마찰 요소,
- 출력 허브 및 출력 디스크 홀더를 통해 출력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회전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마찰 요소
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크 클러치,
- - 클러치의 복수의 제1 마찰 요소가 상기 클러치의 복수의 제2 마찰 요소에 회전 연결되는 클러치 연결 위치, 및
- 클러치의 복수의 제1 마찰 요소가 상기 클러치의 복수의 제2 마찰 요소에 회전 분리되는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 포함되는 위치에서 클러치를 설정하기 위해 배치되는 엑츄에이터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작동 동안, 축방향 하중이 엑츄에이터에 의해 발생되어 클러치로 전달되어 클러치를 교대로 클러치 연결 위치 또는 클러치 분리 위치로 설정한다. 클러치를 클러치 연결 위치로 설정하는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의 방향은 클러치를 클러치 분리 위치로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과 반대이다. 이렇게 클러치 메카니즘을 통해 전달되는 반대되는 하중의 교대는 클러치 메카니즘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축방향 변위를 유도하여 클러치 메카니즘의 조기 마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메카니즘의 최적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트랜스미션 체인 상에서 클러치 메카니즘의 지속적인 축방향 결합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 구체적으로, 엑츄에이터와 클러치 사이에 포함되는 동력 체인을 따라 위치한 요소들의 축방향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동력 체인은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여 클러치를 상기 정의된 위치들 중 하나에 설정할 수 있다. 선행 기술로부터, 상이한 구성 요소들이 제작되고 증가된 치수 공차를 갖고 조립되어, 상이한 부재들 사이의 기능적인 축방향 공차를 감소시키고 이로써 상기 언급한 변위의 폭을 제한할 수 있는 클러치 메카니즘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치 메카니즘의 문제는 부재들의 제작 및 그 조립에 특별한 주위가 필요하므로, 이들 클러치 메카니즘의 제작 비용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차 조립 클러치 메카니즘의 설비의 범위에서, 한편으로 자동차 시장에서 이용가능한 상이한 트랜스미션들과 상용성이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클러치 메카니즘의 조립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충분히 가변적인 해결 수단에 의해 이러한 축방향 결합을 실현할 필요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트랜스미션 상에 클러치 메카니즘을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경제적이고 표준화가능한 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들에 대해 적어도 많은 부분에서 응답하고 나아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지는 다른 이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들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한 신규한 클러치 메카니즘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트랜스미션 체인 상에 대한 클러치 메카니즘의 지속적인 축방향 결합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클러치 메카니즘의 기능적인 축방향 간극을 제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클러치 메카니즘에 존재하는 엑시얼 베어링(axial bearing)의 조기 마모를 제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더 적은 비용으로 트랜스미션 체인 상에 클러치의 조립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엔진과 트랜스미션 사이에 설치되도록 설계되는 클러치 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달성되는데, 상기 메카니즘은 (i)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및 롤링 베어링을 통해 방사방향으로 상기 클러치를 지탱하도록 배치되는 클러치 홀더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 (ii) 하우징, 및 상기 클러치를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피스톤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상기 클러치 홀더는 상기 제어 시스템과 클러치 메카니즘의 출력 허브 사이의 축방향 중간 위치에 위치함, (iii) 상기 제어 시스템과 트랜스미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스토퍼를 구현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1 축방향 차단 요소, 클러치와 트랜스미션 샤프트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스토퍼를 구현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2 축방향 차단 요소, 및 상기 클러치 홀더와 상기 제어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회전 차단 요소를 포함하는, 클러치에 대한 제어 시스템의 차단 시스템, 및 (iv) 상기 클러치 홀더와 상기 제2 축방향 차단 요소 사이에서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부하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교묘하게 임의의 트랜스미션 체인의 지속적인 축방향 결합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홀더와 제2 축방향 차단 요소 사이에서 축방향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어 클러치 홀더와 제2 축방향 차단 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상이한 부재들이 접촉 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트랜스미션 체인의 부재들 간에 축방향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클러치가 그 배열 중 하나(예를 들어, 클러치 연결)로부터 그 배열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클러치 분리)로 변화할 때, 트랜스미션 체인의 부재들 사이의 축방향 움직임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따라서, 그 제1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 체인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 간극을 없앨 수 있고 클러치 메카니즘에 존재하는 엑시얼 베어링의 조기 마모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
그 제1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경제적이면서 매우 다수의 트랜스미션에 채용가능한 해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하므로, 본 발명은 대규모 공업화에 특히 적합하고 조립하기 용이한 이차 조립 클러치 메카니즘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이러한 클러치 메카니즘을 트랜스미션 체인 상에 조립하는 것이 간단해지고, 한편으로 제어 시스템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클러치를 따로따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비용이 감소된다.
클러치 홀더는, 특히 환형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변위하여 클러치를 연결할 때, 상기 환형 피스톤 또는 환형 피스톤들에서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클러치 홀더는, 축방향으로 제어 시스템과 클러치의 출력 허브 사이에 포함되는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차단된다.
출력 허브 및 엔진측에서, 클러치 홀더는 제2 축방향 차단 요소에 의해 축방향으로 차단되며, 상기 제2 축방향 차단 요소는 클러치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환형 피스톤에 반대되는 쪽에 배치된다.
클러치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제2 축방향 차단 요소에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클러치 홀더와 제2 축방향 차단 요소 사이의 모든 중간 부재들은 유리하게는 축방향 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어 시스템측에서는, 전부하 요소가 제어 시스템, 더 구체적으로는 이의 하우징과 클러치 홀더의 사이에서 축방향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전부하 요소는 또한 클러치 홀더 및 클러치 홀더와 제2 축방향 차단 요소 사이의 모든 중간 부재들을 제2 축방향 차단 요소에 대하여 밀어붙일 수 있다.
또한, 클러치 홀더는, 롤링 베어링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는 방사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기 위하여 앵귤러 볼 베어링 타입에 의해, 클러치의 중량을 방사방향으로 지탱하도록 배치된다.
롤링 베어링은, 환형 피스톤에 의해 발휘되는 축방향 하중에 반대되는 쪽에 배치되는 스톱 링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정지된다. 다시 말해서, 스톱 링은 축방향으로 롤링 베어링과 클러치의 출력 허브 사이에 위치한다.
방사방향으로, 롤링 베어링은 클러치 홀더와 클러치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습식 또는 건식 클러치를 포함한다.
유리한 방식으로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메카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습식의, 2개의 멀티디스크 클러치를 포함하며, 제어 시스템은, 각각 제1 및 제2 출력 허브를 통해 제1 및 제2 클러치를 제1 또는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에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1 및 제2 환형 피스톤을 포함한다.
각각의 멀티디스크 클러치는, 한편으로, 입력 디스크 홀더 및 입력 허브를 통해 입력 샤프트에 일체형으로 회전 연결되는, 예를 들어 플랜지와 같은 복수의 제1 마찰 요소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 제1 또는 제2 힘 전달 부재 및 제1 또는 제2 출력 허브를 통해 트랜스미션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형으로 회전 연결되는, 예를 들어 마찰 디스크와 같은 복수의 제2 마찰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힘 전달 부재는 제어 시스템의 제1 및 제2 환형 피스톤에 의해 발휘되는 축방향 하중을 제2 마찰 요소에 전달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대안으로는, 복수의 플랜지가 제1 또는 제2 힘 전달 부재 및 제1 또는 제2 출력 허브를 통해 트랜스미션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연결되고, 복수의 마찰 디스크가 입력 디스크 홀더 및 입력 허브를 통해 입력 샤프트에 회전 연결된다.
제어 시스템은 각각의 클러치를
- 복수의 제1 마찰 요소가 복수의 제2 마찰 요소에 회전 연결되는 클러치 연결 위치와
- 복수의 제1 마찰 요소가 복수의 제2 마찰 요소에 회전 분리되는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 포함되는 위치에 설정하기 위해 배치된다.
각각의 클러치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클러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설정된다 : 제1 클러치가 클러치 연결 위치에 설정되면, 제2 클러치는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분리 위치에 설정되고 ; 제1 클러치가 클러치 분리 위치에 설정되면, 제2 클러치는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연결 위치에 설정된다.
경우에 따라서, 제1 및 제2 클러치는 동시에 클러치 분리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유리한 방식으로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에서,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유압식 또는 공기식이고, 환형 피스톤은 축방향으로 하우징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피스톤은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예를 들어 클러치의 제1 및 제2 마찰 요소에 있어서 마찰 결합에 의해 상응하는 클러치를 연결하거나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입력 샤프트와 트랜스미션 샤프트 중 하나의 회전 결합을 유도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비제한적으로 이하의 용어들을 사용할 것이다 :
-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회전 주축(O)에 의하여 결정되는 축 배향에 대한 방향을 따라 ≪ 전방 ≫ 또는 ≪ 후방 ≫, 여기서 ≪ 후방 ≫은 도면의 우측 트랜스미션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리키고, ≪ 전방 ≫은 도면의 좌측 엔진측을 가리킨다;
- 상기 축 배향에 직교하는 방사 배향을 따라 축(O)에 대하여 ≪ 내부 / 내부의 ≫ 또는 ≪ 외부 / 외부의 ≫.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메카니즘은 대안적으로 또는 보충적으로 이하의 제1 개선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경우에 따라 조합해서 포함할 수 있다 :
- 전부하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하우징과 클러치 홀더의 사이에 위치하고, 및/또는 방사방향으로는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전부하 요소는 하우징 및/또는 클러치 홀더에 고정됨 없이 간단히 하우징과 클러치 홀더의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 트랜스미션에 서브-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동안 그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부하 요소는 적어도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 상에 있는 원주방향 넥부(neck)에 맞물린다. 실제로,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 상의 전부하 요소의 위치는 이렇게 미리 정해지며 적어도 임시적으로 트랜스미션에 서브-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동안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 원주방향 넥부는 상기 받침대에서 방사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배향되며,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는 경우에 따라 방사방향으로 하우징의 상보적 받침대의 내부에 위치한다. 대안으로 상기 원주방향 넥부는 상기 받침대에서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배향되며,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는 경우에 따라 방사방향으로 하우징의 상보적 받침대의 외부에 위치한다;
- 전부하 요소와 출력 허브 사이의 거리는 전부하 요소와 트랜스미션 사이의 거리보다 작으므로, 하우징과 협력하는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의 축방향 치수를 줄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전부하 요소의 제1 측은 하우징의 전방면에 대하여 지지되고 전부하 요소의 제2 측은 클러치 홀더의 후방면에 대하여 지지된다;
- 전부하 요소의 부하 범위는 50 N 내지 500 N 사이에 포함된다;
- 전부하 요소는 예를 들어 Onduflex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파형 와셔 및/또는 Belleville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와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 제어 시스템 또는 클러치 홀더는 전부하 요소의 축방향 유지 수단, 예를 들어 비드 및/또는 림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부하 요소는, 경우에 따라 착탈식으로, 클러치 홀더 또는 제어 시스템 상에 강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식으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발명은 용이하게 식별가능한 이하의 두 제품으로 구현된다 :
o 전부하 요소가 축방향 유지 수단을 통해 클러치 홀더 상에 고정된다. 이 경우, 클러치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가 상응하는 트랜스미션에 설치되기 전에 클러치 홀더 상에 설치된 클러치가 전부하 요소에 제공된다; 또는, 대안으로
o 전부하 요소가 축방향 유지 수단을 통해 제어 시스템 상에 고정된다. 이 경우, 우선 트랜스미션에 고정된 제어 시스템이 전부하 요소에 제공되고, 이어서 전부하 요소가 하우징에 설치되고, 이어서 클러치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가 제어 시스템에 설치된다;
- 회전 차단 요소는 힘 전달 부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유리하게는 방사방향으로 클러치와 트랜스미션 샤프트의 사이에 그리고 축방향으로 상기 힘 전달 부재의 내부에 위치한다;
- 회전 차단 요소는 (i)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 상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홈, (ii)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홈과 마주보고 축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홈, 및 (iii) 상기 제1 및 제2 홈과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지를 포함한다;
- 회전 차단 요소는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 상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받침대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lug)를 포함하며,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은 상기 홈 또는 홈들과 협력한다. 상기 러그는 전형적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이것이 위치하는 받침대 위로 돌출하는 소형 원통 부재의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클러치 홀더는 하우징 상에 위치하는 러그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상보적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받침대는 러그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홈을 포함하여, 러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홈 안에 삽입되고 클러치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회전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이 위치하는 받침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대안으로 상기 러그는 이것이 위치하는 받침대에 덧붙여지고 이것에 강고히 고정된다;
- 회전 차단 요소는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의 받침대 상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고, 클러치 홀더는 받침대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은 상기 홈 또는 홈들과 협력한다. 상기 러그는 전형적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이것이 위치하는 받침대 위로 돌출하는 소형 원통 부재의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하우징은 클러치 홀더 상에 위치하는 러그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상보적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받침대는 러그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홈을 포함하여, 러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홈 안에 삽입되고 클러치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회전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이 위치하는 받침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대안으로 상기 러그는 이것이 위치하는 받침대에 덧붙여지고 이것에 강고히 고정된다;
- 회전 차단 요소는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 상에 위치하는 제1 그루브(groove) 및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의 상보적 받침대 상에 위치하는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는 서로 협력한다. 상기 제1 그루브는 웅형(male)이고 상기 제2 그루브는 자형(female)이다; 대안으로, 상기 제1 그루브는 자형이고 상기 제2 그루브는 웅형이다. 웅형 그루브는 방사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그루브를 의미하고, 유사하게 자형 그루브는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그루브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그루브들은 상응하는 받침대의 둘레 윤곽 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 꺾쇠의 형태를 취한다. 웅형 그루브의 경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 꺾쇠는 받침대에 대하여 돌출된다; 자형 그루브의 경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 꺾쇠는 상기 받침대에 홈을 형성한다.
보충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측면 또는 그 제1 개선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메카니즘은 대안적으로 또는 보충적으로 이하의 제2 개선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경우에 따라 조합해서 포함할 수 있다 :
- 제1 축방향 차단 요소는 상기 트랜스미션의 하나 또는 복수의 면과의 직접적인 접점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제1 축방향 차단 요소는 특히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트랜스미션의 후방을 향한 움직임을 방해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축방향 정지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제1 축방향 차단 요소는 트랜스미션과 평면 지지를 실현하기 위하여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축방향 차단 요소는,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 상에 위치하고 트랜스미션과 마주보는 지지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축방향 차단 요소의 지지면은 평면이고 트랜스미션의 상보적 면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배치되며, 제1 축방향 차단 요소의 지지면은 하우징의 후방면에 위치할 수 있다;
- 제1 축방향 차단 요소는 제어 시스템과 트랜스미션 사이의 축방향 차단을 구현하기 위해 배치된다;
- 상기 제어 시스템과 상기 트랜스미션 사이의 모든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방해하기 위하여 트랜스미션은 경우에 따라 제어 시스템과 회전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상기 트랜스미션에 대한 회전 차단을 구현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조립 나사에 의해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트랜스미션에 연결될 수 있다;
- 트랜스미션 샤프트측에서, 제2 축방향 차단 요소는 클러치 메카니즘의 전방향 움직임을 방해하기 위하여 축방향 스토퍼를 구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클러치 메카니즘을 제어 시스템 및 더 구체적으로 환형 피스톤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경우, 트랜스미션 샤프트와 제어 시스템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요소들은 집합적으로 상기 트랜스미션 샤프트와 상기 제어 시스템 사이에서 환형 피스톤 중 하나에 의해 발휘되는 축방향 하중을 회수하기 위해 배치되는 임의의 연결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결합된 체인을 형성한다;
- 제2 축방향 차단 요소가, 제어 시스템과 트랜스미션 샤프트 및/또는 엔진의 입력 샤프트 사이에서 축방향의 모든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 트랜스미션 샤프트측에서, 제2 축방향 차단 요소, 클러치 또는 클러치들의 출력 허브 및 클러치 홀더가 축방향 하중이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러치의 출력 허브와 클러치 홀더의 사이에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클러치들의 각각의 출력 허브 사이에 롤링 베어링이 삽입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클러치의 출력 허브와 클러치 홀더의 사이에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클러치들의 각각의 출력 허브 사이에 니들 베어링이 삽입된다;
- 유리하게는, 클러치의 제1 출력 허브는 직접적으로 제2 축방향 차단 요소 상에 지지된다;
- 축방향 차단 시스템의 제2 축방향 차단 요소는 트랜스미션 샤프트 또는 트랜스미션 샤프트들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의 출력 허브 앞에 위치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 허브와 상기 트랜스미션 샤프트 사이에서 전방을 향해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축방향 정지 요소를 포함한다. 동력 체인의 단부에서 그리고 트랜스미션 샤프트 상에서의 그 유리한 위치로 인해 트랜스미션 및 특히 기어박스를 엔진으로부터 해체할 때 축방향 차단 시스템에의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축방향 차단 요소는 트랜스미션 샤프트 상에 그리고 클러치의 출력 허브 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 축방향 차단 시스템의 제2 차단 요소는 스톱 링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 축방향 차단 시스템의 제2 차단 요소는 트랜스미션 샤프트 또는 트랜스미션 샤프트들 상에 있는 넥부 안에 수용된다;
- 클러치 또는 클러치들에 연관되는 방사방향 하중은 클러치 홀더에서 롤링 베어링에 의해 지탱된다. 이 구성은 베어링의 방사방향 치수를 교묘하게 줄일 수 있고, 이 베어링은 방사방향으로 회전축(O)에 더 가까이 보유되므로, 지탱되는 하중 및 상기 롤링 베어링의 마모가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롤링 베어링은 방사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기 위하여 앵귤러 베어링 타입이다;
- 바람직하게는, 롤링 베어링은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이다;
- 클러치의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은 트랜스미션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평면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평면과 트랜스미션의 대향면의 협력은 제1 축방향 차단 요소를 형성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축방향 정지 요소의 형태로 형성한다;
-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은 복수의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시스템은 하우징에 덧붙여지고 축방향으로 하우징과 출력 허브 사이에 위치하는 엑츄에이팅 서포트(actuating support)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은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상에 제어 시스템을 축방향으로 결합 및/또는 회전 결합할 수 있기 위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는 트랜스미션의 기계적 부재를 가리킨다;
- 엑츄에이팅 서포트는 적어도 하우징과 회전 결합된다;
- 제어 시스템과 트랜스미션 사이의 축방향 차단이 상기 제어 시스템에서 실현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엑츄에이팅 서포트는 트랜스미션에 대하여 축방향 간극을 갖고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엑츄에이팅 서포트는 직접적으로 트랜스미션과의 축방향 차단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엑츄에이팅 서포트의 축방향 치수 공차가 작아, 적은 비용으로 상기 엑츄에이팅 서포트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엑츄에이팅 서포트는 제어 시스템의 보어 안에 상기 제어 시스템과의 방사방향 간극 없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간극 없는 이러한 설치는 힘으로 실현되어 상기 엑츄에이팅 서포트와 상기 제어 시스템 사이의 회전 결합을 실현시킬 수 있다;
- 엑츄에이팅 서포트를 제어 시스템의 보어 안에 끼워, 상기 엑츄에이팅 서포트와 상기 제어 시스템 사이에 회전 결합을 실현시킬 수 있다.
- 엑츄에이팅 서포트는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 엑츄에이팅 서포트 및/또는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강철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 클러치 홀더 및 하우징은, 제어 시스템과 클러치 홀더를 회전 결합시키고 상기 제어 시스템과 상기 클러치 홀더의 사이의 모든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방해할 수 있기 위하여 배치되는 회전 차단 요소의 도움으로 회전 결합된다;
- 클러치 홀더 및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은 서로 포개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토션 진동 댐퍼를 통해 입력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 또는 그 개선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샤프트가 적어도 하나의 크랭크축에 의해 회전 연동되는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시스템이 제안된다.
가능한 모든 조합에 따라 여기 개시된 선택적인 상이한 특징들을 통합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들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한편으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다른 한편으로 개략적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으로 주어지는 복수의 실시예들을 통해 더 명백해질 것이다 :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고 전부하 요소가 클러치 홀더의 원주방향 넥부에 수용되는 제1 실시양태에 따른 습식 이중 클러치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고 제어 시스템과 대면하는 클러치 홀더의 회전 차단 요소가 홈과 협력하는 러그를 포함하는 제2 실시양태에 따른 습식 이중 클러치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고 제어 시스템과 대면하는 클러치 홀더의 회전 차단 요소가 각각 클러치 홀더 및 제어 시스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보적 그루브를 포함하는 제3 실시양태에 따른 습식 이중 클러치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 도 4a 및 4b는, 전부하 요소가 제어 시스템의 전방면 및 클러치 홀더의 후방면에 지지되고, 상기 전부하 요소가 방사방향으로 각각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해 배향된 클러치 홀더의 원주방향 넥부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양태의 축방향 단면의 상세도이다;
- 도 5a, 5b 및 5c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를 제어 시스템에 조립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 도 6a, 6b 및 6c는 도 5를 통해 도시된 서브-어셈블리의 조립 동안 클러치 홀더의 원주방향 넥부에 전부하 요소를 설치하는 상세도이다.
이하 개시되는 실시양태들은 전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특히, 특징 선택이 기술적 이점을 제공하기에 충분하거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본 발명을 구별하기에 충분하다면, 개시된 다른 특징들로부터 분리된 이하 개시되는 특징들의 선택만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구조적 상세 없이, 또는 일부만으로 기술적 이점을 제공하기에 충분하거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본 발명을 구별하기에 충분하다면 단지 일부의 구조적 상세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한 기능적 특징을 포함한다.
특히 개시되는 모든 실시양태들 및 모든 변형은, 기술 면에서 조합에 저촉되는 것이 없다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복수의 도면에 공통인 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갖는다.
도 1에는, 회전 주축(O)을 갖는,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 메카니즘(10)을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1)을 도시하였다.
이하의 문단들에서, 상기 클러치 메카니즘(10)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모든 실시양태들에 공통인 기술적 및 기능적 특징들에 의하여 소개된다. 실시양태들은 이하에서 이들 공통의 기술적 및 기능적 특징들에 대한 그 차이 및 그 특수성으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모든 실시양태들에 공통인 기술적 및 기능적 특징들에 대한 설명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실시양태
도 1 및 후속 도면들에 도시된 클러치 메카니즘(10)은 방사방향이라 불리는 위치에서의 습식 이중 클러치이며, 제1 클러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제2 클러치(200)의 외부에 위치한다.
대안으로, 클러치 메카니즘(10)은 축방향이라 불리는 위치에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클러치(100)는 축방향으로 후방쪽으로 배치되고 제2 클러치(200)는 축방향으로 전방쪽으로 배치된다.
또 대안으로, 클러치 메카니즘(10)은 건식 이중 클러치일 수 있다.
습식 이중 클러치를 구비한 클러치 메카니즘(10)은, 각각 제1 클러치(100) 또는 제2 클러치(200)를 통해,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A1) 또는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2)에 입력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입력 샤프트는 적어도 하나의 크랭크축(900)에 의해 회전 연동되고 토션 진동 댐퍼(8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크랭크축(90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A1) 및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2)는 공축이다.
제1 클러치(100) 및 제2 클러치(200)는 바람직하게는 멀티디스크 타입이다. 각각의 멀티디스크 클러치는, 한편으로, 입력 샤프트에 일체형으로 회전 연결되는, 예를 들어 플랜지와 같은, 복수의 제1 마찰 요소(101, 201)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 트랜스미션 샤프트(A1, A2)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형으로 회전 연결되는, 예를 들어 마찰 디스크와 같은, 복수의 제2 마찰 요소(102, 202)를 포함한다.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A1)는 입력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고, 제1 클러치(100)가, 복수의 제1 마찰 요소(101)가 복수의 제2 마찰 요소(102)에 회전 연결되는 클러치 연결이라 불리는 위치에 설정될 때, 상기 입력 샤프트에 의해 회전 연동된다.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A1)는, 제1 클러치(100)가, 복수의 제1 마찰 요소(101)가 복수의 제2 마찰 요소(102)에 대해 회전 분리되는 클러치 분리라 불리는 위치에 설정될 때, 입력 샤프트로부터 회전 분리된다.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2)는 입력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고, 제2 클러치(200)가, 복수의 제1 마찰 요소(201)가 복수의 제2 마찰 요소(202)에 회전 연결되는 클러치 연결 위치에 설정될 때, 상기 입력 샤프트에 의해 회전 연동된다.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2)는, 제2 클러치(200)가, 복수의 제1 마찰 요소(201)가 복수의 제2 마찰 요소(202)에 대해 회전 분리되는 클러치 분리라 불리는 위치에 설정될 때, 입력 샤프트로부터 회전 분리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트랜스미션 샤프트(A1 및 A2)는 예를 들어 자동차에 장착되는 타입의 기어박스와 같은 트랜스미션(400)과 협력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습식 이중 클러치를 구비한 클러치 메카니즘(10)에서, 제1 클러치(100)는 트랜스미션(400)의 홀수 기어비를 체결하도록 배치되고 제2 클러치(200)는 트랜스미션(400)의 후진 및 짝수 기어비를 체결하도록 배치된다. 대안에서는, 상기 제1 클러치(100) 및 제2 클러치(200)가 담당하는 기어비가 각각 뒤바뀐다.
제1 클러치(100) 및 제2 클러치(200)는, 클러치(100 및 200)의 각각의 상태에 따라 입력 플라이휠(109)을 통해, 입력 샤프트의 입력이라 불리는 동력 - 토크 및 회전 속도 - 을 2개의 트랜스미션 샤프트(A1, A2) 중 하나에 교대로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러치(100 및 200)는 동시에 동일한 클러치 분리 위치 또는 클러치 연결 위치에 있지 않도록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서,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는 동시에 클러치 분리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클러치 메카니즘(10)은, 축(O)의 둘레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입력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입력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허브(130)를 포함한다. 그 하부 연장부에서, 입력 허브(130)는 경우에 따라서 예를 들어 이중 댐핑 플라이휠과 같은 토션 진동 댐핑 장치(800)를 통해 입력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고/회전 연결되거나 축방향으로 연결된다.
그 외부 연장부에서, 입력 허브(130)는 상기 입력 플라이휠(109)의 전방쪽에 위치하는 하단부에서 입력 플라이휠(109)에 회전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용접 및/또는 리벳체결에 의해 결합, 예를 들어 고정된다. 그 상단부측에서, 입력 플라이휠(109)은 입력 디스크 홀더(106)를 통해 제1 클러치(100)에 회전 연결되며, 상기 입력 디스크 홀더(106)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그루브 타입의 형태적 협력에 의해 상기 입력 플라이휠(109)에 회전 연결된다.
제1 및 제2 클러치(100 및 200)는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320, 330)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30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시스템(300)은 하우징(307)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 고정 수단(310)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301)는 트랜스미션(400)과 협력한다. 제어 시스템(300)의 하우징(307)은,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320 및 330)를 지지하기 위해 배치된 축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하부(302)를 또한 포함한다. 후방쪽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제어 시스템(300)은, 트랜스미션(400)과의 평면 지지를 구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평면인, 지지면이라 불리는 면(304)을 구비한다. 지지면(304)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제어 시스템(300)의 후방쪽에 위치한다.
하우징(307)은 바람직하게는 단블록 방식으로 제작된다. 경우에 따라, 이것은 복수의 부재의 조립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은 하우징에 덧붙여지고 축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과 출력 허브 사이에 위치하는 엑츄에이팅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엑츄에이팅 서포트는 적어도 하우징과 회전 결합된다. 실시 변형에 따르면, 엑츄에이팅 서포트가 축방향 간극을 갖고 트랜스미션과 대면하여 설치되어, 제어 시스템과 트랜스미션 사이의 축방향 차단이 상기 제어 시스템에서 실현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엑츄에이팅 서포트는 예를 들어 방사방향 간극 없이 하우징의 보어에 설치되어, 엑츄에이팅 서포트와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 사이에 회전 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대안으로, 엑츄에이팅 서포트는 하우징의 보어 안에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에서,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320 및 330)는 유압 실린더이다.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320, 330)는 각각 환형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300)은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320, 330)를 위한 제1 및 제2 유압 유체 공급 채널(321 및 33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압 유체는 예를 들어 오일과 같은 압력 하의 유체이다.
제1 엑츄에이터(320)는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 포함되는 위치에 제1 클러치(100)를 설정하도록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엑츄에이터(320)는, 제1 클러치(100)의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여기서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1 엑츄에이터(320)는, 한편으로 제1 베어링(140)을 통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1 힘 전달 부재(105)를 통해, 제1 클러치(100)에 연결된다.
제1 베어링(140)은 제1 엑츄에이터(320)에 의해 발생된 축방향 하중을 제1 힘 전달 부재(105)에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제1 힘 전달 부재(105)는 그 상부 연장부(104)에서 축방향 하중을 제1 클러치(100)로 전달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연장부(104)는, 한편으로 제1 마찰 요소(101)를 제2 마찰 요소(102)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입력 플라이휠(109)의 외부 반응 매체(103)에 대하여 밀어붙이거나 떨어뜨릴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된다.
외부 반응 매체(103)는 입력 플라이휠(109)을 통해 입력 허브(130)에 회전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반응 매체(103) 및 입력 플라이휠(109)은 하나의 부재로 제작되며, 변형예에서는 리벳체결 또는 용접과 같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2개의 부재로 제작된다.
외부 반응 매체(103)는 제1 또는 제2 마찰 요소의 형태와 상보적인 형태를 가져, 제1 엑츄에이터(320)가 전방을 향해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여 제1 클러치(100)를 그 클러치 분리 위치에 설정할 때, 제1 및 제2 마찰 요소(101, 102)의 마찰에 의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반응 매체는, 방사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고 그 중심부가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디스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외부 반응 매체(103)는 특히 입력 플라이휠(109)의 내부 그루브와 협력하는 외부 그루브를 구비한다.
제1 클러치(100)는 바람직하게는 멀티디스크 타입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마찰 디스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마찰 요소(101)를 포함한다. 제1 마찰 요소(101)는 제1 클러치(100)의 출력 요소를 형성하는 출력 디스크 홀더(110)를 통해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A1)에 회전 연결된다.
제1 출력 디스크 홀더(110)는, 그 방사방향 외부 둘레에, 각각의 제1 마찰 요소(101) 상의,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마찰 요소(101)의 방사방향 내부 둘레의 상보적인 톱니부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톱니부가 마련된 축방향 연장부(107)를 포함한다. 따라서, 출력 디스크 홀더는 제1 마찰 요소(101)와 맞물림에 의해 회전 연결된다.
그 방사방향 하단부에서, 제1 출력 디스크 홀더(110)는 제1 출력 허브(120)에 연결된다. 제1 출력 디스크 홀더(110) 및 제1 출력 허브(120)는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해, 변형예에서는 리벳체결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제1 출력 허브(120)는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A1) 상에 위치하는 상보적인 그루브와 협력하도록 배치되는 축방향 그루브를 방사방향으로 내부에 포함하여, 회전 연결을 실현한다.
제1 클러치(100)는 또한 자동적으로 제1 엑츄에이터(320)를 클러치 분리 위치로 다시 밀어내기 위하여 탄성 복원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복원 수단은 ≪ Onduflex TM ≫ 타입의 파형 와셔와 같은 탄성 와셔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복원 와셔는 축방향으로 제2 마찰 요소(101, 102) 사이에 삽입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제1 마찰 요소(101)의 내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탄성 복원 와셔는 하나의 제2 마찰 요소(102)의 방사방향 전방면에 대하여 그리고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제2 마찰 요소(102)의 방사방향 후방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탄성 복원 수단은 축방향으로 제2 마찰 요소를 구동하여 제1 마찰 요소(101)의 방출 및 제1 엑츄에이터(320)의 클러치 분리 위치로의 회귀를 용이하게 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변형예에서, 제1 엑츄에이터(320)의 복원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형성된다.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제2 클러치(200)는 제1 클러치(100)의 설계와 유사한 설계이며, 제2 클러치(200)는 바람직하게는 멀티디스크 타입이다.
유리하게는, 제2 클러치(200)의 상세 사항에 대해서는 상기 기술된 제1 클러치(100)의 상세 사항을 필요에 따라 참조하면 된다.
제1 클러치(100)에 대해 기재한 배열에 필적하는 방식으로, 제2 엑츄에이터(330)는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 포함되는 위치에 제2 클러치(200)를 설정하도록 배치된다.
제2 엑츄에이터(330)는 한편으로 제2 베어링(240)을 통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2 힘 전달 부재(205)를 통해, 제2 클러치(200)에 연결된다.
제2 엑츄에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307) 상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환형 피스톤을 포함한다.
제2 베어링(240)은 한편으로 제2 엑츄에이터(330)에 의해 발생된 축방향 하중을 제2 힘 전달 부재(205)에 전달하고 다른 한편으로 제1 힘 전달 부재(105)에 의해 인가되는 방사방향 부하를 지탱하기 위해 배치된다.
제2 힘 전달 부재(205)는 그 상부 연장부(204)에서 축방향 하중을 제2 클러치(200)에 전달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연장부(204)는, 제1 마찰 요소(201)를 한편으로 제2 마찰 요소(202)에 대하여 그리고 내부 반응 매체(203)에 대하여 밀어붙이거나 떨어뜨릴 수 있도록, 입력 디스크 홀더(106)에 설치된 개구부(108)를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된다.
내부 반응 매체(203)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또는 리벳체결에 의해 입력 디스크 홀더(106)에 고정되는 방사방향 연장부(208)를 통해, 전방을 향해 배향되고 입력 디스크 홀더(106)와 일체형인 축방향 연장부(206)의 일부와 일체형이다. 대안에서, 내부 반응 매체(203) 및 입력 디스크 홀더(106)는 하나의 부재로 제작된다.
제2 힘 전달 부재(205)는 축방향으로 입력 디스크 홀더(106)와 제1 힘 전달 부재(105) 사이에 위치한다.
그 하측 부분에서, 제2 힘 전달 부재(205)는, 제어 시스템(300)에 대한 또는 트랜스미션 샤프트(A1, A2) 중 하나에 대한 방사방향 지지가 일어나지 않도록 내부 공간을 두기 위해서 보어(212)를 포함한다.
외부 반응 매체(203)는 제1 또는 제2 마찰 요소(201, 202)의 형태와 상보적인 형태를 가져, 제2 엑츄에이터(330)가 전방을 향해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여 제2 클러치(200)를 그 클러치 연결 위치로 설정할 때, 제1 및 제2 마찰 요소(201, 202)의 마찰에 의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반응 매체(230)는 축방향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앙 지지 넥부 및 외부 둘레 상의 톱니부와 함께 고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2 클러치(200)는 바람직하게는 멀티디스크 타입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마찰 디스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마찰 요소(201)를 포함한다. 제1 마찰 요소(201)는 제2 클러치(200)의 출력 요소를 형성하는 제2 출력 디스크 홀더(210)를 통해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2)에 회전 연결된다.
제2 출력 디스크 홀더(210)는, 그 방사방향 외부 둘레에, 각각의 제1 마찰 요소(201) 상의,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마찰 요소(201)의 방사방향 내부 둘레의 상보적인 톱니부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톱니부가 마련된 축방향 연장부(207)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출력 디스크 홀더는 제1 마찰 요소(201)와 맞물림에 의해 회전 연결된다.
그 방사방향 하단부에서, 제2 출력 디스크 홀더(210)는 제2 출력 허브(220)에 연결된다. 제2 출력 디스크 홀더(210) 및 제2 출력 허브(220)는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해, 변형예에서는 리벳체결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제2 출력 허브(220)는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2) 상에 위치하는 상보적인 그루브와 협력하도록 배치되는 축방향 그루브를 방사방향으로 내부에 포함하여, 회전 연결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2)는 중공 실린더의 형태를 취하며 이 실린더의 내부에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A1)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클러치(200)는 또한 자동적으로 제2 엑츄에이터(330)를 클러치 분리 위치로 다시 밀어내기 위하여 탄성 복원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복원 수단은 ≪ Onduflex TM ≫ 타입의 파형 와셔와 같은 탄성 와셔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복원 와셔는 축방향으로 제2 마찰 요소(201, 202) 사이에 삽입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제1 마찰 요소(201)의 내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탄성 복원 와셔는 하나의 제2 마찰 요소(202)의 방사방향 전방면에 대하여 그리고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제2 마찰 요소(202)의 방사방향 후방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탄성 복원 수단은 축방향으로 제2 마찰 요소를 구동하여 제1 마찰 요소(201)의 방출 및 제2 엑츄에이터(330)의 클러치 분리 위치로의 회귀를 용이하게 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변형예에서, 제2 엑츄에이터(330)의 복원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형성된다.
입력 디스크 홀더(106)는, 개구부(108)에서 방사방향으로 클러치 메카니즘(10)의 내부를 향해 그리고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이라 불리는 세그먼트(111)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 하단부에서, 입력 디스크 홀더(106)의 내측 세그먼트(111)는, 입력 디스크 홀더(106)의 방사방향 부하를 지탱하기 위해 배치된 롤링 베어링(113) 상에 방사방향으로 지지되는 뒤축(118)에서 지지된다.
방사방향으로, 롤링 베어링(113)은, 제어 시스템(300)과 제1 및 제2 출력 허브(120, 220)의 사이의 축방향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클러치 홀더(500)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축방향으로, 롤링 베어링(113)의 위치는 전방을 향해 스토퍼(114)에 의해 규정된다. 스토퍼(114)는 바람직하게는 차단 링 또는 스톱 링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114)는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홀더(500)의 둘레면에 구현되는 넥부 안에 수용될 수 있다.
더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롤링 베어링(113)은 방사방향으로 클러치 홀더(500)와 입력 디스크 홀더(106) 사이에 배치된다. 축방향으로, 롤링 베어링(113)은, 제1 또는 제2 엑츄에이터(320, 330)에 의해 발휘되는 축방향 하중에 반대되는는 쪽에 배치된 스톱 링(114)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정지된다.
유리하게는, 롤링 베어링(113)은, 방사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기 위하여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이다. 이 축방향 하중은, 롤링 베어링(113)에서, 스톱 링(114)에 의해 회수된다. 사실상, 제1 또는 제2 엑츄에이터(320, 330)가 축방향 하중을 제1 또는 제2 힘 부재(105, 205)로 전달하여 클러치(100, 200)를 클러치 연결 또는 클러치 분리 위치에 상응하게 설정할 때, 축방향 하중은, 상기 제1 또는 제2 엑츄에이터(320, 330)를 포함하는 제1 단부와, 트랜스미션 샤프트(A1, A2)에 위치하는, 더 구체적으로 제2 차단 요소(600)에 위치하는 제2 단부의 사이에서 전달된다. 클러치의 작동 동안 축방향 하중의 전달에 관여하고 축방향으로 제2 차단 요소(600)와 제1 또는 제2 엑츄에이터(320, 330)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요소들은 상기 축방향 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차단된다.
클러치 메카니즘(10)은 또한 클러치 홀더(500)와 제2 축방향 차단 요소(600) 사이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전부하 요소(700)를 포함한다. 따라서, 클러치 홀더(500)는 클러치 메카니즘(10)의 복수의 부재들을 매개로 하여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제2 축방향 차단 요소(600)에 대하여 밀어붙여진다.
한편, 클러치 홀더(500)는 회전 차단 요소를 매개로 하여 하우징(307)에 회전 결합되는데 이의 상이한 실시 변형들은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 작동 동안, 전부하 요소(700)는, 제2 축방향 차단 요소(600)와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320, 330) 사이에 포함된 동력 체인을 따라 배치되는 클러치 메카니즘(10)의 부재들 사이의 지속적인 축방향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 동력 체인은 특히 이하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 (i)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320, 330), (ii) 엑츄에이터(320, 330)에 대해 축(O) 둘레에서의 클러치(100, 2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응하는 엑츄에이터(320, 330)에 의해 생성된 하중을 상응하는 클러치(100, 200)로 전달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엑시얼 베어링(140, 240), (iii) 제1 및 제2 힘 전달 부재(105, 205), (iv)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 (v) 제1 및 제2 출력 디스크 홀더(110, 210), (vi) 제1 및 제2 출력 허브(120, 220), (vii) 트랜스미션 샤프트(A1, A2), (viii) 제2 축방향 차단 요소(600), (ix) 베어링(115 및 116), (x) 클러치 홀더(500), (xi) 축방향 스톱 베어링(114), (xii) 롤링 베어링(113), (xiii) 하우징(307) 및 (xiv) 전부하 요소(700).
이제, 클러치 홀더(500)의 복수의 회전 결합 배열 및 전부하 요소(700)의 복수의 배열을 통해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양태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를 통해 예시되는 상이한 실시양태들은 회전 차단 요소의 실시 변형과 전부하 요소(700)의 실시 변형의 특정 조합을 나타내지만, 이들 실시양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전부하 요소(700)의 실시 변형들과 연관된 회전 차단 요소의 실시 변형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을 통해 상기 설명한 일반적인 실시양태와 비교하여 각각의 실시양태의 몇가지 특수성 및 기술적 및 기능적 차이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양태
도 1을 통해 나타낸 제1 실시양태에서, 전부하 요소(700)는 클러치 홀더(500)의 원주방향 넥부(506) 안에 수용되고, 하우징에서의 클러치 홀더의 회전 차단 수단은 그루브의 형태를 취한다. 더 구체적으로, 원주방향 넥부(506)는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는 바람직하게는 외부를 향해 배향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는 내부를 향해 배향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505)는 방사방향으로 하우징(307)의 내부에 위치하는 후방부 및 축방향으로 하우징(307) 앞에 위치하는 전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는,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조립 전에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에 전부하 요소(700)를 위치시킬 수 있는, 전부하 요소(700)의 축방향 유지 수단(507)을 포함한다.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507)은 추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507)은 축방향으로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507)은 유리하게는 환형 림(annular rim)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507)은 상기 받침대(505)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착탈식으로 클러치 홀더(307)의 받침대(505) 상에 덧붙여지고 강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하 요소(700)는, 제어 시스템(300)에 클러치 홀더의 회전 결합 및 트랜스미션 체인 상에서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축방향 차단 전에 클러치 홀더(500)에 설치된다.
클러치 메카니즘이 조립되면, 전부하 요소(700)는 한편으로 하우징(307)의 전방면(306)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받침대(505)의 후방면(50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전부하 요소(700)는 또한 축방향으로 회전 차단 수단의 후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식으로, 전부하 요소(700)는 하우징(307)과 클러치 홀더(500) 사이에서, 더 구체적으로 하우징(307)의 전방면(306)과 클러치 홀더(500)의 후방면(504) 사이에서 축방향 하중을 발휘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실시양태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조립 과정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조립에 관한 문단에서 그리고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 구성은 축방향으로 트랜스미션(400)에 연결되는 하우징(307)에 대하여 클러치 홀더(500) 상에 축방향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이렇게 발생된 축방향 하중은 전방을 향해 클러치 홀더(500)를 밀어붙이는, 더 구체적으로는 베어링(116)에 대하여 클러치 홀더(500)를 밀어붙이는 작용을 하며, 상기 베어링(116)은 제1 출력 허브(120)에 대하여 밀어붙여지고, 제1 출력 베어링(120)은, 제2 출력 허브(220)에 대하여 밀어붙여지는 베어링(115)에 대하여 밀어붙여져서, 상기 제2 출력 허브가 축방향 스톱 링(60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보충적으로, 전부하 요소(700)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은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롤링 베어링(113),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 및 상응하는 제1 및 제2 출력 플레이트(110, 210)를 밀어붙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제1 실시양태는 트랜스미션(400) 상에 설치되는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축방향 차단 배열을 규정할 수 있다.
전부하 요소(700)의 강성 상수는, 제1 또는 제2 클러치(100, 200)가 클러치 연결 위치로부터 클러치 분리 위치까지 통과할 때 전방을 향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을 지탱하도록 조절된다. 더 구체적으로, 전부하 요소(700)의 강성 상수는, 제1 또는 제2 클러치(100, 200)가 클러치 연결 위치로부터 클러치 분리 위치까지 통과할 때 전방을 향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보다 크도록 정해진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전부하 요소(700)의 부하 범위는 유리하게는 50 N 내지 500 N 사이에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하우징(307)에 대한 클러치 홀더(500)의 회전 차단 수단은 상보적 그루브(303, 503) 타입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차단 수단은 하우징(307)의 받침대(305)에 위치하는 제1 그루브(303) 및 클러치 홀더(500)의 상보적 받침대(505)에 위치하는 제2 그루브(5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루브(303)는 제2 그루브(503)와 협력하여 형태 정합에 의해 클러치 홀더(500)와 제어 시스템(300) 사이에 회전 결합을 실현하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홀더(500)와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307)이 서로 포개어지도록, 제1 그루브(303)는 자형이고 제2 그루브(503)는 웅형이다. 변형예에서는, 제1 그루브(303)가 웅형이고 제2 그루브(503)는 자형이다.
제2 실시양태
도 2는, 제어 시스템(300)과 대면하는 클러치 홀더(500)의 회전 차단 요소가, 하우징(307) 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홈(311)과 협력하는, 클러치 홀더(500) 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러그(511)인,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러그(511)는, 방사방향으로 하우징(307)의 내부에 위치하는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의 후방부 상에 위치한다. 상기 러그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전부하 요소(700)의 앞에 위치한다.
상기 러그(511)는 방사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방사방향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511)의 일부는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의 외부로 돌출한다.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러그(511)는 5°내지 30°에 포함되는 각 섹터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러그(511)와 마주보고, 하우징(307)의 받침대(305)는 상기 받침대(505)의 내면에 위치하는 홈(311)을 포함한다. 상기 홈(311)은 상기 러그(511)의 적어도 한 부분을 삽입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홈(311)의 측부 치수는, 상기 러그(511)가 상기 홈(311) 안에 맞물려 클러치 홀더(500)와 제어 시스템(300) 사이에 회전 결합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홈(311)의 측부 치수는 상기 러그(511)가 간극 없이 또는 약간의 간극을 갖고 상기 홈(311) 안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러그(511)의 측부 치수보다 약간 크다.
경우에 따라서, 클러치 홀더는 받침대(505)의 둘레 상에 분포되는 복수의 러그(511)를 포함하고 하우징(307)의 받침대(305)는 그 내부 둘레에 분포된 복수의 홈(311)을 포함하며, 각각의 홈(311)은 마주보고 위치하는 러그(511)와 협력하여 각각의 러그(511)가 마주보고 위치하는 홈(311)과 결합한다.
제1 실시양태에 비견할 만한 방식으로,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의 후방부 상에 위치하는 원주방향 넥부(506)는 전부하 요소(700)의 축방향 유지 수단(507)을 포함하여,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조립시 원주방향 넥부(506)에 전부하 요소(700)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507)은 축방향으로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507)은 유리하게는 환형 림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507)은 상기 받침대(505)와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대안으로,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507)은, 경우에 따라 착탈식으로, 클러치 홀더(307)의 받침대(505) 상에 덧붙여지고 강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는 바람직하게는 외부를 향해 배향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는 내부를 향해 배향될 수 있다.
클러치 메카니즘이 조립되면, 전부하 요소(700)는 한편으로 하우징(307)의 전방면(306)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받침대(505)의 후방면(50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전부하 요소(700)는 또한 축방향으로 회전 차단 수단의 후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식으로, 전부하 요소(700)는 하우징(307)과 클러치 홀더(500) 사이에서, 더 구체적으로 하우징(307)의 전방면(306)과 클러치 홀더(500)의 후방면(504) 사이에서 축방향 하중을 발휘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이 구성은 축방향으로 트랜스미션(400)에 연결되는 하우징(307)에 대하여 클러치 홀더(500) 상에 축방향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이렇게 발생된 축방향 하중은 전방을 향해 클러치 홀더(500)를 밀어붙이는, 더 구체적으로는 베어링(116)에 대하여 클러치 홀더(500)를 밀어붙이는 작용을 하며, 상기 베어링(116)은 제1 출력 허브(120)에 대하여 밀어붙여지고, 제1 출력 베어링(120)은, 제2 출력 허브(220)에 대하여 밀어붙여지는 베어링(115)에 대하여 밀어붙여져서, 상기 제2 출력 허브가 축방향 스톱 링(60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실시양태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조립 과정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조립에 관한 문단에서 그리고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보충적으로, 전부하 요소(700)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은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롤링 베어링(113),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 및 상응하는 제1 및 제2 출력 플레이트(110, 210)를 밀어붙일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트랜스미션(400) 상에 설치되는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축방향 차단 배열을 규정할 수 있다.
전부하 요소(700)의 강성 상수는, 제1 또는 제2 클러치(100, 200)가 클러치 연결 위치로부터 클러치 분리 위치까지 통과할 때 전방을 향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을 지탱하도록 조절된다. 더 구체적으로, 전부하 요소(700)의 강성 상수는, 제1 또는 제2 클러치(100, 200)가 클러치 연결 위치로부터 클러치 분리 위치까지 통과할 때 전방을 향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보다 크도록 정해진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전부하 요소(700)의 부하 범위는 유리하게는 50 N 내지 500 N 사이에 포함된다.
제3 실시양태
도 3은, 제어 시스템(300)과 대면하는 클러치 홀더(500)의 회전 차단 요소가 각각 클러치 홀더(500) 및 제어 시스템(300)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보적 그루브(303, 503) 타입인,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클러치 홀더(500) 및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307)은 서로 포개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양태에 비견할 만한 방식으로, 하우징(307)에 대한 클러치 홀더(500)의 회전 차단 수단은 상보적 그루브(303, 503) 타입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차단 수단은 하우징(307)의 받침대(305) 상에 위치하는 제1 그루브(303) 및 클러치 홀더(500)의 상보적 받침대(505) 상에 위치하는 제2 그루브(5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루브(303)는 형태 정합에 의해 상기 제2 그루브(503)와 협력하여 클러치 홀더(500)와 제어 시스템(300) 사이에 회전 결합이 실현되도록 배치된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제1 그루브(303)는 웅형이고 제2 그루브(503)는 자형이다. 제2 변형예에 따르면, 제1 그루브(303)는 자형이고 제2 그루브(503)는 웅형이다.
트랜스미션(400) 상에 클러치 메카니즘(10)이 조립되면, 전부하 요소(700)는 한편으로 축방향으로 하우징(307)의 전방면(306)에 의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의 후방면(504)에 의하여 한정되는 캐비티(512)의 내부에 위치한다. 전부하 요소(700)는 또한 축방향으로 회전 차단 수단의 후방에 위치한다. 방사방향으로, 상기 캐비티(512)는 내향으로는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2)에 의해 그리고 외향으로는 하우징(307)의 받침대(305)의 내면에 의해 한정된다.
전부하 요소(700)는 축방향으로 회전 차단 수단의 후방에 위치한다. 전부하 요소(700)는 한편으로 하우징(307)의 전방면(306)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받침대(505)의 후방면(50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식으로, 전부하 요소(700)는 하우징(307)과 클러치 홀더(500) 사이에서, 더 구체적으로 하우징(307)의 전방면(306)과 클러치 홀더(500)의 후방면(504) 사이에서 축방향 하중을 발휘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이 구성은 축방향으로 트랜스미션(400)에 연결되는 하우징(307)에 대하여 클러치 홀더(500) 상에 축방향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이렇게 발생된 축방향 하중은 전방을 향해 클러치 홀더(500)를 밀어붙이는, 더 구체적으로는 베어링(116)에 대하여 클러치 홀더(500)를 밀어붙이는 작용을 하며, 상기 베어링(116)은 제1 출력 허브(120)에 대하여 밀어붙여지고, 제1 출력 베어링(120)은, 제2 출력 허브(220)에 대하여 밀어붙여지는 베어링(115)에 대하여 밀어붙여져서, 상기 제2 출력 허브가 축방향 스톱 링(60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보충적으로, 전부하 요소(700)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은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롤링 베어링(113),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 및 상응하는 제1 및 제2 출력 플레이트(110, 210)를 또한 밀어붙일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트랜스미션(400) 상에 설치되는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축방향 차단 배열을 규정할 수 있다.
전부하 요소(700)의 강성 상수는, 제1 또는 제2 클러치(100, 200)가 클러치 연결 위치로부터 클러치 분리 위치까지 통과할 때 전방을 향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을 지탱하도록 조절된다. 더 구체적으로, 전부하 요소(700)의 강성 상수는, 제1 또는 제2 클러치(100, 200)가 클러치 연결 위치로부터 클러치 분리 위치까지 통과할 때 전방을 향해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보다 크도록 정해진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전부하 요소(700)의 부하 범위는 유리하게는 50 N 내지 500 N 사이에 포함된다.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를 트랜스미션(400) 상에 조립하는 동안, 먼저 전부하 요소(700)가 하우징(307)의 전방면(306)에 대하여 지지되게 배치된다. 이어서 제어 시스템(300)이 예를 들어 고정 수단(310)을 매개로 하여 트랜스미션(400)에 강고히 고정되고, 이어서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가 제1 및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1, A2)에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가 하우징의 내부에 맞물려, 제1 그루브(303)가 제2 그루브(505)와 협력하여, 클러치 홀더(500)와 제어 시스템(300)의 회전 결합이 실현된다. 따라서, 클러치 홀더의 받침대(505)의 후방면(504)이 전부하 요소(700)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어, 이것을 하우징(307)의 전방면(306)에 대하여 압축한다. 끝으로, 축방향 스톱 링(600)이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A1) 상에 위치한 원주방향 넥부(6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출력 허브(120)와의 축방향 지지가 실현된다.
제4 실시양태
도 4a 및 4b는, 전부하 요소(700)가 제어 시스템(300)의 전방면(306) 상에 그리고 클러치 홀더(500)의 후방면(504)에 대하여 지지되고, 상기 전부하 요소(700)가 클러치 홀더(500)의 원주방향 넥부(508)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서, 상기 원주방향 넥부(508)는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 상에 위치하고 하우징(307)의 상보적 받침대(305)의 방향으로 방사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배향된다. 이에 반해, 도 4b에서, 상기 원주방향 넥부(508)는 방사방향으로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의 내부를 향해, 하우징(307)의 상보적 받침대(305)의 방향으로 배향된다.
전부하 요소(700)는 파형 와셔이다. 상기 파형 와셔는 상기 원주방향 넥부(508)에 설치될 수 있도록 열린 고리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 실시양태에서, 전부하 요소(700)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하우징(307)의 전방면(306)은 전방으로 상기 하우징(307)을 한정한다. 다시 말해서, 전부하 요소(700)는 축방향으로 하우징(307) 앞에 위치하여, 이것의 클러치 홀더(500) 상에의 조립 및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전부하 요소(700)는 또한 축방향으로 하우징(307)에 대한 클러치 홀더(500)의 회전 차단 수단 앞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 차단 수단은 상보적 그루브(303, 503) 타입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차단 수단은 하우징(307)의 받침대(305) 상에 위치하는 제1 그루브(303) 및 클러치 홀더(500)의 상보적 받침대(505) 상에 위치하는 제2 그루브(5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루브(303)는 형태 정합에 의해 상기 제2 그루브(503)와 협력하여 클러치 홀더(500)와 제어 시스템(300) 사이에 회전 결합이 실현되도록 배치된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제1 그루브(303)는 웅형이고 제2 그루브(503)는 자형이다. 제2 변형예에 따르면, 제1 그루브(303)는 자형이고 제2 그루브(503)는 웅형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의 조립
이제, 트랜스미션 상에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의 조립 과정을, 한편으로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를 제어 시스템(300)에 조립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 5a, 5b 및 5c를 통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서브-어셈블리의 조립 동안 클러치 홀더(500)의 원주방향 넥부(506)에 전부하 요소(700)를 설치하는 것을 상세히 도시한 도 6a, 6b 및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트랜스미션(400) 상에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동안, 먼저 전부하 요소(700)를 클러치 홀더(500) 상에, 더 구체적으로는 원주방향 넥부(506)의 내부에 설치한다. 원주방향 넥부(506)에의 전부하 요소(700)의 설치의 상세는 도 6a, 6b, 6c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300)은 예를 들어 예컨대 복수의 고정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310)을 매개로 하여 트랜스미션(400)에 강고히 고정된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300)은 트랜스미션(400)과 축방향으로 지지되게 유지되고, 하우징(307)의 후방면(304)은 트랜스미션(400)의 전방면(402) 상에 평면 지지된다. 고정 수단(310)은 또한 트랜스미션(400) 상에 하우징(307)의 회전 결합이 실현되도록 배치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어서 제1 및 제2 클러치(100, 200)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가 제1 및 제2 트랜스미션 샤프트(A1, A2) 상에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축(O)을 따른 축방향 병진 운동을 따라 그리고 제어 시스템(300) 및 트랜스미션(400)의 방향으로 그 전단부부터 후단부를 향해 트랜스미션 샤프트(A1, A2) 상에 맞물린다. 따라서,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가 하우징(307)의 내부에 맞물려, 회전 차단 수단이 제어 시스템(300)의 하우징(307)과 클러치 홀더(500)의 회전 결합을 실현한다.
도 5a, 5b, 5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307)의 내부 받침대(305) 상에 위치하는 제1 그루브(303)는 클러치 홀더(500)의 상보적 내부 받침대(505) 상에 위치하는 제2 그루브(503)에 맞물린다.
도 5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300) 및 트랜스미션(400)의 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서브-어셈블리를 계속해서 맞물리게 함으로써,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의 후방면(504)이 전부하 요소(700)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어, 이것을 하우징(307)의 전방면(306)에 대하여 압축한다.
끝으로, 축방향 스톱 링(600)이 제1 트랜스미션 샤프트(A1) 상에 위치하는 원주방향 넥부(6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출력 허브(120)와의 축방향 지지를 실현한다.
도 6a, 6b, 6c는 제어 시스템(300)의 하우징(307)과 클러치 홀더(500)의 회전 연결 전에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의 원주방향 넥부(506) 상에 전부하 요소(700)를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6a는 원주방향 넥부(506)의 림(507)에 가까이 전부하 요소(700)를 접근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전부하 요소(700)를 림(507)에서 맞물리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전부하 요소는 원주방향 넥부(506)의 방향으로 상기 림을 돌파한다; 도 6c는, 클러치 메카니즘(10)이 트랜스미션(400) 상에 설치될 때 이용되는 것과 같은, 원주방향 넥부(506) 안에 수용되는 전부하 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화살표는 원주방향 넥부(506)에 설치되기 위하여 클러치 홀더(500)에 대한 전부하 요소(700)의 -전방을 향한- 변위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하 요소는,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 상에 설치되기 전에, 축방향 외부 응력을 받지 않고 그 본연의 위치, 즉 휴지 위치로 후방을 향해 기울어진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 넥부의 림(507)과 접촉하기 전에, 전부하 요소(700)는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진동함으로써 그 내부 직경이 확대되어 이 내부 직경이 림(507)의 방사방향 치수보다 커진다. 이 전방을 향한 축방향 진동은 축방향 전부하 요소의 탄성 변형에 의해 허용된다. 축방향 전부하 요소는 이러한 탄성 변형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 방사방향 윈도우를 포함한다.
상기 림(507)을 통과하면, 전부하 요소(700)는 원주방향 넥부(506)에 수용되고 이의 방사방향 치수는 림(507)의 방사방향 치수보다 작다. 전부하 요소(700)는 이완되어 그 자연 위치를 되찾고: 후방을 향해 다시 진동한다. 따라서, 그 내부 직경이 실질적으로 원주방향 넥부(506)의 방사방향 치수와 같게 된다. 이렇게, 전부하 요소(700)는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의 후방면(504)에 대하여 지지되고 이 위치에서 유지된다.
물론, 본 발명은 지금까지 개시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들 실시예에 다수의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이한 특징들, 형태, 변형 및 실시양태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거나 배제되는 것이 아닌 범위 내에서 다양한 조합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시한 모든 변형예 및 실시양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Claims (15)

  1. 자동차의 엔진과 트랜스미션(400) 사이에 설치되도록 설계되는 클러치 메카니즘(10)으로서, 상기 메카니즘은:
    - -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100, 200) ;
    - 롤링 베어링(113)을 통해 상기 클러치를 방사방향으로 지탱하기 위해 배치되는 클러치 홀더(500)
    를 포함하는 서브 어셈블리;
    - 하우징(307) 및 상기 하우징(307)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클러치(100, 200)를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피스톤(320, 330)을 포함하는 클러치 제어 시스템(300) (상기 클러치 홀더(500)는 상기 제어 시스템(300)과 클러치 메카니즘(10)의 출력 허브(120, 220)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위치함);
    - - 상기 제어 시스템(300)과 상기 트랜스미션(400)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스토퍼를 구현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1 축방향 차단 요소(304, 402);
    - 상기 클러치와 상기 트랜스미션(400)의 샤프트(A1, A2)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스토퍼를 구현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2 축방향 차단 요소(600);
    - 상기 클러치 홀더(500)와 상기 제어 시스템(300)을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회전 차단 요소
    를 포함하는, 상기 클러치에 대한 상기 제어 시스템(300)의 차단 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메카니즘(10)이, 상기 클러치 홀더(500)와 상기 제2 축방향 차단 요소(600)의 사이에서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부하 요소(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하 요소(700)가 축방향으로 상기 하우징(307)과 상기 클러치 홀더(50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하 요소(700)가 방사방향으로 상기 하우징(307)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하 요소(700)가 적어도 상기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 상에 위치된 원주방향 넥부(506, 508)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 508)가 상기 받침대(505)에서 방사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 넥부(506, 508)가 상기 받침대(505)에서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하 요소(700)가 적어도 하나의 파형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하 요소(700)가 벨빌(Belleville) 타입의 탄성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300)이 상기 전부하 요소(700)의 축방향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홀더(500)가 상기 전부하 요소(700)의 축방향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차단 요소는, 상기 제어 시스템(300)의 하우징(307)의 받침대(305) 상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홈(311)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홀더(500)는 받침대(505)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511)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러그(511)는 상기 홈(311)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차단 요소는 클러치 홀더(500)의 받침대(505) 상에 위치하는 제1 그루브(503) 및 제어 시스템(300)의 하우징(307)의 상보적 받침대(305) 상에 위치하는 제2 그루브(30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루브(505) 및 제2 그루브(305)는 서로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503)는 웅형(male type)이고 상기 제2 그루브(303)는 자형(female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503)는 자형이고 상기 제2 그루브(303)는 웅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메카니즘(10).
  15. 토션 진동 댐퍼(800)를 통해 입력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 메카니즘(10)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샤프트가 적어도 하나의 크랭크축(900)에 의해 회전 연동되는,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시스템(1).
KR1020170067771A 2016-05-31 2017-05-31 트랜스미션 체인 상의 클러치 메카니즘의 축방향 전부하 장치 KR20170135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4933 2016-05-31
FR1654933A FR3051860B1 (fr) 2016-05-31 2016-05-31 Dispositif de pre-charge axiale d’un mecanisme d’embrayage sur une chaine de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767A true KR20170135767A (ko) 2017-12-08

Family

ID=5651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771A KR20170135767A (ko) 2016-05-31 2017-05-31 트랜스미션 체인 상의 클러치 메카니즘의 축방향 전부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70135767A (ko)
DE (1) DE102017111113A1 (ko)
FR (1) FR3051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7003A1 (de) * 2019-06-25 2020-12-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modul mit Kippschwingungsdämpfu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9003883A5 (de) * 2009-01-19 2012-06-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ehrfachkupplungsvorrichtung
WO2012110018A1 (de) * 2011-02-16 2012-08-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102014209618B4 (de) * 2013-06-17 2022-12-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51860A1 (fr) 2017-12-01
DE102017111113A1 (de) 2017-11-30
FR3051860B1 (fr)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710B1 (ko) 습식 이중 클러치용 유압식 제어 시스템
KR102327765B1 (ko) 클러치 메커니즘 및 이러한 메커니즘을 트랜스미션 체인에 조립하는 방법
KR102320711B1 (ko) 제어 시스템 상에 지지된 습식 이중 클러치
KR102320702B1 (ko) 제어 시스템의 피스톤의 행정을 제한할 수 있는 안전 베어링을 구비한 습식 이중 클러치
JP2017509851A (ja) 少なくとも2つのクラッチディスクを備えた金属薄板構造のクラッチ
KR101940043B1 (ko) 트리플 클러치 및 그 액츄에이터
KR20170135740A (ko) 클러치 메카니즘용 냉각 시스템
KR20170135739A (ko) 클러치 메카니즘을 위한 축방향 래칭 시스템
KR20160033623A (ko) 트랜스미션 시스템용 습식 이중 클러치 메커니즘
KR102650280B1 (ko) 클러치 기구 및 그러한 클러치 기구를 포함하는 전동 시스템
US10486519B2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KR20160028383A (ko) 습식 이중 클러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CN109661526B (zh) 紧凑的双离合器机构和包括这种双离合机构的变速器系统
KR101786805B1 (ko) 이중 클러치용 액츄에이터
CN109983245B (zh) 离合器机构在变速器上的径向组装
EP3540256B1 (en) Double clutch actuator and double clutch including same
KR20170135767A (ko) 트랜스미션 체인 상의 클러치 메카니즘의 축방향 전부하 장치
CN110809524B (zh) 混合动力模块
KR20180016297A (ko) 듀얼-클러치 메카니즘 및 그러한 듀얼-클러치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변속기 시스템
KR101909224B1 (ko) 이중 클러치
JP2006090476A (ja) 慣性制動機構付き油圧式ptoクラッチ
CN110892167B (zh) 包括由组装装置连接的两个组件的离合器机构
JP7051866B2 (ja) 自動車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装備するためのトルク伝達モジュール
KR20170135735A (ko) 엑시얼 베어링과는 별개의 레이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콤팩트 클러치 메카니즘
CN110953261A (zh) 组装的力传递构件和包含所述构件的湿式双离合器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