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149A - 철판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철판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149A
KR20170134149A KR1020160086352A KR20160086352A KR20170134149A KR 20170134149 A KR20170134149 A KR 20170134149A KR 1020160086352 A KR1020160086352 A KR 1020160086352A KR 20160086352 A KR20160086352 A KR 20160086352A KR 20170134149 A KR20170134149 A KR 20170134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teel
iron plate
iron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802B1 (ko
Inventor
최수혁
Original Assignee
최수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혁 filed Critical 최수혁
Publication of KR20170134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2Centr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1Other article loading or unloa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타워에 구비된 수용부에 철판을 적재하도록 하는 철판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재 파레트에 철끈으로 묶여 있는 철판을 목재 파레트로부터 분리하여 철재 파레트에 안착시킨 후 적재타워에 철재 파레트를 수납하도록 하여 철판의 적재 작업을 자동화하여 철판 적재 작업의 생산성 및 적재타워 수용부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철판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단 구조의 수용부(25)와 파레트 적재장치(40)로 구성되는 적재타워(20)에 철판을 적재하기 위한 철판 로딩장치로서, 철판 받침부(11), 파레트 이송부(12), 파레트 감지부(13)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판 로딩장치{Loading apparatus for Iron Plates}
본 발명은 적재타워에 구비된 수용부에 철판을 적재하도록 하는 철판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재 파레트에 철끈으로 묶여 있는 철판을 목재 파레트로부터 분리하여 철재 파레트에 안착시킨 후 적재타워에 철재 파레트를 수납하도록 하여 철판의 적재 작업을 자동화하여 철판 적재 작업의 생산성 및 적재타워 수용부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철판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품을 제작하는 공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철판을 적재하여 보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철판은 두께가 각각 다르고 그 크기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보통, 공장 등에서 철판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보관장소를 줄이기 위하여 치수가 상이한 철판을 한 장소에 적층하여 보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래쪽에 위치한 철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위쪽의 철판을 모두 들어내야 하는 불편이 있을뿐 아니라,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시간과 노력을 줄이기 위하여 철판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따로 보관할 수도 있으나, 이는 보관 공간이 커져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복수의 수용부를 갖는 적재타워를 구성하고, 이 적재타워의 수용부에 수납되는 철재 파레트를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시키는 파레트 적재장치를 적재타워의 앞쪽에 설치하여 적재타워의 각 수용부에 각기 다른 종류의 철판을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적재타워는 철판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파레트 적재장치를 이용하여 철판이 적층된 철재 파레트를 적재타워의 수용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수납시킬 수 있어, 공장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철판은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적재타워에서는 철판을 철판 적재대에 안착시키기 전에 목재 파레트째로 납품된 철판을 목재 파레트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하고, 철판 적재대로 인해 적재타워의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철판을 수납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서랍과; 상기 복수개의 서랍을 각각 지지하여 적층시킬 수 있는 적재 프레임과; 상기 서랍을 직접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지게발과; 상기 지게발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이동유닛과; 상기 지게발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이동유닛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복수개의 적층된 서랍을 이용하여 철판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철판 자동 적재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복수개의 팔레트와, 팔레트를 각각 지지하여 적층시킬 수 있는 적재 프레임과, 팔레트를 적재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 유닛과, 팔레트를 적재 프레임 내에 인입시키거나 적재 프레임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는 인입 및 인출 유닛과, 승강 유닛과 인입 및 인출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팔레트는, 이동시 사용될 수 있도록 후방 좌우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바퀴와, 전방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는 상기 팔레트의 상면이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정해져, 철판 등의 워크가 수납된 팔레트를 적재 프레임으로부터 빼내어 승강 프레임 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이 철판의 중량에 의해서 승강 프레임이 기울어지더라도 팔레트의 상면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철판 적재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20-0351575 Y1 KR 10-0637397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판을 묶고 있는 철끈을 절단해주기만 하면 철판이 목재 파레트로부터 분리되고 철재 파레트 위에 안착된 채로 적재타워에 수납되도록 철판의 적재 작업을 자동화하여 철판 적재 작업의 생산성 및 적재타워 수용부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철판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목재 파레트에 놓여 있는 철판을 분리하여 철재 파레트에 안착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로딩장치가 적재타워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면 적재타워의 하부 수용부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는,
철재 파레트가 수용되는 다단 구조의 수용부와 철재 파레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이송수단 및 철재 파레트를 수용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수용부로 인입시키는 수평 이송수단으로 이뤄지는 파레트 적재장치로 구성되는 적재타워에 철판을 적재하기 위한 철판 로딩장치로서, 복수의 실린더가 일정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배치되고 목재 파레트의 틈새 사이로 돌출된 실린더의 로드를 이용하여 목재 파레트에 적재된 철판을 직접 지지하는 철판 받침부와,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에 의해 인출된 철재 파레트를 상기 철판 받침부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철판이 적재된 철재 파레트를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로 이동시키는 파레트 이송부와, 상기 철판 받침부의 상단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철재 파레트를 감지하여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승강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진 파레트 감지부 및 상기 철판 받침부와 파레트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파레트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에 따르면, 상기 철판 받침부는 상기 실린더가 설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철판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의 네 모서리에 구비된 받침다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 하중 정보를 전송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철판의 종류와 두께를 구분하여 상기 적재타워의 수용부에 철판이 적재되도록 하고, 각 수용부에 적재된 철판의 하중에 따라 재고량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에 따르면, 상기 철재 파레트는 이동 방향에 직교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과, 길이 방향 앞쪽에 위치한 메인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의 수평 이송수단이 결합되는 걸림구와, 이동 방향 앞쪽과 뒤쪽의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에 따르면, 상기 파레트 감지부의 센서는 상기 철판 받침부의 실린더 열에 각각 대응하도록 해당 열의 실린더에 비해 일정 정도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파레트 감지부의 센서에 의해 상기 철재 파레트의 메인 프레임이 감지되면 해당 열의 실린더 전체의 로드가 하강하여 그 끝단이 상기 파레트 이송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메인 프레임이 해당 열의 실린더를 완전히 통과하면 로드가 상승하여 철판을 지지하도록 해당 열의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에 따르면, 상기 파레트 이송부는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의 철재 파레트를 상기 철판 받침부의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상측에 설치되는 이송 컨베이어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는 철판을 묶고 있는 철끈을 절단해주기만 하면 철판이 목재 파레트로부터 분리되고 철재 파레트 위에 안착된 채로 적재타워에 수납되도록 철판 적재 작업을 자동화하여 철판 적재 작업의 생산성 및 적재타워 수용부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목재 파레트에 적재된 철판의 중량을 로드 셀로 확인하여 제어부로 전달함에 따라 철판의 종류와 두께에 따른 단위 철판의 중량을 기준으로 로딩되는 철판의 숫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예정 중량과 실제 중량을 비교하여 제품 공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 타워에 철판을 종류와 두께에 따라 각각 분리하여 적재함으로써 추가 적재되는 철판의 양을 통해 철판 재고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목재 파레트에 놓여 있는 철판을 분리하여 철재 파레트에 안착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로딩장치를 적재타워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면 적재타워의 하부 수용부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하여 철재 파레트의 메인 프레임을 감지하고 메인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각 열의 실린더에 구비된 로드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므로, 실린더의 로드로 인해 철재 파레트의 이동이 제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판 로딩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철재 프레임과 목재 프레임의 비교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철판 받침부의 작동 개념도.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를 이용하여 철판을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철판 로딩장치의 변형 예가 도시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철판 로딩장치(10)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 파레트(30)가 수용되는 다단 구조의 수용부(25)와 철재 파레트(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이송수단 및 철재 파레트(30)를 수용부(25)로부터 인출하거나 수용부(25)로 인입시키는 수평 이송수단으로 이뤄지는 파레트 적재장치(40)로 구성되는 적재타워(20)에 철판을 적재하기 위한 철판 로딩장치(10)로서, 복수의 실린더((11a)가 일정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배치되고 목재 파레트(55)의 틈새 사이로 돌출된 실린더(11a)의 로드(11b)를 이용하여 목재 파레트(55)에 적재된 철판(50)을 직접 지지하는 철판 받침부(11)와,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에 의해 인출된 철재 파레트(30)를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철판이 적재된 철재 파레트(30)를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로 이동시키는 파레트 이송부(12)와,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상단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철재 파레트(30)를 감지하여 상기 실린더(11a)의 로드(11b)가 승강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센서(13')로 이루어진 파레트 감지부(13) 및 상기 철판 받침부(11)와 파레트 이송부(12)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파레트 감지부(13)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11a)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철재 파레트(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방향에 직교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31)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메인 프레임(31)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32)과, 길이 방향 앞쪽에 위치한 메인 프레임(31)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의 수평 이송수단이 결합되는 걸림구(33)와, 이동 방향 앞쪽과 뒤쪽의 메인 프레임(31)에 설치되는 이동바퀴(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파레트 감지부(13)의 센서(13')는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실린더(11a) 열에 각각 대응하도록 해당 열의 실린더(11a)에 비해 일정 정도 앞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도 4와 같이, 파레트 감지부(13)의 센서(13')에 의해 상기 철재 파레트(30)의 메인 프레임(31)이 감지되면 해당 열의 실린더(11a) 전체의 로드(11b)가 하강하여 그 끝단이 상기 파레트 이송부(12)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했다가 상기 메인 프레임(31)이 해당 열의 실린더(11a)를 완전히 통과하면 로드(11b)가 상승하여 철판(50)을 지지하도록 해당 열의 실린더(11a)를 작동시키게 된다. 참고로, 도 4에서는 상기 철재 파레트의 메인 프레임 위치에 대응하는 실린더를 검은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파레트 이송부(12)는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의 철재 파레트(30)를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철판 로딩장치(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이송 컨베이어(12a)와, 철판 로딩장치(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12a)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모터(12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판 로딩장치(10)는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파레트(55)에 적층된 채로 지게차에 의해 이송되어 철판 받침부의 상측에 안착된 철판이 목재 파레트(55)로부터 분리된 후 철재 파레트에 옮겨 실린 상태로 파레트 적재장치로 이송시켜, 철판이 적재된 철재 파레트가 적재타워의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철판(50)은 목재 파레트(55)에 적층되고 철끈(도시 생략)에 의해 묶인 상태로 납품된다. 이처럼 철판(50)이 적층된 목재 파레트(55)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로 들어올린 후 철판 로딩장치(10)의 철판 받침부(11) 상측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철판 받침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실린더(11a)에 구비된 로드(11b)는 모두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여 철판만을 지지하므로 철끈을 절단하여 주면(또는 지게차에 상차되기 전에 철끈이 절단되어 있다면) 지게차가 후퇴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 파레트(55)가 철판 받침부(11)의 하부로 추락하여 쉽게 철판과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적층된 철판(50)의 최하단과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상면 사이의 간격을 철재 파레트(30)의 높이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철재 파레트(30)가 이들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는, 길이 방향 앞쪽에 위치한 메인 프레임(31)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걸림구(33)에 수평 이송수단을 걸어서 철재 파레트(30)를 파레트 이송부(12)로 공급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 적재장치(40)로부터 공급된 철재 파레트(30)가 파레트 이송부(12)의 이송 컨베이어(12a)에 의해 철판 받침부(1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파레트 감지부(13)의 센서(13')는 상기 철재 파레트(30)의 메인 프레임(31)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메인 프레임(33)을 감지한 센서(13')에 대응하는 열의 실린더(11a) 전체의 로드(11b)를 하강시켜 상기 철재 파레트(30)의 움직임을 상기 로드(11b)가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철재 프레임(30)의 메인 프레임(31)이 해당 열의 실린더(11a)를 완전히 통과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1a)의 로드(11b)가 상승하여 철판(50)이 처지지 않도록 다시 지지하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상승하게 되면 철재 파레트(30)의 메인 프레임(31)을 지지하게 되는 로드(11b)는, 도 6(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31)의 위치에 따라 각 실린더(11a)의 로드(11b)가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면서 상기 철재 파레트(30)가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끝부분까지 이동을 완료하면,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로드(11b)가 모두 하강하여 철판(50)이 상기 철재 파레트(3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철판(50)이 적재된 철재 파레트(30)는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12a)에 의해 파레트 적재장치(2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철재 파레트(30)가 철판 받침부(11)의 영역을 완전히 벗어나면,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아래로 추락한 목재 파레트(55)를 들어올려 다른 위치로 옮김으로써 목재 파레트(55)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는 파레트 이송부(12)에 의해 수직 및 수평 이송된 철재 파레트(50)를 적재타워(20)의 정해진 위치에 수납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는 철재 파레트(30)를 수평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수평 이동시킨 후 정해진 수용부(25)의 높이까지 상기 수평 이송수단을 승강시키고, 다시 상기 수평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철재 파레트(30)를 적재타워(20)의 수용부(25)에 수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판 로딩장치(10)는 적재타워(20)의 파레트 적재장치(40)로 부터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경우 파레트 적재장치(40)가 적재타워의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 수직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적재타워(20)의 모든(특히, 하부) 수용부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목재 파레트에 적재된 철판을 적재타워에 적재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간단한 구성을 추가하여 목재 파레트에 적재된 철판의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공급되는 철판의 숫자를 파악함과 아울러 적재타워에 적재되는 철판의 재고량을 관리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실린더(11a)가 받침판(11c)에 모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11c)의 네 모서리에 구비된 받침다리(11e)에 상기 제어부로 하중 정보를 전송하는 로드셀(11d)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목재 파레트(55)에 적재되어 공급되는 철판(50)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철판 받침부(11)에 철판이 적재된 목재 파레트(55)를 적재한 후, 상기 로드셀(11d)에 의해 감지된 하중을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받침다리(11e)에 구비된 로드셀(11d)에 의해 감지된 전체 하중의 평균값을 구하면, 상기 철판(50)의 하중과 목재 파레트(55)의 하중을 더한 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셀(11d)에 의해 감지된 전체 하중으로부터 목재 파레트(55)의 하중을 빼면 철판(50)의 하중이 된다.
이때, 상기 철판(50)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 철판(50)의 단위 하중은 미리 알고 있으므로, 상기한 철판(50)의 하중을 단위 하중으로 나누면 철판(50)의 숫자를 알 수 있게 된다. 또, 공급되는 철판(50)의 숫자를 알고 있으므로, 예정된 중량과 실제 공급 중량을 비교하여 제품 공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타워(20)에 철판(50)을 적재할 때, 철판(50)의 종류와 두께를 구분하여 상기 적재타워(20)의 수용부(25)에 철판(50)이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수용부(25)에 적재된 철판(50)의 하중에 따라 재고량을 파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철판(50)의 단위 하중은 철판(50)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적재타워(20)의 각 수용부(25)에 적재되는 철판(50)의 전체 하중을 알 수 있다면, 철판(50)의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셀(11d)에 의해 감지된 철판(50)의 하중에 따라 공급된 철판(50)의 숫자를 파악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각 수용부(25)에 적재되어 있던 철판(50)의 재고량에 이를 추가함으로써 철판(50)의 종류와 두께에 따른 재고량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철판 로딩장치
11...철판 받침부
11a...실린더
11b...로드
11c...받침판
11d...로드셀
11e...받침다리
12...파레트 이송부
12a....이송 컨베이어
12b...컨베이어 구동모터
13...파레트 감지부
13'...센서
20...적재타워
25...수용부
30...철재 파레트
31...메인 프레임
32...연결 프레임
33...걸림구
34...이동바퀴
40...파레트 적재장치
50...철판
55...목재 파레트

Claims (6)

  1. 철재 파레트(30)가 수용되는 다단 구조의 수용부(25)와
    철재 파레트(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이송수단 및 철재 파레트(30)를 수용부(25)로부터 인출하거나 수용부(25)로 인입시키는 수평 이송수단으로 이뤄지는 파레트 적재장치(40)로 구성되는
    적재타워(20)에 철판을 적재하기 위한 철판 로딩장치로서,
    복수의 실린더(11a)가 일정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배치되고 목재 파레트(55)의 틈새 사이로 돌출된 실린더(11a)의 로드(11b)를 이용하여 목재 파레트(55)에 적재된 철판(50)을 직접 지지하는 철판 받침부(11)와,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에 의해 인출된 철재 파레트(30)를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철판이 적재된 철재 파레트(30)를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로 이동시키는 파레트 이송부(12)와,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상단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철재 파레트(30)를 감지하여 상기 실린더(11a)의 로드(11b)가 승강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센서(13')로 이루어진 파레트 감지부(13) 및
    상기 철판 받침부(11)와 파레트 이송부(12)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파레트 감지부(13)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11a)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 받침부(11)는
    상기 실린더(11a)가 설치되는 받침판(11c)과,
    상기 철판(50)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1c)의 네 모서리에 구비된 받침다리(11e)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 하중 정보를 전송하는 로드셀(11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로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철판(50)의 종류와 두께를 구분하여 상기 적재타워(20)의 수용부(25)에 철판(50)이 적재되도록 하고, 각 수용부(25)에 적재된 철판(50)의 하중에 따라 재고량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로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재 파레트(30)는
    이동 방향에 직교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31)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메인 프레임(31)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32)과,
    길이 방향 앞쪽에 위치한 메인 프레임(31)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의 수평 이송수단이 결합되는 걸림구(33)와,
    이동 방향 앞쪽과 뒤쪽의 메인 프레임(31)에 설치되는 이동바퀴(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로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 감지부(13)의 센서(13')는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실린더(11a) 열에 각각 대응하도록 해당 열의 실린더(11a)에 비해 일정 정도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파레트 감지부(13)의 센서(13')에 의해 상기 철재 파레트(30)의 메인 프레임(31)이 감지되면 해당 열의 실린더(11a) 전체의 로드(11b)가 하강하여 그 끝단이 상기 파레트 이송부(12)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메인 프레임(31)이 해당 열의 실린더(11a)를 완전히 통과하면 로드(11b)가 상승하여 철판(50)을 지지하도록 해당 열의 실린더(11a)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로딩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 이송부(12)는
    상기 파레트 적재장치(40)의 철재 파레트(30)를 상기 철판 받침부(11)의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상측에 설치되는 이송 컨베이어(12a)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12a)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모터(1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로딩장치.
KR1020160086352A 2016-05-27 2016-07-07 철판 로딩장치 KR101880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503 2016-05-27
KR20160065503 2016-05-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015A Division KR20180006348A (ko) 2017-12-04 2017-12-04 철판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149A true KR20170134149A (ko) 2017-12-06
KR101880802B1 KR101880802B1 (ko) 2018-07-23

Family

ID=6092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352A KR101880802B1 (ko) 2016-05-27 2016-07-07 철판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8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785A (ko) * 2018-01-17 2019-07-25 최종율 철판 로딩장치
KR102321831B1 (ko) * 2021-08-06 2021-11-04 김종환 철판의 이송 및 보관 장치
CN114715684A (zh) * 2022-06-08 2022-07-08 四川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面向预制板构件的运输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575Y1 (ko) 2004-02-18 2004-05-27 주식회사 리싸이클 철판 자동적재장치
KR100637397B1 (ko) 2005-05-03 2006-10-24 김라삼 철판 적재장치
US8539739B2 (en) * 2009-06-01 2013-09-24 Top Tier, Inc. Method of palletizing items
KR101496280B1 (ko) * 2014-08-14 2015-02-26 홍국선 파레트 자동 정렬장치 및 이의 파레트 자동 정렬방법
JP6071690B2 (ja) * 2013-03-26 2017-02-01 株式会社東芝 太陽電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575Y1 (ko) 2004-02-18 2004-05-27 주식회사 리싸이클 철판 자동적재장치
KR100637397B1 (ko) 2005-05-03 2006-10-24 김라삼 철판 적재장치
US8539739B2 (en) * 2009-06-01 2013-09-24 Top Tier, Inc. Method of palletizing items
JP6071690B2 (ja) * 2013-03-26 2017-02-01 株式会社東芝 太陽電池
KR101496280B1 (ko) * 2014-08-14 2015-02-26 홍국선 파레트 자동 정렬장치 및 이의 파레트 자동 정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785A (ko) * 2018-01-17 2019-07-25 최종율 철판 로딩장치
KR102321831B1 (ko) * 2021-08-06 2021-11-04 김종환 철판의 이송 및 보관 장치
CN114715684A (zh) * 2022-06-08 2022-07-08 四川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面向预制板构件的运输系统
CN114715684B (zh) * 2022-06-08 2022-09-27 四川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面向预制板构件的运输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802B1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802B1 (ko) 철판 로딩장치
EP2476635B1 (en) Storage rack with movable shelves
CN113602820B (zh) 木材板垛自动拆盘装置
JP2013086891A (ja) 自動倉庫
KR100637397B1 (ko) 철판 적재장치
KR101496280B1 (ko) 파레트 자동 정렬장치 및 이의 파레트 자동 정렬방법
CN210885169U (zh) 木托盘转移装置
CN109573629B (zh) 一种托盘自动拆卸生产线及控制方法
KR20180006348A (ko) 철판 로딩장치
KR102263341B1 (ko) 톰슨박스 반전 공급장치
CN112573052B (zh) 自动化存取系统以及存、取方法
KR102063387B1 (ko) 철판 로딩장치
CN105438543B (zh) 一种箱坯出入库作业方法
CN204490414U (zh) 托盘库平推升降机
KR200484482Y1 (ko) 박스 적재장치
CN217675678U (zh) 一种基于装卸平台的物流运输车自动定位装卸系统
CN216360178U (zh) 一种用于托盘自动堆栈的设备
CN205274083U (zh) 一种便于出入库的箱坯固定装置
CN214778393U (zh) 一种板材多层立体料库
CN205273964U (zh) 一种自动添加箱坯装置
CN207293508U (zh) 指纹模组收料机
KR20160006457A (ko) 판상체 적재기구
CN111728358B (zh) 工作台、工作台系统及控制方法
CN220595919U (zh) 门套板放料货架
EP0802734B1 (en) Method of handling moulds containing meat products and plant for the execution of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