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230A -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액세서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3230A KR20170133230A KR1020160115246A KR20160115246A KR20170133230A KR 20170133230 A KR20170133230 A KR 20170133230A KR 1020160115246 A KR1020160115246 A KR 1020160115246A KR 20160115246 A KR20160115246 A KR 20160115246A KR 20170133230 A KR20170133230 A KR 201701332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ontainer
- case
- disposed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784 a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8—Subscriber network interface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4—Modular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을 갖춘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는 메인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려지는 메인 스위치, 및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을 횡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탄성 가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제 1굴곡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제 2굴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는 메인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려지는 메인 스위치, 및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을 횡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탄성 가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제 1굴곡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제 2굴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을 갖춘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내에서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물 들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특히, 사물과 사물 간의 상호 정보 소통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 들이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주변 상황(사물 또는 환경)을 감지하여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시키는 '네트워크 기술',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등이 있다.
센싱 기술과 관련하여,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근접센서, 조도센서, 가속도센서, 자기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스코프센서, 모션센서, RGB센서, 적외선센서(IR 센서 : infrared sensor), 초음파센서, 원격감지센서, SAR, 레이더, 광센서(예를 들어, 영상센서, 이미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술은, 다양한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을 적용하여 PC, 각종 기기 및 시설, 휴대 단말기 등을 통합하여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선 기술은 Ethernet, PLC, IEEE 1394, 홈 PNA 등과 같은 것이 있고, 상기 무선 기술은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등과 같은 것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각종 신호를 송신하는 서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은, 홈(home) 이나 사무실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공간적 또는 서비스 차원적 개념에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의 정보를 송신하거나 정보를 수신받는 기능을 가진 여러 기기 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홈 네트워크 분야에 있어서도, 상기 사물인터넷 기능이 탑재된 가전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기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 중에서, 수직 방향의 가압에 의해서 눌려지는 스위치가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눌려지는 동작 이후, 원 상태로 복원되는 동작이 필요하다. 원 상태로 복원되는 동작을 위한 복원력을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사물인터넷 기술을 보급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물인터넷 기능이 없는 가전기기 및 환경을 사물인터넷 기능이 탑재된 가전기기 및 환경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기의 교체를 위해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가지게 되고, 기기를 교체하지 않을 시에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술의 원활하고 신속한 보급에도 문제가 있다.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기존의 가전기기 및 환경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사물인터넷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사물인터넷 기술을 보유한 여러 회사 들로부터 사물인터넷 기능을 가진 제품 들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회사 제품들이 통일된 규격을 사용하고 있지 않고 각각의 방식으로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고 있다. 그래서, 서로 호환이 되지 않아 원하는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서로 다른 회사의 제품 들이 있는 환경에서도 원하는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현하도록 하는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가압식 버튼은 설계한 소정의 복원력을 정밀하게 구현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미세한 스트로크(눌려지는 길이)를 가진 가압식 버튼의 경우에는, 스프링을 사용하기 어렵고, 미세한 복원력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런데, 이러한 미세한 복원력의 차이가 있을 때, 손 끝에 의해 눌려진다는 점 때문에 실제로 사용자의 감성적인 느낌의 차이는 매우 크다. 특히, 가전 기기 분야에서 감성적 느낌의 차이는, 상업적 성공여부와도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기존의 가압식 버튼은, 미세한 복원력의 정도를 설계하는 것이 어렵고, 설계한 대로 구현하는 것 또한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가압식 버튼의 복원력과 관련한 미세한 차이점까지 쉽게 설계할 수 있고, 이를 쉽게 구현하여 균일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려지는 메인 스위치, 및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을 횡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탄성 가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제 1굴곡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제 2굴곡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 가동부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 1 및 2 굴곡부는 더욱 휘어지면서 곡률이 커지고 상기 제 1 및 2 굴곡부의 상기 일단(a1) 및 타단(a2)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상기 제 1 및 2 굴곡부가 휘어지면서 탄성 휨 변형을 하면, 이에 대한 복원력이 발생한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 가동부의 탄성 변형을 상기 제 1 및 2 굴곡부에 집중적으로 유도하여, 설계자가 원하는 탄성 변형의 유도 및 복원력의 크기를 기 설정하기 유리해진다. 즉, 탄성 휨 변형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부분을 예측할 수 있고, 그 부분의 탄성 휨 변형에 비례하는 복원력을 계산하면 복원력을 쉽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휨 변형이 상기 제 1 및 2 굴곡부에 집중되므로 이를 구현함에 있어서 균일성까지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1굴곡부를 연결하는 제 1연결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굴곡부를 연결하는 제 2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바디는,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에 제어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바디는, 소정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광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할 때 힘의 전달이 보다 정확한 루트를 통해 전달되어, 설계자의 의도대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스위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패널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스위치 패널 및 상기 메인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패널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될 때 같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할 때 힘의 전달이 보다 정확한 루트인 중앙부를 통해 전달되어, 설계자의 의도대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패널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곡률을 가진 돔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돔형의 판재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장 큰 변위를 가지게 되므로, 스위치 패널에서 탄성 가동부로의 힘의 전달이 중앙부를 통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메인 바디의 중심축(X)을 중심으로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패널의 둘레는 상기 측면 부재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돔형의 스위치 패널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될 경우, 상기 측면 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스위치 패널의 축 외측 방향(XO)을 고정해주어, 상기 스위치 패널이 축 외측 방향(XO)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아준다. 이를 통해, 돔형의 스위치 패널에 있어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스위치 패널의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 더 큰 복원력이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돔형의 스위치 패널의 탄성 변형 조건이 이상적인 조건과 보다 근사하게 되어, 설계 내용에 보다 가깝게 복원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가동부는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중앙부에서 가장 높이가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굴곡부는 상기 중앙부 측의 말단이 타측의 말단보다 높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굴곡부는 상기 중앙부 측의 말단이 타측의 말단보다 높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측의 말단에서 상기 제 1굴곡부 측의 말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연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측의 말단에서 상기 제 2굴곡부 측의 말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상기 제 1 및 2 굴곡부가 없이 상기 탄성 가동부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탄성 가동부는 원하지 않는 부분에서 좌굴이 발생할 수 있고, 가압에 필요한 힘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그런데, 본 해결 수단은, 좌굴 없이 탄성 가동부의 탄성 변형을 상기 제 1 및 2 굴곡부에 집중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탄성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고리 형으로 형성되는 테두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테두리 부재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 가동부가 길이 방향(수평방향)의 양단이 서로 멀어지는 것을 막아주어, 설계자가 의도한 대로 상기 상기 제 1 및 2 굴곡부에 탄성 휨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 1굴곡부 및 상기 제 2굴곡부는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중앙부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수평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판재는 상기 제 1굴곡부 및 제 2굴곡부 보다 두꺼운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굴곡부, 제 2굴곡부, 제 1연결부 및 제 2연결부는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중앙부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수평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판재는 상기 제 1굴곡부, 제 2굴곡부, 제 1연결부 및 제 2연결부 보다 두꺼운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수평 판재의 강성이 커져, 상기 탄성 가동부가 하측으로 가압될 시, 상기 제 1 및 2 굴곡부에 탄성 변형을 집중시키기 용이해진다.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할 때 힘의 전달이 보다 정확한 루트인 중앙부를 통해 전달되어, 설계자의 의도대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수평 판재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누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원력의 설계의 정확성 및 구현의 균일성을 위해서, 상기 탄성 가동부는, 굴곡부 깊이(d2)가 스트로크 길이(d1)보다 크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서, 가압식 버튼의 복원력과 관련한 미세한 차이점까지 쉽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계된 복원력이 정확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양산품을 균일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힘이 전달되는 루트 및 탄성 변형이 일어나는 지점을 설계한 대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액세서리를 주변의 기기나 환경에 부착함으로써, 주변의 기기나 환경 자체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사물인터넷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상황을 감지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주변의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메인 바디(2A)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컨테이너(2B)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메인 바디(2A)를 자른 AB-A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메인 바디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2C)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2D)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방수 부재(2D)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16은 도 3의 액세서리(2)의 사용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은, 복수의 컨테이너(2B)를 복수의 위치에 각각 부착한 상태에서 메인 바디(2A)를 선택적으로 컨테이너(2B)에 부착하는 사용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도 4에 도시된 메인 바디(2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스위치 패널(2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스위치 패널(210)을 자른 A1-A1'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스위치 가동부(2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스위치 가동부(22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스위치 가동부(220)를 자른 A2-A2'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8의 측면 케이스(23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PCB(240,250)가 결합되지 않고 투과 부재(260)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 케이스(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측면 케이스(23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측면 케이스(230)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측면 케이스(230)를 자른 A3-A3'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5의 측면 케이스(230)에 상측 PCB(24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측면 케이스(230) 및 상측 PCB(24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측면 케이스(230) 및 상측 PCB(240)을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32는 도 18의 하측 PCB(2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하측 PCB(250)를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34는 도 29의 측면 케이스(230) 및 상측 PCB(240)에 하측 PCB(25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측면 케이스(230), 상측 PCB(240) 및 하측 PCB(25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의 메인 바디(2A)를 투과 부재(260)를 가로지르도록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투과 부재(260)의 단면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7은 도 18의 투과 부재(260)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18의 투과 부재(260)를 수평면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18의 하면 케이스(27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9의 하면 케이스(27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9의 하면 케이스(270)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하면 케이스(270)를 자른 A7-A7'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5에 도시된 컨테이너(2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5의 컨테이너(2B)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5의 컨테이너(2B)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6(a) 및 46(b)은 도 45의 컨테이너(2B)를 자른 단면도로서, 도 46(a)는 B1-B1' 단면도이고, 도 46(b)는 B2-B2' 단면도이다.
도 46(c) 및 46(d)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컨테이너(2B)를 자른 단면도로서, 도 46(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B1-B1' 단면도이고, 도 46(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B2-B2'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3의 컨테이너 본체(280)를 사출 성형기(300)(금형)로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출 성형기(30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8은 도 6에서 컨테이너(2B)를 제외하고 메인 바디(2A) 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 48의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 및 하측 테두리(E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0 내지 52는 도 48의 메인 바디(2A)가 수평면(G)에서 구를 때 전복되는 방향(T1)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메인 바디(2A)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0은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만 지면에 닿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1은 메인 바디(2A)의 하측 테두리(E2)가 지면에 닿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2는 도 50에서 배터리(2541)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도 50 내지 52에서 메인 바디(2A)가 수평면(G)을 따라 굴러가면서 전복되는 동안, 상측 테두리(E1) 및 하측 테두리(E2)가 상기 수평면(G)에 남기는 가상의 트랙(track)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4는 도 4의 메인 바디(2A)에서 하면 케이스(270)를 제외하고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55는 도 54의 메인 바디(2A)가 지면에서 구를 때 배터리(2541)의 편심 위치에 따른 토크의 작용 방향(T2,T3)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6은 도 6에서 액세서리(2A,2B)의 소정의 직경 들(r1,r3,r4)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은 도 56의 액세서리(2A,2B)의 상측 테두리(E1),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8은 도 57의 액세서리(2A,2B)가 수평면(G)에서 구를 때 선회하는 방향(T4)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액세서리(2A,2B)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9는 도 58에서 액세서리(2A,2B)가 수평면(G)을 따라 굴러가면서 선회하는 동안, 상측 테두리(E1) 및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가 상기 수평면(G)에 남기는 가상의 트랙(track)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0은 도 28의 측면 케이스(230)를 사출 성형기(310a,310b)(금형)로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출 성형기(310a,310b)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Z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0(a)는 사출 성형기(310a)의 파팅 라인(parting line)(PLa)이 측면 부재(231)의 상단 중 외측 모서리에 있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0(b)는 사출 성형기(310b)의 파팅 라인(parting line)(PLb)이 측면 부재(231)의 상단 중 내측 테두리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1은 도 60(b)의 측면 케이스(230)를 사출 성형기(310b)로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출 성형기(310b)의 사시도이다.
도 62는 도 61의 사출 성형기(310b)에서 상측 사출 성형부(311b)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3은 도 62의 사출 성형기(310b)에서 측면 사출 성형부(312b) 중 어느 하나(312b2)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후/좌/우/상/하”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3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중심축(X)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A, 2B)의 중심을 관통하는 상하방향의 가상의 축을 의미하고, 상기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축 외측 방향(XO)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축 내측 방향(XI)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을 원주방향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기준에 따라 각 방향들이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메인 바디(2A)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컨테이너(2B)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메인 바디(2A)를 자른 AB-A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메인 바디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2C)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2D)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방수 부재(2D)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16은 도 3의 액세서리(2)의 사용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은, 복수의 컨테이너(2B)를 복수의 위치에 각각 부착한 상태에서 메인 바디(2A)를 선택적으로 컨테이너(2B)에 부착하는 사용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도 4에 도시된 메인 바디(2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스위치 패널(2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스위치 패널(210)을 자른 A1-A1'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스위치 가동부(2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스위치 가동부(22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스위치 가동부(220)를 자른 A2-A2'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8의 측면 케이스(23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PCB(240,250)가 결합되지 않고 투과 부재(260)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 케이스(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측면 케이스(23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측면 케이스(230)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측면 케이스(230)를 자른 A3-A3'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5의 측면 케이스(230)에 상측 PCB(24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측면 케이스(230) 및 상측 PCB(24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측면 케이스(230) 및 상측 PCB(240)을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32는 도 18의 하측 PCB(2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하측 PCB(250)를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34는 도 29의 측면 케이스(230) 및 상측 PCB(240)에 하측 PCB(25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측면 케이스(230), 상측 PCB(240) 및 하측 PCB(25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의 메인 바디(2A)를 투과 부재(260)를 가로지르도록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투과 부재(260)의 단면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7은 도 18의 투과 부재(260)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18의 투과 부재(260)를 수평면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18의 하면 케이스(27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9의 하면 케이스(27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9의 하면 케이스(270)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하면 케이스(270)를 자른 A7-A7'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5에 도시된 컨테이너(2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5의 컨테이너(2B)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5의 컨테이너(2B)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6(a) 및 46(b)은 도 45의 컨테이너(2B)를 자른 단면도로서, 도 46(a)는 B1-B1' 단면도이고, 도 46(b)는 B2-B2' 단면도이다.
도 46(c) 및 46(d)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컨테이너(2B)를 자른 단면도로서, 도 46(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B1-B1' 단면도이고, 도 46(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B2-B2'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3의 컨테이너 본체(280)를 사출 성형기(300)(금형)로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출 성형기(30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8은 도 6에서 컨테이너(2B)를 제외하고 메인 바디(2A) 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 48의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 및 하측 테두리(E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0 내지 52는 도 48의 메인 바디(2A)가 수평면(G)에서 구를 때 전복되는 방향(T1)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메인 바디(2A)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0은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만 지면에 닿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1은 메인 바디(2A)의 하측 테두리(E2)가 지면에 닿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2는 도 50에서 배터리(2541)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도 50 내지 52에서 메인 바디(2A)가 수평면(G)을 따라 굴러가면서 전복되는 동안, 상측 테두리(E1) 및 하측 테두리(E2)가 상기 수평면(G)에 남기는 가상의 트랙(track)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4는 도 4의 메인 바디(2A)에서 하면 케이스(270)를 제외하고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55는 도 54의 메인 바디(2A)가 지면에서 구를 때 배터리(2541)의 편심 위치에 따른 토크의 작용 방향(T2,T3)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6은 도 6에서 액세서리(2A,2B)의 소정의 직경 들(r1,r3,r4)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은 도 56의 액세서리(2A,2B)의 상측 테두리(E1),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8은 도 57의 액세서리(2A,2B)가 수평면(G)에서 구를 때 선회하는 방향(T4)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액세서리(2A,2B)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9는 도 58에서 액세서리(2A,2B)가 수평면(G)을 따라 굴러가면서 선회하는 동안, 상측 테두리(E1) 및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가 상기 수평면(G)에 남기는 가상의 트랙(track)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0은 도 28의 측면 케이스(230)를 사출 성형기(310a,310b)(금형)로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출 성형기(310a,310b)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Z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0(a)는 사출 성형기(310a)의 파팅 라인(parting line)(PLa)이 측면 부재(231)의 상단 중 외측 모서리에 있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0(b)는 사출 성형기(310b)의 파팅 라인(parting line)(PLb)이 측면 부재(231)의 상단 중 내측 테두리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1은 도 60(b)의 측면 케이스(230)를 사출 성형기(310b)로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출 성형기(310b)의 사시도이다.
도 62는 도 61의 사출 성형기(310b)에서 상측 사출 성형부(311b)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3은 도 62의 사출 성형기(310b)에서 측면 사출 성형부(312b) 중 어느 하나(312b2)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후/좌/우/상/하”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3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중심축(X)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A, 2B)의 중심을 관통하는 상하방향의 가상의 축을 의미하고, 상기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축 외측 방향(XO)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축 내측 방향(XI)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을 원주방향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기준에 따라 각 방향들이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네트워크는 통신 기능을 갖춘 액세서리(2)와, 액세서리(2)와 통신하는 허브(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소정의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액세서리(accessary, 2, 3a, 3b), 게이트웨이(gateway, 4), 공유기(Access Point, 7) 및 허브(hub, 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추가로 서버(8) 및 단말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액세서리(2, 3a, 3b), 게이트웨이(4), 공유기(7) 및 허브(1)는 정해진 통신규약(protocol)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2, 3a, 3b, 4, 7, 1)에 구비된 통신 모듈이 정해진다. 장치와 네트워크, 또는 장치 상호간의 통신 방식에 따라 장치에 다수개의 통신 모듈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액세서리(2, 3a, 3b)는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통신 모듈이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한다는 것은,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게이트웨이(4), 공유기(7), 허브(1), 서버(8) 및 단말기(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한다는 의미이다.
액세서리(2,3a,3b)는 소정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3a,3b)는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기능을 발휘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3a,3b)는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광 신호(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을 구비한 액세서리(2,3a,3b)는, 기압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공기질 센서, 전자 코 센서,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수면 센서(예를 들어 사용자의 잠옷이나 속옷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잠을 자는 동안 코콜이, 무호흡, 뒤척임 등을 감지), 근접센서, 조도센서, 가속도센서, 자기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스코프센서, 모션센서, RGB센서, 적외선센서(IR 센서 : infrared sensor), 초음파센서, 원격감지센서, SAR, 레이더, 광센서(예를 들어, 영상센서, 이미지센서) 등을 구비한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제어모듈을 구비한 액세서리(2,3a,3b)는, 조명을 제어하는 스마트 라이팅, 전원의 인가 및 정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플러그, 보일러 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여부 및 강도 등을 조절하는 스마트 온도 조절기, 가스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가스락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리모트 콘트롤 모듈을 구비한 액세서리(2,3a,3b)는, 원격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 등에 적외선(IR) 신호를 발신하는 적외선 LED 등을 구비한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액세서리(예를 들어, 3a,3b)는 소정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정하여진 용도만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3a)는 영상 카메라이고, 액세서리(3b)는 스마트 플러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는 가전기기, 도어, 창문 또는 벽체 등 외부의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용예는 후술한다.
게이트웨이(4)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2, 3b)와 공유기(7) 간의 통신을 매개한다. 게이트웨이(4)는 무선으로 액세서리(2)와 통신한다. 게이트웨이(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공유기(7)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4)와 공유기(7) 간의 통신은 이더넷(Ethernet) 또는 와이파이(wi-fi)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공유기(7)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8)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8)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 인터넷에 접속된 각종 단말기(6)로 서버(8)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6)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예로 들 수 있다.
액세서리(2, 3b)는 게이트웨이(4)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액세서리(3a)는 게이트웨이(4)를 거치지 않고 공유기(7)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공유기(7)는 게이트웨이(4)를 거치지 않고 상기 액세서리(3a) 또는 통신 모듈을 탑재한 기타 기기(5)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기들(5, 3a)은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게이트웨이(4)를 경유하지 않고도 공유기(7)와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허브(1)는 공유기(7)와 유선(예를 들어, 이더넷) 또는 무선(예를 들어, wi-fi)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4) 및 공유기(7)를 매개로 허브(1)와 액세서리(2, 3b) 상호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예로 공유기(7)를 매개로 허브(1)와 액세서리(3a) 또는 기타 기기(5) 상호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세서리(2, 3b)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게이트웨이(4)와 공유기(7)를 차례로 경유하여 허브(1)로 전송될 수 있고, 허브(1)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공유기(7)와 게이트웨이(4)를 차례로 경유하여 액세서리(2, 3b)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액세서리(3a) 또는 기타 기기(5)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공유기(7)를 경유하여 허브(1)로 전송될 수 있고, 허브(1)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공유기(7)를 경유하여 액세서리(3a) 또는 기타 기기(5)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 3a, 3b)의 센서 모듈(24)에 의해 획득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8), 단말기(6) 또는 허브(1)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버(8), 허브(1) 또는 단말기(6)로부터 상기 센서 모듈, 제어모듈, 또는 리모트 콘트롤 모듈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액세서리(2)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신호의 전송은 게이트웨이(4) 및/또는 공유기(7)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액세서리(2, 3a, 3b)와 허브(1) 간의 통신은, 게이트웨이(4)와 공유기(7)만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가 인터넷 등의 외부 통신망과 단절된 경우에도 액세서리(2, 3a, 3b)와 허브(1)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허브(1)가 공유기(7)를 통해 서버(8)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허브(1)나 액세서리(2)로부터 송신된 정보가 서버(8)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8)에 저장된 정보들은 서버(8)와 접속된 단말기(6)가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6)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서버(8)를 경유하여 허브(1)나 액세서리(2)로 전송될 수 있다.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단말기인 스마트폰(smart phone)은 그래픽 기반의 편리한 UI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UI를 통해 액세서리(2)를 제어하거나, 액세서리(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액세서리(2)를 통해 구현 가능한 기능을 확장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버(8)와 무관하게 단말기(6)와 허브(1)가 직접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허브(1)와 단말기(6)가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6)를 활용하지 않고도, 허브(1) 만으로도 액세서리(2)를 제어하거나 액세서리(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허브(1)에는 액세서리(2)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공된 정보를 표시하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출력수단(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브(1)의 입력부는, 각종 버튼 또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에 마이크가 구비된 경우, 허브의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시, 게이트웨이(4)가 구비되지 않으며, 게이트웨이(4)가 수행하던 기능을 허브(1)가 겸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그 이외의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는,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26)을 구비하는 메인 바디(2A)와, 메인 바디(2A)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바디 결합부(280a)를 구비하는 컨테이너(2B)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2A)가 근접 센서(244)를 구비하는 경우, 액세서리(2)는 근접 센서(244)의 근접 신호 발광부(2441)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를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된 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방수 부재(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2A), 컨테이너(2B), 리플렉터(2C) 및 방수 부재(2D)는 서로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합하여 사용 가능한 구성품들이고, 서로 다른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메인 바디(2A)의 기능적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 바디(2A)는 메인 바디(2A)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23)는 서버(8), 단말기(6) 또는 허브(1)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메인 바디(2A)는 소정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주변 상황이란, 메인 바디(2A)에 구비된 센서의 종류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메인 바디(2A)의 주변이나 메인 바디(2A)에 대한 특정 방향의 정보를 의미한다.
센서 모듈(24)은,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타겟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이란, 각종 센서들이 감지할 수 있는 기압, 온습도, 방사능, 열, 가스, 공기질, 전자, 각종 생체 요소, 각종 수면 요소, 근접 정도, 조도, 가속도, 자기, 중력, 모션, 적외선, 초음파, 영상, 이미지 등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24)은 메인 바디(2A)에서 특정 방향으로 외부 물체와 근접한 정도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24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은 온습도 센서(2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설명 전체에 걸쳐, 온습도 센서(245)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센서 모듈(24)은, 메인 바디의 이동 또는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257)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2A)는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광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주변 기기'란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주변의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러로 제어가 가능한 세탁기, 냉장고, 공기조화기, 로봇청소기, 티브이 등이 상기 소정의 주변 기기가 된다.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은, 메인 바디(2A)에서 특정 방향으로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소정의 광 신호를 조사(emitting)하는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LED일 수 있다.
메인 바디(2A)는, 센서 모듈(24) 및 리모트 컨트롤 모듈(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2A)는, 센서 모듈(24) 및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메인 바디(2A)를 필요에 따라 더욱 가변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메인 바디(2A)는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26)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모듈(26)은 직접 통신하고자 하는 장치의 통신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신 모듈(26)을 통해 센서 모듈(24)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26)을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메인 바디(2A)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센서 모듈(24), 리모트 컨트롤 모듈(25), 출력부(28) 또는 저장부(29)가 제어될 수 있다.
메인 바디(2A)는, 사용자가 통신 모듈(26)을 통하지 않고 직접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7)를 포함한다.
입력부(27)는 메인 바디(2A)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7)는 메인 바디(2A)의 기능의 설정, 소정의 네트워크와 페어링(pairing), 또는 단말기(6) 또는 허브(1)와의 페어링 등을 위한 메인 스위치(24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위치(242)의 누름 시간 및/또는 연속 누름 횟수 등의 조합을 통해, 메인 바디(2A)에 다양한 명령이 내려지도록 기 설정할 수 있다.
입력부(27)는 메인 바디(2A)의 기 설정된 세팅을 리셋시킬 수 있는 리셋 버튼(252)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셋 버튼(252)을 누름으로써, 기존의 페어링 설정 또는 저장부(29)에 저장된 정보 등을 리셋 시킬 수 있다.
메인 바디(2A)는, 센서 모듈(24)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9)는 통신 모듈(26)을 통해 네트워크(N) 상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9)는 입력부(27)로부터 지시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인 바디(2A)는 각 구성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254)를 포함한다. 전원장치(254)는 배터리(2541)를 포함한다. 배터리(2541)는 충전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3)는 입력부(27)로부터 제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23)는 출력부(28)가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통신 모듈(26)을 제어한다. 제어부(23)는 입력부(27)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 모듈(26)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통신 모듈(26)이 네트워크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부(29)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저장부(29)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 모듈(26)을 통해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센서 모듈(24)의 작동 여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3)는 통신 모듈(26)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센서 모듈(24)의 작동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입력부(27)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센서 모듈(24)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저장부(29)에 저장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센서 모듈(24)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센서 모듈(24)에서 감지된 주변 상황 정보를 저장부(29)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센서 모듈(24)에서 감지된 주변 상황 정보를 통신 모듈(26)을 통해 네트워크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네트워크로 주변 상황 정보의 송신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상황 정보란, 소정의 주변 상황에서 감지된 소정의 정보를 의미한다. 제어부(23)는, 센서 모듈(24)이 주변 상황 정보를 감지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센서 모듈(24)이 주변 상황 정보를 감지한다 하더라도, 감지된 주변 상황 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3)는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상기 타겟의 종류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는, 제 1타겟(예를 들어, 근접 정보)을 감지하고 상기 제 1타겟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제 1상태에서, 제 2타겟(예를 들어, 온습도)을 감지하고 상기 제 2타겟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제 2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3)는, 제 1타겟 및 제 2타겟을 모두 감지하되 상기 제 1타겟의 정보만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제 3상태에서, 제 1타겟 및 제 2타겟을 모두 감지하되 상기 제 2타겟의 정보만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제 4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의 작동 여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3)는 통신 모듈(26)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의 작동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입력부(27)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저장부(29)에 저장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의 작동 여부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이 작동하지 않는 제 5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이 작동하는 제 6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6 상태'의 용어 사용에 있어서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및 '제 6'은, 지칭 대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표기일 뿐, 각 상태 들 사이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
도 3 내지 6을 참고하여,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메인 바디 결합부는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어 메인 바디(2A)의 일부분이 맞물리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 결합부(280a)는 함몰된 수용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컨테이너(2B)는 메인 바디 결합부(280a)를 상측에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바디(2A)는, 컨테이너(2B)와 결합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메인 바디의 노출부(201)와, 메인 바디 결합부(280a)에 수용되는 메인 바디의 삽입부(202)를 포함한다.
노출부(201)는 메인 바디(2A)의 상측부에 형성된다. 노출부(201)는 축 외측 방향(XO)으로 노출되는 측면과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면을 포함한다.
노출부(201)에는 각종 스위치(예를 들어, 210), 센서 모듈(24)을 위한 개구부(예를 들어, 231b)나 투과 부재(260), 또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을 위한 투과 부재(260) 등이 배치된다.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메인 바디(2A)의 스위치 패널(210)에 사용자가 접촉할 수 있다. .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센서 모듈(24) 또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 부재(260) 및/또는 센서 홀(231b)은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에 형성된다. 투과 부재(260) 및 센서 홀(231b)은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투과 부재(260)는 노출부(201)의 전방면에 배치되고, 센서 홀(231b)은 노출부(201)의 후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패널(210)은 노출부(201)의 상기 상면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스위치 패널(210)을 누를 수 있다.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중심축(X)과 가까워 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중심축(X)과 멀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은 전체적으로 원뿔대(a truncated cone)의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할 측면 케이스(230)의 측면 부재(231)는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을 형성시킨다.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는 소정의 상측 직경의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노출부(201)의 상측 테두리(E1)는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가 될 수 있다.
노출부(201)의 하단은,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에 결합시 컨테이너(2B)의 상단에 접촉한다. 노출부(201)의 하단은 메인 바디 결합부(280a)의 상단에 접촉할 수 있다. 노출부(201)의 하측 테두리는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노출부(201)의 하측 테두리는 상기 상측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은, 노출부(201)의 상측 테두리와 노출부(201)의 하측 테두리를 최단으로 연결하는 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은, 노출부(201)의 상측 테두리 및 노출부(201)의 하측 테두리를 연결하는 상하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경사면을 포함한다.
노출부(201)의 상기 상면은 돔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출부(201)의 상기 상면은 스위치 패널(210)의 상측면을 포함한다. 스위치 패널(210)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상측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의 부재는 두께를 가진 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노출부의 상단에서 스위치 패널(210)은 상기 측면의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축 내측 방향(XI)의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스위치 패널(210)은 후술할 스위치 가동부(220)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삽입부(202)는 메인 바디(2A)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삽입부(202)는 축 외측 방향(XO)으로 노출되는 측면과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면을 포함한다.
삽입부(202)는 메인 바디 결합부(280a)에 수용되어,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서로 결합한다. 삽입부(202)는 컨테이너(2B)의 상측으로 메인 바디 결합부(280a)에 삽입될 수 있다.
메인 바디(2A)는 충전용 배터리(2541)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 바디(2A)에는 충전 단자(255)가 구비된다. 충전 단자(255)는 삽입부(202)의 상기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2A)를 컨테이너(2B)로부터 분리시 배터리(2541)에 연결된 충전 단자(255)가 노출되도록 액세서리(2)가 구비된다
메인 바디(2A)는 리셋 버튼(25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2A)를 컨테이너(2B)로부터 분리시 리셋 버튼(252)이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삽입부(202)에는 후술할 방향 설정 홈(270a)이 형성될 수 있다. 방향 설정 홈(270a)은 삽입부(202)의 하측면의 테두리 중 일측에 형성된다. 삽입부(202) 중 함몰부(2711)는 방향 설정 홈(270a)을 형성시킨다.
삽입부(202)에는 후술할 탈부착 홈(231d)이 형성될 수 있다. 탈부착 홈(231d)은 삽입부(202)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탈부착 홈(231d)은 원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탈부착 홈(231d)은 삽입부(202)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에 형성된다. 탈부착 홈(231d)은 축 내측 방향(XI)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 단자(255)는 센서 홀(231b)의 하측에 형성된다. 리셋 버튼(252)은 탈부착 홈(231d)이 형성된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 결합부(280a)의 테두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메인 바디 결합부(280a)에 삽입되는 삽입부(20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02)의 축 외측 방향(XO)의 측면 및 아래 방향의 하면은 라운드지게 연결된다. 삽입부(202)의 상기 측면 및 상기 하면이 라운드지게 연결된 부분 중 일측에 방향 설정 홈(270a)이 형성된다.
삽입부(202)의 하측면은 메인 바디(2A)의 하측면을 이룬다. 메인 바디(2A)의 하측면은, 메인 바디(2A)의 상기 상측 테두리가 이루는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된다. 메인 바디(2A)의 하측면은, 하측에서 바라볼 때, 메인 바디(2A)의 상기 상측 테두리가 이루는 면적과 겹쳐지도록 구비된다.
메인 바디(2A)의 하측면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메인 바디(2A)의 하측면의 직경은 메인 바디(2A)의 상기 상측 직경 보다 짧은 직경이다.
삽입부(202)의 상기 측면은 상기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02)의 상기 측면은 전체적으로 원뿔대의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바디(2A)의 축 외측 방향(XO)의 측면은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 및 삽입부(202)의 상기 측면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2A)의 상기 측면은 일부 단차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2A)의 상기 측면은, 홈이 형성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2B)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의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부(205)와, 메인 바디 결합부(280a)를 형성시키는 컨테이너의 내측부(206)를 포함한다.
컨테이너의 내측부(206)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의 내측부(206)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206)는 컨테이너(2B)의 상측 중앙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206)는, 후술할 컨테이너 본체(280)의 내측면(281) 및 후술할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의 노출 내향면(292a)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면(281)은, 메인 바디 결합부(280a)의 바닥을 이루는 하면부(281a)와, 하면부(281a)에서 축 외측 방향(XO)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281b)를 포함한다. 경사부(281b)는, 하면부(281a)에서 축 외측 방향(XO)으로 갈수록 경사가 점점 더 급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면부(281a)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81b)는 축 외측 방향(XO)으로 갈수록 경사가 점점 급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노출 내향면(292a)은 상기 경사부(281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출 내향면(292a)은, 상기 경사부(281b) 보다 축 외측 방향(XO)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 내향면(292a)은, 상기 경사부(281b) 보다 중심축(X)에서 더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의 내측부(206)에는, 상기 방향 설정 홈(270a)과 맞물리는 방향 설정 돌기(285)가 형성될 수 있다. 방향 설정 돌기(285)는 중심축(X)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방향 설정 돌기(285)는 경사부(281b) 중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의 내측부(206)에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의 결합시, 상기 탈부착 홈(231d)에 삽입되는 탈부착 돌기(298)가 형성될 수 있다. 탈부착 돌기(298)는 내측부(206)의 상측 둘레에 배치된다. 탈부착 돌기(298)는 경사부(281b)의 상측에배치된다. 탈부착 돌기(298)는 내측부(206)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탈부착 돌기(298)는 복수개가 내측부(206)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탈부착 돌기(298)는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탈부착 돌기(298)는 내측부(206)의 축 내측 방향(XI) 면에 형성된다. 탈부착 돌기(298)는 축 내측 방향(XI)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탈부착 돌기(298)는 노출 내향면(292a)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부(205)는, 축 외측 방향(XO)의 측면과, 하측 방향의 하면을 포함한다. 외측부(205)의 상기 측면은 후술할 외향면(291)일 수 있다.
외향면(291)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중심축(X)과 가까워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외향면(291)은 전체적으로 원뿔대의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테이너(2B)의 상측 테두리는 외측부(205)의 상측 테두리이고, 컨테이너(2B)의 하측 테두리는 외측부(205)의 하측 테두리일 수 있다. 컨테이너(2B)의 하측 테두리는 소정의 컨테이너 하측 직경의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외측부(205)의 상단은,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의 결합시, 메인 바디의 노출부(201)의 하단과 접촉한다. 노출부(201)의 하측 테두리는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외측부(205)의 상측 테두리는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외측부(205)의 상측 테두리는 상기 컨테이너 하측 직경 보다 작은 컨테이너 상측 직경의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컨테이너(2B)의 하측 테두리는, 메인 바디(2A)의 상기 상측 직경과 다른 소정의 컨테이너 하측 직경의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하측 직경은, 메인 바디(2A)의 상기 상측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외향면(291)은, 외측부(205)의 상측 테두리와 외측부(205)의 하측 테두리를 최단으로 연결하는 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부(205)의 상기 측면은, 컨테이너(2B)의 상측 테두리 및 컨테이너(2B)의 하측 테두리를 연결하는 상하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경사면을 이룬다.
외측부(205)의 상기 하면은, 하측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는 수평면(283)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 부분은 경사면(283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면(283a)은 축 외측 방향(XO)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외부의 평면에 외측부(205)의 상기 하면을 접촉할 때, 상기 외부의 평면에 외측부(205)의 상기 하면의 수평면(283) 만 접촉하게 된다.
컨테이너(2B)는 외부 결합부(283)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면(283)은, 외부의 물체에 부착가능 하도록 형성된 외부 결합부(283)를 포함한다. 컨테이너(2B)는 외부 결합부(283)를 하측에 구비한다. 외부 결합부(283)는 외부의 물체의 일면에 부착 가능하다. 외부 결합부(283)는 외부의 기기 표면, 벽체, 도어, 창문, 천정 등의 외부의 물체에 부착되어, 컨테이너(2B)를 지지하거나, 컨테이너(2B) 및 메인 바디(2A)가 결합된 액세서리(2)를 지지한다. 외부 결합부(283)는, 스티커 또는 부착력이 있는 재질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결합부(283)는 외부의 물체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의 물체에 부착된 외부 결합부(283)를 외부의 물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은, 메인 바디(2A)에서 특정 방향으로 광 신호를 조사하는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2A)가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를 포함하는 경우, 컨테이너(2B)는, 컨테이너가 외부의 물체에 부착될 시 기 설정한 방향으로 상기 특정 방향이 설정되도록 메인 바디(2A)를 안내해주는 방향 설정부를 포함한다.
센서 모듈(24)은 메인 바디(2A)에서 특정 방향으로 외부 물체와 근접한 정도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24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2B)는, 컨테이너가 외부의 물체에 부착될 시 기 설정한 방향으로 상기 특정 방향이 설정되도록 메인 바디(2A)를 안내해주는 방향 설정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2B)가 외부의 물체에 부착될 시 상기 특정 방향이 설정되고,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로부터 분리된 후 다시 결합된다 하더라도, 상기 방향 설정부에 의해서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 또는 근접 센서(244)의 상기 특정 방향이 일정하게 설정된다.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될 때, 상기 방향 설정부는 컨테이너(2B)에 대한 메인 바디(2A)의 상대적 배치 방향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될 때, 상기 방향 설정부는 메인 바디(2A)의 상기 특정 방향의 컨테이너(2B)에 대한 상대적 배치 방향을 설정한다.
컨테이너(2B)는, 상기 특정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방향 표시부(289)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표시부(289)는 컨테이너의 내측부(206)에 형성될 수 있다. 방향 표시부(289)는, 표면에 도색된 표기일 수도 있고, 양각 또는 음각의 표기일 수도 있다. 방향 표시부(289)의 표시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이 되도록, 상기 방향 표시부(289)와 방향 설정부(285, 270a)와 근접 센서(244)가 배치되고, 상기 방향 표시부(289)와 방향 설정부(285, 270a)와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가 배치된다.
방향 표시부(289)를 통해, 메인 바디(2A)가 결합되지 않은 컨테이너(2B)를 외부의 물체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방향을 사용자가 기 설정할 수 있다. 방향 표시부(289)의 표시 방향으로 컨테이너(2B)를 외부의 물체에 부착시키면, 메인 바디(2A)를 컨테이너(2B)에 결합할 때 방향 표시부(289)의 표시 방향으로 상기 특정 방향이 설정된다.
상기 방향 설정부는 방향 설정 돌기(285) 및 방향 설정 홈(270a)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2A)는 방향 설정 돌기(285) 및 방향 설정 홈(270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컨테이너(2B)는 방향 설정 돌기(285) 및 방향 설정 홈(270a)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방향이 상기 기 설정한 방향이 된 상태에서, 방향 설정 돌기(285) 및 방향 설정 홈(270a)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2B)에 방향 설정 돌기(285)가 형성되고, 메인 바디(2A)에 방향 설정 홈(270a)이 형성된다.
방향 설정 돌기(285)는 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2A) 및 컨테이너(2B) 중 어느 하나에 탈부착 홈(231d)이 형성되고, 메인 바디(2A) 및 컨테이너(2B) 중 다른 하나는 탈부착 돌기(298)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2A) 및 컨테이너(2B) 중 방향 설정 홈(270a)을 구비하는 어느 하나에 탈부착 홈(231d)이 형성되고, 메인 바디(2A) 및 컨테이너(2B) 중 방향 설정 돌기(285)를 구비하는 다른 하나에 탈부착 돌기(29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2B)에는 탈부착 돌기(298)가 형성되고, 메인 바디(2A)에는 탈부착 홈(231d)이 형성된다.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에 결합시, 탈부착 돌기(298)는 탈부착 홈(231d)에 삽입된다.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에 결합시, 탈부착 돌기(298)는 탈부착 홈(231d)에 삽입되어 메인 바디(2A)를 컨테이너(2B)에 고정해준다.
탈부착 홈(231d)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탈부착 홈(231d)은 원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2A)에 탈부착 홈(231d)이 형성된 경우, 탈부착 홈(231d)은 메인 바디(2A)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축 내측 방향(XI)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컨테이너(2B)에 탈부착 홈이 형성된 경우, 상기 탈부착 홈은 컨테이너(2B)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축 외측 방향(XO)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탈부착 홈(231d)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만약 방향 설정 돌기(285)가 없다면 메인 바디(2A)는 컨테이너(2B)에 결합된 상태에서 컨테이너(2B)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방향 설정 돌기(285)가 있는 경우에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불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방향 설정 돌기(285)는 중심축(X)에 대해 일측(축 외측 방향(XO))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이 경우, 탈부착 돌기(298)는 중심축(X)에 대해 방향 설정 돌기(285)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1탈부착 돌기(298a)를 포함한다.(도 45참고) 이를 통해, 방향 설정 돌기(285)와 방향 설정 홈(270a)이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방향 설정 돌기(285)에 의해 메인 바디(2A)의 삽입부(202)와 컨테이너(2B)의 내측부(206)의 일측이 이격되는 경우에도, 제 1탈부착 돌기(298a)가 탈부착 홈(231d)에 삽입될 수 있다. 탈부착 홈(231d)에 삽입된 제 1탈부착 돌기(298a)는 탈부착 홈(231d)을 따라 안내 받으며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제 1탈부착 돌기(298a)가 탈부착 홈(231d)을 따라 회전 이동하면, 메인 바디(2A)는 컨테이너(2B)와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운동한다. 제 1탈부착 돌기(298a)가 탈부착 홈(231d)을 따라 회전 이동하면, 방향 설정 돌기(285) 및 방향 설정 홈(270a)이 서로 맞물리게 될 때까지 메인 바디(2A)를 컨테이너(2B)에 대해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 설정 돌기(285) 및 방향 설정 홈(270a)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탈부착 홈(231d)에 제 1탈부착 돌기(298a)가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 1탈부착 돌기(298a)가 원형의 탈부착 홈(231d)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다.
탈부착 돌기(298)는, 방향 설정 돌기(285) 및 방향 설정 홈(270a)이 서로 맞물리는 상태에서만 탈부착 홈(231d)에 삽입되는 제 2탈부착 돌기(298b)를 포함한다. 제 1탈부착 돌기(298a)가 원형의 탈부착 홈(231d)을 따라 슬라이딩한 후, 방향 설정 돌기(285) 및 방향 설정 홈(270a)이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서 메인 바디(2A)를 하측으로 눌러주면, 제 2탈부착 돌기(298b)가 탈부착 홈(231d)에 맞물린다. 제 2탈부착 돌기(298b)는, 방향 설정 돌기(285) 및 방향 설정 홈(270a)이 서로 맞물리는 상태에서,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를 고정시킨다.
제 2탈부착 돌기(298b)는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탈부착 돌기(298)는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탈부착 돌기(298b) 중 어느 하나는 중심축(X)에 대해 방향 설정 돌기(285)와 같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방향 설정 돌기(285)가 배치되고, 우측에 제 1탈부착 돌기(298a)가 배치되고, 좌측과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제 2탈부착 돌기(298b)가 배치된다. 제 2탈부착 돌기(298b)는 본 실시예보다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탈부착 돌기(298)는 후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탈부착 돌기(298)는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원주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근접 센서(244)는, 상기 특정 방향으로 소정의 광 신호(IRa)를 조사하는 근접 신호 발광부(2441), 및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 신호(IRb)를 수신하는 근접 신호 수광부(2442)를 포함할 수 있다.(도 31참고) 액세서리(2)는, 상기 송신되는 광 신호(IRa)를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2C)는, 상기 송신되는 광 신호(IRa)를 반사시키는 반사면(2C1), 및 외부의 물체에 부착가능 하도록 형성된 부착면(2C2)을 포함한다. 리플렉터의 반사면(2C1)은 반사가 유리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플렉터의 부착면(2C2)은 외부의 물체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하다.
한편, 근접 신호 발광부(2441)로부터 조사되는 소정의 광 신호(IRa)는 적외선일 수 있다. 근접 신호 수광부(2442)는 리플렉터 또는 외부의 물체에 의해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 신호(IRb)의 강도를 감지하여, 외부 물체 또는 리플렉터의 근접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244)를 이용하여 도어(71)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리플렉터(2C)를 활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9 및 10을 참고하여, 액세서리(2)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 사이의 경계를 막아주도록 탈부착 가능한 방수 부재(2D)를 포함한다. 방수 부재(2D)는 습기가 많은 환경이나 물에 접촉하기 쉬운 환경에 액세서리(2)를 위치시키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방수 부재(2D)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 사이의 경계를 막아줄 수 있다. 방수 부재(2D)는 경계를 통해 삽입부(202)에 위치하는 충전 단자(255)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 사이의 경계는,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 및 컨테이너(2B)의 하측 테두리보다 작은 테두리를 이룰 수 있다.
메인 바디의 노출부(201)의 상기 측면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이루고, 컨테이너의 외측부(205)의 상기 측면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이룬다.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는 원형을 이루고, 컨테이너(2B)의 하측 테두리는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 사이의 경계는, 메인 바디(2A)의 상기 상측 테두리 및 컨테이너(2B)의 상기 하측 테두리보다 작은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방수 부재(2D)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2A) 상측 테두리 및 컨테이너(2B)의 하측 테두리 사이를 감아주는 탄력 밴드(2D)를 포함할 수 있다. 탄력 밴드는 메인 바디(2A) 및 컨테이너(2B)의 결합체에 탈부탁 가능하다.
이를 통해, 방수 부재(2D)는 메인 바디(2A) 상측 테두리 및 컨테이너(2B)의 하측 테두리에 끼이게 되어, 방수 부재(2D)의 배치가 용이해지고, 방수 부재(2D)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메인 바디(2A)의 상기 측면 및 컨테이너(2B)의 상기 측면에 밀착하게 되어 방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1 내지 16을 참고하여, 액세서리(2)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감지된 각종 정보(예를 들어, 진동, 가속도, 온도, 습도, 적외선 등)는 통신 모듈(26)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로 전송된 신호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판단하거나, 정보 또는 판단 결과를 단말기(6) 또는 허브(1)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기타 다른 장치의 제어를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가속도 센서(257)를 구비한 액세서리(2)를 세탁물 처리장치(30)에 부착하여, 세탁기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액세서리(2)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케비닛(31) 또는 도어(33)에 부착될 수 있다. 액세서리(2)는 진동의 주기나 시간을 감지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세탁물 처리장치(30) 작동 여부 및 작업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257)를 구비한 액세서리(2)를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의 도어(33)에 부착하면, 도어(33)의 개방 또는 폐쇄시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도어(33)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257)를 구비한 액세서리(2)에 방수 부재(2D)를 부착하여, 세탁물 처리장치(30) 내부의 의류가 저장되는 세탁조에 함께 넣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257)가 진동이나 가속도를 감지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세탁물 처리장치(3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온습도 센서(245)를 구비한 액세서리(2)를 세탁물 건조장치(30) 내부의 의류가 저장되는 세탁조에 함께 넣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세탁물의 건조 작업에 따른 세탁물 건조장치(3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세탁물 건조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여, 가속도 센서(257)를 구비한 액세서리(2)를 냉장고(40)의 도어(43)에 부착하면, 도어(43)의 개방 또는 폐쇄시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도어(43)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냉장고(40)의 도어(43)가 복수개 있는 경우, 각각의 도어(43a,43b,43c,43d) 마다 각각 액세서리(2-1, 2-2, 2-3, 2-4)를 배치시키면, 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도어(43a,43b,43c,43d)에 대한 각각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을 구비한 액세서리(2)를 원격 제어가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30) 또는 냉장고(40)에 부착하여, 네트워크 상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세탁물 처리장치(30) 또는 냉장고(40)에 광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여, 공기 조화기(51)가 설치된 실내 공간(50)에 온습도 센서(245)를 구비한 액세서리(2)를 부착하여, 실내 공간(50)의 온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50)에서 감지된 온습도 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필요한 제어신호를 액세서리(2)에 송신하고,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을 구비한 액세서리(2)가 광 신호를 공기 조화기(51)에 조사하여, 공기 조화기(51)의 작동 여부 및 작동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 공간(50) 내에서, 액세서리(2-1)는 공기 조화기(51)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액세서리(2-2)는 벽체(55)나 천정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4를 참고하여, 로봇 청소기 시스템(60)에서, 근접 센서(244)를 구비한 액세서리(2)를 로봇 청소기(61)에 부착하거나(도 14의 2-1) 로봇 청소기의 충전 거치대(63)에 부착(도 14의 2-2)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61) 및 충전 거치대(63) 중 어느 하나에 근접 센서(244)를 구비하는 액세서리(2)(2A,2B)를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에 리플렉터(2C)를 위치시켜, 로봇 청소기(61)의 충전 거치대(63)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257)를 구비한 액세서리(2)를 로봇 청소기(61)에 배치시켜, 로봇 청소기(61)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로봇 청소기(61)의 작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을 구비한 액세서리(2)를 원격 제어가 가능한 로봇 청소기(61)에 부착하여, 네트워크 상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로봇 청소기(61)에 광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여, 건물의 도어(71) 또는 창문(미도시) 시스템(70)에서, 가속도 센서(257)를 구비한 액세서리(2)를 도어(71) 또는 창문에 부착하면, 도어(71) 또는 창문의 개방 또는 폐쇄시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도어(71) 또는 창문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71) 및 근처의 벽체(75) 중 어느 하나에 근접 센서(244)를 구비하는 액세서리(2)(2A, 2B)를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에 리플렉터(2C)를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71)가 닫힌 경우에 근접 센서(244)에서 조사되는 광 신호가 리플렉터(2C)에 의해 반사될 수 있도록 액세서리(2A,2B,2C)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어(71)의 개방시 근접 센서(244)가 광 신호를 조사하는 특정 방향으로 가깝게 배치되던 리플렉터(2C)가 없어지거나 멀어지면서, 도어(71)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창문의 개방 여부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로서 건물의 주요 도어(71)나 냉장고의 주요 도어(43)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여, 장기간 도어의 개폐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정 내 거주인에게 변고가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이를 기 설정된 단말기(6)로 통보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여, 티브이(80)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케비닛(81)을 포함한다. 티브이(80)는 원격 제어를 수신하는 컨트롤 신호 수광부(83)를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을 구비한 액세서리(2)를 티브이의 케비닛(81) 또는 근처의 다른 물체에 부착하여, 광 신호가 조사되는 특정 방향이 상기 컨트롤 신호 수광부(83)를 향하도록 액세서리(2)를 위치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상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티브이(80)에 광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들에 한하지 않고, 액세서리(2)는 기타 기기 또는 기타 장소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2)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신호는 단말기(6)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단말기(6)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작동 상태(예를 들어, 세탁기의 언밸런스 발생)나 도어의 개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또는 정보를 가공하여 도출된 결과(예를 들어, 세탁기의 비정상 동작을 알리는 경고, 장기간 도어가 개폐되지 않을 때 거주자의 신상을 확인할 것을 요구하는 알림 등)가 단말기(6)나 허브(1)의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여, 컨테이너(2B)는, 서로 다른 위치의 외부의 물체의 일면에 각각 부착가능 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컨테이너(2B)는 메인 바디(2A)의 개수보다 많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컨테이너(2B)가 배치된 복수의 위치 중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메인 바디(2A)를 배치하고, 가변적으로 메인 바디(2A)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최적의 위치와 방향으로 컨테이너(2B)를 외부의 물체에 부착해두면, 메인 바디(2A)는 쉽게 컨테이너(2B)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위치와 방향으로 메인 바디(2A)를 배치시키기 위한 이중적인 노력이 불요하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위치(30)에 어느 한 컨테이너(2B-1)를 부착시키고 다른 한 위치(40)에 다른 한 컨테이너(2B-2)를 부착시키고, 어느 한 메인 바디(2A-1)을 상기 어느 한 컨테이너(2B-1)에 결합시키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다른 한 컨테이너(2B-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복수의 컨테이너(2B-1, 2B-2, 2B-3, 2B-4, 2B-5, 2B-6)가 복수의 위치(30, 40, 50, 60, 70, 80)에 각각 부착되어 있고, 컨테이너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메인 바디(2A)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2B)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다수의 실시예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 모든 위치에 메인 바디(2A)를 배치시킬 수도 있으나, 적은 수의 메인 바디(2A)의 위치를 바꾸면서 실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23)는, 메인 바디(2A)의 위치 변경에 근거하여,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상기 타겟의 종류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상기 타겟의 종류의 변경은, 사용자가 단말기(6) 또는 입력부(27)에 입력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자동으로 변경된 위치 정보에 반응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제어부(23)는, 메인 바디(2A)의 위치 변경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주변 상황 정보의 송신 여부 및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의 작동 여부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여부 및 상기 작동 여부의 변경은, 사용자가 단말기(6) 또는 입력부(27)에 입력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자동으로 변경된 위치 정보에 반응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메인 바디(2A)의 위치의 변경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한 사물 인터넷 환경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타겟 정보도 변경될 필요가 있거나, 상기 송신 여부 및 상기 작동 여부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
도 17을 참고하여, 액세서리(2)를 복수개 이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메인 바디(2A-1) 및 다른 하나의 메인 바디(2A-2)는 네트워크(N) 환경 내의 다양한 위치(예를 들어, 30, 40, 50, 60, 70, 80) 중 서로 다른 두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2개의 메인 바디(2A-1, 2A-2)의 각각의 위치 중 어느 하나(2A-1)의 주변 상황을 감지한 정보를 어느 하나의 메인 바디(2A-1)로부터 수신받는 서버(8)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8)는, 상기 감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각각의 위치 중 다른 하나(2A-2)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다른 하나의 메인 바디(2A-2)에 송신한다. 서버(8)와 메인 바디(2A) 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한다는 것은, 중간에 게이트웨이(4), 공유기(7), 및/또는 허브(1) 등을 경유하여 송수신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도어 시스템(70)에 배치된 메인 바디(2A-1)가 도어(71)의 개방을 감지하면, 로봇 청소기 시스템(60)에 배치된 메인 바디(2A-2)가 로봇 청소기(61)에 도어(71)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 모두를 청소하도록 원격 제어 광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실내 공간(50) 중 어느 한 지점에 배치된 메인 바디(2A-1)가 해당 지점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고, 공기 조화기(51)에 배치된 메인 바디(2B-2)가 공기 조화기(51)에 작동 여부 및 작동 강도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광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어느 한 지점에 배치된 메인 바디(2A-1)가 해당 지점에서 세탁기의 작동종료, 냉장고의 도어 개방, 실외 출입문의 개방, 또는 창문 문 열림 등의 정보를 감지하고, 티브이(80)에 배치된 메인 바디(2B-2)가 티브이의 컨트롤 신호 수광부(3)에 티브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광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의 알림이나 경고를 티브이(8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세탁물 건조장치(30)의 내부에 세탁물과 함께 투입된 메인 바디(2A-1)가 해당 지점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고, 세탁물 처리장치(30)의 외부에 배치된 메인 바디(2B-2)가 세탁물 처리장치(30)에 작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광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 3의 메인 바디(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8)는, 상기 제 3의 메인 바디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메인 바디(2A-1)의 각각의 주변 상황을 감지한 정보 들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서버(8)는, 상기 감지한 정보 들을 근거로 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메인 바디(2A-2)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다른 하나의 메인 바디(2A-2)에 송신할 수 있다.
메인 바디(2A)를 3개 활용하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도어 시스템(70)에 배치된 상기 제 3의 메인 바디가 도어(71)의 개방을 감지하고, 도어(71)의 개방에 의해서 연결된 양측 두 공간 중 공기 조화기(51)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에 배치된 메인 바디(2A-1)가 해당 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고, 공기 조화기(51)에 배치된 메인 바디(2A-2)가 공기 조화기(51)에 작동 여부 및 작동 강도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광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3의 메인 바디에 의해서 상기 도어(71)의 폐쇄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바디(2A-1)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상기 메인 바디(2A-2)가 배치된 공기 조화기(51)가 제어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8 내지 39를 참고하여, 메인 바디(2A)의 각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8 및 19를 참고하여, 메인 바디(2A)는, 사용자가 메인 스위치(242)를 누르기 위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시 탄성 변형되는 스위치 패널(210)과, 스위치 패널(210)을 지지하고 스위치 패널(210)이 탄성 변형되는 경우 같이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위치 가동부(220)와, 스위치 가동부(220)를 지지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30, 270)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240, 250)와, 케이스(230, 270)에 배치되어 광 신호를 투과시키는 투과 부재(2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패널(210)은 메인 바디(2A)의 상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케이스(230, 270)는, 메인 바디(2A)의 외관 중 축 외측 방향(XO)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측면 케이스(230)를 포함한다. 측면 케이스(230)는 스위치 패널(2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케이스(230, 270)는, 메인 바디(2A)의 외관 중 하측면을 형성하는 하면 케이스(270)를 포함한다. 하면 케이스(270)는 측면 케이스(230)의 하단과 연결된다. 스위치 가동부(220)는 측면 케이스(230)의 상측부에 안착된다. 스위치 가동부(220)는 스위치 패널(2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스위치 가동부(220)는 상측의 스위치 패널(210)과 접촉한다. 스위치 가동부(220)는. 스위치 패널(210)이 탄성 변형되는 경우, 스위치 패널(210)과 같이 탄성 변형된다. PCB(240, 250)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PCB(240)와,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PCB(250)를 포함한다. 하측 PCB(250)는 상측 PCB(240)에 연결된다. 상측 PCB(240)는 측면 케이스(230)의 내부에 안착된다. 하측 PCB는 측면 케이스(230) 및 하면 케이스(270)의 내부에 안착된다.
도 20 및 21을 참고하여, 스위치 패널(210)은 돔형으로 이루어진다. 스위치 패널(210)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곡률을 가진 돔형의 판재로 형성된다. 스위치 패널(210)은 스위치 패널(210)의 중심점이 가장 높은 높이를 갖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스위치 패널(210)은 테두리 부분이 가장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돔형의 스위치 패널(210)은 상측에서 가압시 변형되면서 상측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스위치 패널(210)은 메인 바디(2A)의 상측면을 형성시킨다. 스위치 패널(210)의 재질은 합성수지일 수 있다. 스위치 패널(210)은 스위치 가동부(220)에 부착된다. 스위치 패널(210)은 양면 접착제로 스위치 가동부(220)에 부착될 수 있다. 스위치 패널(210)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되어 하측방향으로 변형되면, 후술할 탄성 가동부(225)를 하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스위치 패널(21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패널(210)은, 메인 바디(2A)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측면(211)과, 메인 바디(2A)의 내부를 구획하는 하측면(213)을 포함한다.
스위치 패널(210)의 둘레는 측면 케이스(230)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패널(210)의 둘레는 후술할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축 내측 방향(XI) 측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스위치 패널(210)의 둘레 부분의 상측면은 측면 부재(231)의 상단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구비된다. 돔형의 스위치 패널(210)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될 경우,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이 스위치 패널(210)의 축 외측 방향(XO)을 고정해주어, 스위치 패널(210)이 축 외측 방향(XO)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아준다. 이를 통해, 돔형의 스위치 패널(210)에 있어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스위치 패널(210)의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 더 큰 복원력이 발생한다.
스위치 패널(210)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스위치 패널(210)의 테두리 상에는 스위치 패널 홈(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패널 홈(210a)은, 스위치 패널(210)을 측면 케이스(230)에 안착시킬시, 측면 케이스(230)의 후술할 위치 설정 돌기(232)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스위치 패널(210)이 설계된 방향으로 측면 케이스(230) 및 스위치 가동부(220)에 안착될 수 있다.
스위치 패널(210)은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광 투과부(215)를 포함한다. 광 투과부(215)는 스위치 패널(210)의 상하 방향으로 빛이 관통되도록 해주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광 투과부(215)는 스위치 패널(210) 상에서 중심축(X)으로부터 축 외측 방향(XO)으로 이격된 일부분에 형성된다. 메인 바디(2A)가 조립된 상태에서, 광 투과부(215)의 하측에 표시 LED(249)가 배치된다. 표시 LED(249)로부터 조사된 빛은 상측방향으로 광 투과부(215)를 통과할 수 있다. 스위치 패널 홈(210a) 및 위치 설정 돌기(232)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 광 투과부(215)의 하측에 표시 LED(249)가 배치되도록, 스위치 패널 홈(210a) 및 위치 설정 돌기(232)가 배치된다.
도 22 내지 24를 참고하여, 스위치 가동부(220)는, 케이스(측면 케이스, 230)에 안착되는 지지 프레임(221)과, 지지 프레임(221)에 연결되고 스위치 패널(210)에 접촉 가능한 탄성 가동부(225)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221)은 케이스(측면 케이스, 230)에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221)은 측면 케이스(230)의 상측부에 안착된다. 지지 프레임(221)은 측면 케이스(2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221)는 탄성 가동부(225)를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221)의 테두리 상에는 지지 프레임 홈(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홈(221a)은, 지지 프레임(221)을 측면 케이스(230)에 안착시킬시, 측면 케이스(230)의 후술할 위치 설정 돌기(232)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스위치 가동부(220)가 설계된 방향으로 측면 케이스(230)에 안착된다.
지지 프레임 홈(221a) 및 위치 설정 돌기(232)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 후술할 분리된 복수의 삽입 리브(223a, 223b) 사이의 틈에 온습도 센서(245) 및 투과 부재(260) 등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 홈(221a) 및 위치 설정 돌기(232)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 광 투과부(215)와 표시 LED(249) 사이에 다른 부품이 배치되는 간섭의 발생을 막는다.
지지 프레임(221)은, 중심축(X)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연장된 테두리 부재(222)를 포함한다. 테두리 부재(222)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부재(222)는 상하로 두께를 형성하는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두리 부재(222)는 측면 케이스(2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테두리 부재(222)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은 측면 케이스(230)의 내측면과 접촉한다. 테두리 부재(222)의 상측면은 스위치 패널(210)의 하측면에 접촉된다. 스위치 패널(210)은 테두리 부재(222)에 부착될 수 있다. 테두리 부재(222)의 상측면에 스위치 패널(210)의 테두리 부분의 하측면이 배치된다.
테두리 부재(222)는 측면 케이스(230) 및 PCB(240, 250)와 결합시, 다른 부품 들과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개구부(홈 또는 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습도 센서(245)가 점유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222b)가 테두리 부재(222)에 형성될 수 있다. 근접 센서(244)가 점유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222c)가 테두리 부재(222)에 형성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이 점유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222d)가 테두리 부재(222)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부품 들이 점유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홈(222b, 222c, 222d)은, 테두리 부재(222)의 축 내측 방향(XI)에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부재(222)에 탄성 가동부(225)가 연결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테두리 부재(222)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배치된다. 테두리 부재(222)는, 탄성 가동부(225)가 연결되는 지점인 탄성 가동부 고정단(222a)을 구비한다. 탄성 가동부 고정단(222a)의 상하 방향 두께는, 탄성 가동부(225)의 상하 방향 두께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221)은, 테두리 부재(22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테두리 부재(222)를 따라 연장된 삽입 리브(223)를 포함한다. 삽입 리브(223)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 리브(223)는 1개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삽입 리브(223)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된다. 삽입 리브(223)는 측면 케이스(230)의 내부로 삽입된다. 삽입 리브(223)는, 측면 케이스(230)의 거치 리브(236)에 형성된 거치 홈(236c)으로 삽입된다. 삽입 리브(223)는 지지 프레임(221)이 보다 안정적으로 측면 케이스(230)에 안착되게 한다.
삽입 리브(223)는, 온습도 센서(245)가 배치되는 일 부분을 경계로 분리된다. 삽입 리브(223)는, 근접 센서(244) 또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이 배치되는 다른 일 부분을 경계로 분리된다. 삽입 리브(223)는, 서로 분리된 제 1삽입 리브(223a)와 제 2삽입 리브(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삽입 리브(223a) 및 제 2삽입 리브(223b)는, 온습도 센서(245)가 배치되는 상기 일 부분에서 근접 센서(244) 또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이 배치되는 상기 다른 일 부분까지 각각 연장된다.
지지 프레임(221)은, 측면 케이스(230)와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224)를 포함한다. 케이스 결합부(224)는 후크 나 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케이스 결합부(224)가 지지 프레임(22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결합부(224)는 테두리 부재(222)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케이스 결합부(224)는 삽입 리브(223)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에 형성된다. 케이스 결합부(224)의 상측면은 테두리 부재(222)의 하측면에 연결되고, 케이스 결합부(224)의 축 내측 방향(XI) 말단은 삽입 리브(223)에 연결된다. 케이스 결합부(224)는, 축 외측 방향(XO)으로 측면 케이스(230)의 내측벽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 결합부(224)에는 결합 홈(224a)이 형성된다. 결합 홈(224a)은 축 내측 방향(XI)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224a) 상하 방향의 길이 보다 원주 방향 길이가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홈(224a)이 지지 프레임(22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224a)의 원주 방향 양측 및 하측은 케이스 결합부(224)에 의해 구획된다. 결합 홈(224a)의 상측은 테두리 부재(222)의 하측면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케이스 결합부(224)는, 측면 케이스(230)의 지지 프레임 결합부(2331)와 서로 결합된다. 케이스 결합부(224) 및 지지 프레임 결합부(2331) 중 어느 하나는 결합 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결합 홈에 맞물리는 돌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 결합부(224)는 결합 홈(224a)을 형성하고, 지지 프레임 결합부(2331)는 상기 결합 홈에 맞물리는 돌기를 형성한다.
탄성 가동부(225)는 스위치 패널(210)의 하측에 배치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스위치 패널(210)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될 때,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스위치 가동부(22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메인 스위치(242)를 누르게 된다. 메인 스위치(242)가 눌려지면 제어부(23)에 제어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메인 스위치(242)의 상측에 배치된다. 메인 스위치(242)는 케이스(230, 270)의 내부에 배치된다. 메인 스위치(242)는, 제어부(23)에 지시가 입력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려진다. 탄성 가동부(225)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메인 스위치(242)를 누르도록 구비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스위치(24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스위치 패널(210)과 메인 스위치(242)의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지지 프레임(221)에 배치된 브릿지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전체적으로 막대형의 판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탄성 가동부(225)는 중심축(X)을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탄성 가동부(225)는 메인 스위치(242)의 상측을 횡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된다. 탄성 가동부(225)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 후술할 제 1연결부(226a), 제 1굴곡부(227a), 중앙부(228), 제 2굴곡부(227b) 및 제 2연결부(226b) 순으로 일렬 배열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중앙부(228)에서 가장 높이가 높도록 형성된다. 도 24를 참고하여, 탄성 가동부(225)는, 테두리 부재(222)의 축 외측 방향(XO) 말단의 높이보다 소정의 길이(hs)만큼 높게 중앙부(228)의 높이가 형성된다.
탄성 가동부(225)는 테두리 부재(222)의 일측 및 타측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탄성 가동부(225)는 테두리 부재(222)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 가동부(225)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될 때, 테두리 부재(222)가 탄성 가동부(225)의 양단을 구속하여 탄성 가동부(225)가 양단 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아주고, 결과적으로 후술할 굴곡부(227)에 탄성 변형이 집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탄성 가동부(225)는, 지지 프레임(221)과 연결되는 연결부(226)와,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률을 가진 굴곡부(227)와, 중앙에서 양측의 굴곡부(227a, 227b)를 연결하는 중앙부(228)를 포함한다. 중앙부(228)는, 양단에서 굴곡부(227a,227b)를 연결하는 수평 판재(228a)와, 메인 스위치(242)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주는 누름 돌기(228b)를 포함한다.
굴곡부(227)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진다. 굴곡부(227)는 탄성 가동부(225)가 가압될 시, 가장 많이 탄성 변형되는 부분이다.
굴곡부(227)는, 연결부(226)와 중앙부(228)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굴곡부(227)의 일단(a1)은 연결부(226)에 연결되고, 굴곡부(227)의 타단(a2)은 중앙부(228)에 연결된다. 굴곡부(227)는, 제 1연결부(226a)와 중앙부(228)를 연결하는 제 1굴곡부(227a)와, 제 2연결부(226b)와 중앙부(228)를 연결하는 제 2굴곡부(227b)를 포함한다.
굴곡부(227)는, 중앙부(228)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부재이다. 굴곡부(227)는, 중앙부(228)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1굴곡부(227a)와, 중앙부(228)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굴곡부(227b)를 포함한다.
제 1굴곡부(227a)는, 중앙부(228) 측의 말단(a2)이 타측의 말단(a1)보다 높도록 배치된다. 제 2굴곡부(227b)는, 중앙부(228) 측의 말단(a2)이 타측의 말단(a1)보다 높도록 배치된다.
만약 굴곡부(227)가 없이 탄성 가동부(225)가 상측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진 상태에서 탄성 가동부(225)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탄성 가동부(225)는 원하지 않는 부분에서 좌굴이 발생할 수 있고, 가압에 필요한 힘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굴곡부(227)을 구비하여, 탄성 가동부(225)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굴곡부(227)는 더욱 휘어지면서 곡률이 커지고 굴곡부(227)의 상기 일단(a1) 및 타단(a2)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굴곡부(227)가 휘어지면서 탄성 휨 변형을 하면, 이에 대한 복원력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제 1굴곡부(227a)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진다. 중앙부(228)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이동할 때, 제 1굴곡부(227a)는 더욱 휘어지면서 곡률이 커지고, 제 1굴곡부(227a)의 일단 및 타단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제 2굴곡부(227b)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진다. 중앙부(228)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이동할 때, 제 2굴곡부(227b)는 더욱 휘어지면서 곡률이 커지고, 제 2굴곡부(227b)의 일단 및 타단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이를 통해, 좌굴 없이 탄성 가동부(225)의 변형을 굴곡부(227)에 집중적으로 유도하여, 설계자가 원하는 변형의 유도 및 복원력의 크기를 기 설정하기 유리해진다.
연결부(226)는, 탄성 가동부(225)의 일단부를 형성하고 지지 프레임(22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연결부(226a), 탄성 가동부(225)의 타단부를 형성하고 지지 프레임(221)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연결부(226b)를 포함한다. 제 1연결부(226a) 및 제 2연결부(226b)는 중심축(X)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연결부(226a) 및 제 2연결부(226b)는 각각 탄성 가동부 고정단(222a)에 연결된다.
연결부(226)의 일단은 지지 프레임(221)에 연결되고, 연결부(226)의 타단은 굴곡부(227)에 연결된다. 제 1연결부(226a)는 지지 프레임(221)과 제 1굴곡부(227a)를 연결한다. 제 2연결부(226b)는 지지 프레임(221)과 제 2굴곡부(227b)를 연결한다.
연결부(226)는 막대형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226)는 상하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는 부재일 수 있다. 연결부(226)는, 지지 프레임(221) 측의 말단(a0)에서 굴곡부(227) 측의 말단(a1)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제 1연결부(226a)는, 지지 프레임(221) 측의 말단(a0)에서 제 1굴곡부(227a) 측의 말단(a1)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제 2연결부(226b)는, 지지 프레임(221) 측의 말단(a0)에서 제 2굴곡부(227b) 측의 말단(a1)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탄성 가동부(225)가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부(228)는 스위치 패널(210)의 중앙부와 메인 스위치(242)의 사이에 배치된다.
중앙부(228)는 스위치 패널(210)의 중앙부의 하측에 배치된다. 중앙부(228)의 상측면은, 스위치 패널(210)의 하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스위치 패널(210)의 하측면과 이격될 수도 있다. 중앙부(228) 및 스위치 패널(210)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부(228)의 상측면 및 스위치 패널(210)의 하측면은 이격될 수 있다. 스위치 패널(210)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중앙부(228)의 상측면 및 스위치 패널(210)의 하측면은 접촉하고, 중앙부(228)가 하측으로 가압된다.
중앙부(228)는 메인 스위치(242)의 상측에 배치된다. 중앙부(228)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면 메인 스위치(242)를 누르게 된다. 중앙부(228)는,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스위치(24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중앙부(228)는, 양측의 굴곡부(227)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중앙부(228)의 일단은 제 1굴곡부(227a)와 연결되고, 중앙부(228)의 타단은 제 2굴곡부(227b)와 연결된다. 중앙부(228)의 상측면은 탄성 가동부(225)의 다른 부분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탄성 가동부(225)가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부(228)는, 중앙부(228)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수평 판재(228a)를 포함한다.
연결부(226a,226b) 및 굴곡부(227a,227b)는 판재로 형성된다. 제 1연결부(226a), 제 2연결부(226b), 제 1굴곡부(227a) 및 제 2굴곡부(227b)는 판재로 형성된다.
수평 판재(228a)가 제 1굴곡부(227a) 및 제 2굴곡부(227b)보다 두꺼운 판재로 형성된다. 수평 판재(228a)는 제 1연결부(226a) 및 제 2연결부(226b)보다 두꺼운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평 판재(228a)의 강성이 커져, 탄성 가동부(225)가 하측으로 가압될 시, 굴곡부(227)에 탄성 변형을 집중시키기 용이해진다. 따라서, 설계자의 탄성 가동부(225)의 탄성력 강도 설계가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 판재(228a)에는 가장 큰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데 이에 대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탄성 가동부(225)의 내구성 향상에도 유리하다.
수평 판재(228a)는 양측의 굴곡부(227)를 연결한다. 수평 판재(228a)의 일단은 제 1굴곡부(227a)와 연결되고, 수평 판재(228a)의 타단은 제 2굴곡부(227b)와 연결된다.
중앙부(228)는, 수평 판재(228a)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누름 돌기(228b)를 포함한다. 누름 돌기(228b)는 수평 판재(228a)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누름 돌기(228b)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누름 돌기(228b)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앙부(228)의 상단(b2)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누름 돌기(228b)의 하단(b1)은 메인 스위치(242)의 상단과 제 1소정 길이만큼 이격된다. 중앙부(228)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되어 중앙부(228)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누름 돌기(228b)의 하단(b1)은 메인 스위치(242)의 상단에 접촉하여 메인 스위치(242)를 하측으로 눌러주게 된다. 메인 스위치(242)은 제 2소정 길이만큼 눌리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 1소정 길이와 제 2소정 길이의 합을 스트로크 길이(d1)라고 정의한다.
굴곡부(227)의 하측으로 오목한 면의 깊이를 굴곡부 깊이(d2)라고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굴곡부 깊이(d2)는 굴곡부(227)의 양단(a1,a2)을 연결하는 평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굴곡부(227)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탄성 가동부(225)는, 상기 굴곡부 깊이(d2)가 상기 스트로크 길이(d1)보다 크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스트로크 길이(d1)가 동일하다는 조건하에서, 탄성 가동부(225)의 탄성 변형이 굴곡부(227)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 깊이(d2)가 상기 스트로크 길이(d1)의 약 1.5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로크 길이(d1)는 약 0.5mm로 기 설정되고, 상기 굴곡부 깊이(d2)는 약 0.75mm로 기 설정될 수 있다.
도 25 내지 27을 참고하여, 측면 케이스(230)의 구성을 자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측면 케이스(230)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부재(231)를 포함한다. 측면 부재(231)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부재(231)는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가진 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6을 참고하여, 상기 측면 부재(231)의 경사면(S)은,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측면 부재(231)의 상단은 축 내외측 방향(XI,XO)으로 두께를 형성한다. 측면 부재(231)의 상단의 축 내측 방향(XI)의 모서리는 내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측면 부재(231)의 상단의 축 외측 방향(XO)의 모서리는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을 형성한다.
측면 부재(231)에는 투과 부재(260)가 안착되는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이 형성된다.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은 상하방향보다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은, 측면 부재(231)의 경사면(S)에 형성된다.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의 원주방향 양단부는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다.
측면 부재(231)에는, 온습도 센서(245)가 감지하는 공기가 측면 부재(231) 내외로 통과할 수 있도록 센서 홀(231b)이 형성된다. 센서 홀(231b)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홀(231b)은, 중심축(X)을 기준으로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센서 홀(231b)에서 축 내측 방향(XI)으로 온습도 센서(245)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측면 부재(231)에는 충전 단자에 플러그를 삽입될 수 있도록 충전 단자 홈(231c)이 형성된다. 충전 단자 홈(231c)에 충전 단자(255)의 말단이 거치된다. 충전 단자 홈(231c)은 측면 부재(231)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충전 단자(255)의 말단은 충전 단자 홈에 안착되어, 충전 단자(255)의 말단의 원주방향 양측면 및 상측면은 측면 부재(231)에 접촉하고, 충전 단자(255)의 말단의 하측면은 하면 케이스(270)에 접촉한다. 충전 단자 홈(231c)은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의 결합시 노출되지 않는 메인 바디의 삽입부(202)에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부재(231)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탈부착 홈(231d)이 형성된다. 탈부착 홈(231d)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탈부착 홈(231d)은 충전 단자 홈(231c)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측면 부재(231)에는, 내부의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버튼 홀(231d)이 형성된다. 버튼 홀(231d)을 통해 외부의 물체를 삽입하여 내부의 리셋 버튼(252) 등의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버튼 홀(231d)은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탈부착 홈(231d)을 이루는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홀(231d)은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의 결합시 노출되지 않는 메인 바디의 삽입부(202)에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홀(231d)에서 축 내측 방향(XI)으로 리셋 버튼(252)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측면 부재(231)에는 위치 설정 돌기(232)가 형성된다. 위치 설정 돌기(232)는 스위치 패널 홈(210a)과 맞물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설정 돌기(232)는 지지 프레임 홈(221a)과 맞물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설정 돌기(232)는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위치 설정 돌기(232)는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위치 설정 돌기(232)의 상측부는 스위치 패널 홈(210a)이 안착되고, 위치 설정 돌기(232)의 하측부는 지지 프레임 홈(221a)이 안착된다.
측면 부재(231)에는, 지지 프레임(221)과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 결합부(2331)가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 결합부(2331)는 후크 나 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지지 프레임 결합부(2331)가 측면 부재(23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결합부(2331)는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 결합부(2331)는 측면 부재(231)의 상측부에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 결합부(2331)는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에서 축 내측 방향(XO)으로 돌출된 후크(2331)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2331)는 상하 방향 길이 보다 원주방향 길이가 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2331)는 지지 프레임의 결합 홈(224a)에 삽입된다.
측면 케이스(230)는, 지지 프레임(221)이 측면 프레임에 안착되도록 안내(guide)하는 거치 리브(236)를 포함한다. 거치 리브(236)에는 거치 홈(236c)이 형성된다. 거치 홈(236c)에 지지 프레임의 삽입 리브(223)가 삽입된다. 복수의 거치 리브(236)가 측면 케이스(23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거치 리브(236)는 측면 케이스(230)의 내측에 배치된다. 거치 리브(236)는, 후술할 메인 리브(235)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축 내외측 방향(XI,XO)으로 연장된다.
거치 리브(236)는, 서로 분리된 제 1거치 리브(236a)와 제 2거치 리브(23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거치 리브(236a)와 제 2거치 리브(236b)의 사이의 틈이 거치 홈(236c)이 된다. 제 1거치 리브(236a)의 일측단은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거치 리브(236b)의 일측단은 후술할 연결 리브(239)에 연결될 수 있다.
측면 부재(231)에는, 하면 케이스(270)와 결합되는 하면 케이스 결합부(2332)가 형성된다. 하면 케이스 결합부(2332)는 후크 나 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하면 케이스 결합부(2332)가 측면 부재(23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면 케이스 결합부(2332)는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하면 케이스 결합부(2332)는 측면 부재(231)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하면 케이스 결합부(2332)는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에서 축 내측 방향(XO)으로 돌출된 후크(2332)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2332)는 상하 방향 길이 보다 원주방향 길이가 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2332)는 하면 케이스의 결합 홈(273a)에 삽입된다.
측면 케이스(230)는, 하측 PCB(250)의 배치를 안내해주는 하측 가이드(237)를 포함한다. 하측 가이드(237)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막대형의 부재일 수 있다. 또는, 하측 가이드(237)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의 부재일 수 있다. 하측 가이드(237)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측단은 자유단을 이룬다. 하측 가이드(237)의 상단은 매인 리브(235)의 하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하측 가이드(237)는, 측면 케이스(230)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복수의 하측 가이드(237)가 메인 리브(235)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5를 참고하여, 하측 PCB(250)에는, 하측 가이드(237)와 맞물리는 위치에 가이드 홈(250a)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250a)에 하측 가이드(237)가 끼워지도록 하측 PCB(250)를 배치하면, 하측 PCB(250)를 설정된 위치로 배치시킬 수 있다.
측면 케이스(230)는, 측면 부재(231)의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PCB배치 부재(238)를 포함한다. PCB배치 부재(238)는,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측면 케이스(23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측면 케이스(230)는, 측면 부재(231)와 PCB배치 부재(238)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PCB배치 부재 연결부(234)를 포함한다. PCB배치 부재 연결부(234)는 측면 부재(231)에 의해 지지되고, PCB배치 부재(238)는 PCB배치 부재 연결부(234)에 의해 지지된다. PCB배치 부재 연결부(234)는, PCB배치 부재(238)의 테두리에 배치되고, PCB배치 부재(238)와 측면 부재(231)의 사이에 배치된다.
PCB배치 부재 연결부(234)는, 측면 부재(231)의 내측에서 축 내측 방향(XI)으로 돌출되어 측면 부재(2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메인 리브(235)를 포함한다. 메인 리브(235)는 상하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리브이다. 메인 리브(235)는 고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리브(235)는 PCB배치 부재(238)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점을 제공한다.
PCB배치 부재 연결부(234)는, 메인 리브(235)에서 돌출되어 PCB배치 부재(238)에 연결되는 연결 리브(239)를 포함한다. 연결 리브(239)는, 메인 리브(235)의 하측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메인 리브(235)의 상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연결 리브(239)의 하단은 메인 리브(235)의 축 내측 방향(XI) 말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리브(239)의 상단은 PCB배치 부재(238)의 축 외측 방향(XO) 말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리브(239)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리브(239)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리브(239) 사이에는 홀(239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39a)은, 원주방향 양측으로 연결 리브(239)에 의해 구획되고, 상하방향으로 각각 PCB배치 부재(238)와 메인 리브(235)에 의해 구획된다.
PCB배치 부재(238)는 횡으로 배치되는 판형의 부재를 포함한다. PCB배치 부재(238)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PCB배치 부재(238)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PCB배치 부재(238)에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관통홀(238a)이 형성된다. 도 29 내지 31을 참고하여, PCB배치 부재(238)에는 PCB 관통홀(238a1)이 형성된다. PCB 관통홀(238a1)을 관통하도록 PC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2 및 34를 참고하여, PCB배치 부재(238)에는 소자 관통홀(238a2)이 형성된다. 소자 관통홀(238a2)을 관통하도록 소정의 소자 또는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 PCB(240)는 PCB 관통홀(238a1)을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전원장치의 커넥터(2547)는 소자 관통홀(238a2)을 관통하면서 배치된다. PCB 관통홀(238a1) 및 소자 관통홀(238a2)은 별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PCB 관통홀(238a1) 및 소자 관통홀(238a2)이 합쳐져 하나의 관통홀(238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5 내지 31을 참고하여, PCB배치 부재(238)는, PCB가 안착되는 면을 제공하는 PCB 접촉면(2381,238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PCB배치 부재(238)의 상측면은, 상측 PCB(240)의 하측면이 접촉되는 상측 접촉부(2381)를 포함한다. PCB배치 부재(238)의 하측면은, 상측 PCB(240)의 상측면이 접촉되는 하측 접촉부(2385)를 포함한다. 상측 PCB(240)는 관통홀(238a)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PCB배치 부재(238)의 상측 및 하측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측 PCB(240)는 상측 접촉부(2381) 및 하측 접촉부(2385)에 모두 접촉할 수 있다.
PCB배치 부재(238)에서 상측 접촉부(2381)는 다른 부분보다 상측으로 더 높은 위치에 접촉면을 형성시킨다. 상측 접촉부(2381)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접촉부(2381)는, 전방으로 PCB배치 부재(238)의 전방측 말단까지 길게 형성되고, 후방으로 PCB배치 부재(238)의 후방측 말단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PCB배치 부재(238)는, PCB를 PCB배치 부재(238)에 고정시켜주는 고정부(2382, 238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PCB배치 부재(238)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 고정돌기(2382)를 포함하고,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 고정돌기(23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고정돌기(2382)는 상측 접촉부(2381)에 배치되고, 하측 고정돌기(2386)는 하측 접촉부(2385)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고정돌기(2382)는 상측 PCB(240)의 고정 홀(240a)에 삽입되고, 하측 고정돌기(2386)는 상측 PCB(240)의 고정 홀(240b)에 삽입될 수 있다.
측면 케이스(230)의 내부 공간은 PCB배치 부재(238)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측면 케이스(230)의 내부 공간은, PCB배치 부재(238)의 상측에 형성된 상측 내부공간과, PCB배치 부재(238)의 하측에 형성된 하측 내부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 케이스(230)의 상측 내부공간은, 측면 부재의 내측 둘레를 따라 더 큰 상하방향의 깊이를 가진 둘레 공간이 배치된다. 상기 둘레 공간에 온습도 센서(245), 근접 센서(244) 등의 센서 모듈(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둘레 공간에 리모트 컨트롤 모듈(25)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2A)는 PCB(240, 250)를 포함한다. PCB(240, 250)는 메인 바디(2A)의 내부에 배치된다. PCB(240, 250)는 2개 이상이 서로 층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 PCB(240) 및 하측 PCB(250)가 상하로 배치된다.
도 29 내지 31을 참고하여, 상측 PCB(240)는, 상측 접촉부(2381)에 접촉하는 상판부(2401)와, 하측 접촉부(2385)에 접촉하는 하판부(2405)와, 상판부(2401)와 하판부(2405)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판부(2403)를 포함한다. 상판부(2401)는 측면 케이스(230)의 상기 상측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하판부(2405)는 측면 케이스(230)의 상기 하측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상하 연결판부(2403)는 관통홀(238a)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판부(2401)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전후 방향으로 메인 리브(235)까지 길게 연장된다. 상판부(2401)에는 고정 홀(240a)이 형성된다. 고정 홀(240a)에 상측 고정돌기(2382)가 끼워져 상판부(2401)가 고정된다.
상판부(2401)의 전방부는 PCB배치 부재(238)의 전방측 모서리를 따라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판부(2401)의 후방부는 PCB배치 부재(238)의 후방측 모서리를 따라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판부(2401)의 전방부가 절곡되어 전방을 바라보는 면에,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 또는 근접 센서(244)가 배치될 수 있다. 상판부(2401)의 후방부가 절곡되어 후방을 바라보는 면에, 온습도 센서(2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판부(2401)의 전방부에는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가 배치된다.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는 적외선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의 전방에는 투과 부재(260)가 배치된다.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는 측면 케이스의 전방측 메인 리브(235)의 상측에 위치한다.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는 상측 PCB(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판부(2401)의 전방부에는 근접 센서(244)가 배치된다. 근접 센서(244)는 적외선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근접 신호 발광부(2441)와, 전방으로 조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 신호 수광부(2442)를 포함한다. 근접 센서(244)의 전방에는 투과 부재(260)가 배치된다. 근접 센서(244)는 측면 케이스(230)의 전방측 메인 리브(235)의 상측에 위치한다. 근접 센서(244)는 상측 PCB(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 및 근접 센서(244)는, 측면 케이스(230)의 전방부에 좌우로 배치된다.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에서 조사되는 적외선 및 근접 센서(244)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이, 하나의 투과 부재(260)를 통과할 수 있다. 투과 부재(260)의 후방으로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 및 근접 센서(244)가 배치된다.
상판부(2401)의 후방부에는 온습도 센서(245)가 배치될 수 있다. 온습도 센서(245)는 센서 홀(231b)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통해 온도 및/또는 습도를 감지한다. 온습도 센서(245)의 후방측으로 센서 홀(231b)이 배치된다. 근접 센서(244)는 측면 케이스(230)의 후방측 메인 리브(235)의 상측에 위치한다. 근접 센서(244)는 상측 PCB(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판부(2401)의 중앙부에는 상기 메인 스위치(242)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스위치(24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려질 수 있다. 메인 스위치(242)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누름 돌기(228b)가 배치된다.
상판부(2401)는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 근접 센서(244), 온습도 센서(245) 및 메인 스위치(242)를 모두 연결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판부(2401)에는, 표시 LED(249)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LED(249)는 색이 다른 복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LED(249)는 배터리(2541)의 충전/방전의 표시나 네트워크와의 페이링 여부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29에는, 표시 LED(249)가 배치되는 구역을 도시한다. 표시 LED(249)는 스위치 패널(210)의 광 투과부(215)의 하측에 배치된다. 표시 LED(249)로부터 조사된 광은 광 투과부(215)를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LED(249)는 메인 스위치(242)와 온습도 센서(245) 사이에 배치된다.
PCB 기판이 상판부(2401)에서 하측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상하 연결판부(2403)의 상단부가 형성된다. PCB 기판이 하판부(2405)에서 상측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상하 연결판부(2403)의 하단부가 형성된다. 상하 연결판부(2403)는 메인 스위치(242)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상하 연결판부(2403)는 상판부(2401) 및 하판부(2405)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준다.
하판부(2405)는 상하 연결판부(2403)의 하단에서 축 외측 방향(XO)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판부(2405)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일단이 메인 리브(235)까지 길게 연장된다. 하판부(2405)에는 고정 홀(240b)이 형성된다. 고정 홀(240b)에 하측 고정돌기(2386)가 끼워져 하판부(2405)가 고정된다.
하판부(2405)에는 하측 PCB 연결 단자(248)가 배치된다. 하측 PCB 연결 단자(248)는 하측 PCB(250)와의 전기적 연결점을 제공한다. 하측 PCB 연결 단자(248)는 하측 PCB(250) 상에 배치된 상측 PCB 연결 단자(258)와 접촉하여 연결된다. 도 30에서 하측 PCB 연결 단자(248)가 배치되는 구역을 도시한다. 하측 PCB 연결 단자(248)는 하판부(2405)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도 32 내지 35를 참고하여, 하측 PCB(250)는 주 기판(2501)을 포함한다. 주 기판(2501)은 수평하게 배치된 판형의 부재를 포함한다. 주 기판(2501)에는, 상기 가이드 홈(250a)이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 홈(250a)이 주 기판(250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주 기판(2501)의 테두리에서 중심축(X) 방향으로 가이드 홈(250a)이 형성된다.
주 기판(2501)에는 상측 PCB 연결 단자(258)가 배치된다. 상측 PCB 연결 단자(258)는 주 기판(2501)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상측 PCB 연결 단자(258)는 상측 PCB(240)와의 전기적 연결점을 제공한다. 상측 PCB 연결 단자(258)는 상측 PCB(240) 상에 배치된 하측 PCB 연결 단자(248)와 접촉하여 연결된다. 도 32에서 상측 PCB 연결 단자(258)가 배치되는 구역을 도시한다.
주 기판(2501)에는 상기 통신 모듈(26)이 배치된다. 통신 모듈(26)은 주 기판(2501)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 모듈(26)은 네트워크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253)를 포함한다. 도 32를 참고하여, 안테나(253)는 주 기판(2501) 상에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별도의 안테나(253)가 주 기판(2501) 이외의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주 기판(2501)에는 상기 가속도 센서(257)가 배치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57)는 주 기판(2501)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2에서 가속도 센서(257)가 배치되는 구역을 도시한다.
하측 PCB(250)는 주 기판(2501) 상에 배치된 소자를 보호해주는 소자 보호 커버(259)를 포함한다. 소자 보호 커버(259)는 주 기판(2501)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소자 보호 커버(259)는 보호 대상인 소자를 덮어준다.
주 기판(2501)에는 전원장치(254)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장치(254)는 전원을 공급해주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2541)를 포함한다. 전원장치(254)는 배터리(2541)로부터 이상 전류가 공급될 경우 전원을 차단해주는 이상 전류 차단부(2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장치(254)는 배터리(2541)와 이상 전류 차단부(25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배터리 연결 선로(254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장치(254)는, 주 기판(2501)에 배치되어 배터리(2541)에서 공급하는 전류를 주 기판(2501)측으로 수용하는 기판측 커넥터(2548)를 포함한다. 전원장치(254)는 기판측 커넥터(2548)와 연결되는 도선측 커넥터(2547)를 포함한다. 기판측 커넥터(2548) 및 도선측 커넥터(2547) 중 어느 하나는 소켓이고 다른 하나는 플러그이다. 전원장치(254)는 이상 전류 차단부(2542)와 도선측 커넥터(2547)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커넥터 연결 선로(2545)를 포함한다.
전원장치(254)는 필요시 교체가 가능한 교체 모듈(254a)을 포함한다. 교체 모듈(254a)은, 상기 배터리(2541), 이상 전류 차단부(2542), 배터리 연결 선로(2543), 도선측 커넥터(2547) 및 커넥터 연결 선로(2545)를 포함한다. 전원장치(254)는 상기 교체 모듈(254a) 및 기판측 커넥터(2548)를 포함한다.
배터리(2541)는 주 기판(2501)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배터리(2541)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축(X)으로부터 이격된 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배치된다. 배터리(2541)는 충전 단자(2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전류 차단부(2542)는 주 기판(2501)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이상 전류 차단부(2542)는 주 기판(2501)에 수직한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측 커넥터(2548)는 주 기판(2501)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도선측 커넥터(2547)는 주 기판(2501)의 상측에 배치된다. 커넥터 연결 선로(2545)는, 주 기판(2501)의 하측에 배치된 이상 전류 차단부(2542)와 주 기판(2501)의 상측에 배치된 도선측 커넥터(2547)를 연결한다. 주 기판(2501)에는 도선 관통 홈(250b)이 형성되고, 커넥터 연결 선로(2545)는 상기 도선 관통 홈(250b)을 관통한다.
도 34를 참고하여, 기판측 커넥터(2548) 및 도선측 커넥터(2547)는 상기 소자 관통홀(238a2)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된다.
충전 단자(255)는 주 기판(2501)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충전 단자(255)는 충전 단자 홈(231c)에 안착된다. 충전 단자(255)를 통해 방전된 배터리(2541)를 충전시킬 수 있다.
리셋 버튼(252)은 주 기판(2501)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버튼 홀(231d)의 축 내측 방향(XI)으로 리셋 버튼(252)이 배치된다. 하측 가이드(237) 및 가이드 홈(250a)이 맞물리는 경우, 리셋 버튼(252)과 센서 홀(231b) 사이의 배치, 및 상측 PCB 연결 단자(258)와 하측 PCB 연결 단자(248) 사이의 배치 등이 기 설정한대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36 내지 38을 참고하여, 투과 부재(260)는, 측면 케이스(230)의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에 안착된다. 투과 부재(260)는, 외부에서 노출되는 전방의 윈도우(261)와, 투과 부재(260)를 측면 부재(231)에 걸리게 해주는 걸림부(263)와, 투과 부재(260)의 후방측에 소자의 배치를 안내해주는 배치 가이드(264)를 포함한다.
측면 부재(231)의 표면은 중심축(X)과의 거리가 상하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경사면(S)을 포함한다. 경사면(S)은, 중심축(X)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직 단면 상에서, 상기 중심축(X)과 예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 부재(231)의 측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경사면(S)을 형성한다.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은 측면 부재(231)의 경사면(S)에 형성된다. 윈도우(261)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윈도우(261)의 테두리는 측면 부재(231)의 경사면(S)에 대응되도록 돌출된다. 도 36을 참고하여, 임의의 수평 단면 상에서, 윈도우(261)의 테두리의 표면이 축 외측 방향(XO)으로 돌출된 정도는, 윈도우(261)에 인접한 측면 부재(231)의 표면이 축 외측 방향(XO)으로 돌출된 정도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윈도우(261)의 테두리의 돌출된 표면은 경사면(S)과 실질적으로 같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261)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윈도우(261)의 중앙부는, 중심축(X)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직 단면 상에서 중심축(X)과 평행하게 이루어진 면(261a)을 형성한다.
경사면(S)이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경사를 가지고 있는 경우, 윈도우(261)는 윈도우(261)의 중앙부 및 하측부에 형성되는 수직부(261a)를 포함한다. 수직부(261a)는, 중심축(X)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직 단면 상에서 중심축(X)과 평행하게 이루어진 면(261a)을 형성한다. 수직부(261a)는 가상의 수평면(중심축(X)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
수직부(261a)의 하단은 윈도우(261)의 하단을 형성한다. 수직부(261a)의 하단은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의 하측의 측면 부재(231)와 연결된다. 가상의 수직 단면 상에서, 수직부(261a)의 표면은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의 하측의 측면 부재(231)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수직선 상에 배치된다. 수직부(261a)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할 경우 적외선이 굴절하지 않고 직진한다.
측면 부재(23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S)은 원주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수직부(261a)는 원주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수직부(261a)의 원주 방향 곡률은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의 하측의 측면 부재(231)의 원주 방향 곡률과 실질적으로 같다.
윈도우(261)는, 윈도우(261)의 상측 테두리 및 좌우측 테두리에서 축 외측 방향(XO)으로 돌출된 주변부(261b, 261c)를 포함한다. 주변부(261b, 261c)는 측면 부재(231)의 경사면(S)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261b, 261c)는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261b, 261c)는, 윈도우(261)의 상측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상측 주변부(261b)와, 윈도우(261)의 좌우측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사이드 주변부(261c)를 포함한다. 사이드 주변부(261c)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윈도우(261)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주변부(261b, 261c) 및 수직부(261a)가 연결되는 부분은 오목한 곡률을 이루게 된다.
걸림부(263)는 윈도우(261)의 후면측 테두리에서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263)는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의 후측에서 형성된다. 걸림부(263)는 상측방향, 하측방향,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형성된다. 걸림부(263)는 측면 부재(231)의 내측벽에 접촉하여, 투과 부재(260)가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 하게 막는다.
걸림부(263)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263)는 윈도우(261)의 원주 방향의 양측으로 2개가 각각 돌출된다. 걸림부(263)는, 윈도우(261)의 일측에 배치된 제 1걸림부(263a)와, 윈도우의 타측에 배치된 제 2걸림부(263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63)는 투과 부재 배치 홀(231a)의 주변에 위치한 측면 부재(231)에 걸리게 된다.
메인 바디(2A)는 특정 방향으로 소정의 광 신호를 조사하는 광 신호 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 신호 발광부는, 상기 근접 센서(244) 및/또는 상기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를 의미한다. 즉, 상기 광 신호 발광부는, 상기 근접 센서(244) 및 상기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 신호 발광부는, 상기 근접 센서(244) 및 상기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광 신호 발광부는 윈도우(261)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광 신호 발광부는, 상기 광 신호가 윈도우(261)의 상기 중앙부를 수직으로 투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광 신호 발광부는, 상기 광 신호가 수직부(261a)를 수직으로 투과하도록 배치된다.
배치 가이드(264)는 윈도우(261)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배치 가이드(26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가이드(264)는 윈도우(261) 후방의 공간을 좌우로 구분할 수 있다. 배치 가이드(264)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치 가이드(264)는, 윈도우(261)의 후방 공간 중 좌측의 공간(260a)을 구획하는 배치 가이드(264a)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가이드(264)는, 윈도우(261)의 후방 공간 중 우측의 공간(260b)을 구획하는 배치 가이드(264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가이드(264b)는 상기 광 신호 발광부의 투과 부재(260)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안내한다. 배치 가이드(264b)는 상기 광 신호 발광부의 윈도우(261)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안내한다. 배치 가이드(264)에 의해 나누어진 윈도우(261)의 복수의 후방 공간(260a, 260b)에는, 복수의 광 신호 발광부(예를 들어 243, 244)가 각각 배치된다.
배치 가이드(264b)에 의해 나누어진 윈도우(261)의 후방 공간(260a, 260b)에는, 각각 근접 센서(244) 및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의 공간(260a)에는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가 배치되고, 상기 우측의 공간(260b)에는 근접 센서(244)가 배치된다. 배치 가이드(264b)는 근접 센서(244) 및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의 윈도우(261)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안내한다. 이를 통해, 근접 센서(244) 및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에서 조사되는 광 신호가 기 설정한 각도 및 위치로 윈도우(261)를 관통하게 할 수 있다. 즉, 광 신호가 수직부(261a)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배치 가이드(264b)가 투과 부재(260), 근접 센서(244) 및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의 상대적 배치를 안내한다.
윈도우(261)의 후방 공간(260a, 260b)에 배치된 상기 광 신호 발광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윈도우(261)의 후측면을 밀어주어, 걸림부(263)가 강하게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해준다. 이를 통해, 투과 부재(260)가 측면 케이스(230)에 고정된다.
상기 광 신호 발광부는, 윈도우(261)의 후측면을 밀어주는 모듈 케이스(2433, 2443)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케이스(2433, 2443)는 상기 광 신호 발광부의 전방면을 형성한다. 모듈 케이스(2433, 2443)의 전방면은 윈도우(261)의 후측면에 접촉한다.
모듈 케이스(2433, 2443)는, 내측에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가 배치되는 컨트롤 모듈 케이스(2433), 및 내측에 근접 신호 발광부(2441)가 배치되는 근접 모듈 케이스(2443)을 포함한다. 근접 모듈 케이스(2443)의 내측에는 근접 신호 수광부(2443)가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모듈 케이스(2433)의 전방면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에 컨트롤 신호 발광부(243)가 배치되어, 광 신호를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근접 모듈 케이스(2443)의 전방면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에 근접 신호 발광부(2441)가 배치되어, 광 신호를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근접 모듈 케이스(2443)의 전방면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홈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추가로 형성된 홈에 근접 신호 수광부(2442)가 배치되어, 전방으로부터 돌아오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 모듈 케이스(2433)의 전방면 및 근접 모듈 케이스(2443)의 전방면은 각각 윈도우(261)의 후측면에 접촉하여, 윈도우(261)를 전방으로 밀어줄 수 있다. 컨트롤 모듈 케이스(2433) 및 근접 모듈 케이스(2443)의 배치는 상기 배치 가이드(264)에 의해 안내된다.
도 36을 참고하여, 상기 광신호 발광부가 투과 부재(26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축 외측 방향(XO)으로) 조사하는 광 신호는 수직부(261a)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굴절없이 직진하게 된다. 도 36의 화살표(IRc)는 굴절없이 직진하는 광 신호를 도시한다.
만약 윈도우(261)의 중앙부(즉, 광 신호가 통과하는 부분)이 상기 경사면(S)와 평행하게 배치된다면, 윈도우(261)를 통과하는 광 신호는 하측 방향으로 굴절하게 된다. 도 36의 화살표(IRd)는 이러한 굴절하는 경우의 광 신호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수직부(261a)를 통해, 상기 광신호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 신호가 보다 멀리까지 직진할 수 있다.
도 39 내지 42를 참고하여, 하면 케이스(270)는 메인 바디(2A)의 하측면을 형성한다. 하면 케이스(270)는 메인 바디(2A)의 측면부 중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면 케이스(270)는 측면 케이스(230)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킨다.
하면 케이스(270)의 내부에는 하측 PCB(250)가 배치된다. 하면 케이스(270)의 상측으로 하측 PCB(250)가 결합된다.
하면 케이스(270)에는 상기 배터리(2541)가 배치되는 공간(270b)이 형성된다. 하면 케이스(270)에는 충전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270c)이 형성된다. 하면 케이스(270)에는 리셋 버튼이 거치되기 위한 홈(270d)이 형성된다.
하면 케이스(27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부재(271)를 포함한다. 외측 부재(271)는 하측면을 포함한다. 외측 부재(271)는 둘레를 따라 형성하는 둘레면을 포함한다.
외측 부재(271)에는 상기 방향 설정 홈(270a)이 형성된다. 방향 설정 홈(270a)은 외측 부재(271)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측에서 바라볼 때 외측 부재(271)의 테두리에 형성된다. 외측 부재(271)의 상기 함몰부(2711)는 방향 설정 홈(270a)을 형성시킨다.
하면 케이스(270)는 측면 케이스(230)와 결합되는 측면 케이스 결합부(273)를 포함한다. 복수의 측면 케이스 결합부(273)가 하면 케이스(27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케이스 결합부(273)는 외측 부재(271)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 케이스 결합부(273)에는 결합 홈(273a)이 형성된다. 결합 홈(273a)은 축 내측 방향(XI)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273a) 상하 방향의 길이 보다 원주 방향 길이가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홈(273a)이 지지 프레임(22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케이스 결합부(273)는, 측면 케이스(230)의 하면 케이스 결합부(2332)와 서로 결합된다. 측면 케이스 결합부(273) 및 하면 케이스 결합부(2332) 중 어느 하나는 결합 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결합 홈에 맞물리는 돌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 케이스 결합부(273)는 결합 홈(273a)을 형성하고, 하면 케이스 결합부(2332)는 상기 결합 홈(273a)에 맞물리는 돌기를 형성한다.
외측 부재(271)의 상기 둘레면의 상단은 측면 케이스(230)의 하단과 접촉한다. 하면 케이스(270)는, 외측 부재(271)의 상기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 삽입 리브(272)를 포함한다. 테두리 삽입 리브(272)는 외측 부재(271)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테두리 삽입 리브(272)는 고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삽입 리브(272)는, 외측 부재(271)의 상단의 테두리에서 중심축(X) 방향으로 소정 간격(측면 케이스(230)의 하단부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 떨어진 지점에 형성된다. 테두리 삽입 리브(272)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은 측면 케이스(23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상기 측면 케이스 결합부(273)는 테두리 삽입 리브(27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테두리 삽입 리브(272)에는 상기 리셋버튼 배치 홈(270d)이 형성된다.
하면 케이스(270)는, 충전 단자(255)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충전 단자 가이드 리브(277)를 포함한다. 충전 단자 가이드 리브(277)는, 충전 단자(255)의 하측면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하면 가이드(277a)와, 충전 단자(255)의 축 외측 방향(XO)의 말단을 가이드 하는 말단 가이드(277b)와, 충전 단자(255)의 원주방향 양측면을 가이드 하는 측면 가이드(277c)를 포함한다.
하면 가이드(277a) 및 말단 가이드(277b)의 상측으로 상기 충전 단자 배치 공간(270c)이 위치한다. 2개의 측면 가이드(277c) 사이에 상기 충전 단자 배치 공간(270c)이 위치한다.
하면 가이드(277a)는 외측 부재(27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한다. 하면 가이드(277a)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를 포함한다. 하면 가이드(277a)의 상단은 충전 단자(255)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말단 가이드(277b)는 외측 부재(271)의 상단에 형성된다. 말단 가이드(277b)가 형성된 부분은 테두리 삽입 리브(272)가 배치되지 않는다. 말단 가이드(277b)는 외측 부재(271)의 상단이 충전 단자(255)의 말단과 맞물리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측면 가이드(277c)가 충전 단자(255)의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측면 가이드(277c)는 외측 부재(27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한다. 측면 가이드(277c)는 충전 단자(255)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측면 가이드(277c)의 상단의 높이는 테두리 삽입 리브(272)의 상단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하면 케이스(270)는, 배터리(2541)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 리브(275)를 포함한다. 배터리 가이드 리브(275)는 배터리(2541)의 측면에 접촉한다. 배터리 가이드 리브(275)는 배터리(2541)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배터리(2541)의 하측면은 외측 부재(271)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배터리(2541)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중심축(X)으로부터 이격된 점을 중심으로 한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배터리(2541)는 하면 케이스(270) 내부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배터리(2541)는 하면 케이스(27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배터리(2541)의 축 외측 방향(XO)의 일측면이 하면 케이스(270)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배터리(2541)를 배치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 리브(275)는 배터리(2541)의 편심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배터리(2541)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배터리 가이드 리브(275)는, 충전 단자(255)와 리셋 버튼(252)과 이상 전류 차단부(254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리브(275a, 275c)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275a, 275c)는, 충전 단자(255)의 일측에서부터 연장되는 리브(275a), 및 충전 단자(255)의 타측에서부터 연장되는 리브(275c)를 포함한다.
배터리 가이드 리브(275)는, 충전 단자(255)와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상기 리브(275a, 275c)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된 리브(275b)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275b)의 일측면은 배터리(2541)의 측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리브(275b)의 상측에 충전 단자(255)가 배치된다.
배터리 가이드 리브(275)는, 이상 전류 차단부(2542)와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상기 리브(275a, 275c)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된 리브(275d)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 리브(275d)의 일측면은 배터리(2541)의 측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리브(275d)의 상측에 배터리(2541)를 제외한 전원장치(254)의 다른 구성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 리브(275)의 오목한 면 및 외측 부재(271)의 내측면 사이에 원통형의 배터리 배치 공간(270b)이 형성된다.
도 43 내지 47을 참고하여, 컨테이너(2B)는, 상기 외부 결합부(283)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206)의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본체(280)와, 컨테이너 본체(280)의 축 외측 방향(XO)에서 외측부(205)를 형성하는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2B)는, 하면부(281a) 및 경사부(281b)를 형성시키는 컨테이너 본체(280)와, 외향면(291)을 형성시키는 컨테이너 측면 부재를 포함한다.
컨테이너(2B)는 중앙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상기 메인 바디 결합부(280a)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컨테이너 본체(280)의 중앙부는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컨테이너 본체(280)의 측면은 높이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와 결합될 시 메인 바디(2A)와 접촉하는 내측면(281)을 포함한다. 내측면(281)은, 중앙부에 배치된 하면부(281a)와, 하면부(281a)의 테두리에서 컨테이너 본체(280)의 상단까지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경사부(281b)를 포함한다. 경사부(281b)는, 축 외측 방향(XO)으로 갈수록 점점 경사가 급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81b)는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경사부(281b)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경사부(281b)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향 설정 돌기(285)는 경사부(281b)에 형성된다. 상기 방향 표시부(289)는 하면부(281a)에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축 외측 방향(XO)으로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와 접촉하는 접촉면(282)을 포함한다. 접촉면(282)은 내향면(292)과 접촉한다. 접촉면(282)은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과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접촉면(282)에는 축 내측 방향(XI)으로 함몰된 걸림 홈(280b)이 형성된다. 걸림 홈(280b)은 접촉면(282)의 하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의 하측부에는 축 내측 방향(XI)으로 함몰된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282)에는 축 내측 방향(XI)의 경사부(281b) 방향으로 함몰된 걸림 홈(280b)이 형성된다. 걸림 홈(280b)은 경사부(281b)와 실질적으로 같은 수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280b)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280b)은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걸림 홈(280b)에는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의 결합 후크(295)가 삽입되어, 컨테이너 본체(280)와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를 결합시킨다.
한편, 만약 걸림 홈(280b)이 없다면, 상기 경사부(281b)의 경사 및 상기 접촉면(282)의 경사로 인해 경사부(281b)의 하측부와 접촉면(282)의 하측부 사이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지나치게 두꺼워 질 수 있다. 따라서, 걸림 홈(280b)을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본체(280) 중 하측부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어, 사출 성형에 유리해지는 효과도 있다.
접촉면(282)의 하측에는, 방향 설정 돌기(285)가 있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방향 설정 돌기 내부공간(280d)이 형성된다. 방향 설정 돌기 내부공간(280d)은 걸림 홈(280b)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향 설정 돌기 내부공간(280d)은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에 의해 가려진다.
도 46(c) 및 46(d)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B')는,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가 없이 컨테이너 본체(280') 만으로 컨테이너(2B')가 구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상기 걸림 홈(280b')은 외관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 경우, 탈부착 돌기(298')는 컨테이너 본체(28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메인 바디(2A)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바디 결합부(280a')를 상측에 구비한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메인 바디 결합부(280a')를 형성시키고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내측부(281')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부(281')는, 바닥을 이루는 하면부(281a), 및 상기 하면부(281a)에서 축 외측 방향(XO)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281d’)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 본체(280')의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부(291', 283')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부(291', 283')는 축 외측 방향(XO)의 외향면(291')을 포함한다. 외향면(291')에는, 축 내측 방향(XI)의 경사부(281b') 방향으로 함몰된 걸림 홈(280b')이 형성된다. 상기 외향면(291')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중심축(X)과 가까워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외향면(291')의 하측부에는 축 내측 방향(XI)으로 함몰된 걸림 홈(280b')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대한 그 밖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본체(280)의 구성으로부터 자명하여 생략한다.
접촉면(282)에는 컨테이너 본체(280)가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의 중앙 개구부(290c)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가이드 홈(280c)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280c)은 접촉면(282)에서 축 내측 방향(XI)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가이드 홈(280c)은 접촉면(282)의 경사를 따라 연장된다. 가이드 홈(280c)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홈(280c)의 깊이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80c)은 걸림 홈(280b)의 상측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280c)의 하단은 걸림 홈(280b)과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홈(280c)에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의 가이드 돌기(296)가 삽입되어,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의 조립을 위한 이동을 상하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96)는 가이드 홈(280c)의 상측부에서 삽입되어 가이드 홈(280c)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하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결합부(283)를 포함한다. 외부 결합부(283)는, 컨테이너 본체(280)를 하측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배치된다. 외부 결합부(283)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본체(280)의 하측면의 테두리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를 가진 테두리부(283a)를 형성한다. 테두리부(283a)는 축 외측 방향(XO)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테두리부(283a)는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테두리부(283a)는 축 내측 방향(XI)에서 외부 결합부(283)와 연결되고, 축 외측 방향(XO)에서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의 하단과 연결된다.
컨테이너(2B)는 사출 성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2B)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사출 성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는 사출 성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47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300)(금형)는 컨테이너 본체(280)를 사출 성형한다. 컨테이너 본체(280)의 하측부가 상측을 바라보도록 뒤집어진 상태로 사출 성형하여, 가스 배출 흔적(283b)이 컨테이너 본체(280)의 하측면에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기(300)는, 내측면(281)을 사출 성형하는 제 1사출 성형부(301)와, 접촉면(282) 및 가이드 홈(280c)룰 사출 성형하는 제 2사출 성형부(302)와, 걸림 홈(280b) 및 방향 설정 돌기 내부공간(280d)을 사출 성형하는 제 3사출 성형부(303)와, 컨테이너 본체(280)의 하측면 중 가장자리를 사출 성형하는 제 4사출 성형부(304)와, 컨테이너 본체(280)의 하측면 중 중앙부를 사출 성형하는 제 5사출 성형부(30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5 사출 성형부'(301,302,303,304,305)의 용어 사용에 있어서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는, 지칭 대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표기일 뿐, 각 사출 성형부 들 사이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
제 3사출 성형부(303)는, 걸림 홈(280b)을 형성시키기 위해 돌출된 부분(304a)과, 방향 설정 돌기 내부공간(280d)을 형성시키기 위해 돌출된 부분(304b)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본체(280)의 사출시 가스 배출 흔적(283b)이 남게 된다. 컨테이너 본체(280) 는, 컨테이너 본체(280)의 하측면에 가스 배출 흔적(283b)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외부 결합부(283)가 형성되는 면에 가스 배출 흔적(283b)이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가스 배출 흔적(283b)이 원형으로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가스 배출 흔적(283b)이 복수의 동심 원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스 배출 흔적(283b)을 발생 시키도록, 컨테이너 본체(280)의 사출 성형기(300)에 가스 유출구를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가스 배출 흔적(283b)을 발생 시키도록, 컨테이너 본체(280)의 제 5사출 성형부(305)에 가스 유출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는 고리 형으로 형성된다.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의 중앙에는 중앙 개구부(290a)가 형성된다. 컨테이너 본체(280)는 중앙 개구부(290a)로 삽입되어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와 결합된다.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는, 상기 외측부(205)의 상기 축 외측 방향(XO)의 측면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는, 축 외측 방향(XO)의 측면을 형성하는 외향면(291)과, 축 내측 방향(XI)의 측면을 형성하는 내향면(292)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는, 외향면(291)과 내향면(292) 사이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구비된다.
외향면(291)은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과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외향면(291)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외향면(291)은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부(205)의 일부를 형성한다.
내향면(292)은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과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내향면(292)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접촉면(282)은 내향면(292)과 접촉한다. 내향면(292)의 하측부는 컨테이너 본체(280)의 상기 접촉면(282)과 접촉한다. 내향면(292)은, 컨테이너 본체(280)의 상측으로 노출된 노출 내향면(292a)을 포함한다. 노출 내향면(292a)은 내향면(292)의 상측부에 배치된다. 노출 내향면(292a)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부(206)의 상측부를 형성한다. 노출 내향면(292a)은 경사부(281b)의 상측에서 노출된다.
내향면(292)에는 상기 걸림 홈(280b)에 삽입되는 결합 후크(295)가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 후크(295)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후크(295)는 내향면(292)에서 돌출된다. 결합 후크(295)는 축 내측 방향(XI)으로 돌출된다. 결합 후크(295)는 상하방향보다 원주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후크(295)의 하측면은 축 내측 방향(XI)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올라가는 경사를 형성할 수 있고, 결합 후크(295)의 상측면은 걸림 홈(280b)의 하측면에 걸리도록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향면(292)에는 상기 가이드 홈(280c)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96)가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296)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96)는 가이드 홈(280c)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296)는 내향면(292)에서 돌출된다. 가이드 돌기(296)는 축 내측 방향(XI)으로 돌출된다. 가이드 돌기(296)는 원주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노출 내향면(292a)에는 상기 탈부착 돌기(298)가 형성된다. 탈부착 돌기(298)는 노출 내향면(292a)에서 축 내측 방향(XI)으로 돌출된다.
컨테이너(2B) 외관 중 경사부(281b)는,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되는 부분으로서,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가까워지는 경사를 줌으로써 메인 바디의 하측 모서리(279)가 부드럽게 슬라이딩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메인 바디(2A)를 컨테이너(2B)에 탈부착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하측 모서리(279)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컨테이너(2B) 외관 중 외향면(291)는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경사를 가진다.
컨테이너(2B) 외관에서, 외향면(291)는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멀어지고, 내측면(281) 중 경사부(281b)는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가까워지므로, 하측으로 갈수록 외향면(291)과 내측면(281)사이의 거리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측면 부재(290)에 의해 가려지는 접촉면(282)에 걸림 홈(280b)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출 두께가 커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버(burr) 등의 사출 불량 확률을 감소시키면서도, 결합 후크(295)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8 내지 55를 참고하여, 메인 바디(2A)의 구조 및 그에 따른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상측 테두리(E1), 하측 테두리(E2),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는, 소정 도형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도형은, 중심축(X)에 대해 수직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 도형을 의미한다. 상기 소정 도형은, 원, 타원, 다각형, 꼭지점이 모따기된 다각형 등 다양한 도형이 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도형은, 불규칙한 형상의 도형이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 도형은 원, 타원 또는 꼭지점이 모따기된 다각형이 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도형은 둘레에 일부 완곡부나 돌출부가 있더라도 전체적으로 원, 타원 또는 꼭지점이 모따기된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 1소정 도형, 제 2소정 도형, 제 3소정 도형 및 제 4소정 도형'의 용어 사용에 있어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는, 지칭 대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표기일 뿐, 각 소정 도형 들 사이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
도 48 및 49를 참고하여, 중심축(X)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 1소정 도형을 가정할 때, 메인 바디(2A)는 상기 제 1소정 도형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상측 테두리(E1)를 포함한다. 도 48을 참고하여, 상측 테두리(E1)는 가상의 평면(H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소정 도형은 소정 직경(r1)의 원일 수 있다. 중심축(X)에 수직으로 배치된 소정 직경(r1)의 원을 가정할 때, 메인 바디(2A)는 상기 소정 직경(r1)의 가상의 원 둘레를 따라 연장된 상측 테두리(E1)를 포함한다. 도 48을 참고하여, 상측 테두리(E1)는 가상의 평면(H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테두리(E1)는 원형으로 연결될 수 있고, 원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측 테두리(E1)가 원호로 이루어진 예로서, 상기 직경(r1)의 상기 가상의 원 둘레 상에서 홈이나 돌기가 메인 바디(2A)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홈이나 돌기는 상측 테두리(E1)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이고 상측 테두리(E1)는 원호의 형태가 된다. 상측 테두리(E1)가 원호의 형태인 경우에도, 상측 테두리(E1)는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룬다.
메인 바디(2A)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은, 상측 테두리(E1) 및 후술하는 하측 테두리(E2) 중 어느 하나 보다 축 내측 방향(XI)으로 들어가서 형성된다. 상기 메인 바디(2A)의 측면은, 상측 테두리(E1) 및 후술하는 하측 테두리(E2) 중 어느 하나 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바디(2A)의 측면은, 상측 테두리(E1)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메인 바디(2A)의 측면이 하측 테두리(E2)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의해 자명하므로 생략한다.
메인 바디(2A)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은 상측 테두리(E1)보다 축 내측 방향(XI)으로 들어가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2A)의 측면은, 상기 상측 테두리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메인 바디(2A)를 외부의 수평면(G)에 수직으로(수평면(G)과 중심축(X)이 평행한 것을 의미) 접근시킨다면, 메인 바디(2A) 중 상측 테두리(E1)가 먼저 상기 외부의 수평면(G)에 닿게 된다.
도 50을 참고하여, 메인 바디(2A)가 컨테이너(2B)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측 테두리(E1)가 외부의 수평면(G)에 대해 수직으로 접촉하면, 메인 바디(2A)가 메인 바디(2A)의 하측면(278) 방향(T1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는,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는 수평면(G)에 의해 지지되는 반면 메인 바디(2A)의 하측 테두리(E2)는 수평면(G)에 의해 지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원형의 테두리(E1,E2)를 가지도록 메인 바디(2A)를 제작한 경우에 있어서, 메인 바디(2A)가 지면에 떨어지거나 메인 바디(2A)가 지면을 따라 굴러갈 때, 메인 바디(2A)가 T1 방향(메인 바디(2A)의 하측면(278) 방향)으로 빠른 시간 내 전복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메인 바디(2A)의 유실 위험성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멀리까지 굴러간 메인 바디(2A)를 잡기 위해 사용자가 과다하게 이동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중심축(X)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 2소정 도형을 가정할 때, 메인 바디(2A)는 상기 제 2소정 도형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하측 테두리(E21)를 포함한다. 도 48을 참고하여, 하측 테두리(E2)는 가상의 평면(H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소정 도형은 소정 직경(r2)의 원일 수 있다. 중심축(X)에 수직으로 배치된 소정 직경(r2)의 원을 가정할 때, 메인 바디(2A)는 상기 소정 직경(r2)의 가상의 원 둘레를 따라 연장된 하측 테두리(E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경(r2)은 상기 직경(r1)과 다르다. 상기 직경(r2)는 상기 직경(r1) 보다 짧을 수 있다.
도 48을 참고하여, 하측 테두리(E2)는, 상측 테두리(E1) 및 메인 바디(2A)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시에 수평면(G)에 닿는 지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8에서는 메인 바디(2A)의 측면과 동시에 수평면(G)에 닿는 하측 테두리(E2)를 도시하고, 도 51에서는 상측 테두리(E1) 및 메인 바디(2A)의 측면과 동시에 수평면(G)에 닿는 하측 테두리(E2)를 도시한다.) 특히, 도 48과 같이 메인 바디(2A)의 하측면(278)의 경계가 곡률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술된 바에 의해 하측 테두리(E2)를 정의할 수 있다.
도 48을 참고하여, 메인 바디(2A)의 측면의 한 지점(q)과 하측 테두리(E2)가 동시에 수평면(G)에 접촉한다. 도 48을 참고하여, 하측 테두리(E2)는 가상의 평면(H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테두리(E2)는 원형으로 연결될 수 있고, 원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측 테두리(E2)가 원호로 이루어진 예로서, 상기 직경(r2)의 상기 가상의 원 둘레 상에서 홈이나 돌기가 메인 바디(2A)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홈이나 돌기는 하측 테두리(E2)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이고 하측 테두리(E2)는 원호의 형태가 된다. 하측 테두리(E2)가 원호의 형태인 경우에도, 하측 테두리(E2)는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룬다.
도 51 및 53을 참고하여, 메인 바디(2A)가 수평면(G)에서 구르다가 하측면(278) 방향(T1)으로 전복시 수평면(G)에 하측 테두리(E2)가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기울어진 메인 바디(2A)로 인해 메인 바디(2A)의 무게 중심이 하측면(278) 방향(T1)으로 더욱 치우치게 되고, 상기 직경(r2)이 상기 직경(r1)보다 작으므로, 메인 바디(2A)는 하측면(278) 방향(T1)으로 선회하면서 구르게 된다. 이후, 하측 테두리(E2)만 수평면(G)에 접촉한 상태로 메인 바디(2A)가 선회하며 구르다가, 하측면(278)이 수평면(G)에 닿을 정도로 완전히 기울어지게 되면 메인 바디(2A)는 구름 동작을 멈추게 된다.
도 53은 메인 바디(2A)가 수평면을 따라 굴러가면서 전복되는 동안, 상측 테두리(E1) 및 하측 테두리(E2)가 상기 수평면에 남기는 가상의 트랙(track)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3에서는, 상측 테두리(E1)가 남기는 트랙(l1)과 하측 테두리(E2)가 남기는 트랙(l2 또는 l3)을 도시한다. 점(p1)에서부터 점(p2)까지 상측 테두리(E1)가 수평면(G)에 접촉한 상태로, 메인 바디(2A)가 직진 또는 약간의 선회를 하며 굴러가게 된다. 메인 바디(2A)는 하측면(278) 방향(T1)으로 기울어지다가 점(p3)에서부터 하측 테두리(E2)가 수평면(G)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 상측 테두리(E1)는 수평면(G)에서 떨어지게 되고, 하측 테두리(E2)가 수평면(G)에 접촉한 상태로 메인 바디(2A)는 선회 동작을 하게 된다. 트랙(l2)은 상대적으로 선회의 정도가 작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트랙(l3)은 상태적으로 선회의 정도가 큰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선회의 정도는 메인 바디(2A)가 선회 하며 이동하면서 점점 더 커질 수 있다. 선회 동작을 통해서 메인 바디(2A)는 최초 멀리 이동하는 방향에서 다시 되돌아 오는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다. 이 후, 메인 바디(2A)가 완전히 전복되어 하측면(278)이 수평면(G)에 닿으면 메인 바디(2A)가 이동을 멈추게 된다. 메인 바디(2A)가 수평면(G)에서 굴러갈 때, 전복의 유도, 선회의 유도 및 정지 동작의 유도를 통해서, 메인 바디(2A)가 멀리까지 굴러가는 것을 막게 된다.
메인 바디(2A)의 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2A)의 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경사면의 경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2A)의 측면의 경사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점점 바뀌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2A)의 측면의 경사면에는 홈 이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2A)의 높이(h)는 상기 직경(r2)보다 작을 수 있다. 상측 테두리(E1) 및 메인 바디(2A)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하측 테두리(E2)가 동시에 수평면(G)에 닿은 측면 세움 상태에서, 메인 바디(2A)의 높이(h)가 작을수록 상기 측면 세움 상태가 더욱 불안정(unstable)해진다. 이로 인해, 메인 바디(2A)의 완전한 전복(하측면(278)이 수평면(G)에 닿는 상태)이 더욱 원활하고 빠르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바디(2A)는, 하측 테두리(E2)의 하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측 모서리(279)를 포함한다. 하측 모서리(279)는 모따기 된다. 하측 모서리(279)는 둥글게 모따기 된다. 하측 모서리(279)의 상단은 하측 테두리(E2)와 연결되고, 하측 모서리(279)의 하단은 하측면(278)과 연결된다. 하측 모서리(279)는 하측 테두리(E2)보다 중심축(X)에 더 가까운 표면을 이룬다. 하측 모서리(279)는 하측면(278)보다 상측에서 표면을 이룰 수 있다.
도 53을 참고하여, 메인 바디(2A)의 전복 동작시 하측 테두리(E2)가 수평면에 닿은 이후에도, 메인 바디(2A)는 더욱 하측면(278) 방향(T1)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 수평면(G)에 하측 모서리(279)가 부드럽게 연결되며 접촉하게 되고, 그 후 수평면(G)에 하측면(278)도 부드럽게 연결되며 접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메인 바디(2A)의 전복시 하측면(278)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즉, 메인 바디(2A)의 전복 시, 메인 바디(2A)에 가해지는 충격이 줄어들어 기기의 고장이나 파손 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하측 모서리(279)는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 점점 가까워지는 표면을 이룬다. 메인 바디(2A)의 전복 과정에서 점점 하측면(278) 방향(T1)으로 기울어지는데, 이 때 수평면(G)에 접촉하는 하측 모서리(279)의 접촉점이 점점 메인 바디(2A)의 중심축(X)에 가까워 지게 되어, 메인 바디(2A)를 점점 더 급하게 선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통해, 메인 바디(2A)의 선회 동작에 따른 이동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8 및 도 52를 참고하여, 배터리(2541)는 메인 바디(2A)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2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 패널(210), 스위치 가동부(220), 측면 케이스(230) 및 하면 케이스(270) 등은 합성 수지 등의 비중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인 바디(2A)의 내부 공간에서, 배터리(2541)가 위치하는 부분 이외의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게 부품들이 채워진다. 반면, 배터리는 밀도 높게 배치되고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비중을 크게 할 수 있다. 배터리(2541)를 메인 바디(2A)의 하측부에 배치시켜, 메인 바디(2A)의 무게 중심(M)이 하측에 있도록 메인 바디(2A)가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2541)는, 메인 바디(2A)의 높이(h)를 반으로 나누는 가상의 평면(Hm)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4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2541)의 높이는 메인 바디(2A)의 높이(h)의 반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52를 참고하여, 메인 바디(2A)의 무게 중심(M)이 메인 바디(2A)의 하측에 있으면, 메인 바디(2A)가 수평면(G)을 따라 굴러갈 때 메인 바디의 하측면(278) 방향(T1)으로 전복을 보다 빠르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도 53을 참고하여, 메인 바디(2A)의 무게 중심(M)이 메인 바디(2A)의 하측에 있으면, 메인 바디(2A)의 선회의 정도가 커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급선회하는 트랙(l3)이 나타나게 되어, 메인 바디(2A)의 보다 빠른 멈춤 동작에 유리하다.
도 54를 참고하여, 배터리(2541)는 메인 바디(2A)의 하측에서 바라볼 때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41)의 편심된 위치란, 배터리(2541)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Mb)이 메인 바디(2A)의 중심축(X)에서 소정 방향(ec)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의미한다. 상대적으로 비중을 큰 배터리(2541)가 편심되게 위치하면, 메인 바디의 무게 중심(M)이 배터리(2541)가 편심된 방향(ec)으로 편심된다. 메인 바디(2A)의 무게 중심(M)이 중심축(X)으로부터 의도적으로 이격되게 된다.
배터리(2541)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직경(r1) 및 직경(r2) 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배터리(2541)가 편심 방향(ec)으로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편심 방향(ec)의 반대 방향에서는 배터리(2541)의 측면과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이 이격된다. 배터리의 상기 직경은 상기 직경(r2)의 0.8배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리브(272)는 배터리(2541)가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배터리(2541)를 고정해준다.
도 55를 참고하여, 메인 바디(2A)(또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의 결합체)가 수평면(G)을 따라 굴러갈 때, 편심된 무게 중심(M)이 수평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면 무게 중심(M)이 낮아지는 방향(T2)으로 메인 바디(2A)에 토크가 작용한다. 도 55(a)는 무게 중심(M)이 메인 바디(2A)의 우측에 위치하여 메인 바디(2A)에 우측 방향(T2)으로 토크가 작용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55(b)는 무게 중심(M)이 메인 바디(2A)의 좌측에 위치하여 메인 바디(2A)에 좌측 방향(T3)으로 토크가 작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메인 바디(2A)의 굴러가는 동작의 운동 에너지가 소정치 미만일 경우, 운동 에너지가 무게 중심(M)의 위치 에너지로 모두 변환되면서, 메인 바디(2A)가 더 이상 멀리까지 갈 수 없게 된다. 상기 운동 에너지의 소정치란, 상기 무게 중심(M)이 최대로 높아지더라도 운동 방향이 유지될 수 있는 최소의 운동 에너지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메인 바디(2A)가 굴러가는 동작 시, 메인 바디(2A)가 멀리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무게 중심(M)의 편심 위치로 인해, 메인 바디(2A)가 굴러가는 중 전복되는 동작이 보다 원할 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크가 작용하여 운동 속력이 줄어들게 되면, 원심력(메인 바디(2A)가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원심력)이 줄어들어 전복 동작에 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도 56 내지 57를 참고하여, 중심축(X)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 3소정 도형을 가정할 때, 컨테이너(2B)는 제 3소정 도형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를 포함한다. 도 56을 참고하여,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는 가상의 평면(H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소정 도형은 소정 직경(r2)의 원일 수 있다. 중심축(X)에 수직으로 배치된 소정 직경(r3)의 원을 가정할 때, 컨테이너(2B)는 소정 직경(r3)의 가상의 원 둘레를 따라 연장된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를 포함한다. 도 56을 참고하여,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는 가상의 평면(H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는 원형으로 연결될 수 있고, 원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가 원호로 이루어진 예로서, 상기 직경(r3)의 상기 가상의 원 둘레 상에서 홈이나 돌기가 컨테이너(2B)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홈이나 돌기는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이고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는 원호의 형태가 된다.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가 원호의 형태인 경우에도,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는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룬다.
컨테이너(2B)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은,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후술하는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 중 어느 하나 보다 축 내측 방향(XI)으로 들어가서 형성된다. 상기 컨테이너(2B)의 측면은,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후술하는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 중 어느 하나 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테이너(2B)의 측면은,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컨테이너(2B)의 측면이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의해 자명하므로 생략한다.
컨테이너(2B)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외향면, 291)은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보다 축 내측 방향(XI)으로 들어가서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2B)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외향면, 291)은,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컨테이너(2B)를 외부의 수평면(G)에 수직으로(수평면(G)과 중심축(X)이 평행한 것을 의미) 접근시킨다면, 컨테이너(2B) 중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가 먼저 상기 외부의 수평면(G)에 닿게 된다.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테두리(E1) 및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테두리(E1)는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직경(r3)은 상기 직경(r1)과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직경(r3)은 상기 직경(r1)보다 크다.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가 상하로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 및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는 동시에 수평면(G)에 접촉 가능하도록 액세서리(2A,2B)가 구비된다.
도 58 및 59를 참고하여, 수평면(G)에 상측 테두리(E1) 및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가 접촉한 상태에서 액세서리(2A,2B)가 굴러가게 되면, 상기 직경(r1) 및 직경(r3)이 서로 다르므로 액세서리(2A,2B)는 일 측으로 선회 동작을 하게 된다. 도 58을 참고하여, 상기 직경(r1)이 상기 직경(r3)보다 작고, 액세서리(2A,2B)는 상측 테두리(E1) 방향(T4)으로 선회하게 된다. 도 59에서는, 상측 테두리(E1)가 남기는 트랙(l4)과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가 남기는 트랙(l5)이 도시된다. 점(p4) 및 점(p5)에 각각 상측 테두리(E1) 및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가 접촉하여 액세서리(2A,2B)가 굴러가게 되면, 직경이 더 작은 테두리가 있는 방향(T4)으로 선회하게 된다. 선회 동작을 통해서 액세서리(2A,2B)는 최초 멀리 이동하는 방향에서 다시 되돌아 오는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다.
도 56 및 57을 참고하여, 중심축(X)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 4소정 도형을 가정할 때, 컨테이너(2B)는 상기 제 4소정 도형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를 포함한다. 도 56을 참고하여,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는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는, 메인 바디(2A)와 컨테이너(2B)의 외측 경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소정 도형은 소정 직경(r4)의 원일 수 있다. 중심축(X)에 수직으로 배치된 소정 직경(r4)의 원을 가정할 때, 컨테이너(2B)는 소정 직경(r4)의 가상의 원 둘레를 따라 연장된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를 포함한다. 도 56을 참고하여,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는 가상의 평면(H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직경(r4)은 상기 직경(r3)과 다르다. 상기 직경(r4)은 상기 직경(r3)보다 작을 수 있다.
컨테이너(2B)가 지면에 떨어지거나 컨테이너(2B)가 지면을 따라 굴러갈 때, 컨테이너(2B)가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 방향으로 빠른 시간 내 전복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원리는 상술한 메인 바디(2A)의 전복 동작 기능에 대한 원리와 같아, 설명을 생략한다. 컨테이너(2B)의 유실 위험성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멀리까지 굴러간 컨테이너(2B)를 잡기 위해 사용자가 과다하게 이동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가 원호로 이루어진 예로서, 상기 직경(r4)의 상기 가상의 원 둘레 상에서 홈이나 돌기가 컨테이너(2B)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홈이나 돌기는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이고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는 원호의 형태가 된다.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가 원호의 형태인 경우에도,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는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룬다.
컨테이너(2B)의 축 외측 방향(XO) 측면은,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 중 어느 하나 보다 축 내측 방향(XI)으로 들어가서 형성된다. 상기 컨테이너(2B)의 측면은,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 중 어느 하나 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테이너(2B)의 측면은,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컨테이너(2B)의 측면이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 보다 중심축(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의해 자명하므로 생략한다.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는,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컨테이너(2B)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시에 수평면(G)에 닿는 지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6에서는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컨테이너(2B)의 측면과 동시에 수평면(G)에 닿는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를 도시한다.)
컨테이너(2B)의 측면(외향면, 291)은,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2B)의 측면(외향면, 291)은,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경사면의 경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2B)의 측면(외향면, 291)의 경사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점점 바뀌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2B)의 측면(외향면, 291)의 경사면에는 홈 이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2B)의 높이는 상기 직경(r4)보다 작을 수 있다. 컨테이너 하측 테두리(E3) 및 컨테이너(2B)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컨테이너 상측 테두리(E4)가 동시에 수평면(G)에 닿는 컨테이너 측면 세움 상태에서, 컨테이너(2B)의 높이가 작을수록 상기 컨테이너 측면 세움 상태가 더욱 불안정(unstable)해진다. 이로 인해, 컨테이너(2B)의 완전한 전복이 더욱 원활하고 빠르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0 내지 63을 참고하여, 액세서리(2)를 제조하는 장치 및 액세서리(2)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2B)는 메인 바디(2A)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바디 결합부를 상측에 구비하고, 메인 바디(2A) 컨테이너(2B)와 결합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노출부(201)를 포함하며, 노출부(201)는 메인 바디(2A)의 상측부에 형성된다. 메인 바디(2A)는 노출부(201)의 측면을 형성시키는 측면 부재(231)를 포함하고, 측면 부재(231)의 상단의 축 외측 방향(XO)의 모서리는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진 액세서리(2)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인 바디(2A)를 컨테이너(2B)에 탈부착 시키려면, 사용자는 손으로 메인 바디(2A)의 노출부(201)에 해당하는 부분인 측면 부재(231)를 잡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에 상측 테두리(E1)가 접촉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메인 바디(2A)를 컨테이너에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손에 힘을 주어 측면 부재(231)를 잡게 되고, 상측 테두리(E1)는 사용자의 손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측 테두리(E1)는 곡률을 가진 모서리를 형성하게 하여, 상측 테두리(E1)가 사용자의 손에 가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메인 바디(2A) 그립감(그립시의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2A)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부재(231)를 포함한다. 측면 부재(231)의 측면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측면 부재(231)의 상단의 축 외측 방향(XO)의 모서리는 메인 바디(2A)의 상측 테두리(E1)를 형성한다.
이 경우, 중심축(X)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직 단면 상에서, 상측 테두리(E1)는 예각을 가진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인 바디(2A)를 손으로 잡을 경우, 상측 테두리(E1)가 사용자의 손에 가하는 압력은 더욱 집중될 수 있어, 상측 테두리(E1)은 곡률을 가진 모서리를 형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 부재의 상단의 축 내측 방향(XI)의 모서리는 내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테두리는 각진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테두리는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이므로, 사용자의 메인 바디(2A) 그립감과 무관하다.
한편, 상기 내측 테두리의 상면은 인접하는 스위치 패널(210)의 테두리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스위치 패널(210)의 테두리측 말단은 측면 부재(231)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상기 내측 테두리는 각진 모서리로 형성시켜, 스위치 패널(210)에서 측면 부재(231)의 상단으로 연결되는 상측 표면이 매끄럽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돔형의 스위치 패널(21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스위치 패널(210)이 테두리측으로 넓어지려는 탄성 변형을 측면 부재(231)의 상단부의 내측벽이 막아주게 된다. 상기 내측 테두리는 각진 모서리로 형성시켜, 스위치 패널(210)의 테두리측 말단이 보다 안정적으로 측면 부재(231)의 상단부의 내측벽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바디(2A)는 사출 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측면 케이스(230)는 사출 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측면 부재(231)는 사출 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사출 성형이 가능한 재질은, 합성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측 테두리(E1)가 곡률을 가진 모서리를 형성시키기 위한,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28 및 60 내지 63을 참고한다. 도 28의 Z부분은 측면 부재(231)의 단면 부분이다. 도 60은, 측면 부재(231)의 상기 단면 부분(Z)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출 성형기(310a, 310b)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1 내지 63에서는, 사출 성형기(310b)를 구성하는 복수의 사출 성형부(311b, 312b, 313b)를 도시한다. 도 61 내지 63에서는, 복수의 사출 성형부(311b, 312b, 313b)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체결 장치에 대한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고, 사출물을 주입하는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서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장치는, 액세서리(2)의 부품 중 하나인 측면 케이스(230)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기(310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장치는, 측면 부재(231)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기(310b)를 포함한다.
도 60(b)를 참고하여, 사출 성형기(310b)는, 측면 부재(231)의 상단, 상기 상측 테두리(E1) 및 상기 측면 부재(231)의 측면의 상측부를 구획하는 면이 일체로 연결된 사출 성형부(312b)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 성형부(312b)는, 상기 상측 테두리(E1)를 구획하는 모서리가 오목한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측 테두리(E1)는 곡률을 가진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기(310b)는, 측면 부재(231)의 상단, 상기 상측 테두리(E1) 및 상기 측면 부재(231)의 내측 테두리 중 상기 내측 테두리에만 파팅 라인(PLb)를 형성할 수 있다. 파팅 라인(parting line)은 사출 성형 과정에서 흔적을 남기게 된다. 특히, 파팅 라인이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사출물의 모서리는 각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60(a)의 사출 성형기(310a)에서는 2개의 사출 성형부(311a,312a)가 파팅 라인(PLa)을 상측 테두리(E1)에 형성하고, 이 경우 상측 테두리(E1)는 각진 모서리를 형성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0(b)의 사출 성형기(310b)에서는, 2개의 사출 성형부(311b,312b)가 파팅 라인(PLb)을 내측 테두리에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내측 테두리는 각진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으면서, 상측 테두리(E1)는 곡률을 가진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1 내지 63을 참고하여, 상기 사출 성형기(310b)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출 성형기(310b)는, 측면 케이스(230)의 상측부의 성형 라인을 구획하는 상측 사출 성형부(311b)와, 측면 케이스(230)의 측면(측면 부재(231)의 측면)의 성형 라인을 구획하는 측면 사출 성형부(312b)와, 측면 케이스(230)의 하측부의 성형 라인을 구획하는 하측 사출 성형부(313b)를 포함한다.
상측 사출 성형부(311b), 측면 사출 성형부(312b) 및 하측 사출 성형부(313b)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사출 성형부(313b)는 측면 케이스(230)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파팅 라인을 형성하는 2개의 사출 성형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장치는, 복수의 사출 성형부(311b, 312b, 313b)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체결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장치는, 복수의 사출 성형부(311b, 312b, 313b)를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장치는, 사출 성형기(310b)의 내부에 사출물을 주입하는 구조(미도시)를 포함한다.
측면 사출 성형부(312b)는, 측면 부재(231)의 상단의 성형 라인을 구획하는 동시에 측면 부재(231)의 측면(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경사면)의 성형 라인을 구획한다. 측면 사출 성형부(312b)는, 수평 방향(예를 들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한 제 1측면 사출 성형부(312b1) 및 제 2측면 사출 성형부(312b2)를 포함한다. 제 1측면 사출 성형부(312b1)와 제 2측면 사출 성형부(312b2)의 파팅 라인(미도시)는 측면 부재(231)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측 사출 성형부(311b)는 사출물이 형성된 이후 상측 방향으로 제거한다. 따라서, 상측 사출 성형부(311b)와 측면 사출 성형부(312b)의 파팅 라인(PLb)은 상기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측면 사출 성형부(312b)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내측 테두리는 각진 모서리를 형성하고, 상측 테두리(E1)는 곡률을 가진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방법은 측면 케이스(230)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방법은 측면 부재(231)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 성형 단계는, 측면 부재(231)의 상단, 상측 테두리(E1) 및 측면 부재(231)의 측면의 상측부를 구획하는 면이 일체로 연결된 사출 성형기에 사출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출 성형 단계에서, 측면 부재(231)의 상단, 상측 테두리(E1) 및 측면 부재(231)의 상기 내측 테두리 중 상기 내측 테두리에만 파팅 라인(PLb)을 형성시킨다.
상기 사출 성형 단계는, 측면 부재(231)의 상단, 상측 테두리(E1) 및 측면 부재(231)의 측면의 상측부를 구획하는 면이 일체로 연결된 사출 성형기를 사출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중, 상기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자명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2 : 액세서리
2A : 메인 바디
2B : 컨테이너 2C : 리플렉터
2D : 방수 부재 201 : 메인 바디의 노출부
202 : 메인 바디의 삽입부 205 : 컨테이너의 외측부
206 : 컨테이너의 내측부 210 : 스위치 패널
220 : 스위치 가동부 230 : 측면 케이스
240 : 상측 PCB 250 : 하측 PCB
260 : 투과 부재 270 : 하면 케이스
280 : 컨테이너 본체 290 : 컨테이너 측면 부재
2B : 컨테이너 2C : 리플렉터
2D : 방수 부재 201 : 메인 바디의 노출부
202 : 메인 바디의 삽입부 205 : 컨테이너의 외측부
206 : 컨테이너의 내측부 210 : 스위치 패널
220 : 스위치 가동부 230 : 측면 케이스
240 : 상측 PCB 250 : 하측 PCB
260 : 투과 부재 270 : 하면 케이스
280 : 컨테이너 본체 290 : 컨테이너 측면 부재
Claims (20)
-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려지는 메인 스위치; 및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을 횡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탄성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제 1굴곡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제 2굴곡부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에 제어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소정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광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시 탄성 변형되는 스위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스위치 패널 및 상기 메인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패널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될 때 같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액세서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패널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곡률을 가진 돔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액세서리.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메인 바디의 중심축(X)을 중심으로 둘레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패널의 둘레는 상기 측면 부재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동부는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중앙부에서 가장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굴곡부는,
상기 중앙부 측의 말단이 타측의 말단보다 높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굴곡부는,
상기 중앙부 측의 말단이 타측의 말단보다 높도록 배치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탄성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중심축(X)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연장된 테두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테두리 부재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굴곡부 및 상기 제 2굴곡부는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중앙부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수평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판재는 상기 제 1굴곡부 및 제 2굴곡부 보다 두꺼운 판재로 형성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탄성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1굴곡부를 연결하는 제 1연결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2굴곡부를 연결하는 제 2연결부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측의 말단에서 상기 제 1굴곡부 측의 말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연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측의 말단에서 상기 제 2굴곡부 측의 말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액세서리.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고리 형으로 형성되는 테두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테두리 부재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액세서리.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굴곡부, 제 2굴곡부, 제 1연결부 및 제 2연결부는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중앙부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수평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판재는, 상기 제 1굴곡부, 제 2굴곡부, 제 1연결부 및 제 2연결부 보다 두꺼운 판재로 형성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중앙부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수평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수평 판재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누름 돌기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동부는, 굴곡부 깊이(d2)가 스트로크 길이(d1)보다 크도록 구비되는 액세서리. -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려지는 메인 스위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시 탄성 변형되는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스위치 패널과 같이 탄성 변형되는 스위치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부는,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을 횡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탄성 가동부; 및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탄성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려지는 메인 스위치;
상기 메인 스위치의 상측을 횡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탄성 가동부; 및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탄성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중심축(X)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연장된 테두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테두리 부재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액세서리. -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려지는 메인 스위치를 구비하는 PCB;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시 탄성 변형되는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스위치 패널과 같이 눌려지어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스위치 가동부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605,019 US10139856B2 (en) | 2016-05-25 | 2017-05-25 | Accessory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662341566P | 2016-05-25 | 2016-05-25 | |
US62/341,566 | 2016-05-25 | ||
KRPCT/KR2016/007314 | 2016-07-06 | ||
PCT/KR2016/007314 WO2017039137A1 (ko) | 2015-09-03 | 2016-07-06 | 액세서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3230A true KR20170133230A (ko) | 2017-12-05 |
KR102422003B1 KR102422003B1 (ko) | 2022-07-15 |
Family
ID=60920843
Famil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6334A KR102478280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
KR1020160106328A KR102486293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
KR1020160106336A KR102486292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35A KR102478279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
KR1020160106330A KR102407644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32A KR102478281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
KR1020160106337A KR102407642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31A KR102407643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29A KR102407645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33A KR102582268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
KR1020160115246A KR102422003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
KR1020160115245A KR102422004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
KR1020160115247A KR102422002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
KR1020160115243A KR102422006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
KR1020160115244A KR102422005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KR1020160115248A KR102485730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0)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6334A KR102478280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
KR1020160106328A KR102486293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
KR1020160106336A KR102486292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35A KR102478279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
KR1020160106330A KR102407644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32A KR102478281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
KR1020160106337A KR102407642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31A KR102407643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29A KR102407645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
KR1020160106333A KR102582268B1 (ko) | 2016-05-25 | 2016-08-22 |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5245A KR102422004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
KR1020160115247A KR102422002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
KR1020160115243A KR102422006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
KR1020160115244A KR102422005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KR1020160115248A KR102485730B1 (ko) | 2016-05-25 | 2016-09-07 | 액세서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6) | KR102478280B1 (ko) |
TW (1) | TWI73662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33436A1 (en) * | 2018-08-07 | 2020-02-13 | Traitel Technologies Corporation | A button module |
KR102489873B1 (ko) * | 2018-08-08 | 2023-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220119965A (ko) * | 2021-02-22 | 2022-08-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방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601845B1 (ko) * | 2021-11-09 | 2023-11-15 | 주식회사 디에스피 | 차량용 스피커 그릴 및 그 제조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770B1 (ko) * | 2008-10-10 | 2009-05-11 | 에이테크솔루션(주) | 일체형 푸쉬블록 유닛이 포함된 사출금형 |
US20130090767A1 (en) * | 2011-10-07 | 2013-04-11 | Nest Labs, Inc. |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report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an hvac system controlled by a self-programming network-connected thermostat |
KR20140064694A (ko) * | 2012-11-20 | 2014-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착용식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그 디바이스의 외향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스처 입력 |
KR20160010093A (ko) * | 2014-07-18 | 2016-0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8439A (ja) * | 1989-06-14 | 1991-01-28 | Motozou Ueda | 流し台用水切篭の製造方法 |
JPH0666190U (ja) * | 1993-02-19 | 1994-09-16 | 旭光学工業株式会社 | 光学式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
KR970006325Y1 (ko) * | 1995-03-16 | 1997-06-24 | 장남수 | 각도조절이 가능한 3웨이 스피커케이스 |
KR200153434Y1 (ko) * | 1997-06-28 | 1999-08-02 | 노인규 | 지도판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방향표시구 |
KR20030055812A (ko) * | 2001-12-27 | 2003-07-04 | 에스텍 주식회사 | 앰프 부착용 스피커 시스템의 방열 구조 |
US20060003709A1 (en) * | 2004-06-30 | 2006-01-05 | Nokia Corporation | Protective enclosure for a mobile terminal |
KR100629884B1 (ko) | 2004-11-26 | 2006-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적외선 통신장치 |
US7349207B2 (en) * | 2005-09-08 | 2008-03-25 | Brookstone Purchasing, Inc. | Heat dissipating audio systems and methods thereof |
JP4835138B2 (ja) * | 2005-12-09 | 2011-12-14 | ソニー株式会社 | スピーカ装置 |
KR101301834B1 (ko) | 2007-05-09 | 2013-08-29 |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 소형 자율 커버리지 로봇 |
KR100830556B1 (ko) * | 2007-11-15 | 2008-05-22 | (주)화이트클라우드 | 블루투스 스피커 |
KR100941055B1 (ko) * | 2008-02-11 | 2010-02-05 | (주)보성전자 | 스피커시스템의 후음출력구 먼지를 흡착하며 이동을 방지하는 장치 |
EP2857863A3 (en) * | 2010-04-09 | 2015-07-15 | Landauer, Inc. | Power system for dosimeter reader |
US20110248846A1 (en) | 2010-04-13 | 2011-10-13 | Green SHM Systems, Inc, Incorporated | Wireless Sensing Module and Method of Operation |
JP5366881B2 (ja) | 2010-05-13 | 2013-12-11 | 株式会社長府製作所 | 防水リモコン装置 |
US20120118451A1 (en) * | 2010-11-17 | 2012-05-17 | Berning Jeffrey W | Golf club cover music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for |
KR20120097006A (ko) * | 2011-02-24 | 2012-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센서 데이터 운용 시스템 및 방법 |
DE102011078234B4 (de) * | 2011-06-28 | 2021-04-1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pritzgußtechnisch hergestelltes Abdeckelement mit ungestörtem Lochmuster |
JP2014534405A (ja) * | 2011-10-21 | 2014-12-18 | ネスト・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ユーザフレンドリーな、ネットワーク接続された学習サーモスタット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
JP6169325B2 (ja) | 2012-05-07 | 2017-07-26 | シャープ株式会社 | 自走式電子機器、端末装置、およびリモコン付き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 |
KR20140032648A (ko) * | 2012-09-07 | 2014-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9414166B2 (en) * | 2012-09-27 | 2016-08-0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Wireless peripheral hub device |
WO2014067047A1 (zh) * | 2012-10-29 | 2014-05-08 | 华为技术有限公司 | 波长可调激光器、无源光网络系统和设备 |
US9036858B1 (en) * | 2013-03-15 | 2015-05-19 | Audient, LLC | Customizable audio speaker assembly |
WO2015126095A1 (ko) * | 2014-02-21 | 2015-08-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
US9549237B2 (en) * | 2014-04-30 | 2017-01-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ing radiator compression driver features |
-
2016
- 2016-08-22 KR KR1020160106334A patent/KR1024782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2 KR KR1020160106328A patent/KR1024862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2 KR KR1020160106336A patent/KR1024862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2 KR KR1020160106335A patent/KR1024782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2 KR KR1020160106330A patent/KR1024076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2 KR KR1020160106332A patent/KR10247828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2 KR KR1020160106337A patent/KR1024076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2 KR KR1020160106331A patent/KR1024076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2 KR KR1020160106329A patent/KR1024076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2 KR KR1020160106333A patent/KR1025822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7 KR KR1020160115246A patent/KR1024220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7 KR KR1020160115245A patent/KR1024220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7 KR KR1020160115247A patent/KR1024220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7 KR KR1020160115243A patent/KR1024220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7 KR KR1020160115244A patent/KR1024220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7 KR KR1020160115248A patent/KR1024857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5-05 TW TW106115048A patent/TWI73662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770B1 (ko) * | 2008-10-10 | 2009-05-11 | 에이테크솔루션(주) | 일체형 푸쉬블록 유닛이 포함된 사출금형 |
US20130090767A1 (en) * | 2011-10-07 | 2013-04-11 | Nest Labs, Inc. |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report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an hvac system controlled by a self-programming network-connected thermostat |
KR20140064694A (ko) * | 2012-11-20 | 2014-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착용식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그 디바이스의 외향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스처 입력 |
KR20160010093A (ko) * | 2014-07-18 | 2016-0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46721A1 (en) | Accessory | |
KR20170133230A (ko) | 액세서리 | |
US10110974B2 (en) | Accessory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internet of things | |
JP7033635B2 (ja) | 範囲拡張装置 | |
US10139857B2 (en) | Accessory | |
US10204513B2 (en) | Accessory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Internet of Things | |
EP3095099B1 (en) |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 |
KR102104450B1 (ko) |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 |
US10139856B2 (en) | Accessory assembly | |
US10097640B2 (en) | Accessory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internet of things | |
US10146255B2 (en) | Accessory communication device | |
KR101698472B1 (ko) | 베이스 블록 및 조립완구 | |
CN208768119U (zh) | 用于电子设备的壳体组件和具有其的电子设备 | |
CN203760332U (zh) | 开关结构 | |
CN203839226U (zh) | 按钮开关 | |
CN215607447U (zh) | 按摩颈枕 | |
KR101434998B1 (ko) |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및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 |
KR20140101071A (ko) | 세탁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