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280B1 - 음향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280B1
KR102478280B1 KR1020160106334A KR20160106334A KR102478280B1 KR 102478280 B1 KR102478280 B1 KR 102478280B1 KR 1020160106334 A KR1020160106334 A KR 1020160106334A KR 20160106334 A KR20160106334 A KR 20160106334A KR 102478280 B1 KR102478280 B1 KR 10247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vice
rubber
support
ope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223A (ko
Inventor
지상훈
김상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6/00733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19563A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향출력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 상기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 및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바닥부의 저면에 러버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외벽부가 상기 그릴의 하단과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러버 삽입 홈 내에 삽입되고, 일부분이 상기 러버 삽입 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 러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출력장치{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본 발명은 음향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을 출력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이하, "음향출력장치"라고 함.)에는 음악, 녹음, 알림, 효과음 등의 각종 음향 데이터가 디지털화되어 저장되며,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이더넷(Ethernet),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의 유선 데이터 전송이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기반의 무선 데이터 전송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받아 음향을 출력한다.
최근의 음향출력장치는,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자원으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전송 받는 기능뿐만 아니라, 주변의 기기들과 상호 통신을 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도 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액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기도 한다.
종래의 네트워크에는,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기기가 액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었고, 인터넷과 연결된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와 정보를 공유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가전기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기능에도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를 통해 냉장고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 상기 냉장고에 구비된 센서들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냉장고와 공유할 수 있는 정보도 제한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로 최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물들 간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각종 기기에 통신, 센서 기능 등을 부가하여, 기기 스스로 정보를 주거나 받고, 정보를 처리해 자동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렇게 다양화된 네트워크 환경에 부응하여, 기기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기기들과 공유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보다 적극적으로 소통이 가능한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음향출력장치가 바닥상에 견실하게 지지됨으로써, 전복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주방의 조리대, 욕실, 싱크대와 같이 물 뭍은 바닥 상에 거치되더라도, 내부에 구비된 전장 부품들이 침수되지 않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향출력장치가 소형, 경량화 될수록 이동성은 좋아지나,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들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음향출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음향출력장치가 거치되는 바닥과 상기 음향출력장치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상기 음향출력장치가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성하는 베이스 바디가 상기 허브가 물 뭍은 바닥 상에 거치되더라도, 상기 베이스 바디가 젖지 않도록 한 음향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음향출력장치의 바닥에 전원 코드에 구비된 어댑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넷째, 전원 코드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음향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향출력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장치가 견실하게 지지되기 위해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가 배치되는 바닥과 상기 베이스 간에 충분한 마찰력이 작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는 바닥부의 저면에 러버 삽입 홈이 형성된 베이스 바디와, 상기 러버 삽입 홈 내에 삽입되는 지지 러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러버는 상기 베이스 바디를 상기 바닥과 이격시키는 역할도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지지 러버는 상기 러버 삽입 홈과 대응하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러버 삽입 홈과 결합되는 러버 본체와, 상기 러버 본체로부터 상기 러버 삽입 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전원코드의 어댑터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바닥부 저면 상에 개구부가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면과,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는 전원 코드의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소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단자가 상기 소켓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코드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벽부의 외측면에는 외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는 내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저면은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를 연결하는 코드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코드 고정 홈은 상기 코드 삽입구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 사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향출력장치는 지지 러버와 바닥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쉽게 전복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향출력장치가 물 뭍은 바닥 상에 거치되더라도, 상기 지지 러버에 의해 베이스 바디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베이스 바디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향출력장치의 바닥에 형성된 홈 내에 전원 코드에 구비된 어댑터가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어댑터로 인해 음향출력장치 주변이 어지럽혀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코드를 고정시키는 홈이 상기 베이스 바디에 형성됨으로써, 불필요한 외력에 의해 상기 전원 코드가 당겨지거나, 음향출력장치를 들어 올리더라도, 장력이 분산되어, 상기 전원 코드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음향출력장치의 정면도(a)와, (a)에 표시된 A1-A1을 따라 취한 단면도(b)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a은 음향출력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표시된 각 부분에서 취한 그릴의 단면도들이다.
도 7은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주요부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윈도우가 제거된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은 윈도우 서포트의 상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윈도우 서포트의 저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c는 윈도우 서포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10d는 윈도우 서포트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커버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2a는 도 11에 표시된 B3-B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에 표시된 A3-A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1에 표시된 C3-C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 11에 표시된 D3-D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F1-F1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F2-F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윈도우 서포트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PCB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디스플레이 PCB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커버와 불륨 버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커버 하우징의 평면도(a)와, 사시도(b)이다.
도 21은 커버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본체를 상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체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전면 케이스(a)와, 후면 케이스(b)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체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와이파이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들의 위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7은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와, 직비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의 위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체, 방열판, 메인 PCB, 베이스 바디 및 지지 러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방열판의 지지탭이 확대되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체와 베이스 간의 결합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1은 베이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2는 본체, 그릴 및 스피커 케이스의 결합구조가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베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청구항에 기재된 “제 1”, “제 2” 등의 표현은,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부여된 것으로, 이들 뒤에 같은 단어가 기재될 시, 이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목적일 뿐, 뒤에 오는 단어와 결합되어 고유명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1”, “제 2” 등의 표현이 부여된 단어가 어떤 구성을 지칭하는 것인지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한정사항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파악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일정한 공간 내에서 상호 통신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기들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써, 도 1은 가정 내에 구축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장치(1)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갖춘 음향출력장치(1)를 예로 드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관점에 따라서는 장치(1)를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Hub)라고 칭할 수도 있음을 명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액세서리(accessary, 2, 3a, 3b), 게이트웨이(gateway, 4),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7) 및 음향출력장치(또는, 허브, 1)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 3a, 3b), 게이트웨이(4), 액세스 포인트(7) 및/또는 음향출력장치(1)는 정해진 통신규약(protocol)에 따라 상호 통신이 가능하고, 이러한 통신은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파이(Wi-fi)는 본래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의 상표명이나, 무선통신 기술로써 통용되고 있는 용어로써, 무선 랜(WLAN) 규격(IEEE 802.11)에서 정한 제반 규정에 따라 장치들 간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와이파이 P2P), 들 간의 무선랜 연결과,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이하, “와이파이 모듈”은 와이파이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통신을 하는 기기로 정의한다.
이더넷(Ethernet)은, 국제전자공학협회(IEEE)의 802.3 표준에 따른 네트워킹 기술로서, 근거리 통신망(LAN) 하드웨어, 프로토콜, 케이블의 가장 대표적인 표준이다. 이더넷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로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사용한다. 이하, “이더넷 모듈”은 이더넷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을 하는 기기로 정의한다.
직비(Zigbee)는 소형,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이용해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통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써, IEEE 802.15에서 정한 규정에 따른 통신 방식이다. 작은 크기로 전력 소모량이 적고 값이 싸 홈 네트워크 등 유비쿼터스 구축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지능형 홈 네트워크, 빌딩 등의 근거리 통신 시장과 산업용 기기 자동화, 물류, 휴먼 인터페이스, 텔레매틱스, 환경 모니터링, 군사 등에 활용된다.
직비 프로토콜은 물리 계층,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네트워크 계층,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비의 물리 계층과 MAC 계층은 IEEE 802.15.4 표준에 정의되어 있다.
직비 네트워크 계층은 트리 구조와 메쉬 구조를 위한 라우팅과 어드레싱를 지원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로는 ZigBee Home Automation Public Profile과 ZigBee Smart Energy Profile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또 새로운 직비 사양인 RF4CE는 가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솔루션과 스타 토폴로지를 위한 간단한 네트워크 스택을 정의하고 있는데, RF4CE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AES-128을 이용한 보안을 제공한다.
직비는 낮은 수준의 전송 속도로도 충분하면서 긴 베터리 수명과 보안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며, 주기적 또는 간헐적인 데이터 전송이나 센서 및 입력 장치 등의 단순 신호 전달을 위한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응용 분야에는 무선 조명 스위치, 가내 전력량계, 교통 관리 시스템, 그 밖에 근거리 저속 통신을 필요로 하는 개인 및 산업용 장치 등이 있다. 직비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같은 다른 WPAN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단순하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직비 모듈”은 직비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기기로 정의한다.
지웨이브(Z-wave)는 가정 자동화와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저전력과 저대역폭을 요구하는 장치를 위해 설계된 무선 전송 방식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들과 제어 유니트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지웨이브는 물리 계층,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전송 계층, 라우팅 계층,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900MHz 대역(유럽: 869MHz, 미국: 908MHz)과 2.4GHz 대역을 사용하면서 9.6kbps, 40kbps, 그리고 200k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이하, “지웨이브 모듈”은 지웨이브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기기로 정의한다.
액세서리(2)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IR: Infrared)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센서들에 의해 획득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향출력장치(1)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역으로, 음향출력장치(1)로부터 상기 센서들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액세서리(2)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액세서리(2)는 주변에 위치한 가전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신부와, 상기 발신부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물체에 맞고 반사된 경우에 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7)는 무선장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장치로써, 홈 네트워크를 인터넷과 연결한다. 가전기기(5)와, 음향출력장치(1), 액세서리(3b) 등은 액세스 포인트(7)와 유선(예를 들어, 이더넷) 또는 무선(예를 들어, 와이파이)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4)는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이들 네트워크들을 서로 연결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 3b)로부터 수신된 직비(또는, 지웨이브) 방식의 신호를 와이파이 방식의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액세서리(2, 3b)와 액세스 포인트(7)를 중계할 수 있다.
한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7)를 통해 인터넷과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8)와 접속될 수 있다. 서버(또는, 클라우드(cloud), 8)는 액세서리(2, 3a, 3b) 및/또는 음향출력장치(1)를 제조하는 제조자, 판매하는 판매자 또는 상기 제조자 또는 판매자와 계약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서버(8)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는 홈네트워크로부터 받은 것일 수 있다. 음향출력장치(1)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서버(8)는 저장된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8)는 인터넷에 접속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와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음향출력장치(1)나 액세서리(2, 3a, 3b)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서버(8)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서버(8)와 접속된 이동 단말기(6)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6)로부터 전송된 정보 역시 서버(8)를 경유하여 음향출력장치(1)나 액세서리(2, 3a, 3b)로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동 단말기(6)를 통해 음향출력장치(1)나 악세서리(2, 3a, 3b)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6)의 일종으로써,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은 그래픽 기반의 편리한 UI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UI를 통해 액세서리(2, 3a, 3b)를 제어하거나, 액세서리(2, 3a, 3b)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액세서리(2, 3a, 3b)를 통해 구현 가능한 기능을 확장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6)를 활용하지 않고, 음향출력장치(1) 만으로도 액세서리(2, 3a, 3b)를 제어하거나, 액세서리(2, 3a, 3b)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웨이(4)와 액세스 포인트(7)를 매개로, 음향출력장치(1)와 액세서리(2, 3a, 3b) 상호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액세서리(2, 3b)로부터 출력된 신호(또는, 정보)가 게이트웨이(4)와 액세스 포인트(7)를 차례로 경유하여 음향출력장치(1)로 전송되며, 반대로, 음향출력장치(1)로부터 출력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7)와 게이트웨이(4)를 차례로 경유하여 액세서리(2, 3b)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액세서리(2, 3a, 3b)와 음향출력장치(1) 간의 통신은, 네트워크가 인터넷과 단절된 경우에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액세서리들(2, 3a, 3b)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는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센서, 스마트 플러그, CT센서, nest 온도조절기, 수면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는 가전기기(5)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센서를 구비한 액세서리를 세탁기에 부착하여, 세탁기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액세서리는 가전기기(5) 이외의 장소에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거 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고자 하는 경우, 동작 감지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를 구비한 액세서리를 벽면에 부착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장기간 상기 주거 내 도어의 개폐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거주인에게 변고가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바, 이러한 사정이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6)로 통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동작 감지 센서를 구비한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냉장고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고, 장기간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폐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거주인에게 변고가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바, 이러한 사정이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6)로 통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신호는 이동 단말기(6)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가전기기(5)의 작동 상태(예를 들어, 세탁기의 언밸런스 발생)나 도어의 개폐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또는 정보를 가공하여 도출된 결과(예를 들어, 세탁기의 비정상 동작을 알리는 경고, 또는, 장기간 도어가 개폐되지 않았는 바, 거주자의 신상을 확인할 것을 요구하는 알림 등)가 이동 단말기(6)의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음향출력장치(1)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기 탑재된 음성 인식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으로부터 명령을 추출하고,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시, 게이트웨이(4)가 구비되지 않으며, 게이트웨이(4)가 수행하던 기능을 음향출력장치(1)가 겸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그 이외의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액세서리(2, 3b)는 게이트웨이(4, 도 1 참조.)를 공유하지 않고, 음향출력장치(1)와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액세서리(2, 3b)와 음향출력장치(1)는 직비 방식을 통해 통신하며, 이 경우, 액세서리(2, 3b)와 음향출력장치(1)에는 각각 직비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음향출력장치의 정면도(a)와, (a)에 표시된 A1-A1을 따라 취한 단면도(b)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a은 음향출력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표시된 각 부분에서 취한 그릴의 단면도들이다. 도 7은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주요부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윈도우가 제거된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또는, 허브, 1)는 커버(10), 본체(40), 그릴(20) 및 베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0)는 하측에 위치한 베이스(30)에 의해 지지되고, 본체(40)의 상부에는 커버(10)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40)는 그릴(20) 내에 배치된다. 본체(40) 전부가 완전히 그릴(20) 내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40)는 일부분이 그릴(20)의 상단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릴(20)은 다수개의 통공(20h)이 형성되고,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본체(40)를 둘러 싼다.
통공(20h)을 통해 그릴(20) 내측으로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그릴(20)의 내측면에는 다공성의 필터(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메쉬 또는 부직포 등의 미세한 소공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 그릴(2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그릴(20) 내에 배치된 스피커(43, 44), 본체 케이스(41, 42) 등의 구성이 통공(20h)을 통해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도록 은폐하는 역할도 겸한다.
한편, 도 3에서는 그릴(20)의 일부분에는 통공(20h)이 형성되고, 다른 부분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생략된 것이며, 통공(20h)은 그릴(20)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되어(도 38 참조.), 후술하는 스피커(43, 44)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통공(20h)들을 통해 전, 후, 좌, 우, 사방으로 고르게 퍼져 나갈 수 있다.
커버(10)는 윈도우(11), 윈도우 서포트(12), 디스플레이(13), 디스플레이 PCB(Printed Circuit Board, 14) 및 커버 하우징(15)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1), 윈도우 서포트(12), 디스플레이(13) 및 디스플레이 PCB(14)는 커버 하우징(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은 재질은 합성수지이고, 본체(4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개구부(15h)가 형성된다. 커버 하우징(15)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단이 개구부(15h)를 한정하는 측벽(151)과, 측벽(151)의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측벽(151) 내부를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15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PCB(14), 디스플레이(13), 윈도우 서포트(12) 및 윈도우(11)는 구획판(152)의 상측에 배치된다. (커버 하우징(1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9 내지 도 20을 더 참조.)
측벽(151)의 하단(151a)은, 바람직하게는, 그릴(20)의 상단과 접하나, 공차로 인한 미세한 유격이 양자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측벽(151)의 하단(151a)은 그릴(20) 상단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측벽(151)의 외측면과 그릴(20)의 외측면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기는 하나, 상기 틈새를 제외하고는, 측벽(151)의 외측면과 그릴(20)의 외측면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외형을 이룬다.
상단 유지부(153)는 측벽(151)의 하단(151a)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그릴(20)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단 유지부(153)와 그릴(20)의 결합은,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상단 유지부(153)가 그릴(20)의 상단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또는, 끼워지는) 방식이며, 바람직하게는, 그릴(20)이나 상단 유지부(153) 자체가 갖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억지 끼움 방식이다.
상단 유지부(153)는 측벽(151)의 하단부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며(즉, 커버 하우징(15)의 외측면이 측벽(151)의 하단(151a)에서 함몰되어 상단 유지부(153)의 외측면을 이룸.), 따라서, 측벽(151)의 하단에는, 측벽(15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단 유지부(153)로 연장되어, 그릴(20)의 상단을 대향하는 면이 형성된다.
커버 하우징(15)은 측벽(15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기(154)가 돌출될 수 있고, 본체(40)의 전면부에는 돌기(154)와 결합되는 돌기 삽입 홈(418)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과 본체(4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돌기(154)가 본체(4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돌기 삽입 홈(418)에 이르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 하우징(15) 자체의 탄력성에 의해, 돌기 삽입 홈(418)내로 삽입된다.
상단 유지부(153)의 외측면이 그릴(20)의 내측면과 접함으로써, 그릴(20) 상단의 형태가 유지된다. 특히, 그릴(20)이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 그릴(20)은 상단 유지부(153)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릴(20)의 상단이 상단 유지부(153)와 대응하는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단 유지부(153)가 측벽(151)의 하단(151a)을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경우, 금속 판재를 말아서 단면의 형태가 정원형인 원통형의 그릴(20)을 형성한 후, 그릴(20)의 상단을 상단 유지부(153)에 끼우면, 그릴(20)의 형태 역시 상단 유지부(153)의 형상과 대응하여 타원형으로 변형되고, 이렇게 변형이 이루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지름이 r인 정원형의 윈도우(11)가 소정의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도 6a에 θ1으로 표시된 것으로, 예각임. 이하, "제 1 각도"라고도 명명함.)로 기울어지고, 윈도우(11)의 상면에 대한 법선 벡터(Vs)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얻은 벡터 Vh가 정전방을 향하는 경우에, 윈도우(11)를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는, 전후 방향으로 rcosθ1의 단반경을 갖고, 좌우 방향으로 r의 장반경을 갖는 타원이 된다. 따라서, 음향출력장치(1) 외형의 일체감을 위해서는 그릴(20)의 단면 역시 상기 타원과 대응하는 형태(즉, 단반경과 장반경의 비가 cosθ1: 1이 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단 유지부(153)를 상기 타원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그릴(20)의 단면의 형태를 상기 타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수평면에 대해 윈도우(11)가 기울어진 각도 θ1은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사용자의 시선을 고려하여 정해진 것으로써, 음향출력장치(1)가 주방의 조리대나 식탁 등의 대략 높이 1m 정도의 거치대에 거치된 경우에, 음향출력장치(1)의 전방에 위치한 일반적인 성인의 시선이 윈도우(11)의 상면과 90도 근접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정해지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20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표시된 화면이 전방의 상측을 향하도록 수평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윈도우(11)와 같은 각도(θ1)로 기울어져 있다. 후술하는 윈도우 지지판(121) 역시 디스플레이 패널(131) (또는, 윈도우(11))과 같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6a 내지 도 6b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의 상단은 외경 L1인 정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벽(151)의 하단(151a)의 외경은, 수평면에 대해 각도 θ2(θ2<θ1. 이하, θ2를 "제 2 각도"라고도 명명함.)로 기울어져, 좌우 방향으로는 La의 직경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Lb의 직경을 갖는 형태이다. 여기서, 측벽(151)의 외측면은 수직선에 소정의 각도(θ3)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도 6b의 단면 S1을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와, 단면 S2를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으나, θ3이 그 값이 충분이 작다면(바람직하게는, 5도 이하), La는 L1과 근사한 값을 갖는 바, 이하, La=L1라고 가정한다. 더 나아가, θ1과 θ2의 차이가 충분히 작다면(바람직하게는, 5도 이하), Lb 역시 L1과 근사한 값을 갖는 바, 이하, Lb=L1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θ3는 측벽(151)의 외측면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표시한 것으로써, 측벽(151)의 외측면 전 구간에서 일정한 값을 가질 수도 있으나, 측벽(151)의 둘레를 따라 그 값이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b의 단면 S3과 S4를 참조하면, 그릴(20)은 외경이 타원형(L1>L2)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L1의 장직경과, 전후 방향으로 L2의 단직경을 갖는다. 여기서, 위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La=L1, Lb=L1라고 할 때, L2는 L1cosθ1이 된다. 즉, 수평면에 정사영한 그릴(20)의 외형은 전후 방향의 직경(L2)이 좌우방향의 직격(L1)보다 짧은 형태의 타원이 된다. 윈도우(11)가 기울어져 배치되었음에도, 음향출력장치(1)를 위에서 내려다 볼 시, 그 외형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이 되어 일체감을 이룬다.
측벽(151)은 그릴(20)의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음향출력장치(1)의 외관을 이루나, 상단 유지부(153)는 그릴(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그릴(2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음향출력장치(1)의 외관상 보이지 않는다.
측벽(151)의 하단으로부터 위치 설정 돌기(156)가 돌출될 수 있고, 그릴(20)의 상단에는 그릴(20)이 정위치된 상태에서 위치 설정 돌기(156, 도 21 참조.)가 삽입되는 위치 설정 홈(26, 도 38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1)는 커버 하우징(15)의 개구부(15h)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1)는 일정한 두께의 투명판을 가공한 것으로써, 측면(또는, 외주면)이 상면 및 하면과 직교한다.
커버 하우징(15)의 내측면은, 커버 하우징(15)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일정 부분이, 윈도우(11)의 상면이 향하는 방향(즉, 도 6a에서 법선 벡터 Vs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다. 측벽(151) 의 상단부 내측면(151a)은 개구부(15h)를 한정하는 면인 바, 이하, 측벽(151)의 상단부 내측면(151a)을 개구부 한정면이라고 한다. 개구부 한정면(151a)은 개구부(15h)의 둘레부터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부 한정면(151a)에 의해 둘러 쌓인 내측에 윈도우(11)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윈도우(11)의 상면이 커버 하우징(15)의 상단과 같은 평면(또는, 개구부(15h)가 속하는 평면)에 속함으로써, 음향출력장치(1)의 상면이 하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 같은 일체감이 조성된다.
개구부 한정면(151a)은 어느 위치에서나 벡터 Vs와 평행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벡터 Vs와 평행한 임의의 평면으로 커버 하우징(15)을 절단하더라도, 그 단면 상에서 개구부 한정면(151a)은 벡터 Vs와 평행하다.
개구부 한정면(151a)과 윈도우(11)의 측면이 평행하기 때문에, 윈도우(11)의 중심과 개구부 한정면(151a)의 중심을 벡터 Vs을 따라 정렬시키면, 윈도우(11)의 측면의 전 구간이 개구부 한정면(151a)과 일정한 간격(g)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음향출력장치(1)를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시, 윈도우(11)와 커버 하우징(15)의 상단 사이에 일정한 간격(g)이 유지되는 것으로써, 제품의 완성도가 높아 보이는 것이기도 하다. 간격(g)은, 컨택 스위치(181a, 181b, 181c, 181d)를 동작시키기 위해 윈도우(11)가 가압될 시, 윈도우(11)의 측면이 개구부 한정면(151a)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최소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하우징(15)을 임의의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 그 절단면 상에서, 측벽(151)의 외측면은 법선 벡터(Vs)과 평행하거나, 하측으로 갈수록 법선 벡터(Vs)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을 사출 성형할 시, 측벽(151)을 형성하는 제 1 금형으로부터 커버 하우징(15)은 연직 하방으로 취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금형으로부터 커버 하우징(15)이 잘 빠질 수 있기 위해서는 측벽(151)의 외측면이 위와 같은 형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커버 하우징(15)의 상면에 개구부(15h)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개구부(15h)내로 삽입되는 코어를 갖는 별도의 제 2 금형이 필요하다. 상기 제 1 금형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금형을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하우징(15)을 상기 제 2 금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 2 금형의 이동은 법선 벡터(Vs)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도 10a은 윈도우 서포트의 상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윈도우 서포트의 저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c는 윈도우 서포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10d는 윈도우 서포트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커버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2a는 도 11에 표시된 B3-B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에 표시된 A3-A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1에 표시된 C3-C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 11에 표시된 D3-D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F1-F1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F2-F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윈도우 서포트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PCB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디스플레이 PCB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커버와 불륨 버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커버 하우징의 저면도(a)와, 사시도(b)이다. 도 21은 커버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21을 참조한다.
도 8,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PCB(14)는 구획판(152)의 상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3)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디스플레이 PCB(14)는 디스플레이(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디스플레이(13)는 커넥터(132)를 통해 상기 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PCB(14)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13)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로 4개의 컨택 스위치(181a, 181b, 181c, 181d)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PCB(14)는 중심부로부터 전, 후, 좌, 우로 연장된 십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가 구성된 기판(140)은, 대략 중심부로부터 각각 후방, 전방, 좌측, 우측의 사방으로 연장된 제 1 기판 암(145), 제 2 기판 암(146), 제 3 기판 암(147) 및 제 4 기판 암(148)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40)은 대략 십자 형태이나, 이러한 형태가 반드시 대칭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의 구획판(152)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PCB(14)의 둘레와 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리브(152a)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152a)는 디스플레이 PCB(14)의 둘레 전체와 대응하는 형태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PCB(14)의 둘레의 일부만 접하여도 되고, 실시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PCB(14)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지점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리브(152a)는 기판 암(145, 146, 147, 148)의 측변(즉, 기판(140)의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변)과 접하는 위치들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암들(145, 146, 147, 148) 각각에는 제 1 컨택 스위치(tact switch, 181a), 제 2 컨택 스위치(181b), 제 3 컨택 스위치(181c) 및 제 4 컨택 스위치(181d)가 배치될 수 있다. 컨택 스위치들(181a, 181b, 181c, 181d)은 기판(140)에 형성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PCB(14)에는 NFC 모듈(540, 도 7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NFC 모듈(540)은 NFC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써, 제 2 기판 암(146)에 형성된 NFC 장착부(146a)에 배치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RFID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동글(리더)이 필요하지 않다.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13)는 전기 신호를 입력 받아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3)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디스플레이 패널(131)을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와 연결하는 커넥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참조.).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접착부재(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171, 도 17 참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PCB(14)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PCB(14)는 후술하는 메인 PCB(48)와 소정의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회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PCB(14)나 메인 PCB(48) 중 어느 곳에 실장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디스플레이(13)는 메인 PCB(48)에 실장된 제어부(82, 도 7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예로 든다. 본체(40)의 측면에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홈(429)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화면에는 각종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82)는 메모리(8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구동뿐만 아니라, 음향출력장치(1)를 구성하는 전장품에 대한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스피커(43, 44)의 재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의 재생/정지/선곡 메뉴와, 재생 상태, 곡명, 가수/음반 정보, 가사, 볼륨 등의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음향출력장치(1)에 통신모듈(50)이 구비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통신모듈(50)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는 통신모듈(50)과 통신하는 액세서리(2, 3a, 3b)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거나, 액세서리(2, 3a, 3b)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가공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모듈(50)의 네트워크 연결상태, 액세서리(2)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밝기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피커(43, 44)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뉴가 표시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스피커(43, 44)를 통해 출력할 노래나 앨범을 선택하는 메뉴, 상기 앨범이나 노래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노래 제목, 앨범 명, 가수), 출력되고 있는 볼륨의 크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메뉴들에 대한 조작은, 컨택 스위치(181a, 181b, 181c, 181d)를 통해 가능하다. 각각의 컨택 스위치(181a, 181b, 181c, 181d)의 출력 신호가 어떻게 처리되는지는 메모리(84)에 기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어, 제 1, 2 컨택 스위치들(181a, 181b)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좌우로 표시된 메뉴들이 선택될 수 있으며, 제 3, 4 컨택 스위치들(181c, 181d)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하로 표시된 메뉴들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모듈(50b)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악, 이미지 등의 각종 데이터가 메모리(84)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82)는 메모리(84)에 저장된 음악이 출력되도록, 스피커(43, 44)를 제어할 수 있고, 음악의 선곡, 재생, 정지 등의 각종 기능이 컨택 스위치(181a, 181b, 181c, 181d)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PCB(14)의 기판(140)에는, 후술하는 윈도우 서포트(12)에 형성된 지지보스(122b)가 통과하는 관통구(140h)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40h)는 제 1 기판 암(145)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판(140)의 저면에는 한 쌍의 볼륨조절스위치(185a, 185b)가 구비될 수 있다. 볼륨조절스위치들(185a, 185b)은 본체(40)에 구비된 스피커(43, 44)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컨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볼륨조절스위치들(185a, 185b)은 눌러질 때마다 스피커(43, 44)의 볼륨이 증가되는 제 1 볼륨조절스위치(또는, 볼륨증가스위치(185a))와, 눌러질 때마다 스피커(43, 44)의 볼륨이 감소되는 제 2 볼륨조절스위치(또는, 볼륨감소스위치(185b))를 포함할 수 있다.
볼륨조절스위치들(185a, 185b)은 디스플레이 PCB(14)의 제 4 기판 암(148)에 배치될 수 있고, 볼륨조절스위치들(185a, 185b)의 가동 단자(스위칭 동작을 위해 눌러지는 부분)는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에는 볼륨 버튼(16)이 설치되는 개구부(151h)가 형성될 수 있다. 볼륨 버튼(16)은 돔(161)과 탄성 패드(16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패드(162)는 탄성을 갖는 재질(바람직하게는, 고무)로 된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패드(162)는 측벽(1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판상의 형태로써, 하우징(15)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부(162a)와, 지지부(162a)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스위치 가동 돌기(162b, 162c)와, 지지부(162a)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개구부(151h)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돔 고정 돌기(162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2a)는 크기가 개구부(151h)보다는 커, 외력에 의해 굽혀지지 않는 한, 개구부(151h)를 통해 커버 하우징(15)의 외부로 이탈되지는 않는다.
돔(161)은 재질은 합성수지이며, 일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돔 고정 돌기(162d)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돔 고정 돌기(162d)는 상기 홈 내에 억지 끼움되며, 별도의 접착 수단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돔 고정 돌기(162d)의 재질 자체가 갖는 탄성 또는 복원력에 의해, 돔(16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돔(161)과 돔 고정 돌기(162d)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돔(161)은 상면 및/또는 하면으로부터 이탈방지돌기(161c)가 돌출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61c)는 커버 하우징(15) 내측에 위치하며, 개구부(151h) 둘레에 걸림으로써, 돔(161)이 커버 하우징(1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실시예에서는, 돔(16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한 쌍씩의 이탈방지돌기(161c)가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 패드(162)가 개구부(151h)에 정위치 된 상태에서, 한 쌍의 스위치 가동 돌기(162b, 162c)는 각각 제 1 볼륨조절스위치(185a)와 제 2 볼륨조절스위치(185b)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돔(161)의 볼륨증가조작부(161a) 또는 볼륨감소조작부(161b)가 가압 되었을 시, 탄성 패드(162)의 스위치 가동 돌기들(162b, 162c)들이 볼륨증가스위치(185a) 또는 볼륨감소스위치(185b)를 동작 시키고, 그에 따라 스피커(43, 44)의 볼륨이 조절된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의 상측에는 대략 원형의 윈도우 서포트(12)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서포트(12)는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써,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윈도우 서포트(12)에는 개구부(12h)가 형성되며, 개구부(12h)를 통해 디스플레이(13)의 화면이 노출된다.
개구부(12h)는, 윈도우 서포트(12)의 하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31) 보다는 조금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에 표시된 화면이 개구부(12h)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좌우 방향의 가로가 전후 방향의 세로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개구부(12h) 역시 이러한 형태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길이 보다 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 서포트(12)는 중심부에 개구부(12h)가 형성되고, 상면에 윈도우(11)가 배치되는 윈도우 지지판(121)과, 윈도우 지지판(121)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조작 돌기들(126a, 126b, 126c, 126d)과, 윈도우 지지판(121)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보스(122a, 122b, 122c, 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윈도우(11)와 마찬가지로, 윈도우 지지판(121)도 수평면에 대해 제 1 각도(θ1)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윈도우 지지판(121)과 직교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지지판(121)과 θ1의 여각(90-θ1)을 이룬다.
이하, 윈도우 지지판(121)의 각 부분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h)를 중심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 1 영역(SE1),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영역(SE2), 좌측에 위치하는 제 3 영역(SE3)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 4 영역(SE4)으로 구분한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지지판(121)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4개의 지지보스(122a, 122b, 122c, 122d)가 형성될 수 있고, 이들 중,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는 제 1 영역(SE1)에 위치하고, 제 3 지지보스(122c)와 제 4 지지보스(122d)는 제 2 영역(SE2)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커버 하우징(151)과 결합되어, 윈도우 지지판(121)을 지지하며, 이때, 윈도우 지지판(121)은 디스플레이 PCB(14)와 이격될 수 있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사분된 영역을 통과하여 구획판(152)과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기판 암(145)에 형성된 관통구(140h)를 통과하여 구획판(152)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 내부는 십자 형태의 4개의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4개의 영역(P1, P2, P3, P4)으로 사분된다. 이하, 각 사분 영역에, 사분면에 대한 통상적인 정의에 부합되도록 순서를 부여하여, P1을 제 1 사분 영역, P2를 제 2 사분 영역, P3을 제 3 사분 영역, P4를 제 4 사분 영역이라고 정의한다.
제 1 지지보스(122a), 제 3 지지보스(122c) 및 제 4 지지보스(122d)는 각각 제 2 사분 영역(P2), 제 3 사분 영역(P3) 및 제 4 사분 영역(P4)을 통과하여 구획판(152)과 결합되고, 제 2 지지보스(122b)는 제 1 기판 암(145)에 형성된 관통구(140h)를 통과하여 구획판(152)과 결합된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과 커버 하우징(15)의 구획판(152) 간의 결합은,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들이 직접 구획판(152)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이 구획판(152)에 형성된 삽입보스들(154a, 154b, 154c, 154d)에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구획판(152)에는, 제 1 지지보스(122a), 제 2 지지보스(122b), 제 3 지지보스(122c) 및 제 4 지지보스(122d)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삽입보스(154a), 제 2 삽입보스(154b), 제 3 삽입보스(154c) 및 제 4 삽입보스(154d)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보스들(154a, 154b, 154c, 154d)은 구획판(152)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각각은 대응하는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 지지보스(122a), 제 2 지지보스(122b), 제 3 지지보스(122c) 및 제 4 지지보스(122d)는 각각 제 1 삽입보스(154a), 제 2 삽입보스(154b), 제 3 삽입보스(154c) 및 제 4 삽입보스(154d) 내로 삽입된다. 각 삽입보스(154a, 154b, 154c, 154d)의 하단부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볼트(19)가 아래로부터 상기 각각의 체결공을 통과하여 지지보스(122a, 122b, 122c, 122d)와 체결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은 구획판(152)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들(152a, 152b, 152c, 152d, 152e, 152f)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들(152a, 152b, 152c, 152d, 152e, 152f) 중 적어도 하나(152b, 152c, 152d, 152e, 152f)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둘레와 접촉될 수 있다. 그런데, 구획판(152)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PCB(14)가 배치되기 때문에, 리브들(152b, 152c, 152d, 152e, 152f)이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둘레와 접촉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PCB(14)와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원 발명은 십자 형태의 디스플레이 PCB(14)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P1, P2, P3, P4)을, 리브들(152b, 152c, 152d, 152e, 152f)이 디스플레이 PCB(14)와 간섭되지 않고 통과하는 경로로써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리브들(152b, 152c, 152d, 152e, 152f)은, 디스플레이 PCB(14)의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P1, P2, P3, P4)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가장자리에 접촉될 수 있다. 리브들(152b, 152c, 152d, 152e, 152f)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위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네 변들 중 적어도 하나가 리브(152b, 152c, 152d, 152e, 152f)와 접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네 변 중,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변이 각각 리브와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가로 변들(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들)이 리브들(152b, 152c, 152d)과 접촉되어 있다. 리브들(152b, 152c, 15d)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가로 변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리브(152b, 152c, 152c)들은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구획된 네 영역들(P1, P2, P3, P4) 중, 서로 다른 영역들을 각각 통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리브(152b)는 제 2 사분 영역(P2)를 통과하고, 리브(152c)는 제 3 사분 영역(P3)을 통과하고, 리브(152d)는 제 4 사분 영역(P4)을 통과하여,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후방변(도면에서 위쪽 가로 변), 좌측변 및 전방변(도면에서 아래쪽 가로 변)과 접촉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사분 영역(P1) 및/또는 제 4 사분 영역(P4)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우측변과 접촉되는 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어느 한 변과 접촉되는 리브(예를 들어, 152b)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다른 한 변과 접촉되는 리브(예를 들어, 152c)는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P1, P2, P3, P4) 중 서로 다른 영역들(예를 들어, P2, P3)을 각각 통과할 수 있다.
윈도우 지지판(121)은, 재질 특성상, 일정한 한도 내에서 압력이 작용하였을 시, 각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을 중심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압력이 제거될 시 그 형태가 원상으로 복구되는 탄성적인 것이다.
윈도우 서포트(12)의 제 1 조작 돌기(126a), 제 2 조작 돌기(126b), 제 3 조작 돌기(126c) 및 제 4 조작 돌기(126d)는 각각 디스플레이 PCB(14)에 배치된 제 1 컨택 스위치(181a), 제 2 컨택 스위치(181b), 제 3 컨택 스위치(181c) 및 제 4 컨택 스위치(181d)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따라서, 윈도우(11)를 통해 윈도우 서포트(12)의 제 1 영역(SE1), 제 2 영역(SE2), 제 3 영역(SE3) 및 제 4 영역(SE4)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가해졌을 시, 압력이 가해진 영역(예를 들어, 제 1 영역(SE1))에 속하는 조작 돌기(예를 들어, 제 1 조작 돌기(126a))가 그 아래에 위치한 컨택 스위치(예를 들어, 제 1 컨택 스위치(181a))를 작동시킨다.
윈도우 서포트(12)는 윈도우 지지판(12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1 탭(125a), 제 2 탭(125b), 제 3 탭(125c) 및 제 4 탭(125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탭들(125a, 125b, 125c, 125d)은 윈도우 지지판(121)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구획판(152)의 상면에는 탭들(125a, 125b, 125c, 125d)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탭 삽입홈(미표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윈도우(11)는 원형의 투명한 판으로써, 디스플레이(13)의 화면을 투과시키며,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이다. 사용자는 윈도우(11)를 통해 디스플레이(13)에 표시된 화면을 볼 수 있다. 윈도우(11)는 전 영역이 투명할 필요는 없다. 음향출력장치(1)의 외관상 윈도우 서포트(12)는 보이지 않고, 윈도우 서포트(12)의 개구부(12h)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화면만이 보일 수 있다. 대략 개구부(12h)와 대응하는 위치의 소정 영역(11b)만 투명하고, 그 이외의 영역(11a)은 은폐되도록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착색되거나, 필름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도 3 참조.).
윈도우(11)는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윈도우 서포트(12)의 윈도우 지지판(121)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윈도우(11)는 합성수지 재질의 특성상, 일정한 한도 내에서 압력이 작용하였을 시,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러한 휘어짐은 컨택 스위치(181a, 181b, 181c, 181d)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윈도우(11)의 휘어짐은 탄력적인 것이기 때문에, 누르는 압력이 제거되었을 시에는 원형태로 복원됨은 물론이다.
한편, 윈도우 지지판(121)에 형성된 개구부(12h)가 가로 방향(또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개구부(12h)의 좌, 우측에 해당하는 제 3 영역(SE3)과 제 4 영역(SE4)은 지지보스들을 설치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왜냐하면, 윈도우(11)의 형태가 원형인 점을 고려하면, 제 3 영역(SE3)과 제 4 영역(SE4)은 개구부(12h) 둘레로부터 제 3 조작 돌기(126c) 또는 제 4 조작 돌기(126d)까지의 거리가,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에서 개구부(12h) 둘레로부터 제 1 조작 돌기(126a) 또는 제 2 조작 돌기(126b)까지의 거리에 비해 짧을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만약 제 3 영역(SE3)이나 제 4 영역(SE4)에 지지보스를 형성한다고 하면, 제 3 조작 돌기(126c)나 제 4 조작돌기(126d)는 지지보스와 거리가 너무 가까워지기 때문에, 큰 압력이 윈도우 지지판(121)에 가해져야 상기 조작 돌기가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는 제 1 영역(SE1)에 형성되었으며, 제 3 지지보스(122c)와 제 4 지지보스(122d)는 제 2 영역(SE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에서 내려다 볼 때, 제 1 조작 돌기(126a)는 커버 하우징(15) 내에서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 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고, 제 2 조작 돌기(126b)는 제 3 지지보스(122c)와 제 4 지지보스(122d) 보다 더 외측에 위치된다.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 각각에는, 조작돌기(126a, 126b)와 지지보스(122a, 122b, 122c, 122d) 사이에 슬릿(121a, 121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제 1 영역(SE1) 또는 제 2 영역(SE2)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3 조작 돌기(126c)나 제 4 조작 돌기(126d) 보다는 상대적으로, 제 1 조작 돌기(126a)나 제 2 조작 돌기(126b)와 가깝다. 예를 들어, 윈도우 지지판(121)의 제 1 영역(SE1)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윈도우 지지판(121)은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를 중심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 1 조작 돌기(126a)의 제 1 지지보스(122a)에 대한 선회 반경(모멘트 팔)은 r11이고, 제 2 지지보스(122b)에 대한 선회 반경은 r12이다. 실시예에서, 제 1 조작 돌기(126a)는 제 1 지지보스(122a) 보다 제 2 지지보스(122b)와 가깝기 때문에 r12가 r11보다 짧다. 또한, 제 3 조작 돌기(126c)는 제 1 지지보스(122a)까지의 거리가 r31(r31>r11>r12)이고, 제 3 지지보스(122c)까지의 거리 r33은 실질적으로 r31과 같다.
각 조작 돌기(126a, 126b, 126c, 126d)의 조작성은 가장 가까이 위치한 지지보스들까지의 거리에 큰 영향을 받는다. 만약, 슬릿(121a, 121b)이 없다면, 위의 예에서와 같이, r31이 r12 보다 큰 경우, 제 1 영역(SE1)과 제 3 영역(SE3) 상에 같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 3 영역(SE3)이 제 1 영역(SE1) 보다 더 잘 휘어져, 제 3 조작 돌기(126c)가 제 1 조작 돌기(126a) 비해 더 쉽게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 3 컨택 스위치(181c)가 제 1 컨택 스위치(181a) 보다 더 원활하게 동작하게 된다. 마찬가지 이유로, 제 2 컨택 스위치(181b)의 동작도 제 3 컨택 스위치(181c) 또는 제 4 컨택 스위치(181d)보다는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윈도우 지지판(121)의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에 각각 제 1 슬릿(121a)과 제 2 슬릿(121b)이 형성되었다. 이들 영역(SE1, SE2)에서 슬릿(121a, 121b)은 그 영역 내의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과 조작 돌기(126a, 126b, 126c, 126d) 사이에 위치한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지지판(121)의 중심(c)을 지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름을 가로 지름(D1)이라고 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름을 세로 지름(D2)이라고 정의할 때,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는 제 1 영역(SE1) 내에서 가로 지름(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3 지지보스(122c)와 제 4 지지보스(122d)는 제 2 영역(SE2) 내에서 가로 지름(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슬릿(121a)과 제 2 슬릿(121b)은 각각 가로 지름(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릿들(121a, 121b)이 형성됨으로써, 제 1 영역(SE1) 또는 제 2 영역(SE2)이 가압되었을 시, 윈도우 지지판(121)의 휘어짐은 슬릿들(121a, 121b)의 양쪽 끝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유발되고, 특히, 이러한 휘어짐은 슬릿들(121a, 121b)의 끝단과 윈도우 지지판(121)의 외주 사이의 좁은 영역에서 주로 발생되기 때문에, 슬릿(121a, 121b)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윈도우 지지판(121)이 더 원활하게 휘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 돌기(126a, 126b)와 휘어짐이 발생되는 부분 간의 거리가 늘어나게 되는 효과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조작 돌기(126a)의 경우, 제 1 슬릿(121a)의 일단까지의 거리(rs)가 제 2 지지보스(122b)까지의 거리(r12) 보다 더 길어졌고, 이는 제 1 영역(SE1)에서 휘어짐이 발생되는 부분에 대한 제 1 영역(SE1)에 가압된 힘의 모멘트 팔의 길이가 증가되는 결과로써, 제 1 조작 돌기(126a)가 보다 더 원활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의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이 비대칭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들과 조작 돌기들(126a, 126b) 사이에 슬릿(121a, 121b)이 형성됨으로써,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에서의 윈도우 지지판(121)의 휘어짐은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의 위치에 따른 영향보다는, 실질적으로 슬릿(121a, 122b)의 위치와 형태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게 되고, 따라서, 제 1 슬릿(121a)과 제 2 슬릿(121b)이 실질적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 1 컨택 스위치(181a)와 제 2 컨택 스위치(181b)의 조작성이 균등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40)는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30)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부는 커버 하우징(15)과 결합될 수 있다. 본체(40)는 내측으로 캐비티(49)를 형성하는 스피커 케이스(41, 42)와, 캐비티(49)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3, 4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케이스(41, 42) 내에 2 개의 스피커(43, 44)가 상하로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스피커(43)는 고음 대역을 출력하는 트위터(tweeter)이고, 하측에 배치되는 스피커(44)는 저음 대역을 출력하는 우퍼(woofer)이다.
도 22는 본체를 상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체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전면 케이스(a)와, 후면 케이스(b)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체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와이파이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들의 위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7은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와, 직비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의 위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체, 방열판, 메인 PCB, 베이스 바디 및 지지 러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방열판의 지지탭이 확대되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체와 베이스 간의 결합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1은 베이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2는 본체, 그릴 및 스피커 케이스의 결합구조가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베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스피커 케이스(41, 42)는 전면 케이스(41)와, 전면 케이스(41)와의 사이에 캐비티(49)를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41)에는 상하로 트위터(43)와 우퍼(44)의 진동판(예를 들어, 맴브레인(membrane))들을 각각 노출시키는 한 쌍의 음향 출력구가 전방을 향해 개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41)의 내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케이스 결합보스(411)가 다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높이에서 좌, 우 양측의 두 군데에 케이스 결합보스(411)가 형성되되, 같은 방식으로 서로 다른 세곳의 높이에 각각 한 쌍씩, 총 여섯 곳에 케이스 결합보스(411)가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후면 케이스(42)에는 전면 케이스(41)에 형성된 케이스 결합보스들(411)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보스(421)가 형성되고, 볼트가 후면 케이스(42)의 후방으로부터 각각의 삽입보스(421)를 통과하여 케이스 결합보스(411)와 체결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상단 유지부(153)의 전면부에는 좌, 우 양쪽으로 한 쌍의 체결보스(153c, 153d)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도 11 내지 도 14 참조.), 후면부의 좌, 우 양쪽에는 한 쌍의 체결보스(153a, 153b)가 전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에 형성된 이들 체결보스들(153a, 153b, 153c, 153d)과 대응하여, 본체(40)의 전면 케이스(41)에 제 1 보스 삽입 홈(415)과, 제 2 보스 삽입 홈(416)이 형성되고, 후면 케이스(42)에 제 3 보스 삽입 홈(425)과 제 4 보스 삽입 홉(4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 1 보스 삽입 홈(415)과 제 2 보스 삽입 홈(416)은 각각 전면 케이스(41)의 전면(음향출력장치(1)의 전방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되, 상측으로부터 체결보스(153c, 153d)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 3 보스 삽입 홈(425)과 제 4 보스 삽입 홈(426)은 각각 후면 케이스(42)의 후면(음향출력장치(1)의 후방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되, 상측으로부터 체결보스(153a, 153b)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각각의 보스 삽입 홈(415, 416, 425, 426)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 2 보스 삽입 홈(416) 내에 형성된 체결공(416h)만이 도시되었으나, 제 1 보스 삽입 홈(415)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체결공(이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설명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지시번호로써 416h를 부여함.)이 형성되고, 다른 보스 삽입 홈들(425, 426)에도 마찬가지로 체결공(425h, 426h, 도 2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들(153a, 153b, 153c, 153d)은, 각각의 대응하는 보스 삽입 홈(415, 416, 425, 426)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공(415h, 416h, 425h, 426h)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고, 볼트가 상기 각 체결공(415h, 416h, 425h, 426h)을 통과하여 체결보스(153a, 153b, 153c, 153d)와 체결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체(40)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50)이 배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50)은 메인 PCB(48) 및/또는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와 연결되어, 제어부(8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통신모듈(50)로써, 와이파이 모듈(50a), 블루투스 모듈(50b), 직비 모듈(530)이 구비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지웨이브 모듈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듈 조립체(510)는 와이파이 모듈(50a)과 블루투스 모듈(50b)의 집합체로써, 본체(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조립체(510)는 후면 케이스(42)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조립체(510)는 일체로써 후면 케이스(42)와 결합되거나, 후면 케이스(4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와이파이 모듈(50a)과 블루투스 모듈(50b)이 서로 별개로 구비되어, 각각이 독립적으로 본체(40)와 결합 또는 본체(4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모듈 조립체(510)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한 쌍의 안테나(511a, 511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안테나(511a, 511b)는 모듈 조립체(510) 자체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것이나, 이에 한하지 않고, 모듈 조립체(510)와 이격된 위치에 별도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21, 522)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25 내지 도 27 참조.).
모듈 조립체(510)에는 와이파이 모듈(50a)의 제 1 안테나 연결 단자(513) 및 제 2 안테나 연결단자(514)와, 블루투스 모듈(50b)의 안테나 연결 단자(51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의 내측면에는 후방부의 좌, 우 양쪽에 각각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가 배치될 수 있고, 제 1 안테나(521)는 도선(L1)을 통해 제 1 안테나 연결 단자(513)와 연결되며, 제 2 안테나(522)는 도선(L2)을 통해 제 2 안테나 연결 단자(5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는 각각 얇은 형태의 필름에 소정 패턴의 도전체가 결합된 것으로써, 상기 도전체에 도선(L1, L2)이 연결된다.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은 그릴(20)에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릴(20)에 의해 둘러 쌓여 있지 않으며, 따라서, 측벽(151)에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를 배치함으로써, 금속재인 그릴(20)에 의한 신호 간섭을 줄여, 보다 정확하게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측벽(15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단의 높이가 점점 더 구획판(152)으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측벽(151)의 후방부는, 전방부에 비해, 구획판(152)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PCB(14)와의 사이에 더 큰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를 측벽(151)의 후방부에 배치함으로써, 안테나들(521, 522)을 디스플레이 PCB(14)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의한 신호 간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체(40)의 좌, 우측 중 어느 한쪽에는 직비 모듈(530)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의 전방부 내측면에는 직비 모듈(530)의 안테나 연결 단자(531)와 도선(L3)을 통해 연결된 제 3 안테나(532)와 블루투스 모듈(50b)의 안테나 연결 단자(515)와 도선(L4)를 통해 연결된 제 4 안테나(541)가 구비될 수 있다.
제 3 안테나(532)와 제 4 안테나(541)는 각각 얇은 형태의 필름에 소정 패턴의 도전체가 결합된 것으로써, 상기 도전체에 도선(L3, L4)이 연결된다. 제 3 안테나(532)와 제 4 안테나(541)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29을 참조하면, 메인 PCB(48)는 본체(40)와 베이스(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PCB(48)는 음향출력장치(1)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어부(82), USB 포트(62), 데이터 전송 포트(64), 각종 스위치(76, 77), 리셉터클(390) 등이 실장되고, 통신모듈들(50a, 530), 디스플레이 PCB(14), 트위터(43), 우퍼(44) 등의 각종 전장 장치들과 회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 PCB(48)와 본체(40) 사이에는 방열판(33)이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판(33)은 금속판을 가공한 것으로써,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다. 방열판(33)은 메인 PCB(48)로부터 방출된 열을, 상측의 공간(즉, 본체(40)의 저면과 방열판(33) 사이의 공간)으로 소산시킨다.
본체(40)의 저면으로부터 다수개의 체결보스(45a, 45b, 45c, 45d)가 돌출될 수 있다. 제 1 체결보스(45a)와 제 2 체결보스(45b)가 후면 케이스(42)의 저면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 3 체결보스(45c)와 제 4 체결보스(45d)는 전면 케이스(41)의 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은 베이스(30)와 결합될 수 있다.
본체(40)의 저면을 그 중심을 지나는 가로선과 세로선으로 구획하였을 시,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은 상기 가로선과 세로선에 의해 구획된 4 개의 사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30)에는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보스(35a, 35b, 35c, 35d)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은 각각 삽입보스들(35a, 35b, 35c, 35d)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삽입보스(35a, 35b, 35c, 35d)를 하측에서 통과하는 볼트와 체결될 수 있다.
다수개의 방열판 결합보스(46b, 46c, 46d)들이 본체(40)의 저면으로부터 더 돌출될 수 있다. 방열판 지지보스(46b, 46c, 46d)는 체결보스(45a, 45b, 45c, 45d)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는 상기 4 개의 사분면 중 3개에 방열판 지지보스(46b, 46c, 46d)가 형성되었으나, 그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방열판(33)은 금속판을 가공한 것으로써,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그러나, 기타 다른 금속 재질도 가능하다. 전기가 도통하도록 방열판(33)은 도전체에 의해 그릴(20)과 연결될 수 있다.
방열판(33)은 수평한 평판부(331)와, 평판부(331)의 둘레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지지탭(332b, 332c, 332d)을 포함할 수 있다.
평판부(331)에는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들이 각각 통과되는 관통구들(335a, 335b, 335c, 335d, 이하, 다른 구성과의 구별이 필요한 경우 “체결보스 관통구”라고 함.)과 지지보스들(46b, 46c, 46d)이 각각 통과하는 관통구들(334b, 334c, 334d, 이하, 다른 구성과의 구별이 필요한 경우, “지지보스 관통구”라고 함.)이 형성될 수 있다.
평판부(331)의 중심을 지나는 서로 직교하는 두 직선(미도시)을 정의할 시, 체결보스 관통구(335a, 335b, 335c, 335d)는 상기 두 직선에 의해 사분된 평판부(331)의 각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보스 관통구(334b, 334c, 334d)는 상기 사분된 영역들 중 둘 이상의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보스 관통구(334b, 334c)는 상기 사분된 영역들 중 대각으로 배치된 두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지지보스들(46b, 46c, 46d)은 각각 메인 PCB(48)의 상측에서 지지탭들(332b, 332c, 332d)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탭들(332b, 332c, 332d)은 평판부(3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336)와, 수직부(336)로부터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지지탭(332b, 332c, 332d)의 수평부(337)에는 볼트가 통과되는 체결공(338)이 형성되고, 각각의 볼트가 하측으로부터 체결공(338)을 통과한 후, 지지보스(46b, 46c, 46d)와 체결될 수 있다.
지지보스들(36b, 36c, 36d)이 지지탭(332b, 332c, 332d)과 체결된 상태에서, 평판부(331)는 상측에 위치한 본체(40)의 저면과 이격되고, 또한, 하측에 위치한 메인 PCB(48)와도 이격된다. 평판부(331)가 본체(4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본체(40)가 스피커(43, 44)의 출력에 의해 진동하더라도, 본체(40)의 저면과 평판부(331) 간의 접촉으로 인한 타격 소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메인 PCB(48)에는, 방열판(33)의 관통구들(335a, 335b, 335c, 335d)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들(481a, 481b, 481c, 481d)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45a, 45b, 45c, 45d)는 그 길이가 지지보스(46b, 46c, 46d)보다 더 길며, 각각이 방열판(33)의 관통구(335a, 335b, 335c, 335d)와 메인 PCB(48)의 관통구(481a, 481b, 481c, 481d)를 통과한 후, 베이스(30)의 삽입보스들(35a, 35b, 35c, 35d)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베이스(30)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바디(31)와, 베이스 바디(31)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 러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장치(1)는 사용자가 들어 옮길 수 있도록 소형으로 형성되어, 테이블이나 선반 등의 바닥에 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31)의 하측에 구비된 지지 러버(32)가 상기 바닥과의 마찰을 높여, 음향출력장치(1)가 넘어지거나,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삽입보스들(35a, 35b, 35c, 35d)들은 베이스 바디(31)의 내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베이스 바디(31)의 베이스 바닥부(310)에는 삽입보스들(35a, 35b, 35c, 35d)과 각각 연통되는 체결구(351a, 351b, 351c, 351d)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40)와 방열판(33)을 조립한 후, 이제 체결보스(45a, 45b, 45c, 45d)를 메인 PCB(48)에 형성된 체결보스 관통구(481a, 481b, 481c, 481d)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각 체결보스(45a, 45b, 45c, 45d)를 베이스(30)에 형성된 삽입보스(35a, 35b, 35c, 35d)에 삽입한다. 그 후, 볼트(미도시)가 베이스(30)의 하측으로부터 체결공(351a, 351b, 351c, 351d)으로 삽입되고, 삽입보스(35a, 35b, 35c, 35d) 내의 체결보스(45a, 45b, 45c, 45d)와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30)의 베이스 바닥부(310)에는 러버 삽입 홈(318)이 형성될 수 있다. 러버 삽입 홈(318)은 베이스 바닥부(310) 상에서 소정의 원주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러버 삽입 홈(318)은 일단(318a)으로부터 타단(318b)으로 일정한 곡률로 연장되는 호의 형태이며, 체결공들(351a, 351b, 351c, 351d)은 러버 삽입 홈(31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러버(32)는 러버 삽입 홈(318) 내에 삽입된다. 지지 러버(32)의 상면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러버 삽입 홈(318)의 바닥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러버(32)는 러버 삽입 홈(318)과 대응하는 형태로 길게 연장된 러버 본체(321)와, 러버 본체(321)로부터 러버 삽입 홈(318)의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장치(1)가 거치되는 바닥(예를 들어, 거실, 싱크대 등) 상에 지지돌기(322)가 놓여짐으로써, 음향출력장치(1)가 세워지고, 이때, 러버 본체(321)로부터 지지돌기(322)가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여, 베이스 바디(31)가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음향출력장치(1)가 주방의 조리대와 같이 물과 접하기 쉬운 곳에 거치될 시, 베이스 바디(31)가 물에 젖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수개의 지지돌기(322)는 러버 본체(3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바디(31)의 베이스 바닥부(310)의 중심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돌기(322)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나, 지지돌기(322)의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바디(31)는 베이스 바닥부(310)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베이스 외벽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외벽부(311)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증가되는 형태이고, 최상단에서의 외경은 실질적으로 그릴(20)의 하단의 외경과 동일하다.
베이스 바디(31)는 베이스 외벽부(3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릴(20)과 결합되는 하단 유지부(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단 유지부(313)와 그릴(20)의 결합은,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하단 유지부(313)가 그릴(20)의 하단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또는, 끼워지는) 방식이며, 바람직하게는, 그릴(20)이나 하단 유지부(313) 자체가 갖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억지 끼움 방식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하단 유지부(313)는 베이스 외벽부(311)의 상단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며(즉, 베이스 바디(31)의 외측면이 외벽부(311)의 상단에서 함몰되어 하단 유지부(313)의 외측면을 이룸.), 따라서, 외벽부(311)의 상단에는, 외벽부(311)의 외측면으로부터 하단 유지부(311)로 연장되어, 그릴(20)의 하단을 대향하는 면(312)이 형성된다. 그릴(20)의 하단이 면(31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면(312)은 베이스 외벽부(311)의 상단에 그릴(20)의 하단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면(312)의 폭은 실질적으로 그릴(20)의 두께와 동일하다.
하단 유지부(313)의 외측면이 그릴(20)의 내측면과 접함으로써, 그릴(20) 하단의 형태가 유지된다. 특히, 그릴(20)이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 그릴(20)은 하단 유지부(313)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릴(20)의 하단이 하단 유지부(313)와 대응하는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하단 유지부(313)가 외벽부(311)의 상단을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경우, 금속 판재를 말아서 단면의 형태가 정원형인 원통형의 그릴(20)을 형성한 후, 그릴(20)의 하단을 하단 유지부(313)에 끼우면, 그릴(20)의 형태 역시 하단 유지부(313)의 형상과 대응하여 타원형으로 변형되고, 이렇게 변형이 이루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31)의 내측면으로 상측으로 환형의 리브(315)가 돌출될 수 있다. 리브(315)는 하단 유지부(313)의 내측에 형성된다. 본체(40)는 케이스(41, 4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 리브(47)가 돌출될 수 있고, 삽입 리브(47)가 하단 유지부(313)와 리브(315) 사이의 홈(314)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31)의 베이스 바닥부(310)에는, 러버 삽입 홈(318)으로 둘러 쌓인 내측 영역에 함몰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16)는 베이스 바닥부(310)의 저면 상에 형성된 개구부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홈 측면부(316a)와, 홈 측면부(316a)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홈의 바닥을 이루는 홈 바닥부(3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함몰부(31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장치(1)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 음향출력장치(1)의 동작에 필요한 DC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측면부(316a)에는 상기 어댑터와 연결된 코드의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소켓(391)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 PCB(48)의 저면에는 소켓(391)을 구비한 리셉터클(390)이 배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390)은 소켓(391)을 메인 PCB(48)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베이스 바디(31)에는 코드 고정홈(37)이 형성될 수 있다. 코드 고정홈(37)은 러버 삽입 홈(318)의 일단(318a)과 타단(318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코드 고정홈(37)은 측면부(316a)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371)로부터 베이스 외벽부(311) 상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372)로 연장되며, 베이스 바닥부(310)의 저면 상에 내측 개구부(371)와 외측 개구부(372)를 연결하는 코드 삽입구(373)가 형성된다. 즉, 코드 고정홈(37)은 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단면이 폐쇄된 형태가 아니라, 코드 삽입구(373)로 인해 상기 단면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단면은 코드 고정홈(37)의 내측에서 상기 단면의 개방된 구간의 간격(즉, 코드 삽입구(373)의 폭) 보다 큰 최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드는 다소 간의 탄성을 갖는 재질의 피복으로 외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코드 삽입구(373)의 폭 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경우에도, 그 차이가 일정 범위를 넘지 않으면 재질 자체가 갖는 유연성으로 인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코드 삽입구(373)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일단 코드 고정홈(37) 내로 삽입이 된 후에는 그 형태가 원상으로 복원되기 때문에 코드 삽입구(373)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코드 고정홈(37)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외측 개구부(372)는 내측 개구부(371)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코드 고정홈(37)은 외측 개구부(372)로부터 내측 개구부(371)로 갈수록 그 단면의 크기가 점점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드 고정홈(37)의 내측면에는 삽입구 축소 돌기(319a, 319b)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 축소 돌기(319a, 319b)는 코드 삽입구(373)를 한정하는 양쪽 부분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 축소 돌기(319a, 319b)가 형성된 부분에서 코드 삽입구(373)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코드가 코드 고정홈(37)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 PCB(48)의 저면에는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는 컨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가 눌러질 시, 제어부(82)는 와이파이 모듈(50a)을 초기화(리셋)시킬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메인 PCB(48)의 저면에는 와이파이 리셋 버튼(71)이 결합될 수 있다 와이파이 리셋 버튼(71)은 재질은 합성 수지로써, 버튼부(71a)의 양쪽으로 연장된 암들이 메인 PCB(48)의 저면과 결합되어 있다. 버튼부(71a)는 상기 암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의 하측에서, 베이스 바닥부(310)에 형성된 구멍 내에 위치한다. 버튼부(71a)가 가압되면,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가 스위칭된다.
메인 PCB(48)의 저면에는 음향출력장치 리셋 스위치(76)가 배치될 수 있다. 음향출력장치 리셋 스위치(76)는 컨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바닥부(31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음향출력장치 리셋 스위치(76)가 눌러지면, 제어부(82)는 초기화(리셋)된다.

Claims (14)

  1.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
    상기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 및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바닥부의 저면에 러버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외벽부가 상기 그릴의 하단과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러버 삽입 홈 내에 삽입되고, 일부분이 상기 러버 삽입 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 러버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 삽입 홈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되는 호의 형태이며,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러버 삽입 홈의 양단 사이에, 전원 코드를 고정하는 코드 고정 홈이 형성되는 음향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러버 삽입 홈 내에는, 각각 상기 보스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가 형성되는 음향출력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러버 삽입 홈에 의해 둘러 쌓인 내측에, 상기 바닥부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음향출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바닥부의 저면 상에 개구부가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면과,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코드의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소켓을 더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입구가 전방을 향해 개구된 음향출력장치.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의 외측면에는 외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는 내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저면은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를 연결하는 코드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코드 고정 홈은,
    상기 코드 삽입구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 사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음향출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음향출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삽입구는,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음향출력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드 삽입구의 양쪽에 각각 폭을 좁히는 삽입구 축소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음향출력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러버는,
    상기 러버 삽입 홈과 대응하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러버 삽입 홈과 결합되는 러버 본체; 및
    상기 러버 본체로부터 상기 러버 삽입 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지돌기는 대칭으로 배치되는 음향출력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지돌기는,
    상기 바닥부의 중심에 대해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음향출력장치.
KR1020160106334A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KR102478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1566P 2016-05-25 2016-05-25
US62/341,566 2016-05-25
PCT/KR2016/007335 WO2017119563A1 (ko) 2016-01-04 2016-07-06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KRPCT/KR2016/007335 2016-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223A KR20170133223A (ko) 2017-12-05
KR102478280B1 true KR102478280B1 (ko) 2022-12-15

Family

ID=60920843

Famil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37A KR102407642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0A KR102407644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29A KR102407645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6A KR102486292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28A KR102486293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KR1020160106333A KR102582268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KR1020160106332A KR102478281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KR1020160106331A KR102407643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5A KR102478279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KR1020160106334A KR102478280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KR1020160115248A KR102485730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KR1020160115245A KR102422004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KR1020160115244A KR102422005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60115243A KR102422006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KR1020160115246A KR102422003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KR1020160115247A KR102422002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37A KR102407642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0A KR102407644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29A KR102407645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6A KR102486292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28A KR102486293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KR1020160106333A KR102582268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KR1020160106332A KR102478281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KR1020160106331A KR102407643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5A KR102478279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248A KR102485730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KR1020160115245A KR102422004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KR1020160115244A KR102422005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60115243A KR102422006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KR1020160115246A KR102422003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KR1020160115247A KR102422002B1 (ko) 2016-05-25 2016-09-07 액세서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6) KR102407642B1 (ko)
TW (1) TWI736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3436A1 (en) * 2018-08-07 2020-02-13 Traitel Technologies Corporation A button module
KR102489873B1 (ko) 2018-08-08 202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19965A (ko) * 2021-02-22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1845B1 (ko) * 2021-11-09 2023-11-15 주식회사 디에스피 차량용 스피커 그릴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556B1 (ko) * 2007-11-15 2008-05-22 (주)화이트클라우드 블루투스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439A (ja) * 1989-06-14 1991-01-28 Motozou Ueda 流し台用水切篭の製造方法
JPH0666190U (ja) * 1993-02-19 1994-09-16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式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70006325Y1 (ko) * 1995-03-16 1997-06-24 장남수 각도조절이 가능한 3웨이 스피커케이스
KR200153434Y1 (ko) * 1997-06-28 1999-08-02 노인규 지도판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방향표시구
KR20030055812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텍 주식회사 앰프 부착용 스피커 시스템의 방열 구조
US20060003709A1 (en) * 2004-06-30 2006-01-05 Nokia Corporation Protective enclosure for a mobile terminal
KR100629884B1 (ko) 2004-11-26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 통신장치
US7349207B2 (en) * 2005-09-08 2008-03-25 Brookstone Purchasing, Inc. Heat dissipating audio systems and methods thereof
JP4835138B2 (ja) * 2005-12-09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EP2574265B1 (en) * 2007-05-09 2015-10-14 iRobot Corporation Compact autonomous coverage robot
KR100941055B1 (ko) * 2008-02-11 2010-02-05 (주)보성전자 스피커시스템의 후음출력구 먼지를 흡착하며 이동을 방지하는 장치
KR100896770B1 (ko) * 2008-10-10 2009-05-11 에이테크솔루션(주) 일체형 푸쉬블록 유닛이 포함된 사출금형
EP2857862A3 (en) * 2010-04-09 2015-07-29 Landauer, Inc. Power system for dosimeter reader
US20110248846A1 (en) 2010-04-13 2011-10-13 Green SHM Systems, Inc, Incorporated Wireless Sensing Module and Method of Operation
JP5366881B2 (ja) 2010-05-13 2013-12-11 株式会社長府製作所 防水リモコン装置
US20120118451A1 (en) * 2010-11-17 2012-05-17 Berning Jeffrey W Golf club cover music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9453655B2 (en) * 2011-10-07 2016-09-27 Goog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report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an HVAC system controlled by a self-programming network-connected thermostat
KR20120097006A (ko) * 2011-02-24 2012-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운용 시스템 및 방법
DE102011078234B4 (de) * 2011-06-28 2021-04-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itzgußtechnisch hergestelltes Abdeckelement mit ungestörtem Lochmuster
CA2853033C (en) * 2011-10-21 2019-07-16 Nest Labs, Inc. User-friendly, network connected learning thermosta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6169325B2 (ja) * 2012-05-07 2017-07-26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電子機器、端末装置、およびリモコン付き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
KR20140032648A (ko) * 2012-09-07 2014-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414166B2 (en) * 2012-09-27 2016-08-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reless peripheral hub device
CN103098488A (zh) * 2012-10-29 2013-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波长可调激光器、无源光网络系统和设备
US9477313B2 (en) * 2012-11-20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outward-facing sensor of device
US9036858B1 (en) * 2013-03-15 2015-05-19 Audient, LLC Customizable audio speaker assembly
KR102302439B1 (ko) * 2014-02-21 202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9549237B2 (en) * 2014-04-30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ing radiator compression driver features
KR20160010093A (ko) * 2014-07-18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556B1 (ko) * 2007-11-15 2008-05-22 (주)화이트클라우드 블루투스 스피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대화가 가능한 스마트 블루투스 스피커"아마존 에코(Amazon Echo), https://blog.naver.com/smartstreet/220176824746, 2014.11.12.)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644B1 (ko) 2022-06-10
KR102422005B1 (ko) 2022-07-15
KR20170133229A (ko) 2017-12-05
KR102407643B1 (ko) 2022-06-10
KR20170133218A (ko) 2017-12-05
KR102407642B1 (ko) 2022-06-10
KR102478281B1 (ko) 2022-12-15
TWI736620B (zh) 2021-08-21
KR102422003B1 (ko) 2022-07-15
KR20170133222A (ko) 2017-12-05
KR102485730B1 (ko) 2023-01-05
KR102478279B1 (ko) 2022-12-15
KR20170133228A (ko) 2017-12-05
KR20170133219A (ko) 2017-12-05
KR20170133232A (ko) 2017-12-05
KR20170133221A (ko) 2017-12-05
KR20170133217A (ko) 2017-12-05
KR102486292B1 (ko) 2023-01-06
KR102582268B1 (ko) 2023-09-22
KR20170133220A (ko) 2017-12-05
KR20170133226A (ko) 2017-12-05
TW201801492A (zh) 2018-01-01
KR102407645B1 (ko) 2022-06-10
KR102486293B1 (ko) 2023-01-06
KR20170133227A (ko) 2017-12-05
KR102422004B1 (ko) 2022-07-15
KR20170133225A (ko) 2017-12-05
KR20170133230A (ko) 2017-12-05
KR20170133231A (ko) 2017-12-05
KR102422002B1 (ko) 2022-07-15
KR20170133224A (ko) 2017-12-05
KR20170133223A (ko) 2017-12-05
KR102422006B1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182B1 (ko) 음성 인식 장치, 및 음성 인식 시스템
US9990002B2 (en)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EP3402150B1 (en)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80118461A (ko) 음성 인식 장치 및 음성 인식 방법
US10803863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recognition apparatus
KR102478280B1 (ko) 음향출력장치
KR20180118470A (ko) 음성 인식 장치 및 음성 인식 방법
US9992036B2 (en)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US11115741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14908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und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440456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111345B2 (en)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US11012767B2 (en)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90043519A (ko) 음성 인식 장치
KR102003819B1 (ko) 인공 지능 허브
KR20190050761A (ko) 음성 인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