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093A -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093A
KR20160010093A KR1020140090948A KR20140090948A KR20160010093A KR 20160010093 A KR20160010093 A KR 20160010093A KR 1020140090948 A KR1020140090948 A KR 1020140090948A KR 20140090948 A KR20140090948 A KR 20140090948A KR 20160010093 A KR20160010093 A KR 20160010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unit
home appliance
applian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경
한백희
강희준
김중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093A/ko
Priority to EP15822111.9A priority patent/EP3171233A4/en
Priority to US15/327,236 priority patent/US20170163437A1/en
Priority to PCT/KR2015/003268 priority patent/WO2016010231A1/ko
Priority to CN201510427096.4A priority patent/CN105278498A/zh
Publication of KR2016001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7Remote contr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와 관련된 것으로 가전 기기는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 장착부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송받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Home applianc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using the controller, method of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가전 기기, 컨트롤러,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가전 기기(home appliance)란 댁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제품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전 기기의 일례로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청소기, 공조기, 가정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가전 기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댁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제품이 가전 기기의 일례가 될 수 있다. 가전 기기에는 가전 기기에 필요한 각종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 micro control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및 하나 이상의 포트 등의 여러 모듈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칩으로 구현한 제어 장치를 의미한다.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각종 연산을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가전 기기의 각 부품에 전달하여 가전 기기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최근엔 스마트 가전 기기가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 가전 기기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가능하고, 설치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또는 확장할 수 있는 가전 기기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가전 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부착 가능한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서로 상이한 가전 기기에 범용으로 이용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개선 및 증진할 수 있는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전 기기,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컨트롤러,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가전 기기는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 장착부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송받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장착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가전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승인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의 종류,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가전 기기에서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 및 상기 가전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reless-Fidelity, WiFi),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홈알에프(Home RF) 및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 Band, UB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상기 처리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동작의 수행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상기 처리부로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구동부의 현재 구동 상태에 대한 구동 상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할 수 있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구동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장착부 중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된 제1 컨트롤러 장착부에 대응하는 제1 구동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가능한 설정대상의 설정값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은 온도, 습도, 송풍량 및 구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와 상기 컨트롤러는 자기력에 의해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상기 컨트롤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상기 컨트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접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원통형 컨트롤러 장착부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컨트롤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컨트롤러와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가전 기기에서 발생한 고장 정보를 에러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컨트롤러 모두를 통해 제어 가능 수 있다.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은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되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전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가전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가전 기기가 구동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컨트롤러의 식별 정보를 상기 가전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트롤러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피제어 기기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통해 장착된 피제어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피제어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피제어 기기의 일 부분에 장착되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작 휠, 조그 셔틀(jog shuttle), 조작 버튼, 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자석, 가전 기기의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외면에 부착되는 흡착기 및 상기 가전 기기에 마련된 제2 단자와 결합 가능하고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조작부를 갖는 컨트롤러가 가전 기기의 일 부분에 결합하는 결합 단계,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컨트롤러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 연결 단계,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부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가전 기기로 상기 컨트롤러의 결합을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 단계는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전 기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가전 기기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 단계는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의 식별 정보를 상기 가전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트롤러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컨트롤러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된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의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에서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컨트롤러가 피제어 기기와 결합하는 결합 단계, 상기 피제어 기기와 상기 컨트롤러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조작되는 조작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피제어 기기가 동작하는 동작 단계를 포함하는 피제어 기기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일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복수의 기준 지점, 상기 복수의 기준 지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부, 상기 복수의 기준 지점과 컨트롤러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거리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선택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선택한 구동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복수의 구동부를 구비한 가전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통해 부착된 가전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 및 상기 가전 기기에 마련된 복수의 기준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거리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선택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선택한 구동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일례인 전기 레인지는 열을 발생시키는 화로, 컨트롤러가 장착 가능한 컨트롤러 장착부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화로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된 컨트롤러 장착부에 대응하는 화로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장착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컨트롤러로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승인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전기 레인지는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상응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제어될 화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화로의 온도 조절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컨트롤러가 장착 가능한 컨트롤러 장착부, 공기를 냉각한 후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 조화부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냉각 온도, 동작 시간, 공기 배출 방향, 송풍 세기, 동작 예약 시각 및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가 마련된 외장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장착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컨트롤러로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승인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가전 기기를 쉽고 편리하게 제어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가전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가전 기기를 서로 상이한 때에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범용 하나의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조작의 용이성이 증대되고 및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일 가전 기기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서로 상이한 여러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가전 기기 조작의 편의성과 신속성이 증대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컨트롤러는 서로 상이한 다양한 가전 기기를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연결 설정되므로,사용자는 와이파이 세트업(Wi-Fi setup) 과정과 같은 복잡한 네트워크 설정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하나의 컨트롤러로 서로 상이한 가전 기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가전 기기 및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가전 기기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컨트롤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컨트롤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컨트롤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컨트롤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7은 컨트롤러의 제1 조작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컨트롤러의 제1 조작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컨트롤러의 제3 조작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컨트롤러와 가전 기기의 결합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컨트롤러와 가전 기기의 결합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이 가능한 컨트롤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가전 기기의 컨트롤러 장착부 및 컨트롤러의 결합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가전 기기의 컨트롤러 장착부 및 컨트롤러의 결합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이 가능한 컨트롤러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컨트롤러와 가전 기기의 결합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가전 기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3은 가전 기기의 제1 실시예의 제1 일례로서 에어컨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4는 가전 기기의 제1 실시예의 제2 일례로서 전기 레인지에 대한 도면이다.
도 25은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컨트롤러를 통해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7a 내지 도 27e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컨트롤러 및 가전 기기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0은 컨트롤러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레인지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컨트롤러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컨트롤러를 통해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가전 기기, 컨트롤러 및 가전 기기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가전 기기 및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가전 기기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가전 기기(100)는 가전 기기(100)에 장착된 컨트롤러(200)와 연결되어 컨트롤러(200)의 조작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전 기기(100)는 컨트롤러(200)가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러 장착부(110)와 컨트롤러(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컨트롤러 장착부(110)에 장착된 컨트롤러(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댁내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각종 전자 제품을 포괄하여 지칭한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는 에어컨 등의 공기 조화 장치, 냉장고, 세탁기, 탈수기, 텔레비전, 라디오 장치, 오디오 장치, 가정용 컴퓨터, 전자 레인지(microwave), 전기 레인지(전기 레인지), 가스 레인지, 오븐, 진공 청소기, 로봇 청소기, 전열기, 헤어 드라이어, 전기 밥솥, 전기 다리미, 전기 스토브, 전기 조리기, 믹서, 전기 그릴, 제빵기 또는 전기 포트 등일 수 있다. 이들 외에도 댁내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전자 제품이 가전 기기(100)의 일례일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컨트롤러(200)와 소정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장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가전 기기(100)의 외부 하우징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가전 기기(100)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외면의 임의의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0)가 복수의 외면을 구비한 경우,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하나의 외면에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의 외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가전 기기(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냉장고의 내부 수납 공간의 외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컨트롤러(200)가 연결된 경우 컨트롤러(200)의 연결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처리부(15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처리부(150)는 컨트롤러 장착부(110)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컨트롤러(20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수단의 일례에 대해선 후술한다. 만약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의 외장 하우징 외면의 임의의 지점에 부착되는 실시예에서는 가전 기기의 외정 하우징의 외면 역시 컨트롤러 장착부(110)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컨트롤러(200)가 부착될 수 있는 가전 기기(100)의 임의의 지점이 컨트롤러 장착부(110)가 될 수도 있다.
처리부(150)는 가전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컨트롤러(200)의 조작에 따라 가전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컨트롤러(200)가 컨트롤러 장착부(110)에 결합한 경우 컨트롤러(200)를 조작하여 가전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150)는 컨트롤러 장착부(110)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나, 통신 가능한 컨트롤러(200)의 존재 여부나, 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등을 기초로 컨트롤러(200)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가 컨트롤러 장착부(110)에 물리적으로 장착되지 않은 상태라고 하더라도, 컨트롤러(20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가전 기기(100)에 근접하면 가전 기기(100)와 컨트롤러(200) 사이에 세션(session)을 개설하여 컨트롤러(200)의 조작에 따라 가전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가전 기기(100)에 내장된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컨트롤러(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처리부(15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양자 모두를 이용하여 컨트롤러(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 및 각종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과 전파를 방사하거나 수집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reless-Fidelity, 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홈알에프(Home RF) 및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 Band, UBW)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컨트롤러(200)의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150)와 컨트롤러(200)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150) 및 컨트롤러(200)는 송신될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 사이의 세션이 개시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로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는 가전 기기(100)의 종류 또는 가전 기기(100)를 식별하기 위한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S/N)나 맥 어드레스 등의 식별 번호 등과 같은 가전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는, 가전 기기(100)의 제어 가능한 각종 설정 대상 및 가전 기기(100)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대상은 가전 기기(100)의 기능과 관련하여 사용자나 처리부(150)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대상 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대상은 냉장고의 냉장 온도, 전자 레인지의 가열 시간이나 가열 온도 또는 각 가전 기기(100)의 각종 동작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설정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설정 대상 각각에는 순위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는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컨트롤러(200)는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100)를 인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로부터 컨트롤러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컨트롤러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200)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에 대한 식별 정보는 컨트롤러의 시리얼 넘버 등의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러(200)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의 조작에 따라 가전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인 제어 신호를 기초로 가전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처리부(150)가 생성한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가전 기기(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반도체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반도체칩은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은 가전 기기의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가전 기기(1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 및 내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가전 기기(1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에 상응하는 신호인 제어 신호를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전 기기(100)의 컨트롤러 장착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0)는 컨트롤러 장착부(110)에 장착된 경우 가전 기기(100)의 제어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0)가 컨트롤러 장착부(110)에 물리적으로 장착되지 않고 가전 기기(100)에 근접한 경우에도 가전 기기(100)의 제어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
컨트롤러(20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도 3의 210 내지 230) 및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도 3의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가 사용자가 컨트롤러(200)의 버튼, 회전 휠 또는 조그 셔틀 등과 같은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컨트롤러(200)는 조작 수단의 조작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한 전기적 신호는 소정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처리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의 상세한 실시예에 대해선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하나의 컨트롤러(200)가 서로 상이한 가전 기기(100a, 100b)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가전 기기(100a, 100b)에 장착되거나 또는 근접한 경우 어느 하나의 가전 기기(100a, 100b)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어느 하나의 가전 기기(100a, 100b)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컨트롤러(200)를 먼저 하나의 가전 기기인 에어컨 장치(100a)에 장착시키거나 또는 근접시킨 후, 컨트롤러(200)의 조작부(210)를 조작하여 에어컨 장치(100a)의 실내 온도나 송풍 여부 등과 같은 설정 대상의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컨 장치(100a)는 컨트롤러(200)의 조작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컨 장치(100a)는 장착된 컨트롤러(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00)는 에어컨 장치(100a)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부(240) 등을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에어컨 장치(100a)에 장착된 컨트롤러(200)를 에어컨 장치(100a)로부터 이탈시키고, 이탈시킨 컨트롤러(200)를 다른 가전 기기인 전기 오븐(100b)에 장착시키거나 근접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전기 오븐(100b)에 장착되거나 근접한 컨트롤러(200)를 조작하여 전기 오븐(100b)의 가열 온도 등과 같은 설정값을 조절하여 전기 오븐(100b)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컨트롤러(200)는 범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28c를 참조하여 가전 기기, 컨트롤러, 가전 기기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컨트롤러에 대한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컨트롤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0)은 하우징(260 과, 하우징(260)에 의해 지지되고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조작부(210)와, 가전 기기(10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60)은 하부 하우징(260a)과 하부 하우징(260a)에서 상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하우징(26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60b)은 원형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부 하우징(260b)은 컨트롤러(200)의 설계자의 필요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60b)이 원형관의 형상을 구비한 경우 원형관의 외측에는 제1 조작부(210)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표시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하우징(260b)은 제1 조작부(210)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기능과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표시부(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베젤(bezel)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60a)은 컨트롤러(2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하우징(260a)은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 메모리부(202) 또는 통신부(203)의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 칩과 반도체 칩이 설치되는 기판을 내장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하우징(260a)에는 축전기 등과 같은 전원 공급부(도 6의 204)가 내장될 수 있다. 만약 전원 공급부(204)가 건전지 등과 같은 휴대용 1차 전지인 경우, 하부 하우징(260a)에는 건전지 등이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는 건전지함과 건전지함 내측에 마련되고 건전지의 양극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전원 공급(204)가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기인 경우 하부 하우징(260a)의 외면에는 충전기의 단자가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부 하우징(260a)은 제1 조작부(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기둥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하우징(260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하우징(260a)은 육면체, 육각 기둥 또는 팔각 기둥 등 컨트롤러(200)의 설계자의 취향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260a)에는 가전 기기(100)의 컨트롤러 장착부(11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260a)의 저면은 가전 기기(100)에 부착되고, 상부의 표시부(240)나 제1 조작부(210) 등은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에 부착된 컨트롤러(2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부(250)는 자력을 이용한 자석(251)일 수 있다.
도 6은 컨트롤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작부(210 내지 230) 및 처리부(201), 메모리부(202), 통신부(203), 전원 공급부(204), 표시부(240) 및 결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10 내지 23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부(210 내지 230)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작 휠이나 조그 셔틀(jog shuttle)일 수도 있고, 조작 버튼, 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 일 수도 있다.
조작부(210 내지 230)는 컨트롤러(200)가 장착된 가전 기기(100)에 따라 서로 상이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0)가 냉장고에 결합된 경우 조작부(210 내지 230)는 냉장고의 냉장 온도의 조절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고, 에어컨 장치에 결합된 경우 냉방 온도 조절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텔레비전에 결합된 경우 채널 변경 또는 사운드 조절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로봇 청소기에 결합된 경우 로봇 청소기의 청소 모드에 변경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조작부(210 내지 230)는 컨트롤러(200)가 장착된 가전 기기(100)의 설정 대상의 구체적인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0)가 텔레비전에 결합된 경우 시청 채널을 특정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조작부(210 내지 230)는 설정 대상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0)가 텔레비전에 결합된 경우 조작부(210 내지 230)를 통해 조작되는 설정 대상을 시청 채널에서 음량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00)는 동일한 가전 기기(100)에 장착된 경우에도 상이한 설정 대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조작부(210)를 이용해서 동일한 가전 기기(100)의 상이한 설정 대상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조작부(210 내지 230)는 컨트롤러(200)의 리셋(reset) 등과 같은 컨트롤러(200) 자체의 제어를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조작부(210 내지 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절하여 가전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는 동일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장착된 가전 기기(100)에 따라서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로 상이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는 동일한 가전 기기(100)에 장착된 경우에도 상이한 설정 대상을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하 제1 조작부(2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조작부(210)는 회전에 의하여 설정 대상의 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조작부(210)는 조작부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작 휠이나 조그 셔틀(jog shuttl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작부(21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210a)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210a)는 상부 하우징(260b)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링일 수 있다. 회전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향에서 보았을 때 원형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링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링을 회전시켜 조작할 수 있도록 돌기 또는 홈(210b)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210a)가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260) 내부의 센서는 회전체(210a)의 회전을 감지하고 회전체(210a)의 회전 방향, 회전각 또는 회전 회수에 따라서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한 전기적 신호는 처리부(201)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은 컨트롤러의 제1 조작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작부(210)는 사용자가 회전력을 인가하여 조작하면(A, C) 회전하다가 회전각이 한계 각도(θ1, θ2)에 도달한 경우,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소정의 각도(θ1, θ2)까지 회전된 후 사용자가 인가한 힘이 제거되면, 하우징(260) 내부에 마련된 탄성체에 의해 제1 조작부(21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B, D)될 수 있다.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탄성체는 탄성 코일, 고무 또는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 조작부(210)를 한계 각도(θ1, θ2)까지 회전시킨 회수 또는 한계 각도(θ1, θ2)까지 회전한 제1 조작부(210)가 한계 각도(θ1, θ2)에서 정지한 시간 등에 따라서 설정값의 변경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1 조작부(210)의 회전 방향(A, C)에 따라서 설정값의 변경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이 냉장고의 냉장 온도인 경우 사용자가 제1 조작부(210)를 한계 각도(θ1, θ2)까지 회전시킨 회수에 따라서 냉장 온도의 상승 정도 또는 하강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제1 조작부(210)를 시계 방향(A)으로 회전시킨 경우 냉장고의 냉장 온도가 상승하도록 설정되고, 반시계 방향(C)으로 회전시킨 경우 냉장고의 냉장 온도가 하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는 컨트롤러의 제1 조작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작부(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계속 회전(E, F)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조작부(210)의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 회수에 따라서 설정값의 변경 크기가 결정되고 제1 조작부(210)의 회전 방향(E, F)에 따라서 설정값의 변경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이 냉장고의 냉장 온도인 경우 사용자가 제1 조작부(210)를 시계 방향(E)으로 회전시킨 경우 냉장고의 냉장 온도가 상승하도록 설정되고, 반시계 방향(F)으로 회전시킨 경우 냉장고의 냉장 온도가 하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제1 조작부(210)를 회전시킨 회수에 따라서 냉장 온도의 상승 정도 또는 하강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제2 조작부(22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조작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제2 조작부(220)에 할당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조작부(220)에 할당된 명령은 제1 조작부(210)를 통해 변경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의 선택 완료 명령, 설정값이 조절될 설정 대상의 변경 및 선택 또는 컨트롤러(200)의 모드 변경 등과 같은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0)가 텔레비전인 가전 기기(100)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현재 제1 조작부(210)에 의해 조절되는 설정 대상이 텔레비전 채널인 경우, 사용자는 제2 조작부(220)를 조작하여 제1 조작부(210)에 의해 조절되는 설정 대상을 음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조작부(220)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처리부(201)는 설정 대상을 음량으로 변경하여 제1 조작부(210)의 조작에 따라 음량의 조절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여 텔레비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조작부(220)에 할당된 명령이 설정 대상의 변경인 경우, 제2 조작부(220)의 조작 회수에 따라서 현재의 설정 대상을 복수의 설정 대상 중 다른 하나의 설정 대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9는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컨트롤러(200)의 제2 조작부(220)는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부(221) 및 제1 이동부(221)가 삽입되는 제1 삽입 공간(2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작부(220)의 제1 이동부(221)는 사용자의 가압(G)에 따라 하부 하우징(260a)에 형성된 제1 삽입 공간(26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이동부(2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작부(210) 및 표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221)는 하부 하우징(260a)에 내장된 기판 등과 케이블과 같은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하부 하우징(260a)에 마련된 처리부(201)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이동부(221)의 하단에는 제1 삽입 공간(263)에 설치된 제1 감지 센서(223)가 제1 이동부(221)의 접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피감지부(22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피감지부(222)는 제1 감지 센서(223)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센서(223)가 압력 센서인 경우 제1 피감지부(222)는 압력을 제1 감지 센서(223)에 전달하기 위한 가압 돌기일 수도 있다.
제1 삽입 공간(263)은 하부 하우징(260a)은 내측이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동부(221)가 제1 삽입 공간(263)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이동부(221)와 하부 하우징(260a)의 제1 삽입 공간(263)의 내면(263a)은 충분한 간격(262)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삽입 공간(263) 내부에는 제1 이동부(221)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1 감지 센서(223)와 제1 이동부(221)가 제1 삽입 공간(263)에서 토출될 수 있도록 제1 이동부(22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2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223)는 전기장이나 자기장을 이용하는 근접 센서나 외부의 압력을 이용하는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223)는 제1 피감지부(222)를 감지하면 제1 피감지부(222)의 감지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처리부(201)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하부 하우징(260a)의 제1 삽입 공간(263) 내부에는 제1 감시 센서(223) 대신에 제1 이동부(221)의 접촉에 따라 조작되는 스위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체(224)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이동부(221)를 가압 전 위치로 복원(H)시킬 수 있다. 탄성체(224)로는 스프링이나 탄성 고무 등 다양한 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제2 조작부(220)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조작부(210) 및 표시부(240)가 모두 설치된 제1 이동부(221)를 하부 하우징(260a) 방향으로 가압(G)하여 제2 조작부(220)의 조작에 할당된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이동부(221)를 이동시키면 선택 완료 명령, 설정 대상의 변경 또는 컨트롤러(200)의 모드 변경 등과 같은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도 11은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컨트롤러(200)의 제2 조작부(220)는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부(241) 및 제2 이동부(241)가 삽입되는 제2 삽입 공간(2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부(241)는 사용자의 가압(I)에 따라 하우징(260)에 마련된 제2 삽입 공간(26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이동부(241)의 상단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이동부(241)에는 표시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반도체칩 및 기판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이동부(241) 역시 하부 하우징(260a)에 내장된 기판 등과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되어 하부 하우징(260a)에 마련된 처리부(201)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01)로부터 표시부(240)에서 표시될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이동부(241)의 하단에는 제2 삽입 공간(263)에 설치된 제2 감지 센서(225)에 의해 감지되는 제2 피감지부(226)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삽입 공간(264)은 상부 하우징(260a) 내측에 마련된 공간일 수 있다. 상부 하우징(260a)의 외주면에는 회전체(210a)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삽입 공간(264) 내부에는 제2 이동부(241)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 센서(225)와 제2 이동부(241)가 제2 삽입 공간(264)에서 토출될 수 있도록 제2 이동부(24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27)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225)는 근접 센서나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225)가 제2 피감지부(226)를 감지하면 제2 감지 센서(225)는 이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감지 센서(225) 대신에 제2 이동부(241)의 접촉에 따라 조작되는 스위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체(227)는 스프링이나 탄성 고무 등 다양한 부재를 이용한 것일 수 있으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이동부(241)를 가압 전 위치로 복원(J)시킨다.
제2 실시예의 제2 조작부(220)가 채용된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240)를 하부 하우징(260a) 방향으로 가압(I)하여 제2 이동부(241)를 이동시켜 제2 조작부(220)의 조작에 할당된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3은 컨트롤러의 제2 조작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2 조작부(220)는 터치 조작에 따라서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228)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228)은 표시부(240)의 위치에 표시부(240) 대신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패널(228)의 하나 또는 복수의 지점을 터치하여 터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지점에 대응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적절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지점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아이콘 등의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228)이 제2 조작부(220)로 이용되는 경우 상술한 제2 조작부(220)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달리 삽입 공간(263, 264)이나 이동부(221, 241)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이상 설명한 제2 조작부(220)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만을 채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실시예를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220)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삽입 공간(263)으로 삽입되는 제1 이동부(221)를 포함하면서 동시에 제3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스크린 패널(22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제3 조작부(23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컨트롤러의 제3 조작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조작부(230)는 다양한 방향(K 내지 N)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복수의 방향에 대한 지시를 입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3 조작부(230)는 명령 입력 구조나 데이터 표시 구조가 계층적(hierarchy)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 계층의 변경 및 동일 계층 내에서의 어느 하나의 명령 또는 데이터의 선택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데이터를 포커스를 이동시켜 선택하는 경우 포커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제3 조작부(230)는 하부 하우징(260a) 상부에 마련된 상단 조작부(231)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여 각 방향(K 내지 N)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조작부(231)를 소정의 임계각(θ3 또는 θ4) 이상으로 기울인 경우 상단 조작부(231)와 연결된 스틱 또는 상단 조작부(231) 아래 또는 측면에 위치하고 하부 하우징(260a)에 마련된 감지 센서가 상단 조작부(231)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 방향(K 내지 N)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단 조작부(231)에는 표시부(240) 및 제1 조작부(21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하우징(260a)에는 상단 조작부(231)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나 스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처리부(201), 메모리부(202), 통신부(203) 및 전원 공급부(204)에 대해 설명한다.
처리부(201)는 컨트롤러(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부(201)는 각 조작부(210 내지 230), 메모리부(200), 통신부(203), 전원 공급부(204) 및 디스플레이부(240)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명령을 각각에 전달하여 각 조작부(210 내지 230), 메모리부(200), 통신부(203), 전원 공급부(204) 및 디스플레이부(240)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처리부(20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도체 칩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통신부(203)를 통하여 주변에 통신 가능한 대상인 가전 기기(100)가 존재하는지 검색 및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처리부(201)는 검색 결과 통신 가능한 대상이 검색된 경우 통신부(203)를 제어하여 통신부(203)와 가전 기기(100)의 통신부(도 22의 151) 사이의 세션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201)는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의 물리적 결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결합부(250) 등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부(201)는 주변에 통신 가능한 대상, 즉 가전 기기(100)의 통신부(15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물리적 결합 또는 근접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 사이의 신호의 세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통신부(203)가 통신할 수 있는 다른 통신부(151)가 존재하면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서로 근접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통신부(203)가 근거리 장 통신(NFC)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203)로부터 태그(또는 리더기)가 존재한다는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서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결합 또는 서로 근접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가전 기기(100)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에 결합하거나 근접한 경우, 컨트롤러(200)는 가전 기기(100)로 컨트롤러(200)가 결합 또는 근접하였다는 사실 또는 세션이 개설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알림 신호(notice)를 전달할 수 있다. 알림 신호의 전달은 통신부(203) 및 가전 기기(100)의 통신부(151)는 서로 세션이 개설되어 논리적으로 연결된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가전 기기(100)는 컨트롤러(100)의 처리부(201)의 알림 신호에 따라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 인증을 위한 식별 번호 또는 설정 대상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를 통하여 처리부(201)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가전 기기(100)의 시리얼 넘버나 인증키 등과 같은 식별 번호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기초로 가전 기기(10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가전 기기(100)가 컨트롤러(200)에 제어될 수 있는 장치라는 것을 인증하기 위한 숫자 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번호일 수 있다. 가전 기기(100)가 식별 번호를 전송한 경우, 처리부(201)는 메모리부(202)에 마련된 가전 기기 식별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및 전송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식별 번호를 전송한 가전 기기(100)가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 가능한 가전 기기(1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가전 기기(100)가 제어 가능한 가전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말해서 가전 기기(100)의 인증이 성공하면, 처리부(201)는 각 조작부(210 내지 230)의 조작에 따라 가전 기기(100)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부(201)는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240)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만약 처리부(201)가 가전 기기(100)가 제어 가능한 가전 기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가전 기기(100) 사이의 세션을 종료시키거나 또는 가전 기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무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전 기기(100)와 컨트롤러(200)가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가전 기기(100)로부터 전달된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어떤 종류의 가전 기기(100)에 컨트롤러(200)가 결합 또는 접근하였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메모리부(202)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가전 기기(100)가 인증된 경우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의 조작에 따라서 어떠한 설정 대상을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10)는 컨트롤러(200)가 부착된 가전 기기(100)에 따라서 컨트롤러(200)의 복수의 조작부(210 내지 230) 중 어느 하나의 조작부, 예를 들어 제1 조작부(210)의 조작에 따라 제어될 설정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에어컨 장치(100a)인 경우, 처리부(201)는 제1 조작부(210)에 의해 조절될 설정 대상을 냉방 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설정 대상은 미리 메모리부(202)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가전 기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가전 기기(100)의 설정 대상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설정 대상은 컨트롤러(200)가 제어될 가전 기기(100)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처리부(201)는 각각의 조작부(210 내지 230)마다 조작될 수 있는 설정 대상을 서로 상이하게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01)는 복수의 조작부(210 내지 230) 중 어느 하나의 조작부, 일례로 제1 조작부(210)만이 설정 대상 조절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도록 할 수도 있다. 각 조작부(210 내지 230)에 할당될 설정 대상을 결정하기 위해서 처리부(201)는 메모리부(202)에 저장된 판단 결과를 열람할 수도 있다. 만약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가 복수의 설정 대상을 포함하는 경우, 처리부(201)는 복수의 설정 대상 각각에 할당된 순위에 따라서 설정 대상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01)는 제1 조작부(210)는 제1 순위가 할당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을 조절하도록 하고, 제2 조작부(220)는 제2 순위가 할당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조작부, 일례로 제1 조작부(210)만이 설정 대상의 조절하는 경우, 제1 조작부(210)에 의해 조절되는 설정값은 제1 순위가 할당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일 수 있다.
처리부(201)는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조작부(210 내지 230)에 할당된 조작될 수 있는 설정 대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처리부(201)는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 중 어느 하나, 일례로 제2 조작부(22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조절될 설정 대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조작부(220)를 조작한 경우 기존의 설정 대상, 일례로 냉장 온도를 다른 설정 대상, 일례로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만약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가 복수의 설정 대상을 포함하는 경우, 처리부(201)는 복수의 설정 대상 각각에 할당된 순위에 따라서 설정 대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01)는 제1 조작부(210)에 의해 조작되는 설정 대상을 제1 순위가 할당된 설정 대상으로 결정하고, 사용자가 설정 대상을 변경하는 경우 제1 순위가 할당된 설정 대상을 제2 순위가 할당된 설정 대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201)는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한 제어 신호는 통신부(203)를 통해 가전 기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냉장고이고 컨트롤러(200)가 컨트롤러(200)의 제1 조작부(210)를 통해 냉장고의 냉장 온도를 제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제1 조작부(210)의 회전체(210a)를 회전시키면 처리부(201)는 회전체(210a)에 따라 냉장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03)를 통해 냉장고로 전달하여 냉장고의 냉장 온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가 상응하는 제어 명령인 구동 신호를 생성한 후 가전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201)는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와 현재 컨트롤러(200)에 의해 설정값이 변경되는 설정 대상에 대한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가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가전 기기(100)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처리부(201)는 컨트롤러(200)에 대한 정보의 가전 기기(100)로의 전송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200)에 대한 정보는 컨트롤러(2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번호는 인증키나 컨트롤러(200)의 시리얼 넘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키나 시리얼 넘버는 암호화되어 가전 기기(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처리부(201)는 표시될 정보를 표시부(240)로 전달하여 표시부(240)가 가전 기기(10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240)가 표시하는 가전 기기(100)와 관련된 정보는 설정 대상의 현재 설정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에어컨 장치(100a)인 경우 설정 대상의 현재 설정값은 에어컨 장치(100a)의 현재의 냉방 온도의 수치일 수 있다. 처리부(201)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서 표시부(240)에 표시되고 있는 정보 대신에 상이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에어컨 장치(100a)이고, 표시부(240)가 현재의 냉방 온도의 온도값을 표시하는 경우 처리부(240)는 표시부(240)가 현재 에어컨 장치(100a)의 구동 모드, 일례로 냉방 모드나 송풍 모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표시부(2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처리부(201)는 메모리부(202)에 저장된 판단 결과를 열람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부(202)는 처리부(201)가 컨트롤러(200)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02)는 컨트롤러(200)가 연결 및 제어할 수 있는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 각각에 따라 제어되는 대상, 일례로 설정 대상에 대한 정보 역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02)에 저장된 내용은 처리부(201)에 의해 변경 및 갱신이 가능하다. 메모리부(202)는 각종 정보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02)는 반도체 저장 장치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202)는 한 종류의 저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여러 종류의 저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02)는 램(RAM)과 롬(ROM)의 조합으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통신부(203)는 가전 기기(100)와 컨트롤러(200) 사이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20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고,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통신부(203)가 유선 통신 모듈인 경우 통신부(203)는 통신 칩 및 각종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결합부(250)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203)가 무선 통신 모듈인 경우 통신부(203)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통신 칩과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근거리장 통신, 지그비,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홈알에프 및 초광대역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통신부(203)는 가전 기기(100)의 통신부(151)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전 기기(100)의 통신부(151)와 동일한 종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04)는 컨트롤러(2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04)는 하부 하우징(260a)에 마련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04)는 건전지 등과 같은 휴대용 1차 전지나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축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1차 전지를 포함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204)는 1차 전지를 수용하는 건전지함 및 단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축전기는 컨트롤러(200)의 하부 하우징(260a)에 마련된 단자 또는 제2 단자(254)를 통해서 공급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컨트롤러(200) 자체에 대한 정보나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 자체에 대한 정보는 컨트롤러(200)의 조작과 관련된 각종 설명이나 컨트롤러(200)의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는 가전 기기(100)의 종류, 가전 기기(100)에서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 설정 대상의 현재 설정값 및 가전 기기(100)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컨트롤러(200)가 결합하거나 또는 근접한 가전 기기(100)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40)는 가전 기기(100)가 에어컨 장치(100a)인 경우 냉방 온도를 표시하고 가전 기기(100)가 전기 레인지인 경우 화로의 가열 세기를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부(2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어되는 가전 기기(100)의 종류,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 설정 대상의 현재 설정값, 가전 기기(100)의 현재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컨트롤러(200) 자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컨트롤러(200)의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40)는 심플하게 오직 설정 대상의 현재 설정값, 일례로 현재 냉방 온도만을 소정의 폰트(font)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부(240)는 사용자의 편의 및 미감을 위한 다양한 정지 화상이나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splay, LED) 패널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채용한 것일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표시부(240)로 채용될 수 있다.
이하 컨트롤러가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실시예 및 결합을 위해 이용되는 가전 기기(100)에 마련된 컨트롤러 장착부(110)와 컨트롤러(200)의 결합부(250)에 대해 설명한다.
결합부(250)는 가전 기기(100)에 마련된 컨트롤러 장착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와 컨트롤러(200)는 컨트롤러 장착부(110) 및 결합부(250)를 통하여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결합부(250)는 가전 기기(100)와 컨트롤러(200)가 장착된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처리부(201)로 전달함으로써 처리부(201)가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컨트롤러 장착부, 결합부 및 컨트롤러와 가전 기기의 결합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1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결합부(250) 및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의 저면에 마련된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결합면(111) 내측에 마련된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결합면(111)은 가전 기기(100)의 외장 하우징(101)에 형성되고 컨트롤러(100)가 접촉되는 면을 의미한다.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결합부(250)와 결합되면 결합부(250)의 부착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는 근접 센서나 압력 센서,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는 결합면(111)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6은 컨트롤러 장착부, 결합부 및 컨트롤러와 가전 기기의 결합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이 가능한 컨트롤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컨트롤러(200)의 결합부(250)는 저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삽입 돌기(25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252)는 컨트롤러(200)의 저면의 형상에 따라 원형 고리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삽입 돌기(25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삽입 돌기(252)의 내주면에는 고정 돌기(253)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 돌기(253)는 삽입 돌기(252)가 삽입홈(112)에 삽입된 경우(P), 삽입홈(112) 내부에 마련된 고정 홈(113)에 삽입되어 컨트롤러(200)가 중력 등의 영향으로 임의적으로 가전 기기(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돌기(253)는 삽입 돌기(25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가전 기기(100)의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삽입 돌기(252)가 삽입(P)되는 삽입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112)은 가전 기기의 외장 하우징(101)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12)은 삽입 돌기(252)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 돌기(252)에 대응하는 형상, 일례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2) 내부에는 고정 돌기(253)가 결합되는 고정 홈(113)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홈(113)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 방향에 마련될 수도 있고, 반대 방향에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 홈(113)은 삽입 돌기(252)에 고정 돌기(253)가 형성된 방향에 상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12)의 내부 또는 가전 기기(100)의 결합면(111)에는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200)의 결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8은 가전 기기의 컨트롤러 장착부 및 컨트롤러의 결합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전 기기(100)의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컨트롤러(20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15)는 가전 기기(100)의 외장 하우징(101)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115)는 컨트롤러(20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14b)과 삽입 공간(114b)에 삽입된 컨트롤러(200)가 임의적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돌출된 돌기(114a)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15)의 삽입홈(114b)는 컨트롤러(200)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거치부(115)에는 컨트롤러(200)가 거치된 경우 이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과 같은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9는 가전 기기의 컨트롤러 장착부 및 컨트롤러의 결합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2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이 가능한 컨트롤러의 저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따르면 가전 기기(100)의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제1 단자(116)를 포함하고, 컨트롤러(200)의 결합부(250)는 제1 단자(116)에 대응하는 제2 단자(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자(254)는 컨트롤러(200)의 하부 하우징(26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단자(116) 및 제2 단자(254)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전 기기(100)와 컨트롤러(200)가 서로 각종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장착부(110) 및 결합부(250)는 통신부(151, 203)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단자(116)에는 복수의 핀 삽입구(117)가 마련되고, 제2 단자(254)에는 제1 단자(116)의 핀 삽입구(117)에 삽입되는 복수의 핀(255)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핀 삽입구(117)에 복수의 핀(255)이 삽입된 경우 제1 단자(116) 및 제2 단자(254)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컨트롤러 장착부(110)와 결합부(25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삽입홈(117a)이 마련되고, 결합부(250)에는 삽입홈(117a)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255a)가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부(110)의 제1 단자(116)는 직렬 포트, 병렬 포트, 스카시 포트(SCSI External), 디아이엔(DIN) 단자, 에디비(ADB) 단자, 피에스투(PS/2) 단자, 범용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단자, 아이이이이 1394(IEEE1394) 단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단자(254)는 제1 단자(116)에 대응하는 단자일 수 있다. 제2 단자(254) 역시 직렬 포트, 병렬 포트, 스카시 포트, 디아이엔 단자, 에디비 단자, 피에스투(PS/2) 단자, 범용 시리얼 버스 단자, 아이이이이 1394 단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1은 컨트롤러와 가전 기기의 결합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결합부(250)는 흡착기(256)일 수도 있다. 흡착기(256)는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100)의 결합면(1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면(111)은 외부 하우징(110)의 임의의 지점일 수 있다. 흡착기(256)는 컨트롤러(200)의 하부 하우징(26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가전 기기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가전 기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3은 가전 기기의 제1 실시예의 제1 일례로서 공기 조화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24는 가전 기기의 제1 실시예의 제2 일례로서 전기 레인지에 대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가전 기기(100)는 컨트롤러 장착부(110), 처리부(150), 통신부(151), 메모리부(152), 사용자 인터페이스(153), 전원 공급부(154) 및 구동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도 1, 도 15 내지 도 2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컨트롤러(200)의 결합에 따라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는 근접 센서 또는 가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부(11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160)에 오직 하나(163)만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170)에 복수 개(176 내지 178)가 마련될 수도 있다.
처리부(150)는 가전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부(150)는 통신부(151), 메모리부(152), 사용자 인터페이스(153), 전원 공급부(154) 및 구동부(155)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명령 또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명령 또는 구동 신호를 각각에 전달하여 통신부(151), 메모리부(152), 사용자 인터페이스(153), 전원 공급부(154) 및 구동부(155)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150)는 통신부(151)를 통하여 주변에 통신 가능한 대상, 일례로 컨트롤러(200)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통신 가능한 컨트롤러(200)가 검색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 및 가전 기기(100)의 통신부(151) 사이의 세션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150)와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함께 동작하여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 및 가전 기기(100)의 통신부(151) 사이의 세션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와 동일하게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었는지 여부 또는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처리부(150)는 컨트롤러 장착부(110) 등에서 출력되는 신호나 통신부(151)가 수신한 신호의 세기나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의 결합 또는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결합부(151) 등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처리부(150)는 주변에 통신 가능한 대상, 즉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에 결합되거나 또는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에 일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가전 기기(100)의 통신부(151)와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가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결합 또는 근접 상태라는 알림 신호를 컨트롤러(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만약 컨트롤러(200)가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결합 또는 근접 상태라는 알림 신호를 가전 기기(100)로 전달하는 경우라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100)의 처리부(201)의 알림 신호에 따라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 인증을 위한 식별 번호 또는 설정 대상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200)가 컨트롤러(200)에 대한 식별 정보의 가전 기기(100)로 전달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와 유사하게 컨트롤러(2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200)를 인증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200)에 대한 식별 정보는 시리얼 넘버나 인증키 등과 같은 식별 번호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50)는 메모리부(152)에 저장된 컨트롤러(200)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전송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컨트롤러(200)를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러(200)의 인증이 성공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신호에 따라서 가전 기기(100)의 각 구동부(155)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0)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는 가전 기기(100)의 설정 대상의 설정값을 변경하라는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설정 대상 및 설정 대상의 변경될 설정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컨트롤러(200)의 인증이 실패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 사이의 세션을 종료시키거나 또는 컨트롤러(2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무시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부(150)는 구동부(155)가 동작을 수행하고 동작의 수행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전달하면, 전달받은 피드백 신호를 기초로 구동부(155)의 현재 상태, 일례로 현재 몇 도의 온도로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있는지 등을 결정하고, 구동부(155)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2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55)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는 설정 대상의 현재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50)는 구동부(155)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가전 기기의 각 부품 등에서 발생한 고장 정보를 에러 신호로 변환한 후 컨트롤러(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에러 신호는 가전 기기 등에 발생된 고장 등에 따라 미리 정의된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00)는 에러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에러를 알리기 위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처리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서 가전 기기(100)의 각 구동부(155)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의 세션이 개시된 이후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3)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지 않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5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의 세션이 개시된 이후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153)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00)가 장착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3) 및 컨트롤러(100) 모두를 통해 가전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통신부(151)는 가전 기기(100)와 컨트롤러(200) 사이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1)는 통신 칩 및 각종 단자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고, 통신 칩과 안테나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근거리장 통신, 지그비,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홈알에프 및 초광대역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1)는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부(152)는 가전 기기(10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52)는 가전 기기(100)와 연결 가능한 컨트롤러(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200)에 대한 정보는 컨트롤러(2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일 수 있다. 식별 번호는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52)는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일 수도 있고, 비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일 수도 있다. 메모리부(152)는 반도체 저장 장치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부(152)는 한 종류의 저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여러 종류의 저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3)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3)는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 다이오드 패널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3)는 컨트롤러(200)의 결합과 무관하게 동작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200)의 결합이나 접근에 따라 동작이 중지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54)는 가전 기기(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4)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100)의 각 부품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전원 공급부(154)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할 수도 있다.
구동부(155)는 가전 기기(100)의 기능에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155)는 필요에 따라 구동부(155)는 필요에 따라서 처리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 후, 동작의 수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처리부(150)로 다시 전달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는 동작의 수행에 따른 변경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5)는 필요에 따라 고장이 발생한 경우 발생한 고장에 대응하는 정보인 고장 정보를 처리부(15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처리부(150)는 고장 정보를 고장에 상응하는 에러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에러 신호를 컨트롤러(2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장치인 경우(160) 구동부(155)는 공기 조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부는 공기를 냉각한 후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 조화부는 저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로 변환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아 냉각시키는 증발기,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하는 압축기,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응축시켜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응축기 및 증발기에서 냉매를 갑자기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및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구, 이들을 연결하는 관체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60)의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공기 조화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공기 조화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냉각 온도, 동작 시간, 공기 배출 방향, 송풍 세기, 동작 예약 시각 및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된 저온의 공기는 배출구(162)를 통하여 배출되어 실내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가전 기기(100)는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60)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160)의 외장 하우징(161)에는 컨트롤러(20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면(163)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면(163)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공기 조화기(160)의 외장 하우징(161)의 임의의 장소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면(163)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손 높이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레인지(170)일 수도 있다. 전기 레인지(170)의 상면에는 열을 발생시켜 외부로 공급하는 복수의 화로(171 내지 173)가 설치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170)의 상면이나 측면에는 컨트롤러(20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면(176 내지 178)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하면 전기 레인지(170)에는 복수의 결합면(176 내지 178)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결합면(176 내지 178)은 각각의 화로(171 내지 173)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결합면(176)에 컨트롤러(200)가 결합된 경우 사용자는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제1 결합면(176)에 대응하는 제1 화로(171)를 제어하고, 제2 결합면(177)에 컨트롤러(200)가 결합된 경우 사용자는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제2 결합면(177)에 대응하는 제2 화로(17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화로(171) 또는 제2 화로(17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레인지(170)의 처리부(150)는 각 화로의 온도 조절 신호를 생성하여 각 화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25 내지 도 27b를 참조하여 컨트롤러를 통해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은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에 장착되거나 근접하면(s300), 컨트롤러(200)가 장착되거나 또는 근접한 가전 기기(100)를 인식하거나, 또는 가전 기기(100)가 장착되거나 또는 근접한 컨트롤러(200)를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 또는 가전 기기(100)가 인식된 후,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는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세션이 개설되고, 컨트롤러(200)의 조작에 따라 가전 기기(100)가 제어될 수 있다(s301).
사용자는 컨트롤러(200)를 조작하고(s302), 사용자의 컨트롤러(200)의 조작에 따라서 가전 기기(100)가 제어될 수 있다(s303).
사용자는 가전 기기(100)의 제어가 종료되면 컨트롤러(200)를 가전 기기(100)로부터 분리 및 이탈시킬 수 있다. 분리 및 이탈된 컨트롤러(200)는 다른 가전 기기(100a, 100b)에 장착되거나 근접하여 다른 가전 기기(100a, 100b)의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컨트롤러를 통해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6a 및 도 26b는 컨트롤러를 통해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와 결합부(110, 250)를 통해 장착되거나 근접하면(s310),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 사이의 세션이 개시되어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s311).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결합부(250)에서 출력되는 신호, 통신 가능한 가전 기기(100)의 존재 여부 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하여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와 장착되었거나 또는 근접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가 컨트롤러 장착부(110)에서 출력되는 신호, 통신 가능한 컨트롤러(200)의 존재 여부 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하여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장착되거나 또는 근접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서로 장착되거나 또는 근접하면 상호 간에 세션이 개시되고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s311). 이 경우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는 서로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경우 컨트롤러(200)는 가전 기기(100)로 장착 상태라는 알림 신호를 가전 기기(100)로 연결된 통신망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s312). 실시예에 따라서 가전 기기(100)가 컨트롤러(200)로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가 장착된 상태라는 알림 신호를 가전 기기(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아울러 가전 기기(100)는 알림 신호와 더불어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 일례로 가전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컨트롤러(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가전 기기(100)가 알림 신호를 수신하면, 가전 기기(100)는 수신한 알림 신호에 따라서 컨트롤러(200)에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암호화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다(s313). 여기서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는 가전 기기(100)의 종류, 가전 기기(100)의 식별 번호, 가전 기기(100)에서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 및 가전 기기(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200)가 알림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100)는 수신한 알림 신호에 따라서 가전 기기(100)에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암호화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는 컨트롤러의 시리얼 넘버 등의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로부터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면(s313), 컨트롤러(200)는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0)로부터 컨트롤러(200)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면, 가전 기기(100)는 컨트롤러(2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 또는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별도의 메모리 장치(152, 202)에 마련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할 수 있다.
만약 가전 기기(100) 또는 컨트롤러(200)가 컨트롤러(200) 또는 가전 기기(100)의 인증을 실패하면 가전 기기(100)와 컨트롤러(200) 사이의 접속이 종료되고, 컨트롤러(200)로 가전 기기(100)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만약 가전 기기(100) 또는 컨트롤러(200)가 컨트롤러(200) 또는 가전 기기(100)의 인증을 성공하면 컨트롤러(200)는 표시부(240)를 통하여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는 가전 기기의 종류, 설정 대상 및 설정 대상의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00)는 사용자로부터 가전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받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조작부(210)를 조작하는 경우 설정 대상이 결정되고 결정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200)는 설정된다. 이 경우 최초로 결정된 설정 대상은 가전 기기(100)나 컨트롤러(200)의 정의된 설정에 따라 결정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것일 수도 있다.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가 복수의 설정 대상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설정 대상 각각에는 순위가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로 결정된 설정 대상은 제1 순위가 할당된 설정 대상일 수 있다.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최초로 결정된 설정 대상을 변경하고 싶다면(s320), 사용자는 컨트롤러(200)에 마련된 조작부(210 내지 230) 중 어느 하나의 조작부, 일례로 제2 조작부(220)를 조작하여 설정 대상을 변경할 수 있다(s32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조작부(220)를 일 회 가압하여 현재의 설정 대상과 상이한 설정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되는 상이한 설정 대상은 현재의 설정 대상의 다음 순위의 설정 대상일 수 있다.
설정 대상이 결정되면 사용자는 설정 대상의 설정값의 조절을 위해 설정 대상에 대응하는 조작부, 일례로 제1 조작부(210)를 조작하여 설정값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s322).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제1 조작부(2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 및 설정 대상에 따라서 사용자의 설정값 변경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s323), 생성한 제어 신호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암호화하지 않고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가전 기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s324).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제1 조작부(21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적 신호 및 설정 대상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암호화하지 않고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323 및 s324).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나, 또는 전기적 신호 및 설정 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가전 기기(100)의 구동부(155)에 전달하고, 가전 기기의 구동부(155)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s325).
구동부(155)는 동작 후 동작에 따라 변경된 설정값을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로 전달하고, 처리부(150)는 구동부(155)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고, 변경된 설정값을 포함하는 구동부(155)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200)로 전달할 수 있다(s326). 컨트롤러(200)는 변경된 설정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따라서 변경된 설정값을 표시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제어가 종료되면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전 기기(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와 결합이 해제되어 분리 이탈하거나 또는 가전 기기(100)와 일정한 거리 이상 멀어지면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 사이의 세션은 종료되고 컨트롤러(200)에 의한 가전 기기(100)를 제어 역시 종료될 수 있다.
이하 도 27a 내지 도 28c를 참조하여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a 내지 도 27e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가전 기기(100c, 100d)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컨트롤러(200)를 공기 조화기(100c)에 부착하여 장착한 후 공기 조화기(100c)의 냉방 온도 등과 같은 각종 설정 대상의 설정값을 변경시켜 공기 조화기(100c)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100c)와 상이한 세탁기(100d)를 제어하고자 하나 사용자가 세탁기(100d)의 리모컨 장치 등이 어디 있는지 모르거나 또는 세탁기의 각 입력 버튼을 조작하는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 사용자는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0c)에 장착된 컨트롤러(200)를 공기 조화기(100c)의 컨트롤러 장착부(110a)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0c)에서 이탈시킨 컨트롤러(200)를 세탁기(100d)의 컨트롤러 장착부(110b)에 장착시킨 후, 도 2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를 조작하여 세탁기(100d)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동일한 가전 기기(170)의 상이한 구동부(171 내지 173)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100), 일례로 전기 레인지(170)는 복수의 구동부, 즉 복수의 화로(171 내지 173)와 각각의 구동부(171 내지 173)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부(176 내지 178)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200)를 전기 레인지(170)의 컨트롤러 장착부(176)에 부착시켜 장착한 후 컨트롤러 장착부(176)에 대응하는 제1 화로(171)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1 화로(171)과는 다른 제2 화로(172)를 제어하고 싶은 경우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 장착부(176)에 장착된 컨트롤러(200)를 분리시키고,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화로(172)에 대응하는 결합부(177)에 분리시켰던 컨트롤러(200)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결합부(177)에 장착된 컨트롤러(200)를 조작하여 결합부(177)에 상응하는 제2 화로(172)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전 기기(100c, 100d) 또는 동일한 가전 기기(170)의 복수의 구동부(171 내지 173)를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가전 기기, 컨트롤러 및 가전 기기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는 컨트롤러 및 가전 기기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30 및 도 31은 컨트롤러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컨트롤러(200)는 복수의 조작부(210 내지 230), 처리부(201), 메모리부(202), 통신부(203), 전원 공급부(204), 표시부(240) 및 결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작부(210 내지 230), 처리부(201), 메모리부(202), 통신부(203), 전원 공급부(204), 표시부(240) 및 결합부(250)는 도 3 내지 도 21을 통하여 설명한 각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각 구성을 일부 변형한 것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술한 바 외의 차이점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거리 연산부(20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연산부(201a)는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의 하나 또는 복수의 기준 지점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준 지점은 가전 기기(100)에 마련된 복수의 통신부(131 내지 133)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거리 연산부(201a)는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와 가전 기기(100)에 마련된 복수의 통신부(131 내지 133) 각각 사이의 거리(d1 내지 d3)를 연산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두 개의 무선 통신 모듈, 일례로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 및 가전 기기(100)의 제1 통신부(131) 사이의 신호의 세기는 두 개의 무선 통신 모듈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두 개의 무선 통신 모듈 사이의 거리(d1)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처리부(201)는 이와 같이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와 가전 기기(100)에 마련된 복수의 통신부(131 내지 133) 각각 사이의 거리(d1 내지 d3)를 연산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와 가전 기기(100)에 마련된 복수의 통신부(131 내지 133) 각각 사이의 거리(d1 내지 d3)가 연산되면 처리부(201)는 연산된 거리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선택하고, 선택한 거리에 대응되는 가전 기기(100)의 통신부(131 내지 133)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201)는 연산된 거리 중에서 가장 짧은 거리(d1)에 대응되는 제1 통신부(131)를 선택하고, 제1 통신부(131)와 세션을 개설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와 제1 통신부(131) 사이에 세션이 개설되면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필요에 따라 가전 기기(100)로 세션 개설과 관련된 알림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고, 가전 기기(100)로부터 제1 통신부(131)에 대응되는 제1 구동부(17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가전 기기(100)를 인증할 수도 있다. 아울러 처리부(20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 또는 이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가전 기기(100)로 전달하여 제1 통신부(131)에 대응되는 제1 구동부(17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0)와 가전 기기(100) 사이의 통신은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 및 제1 통신부(131)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통신부(132, 133)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가전 기기(100)는 컨트롤러 장착부(110), 제1 통신부 내지 제3 통신부(131 내지 133), 처리부(150), 메모리부(152), 사용자 인터페이스(153), 전원 공급부(154) 및 구동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부(110), 처리부(150), 메모리부(152), 사용자 인터페이스(153), 전원 공급부(154) 및 구동부(155)는 도 22 내지 도 24를 통하여 설명한 각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각 구성을 일부 변형한 것일 수 있다.
제1 통신부 내지 제3 통신부(131 내지 133)는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방식은 서로 통신하는 통신 모듈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신호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는 모든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 내지 제3 통신부(131 내지 133)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부(171 내지 173)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부(171 내지 173) 중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구동부, 일례로 제1 구동부(171)는 컨트롤러(100)의 접근에 따라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어할 구동부, 일례로 제1 구동부(171)를 선택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1 통신부 내지 제3 통신부(131 내지 133)는 동일한 통신 모듈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고 상이한 통신 모듈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처리부(150)는 제1 통신부 내지 제3 통신부(131 내지 133)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컨트롤러(200)와 같이 통신 가능한 대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나 수신한 신호의 세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와 동일하게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와 가전 기기(100)에 마련된 각각의 통신부(131 내지 133) 사이의 거리(d1 내지 d3)를 연산할 수도 있다. 처리부(150)는 연산된 거리 중에서 가장 짧은 거리(d1)에 대응되는 제1 통신부(131)를 선택하고, 제1 통신부(131)와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 사이에 세션을 개설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03)와 제1 통신부(131) 사이에 세션이 개설되면, 처리부(150)는 필요에 따라 컨트롤러(200)로 알림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2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컨트롤러(200)를 인증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부(150)는 컨트롤러(200)로 선택된 통신부(131)에 대응하는 구동부(17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 또는 제어 신호가 가전 기기(100)로 전달되면, 처리부(150)는 전기적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제1 통신부(131)에 대응되는 제1 구동부(171)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동 신호를 제1 구동부(17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200)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구동부(171)가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도 32를 참조하여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는 컨트롤러를 통해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컨트롤러(200)가 가전 기기(100)로 접근한다(s350). 컨트롤러(200)가 접근하는 경우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통신부(203)를 통하여 주변에 통신이 가능한 다른 통신부(131 내지 133)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만약 주변에 통신이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부(131 내지 133)가 감지되면(s351),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통신부(131 내지 133)와 컨트롤러(200) 사이의 거리(d1 내지 d3)를 연산하고(s352), 연산 결과를 기초로 어느 하나의 통신부, 일례로 제1 통신부(131)를 결정할 수 있다(s353). 여기서 결정된 제1 통신부(131)는 각각의 통신부(131 내지 133)와 컨트롤러(200) 사이의 거리(d1 내지 d3)가 가장 가까운 통신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전 기기(100)가 컨트롤러(20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각각의 통신부(131 내지 133)와 컨트롤러(200) 사이의 거리(d1 내지 d3)를 연산한 후, 제1 통신부(131)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131)가 결정되면 제1 통신부(131)와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50) 사이의 세션이 개설되고 제1 통신부(131)와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50)가 서로 통신을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전 기기(100) 또는 컨트롤러(200)의 인증이 수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통신부(131)가 결정되면 제1 통신부에 상응하는 제1 구동부(171)가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 또는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s354).
사용자가 컨트롤러(200)의 제1 조작부 내지 제3 조작부(210 내지 23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면(s355),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컨트롤러(200)의 처리부(201)가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가전 기기(100)의 처리부(150)가 제1 구동부(171)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구동 신호에 따라 제1 구동부(171)는 동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가 소정의 거리 이상 멀어지거나 또는 컨트롤러(200)와 더 가까운 다른 통신부가 존재하는 경우 제1 통신부(131)와 컨트롤러(200)의 통신부(250) 사이의 세션은 종료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러(200)는 제1 통신부(131)에 대응하는 제1 구동부(171)의 제어를 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트롤러(200)를 이용해서 제1 구동부(171)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만약 제1 통신부(131)보다 컨트롤러(200)와 더 가까운 다른 통신부가 감지된 경우라면 사용자는 더 가까운 다른 통신부에 대응하는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100 : 가전 기기 110 : 가전 기기의 컨트롤러 장착부
150 : 가전 기기의 처리부 151 : 가전 기기의 통신부
152 : 가전 기기의 메모리부 153 : 사용자 인터페이스
154 : 가전 기기의 전원 공급부 155 : 구동부
200 : 컨트롤러 201 : 컨트롤러의 처리부
202 : 컨트롤러의 메모리부 203 : 컨트롤러의 통신부
204 : 컨트롤러의 전원 공급부 210 : 제1 조작부
220 : 제2 조작부 230 : 제3 조작부
240 : 표시부 250 : 결합부
260 : 컨트롤러 하우징

Claims (46)

  1.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 장착부;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송받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장착 신호를 전송받는 가전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가전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가전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의 종류,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가전 기기에서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 및 상기 가전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홈알에프(Home RF) 및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 Band, UB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하는 가전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동작의 수행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상기 처리부로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구동부의 현재 구동 상태에 대한 구동 상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가전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구동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장착부 중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된 제1 컨트롤러 장착부에 대응하는 제1 구동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가전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가능한 설정대상의 설정값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가전 기기.
  1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은 온도, 습도, 송풍량 및 구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와 상기 컨트롤러는 자기력에 의해 결합 가능한 가전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상기 컨트롤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결합 가능한 가전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상기 컨트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원통형 컨트롤러 장착부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가전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컨트롤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컨트롤러와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 단자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가전 기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가전 기기에서 발생한 고장 정보를 에러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가전 기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컨트롤러 모두를 통해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
  20.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되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전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가전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가전 기기가 구동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컨트롤러의 식별 정보를 상기 가전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트롤러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23. 피제어 기기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통해 장착된 피제어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피제어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피제어 기기의 일 부분에 장착되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컨트롤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작 휠, 조그 셔틀(jog shuttle), 조작 버튼, 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자석, 가전 기기의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외면에 부착되는 흡착기 및 상기 가전 기기에 마련된 제2 단자와 결합 가능하고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26. 조작부를 갖는 컨트롤러가 가전 기기의 일 부분에 결합하는 결합 단계;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컨트롤러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 연결 단계;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부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가전 기기로 상기 컨트롤러의 결합을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 단계는 가전 기기가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전 기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가전 기기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 단계는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의 식별 정보를 상기 가전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트롤러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컨트롤러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된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의 설정값의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가능한 설정 대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에서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35. 컨트롤러가 피제어 기기와 결합하는 결합 단계, 상기 피제어 기기와 상기 컨트롤러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조작되는 조작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피제어 기기가 동작하는 동작 단계를 포함하는 피제어 기기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6. 복수의 기준 지점;
    상기 복수의 기준 지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부;
    상기 복수의 기준 지점과 컨트롤러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거리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선택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선택한 구동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37. 복수의 구동부를 구비한 가전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통해 부착된 가전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
    상기 가전 기기에 마련된 복수의 기준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거리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선택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선택한 구동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38. 열을 발생시키는 화로;
    컨트롤러가 장착 가능한 컨트롤러 장착부;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화로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된 컨트롤러 장착부에 대응하는 화로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레인지.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장착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컨트롤러로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전기 레인지.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상응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제어될 화로를 결정하는 전기 레인지.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화로의 온도 조절 신호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43. 컨트롤러가 장착 가능한 컨트롤러 장착부;
    공기를 냉각한 후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 조화부;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냉각 온도, 동작 시간, 공기 배출 방향, 송풍 세기, 동작 예약 시각 및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가 마련된 외장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장착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컨트롤러로 식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승인 정보를 전송받는 공기 조화기.
KR1020140090948A 2014-07-18 2014-07-18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10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948A KR20160010093A (ko) 2014-07-18 2014-07-18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15822111.9A EP3171233A4 (en) 2014-07-18 2015-04-01 Home appliance, controller,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using controller,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is recorded
US15/327,236 US20170163437A1 (en) 2014-07-18 2015-04-01 Home appliance, controller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using controller, method of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ing non-transitory computer storing method of controlling home appliance
PCT/KR2015/003268 WO2016010231A1 (ko) 2014-07-18 2015-04-01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201510427096.4A CN105278498A (zh) 2014-07-18 2015-07-20 家用电器、控制器、控制家用电器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948A KR20160010093A (ko) 2014-07-18 2014-07-18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093A true KR20160010093A (ko) 2016-01-27

Family

ID=5507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948A KR20160010093A (ko) 2014-07-18 2014-07-18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63437A1 (ko)
EP (1) EP3171233A4 (ko)
KR (1) KR20160010093A (ko)
CN (1) CN105278498A (ko)
WO (1) WO2016010231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229A (ko) * 2016-05-25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KR20190076337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188510B1 (ko) 2020-08-24 2020-12-08 배성구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용 범용컨트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한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
KR102237771B1 (ko) 2020-11-18 2021-04-07 배성구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용 범용컨트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한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
CN115016411A (zh) * 2022-06-10 2022-09-06 苏州益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品后加工产线的给水管理调控系统
WO2023277389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78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79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23022349A1 (ko) * 2021-08-18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106683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6831A (ja) * 2014-10-07 2016-05-12 ヤマハ株式会社 指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指示システム
EP3433410B1 (en) 2016-03-24 2020-12-2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ter softening device and a local electronic control unit
US10440456B2 (en) 2016-05-25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139856B2 (en) 2016-05-25 2018-11-27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assembly
US10356499B2 (en) 2016-05-25 2019-07-16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111345B2 (en) 2016-05-25 2018-10-23 Lg Electronics Inc.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US10097640B2 (en) 2016-05-25 2018-10-09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internet of things
US10110974B2 (en) * 2016-05-25 2018-10-23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internet of things
US10146255B2 (en) 2016-05-25 2018-12-04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communication device
DE102016209133A1 (de) * 2016-05-25 2017-11-30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Nahbereichs-Funkschnittstelle
US10149080B2 (en) 2016-05-25 2018-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und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204513B2 (en) * 2016-05-25 2019-02-12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Internet of Things
US10139857B2 (en) 2016-05-25 2018-11-27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DE102016223476A1 (de) * 2016-11-25 2018-05-30 BSH Hausgeräte GmbH Haptisches Bedienelement für ein Haushaltsgerät
EP3348700B1 (en) 2017-01-12 2021-03-2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water inlet module
WO2019078627A1 (ko) 2017-10-17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 다이얼 방식의 조작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
CN107864076A (zh) * 2017-10-19 2018-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微波炉执行操作的系统、方法及装置
US11246390B2 (en) * 2018-04-04 2022-02-15 Lindsey P. Whitaker Remote access and control of a hair styling device
US20210293578A1 (en) * 2018-04-16 2021-09-23 Bulthaup Gmbh & Co. Kg Device element comprising an operating component
CN110440520A (zh) * 2018-05-02 2019-11-12 江森自控科技公司 制冷控制单元
CN108958112B (zh) * 2018-06-29 2021-04-23 广州市得腾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家居匹配器
US10985972B2 (en) * 2018-07-20 2021-04-20 Brilliant Home Technoloy, Inc. Distributed system of home device controllers
CN108768377A (zh) * 2018-09-06 2018-11-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磁控旋钮组件和电器设备
US10635214B1 (en) * 2018-10-03 2020-04-28 Jen-Wen SUN Press-touch-control device having screen display
DE102019201929A1 (de) * 2019-02-14 2020-08-20 BSH Hausgeräte GmbH Steuerlogik für den koordinierten Betrieb zwischen einer Haushalts- Geschirrspülmaschine und einer als Haushaltsgerät vorgesehenen Luftabzugs- und/oder Luftbehandlungsvorrichtung, sowie zugehöriges Steuerverfahren, dafür ausgebildete Haushalts- Geschirrspülmaschine und Luftabzugs- und/oder Luftbehandlungsvorrichtung
CN109881444A (zh) * 2019-03-25 2019-06-1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的操作面板、衣物处理装置
CN109884913A (zh) * 2019-03-26 2019-06-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分体式家电设备的控制方法、智能操控设备和系统
CN109976176A (zh) * 2019-03-26 2019-07-0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分体式家电设备的控制方法、智能操控设备和系统
CN112415900A (zh) * 2019-08-20 2021-02-26 晋江大白科技有限公司 一种中央控制器
CN110440398A (zh) * 2019-08-21 2019-11-12 广东天下云商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暖通智能自动控制装置及系统
CN110853413B (zh) * 2019-10-31 2022-04-05 山东大未来人工智能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冷却热水功能的智能教育机器人
CN111237816A (zh) * 2020-01-16 2020-06-05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旋钮的灶具及其控制方法
DE102020207367A1 (de) * 2020-06-15 2021-12-30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dienen eines Haushaltsgerätes
CN113934144A (zh) * 2020-06-29 2022-01-1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电系统和控制方法
CN111580408A (zh) * 2020-06-29 2020-08-2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电系统和控制方法
US20220010966A1 (en) * 2020-07-10 2022-01-13 Hestan Commercia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knob with integrated display
DE102020125400A1 (de) * 2020-09-29 2022-03-31 Miele & Cie. Kg Haushalt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US11674735B2 (en) * 2021-01-21 2023-06-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movable control module
US20240117970A1 (en) * 2021-02-25 2024-04-11 BORA - Vertriebs GmbH & Co KG Portable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a cooking appliance from different operating positions, and cooking appliance system
DE102021201800B3 (de) 2021-02-25 2022-06-15 BORA - Vertriebs GmbH & Co KG Tragbares Bediengerät zum Steuern eines Küchengeräts aus unterschiedlichen Bedienpositionen und Küchengerätesystem
DE102021208925A1 (de) * 2021-08-13 2023-02-16 BORA - Vertriebs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üchengerätesystems, Computerprogrammprodukt und Küchengerätesystem
BE1029989B1 (de) * 2021-12-07 2023-07-03 Miele & Cie Haushalt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gerät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0277A1 (en) * 1993-04-05 1994-10-06 Ronald W. Holling Over temperature condition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domestic appliance
US5349162A (en) * 1993-04-05 1994-09-20 Whirlpool Corporation Faul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omestic appliance
DE19849075A1 (de) * 1998-10-24 2000-04-27 Ego Elektro Geraetebau Gmbh Steuerung für ein Elektrogerät
MY126873A (en) * 2000-01-07 2006-10-31 Vasu Tech Ltd Configurable electronic controller for appliances
US6497276B2 (en) * 2001-03-31 2002-12-24 Ron D. Clark Combined refrigerator-oven apparatus
KR20040009066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착탈식 제어장치
US7594630B2 (en) * 2004-06-25 2009-09-29 Apple Inc. Mounting fixture for a peripheral device
US7122766B1 (en) * 2005-09-02 2006-10-17 Bruce Whitford Main Range anti-tip device and method
US8140190B2 (en) * 2006-01-09 2012-03-20 Whirlpool Corporation Universal controller for a domestic appliance
DE102006013937A1 (de) * 2006-03-16 2007-09-27 Prettl Appliance Systems Gmbh Bedienblendenanordnung für Haushaltsmaschin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edienblendenanordnung
JP2007300161A (ja) * 2006-04-27 2007-11-15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の認証管理方法
JP2008048168A (ja) * 2006-08-16 2008-02-28 Fujitsu Ltd 色処理パラメータ設定方法及びデジタル撮像機器
US20090305790A1 (en) * 2007-01-30 2009-12-10 Viti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of Game Appliance Execution and Rendering Service
CN201117490Y (zh) * 2007-11-01 2008-09-17 广州松下空调器有限公司 家用电器控制面板
US9852615B2 (en) * 2011-03-25 2017-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ppliance control via a smart device
DE102009002774A1 (de) * 2009-04-30 2010-11-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portable Bedieneinheit und Haushaltsgerät
KR20110054814A (ko) * 2009-11-18 2011-05-25 조정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가전제품 통합 원격제어 방법
KR101728721B1 (ko) * 2010-02-23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E102010028493A1 (de) * 2010-05-03 2011-1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teil für eine Haushaltsarbeitsstation, Haushaltsarbeitsstation sowie System aus der Haushaltsarbeitsstation und dem Bedienteil
KR101709483B1 (ko) * 2010-06-17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9727107B2 (en) * 2010-08-24 2017-08-08 Nec Corporation Slave device requesting its master device not to cancel its power saving mode
DE102010042202B4 (de) * 2010-10-08 2023-07-20 BSH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mit einem mittels Magnetkraft haltbaren Bedienelement sowie Hausgerät mit einer derartigen Bedienvorrichtung
JP2012124604A (ja) * 2010-12-06 2012-06-28 Sony Corp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3223934A1 (de) * 2013-11-22 2015-05-2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US10024545B2 (en) * 2014-04-17 2018-07-17 Whirlpoo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home appliance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229A (ko) * 2016-05-25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KR20170133227A (ko) * 2016-05-25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KR20170133228A (ko) * 2016-05-25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133230A (ko) * 2016-05-25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KR20170133231A (ko) * 2016-05-25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KR20190076337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188510B1 (ko) 2020-08-24 2020-12-08 배성구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용 범용컨트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한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
KR102237771B1 (ko) 2020-11-18 2021-04-07 배성구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용 범용컨트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한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
WO2023277389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78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79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23022349A1 (ko) * 2021-08-18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106683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N115016411A (zh) * 2022-06-10 2022-09-06 苏州益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品后加工产线的给水管理调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1233A1 (en) 2017-05-24
CN105278498A (zh) 2016-01-27
EP3171233A4 (en) 2018-03-21
US20170163437A1 (en) 2017-06-08
WO2016010231A1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0093A (ko)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3348909B1 (en) Oven and oven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US10194296B2 (en) Multifunction pass-through wall power plug with communication relay and related method
US9874942B2 (en) Control system for augmenting a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JP5681713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
US9876651B2 (en) Home appliance and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KR1020469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052946A1 (en) Home automation using a mobile device
TW201409382A (zh) 智慧開關及應用該智慧開關的智慧家居系統
WO2020192200A1 (zh) 分体式家电设备的控制方法、智能操控设备和系统
KR102048362B1 (ko)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1851B1 (ko) 공기 조화 장치
KR20160072006A (ko)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JP2006324900A (ja) 家電機器システム及び操作機器
CN204143633U (zh) 学习型遥控器
US9608837B1 (en) Method for using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home network
KR102104437B1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JP2005352812A (ja)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機器制御装置
KR20120080873A (ko) 공기 조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643586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KR20180128139A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9840A (ko) 전기제품
TWI462522B (zh) 遠端遙控系統及方法
TW201602972A (zh) 學習型遙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