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19563A1 -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19563A1
WO2017119563A1 PCT/KR2016/007335 KR2016007335W WO2017119563A1 WO 2017119563 A1 WO2017119563 A1 WO 2017119563A1 KR 2016007335 W KR2016007335 W KR 2016007335W WO 2017119563 A1 WO2017119563 A1 WO 20171195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ub
window
grill
dispose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3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두열
김경태
지상훈
유지성
구경규
엄다정
김상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702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450B1/ko
Priority to EP16883949.6A priority patent/EP3402150B1/en
Priority to US16/068,085 priority patent/US11012767B2/en
Priority to KR1020160106337A priority patent/KR102407642B1/ko
Priority to KR1020160106332A priority patent/KR102478281B1/ko
Priority to KR1020160106336A priority patent/KR102486292B1/ko
Priority to KR1020160106335A priority patent/KR102478279B1/ko
Priority to KR1020160106328A priority patent/KR102486293B1/ko
Priority to KR1020160106333A priority patent/KR102582268B1/ko
Priority to KR1020160106334A priority patent/KR102478280B1/ko
Priority to KR1020160106331A priority patent/KR102407643B1/ko
Priority to KR1020160106329A priority patent/KR102407645B1/ko
Priority to KR1020160106330A priority patent/KR102407644B1/ko
Priority to US15/604,836 priority patent/US10356499B2/en
Priority to US15/604,902 priority patent/US10111345B2/en
Priority to US15/605,041 priority patent/US10149080B2/en
Priority to US15/605,265 priority patent/US9990002B2/en
Priority to US15/605,136 priority patent/US9992036B2/en
Priority to US15/604,975 priority patent/US10440456B2/en
Publication of WO20171195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19563A1/ko
Priority to US16/433,541 priority patent/US1111574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3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8Structural combinations of loudspeakers with built-in power amplifiers, e.g. in the same acoustic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constituting a network through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 a home appliance such as a washing machine, a refrig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P) connected to the Internet by wire or wireless, thereby establishing a network.
  • AP access point
  • a terminal e.g., a smart phone
  • This method is limited in the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terminal because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me appliance is limited. For example, when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can share with the refrigerator is limited because the sensor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can not be changed.
  • IoT Internet of Things
  • the object Internet technology adds communication, sensor function, etc. to various devices, and the device itself can receive or receive information, an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rocess and process the information.
  •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operation means has a very important influence on the emotion quality felt by the user,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emotion quality of the operation means Is required.
  • the window is a part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hub Therefore, factors that affect the appearance of the hub by adding the window need to be considered.
  • a main body having a speaker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metal grill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herefore, when a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peripheral devices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communication can not be smoothly performed due to signal interference (or radio wave interception) due to the grill.
  • the top surface of the hub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cooperate with the side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when the lower surface is viewed from above.
  • the main body having the loudspeaker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grill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 the grill is configured to have an elliptical cross-section, due to the elasticity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metal grill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maintain an elliptical shape.
  • the hub may include a speaker to function as audio for reproducing music.
  • the grill surrounding the speaker is formed with apertures through which sound can be emitted. Since the through holes determine not only the sound quality but also the rigidity of the grille itself,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 the hub is firmly supported on the floor so as to prevent breakage due to overturning, and even if the hub is mounted on a floor with water, such as a kitchen countertop, a bathroom or a sink, There is a need to provide measures to prevent parts from flood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ub that displays an interface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eripheral devic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grasp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mutual communication with object Internet devices, which have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nd to control these devic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the interface is displayed at an optimal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that minimizes the appearance of the joint between part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hub body having a speaker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grill, a cover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grill and a hub base is coupled to a lower side, To provide a hub in the form of a.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the grill is fixed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when the grill is made of a metal materia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the grill is shaped by firing of a metal material itself in a process of joining a cylindrical metal grill to the cover and the hub bas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a main PCB is disposed between a hub base and a hub bod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ccessory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setting a function of the accessory, and managing a home network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ccessory .
  •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state of a home appliance or controlling an operation thereof by utilizing a function provided through the accessory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and an accessory provided separately To provide a hub that can be us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apparatus in which the upper surface on which information of a display is displayed is circular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Wherein the top of the grill and the cover are formed on a continuous curved contour.
  •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is provided with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nterface screen on 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hub body and a window in which a screen of the display is viewed, To provide a hub that can do that.
  • the hub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eripheral device, and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displayed on the interface screen.
  • the cover includes a display PCB on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and a tact switch is disposed on each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CB.
  • th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to support the window, the window support plate being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bosses, Operation protrusions are formed. When a certain portion of the window is pressed, the window support plate is bent around a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boss, so that the operation protrusion presses the tact switch.
  • the user selectively presses the four areas corresponding to the tact switches on the window to operate the tact switch. That is, the window functions as a kind of button for operating the tact switches. It is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such a function can be accurately performed by all four region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display device,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hub.
  • the opening of the window support plate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anel.
  • the operation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regions.
  • the shape of the opening is longer tha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area of the front / rear area and the area of the left / right are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our areas of the window support p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ss and the operation protrusion varies depending on the area. It is therefore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such deviations.
  • the window is located in an open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hub.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ver housing, which comprises a mold used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cover housing and a mold for defining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So that the shape of the cover housing can be designed so as to be taken ou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which can hold the display disposed above the display PCB by using a structure (partition plate) for supporting the display PCB.
  •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which can accurately grasp a position at which the display panel is installed.
  • a window in which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is projected is transparent in a certain portion of the interface screen,
  • the display panel is installed at an accurate position so that the screen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in the window.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hub body having a speaker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metal grill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In which the signal is not interrupted or blocked by the grill.
  •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nd an appropriate position for mounting an antenna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n the outside of the gril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of a signal through the antenna is not hindered by the display PCB.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distortion of the screen is minimized by forming an angle between a top surface of a hub on which an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and a line of sight of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interface screen, .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circular window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is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appearance of the hub becomes a form of a cylindrical unity.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grill in a suitable form so that the hub can have an unified appearan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ll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grill so as to allow sound to be emitted and a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is located in the grill, (That is, the area of the grill seen from the front) of the grill so as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grill to be discharged.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hub is placed on a shelf, since the wall surface on which the shelf is installed is positioned behind the hub, even if the hub is pushed rear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turning or falling down of the shelf. Howev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vulnerable to overturning. Therefore, it is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such a problem.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more holes in the grill in a structure in which a hub is provided with a speaker and the hub body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grill.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a through hole arrangement pattern so that the rigidity of the grill can be secured even if a large number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grill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grill and the lower end of the grill,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hub base, have sufficient rigidity by specifying the area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provided with a heat sink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various electric parts such as a controller (or a controll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a main PCB and a heat radiating plate for radiating heat are arranged in a space provided between the hub body and the hub bas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that prevents output vibration of a speaker provided on the hub body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heat sink.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ttom of the hub and the hub to prevent the hub from being rolled ov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the base body constituting the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is not wetted even if the base body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hub.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n adapter provided in a power cord on the bottom of a hub.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b in which the power cord is not easily separat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al grille comprising: a cylindrical metal gril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hub body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grille and having a speaker; a hub bod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A cover for displaying an interface screen, and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from the lower side.
  • the cylindrical grill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ircular shape belongs to a plan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naturally de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metal material itself, and the shape of the end face is shaped into a predetermined elliptical shape And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 hub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in a hub body having a speaker,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peripheral device (e.g., a stuff Internet device having a sen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 a peripheral device e.g., a stuff Internet device having a sensor
  • the hub has a hub body disposed in a cylindrical gril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so that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can be emitted.
  • the upper end of the hub is coupled with a cover that displays the interface screen, Is coupled to the hub base.
  • the coupling between the grill and the cover is no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but is inserted into an opening defined by the upper end of the grill in the form of a rib formed in the cover,
  •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in the form of a rib formed in the hub base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defined by the lower end of the grill.
  • the grill may be formed by processing a metal plate.
  •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rill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grill of the metal material is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grill is deformed in the shape of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As shown in Fig. That is, by forming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into a proper shape, the grill can be shaped into a desired shape, and by this metho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rill can be kept oval.
  • the cover may include a cover housing coupled to the hub body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display for outputting the interface screen may be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Further, a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disposed in the opening, and the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through the window.
  • the window is formed by processing a transparent plate material into a circular shape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izing the normal vecto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to a predetermined horizontal plane faces the static room.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the state where the window is installed, only the side which forms the thickness of the window is seen, the front end of the side is the lowest, the rear end is the highest, and the front end of the side is the electrostatic room And the rear end is located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of the hub.
  •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preferably lies coplanar with the upper end of the cover housing,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is apparently cohesive.
  • the window may have a circular shape (preferably, a garden shape).
  • a circular shape preferably, a garden shape.
  • the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ecomes shorter than the original length.
  • the shape of the window is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lane, the length of the window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ecome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wind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refore, in order for the hub to have a unified appearance, It may be an ellips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lipse.
  • the shaping of the grill can be performed by forming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into an elliptical shape.
  • a display PCB for supporting the display from the lower side may be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 tact switches for operating the interface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CB.
  • the tact switches are preferably arranged symmetrically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 a window base for supporting the window from the lower side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 the window base also functions as a button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tact switche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window.
  • the window base includes a window support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to support the window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screen of the display is exposed, a support boss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 ≪ / RTI >
  • the window support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act switch on the window, the window support plate is slightly bent around the support boss, The tact switch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ressing projection is operated.
  • the cover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side wall, and the inside of the side wall may be partitioned up and down by a partition plate.
  • the partition plate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boss into which a support boss protruding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is inserted.
  • the window support plate may have an opening through which a screen of the display provided below the window support plate is exposed.
  • the opening of the window support plate may correspond to a shape of a general display panel and may have a longer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n a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support boss may include a region located in front of the opening of the window support plate And the rear sid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window support plate.
  • the hub body may include a speaker case in which the speaker is received inwardly, and the speaker case may be coupled with the cover inside the grill.
  • the cove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sse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peaker case may have a boss insertion groove recessed from a front surface or a rear surface of the boss insertion groove, An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 the speaker case may be coupled to the hub base.
  • the coupling between the speaker case and the hub base is preferably made in the grill.
  • a coupling boss is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case and is coupled to the hub base.
  • the hub base is formed with an insertion boss into which the coupling boss is inserted.
  • the bottom of the hub base may have a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boss, and the bolt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oss from the lower side of the hub base through the fastening hole.
  • a main PC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case and the base body.
  • the main PCB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various electric devices such as the speaker,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display,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CB by a circuit.
  • a volume switch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CB, and a volume button for operating the volume switch may be installed on the cover housing.
  • An opening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cover housing, and the volume button can be fixed in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 the hub base may include a base body coupled with a fastening boss of the speaker case, and a support rubber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body.
  •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office module, a geo-wave module, and the like.
  • the Wi-Fi module and the Bluetooth module may b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 the Wi-Fi module and the Bluetooth module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peaker.
  • the costume communication module and / or the geo-wav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peaker.
  • a hub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in a hub body having a speaker,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peripheral devices (for example, a stuff Internet device having a sen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 peripheral devices for example, a stuff Internet device having a sensor
  • a cover housing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nterface screen may be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 the cover housing may include a tubular sidewall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partition plate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sidewall and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sidewall up and down.
  • the display PCB may be disposed on the partition plate, and the display and the four tact switches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CB.
  • the four tact switches can be arrang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regions based on the display, and these tact switches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Can be used.
  • a window base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the interface screen may be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and the opening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 the window base includes operation protrusions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tact switches, respectively, and operating the tact switch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support bosse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 plate and engaged with the partition plate to separate the window support plate from the display PCB.
  • the left or right side region of the window support plate is narrower tha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opening portion, There is a special difference when the support plate is substantially in the form of a garden. Therefore, when the support boss is formed in a relatively narrow region, the distance between the operation protrusions belonging to the region and the support boss becomes close to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force applied to the window support plate in the relatively narrow region, This means that the distance, i. E., The moment arm is shortened, suggests that a larger force is required to operate the tact switch in the relatively narrow reg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osses are formed on the window support plate in the front or rear region of the opening.
  • the window support plate On the window support plate, the operation protrusions of the left or right area of the opening are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bosses, so that the tact switch can be smoothly operated.
  • the manipulation protrusions of the rear regions are relatively close to the support boss, so that a greater force should be applied to the front or rear region.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a manipulation deviation between these areas, the window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slit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between the support boss and the opening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regions with respect to the opening, .
  • a hub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hub base; a disk-shaped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And a cover housing in which the window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and an opening in which the window is dispos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 the opening portion of the cover housing is located on a plane forming an acute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That is, the normal vector to the plane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Furthermore, the normal vector to the plane to which the opening belongs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izing the normal vector to the horizontal plane faces forward.
  • Such a structure is also such that the lowest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hub and the highest portion is locat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hub.
  •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is parallel to the normal vecto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upper end def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defining the opening and the window is formed by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parallel to the normal vector Are arranged in a limited area.
  •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is disposed to face the normal vector direction, and therefore, th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hat defines the region where the window is disposed is also parallel to the side surface of the window.
  • the window has a top surface parallel to the plane to which the opening of the cover housing belongs, and if expressed differently, the normal vector to the top surface of the window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ity is directed forward in forward direction.
  • the hub may include a hub body having a speaker a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 the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peripheral devices (for example, object Internet devices having sensors), and an interface configured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panel.
  • the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may be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 the cover housing may include a tubular sidewall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partition plate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sidewall and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sidewall upward and downward.
  • a display PCB may be disposed on the partition plate, and the display panel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CB.
  • the display PCB comprises substrate arms extending in four directions from front to back, left and right, thus defining a quadrant by the four substrate arms.
  • At least one rib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partition plate, and the rib may pass through the quadrant region of the four substrate arms to contact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 a hub includ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a hub body having a speaker, wherei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to communicate with neighboring devices (for example, ), And an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 the hub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metal grill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so that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can be emitted.
  • the hub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nd at least one antenna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disposed outside the grill.
  •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is coupled to a cover housing, and a display PCB is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CB.
  • the antenna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 the cover housing may include a tubular sidewall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ll and extending upwardly and downwardly and a partition plate extending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wall and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sidewall upward and downward.
  • the display PC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antenna is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 the side wall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grill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 the antenna at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wall, A sufficient distance can be secured.
  • a hub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in a hub body having a speaker,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peripheral devices (for example, a stuff Internet device having a sen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 peripheral devices for example, a stuff Internet device having a sensor
  • the hub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gril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so that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can be emitted, the upper end of the grill is coupled with a cover for displaying the interface screen,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hub base.
  • An opening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and a window is disposed in the opening.
  • the openings belong to a first plane forming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 the cover housing includes a cylindrical side wall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ll, and the opening is a region surrounded by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 the shape in which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is orthogonally projected on the horizontal plane is a vector direction obtained by vertically orthogonalizing the first normal vector upward from the first plane to the horizontal plane, And has a long diamet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 projection.
  •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grill also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orthogonally to the horizontal plane, the shape of the grille viewed from the front is larg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type, And therefore, the volume of sound emitted forward is increased.
  •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grill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y orthogonally to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when the hub is viewed from above, Respectively.
  • the opening and the bottom of the cover housing ar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lane, And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a vector obtained by vertically normalizing upward normal vectors from the first plane in a horizontal plane. That is, when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izing the normal vector on the horizontal plane is directed toward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hub, the opening of the cover housing is also located on a plane inclined upward from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 the window may also be arranged to be incl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ning.
  •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is located on a plane to which the opening belongs.
  • This structure is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that transmits the screen of the display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late, and therefore,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hu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are arranged horizontally Thereby making the angle larger.
  •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ase corresponds to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elliptical grill.
  •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ase has an oblong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s an elliptical shape with a front and rear direction.
  • the hub may include a hub body having a speaker a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 the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peripheral devices (for example, a stuff Internet device having a sensor), and an interface configured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ave.
  • the hub body may be disposed in a grill of a cylindrical metal material.
  •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grill so that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 the through holes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pattern composed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repeated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 This arrangement of the four-sided continuous patterns can form a second through-hole having a small diameter between the first through-ho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widen the area where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s emitted, . ≪ / RTI >
  • a hub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in a hub body having a speaker,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peripheral devices (for example, a stuff Internet device having a sen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 peripheral devices for example, a stuff Internet device having a sensor
  • the hub body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gril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so that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can be emitted, an upper end of the grill is coupled with a cover that displays the interface screen, And is coupled to the base.
  • the hub body includes a speaker case having a cavity (or a borehole) in which the speaker is housed a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hub body, and a plurality of support bosses project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case, May support the heat sink.
  • a main PCB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peaker can be disposed between the hub body and the hub base, and the heat sink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PCB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ody (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case) As shown in FIG.
  • the speaker case forms a cavity, vibrations due to the output of the speaker can be transmitted to the bottom of the speaker cas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output vibration of the speaker transferred to the heat sink,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speaker cas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case.
  • the heat sink has a plurality of support tabs extended from a flat plate portion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bosses through which the support bosses are respectively formed, and the support tabs are fastened to the support bosses from below the plate portion,
  • the flat plate portion is hel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case.
  • a hub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cover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and displays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and lower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 the hub body may be disposed, the upper end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lower end coupled to the hub base.
  • the hub base includes a base body having a rubb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support rubber inserted into the groove.
  • the supporting rubber may further include a rubber main body exten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ubber insertion groove and coupled with the rubber insertion groove, An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rubber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rubber insertion groove.
  • the base body may be formed with a depression for receiving the adapter of the power cord.
  • the depressed portion may include an opening position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ase body, a side extending up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and an upper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and facing the opening.
  • a socket for receiv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cord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depression, and a cord fix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ase body so that the output terminal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socket.
  • an outer opening of the outer wall of the base body is formed, an inner opening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depression, and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is formed with a cord insertion hole for connecting the outer opening and the inner opening.
  • the cord fixing groove may be recessed from the cord insertion port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 cord for supplying power is passed between the outer opening and the inner opening.
  • the method includes a cylindrical metal grill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 hub body disposed inside the grille, the hub body having a speaker and a communication module, and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hub body, A cover for displaying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module, and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from the lower side.
  • the shape of the grill when defining a cylindrical main shape having an upper end formed by a circular opening on a plan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and an elliptical lower end formed by orthogonally projecting the upper end o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shape of the grill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the above-described main shape.
  • Such a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 the metal plate is formed in an outer shape in which the base plate is develop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 unnecessary portion of the metal plate may be removed by etching and the metal plate may be formed to have an external shape that the metal plate is developed to form a through hole.
  • Stainless steel is suitable as the material of the metal plate.
  • the contour of the metal plate may be machined such that the sides are straight lines extending vertically in the middle of the finished grill rear surface.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ill may be in the shape of an indefinite shape because the grill is bent and deformed natur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material.
  • a lower end hol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formed on the hub base, and an upper end holding portion formed on the cover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rill And the cover and the grill are assembled.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grill is shap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 a lower holding portion formed on the hub base is inserted into an opening formed in a lower surface of the grill, and a lower end of the grill is shap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from the lower side; A cover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and displays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hub body which is formed in a vertically long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upper end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lower end coupled to the hub base.
  • the cover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cover housing.
  • the cover includes a cover housing coupled to the hub body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display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to output the interface screen, As shown in FIG.
  • the cover housing comprises: a cylindrical side wall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 cylindrical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inserted into the gril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grille, and contacting the inner side of the grille, And an upper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top shape of the grill.
  • th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PCB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and having the displa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window bas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window to support the window, And a support bos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to be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 the support bracket may include a support bracket that supports the window and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screen of the display is exposed.
  • the cove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exten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vertically and having the display PCB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Can be formed.
  • the window support plate and the partition plate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window, respectively.
  • the opening of the window support plat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 the support boss may be formed in a region located behind the opening of the window support plate and in a region located in front of the opening have.
  • the display PCB may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boss pass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osses.
  • the tact switch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CB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nd the window base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tact switches, Operating protrusions for operating the tact switch by th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window may be formed.
  • the window is dispos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wherein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ly normalizing the normal vector to the upper surface in a predetermined horizontal plane faces the static electricity chamber, the grill is made of a metal material,
  • the orthogonal projection on the horizontal plane can correspond to the shape obtained by orthogonally projecting the window on the horizontal plane.
  • the window may be of an elaborate type.
  • the cover housing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hub body.
  • the hub body may include a speaker case in which the speaker is received inward, and the speaker case may have boss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are inserted, respectively.
  • the speaker case may include a front case having an acoustic output port through which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is exposed, and a rear case coupled with the front case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peaker is received between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may protrude rearward from a front portion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and at least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may protrude forward from a rear portion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oss insertion grooves may b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case so that a locking boss projecting rearward from a front portion of the upper holding portion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oss insertion grooves An opening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case so that a fastening boss projecting forward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protrud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case, and the base body may further include insertion bosses protruding upwar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each of the fastening bosses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astening bosses.
  • the hub may further include a main PCB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case and the base body and circuit-connected to the display PCB.
  • the hub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switch disposed on the display PCB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speaker.
  • An opening may be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cover housing, and may be fixed in an opening of the side wall.
  • a volume button for operating the volume switch.
  • the base may include a base body having an open top surface and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inwardly, and a support rubber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body.
  • the base body includes: a base bottom portion having a rubber insert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rubber is inserted; a base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 periphery of the bottom portion and disposed below the grill;
  • a lower end hol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base and inserted into the grill from the lower side of the grill and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grill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grill.
  •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Fi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and the Wi-Fi module and the Bluetooth module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ub body.
  •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low cost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hub body.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speaker from the lower side, A cover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eaker and having a tubular sidewall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peaker and a partition plate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sidewall and defining the sidewall up and down;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received and transmitted;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for supporting the display from the lower side, and a tact switch for each of the front, A display PCB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and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the screen,
  • the window base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base so as to cover the opening portion, A window support plate on which an upper surface of the tact switch is disposed and a tilt projection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tact switches and
  • the pair of support bosses may b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front region and the rear region, respectively.
  • the cove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bos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artition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boss, wherein the support boss is inserted. And a bolt passing through a lower end of the insertion boss and fastened to the support boss.
  • the window may comprise a transparent member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be attached to the window support plate.
  • the window support plate may be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horizontal plane.
  • the support boss may provide an angle with respect to an angle formed by the window support plate and the predetermined horizontal plane of the window support plate.
  • the window support plate may be colored translucent or opaque, except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 the window support plate may be affixed with a translucent or opaque film on its underside, except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 the operating protrusions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from the lower side;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the display being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Wherein the normal vector of the predetermined plane to which the opening belongs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normal vector is defined by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is in contact with the opening Wherein a predetermined por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is parallel to the normal vector and the window is defined by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hat is parallel to the normal vector, As shown in Fig.
  • the cove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ly long cylindrical body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he hub body disposed on the inner side, the upper end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lower end coupled to the hub base, And a second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and being inserted into the grill from the upper side of the grill and being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grill, And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hat is parallel to the normal vector may belo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wall may be parallel to the normal vector or may be gradually moved away from the normal vector toward the lower side on a cut surface obtained by cutting the cover housing into an arbitrary vertical plane.
  • the window may be of an elaborate type.
  • the window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and the side surface may be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 the side surface of the window may form a certain distance from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hat is parallel to the normal vector at any position.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from the lower side;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the display being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Wherein the window is disposed in an area defined by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and the window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opening, And can be disposed in a region defined by a predeterm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portion, Wherein the normal vector to the top surface of the window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izing the normal vector to the horizontal plane can be directed forwar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defines a portion, As shown in FIG.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 a cover housing having a tubular side wall and a partition plate extending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side wall into upper and lower parts;
  • a display PCB disposed on the partition plate, the display panel being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display PCB including substrate arms extending in four directions from front to back, left and right, Wherein the cover housing projects upward from the partition plate, and one of the regions divided by the substrate arms Imposed may further comprise a ri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 the display panel may be in the form of a rectangle.
  • the ribs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ribs, on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other of which is in parallel with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ribs may be in contact with a third side connecting the first side and the two sides of the display panel.
  • the display panel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side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 the rib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rib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panel may pass through different ones of the quadrant regions by the substrate arms.
  • the hub includes a window support plate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the screen and a window support plat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and coupled with the partition plate,
  • a window base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bosse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CB; a window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window base in the cover housing to cover the opening, At least one of the two support bosses may be coupled to the partition plate through any of the quadrant regions defined by the substrate arms.
  •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substrate, and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osses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 the cove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ion bosse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artition plate and into which the plurality of support bosses are inserted, respectively.
  • Each of the board arms may be provided with a tact switch, and the tact switches may be arrang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regions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CB.
  • the tact switches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 the cove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ribs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rtition plate and passing through any one of the areas divided by the substrate arm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CB.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cover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a display PCB disposed in the cover housing; and a display PCB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CB,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 window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and projecting the screen,
  • the hub body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and the upper end is formed on the cover And a lower end coupled to the hub, wherein the cover housing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ll and includes a tubular sidewall extending up and down and a sidewall extending from an inner side of the sidewall, And a partition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the display PCB is disposed, and the antenna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 the side wall may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from the top of the grill gradual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antenna may be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side wall.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speaker.
  • the at least one antenna may include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respectively.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Wi-Fi module.
  • the hub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 protoc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nd an antenna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isposed on a rear portion of the hub body.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Wi-Fi module
  •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Bluetooth module.
  • the hub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ssembly integrally formed with the Wi-Fi module and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ssembl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speaker.
  • the hub may further include a cabin modul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peaker and an antenna connected to the cabin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a cabin communication signal, As shown in Fig.
  • any one of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satellite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left side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right side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 the hub may further include a tape to attach the antenna to the sidewall.
  • the antenna may be in the form of a film that is bent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our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 the antenna may be disposed below the partition plate.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from the lower side, A cover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n opening portion belonging to a first plane forming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A window disposed in the opening when the screen of the display is viewed and viewed downward; and a vertically long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wherein the hub body is disposed inside, A top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and a bottom coupled to the hub base, Wherein the cover housing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ll and the upper end may include a cylindrical side wall defining the open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having a circular outer circumference, And may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 of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rtho-convex shape.
  • the lowest point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opening ar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lane, they can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ctor obtained by vertically normalizing the normal vector upward from the first plane.
  •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lane to which the opening belongs.
  • the top surface of the window may be located on a plane to which the opening belongs.
  • the opening may be circular.
  •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may be circular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ow may be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and the sid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ow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And the side of the window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may be parallel to the side surface of the window at any portion of the window opposite the side surface.
  • the shap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ce is orthogonally projected on the horizontal plane has a radius in a vector direction obtained by orthogonally projecting a first normal vector upward from the first plane to a horizontal plane and has a long diamet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ity .
  •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grill may be elliptical.
  • the ellipse may have a radius in a direction in which a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izing the first normal vector on a horizontal plane is directed, and may have a long diamet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ity.
  •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ase may b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liptical shape.
  • the opening defined by the upper end of the grill may belong to a second plane forming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a vector obtained by vertically orthogonally projecting a second normal vector upward from the second plane, Can be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ctor obtained by orthogonal projection on the horizontal plane.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from the lower side, 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display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hub having a long cylindrical shape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And a lower end coupled to the hub base, wherein the plurality of apertures may include a first aperture and a second apertur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aperture, ,
  • the pattern composed of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can be repeated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 the grill may have a lower end periphery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not formed in an area from the lower end to a first boundary parallel to the lower end, and a second end, which is parallel to the first boundary, An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not formed may be formed in an area reaching the boundary.
  •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s may gradually decrease as the two or more of the first through holes approach the first boundary in any one of the rows in which the pattern is repeated and the diameter of the one closest to the first boundary may be minimum.
  •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s may be gradually decreased as the two or more of the first through holes approach the second boundary in any one of the rows in which the pattern is repeated and the diameter of the one closest to the second boundary may be minimum.
  • the grille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vertical line in a rear view,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to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vertical line to the upper end.
  • the upper end of the grill may be at a point where it meets the vertical line.
  • the grille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welding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so that the welding of both sides can be made along the vertical line. Through the grinding process, traces on both sides of the grille can be removed on the outer side of the grille, and there may be traces of the side edges welded on the inner side of the grille.
  •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grill, and the groove may be located on the vertical line.
  •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 may be formed with hair lines in which the entire area is processed by a polishing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 the hair lines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lower end of the grill may be provided with a hole through which a USB port is installed.
  • the grill may be stainless steel.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from the lower side, A cover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displays an interface screen for displaying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via an upper surface;
  • a main PCB having a hub body, an upper end coupled to the cover, a lower end coupled to the hub base, a main PCB disposed between the hub body and the hub base, the main PCB being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peaker, And a heat radiat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main PCB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ody,
  • the main body may include a speaker case having a cavity in which the speaker is housed a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support bosses protrud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case, And a plurality of support bosses through which the support bosses pass, respectively
  • the flat portion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PCB.
  • Each of the support tabs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t plate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 portion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bolts fastened to the support bosses.
  • the grill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heat sink and the grill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ductor.
  • a radiator may be formed on the flat plate portion.
  • the speaker cas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sses are respectively passed may be formed on the flat plate portion.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bosses into which the fastening bosses having passed through the fastening bosses through the fastening bosses can be inserted.
  • a plurality of fasteners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as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boss through holes and from which a bolt is inserted from a lower side thereof and a bolt passing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
  • the main PCB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pass.
  • the main PCB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boss.
  • the fastening boss through-hole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quadrants divided by two straight lin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lat plate portion an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the support boss through-hole may be formed in at least two of the quadrant regions.
  • the support boss through-hole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two diagonally arranged regions of the quadrant regions.
  • the heat sink may be made of aluminum.
  •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ub body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body from the lower side, And a cover for displaying an interface screen form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via the upper surface, the hub body being disposed on the inner side, And a lower end of the grill may include a grill coupled to the hub base.
  • the hub base has a rubber insert groov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 periphery of the bottom portion, A base bod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rubber insertion groove, It may include a protrusion that is not rubber.
  • the base body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boss project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hub body, wherein at least one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oss is formed in the rubber insertion groove .
  • the rubber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a predetermined circumference.
  •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with an indented portion that is recess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n the inner side surrounded by the rubber insertion groove.
  • the depressed portion may include a s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facing the opening portion, And a socket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depression for insert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cord.
  • the socket may hav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output terminal is inserted to open forward.
  • the rubber insert bite may be in the form of an arc extending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with a constant curvature.
  • a cord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power cord may be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rubber insertion groove in the base body.
  •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may have an outer opening formed therein, an inner opening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depression, and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may be formed with a code insertion port connecting the outer opening and the inner opening,
  • the fixing groove may be formed by the cord insertion hole so as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 cord for supplying power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opening and the inner opening.
  • the passageway may become narrower from the outer opening to the inner opening.
  • the cord insertion opening may be narrower from the outer opening to the inner opening.
  •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ssage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 reducing projection which is narrowed on both sides of the code insertion port.
  • the support rubber may include a rubber main body exten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ubber insert groove and coupled with the rubber insert groove an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rubber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rubber insert groove .
  • the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 the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metal grill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 hub body disposed inside the grille, the hub body having a speaker and a communication module, A cover for displaying an interface screen configured based 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hub base for supporting the hub main body from the lower side, wherein a circular opening is formed on a plan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a top end hol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end of the main body is formed on the cover when the cylindrical main body having the lower end of the ellipse is defined as the upper end and the upper end is formed in a regular shape on the horizontal surface, And a lower end hol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the base plat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B) a step of joining both sides of the processed metal plate to each other to form a top end of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 cylindrical grille having a lower end corresponding to a lower
  • the step (a) may include etching the metal plate to form an outer shape of the base plate and forming the through hole.
  • the metal plate may be stainless steel.
  • the joining between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may be performed by welding.
  • the step (a) may be such that the contour of the metal plate is a straight line in which the both sides exten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grill.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ub may further include machining a hole for installing a USB port in a portion where the both sides are welded.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ub may further include machining a recessed groove into a portion of the grille where the both sides are welded from the top.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ub may further comprise grinding the welded portions of the sid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ub may further include polishing the entire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e to form a hair line.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ub may further include painting a grill formed with the hairline.
  • the grill can be painted in an electrodeposition manner.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ub may further include laser engraving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 to mark the mark.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ub may further include attaching a porous fil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ill.
  • the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eripheral device, thereby managing various types of peripheral devices and easily acquir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object Internet devices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achieved.
  • visibility is improved by displaying the interface scree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 visibility is further improved by arranging the interface screen in a tilted manner.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ill are shaped using the firing of the metal material itself, so that the shape of the grill can be easily formed .
  •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by disposing the main PCB between the hub base and the hub body.
  • the window that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and exposes the screen functions as a button for the interface opera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button, thereby providing a simple appearance.
  • buttons on the window where the screen of the display on which the interface is output can function as a button for operating the interfac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interface can be performed more intuitively.
  • the window may function as a button in four areas of front, back, left, and right based on an area where the interface screen is exposed. Accordingly, the menus displayed on the interface may be scrolled in four directions,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ow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window are formed in parallel so that the gap between the window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can be enhanced.
  • the interval between the window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can be maintained constant.
  • the display panel outputting the interface screen does not shake and can mainta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interface screen viewed through the window of the window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 a window in which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is projected may have a certain portion (visual window) where the interface screen is visible and other portions may be attached or colored.
  • the correct position of the screen is maintained without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the screen being tilted to one side in the window, by being installed at the correct position.
  • the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voiding interference or blocking of signals by the metal grille by placing the antenna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n the outside of the metal grill.
  •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housing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ll, the antenna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ub, and the appearance of the hub is improved.
  • the side wall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grill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 the antenna at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wall, A sufficient distance can be secured.
  • the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on which the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user's line of sight and the upper surface can be at a larger angle than in the horizontal case, The distortion of the screen felt by the user is minimized.
  • the shape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grill is formed so that the inclined upper surface corresponds to the orthogonal shape on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when viewed from above, the outer appearance of the hub has a cylindrical integrated feel as a whole.
  • the grille is 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is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longer than a length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whereby an area for forward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nside the grill is larger than a horizontal There is an effect to be further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ross-section is of a garden type.
  •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ase is formed into an elliptical shape that is longer tha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the hub is not easily overturned by an external force a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ll is processed such that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hrough hole are repeated in a pattern repeated continuously in all directions so that sound output from a speaker disposed in the grille is emitted
  • the area is widened, and an improved sound quality can be obtained.
  • the rigidity of the grill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 the grille has an area in which the through holes are not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respectively, which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cover and the hub base, and thus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 and the hub base is advantageously achieved.
  • the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heat generated from various electric parts such as a controller (or a controller) is dissipated through the heat sink.
  • the hub body is provided with a speaker
  •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hub body and the hub base so as to avoid possible direct transmission of the output vibration of the speaker directly to the hub base.
  • the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hub is not easily rolled over due to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support rubber and the floor on which the hub is disposed.
  • the base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etted.
  • the adapter provided in the power cord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hu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iphery of the hub from being disturbed by the adapter.
  • the groove for fixing the power cord is formed in the base body, even if the power cord is pulled by an unnecessary external force or the hub is lifted, the tension is dispersed and the power cord is not easily separated.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a metal plate are rolled and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ille is irregular, and thereafter,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grille with the cover housing and the hub body Since the shap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naturally forme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tep for shaping,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 a cylindrical grill shape having a top formed by a circular opening on a plan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and an elliptical bottom formed by orthogonally projecting the top on the horizontal plane.
  • FIG. 1 illustrates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llustrates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ront view (a) of the hub and a sectional view (b) taken along line A1-A1 shown in (a).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s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FIG.
  • 6A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ub
  •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ill taken at each part shown in Fig. 6A.
  •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parts constituting the hub.
  • Fig. 9 shows a cover in which a window is removed.
  • 1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surface of the window base.
  • 10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window base.
  • 10C is a right side view of the window base.
  • 10D is a bottom view of the window base.
  •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shown in Fig. 9. Fig.
  • FIG.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3-B3 shown in Fig.
  • FIG.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3-A3 shown in Fig.
  • 12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3-C3 shown in FIG.
  • 12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3-D3 shown in Fig.
  • 1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over.
  • FIG. 1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1-F1 in Fig.
  • 1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2-F2 in Fig.
  • Figure 16 shows the display removed from the assembly shown in Figure 15;
  • 17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PCB.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play PCB so th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seen.
  •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and a button.
  • 20 is a plan view (a) and a perspective view (b) of the cover housing.
  • 21 is a rear view of the cover housing
  •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ub body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seen.
  •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ub body so that its bottom surface is seen.
  • 25 shows the rear surface of the hub body.
  • 26 is a view showing positions of antennas connected to the Wi-Fi module.
  • 27 is a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ed to the Bluetooth module and an antenna connected to the GPS module.
  • FIG. 30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ub body and the hub base.
  • 31 is a front view of the hub base
  • 3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hub body, the grill and the speaker case.
  • 3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6 is a perspective view (a) of the present embodiment, a metal plate (b) used for machining the grill, and a grille formed by etching a metal plate (c).
  • Fig. 3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36 (c), and Fig. 37 is an enlarged view (b) of a portion B shown in Fig. 36 (c).
  • FIG 38 is a perspective view (a), a plan view (b), a front view (c), and a rear view (d) of the grill.
  • Fig. 3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 FIG. 1 illustrates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network system is a collection of devices that establish a network by mutual communication within a certain space such as a home or an office.
  • FIG. 1 shows a home network system built in a home.
  • a network system includes an accessory 2, 3a, 3b, a gateway 4, an access point 7 and a hub 1, . ≪ / RTI >
  • the accessory 2, 3a, 3b, the gateway 4, the access point 7 and / or the hub 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 Ethernet (Ethernet), Zigbee, Z-wave, Bluetooth and the like.
  • Ethernet Ethernet
  • Zigbee Zigbee
  • Z-wave Zigbee
  • Bluetooth Bluetooth
  • Wi-fi is a trademark of the Wi-Fi Alliance. It is a term commonly us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a term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rules defined by the WLAN standard (IEEE 802.11) Refers to a set of technologies that support LAN connectivity, device-to-device connectivity (Wi-Fi P2P), wireless LAN connectivity, and PAN / LAN / WAN configurations.
  • Wi-Fi P2P device-to-device connectivity
  • PAN / LAN / WAN configurations PAN / LAN / WAN configurations.
  • &quot Wi-Fi module &quot
  • Wi-Fi module &quot is defin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Wi-Fi technology.
  • Ethernet is a network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EEE 802.3 standard, and is the most representative standard for local area network (LAN) hardware, protocols, and cables. Ethernet uses mainly CSMA / 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for data transmission.
  •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 &quot Ethernet module " is defined as a devic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ased on Ethernet technology.
  • Zigbee is a wireless network technology for configuring and communicating a privat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mall, low-power digital radio.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defined in IEEE 802.15. It is small size, low power consumption, low cost, and it is widely used as a ubiquitous building solution such as home network. It is used 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arket of intelligent home network, building, industrial automation, logistics, human interface, telematic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military.
  • the mobility protocol consists of a physical layer, a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a network layer, and an application layer.
  • the physical layer and the MAC layer are defined in the IEEE 802.15.4 standard.
  • ZigBee Home Network Public Profile and ZigBee Smart Energy Profile are used as the application profiles.
  • the RF4CE a new off-the-shelf specification, defines a simple network stack for star topology and a solution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RF4CE uses 2.4GHz frequency band and provides security using AES-128.
  • Low power transmission rate is sufficient for long battery life and security, and it is suitable for periodic or intermittent data transmission or data transmission for simple signal transmission such as sensors and input devices.
  • Applications include wireless lighting switches, household watt-hour meters, traffic management systems, and other personal and industrial devices that require near-field low-speed communication.
  • the advantage is that it is relatively simple and inexpensive compared to other WPA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and Wi-Fi.
  • the " occupancy module &quot is defined as a devic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occupancy technology.
  • Z-wave is a wireless transmission scheme designed for devices requiring low power and low bandwidth, such as home automation and sensor networks, to provide reliable communication between one or more nodes and control units in a wireless network.
  • JiWave is composed of physical layer,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transport layer, routing layer and application layer. It uses 9.6kbps and 40kbps (900MHz band, Europe: 869MHz, USA: 908MHz) , And a speed of 200kbps.
  • &quot geo-wave module " is defined as a devic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geo-wave technology.
  • the accessory 2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and may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vibration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IR) senso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se sensors can be transmitted to the hub 1 via the network and vice versa,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nsors from the hub 1 can be transmitted to the accessory 2.
  •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vibration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IR) senso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se sensors can be transmitted to the hub 1 via the network and vice versa,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nsors from the hub 1 can be transmitted to the accessory 2.
  • IR infrared
  • the accessory 2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remotely control peripheral equipment located nearby.
  • the accessory 2 may include an originating device that emits an infrared signal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 the infrared sensor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infrared rays irradiated from the transmitter when the infrared rays hit the object and are reflected.
  • the access point 7 is a device that relays the wireless device to a network so as to connect the home network with the Internet.
  • the home appliance 5, the hub 1, the accessory 3b and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7 by wire (e.g., Ethernet) or wireless (e.g., Wi-Fi).
  • the gateway 4 is a device for connecting these networks to each other so that other networks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lay the accessories 2 and 3b and the access point 7 by converting a signal of a lengthwise (or gyro-wave) type received from the accessory 2 or 3b into a signal of a wifi type.
  • the home network system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access point 7,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8 providing the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 a server (or a cloud) 8 may be managed by a manufacturer, a seller or a service provider contracted with the manufacturer 2, 3a, 3b and / or hub 1, have.
  • the server 8 stores software and data, which may be received from a home network.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hub 1, the server 8 can transmit the stored software or data to the home network via the Internet.
  • the server 8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C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phone connected to the Internet.
  •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C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phone connected to the Internet.
  •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ub 1 or the accessory 2, 3a or 3b may be stored in the server 8 and thi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 connected to the server 8.
  •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6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hub 1 or the accessory 2, 3a or 3b via the server 8 and thus can be transmitted via the mobile terminal 6 to the hub 1 ) And accessories (2, 3a, 3b).
  •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ub 1 and the accessory 2, 3a, 3b can be made via the gateway 4 and the access point 7,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ub 1 via the gateway 4 and the access point 7 in turn and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ub 1 is transmitted via the access point 7 and the gateway 4 And transmitted to the accessory 2, 3b.
  •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ccessory 2, 3a, 3b and the hub 1 is possible even if the network is disconnected from the Internet.
  • the accessory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quality sensor that senses the quality of the air, a smart plug, a CT sensor, a nest temperature controller, a sleep sensor, and the like.
  • the accessory may be attached to the home appliance (5).
  • an accessory having a vibration sensor may be attached to a washing machine to detect vibration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vibration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sensed vibration.
  • the accessory may be attached to a place other than the home appliance 5.
  •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example, an infrared ray sensor
  • an accessory hav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may be attached to the wall to detect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door. I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in the dwelling is not detec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welling person has been changed, and such a situation may be notified to the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6.
  • a signal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from the accessory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6, and the application loaded on the mobile terminal 6 may analyze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5 (For example, an unbalance of the washing machine) and door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for example, a warning indicating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 notification that the door is not opened or closed, a request for confirming the occupant's personal identity, etc.)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6 or the speaker.
  • the home appliance 5 for example, an unbalance of the washing machine
  • door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for example, a warning indicating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 notification that the door is not opened or closed, a request for confirming the occupant's personal identity, etc.
  • the hub 1 may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and may extract commands from the voice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according to a voice recognition program installed therein, and perform control accordingly.
  • FIG. 2 illustrates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the gateway 4 is not provided and the difference in that the hub 1 also functions as the gateway 4 performs And other feature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accessory 2, 3b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hub 1 without sharing the gateway 4 (see Fig. 1).
  • the accessory 2, 3b and the hub 1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 direct manner.
  • the accessory 2, 3b and the hub 1 may each be equipped with a directivity modul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front view (a) of the hub and a sectional view (b) taken along line A1-A1 shown in (a).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s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FIG. 6A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ub;
  •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ill taken at each part shown in Fig. 6A.
  •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parts constituting the hub.
  •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 Fig. 9 shows a cover in which a window is removed.
  • a hub 1 may include a cover 10, a hub body 40, a grill 20, and a hub base 30.
  • the hub body 40 is supported by a hub base 30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the cover 1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40.
  • the hub body 40 is disposed in the grill 20.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entire hub body 40 be completely disposed in the grill 20 and the hub body 40 can be partially projected through the top of the grill 20 as in the embodiment.
  • the grill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h, and is formed in a vertically long cylindrical shape and surrounds the hub body 40.
  • a porous filte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ill 20 so that dust does not enter the grill 20 through the through hole 20h.
  • the filte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fine pores such as a mesh or a nonwoven fabric.
  • the filte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ill 20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double-sided tape.
  • the filter also serves to conceal the configuration of the speakers 43 and 44 and the body cases 41 and 42 disposed in the grill 20 from being visibl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20h.
  • the through hole 20h is formed in a part of the grill 20 and is omitted in the other parts. However, the through hole 20h is omitted in order to avoid complication of the drawing.
  • the sounds outputted from the speakers 43 and 44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pread evenly through the through holes 20h in front, back, left, right, and all directions.
  • the cover 10 may include a window 11, a window base 12, a display 13, a printed circuit board 14 and a cover housing 15.
  • the window 11, the window base 12, the display 13, and the display PCB 14 may be disposed within the cover housing 15.
  • the cover housing 15 is made of synthetic resin,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40, and has an opening 15h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 the cover housing 1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side wall 151 defining an opening 15h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partition plate (not shown)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side wall 151, 152).
  • the display PCB 14, the display 13, the window base 12, and the window 11 are disposed above the partition plate 152. [ (See Figs. 19 to 20 fo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ver housing 15).
  • the lower end 151a of the side wall 151 preferably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grill 20, but a fine clearance due to the clearance may exist between them.
  • the lower end 151a of the side wall 151 overlaps at least a part with the upper end of the grill 20. [ There is a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 20 but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 20 except for the above- It forms a continuous contour.
  •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151a of the side wall 151 and is engaged with the grill 20.
  •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and the grill 20 are not engaged with each other by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but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grill 20 And it is preferably a force fitting type using the elasticity / restoring force of the grill 20 or the upper holding portion 153 itself.
  •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is positioned further inside tha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151 (i.e.,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5 is recessed at the lower end 151a of the side wall 151, A surface facing the upper end of the grill 2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so as to exten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51 to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 the cover housing 15 may have protrusions 154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51 and a protrusion insertion groove 418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ub body 40 to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154 have.
  • the protrusion 154 mov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main body 40 and then reaches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418 in the course of assembling the cover housing 15 and the hub main body 40.
  • the hub housing 40 And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insertion groove 418 by the elasticity of itself.
  •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abuts the inner surface of the grill 20, so that the shape of the upper end of the grill 20 is maintained.
  • the grill 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grill 20 is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grill 20 corresponds to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
  • the metal plate is rolled to form a cylindrical grill 20 having a domed shape in cross section,
  • the shape of the grill 20 is deformed into an ellipt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and can be maintained in the deformed state.
  • a garden-like window 11 having a radius 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dicated by? 1 in FIG. 6A, an acute angl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horizontal plane.
  • first angle an acute angle
  • the vector Vh obtained by orthogonalizing the normal vector V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11 to the horizontal plane is directed toward the static room, the form in which the window 11 is orthogonally projected in the horizontal plane, And has an ellipse having a long radius of r in the left-right direction.
  • the cross section of the grill 20 also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lipse (i.e., a ratio of the minor axis to the major axis is cos? 1: 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lipse,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rill 20 can be maintain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lipse.
  • the angle? 1 at which the window 1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gaze in a general use environment, so that the hub 1 is mounted on a cradle of about 1 m in height,
  • the line of sight of a general adult located in front of the hub 1 is determined so as to form an angle close to 90 degre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11 and preferably is not limited to about 20 degrees .
  • the display panel 131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o that the displayed screen faces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and is preferably inclined at the same angle? 1 as the window 11.
  •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to be described later is also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display panel 131 (or the window 11).
  •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1 of the cover housing 15 is of a garden type having an outer diameter L1
  •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151a of the side wall 151 is a Is inclined at an angle? 2 (? 2 ⁇ ? 1 or less,? 2 is also referred to as a "second angle") with a diameter of La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diameter of Lb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end face S1 of FIG. 6B is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end face S2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horizontal face , and if the value of?
  • the angle ⁇ 3 is an angle form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51 and the vertical line.
  • the angle ⁇ 3 may have a constant value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51.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vary.
  • the grill 20 has an outer diameter of elliptical shape (L1> L2), a long diameter L1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short diameter L2 in the front-rear direction.
  • L1> L2 the outer diameter of elliptical shape
  • L2 becomes L1 cos? 1. That is, the outer shape of the grill 20 having a regular view on the horizontal plane is an ellips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L2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straightness L1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outer shape of the window 11 becomes elliptical in its entirety, even though the window 11 is inclined.
  •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grill 20 and is covered by the grill 20, So that it can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hub 1.
  • the positioning protrusion 156 can be protru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1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156 (see FIG. 21)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grill 20 with the grill 20 positioned
  • the positioning groove 26 (see Fig. 38) can be formed.
  • the window 11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15h of the cover housing 15. [
  • the window 11 is formed by processing a transparent plat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the side surface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5 is formed so that a certai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housing 15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11 faces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rmal vector Vs in Fig. Do.
  • the upper end inner side surface 151a of the side wall 151 is a bar defining the opening 15h.
  • the upper end inner side surface 151a of the side wall 151 is referred to as an opening limiting surface.
  • the opening-defining surface 151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15h, and the window 11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surrounded by the opening-defining surface 151a.
  •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11 belongs to the same plane as the upper end of the cover housing 15 (or the plane to which the opening 15h belong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hub 1 is made up of one plane A sense of unity is formed.
  • the opening defining surface 151a is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vector Vs at any position. That is, even if the cover housing 15 is cut in an arbitrary plane parallel to the vector Vs, the opening defining surface 151a on the section is parallel to the vector Vs.
  •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51 is parallel to the normal vector Vs on the cut surface, o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normal vector Vs toward the lower side Can be achieved.
  • the cover housing 15 is injection-molded, the cover housing 15 is taken out from the first mold forming the side wall 151 vertically downward.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cover housing 15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metal mol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51 should have the above-described shape.
  • a separate second mold having a core inserted into the opening 15h is required.
  • the cover housing 15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mold by moving the second mold while the first mold is removed.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ld is equal to the normal vector Vs Direction.
  • 1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surface of the window base.
  • 10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window base.
  • 10C is a right side view of the window base.
  • 10D is a bottom view of the window base.
  •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shown in Fig. 9.
  • FIG. 1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1-F1 in Fig. 1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2-F2 in Fig. 15 shows the window base removed from the assembly shown in Fig.
  • Figure 16 shows the display removed from the assembly shown in Figure 15
  • 17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PCB.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play PCB so th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seen.
  • Fig.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and a button.
  • 20 is a bottom view (a) and a perspective view (b) of the cover housing.
  • 21 is a rear view of the cover housing; Reference is now made to Figs. 10-21.
  • the display PCB 14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152 to support the display 13 from the lower side.
  • the display PCB 14 comprises a circui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13 and the display 13 is connected to the circuit via a connector 132.
  • Four tact switches 181a, 181b, 181c, and 181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CB 14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display 13.
  • the display PCB 14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to front, back, left, and right. More specifically, the substrate 140 on which the circuits of the display PCB 14 are structured comprises a first substrate arm 145, a second substrate arm 146, and a second substrate arm 144 extending from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in the rearward, frontward, leftward, A third substrate arm 147, and a fourth substrate arm 148. As shown in FIG. The substrate 140 is substantially in the shape of a cross, but this shape need not necessarily be symmetrical.
  • ribs 152a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CB 1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152 of the cover housing 15.
  • the ribs 152a do not necessarily have to correspond to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PCB 14 and may only touch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CB 14, As shown in FIG. In particular, the ribs 152a may be formed at posi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ides of the substrate arms 145, 146, 147, 148 (i.e., the sides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substrate 140).
  • a first tact switch 181a, a second tact switch 181b, a third tact switch 181c, and a fourth tact switch 181d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arms 145, 146, 147, and 148, respectively .
  • the tact switches 181a, 181b, 181c, and 181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it formed on the substrate 140.
  • the display PCB 14 may be provided with an NFC module 540 (see FIG. 7).
  • the NFC module 540 may be disposed in the NFC mounting portion 146a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arm 146 by enabling NFC communication.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t is a next-generation LAN technology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due to its relatively low security and relatively low price because of its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Since both data reading and writing functions are available, there is no need for a dongle (reader) that was previously required for RFID use. It is similar to conventional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but it does not need to set up between devices like Bluetooth.
  • the display 13 is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and displaying an image.
  • the display 13 is connected to a circuit of the display PCB 14, and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circuit.
  • the display 13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31 and a connector 132 for connecting the display panel 131 to the circuitry of the display PCB 14 (see FIG. 8).
  • the display panel 131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CB 14 by an adhesive member (for example, a double-sided tape 171 (see Fig. 17)).
  • the display PCB 14 is connected to the main PCB 48 via a predetermined cable (not shown) so tha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13 can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CB 14 or the main PCB 48 ).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13 can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CB 14 or the main PCB 48 .
  • the display 13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82 (see FIG. 7) mounted on the main PCB 48.
  • a groove 429 for receiving the cable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ub body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ontrol unit 82 can control not only the driving of the display panel 131 according to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84 but also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ub 1.
  • a user interfac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anel 131, and the interface is implemented by executing the program.
  • the interface can display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50.
  • the interface may display a menu for controlling the accessory 2, 3a, 3b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50, or may display a menu for controlling the accessories 2, 3a, 3b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ccessories 2,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 information such as the network connection statu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50, temperature, humidity, brightness, and the like sensed by the sensor provided in the accessory 2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 a menu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peakers 43 and 44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for example, a menu for selecting a song or an album to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s 43 and 44, (E.g., song title, album name, artist), the size of the volume being output, and the like.
  • the user can communicate with the Bluetooth module 50b us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notebook computer, and various data such as music and images can be stored in the memory 84.
  • the control unit 82 can control the speakers 43 and 44 so that the music stored in the memory 84 is output,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music selection, playback, and stop are controlled by the tact switches 181a, 181b, and 181c , 181d.
  • the board 140 of the display PCB 14 may have a through hole 140h through which the support boss 122b formed in the window base 12 described later passes.
  • the through-hole 140h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bstrate arm 145.
  • a pair of volume control switches 185a and 185b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140.
  • the volume control switches 185a and 185b are used to control the volume of the speakers 43 and 44 provided on the hub body 40.
  • the volume control switches 185a and 185b may be configured as a tact switch, .
  • the volume control switches 185a and 185b are connected to a first volume control switch 185a (or a volume control switch 185a) that increases the volume of the speakers 43 and 44 each time it is pressed, (Or the volume reduction switch 185b), in which the volume of the first volume control switch 44 is reduced.
  • the volume control switches 185a and 185b may be disposed on the fourth substrate arm 148 of the display PCB 14 and may include a movable terminal (a portion pressed for switching operation) of the volume control switches 185a and 185b, Can be protruded toward the side wall 151 of the cover housing 15.
  • the side wall 151 of the cover housing 15 may have an opening 151h in which the volume button 16 is installed.
  • the volume button 16 may include a dome 161 and an elastic pad 162.
  • the elastic pad 162 may be formed as a single piec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preferably, rubber).
  • the elastic pad 162 is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elong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151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162a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5 and a pair of protruding portions 162b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62a And dome fixing protrusions 162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62a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51h.
  • the support portion 162a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housing 15 through the opening 151h unless the size of the support portion 162a is larger than the opening portion 151h and is not bent by an external force.
  • the dome 161 is made of synthetic resin, has a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dome fixing protrusion 162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 the dome fixing protrusion 162d is forced into the groove, and even if no separate bonding means is applied, the dome fixing protrusion 162d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dome 161 by the elasticity or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itself of the dome fixing protrusion 162d It does not separate.
  • the dome 161 and the dome fixing protrusion 162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 the dome 161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and /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61c.
  • the detent protrusion 161c is located inside the cover housing 15 and is caught around the opening 151h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dome 16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housing 15.
  • a pair of escape preventing projections 161c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me 16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air of switch movable projections 162b and 162c are connected to the first volume control switch 185a and the second volume control switch 185b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volume control switch 185a and the second volume control switch 185b,
  • the switch operation protrusions 162b and 162c of the elastic pad 162 are moved to the volume increase switch 185a, Or the volume reduction switch 185b, so that the volume of the speakers 43 and 44 is adjusted accordingly.
  • a substantially circular window base 12 may be disposed above the display 13.
  • the window base 12 is an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preferably formed as a single part.
  • An opening 12h is formed in the window base 12, and a screen of the display 13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2h.
  • the opening 12h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nel 131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window base 12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splay panel 131. [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31 can be viewed through the opening 12h.
  • the display panel 13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opening 12h also has a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length in the forward- desirable.
  • the window base 12 includes a window support plate 121 having an opening 12h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 window 1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operation protrusions 126a, 126b, and 126c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126c and 126d and a plurality of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122d may extend vertically downward.
  •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angle? 1 relative to the horizontal plane, as in the case of the window 11, (90 -? 1) of? 1 with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as shown in FIG.
  • each portion of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SE1 located at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ing 12h, a second region SE2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fourth region SE4 located on the right side.
  • At least one of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region SE1 and the second region SE2.
  • the four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can be formed so that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being shaken.
  • the first support boss 122a and the second support boss 122b, The third support boss 122c and the fourth support boss 122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SE2.
  •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are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151 to support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wherein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CB 14. At least one of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may be coupled with the partition plate 152 through the quadrant region by the substrate arms 145, 146, 147 and 148, And may be coupled with the partition plate 152 through the through hole 140h formed in the substrate arm 145. [
  •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15 is divided into four regions P1, P2, P3 and P4 by four substrate arms 145, 146, 147 and 148 in a cross shape.
  • P1 is defined as a first quadrant
  • P2 is defined as a second quadrant
  • P3 is defined as a third quadrant
  • P4 is defined as a fourth quadrant do.
  • the first support boss 122a, the third support boss 122c and the fourth support boss 122d pass through the second quadrant P2, the third quadrant P3 and the fourth quadrant P4, And the second support boss 122b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0h formed in the first substrate arm 145 and is coupled to the partition plate 152.
  •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and the partition plate 152 of the cover housing 15 is such that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are directly engaged with the partition plate 152
  •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may be coupled to the insertion bosses 154a, 154b, 154c, and 154d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152.
  • the partition plate 152 of the cover housing 15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boss 122a, the second support boss 122b, the third support boss 122c and the fourth support boss 122d
  • the first insertion boss 154a, the second insertion boss 154b, the third insertion boss 154c, and the fourth insertion boss 154d may be formed.
  • the insertion bosses 154a, 154b, 154c and 154d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partition plate 152 and each may extend in parallel with the corresponding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 the first support boss 122a, the second support boss 122b, the third support boss 122c and the fourth support boss 122d are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boss 154a, the second insertion boss 154b, 3 insertion boss 154c and the fourth insertion boss 154d.
  • the lower ends of the insertion bosses 154a, 154b, 154c, and 154d may be formed with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bolts.
  • the bolts 19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from the bottom to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d.
  • the cover housing 15 may include at least one rib 152a, 152b, 152c, 152d, 152e, and 152f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rtition plate 152.
  • At least one of the ribs 152a, 152b, 152c, 152d, 152e, 152f 152b, 152c, 152d, 152e, 152f may be in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131.
  • the display PCB 14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152, in order for the ribs 152b, 152c, 152d, 152e, and 152f to contact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131, .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bs 152b, 152c, 152d, 152e, 152f are connected to the display PCB 14 by subdivided regions P1, P2, P3, P4 by a cross- It is suggested to utilize it as a path to pass through without interference with.
  • the ribs 152b, 152c, 152d, 152e, and 152f may be any of the regions P1, P2, P3, and P4 subdivided by the substrate arms 145, 146, 147, And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31.
  • the ribs 152b, 152c, 152d, 152e, and 152f function to se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31 and allow the display panel 131 to maintain a proper position without shaking.
  • the display panel 13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display panel 1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ribs 152b, 152c, 152d, 152e, and 152f.
  • a pair of mutually parallel sides can be in contact with the ribs.
  • the transverse sides (or the side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31 are in contact with the ribs 152b, 152c, and 152d.
  • the ribs 152b, 152c, and 15d may be elongated along the lateral sides of the display panel 131.
  • the ribs 152b, 152c and 152c may pass through different regions of the four regions P1, P2, P3 and P4, respectively, defined by the substrate arms 145, 146, 147 and 148.
  • the rib 152b passes through the second quadrant P2
  • the rib 152c passes through the third quadrant P3
  • the rib 152d passes through the fourth quadrant P4 And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upper horizontal side in the figure), the left side and the front side (lower lateral side in the drawing) of the display panel 131, respectively.
  • a rib may be further formed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quadrant P1 and / or the fourth quadrant P4 and contacts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panel 131.
  • Ribs for example, 152b which ar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31 and ribs (for example, 152c)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131 are formed on the substrate arms 145, 146, 147 (E.g., P2, P3) among the quadrant regions P1, P2, P3, P4,
  •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may be bent around each of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when pressure is applied within a certain limi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t is elastic that the shape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 the first operation protrusion 126a, the second operation protrusion 126b, the third operation protrusion 126c and the fourth operation protrusion 126d of the window base 12 are connected to the first tac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181a, the second tact switch 181b, the third tact switch 181c and the fourth tact switch 181d,
  • the pressure applied region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For example, the first tact switch 181a) located below the operation protrusion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protrusion 126a) belonging to the first tact switch SE1).
  • the window base 12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ab 125a, a second tab 125b, a third tab 125c and a fourth tab 125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 the tabs 125a, 125b, 125c, and 125d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respectively.
  •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152 of the cover housing 15 may be provided with tab insertion grooves (not shown)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abs 125a, 125b, 125c, and 125d, respectively.
  • the window 11 is a circular transparent plate, which transmits the screen of the display 13, and the material is preferably acrylic. The user can se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13 through the window 11. [ The entire area of the window 11 does not need to be transparent and the window base 12 of the hub 1 is not visible and the window of the display panel 131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2h of the window base 12. [ Only a predetermined region 11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bstantially open portion 12h is transparent and the other region 11a may be opaque or translucent colored so as to be concealed or a film or the like may be adhered thereto 3).
  • the window 11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of the window base 12 using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 the window 11 may be flexibly bent when a pressure is applied within a certain limi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is tilting allows the tact switches 181a, 181b, 181c, and 181d to operate more smoothly .
  • the warp of the window 11 is elastic, it goes without saying that when the pressing pressure is removed, the window 1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 the opening 12h formed in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ning 12h,
  • the third region SE3 and the fourth region SE4 are not suitable for installing the support bosses.
  • the third region SE3 and the fourth region SE4 are formed from the third operating protrusion 126c or the fourth operating protrusion 126d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12h in the first area SE1 and the second area SE2 to the first operation projection 126a or the second operation projection 126b If the support boss is formed in the third area SE3 or the fourth area SE4, the third operation protrusion 126c and the fourth operation protrusion 126d are too close to the support boss , The operation protrusion can be operated only when a large pressure is applied to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 first support boss 122a and the second support boss 122b are formed in the first region SE1 and the third support boss 122c and the fourth support boss 122d ar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SE2 As shown in Fig.
  • the first operation protrusion 126a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oss 122a and the second support boss 122b in the cover housing 15, and the second operation protrusion 126b Is positioned further outward than the third support boss 122c and the fourth support boss 122d.
  • Slits 121a and 121b may be formed between the operating protrusions 126a and 126b and the supporting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respectively, in the first region SE1 and the second region SE2.
  •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are located in the first area SE1 or the second area SE2, the third operation protrusion 126c, The first operation protrusion 126a and the second operation protrusion 126b are relatively closer to each other than the first operation protrusion 126d.
  •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is bent around the first support boss 122a and the second support boss 122b
  • the turning radius (moment arm) of the first operating projection 126a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ing boss 122a is r11
  • the turning radius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ing boss 122b is r12.
  • r12 is shorter than r11 because the first operating projection 126a is closer to the second supporting boss 122b than the first supporting boss 122a.
  • the third operation protrusion 126c has a distance r31 (r31> r11> r12) to the first support boss 122a and a distance r33 to the third support boss 122c is substantially equal to r31.
  • each of the operating projections 126a, 126b, 126c and 126d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distance to the closest supporting bosses, if there are no slits 121a and 121b, as in the above example, r31 Is larger than r12, even if the same pressure is applied on the first area SE1 and the third area SE3, the third area SE3 is more curved than the first area SE1 and the third operating projection
  • the third tact switch 181c moves more smoothly than the first tact switch 181a because the second tact switch 126c is moved downward more easily than the first tactile switch 126a.
  •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act switch 181b may also be less smooth than that of the third tact switch 181c or the fourth tact switch 181d.
  • the first slit 121a and the second slit 121b are formed in the first region SE1 and the second region SE2 of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respectively. In these areas SE1 and SE2, the slits 121a and 121b ar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in the area and the operation protrusions 126a, 126b, 126c and 126d.
  • the diameter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diagonal diameter D1 and the diameter extending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is defined as the diagonal diameter D2, passing through the center c of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as shown in Fig.
  • the first support boss 122a and the second support boss 122b are arranged in the first region SE1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ameter D1 and the third support boss 122c
  • the fourth support boss 122d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ameter D1 in the second area SE2.
  • the first slit 121a and the second slit 121b may exten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ameter D1.
  • the curvature of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is shifted to a position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slits 121a and 121b
  • the warpage is generated mainly in a narrow region between the ends of the slits 121a and 121b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 the window support plate 121 is bent more smoothly.
  •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lit 121a to the first slit 121a (i.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lit 121a and the first slit 121a) rs is longer than the distance r12 to the second support boss 122b because the force of the moment arm of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region SE1 against the portion where the bending occurs in the first region SE1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length, it contributes to making the first operating projection 126a descend more smoothly.
  •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of the first area SE1 and the second area SE2 are arranged asymmetrically as in the embodiment, the support bosses 122a, 122b,
  • the slits 121a and 121b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SE1 and SE2 and the operating protrusions 126a and 126b so that the curvature of the window supporting plate 121 in the first area SE1 and the second area SE2 Is influenced more heavily by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slits 121a and 122b than by the positions of the bosses 122a, 122b, 122c and 122d,
  • the slits 121b are arranged substantially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operability of the first tact switch 181a and the second tact switch 181b is equalized.
  • the hub body 40 is supported by the hub base 30 disposed at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end portion can be engaged with the cover housing 15.
  • the hub body 40 may include a speaker case 41,42 that forms a cavity 49 inwardly and at least one speaker 43,44 disposed within the cavity 49.
  • Two speakers 43 and 44 are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speaker cases 41 and 42 and a speaker 43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a tweeter for outputting a high frequency band, (44) is a woofer that outputs a low frequency band.
  •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ub body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seen.
  •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ub body so that its bottom surface is seen.
  • Fig. 24 shows the front case (a) and the rear case (b). 25 shows the rear surface of the hub body.
  • 26 is a view showing positions of antennas connected to the Wi-Fi module.
  • 27 is a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ed to the Bluetooth module and an antenna connected to the GPS module.
  •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ub body, the heat sink, the main PCB, the base body, and the supporting rubber.
  • 2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tab of the heat sink;
  • 30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ub body and the hub base.
  • 31 is a front view of the hub base;
  • 3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hub body, the grill and the speaker case.
  • 33 shows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ase.
  •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ub
  • the speaker cases 41 and 42 may include a front case 41 and a rear case 42 forming a cavity 49 between the front case 41 and the front case 41.
  • the front case 41 may be formed with a pair of sound output openings for exposing the diaphragms of the woofer 44 and the upper and lower woofers 43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 case coupling boss 411 protruding rearward can be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 case coupling bosses 411 are formed at two places on both sides of a certain height, and the case coupling bosses 411 are formed in six places in each of three different heights in the same mann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ear case 42 is formed with insertion bosses 421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ase coupling bosses 411 formed in the front case 41 and bolts are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rear case 42 into the insertion bosses 421 and can be fastened to the case coupling boss 411.
  • a pair of fastening bosses 153c and 153d can be recessed rearward at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of the cover housing 15 (see Figs. 11 to 14)
  • a pair of fastening bosses 153a and 153b can be formed to be recessed forward.
  • the first boss insertion groove 415 and the second boss insertion hole 416 are formed in the front case 41 of the hub body 40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upling bosses 153a, 153b, 153c, and 153d formed in the cover housing 15, A groove 416 is formed in the rear case 42 and a third boss insertion groove 425 and a fourth boss insertion hop 426 are formed in the rear case 42.
  • the first boss insertion groove 415 and the second boss insertion groove 416 are recessed rearward from the front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hub 1) of the front case 41, So that the fastening bosses 153c and 153d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 the third boss insertion slot 425 and the fourth boss insertion slot 426 are depressed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42 (the rearward surface of the hub 1) So that the fastening bosses 153a and 153b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 Each of the boss insertion grooves 415, 416, 425, and 426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bolt passes.
  • the fastening holes 416h formed in the second boss insertion grooves 416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holes 416h are also formed in the first boss insertion grooves 415 in the same manner (not shown in the drawings, 416h is given as a reference number), and the other boss insertion grooves 425, 426 can be formed with the fastening holes 425h, 426h (see FIG. 25).
  • the fastening bosses 153a, 153b, 153c, and 153d ar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boss insertion grooves 415, 416, 425, and 426, respectively, and the fastening holes 415h, 416h, 425h, And the bolt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osses 153a, 153b, 153c, and 153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415h, 416h, 425h, and 426h.
  •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50 may be disposed in the hub body 40.
  • the communication module 5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48 and / or the circuitry of the display PCB 14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2.
  • the communication module 50 is provided with the Wi-Fi module 50a, the Bluetooth module 50b, and the positioning module 53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geo-wave module.
  • the module assembly 510 may be disposed behind the hub body 40 as a collection of the WiFi module 50a and the Bluetooth module 50b.
  • the module assembly 510 may be disposed in the rear case 42.
  • the module assembly 51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rear case 42 or may be detached from the rear case 42.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iFi module 50a and the Bluetooth module 50b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m may be independently engaged with the hub body 40 or separated from the hub body 40.
  • the module assembly 510 may include a pair of antennas 511a and 511b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 the pair of antennas 511a and 511b may be provided as a basic unit in the module assembly 510 itself but may include at least one antenna 521 and 522 separate from the module assembly 510 (See Figs. 25 to 27).
  • the module assembly 510 may include a first antenna connection terminal 513 and a second antenna connection terminal 514 of the WiFi module 50a and an antenna connection terminal 515 of the Bluetooth module 50b.
  • the first antenna 521 and the second antenna 522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151 of the cover housing 15,
  • the first antenna connection terminal 51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connection terminal 514 through the conductor L1 and the second antenna 52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connection terminal 514 through the conductor L2.
  • the first antenna 521 and the second antenna 522 are each formed by bonding a predetermined pattern of conductors to a thin film, and the conductors L1 and L2 are connected to the conductor.
  • the first antenna 521 and the second antenna 522 may be attached to the side wall 151 of the cover housing 15 by a double-sided tape.
  • the sidewall 151 of the cover housing 15 is not surrounded by the grill 20 because the sidewall 15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ll 20 and therefore the first antenna 521 and the second antenna
  • the signal interference by the grill 20, which is a metallic material, is reduced, so tha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 the side wall 15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end gradually becomes further away from the partition plate 152 from the front to the rear.
  •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wall 151 can form a larger gap with the display PCB 14 mounted on the partition plate 152, as compared with the front portion. Accordingly, by disposing the first antenna 521 and the second antenna 522 on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wall 151, the antennas 521 and 522 can be spaced farther from the display PCB 14,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gnal interference due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in the circuit of the antenna 14.
  •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b body 40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module 530.
  • a third antenna 532 connected to the antenna connection terminal 531 of the position control module 530 via a lead L3 and a third antenna 532 connected to the antenna of the Bluetooth module 5Ob via a lead L3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wall 151 of the cover housing 15, And a fourth antenna 54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515 through the lead L4.
  • the third antenna 532 and the fourth antenna 541 are each formed by bonding a predetermined pattern of conductors to a thin film, and the conductors L3 and L4 are connected to the conductor.
  • the third antenna 532 and the fourth antenna 541 may be attached to the side wall 151 of the cover housing 15 by a double-sided tape.
  • the main PCB 48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hub body 40 and the hub base 30.
  • the main PCB 48 controls overall operation of the hub 1 and includes a control unit 82, a USB port 62, a data transmission port 64, various switches 76 and 77, a receptacle 390, And is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devices such as the communication modules 50a and 530, the display PCB 14, the tweeter 43, the woofer 44, and the like.
  • a heat sink 3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PCB 48 and the hub body 40.
  • the heat radiating plate 33 is made of a metal plate, and is preferably made of aluminum. The heat radiating plate 33 dissipates the heat radiated from the main PCB 48 into the upper space (i.e.,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ody 40 and the heat sink 33).
  •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ody 40.
  • the first fastening boss 45a and the second fastening boss 45b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case 42 and the third fastening boss 45c and the fourth fastening boss 45d may protrude from the front case 41.
  • th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45d can be engaged with the hub base 30.
  • th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may be formed in four quadrants partitioned by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respectively,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ody 40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line and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
  • the hub base 30 may be provided with insertion bosses 35a, 35b, 35c, and 35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respectively.
  • th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bosses 35a, 35b, 35c and 35d, respectively. Can be fastened to the bolt passing through from the lower side.
  • a plurality of heat sink connecting bosses 46b, 46c and 46d can be further proj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ody 40.
  • the heat radiating plate support bosses 46b, 46c and 46d may be arranged at positions close to th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In the embodiment, three of the four quadrants are provided with heat radiating plate support bosses 46b, 46d are formed, but the numb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heat radiating plate 33 is made of a metal plate, and preferably mad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However, other metal materials are possible.
  • the heat radiating plate 33 may include a horizontal flat plate portion 331 and a plurality of support tabs 332b, 332c, and 332d exten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flat plate portion 331.
  • Through holes 335a, 335b, 335c, and 335d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pass, respectively,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stening boss through holes”
  • Through holes 334b, 334c and 334d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upport boss through-holes " when different distances from other structures are required) through which support bosses 46b, 46c and 46d pass, respectively .
  • the support bosses 46b, 46c, and 46d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tabs 332b, 332c, and 332d, respectively, from above the main PCB 48.
  • the support tabs 332b, 332c and 332d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336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t plate portion 331 and a horizontal portion 337 bent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 portion 336.
  • a bolt 338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337 of each of the support tabs 332b, 332c and 332d so that the bolts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338 from the lower side, , 46c, and 46d.
  • the flat plate portion 33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ody 40 located on the upper side while the support bosses 36b, 36c and 36d are fastened to the support tabs 332b, 332c and 332d, And is also spaced from the main PCB 48 located. Even if the hub body 40 is vibrated by the output of the speakers 43 and 44 because the flat plate portion 331 is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ub body 40, No striking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m.
  • the main PCB 48 may have through holes 481a, 481b, 481c, and 481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335a, 335b, 335c, and 335d of the heat sink 33, respectively.
  • the lengths of th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ar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bosses 46b, 46c and 46d and each of th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335a, 335b, 335c and 335d of the heat sink 33, 35b, 35c, and 35d of the hub base 30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481a, 481b, 481c, and 481d of the hub base 30, respectively.
  • the hub base 30 includes a base body 31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inside, and a support rubber 32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body 31 .
  • the hub 1 is formed in a small size so that the user can carry it, and can be mounted on the floor of a table, a shelf, or the like.
  • the support rubber 32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body 31 increases the friction with the floor and prevents the hub 1 from falling down or dropping.
  • the insertion bosses 35a, 35b, 35c and 35d protrude upwar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se body 31, and the insertion bosses 35a, 35b, 35c and 35d are inserted into the base bottom part 310 of the base body 31, 351d, 351b, 351c, and 351d, respectively, which communicate with the first, second,
  • th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are passed through the fastening boss through holes 481a, 481b, 481c and 481d formed in the main PCB 48 .
  • the respective fastening bosses 45a, 45b, 45c, and 45d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bosses 35a, 35b, 35c, and 35d formed in the hub base 30, respectively.
  • bolts (not shown)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351a, 351b, 351c, and 351d from the lower side of the hub base 30 and fastening bosses 45a and 45b in the insertion bosses 35a, 35b, 35c, , 45c, 45d.
  • a rubber insert groove 318 may be formed in the base bottom portion 310 of the hub base 30.
  • the rubber insert groove 318 may extend along a predetermined circumference on the base bottom 310.
  • the rubber insertion groove 318 is in the form of an arc extending from the one end 318a to the other end 318b with a constant curvature, and the fastening holes 351a, 351b, 351c and 351d are formed in the rubber insertion groove 318 Lt; / RTI >
  • the supporting rubber 32 is inserted into the rubber insertion groove 318.
  •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rubber 32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ubber insertion groove 318 by a double-sided tape.
  • the support rubber 32 includes a rubber body 321 exten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ubber insertion groove 318 an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322 protruding from the rubber body 321 to the outside of the rubber insertion groove 318.
  • the hub 1 is lifted by placing the support protrusion 322 on the floor where the hub 1 is mounted (for example, a living room, a sink or the like), and the support protrusions 322
  • the base body 31 is spaced from the bottom. The base body 31 is prevented from being wetted with water when the hub 1 is mounted in a place such as a countertop of a kitchen where it is in contact with water.
  • the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322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bber main body 321 and are preferably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bottom portion 310 of the base main body 31.
  • the four support protrusions 322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but the number of the support protrusions 32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base body 31 may include a base outer wall portion 311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eriphery of the base bottom portion 310.
  • the outer diameter of the base outer wall portion 311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outer diameter at the uppermost en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grill 20.
  • the base body 31 may include a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outer wall portion 311 and coupled with the grill 20.
  •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and the grill 20 are not engaged with each other by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but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grill 20 And it is preferably a force fitting method using the elasticity / restoring force of the grill 20 or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itself.
  •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is positioned further inside than the upper end of the base outer wall portion 311 (i.e.,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ase body 31 is recesse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311,
  •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311 extend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portion 311 to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grill 20
  • An opposite surface 312 is formed.
  • the lower end of the grill 20 may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312.
  • the surface 31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grill 20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outer wall 311 and the width of the surface 31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grill 20.
  •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grill 20 is maintained because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grill 20.
  • the grill 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grill 20 is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grill 20 corresponds to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
  • An annular rib 31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body 31.
  • the rib 315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 the hub body 40 can have an insertion rib 47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s 41 and 42 and the insertion rib 47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314 between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and the rib 315 ).
  • the base bottom portion 310 of the base body 31 may be provided with a depression 316 in an inner region surrounded by the rubber insertion groove 318.
  • the depressed portion 316 includes a groove side surface portion 316a extending up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bottom portion 310 and a groove bottom portion 314b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groove side surface portion 316a, 316b.
  • the adapter may be received within the depression 316.
  • the hub 1 may include an adapter which is supplied with external commercial AC power and supplies the DC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hub 1.
  • the groove side surface 316a may be provided with a socket 391 through which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rd connected to the adapter is inserted.
  • a receptacle 390 having a socket 391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PCB 48.
  • the receptacle 390 electrically connects the socket 391 to the circuitry of the main PCB 48.
  • a cord fixing groove 37 may be formed in the base body 31.
  • the code fixing groove 37 may be formed between one end 318a and the other end 318b of the rubber insertion groove 318.
  • the cord fixing groove 37 extends from an inner opening 371 formed in the side surface portion 316a to an outer opening portion 372 formed on the base outer wall portion 311 and has an inner opening portion 37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bottom portion 310 371 and the outer opening 372 are formed. That is, the cord fixing groove 37 is not a closed form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but a part of the cross section is opened by the cord insertion opening 373.
  • the cross section may have a maximum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open sections of the cross section (i.e., the width of the cord insertion port 373) inside the code fixing groove 37.
  • a cord is formed by coat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f a little interspace. Therefore, even if the cord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rd insertion port 373, if the difference does not exceed a certain range, And once inserted into the code fixing groove 37, the shape thereof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so that it can not pass through the cord inserting hole 373. Therefore, It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rd fixing groove 37.
  • the outer side opening 37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side opening 371 and the code fixing groove 37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opening 372 to the inner side opening 371 Lt; / RTI >
  • insertion port reducing projections 319a and 319b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rd fixing groove 37.
  • the insertion port reducing projections 319a and 319b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portions defining the cord insertion port 373.
  • a WiFi reset switch 77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PCB 48.
  • the Wi-Fi reset switch 77 may be configured as a tact switch. When the Wi-Fi reset switch 77 is pressed, the control unit 82 may initialize (reset) the Wi-Fi module 50a.
  • a WiFi reset button 71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PCB 48.
  • the WiFi reset button 71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rms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button portion 71a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PCB 48.
  • the button portion 71a is located in the hole formed in the base bottom portion 310 below the WiFi reset switch 77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arms. When the button portion 71a is pressed, the WiFi reset switch 77 is switched.
  • a hub reset switch 76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PCB 48.
  • the hub reset switch 76 may comprise a tact switch and is exposed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base bottom 310. When the hub reset switch 76 is pressed, the control unit 82 is initialized (reset).
  • FIG. 3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6 is a perspective view (a) of the main pattern, a metal plate (b) used for machining the grill, and a grille formed by etching a metal plate (c).
  • Fig. 3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36 (c), and Fig. 37 is an enlarged view (b) of a portion B shown in Fig. 36 (c).
  • 38 is a perspective view (a), a plan view (b), a front view (c), and a rear view (d) of the grill.
  • Fig. 3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 the hub 1 includes a cylindrical metal grill 2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h (see Fig. 3) formed therein, A cover 10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ody 40 and displays an interface screen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hub base 30 (see FIG. 3) for supporting the hub body 40 from the lower side.
  • a cylinder having an oval lower end 620 in one form is defined as " main shape ".
  • the mold 600 corresponds to the grill 20 shown in Fig. 6A, and specifically has the cross-sections as shown in Fig. 6B.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ub 1 is as follows.
  • a metal plate 710 is prepared (step 1).
  • the material is preferably stainless steel (SUS).
  • the metal plate 710 is rectangular, but the shape of the metal plate 710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etal plate 710 is developed in the main body 300 and processed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h (step 2).
  • This processing can be done by an etching method. That is, the metal plate 720 processed in the shape as shown in FIG. 36 (c) can be obtained by rubbing the area indicated by the hatched area and the area where the through hole 20h is formed in FIG. 36 (b).
  • the through holes 20h formed in the grill 20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20h1 and a second through hole 20h2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20h1.
  • the pattern composed of the first through hole 20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0h2 can be repeated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That is, the four-chamber continuous pattern can be formed by the through holes 20h1 and 20h2.
  • This four-sided continuous pattern is formed by forming the second through hole 20h2 having a small diameter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s 20h1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so that the area where the sound output to the speakers 43 and 44 is emitted It has the effect of spreading.
  • the grill 20 can be smoothly deformed (that is, cylindrical), but the number of links connecting the through holes 20h1 and 20h2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 through holes 20h1 and 20h2 are formed in a region from the lower end 722 of the grill 20 to the first boundary (BOL, imaginary line) parallel to the lower end 722,
  • the lower end portion LA may be formed.
  •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of the hub base 3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periphery LA. Since the lower end edge portion LA is a portion deformed while being fitted to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the through holes 20h1 and 20h2 are not formed to have sufficient rigidity.
  • An upper end portion UA in which the through holes 20h1 and 20h2 are not formed may be formed in an area from the upper end 721 of the grill 20 to the second boundary BOU.
  • the second boundary BOU is an imaginary lin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undary BOL, and is parallel to the first boundary BOL. Since the upper end portion UA is a portion deformed while being fitted to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the through holes 20h1 and 20h2 are not formed to have sufficient rigidity.
  • the two or more first through holes 20h1a, 20h1b, and 20h1c are arranged at the first boundary BOL), and the diameter of the one closest to the first boundary (BOL) (20h1c) becomes the minimum. That is, the grill 20 is formed with through holes in a pattern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20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0h2 are repeated.
  • the first through hole 20h1 has a diameter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boundary BO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ameter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through holes 20h1b and 20h1c in the order of the through holes 20h1a and 20h1, the through holes 20h1b, and the through holes 20h1c.
  • the grill 20 is formed with through holes in a pattern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20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0h2 are repeated.
  • the first through hole 20h1 has a diameter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boundary BOU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ameter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through holes 20h1b and 20h1c in the order of the through holes 20h1a and 20h1, the through holes 20h1b, and the through holes 20h1c.
  • the contour of the metal plate 720 is machined such that both sides 723 and 724 are straight lines extending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grill 20. [ That is, when the processed metal plate 720 is rounded in a cylindrical shape, both sides 723 and 724 meet with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VL perpendicular to the uppermost point Pm of the upper side.
  • the sides 721 and 722 of the processed metal plate 720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ide 721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610 of the main body 600 becomes the upper end 21, And the side 722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620 is the lower end 22 (step 3). Since the formed cylindrical grill 20 is deformed by rounding the metal plate 720, the shape of the metal plate is determined by the firing,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of the metal plate itself, (21) and the lower end (22) are amorphous.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720 is constant, the grill 20 is deformed almost uniformly in the entire area. Therefore, as shown in Fig. 37 (b) do.
  • the grill 20 has a portion LR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22 to the upper end 21 along a vertical line VL with a constant width from left to right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vertical line VL, The through hole 20h is not formed.
  • the region LR in which the through hole 20h is not formed in the rear of the grill 20 is formed by portions where the through holes 20h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metal plate 720 are not formed in FIG.
  • step 3 the joining between the two sides 723 and 724 of the metal plate 720 can be achieved by welding.
  • Such welding may be performed using a welding rod, and in this case, a band-shaped welding bead is formed by melting the base metal (metal plate) and the welding ro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resistance welding (for example, spot welding or projection welding) or laser welding is also possible.
  • welding welding is limited to a specific portion, The welding heat is very small, the range of heat effect is narrow, welding marks are not left most, and highly precise joining between members is possible.
  • the grill 20 formed through the above steps is provided with a hole 25 for mounting the USB port 62 and a positioning projection 156 formed on the side wall 151 of the cover housing 150 21) can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26.
  • the hole 25 for setting the USB port and the positioning groove 26 can be formed in the area LR where the through hole 20h is not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grill 20 (see FIG. 38 (d)).
  • the holes 25 and the grooves 26 may be formed by various known processing methods such as pressing, punching, drilling, and the like.
  • the hole 25 can be machined into a welded portion of both sides 723 and 724 of the metal plate 720 (step 4).
  • the USB port 62 may be disposed on the main PCB 48 (see FIG. 28).
  • the groove 26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upper end 21 of the grill 20 and can be formed in the welded portion.
  • the welded portions of both sides 723 and 724 of the metal plate 7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 20 are polished (step 5).
  • the welded portion is polished by the abrasive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to be rotated to obtain a smooth surface from which the welding marks have been removed.
  • the welding spots 28 remain.
  • the entire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 20 may be polished to form a hair line (see FIG. 39) (step 6).
  • the hair line is formed by cutting a metal surface with a polishing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and can b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e 20 is accentuated by the hairline so as to have a luster and texture unique to the metal.
  • the grill in which the hairline is formed can be painted (step 7).
  • the coating of the grill 20 is preferably electrodeposited.
  • a coating film can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grill 20 by placing the grill 20 in a tank into which the water-soluble resin paint is put and applying an electric current to the grill 20.
  • a step of laser engrav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ainted grill 20 and marking the mark may be further performed.
  • the indicia may include symbols, characters, graphics, and the like.
  • a filte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ill 20 formed through the above steps (step 9).
  • the filte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fine pores such as a mesh or a nonwoven fabric, and may be attached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 double-sided tape.
  • the cover 10 is formed with a top end holding portion 153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end 610 of the main body 600, and the hub base 30, A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620 of the main body 600 may be formed.
  • the step of sandwiching the grill 20 between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and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may be further performed.
  •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2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20)
  •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rill 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rill 20 as shown in Figure 5, 20 are de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upper end holding portion 153, thereby forming a substantially same shape as the upper end 610 of the main body 600.
  •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grill 20 (i.e.,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lower end of the grill 2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2,
  • the lower end of the grill 20 is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153 so that the lower end 620 of the main body 600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holding portion 313 cooperate with each other.
  • the shape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주변 기기들과의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허브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으로 상호 통신을 하는 기기들을 이용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일정한 공간 내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상기 네트워크에는 통신 기능을 갖춘 다양한 기기들이 연결된다.
종래에는,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기기가 인터넷과 연결된 액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와 유/무선으로 연결됨으로써 네트워크가 구축되었고, 인터넷과 연결된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와 정보를 공유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가전기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기능에도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를 통해 냉장고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 상기 냉장고에 구비된 센서들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냉장고와 공유할 수 있는 정보도 제한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로 최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물들 간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각종 기기에 통신, 센서 기능 등을 부가하여, 기기 스스로 정보를 주거나 받고, 정보를 처리해 자동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렇게 다양화된 네트워크 환경에 부응하여, 기기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기기들과 공유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보다 적극적으로 소통이 가능한 허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사물 인터넷 기기들과 상호 통신을 하며 주고 받은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들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적절한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조작 수단이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감은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 품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바, 상기 조작 수단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윈도우를 구비한 허브를 생각해 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윈도우는 상기 허브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윈도우가 추가됨으로써 상기 허브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소형 가전기기의 경우,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PCB 상에 고정된다. 그런데, 이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통상의 PCB는 정해진 규격의 평판을 가공한 것이기 때문에, 그 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위치를 안내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PCB가 설치가 된 이후에는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그 움직임을 저지시켜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리브 등의 수단을 형성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편, 허브에는 스피커를 구비한 본체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금속 그릴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의 기기들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을 상기 본체에 배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그릴에 의한 신호 간섭(또는, 전파 차단)으로 인해, 원활하게 통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제품의 디자인적 측면, 주변 환경과의 조화, 사용자에게 주는 심미적 안정성 등의 여러 요인들을 고려할 시, 상기 허브의 상면을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허브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볼 시, 상기 허브의 상면이, 상기 상면의 외주로부터 하향 연장된 측면과 일체감있는 외관을 구성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허브는 스피커가 구비된 본체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그릴 내에 배치되는데, 상기 그릴을 그 단면이 타원이 되는 형태로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금속 그릴 자체가 갖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타원형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단면의 형태가 타원형일 뿐만 아니라, 상단의 개부구가 수평면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평면에 속하는 형태의 원통형으로 상기 그릴을 형성하고, 이 형태를 유지시키기는 위해서는 고려할 점들이 많다.
또한, 허브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오디오로써 기능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 스피커를 둘러싼 그릴에는 음향이 방출될 수 있는 통공들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들은 음질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그릴 자체의 강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상기 통공을 어떠한 방식으로 형성할 것인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어부(또는, 컨트롤러) 등의 각종 전장 부품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금속 재질의 방열판을 적용하는 경우, 허브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의 출력으로 인해 상기 방열판이 진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러한 허브를 개발함에 있어서, 허브가 바닥상에 견실하게 지지됨으로써, 전복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주방의 조리대, 욕실, 싱크대와 같이 물 뭍은 바닥 상에 거치되더라도, 내부에 구비된 전장 부품들이 침수되지 않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허브가 소형, 경량화 될수록 이동성은 좋아지나, 이 경우에 상기 허브를 들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허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사물 인터넷 기기들과 상호 통신을 하며 주고 받은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들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가시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부품들 간의 결합부위가 외관상 보이는 것을 최소화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부품들 간의 결합부위가 원통형의 그릴에 의해 은폐되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가 원통형의 그릴 내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의 상측에 커버가 결합되고, 하측에는 허브 베이스가 결합되는 구조에서, 이들 구성들이 외관상 일체감이 있는 형태를 이루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그릴이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가 없이도 상기 그릴이 고정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금속재 그릴을 상기 커버 및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금속 재질 자체가 갖는 소성에 의해 상기 그릴이 정형되도록 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허브 베이스와 허브 본체 사이에 메인 PCB를 배치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통신모듈을 통해 액세서리와 통신을 하며, 상기 액세서리의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액세서리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홈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가전기기와 별도로 제공되는 액세서리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액세서리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활용하여, 가전기기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작동을 제어하는 등의 관리가 가능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디스플레이의 정보가 표시되는 상면은 원형이되,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상기 그릴의 상단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커버와 결합될 시, 상기 그릴의 상단과 상기 커버가 연속적인 곡면의 윤곽(contour) 상에 형성되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커버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비추어 보이는 윈도우가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윈도우를 눌러, 상기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허브 본체에는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표시됨으로써,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사물 인터넷 기기들과 같은 다양한 기기들과 상호 통신을 하며 주고 받은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윈도우의 기 설정된 부분들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커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실장되는 디스플레이 PCB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PCB 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의 사방에 각각 택트 스위치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 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윈도우 지지판은 다수개의 지지보스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저면에는 상기 택트 스위치들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의 일정 부분이 가압되면, 상기 윈도우 지지판이 상기 지지보스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휘어지게 되어, 상기 조작돌기가 상기 택트 스위치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는 상기 윈도우 상에서 상기 택트 스위치들과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영역들을 선택적으로 눌러, 상기 택트 스위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즉, 상기 윈도우는 상기 택트 스위치들을 동작시키는 일종의 버튼으로써 기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상기 4개의 영역들 모두가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4개의 택트 스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4영역들(각 영역에 조작돌기가 형성됨.)이 상기 지지보스를 기준으로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보스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상측에서 보일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패널은 가로가 세로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태로써, 상기 가로가 허브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개구부 역시 상기 패널의 형태와 대응하여 좌우방향(또는, 가로방향)의 길이가 전후방향(또는,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긴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윈도우 지지판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전, 후, 좌, 우의 각 영역에 조작돌기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개구부의 형태가 좌우방향이 전후방향 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4 영역 중에, 전/후 영역과 좌/우 영역이 넓이가 다르게 되어, 상기 지지보스를 어느 영역에 형성하는지에 따라 상기 지지보스와 상기 조작돌기 간의 거리가 영역별로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편차를 제거하는 것이 본원발명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외부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볼 수 있도록 윈도우를 구비하되, 상기 윈도우가 상기 허브의 상면을 구성하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브의 상부를 구성하는 커버 하우징 상면의 개구된 영역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의 하나는, 상기 윈도우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신선을 고려하여, 상기 윈도우를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한 경우에, 상기 윈도우의 측면과 상기 개구된 영역을 한정하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이 간격을 어느 곳에서나 일정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금형과,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 중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영역을 한정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금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취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하우징의 형상을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허브가 이동되거나, 상기 허브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디스플레이 PCB를 지지하는 구조물(구획판)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PCB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가 흔들리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할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윈도우 베이스나 윈도우가 위치하는 경우, 이들에 형성된 개구부나 시창(투명한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위치하고, 그 위치가 확실하게 유지되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이 투영되는 윈도우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보이는 일정 부분(시창)은 투명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필름이 부착되거나, 착색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시창 내에서 상기 화면이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금속 그릴 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들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을 상기 본체에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그릴에 의해 신호가 간섭되거나 차단되지 않도록 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통신모듈과 연결된 안테나를 상기 그릴의 외측에 취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를 강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안테나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 성능이 디스플레이 PCB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는 허브의 상면과,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선이 보다 직각에 더 가까운 각도를 이룸으로써, 상기 화면의 왜곡을 최소화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허브의 상면을 구성하는 원형의 윈도우를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한 경우에, 상기 허브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일체감을 이루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허브가 외관상 일체감을 이룰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로 그릴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그릴에는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스피커가 상기 그릴 내에 위치하는 구조에서,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 중 상기 허브의 전방을 향해 방출되는 양을 증가되도록, 상기 그릴의 전면부의 면적(즉, 전방에서 보이는 그릴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허브를 선반에 올려 놓는 경우를 고려하면, 상기 허브의 후방에는 상기 선반이 설치된 벽면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허브가 후방으로 밀리더라도, 상기 벽면에 의해 완전 전복되거나 상기 선반의 아래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나, 좌, 우 측면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는 전복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허브 본체에 스피커가 구비되고, 상기 허브 본체가 원통형의 그릴 내에 배치되는 구조에서, 상기 그릴에 더 많은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그릴에 많은 수의 통공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그릴의 강성은 확보될 수 있도록 한 통공의 배열 패턴을 강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통공이 형성된 영역을 특정하여, 커버 및 허브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그릴의 상단부와 상기 그릴의 하단부가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제어부(또는, 컨트롤러) 등의 각종 전장 부품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소산시키는 방열판을 구비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허브 본체와 허브 베이스 사이에 마련된 공간 내에 메인 PCB와 상기 메인 PCB를 방열시키는 방열판이 배치되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허브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의 출력 진동이 상기 방열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허브가 거치되는 바닥과 상기 허브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상기 허브가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허브 본체를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를 구성하는 베이스 본체가 상기 허브가 물 뭍은 바닥 상에 거치되더라도, 상기 베이스 본체가 젖지 않도록 한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허브의 바닥에 전원 코드에 구비된 어댑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원 코드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금속 그릴과, 상기 그릴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를 포함하는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원형의 상단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평면상에 속하는 형태의 원통형 그릴이 금속 재질 자체가 갖는 특성에 의해 제조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변형이 이루어져, 그 단면의 형태가 정해진 타원형으로 정형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허브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에 통신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변의 기기(예를 들어, 센서를 구비한 사물 인터넷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허브의 상면에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다.
허브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그릴 내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기 그릴의 상단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그릴의 하단은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그릴과 상기 커버 간의 결합은,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커버에 형성된 리브 형태의 상단 유지부가 상기 그릴의 상단에 의해 규정된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 그릴과 상기 허브 베이스 간의 결합 역시, 상기 허브 베이스에 형성된 리브 형태의 하단 유지부가 상기 그릴의 하단에 의해 규정된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그릴은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유지부와 상기 하단 유지부는 각각 상기 그릴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금속재의 그릴의 상단은 상기 상단 유지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고, 상기 그릴의 하단은 상기 하단 유지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단 유지부와 상기 하단 유지부를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그릴을 원하는 형태로 정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그릴은 그 단면의 형태를 타원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허브 본체와 결합되며,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 내에는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가 배치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윈도우를 통해 보여진다.
상기 윈도우는 투명한 판재를 원형으로 가공한 것으로써,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의 상면에 대한 법선 벡터를 소정의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해진 벡터는 정전방을 향한다. 즉, 상기 윈도우가 설치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바라보면, 상기 윈도우의 두께를 이루는 측면만이 보이며, 상기 측면의 전단이 가장 낮고, 상기 측면의 후단이 가장 높으며, 상기 측면의 전단은 상기 허브의 정전방에 위치하고, 후단은 상기 허브의 정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윈도우의 상면은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단과 바람직하게는 동 평면 상에 속하며, 따라서, 상기 허브의 상면은 외관상 일체감을 이룬다.
상기 윈도우는 원형(바람직하게는, 정원형)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윈도우를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본래의 길이 보다 짧아진 형태가 된다. 특히, 상기 윈도우가 정원형인 경우, 이를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진 타원형이 되며, 따라서, 상기 허브가 외관상 일체감을 이룰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그릴의 단면이 상기 타원과 대응하는 형태의 타원이 되는 것이 좋다. 상기 그릴의 정형은 상기 상단 유지부와 상기 하단 유지부를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PC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의 상면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택트 스위치들이 배치되는데, 이들 택트 스위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전, 후, 좌, 우 사방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는 상기 윈도우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윈도우 베이스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윈도우를 지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상기 택트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버튼으로써의 기능을 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윈도우 지지판과,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하우징과 결합되는 지지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지지판은 상기 윈도우와 밀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윈도우 상에서 상기 택트 스위치와 대응하는 영역을 가압하면, 상기 윈도우 지지판이 상기 지지보스를 중심으로 미세하게 휘어짐으로써,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하면에서 돌출된 가압돌기가 대응하는 위치의 택트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원통형의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측벽 내부는 구획판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보스가 삽입되는 삽입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지지판에는, 그 하측에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개구부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에 대응하여, 좌우방향의 길이가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보스는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개구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과,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개구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 본체는, 내측으로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는 스피커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피커 케이스는 상기 그릴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체결보스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 케이스는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의 보스 삽 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 삽입 홈은 위쪽으로부터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상면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스피커 케이스는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케이스와 상기 허브 베이스 간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릴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체결보스가 돌출되어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브 베이스에는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되는 삽입보스가 형성된다.
상기 허브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보스와 연통되는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고, 볼트가 상기 허브 베이스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체결구를 통과하여 상기 체결보스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 본체 사이에는 메인 PC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는 상기 스피커, 상기 통신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전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PCB와 회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에는 상기 스피커의 불륨을 증감시키는 볼륨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볼륨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볼륨 버튼이 상기 커버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의 측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륨 버튼은 상기 측벽의 개구부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허브 베이스는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체결보스와 결합되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 러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직비 모듈, 지웨이브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일체로써 상기 스피커에 탈착되는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직비 통신 모듈 및/또는 상기 지웨이브 통신 모듈은 상기 스피커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허브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에 통신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변의 기기(예를 들어, 센서를 구비한 사물 인터넷 기기)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허브의 상면에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는 커버 하우징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는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관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에는 디스플레이 PCB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PCB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4개의 택트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4개의 택트 스위치들은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의 각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택트 스위치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조작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윈도우 베이스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는 좌우방향의 길이가 전후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4개의 택트 스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각각,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판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택트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조작 돌기들과,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획판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윈도우 지지판을 상기 디스플레이 PCB와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지지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가 좌우방향의 길이가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윈도우 지지판은, 상기 개구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영역이 상기 개구부의 전방 또는 후방의 영역보다 좁고, 이와 같은 영역들간의 넓이는 상기 윈도우 지지판이 실질적으로 정원의 형태인 경우에 특이 차이가 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 상기 지지보스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영역에 속하는 조작돌기와 지지보스 간의 거리가 가까워 지고, 이는 상기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 지지판에 가해지는 힘과 상기 지지보스까지의 거리, 즉, 모멘트 팔이 짧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서는 택트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더 큰 힘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보스들은 상기 윈도우 지지판 상에서 상기 개구부의 전방 또는 후방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윈도우 지지판 상에서, 상기 개구부의 좌측 또는 우측 영역의 조작돌기들은 상기 지지보스들로부터 충분히 이격되기 때문에, 택트 스위치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으나, 이에 비해, 상기 개구부의 전방 또는 후방 영역들의 조작돌기들은 상기 지지보스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워져 상기 전방 또는 후방 영역에는 더 큰 힘이 작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들 간의 조작 편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 지지판에는,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의 각 영역들에서 상기 지지보스와 상기 개부구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형의 윈도우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의 개구부는 수평면과 예각을 이루는 평면 상에 위치한다. 즉, 상기 평면에 대한 법선 벡터가 수평면과 예각을 이룬다. 더 나아가, 상기 개구부가 속하는 평면에 대한 법선 벡터는, 수평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법선 벡터를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얻은 벡터는 정 전방을 향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개구부는 가장 낮은 부분이 허브의 정 전방에 위치하고, 가장 높은 부분은 허브의 정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기도 하다.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개구부를 한정하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거리 내의 일정 부분이 상기 법선 벡터와 평행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 중, 상기 법선 벡터와 평행한 부분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에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의 상면은 상기 법선 벡터가 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 중,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영역을 한정하는 부분 역시 상기 윈도우의 측면과 평행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상기 윈도우는 그 상면이 상기 커버 하우징의 개구부가 속하는 평면과 평행하며,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윈도우의 상면에 대한 법선 벡터가 수평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법선 벡터를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얻은 벡터가 정 전방을 향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허브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변의 기기(예를 들어, 센서를 구비한 사물 인터넷 기기)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패널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는 커버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관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PCB가 상기 구획판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PCB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는 중심부로부터 전, 후, 좌, 우의 사방으로 연장된 기판 암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4개의 기판 암에 의해 사분된 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리브는 상기 4개의 기판 암에 의해 사분된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허브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통해 주변의 기기(예를 들어, 센서를 구비한 사물 인터넷 기기)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허브의 상면에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다.
허브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금속 그릴 내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된다. 상기 허브 본체에는 주변의 기기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통신모듈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상기 그릴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는 커버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는 디스플레이 PCB가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그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관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는 상기 구획판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의 적절한 위치로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측벽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그릴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점 증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측벽의 후방부에 상기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안테나와 상기 그릴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허브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에 통신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변의 기기(예를 들어, 센서를 구비한 사물 인터넷 기기)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허브의 상면에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허브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그릴 내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기 그릴의 상단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그릴의 하단은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에 윈도우가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는 수평면에 대해 제 1 각도를 이루는 제 1 평면에 속한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그릴의 상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측벽의 상단에 의해 둘러 쌓인 영역이다. 상기 개구부는 원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원형이며, 이 경우, 상기 개구부의 외주를 수평면 상에 정사영한 형태는, 상기 제 1 평면으로부터 상향하는 제 1 법선 벡터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 방향으로 단지름을 갖고, 상기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지름을 갖는다.
상기 그릴의 수평한 단면 역시, 상기 개구부를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와 대응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그릴은 전방에서 바라본 형태가, 수평한 단면이 정원형인 경우에 비해, 좌우 방향의 폭이 더 커진 형태가 되고, 따라서, 전방으로 방출되는 음량이 증가된다.
상기 측벽 상단의 외주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그릴의 수평한 단면은 상기 외주를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와 대응하며, 따라서, 상기 허브를 위에서 내려다 볼시, 상기 커버 하우징과 상기 그릴은 일체감 있는 외형을 이룬다.
상기 커버 하우징의 개구부는 최저점과 최고점을 수평면에 정사영하면, 상기 제 1 평면으로부터 상향하는 법선 벡터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와 같은 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상기 법선 벡터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가 허브의 정 전방을 향하도록 구성한 경우, 상기 커버 하우징의 개구부 역시 정 전방으로부터 정 후방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이루는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 경우, 윈도우 역시 상기 개구부와 같은 방식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도우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가 속하는 평면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투과시키는 상기 윈도우의 상면이 전 정반의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며, 따라서, 허브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선과 상기 윈도우의 상면이, 상기 윈도우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더 큰 각도를 이루게 한다.
상기 허브 베이스의 저면은 타원형인 상기 그릴의 수평한 단면과 대응하는 형태이며,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으로 장지름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단지름을 갖는 타원형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허브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변의 기기(예를 들어, 센서를 구비한 사물 인터넷 기기)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가 커버의 상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허브 본체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그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들은 제 1 통공과, 상기 제 1 통공 보다 작은 직경의 제 2 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통공과 상기 제 2 통공으로 구성된 패턴이 사방으로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사방 연속 패턴의 배열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1 통공들 사이에, 직경이 작은 제 2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스피커로 출력된 음향이 방출되는 면적을 더 넓힐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는 안정한 그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허브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에 통신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변의 기기(예를 들어, 센서를 구비한 사물 인터넷 기기)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허브의 상면에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그릴 내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기 그릴의 상단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그릴의 하단은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허브 본체는 내측에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는 캐비티(또는, 울림통)를 형성하고, 외측면에 상기 통신모듈이 배치되는 스피커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지지보스가 방열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스피커와 회로 연결된 메인 PCB가 상기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베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메인 PCB와 상기 허브 본체의 저면(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피커 케이스는 울림통(캐비티)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으로 인한 진동이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방열판으로 전해지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진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과 이격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지지보스들이 각각 통과하는 다수개의 지지보스 관통구가 형성되는 평판부로부터 다수개의 지지탭들이 연장되고, 상기 지지탭들이 상기 평판부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보스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평판부가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가 견실하게 지지되기 위해서는, 상기 허브가 배치되는 바닥과 상기 허브 베이스 간에 충분한 마찰력이 작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허브 베이스는 바닥부의 저면에 러버 삽입 홈이 형성된 베이스 본체와, 상기 러버 삽입 홈 내에 삽입되는 지지 러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러버는 상기 베이스 본체를 상기 바닥과 이격시키는 역할도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지지 러버는 상기 러버 삽입 홈과 대응하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러버 삽입 홈과 결합되는 러버 본체와, 상기 러버 본체로부터 상기 러버 삽입 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에는 전원코드의 어댑터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바닥부 저면 상에 개구부가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면과,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는 전원 코드의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소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단자가 상기 소켓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에는 코드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외벽부의 외측면에는 외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는 내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저면은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를 연결하는 코드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코드 고정 홈은 상기 코드 삽입구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 사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금속 그릴과, 상기 그릴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피커와 통신모듈을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를 포함하는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평면상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하는 상단과, 상기 상단을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로써 타원형의 하단을 갖는 원통형의 본형(本形)을 정의할 시, 상기 그릴의 형태가 상기 본형의 형태대로 구성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a) 단계; 금속 평판을 상기 본형을 전개한 형태의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가공한다. 에칭(etching) 가공을 통해 상기 금속 평판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금속 평판을 상기 본형을 전개한 외형을 가지며, 통공이 형성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평판의 재질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적당하다.
상기 금속 평판의 외형은, 상기 양 측변들이 완성된 그릴 후면의 정중앙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직선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b단계: 상기 가공된 금속 평판의 양 측변을 서로 접합하여 상기 본형의 상단과 대응하는 변이 상단이 되고, 상기 본형의 하단과 대응하는 변이 하단이 되는 원통형의 그릴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원통형의 그릴은 금속 재질이 갖는 특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구부러져 변형된 것이기 때문에, 상단과 하단은 부정형한 형태일 수 있다.
(c) 단계;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본형의 상단과 대응하는 형태의 상단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 베이스에는 상기 본형의 하단과 대응하는 형태의 하단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단 유지부가 상기 그릴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그릴이 조립된다. 이때, 상기 그릴의 상단은 상기 상단 유지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정형된다.
(d) 단계: 상기 허브 베이스에 형성된 하당 유지부를 상기 그릴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 내로 삽입하여, 상기 그릴의 하단을 상기 하단 유지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정형한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허브 본체와 결합되며,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과, 상기 커버 하우징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투영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그릴의 상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그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그릴의 내측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릴의 상단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상단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PCB와, 상기 윈도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지지하는 윈도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윈도우 지지판과,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하우징과 결합되는 지지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측벽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PCB가 배치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지지보스가 삽입되는 삽입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지지판과 상기 구획판은 각각 상기 윈도우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개구부는 좌우방향의 길이가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고, 상기 지지보스는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개구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영역과, 상기 개구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에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보스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보스가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사방 각 영역에 택트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4개의 택트 스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각각,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택트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조작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이루며 배치되되, 상면에 대한 법선 벡터를 소정의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해진 벡터가 정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그릴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가, 상기 윈도우를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해진 형태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정원형일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상단 유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허브 본체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체결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 본체는 내측으로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는 스피커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피커 케이스에는 상기 다수개의 체결보스가 각각 삽입되는 보스 삽입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이 노출되는 음향 출력구가 형성된 전면 케이스와, 상기 전면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단 유지부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보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상단 유지부의 후방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보스 삽입 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되, 상기 상단 유지부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보스가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면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보스 삽입 홈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되, 상기 상단 유지부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보스가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면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다수개의 체결보스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내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각각에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되는 삽입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 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PCB와 회로 연결된 메인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디스플레이 PCB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의 불륨을 증감시키는 볼륨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측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벽의 개구부 내에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상기 불륨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볼륨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 러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지지 러버가 삽입되는 러버 삽입 홈이 형성된 베이스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릴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외벽부; 및
상기 베이스 외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그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그릴의 내측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릴의 하단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하단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일체로써 상기 허브 본체에 탈착되는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허브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직비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스피커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상기 스피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피커의 상측에서 상하로 길게 연장된 관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구비한 커버 하우징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구획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의 각 영역에 택트 스위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PCB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화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는 좌우방향의 길이가 전후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 윈도우 베이스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윈도우 지지판과, 상기 4개의 택트 스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각각,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판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택트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조작 돌기들과,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획판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윈도우 지지판을 상기 디스플레이 PCB와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지지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보스는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전방의 영역과, 후방의 영역에 각각 적어도 하나 씩이 형성되되, 상기 각 영역에 형성된 지지보스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윈도우 지지판은 상기 각각의 영역에, 상기 지지보스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보스는 상기 전방의 영역과 상기 후방의 영역 각각에, 한 쌍씩이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지지보스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보스가 삽입되는 삽입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보스의 하단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보스와 체결되는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합성수지재의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윈도우 지지판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지지판은 소정의 수평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보스는 상기 윈도우 지지판과, 상기 윈도우 지지판이 소정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에 대한 여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지지판은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영역 내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하고,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지지판은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영역 내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하고, 저면에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돌기들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형의 윈도우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가 속하는 소정의 평면에 대한 법선 벡터는, 수평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법선 벡터를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얻은 벡터는 정 전방을 향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개구부를 한정하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거리 내의 일정 부분이 상기 법선 벡터와 평행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 중, 상기 법선 벡터와 평행한 부분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에서, 상면이 상기 법선 벡터가 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그릴의 상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그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그릴의 내측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릴의 상단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상단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 중, 상기 법선 벡터와 평행한 부분은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속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을 임의의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한 절단면 상에서, 상기 측벽의 외측면은 상기 법선 벡터와 평행하거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법선 벡터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정원형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측면이 상면 및 하면과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의 측면은 어느 부분에서나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 중, 상기 법선 벡터와 평행한 부분과 일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형의 윈도우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에 배치되되, 상기 개구부를 한정하는 상기 내측면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소정 부분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윈도우의 상면에 대한 법선 벡터는 수평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법선 벡터를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얻은 벡터는 정 전방을 향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영역을 한정하는 부분이 상기 윈도우의 측면과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관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구비한 커버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구획판에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며, 중심부로부터 전, 후, 좌, 우의 사방으로 연장된 기판 암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PC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판 암들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와 접촉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직사각형으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리브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어느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변과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변과 평행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변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리브 중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 1 변과 상기 2 변을 연결하는 제 3 변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 1 변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변과 접촉되는 리브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변과 접촉되는 리브는 상기 기판 암들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 중 서로 다른 영역들을 각각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화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윈도우 지지판과,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획판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윈도우 지지판을 상기 디스플레이 PCB와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지지보스를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 암들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상기 구획판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보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보스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암들 각각에는 택트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택트 스위치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PCB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의 각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택트 스위치들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판 암들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PCB의 둘레와 접촉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과,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모듈과, 상기 제 1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와,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PCB와, 상기 디스플레이 PCB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화면을 투영하는 윈도우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 하우징과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그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관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PCB가 배치되는 구획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그릴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점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측벽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모듈은 상기 스피커의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상기 내측면의 후방부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안테나와 제 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일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통신모듈과 다른 규약에 따라 상기 주변의 기기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모듈과, 상기 제 2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통신모듈과 연결된 안테나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모듈은 상기 허브 본체의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이고, 상기 제 2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일체로써 구성되는 통신모듈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모듈 조립체는 상기 스피커의 후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스피커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직비 모듈과, 상기 직비 모듈과 연결되어, 직비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직비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와, 상기 직비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의 전방부 좌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의 전방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안테나를 상기 측벽에 부착시키는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의 윤곽에 대응하여 굽어지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구획판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수평면에 대해 제 1 각도를 이루는 제 1 평면에 속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투과시키고, 상측에 내려다 볼 시,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윈도우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 하우징과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그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개구부를 한정하는 원통형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벽의 상단은 원형의 외주를 가지며, 상기 그릴은 상기 외주를 수평면 상에 정사영한 형태와 대응하는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최저점과 최고점을 수평면에 정사영하면, 상기 제 1 평면으로부터 상향하는 법선 벡터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와 같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가 속하는 평면과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가 속하는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형태의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의 상면과 상기 윈도우의 저면은 동일 형태로써,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윈도우의 상면과 상기 윈도우의 저면을 연결하는 측면은, 상기 윈도우의 상면 및 상기 윈도우의 저면과 직교할 수 있고, 상기 윈도우의 측면은 상기 측벽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의 내측면은 상기 윈도우의 측면을 대향하는 부분이 어느 곳에서나 상기 윈도우의 측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외주를 수평면 상에 정사영한 형태는, 상기 제 1 평면으로부터 상향하는 제 1 법선 벡터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 방향으로 단지름을 갖고, 상기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릴의 수평한 단면은 타원형일 수 있다. 상기 타원형은 상기 제 1 법선 벡터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가 향하는 방향으로 단지름을 갖고, 상기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허브 베이스의 저면은 상기 타원형과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그릴의 상단에 의해 한정된 개구부는 수평면에 대해 제 2 각도를 이루는 제 2 평면에 속할 수 있고, 상기 제 2 평면으로부터 상향하는 제 2 법선 벡터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는, 상기 제 1 법선 벡터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한 벡터와 같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통공은 제 1 통공과, 상기 제 1 통공 보다 작은 직경의 제 2 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통공과 상기 제 2 통공으로 구성된 패턴이 사방으로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상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단과 평행한 제 1 경계에 이르는 영역 내에 상기 통공이 미형성된 하단 둘레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 경계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경계와 평행한 제 2 경계에 이르는 영역 내에 상기 통공이 미형성된 상단 둘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들은 상기 패턴이 반복되는 어느 하나의 열에서, 둘 이상의 상기 제 1 통공이 상기 제 1 경계로 접근할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들어, 상기 제 1 경계와 가장 근접한 것의 직경이 최소가 될 수 있다.
상기 통공들은 상기 패턴이 반복되는 어느 하나의 열에서, 둘 이상의 상기 제 1 통공이 상기 제 2 경계로 접근할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들어, 상기 제 2 경계와 가장 근접한 것의 직경이 최소가 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후방에서 바라본 형태가 소정의 수직선에 대해 좌, 우 대칭이며, 상기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상기 수직선을 따라 상기 상단까지 길게 연장되는 부분에는 상기 통공이 미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의 상단은 상기 수직선과 만나는 지점이 최고점이 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금속 평판의 양 측변을 용접하여 원통형을 이룬 것으로써, 상기 양 측변의 용접이 상기 수직선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연마 가공을 통해, 상기 그릴의 외측면 상에는 상기 양 측변이 용접된 흔적이 제거되고, 상기 그릴의 내측면 상에는 상기 양 측변이 용접된 흔적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그릴의 상단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그릴의 외측면은 전 영역이 소정 입도의 연마지에 의해 가공된 헤어라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어라인들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의 하단 둘레부에는 USB 포트가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과, 상기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스피커와 회로 연결된 메인 PCB와, 상기 메인 PCB와 상기 허브 본체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금속 재질의 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허브 본체는 내측에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는 캐비티를 형성하고, 외측면에 상기 통신모듈이 배치되는 스피커 케이스와,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지지보스들이 각각 통과하는 다수개의 지지보스 관통구가 형성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평판부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보스와 체결되어, 상기 평판부가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판부는 상기 메인 PCB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탭은 상기 평판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탭의 체결공들을 각각 하측에서 통과하여 상기 지지보스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방열판과 상기 그릴은 도전체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평판부에는 방열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케이스는 상기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체결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평판부에는 상기 체결보스들이 각각 통과하는 다수개의 체결보스 관통구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허브 베이스에는 상기 각각의 체결보스 관통구를 통과한 체결보스들이 삽입 결합되는 다수개의 삽입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 베이스의 저면에는 각각이 상기 삽입보스 관통구와 연통되어, 상기 베이스의 하측으로부터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구를 통과한 볼트가 상기 체결보스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에는 상기 다수개의 체결보스가 각각 통과하는 다수개의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는 상기 삽입보스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 관통구는 상기 평판부를, 상기 평판부의 중심을 지나는 서로 직교하는 두 직선에 의해 사분된 각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보스 관통구는 상기 사분된 영역들 중 둘 이상의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보스 관통구는 상기 사분된 영역들 중 대각으로 배치된 두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허브 베이스는 바닥부의 저면에 러버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외벽부가 상기 그릴의 하단과 결합되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러버 삽입 홈 내에 삽입되고, 일부분이 상기 러버 삽입 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 러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허브 본체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러버 삽입 홈 내에는, 각각 상기 보스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러버 삽입 홈은 소정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러버 삽입 홈에 의해 둘러 쌓인 내측에, 상기 바닥부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바닥부의 저면 상에 개구부가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면과,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전원 코드의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켓은 상기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입구가 전방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러버 삽입 흠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일정한 곡률로 연장되는 호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러버 삽입 홈의 양단 사이에, 전원 코드를 고정하는 코드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벽부의 외측면에는 외측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는 내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저면은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를 연결하는 코드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코드 고정 홈은 상기 코드 삽입구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 사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코드 삽입구는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통로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드 삽입구의 양쪽에 각각 폭을 좁히는 삽입구 축소 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러버는 상기 러버 삽입 홈과 대응하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러버 삽입 홈과 결합되는 러버 본체와, 상기 러버 본체로부터 상기 러버 삽입 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지지돌기는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지지돌기는 상기 바닥부의 중심에 대해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금속 그릴과, 상기 그릴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피커와 통신모듈을 구비한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와,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를 포함하고,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평면상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하는 상단과, 상기 상단을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로써 타원형의 하단을 갖는 원통형의 본형(本形)을 정의할 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본형의 상단과 대응하는 형태의 상단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 베이스에는 상기 본형의 하단과 대응하는 형태의 하단 유지부가 형성된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금속 평판을 상기 본형을 전개한 형태의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단계와, (b) 상기 가공된 금속 평판의 양 측변을 서로 접합하여 상기 본형의 상단과 대응하는 변이 상단이 되고, 상기 본형의 하단과 대응하는 변이 하단이 되는 원통형의 그릴을 구성하되, 상기 원통형 그릴의 상단과 하단은 금속 평판이 변형되어 이루어진 부정형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단계와, (c)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단 유지부를 상기 그릴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 내로 삽입하여, 상기 그릴의 상단을 상기 상단 유지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정형하는 단계와, (d) 상기 허브 베이스에 형성된 하당 유지부를 상기 그릴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 내로 삽입하여, 상기 그릴의 하단을 상기 하단 유지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정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상기 금속 평판을 에칭(etching) 가공하여 상기 본형을 전개한 외형과 상기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평판은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금속 평판의 양 측변들 간의 접합은 용접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상기 금속 평판의 외형이 상기 양 측변들이 상기 그릴의 후면의 정중앙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직선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양 측변들을 용접한 부분에 USB포트 설치를 위한 구멍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그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양 측변들을 용접한 부분으로 함몰된 홈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그릴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양 측변들이 용접된 부분을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그릴 외측면의 전 영역을 연마하여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헤어라인이 형성된 그릴을 도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전착방식으로 도색될 수 있다.
상기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그릴의 외측면에 레이져 가공을 하여 표식을 각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그릴의 내측면에 다공성의 필터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주변 기기들에 대한 관리와,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허브의 상면에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됨으로써, 가시성이 향상되며, 특히, 이러한 가시성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울여지게 배치함으로써 더욱 향상된다.
또한, 부품들 간의 결합부위가 원통형의 그릴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허브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그릴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커버와 허브 베이스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가 없이도 상기 그릴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금속재 그릴을 상기 커버 및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금속 재질 자체가 갖는 소성을 이용하여 상기 그릴의 상단과 하단을 정형함으로써, 상기 그릴의 정형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 베이스와 허브 본체 사이에 메인 PCB를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전기기와 별도로 제공되는 액세서리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액세서리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활용하여, 가전기기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작동을 제어하는 등의 관리를 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액세서리나 가전기기의 종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인터페이스 구성을 변경한다면, 변경된 기기들에도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범용성과 확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그릴의 상단과 상기 커버가 연속적인 곡면의 윤곽(contour) 상에 형성됨으로써, 외관의 일체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주변 기기들에 대한 관리와,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허브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면을 노출시키는 윈도우가 상기 인터페이스 조작을 위한 버튼으로써 기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버튼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심플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투영되는 윈도우 상의 특정 영역들이 상기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버튼으로써 기능할 수 있어, 상기 인터페이스의 조작이 보다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노출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전, 후, 좌, 우의 4 영역이 버튼으로써 기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메뉴들을 4방향으로 스크롤하거나, 각 방향으로의 메뉴 선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버튼 기능을 하는 상기 윈도우의 각 영역들의 조작성이 균일해 지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균일한 조작성은 상기 각 영역을 누르는 것에 대응하여 이루어지는 각 택트 스위치들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허브는,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측면을 둘러싼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이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외관상 상기 윈도우와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어느 부분에서나 일정하게 할 수가 있어, 허브 상면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윈도우가 원형인 경우에도 상기 윈도우와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가 이동되거나, 상기 허브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윈도우의 시창을 통해 보이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치될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구획판에 형성된 리브를 통해 파악할 수 있어, 제조 과정에서의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이 투영되는 윈도우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보이는 일정 부분(시창)은 투명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필름이 부착되거나, 착색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시창 내에서 상기 화면이 한쪽으로 쏠리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화면의 정위치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허브는, 통신모듈의 안테나를 금속 그릴의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금속 그릴에 의한 신호의 간섭이나 차단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과 연결된 안테나를 그릴의 상측에 위치한 커버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안테나가 허브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상기 허브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를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PCB와 가능하면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PCB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의한 신호 간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측벽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그릴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점 증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측벽의 후방부에 상기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안테나와 상기 그릴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는 허브의 상면이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수평한 경우에 비해,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선과 상기 상면이 보다 더 큰 각도를 이룰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상기 화면의 왜곡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그릴의 수평한 단면의 형태가 상기 기울어진 상면을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와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위에서 내려다 볼 시, 허브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일체감을 이루는 형태를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한 단면의 형태가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길이 보다 긴 타원형이 되도록 상기 그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그릴 내측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전방으로 방출하는 면적이, 상기 그릴의 수평한 단면이 정원형인 경우에 비해 더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 베이스의 저면을, 전후 방향 보다 좌우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허브가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쉽게 전복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그릴을, 제 1 통공과 상기 제 1 통공 보다 작은 직경의 제 2 통공이 사방으로 연속하여 반복되는 패턴이 되도록 가공함으로써, 상기 그릴 내에 배치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방출되는 면적을 넓혀, 보다 향상된 음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릴에 많은 수의 통공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그릴의 강성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릴은, 커버 및 허브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는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통공들이 미형성된 영역이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커버 및 허브 베이스와의 결합은 공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제어부(또는, 컨트롤러) 등의 각종 전장 부품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방열판을 통해 소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 본체에는 스피커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스피커의 출력 진동이 상기 허브 베이스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가능하면 피하기 위해, 상기 허브 본체와 상기 허브 베이스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 공간에 상기 메인 PCB와 상기 방열판을 설치함으로써, 사장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공간을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방출된 열이 소산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의 평판부를 상기 허브 본체의 저면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스피커의 출력 진동이 상기 평판부로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방열판의 진동과, 이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허브는 지지 러버와 허브가 배치되는 바닥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허브가 쉽게 전복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가 물 뭍은 바닥 상에 거치되더라도, 상기 지지 러버에 의해 베이스 본체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베이스 본체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의 바닥에 형성된 홈 내에 전원 코드에 구비된 어댑터가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어댑터로 인해 허브 주변이 어지럽혀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코드를 고정시키는 홈이 상기 베이스 본체에 형성됨으로써, 불필요한 외력에 의해 상기 전원 코드가 당겨지거나, 허브를 들어 올리더라도, 장력이 분산되어, 상기 전원 코드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허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 평판의 양단을 말아서 원통형으로 가공한 상태에서는, 상기 그릴의 상단과 하단의 형태가 부정형이나, 이후에 상기 그릴을 커버 하우징과 허브 본체와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단과 하단의 형태가 자연스럽게 정형되기 때문에, 정형을 위한 별도의 단계가 필요치 않아, 제조 공정이 단순해 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평면상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하는 상단과, 상기 상단을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로써 타원형의 하단을 갖는 원통형의 그릴 형태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허브의 정면도(a)와, (a)에 표시된 A1-A1을 따라 취한 단면도(b)이다.
도 5는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a은 허브의 우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표시된 각 부분에서 취한 그릴의 단면도들이다.
도 7은 허브를 구성하는 주요부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윈도우가 제거된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은 윈도우 베이스의 상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윈도우 베이스의 저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c는 윈도우 베이스의 우측면도이다.
도 10d는 윈도우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커버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2a는 도 11에 표시된 B3-B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에 표시된 A3-A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1에 표시된 C3-C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 11에 표시된 D3-D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F1-F1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F2-F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윈도우 베이스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PCB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디스플레이 PCB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커버와 불륨 버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커버 하우징의 평면도(a)와, 사시도(b)이다.
도 21은 커버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허브 본체를 상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허브 본체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전면 케이스(a)와, 후면 케이스(b)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허브 본체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와이파이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들의 위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7은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와, 직비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의 위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8은 허브 본체, 방열판, 메인 PCB, 베이스 본체 및 지지 러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방열판의 지지탭이 확대되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허브 본체와 허브 베이스 간의 결합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1은 허브 베이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2는 허브 본체, 그릴 및 스피커 케이스의 결합구조가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허브 베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허브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6는 본형의 사시도(a), 그릴을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 평판(b) 및 금속 평판을 에칭 가공하여 형성한 그릴을 도시한 것(c)이다.
도 37은 도 36의 (c)에 표시된 A부분을 확대한 것(a)과 ,B부분을 확대한 것(b)이다.
도 38은 그릴의 사시도(a), 평면도(b), 전면도(c), 후면도(d)이다.
도 39는 도 3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청구항에 기재된 “제 1”, “제 2” 등의 표현은,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부여된 것으로, 이들 뒤에 같은 단어가 기재될 시, 이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목적일 뿐, 뒤에 오는 단어와 결합되어 고유명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1”, “제 2” 등의 표현이 부여된 단어가 어떤 구성을 지칭하는 것인지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한정사항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파악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일정한 공간 내에서 상호 통신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기들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써, 도 1은 가정 내에 구축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액세서리(accessary, 2, 3a, 3b), 게이트웨이(gateway, 4),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7) 및 허브(hub, 1)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 3a, 3b), 게이트웨이(4), 액세스 포인트(7) 및/또는 허브(1)는 정해진 통신규약(protocol)에 따라 상호 통신이 가능하고, 이러한 통신은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파이(Wi-fi)는 본래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의 상표명이나, 무선통신 기술로써 통용되고 있는 용어로써, 무선 랜(WLAN) 규격(IEEE 802.11)에서 정한 제반 규정에 따라 장치들 간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와이파이 P2P), 들 간의 무선랜 연결과,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이하, “와이파이 모듈”은 와이파이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통신을 하는 기기로 정의한다.
이더넷(Ethernet)은, 국제전자공학협회(IEEE)의 802.3 표준에 따른 네트워킹 기술로서, 근거리 통신망(LAN) 하드웨어, 프로토콜, 케이블의 가장 대표적인 표준이다. 이더넷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로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사용한다. 이하, “이더넷 모듈”은 이더넷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을 하는 기기로 정의한다.
직비(Zigbee)는 소형,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이용해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통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써, IEEE 802.15에서 정한 규정에 따른 통신 방식이다. 작은 크기로 전력 소모량이 적고 값이 싸 홈 네트워크 등 유비쿼터스 구축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지능형 홈 네트워크, 빌딩 등의 근거리 통신 시장과 산업용 기기 자동화, 물류, 휴먼 인터페이스, 텔레매틱스, 환경 모니터링, 군사 등에 활용된다.
직비 프로토콜은 물리 계층,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네트워크 계층,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비의 물리 계층과 MAC 계층은 IEEE 802.15.4 표준에 정의되어 있다.
직비 네트워크 계층은 트리 구조와 메쉬 구조를 위한 라우팅과 어드레싱를 지원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로는 ZigBee Home Automation Public Profile과 ZigBee Smart Energy Profile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또 새로운 직비 사양인 RF4CE는 가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솔루션과 스타 토폴로지를 위한 간단한 네트워크 스택을 정의하고 있는데, RF4CE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AES-128을 이용한 보안을 제공한다.
직비는 낮은 수준의 전송 속도로도 충분하면서 긴 베터리 수명과 보안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며, 주기적 또는 간헐적인 데이터 전송이나 센서 및 입력 장치 등의 단순 신호 전달을 위한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응용 분야에는 무선 조명 스위치, 가내 전력량계, 교통 관리 시스템, 그 밖에 근거리 저속 통신을 필요로 하는 개인 및 산업용 장치 등이 있다. 직비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같은 다른 WPAN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단순하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직비 모듈”은 직비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기기로 정의한다.
지웨이브(Z-wave)는 가정 자동화와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저전력과 저대역폭을 요구하는 장치를 위해 설계된 무선 전송 방식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들과 제어 유니트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지웨이브는 물리 계층,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전송 계층, 라우팅 계층,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900MHz 대역(유럽: 869MHz, 미국: 908MHz)과 2.4GHz 대역을 사용하면서 9.6kbps, 40kbps, 그리고 200k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이하, “지웨이브 모듈”은 지웨이브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기기로 정의한다.
액세서리(2)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IR: Infrared)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센서들에 의해 획득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허브(1)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역으로, 허브(1)로부터 상기 센서들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액세서리(2)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액세서리(2)는 주변에 위치한 가전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신부와, 상기 발신부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물체에 맞고 반사된 경우에 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7)는 무선장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장치로써, 홈 네트워크를 인터넷과 연결한다. 가전기기(5)와, 허브(1), 액세서리(3b) 등은 액세스 포인트(7)와 유선(예를 들어, 이더넷) 또는 무선(예를 들어, 와이파이)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4)는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이들 네트워크들을 서로 연결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 3b)로부터 수신된 직비(또는, 지웨이브) 방식의 신호를 와이파이 방식의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액세서리(2, 3b)와 액세스 포인트(7)를 중계할 수 있다.
한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7)를 통해 인터넷과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8)와 접속될 수 있다. 서버(또는, 클라우드(cloud), 8)는 액세서리(2, 3a, 3b) 및/또는 허브(1)를 제조하는 제조자, 판매하는 판매자 또는 상기 제조자 또는 판매자와 계약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서버(8)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는 홈네트워크로부터 받은 것일 수 있다. 허브(1)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서버(8)는 저장된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8)는 인터넷에 접속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와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허브(1)나 액세서리(2, 3a, 3b)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서버(8)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서버(8)와 접속된 이동 단말기(6)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6)로부터 전송된 정보 역시 서버(8)를 경유하여 허브(1)나 액세서리(2, 3a, 3b)로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동 단말기(6)를 통해 허브(1)나 악세서리(2, 3a, 3b)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6)의 일종으로써,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은 그래픽 기반의 편리한 UI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UI를 통해 액세서리(2, 3a, 3b)를 제어하거나, 액세서리(2, 3a, 3b)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액세서리(2, 3a, 3b)를 통해 구현 가능한 기능을 확장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6)를 활용하지 않고, 허브(1) 만으로도 액세서리(2, 3a, 3b)를 제어하거나, 액세서리(2, 3a, 3b)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웨이(4)와 액세스 포인트(7)를 매개로, 허브(1)와 액세서리(2, 3a, 3b) 상호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액세서리(2, 3b)로부터 출력된 신호(또는, 정보)가 게이트웨이(4)와 액세스 포인트(7)를 차례로 경유하여 허브(1)로 전송되며, 반대로, 허브(1)로부터 출력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7)와 게이트웨이(4)를 차례로 경유하여 액세서리(2, 3b)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액세서리(2, 3a, 3b)와 허브(1) 간의 통신은, 네트워크가 인터넷과 단절된 경우에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액세서리들(2, 3a, 3b)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는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센서, 스마트 플러그, CT센서, nest 온도조절기, 수면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는 가전기기(5)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센서를 구비한 액세서리를 세탁기에 부착하여, 세탁기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액세서리는 가전기기(5) 이외의 장소에 부착되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거 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고자 하는 경우, 동작 감지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를 구비한 액세서리를 벽면에 부착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장기간 상기 주거 내 도어의 개폐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거주인에게 변고가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바, 이러한 사정이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6)로 통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동작 감지 센서를 구비한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냉장고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고, 장기간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폐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거주인에게 변고가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바, 이러한 사정이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6)로 통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신호는 이동 단말기(6)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가전기기(5)의 작동 상태(예를 들어, 세탁기의 언밸런스 발생)나 도어의 개폐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또는 정보를 가공하여 도출된 결과(예를 들어, 세탁기의 비정상 동작을 알리는 경고, 또는, 장기간 도어가 개폐되지 않았는 바, 거주자의 신상을 확인할 것을 요구하는 알림 등)가 이동 단말기(6)의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허브(1)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기 탑재된 음성 인식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으로부터 명령을 추출하고,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시, 게이트웨이(4)가 구비되지 않으며, 게이트웨이(4)가 수행하던 기능을 허브(1)가 겸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그 이외의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액세서리(2, 3b)는 게이트웨이(4, 도 1 참조.)를 공유하지 않고, 허브(1)와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액세서리(2, 3b)와 허브(1)는 직비 방식을 통해 통신하며, 이 경우, 액세서리(2, 3b)와 허브(1)에는 각각 직비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허브의 정면도(a)와, (a)에 표시된 A1-A1을 따라 취한 단면도(b)이다. 도 5는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a은 허브의 우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표시된 각 부분에서 취한 그릴의 단면도들이다. 도 7은 허브를 구성하는 주요부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윈도우가 제거된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1)는 커버(10), 허브 본체(40), 그릴(20) 및 허브 베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본체(40)는 하측에 위치한 허브 베이스(30)에 의해 지지되고, 허브 본체(40)의 상부에는 커버(10)가 결합될 수 있다.
허브 본체(40)는 그릴(20) 내에 배치된다. 허브 본체(40) 전부가 완전히 그릴(20) 내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서와 같이, 허브 본체(40)는 일부분이 그릴(20)의 상단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릴(20)은 다수개의 통공(20h)이 형성되고,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허브 본체(40)를 둘러 싼다.
통공(20h)을 통해 그릴(20) 내측으로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그릴(20)의 내측면에는 다공성의 필터(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메쉬 또는 부직포 등의 미세한 소공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 그릴(2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그릴(20) 내에 배치된 스피커(43, 44), 본체 케이스(41, 42) 등의 구성이 통공(20h)을 통해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도록 은폐하는 역할도 겸한다.
한편, 도 3에서는 그릴(20)의 일부분에는 통공(20h)이 형성되고, 다른 부분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생략된 것이며, 통공(20h)은 그릴(20)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되어(도 38 참조.), 후술하는 스피커(43, 44)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통공(20h)들을 통해 전, 후, 좌, 우, 사방으로 고르게 퍼져 나갈 수 있다.
커버(10)는 윈도우(11), 윈도우 베이스(12), 디스플레이(13), 디스플레이 PCB(Printed Circuit Board, 14) 및 커버 하우징(15)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1), 윈도우 베이스(12), 디스플레이(13) 및 디스플레이 PCB(14)는 커버 하우징(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은 재질은 합성수지이고, 허브 본체(4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개구부(15h)가 형성된다. 커버 하우징(15)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단이 개구부(15h)를 한정하는 측벽(151)과, 측벽(151)의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측벽(151) 내부를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15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PCB(14), 디스플레이(13), 윈도우 베이스(12) 및 윈도우(11)는 구획판(152)의 상측에 배치된다. (커버 하우징(1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9 내지 도 20을 더 참조.)
측벽(151)의 하단(151a)은, 바람직하게는, 그릴(20)의 상단과 접하나, 공차로 인한 미세한 유격이 양자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측벽(151)의 하단(151a)은 그릴(20) 상단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측벽(151)의 외측면과 그릴(20)의 외측면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기는 하나, 상기 틈새를 제외하고는, 측벽(151)의 외측면과 그릴(20)의 외측면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외형을 이룬다.
상단 유지부(153)는 측벽(151)의 하단(151a)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그릴(20)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단 유지부(153)와 그릴(20)의 결합은,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상단 유지부(153)가 그릴(20)의 상단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또는, 끼워지는) 방식이며, 바람직하게는, 그릴(20)이나 상단 유지부(153) 자체가 갖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억지 끼움 방식이다.
상단 유지부(153)는 측벽(151)의 하단부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며(즉, 커버 하우징(15)의 외측면이 측벽(151)의 하단(151a)에서 함몰되어 상단 유지부(153)의 외측면을 이룸.), 따라서, 측벽(151)의 하단에는, 측벽(15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단 유지부(153)로 연장되어, 그릴(20)의 상단을 대향하는 면이 형성된다.
커버 하우징(15)은 측벽(15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기(154)가 돌출될 수 있고, 허브 본체(40)의 전면부에는 돌기(154)와 결합되는 돌기 삽입 홈(418)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과 허브 본체(4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돌기(154)가 허브 본체(4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돌기 삽입 홈(418)에 이르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허브 하우징(15) 자체의 탄력성에 의해, 돌기 삽입 홈(418)내로 삽입된다.
상단 유지부(153)의 외측면이 그릴(20)의 내측면과 접함으로써, 그릴(20) 상단의 형태가 유지된다. 특히, 그릴(20)이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 그릴(20)은 상단 유지부(153)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릴(20)의 상단이 상단 유지부(153)와 대응하는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단 유지부(153)가 측벽(151)의 하단(151a)을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경우, 금속 판재를 말아서 단면의 형태가 정원형인 원통형의 그릴(20)을 형성한 후, 그릴(20)의 상단을 상단 유지부(153)에 끼우면, 그릴(20)의 형태 역시 상단 유지부(153)의 형상과 대응하여 타원형으로 변형되고, 이렇게 변형이 이루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지름이 r인 정원형의 윈도우(11)가 소정의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도 6a에 θ1으로 표시된 것으로, 예각임. 이하, "제 1 각도"라고도 명명함.)로 기울어지고, 윈도우(11)의 상면에 대한 법선 벡터(Vs)를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얻은 벡터 Vh가 정전방을 향하는 경우에, 윈도우(11)를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는, 전후 방향으로 rcosθ1의 단반경을 갖고, 좌우 방향으로 r의 장반경을 갖는 타원이 된다. 따라서, 허브(1) 외형의 일체감을 위해서는 그릴(20)의 단면 역시 상기 타원과 대응하는 형태(즉, 단반경과 장반경의 비가 cosθ1: 1이 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단 유지부(153)를 상기 타원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그릴(20)의 단면의 형태를 상기 타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수평면에 대해 윈도우(11)가 기울어진 각도 θ1은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사용자의 시선을 고려하여 정해진 것으로써, 허브(1)가 주방의 조리대나 식탁 등의 대략 높이 1m 정도의 거치대에 거치된 경우에, 허브(1)의 전방에 위치한 일반적인 성인의 시선이 윈도우(11)의 상면과 90도 근접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정해지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20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표시된 화면이 전방의 상측을 향하도록 수평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윈도우(11)와 같은 각도(θ1)로 기울어져 있다. 후술하는 윈도우 지지판(121) 역시 디스플레이 패널(131) (또는, 윈도우(11))과 같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6a 내지 도 6b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의 상단은 외경 L1인 정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벽(151)의 하단(151a)의 외경은, 수평면에 대해 각도 θ2(θ2<θ1. 이하, θ2를 "제 2 각도"라고도 명명함.)로 기울어져, 좌우 방향으로는 La의 직경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Lb의 직경을 갖는 형태이다. 여기서, 측벽(151)의 외측면은 수직선에 소정의 각도(θ3)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도 6b의 단면 S1을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와, 단면 S2를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으나, θ3이 그 값이 충분이 작다면(바람직하게는, 5도 이하), La는 L1과 근사한 값을 갖는 바, 이하, La=L1라고 가정한다. 더 나아가, θ1과 θ2의 차이가 충분히 작다면(바람직하게는, 5도 이하), Lb 역시 L1과 근사한 값을 갖는 바, 이하, Lb=L1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θ3는 측벽(151)의 외측면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표시한 것으로써, 측벽(151)의 외측면 전 구간에서 일정한 값을 가질 수도 있으나, 측벽(151)의 둘레를 따라 그 값이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b의 단면 S3과 S4를 참조하면, 그릴(20)은 외경이 타원형(L1>L2)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L1의 장직경과, 전후 방향으로 L2의 단직경을 갖는다. 여기서, 위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La=L1, Lb=L1라고 할 때, L2는 L1cosθ1이 된다. 즉, 수평면에 정사영한 그릴(20)의 외형은 전후 방향의 직경(L2)이 좌우방향의 직격(L1)보다 짧은 형태의 타원이 된다. 윈도우(11)가 기울어져 배치되었음에도, 허브(1)를 위에서 내려다 볼 시, 그 외형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이 되어 일체감을 이룬다.
측벽(151)은 그릴(20)의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허브(1)의 외관을 이루나, 상단 유지부(153)는 그릴(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그릴(2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허브(1)의 외관상 보이지 않는다.
측벽(151)의 하단으로부터 위치 설정 돌기(156)가 돌출될 수 있고, 그릴(20)의 상단에는 그릴(20)이 정위치된 상태에서 위치 설정 돌기(156, 도 21 참조.)가 삽입되는 위치 설정 홈(26, 도 38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1)는 커버 하우징(15)의 개구부(15h)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1)는 일정한 두께의 투명판을 가공한 것으로써, 측면(또는, 외주면)이 상면 및 하면과 직교한다.
커버 하우징(15)의 내측면은, 커버 하우징(15)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일정 부분이, 윈도우(11)의 상면이 향하는 방향(즉, 도 6a에서 법선 벡터 Vs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다. 측벽(151) 의 상단부 내측면(151a)은 개구부(15h)를 한정하는 면인 바, 이하, 측벽(151)의 상단부 내측면(151a)을 개구부 한정면이라고 한다. 개구부 한정면(151a)은 개구부(15h)의 둘레부터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부 한정면(151a)에 의해 둘러 쌓인 내측에 윈도우(11)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윈도우(11)의 상면이 커버 하우징(15)의 상단과 같은 평면(또는, 개구부(15h)가 속하는 평면)에 속함으로써, 허브(1)의 상면이 하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 같은 일체감이 조성된다.
개구부 한정면(151a)은 어느 위치에서나 벡터 Vs와 평행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벡터 Vs와 평행한 임의의 평면으로 커버 하우징(15)을 절단하더라도, 그 단면 상에서 개구부 한정면(151a)은 벡터 Vs와 평행하다.
개구부 한정면(151a)과 윈도우(11)의 측면이 평행하기 때문에, 윈도우(11)의 중심과 개구부 한정면(151a)의 중심을 벡터 Vs을 따라 정렬시키면, 윈도우(11)의 측면의 전 구간이 개구부 한정면(151a)과 일정한 간격(g)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허브(1)를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시, 윈도우(11)와 커버 하우징(15)의 상단 사이에 일정한 간격(g)이 유지되는 것으로써, 제품의 완성도가 높아 보이는 것이기도 하다. 간격(g)은, 택트 스위치(181a, 181b, 181c, 181d)를 동작시키기 위해 윈도우(11)가 가압될 시, 윈도우(11)의 측면이 개구부 한정면(151a)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최소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하우징(15)을 임의의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 그 절단면 상에서, 측벽(151)의 외측면은 법선 벡터(Vs)과 평행하거나, 하측으로 갈수록 법선 벡터(Vs)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을 사출 성형할 시, 측벽(151)을 형성하는 제 1 금형으로부터 커버 하우징(15)은 연직 하방으로 취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금형으로부터 커버 하우징(15)이 잘 빠질 수 있기 위해서는 측벽(151)의 외측면이 위와 같은 형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커버 하우징(15)의 상면에 개구부(15h)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개구부(15h)내로 삽입되는 코어를 갖는 별도의 제 2 금형이 필요하다. 상기 제 1 금형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금형을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하우징(15)을 상기 제 2 금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 2 금형의 이동은 법선 벡터(Vs)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도 10a은 윈도우 베이스의 상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윈도우 베이스의 저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c는 윈도우 베이스의 우측면도이다. 도 10d는 윈도우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커버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2a는 도 11에 표시된 B3-B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에 표시된 A3-A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1에 표시된 C3-C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 11에 표시된 D3-D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F1-F1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F2-F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윈도우 베이스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PCB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디스플레이 PCB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커버와 불륨 버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커버 하우징의 저면도(a)와, 사시도(b)이다. 도 21은 커버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21을 참조한다.
도 8,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PCB(14)는 구획판(152)의 상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3)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디스플레이 PCB(14)는 디스플레이(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디스플레이(13)는 커넥터(132)를 통해 상기 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PCB(14)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13)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로 4개의 택트 스위치(181a, 181b, 181c, 181d)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PCB(14)는 중심부로부터 전, 후, 좌, 우로 연장된 십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가 구성된 기판(140)은, 대략 중심부로부터 각각 후방, 전방, 좌측, 우측의 사방으로 연장된 제 1 기판 암(145), 제 2 기판 암(146), 제 3 기판 암(147) 및 제 4 기판 암(148)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40)은 대략 십자 형태이나, 이러한 형태가 반드시 대칭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의 구획판(152)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PCB(14)의 둘레와 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리브(152a)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152a)는 디스플레이 PCB(14)의 둘레 전체와 대응하는 형태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PCB(14)의 둘레의 일부만 접하여도 되고, 실시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PCB(14)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지점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리브(152a)는 기판 암(145, 146, 147, 148)의 측변(즉, 기판(140)의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변)과 접하는 위치들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암들(145, 146, 147, 148) 각각에는 제 1 택트 스위치(tact switch, 181a), 제 2 택트 스위치(181b), 제 3 택트 스위치(181c) 및 제 4 택트 스위치(181d)가 배치될 수 있다. 택트 스위치들(181a, 181b, 181c, 181d)은 기판(140)에 형성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PCB(14)에는 NFC 모듈(540, 도 7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NFC 모듈(540)은 NFC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써, 제 2 기판 암(146)에 형성된 NFC 장착부(146a)에 배치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RFID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동글(리더)이 필요하지 않다.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13)는 전기 신호를 입력 받아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3)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디스플레이 패널(131)을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와 연결하는 커넥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참조.).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접착부재(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171, 도 17 참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PCB(14)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PCB(14)는 후술하는 메인 PCB(48)와 소정의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회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PCB(14)나 메인 PCB(48) 중 어느 곳에 실장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디스플레이(13)는 메인 PCB(48)에 실장된 제어부(82, 도 7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예로 든다. 허브 본체(40)의 측면에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홈(429)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화면에는 각종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82)는 메모리(8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구동뿐만 아니라, 허브(1)를 구성하는 전장품에 대한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통신모듈(50)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는 통신모듈(50)과 통신하는 액세서리(2, 3a, 3b)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거나, 액세서리(2, 3a, 3b)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가공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모듈(50)의 네트워크 연결상태, 액세서리(2)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밝기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피커(43, 44)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뉴가 표시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스피커(43, 44)를 통해 출력할 노래나 앨범을 선택하는 메뉴, 상기 앨범이나 노래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노래 제목, 앨범 명, 가수), 출력되고 있는 볼륨의 크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메뉴들에 대한 조작은, 택트 스위치(181a, 181b, 181c, 181d)를 통해 가능하다. 각각의 택트 스위치(181a, 181b, 181c, 181d)의 출력 신호가 어떻게 처리되는지는 메모리(84)에 기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어, 제 1, 2 택트 스위치들(181a, 181b)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좌우로 표시된 메뉴들이 선택되어질 수 있으며, 제 3, 4 택트 스위치들(181c, 181d)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하로 표시된 메뉴들이 선택되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모듈(50b)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악, 이미지 등의 각종 데이터가 메모리(84)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82)는 메모리(84)에 저장된 음악이 출력되도록, 스피커(43, 44)를 제어할 수 있고, 음악의 선곡, 재생, 정지 등의 각종 기능이 택트 스위치(181a, 181b, 181c, 181d)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PCB(14)의 기판(140)에는, 후술하는 윈도우 베이스(12)에 형성된 지지보스(122b)가 통과하는 관통구(140h)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40h)는 제 1 기판 암(145)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판(140)의 저면에는 한 쌍의 볼륨조절스위치(185a, 185b)가 구비될 수 있다. 볼륨조절스위치들(185a, 185b)은 허브 본체(40)에 구비된 스피커(43, 44)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택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볼륨조절스위치들(185a, 185b)은 눌러질 때마다 스피커(43, 44)의 볼륨이 증가되는 제 1 볼륨조절스위치(또는, 볼륨증가스위치(185a))와, 눌러질 때마다 스피커(43, 44)의 볼륨이 감소되는 제 2 볼륨조절스위치(또는, 볼륨감소스위치(185b))를 포함할 수 있다.
볼륨조절스위치들(185a, 185b)은 디스플레이 PCB(14)의 제 4 기판 암(148)에 배치될 수 있고, 볼륨조절스위치들(185a, 185b)의 가동 단자(스위칭 동작을 위해 눌러지는 부분)는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에는 볼륨 버튼(16)이 설치되는 개구부(151h)가 형성될 수 있다. 볼륨 버튼(16)은 돔(161)과 탄성 패드(16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패드(162)는 탄성을 갖는 재질(바람직하게는, 고무)로 된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패드(162)는 측벽(1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판상의 형태로써, 하우징(15)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부(162a)와, 지지부(162a)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스위치 가동 돌기(162b, 162c)와, 지지부(162a)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개구부(151h)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돔 고정 돌기(162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2a)는 크기가 개구부(151h)보다는 커, 외력에 의해 굽혀지지 않는 한, 개구부(151h)를 통해 커버 하우징(15)의 외부로 이탈되지는 않는다.
돔(161)은 재질은 합성수지이며, 일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돔 고정 돌기(162d)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돔 고정 돌기(162d)는 상기 홈 내에 억지 끼움되며, 별도의 접착 수단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돔 고정 돌기(162d)의 재질 자체가 갖는 탄성 또는 복원력에 의해, 돔(16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돔(161)과 돔 고정 돌기(162d)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돔(161)은 상면 및/또는 하면으로부터 이탈방지돌기(161c)가 돌출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61c)는 커버 하우징(15) 내측에 위치하며, 개구부(151h) 둘레에 걸림으로써, 돔(161)이 커버 하우징(1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실시예에서는, 돔(16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한 쌍씩의 이탈방지돌기(161c)가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 패드(162)가 개구부(151h)에 정위치 된 상태에서, 한 쌍의 스위치 가동 돌기(162b, 162c)는 각각 제 1 볼륨조절스위치(185a)와 제 2 볼륨조절스위치(185b)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돔(161)의 볼륨증가조작부(161a) 또는 볼륨감소조작부(161b)가 가압 되었을 시, 탄성 패드(162)의 스위치 가동 돌기들(162b, 162c)들이 볼륨증가스위치(185a) 또는 볼륨감소스위치(185b)를 동작 시키고, 그에 따라 스피커(43, 44)의 볼륨이 조절된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의 상측에는 대략 원형의 윈도우 베이스(12)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베이스(12)는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써,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윈도우 베이스(12)에는 개구부(12h)가 형성되며, 개구부(12h)를 통해 디스플레이(13)의 화면이 노출된다.
개구부(12h)는, 윈도우 베이스(12)의 하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31) 보다는 조금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에 표시된 화면이 개구부(12h)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좌우 방향의 가로가 전후 방향의 세로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개구부(12h) 역시 이러한 형태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길이 보다 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 베이스(12)는 중심부에 개구부(12h)가 형성되고, 상면에 윈도우(11)가 배치되는 윈도우 지지판(121)과, 윈도우 지지판(121)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조작 돌기들(126a, 126b, 126c, 126d)과, 윈도우 지지판(121)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보스(122a, 122b, 122c, 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윈도우(11)와 마찬가지로, 윈도우 지지판(121)도 수평면에 대해 제 1 각도(θ1)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윈도우 지지판(121)과 직교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지지판(121)과 θ1의 여각(90-θ1)을 이룬다.
이하, 윈도우 지지판(121)의 각 부분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h)를 중심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 1 영역(SE1),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영역(SE2), 좌측에 위치하는 제 3 영역(SE3)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 4 영역(SE4)으로 구분한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에 각각 적어도 하나 씩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지지판(121)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4개의 지지보스(122a, 122b, 122c, 122d)가 형성될 수 있고, 이들 중,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는 제 1 영역(SE1)에 위치하고, 제 3 지지보스(122c)와 제 4 지지보스(122d)는 제 2 영역(SE2)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커버 하우징(151)과 결합되어, 윈도우 지지판(121)을 지지하며, 이때, 윈도우 지지판(121)은 디스플레이 PCB(14)와 이격될 수 있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사분된 영역을 통과하여 구획판(152)과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기판 암(145)에 형성된 관통구(140h)를 통과하여 구획판(152)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 내부는 십자 형태의 4개의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4개의 영역(P1, P2, P3, P4)으로 사분되어진다. 이하, 각 사분 영역에, 사분면에 대한 통상적인 정의에 부합되도록 순서를 부여하여, P1을 제 1 사분 영역, P2를 제 2 사분 영역, P3을 제 3 사분 영역, P4를 제 4 사분 영역이라고 정의한다.
제 1 지지보스(122a), 제 3 지지보스(122c) 및 제 4 지지보스(122d)는 각각 제 2 사분 영역(P2), 제 3 사분 영역(P3) 및 제 4 사분 영역(P4)을 통과하여 구획판(152)과 결합되고, 제 2 지지보스(122b)는 제 1 기판 암(145)에 형성된 관통구(140h)를 통과하여 구획판(152)과 결합된다.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과 커버 하우징(15)의 구획판(152) 간의 결합은,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들이 직접 구획판(152)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이 구획판(152)에 형성된 삽입보스들(154a, 154b, 154c, 154d)에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구획판(152)에는, 제 1 지지보스(122a), 제 2 지지보스(122b), 제 3 지지보스(122c) 및 제 4 지지보스(122d)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삽입보스(154a), 제 2 삽입보스(154b), 제 3 삽입보스(154c) 및 제 4 삽입보스(154d)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보스들(154a, 154b, 154c, 154d)은 구획판(152)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각각은 대응하는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 지지보스(122a), 제 2 지지보스(122b), 제 3 지지보스(122c) 및 제 4 지지보스(122d)는 각각 제 1 삽입보스(154a), 제 2 삽입보스(154b), 제 3 삽입보스(154c) 및 제 4 삽입보스(154d) 내로 삽입된다. 각 삽입보스(154a, 154b, 154c, 154d)의 하단부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볼트(19)가 아래로부터 상기 각각의 체결공을 통과하여 지지보스(122a, 122b, 122c, 122d)와 체결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커버 하우징(15)은 구획판(152)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들(152a, 152b, 152c, 152d, 152e, 152f)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들(152a, 152b, 152c, 152d, 152e, 152f) 중 적어도 하나(152b, 152c, 152d, 152e, 152f)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둘레와 접촉될 수 있다. 그런데, 구획판(152)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PCB(14)가 배치되기 때문에, 리브들(152b, 152c, 152d, 152e, 152f)이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둘레와 접촉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PCB(14)와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원 발명은 십자 형태의 디스플레이 PCB(14)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P1, P2, P3, P4)을, 리브들(152b, 152c, 152d, 152e, 152f)이 디스플레이 PCB(14)와 간섭되지 않고 통과하는 경로로써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리브들(152b, 152c, 152d, 152e, 152f)은, 디스플레이 PCB(14)의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P1, P2, P3, P4)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가장자리에 접촉될 수 있다. 리브들(152b, 152c, 152d, 152e, 152f)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위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네 변들 중 적어도 하나가 리브(152b, 152c, 152d, 152e, 152f)와 접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네 변 중,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변이 각각 리브와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가로 변들(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들)이 리브들(152b, 152c, 152d)과 접촉되어 있다. 리브들(152b, 152c, 15d)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가로 변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리브(152b, 152c, 152c)들은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구획된 네 영역들(P1, P2, P3, P4) 중, 서로 다른 영역들을 각각 통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리브(152b)는 제 2 사분 영역(P2)를 통과하고, 리브(152c)는 제 3 사분 영역(P3)을 통과하고, 리브(152d)는 제 4 사분 영역(P4)을 통과하여,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후방변(도면에서 위쪽 가로 변), 좌측변 및 전방변(도면에서 아래쪽 가로 변)과 접촉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사분 영역(P1) 및/또는 제 4 사분 영역(P4)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우측변과 접촉되는 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어느 한 변과 접촉되는 리브(예를 들어, 152b)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다른 한 변과 접촉되는 리브(예를 들어, 152c)는 기판 암들(145, 146, 147, 148)에 의해 사분된 영역들(P1, P2, P3, P4) 중 서로 다른 영역들(예를 들어, P2, P3)을 각각 통과할 수 있다.
윈도우 지지판(121)은, 재질 특성상, 일정한 한도 내에서 압력이 작용하였을 시, 각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을 중심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압력이 제거될 시 그 형태가 원상으로 복구되는 탄성적인 것이다.
윈도우 베이스(12)의 제 1 조작 돌기(126a), 제 2 조작 돌기(126b), 제 3 조작 돌기(126c) 및 제 4 조작 돌기(126d)는 각각 디스플레이 PCB(14)에 배치된 제 1 택트 스위치(181a), 제 2 택트 스위치(181b), 제 3 택트 스위치(181c) 및 제 4 택트 스위치(181d)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따라서, 윈도우(11)를 통해 윈도우 베이스(12)의 제 1 영역(SE1), 제 2 영역(SE2), 제 3 영역(SE3) 및 제 4 영역(SE4)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가해졌을 시, 압력이 가해진 영역(예를 들어, 제 1 영역(SE1))에 속하는 조작 돌기(예를 들어, 제 1 조작 돌기(126a))가 그 아래에 위치한 택트 스위치(예를 들어, 제 1 택트 스위치(181a))를 작동시킨다.
윈도우 베이스(12)는 윈도우 지지판(12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1 탭(125a), 제 2 탭(125b), 제 3 탭(125c) 및 제 4 탭(125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탭들(125a, 125b, 125c, 125d)은 윈도우 지지판(121)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구획판(152)의 상면에는 탭들(125a, 125b, 125c, 125d)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탭 삽입홈(미표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윈도우(11)는 원형의 투명한 판으로써, 디스플레이(13)의 화면을 투과시키며,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이다. 사용자는 윈도우(11)를 통해 디스플레이(13)에 표시된 화면을 볼 수 있다. 윈도우(11)는 전 영역이 투명할 필요는 없으며, 허브(1)의 외관상 윈도우 베이스(12)는 보이지 않고, 윈도우 베이스(12)의 개구부(12h)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화면만이 보일 수 있도록, 대략 개구부(12h)와 대응하는 위치의 소정 영역(11b)만 투명하고, 그 이외의 영역(11a)은 은폐되도록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착색되거나, 필름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도 3 참조.).
윈도우(11)는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윈도우 베이스(12)의 윈도우 지지판(121)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윈도우(11)는 합성수지 재질의 특성상, 일정한 한도 내에서 압력이 작용하였을 시,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휘어짐은 택트 스위치(181a, 181b, 181c, 181d)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윈도우(11)의 휘어짐은 탄력적인 것이기 때문에, 누르는 압력이 제거되었을 시에는 원형태로 복원됨은 물론이다.
한편, 윈도우 지지판(121)에 형성된 개구부(12h)가 가로 방향(또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개구부(12h)의 좌, 우측에 해당하는 제 3 영역(SE3)과 제 4 영역(SE4)은 지지보스들을 설치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왜냐하면, 윈도우(11)의 형태가 원형인 점을 고려하면, 제 3 영역(SE3)과 제 4 영역(SE4)은 개구부(12h) 둘레로부터 제 3 조작 돌기(126c) 또는 제 4 조작 돌기(126d)까지의 거리가,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에서 개구부(12h) 둘레로부터 제 1 조작 돌기(126a) 또는 제 2 조작 돌기(126b)까지의 거리에 비해 짧을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만약 제 3 영역(SE3)이나 제 4 영역(SE4)에 지지보스를 형성한다고 하면, 제 3 조작 돌기(126c)나 제 4 조작돌기(126d)는 지지보스와 거리가 너무 가까워지기 때문에, 큰 압력이 윈도우 지지판(121)에 가해져야 상기 조작 돌기가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는 제 1 영역(SE1)에 형성되었으며, 제 3 지지보스(122c)와 제 4 지지보스(122d)는 제 2 영역(SE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에서 내려다 볼 때, 제 1 조작 돌기(126a)는 커버 하우징(15) 내에서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 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고, 제 2 조작 돌기(126b)는 제 3 지지보스(122c)와 제 4 지지보스(122d) 보다 더 외측에 위치된다.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 각각에는, 조작돌기(126a, 126b)와 지지보스(122a, 122b, 122c, 122d) 사이에 슬릿(121a, 121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은, 제 1 영역(SE1) 또는 제 2 영역(SE2)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3 조작 돌기(126c)나 제 4 조작 돌기(126d) 보다는 상대적으로, 제 1 조작 돌기(126a)나 제 2 조작 돌기(126b)와 가깝다. 예를 들어, 윈도우 지지판(121)의 제 1 영역(SE1)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윈도우 지지판(121)은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를 중심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 1 조작 돌기(126a)의 제 1 지지보스(122a)에 대한 선회 반경(모멘트 팔)은 r11이고, 제 2 지지보스(122b)에 대한 선회 반경은 r12이다. 실시예에서, 제 1 조작 돌기(126a)는 제 1 지지보스(122a) 보다 제 2 지지보스(122b)와 가깝기 때문에 r12가 r11보다 짧다. 또한, 제 3 조작 돌기(126c)는 제 1 지지보스(122a)까지의 거리가 r31(r31>r11>r12)이고, 제 3 지지보스(122c)까지의 거리 r33은 실질적으로 r31과 같다.
각 조작 돌기(126a, 126b, 126c, 126d)의 조작성은 가장 가까이 위치한 지지보스들까지의 거리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만약, 슬릿(121a, 121b)이 없다면, 위의 예에서와 같이, r31이 r12 보다 큰 경우, 제 1 영역(SE1)과 제 3 영역(SE3) 상에 같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 3 영역(SE3)이 제 1 영역(SE1) 보다 더 잘 휘어져, 제 3 조작 돌기(126c)가 제 1 조작 돌기(126a) 비해 더 쉽게 하측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제 3 택트 스위치(181c)가 제 1 택트 스위치(181a) 보다 더 원활하게 동작하게 된다. 마찬가지 이유로, 제 2 택트 스위치(181b)의 동작도 제 3 택트 스위치(181c) 또는 제 4 택트 스위치(181d)보다는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윈도우 지지판(121)의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에 각각 제 1 슬릿(121a)과 제 2 슬릿(121b)이 형성되었다. 이들 영역(SE1, SE2)에서 슬릿(121a, 121b)은 그 영역 내의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과 조작 돌기(126a, 126b, 126c, 126d) 사이에 위치한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지지판(121)의 중심(c)을 지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름을 가로 지름(D1)이라고 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름을 세로 지름(D2)이라고 정의할 때, 제 1 지지보스(122a)와 제 2 지지보스(122b)는 제 1 영역(SE1) 내에서 가로 지름(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3 지지보스(122c)와 제 4 지지보스(122d)는 제 2 영역(SE2) 내에서 가로 지름(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슬릿(121a)과 제 2 슬릿(121b)은 각각 가로 지름(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릿들(121a, 121b)이 형성됨으로써, 제 1 영역(SE1) 또는 제 2 영역(SE2)이 가압되었을 시, 윈도우 지지판(121)의 휘어짐은 슬릿들(121a, 121b)의 양쪽 끝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유발되고, 특히, 이러한 휘어짐은 슬릿들(121a, 121b)의 끝단과 윈도우 지지판(121)의 외주 사이의 좁은 영역에서 주로 발생되기 때문에, 슬릿(121a, 121b)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윈도우 지지판(121)이 더 원활하게 휘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 돌기(126a, 126b)와 휘어짐이 발생되는 부분 간의 거리가 늘어나게 되는 효과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조작 돌기(126a)의 경우, 제 1 슬릿(121a)의 일단까지의 거리(rs)가 제 2 지지보스(122b)까지의 거리(r12) 보다 더 길어졌고, 이는 제 1 영역(SE1)에서 휘어짐이 발생되는 부분에 대한 제 1 영역(SE1)에 가압된 힘의 모멘트 팔의 길이가 증가되는 결과로써, 제 1 조작 돌기(126a)가 보다 더 원활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의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이 비대칭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들과 조작 돌기들(126a, 126b) 사이에 슬릿(121a, 121b)이 형성됨으로써, 제 1 영역(SE1)과 제 2 영역(SE2)에서의 윈도우 지지판(121)의 휘어짐은 지지보스들(122a, 122b, 122c, 122d)의 위치에 따른 영향보다는, 실질적으로 슬릿(121a, 122b)의 위치와 형태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게 되고, 따라서, 제 1 슬릿(121a)과 제 2 슬릿(121b)이 실질적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 1 택트 스위치(181a)와 제 2 택트 스위치(181b)의 조작성이 균등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허브 본체(40)는 하측에 배치된 허브 베이스(30)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부는 커버 하우징(15)과 결합될 수 있다. 허브 본체(40)는 내측으로 캐비티(49)를 형성하는 스피커 케이스(41, 42)와, 캐비티(49)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3, 4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케이스(41, 42) 내에 2 개의 스피커(43, 44)가 상하로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스피커(43)는 고음 대역을 출력하는 트위터(tweeter)이고, 하측에 배치되는 스피커(44)는 저음 대역을 출력하는 우퍼(woofer)이다.
도 22는 허브 본체를 상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허브 본체를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전면 케이스(a)와, 후면 케이스(b)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허브 본체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와이파이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들의 위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7은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와, 직비 모듈과 연결된 안테나의 위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8은 허브 본체, 방열판, 메인 PCB, 베이스 본체 및 지지 러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방열판의 지지탭이 확대되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허브 본체와 허브 베이스 간의 결합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1은 허브 베이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2는 허브 본체, 그릴 및 스피커 케이스의 결합구조가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허브 베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허브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스피커 케이스(41, 42)는 전면 케이스(41)와, 전면 케이스(41)와의 사이에 캐비티(49)를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41)에는 상하로 트위터(43)와 우퍼(44)의 진동판(예를 들어, 맴브레인(membrane))들을 각각 노출시키는 한 쌍의 음향 출력구가 전방을 향해 개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41)의 내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케이스 결합보스(411)가 다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높이에서 좌, 우 양측의 두 군데에 케이스 결합보스(411)가 형성되되, 같은 방식으로 서로 다른 세곳의 높이에 각각 한 쌍씩, 총 여섯 곳에 케이스 결합보스(411)가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후면 케이스(42)에는 전면 케이스(41)에 형성된 케이스 결합보스들(411)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보스(421)가 형성되고, 볼트가 후면 케이스(42)의 후방으로부터 각각의 삽입보스(421)를 통과하여 케이스 결합보스(411)와 체결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상단 유지부(153)의 전면부에는 좌, 우 양쪽으로 한 쌍의 체결보스(153c, 153d)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도 11 내지 도 14 참조.), 후면부의 좌, 우 양쪽에는 한 쌍의 체결보스(153a, 153b)가 전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에 형성된 이들 체결보스들(153a, 153b, 153c, 153d)과 대응하여, 허브 본체(40)의 전면 케이스(41)에 제 1 보스 삽입 홈(415)과, 제 2 보스 삽입 홈(416)이 형성되고, 후면 케이스(42)에 제 3 보스 삽입 홈(425)과 제 4 보스 삽입 홉(4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 1 보스 삽입 홈(415)과 제 2 보스 삽입 홈(416)은 각각 전면 케이스(41)의 전면(허브(1)의 전방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되, 상측으로부터 체결보스(153c, 153d)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 3 보스 삽입 홈(425)과 제 4 보스 삽입 홈(426)은 각각 후면 케이스(42)의 후면(허브(1)의 후방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되, 상측으로부터 체결보스(153a, 153b)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각각의 보스 삽입 홈(415, 416, 425, 426)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 2 보스 삽입 홈(416) 내에 형성된 체결공(416h)만이 도시되었으나, 제 1 보스 삽입 홈(415)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체결공(이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설명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지시번호로써 416h를 부여함.)이 형성되고, 다른 보스 삽입 홈들(425, 426)에도 마찬가지로 체결공(425h, 426h, 도 2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들(153a, 153b, 153c, 153d)은, 각각의 대응하는 보스 삽입 홈(415, 416, 425, 426)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공(415h, 416h, 425h, 426h)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고, 볼트가 상기 각 체결공(415h, 416h, 425h, 426h)을 통과하여 체결보스(153a, 153b, 153c, 153d)와 체결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허브 본체(40)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50)이 배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50)은 메인 PCB(48) 및/또는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와 연결되어, 제어부(8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통신모듈(50)로써, 와이파이 모듈(50a), 블루투스 모듈(50b), 직비 모듈(530)이 구비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지웨이브 모듈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듈 조립체(510)는 와이파이 모듈(50a)과 블루투스 모듈(50b)의 집합체로써, 허브 본체(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조립체(510)는 후면 케이스(42)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조립체(510)는 일체로써 후면 케이스(42)와 결합되거나, 후면 케이스(4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와이파이 모듈(50a)과 블루투스 모듈(50b)이 서로 별개로 구비되어, 각각이 독립적으로 허브 본체(40)와 결합 또는 허브 본체(4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모듈 조립체(510)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한 쌍의 안테나(511a, 511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안테나(511a, 511b)는 모듈 조립체(510) 자체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것이나, 이에 한하지 않고, 모듈 조립체(510)와 이격된 위치에 별도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21, 522)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25 내지 도 27 참조.).
모듈 조립체(510)에는 와이파이 모듈(50a)의 제 1 안테나 연결 단자(513) 및 제 2 안테나 연결단자(514)와, 블루투스 모듈(50b)의 안테나 연결 단자(51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의 내측면에는 후방부의 좌, 우 양쪽에 각각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가 배치될 수 있고, 제 1 안테나(521)는 도선(L1)을 통해 제 1 안테나 연결 단자(513)와 연결되며, 제 2 안테나(522)는 도선(L2)을 통해 제 2 안테나 연결 단자(5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는 각각 얇은 형태의 필름에 소정 패턴의 도전체가 결합된 것으로써, 상기 도전체에 도선(L1, L2)이 연결된다.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은 그릴(20)에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릴(20)에 의해 둘러 쌓여 있지 않으며, 따라서, 측벽(151)에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를 배치함으로써, 금속재인 그릴(20)에 의한 신호 간섭을 줄여, 보다 정확하게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측벽(15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단의 높이가 점점 더 구획판(152)으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측벽(151)의 후방부는, 전방부에 비해, 구획판(152)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PCB(14)와의 사이에 더 큰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안테나(521)와 제 2 안테나(522)를 측벽(151)의 후방부에 배치함으로써, 안테나들(521, 522)을 디스플레이 PCB(14)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PCB(14)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의한 신호 간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허브 본체(40)의 좌, 우측 중 어느 한쪽에는 직비 모듈(530)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의 전방부 내측면에는 직비 모듈(530)의 안테나 연결 단자(531)와 도선(L3)을 통해 연결된 제 3 안테나(532)와 블루투스 모듈(50b)의 안테나 연결 단자(515)와 도선(L4)를 통해 연결된 제 4 안테나(541)가 구비될 수 있다.
제 3 안테나(532)와 제 4 안테나(541)는 각각 얇은 형태의 필름에 소정 패턴의 도전체가 결합된 것으로써, 상기 도전체에 도선(L3, L4)이 연결된다. 제 3 안테나(532)와 제 4 안테나(541)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커버 하우징(15)의 측벽(15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29을 참조하면, 메인 PCB(48)는 허브 본체(40)와 허브 베이스(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PCB(48)는 허브(1)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어부(82), USB 포트(62), 데이터 전송 포트(64), 각종 스위치(76, 77), 리셉터클(390) 등이 실장되고, 통신모듈들(50a, 530), 디스플레이 PCB(14), 트위터(43), 우퍼(44) 등의 각종 전장 장치들과 회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 PCB(48)와 허브 본체(40) 사이에는 방열판(33)이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판(33)은 금속판을 가공한 것으로써,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다. 방열판(33)은 메인 PCB(48)로부터 방출된 열을, 상측의 공간(즉, 허브 본체(40)의 저면과 방열판(33) 사이의 공간)으로 소산시킨다.
허브 본체(40)의 저면으로부터 다수개의 체결보스(45a, 45b, 45c, 45d)가 돌출될 수 있다. 제 1 체결보스(45a)와 제 2 체결보스(45b)가 후면 케이스(42)의 저면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 3 체결보스(45c)와 제 4 체결보스(45d)는 전면 케이스(41)의 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은 허브 베이스(30)와 결합될 수 있다.
허브 본체(40)의 저면을 그 중심을 지나는 가로선과 세로선으로 구획하였을 시,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은 상기 가로선과 세로선에 의해 구획된 4 개의 사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허브 베이스(30)에는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보스(35a, 35b, 35c, 35d)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은 각각 삽입보스들(35a, 35b, 35c, 35d)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삽입보스(35a, 35b, 35c, 35d)를 하측에서 통과하는 볼트와 체결될 수 있다.
다수개의 방열판 결합보스(46b, 46c, 46d)들이 허브 본체(40)의 저면으로부터 더 돌출될 수 있다. 방열판 지지보스(46b, 46c, 46d)는 체결보스(45a, 45b, 45c, 45d)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는 상기 4 개의 사분면 중 3개에 방열판 지지보스(46b, 46c, 46d)가 형성되었으나, 그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방열판(33)은 금속판을 가공한 것으로써,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그러나, 기타 다른 금속 재질도 가능하다. 방열판(33)은 수평한 평판부(331)와, 평판부(331)의 둘레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지지탭(332b, 332c, 332d)을 포함할 수 있다.
평판부(331)에는 체결보스들(45a, 45b, 45c, 45d)들이 각각 통과되는 관통구들(335a, 335b, 335c, 335d, 이하, 다른 구성과의 구별이 필요한 경우 “체결보스 관통구”라고 함.)과 지지보스들(46b, 46c, 46d)이 각각 통과하는 관통구들(334b, 334c, 334d, 이하, 다른 구성과의 구별이 필요한 경우, “지지보스 관통구”라고 함.)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지지보스들(46b, 46c, 46d)은 각각 메인 PCB(48)의 상측에서 지지탭들(332b, 332c, 332d)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탭들(332b, 332c, 332d)은 평판부(3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336)와, 수직부(336)로부터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지지탭(332b, 332c, 332d)의 수평부(337)에는 볼트가 통과되는 체결공(338)이 형성되고, 각각의 볼트가 하측으로부터 체결공(338)을 통과한 후, 지지보스(46b, 46c, 46d)와 체결될 수 있다.
지지보스들(36b, 36c, 36d)이 지지탭(332b, 332c, 332d)과 체결된 상태에서, 평판부(331)는 상측에 위치한 허브 본체(40)의 저면과 이격되고, 또한, 하측에 위치한 메인 PCB(48)와도 이격된다. 평판부(331)가 허브 본체(4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허브 본체(40)가 스피커(43, 44)의 출력에 의해 진동하더라도, 허브 본체(40)의 저면과 평판부(331) 간의 접촉으로 인한 타격 소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메인 PCB(48)에는, 방열판(33)의 관통구들(335a, 335b, 335c, 335d)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들(481a, 481b, 481c, 481d)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45a, 45b, 45c, 45d)는 그 길이가 지지보스(46b, 46c, 46d)보다 더 길며, 각각이 방열판(33)의 관통구(335a, 335b, 335c, 335d)와 메인 PCB(48)의 관통구(481a, 481b, 481c, 481d)를 통과한 후, 허브 베이스(30)의 삽입보스들(35a, 35b, 35c, 35d)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허브 베이스(30)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본체(31)와, 베이스 본체(31)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 러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는 사용자가 들어 옮길 수 있도록 소형으로 형성되어, 테이블이나 선반 등의 바닥에 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본체(31)의 하측에 구비된 지지 러버(32)가 상기 바닥과의 마찰을 높여, 허브(1)가 넘어지거나,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삽입보스들(35a, 35b, 35c, 35d)들은 베이스 본체(31)의 내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베이스 본체(31)의 베이스 바닥부(310)에는 삽입보스들(35a, 35b, 35c, 35d)과 각각 연통되는 체결구(351a, 351b, 351c, 351d)가 형성될 수 있다.
허브 본체(40)와 방열판(33)을 조립한 후, 이제 체결보스(45a, 45b, 45c, 45d)를 메인 PCB(48)에 형성된 체결보스 관통구(481a, 481b, 481c, 481d)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각 체결보스(45a, 45b, 45c, 45d)를 허브 베이스(30)에 형성된 삽입보스(35a, 35b, 35c, 35d)에 삽입한다. 그 후, 볼트(미도시)가 허브 베이스(30)의 하측으로부터 체결공(351a, 351b, 351c, 351d)으로 삽입되고, 삽입보스(35a, 35b, 35c, 35d) 내의 체결보스(45a, 45b, 45c, 45d)와 체결될 수 있다.
허브 베이스(30)의 베이스 바닥부(310)에는 러버 삽입 홈(318)이 형성될 수 있다. 러버 삽입 홈(318)은 베이스 바닥부(310) 상에서 소정의 원주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러버 삽입 홈(318)은 일단(318a)으로부터 타단(318b)으로 일정한 곡률로 연장되는 호의 형태이며, 체결공들(351a, 351b, 351c, 351d)은 러버 삽입 홈(31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러버(32)는 러버 삽입 홈(318) 내에 삽입된다. 지지 러버(32)의 상면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러버 삽입 홈(318)의 바닥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러버(32)는 러버 삽입 홈(318)과 대응하는 형태로 길게 연장된 러버 본체(321)와, 러버 본체(321)로부터 러버 삽입 홈(318)의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가 거치되는 바닥(예를 들어, 거실, 싱크대 등) 상에 지지돌기(322)가 놓여짐으로써, 허브(1)가 세워지고, 이때, 러버 본체(321)로부터 지지돌기(322)가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여, 베이스 본체(31)가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허브(1)가 주방의 조리대와 같이 물과 접하기 쉬운 곳에 거치될 시, 베이스 본체(31)가 물에 젖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수개의 지지돌기(322)는 러버 본체(3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본체(31)의 베이스 바닥부(310)의 중심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돌기(322)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나, 지지돌기(322)의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본체(31)는 베이스 바닥부(310)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베이스 외벽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외벽부(311)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증가되는 형태이고, 최상단에서의 외경은 실질적으로 그릴(20)의 하단의 외경과 동일하다.
베이스 본체(31)는 베이스 외벽부(3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릴(20)과 결합되는 하단 유지부(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단 유지부(313)와 그릴(20)의 결합은,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하단 유지부(313)가 그릴(20)의 하단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또는, 끼워지는) 방식이며, 바람직하게는, 그릴(20)이나 하단 유지부(313) 자체가 갖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억지 끼움 방식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하단 유지부(313)는 베이스 외벽부(311)의 상단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며(즉, 베이스 본체(31)의 외측면이 외벽부(311)의 상단에서 함몰되어 하단 유지부(313)의 외측면을 이룸.), 따라서, 외벽부(311)의 상단에는, 외벽부(311)의 외측면으로부터 하단 유지부(311)로 연장되어, 그릴(20)의 하단을 대향하는 면(312)이 형성된다. 그릴(20)의 하단이 면(31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면(312)은 베이스 외벽부(311)의 상단에 그릴(20)의 하단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면(312)의 폭은 실질적으로 그릴(20)의 두께와 동일하다.
하단 유지부(313)의 외측면이 그릴(20)의 내측면과 접함으로써, 그릴(20) 하단의 형태가 유지된다. 특히, 그릴(20)이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 그릴(20)은 하단 유지부(313)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릴(20)의 하단이 하단 유지부(313)와 대응하는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하단 유지부(313)가 외벽부(311)의 상단을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경우, 금속 판재를 말아서 단면의 형태가 정원형인 원통형의 그릴(20)을 형성한 후, 그릴(20)의 하단을 하단 유지부(313)에 끼우면, 그릴(20)의 형태 역시 하단 유지부(313)의 형상과 대응하여 타원형으로 변형되고, 이렇게 변형이 이루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베이스 본체(31)의 내측면으로 상측으로 환형의 리브(315)가 돌출될 수 있다. 리브(315)는 하단 유지부(313)의 내측에 형성된다. 허브 본체(40)는 케이스(41, 4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 리브(47)가 돌출될 수 있고, 삽입 리브(47)가 하단 유지부(313)와 리브(315) 사이의 홈(314)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본체(31)의 베이스 바닥부(310)에는, 러버 삽입 홈(318)으로 둘러 쌓인 내측 영역에 함몰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16)는 베이스 바닥부(310)의 저면 상에 형성된 개구부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홈 측면부(316a)와, 홈 측면부(316a)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홈의 바닥을 이루는 홈 바닥부(3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함몰부(31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허브(1)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 허브(1)의 동작에 필요한 DC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측면부(316a)에는 상기 어댑터와 연결된 코드의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소켓(391)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 PCB(48)의 저면에는 소켓(391)을 구비한 리셉터클(390)이 배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390)은 소켓(391)을 메인 PCB(48)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베이스 본체(31)에는 코드 고정홈(37)이 형성될 수 있다. 코드 고정홈(37)은 러버 삽입 홈(318)의 일단(318a)과 타단(318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코드 고정홈(37)은 측면부(316a)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371)로부터 베이스 외벽부(311) 상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372)로 연장되며, 베이스 바닥부(310)의 저면 상에 내측 개구부(371)와 외측 개구부(372)를 연결하는 코드 삽입구(373)가 형성된다. 즉, 코드 고정홈(37)은 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단면이 폐쇄된 형태가 아니라, 코드 삽입구(373)로 인해 상기 단면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단면은 코드 고정홈(37)의 내측에서 상기 단면의 개방된 구간의 간격(즉, 코드 삽입구(373)의 폭) 보다 큰 최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드는 다소 간의 탄성을 갖는 재질의 피복으로 외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코드 삽입구(373)의 폭 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경우에도, 그 차이가 일정 범위를 넘지 않으면 재질 자체가 갖는 유연성으로 인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코드 삽입구(373)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일단 코드 고정홈(37) 내로 삽입이 된 후에는 그 형태가 원상으로 복원되기 때문에 코드 삽입구(373)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코드 고정홈(37)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외측 개구부(372)는 내측 개구부(371)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코드 고정홈(37)은 외측 개구부(372)로부터 내측 개구부(371)로 갈수록 그 단면의 크기가 점점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드 고정홈(37)의 내측면에는 삽입구 축소 돌기(319a, 319b)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 축소 돌기(319a, 319b)는 코드 삽입구(373)를 한정하는 양쪽 부분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 축소 돌기(319a, 319b)가 형성된 부분에서 코드 삽입구(373)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코드가 코드 고정홈(37)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 PCB(48)의 저면에는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는 택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가 눌러질 시, 제어부(82)는 와이파이 모듈(50a)을 초기화(리셋)시킬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메인 PCB(48)의 저면에는 와이파이 리셋 버튼(71)이 결합될 수 있다 와이파이 리셋 버튼(71)은 재질은 합성 수지로써, 버튼부(71a)의 양쪽으로 연장된 암들이 메인 PCB(48)의 저면과 결합되어 있다. 버튼부(71a)는 상기 암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의 하측에서, 베이스 바닥부(310)에 형성된 구멍 내에 위치한다. 버튼부(71a)가 가압되면, 와이파이 리셋 스위치(77)가 스위칭된다.
메인 PCB(48)의 저면에는 허브 리셋 스위치(76)가 배치될 수 있다. 허브 리셋 스위치(76)는 택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바닥부(31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허브 리셋 스위치(76)가 눌러지면, 제어부(82)는 초기화(리셋)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6은 본형의 사시도(a), 그릴을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 평판(b) 및 금속 평판을 에칭 가공하여 형성한 그릴을 도시한 것(c)이다. 도 37은 도 36의 (c)에 표시된 A부분을 확대한 것(a)과, B부분을 확대한 것(b) 이다. 도 38은 그릴의 사시도(a), 평면도(b), 전면도(c), 후면도(d)이다. 도 39는 도 3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35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허브(1)는 다수의 통공(20h, 도 3 참조.)이 형성된 원통형의 금속 그릴(20)과, 그릴(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3, 44, 도 22 참조)를 구비한 허브 본체(40)와, 허브 본체(4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10), 도 3 참조.)와, 허브 본체(4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30,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수평면(PN1)에 대해 소정 각도(θ2, 도 6a 참조.)로 기울어진 평면(PN2)상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하는 상단(610)과, 상단(610)을 수평면(PN1)에 정사영한 형태로써 타원형의 하단(620)을 갖는 원통을 “본형(本形)”이라고 정의한다. 본형(600)은 도 6a에 도시된 그릴(20)과 대응하는 형태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들을 갖는다.
허브(1)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금속 평판(710)을 준비한다(step 1).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SUS)이다. 실시예에서 금속 평판(710)은 직사각형이나, 그 형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후, 금속 평판(710)을 본형(300)을 전개한 형태이며, 다수의 통공(20h)이 형성되도록 가공한다(step 2). 이러한 가공은 에칭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36의 (b)에서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과 통공(20h)이 형성되는 영역을 부식시켜 도 36의 (c)와 같은 형태로 가공된 금속 평판(720)을 얻을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그릴(20)에 형성된 통공들(20h)은 제 1 통공(20h1)과, 제 1 통공(20h1) 보다 작은 직경의 제 2 통공(20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공(20h1)과 제 2 통공(20h2)으로 구성된 패턴은 사방으로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즉, 통공들(20h1, 20h2)에 의해 4방 연속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하 방향으로 통공들(20h1, 20h1)이 연속되는 것을 열이라고 하고, 수평 방향으로 통공들(20h1, 20h1)이 연속되는 것을 행이라고 하면, 각각의 행과 열은, 제 1 통공(20h1)과, 제 1 통공(20h1)보다 직경이 작은 제 2 통공(20h2)이 반복하여 배열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사방 연속 패턴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1 통공(20h1)들 사이에, 직경이 작은 제 2 통공(20h2)을 형성함으로써, 스피커(43, 44)로 출력된 음향이 방출되는 면적을 더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릴(20)의 변형(즉, 원통형으로 마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통공들(20h1, 20h2)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가 더 많아져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36의 (b)를 참조하면, 그릴(20)의 하단(722)으로부터, 하단(722)과 평행한 제 1 경계(BOL, 가상의 선임.)에 이르는 영역 내에는 통공(20h1, 20h2)이 미형성된 하단 둘레부(LA)가 형성될 수 있다. 허브 베이스(30)의 하단 유지부(313)은 하단 둘레(LA)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하단 둘레부(LA)는 하단 유지부(313)에 끼워지면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므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통공(20h1, 20h2)이 미형성되었다.
그릴(20)의 상단(721)으로부터 제 2 경계(BOU)에 이르는 영역 내에는 통공(20h1, 20h2)이 미형성된 상단 둘레부(U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경계(BOU)는 제 1 경계(BOL)의 상측에 위치하는 가상의 선으로써, 제 1 경계(BOL)과 평행하다. 상단 둘레부(UA)는 상단 유지부(153)에 끼워지면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므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통공(20h1, 20h2)이 미형성되었다.
한편, 도 37의 (a)를 참조하면, 제 1 통공(20h1)과 제 통공(20h2)이 반복되는 어느 하나의 열에서, 둘 이상의 제 1 통공(20h1a, 20h1b, 20h1c)은 제 1 경계(BOL)로 접근할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들어, 제 1 경계(BOL)와 가장 근접한 것(20h1c)의 직경이 최소가 된다. 즉, 그릴(20)에는 제 1 통공(20h1)과 제 2 통공(20h2)이 반복되는 패턴으로 통공들이 형성되되, 제 1 통공(20h1)은 제 1 경계(BOL)와 인접한 부분에서 그 직경이 점점 줄어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20h1a, 20h1으로 표시된 것보다 직경이 작음.), 통공(20h1b), 통공(20h1c) 순으로 직경이 작아진다.
한편, 도 37의 (b)를 참조하면, 제 1 통공(20h1)과 제 통공(20h2)이 반복되는 어느 하나의 열에서, 둘 이상의 제 1 통공(20h1a, 20h1b, 20h1c)은 제 2 경계(BOU)로 접근할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들어, 제 2 경계(BOU)와 가장 근접한 것(20h1c)의 직경이 최소가 된다. 즉, 그릴(20)에는 제 1 통공(20h1)과 제 2 통공(20h2)이 반복되는 패턴으로 통공들이 형성되되, 제 1 통공(20h1)은 제 2 경계(BOU)와 인접한 부분에서 그 직경이 점점 줄어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20h1a, 20h1으로 표시된 것보다 직경이 작음.), 통공(20h1b), 통공(20h1c) 순으로 직경이 작아진다.
금속 평판(720)의 외형은, 양 측변들(723, 724)이 그릴(20)의 후면의 정중앙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직선이 되도록 가공된다. 즉, 가공된 금속 평판(720)를 원통형으로 둥글게 만 경우, 상단의 최고점(Pm)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한 직선상(VL)에서 양 측변들(723, 724)이 서로 만난다.
가공된 금속 평판(720)의 양 측변들(723, 724)을 서로 접합하여 본형(600)의 상단(610)과 대응하는 변(721)이 상단(21)이 되고, 본형(600)의 하단(620)과 대응하는 변(722)이 하단(22)이 되는 원통형의 그릴(20)을 구성한다(step 3). 이때 구성된 원통형 그릴(20)은 금속 평판(720)을 둥글게 말려져 변형된 것이기 때문에, 금속 평판의 재질 자체가 갖는 소성,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형태가 정해지며, 따라서, 그릴(20)의 상단(21)과 하단(22)은 부정형(不定形)이다. 다만, 금속 평판(720)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 그릴(20)은 전 영역에서 거의 균일하게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3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원에 가까운 형태의 단면을 갖게 된다.
그릴(20)은 후방에서 바라본 형태가 소정의 수직선(VL)에 대해 좌, 우 대칭이며, 하단(22)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수직선(VL)을 따라 상단(21)까지 길게 연장되는 부분(LR)에는 통공(20h)이 미형성된다.
이렇게 그릴(20) 후방에 통공(20h)이 미형성된 영역(LR)은 도 36의 (c)에서 금속 평판(720)의 좌, 우측부의 통공(20h)이 미형성된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다.
step 3에서, 금속 평판(720)의 양 측변들(723, 724) 간의 접합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용접은 용접봉을 이용한 것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모재(금속 평판)와 용접봉이 녹아서 생긴 띠 모양의 용접흔(비드: bead)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저항용접(예를 들어, 스팟이나 프로젝션 용접)이나 레이저 용접도 가능하며, 저항용접의 경우는 용접봉을 이용한 용접에 비해 용접흔이 특정부분으로 국한되며, 레이저 용접의 경우는 용접 입열이 대단히 적고, 열 영향 범위가 좁고, 용접흔이 가장 남지 않아, 부재간의 매우 정교한 접합이 가능하다.
위의 단계들을 통해 형성된 그릴(20)에는 USB 포트(62, 도 25 참조)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25) 및/또는 커버 하우징(150)의 측벽(151)에 형성된 위치 설정 돌기(156, 도 21 참조.)가 삽입되는 위치 설정 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USB 포트 설치를 위한 구멍(25)과 위치 설정 홈(26)은 그릴(20) 후면에서 통공(20h)이 미형성된 영역(LR, 도 38의 (d)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구멍(25)과 홈(26)은 프레스, 펀칭, 드릴링 등의 기 알려진 다양한 가공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멍(25)은, 금속 평판(720)의 양 측변들(723, 724)을 용접한 부분에 가공될 수 있다(step 4). USB 포트(62)는 메인 PCB(48, 도 28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홈(26)은 그릴(20)의 상단(21)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되, 상기 용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그릴(20)의 외측면 상에서 금속 평판(720)의 양 측변들(723, 724)이 용접된 부분이 연마된다(step 5). 회전되는 롤러의 외주면에 권취된 소정 입도의 연마지에 의해 상기 용접된 부분이 연마되어, 용접흔이 제거된 평활한 면을 얻을 수 있다. 다만, 그릴(20)의 내측면은 연마되지 않기 때문에, 용접흔(28)이 여전히 남게 된다.
이렇게 용접흔을 제거한 이후에는, 그릴(20) 외측면의 전 영역을 연마하여 헤어라인(도 39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step 6). 상기 헤어라인은 금속 표면이 소정 입도의 연마지에 의해 절삭되어 형성된 것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헤어라인에 의해 그릴(20)의 외측면에는 금속 특유의 광택과 질감이 강조된다.
헤어라인이 형성된 그릴은 도장될 수 있다 (step 7). 그릴(20)의 도장은 전착이 바람직하다. 전착도장의 경우, 그릴(20)을 수용성 수지 도료를 집어 넣은 탱크 속에 넣고, 그릴(20)에 전류를 가함으로써, 그릴(20)의 전 표면에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장된 그릴(20)의 외측면에 레이져 가공을 하여 표식을 각인하는 단계(step 8)가 더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식은 기호, 문자, 도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단계들을 통해 형성된 그릴(20)의 내측면에는 필터가 부착될 수 있다(step 9). 상기 필터는 메쉬 또는 부직포 등의 미세한 소공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3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10)에는 본형(600)의 상단(610)과 대응하는 형태의 상단 유지부(153)가 형성되고, 허브 베이스(30)에는 본형(600)의 하단(620)과 대응하는 형태의 하단 유지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릴(20)을 상단 유지부(153)와 하단 유지부(313)에 끼우는 단계가 더 실시될 수 있다. 커버(10)와 허브 본체(40)가 결합된 상테에서, 허브 본체(40)를 그릴(20) 내로 삽입한 후, 상단 유지부(153)를 그릴(2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즉, 그릴(20)의 상단에 의해 둘러 쌓인 영역) 내로 삽입하면,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릴(20) 상부의 내측면이 상단 유지부(153)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그릴(20)의 상단이 상단 유지부(153)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됨으로써, 본형(600)의 상단(6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정형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하단 유지부(313)를 그릴(20)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즉, 그릴(20)의 하단에 의해 둘러 쌓인 영역) 내로 삽입하면, 도 3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릴(20) 하부의 내측면이 하단 유지부(313)의 외측면과 밀착됨으로써, 그릴(20)의 하단이 하단 유지부(153)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됨으로써, 본형(600)의 하단(6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정형이 이루어진다.

Claims (21)

  1.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허브 본체;
    상기 허브 본체에 배치되고, 주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
    상기 허브 본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허브 베이스;
    상기 허브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커버; 및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허브 본체가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허브 베이스와 결합되는 그릴을 포함하는 허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허브 본체와 결합되며,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하우징;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버 하우징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투영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허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그릴의 상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측벽;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그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그릴의 내측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릴의 상단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상단 유지부를 포함하는 허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PCB; 및
    상기 윈도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지지하는 윈도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윈도우 지지판; 및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하우징과 결합되는 지지보스를 포함하는 허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측벽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PCB가 배치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지지보스가 삽입되는 삽입보스가 형성되는 허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지지판과 상기 구획판은 각각 상기 윈도우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허브.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개구부는,
    좌우방향의 길이가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지지보스는,
    상기 윈도우 지지판의 개구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영역과, 상기 개구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허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PCB에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보스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보스가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허브.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PCB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사방 각 영역에 택트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4개의 택트 스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각각, 상기 윈도우 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택트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조작 돌기들이 형성되는 허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이루며 배치되되, 상면에 대한 법선 벡터를 소정의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해진 벡터가 정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그릴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한 형태가, 상기 윈도우를 상기 수평면에 정사영하여 구해진 형태와 대응하는 허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정원형인 허브.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상단 유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허브 본체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체결보스를 포함하는 허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본체는,
    내측으로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는 스피커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케이스에는 상기 다수개의 체결보스가 각각 삽입되는 보스 삽입 홈들이 형성되는 허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이 노출되는 음향 출력구가 형성된 전면 케이스; 및
    상기 전면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단 유지부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보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상단 유지부의 후방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다수개의 보스 삽입 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되, 상기 상단 유지부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보스가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보스 삽입 홈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되, 상기 상단 유지부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보스가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허브.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다수개의 체결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내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각각에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되는 삽입보스들을 더 포함하는 허브.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 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PCB와 회로 연결된 메인 PCB를 더 포함하는 허브.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PCB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의 불륨을 증감시키는 볼륨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측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개구부 내에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상기 불륨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볼륨 버튼을 더 포함하는 허브.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 러버를 포함하는 허브.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지지 러버가 삽입되는 러버 삽입 홈이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릴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외벽부; 및
    상기 베이스 외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그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그릴의 내측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릴의 하단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하단 유지부를 포함하는 허브.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일체로써 상기 허브 본체에 탈착되는 조립체를 구성하는 허브.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허브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직비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허브.
PCT/KR2016/007335 2016-01-04 2016-07-06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956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7022371A KR102104450B1 (ko) 2016-01-04 2016-07-06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EP16883949.6A EP3402150B1 (en) 2016-01-04 2016-07-06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6/068,085 US11012767B2 (en) 2016-01-04 2016-07-06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160106334A KR102478280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KR1020160106330A KR102407644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6A KR102486292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5A KR102478279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KR1020160106328A KR102486293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KR1020160106333A KR102582268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의 제조방법 및 음향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그릴의 제조방법
KR1020160106337A KR102407642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1A KR102407643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29A KR102407645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용 허브
KR1020160106332A KR102478281B1 (ko) 2016-05-25 2016-08-22 음향출력장치
US15/604,836 US10356499B2 (en) 2016-05-25 2017-05-25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US15/604,902 US10111345B2 (en) 2016-05-25 2017-05-25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US15/605,041 US10149080B2 (en) 2016-05-25 2017-05-25 Method of manufacturing sound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rille for the apparatus
US15/605,265 US9990002B2 (en) 2016-05-25 2017-05-25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US15/605,136 US9992036B2 (en) 2016-05-25 2017-05-25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US15/604,975 US10440456B2 (en) 2016-05-25 2017-05-25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US16/433,541 US11115741B2 (en) 2016-05-25 2019-06-06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29 2016-01-04
KR20160000329 2016-01-04
US201662341566P 2016-05-25 2016-05-25
US62/341,566 2016-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9563A1 true WO2017119563A1 (ko) 2017-07-13

Family

ID=5927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335 WO2017119563A1 (ko) 2016-01-04 2016-07-06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402150B1 (ko)
KR (1) KR102104450B1 (ko)
WO (1) WO20171195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3504A (zh) * 2019-02-18 2019-05-03 刘源森 使用i2c协议通信的物联网设备的磁吸式防反接模块化设计
KR20190054553A (ko) * 2017-11-14 2019-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3346A1 (en) 2018-05-25 2019-11-27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Invisible headliner microphone
EP3650275B1 (en) 2018-11-06 2024-02-2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Invisible headliner microphone
US11336974B2 (en) 2019-12-30 2022-05-17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Invisible microphone assembly for a vehicle
CN115136613A (zh) * 2020-02-17 2022-09-30 搜诺思公司 媒体回放设备的格栅元件的制造
GB2613969B (en) * 2023-01-23 2024-02-07 B & W Group Ltd Grille for an acoustic transduc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3709A1 (en) * 2004-06-30 2006-01-05 Nokia Corporation Protective enclosure for a mobile terminal
KR20120050040A (ko) * 2010-11-10 2012-05-18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US20140086431A1 (en) * 2012-09-27 2014-03-27 Hewlett-Packard Devlopment Compnay, L.P. Wireless peripheral hub device
US20140315620A1 (en) * 2010-02-10 2014-10-23 Leap Forward Gaming, Inc. Device health monitoring for gaming machines
US9036858B1 (en) * 2013-03-15 2015-05-19 Audient, LLC Customizable audio speak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6439A (en) * 1987-01-05 1990-04-10 Eac Technologies Corp. Remote display arrangement for appliances
US20120118451A1 (en) * 2010-11-17 2012-05-17 Berning Jeffrey W Golf club cover music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for
JP6295587B2 (ja) * 2013-10-10 2018-03-20 ヤマハ株式会社 音響調整コンソ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3709A1 (en) * 2004-06-30 2006-01-05 Nokia Corporation Protective enclosure for a mobile terminal
US20140315620A1 (en) * 2010-02-10 2014-10-23 Leap Forward Gaming, Inc. Device health monitoring for gaming machines
KR20120050040A (ko) * 2010-11-10 2012-05-18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US20140086431A1 (en) * 2012-09-27 2014-03-27 Hewlett-Packard Devlopment Compnay, L.P. Wireless peripheral hub device
US9036858B1 (en) * 2013-03-15 2015-05-19 Audient, LLC Customizable audio speaker assembl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02150A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553A (ko) * 2017-11-14 2019-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9984B1 (ko) 2017-11-14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713504A (zh) * 2019-02-18 2019-05-03 刘源森 使用i2c协议通信的物联网设备的磁吸式防反接模块化设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2150A4 (en) 2020-04-08
EP3402150A1 (en) 2018-11-14
KR102104450B1 (ko) 2020-04-24
EP3402150B1 (en) 2021-06-16
KR20180117099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19563A1 (ko)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WO2016104988A1 (ko) 이동 단말기,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 시스템
WO20170392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8571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16208984A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WO2014098441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WO2015069030A1 (ko)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16175628A1 (en) Service sharing device and method
WO20161597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and location
WO2016167541A1 (ko)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4088234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WO2016122186A1 (ko)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010347A1 (ko) 블루투스 le(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047902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17909A1 (ko)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013677A1 (ko)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그의 전자 장치
WO2011105695A2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WO2019172565A1 (ko)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1054616A1 (en) External audio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 link
WO2018021877A1 (ko) 디바이스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02696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subscrip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EP32781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and location
WO2020149708A1 (ko)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0479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091215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targe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839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7022371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020187022371

Country of ref document: KR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839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839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