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553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553A
KR20190054553A KR1020170151238A KR20170151238A KR20190054553A KR 20190054553 A KR20190054553 A KR 20190054553A KR 1020170151238 A KR1020170151238 A KR 1020170151238A KR 20170151238 A KR20170151238 A KR 20170151238A KR 20190054553 A KR20190054553 A KR 2019005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inner cover
edge
vibration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984B1 (ko
Inventor
박종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9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진동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내부 커버의 가장자리를 고정하여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후면 구조물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후면 구조물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으며 진동 발생 장치와 결합된 내부 커버, 내부 커버의 후면을 덮는 백 커버를 포함하며, 내부 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백 커버의 가장자리와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 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픽셀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 또는 상하단이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나, 진동 발생 장치의 떨림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내부 커버에 진동이 발생하여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은 진동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내부 커버의 가장자리를 고정하여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진동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일부를 진동 발생 장치의 후면과 접촉시켜,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 외에 스피커가 별도로 배치되는 공간을 생략하여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및 음질을 개선하여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후면 구조물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후면 구조물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으며 진동 발생 장치와 결합된 내부 커버, 내부 커버의 후면을 덮는 백 커버를 포함하며, 내부 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백 커버의 가장자리와 고정되어 있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세트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 커버의 가장자리를 고정하여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음질 및 음압의 변동 없이 사운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 커버의 강성을 증가시켜서 외부에 충격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일부를 진동 발생 장치의 후면과 접촉시켜,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 3의 A 영역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 3의 A 영역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구조물에 압입홀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 3의 B 영역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진동 발생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예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의 A 영역은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에 따라서 각기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도 3의 A 영역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진동 발생 장치(200), 후면 구조물(300), 지지 부재(400), 외부 케이스(500), 파티션 부재(600) 및 방열 부재(7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및 전계발광 표시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진동 발생 장치(2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200)의 상부는 후면 구조물(300)에 마련된 천공부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연결되고, 진동 발생 장치(200)의 하부는 후면 구조물(300)의 후면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을 지지대로 하여 영상과 관련된 사운드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200)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은 후면 구조물(300)을 통해 고정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후면의 좌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키고, 제 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후면의 우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은 서로 다른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키고, 제 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은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익사이터(Ex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은 하나의 모듈 프레임에 하나의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익사이터(Excitor)를 수용하거나, 하나의 모듈 프레임에 2 이상의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익사이터(Excitor)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후면 구조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구조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후면 구조물(300)을 관통한 진동 발생 장치(200)를 지지할 수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전체를 이격되게 덮는 것으로,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루어진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재질의 후면 구조물(300)은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후면 구조물(30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철과 니켈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후면 구조물(300)은 금속 플레이트 및 글라스 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글라스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진동 발생 장치(2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부는 후면 구조물(3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후면 구조물(300)의 설정된 일부 영역에 원형 또는 다각 형태를 가지도록 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400)는 후면 구조물(300)과 중첩되어 진동 발생 장치(2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400)는 후면 구조물(300)의 일부 및 진동 발생 장치(200)와 중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 부재(400)의 평면 면적은 진동 발생 장치(20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400)의 평면 면적은 진동 발생 장치(200)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400)의 일부는 진동 발생 장치(200)의 일부와 접촉되어 진동 발생 장치(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400)는 진동 발생 장치(200)의 후면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400)는 진동 발생 장치(200)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진동 발생 장치(200)와 접촉하기 위하여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400)의 돌출부는 진동 발생 장치(200)의 후면과 접촉하기 위하여 절곡 돌출될 수 있다.
지지 부재(400)의 양단은 후면 구조물(3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400) 및 후면 구조물(300)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400)는 후면 구조물(300)과 결합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후면 구조물(3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500)는 지지 부재(400)와 이격되어 지지 부재(400)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케이스(500)는 진동 발생 장치(200) 및 지지 부재(400) 의 후면을 덮음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00) 및 지지 부재(400)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외부 케이스(500)는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500)는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부재(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구조물(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파티션 부재(600)는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이 배치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고, 제 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 부재(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각각에서 발생되는 음향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파티션 부재(600)는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에 해당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티션 부재(6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파티션 부재(600)는 일면 테이프 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파티션 부재(600)는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모듈(210, 22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파티션 부재(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에서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에서의 음향이 우측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 부재(600)는 좌우 음향을 분리하고,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티션 부재(600)는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소위 2.0 채널 형태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700)는 지지 부재(400) 및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방열 부재(700) 및 지지 부재(400)를 통해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부재(700)는 음향 발생 모듈(2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지지 부재(400)로 전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부재(700)는 음향 발생 모듈(210, 220)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 부재(70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지지 부재(400)로 전달함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 22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지지 부재(400)는 음향 발생 모듈(210, 220) 또는 방열 부재(700)보다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음향 발생 모듈(210, 2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 부재(700) 및 지지 부재(400)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방열 부재(7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판 형태 또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방열 부재(700)는 음향 발생 모듈(210)의 후면 전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열 부재(7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은(Ag) 및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방열 패드, 방열 시트 또는 방열 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방열 부재(700)는 음향 발생 모듈(210, 220)에서 발생된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 부재(700)는 음향 발생 모듈(210, 2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지지 부재(400)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 220)과 접촉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국부적인 영역에서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 3의 A 영역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면 구조물(300)은 내부 커버(310), 백 커버(320), 및 접착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3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커버(3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중첩되면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커버(3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커버(31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Al)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20)는 내부 커버(310)의 후면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백 커버(320)는 내부 커버(3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에 따른 백 커버(320)는 글라스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 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 구조물(3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커버(310)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00)과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으며, 글라스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백 커버(320)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330)는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와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 사이에 마련된다. 접착 부재(330)는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와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다.
접착 부재(330)는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와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커버(310)과 백 커버(32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330)는 백 커버(320) 상에 배치되어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33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 또는 본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착 부재(330)는 내부 커버(310)과 백 커버(320) 사이의 공간을 밀봉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330)는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커버(310)는 얇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진동 발생 장치(200)의 진동에 의해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가 진동하여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접착 부재(330)를 통하여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노이즈를 개선할 수 있다.
접착 부재(330)는 내부 커버(310)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음질 및 음압의 변동 없는 사운드를 유지할 수 있다.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는 접착 부재(330)에 의하여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와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의 떨림이 발생하지 않고,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의 높이는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커버(310)의 높이의 변화에 따른 음질 및 음압의 변동이 일어나지 않아 균일한 사운드를 유지할 수 있다.
접착 부재(330)는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와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므로, 백 커버(320)의 강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백 커버(320)는 내부 커버(310)와 결합되어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두께가 증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백 커버(320)는 강성이 증가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외부에 충격에 견디기 용이하게 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 3의 A 영역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구조물에 압입홀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C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후면 구조물(300)은 내부 커버(310), 및 백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3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커버(3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중첩되면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커버(3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커버(31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Al)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커버(310)는 절곡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311)는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절곡부(311)는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에 내부 커버(310)의 후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311)는 내부 커버(310)의 후면에 내부 커버(310)와 나란하게 배치된 백 커버(320)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절곡부(311)는 내부 커버(310)의 단변 가장자리의 일부 영역, 장변 가장자리의 일부 영역에 마련되어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압입홀(3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20)는 내부 커버(310)의 후면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백 커버(320)는 내부 커버(3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에 따른 백 커버(320)는 글라스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 부재일 수 있다. 백 커버(320)는 압입홀(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입홀(321)은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압입홀(321)은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압입홀(321)은 백 커버(320)의 단변 가장자리의 일부 영역, 장변 가장자리의 일부 영역에 마련되어 절곡부(311)와 결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절곡부(311)와 압입홀(321)을 통하여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다. 절곡부(311)는 제 1 폭(W1)을 갖는 압입홀(321)에 삽입된 후 코킹 공정을 통해 백 커버(3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백 커버(320)의 후면에 배치되어 부착되는 부분을 절곡부(311)의 후단(311a)으로 정의할 수 있고, 절곡부(311)의 후단(311a)은 제 1 폭(W1)보다 큰 제 2 폭(W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절곡부(311)가 압입홀(321)에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절곡부(311)와 압입홀(32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도 내부 커버(310)와 백 커버(320)가 고정될 수 있다. 절곡부(311)와 압입홀(321)은 후면 구조물(300)의 가장자리의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고, 절곡부(311)와 압입홀(321)에 의해 내부 커버(310)와 백 커버(320)가 고정될 수 있다. 절곡부(311)와 압입홀(321)은 코킹 공정을 통하여 후면 구조물(300)의 가장자리의 일부 영역에서 고정될 수 있고 이들의 결합력이 크기 때문에, 절곡부(311)와 압입홀(321)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서도 내부 커버(310)와 백 커버(320)가 고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커버(310)는 얇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진동 발생 장치(200)의 진동에 의해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가 진동하여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절곡부(311)와 압입홀(321)을 통하여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노이즈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내부 커버(310)의 높이가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음질 및 음압의 변동 없는 사운드를 유지할 수 있다.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는 절곡부(311)와 압입홀(321)에 의하여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와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의 떨림이 발생하지 않고,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의 높이는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커버(310)의 높이의 변화에 따른 음질 및 음압의 변동이 일어나지 않아 균일한 사운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내부 커버(310)의 가장자리와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므로, 백 커버(320)의 강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백 커버(320)는 내부 커버(310)와 결합되어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두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백 커버(320)는 강성이 증가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외부에 충격에 견디기 용이하게 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 3의 B 영역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익사이터(Ex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은 하나의 모듈 프레임(211)에 2개의 액츄에이터(또는 익사이터)(210a, 210b)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21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또는 익사이터)(210a, 21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액츄에이터가 이격되게 배치되면, 액츄에이터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간의 접촉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복수의 액츄에이터 간의 간섭 및 딜레이 현상으로 인하여 음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모듈(21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또는 익사이터)(210a, 210b)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액츄에이터가 이격되게 배치된 경우보다 음파 사이의 간섭 또는 딜레이 현상을 감소시켜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진동 발생 장치(200)가 삽입되는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커버(310)는 음향 발생 모듈(2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 1 천공부(315)를 포함하고, 백 커버(320)는 음향 발생 모듈(210)의 일부가 삽입되고, 제 1 천공부(315)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제 2 천공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모듈(210)은 제 1 및 제 2 천공부(315, 325)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210) 및 내부 커버(310)는 고정 부재(3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340)는 볼트(341) 및 너트(343)를 포함한다. 음향 발생 모듈(210) 및 내부 커버(310)은 볼트(341) 및 너트(3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너트(343)는 내부 커버(310)의 후면에 고정되고, 볼트(341)는 모듈 프레임(211)을 관통하여 너트(343)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프레임(211)은 볼트 관통홀을 포함하고 너트(343)의 내면은 볼트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프레임(211)의 볼트 관통홀 및 너트(343)의 볼트 장착홀은 볼트(341)가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정렬될 수 있고, 볼트(341)는 모듈 프레임(211)의 볼트 관통홀 및 너트(343)의 볼트 장착홀과 결합하여 음향 발생 모듈(210)을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너트(343)는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셀프 클린칭 너트는 펨 너트(Pem Nu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너트(343)가 펨 너트로 구현되면, 너트(343)는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일부 흡수함으로써, 후면 구조물(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지지부(410) 및 제 1 지지부(410)로부터 돌출되어 방열 부재(700)와 접촉하는 제 2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410)는 지지 부재(400)의 일단으로부터 음향 발생 모듈(210)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장자리부(410a) 및 음향 발생 모듈(210)로부터 지지 부재(400)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앙부(41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자리부(410a)는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400)의 측면 양 끝단으로부터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을 향하여 연장되어 제 2 지지부(42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볼 수 있고, 중앙부(410b)는 음향 발생 모듈(210, 220) 사이에 마련되어 제 2 지지부(42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중앙부(410b)는 외부 케이스(5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번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420)는 제 1 지지부(410)의 가장자리부(410a) 및 중앙부(410b)의 사이에 배치되고, 음향 발생 모듈(210) 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의 후면에 배치된 방열 부재(70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지지부(420)는 제 1 지지부(410)의 가장자리부(410a)로부터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방열 부재(700)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고, 방열 부재(700)의 타단으로부터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제 1 지지부(410)의 중앙부(410b)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420)는 제 1 지지부(410)의 가장자리부(410a) 및 중앙부(410b)의 사이에서 음향 발생 모듈(210) 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지지 부재(400)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부(420)는 방열 부재(70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 부재(400)와 방열 부재(700)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부(420)는 제 1 지지부(410)로부터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지지 부재(400)의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방열 부재(700)는 지지 부재(400) 및 음향 발생 모듈(21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부재(700)는 음향 발생 모듈(2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지지 부재(400)로 전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부재(700)는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 부재(70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지지 부재(400)로 전달함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지지 부재(400)는 음향 발생 모듈(210) 또는 방열 부재(700)보다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방열 부재(700)는 방열 패드(710) 및 방열 시트(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패드(710)는 음향 발생 모듈(2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방열 패드(710)는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방열 패드(710)의 전면(Front Surface)은 접착력을 보유하여 음향 발생 모듈(210)의 후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 패드(710)는 지지 부재(400) 및 음향 발생 모듈(210)의 사이에서 가압됨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의 후면과 압착될 수 있다.
상기 방열 시트(720)는 방열 패드(710) 및 지지 부재(400) 사이에 개재되어, 방열 패드(710)의 열을 지지 부재(40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시트(720)가 방열 패드(710)의 후면과 접착되는 접착 영역은 음향 발생 모듈(210)의 크기 및 방열 시트(720)의 접착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 시트(720)는 열 전달이 용이하면서, 방열 패드(7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접착 영역 및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시트(720)는 방열 패드(710)의 후면 전체에 부착될 수 있다.
방열 시트(720)는 수평적 열 전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직적 열 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시트(720)는 수평적 열 전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직적 열 전도율을 갖도록 재질, 면적, 두께 및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 시트(720)는 수평적 열 전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직적 열 전도율을 가짐으로써, 방열 패드(710)의 열을 지지 부재(400)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방열 부재(700)는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 부재(70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지지 부재(400)로 전달함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진동 발생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Fleming's left hand rule)을 기반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정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모듈(210)은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익사이터(Exci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210)은 모듈 프레임(211), 자기 회로 유닛(213), 외부 프레임(215), 댐퍼(217) 및 단열 부재(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211)은 후면 구조물(300)에 마련된 천공부와 중첩되도록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되고, 음향 발생 모듈(210)을 지지할 수 있다. 모듈 프레임(211)은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또는 익사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듈 프레임(211)은 열 전도율 및 열 용량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 부재(700)에 전달할 수 있다.
모듈 프레임(211)은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되어 음향 발생 모듈(210)의 후방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모듈 프레임(211)은 음향 발생 모듈(210)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진동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듈 프레임(21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의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음향 발생 모듈(210) 내의 음압을 유지하고 음향 발생 모듈(210)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듈 프레임은 제 1 모듈 프레임(211a) 및 제 2 모듈 프레임(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듈 프레임(211a)은 볼트(341) 및 너트(343)에 의해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될 수 있고, 제 2 모듈 프레임(211b)은 제 1 모듈 프레임(211a)의 외곽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 2 모듈 프레임(211b)은 자석 부재(213a)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자기 회로 유닛(213)은 모듈 프레임(211)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회로 유닛(213)은 자석 부재(213a), 승강 가이더(213b), 승강 부재(213c) 및 코일(21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 부재(213a)는 모듈 프레임(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자석 부재(213a)는 링 형태를 갖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 부재(213a)는 바륨 페라이트(Barium Ferrite) 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고, 재질은 삼산화이철(Fe2O3), 탄산바륨(BaCO3),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페라이트(Strontium Ferrite), 알루미늄(Al), 니켈(Ni), 또는 코발트(Co)와 같은 합금 주조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승강 가이더(213b)는 자석 부재(213a)의 상단에 배치되고,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가이더(213b)는 센터 폴(Center Pole) 또는 폴 피스(Pole Pieces)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승강 가이더(213b)는 자석 부재(213a)를 통해 형성되는 자속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승강 가이더(213b)는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Yoke)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자석 부재(213a) 및 승강 가이더(213b)는 원통 형태를 갖는 승강 부재(213c)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자석 부재(213a) 및 승강 가이더(213b)의 외주면은 승강 부재(213c)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승강 가이더(213b)는 자석 부재(213a)와 결합됨으로써, 승강 부재(213c)의 상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승강 가이더(213b) 및 모듈 프레임(211) 각각은 자석 부재(213a)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고,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 가이더(213b) 및 모듈 프레임(211) 각각은 자석 부재(213a)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어, 자석 부재(213a)와 코일(213d)을 통해 형성되는 자속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음향 발생 모듈(210)은 승강 가이더(213b) 및 모듈 프레임(211)을 통해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213c)는 자석 부재(213a)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자석 부재(213a) 및 승강 가이더(213b)를 둘러싸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 부재(213c)는 자속이 통과할 수 있으면서, 열 전도율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부재(213c)는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 계 섬유 등으로 형성된 원통 구조물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승강 부재(213c)는 자석 부재(213a)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부재(213c)는 링 형태를 갖는 자석 부재(213a)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승강 부재(213c)의 외주면은 자석 부재(213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승강 부재(213c)의 전면(Front Surface) 또는 선단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승강 부재(213c)는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진동을 통해 음파를 발생시키며, 음파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코일(213d)은 승강 부재(213c)의 하측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권취되어 외부로부터 음향 발생용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코일(213d)은 승강 부재(213c)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코일(213d)은 보이스 코일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코일(213d)에 전류가 인가되면, 승강 부재(213c) 전체는 코일(213d)의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과 자석 부재(213a)의 주위에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기초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승강 가이더(213b)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코일(213d)은 사운드 신호를 기초로 음향 발생용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고, 코일(213d)이 권취된 승강 부재(213c)는 승강 가이더(213b)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프레임(215)은 모듈 프레임(211)의 상단 외곽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프레임(215)은 승강 부재(213c)와 나란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215)의 상부는 댐퍼(217)와 연결되어, 댐퍼(217)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217)의 타단이 승강 부재(213c)와 승강 부재(213c)의 진동을 가이드하는 동안, 외부 프레임(215)은 모듈 프레임(211)의 상단에 고정되어 댐퍼(217)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댐퍼(217)는 외부 프레임(215)과 승강 부재(213c)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217)는 외부 프레임(215)의 상단과 승강 부재(213c)의 상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217)는 스파이더(Spider), 서스펜션(Suspension), 또는 에지(Edge)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댐퍼(217)의 일단은 외부 프레임(215)의 상단과 연결되고, 댐퍼(217)의 타단은 승강 부재(213c)의 상부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댐퍼(217)는 그 일단과 타단 사이가 주름진 구조로 이루어져, 승강 부재(213c)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승강 부재(213c)의 진동을 조절 및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217)는 승강 부재(213c)와 외부 프레임(215)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복원력을 통해 승강 부재(213c)의 진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부재(213c)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거리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17)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 부재(213c)는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219)는 승강 부재(213c)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어 승강 부재(213c)의 승강(또는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단열 부재(219)는 승강 부재(213c)의 전면(Front Surface)에 부착된 링 형상의 판상 부재이거나 승강 부재(213c)의 전면을 덮는 원판 부재일 수 있다.
단열 부재(219)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음향 발생 모듈(2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 부재(219)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로 구현될 수 있다. 단열 부재(219)가 양면 테이프로 구현되는 경우, 레진으로 구현되는 경우보다 재작업(rework)이 용이할 수 있다. 즉, 단열 부재(219)가 양면 테이프로 구현되면, 표시 패널(100)과 음향 발생 모듈(210)의 부착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재작업(rework)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단열 부재(219)가 양면 테이프로 구현되면, 레진으로 구현되는 경우보다 공정이 수월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 부재(219)는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되는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승강 부재(213c)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접착시켜 승강 부재(213c)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진동 발생 장치
300: 후면 구조물 400: 지지 부재
500: 외부 케이스 600: 파티션 부재
700: 방열 부재

Claims (13)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및
    상기 후면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구조물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와 결합된 내부 커버; 및
    상기 내부 커버의 후면에 마련된 백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백 커버의 가장자리와 고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백 커버의 가장자리 사이에 마련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 또는 본드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의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상기 내부 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백 커버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압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압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는 상기 절곡부의 후단의 폭은 상기 압입홀의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구조물과 중첩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후면을 커버하는 외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되는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방열 패드; 및
    상기 방열 패드 및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방열 부재와 접촉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 1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천공부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제 2 천공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내부 커버는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이 배치된 영역을 분할하는 파티션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51238A 2017-11-14 2017-11-14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9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238A KR102489984B1 (ko) 2017-11-14 2017-11-14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238A KR102489984B1 (ko) 2017-11-14 2017-11-1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553A true KR20190054553A (ko) 2019-05-22
KR102489984B1 KR102489984B1 (ko) 2023-01-17

Family

ID=6667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238A KR102489984B1 (ko) 2017-11-14 2017-11-1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9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14B1 (ko) * 2004-10-22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KR20070066513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05510A (ko) * 2009-07-10 2011-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30079164A (ko) * 2011-12-22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10978A (ja) * 2012-03-30 2013-10-10 Toshiba Corp 電子機器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WO2017119563A1 (ko)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14B1 (ko) * 2004-10-22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KR20070066513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05510A (ko) * 2009-07-10 2011-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30079164A (ko) * 2011-12-22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10978A (ja) * 2012-03-30 2013-10-10 Toshiba Corp 電子機器
WO2017119563A1 (ko)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 용 허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984B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980B1 (ko) 표시 장치
KR102312266B1 (ko) 표시장치
KR102259805B1 (ko) 표시 장치
CN107454512B (zh) 面板振动型发声显示装置
KR20170135673A (ko) 표시 장치
KR102370183B1 (ko) 표시장치
KR102663221B1 (ko) 표시장치
KR102455490B1 (ko) 표시 장치
KR102633372B1 (ko) 표시장치
KR102449673B1 (ko) 세트 장치
KR102080213B1 (ko) 표시장치
KR201900641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35708A (ko) 표시 장치
US11914778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558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566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1385723B (zh) 声音产生设备、显示装置和汽车装置
KR201900545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71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087B1 (ko) 표시장치
KR1024489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63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50913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