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122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122B1
KR102367122B1 KR1020170127353A KR20170127353A KR102367122B1 KR 102367122 B1 KR102367122 B1 KR 102367122B1 KR 1020170127353 A KR1020170127353 A KR 1020170127353A KR 20170127353 A KR20170127353 A KR 20170127353A KR 102367122 B1 KR102367122 B1 KR 10236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hole
vibration generating
partit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729A (ko
Inventor
박종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1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기구물 간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후면 기구물, 후면 기구물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간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을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전자 제품 또는 가전 제품에 탑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의 몰입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기구물 간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후면 기구물, 후면 기구물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간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을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되어 경화된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후면 기구물, 후면 기구물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간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을 유지시키는 갭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간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이 향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 저하에 따른 화질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 발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개략적인 다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 발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파티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후면 기구물(300), 진동 발생 장치(500),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그 후면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500)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며, 진동 발생 장치(500)에 의해 진동됨으로써 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한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픽셀과 각 픽셀을 구동하기 위해 각 픽셀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상에 마련된 유기 발광 소자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는 봉지(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면 기구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한다. 또한, 후면 기구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50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된 커버 버텀(cover bottom)으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 버텀과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미들 캐비넷(middle cabin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캐비넷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후면 기구물(300)은 커버 버텀 또는 커버 버텀과 결합된 미들 캐비넷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지지하거나 후면과 측면 모두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후면 기구물(300)은 커버 바텀(Cover Bottom), 플레이트 바텀(Plate Bottom), 백 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기구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 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갭 공간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전체를 덮는 평판 형태를 갖는 글라스 재질과 금속 재질 및 플라스틱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면 기구물(300)의 가장자리 또는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공정 또는 코너 라운딩 공정에 의해 사면 형태 또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글라스 재질의 후면 기구물(300)은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금속 재질의 후면 기구물(30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철과 니켈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후면 기구물(300)은 글라스 플레이트 및 글라스 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금속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접착 부재(200)를 매개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와 후면 기구물(30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을 접착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접착 부재(2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동 발생 장치(500)는 후면 기구물(300)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음향 발생 장치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후면 기구물(300)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접촉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500)의 상부는 후면 기구물(300)에 마련된 모듈 삽입구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연결되고, 진동 발생 장치(500)의 하부는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500)는 후면 기구물(300)을 지지대로 하여 영상과 관련된 사운드 신호 또는 영상과 무관한 사운드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FD)으로 직접 출력되도록 한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좌측 영역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을 진동시킨다. 상기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우측 영역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RA)을 진동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 각각은 스피커(speaker)로서, 엑츄에이터(actuator), 엑사이터(excitor), 트랜스듀서(transducer), 또는 압전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 각각은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을 서로 결합시킨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로 길이의 중간에 인접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에 결합된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에 마련되는 갭 공간(GS)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갭 유지 부재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을 위해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간의 열 전달 통로가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간의 열 전달을 균일하게 하여 발열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최소화한다.
만약,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발열 및/또는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에 배치된 패널 구동 회로의 발열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간의 열팽창 차이에 따라 불균일해질 수 있다. 이러한 갭 공간(GS)의 불균일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 마련되는 갭 공간(GS)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열을 향상시켜 열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최소화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은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Y)(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 길이)과 나란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을 정의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의 후면은 후면 기구물(300)에 접착되고,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의 전면(前面)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착되거나 비접착 형태로 접촉될 수 있다.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과 우측 영역(RA)을 공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RA)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RA)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을 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과 우측 영역(RA)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의 역할을 한다.
일 예에 따른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은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와 폭을 갖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 재질의 양면 테이프 또는 단면 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일 예에 따른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은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폼 패드(foam pad)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결합부(700, 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결합부(700, 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및 제 2 결합부(700, 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결합부(700)는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 중 제 1 중앙 파티션(810)에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 마련되고, 제 2 결합부(700’)는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 중 제 2 중앙 파티션(830)에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열 부재(150; 도 5 또는 도 7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150)는 진동 발생 장치(500)와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진동 발생 장치(5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확산시켜 방열시킨다. 즉, 방열 부재(150)는 진동 발생 장치(500)의 구동시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히트 싱크로 작용함으로써 열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성능 약화를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열 부재(150)는 진동 발생 장치(500)의 동작 시에 발생하는 열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넓은 영역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500)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국부적인 영역에서 급격한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방열 부재(150)는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 각각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지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판 형태 또는 원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부재(15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방열 시트로 구현되거나 또는 방열 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500)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D)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열이 향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열 저하에 따른 화질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로서, 이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도 1 및 도 2와 결부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는 제 1 내지 제 3 관통구(710, 720, 730), 및 접착 물질(7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구(710, 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과 중첩되는 후면 기구물(300)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관통구(710, 720) 각각은 후면 기구물(300)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제 1 방향(X)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관통구(710, 720) 각각은 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관통구(730)는 제 1 관통구(710)와 제 2 관통구(7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면 기구물(700)에 마련된다. 제 3 관통구(730)는 후면 기구물(300)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제 1 방향(X)을 따라 제 1 및 제 2 관통구(710, 72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3 관통구(730)는 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 물질(740)은 제 1 내지 제 3 관통구(710, 720, 730)를 포함하는 결합 영역(701)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어 경화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은 접착 물질(740)을 매개로 하여 서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물질(740)는 자연 경화성 접착 레진, 열 경화성 접착 레진, 또는 광 경화성 접착 레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접착 물질(740)는 제 1 관통구(710)와 제 2 관통구(720) 각각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어 경화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 1 관통구(710)는 접착 물질(740)의 주입을 위한 제 1 주입구로 사용되고, 제 2 관통구(720)는 접착 물질(740)의 주입을 위한 제 2 주입구로 사용되며, 제 3 관통구(730)는 제 1 관통구(710)와 제 2 관통구(720) 각각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는 접착 물질(740)의 주입량을 확인하기 위한 주입량 식별구 또는 배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접착 물질(740)는 제 3 관통구(7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어 경화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 3 관통구(730)는 접착 물질(740)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로 사용되며, 제 1 관통구(710)와 제 2 관통구(720) 각각은 제 3 관통구(7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는 접착 물질(740)의 주입량을 확인하기 위한 주입량 식별구 또는 배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710, 720, 730), 및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710, 720, 730)를 포함하는 결합 영역(701)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된 접착 물질(7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 발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Fleming's left hand rule)을 기반으로 인가되는 전류(또는 보이스 전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진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모듈 프레임(501), 마그네트(502), 센터폴(503), 보빈(504), 코일(505), 외부 프레임(506), 및 댐퍼(5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501)은 후면 기구물(300)에 고정되어 후면 기구물(300)에 마련된 모듈 삽입구(300h)에 일부 삽입된다. 모듈 프레임(5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 방향(Z)을 기준으로, 상부 일부가 모듈 삽입구(300h)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 내에 배치된다. 모듈 프레임(501)과 모듈 삽입구(300h)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마련되며, 이러한 소정의 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시 갭 공간(GS) 내에서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통기구 역할을 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른 음압 이외에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구동시 발생되는 노이즈 성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도 한다.
일 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501)은 프레임 고정부(501a)를 포함한다. 프레임 고정부(501a)는 모듈 삽입구(300h)에 인접한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과 중첩되도록 모듈 프레임(50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부(501a)는 볼트(410)와 너트(420)에 의해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너트(420)는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에 고정된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셀프 클린칭 너트는 팸 너트(pem nut)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420)가 팸 너트로 구현되면, 진동 발생 모듈(510, 5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420)에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후면 기구물(300)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볼트(410)는 프레임 고정부(501a)를 관통하여 너트(420)에 결합된다.
다른 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부(501a)는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착 부재는 탄성과 두께에 따라 일종의 댐퍼 역할을 함으로써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후면 기구물(3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502)는 센터폴(503), 보빈(504), 및 코일(505)은 모듈 프레임(501)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키는 자기 회로 유닛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자기 회로 유닛은 마그네트(502)가 코일(505)의 외측에 배치된 외자 타입(또는 다이나믹 타입)의 구조를 가지거나, 마그네트(502)가 코일(505)의 내측에 배치된 내자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내자 타입의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누설 자속이 작고 전체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자 타입 또는 내자 타입의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자 타입의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그네트(502)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마그네트(502)는 바륨 훼라이트(barium ferrite) 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삼산화이철(Fe2O3), 탄산바륨(BaCO3),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strontium ferrite), 알루미늄(Al), 니켈(Ni), 또는 코발트(Co)의 합금 주조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마그네트(502)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빈(504)은 마그네트(502)에 수용되거나 삽입된다. 예를 들어, 보빈(504)은 마그네트(502)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보빈(504)의 외주면은 마그네트(502)에 의해 둘러싸인다. 일 예에 따른 보빈(504)은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된 구조물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빈(504)은 원 형태 또는 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원 형태의 보빈(504)은 원 형태보다 고음역대의 음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한 열 발생이 적을 수 있으므로, 우수한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일(505)은 보빈(504)의 하측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권취되어 외부로부터 음향 발생용 전류를 공급받는다. 코일(505)은 보빈(504)과 함께 승강된다. 여기서, 코일(505)은 보이스 코일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505)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505)의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과 마그네트(502)의 주위에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기초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보빈(504) 전체가 센터폴(50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보빈(504)의 전면(前面)(또는 선단부)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접촉되므로, 보빈(504)은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진동시키게 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과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된다.
추가적으로, 보빈(504)은 보빈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 보호 부재는 보빈(504)의 전면에 배치되어 보빈(504)의 승강(또는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전달한다. 일 예에 따른 보빈 보호 부재는 보빈(504)의 전면에 부착된 링 형상의 판상 부재, 보빈(504)의 전면을 덮는 원판 부재, 또는 보빈(504)의 선단부를 감싸는 캡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센터폴(503)은 보빈(504)에 수용되거나 삽입되어 보빈(504)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예를 들어, 센터폴(503)은 원통 형태를 갖는 보빈(504)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센터폴(503)의 외주면은 보빈(504)에 의해 둘러싸인다. 여기서, 센터폴(503)는 승강 가이더 또는 폴 피스(pole pieces)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일 예에 따른 자기 회로 유닛은 상부 플레이트(5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508)는 모듈 프레임(401)에 배치된 코일(505)을 둘러싸도록 모듈 프레임(501)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508)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모듈 프레임(501)과 상부 플레이트(508)는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yoke)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506)은 모듈 프레임(501)의 전면(前面) 가장자리 또는 상부 플레이트(508)의 전면(前面)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프레임(506)는 댐퍼(507)를 지지한다.
상기 댐퍼(507)는 외부 프레임(506)과 자기 회로 유닛 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507)는 외부 프레임(501)과 자기 회로 유닛의 보빈(504) 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507)는 스파이더(spider), 서스펜션(suspension), 또는 에지(edge)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댐퍼(507)의 일단은 외부 프레임(506)과 연결될 수 있고, 댐퍼(507)의 타단은 보빈(504)의 상부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댐퍼(507)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주름진 구조로 이루어져 보빈(504)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504)의 진동을 조절한다. 이러한 댐퍼(507)는 보빈(504)과 외부 프레임(506)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복원력을 통해 보빈(504)의 진동 거리를 제한한다. 예를 들어, 보빈(504)이 일정 거리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거리 이하로 진동할 경우 보빈(504)은 댐퍼(507)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 2 이상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2 이상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전술한 진동 발생 모듈(510, 530)과 동일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D)으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개략적인 다른 단면도로서, 이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기구물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면 기구물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제 1 후면 커버(300-1) 및 제 2 후면 커버(300-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후면 커버(300-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으며 진동 발생 장치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10, 520)과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제 1 후면 커버(300-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후면 커버(300-1)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Al)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후면 커버(300-2)는 제 1 후면 커버(300-1)의 후면을 덮으며 제 1 후면 커버(300-1)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에 따른 제 2 후면 커버(300-2)는 글라스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 부재일 수 있다.
제 1 후면 커버(300-1)는 커버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제 2 후면 커버(300-2)의 전면(前面)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버 접착 부재는 제 1 후면 커버(300-1)와 제 2 후면 커버(300-2) 사이에 전체적으로 개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 접착 부재는 접착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커버 접착 부재는 제 1 후면 커버(300-1)와 제 2 후면 커버(300-2)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제 1 후면 커버(300-1)와 제 2 후면 커버(300-2) 사이에 소정의 갭을 마련한다. 이 경우, 커버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충격 흡수를 위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후면 커버(300-1)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모듈(510, 530)과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으며, 글라스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제 1 후면 커버(300-2)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에 결합된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 사이에 마련되는 갭 공간(GS)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 사이의 갭 공간(GS)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갭 유지 부재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 마련되는 갭 공간(GS)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열을 향상시켜 열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최소화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로서, 이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도 6과 결부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700)는 제 1 내지 제 3 관통구(1710, 1720, 1730), 접착 물질(1740), 및 개구부(1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구(1710, 1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과 중첩되는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00-1)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 3 관통구(1730)는 제 1 관통구(1710)와 제 2 관통구(17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면 기구물(1700)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관통구(1710, 1720, 730)는 제 1 후면 커버(300-1)에 마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3 관통구(710, 720, 7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개구부(1750)는 제 1 내지 제 3 관통구(1710, 1720, 1730)와 중첩되도록 제 2 후면 커버(300-2)에 마련된다. 이러한 개구부(1750)는 제 1 내지 제 3 관통구(1710, 1720, 1730)를 제 1 후면 커버(300-2)의 후면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관통구(1710, 1720) 또는 제 3 관통구(17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접착 물질(1740)의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 일 예에 따른 개구부(1750)는 제 1 내지 제 3 관통구(1710, 1720, 1730) 모두를 노출시키기 위한 원 형태, 타원 형태, 또는 다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 물질(1740)은 제 1 내지 제 3 관통구(1710, 1720, 1730)를 포함하는 결합 영역(1701)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어 경화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은 접착 물질(1740)을 매개로 하여 서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 사이의 갭 공간(GS)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물질(1740)는 자연 경화성 접착 레진, 열 경화성 접착 레진, 또는 광 경화성 접착 레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접착 물질(1740)는 제 1 관통구(1710)와 제 2 관통구(1720) 각각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어 경화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 1 관통구(1710)는 접착 물질(1740)의 주입을 위한 제 1 주입구로 사용되고, 제 2 관통구(1720)는 접착 물질(1740)의 주입을 위한 제 2 주입구로 사용되며, 제 3 관통구(1730)는 제 1 관통구(1710)와 제 2 관통구(1720) 각각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후면 커버(300-1) 사이의 갭 공간(GS)에 주입되는 접착 물질(1740)의 주입량을 확인하기 위한 주입량 식별구 또는 배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결합부(700, 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결합부(700, 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및 제 2 결합부(700, 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결합부(700)는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 중 제 1 중앙 파티션(810)에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 마련되고, 제 2 결합부(700’)는 한 쌍의 중앙 파티션(810, 830) 중 제 2 중앙 파티션(830)에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에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결합부(700, 700’)는 제 1 후면 커버(300-1)와 제 2 후면 커버(300-2)를 서로 결합시키는 커버 접착 부재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접착 부재는 제 1 내지 제 3 관통구(1710, 1720, 1730)와 중첩되는 개구홀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홀은 제 1 내지 제 3 관통구(1710, 1720, 1730) 전체를 노출시킬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홀은 제 2 후면 커버(300-2)에 마련된 개구부(175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개구부(175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 발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후면 기구물의 제 1 후면 커버에 진동 발생 모듈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모듈 프레임(501), 마그네트(502), 센터폴(503), 보빈(504), 코일(505), 외부 프레임(506), 및 댐퍼(5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501)은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00-1)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 방향(Z)을 기준으로, 상부 일부가 모듈 삽입구(1300h)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GS)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 모듈 삽입구(1300h)는 제 1 후면 커버(300-1)와 제 2 후면 커버(300-2) 모두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일 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501)은 프레임 고정부(501a)를 포함한다. 프레임 고정부(501a)는 모듈 삽입구(300h)에 인접한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00-1)와 중첩되도록 모듈 프레임(50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부(501a)는 볼트(1410)와 너트(1420)에 의해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00-1)와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너트(1420)는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00-1)에 고정된 셀프 클린칭 너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셀프 클린칭 너트는 팸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1420)가 팸 너트로 구현되면, 진동 발생 모듈(510, 5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1420)에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후면 기구물(300)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볼트(1410)는 프레임 고정부(501a)를 관통하여 너트(1420)에 결합된다.
상기 마그네트(502), 센터폴(503), 보빈(504), 코일(505), 외부 프레임(506), 및 댐퍼(507)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 2 이상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2 이상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전술한 진동 발생 모듈(510, 530)과 동일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00-1)에 결합됨으로써 제 2 후면 커버(300-2)의 두께만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2 후면 커버(300-2)의 두께만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파티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파티션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파티션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파티션(1810) 및 제 2 파티션(18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파티션(1810)과 제 2 파티션(1830)에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 7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파티션(1810)은 디스플레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일 예에 따른 제 1 파티션(1810)은 한 쌍의 제 1 파티션 부재(1811a, 1811b), 및 한 쌍의 제 2 파티션 부재(1811c, 181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파티션 부재(1811a, 1811b)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 중 제 1 방향(X)과 나란한 가로 변을 따라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 파티션 부재(1811c, 1811d)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 중 제 2 방향(Y)과 나란한 세로 변을 따라 마련된다. 이때, 한 쌍의 제 2 파티션 부재(1811c, 1811d)의 양 끝단은 한 쌍의 제 1 파티션 부재(1811a, 1811b)의 양 끝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파티션(1810)은 폐루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파티션(1830)은 디스플레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RA)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제 2 파티션(18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CA)을 기준으로, 제 1 파티션(1810)과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파티션(1830)은 제 1 파티션(181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제 1 파티션 부재(1811a, 1811b), 및 한 쌍의 제 2 파티션 부재(1811c, 1811d)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파티션 부재(1811a, 1811b, 1811c, 1811d)는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와 폭을 갖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 재질의 양면 테이프 또는 단면 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일 예에 따른 파티션 부재(1811a, 1811b, 1811c, 1811d)는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폼 패드(foam pad)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제 1 파티션(1810) 및 제 2 파티션(183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진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하여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키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측면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여 음향의 전방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제 1 파티션(1810) 및 제 2 파티션(1830) 각각은 벤트부(18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트부(1813)는 한 쌍의 제 1 파티션 부재(1811a, 1811b)로부터 진동 발생 모듈(510, 530) 쪽으로 벤트된다. 벤트부(1813)는 제 1 방향(X)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θ)을 가지도록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트부(1813)를 갖는 한 쌍의 제 1 파티션 부재(1811a, 1811b)는 평면적으로 V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벤트부(1813)의 경사각(θ)은 정재파 억제의 필요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10도 내지 3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영역에서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진동 발생 모듈의 출력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벤트부(1813)의 경사각(θ)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음향 출력 영역에서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진동 발생 모듈의 출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벤트부(1813)의 경사각(θ)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벤트부(181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간의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발생 모듈(510, 530)에 의해 진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발생되는 음파는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할 수 있다. 이 음파를 진행파(progressive wave)라 하고, 진행파가 파티션 부재(1811a, 1811b, 1811c, 1811d)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하는 음파를 반사파(reflected wave)라 할 수 있는데, 이 반사파는 진행파와 중첩 또는 상쇄되어 진행하지 못하고 일정한 위치에 정체되어 정재파(standing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정재파에 의해 음압이 감소되어 음향 출력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벤트부(1813)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큰 지점에 마련됨으로써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킨다. 특히, 정재파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큰 지점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벤트부(1813)는 파티션 부재(1811a, 1811b, 1811c, 1811d)로부터 진동 발생 모듈(510, 530)로부터 도달하는 음파가 가장 큰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중앙부를 향하여 벤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제 1 파티션(1810) 및 제 2 파티션(1830) 각각은 돌출부(18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15)는 한 쌍의 제 2 파티션 부재(1811c, 1811c)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진동 발생 모듈(510, 530) 쪽으로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돌출부(1815)는 한 쌍의 제 2 파티션 부재(1811c, 1811c)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부(1815)가 하나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나의 돌기는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돌출부(1815)가 2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2개의 돌기는 진동 발생 모듈(510, 530)를 향하여 돌출되되,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중심부는 2개의 돌기 사이의 중간을 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돌출부(1815)는 반사파를 트랩함으로써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킨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회로 지지 프레임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로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지지 프레임(900)은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에 설치되어 진동 발생 장치(500)를 덮으면서 패널 구동 회로 보드를 지지한다.
일 예에 따른 회로 지지 프레임(900)은 회로 지지부(910) 및 음향 커버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지지부(9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간 영역과 중첩되는 후면 기구물(300)의 중간 영역을 덮도록 후면 기구물(3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회로 지지부(910)는 후면 기구물(300)과 진동 발생 장치(500) 간의 결합 방식과 동일한 방식에 의해 후면 기구물(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커버부(930)는 후면 기구물(300)에 결합된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10, 530) 각각을 덮도록 후면 기구물(300)에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음향 커버부(930)는 회로 지지부(910)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10, 530) 각각을 덮는다. 이러한 일 예에 따른 음향 커버부(930)는 후면 기구물(300)과 진동 발생 장치(500) 간의 결합 방식과 동일한 방식에 의해 후면 기구물(300)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로 지지 프레임(900)은 후면 기구물(30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9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911)는 후면 기구물(30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와 중첩되는 회로 지지 프레임(900)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911)는 후면 기구물(30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911)는 후면 기구물(30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에 포함된 관통구들을 노출시킴으로써 후면 기구물(300)과 회로 지지 프레임(9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의 접착 물질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911)는 후면 기구물(30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가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작업자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91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에 포함된 관통구들 내에 접착 물질의 존재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00)가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접착 부재
300: 후면 기구물 300-1: 제 1 후면 커버
300-2: 제 2 후면 커버 500: 진동 발생 장치
510: 제 1 진동 발생 모듈 530: 제 2 진동 발생 모듈
700: 결합부 710: 제 1 관통구
720: 제 2 관통구 730: 제 3 관통구
740: 접착 물질 810, 830: 한 쌍의 중앙 파티션
900: 회로 지지 프레임

Claims (19)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후면 기구물;
    상기 후면 기구물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의 길이의 중간에 인접한 중간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을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되어 경화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후면 기구물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를 포함하는 결합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후면 기구물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된 제 1 및 제 2 관통구;
    상기 제 1 관통구와 상기 제 2 관통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 기구물에 마련된 제 3 관통구;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통구를 포함하는 결합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후면 기구물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된 제 1 및 제 2 주입구;
    상기 제 1 주입구와 상기 제 2 주입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면 기구물에 마련된 주입량 식별구; 및
    상기 제 1 주입구와 상기 제 2 주입구 및 상기 주입량 식별구를 포함하는 결합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기구물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으며 상기 진동 발생 장치와 결합된 제 1 후면 커버; 및
    상기 제 1 후면 커버의 후면을 덮으며 상기 제 1 후면 커버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제 1 후면 커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와 중첩되도록 상기 제 2 후면 커버에 마련된 개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를 포함하는 결합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 1 후면 커버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제 1 후면 커버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된 제 1 및 제 2 관통구;
    상기 제 1 관통구와 상기 제 2 관통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후면 커버에 마련된 제 3 관통구;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통구와 중첩되도록 상기 제 2 후면 커버에 마련된 개구부;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통구를 포함하는 결합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 1 후면 커버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제 1 후면 커버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된 제 1 및 제 2 주입구;
    상기 제 1 주입구와 상기 제 2 주입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후면 커버에 마련된 주입량 식별구;
    상기 제 1 주입구와 상기 제 2 주입구 및 상기 주입량 식별구와 중첩되도록 상기 제 2 후면 커버에 마련된 개구부; 및
    상기 제 1 주입구와 상기 제 2 주입구 및 상기 주입량 식별구를 포함하는 결합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후면 기구물;
    상기 후면 기구물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의 길이의 중간에 인접한 중간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을 유지시키는 갭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갭 유지 부재는,
    상기 후면 기구물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된 제 1 및 제 2 관통구;
    상기 제 1 관통구와 상기 제 2 관통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 기구물에 마련된 제 3 관통구;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통구와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의 갭 공간에 주입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간 영역을 정의하는 한 쌍의 중앙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중앙 파티션 부재 사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영역을 둘러싸는 제 1 파티션;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우측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상기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2 파티션 사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2 파티션 각각은,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 1 파티션 부재;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 2 파티션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파티션 부재 각각은 상기 진동 발생 모듈 쪽으로 벤트된 벤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티션과 상기 제 2 파티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 2 파티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진동 발생 모듈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기구물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가 삽입되는 모듈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모듈과 상기 제 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상기 후면 기구물에 고정된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후면 기구물의 모듈 삽입구에 삽입된 마그네트와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접촉된 보빈;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일; 및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보빈 간에 설치된 댐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발생 모듈과 상기 제 2 진동 발생 모듈 각각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27353A 2017-09-29 2017-09-29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353A KR102367122B1 (ko) 2017-09-29 2017-09-2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353A KR102367122B1 (ko) 2017-09-29 2017-09-2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729A KR20190037729A (ko) 2019-04-08
KR102367122B1 true KR102367122B1 (ko) 2022-02-23

Family

ID=6616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353A KR102367122B1 (ko) 2017-09-29 2017-09-2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1662B (zh) * 2020-12-02 2023-0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散热复合层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0216A1 (en) 2016-03-28 2017-09-28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457A (en) * 1997-06-13 2000-08-15 Sharp Kabushiki Kaisha Sealed multi-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20347B1 (ko) * 2014-12-10 2021-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제조방법
KR102439703B1 (ko) * 2015-12-29 2022-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0216A1 (en) 2016-03-28 2017-09-28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729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539B1 (ko) 표시장치
KR102259805B1 (ko) 표시 장치
KR102441980B1 (ko) 표시 장치
CN107295446B (zh) 面板振动型发声激励器及包括其的双面显示装置
KR102663867B1 (ko) 표시 장치
KR102470333B1 (ko) 표시장치
KR102380627B1 (ko) 표시 장치
KR20170135673A (ko) 표시 장치
KR102449465B1 (ko) 세트장치
KR102266102B1 (ko) 표시 장치
KR102633372B1 (ko) 표시장치
KR20230115960A (ko) 표시장치
KR102449673B1 (ko) 세트 장치
KR1023671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58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99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63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