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510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510A
KR20110005510A KR1020090063106A KR20090063106A KR20110005510A KR 20110005510 A KR20110005510 A KR 20110005510A KR 1020090063106 A KR1020090063106 A KR 1020090063106A KR 20090063106 A KR20090063106 A KR 20090063106A KR 20110005510 A KR20110005510 A KR 20110005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ixing member
display panel
panel module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730B1 (ko
Inventor
여진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7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둘레를 감싸는 전면커버의 폭 또는 베젤의 폭을 감소시켜 디스플레이장치를 슬림하게 하며,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슬림, 베젤, 보스, 포밍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둘레를 감싸는 전면커버의 폭 또는 베젤의 폭을 감소시켜 디스플레이장치를 슬림하게 하며,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란 영상정보를 외부에서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며, 외부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CRT(고진공전자관으로서 음극선, 즉 진공 속의 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이용해서 가시상(可視像)을 만드는 표시장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최근 LCD(liquid crystal display,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 기체방전(플라즈마) 현상을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 패널 등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으며, LCD 방식 또는 PDP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종래의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비해 그 두께가 혁신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LCD 방식 또는 PDP 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탠드 방식 또는 벽걸이 방식으로 거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면이 전면으로 노출되며, 그 패널면의 가장자리를 전면커버가 지지하며, 후면커버가 전면커버에 체결되어 그 외형을 구성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은 상기 전면커버 또는 후면커버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등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체결부위는 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보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스부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결합하는 경우와 디스플레이 패널모듈과 전면커버 또는 후면커버를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 구비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전면커버의 폭을 증가시킨다.
즉,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의 패널면과 무관하게 이를 지지하는 커버의 폭이 증가되므로 슬림화 경량화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추세에 역행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부품들을 체결하기 위한 보스부와 체결부재가 많아진다는 것은 작업 공수를 늘어 제품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생산비용을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둘레를 감싸는 전면커버의 폭을 감소시켜 디스플레이장치를 슬림하게 하며,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의 전면 테두리에 장착되는 전면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후방을 차폐하는 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샤시에 일단이 구속되며, 그 타단은 상기 후면커버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후면커버와 동일한 체결부재에 의하여 함께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공정으로 제작되며, 그 길이방향 단면 형상이 동일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며,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2회 직각으로 절곡되며, 한쌍의 평행한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나의 평행부의 일면은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되며, 다른 하나의 평행부의 일면은 상기 후면커버 및 상기 고정부재와 함께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배면샤시에 구속되는 구속부와 상기 후면커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함께 체결되는 체결부로 구획되며,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면샤시에 상기 고정부재의 구속부가 걸림결합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면샤시에 포밍 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 내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구속부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의 걸림턱이 상기 구속부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에 복수 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면샤시에 일단이 구속되며, 그 타단은 상기 후면커버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면샤시에 형성된 함몰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둘레를 감싸는 전면커버의 폭 또는 높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장치를 슬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을 전면커버 또는 배면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공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내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원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이다.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는 영상이 표시되는 본체(100)와 스탠딩 기능을 제공하는 스탠드(2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면이 전방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이 전면커버(120)과 후면커버(130)에 의하여 그 내부에 수용되며, 전방으로 노출된 패널면에서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스탠드(200)는 영상이 표시되는 본체(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넥부(210)와 상기 넥부(210)의 하중을 바닥면으로 분산시키는 베이스(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스탠드가 생략되고 월마운트에 의하여 벽걸이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전면커버(120)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구조일 수도 있으나, 전면에 투과형 글래스 또는 플라스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전면을 덮는 구조일 수도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면커버(12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좌우 폭(W)와 상하 폭(h)의 크기에 따라 슬림화가 결정된다.
상기 본체(100)의 두께를 줄이려는 노력과 함께, 상기 본체(100)의 전면 중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전면커버(120)의 좌우 폭(W)와 상하 폭(h)을 줄이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전면커버(120)의 좌우 폭(W)과 상하 폭(h)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 상기 전면커버(120) 및 상기 후면커버(13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예를 들어, 볼트 등)의 수를 종 래의 디스플레이장치 보다 줄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하 그 자세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커버(130)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전면커버(12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후방을 차폐하는 후면커버(130), 상기 전면커버(12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4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배면에 일단이 구속되며, 그 타단은 상기 후면커버(130)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면커버(120)와 배면커버를 체결하기 위한 보스부와 전면커버(120) 또는 후면커버(130)와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을 체결하기 위한 보스부가 각각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만일 이와 같은 다수 개의 보스부가 전면커버(1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 전면커버(120)의 폭을 증가시켜 디스플레이장치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보다 슬림한 디자인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동일한 체결부재(예를 들면, 볼트 등)에 의하여 후면커버(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을 동시에 체결하므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비해 본체의 조립을 위하여 체결부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의 공수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조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전면커버(120)의 배면에 지지프레임(140)이 부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커버(120)의 배면 중 수평방향으로 상하 각각 1개와 수직방향으로 좌우 각각 1개가 부착된다.
물론, 특정 상기 전면커버(120)의 배면 중 특정 부분에 지지프레임이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고, 다른 부분에는 2개 이상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그 길이방향 단면 형상이 동일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며,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을 위한 체결공(141)이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2회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2회 절곡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단면은 한 쌍의 평행부(140a)와 평행부(140a)를 연결하는 연결부(140b)가 형성되며, 상기 평행부(140a) 중 하나의 일면은 상기 전면커버(120)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142)에 의하여 부착되며, 평행부(140a) 중 다른 하나의 일면은 상기 후면커버(130) 및 후술하는 고정부재(150)와 함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을 상기 전면커버(120)에 부착하는 역할은 양면 테이 프(142)에 의한다.
상기 양면테이프(142)는 상기 지지프레임(140)을 상기 전면커버(120)에 단단히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평행부(140a)의 일면 전체가 전면커버(120)의 배면에 부착되므로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평행부(140a) 중 전면커버(120)의 배면에 부착되지 않는 다른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과 상기 후면커버(130)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후면커버(130)에 형성된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직접 체결될 수 있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은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직접 체결되지 않고, 뒤에서 자세히 기술될 고정부재(150)를 매개로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체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40)을 간접적으로 체결하는 고정부재(1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은 그 배면이 금속성 샤시로 구성되며,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PCB 기판(160a 또는 160c), 전원신호를 처리하는 PCB 기판(160a 또는 160c)또는 각종 입출력 단자부가 구비된 PCB 기판(160b)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배면샤시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150)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결속되기 위한 걸림부(112)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2)는 뒤에서 자세히 기술하겠으나, 포밍(forming) 성형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2)는 후술하는 고정부재(150)의 개수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배면샤시의 가장자리에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배면을 차폐하는 후면커버(130)는 복수 개의 체결공(131)이 그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30)의 체결공(131)은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체결공(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공기가 흡입되고, 내부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통풍구(132)가 곳곳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부가 구비된 PCB 기판이 노출되는 개방구(134)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을 간접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체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상기 고정부재(15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에 따라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는 복수 개가 각각의 지지프레임(140)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고정부재는 체결되는 지지프레임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긴 프레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체결을 위한 경우, 채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도면은 생략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가 대형화된다면, 상기 고정부재(150)의 개수도 많아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0)의 개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배면샤시에 형성된 걸림부(112)의 수와 일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크기에 따라 걸림부(112)의 수가 결정되면, 각각 고정부재(150), 지지프레임(140)의 체결공 및 배면커버의 체결공의 위치와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고정부재(150) 및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걸림부(112)의 각각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금속성 판재 재질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고정부재(150)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부(112)의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고정부재(150)를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배면에 구속되는 구속부(153)와 상기 전면커버(120), 상기 후면커버(130) 및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함께 체결되는 체결부(151)로 절곡되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153)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배면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걸림결합되는 부분이며, 상기 체결부(151)는 동일한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후면커버(130) 및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함께 체결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부재(150)의 체결부(151)는 상기 후면커버(130) 및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41)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1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2회 직각으로 절곡되므로, 일정한 단차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구속부(153)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배면에 형성된 걸림부(112)에 걸림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걸림부(112) 또는 상기 고정부재(150)의 구속부(153) 중 어느 하나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걸림턱이 걸림홈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어 걸림결합에 의한 구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153)는 후술하는 걸림부(112)의 걸림턱(1123)이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홈(153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533)은 구속부(153)의 일단을 절곡시키고 절곡되는 모서리에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샤시의 특정부분을 포밍 성형과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포밍 성형과정을 통해 걸림부(112)가 융기 성형되며, 그 상면에 다시 함몰부(1121)를 형성하고, 그 함몰부의 중심부에 걸림턱(1123)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1123)은 "ㄱ"자 형태의 돌출부를 의미하며, 일단은 함몰부의 바닥으로 연장되며, 그 타단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턱의 타단이 수평방향으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150)가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체결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안정적으로 상기 전면커버(120)와 후면커버(13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고정부재(150)가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시의 편의상 후면커버(130)는 생략하였다.
상기 전면커버(120)에 부착된 지지프레임(140)은 양면테이프(142) 등의 접착력에 의하여 충분한 결합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체결되는 고정부재(150)와 후면커버(130)는 결국 양면 테이프(142)의 접착력을 매개로 상기 전면커버(120)와 간접적으로 체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부착된 전면커버(120)는 상기 고정부재(150)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과 체결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20)와 상기 후면커버(130) 역시 지지프레임(140)과 양면 테이프(142)를 매개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커버(12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및 상기 후면커버(130)는 간접적으로 체결되므로 종래의 전면커버(120) 배면 등에 형성된 보스부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면커버(120)의 폭 또는 높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슬림화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의 비용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은 LCD 방식의 패널모듈이 사용된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은 PDP 방식일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LCD 패널모듈의 간단한 구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LCD 패널모듈은 액정패널(1120)과 각종 시트 등을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전면샤시(1190)와 배면샤시(1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1120)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액정패널(120)의 비표시영역은 상기 전면커버(12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액정패널(1120)을 가이드하는 패널가이드(1130)와, IC칩을 가지는 TCP(Tape Carrier Package, 미도시)통하여 상기 액정패널(1120)의 패드와 연결된 PCB(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와, 상기 액정패널(1120) 하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여 액정패널(1120)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1170a 또는 1170b)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에서 제공된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1144) 하부에 반사시트(1142)(reflector)와 상기 도광판(1144) 상부에 프리즘시트(46)(prism sheet), 확산시트(48)(diffuser) 및 보호시트(미도시) 등이 차례로 적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1120)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1170a 또는 1170b)은 직하방식 또는 에지방식에 따라 상기 도광판(1144) 하부 또는 측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랭프 또는 엘이디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LCD 패널모듈의 배면샤시(118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1144) 하부에 위치하여 도광판(1144)과 평행한 주면(1182)과, 상기 주면(1182)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도광판(44)을 수용하도록 패널 가이드(1130)까지 연장된 측벽부(1184)와, 상기 측벽부(1184)와 수직으로 즉 패널가이드(1130)와 수평되게 외부로 연장된 수평부(1186)와, 상기 수평부(1186)와 수직으로 연장되어 전면 샤시(1190)의 수직부(1194)와 수직 접촉하는 측면부(118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120) 배면에 양면 테이프(142)에 의하여 부착된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고정부재(150) 및 상기 후면커버(130)와 함께 동일한 체결부재(b)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배면샤시(1180)의 도광판(1144)과 평행한 주면(1182)을 포밍 성형되어 걸림부(112)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123)이 고정부재(150)의 걸림홈(1533)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면커버(120) 또는 후면커버(130) 중 어느 하나와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을 체결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배면 가장자리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하였으나, 광원 또는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한다는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해결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과 전면커버(120) 또는 후면커버(130)를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하는 것이 아니므로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그만큼의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전술한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전면커버(120)의 폭도 줄일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림화와 함께 비용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7는 고정부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배면에 형성된 걸림부(11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50a)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재와 달리 그 구속부(153a)의 형상이 복잡하게 절곡되거나, 절개되지 않는 평면 판재구조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재(150)의 걸림홈(1533)은 함몰부(1121) 중심부에 형성된 걸림턱(1123)이 삽입되어 디스플레이장치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설치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이 전면커버(120)와 후면커버(130)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 움직임 등을 제한하는 역할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재(150a)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배면에 구속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부재(볼트 등)으로 상기 고정부재(150a)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설치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이 전면커버(120)와 후면커버(130)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50a)의 구속부(153a)는 절곡되지 않은 평면 판재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50a)의 구속부(153a)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112a)는 도 4에 도시된 걸림부(112)와 달리, 함몰부(1121a)의 중심에 걸림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상기 걸림부(112a)의 함몰부(1121a)의 깊이는 상기 고정부재(150a)의 구속부(153a) 두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2a)의 함몰부(1121a)의 깊이가 상기 고정부재(150a)의 구속부(153a)가 안착될 수 있는 깊이 정도이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수평방향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상기 고정부재(150a)가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시의 편의상 후면커버(130)는 생략하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커버(120)에 부착된 지지프레임(140)은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력에 의하여 충분한 결합력을 갖으므로,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체결되는 고정부재(150a)와 후면커버(130)는 결국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을 매개로 상기 전면커버(120)와 간접적으로 체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부착된 전면커버(120)는 상기 고정부재(150)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과 체결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20)와 상기 후면커버(130) 역시 지지프레임(140)과 양면 테이프(142)를 매개로 체결된다. 다만, 상기 고정부재(150a)의 구속부(153a)가 단지 상기 걸림부(112a)의 함몰부(1121a)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체결부제(b)에 의한 체결력이 상기 고정부재(150a)의 구속부(153a)이 단지 상기 걸림부(112a)의 함몰부(112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상기 전면커버(12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 및 상기 후면커버(130)는 상기 고정부재(150a) 및 상기 지지프레임(140)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면커버(120) 배면 등에 형성된 보스부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면커버(120)의 폭 또는 높이를 줄일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슬림화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의 비용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고정부재 역시 복수 개가 각각의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장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고정부재는 체결되는 지지프레임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긴 프레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음도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재와 마찬가지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고정부재(150a)와 동일하지만, 상기 고정부재(150a)의 구속부(153a)가 안착되는 상기 함몰부가 포밍공정에 의하여 융기된 부분에 형성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상면에서 직접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함몰부(1121b)를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배면샤시(1180)의 가장자리에 직접 형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걸림부(153, 153a)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배면샤시(1180)의 특정부분을 포밍 성형에 의하여 융기시킨 뒤에 함몰부(1121,1121a)를 형성하지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함몰부(1121b)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110)의 배면샤시(1180)에 직접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150a)의 구속부(153a)를 구속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걸림부(112b)를 돌출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두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함몰부(112b)의 깊이는 상기 고정부재(150a)의 구속부(153a)와 비슷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고정부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의 걸림부의 각각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는 고정부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배면에 형성된 걸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Claims (13)

  1.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의 전면 테두리에 장착되는 전면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 후방을 차폐하는 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모듈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샤시에 일단이 구속되며, 그 타단은 상기 후면커버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후면커버와 동일한 체결부재에 의하여 함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공정으로 제작되며, 그 길이방향 단면 형상이 동일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며,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2회 직각으로 절곡되며, 한쌍의 평행한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나의 평행부의 일면은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되며, 다른 하나의 평행부의 일면은 상기 후면커버 및 상기 고정부재와 함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배면샤시에 구속되는 구속부와 상기 후면커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함께 체결되는 체결부로 구획되며,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샤시에 상기 고정부재의 구속부가 걸림결합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가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면샤시에 포밍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 내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구속부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의 걸림턱이 상기 구속부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면커버의 배면에 복수 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면샤시에 일단이 구속되며, 그 타단은 상기 후면커버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 레이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면샤시에 형성된 함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063106A 2009-07-10 2009-07-10 디스플레이장치 KR10101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106A KR101014730B1 (ko) 2009-07-10 2009-07-10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106A KR101014730B1 (ko) 2009-07-10 2009-07-10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510A true KR20110005510A (ko) 2011-01-18
KR101014730B1 KR101014730B1 (ko) 2011-02-16

Family

ID=4361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106A KR101014730B1 (ko) 2009-07-10 2009-07-10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7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1694A (zh) * 2015-11-02 2016-02-2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US10216020B2 (en) 2013-06-03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KR20190054553A (ko) * 2017-11-14 2019-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681A1 (ko) * 2017-11-30 2019-06-06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698B1 (ko) 2012-05-31 2019-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2004397B1 (ko) 2012-09-19 2019-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213A (ko) * 2004-01-09 2005-07-13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엘씨디모듈과 메인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649566B1 (ko) * 2005-07-07 2006-1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385231B1 (ko) * 2006-08-24 2014-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20080038889A (ko) * 2006-10-3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6020B2 (en) 2013-06-03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US10802312B2 (en) 2013-06-03 2020-10-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US11372272B2 (en) 2013-06-03 2022-06-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CN105351694A (zh) * 2015-11-02 2016-02-2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190054553A (ko) * 2017-11-14 2019-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681A1 (ko) * 2017-11-30 2019-06-06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398615B2 (en) 2017-11-30 2022-07-2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1925049B2 (en) 2017-11-30 2024-03-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730B1 (ko)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52B1 (ko) 표시 장치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멀티 표시 장치
US8339536B2 (en) Display module, display-module support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5056042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014730B1 (ko) 디스플레이장치
EP195642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48937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isplay device
US7525627B2 (en) Display device
EP1777955A2 (en) Panel type television and LCD television
US20140166834A1 (en) Bracket, attaching system, paper pattern,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US82948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1008740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315797A1 (en) Display Device
KR20120073618A (ko) 액정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346061A (ja) 液晶表示装置のモジュール
US20100296022A1 (en) Liquid crystal module
JP5304628B2 (ja) 液晶モジュール
KR1010677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WO2012070332A1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US8970793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1953205B1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195224A (ja)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129474A (ja) 表示装置
KR20040041777A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WO200910743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10052126A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