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417A - 역류 방지 밸브 및 밸브체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 밸브 및 밸브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417A
KR20170131417A KR1020177026075A KR20177026075A KR20170131417A KR 20170131417 A KR20170131417 A KR 20170131417A KR 1020177026075 A KR1020177026075 A KR 1020177026075A KR 20177026075 A KR20177026075 A KR 20177026075A KR 20170131417 A KR20170131417 A KR 2017013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valve body
frame portion
valve
thicknes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255B1 (ko
Inventor
?스케 나카니시
šœ스케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타쿠미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타쿠미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타쿠미나
Publication of KR2017013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 F16K15/1441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with biasing means in addition to material resiliency, e.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3/00Pumps specially modified to deliver fixed or variable measured quant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4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8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5/1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eristaltic action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2Dis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72Valves; Arrangement of valves the valve being an elastic body, the length thereof changing in the opening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38Plural
    • Y10T137/7843Integral resilient member forms plura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고정밀도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 경로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는 역류 방지 밸브의 제공하기 위하여, 한 쌍의 부재 협지면에 의해, 밸브체가 그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역류 방지 밸브로서, 밸브체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외측 프레임부와, 외측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부재 중 한쪽의 부재에 형성된 유체 경로를 개폐하는 실링부와, 두께 방향으로의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외측 프레임부 및 실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부재의 접합 상태에 의한 협지면끼리의 면간 치수에 비하여,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가 크게 설정되어 있고, 한 쌍의 부재의 접합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부재 협지면으로 외측 프레임부가 협지되어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는 것에 의해, 실링부가 그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 변위되어 있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역류 방지 밸브 및 밸브체
본원은, 2015년 3월 25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5-06254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역류 방지 밸브 및 밸브체에 관한 것이다.
역류 방지 밸브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역류 방지 밸브는, 밸브체와 받이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밸브체는 외측에 링형 밀착부를 구비하고, 링형 밀착부의 내측의 중심부에 볼록부를 구비하고, 링형 밀착부 및 볼록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받이 부재의 중심에는, 유체(流體) 경로(구멍)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의 링형 밀착부는, 받이 부재의 외주부에 밀착하는 부분이다. 밸브체의 볼록부는, 유체 경로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능선 전체 주위에서 선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역류 방지 밸브에서는, 밸브체의 볼록부를, 받이 부재에 형성된 유체 경로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능선 전체 주위에서 선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유체 경로의 밀폐도를 높게 하도록 도모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1235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역류 방지 밸브에 있어서, 밸브체의 볼록부를, 받이 부재에 형성된 유체 경로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능선 전체 주위에서 선접촉시키기 위해서는, 밸브체 및 받이 부재의 각각에 고정밀도의 가공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고정밀도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 경로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는 역류 방지 밸브 및 밸브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부재가 각각 구비한 협지(sandwich)면에 의해, 밸브체가 그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역류 방지 밸브이며, 상기 밸브체는, 외측 프레임부와, 상기 외측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부재 중 한쪽의 부재에 형성된 유체 경로를 개폐하는 실링부와, 두께 방향으로의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 및 실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프레임부, 실링부 및 연결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부재의 접합 상태에 의한 협지면끼리의 면간 치수에 비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가 크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부재의 접합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부재 협지면으로 상기 외측 프레임부가 협지되어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실링부가 그 두께 방향의 일방측(一方側)으로 변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의 외측 프레임부가 양 협지면에 의해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압압(押壓)됨으로써, 외측 프레임부가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어 있고, 탄성 압축 변형이 연결부에 전달되어, 탄성 압축 변형에 따른 양만큼 실링부가 유체 경로 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즉, 실링부는 연결부로부터 탄성적인 가압력을 받고 있고, 또한 실링부는 탄성체이므로, 실링부나 유체 경로를 특별히 고정밀도로 형성하지 않고, 유체 경로는 실링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폐쇄된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한 쌍의 부재 중 한쪽의 부재에, 상기 유체 경로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가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는 것에 의해, 실링부가 그 두께 방향의 한쪽으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간을 갖추고, 상기 한 쌍의 부재 중 다른 쪽의 부재에, 실링부의 두께 방향 타방측(他方側)으로의 변위를 규제시키는 규제부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의 외측 프레임부를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생기는 탄성 압축 변형은 연결부에 전달되고, 탄성 압축 변형은 연결부를 통하여 실링부에 전달되고, 실링부는 규제부에 의해 두께 방향 타방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두께 방향 일방측의 공간을 향하여 변위되어, 실링부에서 유체 경로가 폐쇄된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에서는,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측 프레임부의 탄성 압축 변형이 연결부에 용이하게 전달된다. 연결부의 두께는,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에 비하여 작은 것을 조건으로, 외측 프레임부의 탄성 압축 변형이 연결부에 용이하게 전달되기 쉽고, 게다가 유체 경로를 폐쇄하고 있는 실링부의 자세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에서는, 상기 실링부의 두께는, 상기 연결부의 두께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실링부의 두께가 연결부의 두께에 비하여 크면, 연결부의 강성에 비하여 실링부의 강성이 높아지고, 실링부의 거동을 안정되게 한다.
본 발명은 외측 프레임부와, 상기 외측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유체 경로를 개폐하는 실링부와,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 및 실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 밸브체로서, 상기 외측 프레임부, 실링부 및 연결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는, 대향하여 배치되어 밸브체를 장착하는 한 쌍의 부재에 있어서의 장착 위치에서의 대향면간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밸브체에서는,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가, 밸브체를 장착하는 한 쌍의 부재에 있어서의 장착 위치에서의 대향면간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부재의 대향면으로 외측 프레임부를 협지하면, 외측 프레임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고, 탄성 압축 변형이 연결부에 전달되어, 탄성 압축 변형에 따른 양만큼 실링부가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 변위한다.
본 발명의 밸브체에서는, 상기 연결부는, 실링부를 외측 프레임부에 비하여 두께 방향 일방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측 프레임부를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시켰을 때,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해 실링부를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 변위시키기 쉽다.
본 발명의 밸브체에서는, 상기 외측 프레임부는 원환(圓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의 연결봉으로 구성되며, 이들 연결봉은 실링부를 중심으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한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외측 프레임부를 원환 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 방향으로의 탄성 압축 변형의 양이 주위 방향에서 균등해지고, 연결봉을, 실링부를 중심으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한 방사상으로 배치한 것에 의해, 탄성 압축 변형의 양이 각 연결봉에 균등하게 배분되므로, 실링부 전체를 일정한 자세로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 및 밸브체에 의하면, 고정밀도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 경로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역류 방지 밸브를 나타낸 펌프 헤드의 단면도(斷面圖)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역류 방지 밸브를 나타낸 펌프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1 판형 부재 및 제2 판형 부재로 밸브체를 협지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1 판형 부재 및 제2 판형 부재로 밸브체를 협지하여 외측 프레임부를 탄성 압축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의 일방측으로부터의 도면(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기준으로 한 타방측으로부터의 도면(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를 기준으로 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를 기준으로 한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를 장착한 상태의 제1 판형 부재의 타방측으로부터의 도면(정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1 판형 부재의 일방측으로부터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2 판형 부재의 타방측으로부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2 판형 부재의 일방측으로부터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3 판형 부재의 타방측으로부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3 판형 부재의 일방측으로부터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역류 방지 밸브에 있어서, 밸브체의 외측 프레임부를 압축하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의 외측 프레임부를 압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b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배면도이다.
도 19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평면도이다.
도 19b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저면(底面)도이다.
도 20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우측면도이다.
도 20b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좌측면도이다.
도 21a는, 도 18a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1b는, 도 18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3b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배면도이다.
도 24a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평면도이다.
도 24b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저면도이다.
도 25a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우측면도이다.
도 25b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좌측면도이다.
도 26a는, 도 23a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6b는, 도 23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8은,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체(밸브체군)의 우측면도이다.
도 29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유출 밸브체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1은,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유입 밸브체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역류 방지 밸브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리고, 도 7은 평면도이며, 저면도는 평면도와 대칭으로 나타나므로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8은 우측면도이며, 좌측면도는 우측면도와 대칭으로 나타나므로 생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밸브(1)는, 한 쌍의 부재(2, 3)와, 유출측 밸브체(4)와, 유입측 밸브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 쌍의 부재(2, 3)는, 역류 방지 밸브(1)를 포함한 펌프에 있어서의 펌프 헤드(6)의 구성 부재로서, 각각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쌍의 부재(2, 3)를, 각각 제1 판형 부재(2), 제2 판형 부재(3)라고 한다.
여기에서, 밸브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역류 방지 밸브(1)에서는, 유출측 밸브체(4)와 유입측 밸브체(5)가 사용되지만, 어느 쪽의 밸브체도 동일한 구성이므로, 유출측 밸브체(4)의 설명으로서, 유입측 밸브체(5)의 설명을 겸용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출측 밸브체(4)는 외측 프레임부(41)와, 외측 프레임부(41)의 내측에 배치된 실링부(42)와, 외측 프레임부 및 실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유출측 밸브체(4)는, 예를 들면, 합성 고무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부(41)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부(41)의 직경 방향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부(41)의 외주면(41a)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4)는 외주면(41a)에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돌기(44)의 두께(t1)는, 외측 프레임부(41)의 두께(t2)에 비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돌기(44)는, 외주면(41a)에 있어서 외측 프레임부(41)의 타방면(4lb)에 면일(面一)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는, 돌기(44)는, 외측 프레임부(41)의 두께 방향의 도중 부분에 있어도 된다. 각 돌기(44)의 선단을 연결한 가상 원의 직경은, 후술하는 유출측 환형 홈(13A)의 내경(內徑)보다 조금 작게 설정되어 있다.
실링부(4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판형 부재(2)에 형성된 유체 경로를 폐색하는 것이다. 실링부(42)는 원반형의 본체부(45)와, 본체부(45)의 두께 방향의 일방면(45a)의 외주단에 형성된 맞닿음부(46)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맞닿음부(46)는, 일방면(45a)으로부터 돌출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46)의 선단은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42)는, 외측 프레임부(41)에 대하여 그 두께 방향 일방측에 위치가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프레임부(41)에 대한 실링부(42)의 위치 편차량은, 본체부(45)의 두께 방향의 도중 부분이 외측 프레임부(41)의 일방면(41c)에 일치하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본체부(45)의 일방면(45a)은, 외측 프레임부(41)의 일방면(41c)에 대하여 일방측에 위치가 어긋나 있다. 그리고, 외측 프레임부(41)의 일방면(41c)과, 본체부(45)의 일방면(45a)은 평행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연결부(43)는, 복수 개의 연결봉(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연결봉(47)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실링부(42)의 본체부(45)를 중심으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연결봉(47)은, 외측 프레임부(41) 및 실링부(42)의 본체부(45)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봉(47)은, 제1 판형 부재(2)에 형성된 유체 경로 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봉(47)의 기단 측은, 본체부(45)의 타방면(45b) 가까이에 위치되어 있다. 각 연결봉(47)의 선단 측은, 외측 프레임부(41)의 내주면(內周面)(41d)의 두께 방향의 도중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실링부(42)가, 외측 프레임부(41)에 대하여 그 두께 방향 일방측에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은, 각 연결봉(47)이, 제1 판형 부재(2)에 형성된 유체 경로 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판형 부재(2) 및 제2 판형 부재(3)는, 그 외주측 면을 면일하게 하도록 하고, 제1 대향면(2A), 제2 대향면(3A)끼리를 접촉시키도록 하여 조립된다. 도 2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형 부재(2)의 두께 방향의 일방면(2a)에는, 로드(R)의 구동에 의해 일방측·타방측을 왕복동하는 다이어프램(7)을 장착하는 오목부(8)(펌프실)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의 중심에는, 외주부보다 깊은, 유체 유통부(9)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의 외주부에, 다이어프램(7)의 외단부(外端部)가 장착된다.
도 1, 도 2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형 부재(2)에서는, 두께 방향의 타방면이, 제2 판형 부재(3)의 제2 대향면(3A)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2A)이다. 제1 대향면(2A)에 있어서, 유출측 밸브체(4)를 배치하는 부위에, 유출측 밸브체(4)의 외측 프레임부(41)를, 그 두께 방향 일방측에서 협지하기 위한 유출측 제1 협지면(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대향면(2A)에 있어서, 유입측 밸브체(5)를 배치하는 부위에, 유입측 밸브체(5)의 외측 프레임부(41)를, 그 두께 방향 일방측에서 협지하기 위한 유입측 제1 협지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유출측 제1 협지면(11) 및 유입측 제1 협지면(12)은, 제1 대향면(2A)의 일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출측 제1 협지면(11)은, 제1 대향면(2A)의 오목한 면으로서, 유출측 장착 홈(13) 저면의 일부다. 구체적으로, 유출측 장착 홈(13)은, 대경(大徑)의 유출측 환형 홈(13A)과, 유출측 환형 홈(13A)에 비하여 소경의 원반형 공간인 유출측 밸브 포켓(13B)을 구비하고 있다. 유출측 밸브 포켓(13B)은 유출측 환형 홈(13A)의 중심부 위치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유출측 제1 협지면(11)은, 유출측 밸브 포켓(13B)과 유출측 환형 홈(13A)의 경계의 단차면이다.
유출측 환형 홈(13A)의 직경은, 유출측 밸브체(4)의 외측 프레임부(41)에 형성된 각 돌기(44)의 선단을 연결한 가상 원의 직경에 비하여 조금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출측 제1 협지면(11)은, 돌기(44)의 직경 방향 폭과 외측 프레임부(41)의 직경 방향 폭을 합계한 직경 방향 폭을 갖추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유출측 제1 협지면(11)은, 돌기(44) 및 외측 프레임부(41)를 탑재한다(맞닿음시킴) 것이 가능하다.
유입측 제1 협지면(12)은, 유출측 환형 홈(13A)과 동일 직경으로 형성된 원반형의 유입측 장착 홈(15)에 있어서의 저면의 외주부 영역이다. 유출측 환형 홈(13A)과 유입측 장착 홈(15)은, 동일한 깊이(d1)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판형 부재(2)에는, 유출측 밸브 포켓(13B)과 상기 오목부(8)를 연통하는 제1 유출로(상기 유체 경로에 상당함)(16a)가 형성되고, 유입측 장착 홈(15)과 오목부(8)를 연통하는 제1 유입로 (상기 유체 경로에 상당함)(17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판형 부재(3)의 제2 대향면(3A)에는, 유출측 밸브체(4)를 배치하는 부위에, 유출측 밸브체(4)의 외측 프레임부(41)를, 그 두께 방향 타방측에서 협지하는 유출측 제2 협지면(18)이 형성되어 있다. 유출측 제2 협지면(18)으로서, 제2 대향면(3A)의 일부가 이용되고 있다.
제2 판형 부재(3)의 제2 대향면(3A)에는, 유입측 밸브체(5)를 배치하는 부위에, 유입측 밸브 포켓(19B)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측 밸브 포켓(19B)은, 유출측 밸브 포켓(13B)과 동일 형상이지만, 유출측 밸브 포켓(13B)과는 상이하고, 제2 대향면(3A)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유입측 밸브체(5)의 실링부(42)를 유입측 밸브 포켓(19B)에 삽입했다고 하면, 유입측 밸브체(5)의 돌기(44) 및 외측 프레임부(41)는, 유입측 밸브 포켓(19B)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온다.
도 2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판형 부재(3)의 두께 방향의 타방면(3B)에는, 제3 판형 부재(20)를 맞닿게 하여 조립할 때, 실링 부재(21)가 장착되는 실링 장착 오목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판형 부재(3)에는, 유출측 장착 홈(13)과 실링 장착 오목부(22a)를 연통하는 제2 유출로(16b)가 형성되고, 유입측 밸브 포켓(19B)과 실링 장착 오목부(22b)를 연통하는 제2 유입로(17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판형 부재(2) 및 제2 판형 부재(3)를, 그 외측면을 면일하게 하도록 하고, 제1 대향면(2A), 제2 대향면(3A)끼리를 접촉시키도록 하여 조립하기 위해서는, 제1 판형 부재(2) 및 제2 판형 부재(3)의 판면에 형성된 조립 구멍(23)에, 도시하지 않은 나비 나사 등의 조립 수단을 삽통(揷通)함으로써 양쪽 부재를 고정한다. 다만, 후술하는 제3 판형 부재(20)도 맞추어 조립된다.
제1 판형 부재(2) 및 제2 판형 부재(3)를, 그 외측면을 면일하게 하도록 하고, 제1 대향면(2A), 제2 대향면(3A)끼리를 접촉시키도록 하여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유출측 제1 협지면(11) 및 제2 대향면(3A) 사이의 면간 거리와, 유입측 제1 협지면(12) 및 제2 대향면(3A) 사이의 면간 거리는 동등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들 면간 거리와, 유출측 밸브체(4)[유입측 밸브체(5)]의 외측 프레임부(41)의 두께(t2)에서는, 외측 프레임부(41)의 두께(t2)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유출측 밸브체(4)는, 외측 프레임부(41)를 유출측 제1 협지면(11)에 장착하면, [유출측 제2 협지면(18)으로 압압되지 않아도] 실링부(42)의 맞닿음부(46)의 선단 원호면이, 제1 유출로(16a)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유출측 밸브 포켓(13B)의 저면에 접촉한다. 유입측 밸브체(5)에서는, 외측 프레임부(41)를 유입측 제1 협지면(12)에 장착하면, 실링부(42) 및 연결봉(47)이 유입측 밸브 포켓(19B)에 삽입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제2 판형 부재(3)의 제2 대향면(3A)을, 제1 판형 부재(2)의 제1 대향면(2A)에 맞닿게 하기 전에, 실링부(42)의 맞닿음부(46)의 선단 원호면이, 제2 유입로(17b)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유입측 밸브 포켓(19B)의 저면에 접촉한다.
바꾸어 말하면, 외측 프레임부(41)가 양 협지면(11, 18, 12, 18)에 의해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압압됨으로써, 외측 프레임부(41)가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고, 상기 탄성 압축 변형이 연결부(43)에 전달됨으로써, 탄성 압축 변형에 따른 양만큼 실링부(42)가, 그 두께 방향인 제1 유출로(16a) 측, 또는 제2 유입로(17b) 측으로 변위시켜진 방향의 힘을 받는다. 실링부(42)의 변위는, 유출측 밸브체(4)[유입측 밸브체(5)]에 있어서, 사전에 각 연결봉(47)이 유체 경로 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유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출측 밸브체(4) 및 유입측 밸브체(5)는 동일한 구성이지만, 유출 측에서의 사용법과 유입 측에서의 사용법은, 두께 방향에서 역전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출측 밸브체(4)에서는, 그 실링부(42)가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유입측 밸브체(5)에서는, 그 실링부(42)가 타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판형 부재(3)의 타방면에는, 도 2,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제3 판형 부재(20)가 조립되고, 역류 방지 밸브(1)[제2 판형 부재(3)]에, 제3 판형 부재(20)가 조립되어 펌프 헤드(6)로 된다. 제3 판형 부재(20)는, 각 실링 장착 오목부(22a, 22b)와 연통하는 제3 유출로(24) 및 제3 유입로(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역류 방지 밸브(1)에서는, 유출측 밸브체(4) 및 유입측 밸브체(5)는, 외측 프레임부(41)가 양 협지면(11, 18, 12, 18)에 의해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압압됨으로써, 외측 프레임부(41)가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고, 상기 탄성 압축 변형이 연결부(43)에 전달됨으로써, 탄성 압축 변형에 따른 양만큼 실링부(42)가, 그 두께 방향인 제1 유출로(16a) 측, 또는 제2 유입로(17b) 측으로 변위시켜져 있다. 그리고, 유출측 밸브체(4) 및 유입측 밸브체(5)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링부(42)나 제1 유출로(16a) 측, 또는 제2 유입로(17b)의 개구 외주부를 특별히 고정밀도로 형성하지 않고, 제1 유출로(16a) 측, 또는 제2 유입로(17b)는 실링부(42)[맞닿음부(46)]에 의해 안정되게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유입측 밸브체(5)에 있어서는, 각 연결봉(47)은 사전에 유체 경로 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입측 밸브체(5)의 외측 프레임부(41)가 양 협지면(11, 18, 12, 18)에 의해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압압되는 것에 의한 탄성 압축 변형은, 유입측 밸브체(5)의 실링부(42)를 유입측 장착 홈(15) 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제1 판형 부재(2) 및 제2 판형 부재(3)에 있어서는, 유입측 장착 홈(15)에 비하여 유입측 밸브 포켓(19B)이 작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실링부(42)에는 탄성 압축 변형이 한층 더 전달되기 쉽고, 실링부(42)를 확실하게 제2 유입로(17b) 측을 향하여 압압시킬 수 있다.
밸브체(4, 5)의 외측 프레임부(41)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43)는 복수 개의 연결봉(47)으로 구성되며, 이들 연결봉(47)은 실링부(42)를 중심으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측 프레임부(41)의 두께 방향으로의 탄성 압축 변형의 양이 주위 방향에서 균등해지고, 탄성 압축 변형의 양이 각 연결봉(47)에 균등하게 배분되므로, 실링부(42) 전체를 일정한 자세로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43)[연결봉(47)]의 두께는, 외측 프레임부(41)의 두께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외측 프레임부(41)의 탄성 압축 변형이 연결부(43)에 용이하게 전달된다. 또한, 실링부(42)의 두께는, 연결부(43)의 두께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43)의 강성에 비하여 실링부(42)의 강성이 높아지고, 실링부(42)의 거동을 안정되게 한다. 그리고, 연결부(43)의 두께는, 외측 프레임부(41)의 두께에 비하여 작은 것을 조건으로, 외측 프레임부(41)의 탄성 압축 변형이 연결부(43)에 용이하게 전달되기 쉽고, 또한 유체 경로를 폐쇄하고 있는 실링부(42)의 자세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다이어프램(7)을 사용한 정량 펌프에서는, 펌프의 구동이 정지되어도, 유체의 유출의 기세(유체의 토출의 관성)에 의해, 유체의 유출이 계속되어 버리는 오버피드라는 현상이 발생하고, 그렇게 되면 규정량보다 과대하게 유체가 유출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배압 밸브나 사이펀 정지 체크 밸브 등을, 역류 방지 밸브에 사용되는 밸브체와는 별도로 설치하다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역류 방지 밸브(1)에 있어서의 유출측 밸브체(4)에서는, 외측 프레임부(41)가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고, 상기 탄성 압축 변형이 연결부(43)에 전달됨으로써 실링부(42)가, 그 두께 방향인 제1 유출로(16a)에 가압되고 있다. 이 때문에, 펌프의 구동이 정지하면 동시에, 상기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실링부(42)가 제1 유출로(16a)의 개구 외주부에 확실하게 맞닿는다. 상기와 같이,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실링부(42)가 제1 유출로(16a)의 개구 외주부에 맞닿는 것에 의해, 오버피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압 밸브나 사이펀 정지 체크 밸브 등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로드(R)의 구동에 의해 다이어프램(7)이 일방측·타방측으로 왕복동됨에 따라, 오목부(8)로부터 제1 유출로(16a), 유출측 밸브 포켓(13B)에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의 공급 압력에 의해, 유출측 밸브체(4)의 실링부(42)[맞닿음부(46)]가, 제1 유출로(16a)의 개구 외주부로부터 떨어지고, 유체는 각 연결봉(47) 사이를 통과하고, 제2 유출로(16b) 측으로 이동하여 제3 유출로(24)로부터 유출된다(토출됨). 또한, 로드(R)의 구동에 의해 다이어프램(7)이 일방측·타방측으로 왕복동됨에 따라, 유체가 제3 유입로(25)로부터 제2 유입로(17b)에 유입되면, 유체의 공급 압력에 의해, 유입측 밸브체(5)의 실링부(42)[맞닿음부(46)]가, 제2 유입로(17b)의 개구 외주부로부터 떨어지고, 유체는 각 연결봉(47) 사이를 통과하여, 제1 유입로(17a)로부터 오목부(8)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형의 외측 프레임(41), 1개의 연결봉(47), 원반형의 실링부(42)는, 본 발명에 관한 밸브체(4, 5)의 일부분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1)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체(4, 5)에서는, 연결부(43)를 유체 경로 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실링부(42)를, 외측 프레임부(41)에 대하여 그 두께 방향 일방측에, 사전에 위치가 어긋나게 하여 배치시킨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4, 5)에 있어서 연결부(43)를 경사지게 하지 않고, 외측 프레임부(41), 실링부(42) 및 연결부(43)를 동일 평면으로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맞닿음부(46)는, 본체부(45)의 두께 방향의 양쪽 면의 외주단에 형성할 수 있다. 맞닿음부(46)를 본체부(45)의 두께 방향의 양쪽 면의 외주단에 형성하면, 유출측 밸브체(4), 유입측 밸브체(5)에서, 방향성을 선택하는 수고가 불필요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외측 프레임부(41)를 양 협지면(11, 18, 12, 18)[도면에서는 협지면(11, 18)만 표시하고 있음]에 의해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탄성 압축 변형에 따른 양만큼 실링부(42)를, 그 두께 방향으로 확실하게 변위시키기 위해서는, 제1 판형 부재(2) 및 제2 판형 부재(3)에, 협지면(11, 18)의 내측에 상당하는 영역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1 판형 부재(2) 측에, 한쪽의 유체 경로 측을 향하여, 실링부(42) 및 연결부(43)의 변위를 허용하는 허용 오목부(30)[제1 유출로(16a)와 연통하고 있는 공간에 상당함]를 형성한다. 또한, 제2 판형 부재(3) 측에는, 다른 쪽의 유체 경로 측으로 실링부(42) 및 연결부(43)의 변위를 규제시키는 규제부(31)를 형성한다. 상기 규제부(31)는, 도면에서는, 허용 오목부(30)에 대향하도록 제2 대향면(3A)의 일부에 형성한 오목부(32)[제2 유출로(16b)에 연통하고 있음]의 외측에 있는 제2 대향면(3A)의 일부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측 프레임부(41), 실링부(42) 및 연결부(43)를 동일 평면으로 되도록 형성해도,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4, 5)의 외측 프레임부(41)가 양 협지면(11, 18, 12, 18)에 의해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압압됨으로써, 외측 프레임부(41)가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고, 탄성 압축 변형은 연결부(43)에 전달되어, 탄성 압축 변형에 따른 양만큼 실링부(42)가 유체 경로 측으로 변위되어, 유체 경로는 실링부(42)에 의해 안정되게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체(4, 5)의 외측 프레임부(41)를 원환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사각형 프레임형, 타원 프레임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밸브체(4, 5)의 외측 프레임부(41)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타원형 등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봉(47)을 판형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단면 원형이어도 된다. 그 외, 실링부(42)를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 보다 변위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 단면을 대경이나 삼각형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도 18 내지 도 22는,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유출측 밸브체(4), 유입측 밸브체(5)는 각각 단독으로 취급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 밸브체에서는, 2개의 유출측 밸브체(4) 및 2개의 유입측 밸브체(5)는, 밸브체군(60)으로서 일체적으로 취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출측 밸브체(4), 유입측 밸브체(5)의 구성 및 사용법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반복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그리고, 도 18에는 후술하는 위치결정 홈(67), 유출측 장착 홈(13), 및 유입측 장착 홈(15)을 가상선으로 기재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 밸브체군(60)은 2개의 유출측 밸브체(4), 2개의 유입측 밸브체(5) 및 접속체(61)를 구비하고 있다. 유출측 밸브체(4) 및 유입측 밸브체(5)는, 돌기(44)의 방향을 같게 하고 있다. 접속체(61)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출측 밸브체(4)의 외측 프레임부(41)끼리를 접속시키는 제1 접속부(62),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입측 밸브체(5)의 외측 프레임부(41)끼리를 접속시키는 제2 접속부(63),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폭 방향 일방측의 유출측 밸브체(4), 유입측 밸브체(5)의 외측 프레임부(41)끼리를 접속시키는 제3 접속부(64),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폭 방향의 타방측의 유출측 밸브체(4), 유입측 밸브체(5)의 외측 프레임부(41)끼리를 접속시키는 제4 접속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1개의 유출측 밸브체(4)에, 제1 접속부(62)와, 제3 접속부(64) 또는 제4 접속부(65)가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또는, 1개의 유입측 밸브체(5)에, 제2 접속부(63)와, 제3 접속부(64) 또는 제4 접속부(65)가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이들 제1 접속부(62), 제2 접속부(63), 제3 접속부(64) 및 제4 접속부(65)는, 각각 봉형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서의 도중부의 단면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면 형상은 편평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62), 제2 접속부(63), 제3 접속부(64) 및 제4 접속부(65)의 두께는 동일하고, 돌기(44)의 두께(t1)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측 밸브체(4)에서는, 돌기(44)는 외측 프레임부(41)에 있어서, 실링부(42) 측의 단면과 면일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유입측 밸브체(5)에서는, 돌기는 외측 프레임부(41)에 있어서, 실링부(42)와는 반대 측의 단면과 면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62)에는, 밸브체군(60)을 전체로서 취급하는 경우에 파지하도록 사용되는 파지편(把持片)(66)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지편(66)은, 제1 접속부(62)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파지편(66)은 밸브체군(60)을 전체로서 취급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생략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형 부재(2)의 제1 대향면(2A)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유출측 장착 홈(13), 유입측 장착 홈(15)이 형성되고, 또한 제1 접속부(62), 제2 접속부(63), 제3 접속부(64), 제4 접속부(65)가 장착되는 위치결정 홈(67)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홈(67)은, 제1 접속부(62)가 장착되는 제1 홈부(70), 제2 접속부(63)가 장착되는 제2 홈부(71), 제3 접속부(64)가 장착되는 제3 홈부(72), 및 제4 접속부(65)가 장착되는 제4 홈부(73)를 구비한다. 제1 홈부(70)는 유출측 장착 홈(13)끼리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홈부(71)는, 유입측 장착 홈(15)끼리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홈부(72) 및 제4 홈부(73)는, 각각 유출측 장착 홈(13) 및 유입측 장착 홈(15)끼리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홈부(70), 제2 홈부(71), 제3 홈부(72) 및 제4 홈부(73)의 각각의 저면은, 유출측 제1 협지면(11)[유입측 제1 협지면(12)]과 면일이다.
제1 접속부(62)는, 유출측 밸브체(4)의 외측 프레임부(41)에 있어서 직경 방향 중심에 대하여 일방측(이 경우,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속부(63)는, 유입측 밸브체(5)의 외측 프레임부(41)에 있어서 직경 방향 중심에 대하여 일방측(이 경우,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접속부(64) 및 제4 접속부(65)는, 각각, 유출측 밸브체(4) 및 유입측 밸브체(5)에 있어서 직경 방향 중심에 대하여 일방측(이 경우, 옆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62) 및 제2 접속부(63)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 접속부(64) 및 제4 접속부(65)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군(60)은, 제1 접속부(62)를 제1 홈부(70)에장착하고, 제2 접속부(63)를 제2 홈부(71)에 장착하고, 제3 접속부(64)를 제3 홈부(72)에 장착하고, 제4 접속부(65)를 제4 홈부(73)에 각각 장착하고,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출측 밸브체(4)를 유출측 장착 홈(13)에 장착하고, 유입측 밸브체(5)를 유입측 장착 홈(15)에 장착한다. 그 후, 제1 판형 부재(2)의 제1 대향면(2A)에, 제2 판형 부재(3)의 제2 대향면(3A)을 맞닿게 하여, 각 유출측 밸브체(4), 유입측 밸브체(5)의 외측 프레임부(41)를 탄성 압축시킨다. 각 유출측 밸브체(4), 유입측 밸브체(5)의 작용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군(60)에 의하면, 4개의 밸브체(4, 5)가, 제1 접속부(62), 제2 접속부(63), 제3 접속부(64), 제4 접속부(65)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밸브체(4, 5)를 하나씩 취급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제품 관리가 편해지고, 유출측 밸브체(4), 유입측 밸브체(5)의 상하 관계, 두께 방향에서의 표리 위치(장착 방향)를 착오없이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62, 63, 64, 65)는, 4개의 밸브체(4, 5)를 일체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 기능을 갖추는 부분은 밸브체(4, 5)이다.
그리고, 제3 실시형태 밸브체군(60)에 있어서, 유출측 밸브체(4), 또는 유입측 밸브체(5)는, 본 발명에 관한 밸브체군(60)의 일부분의 형태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군(75)은, 1개의 유출측 밸브체(4)와, 1개의 유입측 밸브체(5)와, 이들 밸브체(4, 5)끼리를 접속시키는 1개의 접속부(76)를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1개의 접속부(76)를 공유하여, 1개의 유출측 밸브체(4)와 1개의 유입측 밸브체(5)가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각 밸브체(4, 5)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접속부(76)는, 제3 접속부(64)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군(75)에 의하면, 2개의 밸브체(4, 5)가 접속부(76)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밸브체(4, 5)를 하나씩 취급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제품 관리가 편해지고, 유출측 밸브체(4), 유입측 밸브체(5)의 상하 관계, 두께 방향에서의 표리 위치(장착 방향)를 착오없이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76)는 2개의 밸브체(4, 5)를 일체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 기능을 갖추는 부분은 밸브체(4, 5)이다.
그리고, 제4 실시형태 밸브체군(75)에 있어서, 유출측 밸브체(4), 또는 유입측 밸브체(5)는, 본 발명에 관한 밸브체군(75)의 일부분의 형태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출측 밸브체(4)는 외측 프레임부(41)와, 외측 프레임부(41)의 내측에 배치된 실링부(42)와, 외측 프레임부 및 실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43)는, 1개의 독립된 연결봉(47)을, 실링부(42)의 본체부(45)를 중심으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한 방사상으로 배치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즉, 외측 프레임부(41)와 실링부(42)는 1개의 연결봉(47)이라도 일체적으로 된다.
또한, 연결부(43)는 봉형의 부재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연결봉(47)에 비하여 폭이 넓은 연결판(정면에서 볼 때 부채형)을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프레임부(41)의 외주면(41a)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돌기(44)는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도 27 내지 도 32는,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군(80)이 포함하는 구성 중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군(60)과 상이한 구성으로서, 유출 밸브체(4) 및 유입 밸브체(5)가 돌기(44)의 대체로서 돌기 프레임(81)을 구비하는 것, 유출 밸브체(4) 및 유입 밸브체(5)에 있어서의 외측 프레임부(82)의 단면 형상이다. 이들 상이한 구성 이외의 구성 및 그 형상은,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다만, 파지편(66)은, 제1 접속부(62)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에 대하여, 한쪽의 유출 밸브체(4) 측으로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출 밸브체(4) 및 유입 밸브체(5)에서는, 각각 돌기(44)의 대체로서, 외측 프레임부(41)의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 프레임(81)이, 외측 프레임부(8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출 밸브체(4)에서는, 돌기 프레임(81)은, 직경 방향의 외측부 쪽일수록 두께 방향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도 30 참조). 유입 밸브체(5)에서는, 돌기 프레임(81)은, 직경 방향의 외측부일수록, 실링부(42)가 외측 프레임부(82)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 있는 두께 방향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도 32 참조).
돌기 프레임(81)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는 연결봉(47)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4, 5)의 직경 방향 중심으로부터 돌기 프레임(81)의 직경 방향의 외측 단(端)까지의 거리, 즉, 밸브체(4, 5)의 반경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의 직경 방향 중심으로부터 돌기(44)의 직경 방향외단까지의 거리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에서는, 외측 프레임부(41)의 직경 방향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 대하여,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측 프레임부(82)의 직경 방향 단면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부(82)의 직경은, 돌기 프레임(81)의 두께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돌기 프레임(81)은, 외측 프레임부(8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중심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4, 5)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돌기 프레임(8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일방측의 모서리 단과, 외측 프레임부(8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일방측의 단은, 밸브체(4, 5)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동일 평면 상에 존재)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의 구성과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를 비교하여 상이한 구성은, 이상의 설명과 같다.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의 다른 부분의 구성 및 형상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의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는, 밸브체군(80)을 구성하는 일부분의 요소로서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제1 접속부(62), 제2 접속부(63), 제3 접속부(64) 및 제4 접속부(65)에 의해 밸브체(4, 5)끼리를 연결시키지 않고, 단체(單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는, 도 23 내지 도 26에서 나타낸 제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1개의 유출측 밸브체(4)와, 1개의 유입측 밸브체(5)와, 이들 밸브체(4, 5)끼리를 접속시키는 1개의 접속부(76)를 구비한 밸브체군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라도, 제4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은, 돌기 프레임(81) 및 외측 프레임부(82)의 구성 및 형상뿐이며, 다른 부분의 구성 및 형상은,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4, 5)는, 도 1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 대략 원형 단면의 외측 프레임부(82)가 유출측 제1 협지면(11)과 유출측 제2 협지면(18)으로 협지되어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시켜지는 것에 의하여, 실링부(42)가 밸브체(4, 5)의 두께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와 같은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하여, 제5 실시형태 밸브체(4, 5)는,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 역류 방지 밸브
2 : 제1 판형 부재
2A : 제1 대향면
2a : 두께 방향의 일방면
3 : 제2 판형 부재
3A : 제2 대향면
3B : 두께 방향 타방면
4 : 유출측 밸브체
5 : 유입측 밸브체
6 : 펌프 헤드
7 : 다이어프램
8: 오목부
11 : 유출측 제1 협지면
12 : 유입측 제1 협지면
13 : 유출측 장착 홈
13A : 유출측 환형 홈
13B : 유출측 밸브 포켓
15 : 유입측 장착 홈
18 : 유출측 제2 협지면
19B : 유입측 밸브 포켓
21 : 실링 부재
22 : 실링 장착 오목부
30 : 허용 오목부
31 : 규제부
32 : 오목부
41 : 외측 프레임부
41a : 외주면
4lb : 타방면
41c : 일방면
41d : 내주면
42 : 실링부
43 : 연결부
44 : 돌기
45 : 본체부
46 : 맞닿음부
47 : 연결봉

Claims (7)

  1. 한 쌍의 부재가 각각 구비한 협지(sandwich)면에 의해, 밸브체가 그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역류 방지 밸브로서,
    상기 밸브체는, 외측 프레임부; 상기 외측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부재 중 한쪽의 부재에 형성된 유체(流體) 경로를 개폐하는 실링부;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 및 상기 실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프레임부, 상기 실링부 및 상기 연결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부재의 접합 상태에 의한 협지면끼리의 면간 치수에 비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가 크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부재의 접합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부재 협지면으로 상기 외측 프레임부가 협지되어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실링부가 그 두께 방향 일방측(一方側)으로 변위되어 있는,
    역류 방지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재 중 한쪽의 부재에, 상기 유체 경로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가 두께 방향으로 탄성 압축 변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실링부가 그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부재 중 다른 쪽의 부재에, 상기 실링부의 두께 방향 타방측으로의 변위를 규제시키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역류 방지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는, 역류 방지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두께는, 상기 연결부의 두께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는, 역류 방지 밸브.
  5. 외측 프레임부; 상기 외측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유체 경로를 개폐하는 실링부; 및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 및 상기 실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체로서,
    상기 외측 프레임부, 상기 실링부 및 상기 연결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프레임부의 두께는, 대향하여 배치되어 밸브체를 장착하는 한 쌍의 부재에 있어서의 장착 위치에서의 대향면간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밸브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실링부를 상기 외측 프레임부에 비하여 두께 방향 일방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밸브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부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의 연결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연결봉은 상기 실링부를 중심으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밸브체.
KR1020177026075A 2015-03-25 2016-03-24 역류 방지 밸브 및 밸브체 KR102367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2540 2015-03-25
JP2015062540 2015-03-25
PCT/JP2016/059471 WO2016153004A1 (ja) 2015-03-25 2016-03-24 逆止弁および弁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417A true KR20170131417A (ko) 2017-11-29
KR102367255B1 KR102367255B1 (ko) 2022-02-23

Family

ID=5697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075A KR102367255B1 (ko) 2015-03-25 2016-03-24 역류 방지 밸브 및 밸브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73224B2 (ko)
JP (1) JP6446536B2 (ko)
KR (1) KR102367255B1 (ko)
CN (1) CN107429853B (ko)
WO (1) WO2016153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2055A1 (en) * 2016-12-27 2018-07-05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making a beverage
CN108591449A (zh) * 2018-06-13 2018-09-28 卢欣渝 一种皮碗及装有该皮碗的单向阀
JP7216367B2 (ja) * 2018-11-30 2023-02-01 応研精工株式会社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7248490B2 (ja) * 2019-04-24 2023-03-29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デバイスの位置および姿勢の推定方法
JP7403123B2 (ja) * 2019-07-01 2023-12-22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キャップ
DE102020204436A1 (de) 2020-04-06 2021-10-07 Elringklinger Ag Ventilvorrichtung und elektrochemisches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8576A (en) * 1966-12-15 1970-04-28 Westinghouse Bremsen Apparate Pneumatic check valves
US4712583A (en) * 1986-05-27 1987-12-15 Pacesetter Infusion, Ltd. Precision passive flat-top valve for medication infusion system
JP2001012356A (ja) 1999-06-23 2001-01-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逆止弁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マイクロ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10052A (en) * 1937-08-03 1939-07-26 William Charles Groenig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on-return valve devices
DE1181015B (de) * 1959-05-05 1964-11-05 Perrot Regnerbau G M B H Entwaesserungsventil fuer Regnerleitung
US3077205A (en) * 1961-02-13 1963-02-12 Frankenstein & Sons Manchester Non-return valves
JPS5480133U (ko) * 1977-11-18 1979-06-07
US4493339A (en) * 1982-05-05 1985-01-15 Porter Instrument Company, Inc. Air valve for a breathing system
DE4446170A1 (de) * 1994-12-23 1996-06-27 Bosch Gmbh Robert Sperrventilanordnung für eine Pumpvorrichtung
JP2004298778A (ja) * 2003-03-31 2004-10-28 Asmo Co Ltd ウォッシャノズル及びホースジョイント
JP2006528742A (ja) 2003-07-23 2006-12-21 ハーグレーブス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トロークが制御されたポンプバルブ
DE502008001161D1 (de) * 2007-03-02 2010-09-30 Elringklinger Ag Abgas-rückschlagventil
US7721763B2 (en) * 2008-01-08 2010-05-25 Pradip Choksi Adjustable pressure relief valve
US8627852B2 (en) * 2009-01-22 2014-01-14 Aptargroup, Inc. Apertured flow control element and housing structure therefor
JP2012112419A (ja) * 2010-11-24 2012-06-14 Asti Corp 逆止弁及び逆止弁の製造方法
WO2012140968A1 (ja) * 2011-04-12 2012-10-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順止バルブ、燃料電池システム
FR2974226A1 (fr) 2011-04-12 2012-10-19 Mxp4 Procede de generation d'effet sonore dans un logiciel de jeu, programme d'ordinateur associe et systeme informatique pour executer des instructions du programme d'ordinateur.
GB2492955A (en) * 2011-07-13 2013-01-23 Oxford Nanopore Tech Ltd One way valve
JP5561492B2 (ja) 2011-11-04 2014-07-30 Smc株式会社 チェック弁
WO2014107436A1 (en) 2013-01-02 2014-07-10 Illinois Tool Works Inc. Check valve with integrated filter
DE102014210231A1 (de) * 2014-05-28 2015-12-03 Robert Bosch Gmbh Druckausgleichselement mit einer Membran, Gehäuse, Batteriezellenmodul sowie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8576A (en) * 1966-12-15 1970-04-28 Westinghouse Bremsen Apparate Pneumatic check valves
US4712583A (en) * 1986-05-27 1987-12-15 Pacesetter Infusion, Ltd. Precision passive flat-top valve for medication infusion system
JP2001012356A (ja) 1999-06-23 2001-01-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逆止弁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マイクロ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46536B2 (ja) 2018-12-26
US20180119833A1 (en) 2018-05-03
CN107429853B (zh) 2019-12-10
CN107429853A (zh) 2017-12-01
KR102367255B1 (ko) 2022-02-23
WO2016153004A1 (ja) 2016-09-29
JPWO2016153004A1 (ja) 2017-12-07
US10473224B2 (en)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1417A (ko) 역류 방지 밸브 및 밸브체
US9638337B2 (en) Plug valve having preloaded seal segments
CN103090059B (zh) 单向阀
US3208472A (en) Dual flapper check valve
JP2011241943A (ja) ボールバルブ
TWM507977U (zh) 壓電泵
KR101588961B1 (ko) 리프트형 체크밸브
JP2009150329A (ja) 圧電ポンプ
KR20190137899A (ko) 밸브 장치 및 유체제어장치
JP6827273B2 (ja) ブロック継手の閉止栓
RU207376U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US9435445B2 (en) Normally closed three-port valve
CN112824719B (zh)
KR20110049057A (ko) 다이어프램 방식의 체크밸브
US9664283B2 (en) Captivated seal assembly
JP4653795B2 (ja) ボディ本体におけるブロック間固定構造
TWI608175B (zh) 接合裝置
TW202319671A (zh) 控制閥
JP5995595B2 (ja) 制御弁および制御弁の組立方法
RU133240U1 (ru) Клапан прямоточный
FR3090792B1 (fr) Dispositif de vanne fluidique anti-retour
JP3302756B2 (ja) ライン逆止弁
KR20210076684A (ko) 금속가스킷 및 이 금속가스킷이 구비된 밸브
JP2021050480A (ja) 水栓装置
WO2017064768A1 (ja) 逆止弁及びダイヤフラム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