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268A -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이형필름,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이형필름,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268A
KR20170123268A KR1020170054154A KR20170054154A KR20170123268A KR 20170123268 A KR20170123268 A KR 20170123268A KR 1020170054154 A KR1020170054154 A KR 1020170054154A KR 20170054154 A KR20170054154 A KR 20170054154A KR 20170123268 A KR20170123268 A KR 20170123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film
parts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801B1 (ko
Inventor
유키 하시모토
게이타 구메
요시키 이토
아키히로 야마자키
도루 히가시모토
Original Assignee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12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6817533B2/ja
Application filed by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69Lactones
    • C08G18/4277Caprolactone and/or substituted caprolac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9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1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과제)플라스틱 필름에, 이형성(금형에 대한 분리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또한 블리드아웃의 문제가 적은 경화 도포막을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또한 단시간에 형성할 수 있는, 신규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A)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2000mgKOH/g인 폴리올, 또는 (A1)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20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840mgKOH/g인 폴리올 및 (A2)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2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841∼2000mgKOH/g인 폴리올, 및 (B)수산기 함유 실리콘과, (C)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이다.

Description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이형필름, 이형필름의 제조방법{THERMOSETTING RELEASE COATING AGENT, RELEAS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RELEASE FILM}
본 발명은,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熱硬化性 離型 coating劑), 이형필름(離型film) 및 당해 코팅제를 사용한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성, 치수안정성, 기계적 특성, 내약품성(耐藥品性) 등의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LCD 부재의 프리즘시트, 광확산시트, 반사판, 반사방지판, 터치패널, 방폭필름, PDP필터 등, 광학용 필름 제품의 베이스 필름으로서의 이용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은, 이형필름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많고, 각종 점착시트나 터치패널용 보호필름 등의 세퍼레이터(separator)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형필름은 세라믹 전자부품이나 수지시트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도 사용된다.
이형필름에 사용하는 이형제(離型劑)로서는, 실리콘 수지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에는,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배합액을 적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멜라민 수지의 경화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산촉매(酸觸媒)를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17044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19037호 공보
그러나 실리콘 수지는 종종 도포막 표면을 블리드아웃(bleed-out)하여, 상기 도포막에 적층되는 점착제나 수지시트 등의 피착체(被着體)로 이행(移行)하여, 그 특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배합액을 적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는 배합액은, 경화에 필요한 온도가 190도로, 기재에 대한 열 데미지(熱 damage)가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촉매를 병용한 때에는, 코팅제의 경시안정성(포트 라이프(pot life))이 악화되어 증점(增粘)을 초래하여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에, 이형성(離型性)(금형에 대한 분리성)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블리드아웃의 문제가 적은 경화 도포막을, 종래와 비교하여 저온에서 또한 단시간에 형성할 수 있는, 신규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검토한 결과, 소정의 폴리올과, 소정의 실리콘 수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및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의하여 이하의 항목이 제공된다.
(항목1A)
(A)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2000mgKOH/g인 폴리올,
또는
(A1)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20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840mgKOH/g인 폴리올 및
(A2)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2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841∼2000mgKOH/g인 폴리올,
(B)수산기 함유 실리콘과,
(C)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항목1B)
(A)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2000mgKOH/g인 폴리올과,
(B)수산기 함유 실리콘과,
(C)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항목1C)
(A1)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20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840mgKOH/g인 폴리올과,
(A2)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2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841∼2000mgKOH/g인 폴리올과,
(B)수산기 함유 실리콘과,
(C)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항목2)
(A)성분의 폴리올이, 분자량이 20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840mgKOH/g인 상기 항목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항목3)
(A)성분이, 개환중합형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 및/또는 중축합형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을 포함하는 상기 항목의 어느 1항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항목4)
(B)성분이, 아크릴 폴리머 부위, 폴리에스테르 부위, 폴리에테르 부위 및 카비놀 부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상기 항목의 어느 1항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항목5)
(D)경화촉매를 더 포함하는 상기 항목의 어느 1항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항목6)
(E)유기용제를 더 포함하는 상기 항목의 어느 1항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항목7)
상기 항목의 어느 1항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의 경화막과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이형필름.
(항목8)
플라스틱 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상기 항목의 이형필름.
(항목9)
상기 항목의 어느 1항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도포하고, 가열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항목10)
플라스틱 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상기 항목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본 개시에 있어서, 상기한 1 또는 복수의 특징은, 명시된 조합에 더하여, 더 조합해서 제공될 수 있는 것이 의도된다. 상기 이외의 새로운 실시형태 및 이점은 필요에 따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서 이해함으로써 당업자에게 인식된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는, 경시안정성(포트 라이프(pot life))에 있어서 우수하다. 또한 이형성(금형에 대한 분리성) 및 내용제성이 양호한 경화피막을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또한 단시간에 형성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다. 또한 상기 코팅제에 있어서 경화피막으로부터 피착체에 대한 실리콘 이행성이 적기 때문에, 각종 이형필름의 이형제로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이형필름은, 이형성(금형에 대한 분리성) 및 내용제성이 양호한 경화피막을 구비하고 있고, 게다가 예를 들면 수지시트용 캐스트 용액이나 무기물 슬러리 등의, 유기용제를 많이 포함하는 재료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형필름은, 수지시트, 합성피혁, 화장판(化粧板), 탄소섬유 프리프레그(prepreg), 세라믹 전자부품 등의 제조공정용 이형필름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전사인쇄 관련 제품용의 이형필름, 편광판·위상차판 등의 점착층 보호용의 이형필름(세퍼레이터) 등으로서도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 단수형의 표현은,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그 복수형의 개념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당해 분야에서 보통 사용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중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문용어 및 과학기술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모순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정의를 포함해서)가 우선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 제공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중의 기재를 참작하여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개변을 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하의 실시형태는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혹은 그들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이하, 코팅제)는, 소정의 (A)폴리올(이하, (A)성분)과, (B)수산기 함유 실리콘(이하, (B)성분)과, (C)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하, (C)성분)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A)성분은, 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5000 정도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2000mgKOH/g 정도인 폴리올이며, 각종 공지의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중에 있어서 「분자량」은, 식량(式量) 또는 수평균분자량이다.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이 특정한 화학식으로 일의적(一義的)으로 화합물의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분자량은 식량이다. 한편 개환중합형(開環重合型)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나 중축합형(重縮合型)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같이 특정한 화학식으로 일의적으로 화합물의 구조를 표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분자량은 수평균분자량이다. 보통 분자량의 상한은, 5000,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50, 134, 100 정도이며, 보통 분자량의 하한은,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50, 134, 100, 90, 80 정도이다. 분자량의 범위는 상기 기재의 상한 및 하한의 값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보통 수산기가(水酸基價)의 상한은, 2000mgKOH/g, 1900mgKOH/g, 1800mgKOH/g, 1700mgKOH/g, 1600mgKOH/g, 1500mgKOH/g, 1400mgKOH/g, 1300mgKOH/g, 1250mgKOH/g, 1200mgKOH/g, 1100mgKOH/g, 1000mgKOH/g, 900mgKOH/g, 800mgKOH/g, 700mgKOH/g, 600mgKOH/g, 550mgKOH/g, 540mgKOH/g, 500mgKOH/g, 400mgKOH/g, 350mgKOH/g, 340mgKOH/g, 300mgKOH/g, 200mgKOH/g, 100mgKOH/g, 90mgKOH/g, 85mgKOH/g, 84mgKOH/g, 80mgKOH/g, 70mgKOH/g, 60mgKOH/g, 56mgKOH/g, 50mgKOH/g, 40mgKOH/g 정도이며, 보통 수산기가의 하한은, 1900mgKOH/g, 1800mgKOH/g, 1700mgKOH/g, 1600mgKOH/g, 1500mgKOH/g, 1400mgKOH/g, 1300mgKOH/g, 1250mgKOH/g, 1200mgKOH/g, 1100mgKOH/g, 1000mgKOH/g, 900mgKOH/g, 800mgKOH/g, 700mgKOH/g, 600mgKOH/g, 550mgKOH/g, 540mgKOH/g, 500mgKOH/g, 400mgKOH/g, 350mgKOH/g, 340mgKOH/g, 300mgKOH/g, 200mgKOH/g, 100mgKOH/g, 90mgKOH/g, 85mgKOH/g, 84mgKOH/g, 80mgKOH/g, 70mgKOH/g, 60mgKOH/g, 56mgKOH/g, 50mgKOH/g, 40mgKOH/g, 30mgKOH/g 정도이다.
수산기가의 범위는 상기 기재의 상한 및 하한의 값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경화피막(硬化皮膜)의 내용제성(耐溶劑性)과 박리성(剝離性)의 양립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90∼2000 정도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80∼1900mgKOH/g 정도이다.
(A)성분의 비한정적인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개환중합형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이하, (a-1)성분) 및/또는 중축합형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이하, (a-2)성분)을 들 수 있다.
(a-1)성분은, 구체적으로는 각종 공지의 락톤과 트리올 및/또는 테트라올과의 반응물인 폴리락톤트리올 및/또는 폴리락톤테트라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락톤으로서는, 예를 들면 β-프로피오락톤, γ-부티로락톤, δ-발레로락톤, β-메틸-δ-발레로락톤 및 ε-카프로락톤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1,2,6-헥산트리올, 1,2,4-부탄트리올 등, 테트라올로서는 펜타에리스리톨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a-1)성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락셀(Placcel)303, 동(同)L320AL, 동(同)305, 동(同)308, 동(同)309, 동(同)312, 동(同)320 및 동(同)410 등을 들 수 있다(모두 (주)다이셀(Daicel Corporation) 제품).
(a-2)성분은, 구체적으로는 각종 공지의 저분자 디올, 저분자 디카르복시산 및 트리올과의 반응물이다. (a-2)성분의 예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테트라올, 폴리에스테르트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분자 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저분자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핀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호박산, 옥살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피멜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및 수베르산 및 대응하는 것의 무수물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트리올은, 상기한 것과 같다. (a-2)성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쿠라레폴리올(Kuraray Polyol)F-510, 동(同)F-1010, 동(同)F-2010, 동(同)F-3010(모두 (주)쿠라레(KURARAY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a-1)성분 및 (a-2)성분을 병용하는 경우에, 그들의 질량비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보통 질량비 (a-1)/(a-2)의 상한이, 1/99, 5/95, 10/90, 15/85, 20/80, 25/75, 30/70, 35/65, 40/60, 45/55, 50/50, 55/45, 60/40, 65/35, 70/30, 75/25, 80/20, 85/15, 90/10, 95/5 정도이다. 또 질량비의 하한이, 5/95, 10/90, 15/85, 20/80, 25/75, 30/70, 35/65, 40/60, 45/55, 50/50, 55/45, 60/40, 65/35, 70/30, 75/25, 80/20, 85/15, 90/10, 95/5, 99/1 정도이다. 질량비의 범위는 상기 기재의 상한 및 하한의 값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질량비의 범위는 1/99∼99/1 정도이다.
(A)성분에는, (a-1)성분 및 (a-2)성분의 쌍방 이외의 폴리올(이하, (a-3)성분)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트리올, 폴리에테르테트라올, 폴리카보네이트트리올, 피마자유 폴리올, 알킬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중에서 「알킬폴리올」이란, 화합물중에 알킬기, 알킬렌기 및 수산기만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수산기를 화합물중에 3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알킬폴리올」의 예로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등을 들 수 있다. (a-3)성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데카폴리에테르(ADEKA POLYETHER)G-300, G-400, G-700, AM-302, AM-502, AM-702, BM-54, GM-30(모두 (주)아데카(ADEKA CORPORATION) 제품), HS 6G-160, HS CM-025P, HS CM-075P(모두 호코쿠세유(주)(Hokoku Corporation)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미쓰비시가스화학(주)(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제품), 글리세린(사카모토약품공업(주)(SAKAMOTO YAKUHIN KOGYO CO., LTD) 제품), 펜타릿토(고에화학공업(주)(KOEI CHEMICAL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A)성분으로서, (a-1)성분 및 (a-2)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A)성분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한 (a-3)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원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a-3)성분을 (a-1)성분 및/또는 (a-2)성분과 병용하는 경우에, (A)성분에서 차지하는 (a-3)성분의 비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보통 50질량% 미만이며, 예를 들면 45질량% 미만, 40질량% 미만, 35질량% 미만, 34질량% 미만, 30질량% 미만, 25질량% 미만, 20질량% 미만, 15질량% 미만, 10질량% 미만, 5질량% 미만이다.
또 (A)성분으로서, 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20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840mgKOH/g인 폴리올(A1)과, 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2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841∼2000mgKOH/g인 폴리올(A2)을 각각 포함하여도 좋다.
(B)성분은, 소위 수산기 함유 유기변성 실리콘이면 각종 공지의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변성부위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폴리머 부위, 폴리에스테르 부위, 폴리에테르 부위 및 카비놀 부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폴리머 부위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성부위는, 실리콘 사슬(鎖)의 한쪽 말단(末端), 양쪽 말단 및 측쇄(側鎖) 중 어느 하나에 유입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변성부위가 아크릴 폴리머인 (B)성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ZX-028-G((주)T&K TOKA 제품), BYK-SILCLEAN3700(빅케미·재팬(주)(BYK Japan KK) 제품), 사이맥(SYMAC)US-270(동아합성(주)(TOAGOSEI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변성부위가 폴리에스테르인 (B)성분의 시판품 및 상기 변성부위가 폴리에테르인 (B)성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BYK-370, BYK-375, BYK-377, BYK-SILCLEAN3720(빅케미·재팬(주) 제품), X-22-4952, KF-6123(신에츠화학공업(주)(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변성부위가 카비놀인 (B)성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X-22-4039, X-22-4015, X-22-4952, X-22-4272, X-22-170BX, X-22-170DX, KF-6000, KF-6001, KF-6002, KF-6003, KF-6123, X-22-176F(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사일라플레인(Silaplane)FM-4411, 사일라플레인FM-4421, 사일라플레인FM-4425, 사일라플레인FM-0411, 사일라플레인FM-0421, 사일라플레인FM-DA11, 사일라플레인FM-DA21, 사일라플레인FM-DA26(JNC(주) 제품)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C)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나,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류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isocyanurate體), 어덕트체(adduct體)) 및 비우렛체(biuret體) 등의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소위 폴리메릭이소시아네이트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A)성분과 (C)성분의 사용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C)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A)성분의 수산기와의 몰비(NCO/OH)의 상한이, 3, 2.5, 2, 1.5, 1, 0.5, 0.4, 0.3이다. 또한 (C)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A)성분의 수산기와의 몰비(NCO/OH)의 하한이, 2.5, 2, 1.5, 1, 0.5, 0.4, 0.3, 0.2이다. 또 (C)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A)성분의 수산기와의 몰비(NCO/OH)의 범위는 상기 기재의 상한 및 하한의 값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C)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A)성분의 수산기와의 몰비(NCO/OH)의 범위는 특히 내용제성의 관점으로부터, 보통 (C)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A)성분의 수산기와의 몰비(NCO/OH)가 0.2∼3정도가 되면 좋다.
(B)성분의 사용량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B)성분의 사용량의 상한은, 보통 (A)성분과 (C)성분의 합계질량(고형분 환산)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 9질량%, 8질량%, 7질량%, 6질량%, 5질량%, 4질량%, 3질량%, 2질량%, 1질량%, 0.8질량%, 0.5질량%, 0.2질량%이다. 또한 (B)성분의 사용량의 하한은, 보통 (A)성분과 (C)성분의 합계질량(고형분 환산)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9질량%, 8질량%, 7질량%, 6질량%, 5질량%, 4질량%, 3질량%, 2질량%, 1질량%, 0.8질량%, 0.5질량%, 0.2질량%, 0.1질량%이다. 또 (B)성분의 사용량 범위는 상기 기재의 상한 및 하한의 값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B)성분의 사용량 범위의 바람직한 예는, 내용제성 및 이형성(금형에 대한 분리성)의 관점으로부터, 보통 (A)성분과 (C)성분의 합계질량(고형분 환산)에 대하여 0.1∼10질량%(고형분 환산) 정도가 되는 범위이면 좋다.
본 발명의 코팅제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공지의 (D)경화촉매(硬化觸媒)(이하, (D)성분)를 포함하여도 좋다. (D)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DBU),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DBN) 등의 3급 아민계 화합물; 디부틸 주석 디클로라이드, 디부틸 주석 옥사이드, 디부틸 주석 디브로마이드, 디부틸 주석 디말레이트,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 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 주석 설파이드, 트리부틸 주석 설파이드, 트리부틸 주석 옥사이드, 트리부틸 주석 아세테이트, 트리에틸 주석 에톡시드, 트리부틸 주석 에톡시드, 디옥틸 주석 옥사이드, 디옥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디옥틸 주석 디버사테이트(dioctyltin diversatate), 트리부틸 주석 클로라이드, 트리부틸 주석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2-에틸헥산산주석 등의 주석계 화합물; 디부틸티타늄디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부톡시티타늄트리클로라이드 등의 티탄계 화합물; 올레인산납, 2-에틸헥산산납, 안식향산납, 나프텐산납 등의 납계 화합물; 2-에틸헥산산철,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철계 화합물; 안식향산코발트, 2-에틸헥산산코발트 등의 코발트계 화합물; 2-에틸헥산산비스무트, 나프텐산비스무트 등의 비스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경화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주석계 화합물 및/또는 상기 철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철계 화합물은, 코팅제의 포트 라이프(pot life)의 관점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D)성분이 사용될 경우에 그 사용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D)성분의 사용량의 상한은, 보통 (A)성분과 (C)성분의 합계질량(고형분 환산)에 대하여 10질량%, 9질량%, 8질량%, 7질량%, 6질량%, 5질량%, 4질량%, 3질량%, 2질량%, 1질량%, 0.5질량%, 0.1질량%이다. 또한 (D)성분의 사용량의 하한은, 보통 (A)성분과 (C)성분의 합계질량(고형분 환산)에 대하여 9질량%, 8질량%, 7질량%, 6질량%, 5질량%, 4질량%, 3질량%, 2질량%, 1질량%, 0.5질량%, 0.1질량%, 0.01질량%이다. 또 (D)성분의 사용량 범위는 상기 기재의 상한 및 하한의 값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D)성분의 사용량 범위의 바람직한 예는, 코팅제의 포트 라이프나 반응경화속도 등의 관점으로부터, 보통 (A)성분과 (C)성분의 합계질량(고형분 환산)에 대하여 0.01∼10질량%(고형분 환산) 정도가 되는 범위이면 좋다.
본 발명의 코팅제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공지의 (E)유기용제(이하, (E)성분)를 포함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톤, 아세틸아세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메틸글리콜, 톨루엔, 크실렌, 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부탄올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코팅제의 포트 라이프의 관점으로부터 케톤계의 유기용매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케톤계의 유기용매 중에서도 아세틸아세톤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성분이 사용될 경우에 그 사용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보통 (E)성분의 사용량의 상한은, 본 발명의 코팅제의 고형분농도가 고형분 환산으로 50질량%, 45질량%, 40질량%, 35질량%, 30질량%, 25질량%, 21질량%, 20질량%, 15질량%, 10질량%, 5질량%가 되는 정도로 사용되고, (E)성분의 사용량의 하한은, 본 발명의 코팅제의 고형분농도가 고형분 환산으로 45질량%, 40질량%, 35질량%, 30질량%, 25질량%, 21질량%, 20질량%, 15질량%, 10질량%, 5질량%, 1질량%가 되는 정도로 사용된다. 또 (E)성분의 사용량 범위는 상기 기재의 상한 및 하한의 값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E)성분은 본 발명의 코팅제의 고형분농도가 1∼50질량%가 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코팅제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공지의 (F)디올(이하, (F)성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카프로락톤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폴리카프로락톤디올을 제외한다),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F)성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쿠라레폴리올P-510, 동(同)P-1010, 동(同)P-1020, 동(同)P-2010 (모두 (주)쿠라레 제품), 프락셀205, 동(同)208, 동(同)210, 동(同)212(모두 (주)다이셀 제품), 아데카폴리에테르P-400, BPX-11(모두 (주)아데카 제품), 쿠라레폴리올C-590, 동(同)C-1090, 동(同)C-2090 (모두 (주)쿠라레 제품), 듀라놀(DURANOL)T-5650J, 동(同)T-5652(모두, 아사히화성케미컬즈(주)(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제품), 프락셀CD210((주)다이셀 제품), 닛포란(NIPPOLAN)981, 동(同)980R(도소(주)(Tosoh Corporation) 제품),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BG(모두, 미쓰비시화학(주)(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제품), CHDM-D(나가세산업(주)(NAGASE &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F)성분이 사용될 경우에 그 사용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보통 (F)성분의 사용량의 상한은, (A)성분과 (F)성분의 합계질량(고형분 환산)에 대하여 50질량%, 45질량%, 40질량%, 35질량%, 30질량%, 25질량%, 20질량%, 15질량%, 10질량%, 5질량%이며, (F)성분의 사용량의 하한은, (A)성분과 (F)성분의 합계질량(고형분 환산)에 대하여 45질량%, 40질량%, 35질량%, 30질량%, 25질량%, 20질량%, 15질량%, 10질량%, 5질량%, 1질량%이다. 또 (F)성분의 사용량 범위는 상기 기재의 상한 및 하한의 값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F)성분은 1질량%∼50질량%가 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코팅제는, (A)성분, (B)성분 및 (C)성분과, 그리고 필요에 따라 (D)성분, (E)성분 및 (F)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성분을 혼합한 것이다. 혼합수단 및 혼합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코팅제에는, 필요에 따라 (A)성분 이외의 바인더 수지(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등), 미립자, 방활제(防滑劑; 슬립방지제), 방부제, 방청제(rust preventives), pH조정제, 산화방지제, 안료, 염료, 윤활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이형필름은,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로 이루어지는 경화막과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본 발명의 코팅제를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도포하고, 가열처리 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나일론 필름, 에폭시 수지필름, 멜라민 수지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필름, ABS수지필름, AS수지필름, 노보넨계(norbornene系) 수지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표면처리(코로나방전 등)가 되어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그 편면(片面) 혹은 양면(兩面)에, 본 발명의 코팅제 조성물 이외의 층(예를 들면 역접착층)이 형성된 것이면 좋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투명성, 치수안정성, 기계적 특성, 내약품성 등의 성능의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보통 10∼100μm 정도이면 좋다.
상기 도포수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롤코터, 리버스롤코터, 그라비아코터, 나이프코터 및 바코터 등을 들 수 있다. 도포량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보통 건조후의 질량이 0.1∼10g/m2 정도, 바람직하게는 0.2∼5g/m2가 되는 범위이면 좋다.
상기 가열조건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보통 90∼130도로 30초∼2분 정도이고, 본 발명의 코팅제는 비교적 저온에서의 빠른 경화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코팅제는 열에 의하여 변형되기 쉬운 플라스틱 필름에 적합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이형필름은 양생처리(養生處理)를 부가해도 좋다. 조건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20∼50도로 1∼24시간 정도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경화피막의 내용제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설명해 왔다. 이하에 실시예에 의거해서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의 설명 및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목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실시형태에도 실시예에도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그것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시켜서 얻어지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부 또는 %는 질량기준이다.
또 수산기가는, JIS K0070에 준거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수평균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검량선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의 조제>
실시예1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주)쿠라레 제품 ; 3-메틸-1,5-펜탄디올, 아디핀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 이루어지며 수평균분자량 500이고 수산기가 340mgKOH/g인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빅케미·재팬(주) 제품 ; 폴리에테르 변성 수산기 함유 실리콘)(고형분농도 100%)을 0.22부, (C)성분으로서 코로네이트(CORONATE)HX(도소(주) 제품 ;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고형분농도 100%)를 11.86부, (D)성분으로서 디옥틸 주석 디라우레이트(고형분농도 100% 이하, DOTDL)를 0.02부, (E)성분으로서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의 질량비가 1대1이 되는 혼합용제(이하, MEK/MIBK 혼합용제)를 83.14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2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0(빅케미·재팬(주) 제품 ; 폴리에스테르 변성 수산기 함유 실리콘)(고형분농도 25%)을 0.87부, (C)성분으로서 코로네이트HX를 11.86부, (D)성분으로서 DOTDL을 0.02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82.48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3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SILCLEAN3700(빅케미·재팬(주) 제품 ; 실리콘 변성 수산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고형분농도 25%)을 0.87부, (C)성분으로서 코로네이트HX를 11.86부, (D)성분으로서 DOTDL을 0.02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82.48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4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26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TAKENATE)D-110N(미츠이화학(주)(Mitsui Chemicals, Inc.) 제품 ;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고형분농도 75%)을 21.91부, (D)성분으로서 DOTDL을 0.03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95.06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5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27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D-120N(미츠이화학(주) 제품 ; 수소 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고형분농도 75%)을 22.91부, (D)성분으로서 DOTDL을 0.03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97.65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6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18부, (C)성분으로서 밀리오네이트(MILLIONATE)MR-200(도소(주) 제품 ; 폴리메릭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고형분농도 100%)을 8.13부, (D)성분으로서 DOTDL을 0.02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68.95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7
(A)성분으로서 프락셀303((주)다이셀 제품 ; 수평균분자량 300이고 수산기가 540mgKOH/g의 폴리카프로락톤트리올)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29부, (C)성분으로서 코로네이트HX를 19.02부, (D)성분으로서 DOTDL을 0.03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110.39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8
(A)성분으로서 프락셀L320AL((주)다이셀 제품 ; 수평균분자량 2000이고 수산기가 84mgKOH/g의 폴리카프로락톤트리올)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13부, (C)성분으로서 코로네이트HX를 2.96부, (D)성분으로서 DOTDL을 0.01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49.29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9
(A)성분으로서 아데카폴리에테르AM-302((주)ADEKA제품 ; 수평균분자량 3000이고 수산기가 56mgKOH/g의 폴리에테르트리올)를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12부, (C)성분으로서 코로네이트HX를 1.97부, (D)성분으로서 DOTDL을 0.01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45.54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10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26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D-110N을 21.91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94.96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11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22부, (C)성분으로서 코로네이트HX를 11.86부, (D)성분으로서 트리스(2,4-펜탄디오나토)철(III)(고형분농도 100% 이하, TPDI)을 0.02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83.14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12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26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D-110N을 21.91부, (D)성분으로서 TPDI를 0.03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95.06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13
(A)성분으로서 프락셀303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36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D-110N을 35.15부, (D)성분으로서 TPDI를 0.04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129.52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14
(A)성분으로서 프락셀303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SILCLEAN3700을 1.16부 및 사일라플레인FM-DA11(JNC(주) 제품 ; 카비놀 변성 실리콘)(고형분농도 100%)을 0.07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D-110N을 35.15부, (D)성분으로서 TPDI를 0.04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128.65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15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F-510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SILCLEAN3700을 0.85부 및 사일라플레인FM-DA11을 0.05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D-110N을 21.91부, (D)성분으로서 TPDI를 0.03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94.43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16
(A)성분으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미쓰비시가스화학(주) 제품 ; 분자량 134이고 수산기가 1250mgKOH/g의 알킬트리올)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SILCLEAN3700을 2.28부 및 사일라플레인FM-DA11을 0.14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D-110N을 81.66부, (D)성분으로서 TPDI를 0.07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248.84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17
(A)성분으로서 프락셀303을 10.00부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을 5.00부, (B)성분으로서 BYK-SILCLEAN3700을 2.30부 및 사일라플레인FM-DA11을 0.14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D-110N을 75.99부, (D)성분으로서 TPDI를 0.07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253.07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18
(A)성분으로서 프락셀303을 10.00부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을 5.00부, (B)성분으로서 BYK-SILCLEAN3700을 2.30부 및 사일라플레인FM-DA11을 0.14부, (C)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D-110N을 75.99부, (D)성분으로서 TPDI를 0.07부, (E)성분으로서 아세틸아세톤 3.60부 및 MEK/MIBK 혼합용제를 249.47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비교예1
(A)성분으로서 쿠라레폴리올P-1010((주)쿠라레 제품 ; 3-메틸-1,5-펜탄디올 및 아디핀산으로 이루어지며 수평균분자량 1000이고 수산기가 112mgKOH/g의 폴리에스테르디올))을 10.00부, (B)성분으로서 BYK-377을 0.14부, (C)성분으로서 코로네이트HX를 3.95부, (D)성분으로서 DOTDL을 0.01부, (E)성분으로서 MEK/MIBK 혼합용제를 53.04부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잘 혼합함으로써 고형분농도 21%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비교예2
실시예1에 있어서, BYK-377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A)

(B)

(C)

(D)
NCO (C)
OH(A)

(B)%

(D)%
실시예1 쿠라레폴리올F-510
BYK-377
코로네이트HX DOTDL 1.0 1.0 0.1
실시예2 쿠라레폴리올F-510
BYK-370
코로네이트HX DOTDL 1.0 1.0 0.1
실시예3 쿠라레폴리올F-510 BYK-SILCLEAN3700 코로네이트HX DOTDL 1.0 1.0 0.1
실시예4 쿠라레폴리올F-510
BYK-377
타케네이트D-110N DOTDL 1.0 1.0 0.1
실시예5 쿠라레폴리올F-510
BYK-377
타케네이트D-120N DOTDL 1.0 1.0 0.1
실시예6 쿠라레폴리올F-510
BYK-377
밀리오네이트MR-200 DOTDL 1.0 1.0 0.1
실시예7 프락셀303 BYK-377 코로네이트HX DOTDL 1.0 1.0 0.1
실시예8 프락셀L320AL
BYK-377
코로네이트HX DOTDL 1.0 1.0 0.1

실시예9
아데카폴리에테르AM-302
BYK-377

코로네이트HX

DOTDL

1.0

1.0

0.1
실시예10 쿠라레폴리올F-510
BYK-377
타케네이트D-110N
-
1.0 1.0 0
실시예11 쿠라레폴리올F-510
BYK-377
코로네이트HX TPDI 1.0 1.0 0.1
실시예12 쿠라레폴리올F-510
BYK-377
타케네이트D-110N TPDI 1.0 1.0 0.1
실시예13
프락셀303

BYK-377
타케네이트D-110N TPDI 1.0 1.0 0.1

실시예14

프락셀303
BYK-SILCLEAN3700
사일라플레인FM-DA11

타케네이트D-110N

TPDI

1.0

0.8
0.2

0.1

실시예15

쿠라레폴리올F-510
BYK-SILCLEAN3700
사일라플레인FM-DA11

타케네이트D-110N

TPDI

1.0

0.8
0.2

0.1

실시예16

트리메틸올프로판
BYK-SILCLEAN3700
사일라플레인FM-DA11

타케네이트D-110N

TPDI

1.0

0.8
0.2

0.1

실시예17
프락셀303
트리메틸올프로판
BYK-SILCLEAN3700
사일라플레인FM-DA11

타케네이트D-110N

TPDI

1.0

0.8
0.2

0.1

실시예18
프락셀303
트리메틸올프로판
BYK-SILCLEAN3700
사일라플레인FM-DA11

타케네이트D-110N

TPDI

1.0

0.8
0.2

0.1

비교예1
쿠라레폴리올P-1010
BYK-377

코로네이트HX

DOTDL

1.0

1.0

0.1

비교예2
쿠라레폴리올F-510

코로네이트HX

DOTDL

1.0

-

0.1
(B)%:(A)성분 및 (C)성분의 합계질량에 대한 (B)성분의 질량%
(D)%:(A)성분 및 (C)성분의 합계질량에 대한 (D)성분의 질량%
<이형필름의 제작>
실시예1의 코팅제를, 시판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루미라(Lumirror)-T60, 50μm두께)에, 건조후의 도포막두께가 1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도로 1분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코팅제로 이루어지는 경화피막을 구비하는 이형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10에 대해서는, 120도로 1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코팅제로 이루어지는 경화피막을 구비하는 이형필름을 제작하고,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코팅제에 관해서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필름을 제작하였다.
<경화피막의 내용제성>
실시예1에 관한 이형필름을 23도로 하룻밤 방치한 후에, 그 경화피막을 메틸에틸케톤을 함침(含浸)시킨 면봉으로 문질렀더니, 100왕복을 넘어도 경화피막은 용해되지 않았다. 한편 실시예9에 관한 이형필름에 대하여 동일하게 평가한 바, 80회째에 기재필름이 노출되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형필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내용제성을 평가했는데, 100왕복을 넘어도 경화피막은 용해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1에 관한 이형필름에 대하여 동일하게 평가한 바, 2회째에 기재필름이 노출되었다. 한편 비교예2에 관한 필름에 대해서는, 100왕복을 넘어도 경화피막은 용해되지 않았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이형성(금형에 대한 분리성)의 평가>
실시예1에 관한 이형필름을 하룻밤 방치한 후에, 그 경화피막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점착테이프(니토전공(주)(Nitto Denko Corporation) 제품 31B테이프 : 20mm 폭)를 2kg의 롤러로 압착시키면서 접합하고, 23도로 1시간 방치하였다. 계속하여 텐실론 만능시험기(제품명 RTC-1250A, (주)오리엔테크 제품)를 사용하여, 상기 점착테이프를 180도의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잡아 당겨(0.3m/min), 박리에 요하는 힘(N/20mm)을 측정하였다. 또한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형필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1에 관한 이형필름에 대하여 평가한 바, 경화피막이 응집, 파괴되었기 때문에 측정불가로 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내용제성
(왕복횟수)
박리력
(N/20mm)
실시예1 >100 1.7
실시예2 >100 4.3
실시예3 >100 3.0
실시예4 >100 0.5
실시예5 >100 3.1
실시예6 >100 1.3
실시예7 >100 1.5
실시예8 >100 1.9
실시예9 80 6.0
실시예10 >100 0.8
실시예11 >100 1.4
실시예12 >100 0.5
실시예13 >100 0.4
실시예14 >100 0.1
실시예15 >100 0.1
실시예16 >100 0.1
실시예17 >100 0.1
실시예18 >100 0.1
비교예1 2 측정불가
비교예2 >100 13
본원은, 일본국 특허출원2016-90241(2016년 4월 28일 출원) 및 일본국 특허출원2016-157084(2016년 8월 10일 출원)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내용 전체가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대한 참고로서 원용되어야 한다.

Claims (10)

  1. (A)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2000mgKOH/g인 폴리올,
    또는
    (A1)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20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840mgKOH/g인 폴리올 및
    (A2)분자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3개 구비하고 또한 분자량이 80∼2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841∼2000mgKOH/g인 폴리올,

    (B)수산기 함유 실리콘과,
    (C)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2. 제1항에 있어서,
    (A)성분의 폴리올이, 분자량이 200∼5000이며 또한 수산기가가 30∼840mgKOH/g인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성분이, 개환중합형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 및/또는 중축합형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성분이, 아크릴 폴리머 부위, 폴리에스테르 부위, 폴리에테르 부위 및 카비놀 부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경화촉매를 더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유기용제를 더 포함하는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의 경화막과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이형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이형필름.
  9.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를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도포하고, 가열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70054154A 2016-04-28 2017-04-27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이형필름,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KR102264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0241 2016-04-28
JP2016090241 2016-04-28
JP2016157084 2016-08-10
JPJP-P-2016-157084 2016-08-10
JPJP-P-2016-212621 2016-10-31
JP2016212621A JP6817533B2 (ja) 2016-04-28 2016-10-31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離型フィルム、離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268A true KR20170123268A (ko) 2017-11-07
KR102264801B1 KR102264801B1 (ko) 2021-06-11

Family

ID=6038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154A KR102264801B1 (ko) 2016-04-28 2017-04-27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이형필름,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4801B1 (ko)
CN (1) CN1074182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3045A (zh) * 2018-07-06 2018-11-27 福州艾瑞数码影像有限公司 一种非硅离型表面处理剂及其在表面上的处理工艺
JP7172893B2 (ja) * 2018-07-19 2022-11-16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コーティング剤、硬化物及びフィルム
CN114058257B (zh) * 2021-11-17 2022-12-13 美氟新材料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具有优异耐老化与抗菌的非硅离型涂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032A (ja) * 1994-11-11 1996-06-04 Koyo Sangyo Kk コンクリート型枠用離型塗料およびコンクリート型枠用塗装パネル
JPH11170440A (ja) 1997-12-05 1999-06-29 Unitika Ltd 離型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2019037A (ja) 2000-07-06 2002-01-22 Lintec Corp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工程フィルム
JP2014516375A (ja) * 2011-04-15 2014-07-10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 ハード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低温成形性及びスリップ性に優れたハードコーティング形成用シート
JP2015509997A (ja) * 2012-01-11 2015-04-02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Lg Hausys,Ltd. ハード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黄変が改善された装飾用フィルム
KR20150112313A (ko) * 2014-03-27 2015-10-07 (주)건양 이형성이 향상된 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550A (en) * 1979-07-13 1981-02-12 Shin Etsu Chem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process release paper
CA2115002C (en) * 1994-02-04 1999-08-03 Ashok Sengupta Water-based polyurethane release coating
US5952444A (en) * 1997-05-22 1999-09-14 Chisso Corporation Polyurethane coating resin composition
JP4555181B2 (ja) * 2005-07-14 2010-09-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080146427A1 (en) * 2006-11-16 2008-06-19 Bridgestone Corporation Electrical conductive roller and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080176049A1 (en) * 2007-01-24 2008-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CURABLE COMPOSITION HAVING INHERENTLY EXCELLENT RELEASING PROPERtY AND PATTERN TRANSFER PROPERTY, METHOD FOR TRANSFERRING PATTERN USING THE COMPOSITION AND LIGHT RECORDING MEDIUM HAVING POLYMER PATTERN LAYER PRODUCED USING THE COMPOSITION
JP5842315B2 (ja) * 2008-12-01 2016-01-13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ポリウレタンの用途
FR2940312B1 (fr) * 2008-12-18 2011-02-25 Bostik Sa Composition adhesive pelable apres reticulation
CN101580577B (zh) * 2009-06-18 2011-05-18 建德市顺发化工助剂有限公司 用于人造革的改性水性聚氨酯树脂及其制备方法
JP2015098503A (ja) * 2013-11-18 2015-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ウレタン系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032A (ja) * 1994-11-11 1996-06-04 Koyo Sangyo Kk コンクリート型枠用離型塗料およびコンクリート型枠用塗装パネル
JPH11170440A (ja) 1997-12-05 1999-06-29 Unitika Ltd 離型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2019037A (ja) 2000-07-06 2002-01-22 Lintec Corp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工程フィルム
JP2014516375A (ja) * 2011-04-15 2014-07-10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 ハード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低温成形性及びスリップ性に優れたハードコーティング形成用シート
JP2015509997A (ja) * 2012-01-11 2015-04-02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Lg Hausys,Ltd. ハード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黄変が改善された装飾用フィルム
KR20150112313A (ko) * 2014-03-27 2015-10-07 (주)건양 이형성이 향상된 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801B1 (ko) 2021-06-11
CN107418279B (zh) 2021-02-02
CN107418279A (zh)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7533B2 (ja)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離型フィルム、離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577864B1 (ko)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이형 필름 및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EP3253811B1 (en) Polyurethane adhesives for bonding low surface energy films
TW474978B (en) Polyurethane-based adhesives and mixtures thereof
CN103805119B (zh) 聚氨酯基压敏胶粘剂和使用所述压敏胶粘剂的表面保护膜
EP2826833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CN103570912B (zh) 树脂组合物、压敏胶粘剂组合物、压敏胶粘剂层、压敏胶粘片和表面保护膜
TW201816057A (zh) 胺甲酸乙酯接著劑
CN109306257B (zh) 氨基甲酸酯粘接剂、粘接片以及显示器
JP7091991B2 (ja) 接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包装材
JP2013087225A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光学フィルム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の粘着方法、粘着剤層つ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KR20170123268A (ko)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이형필름,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US2021016378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ing film
CN111819261A (zh) 软包装用膜的制造方法
JP6907732B2 (ja) 粘着剤用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8035224A (ja)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離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11866618B2 (en) Glass bonding adhesive with reduced slippage
TW201809202A (zh) 黏著劑及黏著片
CN111936592B (zh) 氨基甲酸酯粘合剂和粘合片
WO2010113464A1 (ja) プラスチック塗装用プライマー組成物
CN113861919A (zh) 聚氨酯胶粘剂组合物、聚氨酯胶粘剂、聚氨酯胶粘剂胶带和制备聚氨酯胶粘剂胶带的方法
JP2011006568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JP6658355B2 (ja) 離型コーティング剤、離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0804382A (zh) 热固化型涂覆剂、固化物以及膜
US20230098148A1 (en) Adhesive film for surface protection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