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566A - 자동흔들의자 - Google Patents

자동흔들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566A
KR20170122566A KR1020160051715A KR20160051715A KR20170122566A KR 20170122566 A KR20170122566 A KR 20170122566A KR 1020160051715 A KR1020160051715 A KR 1020160051715A KR 20160051715 A KR20160051715 A KR 20160051715A KR 20170122566 A KR20170122566 A KR 2017012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unit
electromagnet unit
rocking chai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근
김정협
진광훈
Original Assignee
구본근
김정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근, 김정협 filed Critical 구본근
Priority to KR102016005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2566A/ko
Publication of KR2017012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9Rocking chairs with curved rocking members resting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측에 곡선의 굴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전후방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구성된 흔들의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이 대향하는 위치를 따라 연결 설치되는 링크 프레임; 상기 링크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화되는 제1전자석유닛;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화되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제2전자석유닛;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 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2전자석유닛을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흔들의자{A AUTOMATIC ROCKING CHAIR}
본 발명은 자동흔들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흔들의자에 안착하는 대상의 무게중심에 맞춰 흔들의자 측에 설치된 하나의 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나의 전자석유닛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다른 전자석유닛을 최소 높이로 승강시킨 후, 일정주기로 전자석유닛에 전류의 공급과 차단을 반복함으로써 자동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흔들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흔들의자는 사용자가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좌우 양측에 사용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면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면 일측과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의 하측에 곡선의 굴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한 상태에서 흔들게 되면,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바닥면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흔들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흔들의자는 지속적인 흔들림을 위해 사용자의 체중의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힘을 주어 기울여야 하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힘을 가해 주어야하는 관계로 노약자나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0612호에는 받침판 위에 좌우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관을 설치하고, 이의 상부에는 좌판이 있는 좌대가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의 후측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판 지지대가 설치되고, 앞측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발판의 지지관을 한치하며 좌대의 선단부 하측에는 기어 모터의 축간에 설치된 캠 및 나사 조절관을 개재한 작동간이 설치되어 캠 운동으로 좌대가 전기한 힌지부를 받침점으로 흔들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한 "자동 흔들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동 흔들의자"는 흔들의자 자체에 힌지 회동이나 이동을 위해 여러 구성 설비가 추가로 설치될 뿐만 아니라 이렇게 추가되는 구성 설비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종래의 흔들의자에 비해 안착하였을 때 안락하지 않고, 높이 조절과 등판과 발판의 길이, 흔들리는 각도를 사용 전에 개별적으로 조절 및 설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0612호(2001.10.04. 등록)
본 발명은 흔들의자에 안착하는 대상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흔들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측에 곡선의 굴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전후방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구성된 흔들의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이 대향하는 위치를 따라 연결 설치되는 링크 프레임; 상기 링크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화되는 제1전자석유닛;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화되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제2전자석유닛;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 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2전자석유닛을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자석유닛은 상기 링크 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전자석 본체; 및 상기 제1전자석 본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자화되는 제1전자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전자석유닛은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상기 제1전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전자석 본체; 및 상기 제2전자석 본체의 상면 중 상기 제1전자석 본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전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제1전자석과 다른 극성으로 자화되는 제2전자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제1전자석 본체의 저면 중 상기 제1전자석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2전자석 본체의 상면 중 상기 제2전자석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1센서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제2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유닛은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그 외주면 일측에 슬롯이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슬롯 내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하로 다수의 톱니를 갖는 래크 기어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전자석유닛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된 래크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의 중심에 회전축이 결합된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 값을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값을 토대로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승하강하여야 할 거리를 연산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승하강하여야 할 거리를 전달받고, 이 승하강하여야 할 거리만큼 상기 제2전자석유닛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승하강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흔들의자 측에 설치된 하나의 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나의 전자석유닛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다른 전자석유닛을 최소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어 흔들의자에 안착하는 대상의 무게중심을 고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흔들의자와 비교하여 구조적인 변화가 없어 기존의 흔들의자에도 쉽게 적용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흔들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흔들의자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흔들의자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흔들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흔들의자에 안착하는 대상의 무게중심에 맞춰 흔들의자 측에 설치된 하나의 전자석유닛(200)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바닥 테이블(20) 상에 설치되되 상기 하나의 전자석유닛(200)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다른 전자석유닛(300)을 최소 높이로 승하강시킨 후, 일정한 주기로 전자석유닛(100,200)에 전류의 공급과 차단을 반복함으로써 자동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흔들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하측에 곡선의 굴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을 포함하여 전후방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구성된 흔들의자(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링크 프레임(100)과, 상기 링크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전자석유닛(200)과, 상기 흔들의자(10)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20) 상에서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전자석유닛(300)과,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 사이에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유닛(400)과, 상기 센서유닛(400)으로부터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 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을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거리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 프레임(100)은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흔들의자(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의자다리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링크 프레임(100)은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의 길이방향 일측부 및 길이방향 타측부에 각각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을 연결할 수 있다면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링크 프레임(100)은 그 외주면에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을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사각 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하부 프레임(11)은 하측에 곡선의 굴대가 형성되어 흔들의자(10)가 바닥을 지지하는 동시에 전후방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 프레임(11)에 설치된 링크 프레임(100)도 이에 연동하여 전후방으로 흔들릴 수 있다.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은 전류를 공급하였을 때, 자화되어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사각 바 형상의 제1전자석 본체(210)와, 상기 제1전자석 본체(210)의 하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전자석(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자석 본체(210)는 상기 제1전자석(220)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전자석(22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공급수단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전자석(220)은 원통 모양의 철심에 코일이 감겨 있는 솔레노이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코일을 통해 전류가 흐르면 코일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때, 철심에 코일을 더 많은 횟수로 감음으로써 자기장의 세기를 더 세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은 전류를 공급하였을 때 자화되되, 상기 제1전자석(220)과 다른 극으로 자화되어 상기 제1전자석(220)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사각 바 형상의 제2전자석 본체(310)와, 상기 제2전자석 본체(310)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전자석(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전자석 본체(310)는 상기 제2전자석(320)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2전자석(32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공급수단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2전자석 본체(310)는 상기 제1전자석 본체(210)와 형상이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전자석 본체(210)의 하면 일측에 상기 제1전자석(220)이 수용되는 반면에, 상기 제2전자석 본체(310)의 상면 일측에 상기 제2전자석(320)이 수용된다. 이는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자화되어 상호 인력이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 전자석(220,320)을 배치한 것이다.
상기 제2전자석(320)은 상기 제1전자석(220)과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전류를 공급하였을 때, 상기 제1전자석(220)과는 다른 극성으로 자화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흔들의자의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흔들의자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유닛(400)은 대상물(사용자)가 흔들의자(10)가 안착하였을 때의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 사이 거리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의 하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1센서(410)와,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2센서(4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센서(410) 및 상기 제2센서(420)는 각각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의 하면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410) 및 상기 제2센서(420)는 적외선 방식, 자연광 방식 및 초음파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적외선 이용식이나 자연광 이용식이 적용될 경우, 상기 제1센서(410)와 상기 제2센서(420) 사이의 경로에서 직각 프리즘을 반사시켜 2개의 이미지 센서를 입사시켜 상대적 위치가 합치했을 때, 상기 제1센서(410)와 상기 제2센서(420) 사이의 거리를 표시 및 감지할 수 있을 것이고, 초음파 방식을 적용할 경우, 상기 제1센서(410)와 상기 제2센서(420)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나머지 하나의 센서로 초음파를 송신하고,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표시 및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승하강유닛(500)은 상기 센서유닛(400)으로부터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을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로 승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흔들의자(10)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20)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510)와, 상기 지지대(5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재(520)와, 상기 승강부재(520)에 형성된 래크 기어(521)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531)가 단부에 설치된 회전축이 결합된 모터(5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510)는 전체적으로 높이 방향으로 긴 바(bar) 형상을 갖고, 그 외주면 일측 높이 방향을 따라 슬롯(510a)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520)는 상기 지지대(510)의 외주면 일측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510a) 내에 삽입 설치되고, 삽입되는 측면에는 상하로 다수의 톱니를 갖는 래크 기어(521)가 형성되며, 상기 래크 기어(521)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제2전자석 본체(31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모터(530)는 펄스에 순서를 부여함으로써 주어진 펄스 수에 비례하여 일정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대(510)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그 단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이 회전축의 중심에 피니언 기어(521)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모터(530)의 회전축 중심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531)와 상기 승강부재(520)에 형성된 래크 기어(521)는 치합되며, 상기 모터(530)가 동작하면, 상기 모터(530)의 회전축 중심에 피니언 기어(531)가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 기어(531)에 치합된 상기 래크 기어(521)가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52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모터(530)는 스템핑 모터, 리니어 모터 등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센서유닛(400)으로부터 전달받은 값을 토대로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이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인력이 작용하는 높이로 상기 승강부재(520)에 고정 설치되는 제2전자석유닛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모터가 적용되어도 무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센서유닛(400)으로부터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 값을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값을 토대로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이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승하강하여야 할 거리를 연산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연산부(600)와, 상기 연산부(600)로부터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이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승하강하여야 할 거리를 전달받고, 이 승하강하여야 할 거리만큼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승하강유닛(500)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연산부(600)로부터 연산된 값(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이 상기 제1전자석유닛(200)과 인력이 작용하는 높이까지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이 승하강하어야 할 거리)을 제어부(700)로 전달하고, 이 연산된 값을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700)에서는 상기 연산된 값에 해당하는 펄스 수만큼 상기 모터(5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전자석유닛(300)이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에 전술한 동작을 완료한 이후에 일정한 주기로 전류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류의 공급과 차단을 반복하도록 제어하게 되며, 상기 제1전자석(220)과 상기 제2전자석(320)의 인력 작용 및 인력 작용 해제가 반복되어 상기 흔들의자(10)가 자동으로 흔들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전자석(220)과 상기 제2전자석(320)에 전류의 공급과 차단을 일정 주기로 반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전자석(220) 및 상기 제2전자석(320)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제1전자석유닛(200)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전자석유닛(300)을 최소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어 흔들의자(10)에 안착하는 대상의 무게중심을 맞춰 흔들의자(10)가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기존의 흔들의자와 비교하여 구조적인 변화가 없어 기존의 흔들의자에도 쉽게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흔들의자 11: 하부 프레임
20: 바닥 테이블 100: 링크 프레임
200: 제1전자석유닛 210: 제1전자석유닛 본체
220: 제1전자석 300: 제2전자석유닛
310: 제2전자석유닛 본체 320: 제2전자석
400: 센서유닛 410: 제1센서
420: 제2센서 500: 승하강유닛
510: 지지대 510a: 슬롯
520: 승강부재 521: 래크 기어
530: 모터 531: 피니언 기어
600: 연산부 700: 제어부

Claims (6)

  1. 하측에 곡선의 굴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전후방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구성된 흔들의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이 대향하는 위치를 따라 연결 설치되는 링크 프레임;
    상기 링크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화되는 제1전자석유닛;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화되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제2전자석유닛;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 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2전자석유닛을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을 포함하는 자동흔들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석유닛은
    상기 링크 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전자석 본체; 및
    상기 제1전자석 본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자화되는 제1전자석;을 포함하는 자동흔들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석유닛은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상기 제1전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전자석 본체; 및
    상기 제2전자석 본체의 상면 중 상기 제1전자석 본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전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제1전자석과 다른 극성으로 자화되는 제2전자석;을 포함하는 자동흔들의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제1전자석 본체의 저면 중 상기 제1전자석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2전자석 본체의 상면 중 상기 제2전자석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1센서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자동흔들의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유닛은
    상기 흔들의자를 지지하는 바닥 테이블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그 외주면 일측에 슬롯이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슬롯 내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하로 다수의 톱니를 갖는 래크 기어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전자석유닛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된 래크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의 중심에 회전축이 결합된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흔들의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상기 제2전자석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 값을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값을 토대로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승하강하여야 할 거리를 연산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제2전자석유닛이 상기 제1전자석유닛과 인력이 작용하는 최소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승하강하여야 할 거리를 전달받고, 이 승하강하여야 할 거리만큼 상기 제2전자석유닛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승하강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흔들의자.
KR1020160051715A 2016-04-27 2016-04-27 자동흔들의자 KR20170122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715A KR20170122566A (ko) 2016-04-27 2016-04-27 자동흔들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715A KR20170122566A (ko) 2016-04-27 2016-04-27 자동흔들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66A true KR20170122566A (ko) 2017-11-06

Family

ID=6038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715A KR20170122566A (ko) 2016-04-27 2016-04-27 자동흔들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25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2506A (zh) * 2017-11-09 2018-03-06 张钰靖 一种防摔座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2506A (zh) * 2017-11-09 2018-03-06 张钰靖 一种防摔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5034A1 (ja) 移乗装置
KR101556953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어깨관절 재활 운동 장치
JP2007244817A (ja) 昇降機能を備えた電動車椅子
JP2007202862A (ja) 椅子と椅子の姿勢制御方法
CN108118767A (zh) 一种智能升降清洁马桶
CN108852667A (zh) 座椅机器人的控制方法、装置及座椅机器人
KR101498800B1 (ko) 기립보조의자
KR20170122566A (ko) 자동흔들의자
JP5601364B2 (ja) 移乗支援装置及び移乗支援装置の制御方法
JP2011156052A (ja) 座面傾動椅子
JP2001327563A (ja) 歩行補助装置
JP5551026B2 (ja) 電動式移乗器
FI127759B (fi) Henkilökohotin ja menetelmä henkilökohottimen käyttövoiman tuottamiseksi
KR102137439B1 (ko)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JP2015216953A (ja) 運動能力測定用椅子
JP6233057B2 (ja) 介護支援装置
JP4714537B2 (ja) 起立補助機能付き椅子
JP5609956B2 (ja) 移乗支援装置及び移乗支援装置の制御方法
CN205459448U (zh) 老人智能电动轮椅
KR20190064366A (ko) 환자리프트
US20100289311A1 (en) Core moving fitness chair
KR20220121939A (ko)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KR102050584B1 (ko) 의자
JPH0740976B2 (ja) ベッド装置
JP2015150403A (ja) 移乗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