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939A -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939A
KR20220121939A KR1020210025346A KR20210025346A KR20220121939A KR 20220121939 A KR20220121939 A KR 20220121939A KR 1020210025346 A KR1020210025346 A KR 1020210025346A KR 20210025346 A KR20210025346 A KR 20210025346A KR 20220121939 A KR20220121939 A KR 2022012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nding
walking
cushion plat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799B1 (ko
Inventor
박창병
김민희
이지현
배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신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신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2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7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용자를 위한 쿠션판과, 이용자의 기립 시 상기 쿠션판이 높이가 가변되는 제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이 구비된 보행보조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베이스프레임 저면으로 캐스터가 설치되고, 이용자의 기립 시 상기 캐스터가 록크되는 이동부재 ; 상기 쿠션판이 수평 설치되는 제1, 제2프레임과 연결되는 동력체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생성되는 구동력으로 수직 승하강되는 상기 제1,제2프레임에서 상기 쿠션판이 틸팅되게 하는 구동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와 상기 구동체에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 콘트롤체에 의해 전원공급이 제어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의해 상기 쿠션판이 틸팅되는 제어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 상단에 설치되는 상체지지대와, 상기 보행보조부재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틸팅 상태의 상기 쿠션판이 수직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체에 의해 보행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기립보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고령자가 목적지에서 기립할 때 무릎과 허리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쿠션체의 승하강과 틸팅 구동에 의해 용이하게 기립하고 보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Pedestrian aids equipped with active standing aids}
본 발명은 하지 근력이 약한 노약자 및 재활환자가 일어서려고 할 때 장치에서 보조기립력이 제공되어 주변의 도움 없이도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수 있으며, 기립상태에서 기립보조수단을 통해 보행할 수 있게 하여 이용자 및 환자들의 재활을 돕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 및 환자들(이하 ‘이용자’ 라고 줄여 씀)은 하지 근육의 약하기 때문에 도달된 위치에서 시도하는 기립·보행에 대단한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독립적인 기동이 불가능하고 타인의 도움이 요구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삶의 질이 떨어지고, 재활의 경우에도 재활회복 성과가 매우 저조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주거시설의 구조가 좌식환경을 오랜 세월동안 유지해 오고 있어 고령자의 하지 기능 장애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경우 보행보조수단인 휠체어를 이용하여 활동하게 되는 데, 이 경우 휠체어에 앉고 또는 일어설 때 보조인이 옆에서 일어서고, 앉을 때 외력을 제공하여 도와주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와 환자들이 사용하는 보행보조수단에는 이용자가 보조인 없이 일어설 수 있는 자세를 기립보조력이 요구는 실정이며, 기립상태에서 보행할 때에는 상체를 기대면서 하는 보행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함이 요구되었다.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사항에 따라 고령자 특성(신체 및 활동 정보) 분석을 통한 설계 사양을 도출하여 기립 시 사용자 안전을 위한 안전성을 고려한 맞춤형 자동 기립 장치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 제10-1429950호(이하 선발명이라 함)로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선 발명은 의자의 착석부에 탈부착식으로 설치되어 착석자의 엉덩이를 사선방향으로 들어 올려줘서 기립시키도록 보조해주는 기립도우미형 의자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는 의자의 착석부에 탈부착식으로 설치되어,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하단방향에서 지지하는 의자받침대(10)와, 의자받침대의 상단에 위치되어,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져 착석자의 엉덩이를 받쳐주고, 유압쇼바로부터 유압의 힘을 전달받아 착석자의 엉덩이를 들어 올려주는 힙(heap) 받침대(20)와, 힙(heap) 받침대와 의자받침대의 양 측면 일측에 "X"형상으로 연결되어 힙(heap) 받침대와 의자받침대 사이의 높이차를 유압소바로부터 전달된 유압의 힘에 의해 증가시키고, 착석자가 앉는 힘에 의해 접어지면서 감소시키는 "X"형 링크바(30)와, "X"형 링크바가 접어질 때, 슬라이드식으로 수용된 "X"형 링크바의 하단이 우측방향의 X축라인을 따라 안내 이동되고, "X"형 링크바가 펼쳐질 때, 슬라이드식으로 수용된 "X"형 링크바의 하단이 좌측방향의 X축라인을 따라 안내 이동되며 "X"형 링크바의 지지높이를 가변시키는 슬라이드 폴딩부(40)와, 힙(heap) 받침대의 바닥면 상단 중앙과 의자받침대의 헤드부 중앙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힙(heap) 받침대를 유압의 힘으로 들어올리는 유압쇼바(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선 발명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일어설 때, 힙부분을 밀어주어 무릎에 힘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특징이 있으나, 일어서면서 상체를 의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가 제공되지 못해 안전하게 기립자세를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429950호(2014년08월07일 등록)
본 발명은 고령자가 타인이나 고가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기립 및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앉은 상태에서 기립 보조가 가능하며, 기립 후 상체를 안정하게 의지하는 상태로 보행 보조 기능을 함께 제공하여 고령자 및 이용자의 독립적 이동을 보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령자 및 이용자 주변인의 경제적 부담 해소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착석하는 쿠션판과, 상기 쿠션판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태 및 경사지게 틸팅되는 상태로 유도되게 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구비된 보행보조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베이스프레임 저면으로 지면과의 구름마찰을 이루는 캐스터가 설치되고, 이용자의 기립 시 상기 캐스터가 록크되는 이동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베이스프레임 상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 제2프레임과 연결되어 생성되는 구동력이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제1, 제2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전달되게 하는 구동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에 설치되는 콘트롤체가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콘트롤체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의해 수직승하강되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상기 쿠션판을 수평에서 경사상태로 가변시켜 이용자의 기립동작을 지원하는 제어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 상단에 설치되어 기립된 이용자의 상체가 의지되게 하는 상체지지대와, 상기 보행보조부재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틸팅상태의 상기 쿠션판이 수직상태로 고정되게 하여 상기 제1, 제2프레임 사이에 보행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진 기립보조부재; 를 포함하여서 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보행보조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단에 기립된 이용자가 상체를 기대는 상기 상체지지대가 설치되며, 중간 위치에는 이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상기 쿠션판이 설치되는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는 볼스크류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저면의 전방과 후방위치에 설치되어 바닥과 구름마찰을 이루는 캐스터; 상기 캐스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판의 틸팅 시 잠금되는 브레이크가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전방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볼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전동력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후방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볼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후동력체; 상기 쿠션판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상기 제1,2프레임과 연동되는 링크대;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전,후동력체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이 제어되게 하는 콘트롤체; 상기 쿠션판의 틸팅 상태를 감지하여 소정의 각도에 도달 시 상기 콘틀롤체의 전원공급이 제어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기립보조부재는, 상기 제1,제2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이용자 기립 시에 상체를 기대는 입구가 구비된 상체지지대와, 상기 제2프레임에 설치되어 틸팅상태의 상기 쿠션판이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대에 보행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체지지대에는 저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제2프레임과 상체지지대가 연동되게 하는 브라켓과, 상기 상체지지대의 외측에 설치되어 기립한 이용자가 손으로 잡는 기립손잡이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링크대는, 상기 제1, 제2프레임에 상기 쿠션판이 수평하게 설치되게 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제2프레임의 중간위치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링크로 되고, 상기 제1,제2링크에는, 상기 제1,제2프레임의 동시 수직승하강구동과, 상기 제2프레임의 개별승강에 의한 틸팅구동을 위해 일측단에 통공, 타측단에는 장공이 각각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어부재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으로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제1,제2프레임이 수직승하강 및 틸팅구동되는 상태에서 소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상기 기립보조부재가 전도된 상태를 감지하여 경보음이 울리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되는 구성에서 상기 고정체는, 자력을 발산하는 영구자석으로 되어 상기 제2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쿠션판에는 상기 고정체의 자력으로 흡착되는 자성편이 구비 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재의 콘트롤체는, 휴대 가능한 케이스 내에 배터리에 의해 전원공급이 되며 상기 전,후동력체의 구동력이 제어되는 회로가 구비된 회로부와; 온,오프버튼 및 기능선택 버튼으로 된 선택부와; 선택된 기능의 신호가 무선으로 출력되는 출력부; 가 구비된 리모컨으로 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령자 또는 이용자가 타인이나 고가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 보행보조수단에서 제공되는 기립보조력에 의해 앉은 자세에서 기립자세를 유지 및 이동 가능하며, 기립 후 상체를 기립보조수단에 의지하는 상태로 보행기능이 제공되어 고령자 및 이용자의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고령자 및 이용자 주변인의 경제적 부담 해소와 삶의 질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상태도.
도 3는 본 발명 중 프레임부재의 상승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중 쿠션판의 틸팅 시 기립보조력의 형성도.
도 5는 제 4도에 대한 틸딩 동작 상세도.
도 6는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한 일실시예 중 기립자세에 대한 보조기립력 제공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이용자의 이동과 기립에 적용되는 예시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 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사시상태를 니타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는, 통상적으로 환자 또는 노약자가 가정 및 병원에서 착석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보행보조수단인 휠체어에 적용하여 이용자가 보행하고자 할 때 도움 없이 기립자세로 변형하여 보행하도록 하는 기립 보조수단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노약자 및 환자의 경우 앉은 있는 상태에서 기립자세를 시도할 때 하지근육의 힘이 약해 기립자세로 변경하기가 매우 힘들어 할 때, 보조인없이 기립자세로의 변형을 도움받음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또한, 노약자 및 환자들의 보행이 보행보조수단에서 가변된 기립보조 수단에 의해 기립된 자세를 안정적으로 취하면서 보행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기 위함이다.
통상의 보행보조수단으로 사용되는 휠체어에 앉은 이용자가 기립할 때 기립보조력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제1,제2프레임(130,140)이 수직하게 설치되게 하고, 제1,제2프레임(130,140) 사이에 쿠션판(140)이 수평상태로 설치되되, 소정의 경사각으로 지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행보조부재(10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저면으로 상기 보행보조부재(100)을 의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캐스터(210)가 설치되며, 상기 캐스터(210)의 하우징(212)에는 앉은 상태에서 기립 동작 시에 캐스터(210)를 록크(Lock)시키는 브레이크(230)가 구비되어 기립동직을 취하는 이용자에게 안전성을 제공하는 이동부재(200)가 구비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보행보조부재(100)의 베이스프레임(110) 상면에는 쿠션판(140)을 통해 이용자에게 기립보조력이 제공되게 하는 구동부재(300)가 구비되게 한다.
상기 구동부재(300)는 기립보조력으로 제공을 위한 구동력이 발생되게 하는 것으로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과 상기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이 연결되게 한다.
상기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을 상기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구동부재(300)의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에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볼스크류(312,322)가 상기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과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이 볼스크류(312,322)의 리이드 나선홈구조에 의해 수직이동력으로 전환되어 제1프레임 (120)과 제2프레임(130)이 수직승하강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에는 링크대(340)가 가로지는 상태로 설치되게 한다.
이러한 링크대(340)는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의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 되는 위치를 가로질러 설치되게 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쿠션판(140)이 설치되는 제1,2프레임(120,130) 하단위치를 가로질러 제1링크(340a)가 설치되고, 제1,제2프레임(120,130) 중간 위치를 가로질러 제2링크(340b)가 설치되게 한다.
상기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에 대해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제2링크(340a,340b)의 링크대(340)는 쿠션판(140)에서 일어서려는 이용자에게 기립보조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변구조를 갖춘다.
상기 링크대(340)의 가변구조는 링크대(340)의 제,제2링크(340a,340b)이 일단에 지점회전을 위한 통공(34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지점회전에 따른 위치수용을 위한 장공(342)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통공(341)은 제1프레임(120)에 연결되게 하고, 장공(342)은 제2프레임(130)에 연결되게 하는 조립구성에 의해 상기 링크대(340)는 통공(341)을 기준으로 지점회전되어 장공(342)의 여유공간으로 인해 수평상태에서 소정의 경사각으로의 가변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링크대(340)의 지점회전은 쿠션판(140)을 수평상태에서 경사상태로 가변될 때 쿠션판에 앉아있는 이용자를 들어 올리면서 상측 경사방향으로 밀어주는 상태를 이루어 기립동작에 필요했던 무릅과 허벅지와 고관절에 힘의 집중 없이도 기립되게 하는 기립보조력이 제공된다.
상기 제1,제2프레임(130,140) 하단위치를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링크대(340)의 제1링크(340a)에 쿠션판(140)이 설치되되, 쿠션판(140)이 기립보조력 제공 시 와 제공 후에 보행을 위한 가변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쿠션판(140)은 기립보조력 제공 시에는 상기 제1,제2프레임(130, 140)사이에서 링크대(340)를 따라 수평에서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경사상태를 이루지만, 기립보조력 제공 후에는 제2프레임(140)에서 수직한 상태로 세워지는 가변구조물이므로, 상기 쿠션판(140)의 저면으로 제2프레임(130) 위치의 링크대(340)에 핀조립 되는 지지축(142)이 형성되고 저면타단은 링크대(340)에 얹혀지게 구성된다.
상기 보행보조부재(100)에는 상기 구동부재(30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이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으로 전달될 때 구동부재(30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결정하는 전기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콘트롤체(410)에 의하여 상기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의 승하강 이동 높이가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제어부재(400)가 구비되게 한다.
상기 제어부재(400)는,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판(140)이 이미 설정된 데이터 값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들려지면서 틸팅각으로 경사지면 상기 전,후동력체(310,320)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콘트롤체(410)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체(410)는, 전,후동력체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이 제어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전원충전과 상기 쿠션판(140)의 틸팅 상태를 감지하여 소정의 각도에 도달 시 상기 콘트롤체(410)의 전원공급이 제어되게 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전원제어부의 구동과 정지를 선택하는 스위치부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재(400)에는 기립상태로 가변된 기립보조부재(500)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닥에 위치한 보조보행부재(100)에서 가변된 기립보조부재(500)가 수직상태가 일정시간 유지하지 못하거나, 전도(顚倒)된 상태에 반응하고 감지하여 알람 또는 알람과 함께 led경고등이 점등되게 하는 안전시스템이 구비된 감지센서(430)가 더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400)의 콘트롤체(41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위해 휴대 가능한 케이스 내에 전원공급이 되게 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후동력체의 구동력을 제어회로가 구비된 회로부와, 온오프버튼 및 기능선택 버튼으로 된 선택부와, 선택된 기능이 출력되는 출력부가 구비된 리모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행보조부재(100)에는 상기 제1,제2프레임(120,130)에 의해 높이가 가변되고, 높이 가변 시 쿠션판(140)의 틸팅 구동에 의해 기립보조력의 제공으로 이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기립하는 자세로 변형되는 과정과 완전 기립된 상태에서 상체를 의지하여 보행할 수 있는 기립보조부재(500)가 구비되게 한다.
상기 기립보조부재(500)는, 상기 제1,제2프레임(120,130) 상단에 설치되어 앉은 자세에서 기립하는 이용자의 상체가 진입되는 입구(512)와, 상체의 양팔을 얹어 둘 수 있는 상체지지대(510)가 “U”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체지지대(510) 저면으로 상기 제1, 제2프레임(120,130)과 연결을 이루기 위한 브라켓(51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513)에는 제1,제2프레임(120,130)이 승하강될 때, 상체지지대(510)가 상기 쿠션판(140)과 동일한 틸팅 각도로 지점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유동홀(514)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상체지지대(510)의 외면에 보행시의 안전을 위해 기립손잡이(520)가 형성되게 한다.
또한, 경사지게 틸팅된 쿠션판(140)이 보행보조부재(100)의 제1프레임(120)에서 제2프레임(130)위치로 회동될 때 수직상태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2프레임(130)에 설치하는 고정체(530)와, 상기 고정체(530)의 자력에 대하여 자화되어 접착되는 쿠션판(140)의 자성편(532)과, 회동되는 상기 쿠션판(140)이 제2프레임(130)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져 자력으로 고정될 때,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 사이에 형성되어 보행할 수 있는 기립공간(550)이 구비된다.
도 3는 본 발명 중 프레임부재의 상승 동작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 중 쿠션판의 틸팅 시 기립보조력의 형성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제 4도에 대한 틸딩 동작 상세를 나타낸다.
노약자 또는 환자 등의 이용자는 신체에 근력이 없어 자신의 힘으로 이동하기가 곤란하여 휠체어 또는 보조보행기기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를 본 발명의 보조보행장치에 적용하면 이용자가 보행보조부재(100)에 구비된 쿠션판(140)에 앉으면 보조인이 있을 경우, 보행보조부재(100)에 구비된 이동손잡이(103)를 잡고 밀어 주거나, 보조인이 없는 경우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의 구동력으로 이동부재(200)가 구동되게 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원하는 위치로 이동된 이용자가 보행하고자 할 때, 쿠션판(140)에서 기립해야 하므로, 캐스터(210)의 하우징(212)에 구비된 브레이크(230)를 발로 눌러서 캐스터(210)를 록크시켜 이동부재(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동부재(200)가 움직이지 않게 한 이후, 이용자는 제어부재(400)의 콘트롤체(410)의 버튼를 이용해 전원이 구동부재(300)에 인가되게 하거나, 휴대가능한 리모콘의 선택버튼을 눌러 구동부재(300)가 구동되게 한다.
상기 구동부재(300)가 구동되면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에서 생성된 구동력이 볼스크류축(312,322)통해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측으로 전달되어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이 수직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볼스크류(312,322)가 회전되면 제1,제2프레임(120,130)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는데, 콘트롤체(410)에서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의 구동력을 제어하여 제1프레임(120)의 볼스크류(312) 회전속도는 저속, 제2프레임(130)의 볼스크류(322) 회전속도는 고속으로 출력되게 한다.
콘트롤체(410)에 의해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의 구동력이 제어됨에 따라서 제1프레임(120)의 수직이동 폭은 좁고, 제2프레임(130)의 수직이동폭은 넓게 되어 링크대(340)가 소정의 경사각으로 틸팅되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링크대(340)가 소정의 경사각으로 틸팅되면 쿠션판(140)도 링크대(340)도 함께 수평상태로 있다가 승강되면서 경사지는 상태로 가변되므로 쿠션판(140)에서 기립하려는 이용자에게 쿠션판(140)의 수직상승력과 경사방향으로 밀어내는 기립보조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이용자는 기립자세를 힘들이지 않고 취할 수 있고 이어지는 직립자세를 원활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쿠션판(140)에서의 수직상승과 경사각으로 틸팅되어 기립보조력을 제공하는 범위는 이용자가 쿠션판(140)에서 일어서기 위해 발을 바닥에 디딛는 상태에서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고, 신체의 힘의 작용점을 무릎으로 이동시켜 허벅지에 힘을 주면서 구부러진 다리를 펴서 수직상태를 이루는 범위에서 제공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쿠션판(140)에 의한 기립보조력은 쿠션판의 틸팅각 20~40° 각도 범위에서 이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즉, 틸팅각은 기립할 때 다리에 힘이 집중되는 시기부터 엉덩이가 쿠션판(140)에서 분리되는 범위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쿠션판(140)에서 수직 상승되면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발이 바닥에 닿게 되고, 발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쿠션판(140)이 점점 경사지면서 사승하여 이용자의 엉덩이를 밀어내는 상태로 구동된다.
상기 과정에서 이용자는 무릎과 허벅지 근육에 힘이 들어가는 상태이지만 쿠션판(140)에서 이를 받쳐 주어 기립진행 자세를 쿠션판(140)에 의지하는 채로 할 수 있어서 하체에 힘이 집중적으로 들어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기립진행 자세가 쿠션판(140)이 틸팅된 상태에서 계속 상승하므로 쿠션판(140)은 이용자의 엉덩이를 들어주어 다리를 펴는 작용을 하게 되어, 이용자는 다리와 허리가 직립 상태처럼 세워져 힘이 최소한으로 들어가는 자세가 되므로 연이어 보조인의 도움 없이 직립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용자가 직립자세로 일어서면 콘트롤체(410)를 다시 조작하면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상승했던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이 하강되고 동시에 쿠션판(140)도 하강하면서 제1, 제2프레임(120,130) 내부에서 수평한 상태로 된다.
이후 이용자는 직립한 위치에서 돌아서서 보행하기 위해 보행보조부재(100)의 상단에 위치한 기립보조부재(500)의 상체지지대(510)를 손을 잡고, 수평상태의 쿠션판(140)을 제2프레임(130)측으로 수직하게 세우면 제2프레임(130)에 설치된 고정체(530)에 쿠션판(140)의 자성편(532)이 고정체(530)에 자력으로 부착되고, 보행보조부재(100)에는 기립공간(550)이 형성되므로 이용자는 상체지지대(510)의 기립손잡이(520)를 잡고 보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행보조부재(100)가 바닥의 평탄도가 불안정하여 제1,제2프레임(120,130)이 바닥에서 수직상태에서 벗어나게 되거나, 혹은 전도되면 감지센서(430)가 감지하여 알람이 울리거나 알람이 울리면서 led경고등이 켜져 주변으로부터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게 하여 행동이 부자연스런 이용자를 사고에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
도 6는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한 일실시예 중 기립자세에 대한 보조기립력 제공 상태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이용자의 이동과 기립에 적용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수단의 보행보조부재(100)의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하여 하단에 이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재(200)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이용자의 착석상태에서 기립상태를 유도하는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이 설치되고, 제1프레임(120) 상에 기립자세를 취할 때 쿠션판(140)이 승하강 및 경사각으로 가변되는 구동부재(30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재(300)에는 쿠션판(140)의 수직승하강과 경사각 가변을 위한 구동력이 출력되는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가 설치되고,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 상단에 상체지지대(510)와 기립손잡이(52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200)는 바닥과 구름마찰을 이루는 캐스터(210)가 구비되고 캐스터(210)에는 캐스터의 구름상태를 록크(lock)되게 하는 브레이크(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상기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에 설치되는 쿠션판(140)과 상체지지대(510)는 동일한 수직 승하강 상태와 틸팅 상태로 구동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시 예는 하체에 힘이 없는 이용자가 이동수단의 보행보조부재(100)에 구비된 쿠션판(140)에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부재(200)의 캐스터(210)를 이용하여 이동한 다음 캐스터(210)의 브레이크(230)로 록크 시킨 후 구동부재(300)를 구동시켜 전동력체(310)와 후 동력체(320)의 구동력으로 수직 상승되게 하면서 후동력체(320)의 속도를 전동력체(310)보다 빠르게 구동되게 제어하여 이용자가 앉은 쿠션판(140)과 상체 상체지지대(510)가 경사지게 틸팅되는 상태로 상승되어서 이용자를 밀어내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승 경사력을 받게 되는 이용자는 쿠션판(140)에서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려는 자세를 취하게 되고, 계속되는 쿠션판(140)의 경사상승상태에 의해 이용자는 쿠션판(14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밀어내는 가변력 즉, 기립보조력에 의해서 이용자는 다리 및 무릎부위에 고관절부위를 세우기 위한 힘을 집중적으로 가하지 않아도 구부러진 상태이 무릎이 펴져 다리가 곧게 세워지는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쿠션판(140)의 수직경사상승에 의해 기립 자세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기립상태를 이루면 제어부재(400)의 구동부재(300)를 제어하여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게 한다.
상기 전동력체(310)와 후동력체(320)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면 쿠션판(140)과 상체지지대(510)가 수평상태로 되므로 이용자의 상체 즉, 양 팔을 얹을 수 있게 되며 양 손으로 기립손잡이(520)를 잡게 되면 이용자의 기립된 상체는 상체지지대(510)에 매우 안정된 의지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 쿠션판(140)이 수평상태이므로 보행하기가 불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평상태로 있는 쿠션판(140)을 수직하게 세워 후동력체(320)에 구비된 접착력이 있는 자석 또는 클립 외에 매직테이프와 같은 상호구속력이 유지되는 고정체(530)에 의해 고정되게 하면 보행보조부재(100)내에 기립공간(550)이 형성되어 이용자가 상체지지대(510)와 기립손잡이(520)를 잡고 기댄 상태로 이동방향으로 보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근력의 약함으로 앉았다가 일어서기가 매우 곤란한 이용자들이 엉덩이를 받치고 있는 쿠션판이 경사 상승 동작을 이루게 함으로 앉은 자세에서 기립자세로 변환할 때 무릎과 허벅지 및 기립근에 집중적으로 힘이 들어가는 구간에서 이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은 상태로 기립할 수 있어 재활활동 영역을 넓혀 건강회복에 이로움이 제공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보행보조부재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제1프레임
130 : 제2프레임 140 : 쿠션판 200 : 이동부재
210 : 캐스터 212 : 하우징 230 : 브레이크
300 : 구동부재 310 : 제1모터체 312 : 볼스크류
320 : 제2모터체 322 : 볼스크류 340 : 링크대
342 : 장공 345 : 원호홀 400 : 제어부재
410 : 콘트롤체 430 : 감지센서 500 : 기립보조부재
510 : 상체지지대 512 : 입구 520 : 기립손잡이
530 : 고정체 550 : 기립공간

Claims (10)

  1. 이용자가 착석하는 쿠션판과, 상기 쿠션판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태 및 경사지게 틸팅되는 상태로 유도되게 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구비된 보행보조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베이스프레임 저면으로 지면과의 구름마찰을 이루는 캐스터가 설치되고, 이용자의 기립 시 상기 캐스터가 록크되는 이동부재 ;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베이스프레임 상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 제2프레임과 연결되어 생성되는 구동력이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제1, 제2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전달되게 하는 구동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에 설치되는 콘트롤체가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콘트롤체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의해 수직승하강되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상기 쿠션판을 수평에서 경사상태로 가변시켜 이용자의 기립동작을 지원하는 제어부재;
    상기 보행보조부재 상단에 설치되어 기립된 이용자의 상체가 의지되게 하는 상체지지대와, 상기 보행보조부재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틸팅상태의 상기 쿠션판이 수직상태로 고정되게 하여 상기 제1, 제2프레임 사이에 보행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진 기립보조부재; 를 포함하여서 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2.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단에 기립된이용자가 상체를 기대는 상기 상체지지대가 설치되며, 중간 위치에는 이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상기 쿠션판이 설치되는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는 볼스크류로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3.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저면의 전방과 후방위치에 설치되어 바닥과 구름마찰을 이루는 캐스터;
    상기 캐스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판의 틸팅 시 잠금되는 브레이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4.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전방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볼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전동력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후방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볼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후동력체;
    상기 쿠션판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상기 제1,2프레임과 연동되는 링크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5.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전,후동력체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이 제어되게 하는 콘트롤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트롤체는, 전원충전과 상기 쿠션판의 틸팅 상태를 감지하여 소정의 각도에 도달 시 상기 콘트롤체의 전원공급이 제어되게 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전원제어부의 구동과 정지를 선택하는 스위치부로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6.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보조부재는,
    상기 제1,제2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이용자 기립 시에 상체를 기대는 입구가 구비된 상체지지대와,
    상기 제2프레임에 설치되어 틸팅상태의 상기 쿠션판이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대에 보행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체지지대에는 저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제2프레임과 상체지지대가 연동되게 하는 브라켓과,
    상기 상체지지대의 외측에 설치되어 기립한 이용자가 손으로 잡는 기립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7.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대는,
    상기 제1, 제2프레임에 상기 쿠션판이 수평하게 설치되게 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제2프레임의 중간위치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링크로 되고,
    상기 제1,제2링크에는, 상기 제1,제2프레임의 동시 수직승하강구동과, 상기 제2프레임의 개별승강에 의한 틸팅구동을 위해 일측단에 통공, 타측단에는 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8.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베이스프에림에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콘트롤체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으로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제1,제2프레임이 수직승하강 및 틸팅구동되는 상태에서 소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상기 기립보조부재가 전도된 상태를 감지하여 경보음 및 led경고등이 구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9.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자력을 발산하는 영구자석으로 되어 상기 제2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쿠션판에는 상기 고정체의 자력으로 흡착되는 자성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10.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의 콘트롤체는,
    휴대 가능한 케이스 내에 배터리에 의해 전원공급이 되며 상기 전,후동력체의 구동력이 제어되는 회로가 구비된 회로부와; 온,오프버튼 및 기능선택 버튼으로 된 선택부와; 선택된 기능의 신호가 무선으로 출력되는 출력부; 가 구비된 리모컨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KR1020210025346A 2021-02-25 2021-02-25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KR10253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46A KR102536799B1 (ko) 2021-02-25 2021-02-25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346A KR102536799B1 (ko) 2021-02-25 2021-02-25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39A true KR20220121939A (ko) 2022-09-02
KR102536799B1 KR102536799B1 (ko) 2023-05-30

Family

ID=8328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346A KR102536799B1 (ko) 2021-02-25 2021-02-25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124A (ko) 2022-10-14 2024-04-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보조 기능성 웨어러블 슈트 및 그 착용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269A (ja) * 2001-06-28 2003-01-14 Bridgestone Cycle Co 歩行車
JP2005095231A (ja) * 2003-09-22 2005-04-14 Iura Co Ltd 立ち上がり補助装置
JP2007503264A (ja) * 2003-08-25 2007-02-22 イー. カラシン、クレイグ 歩行器
KR20100084242A (ko) * 2009-01-16 2010-07-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
KR20120040914A (ko) * 2010-10-20 2012-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 시스템
KR20120098050A (ko) * 2011-02-28 201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행 보조 시스템
KR101304283B1 (ko) * 2012-01-17 2013-09-11 주식회사 삼윤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429950B1 (ko) 2013-03-07 2014-08-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
KR101648667B1 (ko) * 2015-03-27 2016-08-1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휠체어
KR101945622B1 (ko) * 2017-06-29 2019-04-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보행보조기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269A (ja) * 2001-06-28 2003-01-14 Bridgestone Cycle Co 歩行車
JP2007503264A (ja) * 2003-08-25 2007-02-22 イー. カラシン、クレイグ 歩行器
JP2005095231A (ja) * 2003-09-22 2005-04-14 Iura Co Ltd 立ち上がり補助装置
KR20100084242A (ko) * 2009-01-16 2010-07-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
KR20120040914A (ko) * 2010-10-20 2012-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 시스템
KR20120098050A (ko) * 2011-02-28 201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행 보조 시스템
KR101304283B1 (ko) * 2012-01-17 2013-09-11 주식회사 삼윤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429950B1 (ko) 2013-03-07 2014-08-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
KR101648667B1 (ko) * 2015-03-27 2016-08-1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휠체어
KR101945622B1 (ko) * 2017-06-29 2019-04-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보행보조기 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124A (ko) 2022-10-14 2024-04-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보조 기능성 웨어러블 슈트 및 그 착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799B1 (ko)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898B2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JP6400046B2 (ja) 輸送装置
US11819730B2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US9565947B2 (en) Standing-up trainer
JP4202916B2 (ja) 起立補助車椅子
KR102209833B1 (ko) 신체적 약자를 위한 이동 이승을 위한 보조 로봇
KR20160065101A (ko) 스탠딩 휠체어
KR20160149679A (ko) 상하지 재활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
AU2005253809A1 (en) An excercise, rehabilitation and mobilization device
KR20200037610A (ko)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휠체어
KR20180123792A (ko)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23841B1 (ko)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화장실 보조 기구장치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KR102536799B1 (ko) 능동형 기립 보조수단이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
JP3792481B2 (ja) 歩行補助装置
KR20180123995A (ko)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KR102719006B1 (ko) 체중 지지와 하지 근력 보조가 가능한 보행재활기
KR20230102280A (ko) 체중 지지와 하지 근력 보조가 가능한 보행재활기
JP2000254178A (ja) シーソー式起立補助椅子
KR102242424B1 (ko)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JPH08196574A (ja) 身体障害者用起立訓練ベッド
WO2021142390A1 (en) Assistive wal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