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424B1 -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424B1
KR102242424B1 KR1020190033397A KR20190033397A KR102242424B1 KR 102242424 B1 KR102242424 B1 KR 102242424B1 KR 1020190033397 A KR1020190033397 A KR 1020190033397A KR 20190033397 A KR20190033397 A KR 20190033397A KR 102242424 B1 KR102242424 B1 KR 102242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coupled
rotation
chai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361A (ko
Inventor
조형진
Original Assignee
조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진 filed Critical 조형진
Priority to KR102019003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4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flui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바퀴가 설치되는 다리와, 다리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좌판과, 고정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결합되는 등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의 저면에 오목하게 배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끼움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회동부와, 상기 좌판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와, 상기 등받이의 내측에 수용되며 인입 및 배출되는 로드의 단부가 체결돌기에 각각 결합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미리 입력된 설정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 상기 전후회동과 좌우회동이 동시에 작동하는 복합회동의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와 척추를 자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A chair on which seats are tilted}
본 발명은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착석 자세에 따라 의자의 좌판이 일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요추를 곧바로 세운 자세에서 착석할 수 있도록 하여 자세를 교정하고 필요에 따라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 착석하는 좌판과,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와, 상기 좌판 및 등받이를 연결하고,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의자는 외부 활동이 많았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산업의 발달과 생활 습관의 변화로 사무용, 여가용 및 학습용으로서 사용되는 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의자들은 좌판과 등받이가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받쳐주는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의자에 앉거나 일어나는 행동이 불편한 허리 혹은 무릎관절에 이상이 있는 환자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의자의 형상뿐만 아니라, 허리 혹은 무릎관절에 이상이 있는 환자나 노약자가 사용 가능하도록 기능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한 기능성 의자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앉거나 일어날 때 무릎관절에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좌판의 후방이 승하강되는 무릎관절 환자용 의자가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9076호(2013 06 20)의 ‘무릎관절 집중압력방지용 의자’의 경우도 사용자의 착석을 위한 좌판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좌판의 좌우로 형성되는 팔걸이와 팔걸이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릎 관절 환자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받침프레임의 일 측을 가로질러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좌판과 받침 프레임 사이에는 탄성력에 의해 착석 전에는 좌판을 항상 경사지게 지지하며, 착석 후 기립시에는 좌판의 원위치 회전을 용이하게 하여 무릎관절 환자와 같은 의자 사용자의 기립을 손쉽게 돕도록, 브래킷과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팔걸이 프레임의 돌출된 일단에는 상기 탄성체가 끼워져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브래킷에 유동가능하도록 결합 되고, 타 일단은 상기 받침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회전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설 때 팔걸이 프레임을 잡고 눌러주어야만 좌판의 후단이 상승되므로 팔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는 사용할 수 없고, 탄성체에 의해 좌판의 후단이 상승되므로 탄성력만으로는 과체중 사용자가 일어서는 것을 보조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사용자의 체중에 맞게 좌판 후단의 상승속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43561-0000호 (2001년08월08일)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08-0004603호 (2008년10월15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67804-0000호 (2013년05월21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1109-0000호 (2014년01월27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이 미리 입력된 설정에 따라 전후 및 좌우로 기울어지면서 허리와 척추의 심부를 자극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리와, 다리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좌판과, 고정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결합되는 등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의 저면에 오목하게 배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끼움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회동부와, 상기 좌판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와, 상기 좌판의 후방에 기립되어 설치되며 인입 및 배출되는 로드의 단부가 체결돌기에 각각 결합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미리 입력된 설정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 상기 전후회동과 좌우회동이 동시에 작동하는 복합회동의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와 척추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액추에이터는 로드의 단부가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등받이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체결돌기가 끼움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체결구와, 체결구를 감싸며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 볼조인트로드엔드가 결합되어, 상기 좌판이 전후 또는 좌우로 회동하면 체결구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좌판이 안정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의 상단부는 둥근 구의 형상의 볼스터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볼스터드를 감싸는 소켓과, 상기 볼스터드와 소켓의 사이에 미끄러지기 쉽고 내구성이 강한 볼시트를 포함하여, 상기 좌판이 고정돌기를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등받이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의 하부로 배출된 로드의 단부가 체결돌기에 볼조인트로드엔드로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좌판의 후방에 배치된 다리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좌판의 후방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드의 단부가 체결돌기에 볼조인트로드엔드로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좌판의 상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판에 복수개의 센서부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한쪽으로 치우쳐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가 액추에이터를 각각 작동시켜 소정의 시간동안 좌판을 기울인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며, 이를 엉덩이가 좌판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반복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액추에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원격으로 작동시켜 조작하는 리모트콘트롤부가 구비되되, 상기 리모트콘트롤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스위치와,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 상기 전후회동과 좌우회동이 동시에 작동하는 복합회동을 조절하는 수동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를 바르게 하고, 척추와 허리 심부 근육을 자극하여 유연성과 근력 그리고 척추관절의 안정성을 높이는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에 의해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에 의해 좌판이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콘트롤부의 외형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100)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에 의해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에 의해 좌판이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콘트롤부의 외형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100)은 바퀴가 설치되는 다리(1)와, 다리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프레임(2)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좌판(3)과, 고정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결합되는 등받이(4)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좌판의 저면에 오목하게 배치되는 수용부(11)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끼움되는 고정돌기(12)를 포함하는 회동부(10)와, 상기 좌판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21a,21b)와, 상기 좌판의 후방에 기립되어 설치되며 인입 및 배출되는 로드(23)의 단부가 체결돌기(21a,21b)에 각각 결합되는 액추에이터(22a,22b)를 포함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0)와, 상기 액추에이터(22a,22b)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10)는 상기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 상기 전후회동과 좌우회동이 동시에 작동하는 복합회동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좌판의 저면에 오목하게 배치되는 수용부(11)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끼움되는 고정돌기(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12)는 다리(1)의 상부에 연결되는 고정프레임(2)에 안착되어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상단부는 둥근 구의 형상의 볼스터드(121)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1)는 상기 좌판의 저면에 오목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볼스터드를 감싸는 소켓(111)과, 상기 볼스터드와 소켓의 사이에 미끄러지기 쉽고 내구성이 강한 볼시트(112)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111)은 상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좌판(3)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설치된다.
상기 볼시트(112)는 미끄러지기 쉽고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상기 볼스터드(121)와 소켓(111)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10)에 의해 상기 좌판(3)이 고정돌기(12)를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좌판(3)을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좌판(3)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21a,21b)와, 상기 좌판의 후방에 기립되어 설치되며 인입 및 배출되는 로드(23)의 단부가 체결돌기(21a,21b)에 각각 결합되는 액추에이터(22a,22b)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돌기(21a,21b)는 좌판의 후방으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22a,22b)는 상기 좌판의 후방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가 좌판의 후방에 배치된 다리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인입 및 배출되어 좌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로드(23)의 단부가 체결돌기(21a,21b)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가 상기 등받이(4)의 내측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하부로 인입 및 배출되어 등받이(4)의 외부로 돌출되는 로드(23)의 단부가 체결돌기(21a,21b)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22a,22b)의 몸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며 지주가 1개인 사무용의자의 경우에는 등받이(4)의 내부로 수용되어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다리가 구비되는 거실용의자의 경우에는 후방에 위치한 다리에 밀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드(23)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체결돌기가 끼움되는 삽입공(241)이 형성된 체결구(242)와, 체결구를 감싸며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43)을 포함한 볼조인트로드엔드(24)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좌판(3)이 전후 또는 좌우로 회동하면 체결구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22a,22b)의 구동에 따라 좌판이 안정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부(30)는 상기 구동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등받이부(4)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배터리나 외부에 마련된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변환시키는 전원공급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액추에이터(22a,22b)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40)가 미리 입력된 설정에 따라 액추에이터(22a,22b)를 각각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22a,22b)의 로드(23)가 동시에 상승하면 좌판(3)의 전단이 하부로 내려가 좌판이 기울어지게 되고(a), 상기 액추에이터(22a,22b)의 로드(23)가 동시에 하강하면 좌판(3)의 전단이 상부로 올라가 좌판이 기울어지게 됨(b)으로써, 상기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좌측에 배치된 액추에이터(22a)의 로드가 상승하고 우측에 배치된 액추에이터(22b)의 로드가 하강하면 좌판(3)의 좌측단부는 상승하고 우측단부는 하강하면서 좌판이 기울어지게 되고(c), 반대로 좌측에 배치된 액추에이터(22a)의 로드가 하강하고 우측에 배치된 액추에이터(22b)의 로드가 상승하면 좌판(3)의 좌측단부는 하강하고 우측단부는 상승하면서 좌판이 기울어지게 됨(d)으로써, 상기 좌판이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좌판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a,b)에서 한쪽 액추에이터의 로드가 상승 또는 하강하거나, 상기 좌판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c,d)에서 양쪽 액추에이터(22a,22b)의 로드가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좌판(3)이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복합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판(3)이 회동부(10)에 의해 전후방향 및 좌우측방향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20)가 좌판(3)을 전후방향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와 척추를 자극함으로써 유연성과 근력 그리고 척추관절의 안정성이 높이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의 상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판에 복수개의 센서부(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센서부(50)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 센서부가 착석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회동부(10)의 위치를 중심으로 전방에 설치된 센서부에 감지된 하중과 후방에 설치된 센서부에 감지된 하중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쳐 착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좌측에 설치된 센서부에 감지된 하중과 우측에 설치된 센서부에 감지된 하중을 비교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착석하였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회동부(10)를 중심으로 좌석의 한쪽으로 치우쳐 착석하면 상기 제어부(40)가 센서부(5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0)가 액추에이터(22a,22b)를 각각 작동시켜 소정의 시간동안 좌판(3)을 기울인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며, 이를 엉덩이가 좌판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반복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액추에이터(22a,22b)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원격으로 작동시켜 조작하는 리모트콘트롤부(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트콘트롤부(60)는 상기 전원공급부(30)의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스위치(61)와,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 상기 전후회동과 좌우회동이 동시에 작동하는 복합회동을 조절하는 수동조작스위치(6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좌판(3)에 착석한 사용자가 임의로 좌판을 구동하는 구동부의 액추에이터(22a,22b)를 조작함으로써 수동으로 좌판을 기울여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퀴가 설치되는 다리(1)와, 다리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프레임(2)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좌판(3)과, 고정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결합되는 등받이(4)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의 저면에 오목하게 배치되는 수용부(11)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끼움되는 고정돌기(12)를 포함하는 회동부(10)와, 상기 좌판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21a,21b)와, 상기 등받이의 내측에 수용되며 인입 및 배출되는 로드(23)의 단부가 체결돌기(21a,21b)에 각각 결합되는 액추에이터(22a,22b)를 포함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0)와, 상기 액추에이터(22a,22b)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40)가 미리 입력된 설정에 따라 액추에이터(22a,22b)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 상기 전후회동과 좌우회동이 동시에 작동하는 복합회동의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와 척추를 자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100)에 관한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1: 다리 2: 고정프레임
3: 좌판 4: 등받이
10: 회동부 11: 수용부
111: 소켓 112: 볼시트
12: 고정돌기 121: 볼스터드
20: 구동부 21a,21b: 체결돌기
22a,22b: 액추에이터 23: 로드
24: 볼조인트로드엔드 241: 관통공
242: 체결구 243: 하우징
30: 전원공급부 40: 제어부
50: 센서부 60: 리모트콘트롤부
61: 전원스위치 62: 수동조작스위치

Claims (7)

  1. 다리(1)와, 다리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프레임(2)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좌판(3)과, 고정프레임의 후방 모서리에 결합되는 등받이(4)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의 저면에 오목하게 배치되는 수용부(11)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끼움되는 고정돌기(12)를 포함하는 회동부(10)와, 상기 좌판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21a,21b)와, 상기 좌판의 후방에 기립되어 설치되며 인입 및 배출되는 로드(23)의 단부가 체결돌기(21a,21b)에 각각 결합되는 액추에이터(22a,22b)를 포함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0)와, 상기 액추에이터(22a,22b)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40)가 미리 입력된 설정에 따라 액추에이터(22a,22b)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 상기 전후회동과 좌우회동이 동시에 작동하는 복합회동의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와 척추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로드(23)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체결돌기가 끼움되는 삽입공(241)이 형성된 체결구(242)와, 체결구를 감싸며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43)을 포함한 볼조인트로드엔드(24)가 결합되어, 상기 좌판(3)이 전후 또는 좌우로 회동하면 체결구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22a,22b)의 구동에 따라 좌판이 안정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2)의 상단부는 둥근 구의 형상의 볼스터드(12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는 상기 볼스터드를 감싸는 소켓(111)과, 상기 볼스터드와 소켓의 사이에 미끄러지기 쉽고 내구성이 강한 볼시트(112)를 포함하여, 상기 좌판이 고정돌기(12)를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2a,22b)는 상기 등받이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의 하부로 배출된 로드(23)의 단부가 체결돌기(21a,21b)에 볼조인트로드엔드(24)로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2a,22b)는 좌판의 후방에 배치된 다리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좌판(3)의 후방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드(23)의 단부가 체결돌기(21a,21b)에 볼조인트로드엔드(24)로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상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판에 복수개의 센서부(50)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한쪽으로 치우쳐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가 액추에이터(22a,22b)를 각각 작동시켜 소정의 시간동안 좌판을 기울인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며, 이를 엉덩이가 좌판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반복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액추에이터(22a,22b)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원격으로 작동시켜 조작하는 리모트콘트롤부(60)가 구비되되, 상기 리모트콘트롤부(60)는 상기 전원공급부(30)의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스위치(61)와,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전후회동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좌우회동, 상기 전후회동과 좌우회동이 동시에 작동하는 복합회동을 조절하는 수동조작스위치(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KR1020190033397A 2019-03-25 2019-03-25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KR102242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397A KR102242424B1 (ko) 2019-03-25 2019-03-25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397A KR102242424B1 (ko) 2019-03-25 2019-03-25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361A KR20200113361A (ko) 2020-10-07
KR102242424B1 true KR102242424B1 (ko) 2021-04-19

Family

ID=7288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397A KR102242424B1 (ko) 2019-03-25 2019-03-25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4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570Y1 (ko) * 2003-07-21 2003-10-17 기 석 우 전신 운동기
KR101501992B1 (ko) * 2014-04-21 2015-03-19 주식회사 시트텍 의자의 등받이와 발받침의 절첩장치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61Y1 (ko) 2001-04-16 2001-10-11 동성사무기기(주) 틸팅 의자용 베이스
KR20080004603U (ko) 2007-04-10 2008-10-15 윤경호 틸팅운동의자
KR101267804B1 (ko) 2011-12-08 2013-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자용 틸팅 좌판 및 이를 갖는 의자
KR200471109Y1 (ko) 2012-04-05 2014-02-06 부호체어원(주)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570Y1 (ko) * 2003-07-21 2003-10-17 기 석 우 전신 운동기
KR101501992B1 (ko) * 2014-04-21 2015-03-19 주식회사 시트텍 의자의 등받이와 발받침의 절첩장치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361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3864A1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synchronized body motions of a user
US9565947B2 (en) Standing-up trainer
CN104013229B (zh) 一种自动矫正坐姿的座椅及其使用方法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KR20180038180A (ko) 다리 받침 겸용 의자
JP4236164B2 (ja) マッサージ機
CN112618318A (zh) 一种医疗康复用多方位按摩椅
KR20070001031U (ko) 허리운동용 의자
KR102242424B1 (ko)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KR100886181B1 (ko) 장애인용 의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20210037237A (ko) 기립보조의자
CN208909432U (zh) 多功能坐姿矫正二联垫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JP3046591B1 (ja) 介護用炬燵及び介護用座椅子
KR101374075B1 (ko)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JP3245822U (ja) 無重力姿勢機能付きチェア
JP2024024719A (ja) 椅子及び机
KR101645859B1 (ko) 척추 및 경추 보호용 견인 의자
JP6539803B2 (ja) 腰臀部押圧伸展器
JP3231451U (ja) ソファ
JP2013144096A (ja) 揺動装置
JP2018130230A (ja) 呼吸誘導機能付きマッサージチェア
CN220800580U (zh) 一种智能沙发软硬调节机构
US11596243B2 (en) Rocking and bounc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