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09Y1 -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09Y1
KR200471109Y1 KR2020120002788U KR20120002788U KR200471109Y1 KR 200471109 Y1 KR200471109 Y1 KR 200471109Y1 KR 2020120002788 U KR2020120002788 U KR 2020120002788U KR 20120002788 U KR20120002788 U KR 20120002788U KR 200471109 Y1 KR200471109 Y1 KR 200471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locking
support shaft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992U (ko
Inventor
김노수
Original Assignee
부호체어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호체어원(주) filed Critical 부호체어원(주)
Priority to KR2020120002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0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는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제1힌지홀과 지지홀이 형성된 좌판 프레임; 상기 좌판 프레임의 지지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좌판 프레임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지지축; 상기 제1힌지홀과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홀과, 상기 지지홀에 끼움결합된 지지축이 끼워져 상기 지지축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끼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고 틸팅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탄성체에 지지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며 하나 이상의 락킹홀이 형성된 락킹플레이트; 및 상기 락킹홀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끼움부재,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끼움부재를 상기 락킹홀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락킹레버와, 상기 끼움부재가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락킹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각 끝단이 상기 락킹레버와 끼움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토션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측면에 구비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면, 작은 힘만으로도 더욱 정확히 틸팅을 락킹하거나 그 락킹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ilting of chair}
본 고안은 의자의 틸팅이 고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의자에 탑재되는 틸팅 메커니즘에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최적화된 구조를 이루며,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틸팅의 고정 및 해제가 더욱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착석 자세와 건강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구현된 의자가 개시되고 있다. 의자 좌판(seat)의 높낮이를 유압에 의하여 조절하는 장치, 좌판 또는 등받이가 탄성력에 의하여 뒤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의자의 좌판 또는 등받이 등이 탄력적으로 뒤로 젖혀지고 복원(이하 틸팅(tilting)이라고 한다)되도록 하는 의자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틸팅이 억제되어 고정 각도를 유지(locking)할 수 있도록 하거나 억제된 상태를 해제하여 틸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치가 일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의 대부분은 스프링과 같이 틸팅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또는 틸팅에 의하여 뒤로 회전 이동하는 좌판 프레임 자체의 이동 경로 상에 물리적 방해물을 삽입시키거나 삽입된 방해물을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장치들은 틸팅에 의하여 회전이동하는 객체의 이동 경로 상에 방해물 내지 스토퍼(stopper) 자체를 밀어넣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방해물이나 스토퍼가 배치되는 추가적인 공간이 장치에 마련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공간 차지가 불필요하게 커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틸팅 락킹은 좌판 등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므로 종래 장치들은 스토퍼 등을 좌판 등이 회전 이동되는 의자 후미부에 구비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토퍼 등을 의자 뒷부분에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손이 닿지 않아 편의성이 저해되므로 후미부의 스토퍼가 의자 측면에 구비된 조절 노브의 회전에 연동될 수 있도록 이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추가 장치가 필수적으로 개재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들에 의하여 필요 이상 장치가 복잡해지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종래 장치는 회전 노브를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힘만으로 스토퍼를 이동시켜 틸팅을 락킹하거나 해제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락킹과 락킹 해제 조작 자체가 힘들고 불편함은 물론,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본질적인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 문제점 등을 일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착석자가 앉은 상태에서 그대로 작은 힘만으로도 틸팅 락킹과 그 해제 조작이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틸팅 메커니즘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성과 구조를 통하여 더욱 컴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는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제1힌지홀과 지지홀이 형성된 좌판 프레임; 상기 좌판 프레임의 지지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좌판 프레임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지지축; 상기 제1힌지홀과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홀과, 상기 지지홀에 끼움결합된 지지축이 끼워져 상기 지지축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끼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는 지지체;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위치한 제2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에 틸팅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탄성체; 상기 지지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며 하나 이상의 락킹홀이 형성된 락킹플레이트; 및 상기 락킹홀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끼움부재,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끼움부재를 상기 락킹홀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락킹레버와, 상기 끼움부재가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락킹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각 끝단이 상기 락킹레버와 끼움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토션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측면에 구비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상기 락킹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축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지지체의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 탄성체와 나란히 배치되며 또한, 상기 락킹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축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 및 제2힌지홀에 체결되는 힌지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락킹플레이트는 상기 힌지샤프트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고안의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는 착석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작은 힘만으로도 용이하고 정확하게 틸팅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틸팅의 락킹 및 해제를 위한 구성을 의자의 틸팅 메커니즘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종래 장치에 대한 확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구성들의 배치와 동작 관계를 최적화시켜 장치를 하나의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더욱 컴팩트(compact)하게 구현하여 더욱 높은 경쟁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락킹 플레이트가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스토퍼 유닛의 상세 구성 및 구성들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틸팅의 락킹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락킹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100)(이하 제어장치로 지칭한다)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어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1과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의 하면에서 결합되는 장치로서 위로는 좌판 프레임(110)의 체결통공(111) 등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좌판 하면과 결합되며, 아래로는 베이스 프레임(120)에 형성된 체결홀(53)을 통하여 의자의 다리, 바퀴 등의 결합체와 연결된다.
본 고안의 제어장치(100)에는 틸팅 강도 조절수단(50)이 구비될 수 있는데, 틸팅 강도 조절수단(50)은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베벨기어, 평기어의 치합 구조체가 연동하고 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20)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 탄성체(145)의 수직 방향 길이가 조정되어 틸팅 강도의 강약이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유닛(160)을 포함한다. 이 스토퍼유닛(160)에 포함되는 락킹레버(162)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토션 스프링(165)과 끼움부재(161)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 끼움부재(161)가 좌판 프레임(110)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락킹플레이트(150)의 락킹홀(15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서 틸팅의 락킹과 락킹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제어장치(100)는 좌판 프레임(110), 베이스 프레임(120), 지지축(130), 지지체(140), 락킹플레이트(150) 및 스토퍼유닛(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판 프레임(11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어 좌판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좌판 회전을 위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1힌지홀(115)이 구비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좌판의 탄성 지지를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20)의 가이드홀(123)을 통하여 지지축(130)과 결합되는 지지홀(113)이 구비된다. 결속을 위하여 결합수단(11)이 개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123)은 상기 좌판 프레임(110)의 지지홀(113)에 끼움결합되는 지지축(130)이 끼워져 상기 지지축(130)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은 제어장치(100)의 몸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좌판 프레임(110)과 함께 상하부 구성으로 장치의 기본적인 골격 구조를 이룬다. 베이스 프레임(120)은 좌판 프레임(110)의 제1힌지홀(115)과 체결수단(13)에 의하여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홀(121)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힌지 결합에 의하여 좌판 프레임(110)은 베이스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지지축(130)은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탄성체(145)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데, 이러한 탄성 지지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축(130)과 결합되는 지지체(140)가 아래로 스프링 탄성체(145)의 상단과 끼움 결합되어 탄성 지지된다. 이 지지체(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스프링 탄성체(145)의 아래 방향으로는 스프링 탄성체(145)의 하면을 지지하며, 베벨 기어(149)와의 치합 구조에 의하여 상하 승강 이동이 가능하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위치한 제2지지체(1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130)은 좌판 프레임(110)의 지지홀(113)과 체결되어 물리적인 이동을 함께하는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30)은 지지체(140)와의 결합을 통하여 스프링 탄성체(145)의 탄성 지지를 받게 되므로 결국 좌판 프레임(110)이 스프링 탄성체(145)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20)에는, 상기 지지축(130)이 물리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공간이 구비된 가이드홀(1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축(130)은 이 가이드홀(123)을 따라 스프링 탄성체(145)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이동(완만한 곡선형 후방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홀(123)은 좌판 프레임(110)의 회전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 공간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30)에는 스프링 탄성체(145)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지지체(14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130)에 좌판 프레임(11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좌판에 사람이 착석하여 후방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가해진 힘은 좌판, 좌판 프레임(110) 및 지지축(130)에 전달되며, 이 지지축(130)은 가이드홀(123)을 따라 스프링 탄성체(145)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좌판의 틸팅이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판 프레임(110) 또는/및 베이스 프레임(120)에는 체결홀과 체결 수단 등의 추가적인 구성을 통하여 좌판과 함께 연동하며 의자의 등받이와 결합되는 등판 프레임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락킹플레이트(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탄성체(145)와 나란히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체(14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40)가 좌판의 회전 이동에 의하여 함께 이동하면 락킹플레이트(150) 또한, 함께 회전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락킹플레이트(150)가 회전하면 락킹플레이트(150)에 형성된 락킹홀(153)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매개체를 통하여 틸팅을 락킹하거나 락킹을 해제시키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등을 참조하여 틸팅의 락킹과 그 해제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락킹플레이트(150) 및 상기 락킹플레이트(150)에 형성된 락킹홀(153)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어 틸팅 제어를 수행하는 스토퍼유닛(160)에 대한 상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들의 결합 관계 및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지체(140)는 락킹플레이트(150)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141)가 구비되며, 지지축(13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통공(144)가 구비된다. 또한, 지지체(140)의 돌출부(1430에 스프링 탄성체(145)가 끼움 결합되어 지지체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체(140)에 결합된 지지축(130)의 끝 부분은 베이스 프레임(120)의 가이드홀(123) 및 좌판 프레임(110)의 지지홀(113)에 함께 끼움 결합되며, 체결의 결속을 위하여 소정의 체결수단(11)이 지지축(130)의 중공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락킹플레이트(150)는 상기 지지체(140)의 끼움부(14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지지체(140)와 함께 물리적 이동을 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체(140)는 지지축(130)과 결합하고 지지축(130)은 좌판 프레임의 지지홀(113)과 연결되므로 좌판 프레임이 뒤로 젖혀지거나 또는 탄력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면, 이 락킹플레이트(150)의 물리적 이동도 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 락킹플레이트(15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억제하는 것은 결국 좌판의 틸팅을 제한하거나 억제하는 것이 되며, 이 락킹플레이트(150)의 이동이 자유롭게 해제되면 좌판의 틸팅 또한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장치(100)의 내부 구조와 위치 관계를 더욱 유기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장치(100)를 더욱 컴팩트하게 일체화하여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락킹플레이트(150)는 지지축(130)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지지체(140)의 끼움부에 끼워져 스프링 탄성체(145)와 나란히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락킹플레이트(150)와 지지축(130)의 물리적 이동을 더욱 공고하게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플레이트(150)는 지지축(130)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락킹플레이트(150)는 지지축(130)에 결합된 지지체(140)에 결합됨과 동시에 다시 지지축(130)에도 동시에 결합되어 이 세 가지 구성 즉, 락킹플레이트(150), 지지체(140) 및 지지축(130)은 상호 강하게 결속되어 물리적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함께 스프링 탄성체(143)로부터의 탄성력이 분산되지 않고 그대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한 결합 구조의 이탈이나 오동작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고안은 힌지샤프트(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힌지샤프트(135)는 좌판 프레임(110)의 제1힌지홀(115)과 베이스 프레임(120)의 제2힌지홀(121)에 축 결합하는 샤프트로서 좌판 프레임(110)이 베이스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힌지축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힌지샤트프(135)는 락킹플레이트(150)에 형성된 제2관통홀(157)에 관통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락킹플레이트(150)가 제2관통홀(157)를 통하여 좌판 프레임(110)이 회전하는 기준점과 동일한 기준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더욱 안정적인 락킹플레이트(15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플레이트(150)는 좌판에 결합되는 좌판 프레임(110)의 틸팅 이동에 의하여 소정 회전 각도를 가지며 힌지축(135)과 결합되는 제2관통홀(157)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며, 락킹플레이트(15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락킹홀(153) 또한, 소정 각도를 가지며 회전 이동하게 된다.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홀(153)은 락킹플레이트(150)의 이동을 정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후술될 끼움부재(161)가 정확히 끼워질 수 있도록 락킹플레이트(150)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끼움부재(161)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하여 수평 방향이 이루어지도록 홀의 형상과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제2관통홀(157)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끼움부재와(161)의 수평 위치의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락킹플레이트(150)의 락킹홀(153)에 끼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좌판 프레임의 틸팅을 제한하거나 해제하는 스토퍼 유닛(160)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토퍼유닛(160)은 상기 락킹플레이트(150)의 측면에 구비되며 끼움부재(161), 락킹레버(162), 상부 플레이트(164), 토션 스프링(165) 및 몸체부(1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재(161)는 상기 락킹플레이트(150)의 락킹홀(153)로 진퇴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부 플레이트(164) 아래에서 몸체부(167)의 상단에 구비된 이동가이드부(8)의 가이드를 통하여 락킹홀(153) 방향으로 직선 형태의 진퇴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65)은 그 중심이 제1고정수단(18)에 의하여 상부 플레이트(164)의 고정홀(5)에 고정된다. 토션 스프링(165)의 일단부(16)는 제2고정수단(19)에 결합되는데, 이 제2고정수단(19)은 상부 플레이트(164)에 형성된 이동가이드통공(6)을 관통하여 상부 플레이트(164)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끼움부재(161)의 홀(7)과 체결되어 연결된다. 제2고정수단(19)의 끝단에는 끼움부재(161)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되, 끼움부재(161)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 너트 등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165)의 타단부(17)는 락킹레버(162)와 연결되는데, 상기 락킹레버(162)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끼움부재(161)는 상기 락킹홀(153)로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락킹레버(162)와 끼움부재(161)는 토션 스프링(165)을 매개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끼움부재(161)는 토션 스프링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락킹홀(153)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되므로 더욱 정확하고 용이한 락킹 및 락킹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상판 플레이트(164)와 몸체부(167)는 하나 이상의 고정체결수단(20)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토퍼 유닛(160)은 락킹플레이트(150)의 측면에 위치하며, 락킹플레이트(150)의 락킹홀(153)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부재(161)가 진퇴 이동하게 되는데, 회전에 의하여 이동하는 락킹홀(153)이 더욱 정확히 끼움부재(161)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스토퍼유닛(160)에는 상기 락킹플레이트(150)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부(169)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부(169)는 상부플레이트(164) 또는 몸체부(167)에 조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레버(162)가 회전하는 경우, 토션 스프링(165)에 의한 탄성력이 끼움부재(161)에 전달되어 상기 끼움부재(161)는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락킹이 해제된다. 반대의 경우 도 7과 같이 락킹레버(162)가 도 6에 도시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토션 스프링(165)의 탄성력이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어 본 고안의 끼움부재(161)는 락킹플레이트(150)의 락킹홀(153)에 끼움 결합되어 락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 제1, 제2 등과 같은 언어적 표현은 상호 간의 각 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중요성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거나, 절대적이고 물리적인 기준에서 각각의 요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제어장치 110 : 좌판 프레임
120 : 베이스 프레임 130 : 지지축
140 : 지지체 145 : 스프링 탄성체
150 : 락킹플레이트 160 : 스토퍼 유닛

Claims (5)

  1.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제1힌지홀과 지지홀이 형성된 좌판 프레임;
    상기 좌판 프레임의 지지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좌판 프레임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지지축;
    상기 제1힌지홀과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홀과, 상기 지지홀에 끼움결합된 지지축이 끼워져 상기 지지축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끼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는 지지체;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위치한 제2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에 틸팅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탄성체;
    상기 지지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며 하나 이상의 락킹홀이 형성된 락킹플레이트; 및
    상기 락킹홀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끼움부재,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끼움부재를 상기 락킹홀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락킹레버와, 상기 끼움부재가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락킹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각 끝단이 상기 락킹레버와 끼움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토션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측면에 구비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축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지지체의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 탄성체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축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힌지홀에 체결되는 힌지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플레이트는,
    상기 힌지샤프트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5. 삭제
KR2020120002788U 2012-04-05 2012-04-05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KR200471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88U KR200471109Y1 (ko) 2012-04-05 2012-04-05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88U KR200471109Y1 (ko) 2012-04-05 2012-04-05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92U KR20130005992U (ko) 2013-10-15
KR200471109Y1 true KR200471109Y1 (ko) 2014-02-06

Family

ID=5141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788U KR200471109Y1 (ko) 2012-04-05 2012-04-05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361A (ko) 2019-03-25 2020-10-07 조형진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431B1 (ko) * 2021-05-24 2021-12-28 (주)코아스 회전식 틸팅모듈을 갖는 의자
KR102294099B1 (ko) * 2021-05-24 2021-08-30 (주)코아스 회전식 틸팅모듈을 갖는 의자
KR102513256B1 (ko) * 2022-10-04 2023-03-23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전방 틸팅 기능을 포함하는 의자용 틸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845A1 (en) 2000-05-22 2002-04-18 Vanderiet Douglas M. Office chair
US20060255636A1 (en) 2005-04-27 2006-11-16 Donati S.P.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backrests in chairs and arm-chairs, particularly in office chairs
US20090008979A1 (en) 2007-04-06 2009-01-08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djustment device for a reclining chair
WO2010056838A1 (en) 2008-11-12 2010-05-2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evice for adjusting the thrust of a mechanism, particularly for adjustable chai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845A1 (en) 2000-05-22 2002-04-18 Vanderiet Douglas M. Office chair
US20060255636A1 (en) 2005-04-27 2006-11-16 Donati S.P.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backrests in chairs and arm-chairs, particularly in office chairs
US20090008979A1 (en) 2007-04-06 2009-01-08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djustment device for a reclining chair
WO2010056838A1 (en) 2008-11-12 2010-05-2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evice for adjusting the thrust of a mechanism, particularly for adjustable chai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361A (ko) 2019-03-25 2020-10-07 조형진 좌판이 틸팅되는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92U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109Y1 (ko)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US7441835B2 (en) Angle-adjustable backrest device for a child highchair
US8136880B2 (en) Adjustable width juvenile vehicle seat
JP2018532472A (ja) 連結要素またはヒンジ連結要素を有するキックスケーター
US11857473B2 (en) Mobility device seat
KR101162122B1 (ko) 차량용 회전시트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881272B1 (ko) 고감성 프리미엄 자동차 시트
JP4087635B2 (ja) アームレスト
JP6441048B2 (ja) 座席装置
KR200471108Y1 (ko)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KR101635495B1 (ko) 틸팅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635449B1 (ko) 의자 등받이 틸팅 잠금장치
JP2004049717A (ja) 椅子における背凭れ等の傾動装置
JP2016101842A (ja) 座席装置
KR102282299B1 (ko) 등판과 팔걸이가 동시에 경사 이동되는 의자
KR101358007B1 (ko)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JP6352785B2 (ja) 座席装置
JP7187027B2 (ja) 座席のアームレスト構造
CN209336535U (zh) 椅体旋转及仰俯角一体化调节机构及儿童安全座椅
JP2009056268A (ja) 電動式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3420856B1 (en) Seat comprising a back cushion adjustable in height
CN218750962U (zh) 一种儿童座兜的解锁机构
JP5986154B2 (ja) 車椅子
CN104192028B (zh) 一种儿童汽车座及其角度调节机构
KR101601525B1 (ko) 좌석 팔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