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08Y1 -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08Y1
KR200471108Y1 KR2020120002787U KR20120002787U KR200471108Y1 KR 200471108 Y1 KR200471108 Y1 KR 200471108Y1 KR 2020120002787 U KR2020120002787 U KR 2020120002787U KR 20120002787 U KR20120002787 U KR 20120002787U KR 200471108 Y1 KR200471108 Y1 KR 200471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upport
shaft
rotation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991U (ko
Inventor
김노수
Original Assignee
부호체어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호체어원(주) filed Critical 부호체어원(주)
Priority to KR2020120002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0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는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며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 프레임; 상기 좌판 프레임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지지축; 상기 좌판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지지축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의 물리적 이동 공간이 형성된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고 스프링 탄성체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체; 상기 스프링 탄성체의 안쪽 공간 중심에 위치하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나사축이 통과되며, 상기 스프링 탄성체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체; 상기 결합부를 통과한 나사축의 일단에 형성된 베벨기어; 및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체가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은 사람의 착석된 인체 구조에 최적화된 형태로 의자의 틸팅 강도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좌판 틸팅 강도 조절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Apparatus for setting a tilting strength of seat}
본 고안은 의자에 구비된 좌판의 틸팅 강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좌판의 틸팅 제공 수단인 스프링에 베벨기어, 승하강 지지체 및 회전 노브를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의자에 착석하는 사람의 인체 구조에 최적화된 형태로 좌판의 틸팅 강도가 효율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현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의자 좌판 또는 등판의 젖힘(틸팅)(tilting)을 조절하는 장치가 구비된 의자가 근래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틸팅 수단이 구비된 의자는 틸팅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인 스프링 등이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스프링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바닥면 하부에 위치한 회전체를 사람이 직접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착석자는 의자에게 내려오거나 인위적으로 고개와 허리를 깊이 숙여야만 손이 회전체에 닿게 되며, 또한, 틸팅 강도 조절을 위하여 스프링 강도에 대응되는 힘으로 이 회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당한 물리적 힘이 가해져야 한다.
이러한 종래 의자의 구조에서, 착석자는 상당히 불편한 자세에서 큰 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어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틸팅 강도는 사람이 의자에 앉은 착석상태에 맞게 자연스럽게 조절되어야 하는데, 종래 의자와 같이 사람이 의자에게 내려오거나 허리를 깊이 숙인 상태로 틸팅 강도를 조절해야만 하는 경우 현재 착석자의 착석 상태를 그대로 반영할 수 없으므로 무익한 조절행위를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종래 의자에 부가된 틸팅 강도 조절 기능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무용한 기능이 되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의자의 기능과 용도가 다양해짐은 물론, 사무를 보는 경우, 휴식을 취하는 경우, 대화를 나누는 경우 등 의자에 착석한 자의 상태에 따라 그 틸팅 강도가 다양하게 조절되어야 더욱 편안한 의자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의자는 틸팅 강도 조절 자체가 거의 이루어지기 힘든 구조이므로 이러한 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 문제점 내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착석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착석자의 인체 구조에 최적화된 상태로 작은 힘으로도 쉽고 용이하게 그리고 틸팅 강도의 변화를 사용자가 직접 느끼면서 의자의 틸팅 강도를 조절하여 착석자의 상황에 따라 더욱 적응적으로 의자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는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상부에 지지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힌지부가 형성된 좌판 프레임; 상기 좌판 프레임의 지지홀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 프레임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지지축; 상기 좌판 프레임의 힌지부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지지축의 물리적 이동 공간이 형성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고 스프링 탄성체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체; 상기 스프링 탄성체의 안쪽 공간 중심에 위치하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나사축이 통과되며, 상기 스프링 탄성체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체; 상기 결합부를 통과한 나사축의 일단에 형성된 베벨기어; 및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상기 회전체는 일단에 회전 노브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퍼 기어가 구비된 회전 조절축; 및 상기 스퍼 기어의 회전을 상기 베벨 기어에 전달하는 복합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조절축은 신축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상기 스프링 탄성체는 상기 좌판과 예각을 이루며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고, 이 때, 상기 회전체의 스퍼 기어 또는 복합 기어는 상기 스프링 탄성체와 나란히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체 실린더; 조절 노브가 일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타단 부위에서 상기 유체 실린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절 노브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유체 실린더의 상면을 가압하는 절곡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회전 조절축은 상기 회전축의 중공을 통과하며, 상기 회전 노브는 상기 회전축 바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는 착석자가 그 착석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의자의 틸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틸팅 강도 조절을 위하여 내려오거나 불편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어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구조의 장치 및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은 힘과 편안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의자의 틸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착석자의 다양한 착석 상태를 더욱 적응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이 현재의 틸팅 강도를 정확하게 느끼고 감지하면서 정확하게 틸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틸팅을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하나의 일체화된 장치 내부에 모두 탑재시킬 수 있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더욱 컴팩트(compact)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하여 틸팅 강도가 조절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 조절축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도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100)(이하 조절장치로 지칭한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 프레임(110), 베이스 프레임(120), 지지축(130), 제1지지체(140), 나사축(147), 제2지지체(150), 베벨기어(160) 및 회전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절장치(100)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절장치(100)의 좌판 프레임(110)은 체결 구조(111) 등을 통하여 좌판의 하면 등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좌판을 물리적으로 지지한다.
본 장치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20)은 상기 좌판 프레임(1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로서 이하에서 상술되는 본 고안의 세부 구성이 내부에 탑재되며, 의자 다리의 지지봉 또는 의자 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체 실린더가 레그 통공(10)을 통하여 연결된다.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절장치(100)는 틸팅 강도 조절을 위한 회전체(50) 및 높낮이 조절을 위한 구성으로서 조절 노브가 구비된 회전축(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 의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한 후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절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 프레임(110)은 좌판 프레임(110)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115)와 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121)를 통한 결합수단(13)의 체결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120)과 힌지 결합된다. 이 힌지 결합을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좌판 프레임(110)은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지지축(130)은 좌판 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홀(113)과 베이스 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123)을 통한 결합수단(11)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좌판 프레임(110) 및 베이스 프레임(120)과 함께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홀(123)에는 지지축(130)이 물리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공간(길이 방향의 타원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130)은 이 가이드 홀(123)을 통하여 좌판 프레임(110)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좌판 프레임(110)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축(130)에는 지지축(130)과 결합되고 스프링 탄성체(145)의 일단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체(140)가 구비된다. 제1지지체(140)가 스프링 탄성체(145)를 물리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축(130)과 결합되어 있고 이 지지축(130)에 좌판 프레임(11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좌판 프레임(110)의 틸팅(뒤로 젖힘)이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 탄성체(145)의 내부 안쪽 공간의 중심에는 제1지지체(140)와 후술되는 제2지지체(150) 사이를 연결하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147)이 구비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나사축(147)의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체(140)에는 나사축(147)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지지체(150) 후단에 나사축(147)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1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체(140)의 반대편인 상기 스프링 탄성체(145)의 후단에는 스프링 탄성체(145)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체(150)가 구비되는데, 이 제2지지체(15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축(147)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153)가 구비되며, 앞서 설명된 나사축(147)이 이 결합부(153)를 통하여 통과한다.
상기 나사축(147)의 일단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지지체(140) 등의 홈부에 끼워져 회전 운동이 지지되며, 상기 제1지지체(150)의 결합부(153)을 통과한 타단에는 베벨기어(160)가 형성되고 베벨기어(160)가 형성된 끝 부분 나사축(147)에 가이드 부재(16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힘이 인가되어 베벨기어(16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5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베벨기어(160)는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의하여 나사축(147)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체(50)는 사용자(착석자)의 힘이 전달되어 상기 베벨기어(160)를 회전시킬 수 있다면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힘이 인가되는 회전 노브(57)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축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평기어(스퍼기어)(53)가 구비된 회전 조절축(51), 상기 평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베벨기어(160)에 전달하는 복합 기어(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힘의 분배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평기어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평기어(53)와 복합기어(55) 사이에 개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복합 기어(55)는 평기어 및 베벨기어가 동일한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틸팅 조정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간 차지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조절축(51)은 중공 사이의 끼움 결합과 걸림 구조를 통하여 좌판 바깥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 노브(57)에 전달된 회전력은 회전축(51), 평기어(53), 복합 기어(55)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이렇게 전달된 힘은 베벨기어(160)에 인가되어 나사축(147)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치합 구조에 의하여 상기 나사축(147)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나사축(147)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지지체(150)의 결합부(153)는 스프링 탄성체(145)의 강한 힘이 지지되고 있으므로 회전되지 않고 나사축(147)의 나사산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지지체(150)가 상승하게 되면, 제2지지체(150)가 물리적으로 지지하고 있던 스프링 탄성체(145)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탄성 강도가 높아지고, 이렇게 탄성 강도가 높아지면 좌판의 틸팅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역방향으로 나사축(147)이 회전하게 되면, 제2지지체(150) 결합부(153)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체(150)는 나사축(147)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사축(147)을 따라 제2지지체(150)가 하강하게 되면, 제2지지체(150)에 물리적으로 지지되던 스프링 탄성체(145)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하기 되므로 이에 대비되는 함수 관계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그 탄성 강도가 낮아진다. 탄성 강도가 낮아지면 좌판의 틸팅 강도 또한, 낮아져 더욱 쉽게 의자의 좌판 또는 등판은 뒤로 휘어지게 된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는 경우 스프링 탄성체를 종래 수직 입설되는 구조를 지양할 수 있고, 좌판과 예각을 이루며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 내부로 탑재시킬 수 있어 장치가 차지하는 물리적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서 설명된 회전체의 스퍼 기어 또는 복합 기어 또한, 상기 스프링 탄성체와 나란히 베이스 프레임(120) 내부로 탑재시킬 수 있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더욱 감소시키고, 장치를 더욱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기능이 추가된 의자와 관련하여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실린더(미도시), 회전축(23), 절곡바(2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의자의 높낮이 조정을 위하여, 유체 압력을 이용한 실린더 구조가 일반적으로 의자에 장착되는데, 이 유체 실린더 내지 실린더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베이스 프레임(120) 하부에 형성된 레그 통공(10)에 결합된다.
회전축(23)의 일단에 구비된 조절 노브(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23)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축(23) 타단에서 유체 실린더가 위치한 곳까지 연장형성되어 절곡바(25)가 상승 내지 하강하게 된다. 절곡바(25)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유체 실린더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에 의한 유체 작용에 의하여 의자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충분히 활용하고 의자의 기능 조절을 위한 각 구성의 물리적 구조를 더욱 융합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절 노브(21)가 구비된 회전축(23)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앞서 설명된 틸팅 조절을 위한 회전 조절축(51)을 상기 회전축(23)의 중공을 통과하는 형태로 구현하며 회전 노브(57)가 상기 높낮이 조절용 회전축(23) 바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물리적 구성의 융합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는 좌판 측면으로 나온 조절 수단 중 일부를 작동하여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다른 일부를 조절하여 의자의 틸팅 강도를 조합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 제1, 제2 등과 같은 언어적 표현은 상호 간의 각 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중요성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거나, 절대적이고 물리적인 기준에서 각각의 요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님은 자명하다.
100 : 본 고안에 의한 좌판 틸팅 강도 조절장치
110 : 좌판 프레임 120 : 베이스 프레임
130 : 지지축 140 : 제1지지체
145 : 스프링 탄성체 147 : 나사축
150 : 제2지지체 160 : 베벨기어

Claims (5)

  1.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상부에 지지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힌지부가 형성된 좌판 프레임;
    상기 좌판 프레임의 지지홀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 프레임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지지축;
    상기 좌판 프레임의 힌지부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 에는 상기 지지축의 물리적 이동 공간이 형성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고 스프링 탄성체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체;
    상기 스프링 탄성체의 안쪽 공간 중심에 위치하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나사축이 통과되며, 상기 스프링 탄성체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체;
    상기 결합부를 통과한 나사축의 일단에 형성된 베벨기어; 및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일단에 회전 노브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퍼 기어가 구비된 회전 조절축; 및
    상기 스퍼 기어의 회전을 상기 베벨 기어에 전달하는 복합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축은,
    상기 좌판의 바깥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탄성체는,
    상기 좌판과 예각을 이루며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의 스퍼 기어 또는 복합 기어는 상기 스프링 탄성체와 나란히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체 실린더;
    조절 노브가 일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타단 부위에서 상기 유체 실린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절 노브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유체 실린더의 상면을 가압하는 절곡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조절축은,
    상기 회전축의 중공을 통과하며, 상기 회전 노브는 상기 회전축 바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KR2020120002787U 2012-04-05 2012-04-05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KR200471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87U KR200471108Y1 (ko) 2012-04-05 2012-04-05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87U KR200471108Y1 (ko) 2012-04-05 2012-04-05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91U KR20130005991U (ko) 2013-10-15
KR200471108Y1 true KR200471108Y1 (ko) 2014-02-07

Family

ID=5141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787U KR200471108Y1 (ko) 2012-04-05 2012-04-05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508B1 (ko) * 2014-06-02 2015-06-15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590015B1 (ko) * 2014-10-02 2016-02-12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틸팅각도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462B1 (ko) * 2014-05-27 2014-10-06 전재천 의자의 제어장치
CN105266431B (zh) * 2014-06-02 2018-06-22 大河精工有限公司 椅子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845A1 (en) 2000-05-22 2002-04-18 Vanderiet Douglas M. Office chair
US20060255636A1 (en) 2005-04-27 2006-11-16 Donati S.P.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backrests in chairs and arm-chairs, particularly in office chairs
US20090008979A1 (en) 2007-04-06 2009-01-08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djustment device for a reclining chair
WO2010056838A1 (en) 2008-11-12 2010-05-2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evice for adjusting the thrust of a mechanism, particularly for adjustable chai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845A1 (en) 2000-05-22 2002-04-18 Vanderiet Douglas M. Office chair
US20060255636A1 (en) 2005-04-27 2006-11-16 Donati S.P.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backrests in chairs and arm-chairs, particularly in office chairs
US20090008979A1 (en) 2007-04-06 2009-01-08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djustment device for a reclining chair
WO2010056838A1 (en) 2008-11-12 2010-05-2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evice for adjusting the thrust of a mechanism, particularly for adjustable chai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508B1 (ko) * 2014-06-02 2015-06-15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590015B1 (ko) * 2014-10-02 2016-02-12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틸팅각도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91U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8619B2 (ja) マッサージ装置、及びこのマッサージ装置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0471108Y1 (ko)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US5931536A (en) Adjustable armrest of a chair
CN107307968B (zh) 一种按摩椅
CN211354647U (zh) 一种可调节头枕的智能沙发
KR200471109Y1 (ko) 의자의 틸팅 제어장치
CN201761398U (zh) 一种座椅靠背的侧夹装置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KR101044429B1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CN210962914U (zh) 一种多运动模式的下肢康复机器人
KR101358007B1 (ko)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101446462B1 (ko) 의자의 제어장치
CN208573280U (zh) 坐垫大小调节机构及座椅
CN203424634U (zh) 沙发调角器
CN209003286U (zh) 一种联动控制的翻转式脚垫
CN208491374U (zh) 一种可调节椅子
CN207532182U (zh) 一种可调节腰部支撑和头枕支撑的沙发靠背装置
KR20110048189A (ko) 기능성 쿠션시트
CN109480521A (zh) 一种坐垫大小调节机构及座椅
JP3108304U (ja) 椅子着座部の底盤
CN217827280U (zh) 一种用于椅子的弹性伸缩支撑装置及座椅
CN208698555U (zh) 一种工程机械车用座椅体重调节器
JP3156982U (ja) ベッド、椅子の腰部支持構造
CN217243415U (zh) 一种靠背角度可调的软包沙发
CN213154981U (zh) 一种带控制屏幕的智能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