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160A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8160A KR20170118160A KR1020177025897A KR20177025897A KR20170118160A KR 20170118160 A KR20170118160 A KR 20170118160A KR 1020177025897 A KR1020177025897 A KR 1020177025897A KR 20177025897 A KR20177025897 A KR 20177025897A KR 20170118160 A KR20170118160 A KR 201701181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grooves
- tire
- shoulder
- circumferenti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4—Asymmetric patter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36—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 B60C11/125—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arranged at the groove bott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72—Width of the sipe
- B60C11/1281—Width of the sipe different within the same sipe, i.e. enlarged width portion at sipe bottom or along its leng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76—Three dimensional block surfaces departing from the enveloping tread contour
- B60C11/1392—Three dimensional block surfaces departing from the enveloping tread contour with chamfered block e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36—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60C2011/013—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6—Circumferential grooves with zigzag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8—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4 m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09—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traight at the tread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inusoidal or zigzag at the tread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B60C2011/1361—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with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groov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한다. 트레드부의 트레드면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는 복수의 주(主)홈을 가지고, 각 주홈에 의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육부(陸部)가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주홈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상의 주홈의 홈 바닥에, 당해 주홈의 주기적인 진폭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된 돌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는, 웨트 성능(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및 소음 성능(내차외(耐車外) 소음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는, 파장 및 진폭을 가지는 파상(波狀) 형상의 홈 벽을 좌우에 가지는 것과 함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복수 개의 파형(波形) 둘레 홈과, 이웃하는 파형 둘레 홈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1열의 파형 육부(陸部)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파형 둘레 홈의 좌우의 홈 벽의 파장(波長)이, 서로 동일하고, 파형 둘레 홈의 좌우의 홈 벽의 파상 형상이, 서로 위상차(差)를 가지고 배치되고, 또한, 1열의 파형 육부를 구획하는 좌우의 파형 둘레 홈 중, 일방(一方)의 파형 둘레 홈의 파형 육부 측의 홈 벽의 진폭이, 타방(他方)의 파형 둘레 홈의 파형 육부 측의 홈 벽의 진폭보다도 크다.
또한, 종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중하중용(重荷重用) 공기입 타이어는, 웨트 성능(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주(主)홈에 의하여 트레드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구분하는 것에 의하여, 트레드상(上)에 적어도 타이어 폭 방향의 양 최외측(最外側)에 위치하는 숄더 리브와, 주홈을 사이에 두고 숄더 리브의 내측(內側)에 인접하는 세컨드 리브를 형성하고, 숄더 리브와 세컨드 리브에 있어서 사이의 주홈에 면(面)하는 각각의 능선의 지그재그 피치 및 진폭을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작게 한다.
또한, 종래,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방향 주홈에 있어서 발생하는 기주 공명음을 저감하면서, 내(耐)하이드로플레이닝(hydroplaning) 성능을 유지 또는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주홈과, 둘레 방향 주홈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러그 홈을 가지고, 둘레 방향 주홈과 러그 홈이 교차하는 개소(個所)인 교차부의 근방에, 홈 바닥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서로 이간(離間)된 적어도 2개의 돌기가 설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돌기끼리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는, 러그 홈에 먼 측의 입구 개구(開口)와, 러그 홈에 가까운 측의 출구 개구가 확정되고, 입구 개구의 단면적이 출구 개구의 단면적보다도 크다.
상술한 특허 문헌 1의 공기입 타이어는, 파형 둘레 홈의 좌우의 홈 벽의 파형 형상에 의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향상되지만, 차량의 성능 향상에 수반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가일층의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특허 문헌 2의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는, 숄더 리브와 세컨드 리브에 있어서 사이의 주홈에 면하는 각각의 능선의 지그재그 피치 및 진폭을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작게 하고 있는 것으로, 숄더 리브와 세컨드 리브에 강성차가 생기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게다가 주홈이 지그재그 형상이기 때문에 각부(角部)에 편마모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특허 문헌 3의 공기입 타이어는, 홈 바닥에 설치한 돌기끼리의 통로에 의하여 주홈으로부터 러그 홈에 물의 흐름을 생기게 하지만, 러그 홈이 존재하는 주홈의 일부에 있어서의 배수성 향상에 그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의 트레드면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의 주홈을 가지고, 각 상기 주홈에 의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육부가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주홈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상의 상기 주홈의 홈 바닥에, 당해 주홈의 주기적인 진폭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주홈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홈이 전체적으로 확폭되어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파상의 주홈의 홈 바닥에 설치한 돌기가, 주홈의 홈 바닥의 물에 난류를 생기게 하여 주홈의 밖으로 물을 확산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돌기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돌기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열 설치되는 것으로, 주홈의 타이어 폭 방향 양 외측으로 물을 확산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배수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돌기는, 상기 주홈의 홈 바닥에 배치되는 웨어 인디케이터(wear indicator)보다도 상기 홈 바닥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웨어 인디케이터는 트레드 마모의 정도가 육안에 의하여 판별할 수 있는 주홈 내의 돌기물이며, 이 웨어 인디케이터보다도 돌기의 홈 바닥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낮게 하는 것으로, 웨어 인디케이터의 기능을 돌기가 방해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주홈이 상기 트레드면에 4개 설치되어 모두가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고, 각 상기 주홈에 의하여, 센터 육부와, 상기 센터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는 미들 육부와, 각 상기 미들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숄더 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 육부와 상기 미들 육부와의 사이의 각 상기 주홈에, 상기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트레드면의 중앙의 센터 육부는,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에 기여하는 육부이며, 이 센터 육부의 양측으로 되는 미들 육부와의 사이의 각 주홈에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는 돌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자오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주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러그 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세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러그 세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주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예의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주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러그 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세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러그 세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주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예의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하여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 또한 용이한 것,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된 복수의 변형예는, 당업자 자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자오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주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러그 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세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러그 세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타이어 경(徑)방향이란, 공기입 타이어(1)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과 직교하는 방향을 말하고, 타이어 경방향 내측이란 타이어 경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을 향하는 측, 타이어 경방향 외측이란 타이어 경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이란,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이란,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말하고,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타이어 적도선)(CL)을 향하는 측,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말한다. 타이어 적도면(CL)이란, 공기입 타이어(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것과 함께, 공기입 타이어(1)의 타이어 폭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이다. 타이어 폭은,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끼리의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폭, 즉,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부분간의 거리이다. 타이어 적도선이란, 타이어 적도면(CL)상에 있어 공기입 타이어(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선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 적도선에 타이어 적도면과 같은 부호 「CL」을 붙인다.
공기입 타이어(1)는, 주로, 승용차에 이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부(2)와, 그 양측의 숄더부(3)와, 각 숄더부(3)로부터 순차(順次) 연속하는 사이드 월부(4) 및 비드부(5)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는, 카커스층(6)과, 벨트층(7)과, 벨트 보강층(8)을 구비하고 있다.
트레드부(2)는, 고무재(트레드 고무)로 이루어지고, 공기입 타이어(1)의 타이어 경방향의 가장 외측에서 노출하고, 그 외주(外周) 표면이 공기입 타이어(1)의 윤곽이 된다. 트레드부(2)의 외주 표면은, 주로 주행 시에 노면과 접촉할 수 있는 면이며, 트레드면(21)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숄더부(3)는,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 양 외측의 부위이다. 또한, 사이드 월부(4)는, 공기입 타이어(1)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노출한 것이다. 또한, 비드부(5)는, 비드 코어(51)와 비드 필러(52)를 가진다. 비드 코어(51)는, 스틸 와이어인 비드 와이어를 링 형상으로 감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비드 필러(52)는, 카커스층(6)의 타이어 폭 방향 단부(端部)가 비드 코어(51)의 위치에서 되접어 꺾이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재이다.
카커스층(6)은, 각 타이어 폭 방향 단부가, 한 쌍의 비드 코어(51)에서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되접어 꺾이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토로이드(toroid) 형상으로 걸어 돌려져 타이어의 골격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카커스층(6)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가 타이어 자오선 방향을 따르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어느 각도를 가지고 복수 병설(竝設)된 카커스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코트 고무로 피복된 것이다. 카커스 코드는, 예를 들어, 유기 섬유(폴리에스테르나 레이온이나 나일론 등)로 이루어진다. 이 카커스층(6)은, 적어도 1층으로 설치되어 있다.
벨트층(7)은, 적어도 2층의 벨트(71, 72)를 적층한 다층 구조를 이루고, 트레드부(2)에 있어서 카커스층(6)의 외주인 타이어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카커스층(6)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덮는 것이다. 벨트(71, 72)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20° ~ 30°)로 복수 병설된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코트 고무로 피복된 것이다. 코드는, 예를 들어, 스틸 또는 유기 섬유(폴리에스테르나 레이온이나 나일론 등)로 이루어진다. 또한, 서로 겹치는 벨트(71, 72)는, 서로의 코드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8)은, 벨트층(7)의 외주인 타이어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벨트층(7)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덮는 것이다. 벨트 보강층(8)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대략 평행(±5°)으로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병설된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코트 고무로 피복된 것이다. 코드는, 예를 들어, 스틸 또는 유기 섬유(폴리에스테르나 레이온이나 나일론 등)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벨트 보강층(8)은, 벨트층(7)의 타이어 폭 방향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8)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벨트층(7) 전체를 덮도록 배치된 구성, 또는, 예를 들어 2층의 보강층을 가지고, 타이어 경방향 내측의 보강층이 벨트층(7)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벨트층(7)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고, 타이어 경방향 외측의 보강층이 벨트층(7)의 타이어 폭 방향 단부만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 혹은, 예를 들어 2층의 보강층을 가지고, 각 보강층이 벨트층(7)의 타이어 폭 방향 단부만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즉, 벨트 보강층(8)은, 벨트층(7)의 적어도 타이어 폭 방향 단부와 겹치는 것이다. 또한, 벨트 보강층(8)은, 대상(帶狀)(예를 들어 폭 10[mm])의 스트립재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감아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외의 방향이 지정되어 있다. 즉, 공기입 타이어(1)는, 차량에 장착한 경우,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내측 및 외측에 대한 방향이 지정되어 있다. 방향의 지정은,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이드 월부(4)에 설치된 지표(指標)에 의하여 도시된다. 이 공기입 타이어(1)는, 차량에 장착한 경우에 차량의 내측을 향하는 측이 차량 내측으로 되고, 차량의 외측을 향하는 측이 차량 외측으로 된다. 덧붙여, 차량 내측 및 차량 외측의 지정은, 차량에 장착한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림 끼움한 경우에,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내측 및 외측에 대한 림의 방향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공기입 타이어(1)는, 림 끼움한 경우,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 내측 및 차량 외측에 대한 방향이 지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입 타이어(1)이며, 트레드부(2)의 트레드면(2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4개의 주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주홈(22)은, 타이어 적도면(CL)을 사이에 두도록 타이어 폭 방향의 중앙에 인접하여 설치된 2개의 센터 주홈(22A)과, 각 센터 주홈(22A)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각각 설치된 숄더 주홈(22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트레드면(21)은, 각 주홈(22)에 의하여, 5개의 육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육부(23)는, 각 센터 주홈(22A)의 사이에 설치되어 타이어 적도면(CL)상에 배치되는 센터 육부(23A)와, 각 센터 주홈(22A)과 각 숄더 주홈(22B)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센터 육부(23A)의 타이어 폭 방향 양 외측에 인접하는 각 미들 육부(23B)와, 각 숄더 주홈(22B)의 타이어 폭 방향 각 외측에 설치되어 각 미들 육부(23B)의 타이어 폭 방향 각 외측에 인접하고,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각 숄더 육부(23C)를 가지고 있다.
각 주홈(22(22A, 22B))은, 홈 폭 W1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일정하게 하여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주홈(22)의 파형 형상은, 도 3에 도시하는 홈 바닥(22a)이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홈 벽(22b)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홈 폭 W1을 일정하게 하도록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것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주홈(22)의 파형 형상은, 도 3에 도시하는 홈 바닥(22a) 및 홈 벽(22b)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홈 폭 W1을 일정하게 하도록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것으로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주홈(2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 가장자리에 모따기(2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홈(22)의 홈 폭 W1은, 트레드면(21)에 개구하는 폭이며, 모따기(22c)가 형성된 주홈(22)에서는, 모따기(22c)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가 홈 폭 W1로 된다. 주홈(2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주홈(22A)에 관하여 홈 폭 W1이 5mm 이상 12mm 이하이고, 홈 깊이 D1이 4mm 이상 8mm 이하이며, 숄더 주홈(22B)에 관하여 홈 폭 W1이 3mm 이상 6mm 이하이고, 홈 깊이 D1이 4mm 이상 8mm 이하이다. 홈 폭 W1은, 센터 주홈(22A)이 숄더 주홈(22B)보다도 크고, 예를 들어, 센터 주홈(22A)의 홈 폭 W1에 대하여 숄더 주홈(22B)이 10% 이상 50% 이하의 범위인 것이, 센터 주홈(22A)에 있어서의 배수성을 유지하고, 숄더 주홈(22B) 주변의 육부(23)의 강성을 확보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주홈(2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주홈(22A)에 관하여 진폭의 중앙선(22d)의 위치가,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접지폭 TW의 20% 이상 30% 이하의 범위의 거리 L1에 배치되고, 숄더 주홈(22B)에 관하여 진폭의 중앙선(22d)의 위치가,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접지폭 TW의 60% 이상 70% 이하의 범위의 거리 L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센터 주홈(22A)에 있어서의 배수성을 유지하고, 숄더 주홈(22B) 주변의 육부(23)의 강성을 확보하는데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육부(23)의 타이어 폭 방향의 가장자리 형상이나, 타이어 폭 방향 치수는, 상기 주홈(22)의 진폭이나 타이어 폭 방향의 위치에 수반하여 결정된다.
여기에서, 접지폭 TW란, 접지 영역의 타이어 폭 방향의 폭을 말한다. 또한, 접지 영역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 최외단을 접지단 T라고 한다. 도 2에서는, 접지단(T)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도시하고 있다. 접지 영역은, 공기입 타이어(1)를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또한 정규 내압을 충전하는 것과 함께 정규 하중의 70%를 가하였을 때, 이 공기입 타이어(1)의 트레드부(2)의 트레드면(21)이 건조한 평탄한 노면과 접지하는 영역이다. 정규 림이란, JATMA에서 규정하는 「표준 림」, TRA에서 규정하는 「Design Rim」, 혹은, ETRTO에서 규정하는 「Measuring Rim」이다. 또한, 정규 내압이란, JATMA에서 규정하는 「최고 공기압」, TRA로 규정하는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댓값, 혹은 ETRTO에서 규정하는 「INFLATION PRESSURES」이다. 또한, 정규 하중이란, JATMA에서 규정하는 「최대 부하 능력」, TRA에서 규정하는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댓값, 혹은 ETRTO에서 규정하는 「LOAD CAPACITY」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있어서, 가장 홈 폭 W1이 작은 주홈(22)보다도 홈 폭이 좁고,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재하는 보조 홈(24)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홈(24)은,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를 형성하는 센터 주홈(22A)과 숄더 주홈(22B)과의 사이의 중앙에 설치되고,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리브 육부로 분할한다. 보조 홈(24)은, 그 홈 폭이 1mm 이상 3mm 미만이고, 홈 깊이가 4mm 이상 8mm 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각 육부(23)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러그 홈(25) 및 세홈(2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육부(23A)에 설치되는 러그 홈(25)을 센터 육부 러그 홈(25A)이라고 하고, 각 미들 육부(23B)에 설치되는 러그 홈(25)을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이라고 하고, 숄더 육부(23C)에 설치되는 러그 홈(25)을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이라고 한다. 또한, 센터 육부(23A)에 설치되는 세홈(26)을 센터 육부 세홈(26A)이라고 하고, 각 미들 육부(23B)에 설치되는 세홈(26)을 미들 육부 세홈(26B)이라고 하고, 숄더 육부(23C)에 설치되는 세홈(26)을 숄더 육부 세홈(26C)이라고 한다. 또한, 러그 홈(25)의 종단에 연통하여 주홈(22)이나 보조 홈(24)에 이어지는 세홈(26)을 연통 세홈(26E)이라고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러그 홈(25)과 세홈(26)이 서로 연통하는 사이에, 러그 홈(25) 및 세홈(26)이 혼재하는 러그 세홈(27)이 설치되어 있다.
러그 홈(25)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면(21)에서의 개구부로부터 홈 바닥(25a)에 이르는 홈 벽(25b)이 모따기(25c)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러그 홈(25)은, 홈 폭 W2가 2mm 이상 4mm 이하이고, 홈 깊이 D2가 2mm 이상 6mm 이하이며 주홈(22) 및 보조 홈(24)보다도 얕다. 또한, 세홈(26)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면(21)에서의 개구부로부터 홈 바닥(26a)에 이르는 홈 벽(26b)이 타이어 경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홈(26)은, 홈 폭 W3이 0.4mm 이상 1.0mm 이하이고, 홈 깊이 D3이 3mm 이상 6mm 이하이며 주홈(22) 및 보조 홈(24)보다도 얕다. 또한, 러그 세홈(27)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러그 홈(25)의 홈 바닥(25a)에 당해 러그 홈(25)의 연재 방향을 따라 세홈(26)이 형성된 것이며, 러그 홈(25)의 홈 깊이 D2와 세홈(26)의 홈 깊이 D3을 더한 전체의 홈 깊이가 6mm 이하로 되어, 주홈(22) 및 보조 홈(24)보다도 얕다. 또한, 러그 세홈(27)의 세홈(26)의 홈 깊이 D3은, 러그 세홈(27)에 있어서의 러그 홈(25)을 포함하는 전체 홈 깊이(D2+D3)에 대하여 70%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그 홈(25)에 관하여, 센터 육부(23A)에 설치된 센터 육부 러그 홈(25A)은, 센터 육부(23A)를 형성하는 각 센터 주홈(22A)에 각 단이 연통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센터 육부(23A)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이는 블록 육부로 분할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센터 육부 러그 홈(25A)은, 그 전체가 러그 홈(25) 및 세홈(26)이 혼재하는 러그 세홈(27)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은,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를 형성하는 센터 주홈(22A) 및 숄더 주홈(22B)에 각 단이 연통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이는 블록 육부로 분할한다. 또한,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은,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를 형성하는 숄더 주홈(22B)에 단이 연통하고 그곳에서 종단하고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은, 그 전체가 러그 홈(25) 및 세홈(26)이 혼재하는 러그 세홈(27)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은,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를 형성하는 센터 주홈(22A)에 일단(一端)이 연통하고, 타단(他端)이 보조 홈(24)에 이르지 않고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는, 리브 형상 육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은, 그 종단부가 러그 홈(25) 및 세홈(26)이 혼재하는 러그 세홈(27)으로서 구성되고, 이 러그 세홈(27)의 세홈(26)으로부터 연통 세홈(26E)이 연재하여 보조 홈(24)에 연통하고 있다.
여기에서,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과, 센터 육부(23A)에 설치된 센터 육부 러그 홈(25A)은,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와 센터 육부(23A)와의 사이의 센터 주홈(22A)에 있어서 상호의 단이 대향하여 있고, 평면도에 있어서 서로 일체로 되어 당해 센터 주홈(22A)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센터 육부(23A)에 설치된 센터 육부 러그 홈(25A)과,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은, 센터 육부(23A)와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와의 사이의 센터 주홈(22A)에 있어서 상호의 단이 대향하여 있고, 평면도에 있어서 서로 일체로 되어 당해 센터 주홈(22A)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과, 센터 육부(23A)에 설치된 센터 육부 러그 홈(25A)과,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은, 일체로 되어 각 센터 주홈(22A)을 관통하는 관통 러그 홈(25E)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관통 러그 홈(25E)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센터 육부(23A) 및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를 연속하여 관통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있어서의 차량 외측의 숄더 주홈(22B)에 일단이 개구하고, 센터 육부(23A)의 차량 내측의 센터 주홈(22A)을 관통하여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 내에서 타단이 보조 홈(24)에 이르지 않고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각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인다. 그리고,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은, 일단이 트레드부(2)의 트레드면(2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단인 디자인 엔드(E)에서 개구하고, 타단이 각 숄더 육부(23C)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숄더 주홈(22B)까지 이르지 않고 숄더 육부(23C)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숄더 육부(23C)는, 리브 형상 육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은, 그 종단부가 러그 홈(25) 및 세홈(26)이 혼재하는 러그 세홈(27)으로서 구성되고, 이 러그 세홈(27)의 세홈(26)으로부터 연통 세홈(26E)이 연재하여 숄더 주홈(22B)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숄더 육부 러그 홈(25C)에 있어서 러그 세홈(27)으로서 구성된 종단부는, 접지단(T)상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디자인 엔드(E)는, 접지단(T)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며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단을 말하고, 트레드부(2)에 있어서 홈이 형성되는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단이며, 도 2에서는, 디자인 엔드(E)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트레드부(2)는, 건조한 평탄한 노면에 있어서, 접지단(T)보다도 디자인 엔드(E) 측의 영역은, 통상(通常) 노면에 접지하지 않는 영역으로 된다.
덧붙여, 각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각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은, 숄더 육부(23C)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고, 상술한 관통 러그 홈(25E)과는 나뉘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은, 숄더 육부(23C) 내에서 종단한 단부의 연장상에, 관통 러그 홈(25E)의 일단이며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숄더 주홈(22B)에 연통하는 단이 존재한다. 또한, 차량 내측의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은, 숄더 육부(23C) 내에서 종단한 단부의 연장상에, 관통 러그 홈(25E)의 타단이며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종단이 존재한다. 즉, 각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각 숄더 육부 러그 홈(25C)과, 관통 러그 홈(25E)(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러그 홈(25B), 센터 육부(23A)의 센터 육부 러그 홈(25A), 및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을 포함하는 각 러그 홈(25)은,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 외측단(디자인 엔드(E)) 사이에서 각 육부(23A, 23B, 23C)를 걸쳐 매끄럽게 이어지는 곡선(CU)상에 배치되어 있다. 곡선(CU)은, 각소(各所)의 접선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가 40° 이상 90° 이하로 되는 것을 말한다.
세홈(26)에 관하여, 센터 육부(23A)에 설치된 센터 육부 세홈(26A)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센터 육부 러그 홈(25A)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차하여 설치되어 있다. 센터 육부 세홈(26A)은, 센터 육부(23A)에 있어서의 차량 내측의 센터 주홈(22A)에 일단이 연통하고, 센터 육부(23A)에 있어서의 차량 외측의 센터 주홈(22A)에 타단이 이르지 않고 센터 육부(23A)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세홈(26B)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차하여 설치되어 있다. 미들 육부 세홈(26B)은, 미들 육부(23B)에 있어서의 센터 주홈(22A)에 일단이 연통하고, 미들 육부(23B)에 있어서의 숄더 주홈(22B)에 타단이 이르지 않고 미들 육부(23B)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세홈(26B)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연장상에서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차하여 설치되어 있다. 미들 육부 세홈(26B)은, 미들 육부(23B)에 있어서의 숄더 주홈(22B) 및 보조 홈(24)에 각 단이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미들 육부 세홈(26B)은, 숄더 주홈(22B)과 보조 홈(24)과의 사이의 미들 육부(23B)의 일부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이는 블록 육부로 분할한다.
각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각 숄더 육부 세홈(26C)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설치되어 있다. 숄더 육부 세홈(26C)은, 숄더 주홈(22B)에 일단이 연통하고, 접지단(T)을 넘어 연재하여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 외측단(디자인 엔드(E))의 부근에 있어서 숄더 육부(23C)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각 숄더 육부(23C)는,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 외측단(디자인 엔드(E))의 부근에 오목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8)는, 원형상의 딤플(dimple)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의 사이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으로 2열로,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열(28a)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2개,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열(28b)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8)는,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열(28b)이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열(28a)보다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각 숄더 육부 세홈(26C)은, 그 외단이 오목부(28)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숄더 육부 세홈(26C)은,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열(28b)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앙의 오목부(28)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센터 주홈(22A)에 돌기(31)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31)는, 도 7의 주홈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주홈(22A)의 홈 바닥(22a)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돌기(31)는, 반구상(半球狀)으로 형성되고, 센터 주홈(22A)의 홈 바닥(22a)으로부터 곡면을 통하여 매끄럽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31)는, 센터 주홈(22A)의 주기적인 진폭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31)는, 주기적인 진폭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된 열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열(본 실시 형태에서는 2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31)는, 센터 주홈(22A)의 홈 바닥(22a)에 배치되는 웨어 인디케이터(도시하지 않음)보다도 홈 바닥(22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웨어 인디케이터는, 트레드 마모의 정도가 육안에 의하여 판별할 수 있는 주홈(22) 내의 돌기물이며, 승용차의 경우는 홈 바닥(22a)으로부터 1.6mm의 높이로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31)는, 홈 바닥(22a)으로부터 1.6mm 미만의 높이로 돌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돌기(31)는, 반구상의 직경이 0.4mm 이상 1.5mm 이하이고, 돌출 높이가 0.2mm 이상 1.6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돌기(31)는, 숄더 주홈(22B)의 홈 바닥(22a)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돌기(31)는, 1개의 주홈(22)의 홈 바닥(22a)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런데,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예의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다른 예의 공기입 타이어(101)는, 상술한 공기입 타이어(1)에 대하여, 차량 내측의 숄더 주홈(22B)에 팽출 홈(22E)이 설치되어 있는 점, 센터 육부(23A)의 센터 육부 세홈(26A)이나,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이나, 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의 숄더 육부 세홈(26C)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러그 홈(25)의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는 점, 센터 육부(23A) 및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러그 세홈(27)에 있어서의 세홈(26)이 지그재그 세홈(26F)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 센터 육부(23A)의 센터 육부 세홈(26A)이나,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이나, 각 숄더 육부(23C)의 숄더 육부 세홈(26C)에 구멍부(32)가 설치되어 있는 점, 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에 오목부(28)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점이 다르다. 이하, 공기입 타이어(101)의 이러한 다른 점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상술한 공기입 타이어(1)와 동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팽출 홈(22E)은, 차량 내측의 숄더 주홈(22B)에 있어서,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 측으로 반원상(半圓狀)으로 불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팽출 홈(22E)은, 차량 내측의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연통 세홈(26E)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미들 육부(23B) 측으로 불룩하게 설치되어 있다.
센터 육부 세홈(26A)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센터 육부 러그 홈(25A)의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터 육부 세홈(26A)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센터 육부 러그 홈(25A)의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2개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다.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센터 육부 러그 홈(25A)의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센터 육부 세홈(26A)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순서대로 일단 및 타단이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센터 육부 세홈(26A)은, 도 8에 있어서, 가장 상측(上側)의 것이 차량 외측의 센터 주홈(22A)에 연통하고, 그 하측(下側)의 것이 차량 내측의 센터 주홈(22A)에 연통하고, 나아가 그 하측의 것이 차량 외측의 센터 주홈(22A)에 연통하고 있고,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의 주홈(22)에 대하여 연통하는 형태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순서대로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2개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다.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순서대로 일단 및 타단이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은, 도 8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것이 숄더 주홈(22B)에 연통하고, 그 하측의 것이 센터 주홈(22A)에 연통하고, 나아가 그 하측의 것이 차량 외측의 숄더 주홈(22B)에 연통하고 있고,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의 주홈(22)에 대하여 연통하는 형태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순서대로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숄더 육부 세홈(26C)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의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숄더 육부 세홈(26C)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의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2개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다.
지그재그 세홈(26F)은, 센터 육부(23A) 및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러그 세홈(27)에 있어서 러그 홈(25)의 홈 바닥(25a)에 설치된 세홈(26)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지그재그 세홈(26F)은, 센터 육부(23A)의 센터 육부 러그 홈(25A), 및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홈 폭 W2 내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그재그 세홈(26F)의 홈 폭 W3이나 홈 깊이 D3은, 상술한 러그 세홈(27)에 있어서의 세홈(26)과 마찬가지이다. 이 지그재그 세홈(26F)은, 1개의 러그 세홈(27)에 있어서 적어도 3개 이상의 진폭을 가진다. 또한, 지그재그 세홈(26F)은, 짧은 세홈과 긴 세홈으로 1개의 진폭이 형성되고, 이 진폭이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멍부(32)는, 세홈(26)이며, 센터 육부(23A)의 센터 육부 세홈(26A),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 각 숄더 육부(23C)의 숄더 육부 세홈(26C)에 설치되어 있다. 구멍부(32)는, 세홈(26A, 26B, 26C)의 홈 폭을 부분적으로 확장하는 구멍이며, 예를 들어,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직경이 0.5mm 이상 1.0mm 이하이고, 깊이가 3mm 이상 6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멍부(32)는, 각각 세홈(26A, 26B, 26C)의 연재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센터 육부(23A)의 센터 육부 세홈(26A),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은, 각각 육부(23A, 23B)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고, 구멍부(32)는, 당해 종단에 설치되고, 또한 세홈(26A, 26B)의 중도(中途)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고, 1개의 세홈(26A, 26B)에 있어서 전부 3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의 숄더 육부 세홈(26C)은, 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에 오목부(28)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 내에서 타단이 종단하여 설치되고, 구멍부(32)는, 당해 종단에 설치되고, 또한 숄더 육부 세홈(26C)의 중도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설치되고, 1개의 숄더 육부 세홈(26C)에 있어서 전부 4개 설치되어 있다. 즉, 센터 육부(23A)의 센터 육부 세홈(26A),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 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의 숄더 육부 세홈(26C)은, 구멍부(32)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량 내측의 숄더 육부(23C)의 숄더 육부 세홈(26C)은, 타단이 오목부(28)에서 종단하고 있고, 구멍부(32)가 중도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고, 1개의 숄더 육부 세홈(26C)에 있어서 전부 2개 설치되어 있다.
구멍부(32)에 있어서, 센터 육부(23A), 및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구멍부(32)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직선(SL)(타이어 적도선(CL)을 포함한다)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터 육부(23A), 및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구멍부(32)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직선(SL)(타이어 적도선(CL)을 포함한다)상에 일부를 두고 타이어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구멍부(32)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직선(SL)상에서 타이어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 없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의 미들 육부 세홈(26B)에 있어서는, 구멍부(32)를 가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 101)는, 트레드부(2)의 트레드면(21)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의 주홈(22)을 가지고, 각 주홈(22)에 의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육부(23)가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1, 101)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주홈(22)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상의 주홈(22)의 홈 바닥(22a)에, 당해 주홈(22)의 주기적인 진폭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된 돌기(31)를 구비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1, 101)에 의하면, 주홈(22)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홈(22)이 전체적으로 확폭되어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공기입 타이어(1, 101)에 의하면, 파상의 주홈(22)의 홈 바닥(22a)에 설치한 돌기(31)가, 주홈(22)의 홈 바닥(22a)의 물에 난류를 생기게 하여 주홈(22)의 밖으로 물을 확산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 101)에서는, 돌기(31)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 101)에 의하면, 돌기(31)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열 설치되는 것으로, 주홈(22)의 타이어 폭 방향 양 외측으로 물을 확산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배수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 101)에서는, 돌기(31)는, 주홈(22)의 홈 바닥(22a)에 배치되는 웨어 인디케이터보다도 홈 바닥(22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 101)에 의하면, 웨어 인디케이터는 트레드 마모의 정도가 육안에 의하여 판별할 수 있는 주홈(22) 내의 돌기물이며, 이 웨어 인디케이터보다도 돌기(31)의 홈 바닥(22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낮게 하는 것으로, 웨어 인디케이터의 기능을 돌기(31)가 방해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 101)에서는, 주홈(22)이 트레드면(21)에 4개 설치되어 모두가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고, 각 주홈(22)에 의하여, 센터 육부(23A)와, 센터 육부(23A)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는 미들 육부(23B)와, 각 미들 육부(23B)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숄더 육부(23C)가 형성되어 있고, 센터 육부(23A)와 미들 육부(23B)와의 사이의 각 주홈(22)(센터 주홈(22A))에, 돌기(3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 101)에 의하면, 트레드면(21)의 중앙의 센터 육부(23A)는,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에 기여하는 육부이며, 이 센터 육부(23A)의 양측으로 되는 미들 육부(23B)와의 사이의 각 주홈(22)에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는 돌기(31)를 설치하는 것으로,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는, 트레드부(2)의 트레드면(21)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의 주홈(22)을 가지고, 각 주홈(22)에 의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육부(23)가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101)에 있어서, 적어도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주홈(22)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상의 각 주홈(22)의 사이에 형성된 육부(23)(센터 육부(23A) 및/또는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양단이 각 주홈(22)에 연통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된 러그 홈(25)(센터 육부 러그 홈(25A) 및/또는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 러그 홈(25B))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러그 홈(25)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있고 러그 홈(25)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된 세홈(26)(센터 육부 세홈(26A) 및/또는 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 세홈(26B))을 구비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주홈(22)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홈(22)이 전체적으로 확폭되어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파상의 각 주홈(22)에 양단이 연통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된 러그 홈(25)을 구비하는 것으로,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러그 홈(25)의 사이에, 세홈(26)을 구비하는 것으로,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세홈(26)은, 일단이 주홈(22)에 연통하고 타단이 육부(23) 내에서 종단하여 러그 홈(25)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상의 각 주홈(22) 사이의 육부(23)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주홈(22)이 트레드면(21)에 4개 설치되어 모두가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고, 각 주홈(22)에 의하여, 센터 육부(23A)와, 센터 육부(23A)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는 미들 육부(23B)와, 각 미들 육부(23B)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숄더 육부(23C)가 형성되어 있고, 센터 육부(23A) 및 일방(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상기 러그 홈(25) 및 상기 세홈(2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센터 육부(23A)와, 센터 육부(23A)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는 일방의 미들 육부(23B)에 있어서,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으로,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보다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센터 육부(23A) 및 센터 육부(23A)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는 일방의 미들 육부(23B)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으로, 내마모 성능의 향상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타방(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각 주홈(22)보다도 홈 폭이 좁고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재하는 보조 홈(24)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이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주홈(22)과 보조 홈(24)에 각 단부가 연통하고 있고 러그 홈(25)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된 미들 육부 세홈(26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미들 육부(23B)는 배수성에 기여가 높고, 이 미들 육부(23B)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재하는 보조 홈(24) 및 미들 육부 세홈(26B)을 구비하는 것으로,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보조 홈(24)은, 주홈(22)보다도 홈 폭이 좁고, 미들 육부 세홈(26B)은 러그 홈(25)보다도 홈 폭이 좁기 때문에, 미들 육부(23B)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타방(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이고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주홈(22)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보조 홈(24)에 이르지 않고 타방의 미들 육부(23B)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된 미들 육부 러그 홈(25B)과,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종단과 보조 홈(24)을 연통하고 있고 미들 육부 러그 홈(25B)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된 연통 세홈(26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타방의 미들 육부(23B)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주홈(22)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보조 홈(24)에 이르지 않고 타방의 미들 육부(23B) 내에서 종단하는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을 설치하고, 이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의 종단과 보조 홈(24)을 연통하는 연통 세홈(26E)을 설치한 것으로,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보다 유지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미들 육부 러그 홈(25B)은, 미들 육부(23B)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고, 연통 세홈(26E)은, 미들 육부 러그 홈(25B)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들 육부(23B)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미들 육부 러그 홈(25B)과 연통 세홈(26E)과의 사이에, 러그 홈(25) 및 세홈(26)이 혼재하는 러그 세홈(27)이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미들 육부 러그 홈(25B)과 연통 세홈(26E)과의 사이에 러그 세홈(27)이 개재되는 것으로, 미들 육부 러그 홈(25B)과 연통 세홈(26E)과의 연통 부분에서의 극도한 강성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각 숄더 육부(23C)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이고 숄더 육부(23C)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주홈(22)(숄더 주홈(22B))까지 이르지 않고 종단하여 설치된 숄더 육부 러그 홈(25C)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고 숄더 육부(23C)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주홈(22)에 단부가 연통하고 있고 숄더 육부 러그 홈(25C)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된 숄더 육부 세홈(26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숄더 육부 세홈(26C)에 의하여 각 숄더 육부(23C)에 배수성을 가져오게 하면서, 숄더 육부(23C) 내에서의 종단에 의하여 숄더 육부(23C)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숄더 육부 세홈(26C)에 의하여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숄더 육부 세홈(26C)은, 숄더 육부 러그 홈(25C)보다도 홈 폭이 좁은 것으로부터, 숄더 육부(23C)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일방(차량 외측)의 숄더 육부(23C)에 있어서, 숄더 육부 세홈(26C)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숄더 육부 세홈(26C)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의 종단과 숄더 육부(23C)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주홈(22)(숄더 주홈(22B))을 연통하고 있고 숄더 육부 러그 홈(25C)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된 연통 세홈(26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의 종단과 주홈(22)을 연통하는 연통 세홈(26E)을 설치한 것으로,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보다 유지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숄더 육부 러그 홈(25C)은, 숄더 육부(23C)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고, 연통 세홈(26E)은, 숄더 육부 러그 홈(25C)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숄더 육부(23C)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숄더 육부 러그 홈(25C)과 연통 세홈(26E)과의 사이에, 러그 홈(25) 및 세홈(26)이 혼재하는 러그 세홈(27)이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숄더 육부 러그 홈(25C)과 연통 세홈(26E)과의 사이에 러그 세홈(27)이 개재되는 것으로, 숄더 육부 러그 홈(25C)과 연통 세홈(26E)과의 연통 부분에서의 극도한 강성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타방(차량 내측)의 숄더 육부(23C)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주홈(22)(숄더 주홈(22B))은, 연통 세홈(26E)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인접하는 타방(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 측으로 불룩해지는 팽출 홈(22E)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연통 세홈(26E)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인접하는 타방(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 측으로 불룩해지는 팽출 홈(22E)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팽출 홈(22E)이 연통 세홈(26E)으로의 배수를 위한 수류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보다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1))에서는, 숄더 육부(23C)는, 타이어 폭 방향 외측단에 오목부(28)가 형성되고, 숄더 육부 세홈(26C)은,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오목부(28)에서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숄더 육부 세홈(26C)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부를 오목부(28)에서 종단시키는 것으로, 숄더 육부 세홈(26C)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부하가 걸리는 사태를 방지하기 때문에, 숄더 육부(23C)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는, 트레드부(2)의 트레드면(21)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의 주홈(22)을 가지고, 각 주홈(22)에 의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육부(23)가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101)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주홈(22)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파상의 각 주홈(22)의 사이에 형성된 각 육부(23)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양단이 주홈(22)에 연통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된 러그 홈(25)과, 러그 홈(25)의 홈 바닥(25a)에, 러그 홈(25)보다도 홈 폭이 좁고 러그 홈(25)의 연재 방향을 따르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지그재그 세홈(26F)을 구비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주홈(22)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홈(22)이 전체적으로 확폭되어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러그 홈(25) 및 지그재그 세홈(26F)에 의하여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는 한편으로, 지그재그 세홈(26F)에 의한 맞물림에 의하여 러그 홈(25)으로 분할되는 육부(23)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으로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지그재그 세홈(26F)은, 러그 홈(25)의 홈 깊이 D2를 포함하는 전체 홈 깊이에 대하여 70% 이상의 홈 깊이 D3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지그재그 세홈(26F)을 전체 홈 깊이에 대하여 70%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 및 내마모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지그재그 세홈(26F)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진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지그재그 세홈(26F)의 진폭이 3개 이상인 것으로, 내마모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지그재그 세홈(26F)은, 짧은 세홈과 긴 세홈으로 1개의 진폭이 형성되고, 이 진폭이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러그 홈(25)으로 분할되는 육부(23)의 강성 저하를 보다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주홈(22)이 트레드면(21)에 4개 설치되어 모두가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고, 각 주홈(22)에 의하여, 센터 육부(23A)와, 센터 육부(23A)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는 미들 육부(23B)와, 각 미들 육부(23B)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숄더 육부(23C)가 형성되어 있고, 센터 육부(23A) 및 일방(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러그 홈(25) 및 지그재그 세홈(26F)이 설치되고, 타방(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 및 각 숄더 육부(23C)에 지그재그 세홈(26F)을 가지지 않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차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이는 러그 홈(25)이 설치되고, 각 러그 홈(25)은,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 외측단 사이에서 각 육부(23A, 23B, 23C)를 걸쳐 매끄럽게 이어지는 곡선(CU)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 외측단 사이에서 각 육부(23A, 23B, 23C)를 걸쳐 매끄럽게 이어지는 곡선(CU)상에 러그 홈(25)을 배치하는 것으로, 각 육부(23A, 23B, 23C) 사이에서의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 외측단 사이에서 각 육부(23A, 23B, 23C)를 걸쳐 매끄럽게 이어지는 곡선(CU)상에 러그 홈(25)을 배치하는 것으로, 타이어 폭 방향으로 각 육부(23A, 23B, 23C) 사이에 극도한 강성차가 생기는 사태를 억제하기 때문에,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는, 트레드부(2)의 트레드면(21)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의 주홈(22)을 가지고, 각 주홈(22)에 의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육부(23)가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101)에 있어서, 주홈(22)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육부(23)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된 러그 홈(25)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러그 홈(25)의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있고 러그 홈(25)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된 세홈(26)과, 세홈(26)에 복수 형성된 구멍부(32)를 구비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주홈(22)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홈(22)이 전체적으로 확폭되어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고,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러그 홈(25) 및 세홈(26)에 의하여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는 한편으로, 러그 홈(25)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된 세홈(26)에 있어서 육부(23)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으로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구멍부(32)가 세홈(26)에 의한 육부(23)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유지하면서 배수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것으로,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주홈(22)이 트레드면(21)에 4개 설치되어 모두가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고, 각 주홈(22)에 의하여, 센터 육부(23A)와, 센터 육부(23A)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는 미들 육부(23B)와, 각 미들 육부(23B)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숄더 육부(23C)가 형성되어 있고, 센터 육부(23A) 및 일방(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구멍부(32)를 가지는 세홈(26)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고, 구멍부(32)를 가지는 세홈(26)은, 일단이 일방의 주홈(22)에 연통하여 타단이 타방의 주홈(22)에 이르지 않고 육부(23) 내에서 종단하여 설치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일단 및 타단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반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센터 육부(23A) 및 일방(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는, 습윤 노면의 제동 성능에 기여하는 육부(23)이며, 이 육부(23A, 23B)에 있어서 구멍부(32)를 가지는 세홈(26)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아 설치하는 것으로, 배수성이 양호하게 되어,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구멍부(32)를 가지는 세홈(26)의 타단을 육부(23) 내에서 종단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일단 및 타단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반대로 배치하는 것으로, 육부(23)의 강성을 균일화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센터 육부(23A) 및 일방(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구멍부(32)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직선(SL)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구멍부(32)가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직선(SL)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세홈(26)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구멍부(32)끼리가 연결되는 크랙(crack)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센터 육부(23A) 및 일방(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에 설치된 구멍부(32)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직선(SL)상에 일부를 두고 타이어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구멍부(32)가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직선(SL)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세홈(26)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구멍부(32)끼리가 연결되는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구멍부(32)가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직선(SL)상에 일부를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의 구멍부(32)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센터 육부(23A) 및 일방(차량 외측)의 미들 육부(23B)의 강성의 불균일성을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각 숄더 육부(23C)에, 구멍부(32)를 가지는 세홈(2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각 숄더 육부(23C)에 있어서, 세홈(26)에 의하여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는 한편으로, 러그 홈(25)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된 세홈(26)에 있어서 숄더 육부(23C)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으로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구멍부(32)가 세홈(26)에 의한 육부(23)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유지하면서 배수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것으로,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숄더 육부(23C)에 설치된 구멍부(32)는,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직선(SL)상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의 구멍부(32)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숄더 육부(23C)의 강성의 불균일성을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1)에서는, 타방(차량 내측)의 미들 육부(23B)에, 각 주홈(22)보다도 홈 폭이 좁고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재하는 보조 홈(24)과,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주홈(22)과 보조 홈(24)에 각 단부가 연통하고 있고 러그 홈(25)보다도 홈 폭이 좁게 설치되어 구멍부(32)를 가지지 않는 미들 육부 세홈(26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101)에 의하면, 미들 육부(23B)는 배수성에 기여가 높고, 이 미들 육부(23B)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재하는 보조 홈(24) 및 미들 육부 세홈(26B)을 구비하는 것으로,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미들 육부 세홈(26B)은, 보조 홈(24)이 있는 만큼, 구멍부(32)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미들 육부(23B)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내마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조건이 다른 복수 종류의 시험 타이어에 관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에 관한 성능 시험이 행하여졌다(도 9 참조).
이 성능 시험에서는, 타이어 사이즈 205/55 R16의 공기입 타이어를, 16×6.5J의 정규 림에 조립 장착하고, 정규 내압(200kPa)을 충전하여, 시험 차량(1600cc·프론트 엔진 프론트 구동 세단 타입의 승용차)에 장착하였다.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평가 방법은, 상기 시험 차량으로 수심 1mm의 습윤 노면의 테스트 코스에서 시속 100km/h로부터의 제동 거리가 측정된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수치가 클수록 제동 거리가 짧아 바람직하다.
도 9에 있어서, 시험 타이어로 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면에 4개의 주홈(2개의 센터 주홈 및 2개의 숄더 주홈)이 형성되고, 5개의 육부를 가지고, 육부가, 타이어 적도면상에 배치된 센터 육부와, 센터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양 외측에서 인접하여 배치된 미들 육부와, 각 미들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서 인접하여 배치된 숄더 육부로 구성된 것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종래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각 주홈이 파상으로 진폭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는, 주홈의 홈 바닥에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한편, 실시예 1 ~ 실시예 7의 공기입 타이어는, 각 주홈이 파상으로 진폭하고, 주홈의 홈 바닥에 돌기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 1 ~ 실시예 5의 공기입 타이어는, 센터 주홈의 홈 바닥에 돌기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 6의 공기입 타이어는, 숄더 주홈의 홈 바닥에 돌기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 7의 공기입 타이어는, 전체 주홈의 홈 바닥에 돌기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돌기 열이 1열이다. 실시예 3 ~ 실시예 7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돌기 열이 2열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공기입 타이어는, 돌기 높이가 1.6mm이고 웨어 인디케이터와 같다. 실시예 3 ~ 실시예 7의 공기입 타이어는, 돌기 높이가 0.2mm 이상 1.6mm 미만이고 웨어 인디케이터 미만이다.
도 9의 시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실시예 7의 공기입 타이어는,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개선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 101: 공기입 타이어
2: 트레드부
21: 트레드면
22: 주홈
22A: 센터 주홈
22B: 숄더 주홈
23: 육부
23A: 센터 육부
23B: 미들 육부
23C: 숄더 육부
31: 돌기
2: 트레드부
21: 트레드면
22: 주홈
22A: 센터 주홈
22B: 숄더 주홈
23: 육부
23A: 센터 육부
23B: 미들 육부
23C: 숄더 육부
31: 돌기
Claims (4)
- 트레드부의 트레드면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는 복수의 주(主)홈을 가지고, 각 상기 주홈에 의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육부(陸部)가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주홈이,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는 파상(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상의 상기 주홈의 홈 바닥에, 당해 주홈의 주기적인 진폭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놓여 설치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열(列)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주홈의 홈 바닥에 배치되는 웨어 인디케이터(wear indicator)보다도 상기 홈 바닥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홈이 상기 트레드면에 4개 설치되어 모두가 주기적으로 진폭을 가지고, 각 상기 주홈에 의하여, 센터 육부와, 상기 센터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인접하는 미들 육부와, 각 상기 미들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에 인접하는 숄더 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 육부와 상기 미들 육부와의 사이의 각 상기 주홈에, 상기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47932 | 2015-07-27 | ||
JP2015147932A JP2017024660A (ja) | 2015-07-27 | 2015-07-27 | 空気入りタイヤ |
PCT/JP2016/070319 WO2017018175A1 (ja) | 2015-07-27 | 2016-07-08 | 空気入りタイ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8160A true KR20170118160A (ko) | 2017-10-24 |
KR101947394B1 KR101947394B1 (ko) | 2019-02-13 |
Family
ID=5788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5897A KR101947394B1 (ko) | 2015-07-27 | 2016-07-08 | 공기입 타이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215204A1 (ko) |
JP (1) | JP2017024660A (ko) |
KR (1) | KR101947394B1 (ko) |
CN (1) | CN107949491A (ko) |
DE (1) | DE112016003400T5 (ko) |
WO (1) | WO201701817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67287B1 (fr) * | 2017-06-08 | 2020-09-18 | Michelin & Cie | Pneumatique comprenant une architecture et une sculpture optimisees |
JP7074120B2 (ja) * | 2019-12-26 | 2022-05-24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タイヤ |
EP3842263B1 (en) * | 2019-12-27 | 2023-07-12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Tyre |
JP7419813B2 (ja) * | 2019-12-27 | 2024-01-23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タイヤ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24122B2 (ja) * | 1993-12-27 | 1998-03-09 | 廣壽 深田 | 車両用タイヤ |
JP3273742B2 (ja) * | 1997-02-14 | 2002-04-15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空気入りタイヤ |
US7004216B2 (en) * | 2003-12-11 | 2006-02-28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Tire tread including spaced projections in base of groove |
JP2005231600A (ja) * | 2004-02-23 | 2005-09-02 | Yokohama Rubber Co Ltd:The |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金型 |
EP2376298B1 (en) * | 2008-12-19 | 2012-10-24 | Pirelli Tyre S.P.A. | Heavy load pneumatic tire |
JP5580072B2 (ja) * | 2010-02-19 | 2014-08-27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タイヤ |
JP2013035425A (ja) * | 2011-08-08 | 2013-02-21 | Bridgestone Corp | タイヤ |
JP6056359B2 (ja) * | 2012-10-11 | 2017-01-11 | 横浜ゴム株式会社 | 空気入りタイヤ |
JP5841572B2 (ja) * | 2013-08-05 | 2016-01-13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重荷重用タイヤ |
JP2015051753A (ja) * | 2013-09-09 | 2015-03-19 | 横浜ゴム株式会社 | 空気入りタイヤ |
JP2015217905A (ja) * | 2014-05-21 | 2015-12-07 | 横浜ゴム株式会社 | 空気入りタイヤ |
US20170157992A1 (en) * | 2014-06-30 | 2017-06-08 |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 Groove ridge for reducing undertread |
JP6118307B2 (ja) * | 2014-12-17 | 2017-04-19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空気入りタイヤ |
JP6405284B2 (ja) * | 2015-04-17 | 2018-10-17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空気入りタイヤ |
JP2017024659A (ja) * | 2015-07-27 | 2017-02-02 | 横浜ゴム株式会社 | 空気入りタイヤ |
-
2015
- 2015-07-27 JP JP2015147932A patent/JP2017024660A/ja active Pending
-
2016
- 2016-07-08 CN CN201680043358.XA patent/CN107949491A/zh active Pending
- 2016-07-08 DE DE112016003400.8T patent/DE112016003400T5/de not_active Withdrawn
- 2016-07-08 WO PCT/JP2016/070319 patent/WO201701817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7-08 KR KR1020177025897A patent/KR1019473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7-08 US US15/747,746 patent/US20180215204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7394B1 (ko) | 2019-02-13 |
JP2017024660A (ja) | 2017-02-02 |
WO2017018175A1 (ja) | 2017-02-02 |
US20180215204A1 (en) | 2018-08-02 |
CN107949491A (zh) | 2018-04-20 |
DE112016003400T5 (de) | 2018-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7393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1947395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1947391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1872723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1947396B1 (ko) | 공기입 타이어 | |
CN109219531B (zh) | 充气轮胎 | |
KR101947392B1 (ko) | 공기입 타이어 | |
CN107206845B (zh) | 充气轮胎 | |
KR101947394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1943831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20180099869A (ko) | 공기입 타이어 | |
KR20180099868A (ko) | 공기입 타이어 | |
JP6919501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JP7306121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JP7306122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