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432A - 열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 - Google Patents

열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432A
KR20170115432A KR1020167018388A KR20167018388A KR20170115432A KR 20170115432 A KR20170115432 A KR 20170115432A KR 1020167018388 A KR1020167018388 A KR 1020167018388A KR 20167018388 A KR20167018388 A KR 20167018388A KR 20170115432 A KR20170115432 A KR 20170115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vitamin
skin
artemi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마리 보또
발레르 부스틸
카린 쿠쿠멜
네일 아스틀레스
노하 돔로지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피 인베스트먼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피 인베스트먼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아이에스피 인베스트먼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11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2Crustaceans, e.g. crabs, lobsters, shrimps, krill or crayfish; Barn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보호용 화장품 피부 관리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 특히 저온 열 스트레스 또는 반복되는 온도 변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화장품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 효과를 얻기 위해, 보다 상세하게는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배지(medium)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아라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을 신체 또는 얼굴의 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국소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 미용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열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COSMETIC USE OF ARTEMIA SALINA EXTRACT TO PROTECT SKIN FROM THERMAL STRESS}
본 발명은 화장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보호용의 미용 피부 관리(cosmetic skincare)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 스트레스(thermal stress), 특히 저온 열 스트레스(cold thermal stress) 또는 반복되는 온도 변화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아르테미아 살리나(Artemia salina)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cosmetic us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 효과를 얻기 위해, 보다 상세하게는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배지(physiologically acceptable medium)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아라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을 신체 또는 얼굴 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국소 도포(topical application)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용 관리(cosmetic care)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표피(epidermis)의 주된 기능은 외부 환경과 신체 사이의 보호 장벽(protective barrier)을 확보하는 것이다. 외부 환경과 직접 접촉되는 피부는 다양한 환경 조건의 변화에 노출된다. 변화의 성질이나 정도에 따라, 이들은 물리학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주된 스트레스로는, 열 스트레스, 산소의 자유 라디칼, 자외선과 적외선, 중금속, 삼투압 충격(osmotic shock), 압력 충격에 대한 노출뿐만 아니라, 발열, 염증,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생리학적인 상태를 들 수 있다.
열 스트레스는 신체의 최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생리학적인 체온조절 메카니즘을 넘어서는 스트레스로서 정의된다. 열 스트레스는 환경이나 내부 기원(internal origin)의 온도의 하강(저온 열 스트레스) 또는 상승(고온 열 스트레스(hot thermal stress))을 따라 발생된다. 이러한 최적 온도로부터의 약간의 편차는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열 충격(thermal shock)은 갑자기 급격한 온도 변화(적어도 10℃의 온도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스트레스로 정의된다.
피부는 다양한 생리학적 또는 사고 상황에서 열 스트레스에 노출될 수 있다. 피부의 평균 온도는 최적 기능 시에 약 33℃인 상수값(constant value)으로 추정 될 수 있으며, 환경에 대한 노출에 따라 신속히 변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피부는 24℃-욕조(Marino and Boothe, 1998) 내에 담금 후에는 27℃로 하강하고 37℃ 이상으로 상승되면 태양에 노출될 수 있다.
저온 열 스트레스는, 조직(tissue)과 장기(organ)의 온도가 25℃ 이하로 하강되는 심한 저체온증(극한의 냉온에의 노출, 그렇지 않으면 저산소증으로부터 장기와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특정 의료 기술에의 노출 등)과, 예를 들면 여름과 겨울에 매일 내실과 외부 사이로 이동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입욕(bathing)할 때 공기 조절(air conditioning)에 반복된 노출에서처럼 중등도 저체온증(moderate hypothermia)(25℃∼35℃의 온도)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는 중등도의 저온 열 스트레스를 자주 받게 되면 연속적으로 따뜻하게 된다. 이하는 저온에 노출되었을 때의 세포 생리학적 효과들 중의 하나이다(Fujita 등).
- 증가된 단백질 변성 및 분해
- 세포 주기를 통한 진행(progression)의 둔화, 여기서 G1 상(phase)이 일반적으로 가장 민감함
- 단백질 합성의 일반적 감소로 이어지는 전사(transcription) 및 번역(translation)의 억제
- 세포 골격 요소의 분열
- 세포질 Na+ 과 H+ 이온의 증가로 이어지는 막 투과성의 변화.
또한, 반복되는 온도 변화에 대한 반복되는 피부 노출은 세포 표현형(cell phenotype) 또는 세포막의 구조 및 지질 조성(lipid composition)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부의 장벽 기능을 변경하여 자극(irritation), 건조(dying) 또는 갈라짐(cracking)을 초래한다. 온도 변화 및 저온 열 스트레스로 인한 이들 영향은 피부의 노화를 가속시킨다.
열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이 특정 세포 반응의 확립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저온 열 스트레스의 경우, 고온 충격 단백질(hot shock protein) 또는 "HSP"와는 상이한 저온 충격 단백질(cold shock protein) 또는 "CSP"의 합성 및 세포내 축적을 야기하는 특정 유전자 패밀리(specific gene family)의 전사를 유도함으로써 보호 시스템을 확립한다.
CSP들 중에, 저온유도 RNA 결합 단백질(Cold-inducible RNA-binding protein), 즉 CIRBP는 CIRBP 유전자에 의해 인간에 코딩된 단백질이다. 이들 단백질은 저온에 노출된 후에 뿐만 아니라 항시적으로 발현된다. CIRBP는 단파장 자외선, 저산소증 및 저체온증을 포함하여, 다양한 세포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반응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의 발현은 이하의 CIRBP의 다른 역할 중에서 중등도 저체온증 동안에 신속하고 현저하게 증가한다(Fujuta et al., J. Mol. Microbiol. Biotechnol., 1999; Larry et al., J. Appl, Physiol., 2002).
- RNA의 분해의 억제
- 이들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으로부터의 유전요소(element)를 통한 특정 표적 유전자의 전사의 증가
- 프리-mRNA(pre-mRNA)의 선택적 이어맞추기(alternative splicing)
따라서, CIRBP의 특성은 온도 충격에 대한 신체 반응의 흥미로운 생물학적 지표를 만든다. 아르테미아 살리나의 추출물은 이미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문헌 FR 2,817,748은 UV 손상으로 인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아르테미아 살리나의 추출물을 기술하고 있고, 문헌 FR 2,835,743은 레티노이드의 부작용을 제한하는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을 기술하고 있으며, WO 1999038483은 피부 세포의 재생 및 자극을 위한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에 기반한 화장품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어떠한 것도 아르테미아 살리나와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으로부터의 피부의 보호 사이에 상관관계를 확립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유효량의 적용이 피부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열 스트레스, 특히 저온 열 스트레스 또는 반복되는 온도 변화로부터 세포를 보호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 및 이의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및/또는 피부과학적 용도(dermatological us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용어는 신체의 표면, 특히 머리카락, 속눈썹, 눈썹, 손톱 및 모발에 존재하는 모든 케라틴 부속물들(keratinous appendages)을 포함한다.
따라서, "온도 변화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라는 것은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반복되는 온도 변화 또는 저온 열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 및 자극을 저감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르테미아 살리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족적인 피부 손상은 보기 흉한 것으로 여겨지며 가속화되는 피부 노화와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본 발명은 저온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및/또는 피부과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급격한 및/또는 반복되는 온도 변화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및/또는 피부과학적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온 열 스트레스에 노출된 피부 세포내의 CIRBP의 생리학적인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및/또는 피부과학적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아르테미아 살리나는 기수(brackish water, 汽水)에서 사는 작은 갑각류이다. 환경 조건이 어려운 상태(탈수, 미네랄 함유량의 증가)가 될 때, 아르테미아는 캡슐화되어 수년간 유지할 수 있는 휴면상태(dormancy phase)로 들어간다. 그 조건이 다시 유리한 상태가 될 때, 아르테미아는 재수화(rehydrate)되어 그 발달주기(developement cycle)를 다시 시작한다.
그의 과잉 미네랄화 비오톱(hypermineralised bitope) 적응으로 인하여, 아르테미아 살리나는 중요한 적응 기술(adaptation skill)을 전개했다: 아르테미아 살리나는 GP4G (diguanosine tetraphosphate), ATP의 전구체 분자, GTP 및 G 단백질 활성인자(protein activator)를 합성한다. 아르테미아 살리나는 삼투압 몰농도(osmolarity)의 조절, 플랑크톤의 양호한 하이드로미네랄 균형(hydromineral balance)의 추론(corollary)을 특화한 세포를 갖는다.
특정의 실시형태에서, 아르테미아의 추출물은 120∼195mg/liter의 디아구노신 테트라포스페이트(diguanosine tetraphosphate), 바람직하게는 150mg/liter의 디아구노신 테트라포스페이트를 함유한다.
이하에서는, "활성제(active agent)"와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국소 도포(topical application)"란, 본 발명에 따른 활성제, 또는 그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 또는 점막 표면에 도포하거나 바르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란, 본 발명에 따른 활성제, 또는 그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독성 또는 과민성 반응을 유발시키는 일 없이 피부 또는 점막과 접촉하여 진입하는데 적당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 이란, 손상된 피부 영역의 약화, 건조, 자극 또는 갈라짐을 초래하는 저온(cold)에 노출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정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르테미아 추출물은 물, 글리세롤, 에탄올,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톡실레이티드 디글리콜 또는 프로폭실레이티드 디글리콜, 사이클릭 폴리올 또는 이들 용매의 임의의 혼합물 등의 1종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로 희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배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을 신체 또는 얼굴 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국소 도포를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되는 온도 변화 및/또는 저온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배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을 신체 또는 얼굴 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국소 도포를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유리하게는, 아르테미아 추출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배지 중에,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001%∼20%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0.01%∼10%의 농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5%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제는 미용 분야에서 활용되는 리포솜 또는 다른 임의의 마이크로캡슐 등의 미용 담체(cosmetic carrier) 내에 캡슐화 또는 포함되거나 탈크와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 유기 폴리머인 미네랄 서포트(mineral support)에 흡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조성물들은 특히, 수용성 하이드로-알코올 또는 유성 용액, 즉 수중 유형 에멀젼(oil in water emulsion), 유중 수형 에멀젼(water in oil emulsion) 또는 다중 에멀젼(multiple emulsion)의 형태로 존재해도 된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피부, 점막, 입술 및/또는 머리카락에 적용하는 데 적합한 현탁액 또는 분말의 형태로 존재해도 된다.
이들 조성물은 다소 유동성(fluid)을 가져도 되며 크림, 로션, 밀크, 세럼(serum), 연고, 겔, 페이스트(paste) 또는 폼(foam)의 모양을 가져도 된다. 이들 조성물은 스틱(stick) 등의 고체 형태로 존재해도 되고, 또는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도포해도 된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고려하는 응용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첨가제뿐만 아니라, 용매, 증점제, 희석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자외선 차단제, 셀프 태닝 제(self-tanning agent), 안료, 충전제, 보존제, 향료, 냄새 흡수제,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정유, 비타민, 필수 지방산, 계면활성제, 필름 형성 폴리머 등과 같은, 그 제형(formulation)을 위해 필요한 보조제(adjuvant)를 포함해도 된다.
모든 경우에,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바람직한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이들 보조제뿐만 아니라 그 비율을 선택하도록 확실히 할 것이다. 이들 보조제는, 예를 들면,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20%에 상당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에멀젼인 경우, 지방상(fatty phase)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8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이어도 된다.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화제 및 공통 유화제(co-emulsifier)는 고려 중인 분야에서 종래 사용되는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3∼30중량% 범위의 비율로 사용되어도 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을 달성하는데 유용한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제 이외에, 본 발명의 것과 유사한 및/또는 상보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활성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활성제는 "추가 활성제"로 정의될 것이다.
예를 들면, 추가 활성제는 다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노화방지제(anti-aging agent), 고화제(firming agent), 청징제(clarifying agent), 보습제(moisturizing agent), 탈수제(draining agent), 미소순환 촉진제(promoting microcirculation), 약학제(pharmaceutical agent), 박피제(exfoliant), 박리제(desquaming agent), 세포외 기질 자극제(stimulating the extracellular matrix), 에너지 대사 활성화제(activating energy metabolism), 항균성제(antibacterial agent), 항진균제(antifungal agent), 완화제(soothing agent),항라디칼제(anti-radical agent), 항자외선제(anti-UV agent), 항여드름제(anti-acne agent), 항염증제(anti-inflammatory agent), 마취제(anesthetic agent), 열감 조달제(procuring sensation of heat), 냉감 조달제(procuring sensation of coolness), 슬리밍제(slimming agent).
이러한 추가 활성제는 다음의 성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 비타민 A, 특히 레티노산, 레티놀, 레티놀 프로프리오네이트(retinol proprionate), 레티놀 팔미테이트(retinol palmitate),
- 비타민 B3,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이아신아미드, 토코페롤 니코티네이트(tocopherol nicotinate),
- 비타민 B5, 비타민 B6, 비타민 B12, 판테놀,
- 비타민 C, 특히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아스코빌테트라팔미테이트, 마그네슘 및 소듐 아스코빌포스페이트,
- 비타민 E, F, H, K, PP, 조효소 Q10,
- 메탈로프로테이나제 또는 TIMP 활성제,
- DHEA, 그 전구체 및 그 유도체,
- 아르기닌, 오르니틴, 하이드록시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디팔미테이트, 팔미토일글리신, 하이드록실리신, 메티오닌 및 그 유도체, N-아실아미노산 화합물과 같은 아미노산,
- 디-, 트리-, 테트라-, 펜타- 및 헥사펩티드 및 금속 이온(예를 들면, 구리, 아연, 망간, 마그네슘 등) 등의 다른 화학종을 가지는 이들의 친유성 유도체, 이성질체 및 착물을 포함하는 천연 또는 합성 펩티드. 예를 들면, MATRIXYL®, ARGIRELINE®, COLLAXYLTM, PEPTIDE VINCI 02TM, CHRONOGENTM, LAMINIXYL ISTM, PEPTIDE Q10TM의 명칭으로 상업적으로 알려진 펩티드,
- 콩, 스펠트(spelt), 포도나무, 유채, 아마인, 쌀, 옥수수, 완두콩 등의 식물 펩티드 추출물,
- 효모 추출물,
- 데히드로아세트산(DHA),
- 합성 또는 천연 피스토스테롤(phystosterol),
- 살리실산 및 그 유도체, 알파- 및 베타-하이드록시산, 실란올,
- 아미노당, 글루코사민, D-글루코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D-글루코사민, 만노사민, N-아세틸만노사민, 갈락토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 포도씨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등의 폴리페놀, 이소플라본, 플라보노이드의 추출물,
- 세라마이드 또는 인지질(phospolipid), 스쿠알렌 또는 스쿠알란 등의 동물성 오일 등의 지질(lipid); 스위트 아몬드 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호호바 오일, 올리브, 평지씨, 땅콩, 해바라기, 맥아, 옥수수 배아, 대두, 목화, 알팔파, 양귀비, 호박, 달맞이꽃, 기장, 보리, 호밀, 홍화, 소우, 헤이즐넛, 야자나무(palm), 살구씨, 아보카도, 칼렌듈라 오일; 에톡실레이티드 식물성 오일, 시어 버터(shea butter),
- 모든 UV 필터 및 자외선 차단제,
- 사이클릭 AMP 및 그 유도체, 효소 아데닐산 사이클라제의 활성제 및 효소 포스포디에스테라제의 억제제, 병풀 추출물,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및 아시아틱애씨드(asiatic acid), 크산틴메틸(xanthine methyl), 테인(theine), 카페인 및 그 유도체, 테오필린(theophylline), 테오브로민(theovromine), 포스콜린(forskoline), 에스쿨린(esculin) 및 에스쿨로시드(esculoside), ACE 억제제, 펩티드 Val-Trp, 신경펩티드 Y 억제제, 엔케팔린(enkephalin), 은행나무 잎(gingko biloba) 추출물, 디오스코리아(dioscorea) 추출물, 루틴(rutin), 이에르바 마떼yerba mate) 추출물, 구아나라(guarana) 추출물, 올리고당, 다당류, 카르니틴(carnitine), 아이비(ivey) 추출물, 푸쿠스(fucus) 추출물, 꿀풀(prunella vulgaris)의 가수분해 추출물, 맨드라미(celosia cristata)의 가수 분해 추출물, 아노게이수스 레이카르푸스(Anogeissus leiocarpus) 추출물, 마니호트나무 잎(Manihot utilissima leaves) 추출물, 팔미토일카르니틴(palmitoylcarnitine), 카르노신(carnosine), 타우린(taurine), 엘더(elder) 추출물, 덜스(palmaria palmata) 추출물 등의 해초(seaweed) 추출물, ATPeptideTM으로 판매되는 시퀀스 Arg-Gly-Ser-NH2의 합성 펩티드.
본 발명에 따른 사용 가능한 조성물은 적절한 어떠한 방법으로, 특히 경구 또는 국소 외용(topical external)으로 적용될 것이며,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자에 의해 조정될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국소 도포(topical application)에 적합한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들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배지, 즉 피부 및 상피 부속물(epithelial appendage)과 상용 가능한 배지를 함유해야 하며, 모든 미용 형태(cosmeic form)를 포함해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이 일반적으로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목표로 삼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이 미용 처치 방법(cosmetic treatment method)의 특정 실시형태는 이전의 설명으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목적을 위해 제시된 실시예들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아르테미아 추출물에 의해 처치(treated) 또는 비(非)처치된(not treated) 세포 내에서의 저온 열 스트레스 후의 CIRBP의 발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아르테미아의 추출물에 의해 처치 또는 비(非)처치된 세포 내에서의 저온 열 스트레스 후의 CIRBP mRNA의 평가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1 :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제조
아르테미아 살리나 낭종 50g을, 주로 물로 구성된 적절한 배지 내에서 30℃∼75℃의 온도 범위 및 4∼7의 pH 범위에서 증류수 1리터로 30분∼6시간 동안 재수화(rehydrate)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낭종을 분쇄(ground)한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여과하였다. 다음으로, 추출액을 살균 여과에 의해 살균하여 65℃로 가열하였다.
다음으로, 추출액을 미용 요건(색상, 냄새, 모양, 불임(sterility) 등)에 부합하도록 처치한다.
다음으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한 분석(assay)을 실시하여 150mg/리터를 초과하는 디구아노신 테트라포스페이트(diguanosine tetraphosphate) 함량을 확인한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처치 또는 처치된 세포 내에서의 저온 열 스트레스 후의 CIRBP 의 발현
이 연구의 목적은 저체온증 스트레스를 받는 각질 세포(keratinocyte)에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로 전처치(pretreatment)한 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CIRBP(저온유도 RNA 결합 단백질)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 따른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전처치하거나 전처치하지 않은 중등도 저체온증(32℃)에 걸린 각질 세포에 관한 웨스턴 블롯(Western bolt)으로 분석하였다.
프로토콜(Protocol) : 실시예 1에 따른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을 1%와 3%정도 그 성장 배지(growth medium)에 첨가하여 피부로부터 정상 인간 각질 세포 (Normal human keratinocyytes; NHK)를 처치하였다. 이러한 처치는 48시간 동안 하루에 한 번 반복한다. 동시에, NHK 배양을 처치하는 일 없이 유지하여,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을 구성한다. 이 배양은 37℃에서 일어난다.
다음으로, 전처치된 또는 전처치되지 않은 NHK 배양을 32℃에서 6시간 동안 배치하여 저체온증 스트레스를 받게 한다. 이 인큐베이션(incubation) 후에, 웨스턴 블롯에 의해 CIRBP 발현의 분석을 위해 NHK를 용해(lyse)한다. 이러한 통상의 면역학적 블로팅(immunoblotting) 기술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전사막(transfer membrane)을 1×TBS/5% 분유용액(milk solution)으로 1시간 동안 포화하고, 4℃에서 하룻밤 동안 1차 항체 CIRBP(Novusbio)와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다음으로 주위온도(ambient temperature)에서 1시간 동안 퍼옥시다아제에 결합된 2차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한다. 카메라(Chemi-Imager system, Alpha Innotech Corporation)를 사용하여 기질(substrate)(SuperSignal West Dura Extended Duration Substrate, Thermo Scientific)을 첨가함으로써 발광을 보였다.
결과:
도 1을 참조하면, 결과는 37℃에서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그리고 문헌 데이터에 따라서, 세포를 32℃에서 6시간 동안 인큐베이터할 때 CIRBP의 발현시에 27% 증가를 나타낸다.
그 세포를 실시예 1에 따라 1% 정도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전처치하였을 때에, CIRBP 레벨(level)은 32℃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32℃에서 17%만큼 상당히 감소되었다. 그 세포를 실시예 1에 따라 3% 정도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전처치하였을 때에, CIRBP 레벨은 32℃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32℃에서 28%만큼 상당히 감소되었다.
결론:
CIRBP의 발현의 감소는 실시예 1에 따라 1% 또는 3% 정도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전처치되고, 미처치된 세포에 비하여 저온 열 스트레스를 받는 세포에서 관찰된다.
실시예 3: 저온 열 스트레스 이후 CIRBP mRNA 의 평가
본 연구의 목적은 CIRBP mRNA가 중등도 저체온증 스트레스(32℃) 전에, 실시 예 1에 따라 얻어진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로의 처치에 의해 조절(modulate)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CIRBP mRNA 레벨은 정량적인 PCR(Q-PCR)에 의해 평가되었다.
프로토콜: 정상 인간 각질 세포 (Normal human keratinocyytes; NHK)를, 성장 배지 내에서 1% 정도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처치하였다. 동시에, NHK 배양을 처치하는 일 없이 유지하여, 미처치된 대조군을 구성한다. 이 배양은 37℃에서 일어난다. 다음으로, 처치된 배양과 미처치된 배양을 32℃에서 6시간 동안 배치한다.
이 인큐베이션 후에, 전체 RNA를 RNeasy 미니 키트(mini kit)(QIAGEN, 74104)로 추출하고 RNase 억제제를 함유하는 고용량 cDNA 역전사 키트(reverse transcription kit)(Applied Biosystems, 4368814)로 복사(transcribe)한다. 정량적인 PCR은 스텝 원 플러스 서모사이클러(Step One Plus thermocycler)(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표적(target) CIRBP 및 내생 대조군(endogenous control) 18S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마스터 믹스(Master Mix)(Applied Biosystems)로부터 멸균수(sterile water)로 희석된, TaqMan Expression Assays (Applied Biosystems, 18S에 대한 Hs99999901_sl 및 CIRBP: Hs00989762_gl)로부터 나온 것이다.
결과:
결과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7℃에서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등도 저체온증(32℃)에 걸린 미처치된 각질 세포 내에서의 CIRBP mRNA의 발현시에 59%의 상당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이 각질 세포를 저체온증 스트레스에 노출하기 전에 1% 정도 아르테미아 살리나에 의해 처치하였을 경우에, CIRBP mRNA 레벨은 37℃에서 추출물에 의해 전처치된 각질 세포에 비하여 12%만큼 증가시켰고 CIRBP mRNA 레벨은 32℃에서 처치되지 않은 대조군 각질 세포에 비하여 33%만큼 감소되었다.
결론:
CIRBP mRNA의 낮은 레밸은 실시예 1에 따른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전처치되고, 처치되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 비하여 저체온증에 걸린 각질 세포에서 관찰된다.
실시예 4: 경피수분 손실( Trans Epidermal Water Loss , TEWL )에 미치는 실시 예 1로부터의 추출물의 효과
목적:
본 연구는 열 스트레스에 노출된 피부의 보호, 특히 고온/저온 스트레스(hot/cold stress) 도중에 경피수분 손실에 미치는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경피수분 손실(TEWL)은 피부의 투과성 및 장벽 기능을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파라미터이다(Toby Mathias et al., 1981). 고온/저온 스트레스는 여름과 겨울 모든 계절에 있어서 실내와 외부 간의 온도차처럼 보인다.
프로토콜:
본 연구는 "나이 지긋한(mature)" 그룹(48∼57세) 중의 9명과 "젊은(young)" 그룹(21∼34세) 중의 10명을 포함하여 21∼52세의 19명 지원자에 대하여 실시되었다.
지원자들에 따라, 피부의 성질은 피부 병리(skin pathology) 없이 정상 또는 건성이며 2∼4의 포토타입(phototype)을 갖는다.
테스트는 실시예 1에 따른 1%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에 대한 이중 맹검(double blind)으로 실시되었고 3주간 지속했다.
실시예 1로부터의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과 플라세보(placebo)를, 각 허벅지(thigh)의 동일한 면적 상에 제품 농도로 하루 아침과 저녁에 2회 도포하였다.
도포되는 제품의 양은 2mg/cm2이었다.
열 스트레스 과정: 우선, 가열패드(WELLYS® 전기가열패드)를 허벅지에 10분 동안 적용하였다. 그 직후에, 얼음팩을 10분 동안 적용하였다(Firstlce® (EZY WRAP) 얼음팩).
경피수분 손실(TEWL)을 Dermalab® 증발계(Cortes Technolog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측정은 g/m2/h로 표현하고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가 0.1초일 때 또는 60초 후일 때 중단한다. 이 측정은 조절되는 온도 및 습도 조건(21℃±1 및 50%±5) 하에서 실시한다.
조제 방법:
1) 기준(baseline) 측정
2) 제품 적용
3) 0∼21일 전의 스트레스와 21일 후의 스트레스에 대한 측정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TEWL 측정 곡선의 플래토(plateau)를 획득하는 시간을 관찰하였다. 이 시간은 피부가 회복되기 시작하는 시간, 즉 열 스트레스 후 기준 상태로 복귀되는 시간에 해당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 시간을 "회복 시간"이라고 칭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로 처치한 쪽과 플라세보로 처치한 쪽에 대한 상기 회복 시간을 통게적으로 비교하였다.
스트레스 후에, TEWL의 측정은 2분마다 실시하였다.
결과:
본 발명자들은 곡선 플래토가 플라세보로 처치한 영역보다 아르테미아 추출물로 처치한 영역에 더 빨리 도달된 것을 주시한다.
이 회복 시간은 플라세보로 처치한 영역보다 아르테미아 추출물로 처치한 영역의 경우 평균 27% 훨씬 빠르다.
결론:
TEWL 값은 플라세보에 비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로 처치한 영역에 저온-고온 열 스트레스 이후에 정상으로 더 빨리 복귀된다.
이 결과는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이 고온/저온 열 스트레스 이후에 피부 회복을 더욱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5: 조성물의 제조
1 보호 크림
Figure pct00001
조제 방법
1. 메인 탱크(main tank) 내에 상(phase) A를 균질화한다.
2. 상(phase) B 위에 뿌려 10분 동안 균질화하고, 다음으로 50℃로 가열 시작하여 30분 동안 잘 혼합한다.
3. 온도를 감소시켜 상(phase) C를 첨가한다. 잘 혼합하여 균질화한다.
4. 비이커 내에 한쪽으로 치워 놓고, 상(phase) D를 준비하여, 균질화될 때까지 55-60℃로 가열하고 온도를 감소시킨다.
5. 상(phase) E로부터 구성성분들(elements)을 메인 탱크 내에 차례차례 추가하고, 각 추가 성분들 간에 잘 혼합한다.
6. 메인 용기에 상 D를 추가하고 균질화될 때까지 혼합한다.
7. 25℃에서, 상(phase) F를 추가하고 잘 혼합한다.
8. 상 G를 메인 탱크에 추가하기 전에 미리혼합한다.
9 상(phase) H로부터 구성성분들을 차례차례 첨가하고, 각 추가 성분들 간에 잘 혼합한다.
10. 25℃에서 중지한다.
2 남성용 모이스처라이징 크림( moisturizing cream )
Figure pct00002
조제 방법
1. 메인 탱크(main tank) 내에 상 A를 균질화한다.
2. 상 B 위에 뿌리고, 균질화될 때까지 10분 동안 균질화한다.
3. 비이커 내에 한쪽으로 치워 놓고, 상 C를 준비하여, 균질화될 때까지 균질화한다, 상 D에 뿌리고 균질화될 때까지 잘 혼합한다.
4. 25℃에서, 상 C+D를 메인 용기에 추가하고 균질화될 때까지 혼합한다.
5. 25℃에서, 상 E를 메인 용기에 추가하고 균질화될 때까지 혼합한다.
6. 25℃에서, 상 C를 메인 용기에 추가하고 균질화될 때까지 혼합한다.
7. 25℃에서 중지한다.
3. 아이밤( Eye balm )
Figure pct00003
조제 방법
1. 메인 탱크에 물을 추가하여 80℃로 가열하기 시작한다.
2. 60℃에서 상 B에 뿌리고 균질화될 때까지 잘 혼합한다.
3. 80℃에서, 상 C를 추가하고, 잘 혼합하여 상 D를 추가한다.
4. 상 E로부터의 성분을 비이커 내에 추가하여 한쪽으로 치워 놓고, 75-80℃로 가열한다.
5. 80℃에서, 메인 탱크에 상 D를 추가하여 잘 혼합한다. 에멀젼은 균질화되어야 한다.
6. 냉각을 시작한다.
7. 65℃에서, 상 F를 추가하고 잘 혼합한다.
8. 30℃로 냉각하고 상 G, 다음으로 상 H를 추가하고, 균질화될 때까지 각 상을 잘 혼합한다.
9. 25℃에서 중지한다.

Claims (5)

  1. CIRBP의 생리학적 레벨을 유지함으로써 저온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미용 관리(cosmetic care) 방법으로서,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배지(medium)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아르테미아 살리나(Artemia salina) 추출물을 신체 또는 얼굴 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국소 도포를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용 관리 방법:
    a) 30℃∼75℃의 온도와 4∼7의 pH에서 증류수로 30분∼6시간 동안 아르테미아 살리나 낭종들(cysts)을 재수화하는 단계,
    b) 다음으로 상기 낭종들을 분쇄하는 단계,
    c) 이렇게 얻어진 상기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여과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저온 열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과 관련된 피부를 자극, 건조 또는 갈라짐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미용 관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르테미아 추출물은 물, 글리세롤, 에탄올,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톡실레이티드 디글리콜 또는 프로폭실레이티드 디글리콜, 사이클릭 폴리올 또는 이들 용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용매로 희석되는 미용 관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001%∼20%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5%∼5%의 농도로 존재하는 미용 관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비타민 A, 레티노산, 레티놀,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F, 비타민 H, 비타민 K, 비타민 PP, 조효소 Q10,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아미노산, 카르니틴, 카르노신, 타우린, 천연 또는 합성 펩티드, 식물성 펩티드 추출물, 효모 추출물, 천연 또는 합성 피스토스테롤, 살리실산, 올리고당, 다당류, 아미노 당,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지질(脂質), 인지질(憐脂質), 사이클릭 AMP 및 그 유도체, 효소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의 활성화제, 효소 포스포디에스테라제의 억제제, 테인(theine), 테오필린(theophylline), 테오브로민(theobromine), 포스콜린(forskolin), 에스쿨린(esculin), ACE 억제제, 디오스코리아(dioscorea) 추출물, 구아라나(guarana) 추출물, 아이비(ivy) 추출물, 푸쿠스(fucus) 추출물, 덜스(palmaria palmata) 추출물 등의 해초(seaweed) 추출물, 꿀풀(prunella vulgaris)의 가수분해 추출물 또는 엘더(elder)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추가 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미용 관리 방법.
KR1020167018388A 2014-01-08 2015-03-06 열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 KR20170115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0132A FR3016126B1 (fr) 2014-01-08 2014-01-08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d'artemia salina pour proteger la peau des stress thermiques
PCT/FR2015/000050 WO2015107286A2 (fr) 2014-01-08 2015-03-06 Utilisation cosmétique d'un extrait d'artémia salina pour protéger la peau des stress thermiqu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432A true KR20170115432A (ko) 2017-10-17

Family

ID=5042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388A KR20170115432A (ko) 2014-01-08 2015-03-06 열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37077B2 (ko)
EP (1) EP3092041B1 (ko)
JP (1) JP2017502050A (ko)
KR (1) KR20170115432A (ko)
CN (1) CN106132396B (ko)
FR (1) FR3016126B1 (ko)
WO (1) WO201510728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8825C1 (ru) * 2017-12-08 2019-02-04 Наталия Александровна Добрынина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регенерирующего и пит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и косметический регенерирующий и питательный крем на ее основ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7517A1 (en) 2017-06-16 2018-12-20 Beiersdorf Daily Chemical (Wuhan) Co. Ltd. A hair styling composition containing cymbidium grandiflorum flower extract
WO2018227516A1 (en) 2017-06-16 2018-12-20 Beiersdorf Daily Chemical (Wuhan) Co., Ltd. A hair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cymbidium grandiflorum flower extract
WO2020153865A1 (ru) * 2019-01-23 2020-07-30 Наталия Александровна ДОБРЫНИНА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доба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регенерирующего и пит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и косметический регенирующий и питательный крем на ее основе
CN114795996B (zh) * 2022-04-08 2023-08-29 广东先强药业有限公司 一种含有核苷类成分的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4837A1 (de) 1998-01-29 1999-08-05 Coty Bv Kosmetisches Produkt zur Regenerierung und Stimulierung der Hautzellen
FR2810241B1 (fr) * 2000-06-15 2003-10-17 Seporga Lab Preparation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renfermant un extrait de zooplancton qui contient et induit des hsp
FR2817748B1 (fr) * 2000-12-13 2003-01-17 Seporga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contenant un extrait d'artemia salina
FR2834887B1 (fr) * 2002-01-24 2007-06-15 Vincience Utilisation d'un extrait d'artemia pour le traitement des peaux agees
WO2003066014A1 (fr) * 2002-02-08 2003-08-14 Societe D'extraction Des Principes Actifs (Vincience Sa) Utilisation d'un compose inducteur de hsp afin de limiter les effets secondaires des retinoïdes
FR2835743B1 (fr) * 2002-02-08 2006-04-28 Vincience Utilisation, dans les compositions cosmetiques et dermatologiques, d'un extrait d'artemia en association avec des retinoides
JP2004137191A (ja) * 2002-10-17 2004-05-13 Arysta Lifescience Corp 皮膚外用剤
JP2004238297A (ja) * 2003-02-04 2004-08-26 Arysta Lifescience Corp 抗皮膚ストレス(ストレス防御)用化粧料
RU2429865C1 (ru) * 2010-05-24 2011-09-27 Надежда Николаевна Прутовых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репаративным и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м действием
TWI445541B (zh) * 2012-02-17 2014-07-21 Taiyen Biotech Co Ltd 逆境豐年蝦卵萃取物、其製備方法及其用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8825C1 (ru) * 2017-12-08 2019-02-04 Наталия Александровна Добрынина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регенерирующего и пит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и косметический регенерирующий и питательный крем на ее основ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7077B2 (en) 2018-11-27
FR3016126A1 (fr) 2015-07-10
EP3092041B1 (fr) 2019-05-08
WO2015107286A3 (fr) 2015-09-11
EP3092041A2 (fr) 2016-11-16
WO2015107286A2 (fr) 2015-07-23
CN106132396A (zh) 2016-11-16
JP2017502050A (ja) 2017-01-19
CN106132396B (zh) 2019-02-15
US20170042802A1 (en) 2017-02-16
FR3016126B1 (fr)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6243B2 (ja) 保湿効果又は老化防止効果を有する少なくとも2つの浸透圧調節物質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ES2653666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y/o farmacéutica que comprende un extracto de algarroba como agente activo de activación de la expresión de las acuaporinas
KR20170115432A (ko) 열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아르테미아 살리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
ES2697773T3 (es) Uso cosmético y/o dermatológico de un extracto de hojas de Hamamelis virginiana
KR101972071B1 (ko)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US20210369595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rose fruit
KR102085422B1 (ko)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230390182A1 (en) Process for obtaining an aqueous extract of lavender,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an extract, and their cosmetic uses
ES2700784T3 (es) Extracto de partes aéreas de Gynandropsis gynandra o Cleome gynandra y composiciones cosméticas, dermatológicas o farmacéuticas que lo comprenden
US11045669B2 (en) Hydroalcoholic extract of Schinus molle,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nd cosmetic uses thereof
ES2299483T3 (es) Extracto de un vegetal de la especie olea europaea como inhibidor de la no-sintasa y sus utilizaciones.
US20180344623A1 (en) Synergistic extract of palmaria palmata and jasmine,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and uses thereof
KR20180081602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피부 및 모발을 위한 그의 용도
US10413502B2 (en) Cosmetic use of a peppermint extract
KR20170141432A (ko) 알파-망고스틴, 베타-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가르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EP2722075B1 (en) Prevention of conditions arising from an impaired skin barrier function
US20190201320A1 (en) Method for increasing lipolysis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bioactive nelumbo nucifera (lotus) extract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EP3043873A1 (fr)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tapirira guyanensis
KR20200101709A (ko) 보습성과 피부 진정효과가 우수한 아이스 수분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2518A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세포보습, 세포간 보습, 피부 장벽보습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
JP2011026223A (ja) 皮膚外用剤
WO2011140224A1 (en) Extracts of southernwood and topical uses thereof
WO2017057420A1 (ja) 皮脂分泌促進剤及びその利用
CN115671022A (zh) 一种抗衰老微胶囊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