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354A -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354A
KR20170115354A KR1020160042906A KR20160042906A KR20170115354A KR 20170115354 A KR20170115354 A KR 20170115354A KR 1020160042906 A KR1020160042906 A KR 1020160042906A KR 20160042906 A KR20160042906 A KR 20160042906A KR 20170115354 A KR20170115354 A KR 2017011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hydrophilic
fluorine
group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411B1 (ko
Inventor
이희우
김상우
최승영
윤태웅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411B1/ko
Priority to PCT/KR2017/001000 priority patent/WO2017175959A1/ko
Priority to CN201780021024.7A priority patent/CN109121441B/zh
Priority to US16/091,573 priority patent/US10797334B2/en
Publication of KR2017011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1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from soli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3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J5/2237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and oxygen, e.g. polyethers,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s [S-PEEK], sulfonated polysaccharides, sulfonated celluloses or sulfonated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porosity, ionic conductivity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6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 H01M8/1088Chemical modification, e.g. sulfo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J23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양자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 및 이온전도도를 조절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Controlled size of ion channels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by solvent polarity effect during coating processing}
본 발명은 극성 유기용매와 친수성 용매를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의 크기를 조절 또는 확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표적인 양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 막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은 듀폰사에서 개발한 Nafion이 있다. Nafion은 불소계 PTFE 주쇄와 술폰산기 말단의 친수성 측쇄가 결합된 구조로 친수성, 소수성 간 상분리가 명확하여 이온채널이 크고 분명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습조건에서 술폰산기의 해리에 의한 높은 양이온 전도도 (0.1 S/cm)가 높은 장점을 지닌다.
비불소계 고분자전해질막(예: sPEEK, sPAES)은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예: Nafion)에 비해 주쇄 (방향족, 소수성)와 측쇄 (술폰산기, 친수성) 사이의 상분리가 작으므로 채널 연결성 및 크기가 작다. 그런데 이온전도도는 이온채널을 통하므로 더 작은 이온채널을 지닌 비불소계 고분자전해질막이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보다 이온전도도가 더 낮은 문제가 있다.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막 이외에 알칼리 환경에서 음이온을 전도하는 전해질막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과 마찬가지로 주쇄의 종류에 따라 불소계, 비불소계로 나뉘고 측쇄는 아민계 양이온그룹(예, 4차암모늄, benzyl trimethyl ammonium, methyl imidazolium, alkyl ammonium, resonance stabilized guanidinium 등)을 지닌다.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이온교환능 및 이온채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이온교환능이 높을수록 이온전도도가 높아지지만, 높은 IEC로 인해 수분팽윤 (water swelling)이 급격히 증가하여 물에 풀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IEC 조절 없이 이온채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면 water swelling 문제없이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 자체의 IEC 조절 또는 친수성 무기입자의 첨가 없이도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의 이온채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물성 저하 없이 이온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온전도성 고분자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제 1 친수성 용매의 혼합 용액에 상기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의 친수성 기능기와 호환성이 뛰어난 제 2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첨가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으로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 채널의 크기가 친수성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 전해질막에 비해 확장된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상기 유기용매와 상기 고분자전해질로 이루어진 용액 내 친수성 용매의 첨가에 의해 혹은 상기 고분자와 친수성용매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 용매 내 친수성 기능기와 호환성이 뛰어난 극성 친수성 용매의 첨가로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 또는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건조 단계에서의 시간과 가열 온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친수성 용매가 혼합되어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이 극성 용매 효과를 지니지 않은 고분자 전해질막에 비해 이온 전도도가 증가된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실험 2에서의 얻어진 소각산란 곡선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은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채널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채널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유기용매와 고분자 전해질로 이루어진 용액 내 극성 용매를 특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채널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채널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고분자와 친수성용매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 용매 내 친수성 기능기와 호환성이 뛰어난 극성 친수성 용매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채널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제 1 친수성 용매의 혼합 용액에 상기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의 친수성 기능기와 호환성이 뛰어난 제 2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친수성 용매와 제 2 친수성 용매는 같거나 서로 다른 용매일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는 유기용매와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로 이루어진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 용액과 극성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은 연료전지용 이온전도성막으로 제한 없이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 또는 불소계 고분자전해질은 술폰산기 (SO3H), 아민기 (NH3) 또는 인산기 (-PO3H2)의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가 결합된 구조 혹은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 (예, 4차 암모늄, benzyl trimethyl ammonium, methyl imidazolium, alkyl ammonium, resonance stabilized guanidinium 등)를 지닌 구조이다.
상기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은 제조방법에 따라 cross-linked hydrocarbons, grafted polymer, polymer blends로 분류되며 친수성 기능기가 결합된 구조에 따라 기능기가 main chain에 직접 결합하는 구조, 기능기를 포함하는 측쇄 (side chain)가 그래프트 (grafted)된 구조, 소수성 블록과 친수성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코폴리머 (block copolymer)로 분류된다.
상기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의 main chain은 소수성 방향족 탄화수소로 구성되고 기능기는 양이온, 음이온 소스를 포함하며 친수성을 나타낸다.
상기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 아릴렌계, 폴리에테른케톤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 어느 하나의 비불소계 고분자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비불소계 고분자에 술폰산기(SO3H), 아민기(NH3), 인산기(-PO3H2)의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 그룹 및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친수성 이온 교환기능기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 (sPEEK)),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ketone (sPEK)),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술폰(sulfonated polyethersulfone (sPES)), 술폰화된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sulfonated polyarylethersulfone (sPAES))의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막 또는 Neosepta, AR204SZRA, IPA, Selemion AMV 또는 FAS의 음이온 전도성 고분자막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소수성의 불소계 주쇄 (backbone)와 친수성 측쇄 (side chain)로 이뤄진 고분자 전해질로 주쇄의 구조에 따라 전불소계, 부분불소계로 나뉘고, 측쇄의 기능기 종류에 따라 술폰산기, 인산기, 아민기 등으로 나뉘며 측쇄의 길이에 따라 long side chain 또는 short side chain으로 분류된다.
상기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rylene, PTFE), 폴리비닐플루라이드 (Polyvinylfluoride, PVF), 폴리비닐리딘플루라이드 (Polyvinylidine fluoride, PVDF),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의 불소계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불소계 고분자와 술폰산기 (SO3H), 아민기 (NH3), 인산기 (-PO3H2)의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 그룹 및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 (예, 4차 암모늄, benzyl trimethyl ammonium, methyl imidazolium, alkyl ammonium, resonance stabilized guanidinium 등)를 지닌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친수성 이온교환기능기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나피온 (Nafion), 아퀴비온 (Aquivion), 플레미온 (Flemion), 고어 (Gore), 에이씨플렉스 (Aciplex), R-1030, Aciplex A-192 또는 Morgane ADP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고분자 용해를 위한 용매로 쓰이는 극성 비양자성 용매이며, 상기 친수성 용매는 상기 유기용매에 비해 극성이 높은 극성 양자성 용매일 수 있다.
고분자 용해 용매로 쓰이는 극성 비양자성 용매는 대표적으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 DMAc), N-메틸피롤리돈(N-methyl pyrrolidone, NMP),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DMSO)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DMF)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용매는 높은 쌍극자 모멘트를 가지며 채널과 수소결합을 할 수 있는 극성 양자성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용매는 대표적으로 t-butanol, n-propanol, ethanol, methanol, ammonia, acetic acid, 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유기용매 대비 친수성 용매를 1~100중량% 혼합할 수 있다.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유기용매에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1~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용해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온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에 관련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은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용액을 기재 상에 코팅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은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제 1 친수성 용매의 혼합 용액에 상기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의 친수성 기능기와 호환성이 뛰어난 제 2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용액을 기재상에 코팅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친수성 용매와 제 2 친수성 용매는 같거나 서로 다른 용매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 또는 확장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 채널의 크기가 친수성 용매를 포함하지 않은 고분자 전해질막에 비해 확장된다.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 채널의 크기가 친수성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 전해질막(즉, 극성용매 효과를 지니지 않는 고분자 전해질막)에 비해 150%까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는 앞에서 상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공지된 막 형성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는 친수성 용매와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 단계도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건조 단계에서의 시간과 가열 온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건조 단계는 친수성 용매가 물인 경우에 80도에서 소정 시간 동안 물을 증발시키고, 연속하여 100도로 온도를 올려 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다시 120도로 올려 유기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술폰화된 고분자전해질은 소수성 주쇄와 친수성 측쇄의 상분리에 의해 이온채널을 형성하며, 비불소계 탄화수소계 고분자전해질막은 불소계 고분자전해질막에 비해 상분리 정도가 작아 더 작은 크기의 이온채널을 형성하고, dead-end가 많아 채널 연결성이 작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막은 친수성 용매 효과를 지니지 않은 고분자 전해질막에 비해 극성 친수성 용매로 인해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를 포합하는 sulfonated poly etheretherketone (sPEEK) 용액(sPEEK 5중량%)과 물을 혼합하여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의 중량 대비 1~100%로 각각 첨가하여 실시하였다.
교반을 마친 혼합용액을 80℃ 오븐에서 밤새 casting 하였다. 캐스팅을 마친 후, 샬렛에 증류수를 부어주면서 샬렛에서 막을 조심스럽게 떼어내었다. 이어서, 전해질막 내 남아있는 유기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황산 1 M 용액에 80℃ 조건으로 1 시간 동안, 이어서, 100℃ 물에 1 시간 정도 끓여주었다.
비교예 1
물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 1 : 이온전도도 측정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의 두께를 측정한 후, Bekktech 사의 4 probe conductivity cell을 AC impedance와 연결한 후, 80 ℃/100% RH 조건에서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2 : 소각 산란법
포항 입자가속기 센터 내 4C SAXS2 빔을 이용해 소각산란 곡선을 도시하였다.
도 3과 표 1은 80도 100% 가습 조건에서 실험 1에서 측정한 이온전도도를 보여준다.
Water/DMAc
(%)
이온전도도 증가율 (%)
0~100 100~150
도 3과 표 1을 참고하면, 80℃ 조건에서 물이 유기용매 대비 0~100 중량% 첨가된 경우에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해 100~150%의 이온전도도가 증가되었다.
도 4는 실험 2에서의 얻어진 소각산란 곡선을 나타낸다. 표 2는 도 4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한 이온채널 크기 상승률을 나타낸다.
Water/DMAc
(%)
이온채널 크기 상승률 (%)
0~100 100~150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물이 유기용매 대비 0~100 중량% 첨가된 경우)이 비교예 1에 비해 이온채널의 크기가 100~150%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질적인 특성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2.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제 1 친수성 용매의 혼합 용액에 상기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의 친수성 기능기와 호환성이 뛰어난 제 2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첨가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친수성 용매와 제 2 친수성 용매는 같거나 서로 다른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고분자 용해를 위한 용매로 쓰이는 극성 비양자성 용매이며, 상기 친수성 용매는 상기 유기용매에 비해 극성이 높은 극성 양자성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유기용매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 DMAc), N-메틸피롤리돈(N-methyl pyrrolidone, NMP),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DMSO)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DMF)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친수성 용매는 t-butanol, n-propanol, ethanol, methanol, ammonia, acetic acid, wat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rylene, PTFE), 폴리비닐플루라이드 (Polyvinylfluoride, PVF), 폴리비닐리딘플루라이드 (Polyvinylidine fluoride, PVDF),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의 불소계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불소계 고분자와 술폰산기 (SO3H), 아민기 (NH3), 인산기 (-PO3H2)의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 그룹 및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를 지닌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친수성 이온교환기능기가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나피온 (Nafion), 아퀴비온 (Aquivion), 플레미온 (Flemion), 고어 (Gore), 에이씨플렉스 (Aciplex), R-1030, Aciplex A-192 또는 Morgane ADP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 아릴렌계, 폴리에테른케톤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 어느 하나의 비불소계 고분자, 또는 상기 비불소계 고분자에 술폰산기(SO3H), 아민기(NH3), 인산기(-PO3H2)의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 그룹 및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친수성 이온 교환기능기가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 (sPEEK)),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ketone (sPEK)),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술폰(sulfonated polyethersulfone (sPES)), 술폰화된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sulfonated polyarylethersulfone (sPAES))의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막 또는 음이온 전도성 고분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유기용매 대비 친수성 용매를 1~100중량%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채널 크기를 조절하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를 상승시키는 방법.
  12.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 및
    상기 혼합된 용액을 기재 상에 코팅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13. 이온전도성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과 제 1 친수성 용매의 혼합 용액에 상기 비불소계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의 친수성 기능기와 호환성이 뛰어난 제 2 친수성 용매를 소정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 ;
    상기 혼합된 용액을 기재 상에 코팅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친수성 용매와 제 2 친수성 용매는 같거나 서로 다른 용매인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으로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 채널의 크기가 친수성 용매를 포함하지 않은 고분자 전해질막에 비해 확장된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
  15. 제 14항에 있어서,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 채널의 크기가 극성용매 효과를 지니지 않는 고분자 전해질막에 비해 150%까지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
  16. 제 14항의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
KR1020160042906A 2016-04-07 2016-04-07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06A KR101931411B1 (ko) 2016-04-07 2016-04-07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7/001000 WO2017175959A1 (ko) 2016-04-07 2017-01-31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780021024.7A CN109121441B (zh) 2016-04-07 2017-01-31 离子传导性高分子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
US16/091,573 US10797334B2 (en) 2016-04-07 2017-01-31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ion channel size controlled according to phase separation improvement effect of polar solvent during casting of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06A KR101931411B1 (ko) 2016-04-07 2016-04-07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277A Division KR20180100079A (ko) 2018-07-18 2018-07-18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354A true KR20170115354A (ko) 2017-10-17
KR101931411B1 KR101931411B1 (ko) 2018-12-20

Family

ID=6000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906A KR101931411B1 (ko) 2016-04-07 2016-04-07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97334B2 (ko)
KR (1) KR101931411B1 (ko)
CN (1) CN109121441B (ko)
WO (1) WO201717595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135B1 (ko) 2018-01-26 2019-02-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22796B2 (en) 2018-05-25 2022-05-03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separato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battery comprising same
WO2023113218A1 (ko) * 2021-12-15 2023-06-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451A (ko) 2020-09-22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2005B2 (ja) * 2001-12-20 2008-02-27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膜の製造法
JP5108199B2 (ja) * 2004-04-09 2012-1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粉体状触媒物質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電極
JP4915099B2 (ja) * 2006-01-13 2012-04-11 Jsr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を含む混合溶液、架橋構造を有する重合体を含む高分子電解質組成物および高分子電解質膜
KR100833056B1 (ko) 2006-03-31 2008-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전지용 강화-복합 전해질막
JP2008034163A (ja) * 2006-07-27 2008-02-14 Toyota Motor Corp 炭化水素系高分子電解質膜の製造方法
TW200847513A (en) 2006-11-27 2008-12-01 Sumitomo Chemical Co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electrolyte membrane, and polyelectrolyte membrane
KR100963747B1 (ko) * 2007-03-13 2010-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장을 이용한 고분자 필름 제조 방법
KR20100028625A (ko) 2007-06-15 2010-03-1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막-전극 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TW200948889A (en) * 2008-02-01 2009-12-01 Sumitomo Chemical Co Polyelectrolyte composition, method of production of same, and fuel cell
US11127964B2 (en) * 2010-07-28 2021-09-21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ethod for preparing a porous polyimide film and a composite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KR101250699B1 (ko) * 2010-10-25 2013-04-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산화 실세스키옥세인을 포함하는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JP5742457B2 (ja) 2011-05-17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解質膜の製造方法
CN102983357A (zh) * 2012-12-17 2013-03-20 天津工业大学 一种聚烯烃无纺布增强凝胶聚合物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135B1 (ko) 2018-01-26 2019-02-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22796B2 (en) 2018-05-25 2022-05-03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separato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battery comprising same
WO2023113218A1 (ko) * 2021-12-15 2023-06-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21441A (zh) 2019-01-01
US10797334B2 (en) 2020-10-06
KR101931411B1 (ko) 2018-12-20
CN109121441B (zh) 2022-02-22
US20190123373A1 (en) 2019-04-25
WO2017175959A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289B1 (ko) 고분자전해질 다공성복합막, 상기 다공성복합막 제조방법 및 상기 다공성복합막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KR101931411B1 (ko)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6248469B1 (en) Composite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EP3490043B1 (en) Hydrocarbon-based cross-linked membrane in which nanoparticles are use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membrane, and fuel cell
KR100983987B1 (ko)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방법
JPWO2004001771A1 (ja) 高分子電解質膜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764068B1 (ko) 과불소계 이오노머 나노분산액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CN107820502B (zh) 全氟离聚物纳米粒子分散液及其制造方法
KR101764069B1 (ko) 과불소계 이오노머 나노분산액을 이용한 강화복합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강화복합막
JP6150616B2 (ja) 高分子電解質組成物、及び高分子電解質膜
KR101440829B1 (ko) 열안정성 및 계면안정성이 향상된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JP5189394B2 (ja) 高分子電解質膜
WO2008004643A1 (fr) Procédé de production d'une émulsion d'électrolyte polymère
KR101762307B1 (ko) 이오노머 나노 입자 분산액의 제조방법
KR101956169B1 (ko) 자기-가습성 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0079A (ko)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캐스팅 과정 중 극성 용매의 상분리 향상 효과에 따른 이온채널의 크기가 조절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Banerjee et al.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degradation analysis
KR102260082B1 (ko) 음이온교환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20150026088A (ko)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제조방법 및 그 복합막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JP2008031466A (ja) 高分子電解質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および高分子電解質エマルション
Miyatake Membrane Electrolytes, from Perfluoro Sulfonic Acid (PFSA) to Hydrocarbon Ionomers
KR102260086B1 (ko) 복합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
JP2014110232A (ja) フッ素系高分子電解質膜
Yang et al. High quality pristine perfluorosulfonated ionomer membranes prepared from perfluorinated sulfonyl fluoride solution
KR102108352B1 (ko)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