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979A - 운동 전달 장치, 성형용 금형 및 기계류 - Google Patents

운동 전달 장치, 성형용 금형 및 기계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979A
KR20170112979A KR1020160170460A KR20160170460A KR20170112979A KR 20170112979 A KR20170112979 A KR 20170112979A KR 1020160170460 A KR1020160170460 A KR 1020160170460A KR 20160170460 A KR20160170460 A KR 20160170460A KR 20170112979 A KR20170112979 A KR 2017011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onnecting body
guide
motion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655B1 (ko
Inventor
마사노리 소리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크라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크라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크라쯔
Publication of KR2017011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183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conveying only reciprocating motion, e.g.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04Guiding mechanisms, e.g. for straight-line guid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the movable undercut forming element for ejection of the moulded article

Abstract

슬라이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연접체(連接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연접체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연접체는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서로의 접촉면이 습동(摺動)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상기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 및/또는 상기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감소 또는 동일하게 유지 또는 증대 가능한 운동 전달 장치.

Description

운동 전달 장치, 성형용 금형 및 기계류{MOTION TRANSMITTING DEVICE, MOLD ASSEMBLY AND MACHINES}
본 발명은, 자동차, 공작 기계, 반송(搬送) 장치, 로봇 등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운동 전달 장치, 상기 운동 전달 장치를 사용한 성형용 금형 및 기계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운동 전달 장치(동력 전달 장치)는, 각종 형태의 것이 개발되고 있고, 자동차, 공작 기계, 반송 장치, 로봇 등에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운동 전달 기구(機構)에는, 기어 열, 캠 기구, 링크 기구, 또는 마찰 전동 등이 사용되고, 입출력의 관계에서는, 입력단과 출력단이 등속, 또는 동일한 양만큼 변위하는 장치 외에, 입력단에 대하여 출력단이 증속, 감속하는 증속기, 감속기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는, 가변 지오메트리(geometry) 제어의 자유도를 향상시킨 서스펜션 장치로서, 차체 측 부재와 차륜 측 부재의 사이를 복수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접속한 패럴렐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서스펜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14-189242호 공보 참조).
자동차, 반송 장치, 로봇 등에 내장되는 운동 전달 장치에 대해서는, 용도 등에 대응하여 각종 요구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소형화, 경량화에 대한 요구는 강하며, 이에 대응한 장치도 많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프트 암(arm)의 회동(回動)에 필요한 스페이스를 작게 한 변속 구동 장치(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09-243627호 공보 참조),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더욱 소형화가 가능한 반송 로봇 및 물품 반송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일본공개특허 제2010-269380호 공보 참조).
또한 로봇 분야에서는, 로봇 암을 소형화 및 경량화하기 위하여, 로봇 암의 신장(伸長) 방향과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직선 운동 방향을 일치시켜, 출력이 되는 관절의 회전축 방향을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직선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는 변환 기구를 채용한 로봇 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일본공개특허 제2009-190117호 공보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14-18924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9-24362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0-26938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9-190117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소형화, 경량화된 운동 전달 장치가 제안되어 있지만, 소형화, 경량화의 요구는 향후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기어 열을 사용한 감속기 등에서 볼 수 있는 운동 전달 장치는,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형화, 경량화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입력단과 출력단의 사이에 속도차를 가지게 하는, 입력단에 대하여 출력단의 방향을 바꾸는 등 입력단과 출력단의 사이의 편차가 클수록, 운동 전달 기구가 복잡해져, 소형화, 경량화가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한 구성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용이한 운동 전달 장치, 상기 운동 전달 장치를 사용한 성형용 금형 및 기계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따른 운동 전달 장치는, 슬라이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더와, 연접체(連接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1개의 연접체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연접체는 서로가 접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서로의 접촉면이 습동(摺動)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상기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 및/또는 상기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감소 또는 동일하게 유지 또는 증대 가능한 운동 전달 장치이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1개의 슬라이더와 1개의 연접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연접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의 경사 각도, 슬라이더와 연접체와의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변경 가능하므로 감속기 또는 증속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개수가 n+1 개 이상(n은 1 이상의 정수), 상기 연접체의 개수가 n 개 이상(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연접체는 서로가 접하도록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되고, 또한 서로의 접촉면이 습동 가능하며, 일단부의 슬라이더를 입력단으로 하고, 타단부의 슬라이더를 출력단으로 했을 때,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상기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 및/또는 상기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입력단에 대한 상기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감소 또는 동일하게 유지 또는 증대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사용하면, 예를 들면, 입력단 및 출력단이 되는 2개의 슬라이더와 이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연접체로 감속기 또는 증속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장치 구성이 간편하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연접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의 경사 각도, 슬라이더와 연접체와의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변경 가능하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 각종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 및/또는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은, 직선형, 곡선형, 직선 및/또는 곡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슬라이더 가이드 및/또는 연접체 가이드를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운동 전달 장치를 각종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소형화, 경량화가 용이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로봇 등 기계, 장치로의 내장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연접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촉면은 경사면이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교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슬라이더와 연접체와의 접촉면은, 적어도 어느 한쪽이 경사면이면 되므로, 예를 들면, 슬라이더를 봉형(棒形)으로 하고, 연접체의 경사면에 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형태의 자유도가 높으므로, 소형화, 경량화가 용이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로봇 등 기계, 장치로의 내장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및/또는 상기 연접체는, 블록형 또는 평판형 또는 봉형이라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슬라이더, 연접체는 특정한 형상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운동 전달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용이하며,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각종 형태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연접체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입력단에 대한 상기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증폭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2개의 슬라이더와 그 사이에 끼워지는 연접체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더 및 연접체를 추가하면,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증폭 또는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개수에 의해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임의의 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접체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각도 가변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연접체 가이드를 임의의 각도로 설정 가능하므로 본 운동 전달 장치의 사용법이 다양화된다. 또한 이 운동 전달 장치는, 형태의 자유도가 높으므로, 소형화, 경량화가 용이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로봇 등 기계, 장치로의 내장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연접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 전환용 연접체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방향 전환용 연접체는,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의 증감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방향 전환용 연접체를 구비하므로,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용 연접체는,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의 증감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것을 내장함으로써, 각종 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배치, 상기 연접체 가이드의 배치,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상기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입력단의 이동 방향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 방향을 0∼180 °의 임의의 각도로 설정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본 운동 전달 장치는, 입력단의 이동 방향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 방향을 0∼180 °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설정 가능하므로 본 운동 전달 장치 자체의 배치에 의해 출력단의 이동 방향을 모든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로봇 등 다른 장치, 기계로의 내장이 용이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각종 장치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출력단이 X 개(X는 2 이상의 정수) 설치되고, 상기 타단부의 슬라이더를 제1 출력단, 그 외를 제2 출력단∼제X 출력단으로 했을 때,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가 출력단마다 상이하게 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1개의 입력단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가 출력단마다 상이하고, 또한 각각의 출력단의 이동 방향도 상이하도록 설정 가능하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고, 로봇 등 다른 장치, 기계로의 내장이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연접체를 수용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슬라이더 가이드 및 상기 연접체를 안내하는 연접체 가이드가, 상기 홀더 내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 상기 슬라이더, 상기 연접체가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운동 전달 장치가 유닛화되어 있으므로, 로봇 등 다른 장치, 기계로의 내장도 용이하게 되고, 또한 사용 편리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성형용 금형은, 이젝터 플레이트(ejector plate)의 급속 리턴 장치(quick returning device)를 구비한 성형용 금형으로서, 상기 급속 리턴 장치가, 상기 운동 전달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용 금형은, 상기 운동 전달 장치가 급속 리턴 장치로서 가동형(movable mold)에 장착되고,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상기 운동 전달 장치의 입력단을 밀어내는 이젝터 핀이, 고정형에 상기 운동 전달 장치의 출력단을 밀어내는 리턴 핀이 설치되고, 상기 운동 전달 장치는, 입력단의 변위량에 대하여 출력단의 변위량이 큰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용 금형은, 고정형에, 상기 운동 전달 장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만들어지고, 상기 운동 전달 장치의 일부가 가동형의 파팅면(parting surfac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형 체결 시에, 상기 운동 전달 장치 중 상기 파팅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입력단의 이동량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량의 증가를 간편하게 또한 컴팩트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로서 내장한 성형용 금형은,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금형도 불필요하게 커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운동 전달 장치를 유닛화해 두면, 금형으로의 내장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감속기 또는 증속기가 내장된 기계류에 있어서, 상기 기계류가, 로봇 암, 로봇, 공작 기계, 반송 기계, 차량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감속기 또는 증속기로서 상기 운동 전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도 용이하며, 이들을 로봇 등에 내장하는 경우라도 적은 스페이스이면 족하므로, 로봇 등의 일부를 구성하는 감속기 또는 증속기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적어도 2개의 구성의 어떤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의 2개 이상의 어떤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이용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클레임(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품 번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의 (A), 3의 (B)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 4의 (B)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의 변위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5의 (B)는, 제1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인 운동 전달 장치(2)의 슬라이더, 연접체의 경사 각도와 변위량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 6의 (B)는, 제1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인 운동 전달 장치(3)의 사구(傾溝)(16, 17)의 경사 각도와 변위량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7의 (B), 7의 (C)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의 변위량의 비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9의 (A), 9의 (B), 9의 (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5)의 구성도이다.
도 10의 (A), 10의 (B)는, 본 발명의 제1∼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를 구성하는 홀더(11)(12), 슬라이더(21)(26)의 변형예이다.
도 11의 (A), 11의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 12의 (B), 12의 (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 13의 (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8)의 구성도이다.
도 14의 (A), 14의 (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9)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로서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101)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성형용 금형(101)의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성형용 금형(1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의 성형용 금형(1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의 성형용 금형(1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5의 성형용 금형(1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5의 성형용 금형(1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로서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102)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로서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103)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24의 (A), 24의 (B)는,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접촉식 변위 센서(201)에 내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의 (A), 25의 (B)는,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자동차(211)의 트렁크 오프너(213) 및 주유구 리드 오프너(fuel lid opener)(215)에 내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의 (A), 26의 (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01)의 구성도이다.
도 27의 (A), 27의 (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51)의 구성도이다.
도 28의 (A), 28의 (B), 28의 (C), 28의 (D)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01)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도 및 분해도이다. 도 3의 (A), 3의 (B)는, 운동 전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의 (A)는 밀어내기 전, 도 3의 (B)는 밀어낸 후의 정면도이다. 도 4의 (A), 4의 (B)는, 운동 전달 장치(1)의 변위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의 (A)는 밀어내기 전, 도 4의 (B)는 밀어낸 후의 정면도이다. 도 5의 (A), 5의 (B) 및 도 6의 (A), 6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인 운동 전달 장치(2, 3)의 변위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의 (A)는 밀어내기 전, 도 6의 (B)는 밀어낸 후의 정면도이다. 도 7의 (A), 7의 (B), 7의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의 변위량의 비교도이다. 동작 설명에서는, Y 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슬라이더(21)를 하방, 슬라이더(61)를 상방에 배치하고, 슬라이더(21)를 슬라이더(61)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 1, 도 3의 (A) 내지 도 7의 (C)에서는, 홀더(11)의 절반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운동 전달 장치(1)는, 입력단의 변위량(이동량, 밀어내기 양: 이하 동일함)에 대하여 출력단의 변위량을 감소 또는 동일하게 유지 또는 증대 가능하게 전달하는 장치이며, 복수의 슬라이더 및 연접체를 수용하는 홀더(11)와, 3개의 슬라이더(21, 41, 61)와 2개의 연접체(31, 51)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더(21, 41, 61)는, 슬라이더 가이드인, 홀더(11)의 YZ면(Y축 및 Z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한 상대하는 2개의 내벽면(14)을 따라 직동(直動)한다. 그러므로, 직동 피스(piece)라고 할 수 있다. 연접체(31, 51)는, 각각 슬라이더(21)와 슬라이더(41), 슬라이더(41)와 슬라이더(61)의 사이에 위치하고, 2개의 슬라이더를 연접하는 연접 부재이다. 연접체(31, 51)는, 홀더(11)에 설치된, 연접체 가이드인 사구(16, 17)를 따라 경사지도록 이동한다. 그러므로, 사동(斜動) 피스라고 할 수 있다.
홀더(11)는, 내부에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이동로가 되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공간부를 가지는 중공(中空) 부재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홀더(11)는, 외관도 가늘고 긴 직사각형이지만, 외관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의 내부 형상도 직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8 및 제9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01, 351)와 같이 곡선이라도 되고, 홀더(11)의 횡단면은, 원, 타원 다각형이라도 된다.
홀더(11)는, 하프(half) 홀더(11a, 11b)가 외측으로 나선이 형성된 테이퍼 핀 등과 같은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 두께 방향(Z 축 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하프 구조로 되어 있다. 다만, 홀더(11)의 형성 요령은, 전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斷面)이 "コ"자형의 부재를 커버로 막는 요령으로 형성해도 되고, 각각의 벽면을 형성하는 부재를 노크 핀, 볼트 등을 사용하여 분할 가능 또는 분할 불가능하게 결합시켜도 된다.
홀더(11)의 내부에는,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YZ 면으로 평행한 상대하는 2개의 내벽면(14)이, 슬라이더(21, 41, 61)의 가이드가 된다. 또한 XY 면(X축 및 Y축을 포함하는 면)에 평행한 상대하는 2개의 내벽면(15)에는, 각각 연접체(31, 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사구(16, 17)가 만들어져 있다. 본 운동 전달 장치(1)에서는, YZ 면으로 평행한 상대하는 2개의 내벽면(14)이 슬라이더 가이드에 해당하고, 사구(16, 17)가 연접체 가이드에 해당한다. 2개의 내벽면(14)의 중심축선(M)과 사구(16)의 중심축선(M1), 2개의 내벽면(14)의 중심축선(M)과 사구(17)의 중심축선(M2)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7의 (A)∼7의 (C) 참조).
YZ 면으로 평행한 상대하는 2개의 내벽면(14)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간격(W0)은, 슬라이더(21, 41, 61)의 폭(W1, W4, W6)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도 4의 (A), 4의 (B) 참조). 홀더(11)에 수용된 슬라이더(21, 41, 61)를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2개의 내벽면(14)에 슬라이더(21)의 양 측면(24), 슬라이더(41)의 양 측면(44), 슬라이더(61)의 양 측면(64)을 습동시키면서 이동한다.
XY 면으로 평행한 상대하는 2개의 내벽면(15)도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내벽면(15)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상부측이 X 축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직선형의 사구(16, 17)가 만들어져 있고, 홀더(11)는, 합계 4개의 사구를 구비한다. 사구(16)는,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접체(31)에 만들어진 사조(斜條)(37)의 가이드가 된다. 사구(17)도 동일한 요령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접체(51)에 만들어진 사조(57)의 가이드가 된다.
사구(16)의 경사 각도 θ 2와 사구(17)의 경사 각도 θ 5는,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사구(16)의 경사 각도 θ 2 및 사구(17)의 경사 각도 θ 5는, 특정한 각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경사 각도 θ 2, θ 5는, 입력단의 이동량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량에 큰 영향을 준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경사 각도는, 도 4의 (A),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X 축에 대한 각도를 말한다. 다른 경사 각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슬라이더(21)는, 홀더(11)에 수용되고, 홀더(11) 내를 내벽면(14)을 가이드로 하여 Y 축 방향으로 직동한다. 슬라이더(21)는, 직방체의 상부를 경사지게 잘라낸 것 같은 형상을 가지며, 상면이 경사면(23)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면(23)은,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X 축 방향으로 상승 구배로 되어 있다(도 3의 (A), 3의 (B) 참조). 슬라이더(21)의 양 측면(24)은 평행하며, 그 폭(W1)은, 홀더(11)의 내부 공간의 폭(W0)과 거의 동일하다(도 4의 (A), 4의 (B) 참조).
슬라이더(21)의 두께(T2)는, 홀더(11)의 내부 공간의 높이(T0)(Z 축 방향)와 거의 동일하다(도 2 참조). 이 때문에, 홀더(11)에 수용된 슬라이더(21)는, 내벽면(14)을 가이드로 하고, 또한 상대하는 내벽면(15)에 접하면서 Y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만, 슬라이더(21)의 두께(T2)는, 이 두께로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얇아도 된다. 다른 슬라이더(41, 61)도 동일하다.
경사면(23)에는, 연접체(31)의 하부 경사면(32)에 만들어진 더브테일 홈(dovetail groove) 조(條)(38)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더브테일 홈(29)이 만들어져 있다. 경사면(23)의 경사 각도 θ 1은, 특정한 각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경사 각도 θ 1은, 입력단의 이동량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량에 큰 영향을 준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슬라이더(21)에 있어서, 경사면(23)의 단부가 잘라내어져 있지만, 이는 슬라이더(41)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슬라이더(21)와 슬라이더(41)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것이면, 경사면(23)의 단부를 잘라낼 필요는 없다(도 5의 (A), 5의 (B) 참조). 이 점은, 슬라이더(41)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연접체(31)는, 홀더(11)에 수용되고, 슬라이더(21)에 밀려서, 홀더(11) 내에서 사구(16)를 가이드로 하여 전방 경사 상방으로 이동한다. 연접체(31)는, 하부와 상부가 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2, 33)을 가지고,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하면이 X 축 방향으로 상승 구배로 된 경사면(32)이며, 상면이 X 축 방향으로 하강 구배로 된 경사면(33)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쪽 측면이, 상방이 X 축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4)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측면(35)이 YZ 면으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연접체(31)의 폭(W3)은, 가장 큰 곳이라도 홀더(11)의 내부 공간의 폭(W0)과 비교하여 작다(도 4의 (A), 4의 (B) 참조).
연접체(31)의 XY 면으로 평행한 면인 정면 및 배면은, 서로 평행하며, 정면 및 배면의 경사면(34) 측에는 사조(37)가 만들어져 있다. 사조(37)는, 철조(凸條)이며, 사구(16)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다. 사조(37)는, 사구(16)와 동일한 경사 각도 θ 2로 설정되어 있고, 슬라이더(21)에 밀린 연접체(31)는, 사조(37)를 사구(16)에 습동시키면서 이동한다. 정면 및 배면 중 사조(37)보다 측면(35) 측은, 두께가 슬라이더(21)의 두께(T2)와 동일하다.
연접체(31)의 경사면(32)에는, 슬라이더(21)의 경사면(23)에 만들어진 더브테일 홈(29)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더브테일 홈 조(38)가, 경사면(33)에는, 슬라이더(41)의 경사면(42)에 만들어진 더브테일 홈(48)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더브테일 홈 조(39)가 만들어져 있다. 더브테일 홈 조(38) 및 더브테일 홈 조(39)는 철조이다.
연접체(31)의 경사면(32)은, 슬라이더(21)의 경사면(23)과 서로 습동 가능한 관계에 있으므로, 그 경사 각도는 θ 1이 된다. 마찬가지로 연접체(31)의 경사면(33)은, 슬라이더(41)의 경사면(42)과 서로 습동 가능한 관계에 있으므로, 그 경사 각도는 θ 3가 된다.
슬라이더(41)는, 홀더(11)에 수용되고, 연접체(31)에 밀려서, 홀더(11) 내를 내벽면(14)을 가이드로 하여 Y 축 방향으로 직동한다. 슬라이더(41)는, 직방체 부재의 상부 및 하부를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잘라낸,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슬라이더(41)의 하면은 X 축 방향으로 하강 구배된 경사면(42)이며, 상면이 X 축 방향으로 상승 구배된 경사면(43)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41)의 양 측면(44)은 평행하며, 그 폭(W4)은, 홀더(11)의 내부 공간의 폭(W0)과 대략 동일하다(도 4의 (A), 4의 (B) 참조). 슬라이더(41)의 두께(T4)는, 슬라이더(21)의 두께(T2)와 동일하다(도 2 참조).
경사면(42)에는, 연접체(31)의 경사면(33)에 만들어진 더브테일 홈 조(39)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더브테일 홈(48)이 만들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경사면(43)에는, 연접체(51)의 경사면(52)에 만들어진 더브테일 홈 조(58)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더브테일 홈(49)이 만들어져 있다. 경사면(42)과 경사면(43)은, 기본적으로 경사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형성하면 되며, 경사면(42)의 경사 각도 θ 3, 경사면(43)의 경사 각도 θ 4는, 특정한 각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경사 각도 θ 3θ 4는, 입력축의 이동량에 대한 출력축의 이동량에 크게 영향을 준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연접체(51)는, 홀더(11)에 수용되고, 슬라이더(41)에 밀려서, 홀더(11) 내에서 사구(17)를 가이드로 하여 전방 경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기본 구성은, 연접체(31)와 동일하며, 경사면(52, 53, 54)이, 연접체(31)의 경사면(32, 33, 34)에 대응하고, 측면(55) 및 정면이, 연접체(31)의 측면(35) 및 정면에 대응한다. 연접체(51)의 폭(W5), 두께도 연접체(31)와 동일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
연접체(51)에 만들어진 사조(57)는, 연접체(31)의 사조(37)에 대응하고, 더브테일 홈 조(58, 59)는, 연접체(31)의 더브테일 홈 조(38, 39)에 대응한다. 연접체(51)는, 연접체(31)와 동일한 형상이라도 되고, 기본 구성이 동일하면 상이한 형상이라도 된다.
슬라이더(61)는, 홀더(11)에 수용되고, 연접체(51)에 밀려서, 홀더(11) 내를 내벽면(14)을 가이드로 하여 Y 축 방향으로 직동한다. 슬라이더(61)는, 슬라이더(21)의 상하를 반전시킨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하면이 X 축 방향으로 하강 구배된 경사면(62)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61)의 양 측면(64)이 평행인 점, 그 폭(W6), 두께는, 슬라이더(21)와 동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경사면(62)에는, 연접체(51)의 경사면(53)에 만들어진 더브테일 홈 조(59)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더브테일 홈(68)이 만들어져 있다. 경사면(62)의 경사 각도 θ 6는, 특정한 각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경사 각도 θ 6는, 입력축의 이동량에 대한 출력축의 이동량에 큰 영향을 준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운동 전달 장치(1)는, 슬라이더 및 연접체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프 홀더(11a)(11b)에 대하여, 연접체(31, 51)의 사조(37, 57)가 사구(16, 17)에 끼워넣어지도록 내장되며, 그 후, 다른 쪽 하프 홀더(11b)(11a)가 장착된다.
다음으로 운동 전달 장치(1)의 동작 및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이동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슬라이더(21)를 입력축으로 하고, 슬라이더(61)를 출력축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 상태로부터 슬라이더(21)를 Y 축 방향으로 밀어내면, 슬라이더(21)는, 양 측면(24)을 홀더(11)의 내벽면(14)에 습동시키면서 직동한다. 슬라이더(21)의 이동량은 도 4의 (A), 4의 (B)에 있어서 (A1-A0)가 되고, 이 양이 밀어내기 양(L)이 된다.
연접체(31)는, 슬라이더(21)에 밀려서, 홀더(11)에 설치된 사구(16)에 사조(37)를 습동시키면서, 사구(16)를 따라 이동한다. 사구(16)는, 상부가 X 축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연접체(31)는, Y 축 방향뿐만 아니라 X 축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슬라이더(41)는, 연접체(31)에 밀려서, 양 측면(44)을 홀더(11)의 내벽면(14)에 습동시키면서 Y 축 방향으로 직동한다. 이 때의 슬라이더(41)의 이동량은, 도 4의 (A), 4의 (B)에 있어서 (B1-B0)가 된다. 이 이동량은, 식(1)으로 나타낸다.
[수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B1-B0: 슬라이더(41)의 이동량
L: 슬라이더(21)의 밀어내기 양
θ 1: 슬라이더(21)의 경사면(23)의 각도
θ 2: 사구(16)의 경사 각도
θ 3: 슬라이더(41)의 경사면(42)의 각도
식(1)으로부터 슬라이더(41)의 이동량은, 슬라이더(21)의 이동량의 (tanθ 2-tanθ 3)/(tanθ 2-tanθ 1) 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의 (A), 4의 (B)에 나타낸 운동 전달 장치(1)의 경우, tanθ 3는 마이너스의 값을 나타내므로, (tanθ 2-tanθ 3)/(tanθ 2-tanθ 1)는 1 이상이 된다. 즉 슬라이더(21)에 대하여 슬라이더(41)는,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된다.
또한 식(1)으로부터, 사구(16)의 경사각(θ 2)과 슬라이더(21)의 경사면(23)의 경사 각도(θ 1)와의 차이가 작을수록, 사구(16)의 경사각(θ 2)과 슬라이더(41)의 경사면(42)의 경사 각도(θ 3)와의 차이가 클수록, 슬라이더(41)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경사 각도 및 사구(16, 17)의 경사 각도와 이동량과의 관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접체(51)는, 연접체(31)와 마찬가지로, 또한 슬라이더(61)는, 슬라이더(41)와 마찬가지로 이동한다. 슬라이더(61)의 이동량도 슬라이더(41)의 이동량과 동일한 요령으로 구할 수 있다.
슬라이더(21)의 밀어내기 양에 대하여 슬라이더(41)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홀더와, 2개의 슬라이더와 그 사이에 배치한 1개의 연접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접체, 슬라이더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입력단의 이동량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량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경사 각도 및 사구(16, 17)의 경사 각도와 이동량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5의 (A), 5의 (B)에 나타낸 운동 전달 장치(2)는, 운동 전달 장치(1)의 제1 변형예이며, 도 4의 (A), 4의 (B)에 나타낸 운동 전달 장치(1)와 비교하면, 사구(16, 17)의 경사 각도 θ 2, θ 5가 동일하며, 슬라이더(21, 41, 61)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 1, θ 3, θ 4, θ 6가 완만하게 되어 있다. 도 6의 (A), 6의 (B)에 나타낸 운동 전달 장치(3)는, 운동 전달 장치(1)의 제2 변형예이며, 도 4의 (A), 4의 (B)에 나타낸 운동 전달 장치(1)와 비교하면, 사구(16, 17)의 경사 각도 θ 2, θ 5가 완만하고, 슬라이더(21, 41, 61)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 1, θ 3, θ 4, θ 6는 동일하다.
도 7의 (A), 7의 (B), 7의 (C)는, 입력축의 이동량(밀어내기 양)에 대한 출력축의 이동량을 비교한 도면이다. 그리고, 운동 전달 장치(3)의 입력단의 밀어내기 양은 1/2L으로 되어 있다. 도 5의 (A), 5의 (B) 및 도 7의 (A), 7의 (B), 7의 (C)로부터 슬라이더(21, 41, 61)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 1, θ 3, θ 4, θ 6를 완만하게 하면 슬라이더(61)의 이동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운동 전달 장치는, 연접체(31)가, 슬라이더(21)의 경사면(23)을 치닫도록 이동함하므로, 도 5의 (A), 5의 (B)에 나타낸 운동 전달 장치(2)와 같이 경사면(23)의 경사 각도 θ 1을 작게 하면, 연접체(31)의 상승량이 작아진다. 그 결과, 연접체(31)의 밀어내기 양도 작아진다.
또한 도 5의 (A), 5의 (B)에 나타낸 운동 전달 장치(2)에 있어서, 연접체(31)는, 상부의 경사면(33)을 슬라이더(41)의 하부의 경사면(42)에 습동시키고, 연접체(31)가 X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41)를 밀어올리지만, 경사면(42)의 경사 각도(θ 3) 완만하기 때문에, 슬라이더(41)의 상승량도 작아진다. 이러한 점은,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 4, θ 6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상으로부터 슬라이더(21, 41, 61)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 1, θ 3, θ 4, θ 6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슬라이더(61)의 이동량이 감소한다. 그리고, 슬라이더(21, 41, 61)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 1, θ 3, θ 4, θ 6를 0°(180°), 즉 상면, 하면을 X 축에 수평으로 하면, 슬라이더(41, 61)의 이동량은 입력단의 밀어내기 양과 동일하게 되어 증감하지 않는다.
한편, 도 6의 (A), 6의 (B) 및 도 7의 (A), 7의 (B), 7의 (C)로부터 사구(16, 17)의 경사 각도 θ 2, θ 5를 완만하게 하면 슬라이더(61)의 이동량이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구(16, 17)의 경사 각도 θ 2, θ 5를 90°, 즉 사구(16, 17)를 홀더(11)의 내벽면(14)과 평행하게 하면, 슬라이더(41, 61)의 이동량은 입력단의 밀어내기 양과 동일하게 되어 증감하지 않는다.
본 운동 전달 장치는, 연접체(31)가, 사구(16)를 따라 이동하므로, 도 6의 (A), 6의 (B)에 나타낸 운동 전달 장치(3)와 같이 사구(16)의 경사 각도(θ 2)를 작게 하면, 연접체(31)의 X 축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커진다. 그 결과, 연접체(31)의 밀어내기 양이 커진다. 이 점은, 사구(17)의 경사 각도(θ 5)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상으로부터 사구(16, 17)의 경사 각도 θ 2, θ 5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슬라이더(61)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운동 전달 장치는, 연접체와의 슬라이드 이동면이 되는 슬라이더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 연접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에 만들어지는 사구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량을 증대시키거나 또는 동일한 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량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11)에 연접체(31, 51)를 가이드하는 사구(16, 17)가 만들어지고, 연접체(31, 51)에 사구(16, 17)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철조의 사조(37, 57)가 만들어져 있지만, 홀더(11)에 연접체(31, 51)를 가이드하는 철조의 사조를, 연접체(31, 51)에 사조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사구를 만들어도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슬라이더(21)를 입력단, 슬라이더(61)를 출력단으로 하였으므로, 입력단에 대하여 출력단의 이동량이 증대하였지만, 슬라이더(61)를 입력단, 슬라이더(21)를 출력단으로 하면, 입력단에 대하여 출력단의 이동량이 감소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운동 전달 장치는, 입력단의 이동량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동일한 양으로 하거나 또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는, 평판형의 연접체(36)를 사용한 운동 전달 장치이다. 제2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는,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운동 전달 장치(1)와 비교하여 연접체(36)의 형상 외에, 슬라이더(26, 46)의 형상, 배치가 상이하지만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다.
운동 전달 장치(4)는, 홀더(11)와 슬라이더(26, 46)와 연접체(36)로 구성되어 있고, 슬라이더(26)를 입력단, 슬라이더(46)를 출력단으로 했을 때, 입력단의 밀어내기 양에 대하여 출력단의 이동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슬라이더(26)의 경사면(23) 및 슬라이더(46)의 경사면(42)이, 운동 전달 장치(1)의 그것과 비교하여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접체(36)의 경사면(32, 33)도 운동 전달 장치(1)의 그것과 비교하여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연접체(36)는, 폭(W3)이 좁은 평판 형상의 사동 피스이며, 운동 전달 장치(1)의 연접체(31)에 있어서 사조(37) 부분만을 남기도록 절단하고, 여기에 더브테일 홈(29, 48)을 만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운동 전달 장치(4)에서는, 슬라이더(26)의 경사면(23)에 더브테일 홈 조(38)가, 연접체(36)의 경사면(32, 33)에 더브테일 홈(29, 48)이, 슬라이더(46)의 경사면(42)에 더브테일 홈 조(39)가 만들어져 있지만, 더브테일 홈(29, 48) 및 더브테일 홈 조(38, 39)는, 운동 전달 장치(1)와 동일하게 만들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의 동작, 작용 효과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의 동작, 작용 효과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2개의 슬라이더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에 작용하는 연접체는, 평판형이라도 된다. 또한 연접체는, 봉형(棒形)이라도 된다. 이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의 연접체(51)에도 적용된다. 요약하면 연접체는, 일단에 접하는 슬라이더에 밀려서, 연접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고, 타단에 접하는 슬라이더를 밀어낼 수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판형의 연접체를 나타내지만,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도 평판형, 봉형이라도 된다.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형상은, 용도, 전달하는 운동량의 크기 등에 따라 적합한 형상으로 하면 되지만, 슬라이더 및 연접체에 봉형 또는 평판형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동 전달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용이하며,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각종 형태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다.
도 9의 (A), 9의 (B), 9의 (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5)의 구성도이며, 도 9의 (A)는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9의 (B)는 A-A 단면도, 도 9의 (C)는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 도 8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5)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기본 구성을 동일하게 하지만, 형상, 구조가 약간 상이하다. 운동 전달 장치(5)는, 상면이 개구된 횡단면이 "コ"자형인 판재(12a)와 그 상면을 덮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판재(12b)로 홀더(12)를 구성하고, 홀더(12) 내에 슬라이더(21, 41, 61), 연접체(31, 51)를 수용한다. 홀더(12)에는, 사구(16, 17)가 홀더(12)의 배면(바닥면)에만 만들어져 있다.
슬라이더(21, 41, 61)는, 제1 실시형태의 슬라이더(21, 41, 61)와 달리, 더브테일 홈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슬라이더(21, 41, 61)는, 두께가 얇게 되어 있지만, 이 점을 제외하면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슬라이더(21, 41, 61)와 동일하다.
연접체(31, 51)는, 제1 실시형태의 연접체(31, 51)와 달리, 더브테일 홈 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사구(16, 17)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사조(40, 60)를 배면에만 구비한다. 또한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운동 전달 장치(5)는, 슬라이더와 연접체를 습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더브테일 홈, 더브테일 홈 조를 구비하지 않지만, 슬라이더(21)를 밀어내면 슬라이더(21)가 내벽면(14)을 가이드로 하여 직동하고, 연접체(31)와 서로의 경사면(23, 32)을 습동시켜, 연접체(31)가 사구(16)를 가이드로 하여 전방 경사 앞으로 밀리고, 순차적으로, 슬라이더와 연접체와의 경사면을 습동시키면서 슬라이더 및 연접체가 밀린다. 이상과 같이 운동 전달 장치(5)의 동작,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의 그것과 동일하다.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는, 슬라이더와 연접체가 더브테일 홈과 더브테일 홈 조를 통하여 서로 습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뿔뿔이 흩어지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장치 등으로의 내장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5)는, 슬라이더와 연접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장치로의 내장 등에 있어서 제약을 받지만,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운동 전달 장치(1, 2, 3, 4, 5)는, 용도, 전달하는 운동의 크기에 따라, 또한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크기, 두께도 용도, 전달하는 운동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도 10의 (A), 10의 (B)는, 본 발명의 제1∼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 4, 5)를 구성하는 홀더(11)(12), 슬라이더(21)(26)의 변형예이다. 제1∼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 4, 5)에 있어서, 슬라이더(21)(26)의 양 측면(24)은, 양 측면 전체가 홀더(11, 12)의 내벽면(14)에 접하지만, 도 10의 (A)에 나타낸 슬라이더(21)는, 양 측면(24)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오목부(25)를 가진다. 오목부(25)는, 어느 한쪽의 측면(24)에 만들어도 된다. 이로써, 슬라이더(21)가 이동할 때의 저항이 감소한다. 이에 대해서는, 슬라이더(26, 41, 46, 61)도 마찬가지이다.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이동할 때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컨셉은, 슬라이더(21, 26, 41, 46, 61)의 양 측면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연접체(31, 51), 홀더(11, 12)의 내벽면(15)과 접촉하는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벽면 등 다른 슬라이드 이동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 4, 5)의 홀더(11)(12)에서는, 길이 방향 전체에 벽면이 만들어져 있지만, 홀더(11)(12) 중 슬라이더(21)(26)를 가이드하는 부분은 양 측면이므로,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면에 홈(20), 슬라이더(21)(26)의 양 측면(24)에 홈(20)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돌기(22)를 만들고, 천정면 및 바닥면을 개구 상태로 해도 된다. 이 점은, 슬라이더(6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1의 (A), 11의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밀어내기 전, 도 11의 (B)는 슬라이더(21)를 밀어낸 후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 도 8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 도 9의 (A)∼9의 (C)에 나타낸 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5)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6)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비교하여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배치가 상이하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구성도 상이하다.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는, 홀더(11)가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이며, 입력단과 출력단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제4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6)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홀더(71)가 대략 역 V자 형상을 가지고, 출력단은, 입력단에 대하여 135°의 위치에 있다.
운동 전달 장치(6)는, 운동 전달 장치(1)와 마찬가지로, 3개의 슬라이더(21, 41, 61)와 2개의 연접체(51, 73)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더와 연접체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로 홈(77)이 연접체(73)의 연접체 가이드이다.
연접체(73)는, 상대하는 경사면(74, 75)이 역방향으로 45° 경사져 있고,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연접체(31)와 대략 동일하지만, 연접체(73)의 동작은, 연접체(31)와 상이하다. 제1 실시형태의 연접체(31)는, 슬라이더(21)에 밀려서, 전방 경사 방향 앞으로 이동하지만, 연접체(73)는, 슬라이더(21)에 밀려서, 바로 옆(X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홀더(71)에는, 홀더(11)의 사구(16)에 대응하는 위치에, X 축 방향으로 평행한 가로 홈(77)이 만들어지고, 연접체(73)에는, 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5)의 연접체(31)와 동일하게, 가로 홈(77)에 습동 가능한 돌조가 만들어져 있다. 이 돌조는, 경사면(74, 75)과 45°의 각도로 교차한다. 이로써, 연접체(73)는, 슬라이더(21)에 밀려서, 직각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접체(73)는, 방향 전환용 피스이며, 연접체(31)와 달리, 입력단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작용은 없으며, 입력단의 이동량과 동일한 양, X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접체(73)에 입력단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작용이 없는 것은, 식(1)에 있어서, θ 2가 90°가 되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연접체(73)에 습동 가능하게 접하는 슬라이더(41)는, 단면이 90°이므로, 연접체(73)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접한다. 이로써, 슬라이더(41)는, 연접체(73)의 이동량의 COSIN45° 배로 홀더(71) 내를 직동한다. 슬라이더(41), 연접체(51), 슬라이더(61)의 동작, 작용은,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동일하다. 그리고, 방향 전환용 연접체(73)의 위치(배치)는, 본 실시형태의 위치(배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의 (A), 12의 (B), 12의 (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밀어내기 전, 도 12의 (B)는 슬라이더(21)를 밀어낸 후, 도 12의 (C)는 연결체(78)를 바닥면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 도 8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 도 9의 (A)∼9의 (C)에 나타낸 제3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5), 도 11의 (A), 11의 (B)에 나타낸 제4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6)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 중의 해칭은, 구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행한 것이다.
제5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7)는, 제4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6)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입력단과 출력단이 180°의 위치 관계에 있다. 또한 운동 전달 장치(7)는, 도중에도 출력단이 설치되고, 1개의 입력단에 대하여 2개의 출력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피스의 구성도 상이하다.
운동 전달 장치(7)는, 운동 전달 장치(6)와 마찬가지로, 3개의 슬라이더(21, 41, 61)와 2개의 연접체(51, 78)로 이루어진다. 운동 전달 장치(7)도 운동 전달 장치(6)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와 연접체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로 홈(77)이, 연접체(78)의 연접체 가이드이다.
연접체(78)는, 제4 실시형태의 연접체(73)의 2배의 두께를 가진다. 연접체(78)를 두께 방향으로 2분해서 보면, 한쪽(도 12의 (C)에 있어서 상측)은, 연접체(73)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쪽(도 12의 (C)에 있어서 하측)은, 경사면(80)을 덮도록 직사각형의 판형 부재(81)가 연설(延設)되어 있다. 이 판형 부재(81)가, 제2 출력단이 된다. 연접체(78) 중 경사면(79) 측은, 상하 동일한 단면으로 되어 있고, 연접체(73)의 경사면(74)의 2배의 두께로 되어 있다.
홀더(72)의 내부 공간의 높이(T0)는, 슬라이더(21, 41, 61), 연접체(51)와 동일하며, 연접체(78)의 부분만 2배의 높이로 되어 있다. 홀더(72)에 수용된 슬라이더(21)는,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접체(78)의 경사면(79)과 습동 가능하게 접하고, 슬라이더(41)도 연접체(78)의 경사면(80)과 습동 가능하게 접한다. 슬라이더(41)와 연접체(51), 연접체(51)와 슬라이더(61)의 관계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동일하다.
운동 전달 장치(7)는, 운동 전달 장치(6)와 동일한 요령으로, 연접체(78)는, 슬라이더(21)에 밀려서, 바로 옆(X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접체(78)는, 연접체(73)와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용 피스이며, 입력단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작용은 없으며, 입력단의 이동량과 동일한 양, X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2 출력단인 판형 부재(81)는, 입력단과 동일한 양만큼 돌출한다.
연접체(78)에 접하는 슬라이더(41)는, 연접체(78)와 직각으로 접하기 때문에 연접체(78)와 동일한 양만큼, 마이너스 Y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41), 연접체(51), 슬라이더(61)의 동작, 작용은,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동일하다. 그리고, 방향 전환용 연접체(78)의 위치(배치)는, 본 실시형태의 위치(배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4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6) 및 제5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7)에서는, 슬라이더(21)를 입력단, 슬라이더(61)를 출력단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더(61)를 입력단, 슬라이더(21)를 출력단으로 한 운동 전달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방향 전환용 연접체를 사용함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입력단에 대하여 출력단을 135°, 180°의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예를 나타냈으나, 입력단에 대하여 출력단을 0∼180 °, 안과 밖을 반전시키면 0∼-180 °의 범위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YZ면 방향으로 선회하여 배치하면, 다양한 방향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다양한 용도에, 또한 각종 장치 등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방향 전환은, 슬라이더와 사동하는 연접체를 사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입력단의 이동량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면서 방향 전환시킬 수 있다. 방향 전환용 연접체는, 입력단의 이동량을 증감시키는 작용은 없지만, 1개의 연접체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운동 전달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1개의 입력단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출력단을 구비하는 운동 전달 장치는, 홀더(11)가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인 운동 전달 장치에 있어서도 가능하다. 도 13의 (A), 13의 (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8)의 구성도이며, 도 13의 (A)는 밀어내기 전, 도 13의 (B)는 슬라이더(21)를 밀어낸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3의 (A), (B)에서는, 홀더(11)의 절반(하프 홀더(11b))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운동 전달 장치(8)는, 직선형의 홀더(11)와, 슬라이더(21, 41, 61, 85, 88)와, 연접체(31, 51, 83, 86)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비교하여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개수가 많지만, 동작 및 작용 효과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동일하다. 본 운동 전달 장치(8)에 있어서 홀더(11)의 내벽면(14)은, 슬라이더(85, 88)의 슬라이더 가이드이기도 하며, 사구(18, 19)는, 사구(16, 17)와 동일하게 연접체 가이드이다.
홀더(11)에는, 사구(16, 17) 외에, 사구(16, 17)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사구(18, 19)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85, 88)는, 슬라이더(21, 41, 61)와 마찬가지로, 연접체에 밀려서, 내벽면(14)을 슬라이더 가이드로 하여 Y 축 방향으로 직동한다. 슬라이더(85, 88)의 동작, 작용 효과는, 슬라이더(21, 41, 6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연접체(83, 86)는, 연접체(31, 51)와 마찬가지로, 사구(18, 19)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철조인 사조(84, 87)를 구비한다. 연접체(83, 86)의 동작, 작용 효과는, 연접체(31, 5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운동 전달 장치(8)의 특징적인 점은, 5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출력단은, 각 슬라이더(21, 41, 61, 85)의 일측면에 볼록부를 설치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21)를 입력단으로 하고, 슬라이더(88)를 제1 출력단으로 했을 때, 슬라이더(21)에 설치된 볼록부(89)를 제5 출력단, 슬라이더(41)에 설치된 볼록부(90)를 제4 출력단, 슬라이더(61)에 설치된 볼록부(91)를 제3 출력단, 슬라이더(85)에 설치된 볼록부(92)를 제2 출력단으로 할 수 있다.
제2∼제5 출력단이 되는 각 슬라이더(21, 41, 61, 85)의 일측면에 설치된 볼록부(89, 90, 91, 92)는, 홀더(11)에 슬릿 또는 홈을 만들고, 거기로부터 홀더(11)의 밖으로 꺼내어져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운동 전달 장치(8)에 있어서, 슬라이더(21)를 밀어내면, 각 슬라이더 및 연접체는 순차적으로 밀린다. 이 때 출력단의 이동량, 이동 속도는, 제1 출력단 > 제2 출력단 > 제3 출력단 > 제4 출력단 > 제5 출력단이 된다. 제5 출력단의 이동량은, 슬라이더(21)의 밀어내기 양(L)과 동일하며, 번호가 작아짐에 따라 출력단의 이동량, 이동 속도는 커진다.
이상, 제1∼제6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전달 장치는, 슬라이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2개의 슬라이더와, 그 사이에 끼워지고 연접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연접체로 감속 기구 또는 증속 기 구를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용이하며, 로봇 등 다른 장치, 기계에 내장할 때의 스페이스가 작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연접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접체 가이드의 경사 각도, 슬라이더와 연접체와의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입력단의 이동량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량을 변경 가능하며, 또한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개수에 의해 입력단의 이동량과 출력단의 이동량의 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처, 용도가 넓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이동량뿐만 아니라 입력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 속도도 변경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개수에 의해 입력단의 이동 속도와 출력단의 이동 속도의 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에 있어서, 방향 전환용 연접체를 사용하면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 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운동 전달 장치는, 입력단의 방향에 대한 출력단의 방향을 모든 방향으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출력단을 2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입력단의 이동량에 대한 각각의 출력단의 이동량이 상이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로봇 등 다른 장치, 기계로의 내장이 용이하며, 또한 각종 장치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전달 장치는 컴팩트한 유닛으로 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다.
제1∼제6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에서는, 홀더(11, 12, 71, 72)에 수용된 일단부의 슬라이더(21, 26)를 입력단, 타단부의 슬라이더(46, 61, 88)를 출력단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은, 홀더(11, 12, 71, 72)에 수용된 슬라이더가 아니라도 된다. 예를 들면, 홀더에 연접체만 수용되고, 홀더 밖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입력단, 출력단으로 해도 된다. 또한 홀더(11, 12, 71, 72)를 설치하지 않아도, 장치 내에 직접,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안내 수단인 슬라이더 가이드 및 연접체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운동 전달 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더 가이드 및 연접체 가이드는, 1개의 부재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복수의 부재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의 (A), 14의 (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9)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9)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의 슬라이더(21, 41) 대신, 연접체(31)를 밀어내는 슬라이더(94)와, 연접체(31)에 의해 밀려나오는 슬라이더(96)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94)가 입력단, 슬라이더(96)가 출력단에 해당한다. 슬라이더(94) 및 슬라이더(96)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더 가이드를 따라 직동한다.
슬라이더(94)는, 선단부(先端部)에 회전 가능한 굴림대(95)를 가지고, 연접체(31)의 경사면(32)에 습동 가능하게 접한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더(96)는, 기단부(基端部)에 회전 가능한 굴림대(97)를 가지고, 연접체(31)의 경사면(33)에 습동 가능하게 접한다. 운동 전달 장치(9)에서는, 홀더(98)에는, 판상체에 연접체 가이드인 사구(16)만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A)에 있어서, 슬라이더(94)를 길이 L만큼 밀어내면, 연접체(31)가 사구(16)를 따라 이동하고, 슬라이더(96)가 길이 L'만큼 돌출한다. 이 때 L'>L이 되어, 입력단의 이동량에 대하여 출력단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를 반전시킨 것이다. 도 14의 (B)에 있어서, 슬라이더(94)를 길이 L만큼 밀어내면, 연접체(31)가 사구(16)를 따라 이동하고, 슬라이더(96)가 길이 L'만큼 돌출한다. 이 때 L'<L이 되어, 입력단의 이동량에 대하여 출력단의 이동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홀더 밖에 설치되고, 직동하여 연접체에 습동 가능하게 접하는 슬라이더를 입력단, 출력단으로 하면,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1개의 연접체와 그것을 전방 경사 방향으로 안내하는 연접체 가이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94)의 선단부 및 슬라이더(96)의 기단부에 굴림대를 사용하지만, 슬라이더(94)의 선단부 및 슬라이더(96)의 기단부는, 연접체(31)의 경사면(32, 33)에 습동 가능하게 접하면 되고, 굴림대가 아니라도 된다. 또한, 슬라이더(94) 및 슬라이더(96)에 제2 실시형태의 슬라이더(26, 46)와 같이 폭이 넓은 경사면을 가지는 부재를 사용하면, 연접체(31)는, 제2 실시형태의 연접체(36)와 같이 폭이 좁은 사동 피스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연접체에 접하는 입력단 또는 출력단은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면,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의 최소 구성은, 1개의 슬라이더와 1개의 연접체이면 된다. 이와 같은 최소 구성의 운동 전달 장치라도, 연접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의 경사 각도, 슬라이더와 연접체와의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변경 가능하므로 감속기 또는 증속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로서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101)의 주요부 구성도이며, 도 16은,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의 분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6에 있어서 홀더(162)의 절반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은, 성형용 금형(1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성형용 금형(101)은, 언더 컷(P1)이 있는 성형품(P)을 성형하는 금형이며, 고정형(111), 가동형(121), 언더 컷 처리 기구(131), 밀어내기 기구(151), 또한 금형의 파팅면(PL)이 닫히기 전에 이젝터 플레이트(152)를 원래의 대기 위치로 되돌리는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를 구비한다. 본 성형용 금형(101)에서는, 언더 컷 처리 기구(131) 및 급속 리턴 장치(161)는, 가동형(121)에 내장되어 있다.
고정형(111)은, 성형면이 되는 캐비티(113)를 가지는 네스팅 구조(112), 고정측 형판(114) 및 고정측 장착판(115)을 구비한다. 고정형(111)에는, 급속 리턴 장치(161)의 피스를 대기 위치로 되돌리는 리턴 핀(160)이 장착되어 있다.
가동형(121)은, 성형면이 되는 코어(123)를 가지는 네스팅 구조(122), 가동측 형판(124) 및 가동측 받이판(125)을 구비한다. 가동형(121)에는 언더 컷 처리 기구(131)가 내장되어 있고, 성형품(P)의 언더 컷(P1)은, 캐비티(113)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이다.
언더 컷 처리 기구(131)는, 가동형(121) 내에 수용되는 홀더(132)와, 이젝터 핀(154)의 선단에 장착되고, 홀더(132) 내에서 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지 피스(141)와, 유지 피스(141)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고 돌출되고 언더 컷(P1)의 빼냄 방향(도피 방향)으로 이동하는 습동 피스(135)를 가진다.
홀더(132)에는, 언더 컷의 빼냄 방향으로 경사진 사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습동 피스(135)는,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직선형으로 확대하는 경사면(137)을 가지고, 기단부는, 홀더(132)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습동 피스(135)는, 선단부에 언더 컷을 형성하는 언더 컷 성형부(138)를 가진다. 경사면(137)의 양측에는, 홀더(132)에 설치된 사구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사조(139)가 만들어져 있다. 또한 기단부에는, 유지 피스(141)에 설치된 더브테일 홈 조(142)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더브테일 홈(도시하지 않음)이 만들어져 있다. 사조(139) 및 더브테일 홈 조(142)는 철조이다.
유지 피스(141)는, 이젝터 핀(154)의 선단에 장착되고, 이젝터 핀(154)에 의해 밀려나와 홀더(132) 내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습동한다. 유지 피스(141)의 상면에는, 습동 피스(135)의 기단부에 설치된 더브테일 홈이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더브테일 홈 조(142)가, 언더 컷(P1)의 빼냄 방향(도피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132)에 사구가, 습동 피스(135)에 사조(139)가 만들어져 있지만, 홀더(132)에 사조를, 습동 피스(135)에 사구를 만들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습동 피스(135)의 기단부에 더브테일 홈이, 유지 피스(141)의 상면에 더브테일 홈 조(142)가 만들어져 있지만, 습동 피스(135)의 기단부에 더브테일 홈 조를, 유지 피스(141)의 상면에 더브테일 홈을 만들어도 된다. 요약하면, 서로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으면 된다.
밀어내기 기구(151)는, 성형품(P), 언더 컷 처리 기구(131), 급속 리턴 장치(161)를 밀어내는 장치이며, 이젝터 플레이트(152), 성형품(P)을 밀어내는 이젝터 핀(153), 언더 컷 처리 기구(131)를 밀어내는 이젝터 핀(154), 급속 리턴 장치(161)를 밀어내는 이젝터 핀(155) 및 밀어내기 기구(151)를 당초의 밀어내기 전의 위치로 되돌리는 리턴 핀(156)을 가진다.
이젝터 플레이트(152)는, 상하 2개의 이젝터 플레이트(152a, 152b)로 이루어지고, 이젝터 핀(153, 154, 155) 및 리턴 핀(156)은, 각각 플랜지부가 상하의 이젝터 플레이트(152a, 152b)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이젝터 핀(154)은, 언더 컷 처리 기구(131)의 유지 피스(141)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를, 이젝터 핀(155)은, 급속 리턴 장치(161)의 바닥부의 슬라이더(165)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를 가진다.
급속 리턴 장치(161)에는, 앞서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운동 전달 장치가 사용되고 있고, 가동형(121) 내에 수용되는 홀더(162)와, 이젝터 핀(155)의 선단에 장착되고, 홀더(162) 내에서 밀어내기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65)와, 슬라이더(165)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고, 밀어내기 방향에 대하여 전방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접체(166)와, 연접체(166)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고, 밀어내기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67)를 가진다.
급속 리턴 장치(161)의 홀더(162), 슬라이더(165), 연접체(166), 슬라이더(167)가,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의 홀더(11), 슬라이더(21), 연접체(31), 슬라이더(41)에 대응한다. 급속 리턴 장치(161)와 운동 전달 장치(1)를 비교하면, 슬라이더 및 연접체의 개수, 더브테일 홈과 더브테일 홈 조의 배치가 상이하지만, 기본 구성은, 급속 리턴 장치(161)와 운동 전달 장치(1)에서 동일하다.
인출 스페이스를 L10, 밀어내기 스트로크를 L11, 급속 리턴 스트로크를 L12, 형 개방(mold opening) 스트로크를 S, 급속 리턴량을 Δ, 스트로크 비를 L12/L11로 하면, 이들의 관계는, 식(2)∼식(4)으로 표시된다(도 18, 도 21 참조).
[수식 2]
Figure pat00002
다음으로, 성형용 금형(101)을 사출 성형용 금형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서, 성형용 금형(101) 및 급속 리턴 장치(161)의 동작을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형 체결(mold clamping)된 성형용 금형(101)에 용융 수지가 충전된다. 형 체결된 상태에 있어서 급속 리턴 장치(161)는, 고정형(111)에 장착된 리턴 핀(160)에 의해 슬라이더 및 연접체가 이젝터 플레이트(152) 측으로 밀려 들어가 있고, 슬라이더 및 연접체는, 가장 수축한 상태이다(도 15 참조).
냉각 후, 가동형(121)이 후퇴하고, 형 개방이 행해진다(도 17 참조). 형 개방이 행해지면, 급속 리턴 장치(161)와 리턴 핀(160)은 이격되지만, 급속 리턴 장치(161)는, 형 체결 시의 상태를 유지한 채이다. 언더 컷 처리 기구(131)에도 움직임은 없다.
그 후, 밀어내기 기구(151)가 성형품(P)을 밀어내도록 동작한다. 밀어내기 동작에 따라 성형품(P)이 코어(123)로부터 이격되고, 동시에 언더 컷 성형부(138)가 밀어내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피한다. 이로써 성형품(P)이 인출(removal) 가능하게 된다(도 18 참조). 동시에, 급속 리턴 장치(161)도 이젝터 핀(155)에 의해 밀려나고, 슬라이더 및 연접체가, 고정형(111) 방향으로 이동한다.
급속 리턴 장치(161)의 슬라이더(165)가 이젝터 핀(155)에 의해 밀려나면, 순차적으로, 연접체(166), 슬라이더(167)가 고정형(11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의 슬라이더(167)의 이동량은, 슬라이더(165)의 이동량과 비교하여 크게 되어 있다.
성형용 금형(101)은, 성형품(P)을 인출한 후에 형 체결 조작에 들어간다. 도 18은, 성형품(P) 인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형 체결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형 체결 조작에 있어서 가동형(121)이 고정형(111)에 근접하면, 리턴 핀(160)의 선단부가 급속 리턴 장치(161)의 슬라이더(167)의 선단부에 접촉한다. 이 때 언더 컷 처리 기구(131)의 습동 피스(135)의 선단, 이젝터 핀(153), 리턴 핀(156)은, 고정형(111)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는, 급속 리턴 장치(161)가 상기한 바와 같이 밀어내기 기구(151)가 동작할 때, 슬라이더(167)가 이젝터 핀(155)의 이동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데 대하여, 언더 컷 처리 기구(131)는, 이젝터 핀(154)의 이동량과 동일한 양만큼 이동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형 체결에 따라, 급속 리턴 장치(161)의 슬라이더 및 연접체는, 리턴 핀(16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밀려서 리턴하지만, 동시에 슬라이더(165)에 연결되는 이젝터 핀(155)을 통하여 이젝터 플레이트(152)를 밀어서 리턴시킨다(도 20 참조). 그러므로, 형 체결이 완전히 완료할 때까지 언더 컷 처리 기구(131)의 습동 피스(135)의 선단이 고정형(111)에 접하지 않는다.
급속 리턴 장치(161)는, 형 체결 조작 시에 있어서 입력축이 되는 슬라이더(167)의 이동량과 비교하여 출력축이 되는 슬라이더(165)의 이동량이 작다. 이 때문에 언더 컷 처리 기구(131)의 습동 피스(135)의 선단과 고정형(111)과의 간격은, 리턴 핀(160)의 선단부가 급속 리턴 장치(161)의 슬라이더(167)의 선단부에 접촉되었을 때가 가장 넓으며, 이 간격은, 형 체결 조작에 따라 점차 작아져, 형 체결 완료 시에 제로"0"가 된다. 급속 리턴 장치(161)도 형 체결 완료 시에 원래의 위치로 리턴한다(도 21 참조).
급속 리턴 장치(161)가 없는 경우, 언더 컷 처리 기구(131)의 습동 피스(135)는, 선단부를 고정형(111)에 습동시키면서 밀려내려오므로,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성형용 금형(101)은, 급속 리턴 장치(161)에 의해 언더 컷 처리 기구(131)를 고정형(111)에 접촉시키지 않고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금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로서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102)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15 내지 도 21에 나타낸 성형용 금형(10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성형용 금형(102)은, 성형용 금형(101)과 마찬가지로,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로서 구비한다. 성형용 금형(102)은, 성형용 금형(101)과 비교하여 급속 리턴 장치(161)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고, 가동형(121)의 두께를 얇게 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성형용 금형(102) 및 급속 리턴 장치(161)의 구성은, 성형용 금형(101)과 동일하다.
성형용 금형(102)에 있어서, 급속 리턴 장치(161)의 홀더(162)는, 하부가 가동측 형판(124)에 수용되고, 중앙부로부터 상부는, 가동형(121)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정측 형판(114)에는, 가동형(121)으로부터 돌출하는 홀더(162)를 수용하는 오목부(171)가 만들어져 있다. 성형용 금형(102)은, 성형용 금형(101)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로서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103)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15 내지 도 21에 나타낸 성형용 금형(10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성형용 금형(103)은, 2단 밀어내기 기구(181)를 구비하는 금형이며, 성형용 금형(101)과 마찬가지로,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161)로서 구비한다. 또한 성형용 금형(103)은, 언더 컷(P1)이 있는 성형품(P)을 성형하기 위해 언더 컷 처리 기구(131)를 구비하고, 밀어내기 기구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성형용 금형(101)과 동일하다.
2단 밀어내기 기구(181)는, 마그넷 방식의 2단 밀어내기 기구이며, 상하 2단의 이젝터 플레이트(182, 183)를 구비한다. 이젝터 플레이트 상단(182) 및 이젝터 플레이트 하단(183)은, 각각 상하 2개의 이젝터 플레이트(182a, 182b, 183a, 183b)로 이루어지고, 이젝터 핀(153) 및 리턴 핀(156)은, 각각 플랜지부가 상하의 이젝터 플레이트(182a, 182b)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이젝터 핀(154) 및 이젝터 핀(155)은, 각각 플랜지부가 상하의 이젝터 플레이트(183a, 183b)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이젝터 플레이트 상단(182)에는, 이젝터 핀(154) 및 이젝터 핀(155)이 삽통(揷通)되는 관통공(貫通孔)(도시하지 않음)이 만들어져 있다. 또한 이젝터 플레이트(182b) 및 이젝터 플레이트(183a)에는, 서로 흡착하는 마그넷(184, 185)이 장착되어 있다.
2단 밀어내기 기구(181)의 동작은, 공지의 마그넷 방식의 2단 밀어내기 기구와 동일하며, 밀어내기 스트로크(L11) 등은, 도 23 중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도면 중 L11은, 1단째의 밀어내기 스트로크량, L12는, 급속 리턴 스트로크량, L13은, 2단째의 밀어내기 스트로크량, S는 형 개방 스트로크량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로서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은,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 장치인 운동 전달 장치가 컴팩트하므로, 금형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며 동작도 단순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고, 이젝터 플레이트의 급속 리턴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4의 (A), 24의 (B)는,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접촉식 변위 센서(201)에 내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접촉식 변위 센서(201)는, 이른바, 랩 트랜스포머 방식의 접촉식 변위 센서이며, 선단에 설치된 프로브(203)에 접촉되고 있는 피측정물(209)의 이동량(변위)을 측정한다. 접촉식 변위 센서(201)는,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측정물(209)이 이동하면 프로브(203)가 압입되고, 내부의 코어(205)가 코일(207)에 삽입되고, 코어(205)의 코일(207)로의 삽입량에 따른 코일(207)의 임피던스의 변화량을 이동량으로 환산한다.
도 24의 (A),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를 프로브(203)와 코어(205)의 사이에 내장하면, 프로브(203)의 압입량에 대하여 코어의 삽입량이 증대한다. 이로써, 접촉식 변위 센서(201)의 분해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접촉식 변위 센서(201)는, 랩 트랜스포머 방식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차동(差動) 트랜스 방식의 것, 광학식 리니어 인코더를 사용한 것 등에도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식 변위 센서(201)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페달의 답입량(踏入量)의 측정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5의 (A), 25의 (B)는,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를 자동차(211)의 트렁크 오프너(213) 및 주유구 리드 오프너(215)에 내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의 (B)는, 도 25의 (A)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트렁크 오프너(213) 및 주유구 리드 오프너(215)는, 트렁크(217) 및 급유구의 커버(219)를 개폐하는 기구이며, 운전석의 풀 레버(pull lever)(도시하지 않음)를 당기면 트렁크(217) 또는 급유구의 커버(219)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동 전달 장치(1)는, 트렁크(217) 및 급유구의 커버(219)를 잠그는 부분에 사용되고, 기단측의 슬라이더(21)에 풀 레버의 동작을 전달하는 와이어(221)가 고정되어 있고, 기단측의 슬라이더(21)가 압입된 상태에서 선단측의 슬라이더(61)에 의해 트렁크(217) 및 급유구의 커버(219)를 잠그고 있다. 그리고, 선단의 슬라이더(61)의 앞에는, 도시하지 않은 잠금 기구가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다.
풀 레버를 당기면 와이어(221)를 통하여 기단측의 슬라이더(21)가 인장(引張)되고, 이에 연동하여 선단의 슬라이더(61)가 기단측으로 이동하여, 트렁크(217)또는 급유구의 커버(219)의 잠금이 해제되어, 트렁크(217) 또는 급유구의 커버(219)가 열린 상태로 된다. 선단의 슬라이더(61)가 기단측의 슬라이더(21)의 이동량보다 크게 이동하므로, 운동 전달 장치(1)를 트렁크 오프너(213) 및 주유구 리드 오프너(215)에 내장하면, 풀 레버의 근소한 이동량으로 트렁크(217) 또는 급유구의 커버(219)를 열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운동 전달 장치, 그것을 내장한 성형용 금형 등에서는,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가이드를 따라 직동하지만, 본 발명의 운동 전달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직동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곡선형의 슬라이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운동 전달 장치를 나타낸다.
도 26의 (A), 26의 (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01)의 구성도이며, 도 26의 (A)는 슬라이더(321)를 이동시키기 전, 도 26의 (B)는 슬라이더(321)를 이동시킨 후의 도면이다. 여기서는 슬라이더(321)를 입력단, 슬라이더(331)를 출력단으로서 설명한다. 제1∼제7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 4, 5, 6, 7, 8, 9)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운동 전달 장치(301)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 및 연접체를 수용하는 홀더(303)와, 홀더(303) 내에서 슬라이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321, 331)와, 슬라이더(321)와 슬라이더(331)의 사이에 배치되고, 연접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연접체(341)를 가진다.
홀더(303)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2개의 원호부(305, 309)가 이어진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호부(309)의 곡률 반경이 원호부(305)의 곡률 반경과 비교하여 크지만, 원호부(309)의 곡률 반경과 원호부(305)의 곡률 반경이 동일해도 되고, 반대로 원호부(309)의 곡률 반경이 원호부(305)의 곡률 반경과 비교하여 작아도 된다.
원호부(305)는, 양 측면(307)이 평행하며, 이 양 측면(307)이 슬라이더(321)의 슬라이더 가이드가 된다. 마찬가지로 원호부(309)도 양 측면(311)이 평행하며, 이 양 측면(311)이 슬라이더(331)의 슬라이더 가이드가 된다. 또한 홀더(303)의 배면(313)에는, 연접체(341)의 가이드가 되는 사구(31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접체 가이드인 사구(315)는, 일직선형이며, 2개의 원호부(305, 309)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양 측면(307)의 중심축선(M) 및 양 측면(311)의 중심축선(M)과, 사구(315)의 중심축선(M3)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321)는, 두께가 얇은 평판형의 부재이다. 슬라이더(321)의 양 측면은, 평면에서 볼 때 홀더(303)의 양 측면(307)의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형상이며, 상면(323) 및 하면(325)은, 직선형이다. 슬라이더(331)도 슬라이더(321)와 동일하게, 두께가 얇은 평판형 부재이며, 양 측면은, 평면에서 볼 때 홀더(303)의 양 측면(311)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원호형상이며, 상면(333) 및 하면(335)은, 직선형이다.
연접체(341)는, 봉형 부재(34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횡단면이 원인 원기둥 재(345, 34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봉형 부재(343)의 바닥면에는, 사구(315)에 끼워넣어지는 철조(도시하지 않음)가 만들어져 있고, 연접체(341)는, 상기 철조를 사구(315)에 습동시키면서 이동한다.
운동 전달 장치(301)에 있어서, 슬라이더(321)를 슬라이더(331) 측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331)는 연접체(341)를 통하여 가압된다. 슬라이더(321)의 이동량 또는 이동 속도에 대한 슬라이더(331)의 이동량 또는 이동 속도는, 원호부(305, 309)의 곡률 반경, 또는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M)에 대한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M3)의 각도, 또는 슬라이더(321)의 상면(323) 및/또는 하면(325)의 연접체(341)에 대한 경사 각도, 슬라이더(331)의 상면(333) 및/또는 하면(335)의 연접체(341)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감소시키거나, 또는 동일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7의 (A), 27의 (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51)의 구성도이며, 도 27의 (A)는 슬라이더(321)를 이동시키기 전, 도 27의 (B)는 슬라이더(321)를 이동시킨 후의 도면이다. 여기서는 슬라이더(321)를 입력단, 슬라이더(331)를 출력단으로서 설명한다. 제8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01)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51)의 기본 구성은, 제8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01)와 동일하다. 운동 전달 장치(351)와 운동 전달 장치(301)와의 상위점은, 연접체(355) 및 연접체 가이드의 형상에 있다. 운동 전달 장치(301)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전달 장치의 연접체 가이드는 모두 직선형이며, 연접체도 직선적으로 이동하지만, 운동 전달 장치(351)의 연접체 가이드는 곡선이며, 연접체는, 연접체 가이드를 따라 곡선적으로 이동한다.
운동 전달 장치(351)의 연접체 가이드는, 곡선형의 홈 353(만곡 홈)으로 이루어지고, 연접체(355)의 봉형 부재(357)도 만곡되어 있다. 봉형 부재(357)의 배면에는, 만곡 홈(353)에 끼워넣어지는 만곡된 철조(도시하지 않음)가 만들어져 있다. 운동 전달 장치(351)는, 연접체 가이드가 만곡되고, 연접체도 곡선적으로 이동하지만, 운동 전달 장치(351)의 동작, 작용 효과는, 제8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01)의 동작, 작용 효과와 동일하다.
제8 및 제9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01, 351)는, 홀더가 곡선형이며, 슬라이더가 곡선형으로 이동하지만, 기본적인 동작, 작용 효과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에서 나타내는 슬라이더가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운동 전달 장치와 동일하다. 또한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 연접체과 접촉하는 면의 슬라이더의 경사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감소 또는 동일하게 유지 또는 증대 가능한 점에 있어서도 변함없다.
홀더가 곡선형으로 슬라이더가 곡선형으로 이동하는 운동 전달 장치는, 입력단 및 출력단이 원 운동(회전 운동)하는 변속기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전달 장치(301, 351)는, 홀더가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2개의 원호부(305, 309)가 이어진 형상을 가지지만, 홀더는, 원호부와 직사각형부를 연결시킨 형상이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전달 장치는, 직선 운동뿐만 아니라, 원 운동, 또한 직선과 원을 조합한 운동의 전달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폭 넓은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8의 (A), 28의 (B), 28의 (C), 28의 (D)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01)의 구성도이며, 도 28의 (A) 및 도 28의 (B)는, 연접체(341)의 중심축선(M5)을 슬라이더의 중심축선(M)에 대하여 경사시켜 사용하는 경우, 도 28의 (C) 및 도 28의 (D)는, 연접체(341)의 중심축선(M5)을 슬라이더의 중심축선(M)에 대하여 평행하게 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1∼제8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 2, 3, 4, 5, 6, 7, 8, 9, 301)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운동 전달 장치(401)는, 제1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1)와 마찬가지로, 직선형의 홀더(403)와, 슬라이더(21)와, 연접체(341)와, 슬라이더(61)를 가진다. 운동 전달 장치(401)는, 연접체(341)가 홀더(403)에 대하여,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점이, 다른 운동 전달 장치와 크게 상이하다.
홀더(403)의 배면(405)에는, 회동 가능한 회동축(407)이 장착되고, 회동축(407)의 상면에는, 연접체(341)을 가이드하는 끼워맞춤 홈(409)이 만들어져 있다. 끼워맞춤 홈(409)은, 연접체(341)의 봉형 부재(343)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홈이며, 연접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연접체 가이드가 된다. 회동축(407)에는,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운동 전달 장치(401)는, 홀더에 대한 연접체(341)의 각도를 가변 가능하지만, 연접체(341)가 연접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점은 운동 전달 장치(1)와 동일하며, 그 외에, 운동 전달 장치(401)의 동작, 작용 효과는, 기본적으로 운동 전달 장치(1)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401)에서는, 회동축(407)이 홀더(403)에 내장되어 있지만, 회동축과 홀더가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M)에 대한 연접체 가이드의 각도를 가변 가능한 운동 전달 장치는,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M)에 대한 연접체 가이드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는 운동 전달 장치와 비교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M)에 대한 연접체 가이드의 각도를 가변 가능한 기구는, 제10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M)에 대한 연접체 가이드의 각도를 가변 가능한 기구는, 다른 실시형태, 예를 들면, 홀더가 만곡되어 있는 제8 실시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30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각종 형태의 운동 전달 장치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전달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성형용 금형 및 언더 컷 처리 기구도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성형용 금형은 사출 성형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운동 전달 장치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따라 금속재, 합성 수지재, 무기재, 복합재 등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대형 운동 전달 장치를 제작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홀더, 슬라이더 또는 연접체가 커질 때는, 각각을 2 이상으로 분할하여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전달 장치는, 감속기 또는 증속기가 내장된 로봇 암, 로봇, 공작 기계, 반송 기계, 차량 등의 기계류에 있어서, 감속기 또는 증속기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를 볼 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想定)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청구의 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1, 2, 3, 4, 5: 운동 전달 장치
6, 7, 8, 9: 운동 전달 장치
11, 11a, 11b: 홀더
12, 71, 72, 98: 홀더
12a: "コ"자형 부재
12b: 투명 부재
14: 내벽면
16, 17, 18, 19: 사구
21, 26, 41, 46, 61, 73: 슬라이더
23, 42, 43, 62: 경사면
31, 36, 51: 연접체
32, 33, 34: 경사면
52, 53, 54, 74, 75: 경사면
77: 가로 홈
85, 88: 슬라이더
81: 판형 부재
83, 86: 연접체
84, 87: 사조
94, 96: 슬라이더
95, 97: 굴림대
101, 102, 103: 성형용 금형
111: 고정형
121: 가동형
151: 밀어내기 기구
153, 154, 155: 이젝터 핀
156, 160: 리턴 핀
161: 급속 리턴 장치
162: 홀더
165, 167: 슬라이더
166: 연접체
201: 접촉식 변위 센서
213: 트렁크 오프너
215: 주유구 리드 오프너
301, 351, 401: 운동 전달 장치
303: 홀더
305, 309: 원호부
307, 311: 양 측면
315: 사구
321, 331: 슬라이더
323, 333: 상면
325, 335: 하면
341, 355: 연접체
343, 357: 봉형 부재
345: 원기둥 부재
347: 원기둥 부재
353: 만곡 홈
403: 홀더
407: 회동축
409: 끼워맞춤 홈
M: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
M1, M2, M3, M4, M5: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

Claims (15)

  1. 슬라이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더; 및
    연접체(連接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1개의 연접체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연접체는 서로가 접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서로의 접촉면이 습동(摺動)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상기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 및/또는 상기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감소 또는 동일하게 유지 또는 증대 가능한, 운동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개수가 n+1 개 이상(n은 1 이상의 정수), 상기 연접체의 개수가 n 개 이상(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연접체는 서로가 접하도록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되고, 또한 서로의 접촉면이 습동 가능하며,
    일단부의 슬라이더를 입력단으로 하고, 타단부의 슬라이더를 출력단으로 했을 때,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상기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 및/또는 상기 접촉면의 경사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입력단에 대한 상기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감소 또는 동일하게 유지 또는 증대 가능한, 운동 전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 및/또는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은, 직선형, 곡선형, 직선 및/또는 곡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운동 전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연접체 중 적어도 한쪽의 접촉면은 경사면이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운동 전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및/또는 상기 연접체는, 블록형 또는 평판형 또는 봉형(棒形)인, 운동 전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연접체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입력단에 대한 상기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를 증폭 또는 축소 가능한, 운동 전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접체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각도 가변 기구(機構)를 포함하는, 운동 전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접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 전환용 연접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용 연접체는,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의 증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 운동 전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배치, 상기 연접체 가이드의 배치,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중심축선에 대한 상기 연접체 가이드의 중심축선의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입력단의 이동 방향에 대한 출력단의 이동 방향을 0∼180 °의 임의의 각도로 설정 가능한, 운동 전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력단이 X 개(X는 2 이상의 정수) 설치되고, 상기 타단부의 슬라이더를 제1 출력단으로 하고, 그 외를 제2 출력단∼제X 출력단으로 했을 때,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변위량 및/또는 변위 속도가 출력단마다 상이한, 운동 전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연접체를 수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슬라이더 가이드 및 상기 연접체를 안내하는 연접체 가이드가, 상기 홀더 내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연접체가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운동 전달 장치.
  12. 이젝터 플레이트(ejector plate)의 급속 리턴 장치(quick returning device)를 포함한 성형용 금형으로서,
    상기 급속 리턴 장치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운동 전달 장치인, 성형용 금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전달 장치가 급속 리턴 장치로서 가동형(movable mold)에 장착되고,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상기 운동 전달 장치의 입력단을 밀어내는 이젝터 핀이, 고정형에 상기 운동 전달 장치의 출력단을 밀어내는 리턴 핀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운동 전달 장치는, 입력단의 변위량에 대하여 출력단의 변위량이 큰, 성형용 금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고정형에, 상기 운동 전달 장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만들어지고, 상기 운동 전달 장치의 일부가 가동형의 파팅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형 체결 시에, 상기 운동 전달 장치 중 상기 파팅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는, 성형용 금형.
  15. 감속기 또는 증속기가 내장된 기계류로서,
    상기 기계류가, 로봇 암, 로봇, 공작 기계, 반송(搬送) 기계, 차량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감속기 또는 상기 증속기로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운동 전달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기계류.
KR1020160170460A 2016-03-29 2016-12-14 운동 전달 장치, 성형용 금형 및 기계류 KR101956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5928A JP6793295B2 (ja) 2016-03-29 2016-03-29 運動伝達装置、成形用金型及び機械類
JPJP-P-2016-065928 2016-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979A true KR20170112979A (ko) 2017-10-12
KR101956655B1 KR101956655B1 (ko) 2019-03-11

Family

ID=57590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460A KR101956655B1 (ko) 2016-03-29 2016-12-14 운동 전달 장치, 성형용 금형 및 기계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53441B2 (ko)
EP (1) EP3228904B1 (ko)
JP (1) JP6793295B2 (ko)
KR (1) KR101956655B1 (ko)
CN (1) CN107234753B (ko)
ES (1) ES289572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25252B1 (es) * 2016-01-18 2018-04-24 Comercial de Útiles y Moldes, S.A. Dispositivo para el desmoldeado de piezas y molde que comprende dicho dispositivo
CN108868215B (zh) * 2018-07-18 2021-05-07 安徽信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露天泳池用的下水阶梯架
DE102019204835B4 (de) * 2019-04-04 2023-06-29 Erlenbach Gmbh Formteilmaschine, Maschinensystem, Verwendung eines Kontaktelement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aschinensystems
CN111086168A (zh) * 2019-11-08 2020-05-01 东莞智通模具塑胶制品有限公司 弹压式滑块开模结构
KR102155988B1 (ko) * 2020-03-09 2020-09-14 안근택 동력 전달 장치
CN111923354B (zh) * 2020-08-11 2022-06-10 创维集团智能装备有限公司 抽芯机构及模具
CN112707165B (zh) * 2020-12-31 2022-09-13 烽禾升医疗设备(昆山)有限公司 一种成型弹片抓取用的抓取机构
CN113334705B (zh) * 2021-05-10 2022-06-21 宁波方正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模具的滑块驱动机构
CN116798937B (zh) * 2023-08-24 2023-11-14 长春光华微电子设备工程中心有限公司 升降机构及晶圆测试载物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342A (ja) * 2003-11-05 2005-06-02 Murata Mfg Co Ltd 成形機
JP2009190117A (ja) 2008-02-14 2009-08-27 Nsk Ltd ロボットアームおよびロボット
JP2009243627A (ja) 2008-03-31 2009-10-22 Honda Motor Co Ltd 変速駆動装置
JP2010269380A (ja) 2009-05-19 2010-12-02 Yaskawa Electric Corp ロボット及び物品搬送システム
JP2012051003A (ja) * 2010-09-01 2012-03-15 Sankyo Oilless Industry Inc カウンタカム装置
DE102011006323A1 (de) * 2011-03-29 2012-10-04 Aktiebolaget Skf Keilgetriebe
JP2014189242A (ja) 2013-03-28 2014-10-06 Fuji Heavy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及び車両
KR20160015329A (ko) * 2013-07-02 2016-02-12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테이블 장치 및 반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302271A (ko) * 1963-01-25
GB8519416D0 (en) 1985-08-01 1985-09-04 Unilever Plc Oligosaccharides
CH681106A5 (ko) 1988-08-18 1993-01-15 Saurer Allma Gmbh
JPH0372412U (ko) * 1989-11-17 1991-07-22
JPH04341644A (ja) * 1991-05-16 1992-11-27 Omron Corp 変位発生装置
DE19714486C2 (de) 1997-04-08 1999-12-30 Siemens Ag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r Auslenkung eines Aktors
DE29916314U1 (de) 1999-09-16 1999-12-16 Mannesmann Vdo Ag Schubgetriebe
JP4861904B2 (ja) * 2007-06-12 2012-01-25 三協オイルレス工業株式会社 突き上げカム装置
CN201191382Y (zh) 2008-05-21 2009-02-04 张岳恩 模具垂直方向位移全自动调节装置
JP2010214898A (ja) * 2009-03-18 2010-09-30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CN201496729U (zh) 2009-08-25 2010-06-02 武汉京冶地基基础工程有限责任公司 丝杆调节底座
US9447854B2 (en) 2010-08-27 2016-09-20 Young Hee Kim Force transfer mechanism
JP5201643B2 (ja) * 2011-07-22 2013-06-05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JP5867741B2 (ja) * 2013-05-20 2016-02-24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342A (ja) * 2003-11-05 2005-06-02 Murata Mfg Co Ltd 成形機
JP2009190117A (ja) 2008-02-14 2009-08-27 Nsk Ltd ロボットアームおよびロボット
JP2009243627A (ja) 2008-03-31 2009-10-22 Honda Motor Co Ltd 変速駆動装置
JP2010269380A (ja) 2009-05-19 2010-12-02 Yaskawa Electric Corp ロボット及び物品搬送システム
JP2012051003A (ja) * 2010-09-01 2012-03-15 Sankyo Oilless Industry Inc カウンタカム装置
DE102011006323A1 (de) * 2011-03-29 2012-10-04 Aktiebolaget Skf Keilgetriebe
JP2014189242A (ja) 2013-03-28 2014-10-06 Fuji Heavy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及び車両
KR20160015329A (ko) * 2013-07-02 2016-02-12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테이블 장치 및 반송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독일 특허공보 DE102011006323(2012.10.0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8904A1 (en) 2017-10-11
CN107234753B (zh) 2019-12-31
KR101956655B1 (ko) 2019-03-11
ES2895723T3 (es) 2022-02-22
US20170284521A1 (en) 2017-10-05
US10753441B2 (en) 2020-08-25
JP6793295B2 (ja) 2020-12-02
JP2017180575A (ja) 2017-10-05
CN107234753A (zh) 2017-10-10
EP3228904B1 (en)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655B1 (ko) 운동 전달 장치, 성형용 금형 및 기계류
US7442032B2 (en) Injection mold having a cam actuator to move a sliding block
US6443723B1 (en) Slide retainer for an injection mold
EP1894789A1 (en) Harness guide of slide door
KR102554618B1 (ko)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
US10882235B2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molding die and molded product
KR101829500B1 (ko) 언더컷 처리 기구
CN108124459A (zh) 用于检测行驶挡级选择杆位置的设备及机动车
US20170307011A1 (en) Motion guide device and actuator
US11383409B2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molding die, and molded product
US8091938B2 (en) Pneumatic linear gripper
CN110900984A (zh) 一种多方向抽芯滑块的脱模机构
JP4982290B2 (ja) 成形機
US20070092598A1 (en) Injection mold
JP5858437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JP4834585B2 (ja) 樹脂成形金型
JP4824512B2 (ja) 押出し成形装置
CN114179305A (zh) 一种滚刀柄的行位内抽斜针模具
CN210525724U (zh) 一种单行位多方向的模具抽芯结构
JP5819588B2 (ja) 押出し成形装置及び押出し成形方法
JP2645531B2 (ja) 流体圧シリンダ
CN208862685U (zh) 一种轨道一体式滑动电缸
JP2003112341A (ja) 射出成形装置
CN220883040U (zh) 旋转脱模机构以及脱模工装
US20230204121A1 (en) Fluid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