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086A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086A
KR20170111086A KR1020160035879A KR20160035879A KR20170111086A KR 20170111086 A KR20170111086 A KR 20170111086A KR 1020160035879 A KR1020160035879 A KR 1020160035879A KR 20160035879 A KR20160035879 A KR 20160035879A KR 20170111086 A KR20170111086 A KR 2017011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skin
cosmetic composition
lactobacillus
atopic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387B1 (ko
Inventor
강상모
김기숙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387B1/ko
Priority to PCT/KR2017/003172 priority patent/WO2017164681A1/ko
Publication of KR2017011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을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에서 주로 나타나는 피부 건조증, 소양증, 습진 및 염증성 피부병변 및 아급성 병변인 삼출, 가피를 동반한 구진과 인설, 만성 병변인 태선화 등의 병변의 완화 및 재발의 억제효과와 이에 상응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병변 완화와 피부수분보유량의 향상, 피부의 pH수치 감소, 경피수분증발량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만성적이며 재발이 빈번한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피부건조증과 소양증, 이로 인해 긁게 되면 습진 및 염증성 피부병변이 생기며 이것이 진행되면서 더 심한 소양증 및 수면장애 등이 유발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또한 초기에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으면 삼출과 가피를 동반한 홍반성의 박탈성 구진과 인설로 진행되기도 하고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지는 태선화(苔癬化, lichenification) 등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유아기에는 보통 목과 팔다리, 무릎 뒤 등의 굽혀지는 쪽 부분에 습진 형태로 나타나고 만성화되면 습진 부위 피부가 태선화가 진행되고, 성인기까지 아토피 피부염이 남는 경우에는 특정 물질이나 자극에 의해 쉽게 염증 반응에 노출되는 경향이 많고, 몸보다는 얼굴 주변이나 사지말단에 습진이 생기거나 홍반 및 홍조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 및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복합적 임상 증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으나, 매연 등의 환경 공해, 식품첨가물 등의 사용 증가,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알레르겐)의 증가 등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가족력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표면에 생육하면서 화농성 염증 질환을 일으킬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을 일으키는 주범이기도 하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대부분의 병변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고밀도로 발견되어 황색포도상구균이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를 가중시킨다고 한다. 실제로 황색포도상구균의 외독소가 확인된 환자들의 SCORAD 점수가 다른 이들보다 높을 뿐 아니라, 피부건조증, 태선화, 지지간 미란 등의 진행을 가속시킨다.
종합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피부장벽의 이상이 있어, 피부수분보유량이 감소하며, 피부의 pH 수치의 증가 및 경피수분증발량이 증가할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 병변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집락수가 정상인에 비해 월등히 높다.
현재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임상 점수인 SCORAD(Scoring of Atopic Dermatitis), ADSI(Atopic Dermatitis Severity Index) 등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를 평가하며, 피부에 직접 기계장비를 이용하여 항온, 항습 등 일정한 조건하에서의 피부수분보유량(skin surface hydration, SSH), 피부의 pH, 경피수분증발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등을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장벽 기능과 염증 상태 등의 피부손상지표를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기본적인 치료로 피부의 청결과 건조 방지를 위해 보습제의 사용, 피부염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경구용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생균제 등의 치료제제의 사용 및 광화학요법 등 무수히 많은 치료 요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제를 장기간 사용 시 피부 위축 및 팽창, 혈관 및 모공 확장, 피부 변색 등의 부작용이 유발될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의 특성상 만성적이거나 재발을 자주하면서 질환에 대한 회의와 스테로이드제와 같은 약물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 제대로 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검증되지 않은 치료 방법에 의존하여 결국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질환이 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고 인체에 안전한 천연물 유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998년 미국에서 다이어트식품으로 처음 판매된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은 linoleic acid와 동일하게 탄소수가 18개이며, 단일결합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공액이중결합 형태의 불포화지방산이다. 공액리놀레산 복용 후 carnitine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여 체지방 소모를 촉진하며,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대식세포의 기능을 향상시켜 면역력을 증강시키거나 각 성인병 예방 등의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유산균은 면역계내에서 마이크로파지를 활성화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즉각 감지하는가 하면 림프구 분열을 촉진해 혈액내에서 IgA의 생산 증가, 감마 인터페론 생성 촉진 등으로 면역력을 증진시킨다. 실험동물과 배양세포를 중심으로 일부 유산균의 항알러지 효과가 나타나고 있고, 특히 아토피 피부염 중심으로 그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특히 유산균 배양액은 산성 피막을 얇게 형성해 보습성분과 함께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윤기를 부여하며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게 한다.
한편, 람노서스류를 경구 복용 시 알레르기를 완화시키는 능력이 있고 이로 인해 정장 효과가 있는 경우 피부염,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수차례 보고된 바 있으며, 유산균종으로부터 2종 이상의 혼합균을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을 이용한 천연항균제 개발 등의 유산균 및 이의 배양액을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로 개발하고 일본의 경우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Streptococcus thermophilus)을 배양한 후 그 배양물을 콜라겐 펩티드나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발효유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또한 최근 피부유래 람노서스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의 복합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질에 대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현저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현저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과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을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에서 주로 나타나는 피부 건조증, 소양증, 습진 및 염증성 피부병변 및 아급성 병변인 삼출, 가피를 동반한 구진과 인설, 만성 병변인 태선화 등의 병변의 완화 및 재발의 억제효과와 이에 상응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병변 완화와 피부수분보유량의 향상, 피부의 pH수치 감소, 경피수분증발량의 감소 효과의 기능이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우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우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을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에서 주로 나타나는 피부 건조증, 소양증, 습진 및 염증성 피부병변 및 아급성 병변인 삼출, 가피를 동반한 구진과 인설, 만성 병변인 태선화 등의 병변의 완화 및 재발의 억제효과와 이에 상응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병변 완화와 피부수분보유량의 향상, 피부의 pH수치 감소, 경피수분증발량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유크림(시료 A) 및 유크림 발효액(시료 B)의 지방산 검사 성적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공액리놀레산이 2 중량%가 자체 함유되고 유지방이 35%이상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의 항균활성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계통학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로 분류되는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고, human face, human mouth 등 human 유래 및 milk, cheese 등 milk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 KCTC 3237, KCTC 5046, KCTC 5510, KCTC 10965BP, KCCM 11320, KCCM 32823, KCCM 32826, KCCM 40069, ATCC 9595, ATCC 14957, ATCC 21052 또는 RA-3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 농축 배양액, 배양액의 건조물, 배양 여과액, 농축 배양 여과액, 또는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것 또는 배양한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여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물은 그 제형이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 예로 액체, 에멀젼, 또는 고체일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MRS 배지에 배양한 배양액,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우유 또는 유크림(milk cream)에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우유 또는 유크림에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액은 하기와 같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전배양하는 단계;
2) 상기 전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우유 또는 유크림에 접종하고 본 배양하여 배양액인 우유 발효액 또는 유크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의 전배양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MRS 배지에서 배양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2)의 우유는 무지방 우유 또는, 유지방 함량이 1 중량부 이하로 첨가된 저지방, 무지방 우유 또는 탈지유(skim milk)일 수 있고, 상기 유크림은 원유 또는 우유에서 분리한 유지방분을 가리키는 것으로(유지방분 30% 이상), 유지방구막(MFGM)에 의해 형성되는 유지방구의 농축물(크림층)이라 할 수 있다. 유크림의 영양분은 크림 분리 전인 원유의 영양분에 영향을 받으며, 수용성 영양분의 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지용성 영양분(비타민A, D, E, K)들은 원유보다 적게는 2~3배, 많게는 12배 이상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단계 2)의 배양은 25 내지 35℃에서 1 내지 4일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99.9 중량부, 30 내지 90 중량부, 40 내지 80 중량부, 70 내지 80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액리놀레산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99.9 중량부, 1.5 내지 70 중량부, 15 내지 60 중량부, 20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다만,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지방 3%이하 함유된 우유에서 배양한 배양액일 경우에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4-99.9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인 피부의 피부수분보유량의 향상, 피부의 pH수치 감소, 경피수분증발량의 감소 효과를 가지며,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포함하는 로션 제형을 제조한 후, 상기 제형의 피부수분보유량, 피부의 산성도, 경피수분증발량에 대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유크림에 접종하여 배양한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RS 배지 배양액 등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피부수분보유량의 향상, 피부의 pH수치 감소, 경피수분증발량의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표 3 내지 표 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크림 발효액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모든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는 피부수분보유량이 증가하고, 피부의 pH수치는 감소하였으며, 경피수분증발량이 감소하는 등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 발현을 억제할 뿐 아니라, 병변의 완화 및 병변 재발의 억제효과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내지 표 8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탈지유 발효액을 1차 도포용으로, 순수 공액리놀레산(pure CLA)을 2차 도포용 제형으로 사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결과, 혼합물 처리군과 동일하게 유의적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9 내지 표 1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사유크림 발효액의 아토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탈지유 발효액 73 중량%, 포도씨 오일 24 중량% 및 유화제 3 중량%를 혼합하여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제조한 후, 공액리놀레산과 혼합하여 아토피 치료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크림 발효액을 이용한 군과 비교하여 효과가 떨어지나, 아토피 치료 효과를 일부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5 내지 표 17 참조).
또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과 순수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농도의 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배양액과 공액리놀레산을 다양한 첨가량으로 하여 제형을 각각 제조한 후, 아토피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결과, 합리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농도의 범위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과 순수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의 농도가 공액리놀레산이 유지방의 2 중량%가 자체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 75 중량%을 함유한 로션제형(B2)과 공액리놀레산이 유지방의 2 중량%가 자체 함유되고 유지방이 35%이상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을 각각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 즉 유크림 발효액 7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20 중량%의 제형(B3)임을 확인하였다(표 18 내지 표 20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탈지유 발효액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유의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을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에서 주로 나타나는 피부 건조증, 소양증, 습진 및 염증성 피부병변 및 아급성 병변인 삼출, 가피를 동반한 구진과 인설, 만성 병변인 태선화 등의 병변의 완화 및 재발의 억제효과와 이에 상응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병변 완화와 피부수분보유량의 향상, 피부의 pH수치 감소, 경피수분증발량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및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화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을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에서 주로 나타나는 피부 건조증, 소양증, 습진 및 염증성 피부병변 및 아급성 병변인 삼출, 가피를 동반한 구진과 인설, 만성 병변인 태선화 등의 병변의 완화 및 재발의 억제효과와 이에 상응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병변 완화와 피부수분보유량의 향상, 피부의 pH수치 감소, 경피수분증발량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토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을 피부에 도포한 후, 공액리놀레산을 도포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을 위하여, 적합한 외용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이 환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연고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고제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 혼합물을 무기물질과 배합한 다음, 이를 지용성 기제로 코팅하여 제조한다. 상기 무기물질은 항균성, 소염효과, 표피재생 효과 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아연, 탄산아연, 산화철 등이 있다. 또한, 수용성 물질인 본 발명의 피부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안전하게 함침할 수 있는 세라믹 담체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담체로는 제올라이트, 활석, 석고, 모려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세라믹 담체는 수용성 성분의 함침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수용성 성분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우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우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우유 발효액은 유크림 발효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유크림 발효액은 하기와 같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전배양하는 단계;
2) 상기 전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유크림에 접종하고 본 배양하여 배양액인 유크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크림 발효액은 공액리놀레산을 자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크림 발효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유크림 발효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상기 유크림 발효액의 유지방에는 공액리놀레산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또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유크림 발효액의 아토피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유크림 발효액은 피부수분보유량의 향상, 피부의 pH수치 감소, 경피수분증발량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표 3 내지 표 5 참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의 준비
MRS 배지 1ℓ에 전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기탁번호 KCTC 5033) 1× 106 cfu/㎖를 접종한 후, 항온 37℃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하여, MRS 균주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RS 배양액을 제형 총 중량의 75 중량%로 함유한 로션 제형을 제조하였다(표 1).
Figure pat00001
<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우유 발효액의 제조
유지방이 3% 이하로 함유된 우유 1ℓ에 전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기탁번호 KCTC 5033) 1× 106 cfu/㎖를 접종한 후, 항온 37℃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우유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상기 우유 또는 우유 발효액을 제형 총 중량의 75 중량%로 함유한 로션 제형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의 제조
유지방이 35% 이상 함유된 유크림에 1ℓ에 전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기탁번호 KCTC 5033) 1× 106 cfu/㎖를 접종한 후, 항온 37℃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유크림 발효액을 수득하였다.
아울러, 상기 유크림 또는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 중량의 75 중량%로 함유한 로션 제형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 의뢰하여 상기 유크림 및 유크림 발효액에 대한 지방산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공액리놀레산의 함유량은 함유 유지방과 지방산 합산 총량의 2.0 중량%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제형을 제조하였다(표 2).
Figure pat00002
< 실험예 1> 아토피 피부염 시험대상자의 선정
임상 모집공고를 통하여 모집된 아토피 피부염 병변이 있는 참가희망자 중 한국인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기준(박영립. 한국인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기준.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43(10):113.)에 의해 주 진단기준 중 적어도 2개 이상, 보조 진단기준 중 4가지 이상에 해당하며 6개월 이상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보인 참가 희망자를 1차 선정하고, 이들 중 6개월 이내에 아토피 피부염 치료를 위해 국소 및 전신 스테로이드, 면역 조절 및 억제제, 항히스타민제나 이에 준하는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을 제외한 참가희망자를 최종 시험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시험기간은 총 6주(42일)간으로 하였다.
<실험예 2> 아토피 치료 효과 확인 방법
피부 병변의 정확한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항온 항습 조건을 실내온도 20~25℃, 실내습도 40~60%로 설정한 피부측정실에서 비침습적 피부측정장비인 MPA580(Multi Probe Adapter system, C+K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을 이용하여 기계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는 병변 부위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 피부측정실 입실 12시간 전부터는 시험 화장품 도포를 금지하였으며, 입실 후 약 30분간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측정을 하였다.
또한, 피부측정은 시험 전후 총 2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위해 측정자 2인이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피부측정은 피부수분보유량(skin surface hydration, SSH), 경피수분증발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피부의 산성도(pH)를 시험 전 시험대상자의 병변부위 중 중증도가 가장 심한 부위를 지정하여 측정하고, 개인별로 표시해두었다가 시험 전후 동일 병변부위를 측정하여 객관적인 효과를 평가하였다.
아울러, 참여한 시험대상자의 병변 부위를 시험 전후 디지털 카메라(SAMSUNG, VLUU PL150)를 이용하여 총2회 촬영하였다. 객관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기계적 측정부위와 동일한 병변 부위를 지정된 장소에서 동일 촬영자 1인이 촬영하였다.
< 실험예 3> 피부수분보유량 ( SSH )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로션 제형을 상기 <실험예 1>에서 선정한 아토피 피부염 시험대상자의 병변 부위에 하루 2회, 42일간 도포한 후, 피부수분보유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전후 피부수분보유량은 각각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MRS 배양액을 함유한 로션(C)과 우유를 함유한 로션(A1)이 각각 약 2%, 약 1%로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우유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A2)은 약 5%, 유크림을 함유한 로션(B1)은 약 6% 각각 증가 경향을 보였고,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B2)이 약 22% 유의한 증가,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B3)이 약 40% 유의적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표 3).
Figure pat00003
< 실험예 4> 피부 산성도(pH) 확인
아토피 피부염 병변 피부는 비병변 피부보다 피부의 pH가 더 높게 나타나며, 소양증이 심할수록 피부는 알칼리성으로 변해 피부 pH가 증가한다. 그러므로 시험 전에 비해 피부의 pH수치가 낮아지면 피부의 pH안정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토피 피부염 병변 부위에서 피부의 산성도(pH)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유를 함유한 로션(A1)은 피부의 산성도가 약 8% 유의적으로 상승한 반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MRS 배양액을 함유한 로션(C)은 약 1%, 우유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A2)은 약 3% 각각 감소 경향을, 유크림을 함유한 로션(B1)은 약 5% 감소,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B2)은 약 6% 유의한 감소,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제형(B3)이 약 11%로 피부의 pH수치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발효하지 않은 멸균 유크림을 함유한 로션(B1)의 pH수치의 감소 경향을 보아 수분베이스(유지방 함유된 우유 및 유크림) 제형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로 발효시킨 우유 발효액(A2)와 유크림 발효액(B2)을 함유한 로션과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B3)이 피부의 pH안정화를 유도하는데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4).
Figure pat00004
< 실험예 5> 경피수분증발량 ( TEWL ) 확인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피수분증발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B3)이 약 41% 감소하였고,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B2)의 경피수분증발량이 약 32%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우유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A2)은 약 12%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을 함유한 로션(C) 및 우유를 함유한 로션(A1), 유크림을 함유한 로션(B1)은 각각 약 8%, 약 6%, 약 16% 경피수분증발량이 증가 경향을 보여,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중량% + 공액리놀레산 20중량%로 제조한 로션(B3)과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B2)이 경피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키는데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5). 따라서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B3)과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B2)이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 발현을 억제할 뿐 아니라, 병변의 완화 및 병변 재발의 억제효과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5
< 실험예 6>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크림 발효액의 아토피 치료 효과 확인
<6-1>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의 제조
유지방이 35% 이상 함유된 유크림에 1ℓ에 전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B2), KCTC 3237(D1), KCTC 5046(D2) KCTC 5510(D3), KCCM 11320(D4), KCCM 32823(D5), KCCM 32826(D6), KCCM 40069(D7), ATCC 9595(D8), ATCC 14957(D9), ATCC 21052(D10), KCTC 10965BP(D11) 또는 RA-32(D12) 1× 106 cfu/㎖를 각각 접종한 후, 항온 37℃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유크림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 중량의 75 중량%로 함유한 로션 제형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6-2> 피부수분보유량 확인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6-1>에서 제조한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 제형을 도포한 후, 피부수분보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B2)이 약 22% 유의하게 증가하여, 약 22%로 유의하게 증가한 KCTC 5510(D3)과 함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KCTC 3237(D1)은 약 18% 증가, KCTC 5046(D2)은 약 20% 증가, KCCM 11320(D4)이 약 19% 유의한 증가, KCCM 32823(D5)은 약 17% 증가, KCCM 32826(D6)이 약 20% 유의한 증가, KCCM 40069(D7)가 약 15% 유의한 증가, ATCC 9595(D8)는 약 13% 유의한 증가, ATCC 14957(D9)은 약 20% 유의한 증가, ATCC 21052(D10)는 약 17% 유의한 증가, KCTC 10965BP(D11)는 약 18% 증가를 하였으며, RA-32(D12)도 약 17% 피부수분보유량이 증가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제형이 피부수분보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Figure pat00006
<6-3> 피부의 산성도 확인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6-1>에서 제조한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 제형을 도포한 후, 피부의 산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B2)이 약 6%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KCTC 3237(D1)이 약 2% 감소, KCTC 5046(D2)은 약 5% 감소, KCTC 5510(D3)은 약 4% 감소, KCCM 32823(D5)은 약 3% 감소, KCCM 32826(D6)이 약 3% 감소, KCCM 40069(D7)는 약 1% 감소, ATCC 9595(D8)는 약 3% 감소, ATCC 14957(D9)이 약 4% 감소, ATCC 21052(D10)가 약 4% 감소, KCTC 10965BP(D11)는 약 6% 감소, RA-32(D12) 또한 약 5% 피부의 pH수치가 감소하여 변화율이 없었던 KCCM 11320(D4)을 제외한 균주들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이 피부의 pH안정도의 증가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7).
Figure pat00007
<6-4> 경피수분증발량 확인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6-1>에서 제조한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로션을 도포한 후, 경피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크림 발효액의 로션제형의 경피수분증발량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B2)가 약 32% 유의하게 감소하여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으며, KCTC 3237(D1)이 약 15% 감소, KCTC 5046(D2)은 약 25% 감소, KCTC 5510(D3)은 약 24% 유의한 감소, KCCM 11320(D4)은 약 19% 감소, KCCM 32823(D5)은 약 15% 감소, KCCM 32826(D6)은 약 26% 감소, KCCM 40069(D7)는 약 14% 감소, ATCC 9595(D8)는 약 28% 감소, ATCC 14957(D9)은 약 31% 유의한 감소, ATCC 21052(D10)는 약 28% 감소, KCTC 10965BP(D11)는 약 27% 유의한 감소, RA-32(D12)도 약 24% 감소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이 경피수분증발량의 감소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8).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모든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염 개선용 화장료는 피부수분보유량이 모두 증가하고, 피부의 pH수치는 거의 감소하였으며, 경피수분증발량도 모두 감소하는 등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 발현을 억제할 뿐 아니라, 병변의 완화 및 병변 재발의 억제효과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8
< 실험예 7>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탈지유 발효액을 1차 도포용으로, 순수 공액리놀레산을 2차 도포용 제형으로 사용하여 아토피피부염 치료 효과 확인
<7-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이용한 탈지유 발효액(skim milk)의 제조
탈지유 1ℓ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기탁번호 KCTC 5033) 1 × 106 cfu/㎖를 접종한 후, 항온 37℃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하여, 탈지유 발효액을 수득하였다.
<7-2> 피부수분보유량 측정
상기 <7-1>에서 제조한 탈지유 발효액을 아토피 피부염 병변 부위에 1차 도포한 후, 순수한 공액리놀레산을 2차 도포(E)한 다음,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수분보유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지유 발효액을 1차 도포한 동일한 아토피 피부염 병변 부위에 순수공액리놀레산을 2차 도포한 결과, 피부수분보유량이 약 15%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9).
Figure pat00009
<7-3> 피부의 산성도 확인
상기 <7-1>에서 제조한 탈지유 발효액을 아토피 피부염 병변 부위에 1차 도포한 후, 순수한 공액리놀레산을 2차 도포(E)한 다음,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의 산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지유 발효액을 1차 도포한 동일한 아토피 피부염 병변 부위에 순수공액리놀레산을 2차 도포한 결과, 피부의 pH 수치가 9% 감소하여 피부의 pH 안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0).
Figure pat00010
<7-4> 경피수분증발량 확인
상기 <7-1>에서 제조한 탈지유 발효액을 아토피 피부염 병변 부위에 1차 도포한 후, 순수한 공액리놀레산을 2차 도포(E)한 다음,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경피수분증발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지유 발효액을 1차 도포한 동일한 아토피 피부염 병변 부위에 순수공액리놀레산을 2차 도포한 결과, 경피수분증발량이 약 31%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1).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탈지유 발효액을 제형의 1차 도포용 제형으로, 순수리놀레산(pure CLA)을 2차 도포용 제형으로 피부에 사용한 경우, 피부수분보유량이 증가하고, 피부의 pH수치는 감소하였으며, 경피수분증발량이 감소하는 등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 발현을 억제할 뿐 아니라, 병변의 완화 및 병변 재발의 억제효과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1
< 실험예 8>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사유크림 발효액의 아토피 치료 효과 확인
<8-1> 유사유크림 발효액의 제조
상기 <7-1>에서 제조한 탈지유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3 중량%를 함유한 발효액을 하기 표 12와 같이 제조하여,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수득하였다(표 12). 그럼 다음, 상기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 중량의 75 중량%로 함유한 로션 제형(F1)을 하기 표 13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표 13). 아울러, 상기 제조한 유사유크림 발효액(75 중량%)과 공액리놀레산(20 중량%)으로 로션제형(F2)을 제조하였다(표 14).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8-2> 피부수분보유량 확인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8-1>에서 제조한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포함하는 로션제형 F1 및 F2를 각각 도포한 후, 피부수분보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전후 피부수분보유량은 유사유크림 발효액 75 중량%을 함유한 로션(F1)이 약 16% 유의한 증가,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F2)이 약 19%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5).
Figure pat00015
<8-3> 피부의 산성도 확인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8-1>에서 제조한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포함하는 로션제형 F1 및 F2를 각각 도포한 후, 피부의 산성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전후 피부의 pH안정도가 다소 낮기는 하나, 유사유크림 발효액 75 중량%을 함유한 로션(F1)이 약 0.2%,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F2)이 약 3% 피부의 pH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6).
Figure pat00016
<8-4> 경피수분증발량 확인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8-1>에서 제조한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도포한 후, 경피수분증발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전후 경피수분증발량의 변화가 유사유크림 발효액 75 중량%을 함유한 로션(F1)이 약 9%,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F2)이 약 20%로 경피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7).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으로 발효시킨 유사유크림 발효액(skim milk 73 중량% + 포도씨 오일 24 중량% + 유화제 3 중량%로 제조한 유사유크림)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을 함유한 로션(F1)과 유사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F2)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 상기 공액리놀레산이 유지방의 2 중량%가 자체 함유된 유지방 35%이상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을 75 중량% 함유한 로션제형(B2)과 유크림 발효액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B3)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기는 하나, 피부수분보유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pH수치를 감소시키며, 경피수분증발량을 감소시켜,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 발현을 억제할 뿐 아니라, 병변의 완화 및 병변 재발의 억제효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7
<실험예 9> 공액리놀레산의 화장료 조성물 내, 농도 범위 확인
<9-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과 순수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을 다양한 성분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과 순수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농도의 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유지방 3%이하 함유(공액리놀레산은 유지방의 2 중량% 함유)된 우유 발효액 75 중량%가 함유된 로션제형(A2, CLA 0.045%), 유지방 35%(공액리놀레산은 유지방의 2 중량% 함유)이상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 75 중량%가 함유된 로션제형(B2, CLA 0.525%)과 유크림 발효액(공액리놀레산은 유지방의 2 중량% 함유)을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제형(B3, CLA 20.525%), 상기 탈지유 발효액을 1차 도포용으로, 순수 공액리놀레산을 2차 도포용 제형으로 사용한, 즉 탈지유 발효액 100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100 중량%로 도포한 방법(E, CLA 100%),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유사유크림 발효액(skim milk 73 중량% + 포도씨 오일 24 중량% + 유화제 3 중량%로 제조한 유사 유크림)의 제형 총중량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 즉 유사유크림 발효액 7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제형(F2, CLA 20%),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탈지유 발효액 99.9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0.1 중량%로 제조한 토너 제형(G1, CLA 0.1%),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탈지유 발효액 7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 제형(G2, CLA 20%),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유사유크림 발효액(skim milk 64 중량% + 포도씨 오일 35 중량% + 유화제 1 중량%로 제조한 유사유크림)의 제형 총중량 49 중량% + 공액리놀레산 46 중량%, 즉 유사유크림 발효액 49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46 중량%로 제조한 로션제형(G3, CLA 46%),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유사유크림 발효액(skim milk 64 중량% + 포도씨 오일 35 중량% + 유화제 1 중량%로 제조한 유사 유크림)의 제형 총중량 35 중량% + 공액리놀레산 60 중량%, 즉 유사유크림 발효액 3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60 중량%로 제조한 크림 제형(G4, CLA 60%)에 대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 시험을 상기 <실험예 3> 내지 <실험예 5>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9-2> 피부수분보유량 확인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수분보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B3가 약 40%로 피부수분보유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G4가 약 25% 증가, B2가 약 22% 유의한 증가, G2가 약 21% 증가, F2가 약 19% 유의한 증가, G3이 약 16% 증가, E가 약 15% 증가, G1이 약 14% 증가, A2가 약 5%로 증가하여 모두 피부수분보유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표 18).
Figure pat00018
<9-3> 피부의 산성도 확인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의 산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B3가 약 11%로 피부의 pH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감소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E가 약 9% 감소, B2가 약 6% 유의한 감소, G3가 약 5% 감소, G2가 약 4% 감소, F2와 A2가 각각 약 3% 감소, G4가 약 2% 감소, G1이 약 1%로 피부의 pH수치가 감소해 피부의 pH 안정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9).
Figure pat00019
<9-4> 경피수분증발량 확인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경피수분증발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경피수분증발량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하기 표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B3가 약 41%로 감소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B2가 약 32%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E가 약 31% 감소, G3가 약 25% 유의한 감소, F2가 약 20% 감소, G4가 약 18% 감소, A2와 G2가 각각 약 12% 감소해, G1이 1%로 경미하게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 모두 경피수분증발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0).
Figure pat00020
결론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과 순수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의 농도가 공액리놀레산이 유지방의 2 중량% 자체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 75 중량%을 함유한 로션제형(B2, CLA 0.525%), 공액리놀레산이 유지방의 2 중량% 자체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을 각각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제형(B3, CLA 20.525%), 탈지유 발효액 100 중량%로 1차 도포 후 순수 공액리놀레산 100 중량%로 2차 도포한 방법(E, CLA 100%) 뿐만 아니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과 순수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의 농도가 공액리놀레산이 유지방의 2 중량% 자체 함유된 우유발효액 75 중량%을 함유한 로션제형(A2, CLA 0.045%), 탈지유 발효액 99.9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0.1 중량%(G1, CLA 0.1%), 탈지유 발효액 7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20 중량%(G2, CLA 20%), 유사유크림 발효액 7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20 중량%로 제조한 로션제형(F2, CLA 20%), 탈지유 발효액 49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46 중량%로 제조한 로션제형(G3, CLA 46%), 탈지유 발효액 3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60 중량%로 제조한 크림 제형(G4, CLA 60%)의 경우도 피부수분보유량이 증가하고, 피부의 pH수치의 감소, G1이외는 경피수분증발량이 감소하는 등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 발현을 억제할 뿐 아니라, 병변의 완화 및 병변 재발의 억제효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과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의 조성물로써의 농도 범위(각 총 중량의 0.1-99.9 중량%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단, 발효배지가 유지방 3%이하 함유된 우유일 경우는 각 총중량 0.04-99.9 중량%)에 관한 충족조건을 달성할 뿐 아니라, 이 중 합리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농도의 범위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과 순수 공액리놀레산의 혼합액의 농도가 공액리놀레산이 유지방의 2 중량%가 자체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 75 중량%을 함유한 로션제형(B2)과 공액리놀레산이 유지방의 2 중량%가 자체 함유되고 유지방 35%이상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을 각각 제형 총중량의 75 중량% + 공액리놀레산 20 중량%, 즉 유크림 발효액 75 중량% + 순수 공액리놀레산 20 중량%의 제형(B3)임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10> 공액리놀레산이 2 중량%가 자체 함유되고 유지방 35%이상 함유된 유크림 발효액 아토피 치료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크림 발효액의 아토피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유크림 발효액을 아토피 피부염 환자 병변 부위에 하루 2회, 42일간 도포한 후, 참여한 시험대상자의 병변 부위를 시험 전후 디지털 카메라(SAMSUNG, VLUU PL150)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객관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기계적 측정부위와 동일한 병변 부위를 지정된 촬영 장소에서 촬영자 1인이 이미지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시험군에서 시험 전(before)과 비교하여 시험 후(after) 유의적인 항 아토피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실험예 1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의 항균활성 확인
MRS배지에서 전배양한 후 유지방이 0중량% 이하로 함유된 skim milk에서 각각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3237, KCTC 5033, KCTC 5046, KCTC 5510, KCCM 11320, KCCM 32823, KCCM 32826, KCCM 40069, ATCC 9595, ATCC 14957, ATCC 21052, KCTC 10965BP(M21) 또는 RA-32를 발효시킨 배양액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항균활성 측정은 paper disc법 및 적하법(dripping)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균주는 MRS배지에서 24시간 전배양한 후 skim milk에서 72시간 본배양하였으며 25℃실온에서 후배양을 하면서 24시간씩 5회에 걸쳐 항균작용에 의해 형성된 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유의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3).

Claims (14)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KCTC 5033, KCTC 3237, KCTC 5046, KCTC 5510, KCTC 10965BP, KCCM 11320, KCCM 32823, KCCM 32826, KCCM 40069, ATCC 9595, ATCC 14957 및 ATCC 2105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탁번호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은 MRS 배지, 우유, 유크림에서 배양한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는 무지방 우유 또는, 유지방 함량이 1 중량부 이하로 첨가된 저지방, 무지방 우유 또는 탈지유이고, 상기 유크림은 원유 또는 우유에서 분리한 유지방분 30% 이상인 유지방, 또는 유지방구막에 의해 형성되는 유지방구의 농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은 0.04 내지 99.9 중량부 및 공액리놀레산은 0.1 내지 99.9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수분보유량을 향상시키고, 피부의 pH 수치를 감소시켜 안정화시키며, 경피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을 피부에 도포한 후, 공액리놀레산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
  1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우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발효액은 유크림 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발효액은 공액리놀레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4.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우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억제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







KR1020160035879A 2016-03-25 2016-03-2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79A KR102061387B1 (ko) 2016-03-25 2016-03-2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03172 WO2017164681A1 (ko) 2016-03-25 2017-03-24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79A KR102061387B1 (ko) 2016-03-25 2016-03-2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086A true KR20170111086A (ko) 2017-10-12
KR102061387B1 KR102061387B1 (ko) 2019-12-31

Family

ID=5989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879A KR102061387B1 (ko) 2016-03-25 2016-03-2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1387B1 (ko)
WO (1) WO201716468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908A (ko) * 2017-09-22 2019-04-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8152A (ko) * 2017-10-30 2019-05-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59668A3 (ko) * 2017-09-22 2019-05-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KR20200034217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팜스킨 초유의 발효산물의 항아토피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807576D0 (en) 2018-05-09 2018-06-20 Skinbiotherapeutics Pl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169B1 (ko) * 2009-08-19 2012-07-24 남현수 복분자유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
IT1398730B1 (it) * 2009-09-08 2013-03-18 Giuliani Spa Ceppo batterico probiotico e suoi usi per via orale e topica
KR20110134151A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혼합 균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1540743B1 (ko) 2014-04-28 2015-08-03 대한민국 공액리놀레산의 생산방법 및 콩 발효식품
KR101640744B1 (ko) * 2014-05-07 2016-07-19 일동제약주식회사 고분자 다당 바인더에 컨쥬게이트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rht-3201, 및 이의 아토피 예방 및 치료 용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908A (ko) * 2017-09-22 2019-04-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19059668A3 (ko) * 2017-09-22 2019-05-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KR20190048152A (ko) * 2017-10-30 2019-05-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4217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팜스킨 초유의 발효산물의 항아토피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4681A1 (ko) 2017-09-28
KR102061387B1 (ko)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387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5482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회복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370052B1 (en) Novel sebum secretion inhibitory agent
KR101878069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2830B1 (ko) 피부 pH 조절 및 유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64904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776058B2 (ja) 皮膚改善剤
KR102391657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1605444A (zh) 包含奧替尼啶二鹽酸鹽之局部醫藥組成物或化妝品組成物
KR100861186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KR20120058850A (ko)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1094220B1 (ko)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14611B1 (ko)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2733B1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3606580B2 (ja) 化粧料
KR102315646B1 (ko) 잣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27590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7628A (ko) 발효 만주자작나무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TW201121555A (en) Preventing or ameliorating agent for hypersensitivity in sensitive skin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3098A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EP2988833B1 (en) Use of an essential oil of origanum majorana, as an agent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greasy skin and/or the associated aesthetic skin de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