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850A -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850A
KR20120058850A KR1020100120347A KR20100120347A KR20120058850A KR 20120058850 A KR20120058850 A KR 20120058850A KR 1020100120347 A KR1020100120347 A KR 1020100120347A KR 20100120347 A KR20100120347 A KR 20100120347A KR 20120058850 A KR20120058850 A KR 20120058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otion
cream
skin
diprenyloro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010B1 (ko
Inventor
김청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에스
Priority to KR102010012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0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항균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I)
Figure pat00002

R = H or OH

Description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Compositions for the antiinflammatory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본 발명은 이소플라본 화합물의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염 및 항균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일생동안 많은 종류의 염증 질환에 시달린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류마티스 관절염, 기관지 천식 등의 만성 난치성 염증 및 여드름은 현재까지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 질환을 조절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의 개발이 시급하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 반응의 하나로, 신경, 혈관, 조직, 혈액 등과 세포 반응을 일으키는데 그 정도가 지나칠 경우 결과적으로 가려움, 발열, 발적 등이나 통증, 조직 손상 등의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염증반응은 선천성 면역반응의 일부로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함으로부터 시작된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그런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에 부착한다. 염증의 발생 원인으로는 다양한 생화학적 현상이 관여하고 있으나, 특히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를 생성하는 효소인 일산화질소 생성효소(NO synthase, NOS)와 다양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PGs)의 생합성을 매개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COX)가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이와 같이 NO 및 PGs가 염증반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이들의 생성과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은 비스테로이드계로서 이부프로펜(ibu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로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등이 있으며, 그 외에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디키닌 길항제, COX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제제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여드름이라고 불리워지는 피부질환은 폐쇄성 또는 개방성 면포, 구진, 농포, 낭종, 결절 등 다양한 피부병변을 나타내는 모낭피지선에 발생하는 피부 질환이다.
여드름의 발생요인으로는 피지분비의 증가, 모낭내 이상각화, 여드름균의 군락형성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여드름 병변을 일으키게 된다. 즉, 남성호르몬 등의 분비항진에 의해 피지선의 기능이 항진되고 이에 따라 생성된 과잉의 피지가 모낭벽의 과각화를 초래해 모낭내에 정체되면 면포가 형성되는데 이 상태가 여드름 발병의 초기단계이다. 피지분비가 증가되고 모낭이 과각화됨에 따라 모낭 내에 정체된 피지가 모낭을 막아 공기의 순환을 차단하게 되면, 모낭내에 상주하는 혐기성 세균인 여드름균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어 여드름균이 과다 증식하게 된다. 이 때 여드름균은 지방분해효소와 화학주성인자를 분비하여 유리지방산을 만들어 백혈구가 모낭주위에 모이게 하며, 이들이 모낭벽을 자극하고 파괴하여 모낭 내용물이 진피내로 유출됨에 따라 초기의 비염증성 여드름이 염증성 여드름으로 진행되며, 화농성 여드름으로까지 악화된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의 치료는 그 발생원인을 억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 전술한 여드름균을 제거함으로써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국소도포요법제로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젤레익산(Azelaic acid),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설퍼(Sulfur), 국소도포 항생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제들은 소량만으로는 여드름균에 대해 충분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뿐아니라, 과량 도포시 피부 발적 또는 피부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항염증 및 항균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6, 8-디프레닐오로볼(6,8-diprenylorobol), 6, 8-디프레닐제니스타인(6,8-diprenylgeniste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갖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6, 8-디프레닐오로볼(6,8-diprenylorobol), 6, 8-디프레닐제니스타인(6,8-diprenylgenistein) 및 이들의 혼합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001 ~ 30.0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6, 8-디프레닐오로볼(6,8-diprenylorobol), 6, 8-디프레닐제니스타인(6,8-diprenylgenistein) 및 이들의 혼합물은 꾸지뽕나무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항염 효능은 각종 피부염, 피부 자극, 아토피, 여드름, 관절염, 결막염, 비염, 고혈압, 당뇨병, 알러지, 암, 동맥경화증, 알러지 질환, 천식, 급성통증, 만성통증, 치주염, 치은염, 염증성 장질환, 통풍,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협심증, 위궤양, 뇌경색, 다운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비만, 당뇨, 치매, 우울증, 정신분열증, 결핵, 수면장애, 패혈증, 화상 또는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항균 효능은 여드름, 비듬, 액취, 탈모, 무좀 및 충치의 예방 및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6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인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항염증 및 항균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하기 일반식 (I)의 화학구조를 갖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일반식 (I)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기다.
상기 일반식 (1)의 화합물로는 6, 8-디프레닐오로볼(6,8-diprenylorobol), 6, 8-디프레닐제니스타인(6,8-diprenylgenistein)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이나,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을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된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잘게 분쇄한 식물 분쇄물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건조시킨 후, 물에 현탁시킨 다음 헥산 등을 가하여 액-액 추출하고 이를 칼럼크로마토그라피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로 순수하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조성물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20중량%인데, 이것은 0.01중량% 미만에서는 효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중량%를 넘으면 배합해도 효과의 증가는 기대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들은 종래부터 식품첨가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인체에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 관절염 및 알러지성 피부염 등의 다양한 염증성 질환 및 여드름, 비듬 및 충치 등의 미생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 화합물들 이외에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상용될 때에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르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톨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6, 8-디프레닐오로볼(6, 8-diprenylorobol)의 제조
꾸지뽕나무 열매를 구입하여 분쇄물 100g을 에탄올 500ml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 추추한 다음,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화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감압 하에 건조한 후 정제수 300ml에 현탁한 다음 헥산 300ml를 가하고 잘 흔들어 헥산 용해물을 얻었다. 이 헥산 용해물을 감압 하에 건조시킨 뒤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라피(전개용매 : 에틸아세테이트 / 노르말 헥산 = 1 / 10 ~ 1 / 1)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노란색 침상결정 화합물 39mg을 얻었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은 일렉트로 스프레이 이온화 질량분석법(이하, ESI-MS) 및 수소핵자기공명분석법(이하, 1H-NMR)을 이용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6,8-디프레닐오로볼(6,8-diprenylorobol)임을 동정하였다.
ESI-MS : m/z 423[M+H]+, 421[M-H]-
1H-NMR (CDCl3, 300MHz) : δ 7.87(s), 6.95(d, J=1.1), 6.80(d, J=8.1Hz), 6.73(dd, J=1.1Hz, 8.1Hz), 3.43(m), 5.23(m), 1.83(s), 1.75(s), 3.45(m), 5.21(m), 1.73(d, J=0.9Hz), 1.82(d, J=0.9Hz)
[실시예 2] 6,8-디프레닐제니스타인(6,8-diprenylgenistein)의 제조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라피의 전개용매를 에틸아세테이트 / 노르말 헥산 = 1 / 20 ~ 1 / 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노란색 침상결정 23m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은 일렉트로 스프레이 이온화 질량분석법(이하, ESI-MS) 및 수소핵자기공명분석법(이하, 1H-NMR)을 이용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6,8-디프레닐제니스타인(6,8-diprenylgenistein)임을 동정하였다.
ESI-MS : m/z 407[M+H]+, 405[M-H]-
1H-NMR (CDCl3, 300MHz) : δ 7.82(s), 7.26(d, J=8.5), 6.77(d, J=8.5Hz), 6.77(d, J=8.5Hz), 3.40(m), 5.18(m), 1.76(d, J=1.1Hz), 1.69(d, J=1.1Hz), 5.14(m), 1.66(d, J=0.7Hz), 1.75(d, J=0.7Hz)
[실험예 1] NO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6,8-디프레닐오로볼과 6,8-디프레닐제니스타인의 항염 효과의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A. J. Ding, C. F. Nathan, and D. J. Stuehr, J. Immunol., 144, 2407-2413, 1988)
쥐의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을 10% FBS DMEM 배지로 배양하고 24-웰 플레이트에 4 X 105 cell/well로 분주하여 5% CO2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상기 실시예 1과 2의 화합물 및 LNMMA를 각각 함유한 FBS free DMEM을 처리하고 30분 후 LPS(lipopolysaccharide)로 NO를 유발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NO assay kit를 이용하여 LPS 처리 대비 시료의 NO양을 계산하여 NO 생성 억제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율
시료 농도(ppm) NO 생성 억제율(%)
LNMMA 10 46.2
6,8-diprenylorobol 10 60.1
20 102.3
6,8-diprenylgenistein 10 60.5
20 104.2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매우 강력한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어 항염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대표적인 NO 생성 저해제인 LNMMA와 비교해서도 월등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항여드름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6,8-디프레닐오로볼과 6,8-디프레닐제니스타인의 항균효과를 시험하였다. 공시균으로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acnesATCC6919)를 사용하였다.
항균력 측정법은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각 시료를 액상배지에 일정농도 간격으로 희석한 후 각 시험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시료농도별 균체의 성장정도를 관찰하여 균성장을억제하는 최소농도를 판정하였다. 균성장 여부는 1% TTC (2,3,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용액을 첨가하여 색깔이 무색에서 붉은 색으로 변하면 균성장 양성(+), 변하지 않으면 균성장 음성(-)으로 판별하였다. TTC는 균성장이 활발할 때 일어나는 산화환원 전위의 변화에 의해 원래의 산화된 상태에서 환원될 때 붉은색으로 변하는 염료이므로 미생물의 생육정도(viability)를 손쉽게 측정할 때 사용된다.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는 혐기성 균주이므로 균접종 후 혐기성배양기(anaerobic chamber)내에서 37℃에서 2일간 배양한 뒤 균성장 여부를 관찰하여 균성장을 억제하는 최소농도를 선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료 MIC(ppm)
Triclosan 5~10
6,8-diprenylorobol 5~10
6,8-diprenylgenistein 5~10
표 2를 참조하면, 여드름균에 대한 MIC 측정결과에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대표적인 여드름균 저해제인 트리클로산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항균력을 발휘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는 6,8-디프레닐오로볼과 6,8-디프레닐제니스타인의 항여드름균 효과에 대하여 시험하였으나, 비듬에 대하여 Malassezia furfur를, 액취에 대하여 Corynebacterium xerosis를, 탈모에 대하여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무좀에 대하여 Trichophyton mentagrophytes를, 충치에 대하여 Streptococcus mutans를 공시균으로 각각 사용하면서,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항균력 측정법인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을 이용하여 항균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각 시료를 액상배지에 일정농도 간격으로 희석한 후 각 시험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시료농도별 균체의 성장정도를 관찰하여 균성장을 억제하는 최소농도를 판정할 수 있다. 이때 균성장 여부는 1% TTC (2,3,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용액을 첨가하여 색깔이 무색에서 붉은 색으로 변하면 균성장 양성(+), 변하지 않으면 균성장 음성(-)으로 판별한다. 상기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항균활성은 용이하게 확인되어진다.
[제조예 1~2 및 비교예 1]
하기 표 3에 표시된 성분 및 함량으로 하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영양화장수의 제조
조성물(중량%) 제조예 비교예1
1 2
젖산 3 3 3
6,8-디프레닐오로볼 0.1 - -
6,8-디프레닐제니스타인 - 0.1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0.2
글리세린 6.0 6.0 6.0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카보머 0.2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3 0.3 0.3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에탄올 3.2 3.2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3] 피부 자극 완화 효과 측정
일반적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젖산(Lactic acid)에 의한 피부 자극을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들이 얼마나 완화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피부상의 직경 1.2cm정도의 원형 부분에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20ul씩 압설기(spatula)를 이용하여 50회씩 문질러 도포하였다. 이 때, 처음 2회는 조성물 도포 후 속에 여과지가 없는 힐탑 챔버(hill top chamber)에 얹은 후 접착제로 고정하여 폐쇄 조건을 만들어 주었다. 힐탑 챔버에 의한 챔버 반응이 있어 3회에서 8회까지의 조성물 도포 시에는 도포 직후 여과지를 얹어 주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주었다. 23시간마다 한번씩 첩포하고, 첩포 제거 1시간 후에 CTFA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검사하였다. 첩포 종료 후 4일째에는 지연형(delayed type)반응을 보기위하여 추가로 검사하였고 이를 결과에 반영하였다. 데이터는 맨 마지막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레빈 테스트의 등분산을 확인한 후 ANOVA를 통해 사후 검정(p<0.05)하여 비교하였다. 결과에 대한 판정은 하기 표 4에 표시된 측정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5에 표시하였다. 표 5에 표시된 결과는 자극에 대해 반응한 피검자의 반응지수를 횟수별로 모두 합하여 나타낸 값이다.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판정 기준
등급 기호 상태
0 - 가시 반응 없음
1 + 약한 홍반
2 ++ 강한 홍반
3 +++ 강한 홍반과 부종
4 ++++ 강한 홍반, 부종, 물집
첩포 횟수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지수
첩포 횟수 제조예 1 제조예 2 비교예 1
1 0 0 1
2 1 0 6
3 0 0 3
4 0 0 4
5 0 1 3
6 0 0 5
7 0 1 3
8 1 1 4
종료 후 4일째 1 1 9
합계 3 4 38
상기 표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조성물의 경우, 젖산에 의한 피부에 대한 자극 반응이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6,8-디프레닐오로볼과 6,8-디프레닐제니스타인을 함유하는 실시예 1,2의 조성물은 젖산에 의한 피부 자극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3~4 및 비교예 2]
하기 표 6에 표시된 성분 및 함량으로 하기 실시예 3,4 및 비교예 2의 크림을 제조하였다.
크림의 제조
조성물(중량%) 실시예 비교예2
3 4
6,8-디프레닐오로볼 0.1 - -
6,8-디프레닐제니스타인 - 0.1 -
스테아린산 15 15 15
세탄올 1 1 1
수산화칼륨 0.7 0.7 0.7
글리세린 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 3 3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4] 인체에서의 아토피 증상 개선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 4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크림을 적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비슷한 정도의 증상을 나타내는 피부염 증상이 있는 패널 24명에 대하여, 각 조 8명씩 3개조로 나누어, 실시예 3, 4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매일 2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하였다.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소양감, 건조함, 각질 발생, 비듬, 홍반, 부어오름, 피부균열, 진물과 습진 및 태선화로 나누고, 상기 증상에 있는 경우 각각의 증상에 대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한 후 이를 평균하여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표시하였다.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 결과
개선 정도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현저히 개선 7 6 0
개선 1 2 2
변화 없음 0 0 5
악화 0 0 1
상기 표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6,8-디프레닐오로볼과 6,8-디프레닐제니스타인을 함유하는 실시예 3, 4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6, 8-디프레닐오로볼(6,8-diprenylorobol), 6, 8-디프레닐제니스타인(6,8-diprenylgeniste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갖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6, 8-디프레닐오로볼(6,8-diprenylorobol), 6, 8-디프레닐제니스타인(6,8-diprenylgenistein) 및 이들의 혼합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001 ~ 30.0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6, 8-디프레닐오로볼(6,8-diprenylorobol), 6, 8-디프레닐제니스타인(6,8-diprenylgenistein) 및 이들의 혼합물은 꾸지뽕나무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항염 효능은 각종 피부염, 피부 자극, 아토피, 여드름, 관절염, 결막염, 비염, 고혈압, 당뇨병, 알러지, 암, 동맥경화증, 알러지 질환, 천식, 급성통증, 만성통증, 치주염, 치은염, 염증성 장질환, 통풍,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협심증, 위궤양, 뇌경색, 다운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비만, 당뇨, 치매, 우울증, 정신분열증, 결핵, 수면장애, 패혈증, 화상 또는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항균 효능은 여드름, 비듬, 액취, 탈모, 무좀 및 충치의 예방 및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6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인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0120347A 2010-11-30 2010-11-30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1851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47A KR101851010B1 (ko) 2010-11-30 2010-11-30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47A KR101851010B1 (ko) 2010-11-30 2010-11-30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850A true KR20120058850A (ko) 2012-06-08
KR101851010B1 KR101851010B1 (ko) 2018-05-24

Family

ID=4661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347A KR101851010B1 (ko) 2010-11-30 2010-11-30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0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21B1 (ko) * 2011-10-05 2014-01-27 강인위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5599A (ko) * 2013-10-21 2015-04-29 김경자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04623375A (zh) * 2015-02-12 2015-05-20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治疗腋臭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496879A (zh) * 2017-09-22 2017-12-22 广州中医药大学第附属医院 一种天灸中药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840805A (zh) * 2019-12-04 2020-02-28 泉后(广州)生物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祛痘组合物及化妆品
KR20230090632A (ko) * 2021-12-15 2023-06-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곰팡이 독소 억제용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21B1 (ko) * 2011-10-05 2014-01-27 강인위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5599A (ko) * 2013-10-21 2015-04-29 김경자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04623375A (zh) * 2015-02-12 2015-05-20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治疗腋臭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496879A (zh) * 2017-09-22 2017-12-22 广州中医药大学第附属医院 一种天灸中药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840805A (zh) * 2019-12-04 2020-02-28 泉后(广州)生物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祛痘组合物及化妆品
CN110840805B (zh) * 2019-12-04 2020-11-13 泉后(广州)生物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祛痘组合物及化妆品
KR20230090632A (ko) * 2021-12-15 2023-06-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곰팡이 독소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010B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7294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JP4547388B2 (ja) リグナン系化合物を利用したニキビ治療方法及び組成物(methodandcompositionfortreatingacneusinglignancompounds)
KR101851010B1 (ko)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0962052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산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4151A (ko) 혼합 균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JP2015508094A (ja) Dgla、15−ohepa、及び/又は15−hetreを含む医薬組成物並びにこれを使用する皮脂生成の低減法
KR20180124432A (ko)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능을 지닌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US8142821B2 (en) Xanthohumol-enriched hop extract
KR100973221B1 (ko)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KR102525516B1 (ko) 염증후 색소과다침착의 치료를 위한 바쿠치올 조성물
TWI535449B (zh) 到手香萃取物於製備改善痤瘡之組成物之用途
KR101477959B1 (ko)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84112A1 (ja) アクネ菌株選択的抗菌剤
KR101863297B1 (ko)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20062615A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831876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7320950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5206521A (ja) 抗菌剤
JP5972732B2 (ja) 抗菌剤及び皮膚外用剤
KR20110108735A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7027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170061562A (ko)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20080044948A (ko) 선학초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ㆍ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140090794A (ko) 가지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선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