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221B1 -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 Google Patents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221B1
KR100973221B1 KR1020070086169A KR20070086169A KR100973221B1 KR 100973221 B1 KR100973221 B1 KR 100973221B1 KR 1020070086169 A KR1020070086169 A KR 1020070086169A KR 20070086169 A KR20070086169 A KR 20070086169A KR 100973221 B1 KR100973221 B1 KR 100973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duratin
staphylococcus
formula
acne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855A (ko
Inventor
황재관
김미경
송민수
심재석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에스.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에스.앤.디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8001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Nitro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 또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추출물의 항균 및 여드름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판두라틴 에이, 그의 유도체 또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추출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항균활성이 뛰어나 상기 미생물의 항균 및 여드름 치료 용도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판두라틴, 아이소판두라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

Description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Novel use of Panduratin A or derivatives thereof}
본 발명은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의 항균 및 여드름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2198524-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7062198524-pat00002
        
인체의 피부에는 수 많은 미생물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미생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Staphylococcus haemolyticus),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Staphylococcus xylosus),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Staphylococcus hominis),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Staphylococcus saprophyticus)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여드름과 염증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등이 있다(Raman A. et al., Lett. Appl. Microbiol., 21: 242-245, 1995). 이들은 정상적인 피부 내에 도 존재하며, 특히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는 여드름을 일으키는 주 원인 균이다. 상기 미생물이 먼저 모낭관을 통하여 모낭 속으로 침입하여 모낭 깊숙이 서식하면서 피지를 분해하여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을 생성하고, 여기에 포도상구균이 2차 감염 되면 붉게 부어오르고 고름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여드름은 모피지선의 염증성 질환에 기인하며, 사춘기와 젊은 연령층의 얼굴피부 모낭에 염증을 일으키는 매우 흔한 피부질환이다. 그러나 요즈음은 공기오염, 성호르몬 불균형, 약물남용, 스트레스, 내장질환 등으로 인해 여드름이 나는 연령층이 넓어지고 있다. 사춘기가 되면 남녀 모두 남성호르몬 분비가 왕성해져서 모낭 옆에 붙어있는 피지선을 자극하게 되고 그 결과 피지선이 커져 많은 피지가 분비된다. 이와 동시에 털구멍 즉 모공 입구의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접착력이 높아져 모공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된다. 그 결과 모낭 내에 피지가 쌓이고 모낭 내에 살고 있는 세균이 번식하여 염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여드름과 모피지선의 염증성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을 억제하기 위해서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살리실산(salicylic acid),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페놀(phenol), 테트라싸이크린 또는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등의 항생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테트라싸이크린 등의 항생물질 이용 방법은 피부치료에는 효과적이지만 프로피오니박테리움에 내성을 가지는 균주의 출현, 광 과민 작용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Gollnick, H. et al., Dermatology., 196: 119-125, 1998). 또한 케라틴의 제거를 주 효능으로 하는 살리실산 제제는 화농성 피부염에 사용이 불가능하며 피부발적 및 홍반을 일으킬 수 있고, 화농균을 억제하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제제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홍반이 발생할 수 있는 등 부작용이 많이 보고되어 있으며, 효능 면에서도 여드름을 완치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차나무 오일(tee tree oil), 로얄젤리 추출물(royal jelly extract), 인삼추출물(ginseng extract) 등 천연물을 이용하여 여드름을 치료하고 있으나 상기 천연물은 대부분 단일물질이 아니어서 피부 외용제나 화장품으로 제형화 할 때 첨가되는 다른 물질로 인하여 항균 활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또한 항균활성 스펙트럼이 넓지 못하여 여드름 유발균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항균작용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천연물 유래 항균 물질은 가열시 유효성분의 상당부분이 증발에 의해 소실되거나 열 안정성이 약하여 항균활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제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igaki, S. et al., J. Dermatology., 23: 310-314, 1996).
본 발명자는 피부 미생물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천연물 유래 화합물을 찾고자 장기간 탐색한 결과,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로부터 분리된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그의 유도체 또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추출물이 피부 미생물에 대한 탁월한 항균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피부 미생물에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화합물 또는 천연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또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화합물 또는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 또는 여드름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화합물 또는 추출물의 항균제 또는 여드름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미생물에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2198524-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7062198524-pat00004
        
또한, 본 발명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미생물에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미생물'이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미생물을 말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2198524-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7062198524-pat00006
        
또한 본 발명은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그의 유도체는 종래의 물질을 추출하고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Roxb.)에서 수득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의 근경(rhizome)에서 수득될 수 있다. 줄기, 뿌리 또는 잎은 목적하는 추출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절히 탈수하여 침연(macerated)하거나 단지 탈수하고, 목적하는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된다. 또한, 식물 유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그의 유도체에 상응하는 합성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구매 가능한 물질이거나, 공지의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등의 생약 자원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화학 합성법에 의하여 합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그의 유도체는 카엠페리아 판 두라타의 물 또는 C1 ~ C6의 유기용매 추출물이나 카엠페리아 판두라타를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Roxb.)는 생강과(zingiberaceae family) 식물로서, 뿌리부위는 감기, 장염, 피부질환 및 요도통증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카엠페리아 판두라타에는 피노셈브린 켈콘(pinocembrin chalcone), 카르다모닌(cardamonin), 피노셈pinocembrin), 피노스트로빈(pinostrobin), 4-하이드로판두라틴 에이(4-hydropanduratin A)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참조: Trakoontivakorn, G., 등, J. Agric . Food Chem., 49, 3046-3050, 2001), 플라보노이드 계통의 디하이드로 켈콘(dihydrochalcone) 화합물들은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참조 : Pandji, C., 등, phytochemistry, 34, 415-419, 1993). 그러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그의 유도체의 피부 미생물 특히 여드름 유발균에 대한 항균작용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판두라틴에이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그의 유도체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의 근경(rhizome) 물 또는 C1 ~ C6의 유기용매 추출물이나 카엠페리아 판두라타를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는 정제수(water),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 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엠페리아 판두라타의 추출물로부터 판두라틴에이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의 분리 및 정제는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활성 알루미나(alumina)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olumn chromatography) 및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추출 및 분리정제 방법은 반드시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그의 유도체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등 여드름 유발균에 관하여 탁월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열안정성이 뛰어나 열을 가하여도 그 항균활성이 유지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에이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최소저지농도가 각각2 ㎍/㎖, 4㎍/㎖로서 여드름치료제로 많이 사용되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최소저지농도인 500~1000 ㎍/㎖(Decker, LC. et al., Antimicro. Agents. Chemother., 33(3): 326-330, 1989)보다 훨씬 낮고, 염화벤잘코늄의 최소저지농도인 200~300 ㎍/㎖(Gloor, M. et al., Arch. Dermatol. Res., 265(2): 207-212, 1979)나 차나무의 오일 성분인 terpinen-4-ol의 최소저지농도인 300~500 ㎍/㎖(Raman, A. et al., Lett. Appl. Microbiol., 21(4): 242-245, 1995) 보다 약 150배 낮아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 는 판두라틴에이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는 상기 미생물외에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지농도가 2 ~ 4㎍/㎖로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에이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는 항균용 조성물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추출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물 또는 C1 ~ C6의 유기용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C1 ~ C6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물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최소저지농도가 각각 39, 19.5 ㎍/㎖로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은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및 항균용 조성물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항균용 조성물 또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의약품의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은 항균용 조성물 또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의약품의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의 형태로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판두라틴에이 화합물, 그의 유도체 또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 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연고제, 크림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에 의한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그의 유도체 또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화한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로,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그의 유도체 또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1회 복용량이 0.1 - 50 mg/kg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 - 10 mg/kg이며, 하루 1 - 3 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그의 유도체 또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시의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독성시험에 의한 50 % 치사량 (LD50)은 2,000 mg/kg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 및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 도포용 의약품 즉 연고, 크림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제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5.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항균활성이 낮아지고, 10.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첨가량만 많아질 뿐 항균활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 또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용 화장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세정제, 크림, 로숀, 에센스 및 화장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크림,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에센스,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되어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으나, 어떤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는가 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정제 베이스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가하고 그밖에 여드름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살리실산(Salicylic acid), 알파하이드록시산(α-hydroxy acid), 베타하이드록시산(β-hydroxy acid) 또는 황(Sulfur)등의 피부각질제거제(Keratolytic 또는 Exfoliating agents)를 첨 가할 수 있고,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성 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 및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은 화장품의 제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5.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항균활성이 낮아지고, 10.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첨가량만 많아질 뿐 항균활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 또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 추출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균,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항균활성이 뛰어나 상기 미생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또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특별히 부피 %임을 명시하지 않은 %는 중량 %를 나타낸다.
<실시예 1>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의 분리 및 구조 결정
<1-1> 카엠페리아 판두라타로부터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결정
건조 분쇄한 카엠페리아 판두라타의 근경(rhizome) 100 g(건조중량)에 100 부피% 에탄올 400 ㎖을 가하여 상온에서 이틀 동안 방치한 후, 그 용액을 와트만(Whatman) 여과지 제 2번을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에탄올 여과액을 진공농축하고 동결건조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헥산과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를 15:5:2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용출 시켰고, 진공회전농축기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카엠페리아 판두라타의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카엠페리아 판두라타의 조추출물을 TLC 플레이트 상에서 헥산과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를 15:5:2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분리시키고 이를 TLC 플레이트 분석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TLC 플레이트 분석법에 의해 확인된 추출 물의 항균활성물질을 헥산과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를 15:5:2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용매가 전개된 거리와 항균활성물질이 전개된 거리의 비율을 0.2로 조절하여 Rf=0.2의 값을 가지며, 자외선(254, 365 nm, VL-6-LC, Vilber lourmat)에서 강한 흡수대를 갖는 단일물질인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1H-NMR 스펙트럼과 13C-NMR 스펙트럼을 각각 500MHz 와 125MHz(용매: DMSO)에서 측정하여 각각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13C-NMR 스펙트럼과 1H-NMR 스펙트럼의 결과를 토대로 1H-1H의 상관관계와 1H-13C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1H-1H COSY 스펙트럼과 1H-13C COSY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과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의 질량분석을 위해 측정한 FAS/MS의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본 화합물은 FAS/MS에서 [M+H+]가 m/z 407에서 관측되어 분자량이 406로 판명되었고, 분자식은 C26H30O4이었다.
이상의 1H-NMR, 13C-NMR, 1H-1H COSY, 1H-13C HMBC 및 EI/MS에 대한 결과와 기존에 발표된 연구보고(Woo, W.S. et al., Phytochemistry, 26: 1542-1543, 1987)를 비교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실시예 1-1에서 분리된 단일 물질은 (2,6-dihydroxy-4-methoxylphenyl)-[3′-methyl-2′-(3″-methylbut-2″enyl)-6′-phenylcyclohex-3′-enyl]methanone으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2198524-pat00007
<1-2> 카엠페리아 판두라타로부터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 의 분리 및 구조결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추출된 카엠페리아 판두라타의 조추출물을 RP-18 gel 60F254, Merck를 이용하여 메탄올과 물을 9:1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용출시킨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10:0.2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다시 용출시킨후, 마지막으로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10:3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용출시켰다. TLC 플레이트 분석법에 의해 확인된 추출물의 항균활성물질을 헥산과 클로로포름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를 15:5:1.5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용매가 전개된 거리와 항균활성물질이 전개된 거리의 비율을 0.2로 조절하고, 다시   Rf=0.2의 값을 가지며, 자외선(254, 365 nm, VL-6-LC, Vilber lourmat)에서 강한 흡수대를 갖는 단일물질인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13C-NMR 스펙트럼과 1H-NMR 스펙트럼을 각각 500MHz 와 125MHz(용매: DMSO)에서 측정하여 각각 도 6과 도 7에 나타내었다. 13C-NMR 스펙트럼과 1H-NMR 스펙트럼의 결과를 토대로 1H-1H의 상관관계와 1H-13C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DEPT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의 질량분석을 위해 측정한 EI-MASS의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본 화합물은 EI/MS에서 [M+]가 m/z 406에서 관측되어 분자량이 406로 판명되었고, 분자식은 C26H30O4이었다.
이상의 13C-NMR, 1H-NMR, DEPT 및 EI/MS에 대한 결과와 기존에 발표된 연구보고(Woo, W.S. et al., Phytochemistry, 26: 1542-1543, 1987)를 비교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실시예 1-2에서 분리된 단일 물질은 (2-methoxy-4,6-dihydroxyphenyl)-[3'-methyl-2'-(3"-methylbut-2"-enyl)-6'-phenylcyclohex-3'-enyl] methanon으로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로 확인되었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62198524-pat00008
        
<실시예 2>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 평가
<2-1>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의 살균 활성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시켜 0.0004% 농도의 시료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료에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2 × 105 CFU/㎖로 희석한 후, 각각의 시험관에 100 ㎕를 첨가하고 37℃에서 각각 4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20시간, 24시간, 2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각 시료에 대해 대표적인 여드름 유발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생균수를 흡광도 625 nm에서 측정하였다.
도 10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ml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첨가한 경우 측정시간 모든 구간에서 균이 거의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0에서 판두라틴에이 화합물은 현재 항여드름 항생제로 사용되고 있는 에리스로마이 신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 결과는 먹는 약의 경우 보통 8시간에 한번씩 약을 복용하고, 연고나 바르는 약의 경우 2-4시간 내외로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 할 때 판두라틴에이 화합물을 소재로 약이나 바르는 여드름 치료제로 사용 할 경우 대표적인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살균활성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판두라틴 에이의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에 대한 살균활성을 나타내는 최소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판두라틴 에이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활성을 나타내는 최소 농도(단위: ㎍/㎖)
판두라틴에이 화합물의 농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4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4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4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4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4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4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8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2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 4
그 결과 판두라틴 에이는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뿐만 아니라 상기 미생물들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살균활성을 나타내어 유용한 항균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2>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살균 활성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시켜 0.0008% 농도의 시료로 제조하여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살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11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8㎍/ml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첨가한 경우 측정시간 모든 구간에서 균이 거의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나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소재로 약이나 바르는 여드름 치료제로 사용할 경우 대표적인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살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판두라틴 에이 유도체의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에 대한 살균활성을 나타내는 최소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판두라틴 에이 유도체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활성을 나타내는 최소 농도(단위: ㎍/㎖)
판두라틴에이 유도체의 농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8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8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8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4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4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8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4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4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 4
그 결과 판두라틴 에이 유도체 역시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뿐만 아니라 상기 미생물들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살균활성을 나타내어 유용한 항균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3>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의 최소저지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 측정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0.5% 메탄올에 용해시켜, 준비된 96-웰 플레이트에 혈액평판배지를 각각 100 ul씩 넣고, 처음 웰에만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0.1% 농도로 각각 100 ul씩 넣은 다음,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였다.  이 희석 액에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100 ㎕를 2×105 CFU/㎖가 되도록 각각의 시험관에 첨가하고, 37℃에서 24시간 이상 배양한 후 탁도를 나타내지 않는 최소저지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판두라틴 에이의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에 대한 최소저지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판두라틴 에이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지농도(단위: ㎍/㎖)
판두라틴에이 화합물의 농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2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2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2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2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2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2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4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2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 2
<2-4>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최소저지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 측정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최소저지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판두라틴 에이 유도체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지농도(단위: ㎍/㎖)
판두라틴에이 유도체의 농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4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4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 4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4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 2
스태필로코커스 하에모라이티커스 8
스태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 4
스태필로코커스 호미니스 2
스태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 2
<실시예 3>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이용한 여드름 치료 효과 확인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판두라틴 에이를 사용하여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는 여드름으로 고생하는 10대 중반에서 30대 중반의 남녀 30명을 선정하여 600 mg씩 하루 2회 4주간 투여한 후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연구 시작 전 병변의 개수에 비해 4주후 병변의 수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value <0.05).
판두라틴 에이를 경구 투여시 여드름 병변 개수 측정
  연구시작 전 평균 개수 연구 4주후 평균 개수 P-value
면포 19.12 6.82 0.0065
구진 13.86 5.57 0.011
농포 5.78 2.41 0.033
결절 0.84 0.21 0.0208
한편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연구 시작 전 병변의 개수에 비해 4주후 병변의 수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value <0.05).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경구 투여시 여드름 병변 개수 측정
  연구시작 전 평균 개수 연구 4주후 평균 개수 P-value
면포 18.52 5.78 0.0057
구진 14.25 6.23 0.013
농포 6.27 3.24 0.035
결절 0.93 0.32 0.0318
<실시예 4>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의 열안정성
<4-1>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의 열안정성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시켜 0.1% 농도의 시료로 제조한 후, 각각 60℃, 70℃, 80℃, 90℃, 100℃ 및 121℃에서 30분 동안 각각 열처리한 후 웰 확산분석법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보였다.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의 온도에 따른 항균활성 측정 결과
처리온도(℃) 60 70 80 90 100 121
판두라틴에이를 가한
플레이트의 저지환의 직경(㎜)
17 16 17 17 18 17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60℃에서 121℃까지 열처리를 한 후에도 항균활성의 감소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은 고온 처리과정에서도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열안정성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온도에 따른 항균활성 측정 결과
처리온도(℃) 60 70 80 90 100 121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가한
플레이트의 저지환의 직경(㎜)
16 17 17 16 18 17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두라틴 에이 유도체는 60℃에서 121℃까지 열처리를 한 후에도 항균활성의 감소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고온 처리과정에서도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 평가
상기 실시예 <1-1> 또는 실시예 <1-2>에서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조된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100% 에탄올 조추출물의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살균활성을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78㎍/ml의 상기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상기 여드름 유발균이 거의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에 대한 최소저지농도를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각 39 ㎍/㎖, 156 ㎍/㎖, 39 ㎍/㎖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1> 또는 실시예 <1-2>에서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조된 카엠페리아 판두라타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살균활성을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39㎍/ml의 상기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상기 여드름 유발균이 거의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최소저지농도를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19.5 ㎍/㎖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은 비교적 소량으로 상기 미생물에 대한 살균활성이 뛰어나 매우 효과적인 항균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4>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함유한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이용하여 하기의 조성을 지니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1.0, 0.1, 0.01, 0.001%의 4가지 농도로 하여 각각 물 일정량에 녹인 다음 인산 수용액과 혼합하였다. 에탄올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섞어 앞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넣어 혼합하면서 향료, 보존료를 추가하고 정제수로 중량을 조정하고, 고르게 혼화시켰다.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주
  요
  구
  성
  성
  분
판두라틴 에이
1.0%
판두라틴 에이
0.1%
판두라틴 에이
0.01%
판두라틴 에이
0.001%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에탄올(96%) 50% 에탄올(96%) 50% 에탄올(96%) 50% 에탄올(96%) 50%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보존료 0.1% 보존료 0.1% 보존료 0.1% 보존료 0.1%
<실험예 1>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함유한 화장수의 항균 활성 측정
상기 제조된 판두라틴 에이를 함유한 화장수가 각각의 농도별로 4 ㎖씩 함유된 테스트 튜브에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등 여드름 유발 균 함유 액 1 ㎖을 첨가하고 튜브를 흔들어 주면서 배양하고 24시간 후에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여드름병원성균 시험액 생균수(균수/㎖)
0시간 24시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제조예 1 2.0×105 〈1
제조예 2 2.0×105 〈1
제조예 3 2.0×105 〈2
제조예 4 2.0×105 2.1×102
판두라틴 에이를 뺀 화장수 2.0×105 4.2×103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제조예 1 5.4×105 〈1
제조예 2 5.4×105 〈1
제조예 3 5.4×105 〈2
제조예 4 5.4×105 1.8×102
판두라틴 에이를 뺀 화장수 5.4×105 3.8×103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제조예 1 6.0×105 〈1
제조예 2 6.0×105 〈1
제조예 3 6.0×105 〈3
제조예 4 6.0×105 2.5×102
판두라틴 에이를 뺀 화장수 6.0×105 6.2×103
상기 표 9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용화장수는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뺀 성분과 비교할 때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등 여드름 유발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제조예 5-8>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함유한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이용하여 <제조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의 조성을 지니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
1.0%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
0.1%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
0.01%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
0.001%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에탄올(96%) 50% 에탄올(96%) 50% 에탄올(96%) 50% 에탄올(96%) 50%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보존료 0.1% 보존료 0.1% 보존료 0.1% 보존료 0.1%
<실험예 2>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함유한 화장수의 항균 활성 측정
상기 제조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함유한 화장수를 이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여드름병원성균
 
시험액
 
생균수(균수/㎖)
0시간 24시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제조예 5 2.0×105 〈1
제조예 6 2.0×105 〈1
제조예 7 2.0×105 〈3
제조예 8 2.0×105 1.7×102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뺀 화장수 2.0×105 4.8×103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제조예 5 5.4×105 〈1
제조예 6 5.4×105 〈1
제조예 7 5.4×105 〈2
제조예 8 5.4×105 2.3×102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뺀 화장수 5.4×105 5.7×103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제조예 5 6.0×105 〈1
제조예 6 6.0×105 〈1
제조예 7 6.0×105 〈2
제조예 8 6.0×105 2.1×102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뺀 화장수 6.0×105 5.2×103
상기 표 10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용화장수는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뺀 성분과 비교할 때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등 여드름 유발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제조예 9-12>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함유한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이용하여 하기 조성을 지니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B로 표시된 물질들을 75~80℃에서 녹이고, C로 표시된 물질 중 세틸알코올과 보존료를 같은 온도에서 녹였다. C를 B에 유화시킨 다음 A로 표시된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3.0, 0.1, 0.01, 0.001%의 농도로 각각 넣어 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향료를 넣고 정제수로 정량을 맞추어 제조하였다.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주
  요
  구
  성
  성
  분
A 판두라틴 에이
3.0%
판두라틴 에이
0.1%
판두라틴 에이
0.01%
판두라틴 에이
0.001%
B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C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보존료 0.1% 보존료 0.1% 보존료 0.1% 보존료 0.1%
<실험예 3>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함유한 크림의 항균 활성 측정
상기 제조된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을 함유한 크림이 각각의 농도별로 4 ㎖씩 함유된 테스트 튜브에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등 여드름 유발균을 함유하는 액을 1 ㎖ 첨가하고 튜브를 흔들어주면서 배양하고 24시간 후에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여드름병원성균 시험액 생균수(균수/㎖)
0시간 24시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제조예 9 2.0×105 〈1
제조예 10 2.0×105 〈1
제조예 11 2.0×105 〈6
제조예 12 2.0×105 8.4×102
판두라틴 에이를 뺀 크림 2.0×105 4.1×103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제조예 9 5.4×105 〈1
제조예 10 5.4×105 〈1
제조예 11 5.4×105 〈8
제조예 12 5.4×105 4.3×102
판두라틴 에이를 뺀 크림 5.4×105 7.0×103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제조예 9 6.0×105 〈1
제조예 10 6.0×105 〈1
제조예 11 6.0×105 〈4
제조예 12 6.0×105 2.3×102
판두라틴 에이를 뺀 크림 6.0×105 2.1×103
상기 표 1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크림은 판두라틴 에이를 뺀 성분과 비교할 때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등 여드름 유발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제조예 13-16>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함유한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이용하여 <제조예 9-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조성을 지니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제조예 16






 
 
 
 
A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
3.0%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
0.1%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
0.01%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
0.001%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B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C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보존료 0.1% 보존료 0.1% 보존료 0.1% 보존료 0.1%
<실험예 4>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함유한 크림의 항균 활성 측정
상기 제조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함유한 크림을 이용하여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여드름병원성균
 
시험액
 
생균수(균수/㎖)
0시간 24시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제조예 13 2.0×105 〈1
제조예 14 2.0×105 〈1
제조예 15 2.0×105 〈7
제조예 16 2.0×105 7.8×102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뺀 크림 2.0×105 4.5×103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제조예 13 5.4×105 〈1
제조예 14 5.4×105 〈1
제조예 15 5.4×105 〈6
제조예 16 5.4×105 3.9×102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뺀 크림 5.4×105 6.8×103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제조예 13 6.0×105 〈1
제조예 14 6.0×105 〈1
제조예 15 6.0×105 〈7
제조예 16 6.0×105 2.5×102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뺀 크림 6.0×105 2.3×103
상기 표 1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크림은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를 뺀 성분과 비교할 때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등 여드름 유발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실험예 5>
판두라틴 에이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한 크림의 피부 적용
<제조예 9>에서 제조한 판두라틴 에이 함유 크림을 사용하여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는 여드름으로 고생하는 10대 중반에서 30대 중반의 남녀 30명을 선정하여 적량씩 하루 2회 4주간 피부 적용 후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연구 시작 전 병변의 개수에 비해 4주후 병변의 수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value <0.05).
판두라틴 에이를 피부 적용 시 여드름 병변 개수 측정
  연구시작전 평균 개수 연구 4주후 평균 개수 P-value
면포 19.43 5.19 0.0081
구진 17.90 6.05 0.0027
농포 5.81 2.05 0.0225
결절 0.75 0.22 0.031
한편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함유 크림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연구 시작 전 병변의 개수에 비해 4주후 병변의 수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value <0.05).
피부 적용 시 여드름 병변 개수 측정
  연구시작전 평균 개수 연구 4주후 평균 개수 P-value
면포 18.92 4.97 0.0075
구진 18.82 7.04 0.0031
농포 6.53 3.02 0.0232
결절 0.58 0.18 0.025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1H-1H COSY 스펙트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1H-13C HMBC 스펙트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FAB-Mass 스펙트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DEPT 스펙트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EI/MS 스펙트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생균수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대조구인 디메틸술폭사이드
■: 0.0004% 농도의 판두라틴 에이 시료
▲: 0.0004% 농도의 에리스로마이신 시료
도 11은 본 발명의 분리 정제된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생균수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대조구인 디메틸술폭사이드
■: 0.0008% 농도의 판두라틴 에이의 유도체의 시료
▲: 0.0008% 농도의 에리스로마이신 시료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또는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712009004345511-pat00009
    <화학식 2>
    Figure 712009004345511-pat00010
            
  2. 삭제
  3.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의 물 또는 C1 ~ C6의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또는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1 ~ C6의 유기용매는 C1 ~ C6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판두라틴 에이(panduratin A)의 유도체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또는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에 의한 여드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20530159-pat00022
    <화학식 2>
    Figure 112009020530159-pat00023
  7. 카엠페리아 판두라타(Kaempferia pandurata)의 물 또는 C1 ~ C6의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또는 마이크로코코스 루테우스에 의한 여드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1 ~ C6의 유기용매는 C1 ~ C6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70086169A 2006-08-25 2007-08-27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KR100973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1372 2006-08-25
KR1020060081372 2006-08-25
KR20060101088 2006-10-17
KR1020060101088 200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855A KR20080018855A (ko) 2008-02-28
KR100973221B1 true KR100973221B1 (ko) 2010-08-02

Family

ID=3910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169A KR100973221B1 (ko) 2006-08-25 2007-08-27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3221B1 (ko)
WO (1) WO20080239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65A (ko) 2018-05-17 2019-11-27 이호규 핑거루트 추출물의 독성 제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독성이 제거된 핑거루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무독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1747A (ko) 2019-08-19 2021-03-02 이호규 천연식물 화장품소재 핑거루트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0574B1 (en) * 2007-10-17 2019-06-26 Newtree Co., Ltd.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KR20090093477A (ko) * 2008-02-29 2009-09-02 (주)아모레퍼시픽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질환 예방 또는개선을 위한 조성물
JP5619752B2 (ja) * 2008-10-09 2014-11-05 ニュートゥ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パンドラチン誘導体またはボエセンベルギアパンドラタ抽出物の新規な用途
KR101698201B1 (ko) * 2010-05-20 2017-01-19 (주)뉴트리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증가 촉진, 항-피로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CN113493487B (zh) * 2021-04-29 2022-05-17 深圳海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化合物和组合物及其在制备促进益生菌增殖和/或抑制有害菌生长的产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34B1 (ko) * 2002-01-09 2005-05-31 황재관 판두라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충치 및 치주염 예방과치료용 항균제 및 구강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14, No.2, pp.286-289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 Vol.23, pp.377-381 (2004)*
Phytochemistry, Vol.59 pp.169-173 (200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65A (ko) 2018-05-17 2019-11-27 이호규 핑거루트 추출물의 독성 제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독성이 제거된 핑거루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무독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1747A (ko) 2019-08-19 2021-03-02 이호규 천연식물 화장품소재 핑거루트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855A (ko) 2008-02-28
WO2008023966A1 (en)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7388B2 (ja) リグナン系化合物を利用したニキビ治療方法及び組成物(methodandcompositionfortreatingacneusinglignancompounds)
KR100721421B1 (ko)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솔방울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00215145A1 (en) Use of polyphenol containing sugar cane extracts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 skin condition
KR100973221B1 (ko)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KR101135172B1 (ko) 황백, 어성초, 선학초,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5542145B2 (ja) イワヤツデ抽出物およびそれから分離した活性成分を含む抗菌性薬学組成物
KR101921050B1 (ko) 천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항균 조성물
KR102004468B1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120065034A (ko) 피부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41258A (ko) 제이에스원의 신규한 용도
KR20170065187A (ko) 티트리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2416652B1 (ko)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239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323781B1 (ko) 대량강으로부터 추출한 항균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항민감성 피부용 화장료조성물
EP2512495B1 (en) Process for obtaining a standardised extract of quercetin an 3-o-methylquercetin from flowers of macela (achyrocline satureioides), an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extract
KR20230080174A (ko) 미성숙 탱자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76873A (ko)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175110B1 (ko) 지누아리 및 비단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61992A (ko) 차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또는 항주름용 조성물
KR20210130595A (ko) 도깨비바늘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KR20240040440A (ko) 검은지느러미 빙어 추출물 또는 에메랄드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24

Effective date: 201006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10069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24

Effective date: 2010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