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837A -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837A
KR20170110837A KR1020160035117A KR20160035117A KR20170110837A KR 20170110837 A KR20170110837 A KR 20170110837A KR 1020160035117 A KR1020160035117 A KR 1020160035117A KR 20160035117 A KR20160035117 A KR 20160035117A KR 20170110837 A KR20170110837 A KR 2017011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hotographing
touch
imag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엽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6003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0837A/ko
Priority to US16/087,481 priority patent/US20190098213A1/en
Priority to CN201780004157.3A priority patent/CN108370417A/zh
Priority to EP17770551.4A priority patent/EP3435654A4/en
Priority to PCT/KR2017/002926 priority patent/WO2017164581A1/ko
Priority to JP2018528284A priority patent/JP2019505879A/ja
Publication of KR2017011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4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터치 압력을 포함한 터치 정보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복수의 촬영 모드로 동작 가능한 카메라부,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제1 촬영 모드에서 피사체가 촬영되는 중, 터치 스크린에 소정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가해지면, 제2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터치 압력에 기초한 제어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한 다양한 촬영 모드를 매우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MOBILE TERMINAL CAPABLE OF EASILY CONVERTING PHOTOGRAPHING MODES AND PHOTOGRAPHING MODE CONVERTING METHOD}
본 발명은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을 갖는 터치에 기초해 촬영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및 그 촬영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 등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가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그 중 터치 스크린은, 조작의 용이성, 제품의 소형화 및 제조공정의 단순화 등 다양한 이점을 갖고 있어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은 터치 스크린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 스크린을 커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 등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해당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해당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여부 및 위치를 검지하고 연산을 수행하여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대부분의 장치(예: 모바일 단말, PDA 등)는 사용자의 터치 여부 및 위치를 판단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해당 장치는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검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구동하거나 종료한다. 각 장치는, 터치 시간, 회수 또는 패턴에 기초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롱 터치, 더블 터치, 멀티 터치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터치 제어 방식은 터치 위치, 패턴 및 시간에 기초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므로, 제어할 수 있는 동작이 한정된다. 각종 장치의 기능이 통합화되고, 그 기능 또한 날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종래 터치 제어 방식에서 탈피할 수 있는 새로운 터치 방식이 요구된다.
다만, 종래의 터치 제어 방식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새로운 터치 방식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분할에 의하지 않고 양자를 동시에 검출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압력에 기초한 새로운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 촬영 모드를 손쉽게 전환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터치 압력을 포함한 터치 정보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복수의 촬영 모드로 동작 가능한 카메라부;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제1 촬영 모드에서 피사체가 촬영되는 중, 상기 터치 스크린에 소정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가해지면, 제2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터치에 기초해 상기 제1 촬영 모드 및 상기 제2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설정부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1 촬영 모드 및 상기 제2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가 획득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는 시점에 비디오 촬영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 비디오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비디오 촬영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촬영된 비디오 영상을 저장하고 다시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는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2D 이미지를 촬영하는 2D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촬영하는 3D 촬영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는 화각, 최소 조리개값, 최단 촬영 거리, 줌 배율, 화소수 및 ISO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전면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 및 후면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팬포커싱 촬영 또는 아웃포커싱 촬영을 위한 심도 조절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카메라부는 조리개값 및 초점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 심도를 조절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터치 압력 및 터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팬포커싱 촬영하거나 아웃포커싱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가 증가하면 이미지의 심도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가 감소하면 상기 이미지의 심도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저속 촬영 모드 또는 고속 촬영을 위한 속도 조절 모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시간당 획득되는 프레임수를 조절하여 이미지를 저속 촬영하거나 고속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터치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저속 촬영 및 고속 촬영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카메라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선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는 시점에 파노라마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 파노라마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에 상기 파노라마 촬영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이미지의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상기 터치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색온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상기 터치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상기 색온도의 수치 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소정 시간이 카운팅된 후 이미지를 촬영하는 타이머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촬영이 개시된 후 소정 시간이 카운팅된 후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타이머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부터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에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소정 시간 또는 카운팅되는 시간의 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필터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필터 적용 모드이고, 상기 필터 적용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각각의 필터링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터치가 복수의 필터링 이미지가 위치한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면, 해당 영역에 표시된 필터링 이미지만을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압력 전극 및 기준 전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압력 전극과 상기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가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촬영 모드 전환 방법으로, 제1 촬영 모드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초기 촬영 단계; 획득된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촬영 모드에서 제2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전환 촬영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터치에 기초해 상기 제1 촬영 모드 및 상기 제2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영 모드 또는 상기 제2 촬영 모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이미지를 독출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는 시점에 비디오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비디오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 비디오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비디오 촬영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촬영된 비디오를 저장하고 다시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는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2D 이미지를 촬영하는 2D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촬영하는 3D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화각, 최소 조리개값, 최단 촬영 거리, 줌 배율, 화소수 및 ISO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는 전면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 및 후면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팬포커싱 촬영 또는 아웃포커싱 촬영을 위한 심도 조절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조리개값 및 초점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 이미지의 심도를 조절하여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터치 압력 및 터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팬포커싱 촬영하거나 아웃포커싱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가 증가하면 이미지의 심도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도록 조절하고,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가 감소하면 상기 이미지의 심도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조절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저속 촬영 모드 또는 고속 촬영을 위한 속도 조절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시간당 획득되는 프레임수를 조절하여 이미지를 저속 촬영하거나 고속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터치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저속 촬영 및 고속 촬영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카메라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선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는 시점에 파노라마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 파노라마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에 상기 파노라마 촬영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이미지의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이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상기 터치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상기 터치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상기 색온도의 수치 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필터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필터 적용 모드이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각각의 필터링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터치가 복수의 필터링 이미지가 위치한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면, 해당 영역에 표시된 필터링 이미지만을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소정 시간이 카운팅된 후 이미지를 촬영하는 타이머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촬영이 개시된 후 소정 시간이 카운팅된 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타이머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부터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 또는 카운팅되는 시간의 변화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압력 전극 및 기준 전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압력 전극과 상기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에 의하면, 터치 압력에 기초한 제어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한 다양한 촬영 모드를 매우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의 층구조를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포함된 터치 입력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상호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3D 터치 여부 및/또는 세기를 검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자기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3D 터치 여부 및/또는 세기를 검출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촬영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9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제10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는 서로 상이하지만 상호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아울러, 후술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에 대한 언급은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은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워치(smart watch), 태블릿 PC,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를 비롯하여, 카메라, 캠코더,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을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모바일 단말은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이동식 단말을 의미한다. 즉, 통신 기능이 갖춰진 핸드폰 등의 통신 장치뿐만 아니라, 통신 기능이 갖춰지지 않았지만,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카메라, 캠코더 등의 장치까지 모두 아우르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모바일 단말(1000)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은 터치 스크린(100), 카메라부(200), 모드 설정부(300), 메모리(400), 제어부(500) 및 기타 유닛(600)을 포함한다. 기타 유닛(60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610), 오디오부(620), 통신부(630), 센서부(640) 및 타이머(6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0)은 디스플레이(110)와 터치 입력부(120)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 및 입력 수단으로 기능한다. 여기서, 입력 수단으로서의 기능은, 터치 스크린(100)의 표면(예: 터치 센서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편광층(polarizer) 등)에 이루어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고, 그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동작(예: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음성/화상 통화 등)을 실행한다.
상기 터치 정보는 2D 터치 정보 및 3D터치 정보를 포함한다. 즉, 터치가 입력되었는지(터치 여부), 터치가 터치 스크린 표면의 어느 위치에 입력되었는지(터치 위치)에 대한 2D 터치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터치 정보는 터치가 2D 터치인지,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갖는 3D 터치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3D 터치는 터치 스크린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 터치 위치에서 터치 스크린 표면에 휨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가지는 터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 표면의 휨이 없어도, 별도의 압력 센서가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가지는 터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 및 터치 입력부(120)의 구조, 기능 및 동작과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부(200)는 렌즈를 통해 받아들여진 빛을 이미지 센서가 감지하여 디지털 정보로 변환된 뒤,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해 디지털 이미지로 재구성한다. 이때,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일 수 있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RAW, JPEG, TIFF, GIF, MPO 등의 정지 이미지용 포맷이나 AVI, MPEG, DV, MOV, MJPEG 등의 동적 이미지용 포맷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200)는 적어도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카메라에 구비된 렌즈는 화각, 최단 촬영 거리, 줌 배율 및 최소 조리개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카메라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는 화소수나 ISO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화소수는 이미지 센서가 광자를 감지하는 화소의 개수로 이미지의 크기나 해상도(선명도)를 좌우한다. ISO는 이미지 센서가 빛에 반응하는 감도 값을 의미하며, 이미지 촬영시의 광량을 결정한다.
또한, 카메라부(200)는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는 모바일 단말(1000)의 전면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모바일 단말(10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이란 터치 스크린(100)이 구비된 면을 의미하고, 후면이란 그 반대면을 의미한다.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와 후면에 배치된 카메라는 서로 같은 사양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화각, 최단 촬영 거리, 줌 배율, 최소 조리개, 화소수 및 ISO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서로 다른 사양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부(200)는 소정 거리 이격된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카메라는 모바일 단말(10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200)는 3D 이미지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3D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2개의 카메라에 의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한다.
모드 설정부(300)는 카메라부(200)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드 설정부(300)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터치 스크린(1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200)의 촬영 모드를 설정한다.
카메라부(200)의 촬영 모드에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 아웃포커싱 이미지를 촬영하는 아웃포커싱 촬영 모드,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 화이트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 필터링 이미지를 생성하는 필터 적용 모드, 타이머 촬영을 위한 타이머 촬영 모드, 고속 촬영이나 저속 촬영을 위한 속도 조절 촬영 모드, 팬포커스 및 아웃 포커스 촬영을 위한 심도 조절 모드, 2D 촬영 모드, 3D 촬영 모드, 전면 카메라 모드, 후면 카메라 모드, 복수 사양의 카메라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은 촬영 모드와 관련한 사용자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터치 스크린(100) 상에 텍스트, 색상, 아이콘 등을 표시하는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400)는 카메라부(200)에서 생성한 각종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거나, 상기 모드 설정부(300)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메모리(400)에 저장된 이미지는 사용자 조작 신호에 기초해 터치 스크린(100)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터치 스크린(100)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조작(명령)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100), 카메라부(200), 모드 설정부(300), 메모리(400) 및 후술할 기타 유닛(600)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500)의 제어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 외의 구성으로, 기타 유닛(600)은 각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610), 음성 및 사운드의 입출력에 관여하는 오디오부(620), 통신 단말과의 음성 통신이나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630), 자이로 센서, 가속 센서, 진동 센서, 근접 센서, 자석 센서 등과 같은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센서부(640) 및 통화 시간이나 터치 지속 시간 등을 확인하기 위한 타이머(6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성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교체될 수 있고, 또 다른 구성이 더 부가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100)의 구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의 터치 스크린(100)의 층구조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의 터치 스크린(100)은 터치 센서 패널(121), 디스플레이(110), 압력 검출 모듈(122) 및 기판(123)을 포함한다. 도 2에서, 터치 센서 패널(121), 압력 검출 모듈(122) 및 기판(123)은 도 1의 터치 입력부(120)에 대응되고, 디스플레이(110)는 도 1의 디스플레이(110)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텍스트, 이미지(정지 이미지, 동적 이미지, 3D 이미지 등), 색상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터치 센서 패널(121)은 2D 터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2D 터치는, 후술할 3D 터치에 대응되는 용어로서, 단순히 접촉만 이루어진 터치나 소정 크기 미만의 압력을 가지는 터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에 휨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힘을 갖는 터치, 또는, 별도의 압력 센서가 압력으로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힘을 갖는 터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2D 터치에 대한 정보는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보, 터치 스크린 표면에 이루어진 터치의 위치나 개수, 터치의 이동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압력 검출 모듈(122)은 3D 터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3D 터치는 위의 2D 터치에 대응되는 용어로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 터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에 휨이 생길 수 있는 정도의 힘을 갖는 터치, 또는, 별도의 압력 센서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갖는 터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3D 터치에 대한 정보는 3D 터치의 세기나 그 변화, 3D 터치의 지속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기판(123)은 3D 터치 검출에 이용되는 기준전위층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기준전위층이 압력 검출 모듈(122) 하부에 배치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압력 검출 모듈(122)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11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기준전위층(기판(123))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기준전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압력 검출 모듈(122)의 배치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2D 터치 검출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의 터치 스크린(100)에 포함된 터치 입력부(12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터치 센서 패널(121)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 3a는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121) 및 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패널(121)은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 및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하며, 터치 센서 패널(121)의 동작을 위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2), 및 터치 센서 패널(121)의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감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21)은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21)의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이 직교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패턴의 어레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구동 전극(TX)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을 포함하고, 수신 전극(RX)은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121)에서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절연막(미도시)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하나의 절연막(미도시)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은 제1절연막(미도시)의 일면에 그리고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상기 제1절연막과 다른 제2절연막(미도시)의 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 (RX1 내지 RXm)은 투명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산화주석(SnO2) 및 산화인듐(In2O3) 등으로 이루어지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구동 전극(TX) 및 수신 전극(RX)은 다른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불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 전극(TX) 및 수신 전극(RX)은 은잉크(silver ink), 구리(copper) 또는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전극(TX) 및 수신 전극(RX)은 메탈 메쉬(metal mech)로 구현되거나 은나노(nano silver)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2)는 구동신호를 구동 전극(TX1 내지 TXn)에 인가할 수 있다. 구동신호는 제1구동 전극(TX1)부터 제n구동 전극(TXn)까지 순차적으로 한 번에 하나의 구동 전극에 대해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신호의 인가는 재차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동 전극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수도 있다.
감지부(11)는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수신 전극(RX1 내지 RXm)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신호는 구동 전극(TX)에 인가된 구동신호가 구동 전극(TX)과 수신 전극(RX)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구동 전극(TX1)부터 제n구동 전극(TXn)까지 인가된 구동신호를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감지하는 과정은 터치 센서 패널(100)을 스캔(scan)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10)는 각각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수신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해당 수신 전극(RX)의 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구간에 온(on)되어서 수신 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기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신기는 증폭기(미도시) 및 증폭기의 부(-)입력단과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 즉 궤환 경로에 결합된 궤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증폭기의 정(+)입력단은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궤환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리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셋 스위치는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전류에서 전압으로의 변환을 리셋할 수 있다. 증폭기의 부입력단은 해당 수신 전극(RX)과 연결되어 정전용량(CM: 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신호를 수신한 후 적분하여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감지부(11)는 수신기를 통해 적분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미도시: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후,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되어 터치 센서 패널(121)에 대한 터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감지부(11)는 수신기와 더불어, ADC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구동부(12)와 감지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구동부(12)에 전달하여 구동신호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구동 전극(TX)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감지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감지부(11)에 전달하여 감지부(11)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수신 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a에서 구동부(12) 및 감지부(11)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터치 스크린(1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미표시)를 구성할 수 있고, 터치 검출 장치는 제어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센서 패널(121)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1000)에서 터치 센싱 회로인 터치 센싱 IC(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상에 집적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100)에 포함된 구동 전극(TX) 및 수신 전극(RX)은 예컨대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 및/또는 회로 기판상에 인쇄된 전도성 패턴(conductive pattern)등을 통해서 터치 센싱 IC(미도시)에 포함된 구동부(12) 및 감지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센싱 IC는 전도성 패턴이 인쇄된 회로 기판, 예컨대 제1인쇄 회로 기판(이하에서, 제1PCB로 지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싱 IC는 모바일 단말(1000)의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 상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동 전극(TX)과 수신 전극(RX)의 교차 지점마다 소정 값의 정전용량(Cm, 1)이 생성되며, 손가락, 손바닥 혹은 스타일러스(stylus) 등과 같은 객체(U)가 터치 센서 패널(121)에 근접하는 경우 이러한 정전용량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3a에서 상기 정전용량은 상호 정전용량(Cm)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감지부(11)에서 감지하여 터치 센서 패널(121)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으로 이루어진 터치 센서 패널(121)의 표면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 패널(121)에 대한 터치가 일어날 때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 전극(TX)을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2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터치 센서 패널(121)에 대한 터치시 수신 전극(RX)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로부터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1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에서는 구동 전극(TX)과 수신 전극(RX)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Cm)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여부 및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패널(121)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b와 같이, 자기 정전용량(self capacitance)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21)은 복수의 터치 전극(3)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3)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3)에 의해 생성된 구동제어신호는 구동부(12)에 전달되고, 구동부(12)는 구동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터치 전극(3)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3)에 의해 생성된 감지제어신호는 감지부(11)에 전달되고, 감지부(11)는 감지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터치 전극(3)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감지신호는 터치 전극(3)에 형성된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이때, 감지부(11)가 감지한 감지신호에 의하여, 터치 센서 패널(121)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가 검출된다. 예컨대, 터치 전극(3)의 좌표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터치 센서 패널(121)의 표면에 대한 객체(U)의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서, 상호 정전용량(Cm) 변화량 및 자기 정전용량(Cs)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패널(121)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전술한 방법들 이외에도 표면 정전용량 방식, 프로젝티드(projected)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SAW: surface acoustic wave), 적외선(infrared) 방식, 광학적 이미징 방식(optical imaging), 분산 신호 방식(dispersive signal technology) 및 음성 펄스 인식(acoustic pulse recognition) 방식 등 임의의 터치 센싱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조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의 터치 스크린(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의 디스플레이(110)와 터치 센서 패널(121)의 다양한 층구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4c는 LC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110)를 예시하며, 도 4d 및 4e는 OLE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110)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패널은 액정 셀(liquid crystal cell)을 포함하는 액정층(111), 액정층(111)의 양단에 전극을 포함하는 제1글라스층(112)과 제2글라스층(113), 그리고 상기 액정층(111)과 대향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제1글라스층(112)의 일면에 제1편광층(114) 및 상기 제2글라스층(113)의 일면에 제2편광층(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글라스층(112)은 컬러필터 글라스(color filter glass)일 수 있고, 제2글라스층(113)은 TFT 글라스(TFT glass)일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LCD 패널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변형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도 4a는 터치 센서 패널(121)이 디스플레이(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때, 터치가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1000)의 표면은 터치 센서 패널(121)의 표면이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터치는 터치 센서 패널(121)의 상면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0)에 대한 터치 표면은 디스플레이(110)의 외면이 될 수 있다. 도 4a에서 터치 표면이 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0)의 외면은 디스플레이(110)의 제2편광층(115)의 하부면이 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10)를 보호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110)의 하부면은 유리와 같은 커버층(미도시)으로 덮여있을 수 있다.
도 4b 및 4c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21)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4b에서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21)이 제1글라스층(112)과 제1편광층(1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0)에 대한 터치 표면은 디스플레이(110)의 외면으로서 도 4b의 도시된 층구조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될 수 있다.
도 4c에서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21)이 액정층(111) 안에 포함된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0)에 대한 터치 표면은 디스플레이(110)의 외표면으로, 도 4c의 도시된 층구조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될 수 있다. 도 4b 및 4c에서, 터치 표면이 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유리와 같은 커버층(미도시)으로 덮여있을 수 있다.
도 4d 및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ED 패널은 편광층(118), 제1글라스층(117), 유기물층(116) 및 제2글라스층(119)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글라스층(117)은 인캡슐레이션 글라스이고, 제2글라스층(119)은 TFT 글라스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기물층(116)은 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주입층), HTL(Hole Transfer Layer, 정공수송층), EIL(Emission Material Layer, 전자주입층), ETL(Electron Transfer Layer, 전자수송층), EML(Electron Injection Layer,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HIL은 정공을 주입시키며, CuPc 등의 물질을 이용한다. HTL은 주입된 정공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고, 주로, 정공의 이동성(hole mobility)이 좋은 물질을 이용한다. HTL은 아릴라민(arylamine), TP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EIL과 ETL은 전자의 주입과 수송을 위한 층이며,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EML에서 결합되어 발광한다. EML은 발광되는 색을 표현하는 소재로서, 유기물의 수명을 결정하는 호스트(host)와 색감과 효율을 결정하는 불순물(dopant)로 구성된다. 이는, OLED 패널에 포함되는 유기물층(280)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은 유기물층(116)의 층구조나 소재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물층(116)은 애노드(Anode)(미도시)와 캐소드(Cathode)(미도시) 사이에 삽입되며, TFT가 온(On) 상태가 되면, 구동 전류가 애노드에 인가되어 정공이 주입되고 캐소드에는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물층(116)으로 정공과 전자가 이동하여 빛을 발산한다.
도 4d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21)은 편광층(118)과 제1글라스층(117) 사이에 위치하고, 도 4e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21)이 유기물층(116)과 제2글라스층(119) 사이에 위치한다.
제1글라스층(117)은 인캡슐레이션 글라스(Encapsulation glass)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글라스층(119)은 TFT 글라스(TFT gla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OLED 패널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물질이 빛의 색깔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OLED는 유리나 플라스틱 위에 유기물을 도포해 전기를 흘리면, 유기물이 광을 발산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유기물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정공과 전자를 주입하여 발광층에 재결합시키면 에너지가 높은 상태인 여기자(excitati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떨어지면서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특정한 파장의 빛이 생성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발광층의 유기물에 따라 빛의 색깔이 달라진다.
OLED는 픽셀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있는 픽셀의 동작특성에 따라 라인 구동 방식의 PM-OLED(Pass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개별 구동 방식의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가 존재한다. 양자 모두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매우 얇게 구현할 수 있고, 각도에 따라 명암비가 일정하고, 온도에 따른 색 재현성이 좋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미구동 픽셀은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동작 면에서 PM-OLED는 높은 전류로 스캐닝시간(scanning time) 동안만 발광을 하고, AM-OLED는 낮은 전류로 프레임 시간(frame time)동안 계속 발광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AM-OLED는 PM-OLED에 비해서 해상도가 좋고,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이 유리하며,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내장하여 각 소자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정교한 화면을 구현하기 쉽다.
3D 터치 검출
도 5a 내지 5d,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의 터치 입력부(12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의 압력 검출 모듈(122)의 동작 및 검출 방식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5d는 압력 검출 모듈(122)이 압력 전극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3D 터치 여부 및/또는 세기를 검출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와 기판(123) 사이에 스페이서층(S)이 위치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배치의 압력 전극(P1, P2)은 기판(30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검출 모듈(122)은 압력 검출을 위한 압력 전극으로 제1전극(P1)과 제2전극(P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P1)과 제2전극(P2) 중 어느 하나는 구동전극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수신전극일 수 있다.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를 획득한다. 전압이 인가되면, 제1전극(P1)과 제2전극(P2) 사이에 상호 정전용량(Cm)이 생성된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100)에 3D 터치, 즉, 압력을 가지는 터치가 인가된 경우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110)의 하부면은 노이즈 차폐를 위해 그라운드(ground) 전위를 가질 수 있다. 객체(U)를 통해 터치 스크린(100)의 표면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갖는 3D 터치가 인가된 경우, 터치 센서 패널(121) 및 디스플레이(110)가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전위층인 그라운드 전위면과 2개의 압력 전극(P1,P2) 사이의 거리가 d에서 d'로 감소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의 하부면으로 프린징 정전용량이 흡수되므로 제1전극(P1)과 제2전극(P2)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감소한다. 이를 이용하여,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감소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모듈(122)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c에 도시된 전극 배치에서, 압력 전극(P1,P2)은 디스플레이(110)와 기판(123) 사이에 위치하되, 디스플레이(110)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23)은 기준전위층으로서 그라운드 전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3D 터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기판(123)과 압력 전극(P1,P2) 사이의 거리가 d에서 d'로 감소하고, 그 결과, 제1전극(P1)과 제2전극(P2)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변한다.
도 5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모듈(122)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P1)과 제2전극(P2) 중 어느 하나는 기판(123)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d에서는 제1전극(P1)이 기판(123)에 형성되고 제2전극(P2)이 디스플레이(110)의 하부에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물론, 제1전극(P1)과 제2전극(P2)의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도 5d의 구조에서도, 그 원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객체(U)를 통해 터치 스크린(100)의 표면에 3D 터치를 인가하면, 휨이 발생하고, 제1전극(P1)과 제2전극(P2) 사이의 거리(d)가 감소하며, 거리가 d에서 d'로 감소함에 따라 제1전극(P1)과 제2전극(P2)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변한다. 따라서,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감소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3D 터치 여부 및 세기의 검출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압력 전극의 자기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압력 검출 모듈(122)이 압력 전극 사이의 자기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3D 터치 여부 및/또는 세기를 검출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 모듈(122)은 디스플레이(110)의 하부에 형성된 압력 전극(P3)을 이용한다. 압력 전극(P3)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3D 터치 여부 및/또는 그 세기를 검출한다.
구동부(20)는 압력 전극(P3)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감지부(21)는 압력 전극(P3)을 통해 압력 전극(P3)과 기준전위를 가지는 기준전위층(123)(예를 들어, 기판) 사이의 정전용량을 측정함으로써 3D 터치 여부 및/또는 세기를 검출한다.
구동부(20)는 예컨대 클록 생성기(미도시) 및 버퍼(buffer)를 포함하여 펄스 형태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압력 전극(P3)에 인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소자를 통해 구동부를 구현할 수 있고, 구동신호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동부(20)와 감지부(21)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칩(chi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20)와 감지부(21)는 압력 검출기를 구성할 수 있다.
압력 전극(P3)은 기준전위층(123)과의 사이에서 정전용량 변화량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압력 전극(P3)과 기준전위층(123) 사이에 마주하는 면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압력 전극(P3)은 판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압력 검출과 관련하여, 여기서는 하나의 압력 전극(P3)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복수 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채널을 구성함으로써, 다중터치(multi touch)에 따라 다중의 압력 크기 검출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압력 전극(P3)과 기준전위층(123)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압력 전극(P3)의 자기 정전용량이 변하게 되며, 이러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정보를 감지부(21)가 감지하여 3D 터치 여부 및 그 세기를 검출한다.
도 6b는 위에서 설명한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한 3D 터치 검출을 위한 압력 검출 모듈(122)의 층구조를 나타낸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전극(P3)은 기준전위층(123)과 소정의 이격 거리(d)를 두고 배치된다. 이때, 압력 전극(P3)과 기준전위층(123) 사이에는, 객체(U)에 의해 인가된 압력에 따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deformable) 물질이 배치될 수도 있다. 압력 전극(P3)과 기준전위층(123) 사이에 배치된 형태 변형이 가능한 물질은 공기(air), 유전체, 탄성체 및/또는 충격흡수물질일 수 있다.
객체(U)가 터치 표면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갖는 3D 터치를 인가하면, 인가된 압력에 의해 압력 전극(P3)과 기준전위층(123)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고, 이격 거리(d)가 감소한다.
도 6c는 객체(U)에 의해 압력이 인가되어, 터치 표면이 하방으로 휜 상태를 도시한다. 압력 전극(P3)과 기준전위층(123) 사이의 거리가 d에서 d'로 가까워짐에 자기 정전용량이 변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전극(P3)과 기준전위층(123) 사이에 생성되는 자기 정전용량 값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렇게 생성된 자기 정전용량 변화 여부 및 그 변화량은, 감지부(21)에 의하여 측정되어, 3D 터치 여부 및/또는 세기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모드 설정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의 제어부(500)는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제1 촬영 모드로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부(200)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200)가 획득한 이미지는 터치 스크린(100)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그때,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의 객체(U)가 터치 스크린(100)에 3D 터치를 가하면, 제어부(500)는 3D 터치에 의해 가해진 압력의 세기를 판단하여, 그 세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3D 터치의 세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이며, 제2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부(200)를 제어한다.
이때, 제1 촬영 모드 및 제2 촬영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촬영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설정 메뉴에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와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간의 전환(SET1), 2D 촬영 모드와 3D 촬영 모드간의 전환(SET2), 상이한 사양의 카메라 모드 전환(SET3), 심도 조절 모드로의 전환(SET4), 전면 카메라 모드와 후면 카메라 모드간의 전환(SET5), 고속 촬영 모드와 저속 촬영 모드간의 전환(SET6),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의 전환(SET7), 화이트 밸런스 조절 모드로의 전환(SET8), 필터 적용 모드로의 전환(SET9) 및 타이머 촬영 모드로의 전환(SET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메뉴는 상기 구성(SET1 내지 SET10) 외에 다른 전환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도 7a에서는 라디오버튼식의 선택 방법을 도시했지만, 이와 달리 체크박스, 스크롤바, 리스트박스 등 다른 형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와 달리 촬영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영 모드를 심도 조절 모드로 설정하고, 제2 촬영 모드를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먼저 심도 조절 모드로 동작하되,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3D 터치가 가해지면, 심도 조절 모드에서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위의 구성(SET1 내지 SET10)들은 예시에 불과하고, 임의의 조합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2개의 촬영 모드 전환을 언급했지만, 더 많은 개수의 촬영 모드를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촬영 모드, 제2 촬영 모드 및 제3 촬영 모드를 설정한 경우,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3D 터치가 가해질 때마다, 순차적으로 촬영 모드를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D 터치와 3D 터치를 모두 이용하거나, 터치 시간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를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D 터치가 2초 이상 지속되면 제1 촬영 모드에서 제2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3D 터치가 인가되면 제1 촬영 모드에서 제3 촬영 모드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촬영 모드 전환 조건(터치 방식(2D,3D) 또는 터치 시간) 역시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진 촬영 모드 ↔ 비디오 촬영 모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사진 촬영 모드와 비디오 촬영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1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1000)에서 터치 스크린(100)은 카메라부(200)가 촬영하고 있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사진 촬영을 수행한다.
사진 촬영 모드로 동작 중,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3D 터치가 입력되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3D 터치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 터치를 말하며, 도 5a 내지 5d, 및 6a 내지 6c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3D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라면, 3D 터치는 터치 스크린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 터치에 의하여, 휨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가지는 터치를 의미한다.
이와 달리 모바일 단말(1000)이 별도의 압력 센서(예를 들어, 압전 센서(piezoelectric sensor)나 포스 센서(force sensor) 등)를 이용하여 3D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라면, 그 별도의 압력 센서가 터치 스크린에 소정 크기의 압력이 인가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터치를 의미한다.
3D 터치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500)는 모드 설정부(300)에 설정된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카메라부(200)가 제2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제2 촬영 모드가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이므로, 사진 촬영 모드에서 비디오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제어부(500)는 비디오 촬영에 필요한 각종 정보(예: 촬영 시간)를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할 수 있다.
비디오 촬영 개시 시점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는 3D 터치에 의해 비디오 촬영 모드로 전환된 이후, 3D 터치가 해제되는 시점에 비디오 촬영이 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3D 터치의 입력 시점에 촬영 모드를 사진 촬영 모드에서 비디오 촬영 모드로 변환시키고, 3D 터치의 해제 시점에 비디오 촬영을 개시한다. 이때, 비디오 촬영의 종료는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100) 조작(예: 종료 버튼을 누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3D 터치의 입력 시점에, 사진 촬영 모드에서 비디오 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동시에 비디오 촬영이 개시될 수 있다. 이후, 3D 터치의 해제 시점에 비디오 촬영이 종료될 수 있다.
한편, 비디오 촬영 모드로 전환된 후 비디오 촬영을 수행하다가 3D 터치가 해제되면 다시 사진 촬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촬영된 비디오 영상은 다시 사진 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시점에 메모리(400)에 저장될 수 있다.
2D 촬영 모드 ↔ 3D 촬영 모드
도 9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2D(two dimensional) 촬영 모드와 3D(three dimensional) 촬영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2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200)는 3D 이미지 촬영을 위해 우안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좌안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를 촬영하기에 최적화된 3D 전용 렌즈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3D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야 한다. 그 이격 거리가 최소 10cm 이상 필요한 경우에는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가 모바일 단말(1000)의 배면 상단부와 배면 하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이격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
카메라부(200)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서 촬영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3D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110)는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며, 이는 종래의 다양한 3D 디스플레이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을 흐리지 않기 위해, 3D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500)는 2D 촬영 모드로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다가, 3D 터치가 입력되면, 촬영 모드를 3D 촬영 모드로 전환한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터치 스크린을 조작(예: 촬영 버튼 터치)하여 3D 촬영을 수행(우안 이미지 및 좌안 이미지의 획득)하고, 획득된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는 3D 이미지 생성부로 전달되어 영상 처리된 후 3D 이미지로 생성된다.
생성된 3D 이미지는 메모리(400)에 저장되거나,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0)은 화면의 일부 영역에 현재 촬영 모드가 2D 촬영 모드인지 3D 촬영 모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드 ↔ 제2 카메라 모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제1 카메라 모드와 제2 카메라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3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카메라부(200)는 화각, 화소수, 최단 촬영 거리, ISO, 줌 배율 및 최소 조리개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모바일 단말(1000)의 전면에 배치되어도 좋고, 후면에 배치되어도 좋다. 한편, 제1 카메라는 모바일 단말(10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는 모바일 단말(1000)의 후면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상이한 화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60°∼80°사이의 넓은 화각을 갖는 광각렌즈, 30°이하의 좁은 화각을 갖는 망원렌즈, 표준 화각(44°∼55°)의 렌즈 또는 180°의 화각을 갖는 어안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상이한 화소수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 각각 구비된 이미지 센서(예: CCD)는 수백만 내지 수천만 개의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획득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며,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해상도에 따라,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상이한 최단 촬영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최단 촬영 거리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거리를 의미하며,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초점 거리가 다른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최단 촬영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접사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최단 촬영 거리가 짧은 카메라를 선택해 원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상이한 ISO를 가질 수 있다. ISO는 이미지 센서가 빛을 받아들일 때 빛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ISO가 높을수록 사진이 밝아진다. 예를 들어, 저감도의 ISO는 노이즈가 적은 반면 셔터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화창한 날이나 야외 촬영에 적합하고, 고감도(예: ISO400 이상)의 ISO는 셔터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두운 실내에서 촬영하기 적합하다. 사용자는 촬영 환경에 적합한 ISO를 가진 카메라를 선택하여 양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상이한 줌 배율을 가질 수 있다. 최단 초점 거리에 대한 최장 초점 거리의 비율을 렌즈의 배율이라 하는데, 이는 렌즈의 화각에도 관여한다. 사용자는 이미지에 거리에 따라 적정 줌 배율을 갖는 카메라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구도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상이한 최소 조리개값을 가질 수 있다. 조리개값이 작을수록 조리개가 최대로 개방되므로, 최소 조리개값이 작은 렌즈를 이용하면 밝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값을 줄여 아웃포커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절한 조리개값을 갖는 카메라를 선택하여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메라부(200)는 표준 렌즈를 구비한 제1 카메라와 어안 렌즈를 구비한 제2 카메라를 포함한다. 제1 카메라 모드로 촬영을 수행하다가, 3D 터치가 입력되면, 촬영 모드를 제1 카메라 모드에서 제2 카메라 모드로 전환한다.
도 10의 제2 카메라는 어안 렌즈를 구비하므로, 터치 스크린(100)에 어안 렌즈로 촬영되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터치 스크린을 조작(예를 들어, 촬영 버튼 터치)을 통해 이미지를 획득한다.
사진 촬영 모드 ↔ 심도 조절 촬영 모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사진 촬영 모드와 심도 조절 촬영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4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심도(depth of field)는 피사체의 초점이 선명하게 포착되는 영역을 말하며, 초점이 맞는 범위가 넓을수록 심도가 깊어져 팬포커스(pan focuse) 효과를 갖고, 초점이 맞는 범위가 좁을수록 심도가 얕아져 아웃포커스(out focus) 효과를 갖는다.
심도는 조리개값 또는 초점 거리로 조절가능하다. 조리개값이 크면 조리개가 많이 닫혀 광량이 줄어들고 심도가 깊어져 팬포커스 효과를 갖고, 조리개값이 작으면 조리개가 많이 열려 광량이 많아지고 심도가 얕아져 아웃포커스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아웃포커스 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조리개값을 최대로 낮춰야 한다. 또한, 초점거리가 길수록 아웃포커스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촬영 모드로 동작 중 3D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500)는 촬영 모드를 사진 촬영 모드에서 심도 조절 촬영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500)는 심도 조절 촬영 모드로 촬영 중 아웃포커스 모드 또는 팬포커스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터치의 이동 정보를 더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도 조절 촬영 모드 전환 후, 터치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팬포커스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터치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아웃포커스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심도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도록 제어되고, 터치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심도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제어되거나, 그 역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3D 터치의 세기에 따라 심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500)는 3D 터치의 압력을 판단하여, 3D 터치의 압력이 증가하면 심도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도록 제어되고 3D 터치의 압력이 감소하면 심도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제어되거나, 그 역으로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부(200)는 팬포커스 모드 또는 아웃포커스 모드의 전환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개값이나 초점거리를 변경시켜, 양자를 전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3D 터치가 인가되면, 사진 촬영 모드에서 바로 팬포커스 모드로 바로 전환되거나, 사진 촬영 모드에서 바로 아웃포커스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 모드 ↔ 후면 카메라 모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전면 카메라 모드와 후면 카메라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5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부(200)는 모바일 단말(1000)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 및 전면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후면 카메라 및 전면 카메라의 사양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중 3D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500)는 촬영 모드를 전면 카메라 모드로 전환한다. 전면 카메라는 셀프 촬영, 즉, 사용자 자신의 사진을 촬영할 때 유리하다. 전면 카메라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0)을 조작(예: 촬영 버튼 터치)을 통해 셀프 카메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비디오 촬영 모드 ↔ 속도 조절 모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비디오 촬영 모드와 속도 조절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6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저속 촬영은 표준 속도 이하로 촬영되어 기준 시간에 더 적은 수의 프레임을 획득하는 촬영을 말한다. 저속 촬영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다시 표준 속도로 재생하면 피사체의 움직임이 빨라지므로 운동감이나 속도감이 증진된다. 타임랩스(time lapse) 기법이라 부르기도 한다.
고속 촬영은 표준 속도 이상으로 촬영되어 기준 시간에 더 많은 수의 프레임을 획득하는 촬영을 말한다. 고속 촬영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다시 표준 속도로 재생하면 피사체의 움직임이 느려져서 운동감이나 속도감이 현저히 떨어진다. 슬로우모션(slow motion) 기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때, 촬영 속도(즉, 기준 시간에 획득되는 프레임 수)는 터치 스크린(100)을 통해 입력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10초, 1/2초, 1~5초 등 프레임을 획득하도록 프레임 인터벌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촬영 모드로 동작 중 3D 터치가 입력되면 촬영 모드가 속도 조절 모드로 전환된다. 제어부(500)는 3D 터치가 입력되는 시점에 저속 촬영 모드 또는 고속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500)는 3D 터치 입력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저속 촬영 모드 또는 고속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3D 터치 여부 및 터치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저속 촬영 모드 및 고속 촬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터치가 인가된 후, 터치가 상방으로 이동하면(2D 터치 또는 3D 터치의 이동일 수 있음), 제어부(500)는 촬영 모드를 타임랩스 촬영을 위한 저속 촬영 모드로 선택될 수 있다.
반대로, 3D 터치가 인가된 후, 터치가 하방으로 이동하면(2D 터치 또는 3D 터치의 이동일 수 있음), 제어부(500)는 촬영 모드를 슬로우모션 촬영을 위하나 고속 촬영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3D 터치의 세기에 따라 저속 촬영 및 고속 촬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다. 즉, 3D 터치의 세기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각 구간에 대응하는 세기가 인가되면, 저속 촬영 및 고속 촬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선택된 촬영 모드를 터치 스크린(100)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진 촬영 모드 ↔ 파노라마 촬영 모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사진 촬영 모드와 파노라마 촬영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7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파노라마 촬영은 카메라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획득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이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200)는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이미지 구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촬영 모드로 동작 중 3D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500)는 촬영 모드를 사진 촬영 모드에서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100)은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방향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선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가이드선에 맞추어 모바일 단말(1000)을 수평 이동시키고, 카메라부(20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정 시간 혹은 소정 간격마다 이미지를 획득한다. 획득되는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소정 시간 혹은 소정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지 구성부(미도시)는 복수의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한다.
사진 촬영 모드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사진 촬영 모드와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8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색온도는 표현되는 이미지의 색감을 결정한다. 색온도가 낮으면 적색 빛을 띠고, 색온도가 높으면 청색 빛을 띤다. 이에 따라 인간이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색감과는 전혀 다른 색감이 이미지상에 연출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이다. 이는, 각 색상(R,G,B)에 게인을 조정하여, 인간의 시각이 감지하는 것과 가장 일치하도록 이미지의 색감을 보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이트밸런스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되는 방식과, 촬영 환경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진 촬영 모드로 동작 중 3D 터치가 인가되면, 제어부(500)는 촬영 모드를 사진 촬영 모드에서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로 전환한다.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00)은 화이트밸런스의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화이트밸런스 조절은 3D 터치의 세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100)에 대한 3D 터치의 세기가 증가하면 색온도가 높아지도록 조절되고, 터치 스크린(100)에 대한 3D 터치의 세기가 감소하면 색온도가 낮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이트밸런스 조절이 3D 터치의 세기 및 터치 이동 방향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터치가 인가되고, 터치 위치(2D 터치 혹은 3D 터치의 위치)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색온도가 높아지고,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색온도가 낮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화이트밸런스가 조절될 때, 색온도의 변화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진 촬영 모드 ↔ 필터 적용 모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9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사진 촬영 모드와 필터 적용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9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이미지 필터링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부(200)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색상, 톤, 휘도, 채도, 화이트밸런스를 변경함으로써 이미지를 보정하거나 왜곡시키면, 사진의 느낌이나 톤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촬영 모드로 동작 중 3D 터치가 인가되면, 다양한 필터링을 적용한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용된 필터의 개수만큼 터치 스크린(100)의 화면을 분할하여, 필터링된 이미지를 분할된 영역에 각각 표시한다. 각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각 필터링이 적용된 이미지이고, 사용자는 각 필터링 이미지를 눈으로 확인하고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필터링 이미지의 선택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100)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2D 터치 또는 3D 터치)가 특정 필터링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한 뒤, 해당 영역에서 터치가 해제되면, 그 필터링 이미지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 터치 스크린(100)은 선택된 필터링 이미지를 다시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진 촬영 모드 ↔ 타이머 촬영 모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에서, 제10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인, 사진 촬영 모드와 필터 적용 모드간의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 방식은, 터치 스크린(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도 7a의 SET10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500)는 사진 촬영 모드로 동작 중 3D 터치가 입력되면, 촬영 모드를 타이머 촬영 모드로 전환한다. 타이머 촬영 모드란 촬영 개시 후 소정 시간이 카운팅된 이후에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드이다.
이때,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크린(100) 조작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정 시간은 타이머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부터 3D 터치가 해제된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터치가 입력되어 타이머 촬영 모드로 전환된 뒤, 3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3D 터치를 해제하면, 3초 뒤에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 경우, 상기 소정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0)은 소정 시간 또는 카운팅되는 시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0)은 2D 터치뿐만 아니라 소정 크기의 압력을 갖는 3D 터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더욱 쉽고 다양한 전환 방식을 제공한다. 다만, 도 8 내지 도 16은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언급한 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촬영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00)와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100)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1000)에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제1 촬영 모드로 이미지를 촬영하면서(S900), 촬영되는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S910). 이후, 터치 스크린(100)에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되었는지 판단하고(S920), 터치 압력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촬영 모드에서 제2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이미지를 촬영한다(S930).
여기서, 제1 촬영 모드가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인 경우, 제2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 아웃포커싱 이미지를 촬영하는 아웃포커싱 촬영 모드,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 화이트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 필터링 이미지를 생성하는 필터 적용 모드 및 타이머 촬영을 위한 타이머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1 촬영 모드가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인 경우, 제2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 또는 고속 촬영이나 저속 촬영을 위한 속도 조절 촬영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200)는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제1 촬영 모드가 2D 이미지 촬영을 위한 2D 촬영 모드인 경우, 제2 촬영 모드는 3D 이미지 촬영을 위한 3D 촬영 모드이고, 제1 촬영 모드가 전면 카메라 촬영을 위한 전면 카메라 모드인 경우, 제2 촬영 모드는 후면 카메라 촬영을 위한 후면 카메라 모드이며, 제1 촬영 모드가 제1 카메라로 촬영하는 모드인 경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와 상이한 사양을 갖는 제2 카메라로 촬영하는 모드일 수 있다.
위에서는 제1 촬영 모드에서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된 뒤 제2 촬영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지만, 3D 터치의 입력에 의해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된 뒤, 3D 터치가 해제되는 시점에 다시 제1 촬영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소정 크기 이상의 3D 터치가 해제된다는 의미는 객체(사용자 손가락 등)와 터치 스크린(100)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객체와 터치 스크린(100) 사이의 접촉은 유지되되 3D 터치의 압력(힘)이 소정 크기 미만으로 줄어드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지만, 반드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및 효과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조합, 수정, 변경, 전환, 대체, 부가, 수정, 변형 및 응용되어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합, 수정, 변경, 전환, 대체, 부가, 수정된 사항 역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100‥‥‥‥‥‥‥터치 스크린
200‥‥‥‥‥‥‥카메라부
300‥‥‥‥‥‥‥모드 설정부
400‥‥‥‥‥‥‥메모리
500‥‥‥‥‥‥‥제어부
600‥‥‥‥‥‥‥기타 구성
1000‥‥‥‥‥‥‥모바일 단말

Claims (53)

  1. 터치 압력을 포함한 터치 정보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복수의 촬영 모드로 동작 가능한 카메라부;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제1 촬영 모드에서 피사체가 촬영되는 중, 상기 터치 스크린에 소정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가해지면, 제2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터치에 기초해 상기 제1 촬영 모드 및 상기 제2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설정부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1 촬영 모드 및 상기 제2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획득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인 모바일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는 시점에 비디오 촬영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 비디오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비디오 촬영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촬영된 비디오 영상을 저장하고 다시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모바일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2D 이미지를 촬영하는 2D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촬영하는 3D 촬영 모드인 모바일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3D 이미지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화각, 최소 조리개값, 최단 촬영 거리, 줌 배율, 화소수 및 ISO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인 모바일 단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전면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 및 후면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 모드인 모바일 단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팬포커싱 촬영 또는 아웃포커싱 촬영을 위한 심도 조절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카메라부는 조리개값 및 초점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 심도를 조절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바일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압력 및 터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피사체를 팬포커싱 촬영하거나 아웃포커싱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가 증가하면 이미지의 심도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가 감소하면 상기 이미지의 심도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저속 촬영 모드 또는 고속 촬영을 위한 속도 조절 모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시간당 획득되는 프레임수를 조절하여 피사체를 저속 촬영하거나 고속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터치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저속 촬영 및 고속 촬영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바일 단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모바일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카메라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선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는 시점에 파노라마 촬영을 개시하는 모바일 단말.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 파노라마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에 상기 파노라마 촬영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이미지의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상기 터치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색온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상기 터치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상기 색온도의 수치 변화를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소정 시간이 카운팅된 후 이미지를 촬영하는 타이머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촬영이 개시된 후 소정 시간이 카운팅된 후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타이머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부터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에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소정 시간 또는 카운팅되는 시간의 변화를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필터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필터 적용 모드이고,
    상기 필터 적용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각각의 필터링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터치가 복수의 필터링 이미지가 위치한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면, 해당 영역에 표시된 필터링 이미지만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압력 전극 및 기준 전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압력 전극과 상기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가해졌는지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
  29.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촬영 모드 전환 방법으로,
    제1 촬영 모드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초기 촬영 단계;
    획득된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촬영 모드에서 제2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전환 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터치에 기초해 상기 제1 촬영 모드 및 상기 제2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 또는 상기 제2 촬영 모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이미지를 독출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는 시점에 비디오 촬영을 개시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비디오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 비디오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비디오 촬영을 종료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촬영된 비디오를 저장하고 다시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2D 이미지를 촬영하는 2D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촬영하는 3D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화각, 최소 조리개값, 최단 촬영 거리, 줌 배율, 화소수 및 ISO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인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전면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 및 후면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 모드인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팬포커싱 촬영 또는 아웃포커싱 촬영을 위한 심도 조절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조리개값 및 초점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 이미지의 심도를 조절하여 촬영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터치 압력 및 터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피사체를 팬포커싱 촬영하거나 아웃포커싱 촬영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가 증가하면 이미지의 심도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도록 조절하고,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가 감소하면 상기 이미지의 심도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조절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저속 촬영 모드 또는 고속 촬영을 위한 속도 조절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시간당 획득되는 프레임수를 조절하여 피사체를 저속 촬영하거나 고속 촬영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터치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저속 촬영 및 고속 촬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이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카메라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선을 표시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되는 시점에 파노라마 촬영을 개시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 파노라마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에 상기 파노라마 촬영을 종료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이미지의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화이트밸런스 조절 모드이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상기 터치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의 세기 및 상기 터치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상기 색온도의 수치 변화를 표시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필터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필터 적용 모드이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각각의 필터링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터치가 복수의 필터링 이미지가 위치한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면, 해당 영역에 표시된 필터링 이미지만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5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소정 시간이 카운팅된 후 이미지를 촬영하는 타이머 촬영 모드이며,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촬영이 개시된 후 소정 시간이 카운팅된 후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타이머 촬영 모드로 전환된 시점부터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이 해제된 시점에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촬영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 또는 카운팅되는 시간의 변화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5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압력 전극 및 기준 전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터치 압력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압력 전극과 상기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촬영 모드 전환 방법.
KR1020160035117A 2016-03-24 2016-03-24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KR20170110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17A KR20170110837A (ko) 2016-03-24 2016-03-24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US16/087,481 US20190098213A1 (en) 2016-03-24 2017-03-20 Mobile terminal facilitating image capture mode switching, and method therefor
CN201780004157.3A CN108370417A (zh) 2016-03-24 2017-03-20 能轻易转换拍摄模式的移动终端及拍摄模式转换方法
EP17770551.4A EP3435654A4 (en) 2016-03-24 2017-03-20 MOBILE TERMINAL FOR IMAGE RECORDING MODE SWITCHING AND RELATED METHOD
PCT/KR2017/002926 WO2017164581A1 (ko) 2016-03-24 2017-03-20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JP2018528284A JP2019505879A (ja) 2016-03-24 2017-03-20 撮影モードの切り替えが容易なモバイル端末及び撮影モード切替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17A KR20170110837A (ko) 2016-03-24 2016-03-24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848A Division KR20170113516A (ko) 2017-09-21 2017-09-21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837A true KR20170110837A (ko) 2017-10-12

Family

ID=5989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117A KR20170110837A (ko) 2016-03-24 2016-03-24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98213A1 (ko)
EP (1) EP3435654A4 (ko)
JP (1) JP2019505879A (ko)
KR (1) KR20170110837A (ko)
CN (1) CN108370417A (ko)
WO (1) WO2017164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165A (ko) * 2016-12-14 2018-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6851052B (zh) * 2017-01-16 2020-05-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7135352A (zh) * 2017-04-28 2017-09-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滤镜选项排序的方法及装置
JP6961451B2 (ja) * 2017-10-12 202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639970B (zh) * 2018-12-17 2021-07-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终端设备
CN113949803B (zh) * 2020-07-16 2023-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拍照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4473A (ja) * 1996-11-26 1998-06-19 Sharp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H11355617A (ja) * 1998-06-05 1999-12-2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器付きカメラ
KR20040063596A (ko) * 2003-01-08 200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전화용 카메라 렌즈부 구조
JP2005070738A (ja) * 2003-08-04 2005-03-17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10189B2 (ja) * 2003-09-24 2009-01-14 フジ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624745B2 (ja) * 2004-09-08 2011-02-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および撮像操作方法
US7657171B2 (en) * 2006-06-29 2010-02-02 Scenera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ackground blurring when capturing an image using an image capture device
JP4692770B2 (ja) * 2006-12-27 2011-06-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眼デジタルカメラ
US20090195959A1 (en) * 2008-01-31 2009-08-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085866B1 (en) * 2008-01-31 2010-06-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566195B1 (ko) * 2009-02-20 2015-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9807B1 (ko) * 2009-05-15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JP2011086191A (ja) * 2009-10-16 2011-04-28 Sony Corp 電子機器
KR101603112B1 (ko) * 2009-10-20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링 방법 및 필터링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JP5611805B2 (ja) * 2010-12-22 2014-10-2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カメラ
KR20120122314A (ko) * 2011-04-28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3070303A (ja) * 2011-09-26 2013-04-18 Kddi Corp 画面への押圧で撮影が可能な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41395B2 (ja) * 2011-11-16 2015-07-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装置
JP6071616B2 (ja) * 2012-03-22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50044297A (ko) * 2013-10-16 2015-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16246B1 (ko) * 2014-08-07 202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1329B1 (ko) * 2014-09-29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633923B1 (ko) * 2015-06-19 2016-06-27 주식회사 하이딥 스마트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5879A (ja) 2019-02-28
CN108370417A (zh) 2018-08-03
EP3435654A1 (en) 2019-01-30
EP3435654A4 (en) 2020-01-08
US20190098213A1 (en) 2019-03-28
WO2017164581A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0837A (ko)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JP6246292B2 (ja) 光検出機能を備えるoledディスプレイ装置
CN112367471B (zh) 摄像装置
JP2020507275A (ja) 表示画面アセンブリ、電子機器および画像取得方法
CN108600712B (zh) 一种图像传感器、移动终端及图像拍摄方法
JP2007036492A (ja) El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デジタルカメラ
CN108965666B (zh) 一种移动终端及图像拍摄方法
CN108965665B (zh) 一种图像传感器及移动终端
JP2010224063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1044479A (ja) センサ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センサ装置、ならびに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3791571B1 (en) Terminal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CN108900751A (zh) 一种图像传感器、移动终端及拍摄方法
CN101783884B (zh) 摄像装置
CN108900772A (zh) 一种移动终端及图像拍摄方法
US20190114022A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easily capturing image and image capturing method
WO2019054031A1 (ja) 撮像制御装置、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EP2717568A2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KR20190038518A (ko)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KR20170113516A (ko)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KR102374428B1 (ko) 그래픽 센서, 이동 단말 및 그래픽 촬영 방법
CN108965703A (zh) 一种图像传感器、移动终端及图像拍摄方法
US11163430B2 (en) Method for selecting screen on touch screen by using pressure touch
KR20170130331A (ko) 화면 캡처가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화면 캡처 방법
JP2012134861A (ja) 電子カメラ
KR20230069759A (ko)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