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195B1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195B1
KR101566195B1 KR1020090014409A KR20090014409A KR101566195B1 KR 101566195 B1 KR101566195 B1 KR 101566195B1 KR 1020090014409 A KR1020090014409 A KR 1020090014409A KR 20090014409 A KR20090014409 A KR 20090014409A KR 101566195 B1 KR101566195 B1 KR 101566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rag input
function
input area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231A (ko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1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입력받는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의 제1 지점까지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의 제2 지점까지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반셔터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셔터 기능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and a method for a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의 셔터 기능은 촬상 소자로 입력된 신호를 촬영하는 기능이다. 최근에는 많은 디지털 촬영 장치들이 셔터 기능뿐만 아니라 반셔터 기능을 함께 구비한다. 반셔터 기능은 촬영 전에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고, 초점이 맞춰진 피사체에 따라 초점 거리, 측광, 조리개 값, 셔터 속도 등을 설정하는 기능이다. 또한 일정 시간 후에 촬영이 되도록 하는 타이머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에서는, 타이머가 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터치스크린의 널리 보급되면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과 입력 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하거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터치하면, 해당 지점에서 입력을 인식한다.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와 입력 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해당 지점을 직접 터치하여 입력을 하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이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전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 시 셔터 버튼을 누르는 압력으로 인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촬영 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입력받는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의 제1 지점까지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의 제2 지점까지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반셔터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셔터 기능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난 초점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받는 제2 드래그 입력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드래그 입력 영역의 일단 지점 및 타단 지점 사이로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줌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줌 기능은 상기 일단 지점 내지 상기 타단 지점 사이의 상기 드래그 입력의 중단 위치에 따라 줌의 정도를 달 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받는 제3 드래그 입력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3 드래그 입력 영역의 일단 지점 및 타단 지점 사이로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심도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도 조절 기능은 상기 일단 지점 내지 상기 타단 지점 사이의 상기 드래그 입력의 중단 위치에 따라 심도를 달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받는 제4 드래그 입력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4 드래그 입력 영역의 일단 지점 및 타단 지점 사이로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색 온도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 온도 조절 기능은 상기 일단 지점 내지 상기 타단 지점 사이의 상기 드래그 입력의 중단 위치에 따라 색 온도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 및 상기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의 제1 지점까지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의 제2 지점까지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반셔터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셔터 기능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셔터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촬영 시 셔터 버튼을 누르는 압력으로 인해 디지털 촬영 장치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촬영 영상의 흔들림을 줄이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광학부(110), 광학 구동부(111), 촬상소자(115), 촬상소자 제어부(116), 조작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17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0)는 피사체로부터의 입력된 광학 신호를 촬상 소자(115)로 제공한다. 광학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 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1)가 광학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1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는 조작부(120)와 더불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도 2는 종래의 셔터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 면이다.
종래의 디지털 촬영 장치는 셔터 버튼(102a)의 다단 압력 입력 방식에 의하여 셔터 기능 및 반셔터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S1 지점까지 셔터 버튼을 누르는 1단 버튼을 누르면 반셔터 기능이 수행되고, S2 지점까지 셔터 버튼을 누르는 2단 버튼을 누르면 셔터 기능이 수행한다. 다단 압력 입력 방식에서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체가 쓰이기 때문에 셔터 기능 또는 반셔터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셔터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셔터 버튼을 누르는 압력에 의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몸체가 흔들려, 촬영 영상이 흔들리고 촬영 영상의 화질이 열하되게 된다. 또한 반셔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S1 지점까지만 셔터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셔터 버튼을 누르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어려운 조작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디지털 촬영 장치가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셔터 버튼을 터치스크린 상의 드래그 입력으로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입력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 하나 이상의 드래그 입력 영역(310, 320, 330, 및 340)을 제공하고, 드래그 입력 영역(310, 320, 330, 및 340)을 통하여 셔터 입력, 줌 조절 입력, 심도 조절 입력, 및/또는 색 온도 조절 입력 등을 입력받는다. 본 발명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 제2 드래그 입력 영역(320), 제3 드래그 입력 영역(330), 및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4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10, 320, 330, 및 340) 중 어느 것을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할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설계 시 결정되거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drag)라 함은 터치스크린 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한 지점까지 스타일러스 펜 또는 손가락 등의 터치스크린 입력 도구를 끌어오는 터치스크린 입력을 지칭한다.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은 반셔터 기능 실행 및 셔터 기능 실행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드래그 입력 영역이다.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은 반셔터 기능을 위해 정의된 제1 지점(314) 및 셔터 기능을 위해 정의된 제2 지점(316)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시작 지점(312)으로부터 제1 지점(314)까지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면, 반셔터 기능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시작 지점(312)으로부터 제2 지점(316)까지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면, 셔터 기능이 실행된다. 만일 반셔터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지점(314)으로부터 제2 지점(316)으로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면, 반셔터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셔터 기능이 실행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드래그 입력을 통하여 반셔터 기능과 셔터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현재 상태로부터 디지털 촬영 장치가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시작 지점(312)으로부터 제1 지점(314)까지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여 반셔터 기능이 실행된 상태라면, 제1 드래 그 입력 영역의 시작 지점(312)부터 제1 지점(314)까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바탕색과는 다른 색으로 도 3과 같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을 보고 현재 디지털 촬영 장치가 반셔터 기능이 실현된 상태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제2 드래그 입력 영역(320)은 줌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위한 드래그 입력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드래그 입력 영역(320)의 일단 지점(322)과 타단 지점(324) 사이에서 드래그 입력을 행함으로써, 줌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줌의 정도는 드래그 입력이 중단된 일단 지점(322)과 타단 지점(324) 사이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고, 사용자가 일단 지점(322)에 가까운 위치에서 멈출수록 줌 아웃이되고, 타단 지점(324)에 가까운 위치에서 멈출수록 줌 인이될 수 있다.
제3 드래그 입력 영역(330)은 심도 조절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위한 드래그 입력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드래그 입력 영역(330)의 일단 지점(332)과 타단 지점(334) 사이에서 드래그 입력을 행함으로써, 심도 조절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심도는 드래그 입력이 중단된 일단 지점(332)과 타단 지점(334) 사이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고, 사용자가 일단 지점(332)에 가까운 위치에서 멈출수록 심도가 줄어들고, 타단 지점(334)에 가까운 위치에서 멈출수록 심도가 늘어날 수 있다.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40)은 색 온도 조절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위한 드래그 입력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40)의 일 단 지점(342)과 타단 지점(344) 사이에서 드래그 입력을 행함으로써, 색 온도 조절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색 온도는 드래그 입력이 중단된 일단 지점(342)과 타단 지점(344) 사이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고, 사용자가 일단 지점(342)에 가까운 위치에서 멈출수록 색 온도가 낮아지고, 타단 지점(344)에 가까운 위치에서 멈출수록 색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예시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들(310, 320, 330, 및 340)은 터치스크린(160a) 내의 어느 위치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들(310, 320, 330, 및 34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300a)은 사용자로부터 반셔터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드래그 입력이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으로 입력된 후에, 자동 초점이 맞춰진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들(310, 320, 330, 및 34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300a)을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기능 및/또는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받는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을 제공한다(S402). 이를 위해 터치스크린에 제1 드래그 입력 영역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제1 지점까지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기능 을 수행한다(S404).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기능은 반셔터 기능이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제2 지점까지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기능을 수행한다(S406).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기능은 셔터 기능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에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 제2 드래그 입력 영역(320), 제3 드래그 입력 영역(330), 및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4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공한다(S502).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10, 320, 330, 및 340) 중 어느 것을 터치스크린에 제공할지는 설계 시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제1 지점까지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기능을 수행한다(S504).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기능은 반셔터 기능이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제2 지점까지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기능을 수행한다(S506).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기능은 셔터 기능이다.
또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2 드래그 입력 영역(320)의 일단 지점(322)과 타단 지점(324) 사이에서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줌 기능을 실행한다(S508). 줌의 정도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드래그 입력 영역(320) 상의 드래그 입력이 중단된 지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3 드래그 입력 영역(330)의 일단 지점(332)과 타단 지점(334) 사이에서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심도 조절 기능을 실행한다(S510). 심도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3 드래그 입력 영역(330) 상의 드래그 입력이 중단된 지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40)의 일단 지점(342)과 타단 지점(344) 사이에서 터치스크린을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색 온도 조절 기능을 실행한다(S512). 색 온도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40) 상의 드래그 입력이 중단된 지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10, 320, 330, 및 340)에 드래그 입력을 행하는 단계들(S504 내지 S512)의 순서는 구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도 6에 나타난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터치스크린(160), 터치스크린 제어부(710), 및 촬영 제어부(72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60)은 도 1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160)에는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160)에는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10, 320, 330, 및 34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표시된다. 터치스크린(160)은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10, 320, 330, 및 34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의 드래그 입력을 입력받는다.
터치스크린 제어부(7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160)에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10, 320, 330, 및 34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공한다. 또한 터치스크린 제어부(710)는 제1 내지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10, 320, 330, 및 34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각각의 드래그 입력 영역에 해당하는 기능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
촬영 제어부(720)는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제1 지점(312)까지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의 제2 지점(314)까지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기능은 반셔터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셔터 기능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제어부(720)는 제1 드래그 입력 영역(310)으로의 입력에 따라 제1 기능 또는 제2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제2 드래그 입력 영역(320)으로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줌 기능을 수행하고, 제3 드래그 입력 영역(330)으로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심도 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제4 드래그 입력 영역(340)으로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색 온도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스크린 제어부(710) 및 촬영 제어부(720)는 예를 들면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170)에서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컴퓨터 코드들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의 기재들로부터 터치스크린 제어부(710) 및 촬영 제어부(720)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터치스크린 제어부(710) 및 촬영 제어부(720)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셔터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입력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예시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3)

  1.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있는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의 초점에 대응하는 초점 영역을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카메라 모듈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입력 영역을 상기 초점 영역에 연관하여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 영역 내의 일단 지점과 타단 지점 사이의 드래그 입력이 중단된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제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초점 영역이 표시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영역을 표시할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초점 영역의 위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영역이 상기 초점 영역과 인접하도록(adjacent to), 상기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영역이 상기 초점 영역의 주변(periphery)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도록 상기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제어 기능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관련된 설정 값을 설정 또는 변경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은, 화이트 밸런스, 노출 값, 줌 배율, 감도 값, 또는 심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제어 기능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입력 영역 내의 제 1 위치에서 상기 입력 영역 내의 제 2 위치로의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제어 기능 중 상기 제 1 위치, 상기 제 2 위치, 또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기능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색 온도를 높이는 기능 또는 상기 색 온도를 낮추는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 모듈과 관련된 프리뷰 이미지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있는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자동 초점을 설정하고,
    상기 자동 초점에 대응하는 초점 영역을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제어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상기 초점 영역의 주변(periphery)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 내의 일단 지점과 타단 지점 사이의 드래그 입력이 중단된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제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090014409A 2009-02-20 2009-02-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6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409A KR101566195B1 (ko) 2009-02-20 2009-02-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409A KR101566195B1 (ko) 2009-02-20 2009-02-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231A KR20100095231A (ko) 2010-08-30
KR101566195B1 true KR101566195B1 (ko) 2015-11-05

Family

ID=4275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409A KR101566195B1 (ko) 2009-02-20 2009-02-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65B1 (ko) 2011-11-17 2013-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셀프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84177B1 (ko) * 2012-10-15 2019-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62560B1 (ko) * 2015-04-23 2016-10-05 김상진 카메라 기능 설정과 영상 촬영을 동시에 수행하는 카메라 셔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10837A (ko) * 2016-03-24 2017-10-12 주식회사 하이딥 촬영 모드 전환이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촬영 모드 전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246A (ja) 2002-04-25 2003-11-0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4208028A (ja) 2002-12-25 2004-07-2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6025314A (ja) 2004-07-09 2006-01-2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6033370A (ja) 2004-07-15 2006-02-02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246A (ja) 2002-04-25 2003-11-0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4208028A (ja) 2002-12-25 2004-07-2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6025314A (ja) 2004-07-09 2006-01-2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6033370A (ja) 2004-07-15 2006-02-02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231A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9630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15872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652652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5185150B2 (ja) 携帯機器および操作制御方法
KR10181765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4370535B2 (ja)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936183B2 (ja) 撮影機器
JP4884417B2 (ja) 携帯型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1760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37965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2095167A (ja) 撮像装置
KR20150022533A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6619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059998A (ja) 撮影装置
JP2009230036A (ja) 設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164919A (ja) 映像作成方法
JP2017228969A (ja) 携帯端末
KR10181765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81265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42611B1 (ko) 복수의 레이어들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2124627A (ja) 撮像装置
KR20100070057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13110499A (ja) 操作入力判定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5233353B2 (ja) 設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31253B2 (ja)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