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567A -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잉크 및 도료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잉크 및 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567A
KR20170110567A KR1020177007168A KR20177007168A KR20170110567A KR 20170110567 A KR20170110567 A KR 20170110567A KR 1020177007168 A KR1020177007168 A KR 1020177007168A KR 20177007168 A KR20177007168 A KR 20177007168A KR 20170110567 A KR20170110567 A KR 2017011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allyl
polymer
photo
photocurabl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931B1 (ko
Inventor
가츠토시 요코야마
신이치로 오하시
사토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다
Publication of KR2017011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acids as defined in group C08F18/00
    • C08F263/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acids as defined in group C08F18/00 on to polymers of esters with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40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e.g. all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8/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118/14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 C08F118/16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with alcohols contain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10Esters
    • C08F120/40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e.g. all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2/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122/10Esters
    • C08F122/26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6Copolymers of all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플라스틱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알릴계 중합체 (A)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알릴계 중합체 (A)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잉크 및 도료{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INK AND COATING MATERIAL}
본 발명은, 알릴계 중합체 (A)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잉크, 도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예를 들면,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키는 다양한 수지 조성물은, 잉크, 도료, 접착제, 포토레지스트 등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타입의 인쇄 잉크는, 경화 속도가 빠르고 단시간에 경화할 수 있는 것,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적합한 것, 자원 절약·에너지 절약인 것 등의 점이 높게 평가되어 실용화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한 수지 조성물 중에서, 디알릴프탈레이트(디알릴오르토프탈레이트,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은, 종이용 UV 오프셋 잉크로서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프셋 잉크로서 이용할 때에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를 배합하면 플라스틱 기재와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 특허문헌 2에는, 벤젠환에 알킬기를 갖는 디알릴 물 첨가 프탈레이트 폴리머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지만, 플라스틱 기재로의 밀착성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근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 제품이 시판되고 있고,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의 결점인 플라스틱 기재와의 밀착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소52-431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02-77414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알릴계 중합체 (A)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의 결과, 특정 구조를 갖는 알릴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알릴계 중합체 (A)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플라스틱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알릴계 중합체 (A)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1
[R1 및 R2는, 각각 H 또는 CH3를 나타내고,
X는 치환기를 갖지 않는 포화 또는 일부 불포화 4~8원환의 환상 골격이며 a가의 기를 나타내고, a는 2 또는 3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알릴계 중합체 (A)를 함유하면,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건조성도 우수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된다.
또, 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특히 PP(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종래의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를 이용한 조성물에서는 밀착성을 높게 하는 것이 곤란한 PP 수지용 잉크, 도료의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일반식 (I) 중의 X가 하기 중 어느 한 환상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건조성이 향상되고, 인쇄에 이용하는데 적절한 점도로 조정할 수 있고, 도포 작업성이 우수한 조성물이 된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함으로써, 광조사에 의한 중합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보다 고분자량의 중합체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는,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잉크는, 플라스틱 기재에 인쇄하기 위한 잉크로서 적합하고, 특히 PP 수지제의 시트, 필름 등의 기재에 인쇄하기 위한 잉크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도료는,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도료는, 플라스틱 기재에 묘화하기 위한 도료로서 적합하고, 특히 PP 수지제의 시트, 필름 등의 기재에 묘화하기 위한 도료로서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도료는 오버프린트 바니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 도료, 접착제 및 포토레지스트의 성분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합성 고분자의 기재, 특히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알릴계 중합체 (A)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알릴계 중합체 (A)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3
[R1 및 R2는, 각각 H 또는 CH3를 나타내고,
X는 치환기를 갖지 않는 포화 또는 일부 불포화 4~8원환의 환상 골격이며 a가의 기를 나타내고, a는 2 또는 3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에 있어서의 X의 바람직한 예로서, 이하의 환상 골격을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상기 일반식 (I)에 있어서의 X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 이하의 환상 골격을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상기 일반식 (I)에 있어서의 X의 더욱 바람직한 예로서, 이하의 환상 골격을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6
X는 다양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이외의 환상 골격이어도 된다. 환상 골격이 일부 불포화인 경우에 있어서, 환상 골격이 갖는 이중 결합의 수는, 1로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이어도 된다. 단, X는, 방향족의 6원환 골격은 아니다.
X는, 분자 내에서 가교되어 있어도 되고, 분자 내에서 가교된 X의 예로서는, 아다만탄, 노보넨, 노보네인 등을 들 수 있다.
X는 a가의 기이며, a는 2 또는 3이므로, X는 2가 또는 3가의 기이다. X의 환상 골격에는, 일반식 (I) 중에 표시되는 알릴에스테르기[-CO-O-CH2-CR2=CHR1]가 a개(2개 또는 3개) 결합되어 있다.
X의 환 상에 있어서의 알릴에스테르기[-CO-O-CH2-CR2=CHR1]의 치환 위치는 어느 조합이어도 되고, 알릴계 화합물은 상이한 치환 위치의 조합을 갖는 물질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특히, 2개의 알릴에스테르기가 6원환의 X에 결합할 때에, 2개의 알릴에스테르기는, 오르토 배향, 메타 배향 또는 파라 배향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오르토 배향 또는 파라 배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 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알릴, 2-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알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 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알릴,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이 바람직하고,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알릴계 중합체 (A)를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과 다른 중합 가능한 화합물을 공중합한 것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든 화합물을 얻는 방법의 예로서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또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무수물과 알릴알코올 또는 알릴클로라이드를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방법, 및, 시클로헥센디카르복실산 또는 시클로헥센디카르복실산 무수물과 알릴알코올 또는 알릴클로라이드를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든 화합물의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중합 반응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에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중합 개시제를 첨가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고분자량의 중합체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다.
알릴계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이용하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르산디메틸 등의 아조 개시제, 케톤퍼옥사이드, 퍼옥시케탈,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퍼옥사이드, 디아실퍼옥사이드, 퍼옥시디카보네이트, 퍼옥시에스테르,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개시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토페논계, 벤조인, 벤조인에틸에테르 등의 벤조인계, 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인계, 티오크산톤 등의 유황계, 벤질, 9,10-페난트렌퀴논 등의 벤질계의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양은,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의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5.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0.001~3.0중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시의 반응 온도는 60~240℃, 예를 들면 80~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0.1~100시간, 예를 들면 1~3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을 상술한 방법 등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에 기초하는 단량체 단위를 갖는 알릴계 중합체 (A)를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에 기초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알릴계 중합체 (A) 100중량% 중, 2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8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중량%여도 된다.
알릴계 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2,000~15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0~140,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알릴계 중합체 (A)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1~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한은, 20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릴계 중합체 (A)의 함유량이 60중량%를 넘으면,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로의 용해성이 나빠지고, 점도도 높아져 취급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알릴계 중합체 (A)의 함유량이 1중량% 미만이면, 얻어지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건조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조사에 의해 경화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1~20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개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6개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메타)알릴 화합물 및 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은 2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틸롤프로판, 디트리메틸롤프로판,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것들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등의 비스페놀류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것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알 키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에폭시화 대두유 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틸롤프로판, 디트리메틸롤프로판,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것들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틸롤프로판, 디트리메틸롤프로판 등의 알코올류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것들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다.
(메타)알릴 화합물로서는, 디(메타)알릴프탈레이트, 트리(메타)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닐 화합물로서는, 스티렌, 디비닐벤젠, N-비닐피롤리돈, 아세트산 비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릴계 중합체 (A)와의 상용성, 광경화했을 때의 경화성의 점에서, 디트리메틸롤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디트리메틸롤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알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해서, 50~4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0~30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25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알릴계 중합체 (A)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의 비율(알릴계 중합체: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은, 중량비로, 10:90~90:10의 범위이면 되고, 20:80~80: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70~50:5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플라스틱 기재로의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기 쉽다.
기타 첨가물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특히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토페논계, 벤조인, 벤조인에틸에테르 등의 벤조인계, 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인계, 티오크산톤 등의 유황계, 벤질, 9,10-페난트렌퀴논 등의 벤질계를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광중합 개시제의 양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1~15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2중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중량%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광개시 조제(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계 광개시 조제)를 병용해도 된다.
광개시 조제의 양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1~5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3중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여러 가지의 첨가제, 예시하면, 안정제(예를 들면, 하이드로퀴논, 메토퀴논(METHOQUINONE) 등의 중합 금지제), 안료(예를 들면, 시아닌 블루, 디스아조 옐로우, 카민 6b, 레이크 레드 C, 카본 블랙, 티탄 화이트) 등의 착색제, 충전제, 점도 조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목적에 따라 함유할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안정제의 양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01~2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중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양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1~5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45중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알릴계 중합체 (A)에,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 또한, 광중합 개시제, 광개시 조제, 첨가제(예를 들면, 안정제,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한다. 경화에 이용하는 광은, 일반적으로 자외선이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반응에 이용하는 경화 장치, 또, 경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광경화 반응에 이용되는 방법이면 된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예를 들면, 광경화성 평판용 인쇄 잉크, 실크스크린 잉크, 그래비어 잉크 등의 인쇄 잉크), 도료(예를 들면, 종이용, 플라스틱용, 금속용, 목공용 등의 도료, 예시하면, 오버프린트 바니시), 접착제, 포토레지스트 등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잉크는 본 발명의 잉크이며,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는 본 발명의 도료이다. 또, 본 발명의 도료는 오버프린트 바니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잉크의 일반적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에 알릴계 중합체 (A) 및 안정제 등을 60℃~100℃의 온도로 교반하면서 용해시켜 바니시를 제작한다. 이 바니시에, 안료, 광중합 개시제, 기타 첨가제를, 버터플라이 믹서로 교반 혼합 후, 3개 롤 등으로 연육함으로써 잉크가 얻어진다.
또, 오버프린트 바니시의 작성은, 안료를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잉크와 같은 순서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분자량 분포(Mw/Mn)의 측정
중량 평균 분자량(Mw), 분자량 분포(Mw/Mn)는 GPC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Mw, Mn은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수평균 분자량의 값이다.
컬럼:ShodexKF-806L, KF-804, KF-803, KF-802, KF-801을 직렬로 접속
유속:1.0mL/min
온도:40℃
검출:RID-6A
시료:시료 20mg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mL에 용해시켜 측정용 샘플로 했다.
제조예 1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 중합체의 합성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은,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무수물과 알릴알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했다.
3L의 분리형 플라스크에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 2400g을 더하고, 60g의 벤조일퍼옥사이드를 더하여 80℃에서 가열 교반했다. 2.5시간 반응시킨 후, 30℃까지 냉각했다. 냉각 후, 플라스크에 메탄올을 더하고,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얻어진 중합체를 40℃에서 16시간 감압 건조시켰다(수득량:408g, 수율:17%, Mw=32,000, Mw/Mn=2.8). 얻어진 중합체를 중합체 1로 하고, 실시예 1에 이용했다.
제조예 2~4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 중합체의 합성 제조예 1과 같은 중합 조건에 의해, 중합 시간을 바꿈으로써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알릴 중합체의 합성을 행했다. 또한,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중합체(수득량:612g, 수율:25.5%, Mw=63,000, Mw/Mn=4.7)를 중합체 2로 하고, 실시예 2및 5에 이용했다.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중합체(수득량:672g, 수율:28%, Mw=89,000, Mw/Mn=6.9)를 중합체 3으로 하고, 실시예 3에 이용했다.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중합체(수득량:720g, 수율:30%, Mw=140,000, Mw/Mn=5.4)를 중합체 4로 하고, 실시예 4에 이용했다.
제조예 5 1,2-시스-디알릴-3 or 4-메틸-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 중합체의 합성
일본국 특허공개 2012-116868호 공보에 기재된 합성 방법에 기초하여, 1,2-시스-디알릴-3 or 4-메틸-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 중합체를 합성했다(수득량:624g, 수율:26%, Mw=50,000, Mw/Mn=3.8). 얻어진 중합체를 중합체 5로 하고, 비교예 2 및 3에 이용했다.
실시예 1~5, 비교예 1~3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조성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평가했다.
1)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해성의 평가
제조예 1~5에서 얻어진 중합체 1~5 또는 DAP 수지, 에틸렌성 화합물 및 중합 개시제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조성량 첨가하고, 100℃로 가열 혼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온으로 냉각 후, 하룻밤 경과한 것의 외관이 투명한지로 용해성을 확인했다. 냉각 후에도 외관이 투명한 것을 ○, 백탁한 것을 ×로 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표 1에 나타낸 중합체 1~5 이외의 성분은 하기와 같다.
또, 표 1에 나타내는 조성량은 중량부로의 표기이다.
DAP 수지:(주)오사카 소다제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DTMPA:사토머(주)제 SR355 디트리메틸롤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DPHA:동아합성제(주)제 아로닉스 M-404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3EO-TMPTA:신나카무라화학공업(주)제 NK에스테르 A-TMPT-3EO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Irgacure907:BASF 재팬(주)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Irganox1076:BASF 재팬(주)제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 점도
조제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BROOKFIELD VISCOMETER DV-II+Pro를 이용하여 30℃에서의 점도를 측정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3) 건조성
조제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고착건조(tack-free) 컨베이어 스피드(m/min)로 건조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 값이 클 수록 건조성이 우수하다.
4) 밀착성 시험
조제한 각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2종류의 플라스틱 기재(폴리프로필렌기재:타츠타화학주식회사제 무연신 고투명 PP 시트 품명:High P Crystal ST-500 두께 0.3mm, 및, 폴리프로필렌기재:이데미츠 유니텍(주)제 무연신 고투명 PP 시트 품명:슈퍼퓨어레이 SG-140TC 두께 0.3mm)에 No.2 바 코터를 이용하여 각각 코팅하고, 출력 60W/cm의 메탈할라이드 램프(조사 거리 10cm)를 이용하여, 도막이 고착건조되는 컨베이어 스피드로 경화시켰다. 또한, UV 경화 장치는 아이그래픽스 주식회사제 컨베이어형 자외선 경화 장치를 이용했다. 얻어진 도막에, 니치반사제 18mm 폭의 셀로테이프(등록상표)(품번:LP-18, 점착력:4.01N/10mm)를 붙이고, 엄지손가락으로 30초 이상 강하게 문지른 후, 셀로테이프(등록상표)를 서서히 떼어내고, 도중에 급격히 떼어내어 도막의 박리의 정도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이 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5:급격히 떼어내도 박리되지 않는 것
4:서서히 떼어내도 전혀 박리되지 않지만, 급격히 떼어내면 미소하게 박리되는 것
3:급격히 떼어내면 박리되지만, 서서히 떼어내도 전혀 박리되지 않는 것
2:서서히 떼어내도, 50% 정도 박리되는 것
1:서서히 떼어내도 박리되는 것
5) 경화성 시험
조제한 각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슬라이드 글래스(마츠나미 유리 공업(주)제 S9213 표준 대형 물 연마 t1.3)에 코팅하여, 출력 60W/cm의 메탈할라이드 램프(조사 거리 10cm)를 이용하여 경화하고, (주)야스다 정기 제작소의 수동 연필 긁기 경도 시험기로 JIS K5600에 준거한 방법으로 연필 경도를 측정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실시예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알릴계 중합체 (A)인 중합체 1~4를 이용하여 조제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조제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동등한 건조성을 갖는다. 그리고,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조제한 비교예 1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는 밀착이 어려운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의 밀착성에도 우수하다.
또, 일반식 (I)에 있어서 X가 치환기(메틸기)를 갖는 화합물에 상당하는 알릴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5를 이용하여 조제한, 비교예 3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건조성이 떨어지고, 폴리프로필렌 시트(필름)로의 밀착성도 불충분하다.
또,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와 중합체 5를 병용하여 조제한, 비교예 2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의 도포가 불가능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플라스틱 기재용 잉크(예를 들면, 오프셋 잉크), 도료, 접착제, 포토레지스트 등에 사용 가능하다.

Claims (7)

  1.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알릴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알릴계 중합체 (A)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09

    [R1 및 R2는, 각각 H 또는 CH3를 나타내고,
    X는 치환기를 갖지 않는 포화 또는 일부 불포화 4~8원환의 환상 골격이며 a가의 기를 나타내고, a는 2 또는 3을 나타낸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중의 X가 하기 중 어느 한 환상 골격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10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B)를 더 함유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를 더 함유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오버프린트 바니시인, 도료.
KR1020177007168A 2015-02-03 2016-01-27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잉크 및 도료 KR102454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19429 2015-02-03
JP2015019429 2015-02-03
PCT/JP2016/052373 WO2016125661A1 (ja) 2015-02-03 2016-01-27 光硬化性樹脂組成物、インキ及び塗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567A true KR20170110567A (ko) 2017-10-11
KR102454931B1 KR102454931B1 (ko) 2022-10-14

Family

ID=5656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168A KR102454931B1 (ko) 2015-02-03 2016-01-27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잉크 및 도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70313795A1 (ko)
EP (1) EP3199562B1 (ko)
JP (1) JP6690554B2 (ko)
KR (1) KR102454931B1 (ko)
CN (1) CN106715498B (ko)
TW (1) TWI703184B (ko)
WO (1) WO2016125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7169661A1 (ja) 2016-03-31 2019-02-14 株式会社大阪ソーダ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18154724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大阪ソーダ 白色インキ用組成物
JP6597688B2 (ja) * 2017-03-23 2019-10-3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インキおよび印刷物
JP6997942B2 (ja) * 2017-07-26 2022-02-10 株式会社大阪ソーダ 光硬化性樹脂組成物、インキ及び塗料
CN110997732B (zh) * 2017-08-24 2022-04-15 株式会社大阪曹达 光固化性树脂组合物、墨和涂料
JP6725079B2 (ja) * 2017-08-24 2020-07-15 株式会社大阪ソーダ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20050735A (ja) * 2018-09-26 2020-04-02 岡本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的立体造形用組成物、並びに立体造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044729A1 (ja) 2019-09-02 2021-03-11 株式会社大阪ソーダ 光硬化性樹脂組成物、インキ及び塗料
WO2021199904A1 (ja) 2020-03-30 2021-10-07 株式会社大阪ソーダ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キ組成物
JP2023121316A (ja) * 2022-02-21 2023-08-31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キ組成物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10A (en) 1975-06-28 1977-01-13 Toka Shikiso Chem Ind Method of producing stampable ink
JPH01131223A (ja) * 1987-08-14 1989-05-24 Toyo Ink Mf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被覆組成物および印刷インキ組成物
JPH0277414A (ja) 1988-06-24 1990-03-16 Toyo Ink Mf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被覆組成物および印刷インキ組成物
JP2007056187A (ja) * 2005-08-26 2007-03-08 Toyo Ink Mfg Co Ltd 硬化性組成物、それを使用した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印刷インキ及びその印刷物
JP2012107237A (ja) * 2010-11-17 2012-06-07 Xerox Corp オーバープリントワニス配合物
JP2012116868A (ja) * 2010-11-29 2012-06-21 Daiso Co Ltd アリル系重合体およびジアリルフタレート樹脂を含む光硬化性樹脂組成物とその用途
JP2013124218A (ja) * 2011-12-13 2013-06-24 Daiso Co Ltd 新規アリルエステ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法
WO2014203779A1 (ja) * 2013-06-17 2014-12-24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ンチオール系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2986A (en) * 1967-11-24 1971-01-05 Sun Chemical Corp Printing and coating untreated polyolefins
US3551311A (en) * 1967-11-24 1970-12-29 Sun Chemical Corp Radiation-curable compositions
JPS58103519A (ja) * 1981-12-15 1983-06-20 Teijin Ltd 硬化性樹脂組成物
JP4457907B2 (ja) * 2005-02-08 2010-04-28 ダイソー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10189537A (ja) 2009-02-18 2010-09-02 Toyo Ink Mf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キ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印刷してなる印刷物
JP2012046612A (ja) * 2010-08-26 2012-03-08 Daiso Co Ltd アリル系重合体およびその硬化性樹脂組成物と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10A (en) 1975-06-28 1977-01-13 Toka Shikiso Chem Ind Method of producing stampable ink
JPH01131223A (ja) * 1987-08-14 1989-05-24 Toyo Ink Mf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被覆組成物および印刷インキ組成物
JPH0277414A (ja) 1988-06-24 1990-03-16 Toyo Ink Mf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被覆組成物および印刷インキ組成物
JP2007056187A (ja) * 2005-08-26 2007-03-08 Toyo Ink Mfg Co Ltd 硬化性組成物、それを使用した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印刷インキ及びその印刷物
JP2012107237A (ja) * 2010-11-17 2012-06-07 Xerox Corp オーバープリントワニス配合物
JP2012116868A (ja) * 2010-11-29 2012-06-21 Daiso Co Ltd アリル系重合体およびジアリルフタレート樹脂を含む光硬化性樹脂組成物とその用途
JP2013124218A (ja) * 2011-12-13 2013-06-24 Daiso Co Ltd 新規アリルエステ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法
WO2014203779A1 (ja) * 2013-06-17 2014-12-24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ンチオール系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84891B2 (en) 2021-08-10
KR102454931B1 (ko) 2022-10-14
EP3199562A4 (en) 2018-04-11
CN106715498A (zh) 2017-05-24
JPWO2016125661A1 (ja) 2017-11-09
EP3199562A1 (en) 2017-08-02
US20190135955A1 (en) 2019-05-09
US20170313795A1 (en) 2017-11-02
TW201629139A (zh) 2016-08-16
TWI703184B (zh) 2020-09-01
CN106715498B (zh) 2020-09-11
EP3199562B1 (en) 2024-04-03
JP6690554B2 (ja) 2020-04-28
WO2016125661A1 (ja)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0554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インキ及び塗料
KR20170110568A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잉크 및 도료
JP6997942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インキ及び塗料
JP4457907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6860002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インキ及び塗料
JP6880543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インキ及び塗料
CN109641985B (zh) 光固化性树脂组合物、油墨及涂料
WO2013141117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塗料及び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印刷インキ
WO2021044729A1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インキ及び塗料
JPH0277414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被覆組成物および印刷インキ組成物
JP6810384B2 (ja) ワニス組成物、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および印刷物
JPH07126312A (ja) 光開始剤組成物および被覆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