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115A - 커튼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115A
KR20170110115A KR1020177024267A KR20177024267A KR20170110115A KR 20170110115 A KR20170110115 A KR 20170110115A KR 1020177024267 A KR1020177024267 A KR 1020177024267A KR 20177024267 A KR20177024267 A KR 20177024267A KR 20170110115 A KR20170110115 A KR 20170110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over
bubble
extending por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256B1 (ko
Inventor
다카유키 시미즈
유토 고바야시
미츠오 노가미
히로요시 시모노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110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2/00Hollow articles
    • B29L2022/02Inflatable articles
    • B29L2022/027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60R2021/23514Fabric coa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설치 시에 따른 에어백의 비틀림을 용이하게 인식하고, 수정 가능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운송 시에 콤팩트하게 수용 가능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배치되고, 측면의 창 부분을 덮도록 전개 가능한 에어백을 구비한 커튼 에어백 장치에서, 접히거나 또는 롤상으로 된 상기 에어백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 에어백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형상을 보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에는 해당 커버가 상기 융착 시에 형성되는 다른 부분보다도 단단해져 있는 고강성부가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양호하게 패키지화 된 에어백(쿠션)을 구비한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사고 발생 시, 승차인 및 경우에 따라서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1개 또는 여러 개의 팽창식 에어백을 해당 차량에 설치하는 것은 주지 공용된 내용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가요성의 포(布)로 형성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스틱 재료 등의 기타 가요성 시트 재료가 이용된다. 에어백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스티어링 호일 중심 부근에서 팽창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이른바 운전자용 에어백, 자동차 창문 내측에서 아래 방향으로 전개하여 가로 방향의 충격이나 횡전, 전복 사고 시에 승차인을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또한 가로 방향의 충격 시에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승차인과 사이드 패널 사이에서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등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커튼 에어백에 최적한 것이지만, 다른 타입의 에어백에의 적용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 에어백 장치의 설치에 이용 가능한 스페이스는 한정되고, 많은 경우 상당히 작게 설계된다. 이것은 미관 고려, 차량 승차원의 쾌적함과 편리성 배려 등 여러 가지 이유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전개하지 않았을 때의 롤상 및/또는 접힌 상태에서 근소한 스페이스만 필요하도록 압축하여 패키지화 된 에어백이 공지된 바이다.
압축된 에어백의 패키지 상태를 유지하고, 유닛을 자동차에 간편하고도 확실하게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에어백의 주위에 단단한 플라스틱 커버를 구비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에어백 유닛 비용과 중량은 대폭 증가하고, 패키지화 에어백의 체적도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충분히 작은 사이즈의 에어백 유닛을 생산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경질(硬質)인 커버로 덮여 있기 때문에, 운송 시에도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운송 비용 증대로 이어진다.
장척상(長尺狀)으로 압축된 커텐 에어백은 비틀리기 쉽고, 차량 설치 부분에의 위치 맞춤이 어려웠다. 또한 설치 시에 에어백이 비틀려 있어도 그 비틀린 상태를 파악하는 것도 어려웠다. 가령 비틀린 상태로 에어백이 설치되면 작동 시의 전개 거동에 영향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서, 에어백이 비틀려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령 비틀려 설치되어도 그 상황에 따른 에어백의 비틀림을 용이하게 파악, 수정 가능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운송 시에 콤팩트하게 수용 가능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배치되고, 측면 창문 부분을 덮도록 전개 가능한 에어백을 구비한 커튼 에어백 장치에서, 접혀지거나 롤상으로 된 상기 에어백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 에어백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延性布)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형상을 보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에는 해당 커버가 상기 융착 시에 형성되는 다른 부분보다도 단단해져 있는 고강성부가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고강성부는 뒤틀림 상태를 알 수 있는 표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표식은 커버를 부분적으로 변형시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해도 되고, 이것을 라인상의 홈이나 리브처럼 해도 된다. 커버는 여러 개로 분할 가능하고, 표식을 각각의 단부 근방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의 윗변부(上緣部)에는 해당 에어백으로부터 연출(延出)한 기포(基布) 연장부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포 연장부에는 상기 에어백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수단이 연결되고, 상기 기포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에 의해 덮인다. 또한 상기 기포 연장부는 상기 고강성부 근방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차량 내부의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배치되고, 측면 창 부분을 덮도록 전개 가능한 에어백을 구비한 커텐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에 적용된다. 해당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에어백을 접거나 또는 롤상으로 형성하고,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로 성형되어, 상기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하는 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에어백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 에어백을 덮도록 배치하고, 상기 커버를 가열하면서 압력을 가하는 가압 공정에 의해, 상기 에어백의 형상을 보지하면서 해당 에어백의 단면을 소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에 해당 커버가 상기 융착 시에 형성되는 다른 부분보다도 단단해지는 고강성부가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가압 공정에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에 형성된 표식을 기준으로 장척상의 에어백 자세를 정리할 수 있고, 차량에의 설치 시의 작업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뒤틀림 상태의 설치를 방지할 수 있다. 형성된 표식은 커버의 부분이 변성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다른 부분보다 단단해져 있고, 표식이 에어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면 커버가 달린 에어백은 표식이 없는 것에 비해 뒤틀리기 어렵다. 또한 포 재료의 커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백 유닛을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에 대하여 가열 상태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한층 더 콤팩트하게 수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를 분할하여 장비함으로써 커버로 덮이지 않은 부분에서 롤상의 에어백을 굴곡시킬 수 있고, 운송 시의 수용 스페이스를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해짐과 동시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에어백의 윗변부에는 해당 에어백으로부터 연출한 기포 연장부를 설치하고, 해당 기포 연출부에는 해당 에어백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수단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포 연장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에 의해 덮여 있다. 이것에 의해 패키지 된 에어백 장치의 설치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볼트 등의 설치 금구에 의해 에어백에 부여하는 대미지를 방지 또는 억제 가능한 패키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 의해 덮인 부분의 상기 에어백은 압축에 의해 단면을 소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 기포 연장부는 상기 에어백의 기포와 일체가 되어 연속적으로 또는 별체로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차실 부분의 단면도로서, 전개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 (B), (C)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로서, 에어백 및 커버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로서, 에어백을 롤 폴딩(Roll folding)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커버 부재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A-A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로서,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6(B)은 해당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커버 부재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C)은 도 6(A)의 B-B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채용되는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슬릿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실제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10(A)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10(B), (C)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11(A)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11(B), (C), (D)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10)를 구비한 자동차의 차실 부분의 단면도로서 전개 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실 측방 유리창 상부에서, 헤드 라이닝으로 덮인 이너 패널에는 에어백(12)이 여러 개의 설치 탭(14)을 이용하여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부호(11)는 A필러를 나타낸다. 또한, 에어백(12)의 전연부와 A필러(11)를 연결하는 스트랩(15)이 설치되어 있다. 스트랩(15)은 에어백(12)과 동일한 소재(패브릭)에 의해, 균일한 폭의 띠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트랩(15) 자체는 에어백과 다른 소재(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10)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10)에서는 접히고, 또한 롤상으로 된 에어백(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 에어백(12)을 덮는 커버 부재(18)를 구비한다. 커버 부재(18)는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로 성형되고, 가열하면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해당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하고, 압축됨으로써 에어백(12) 형상을 보지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백(12)의 윗변부에는 해당 에어백(12)으로부터 연출한 탭(14)이 설치된다. 커버 부재(18)에 의해 덮인 부분의 에어백(12)은 압축에 의해 단면이 소경화 된다.
에어백(12)은 거의 동일한 2장의 시트인 가요성 재료, 예를 들어 직포(織布)를 서로 겹쳐 맞춘 테두리를 주위 바늘땀에 의해 상호 연결하고, 가스 발생기 등의 인플레이터(20)로부터의 팽창 가스를 받는 커다란 내부 팽창 가능 부분을 해당 시트 사이에 획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에어백(12)은 또한 1장의 시트 가요성 재료를 절반 접어 2장의 층을 겹치고, 주위 바늘땀에 의해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혹은 이른바 일체형 직조 (OPW, One Piece Woven) 기법에 의해 짜서 완성시킬 수도 있고, 팽창 영역과 비팽창 영역을 형성하는 날실과 씨실을 선택된 부분에서 짜서, 여러 개의 시트의 방직 구조를 형성하여 팽창실(챔버)과 여러 개의 시트가 상호 연결하는 주위 결합부를 형성한다.
에어백(12)을 제작하는 포는 바람직하게는 가소성인 포로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섬유의 날실과 씨실을 짜서 형성되는 포이다. 포는 열가소성 재료로 코팅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2)은 인플레이터(20)를 에어백(12) 내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통상의 인플레이터가 개구부를 통과하여 연장하고, 그 길이의 대부분이 에어백(12) 내부에 존재한다.
차량에 설치 가능하도록 에어백(12)을 패키지화 하기 위해, 에어백(12)은 먼저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롤되고 또는/혹은 접혀 로드상으로 형성된다. 에어백(12)을 접고, 또는 에어백(12)에 두 개 이상의 롤을 형성하고, 또는 그 자체를 공지한 에어백의 롤화와 접지(Folding) 기법을 조합하여 패키지를 형성해도 된다. 롤화 기법의 경우, 에어백(12)을 심봉(도시하지 않음) 주위에 감아 완성한 패키지를 축 방향으로 뽑아내도 된다.
커버 부재(18)는 로드상 에어백(12)의 원주 방향 전체를 포위하도록 감긴다. 또한 에어백(12)과 커버 부재(18)가 풀리지 않도록 커버 부재(18)의 일부를 백의 기포에 시침질 등에 의해 보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18)에는 미싱 선(점선) 등에 의해 사전에 개열 심(seam)(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열 심은 충돌 시에 에어백(12)이 전개하는 경우, 에어백(12)이 커버(18)에서 튀어나오는 것이 용이해지도록 에어백(12)의 팽창 시에 파열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부재(18)의 재료는 연성포 재료인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부직포로서 펠트형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바늘 가공에 의해 얽히게 하여 서로 고정하는 기지의 니들법으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펠트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타레이트(PET)로서 제공되고, 펠트 재료는 100% PET제로 할 수 있다. 펠트 재료를 구성하는 섬유는 랜덤 또는 유사 랜덤으로 서로 얽힌다. 또한 펠트는 2종류의 상이한 구성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8)의 펠트를 구성하는 단성분 섬유는 모두 PET 호모폴리머로 형성할 수 있는데, 심과 그것을 둘러싸는 피복을 가진 2성분 복합 섬유로 할 수도 있다. 2성분 복합 섬유의 심과 피복은 상이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특히 융점이 상이하며, 피복은 심보다도 유의(有意)한 낮은 융점을 가진다(예를 들어, 120 ~ 150 ℃의 범위). 2성분 복합 섬유도 전부 PET로 형성할 수 있는데, 심은 PET 호모폴리머로 성형하고, 피복은 PET 코폴리머(coPET)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PET와 coPET의 조합에 의해, 피복의 융점은 심의 융점보다도 낮아지는데, 전체적으로 섬유를 확실하게 PET로 형성할 수 있다. 2성분 복합 섬유의 심과 단성분 섬유는 둘 다 PET 호모폴리머로 형성되므로, 서로 동일한 융점을 가지게 되고, 단성분 섬유는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보다도 높은 융점을 가지게 된다. 2성분 복합 섬유는 펠트 재료에서 단성분 섬유 전체에 균등하게 배분된다. 2성분 복합 섬유가 펠트 재료 섬유 전체의 30 % ~ 60 %를 점하고, 나머지는 모두 단성분 섬유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성분 섬유나 2성분 복합 섬유에 이용되는 재료는 섬유들이 효과적으로 융착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섬유를 부분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롤 및/또는 접힌 로드 형상으로 성형된 에어백(12)을 펠트 커버 부재(18)로 감싸 중간 패키지를 성형한다. 그런 다음 커버 부재(18)에 의해 포위된 압축해야 할 곳을 프레스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레스 하고, 소망하는 삼차원 형상 및 사이즈로 압축한다. 프레스 장치는 중간 패키지에 대하여 열을 가하고, 예를 들어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 융점을 상회하는데, 2성분 복합 섬유의 심 및 단성분 섬유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로 동작한다. 또한 열과 압력을 동시에 패키지에 가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에어백(12)의 가소성과 커버 부재(18)의 초기 가요성의 성질에 의해 중간 패키지를 프레스 압축함으로써, 용이하게 삼차원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어백(12)을 가소성 포로 형성하는 경우, 중간 패키지에 압력과 열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에어백(12)의 포는 압축될 때 가소적으로 변형한다. 중간 패키지 내 로드상의 에어백(12)은 그 후 냉각해도 압축된 형상을 유지한다. 한편 에어백(12)이 가소적으로 변형하는 재료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중간 패키지에 압력과 열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커버 부재(18)의 펠트 재료는 압축될 때에 섬유가 서로 압축되어 펠트 재료가 얇아지고(예를 들어, 0.55 mm), 어찌 되었든 가소적으로 변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 융점보다도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피복이 용해된다. 따라서 피복은 커버 부재(18)에 따른 섬유가 분포하는 모든 위치에서 서로 융착한다. 여기서 커버 부재(18)는 2성분 복합 섬유의 심 및 단성분 섬유의 전체 구조의 융점보다도 저온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심과 단성분 섬유는 고체상 그대로이며, 서로 융착하지 않고 피복 재료만이 융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18)는 세 개로 분할되어 있고, 그 틈새에서 롤상의 에어백(12)이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어백(12)이 노출된 곳에서 에어백 유닛을 굴곡시킬 수 있다.
커버 부재(18)의 표면에는 비틀림을 인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표식이 되는 라인(18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예시를 위해 에어백(12)이 조금 비틀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그 결과 라인(18a)은 조금 기울어져 있다.
도 3(A), (B), (C)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10)의 요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경사도로서, 에어백(12) 및 커버(18)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식 라인(18a)은 에어백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커버 부재(18)의 일부가 커버의 표면에서 볼록상으로 돌출한 리브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리브 내측은 공동(空洞)처럼 보이지만, 리브 전체 또는 일부가 속이 차 있어도 된다.
도 3(B)에 나타낸 예에서는, 표식 라인(18a)은 에어백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단면이 커버의 표면에서 오목한 3각형의 홈(V자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C)에 나타낸 예에서는, 표식 라인(18a)은 에어백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단면이 커버 표면에서 오목한 반원상의 홈(U자상의 홈)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들 표식 라인(18a)은 커버 부재(18)의 단부까지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까지 도달해 있으면 표식들을 맞추어서 비틀림 방지 확인을 하는 것(비틀림 상태를 알 수 있는 것)이 용이하다. 홈으로 형성된 라인(18a)은 커버의 다른 부분보다도 고밀도의 부분이 많고, 고강성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홈의 밑부분(U자상 밑 곡면 부분, 혹은 V자상 밑 선단 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에 개열부의 기점이 되기 쉽다. 홈은 커버 부재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만으로도 개열부의 기점이 될 수 있다. 개열부의 기점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홈이 커버 부재의 단부까지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 개열하기 쉽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표식 라인(18a)의 성형은 커버 부재(18)의 가열 압축 공정에서 실시된다. 즉, 프레스형 금형(도시하지 않음) 내면에 라인상의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이 금형으로 프레스를 가함으로써, 도 3(A) ~ (C)와 같은 표식 라인(18a)이 성형된다. 프레스 금형에 의한 커버 부재 전체의 가열 압축 공정에서 표식 라인이 되는 부분에 재료를 가까이하거나 가열 압축 전에 표식 라인이 되는 부분에 사전에 재료를 설치해둠으로써,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있는 리브를 형성하여 표식 라인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표식 라인이 되는 부분을 돌출시킨 금형을 이용하여 가열 압축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도 고밀도가 되도록 표식 라인이 되는 홈을 형성해도 된다. 이들 리브나 홈은 다른 부분에 비해 단단한 고강성부(18a)를 형성하고, 커버 부재 자체도 비틀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110)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표식(28)은 분할하여 배치된 커버 부재(18)의 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돌기 또는 패인 곳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인접하는 표식(28)들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에어백(12)의 비틀림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식(28)은 정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에어백(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고 짧은 직선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이렇게 함으로써 인접한 커버의 단 사이의 표식의 직선 길이 방향을 서로 개략적으로 동일선상이 되도록 맞추는 것만으로도 비틀림이 없는 것을 확인 가능하며, 비틀린 상태에 대한 (비틀린 상태를 알 수 있는)인지도가 향상한다.
커튼 에어백은 길고 단단하게 감겨 있고 또한 폭이 좁기 때문에, 자동차의 천장 라이닝에 설치될 때에 비틀린 상태로 설치되기 쉽고, 에어백의 팽창 특성으로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커튼 에어백(12)을 커버 부재(18)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것에 의해, 에어백 유닛은 차량에 설치 후 비틀리기 어려워진다. 즉, 브래킷, 볼트 등을 이용하여 차량에 설치하는 곳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8)에는 비틀림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표식(18a), (2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틀림 자체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6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제3 내지 제6 실시예는 모두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병용하여 채용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 실시예에 채용되어 있는 표식(18a), (28)의 도시 및 설명, 에어백(12) 자체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로서, 에어백(12)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5(B)는 본 1실시예 사용되는 커버 부재(220)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A-A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10)에서는 접히고, 또는 롤상으로 된 에어백(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 에어백(12)을 덮는 커버 부재(220)를 구비한다.
커버 부재(220)는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로 성형되고, 그 단부(220a), (220b)가 겹쳐진 상태에서, 가열하면서 압력이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220)는 해당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하고 압축됨으로써, 겹쳐진 부분(220a, 220b)이 고강성부(226)를 형성하면서 에어백(12) 형상을 보지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백(12)의 윗변부에는 해당 에어백(12)에서 연출한 기포 연장부(224)가 설치된다. 이 기포 연장부(224)에는 에어백(12)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수단이 연결된다. 기포 연장부(224)의 일부가 커버 부재(220)에 의해 덮이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의 기포 연장부(224)는 이른바 탭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고강성부(226)는 커버 부재(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220)에 의해 덮인 부분의 에어백(12)은 압축에 의해 단면을 소경화시킨다. 백 기포 연장부(224)는 에어백(12)의 기포와 일체가 되어 연속적으로 또는 별체로서 성형할 수 있다. 백 기포 연장부(224)는 커버 부재(220)에 설치된 슬릿(222)을 관통하여 커버 부재(220)의 외부로 연장하는 외측 부분(224a)을 가진다. 기포 연장부(224)는 예를 들어, 에어백(12)과 동일한 재질로 띠상으로 성형하고, 일단을 봉제에 의해 에어백(12)의 윗변부에 고정할 수 있다.
슬릿(222) 및 이것을 관통하는 기포 연장부(224)는 상술한 고강성부(226)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위가 고강성인 것에 의해, 기포 연장부(224)의 자세가 안정되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기포 연장부(224)는 상술한 표식(18a), (28)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며, 동일한 효과가 있다.
도 6(A)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로서, 에어백(12)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6(B)은 해당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커버 부재(230)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C)은 도 6(A)의 B-B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변형예와 도 5에 나타낸 제3 실시예의 상이점은 커버 부재(220)와 커버 부재(230)의 구조에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커버 부재(230)에 두 개의 슬릿(232a), (232b)을 설치하고, 기포 연장부(224)가 양방 슬릿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즉, 최초에 기포 연장부(224)를 일방의 슬릿(232a)으로 통과하고, 그 상태로 커버 부재(230)를 에어백(12) 주위에 둘러 감는다. 그런 다음 커버 부재(230)의 단부(230a)와 단부(230b)를 겹쳐지게 하면서 타방 슬릿(232b)에 기포 연장부(224)를 재차 통과시킨다. 중첩된 부분은 고분자 섬유의 융착 시에 고강성부(236)를 형성한다.
에어백(12)의 구조(재질, 제조법 포함)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차량에 설치 가능하도록 에어백(12)을 패키지화 하기 위해, 에어백(12)은 먼저 롤상으로 되거나 또는 접히고, 도 5(A), 도6(A)에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형태로 한다. 에어백(12)을 접거나, 또는 에어백(12)에 두 개 이상의 롤을 형성하고, 또는 그 자체를 공지한 에어백의 롤화와 접지 기법을 조합하여 패키지를 형성해도 된다. 롤화 기법의 경우, 에어백(12)을 심봉(도시하지 않음) 주위에 감아 완성한 패키지를 축 방향으로 뽑아내도 된다.
커버 부재(220), (230)는 롤상의 에어백(12)을 포위한다. 예를 들어, 커버 부재의 권회(捲回)의 원주 방향에 따른 양단 영역(220a, 220b, 230a, 230b)이 서로 겹쳐지도록, 에어백(12)의 원주 방향 전체에 감긴다. 또한 에어백(12)과 커버 부재(220), (230)가 풀리지 않도록, 커버 부재(220), (230) 일부를 백 기포에, 가봉 등에 의해 보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220), (230)에는 미싱 선 등에 의해 사전에 개열 심(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열 심은 충돌 시에 에어백(12)이 전개하는 경우, 에어백(12)이 커버(220), (230)로부터 튀어나오기 쉽도록, 에어백(12)의 팽창 시에 파열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부재(220), (230)의 재료는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부직포로서, 펠트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바늘 가공에 의해 얽히게 하여 서로 고정하는 기지의 니들법으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펠트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타레이트(PET)로서 제공되고, 펠트 재료는 100% PET제로 할 수 있다. 펠트 재료를 구성하는 섬유는 랜덤 또는 유사 랜덤으로 서로 얽힌다. 또한 펠트는 2종류의 상이한 구성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220), (230)의 펠트를 구성하는 단성분 섬유는 모두 PET 호모폴리머로 형성할 수 있는데, 심과 그것을 둘러싸는 피복을 가진 2성분 복합 섬유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2성분 복합 섬유의 심과 피복은 상이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특히 융점이 상이하며, 피복은 심보다도 유의한 낮은 융점을 가진다(예를 들어, 120 ~ 150 ℃의 범위). 2성분 복합 섬유도 전부 PET로 형성할 수 있는데, 심은 PET 호모폴리머로 성형하고, 피복은 PET 코폴리머(coPET)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PET와 coPET의 조합에 의해, 피복의 융점은 심의 융점보다도 낮아지는데, 전체적으로 섬유를 확실하게 PET로 형성할 수 있다. 2성분 복합 섬유의 심과 단성분 섬유는 둘 다 PET 호모폴리머로 형성되므로, 서로 동일한 융점을 가지게 되고, 단성분 섬유는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보다도 높은 융점을 가지게 된다. 2성분 복합 섬유는 펠트 재료에서 단성분 섬유 전체에 균등하게 배분된다. 2성분 복합 섬유가 펠트 재료 섬유 전체의 30 % ~ 60 %를 점하고, 나머지는 모두 단성분 섬유로 할 수 있다.
롤상 및/또는 접힌 형상으로 성형된 에어백(12)을 펠트 커버 부재(220), (230)로 감싸 중간 패키지를 성형한다. 그런 다음 커버 부재(220), (230)에 의해 포위된 압축해야 할 곳을 프레스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레스 하고, 소망하는 삼차원 형상 및 사이즈로 압축한다. 프레스 장치는 중간 패키지에 대하여 열을 가하고, 예를 들어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 융점을 상회하는데, 2성분 복합 섬유의 심 및 단성분 섬유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동작한다. 또한 열과 압력을 동시에 패키지에 가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에어백(12)의 가요성과 커버 부재(220), (230)의 초기 가요성의 성질에 의해 중간 패키지를 프레스 압축함으로써, 용이하게 삼차원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어백(12)을 가소성 포로 형성하는 경우, 중간 패키지에 압력과 열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에어백(12)의 포는 압축될 때 가소적으로 변형한다. 중간 패키지 내의 롤상 에어백(12)은 그 후 냉각해도 압축된 형상을 유지한다. 한편, 에어백(12)이 가소적으로 변형하는 재료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중간 패키지에 압력과 열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커버 부재(220), (230)의 펠트 재료는 압축될 때에 섬유가 서로 압축되어 펠트 재료가 얇아지고(예를 들어, 0.55 mm), 어찌 되었든 가소적으로 변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 융점보다도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피복이 용해된다. 따라서 피복은 커버 부재(220), (230)에 따른 섬유가 분포하는 모든 위치에서 서로 융착한다. 여기서 커버 부재(220), (230)는 2성분 복합 섬유의 심 및 단성분 섬유의 전체 구조의 융점보다도 저온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심과 단성분 섬유는 고체상 그대로이며, 서로 융착하지 않고 피복 재료만이 융착한다.
커튼 에어백은 길고 단단하게 감겨 있고 또한 폭이 좁기 때문에, 자동차의 천장 라이닝에 설치될 때에 비틀린 상태로 설치되기 쉽고, 에어백의 팽창 특성으로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커튼 에어백(12)을 커버 부재(220), (230)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것에 의해, 에어백 유닛은 차량에 설치 후 비틀리기 어려워진다. 또한 기포 연장부(224)의 일부를 사전에 커버 부재(220), (230)의 외부에 노출시키고 있으므로, 프레스 공정에 의해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기포 연장부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일이 없다. 즉, 브래킷, 볼트 등을 이용하여 차량에 설치하는 곳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는 펠트 타입 부직포 재료(220), (230)를 이용하는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부직 재료 이외에도 예를 들어, 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포의 섬유에 가동성 또는 탄성의 동작을 부여하는 재료 조성 또는 구성 섬유 구조를 가지는 포이면 충분하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채용되는 커버 부재(220), (230)에 형성되는 슬릿(222), (232a), (232b)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A)는 단순 절개, (B)는 절개 양단에 원형으로 잘라낸 것을 형성한 것, (C)는 폭이 있는 절개 양단에 원형으로 잘라낸 것을 형성한 것, (D)는 가늘고 긴 타원형인 것, (E)는 직사각형의 가늘고 길게 잘라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포 연장부(224)의 재질, 강성 등에 따라 적절한 슬릿 형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기포 연장부(224)는 커버 부재(220)의 내측에 배치된 하측의 기부(224a)와, 해당 기부(224a)로부터 커버 부재(220)의 외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설치 수단(224b)으로, 영역으로서 나눌 수 있다. 이들 영역(224a), (224b)은 일체로 성형된다. 설치 수단(224b)에는 클립이나 볼트 등의 고정 부재(224)가 관통하는 개구(242)가 형성되어 있다. 기포 연장부(224)의 기부(224a)의 하단은 봉제(240)에 의해 롤 된 에어백(12)의 가장 바깥쪽 단부와 커버 부재(220)의 고강성부(226)의 내측 단부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단이 커버 부재(220)로 덮인 기포 연장부(224)를 사용하기 때문에, 커버 부재(220)의 외측에서 프레스한 경우에도 기포 연장부(224)의 일부(224b)가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에의 설치 작업 시에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한다. 또한 구조가 간소하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기포 연장부의 기부(224a) 근방이 고강성부(226)인 것에 의해, 기포 연장부(224)의 자세가 안정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C)나 도 6(C)에 대응한다. 이하, 상술한 제3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에어백의 재질, 커버 부재 등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상으로 감은 에어백(252)의 외단부(상단부)를 되접어 꺾어 기포 연장부(252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해당 기포 연장부(252a)에 대응하여 커버 부재(250)의 일부를 주머니상으로 상방으로 연장하고, 그 선단에 개구부(256)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256)에는 띠상의 설치 부재(254)의 일단이 삽입되고, 봉제(258a)에 의해 에어백 연장부(252a)와 연결된다. 또한, 봉제(258a)에서 하방으로 어긋난 위치의 봉제(258b)에서는, 설치 부재(254)의 일단은 이중으로 합친 커버 부재(250)의 양측면과, 에어백 연장부(252a)와, 해당 설치 부재(254)의 타단이 전부 연결되고, 그 결과 설치 부재(254)가 루프상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12)의 일부가 기포 연장부(252a)로서 기능한다. 기포 연장부(252a)의 양측은 커버 부재로 둘러싸여 있다. 기포 연장부(252a)로 나눠져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 사이가 융착하는 것은 단부를 벗어나지 않지만, 고분자 섬유의 압축 시에 각각의 부분이 고밀도화 하고 근접하여 설치됨으로써, 커버 부재 전체로 보면 커버 부재의 이 기포 연장부(252a) 주위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고강성으로 볼 수 있는 부분(255)으로 되어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실제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이 사용예에서는 루프상의 설치 부재(254)의 상단을 브래킷(260)의 개구부(260a)에 관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브래킷(260)을 개재하여 클립이나 볼트 등의 고정 수단(262)에 의해 에어백 유닛을 차량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분자 섬유의 압축 시에, 기포 연장부(252a) 양측 각각의 부분이 고밀도화 하고 접촉하여 설치됨으로써, 커버 부재 전체로서 보면 커버 부재의 이 기포 연장부(252a)의 주위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고강성으로 볼 수 있는 부분(255)으로 되어 있다. 루프상의 설치 부재(254)가 고강성 부분(255)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설치 부재(254)의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에, 차량에의 설치 작업성이 향상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0(A)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에어백을 롤 상으로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도 10(A)에 나타내는 구조는 도 9(B)에 나타내는 구조와 공통 부분이 많으므로,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B)의 구조와 다르게 설치 부재(254)가 커버 부재(266)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고, 완전히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루프상의 설치 부재(254)의 양단부에서 커버 부재(266)의 돌출 부분을 끼워넣고, 기포 연장부(252a)와 함께 봉제(268)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B)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와 도 10(A)에 나타낸 예의 차이는 루프상의 설치 부재(272)의 연결 위치이다. 본 예에서는, 설치 부재(272)의 양단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커버 부재(266)의 돌출한 부분의 차량 외측(차량측)에서, 봉제(270)에 의해 연결된다.
도 10(C)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와 도 10(B)에 나타낸 예의 차이는 루프상의 설치 부재(274)의 연결 위치와 차량에의 고정 방법이다. 본 예에서는, 설치 부재(274)의 양단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커버 부재(266)의 돌출한 부분의 차실측에서, 봉제(276)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브래킷을 이용하는 일 없이 띠상의 설치 부재를 개재하여, 클립이나 볼트 등의 고정 수단(262)으로 에어백 유닛을 차량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 10(A) ~ (C)에서는 모두 고분자 섬유의 압축 시에 기포 연장부(252a)의 양측 각각의 부분이 고밀도화 하고 근접하여 설치됨으로써, 커버 부재 전체로 보면 커버 부재의 이 기포 연장부(252a)의 주위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고강성으로 볼 수 있는 부분(265)으로 되어 있다. 루프상의 설치 부재(254), (272), (274)가 고강성 부분(265)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설치 부재(254), (272), (274)의 자세가 안정되므로, 차량에의 설치 작업성이 향상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1(A)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기포 연장부(282)가 커버 부재(280)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다는 점과, 기포 연장부(282)가 에어백(12)의 가장 바깥쪽에 결합되어 있지만 기포 연장부(282)와 에어백(12) 사이에 커버 부재(280)의 단부가 끼워져 있다는 점과, 커버 부재(280)의 양단부가 겹쳐진 부분(285)에서, 그들 사이에 기포 연장부(282)가 끼워져 있다는 점과, 클립이나 볼트 등의 고정 부재(288)의 일부가 커버 부재(280)로 덮여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고정 부재(288)는 커버 부재(280)에 설치된 개구부(286)를 관통하여 차량에 연결된다. 기포 연장부(282)의 타단은 에어백(12)의 가장 바깥쪽과 커버 부재(280)의 내측 단부에, 봉제(84)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에어백(12)을 차체에 고정할 시 고정 부위와 접힌 에어백을 접근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루프 사이드 레일의 차체와 가니시 간의 공간이 협소해도 커튼 에어백을 배치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 경질(고강성)인 고정 부재(288)의 일부와 롤 된 에어백(12) 사이에 커버 부재(280)가 개재하기 때문에, 전개 시에 고정 부재(288)가 에어백(12)에 대미지를 입히는 사태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1(B)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대략 도 11(A)의 구조와 동일한데, 기포 연장 부재(282)가 커버 부재(280)의 단부를 돌아서 들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다르다.
도 11(C)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와 도 11(A)의 구조의 주요한 차이는 커버 부재(290)의 단부의 겹치는 부분(291)과, 기포 연장부(292)와 에어백(12)과 커버 부재(290)의 겹치는 쪽 및 접합 위치 관계에 있다. 본 예에서는 에어백(12)의 가장 바깥쪽 단부와 기포 연장부(292)의 단부가 대면하고, 또한 그 기포 연장부(292)의 단부와 커버 부재(290)의 내측 단부가 대면함으로써, 기포 연장부(292)가 에어백(12)과 커버 부재(290)에 끼워진 모습이 된다. 그리고 이들 3층이 겹쳐진 부분을 봉제(293)에 의해 연결 고정한다. 커버 부재(290)에는 개구부(286)가 형성되고, 고정 부재(288)에 의해 에어백 유닛을 차량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커버 부재(290)의 오버랩 부분(291)이 적기 때문에, 보다 협소한 공간에도 에어백(12)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 (D)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커튼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동일하게 에어백을 롤 폴딩하여 수용할 때의 상태(프레스 압축 완료)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특징은 기포 연장부(295)가 커버 부재(294)의 내부에서 U자상으로 구부러져 있다는 것과, 연결하는 브래킷(296)의 일단이 커버 부재(294) 내부에서 기포 연장부(295)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에 있다. 루프상의 기포 연장부(295)의 양단부는 에어백(12)의 가장 바깥쪽 단부와 커버 부재(294)의 내측 단부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 부재와 봉제(299)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커버 부재(294)의 일부에는 브래킷(296)이 관통하는 개구부(29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296)을 개재하여 클립이나 볼트 등의 고정 부재(298)에 의해, 해당 에어백 유닛을 차량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모든 예에서도, 커버 부재의 고분자 섬유의 압축 시에 기포 연장부(282), (292), (295)의 양측 각각의 부분이 고밀도화 하고 근접하여 설치된다. 기포 연장부(282), (292), (295)는 이른바 탭과 같은 것으로서, 에어백(1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설치되므로, 커버 부재(280), (290), (294)의 많은 부분은 기포 연장부(282), (292), (295)를 끼우는 일 없이 커버 부재의 고분자 섬유 사이가 융착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 전체로 보면 커버 부재의 양단부가 겹쳐 부분적으로 이 기포 연장부(282) 주위가 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고강성으로 볼 수 있는 부분(285), (291)으로 되어 있다. 고정 부재(288), 브래킷(298)의 일부가 커버 부재의 내측에 수용되고, 프레스 압력 후의 유닛 상태에서 탭과 같은 유연한 소재가 커버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해 있지 않는다. 고정 부재(288)나 브래킷(296)이 고강성 부분(285), (291)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기포 연장부(282), (292), (295)나 그것에 수반되어 고정 부재(288), (298) 등의 자세가 안정되고, 에어백 유닛의 설치 작업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명세서 또는 이하의 청구항 또는 첨부한 도면에서 개시된 구체적인 형태로서, 또는 개시 기능을 실시하는 수단으로서, 또는 개시한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이나 프로세스로서 표현된 특징은, 적절히 개별적으로나 또는 그와 같은 특징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실현하는 것에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연성포 재료로서 펠트 타입의 부직포 재료(18)를 이용하여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부직 재료 이외에도 예를 들어, 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포의 섬유에 가동성 또는 탄성 동작을 부여하는 재료 조성 또는 구성 섬유 구조를 가지는 포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을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시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개시에 의해 많은 등가 변경 및 변형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기재한 실시형태로 다양한 변화가 가해질 수 있다.

Claims (33)

  1. 차량 내부의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배치되고, 측면 창 부분을 덮도록 전개 가능한 에어백을 구비한 커튼 에어백 장치에서,
    접히거나 또는 롤상으로 된 상기 에어백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 에어백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延性布) 재료로 성형되어, 상기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형상을 보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해당 커버가 상기 융착 시에 형성되는 다른 부분보다도 단단하게 되어 있는 고강성부가,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부는 비틀림 상태(비틀림 방향의 자세)를 알 수 있는 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상기 커버를 부분적으로 변형시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접혀지거나 또는 롤상으로 된 상기 에어백의 길이 방향에서, 여러 곳으로 분할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분할하여 배치된 상기 커버의 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상기 커버의 표면에서 상기 에어백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라인상의 홈 또는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상기 커버의 표면에서 상기 에어백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에 개열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윗변부에는 해당 에어백으로부터 연출한 기포(基布) 연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포 연장부에는 상기 에어백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수단이 연결되며,
    상기 기포 연장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연장부는 상기 고강성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연장부는 상기 에어백의 기포와 일체가 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연장부는 상기 에어백의 기포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연장부는 상기 커버에 설치된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의 외부로 연장하는 외측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하나의 상기 기포 연장부가 여러 번 관통하는 여러 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연장부의 상기 외측 부분은 상기 에어백의 본체부 방향으로 되접어 꺾이고, 상기 커버 및 상기 커버 내의 상기 기포 연장부의 다른 부분과 함께 봉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은 상기 기포 연장부의 상기 외측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은 상기 기포 연장부와 차량 고정용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7.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연장부 전체가 상기 커버에 덮이고,
    상기 설치 수단은 상기 커버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 및 상기 커버 내의 상기 기포 연장부와 함께 봉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은 띠상의 포(布)로 구성되어, 해당 띠상포에 차량 고정용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은 띠상의 포로 루프상으로 성형된 띠상포 부재와, 차량 고정용 고정 부재와, 해당 고정 부재와 상기 띠상포 부재 사이에 연결된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띠상포 부재의 루프가 상기 브래킷의 일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0.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연장부 전체가 상기 커버에 덮이고,
    상기 기포 연장부는 상기 설치 수단과 상기 커버 내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설치 수단의 일부는 상기 커버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버 및 상기 커버 내의 상기 기포 연장부가 봉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은 차체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클립 또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과 상기 에어백 본체 사이에 상기 커버 부재 일부가 개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부에서, 상기 기포 연장부가 상기 에어백이 접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접어 꺾이고, 상기 설치 수단과 상기 에어백 본체 사이에 사전에 감아져 있던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가 개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은 차량 고정용 고정 부재와, 해당 고정 부재와 상기 기포 연장부를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을 구비하고, 해당 브래킷의 일부가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포 재료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가 여러 개의 심-피복 2성분 복합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이 서로 융착되어 상기 에어백의 형상을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2성분 복합 섬유의 심은 제1 융점을 가지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복은 상기 제1 융점보다도 낮은 제2 융점을 가지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 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가 여러 개 단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가 여러 개의 단성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단성분 섬유가 상기 2성분 복합 섬유의 상기 피복의 상기 융점보다도 높은 융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성분 복합 섬유의 상기 심은 PET 호모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복은 PET 코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31.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단성분 섬유가 PET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32. 차량 내부의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배치되고, 측면 창 부분을 덮도록 전개 가능한 에어백을 구비한 커튼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에어백을 접거나 또는 롤상으로 성형하고,
    여러 개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하는 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에어백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 에어백을 덮도록 배치하고,
    상기 커버를 가열하면서 압력을 가하는 가압 공정에 의해 상기 에어백의 형상을 보지하면서 해당 에어백의 단면을 소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 해당 커버가 상기 융착 시에 형성되는 다른 부분보다도 단단해지는 고강성부가,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가압 공정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부는 비틀림 상태(비틀림 방향의 자세)를 알 수 있는 표식으로서,
    상기 가압 공정에서 상기 커버를 부분적으로 변형시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에어백의 비틀림 상태(비틀림 방향의 자세)를 알 수 있는 상기 표식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77024267A 2015-04-13 2016-03-22 커튼 에어백 장치 KR101941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1709 2015-04-13
JP2015081709 2015-04-13
JP2015085538 2015-04-20
JPJP-P-2015-085538 2015-04-20
PCT/JP2016/059073 WO2016167087A1 (ja) 2015-04-13 2016-03-22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115A true KR20170110115A (ko) 2017-10-10
KR101941256B1 KR101941256B1 (ko) 2019-01-22

Family

ID=5712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267A KR101941256B1 (ko) 2015-04-13 2016-03-22 커튼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17403B2 (ko)
EP (3) EP3284637B1 (ko)
JP (1) JP6425288B2 (ko)
KR (1) KR101941256B1 (ko)
CN (1) CN107428306B (ko)
WO (1) WO20161670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5156B2 (en) 2018-08-03 2022-11-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cover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irbag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4636B2 (en) * 2015-04-20 2019-08-20 Autoliv Development Ab Curtain airbag device
JP6836186B2 (ja) * 2017-08-24 2021-02-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JP6919613B2 (ja) * 2018-03-28 2021-08-1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2641419B1 (ko) * 2019-04-12 2024-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US11040690B2 (en) * 2019-08-02 2021-06-22 Autoliv Asp, Inc. Side curtain airbag assembly
DE202019104471U1 (de) * 2019-08-14 2020-11-25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S11433845B2 (en) * 2019-11-08 2022-09-06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y with reduced package size and related method
US11285905B2 (en) 2019-11-26 2022-03-29 Honda Motor Co., Ltd. Airbag assembly and method
CN211765401U (zh) * 2019-12-31 2020-10-27 奥托立夫开发公司 用于车辆的帘式气囊
WO2021149534A1 (ja) * 2020-01-20 2021-07-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2021127005A (ja) * 2020-02-13 2021-09-02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11345302B2 (en) * 2020-07-27 2022-05-31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Curtain airbag with integral airbag wrap
US11299120B1 (en) * 2021-04-15 2022-04-12 Autoliv Asp, Inc. Side airbag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y
US11634100B2 (en) * 2021-08-12 2023-04-25 Toyoda Gosel Co., Ltd. Airbag module for a curtain-type airba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012A (ja) * 2001-02-23 2002-09-03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6123674A (ja) * 2004-10-28 2006-05-18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20090066391A (ko) * 2007-12-20 2009-06-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튼에어백
US20090273167A1 (en) * 2006-01-19 2009-11-05 Noriko Katagiri Curtain Airbag Apparatus
KR20100089658A (ko) * 2009-02-04 2010-08-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장치 및 그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3606A (en) * 1969-08-01 1974-10-22 Gen Electric Preparation of ortho-alkylated phenols
JPS649928A (en) * 1987-06-30 1989-01-13 Lion Corp Bathing composition
JP4534368B2 (ja) * 2001-02-26 2010-09-01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20030017285A1 (en) * 2001-07-16 2003-01-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at shrinkable film and jacket
JP3914425B2 (ja) * 2001-12-04 2007-05-1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3925226B2 (ja) * 2002-02-12 2007-06-06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6722693B2 (en) * 2002-04-02 2004-04-20 Toyoda Gosei Co., Ltd. Airbag
JP3963353B2 (ja) 2002-04-15 2007-08-22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カーテン状エアバック収納用包材および収納構造体
JP4019928B2 (ja) * 2002-06-17 2007-12-12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GB2394921A (en) * 2002-11-07 2004-05-12 Autoliv Dev A vehicle curtain type air bag rolled up when not in use
JP3838645B2 (ja) * 2003-04-14 2006-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US7083188B2 (en) * 2003-11-13 2006-08-01 Autoliv Asp, Inc. Tearable reten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irbag cushion
US7407182B2 (en) * 2004-09-22 2008-08-05 Honda Motor Co., Ltd.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06151176A (ja) * 2004-11-29 2006-06-15 Nippon Plast Co Ltd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4744281B2 (ja) * 2005-12-07 2011-08-1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ATE455680T1 (de) * 2006-10-16 2010-02-15 Autoliv Dev Airbag mit einer flexiblen befestigungslasche
DE102007060282B4 (de) * 2007-12-12 2015-08-27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gassack-Einheit und Halteelement für eine Vorhanggassack-Einheit
JP5281374B2 (ja) * 2008-11-28 2013-09-0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008061282B4 (de) * 2008-12-11 2021-03-04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gassack für ein Kraftfahrzeug und Beschlagteil zur Befestigung eines Vorhanggassackes an einem Kraftfahrzeug
JP5588980B2 (ja) * 2009-07-03 2014-09-1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5401288B2 (ja) * 2009-12-10 2014-01-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8091918B2 (en) * 2010-01-19 2012-01-10 Autoliv Asp, Inc. Double-sewn airbag mounting assemblies
JP5502599B2 (ja) * 2010-05-31 2014-05-28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12011968A (ja) * 2010-07-05 2012-01-19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CN103228492B (zh) * 2010-10-04 2017-09-22 英威达纺织(英国)有限公司 包含聚酯气囊及气体发生器的汽车侧帘式气囊模块
JP5826093B2 (ja) * 2012-03-30 2015-12-02 タカタ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EP3243708A1 (en) * 2012-07-25 2017-11-15 Autoliv Development AB A fabric for an air-bag
MX366989B (es) * 2013-02-21 2019-07-31 Honda Motor Co Ltd Dispositivo de bolsas de aire y metodo de recubrimiento para el cuerpo de la bolsa de aire.
KR101655596B1 (ko) * 2014-12-08 2016-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JP6503839B2 (ja) * 2015-03-31 2019-04-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10384636B2 (en) * 2015-04-20 2019-08-20 Autoliv Development Ab Curtain airbag device
US9604592B2 (en) * 2015-06-29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curtain unit including mounting clip
US9616840B2 (en) * 2015-08-14 2017-04-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spection windows for curtain side airbag systems
EP3611061B1 (en) * 2016-01-15 2021-03-03 Autoliv Development AB Curtain airbag device and structure for mounting to vehicle
DE102016225906A1 (de) * 2016-12-21 2018-06-21 Tesa Se Klebeband mit Flammschutzeigenschaften
JP6764795B2 (ja) * 2017-01-25 2020-10-07 芦森工業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DE102017113105A1 (de) * 2017-06-14 2018-12-20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gassackmodul und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012A (ja) * 2001-02-23 2002-09-03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6123674A (ja) * 2004-10-28 2006-05-18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20090273167A1 (en) * 2006-01-19 2009-11-05 Noriko Katagiri Curtain Airbag Apparatus
KR20090066391A (ko) * 2007-12-20 2009-06-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튼에어백
KR20100089658A (ko) * 2009-02-04 2010-08-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장치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5156B2 (en) 2018-08-03 2022-11-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cover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irba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6667B1 (en) 2020-10-28
EP3284637A1 (en) 2018-02-21
EP3284637A4 (en) 2018-12-05
JPWO2016167087A1 (ja) 2018-02-01
WO2016167087A1 (ja) 2016-10-20
JP6425288B2 (ja) 2018-11-21
CN107428306A (zh) 2017-12-01
EP3476667A1 (en) 2019-05-01
US20180111579A1 (en) 2018-04-26
EP3476666A1 (en) 2019-05-01
KR101941256B1 (ko) 2019-01-22
CN107428306B (zh) 2019-10-29
US10717403B2 (en) 2020-07-21
EP3284637B1 (en) 2020-01-15
EP3476666B1 (en)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256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US9205797B2 (en) Airbag unit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and a related method of packaging an airbag
KR20170109029A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186171B1 (ko) 자동차 안전 장치용 에어백 유닛
US10471921B2 (en) Airbag unit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and a related method of packaging an airbag
US20150102588A1 (en) Non-slitted tear seam for mini-wrappers
JP7213202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30010697A (ko)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
US11878649B2 (en)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137854B2 (en) Headliner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vehicle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