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367A - 의료용 채액팁, 채액 노즐, 및 주입기 세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채액팁, 채액 노즐, 및 주입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367A
KR20170106367A KR1020177022056A KR20177022056A KR20170106367A KR 20170106367 A KR20170106367 A KR 20170106367A KR 1020177022056 A KR1020177022056 A KR 1020177022056A KR 20177022056 A KR20177022056 A KR 20177022056A KR 20170106367 A KR20170106367 A KR 20170106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injector
nozzle
liquid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582B1 (ko
Inventor
다케히코 유키
야스마사 우에하라
다카히코 구니시게
기요미 나카노
메구미 우에하라
가즈히코 다키모토
미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7010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53Syringes, pipettes or oral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33Swivel nut connectors, e.g. threaded connectors, bayonet-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38Union screw connectors, e.g. hollow screw or sleeve having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의료용 채액팁(1)은, 일단에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삽입되는 수형 부재(11)를 구비하고, 타단에 채액침(20)을 구비한다. 유로(8)가, 팁(1)을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수형 부재(11)와 채액침(20)을 연통시키고 있다.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이며, 통끝(154)의 암형 테이퍼면에 액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채액팁, 채액 노즐, 및 주입기 세트
본 발명은, 주입기의 선단의 통끝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의료용 채액팁 및 채액 노즐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의료용 채액팁 또는 상기 채액 노즐과 주입기를 구비한 주입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경구에 의하지 않고 환자에게 영양이나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영양 요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영양 요법에서는, 환자의 비강에서부터 위 또는 십이지장에까지 삽입된 경비 카테터 또는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에 삽입된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카테터가 이용된다. 경비 카테터 또는 PEG 카테터(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카테터」라 함)를 통해 영양제, 유동식(일반적으로 「경장영양제」라고 불림),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이 환자에게 투여된다. 환자에게 액상물을 투여할 때에는,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단 또는 상기 카테터에 접속된 유연성을 갖는 튜브(일반적으로 「연장 튜브」라고 불림)의 상류단에 설치된 커넥터(이하 「환자측 커넥터」라고 함)와 액상물을 저류한 용기 또는 상기 용기에 접속된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이하 「용기측 커넥터」라 함)를 접속한다. 종래, 환자측 커넥터로서 암형 커넥터가, 또, 용기측 커넥터로서 수형 커넥터가, 각각 이용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카테터가 삽입된 환자는, 대부분의 경우, 정제 등의 의약품을 입으로 직접 삼킬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의약품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간이 현탁법」이 알려져 있다. 간이 현탁법은 이하의 순서로 행해진다. 먼저, 용기 내에 정제를 미온수 등으로 붕괴시킨 약액을 제작한다. 그 다음에, 이 약액을 주입기(시린지) 내에 흡인한다. 그 다음에, 주입기의 통끝을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하여, 카테터를 통해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간이 현탁법에서는, 주입기의 통끝을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도 22의 A는 간이 현탁법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채액팁(940)이 달린 주입기(950)의 사시도, 도 22의 B는 채액팁(940)이 달린 주입기(950)의 단면도이다. 주입기(950)는, 범용되어 있는 시린지와 동일하게, 배럴(외통)(952)과, 배럴(952)에 삽입 발거되는 플런저(958)를 구비한다. 배럴(952)의 통끝(노즐)(954)의 외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이다. 이 통끝(954)에, 채액팁(94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채액팁(940)은, 일단에, 통끝(954)과 액밀하게 접속되는 기단부(941)를 구비하고, 타단에, 채액침(946)을 구비한다. 채액팁(940)을 관통하는 유로(948)가, 기단부(941)와 채액침(946)을 연통시키고 있다. 간이 현탁법에서는, 도 22의 A 및 도 22의 B와 같이 채액팁(940)을 주입기(950)에 장착한 상태로, 채액침(946)의 선단을 약액에 침지하면서, 배럴(952) 내에 약액을 흡인한다. 그 후, 채액팁(940)을 주입기(950)로부터 떼어내고, 통끝(954)을 환자측 커넥터(암형 커넥터)에 삽입하여, 배럴(952)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그런데, 근년, 경장영양 이외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와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측 커넥터로서 도 23의 A 및 도 23의 B에 나타낸 수형 커넥터(910)가, 또, 용기측 커넥터로서 도 24의 A 및 도 24의 B에 나타낸 암형 커넥터(920)가, 영양계의 의료기기에 관한 국제 규격 ISO80369-3으로서 국제 표준화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23의 A 및 도 23의 B에 나타낸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910)는, 통형상의 수형 부재(911)와, 수형 부재(911)를 둘러싸는 외통(913)을 갖는다. 수형 부재(911)와 외통(913)은, 수형 부재(911)의 기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 플랜지형상으로 돌출한 바닥판(914)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수형 부재(911)의 외주면(9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소위 수형 테이퍼면)이다. 수형 부재(91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형 부재(911)를 관통하는 유로(917)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913)의 수형 부재(911)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9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4의 A 및 도 24의 B에 나타낸 암형 커넥터(용기측 커넥터)(920)는, 수형 부재(911)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관형상부(암형 루어)(921)를 갖는다.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소위 암형 테이퍼면)이다.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기(수나사)(925)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는, 수형 부재(911)를 관형상부(921)에 삽입하고, 또한, 암나사(915)와 나선형 돌기(92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수형 부재(911)의 외주면(912)과,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은, 직경 및 테이퍼 각도가 동일한 테이퍼면이므로, 양자는 액밀한 면접촉을 한다. 서로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915) 및 나선형 돌기(925)는,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 상태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는, 액밀성(액상물에 압력을 가해도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액상물이 새어나오지 않는 성질)과 접속 강도(접속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인장력을 가해도 분리되지 않는 성질)가 뛰어난 접속을 제공한다.
환자측 커넥터가 도 23의 A 및 도 23의 B에 나타낸 수형 커넥터(910)인 경우, 이 수형 커넥터(910)에 도 22의 A 및 도 22의 B에 나타낸 주입기(950)의 통끝(954)을 접속할 수 없다. 간이 현탁법에서 이용하는 주입기의 통끝은,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 24의 A 및 도 24의 B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920)를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국제 공개 제2008/152871호 팜플렛
주입기의 통끝이 암형 커넥터(920)를 갖는 경우, 관형상부(921)의 외주면(특히 나선형 돌기(925))에 약액이 부착된 상태로 암형 커넥터(920)를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910)에 접속하면, 약액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도 23의 A 및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915)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915)의 골 내에 약액이 부착되면, 상기 약액을 닦아내어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수형 커넥터(910)가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형 커넥터(910)는 카테터와 함께 장기간에 걸쳐서 환자에게 계속 유치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PEG 카테터의 교환은, 일반적으로 1~3개월마다 행해진다. 수형 커넥터(910)에 약액이 이와 같이 장기에 걸쳐서 계속 부착되면, 수형 커넥터(910)는 비위생 상태에 이를 수 있다. 그리고, 결국에는, 수형 커넥터(910) 내에서 균이 번식하여, 상기 균이 환자의 체내에 침입해, 중증의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수형 커넥터(910)가 상기와 같은 비위생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특히 암나사(915))에 주입기를 통해 약액이 부착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 현탁법에 있어서, 주입기를 수형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에, 수형 커넥터의 수형 부재를 둘러싸는 암나사에 약액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의료용 채액팁은, 주입기의 배럴의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의 내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다. 상기 의료용 채액팁은, 일단에 상기 통끝에 삽입되는 수형 부재를 구비하고, 타단에 채액침을 구비한다. 유로가, 상기 의료용 채액팁을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형 부재와 상기 채액침을 연통시키고 있다. 상기 수형 부재의 외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이며, 상기 통끝의 상기 암형 테이퍼면에 액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의료용 채액팁은, 주입기의 배럴의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주입기는, 상기 통끝과 저액부(貯液部) 사이에 소경부(小徑部)를 구비한다. 상기 의료용 채액팁은, 일단에 상기 소경부에 액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된 봉지(封止)통을 구비하고, 타단에 채액침을 구비한다. 유로가, 상기 의료용 채액팁을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봉지통과 상기 채액침을 연통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채액 노즐은, 상기 제1 또는 제2의 의료용 채액팁과, 상기 채액침의 적어도 선단을 덮도록, 상기 의료용 채액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팁을 구비한다. 상기 노즐팁은, 상기 노즐팁이 상기 의료용 채액팁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의료용 채액팁의 상기 유로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개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주입기 세트는, 상기 주입기와,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의료용 채액팁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주입기 세트는, 상기 주입기와,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상기 채액 노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의료용 채액팁은, 주입기의 통끝에 삽입하고 또한 통끝과 액밀하게 접속할 수 있는 수형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의료용 채액팁은, 주입기의 소경부에 액밀하게 접속할 수 있는 봉지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채액 노즐은, 제1 또는 제2의 채액팁과, 상기 채액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팁을 구비한다. 따라서,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에, 채액팁을 주입기의 통끝에 장착한 상태로 채액팁을 통해 약액을 주입기 내에 흡인하면, 통끝의 외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경우는 없다. 그 후, 통끝으로부터 채액팁을 떼어내고, 통끝을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수형 커넥터의 수형 부재를 둘러싸는 암나사에 약액은 부착되지 않는다.
[도 1]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수형 부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채액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수형 부재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 도 3의 A는, 도 2의 3A-3A를 포함하는 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2의 3B-3B를 포함하는 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의료용 채액팁이 장착되는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상기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도 5의 A는, 주입기의 통끝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 및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이 장착된 주입기의 통끝 및 그 근방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수형 부재의 선단 부분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이 장착된 주입기의 통끝 및 그 근방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종래의 팁이 장착된 주입기의 통끝 및 그 근방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의 평면도이다.
[도 13]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에 장착되는 노즐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의 B는, 상기 노즐팁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노즐팁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의료용 채액팁에 노즐팁이 장착된 채액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B는, 채액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16]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주입기, 의료용 채액팁, 노즐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주입기에 의료용 채액팁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단면도이다.
[도 18]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주입기에 의료용 채액팁 및 노즐팁을 순서대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단면도이다.
[도 19]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노즐팁을 장착한 주입기를 용기의 개구에 찔러넣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다른 채액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 도 2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다른 의료용 채액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1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다른 의료용 채액팁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2] 도 22의 A는, 간이 현탁법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채액팁이 달린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22의 B는, 상기 채액팁이 달린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23] 도 23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3의 B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 도 24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암형 커넥터(용기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4의 B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의 의료용 채액팁은, 상기 수형 부재로부터 이격하고 또한 상기 수형 부재를 둘러싸는 외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형 부재를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에 삽입했을 때, 상기 외통은 상기 통끝을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은, 주입기의 통끝의 양호한 위생 상태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수형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유로와 연통한 봉지통이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수형 부재를 상기 통끝에 삽입했을 때, 상기 봉지통은, 상기 배럴의 상기 통끝과 저액부 사이의 소경부에 액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은,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액량을 정확하게 관리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수형 부재는,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통끝에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를 구비한 주입기에, 수형 부재를 액밀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2의 의료용 채액팁은, 상기 봉지통을 상기 소경부에 액밀하게 접속했을 때에 상기 통끝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외통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은, 주입기의 통끝의 양호한 위생 상태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의료용 채액팁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의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 구성예에서는,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형 돌기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구조(예를 들면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은, 채액팁을 주입기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행하는데 유리하다. 다른 구성예에서는,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형 돌기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채액팁을 주입기의 통끝에 단단히 장착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의료용 채액팁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은, 채액팁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채액 노즐은, 상기 제1 또는 제2의 의료용 채액팁과, 상기 채액침의 적어도 선단을 덮도록, 상기 의료용 채액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팁을 구비한다. 상기 노즐팁은, 상기 노즐팁이 상기 의료용 채액팁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의료용 채액팁의 상기 유로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개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간이 현탁법에 사용할 수 있는 주입기를, 채액팁에 노즐팁을 장착하면, 모유 채취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채액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이 상기 의료용 채액팁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의료용 채액팁과 상기 노즐팁 사이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은, 모유를 효율적으로 채취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본 발명의 채액 노즐에는, 상기 노즐팁이 제1 또는 제2의 의료용 채액팁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은, 노즐팁이 채액팁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노즐팁의 외주면에,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용기의 개구의 끝가장자리에 수형 테이퍼면이 끼워맞춰진 상태로, 용기에 주입기를 찔러넣을 수 있다. 이것은, 노즐팁의 선단의 오염 방지와, 용기 내의 액체의 오염 방지 및 증발 방지에 유리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요 부재만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이하의 각 도면에서는, 실제 부재의 치수 및 각 부재의 치수 비율 등이 반드시 충실하게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구성>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팁(이하, 「채액팁」이라고 함)(1)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채액팁(1)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채액팁(1)의 평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3A-3A를 포함하는 면을 따른 채액팁(1)의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2의 3B-3B를 포함하는 면을 따른 채액팁(1)의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채액팁(1)은, 일단에 수형 부재(11), 타단에 채액침(20)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수형 부재(11)측을 채액팁(1)의 「상」측 이라 하고, 채액침(20)측을 채액팁(1)의 「하」측이라 한다. 또, 수형 부재(11)와 채액침(20)을 연결하는 방향을 채액팁(1)의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수형 부재(11)는, 중공의 통형상을 갖고 있다.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원뿔면, 소위 수형 테이퍼면)이다. 수형 부재(11)를 외통(13)이 둘러싸고 있다. 외통(13)은, 중공의 대략 원통형상을 갖고,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2)에 대향하고 또한 외주면(12)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수형 부재(11)보다 채액침(20)측의 부분인 기부(基部)(18)의 외주면에, 단면이 대략 「U」자형상의 한 쌍의 지지대(19)가,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대(19)는, 기부(18)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외통(13)의 하단은 지지대(19)의 외주면의 상단에 접속되고, 이에 의해, 외통(13)은 지지대(19)를 통해 기부(18)에 유지되고 있다.
도 1의 B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19)와 그 사이의 기부(18)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외통(13)의 외주면에는, 채액팁(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복수의 리브(이랑형상의 돌기)(16)가, 등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대략 평탄면 및 복수의 리브(16)는, 채액팁(1)을 손가락 사이에 끼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유효하다.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2)의 테이퍼면은, 상술한 수형 커넥터(910)의 수형 부재(911)의 외주면(912)(도 23의 A 및 도 23의 B를 참조)에 관한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다. 외통(13)의 내주면은, 수형 부재(11)와 동축의 원통면이며, 그 내경은,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915)의 곡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다. 예를 들면, 수형 부재(11)와 외통(13)은, 수형 커넥터(910)로부터 암나사(915)를 생략한 것과 동일해도 된다.
채액침(20)도 중공의 통형상을 갖고 있다. 채액침(20)의 외주면(2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이다. 단, 외주면(22)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어도 된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로(8)가, 채액팁(1)을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수형 부재(11)의 선단 및 채액침(20)의 선단에서 각각 개구하고 있다. 수형 부재(11)와 채액침(20)은, 유로(8)를 통해 연통하고 있다.
채액팁(1)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형상 유지성을 갖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외력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단단한 재료(경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경질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가 바람직하다. 채액팁(1)은, 상기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용 방법>
채액팁(1)은, 상술한 간이 현탁법에 있어서, 용기 내의 약액을 주입기에 흡인할 때에 사용된다.
도 4의 A는, 채액팁(1)이 장착되는 주입기(시린지)(150)의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상기 주입기(150)의 단면도이다. 주입기(150)는, 배럴(외통)(152) 및 플런저(158)를 구비한다. 배럴(152)은,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고, 일단(상단)은 개구하고, 타단(하단)에 통끝(노즐)(154)을 구비한다. 배럴(152)의 상단의 개구에 플런저(158)가 삽입 발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주입기(150)는, 도 22의 A 및 도 22의 B에 나타낸 주입기(950)와, 통끝의 형상에 있어서 현저하게 상이하다. 주입기(150)의 통끝(노즐)(154)에는,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910)(도 23의 A 및 도 23의 B 참조)에 접속 가능하도록, 도 24의 A 및 도 24의 B에 나타낸 암형 커넥터(용기측 커넥터)(920)와 동일하고,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있어서, 도 24의 A 및 도 24의 B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교부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액부(155)와 관형상부(921) 사이에, 이들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소경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저액부(155)는, 배럴(152) 중, 플런저(158)가 삽입 발거되는 부분이며, 또, 약액을 저류 가능한 부분이다. 소경부(157)는, 저액부(155)에 삽입된 플런저(158)가, 통끝(154)의 관형상부(921)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플런저(158)의 선단에는 개스킷(159)이 부착되어 있다. 개스킷(159)은 배럴(15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면서, 배럴(152)의 내주면 상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배럴(152)의 상단으로부터 한 쌍의 손가락받침 플랜지(156)가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배럴(152)의 외주면에는, 배럴(152) 내의 액량을 나타내는 눈금(도시하지 않음)이 표시되어 있다.
채액팁(1) 및 주입기(150)를 이용한 간이 현탁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최초에, 채액팁(1)을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장착한다. 도 5의 A는, 주입기(150)에 장착된 채액팁(1)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주입기(150)에 장착된 채액팁(1)의 단면도이다. 도 5의 B의 단면은, 도 3의 B의 단면과 동일하다. 도 6은, 도 5의 B의 통끝(154) 및 그 근방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채액팁(1)의 수형 부재(11)가, 주입기(150)의 통끝(154)의 관형상부(921)에 삽입되어 있다.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2)은,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테이퍼면이며, 주입기(150)의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은,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테이퍼면이다. 즉, 외주면(12)과 내주면(922)은, 테이퍼 각도 및 직경이 동일한 테이퍼면이다. 따라서, 외주면(12)과 내주면(922)은 밀착되고, 수형 부재(11)와 관형상부(921)는 액밀하게 접속된다. 채액팁(1)의 유로(8)와 배럴(152)의 저액부(155)가 연통하고 있다.
이어서, 도 5의 A, 도 5의 B,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채액팁(1)을 접속한 상태로, 채액침(20)의 선단을, 정제를 붕괴시킨 약액 중에 침지하고, 플런저(158)를 조작하여, 약액을 배럴(152) 내에 흡인한다. 약액의 흡인량은, 배럴(152)을 통해 투시되는 개스킷(159)의 위치와, 배럴(152)에 표시된 눈금(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계량한다.
그 다음에, 채액팁(1)을 주입기(150)로부터 제거한다(도 4의 A 및 도 4의 B 참조).
이어서, 주입기(150)의 통끝(154)을, 수형 커넥터(910)(도 23의 A 및 도 23의 B를 참조)에 접속한다. 수형 커넥터(910)는,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 또는 상기 카테터에 접속된 연장 튜브의 상류측단에 설치된 환자측 커넥터이다. 통끝(154)은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이므로, 통끝(154)과 수형 커넥터(910)는 ISO80369-3에 준한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개스킷(159)이 소경부(157)에 맞닿을 때까지 플런저(158)를 배럴(152) 내에 밀어넣고, 주입기(150)의 저액부(155)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그 후, 주입기(150)를 수형 커넥터(910)로부터 분리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용기 내의 약액을 주입기(150) 내에 흡인하는 작업(흡인 작업)은,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채액팁(1)을 장착하여 행하고, 한편, 주입기(150)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작업(투여 작업)은, 채액팁(1)을 이용하지 않고, 주입기(150)의 통끝(15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하여 행한다. 흡인 작업에서는, 채액팁(1)의 채액침(20)의 선단이 약액 중에 침지된다. 또, 채액팁(1)의 수형 부재(11)는 주입기(150)의 관형상부(921) 내에 삽입되고, 양자는 액밀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나선형 돌기(925)를 포함하는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그 후, 통끝(15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했을 때, 약액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특히 암나사(915))에 부착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910)가 장기간에 걸쳐서 환자에게 유치되었다고 해도, 수형 커넥터(910)가 비위생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약액을 주입기(150) 내에 흡인하는 흡인 작업을, 통끝(154)에 본 실시형태 1의 채액팁(1)을 장착하지 않고, 통끝(154)을 약액 중에 직접 침지하여 행하면, 관형상부(921)의 내주면뿐만 아니라, 나선형 돌기(925)를 포함하는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도, 약액이 부착된다. 그 후, 통끝(154)을 수형 커넥터(910)(도 23의 A 및 도 23의 B 참조)에 접속하면,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 부착된 약액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915)에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 1의 채액팁(1)을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장착하여 흡인 작업을 행하면, 나선형 돌기(925)를 포함하는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측 커넥터가 도 23의 A 및 도 23의 B에 나타낸 수형 커넥터(910)이며, 이 환자측 커넥터에 대해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 환자측 커넥터(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하는 주입기로서, 국제 규격 ISO80369-3에 준거한 통끝(154)이 달린 주입기(150)(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 통끝(154)에는, 종래의 팁(940)(도 22의 A 및 도 22의 B를 참조)을 장착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 1의 채액팁(1)은,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부재(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액밀하게 접속할 수 있다.
채액팁(1)의, 수형 부재(11)를 둘러싸는 외통(13)은 이하의 작용을 발휘한다.
첫째, 외통(13)은, 채액팁(1)을 주입기(150)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채액팁(1)을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외통(13)은, 관형상부(921)의 나선형 돌기(925)를 수납하고, 이것을 덮는다. 채액팁(1)을 주입기(150)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한쪽 손의 집게 손가락에서 새끼손가락까지의 4개의 손가락으로 주입기(150)의 배럴(152)을 쥐고, 그 손의 엄지를 채액팁(1)의 외통(13)의 상측단(주입기(150)측단)에 댄다. 그리고, 엄지로 외통(13)을 앞으로 밀어내면, 채액팁(1)을 주입기(150)로부터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외통(13)은, 채액팁(1)을 주입기(150)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SO80369-3의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도 23의 A 및 도 23의 B를 참조)과 달리, 채액팁(1)의 외통(13)의 내주면에는 나선형 돌기(925)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구조(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채액팁(1)을 주입기(150)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행하는데 유리하다.
둘째, 외통(13)은, 주입기(150)의 통끝(154)의 위생 상태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도 1의 A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채액팁(1)이 주입기(15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수형 부재(11)에 닿는 것을 외통(13)이 방지한다. 따라서, 그 후, 채액팁(1)이 주입기(150)에 장착되었을 때에, 오염된 수형 부재(11)가 주입기(150)의 통끝(154)을 오염시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채액팁(1)이 주입기(15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통끝(154)에 닿는 것을 외통(13)이 방지한다. 따라서, 통끝(154)이 오염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통끝(154)의 위생 상태가 확보되는 결과, 그 후에 통끝(154)이 접속되는 수형 커넥터(910)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 환자의 감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
<구성>
본 실시형태 2는, 수형 부재의 형상에 관해서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이하에, 실시형태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채액팁(2)의 수형 부재(11)의 선단 부분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수형 부재(11)의 선단으로부터 중공 원통 형상의 봉지통(17)이 돌출되어 있다. 봉지통(17)의 외주면은,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2)과 동축의 원통면이다. 봉지통(17)의 선단에, 유로(8)가 개구하고 있다.
<사용 방법>
본 실시형태 2의 채액팁(2)의 사용 방법은, 실시형태 1의 채액팁(1)과 개략 동일하다. 도 8은, 주입기(150)의 통끝(154)과 채액팁(2)의 접속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2)과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이 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수형 부재(11)의 선단의 봉지통(17)이, 배럴(152)의 소경부(157)에 끼워넣어져 있다. 봉지통(17)의 외경은, 소경부(157)의 내경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봉지통(17)이 소경부(157)에 끼워넣어지면, 봉지통(17)의 외주면과 소경부(157)의 내주단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채액팁(2)의 유로(8)와 배럴(152)의 저액부(155)가 연통하고 있다.
<작용>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액량은, 정확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상기 간이 현탁법에서는, 약액량은 주입기를 이용하여 계량된다. 그러나, 도 22의 A 및 도 22의 B에 나타낸 종래의 채액팁(940)이나, 실시형태 1의 채액팁(1)을 이용한 경우에는, 작업자의 조작 방법에 따라서는 약액량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가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채액팁(940)을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 도 22의 A 및 도 22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입기(950)에 채액팁(940)을 장착한 상태로, 약액을 배럴(952) 내에 흡인한다. 약액의 흡인량은, 배럴(952)을 통해 투시되는 개스킷(959)의 위치와, 배럴(952)에 표시된 눈금(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계량된다. 도 9는, 채액팁(940)이 장착된 주입기(950)의 통끝(954) 및 그 근방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배럴(952)에 표시된 눈금이 나타내는 용적은, 통끝(954) 내의 공간(954a)(도 9에 있어서 다수의 점을 찍은 부분)의 용적을 포함하지 않는다. 플런저(958)의 선단에 설치된 개스킷(959)은 공간(954a) 내에 진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스킷(959)을 배럴(952)의 최심부에 맞닿을 때까지 플런저(958)를 배럴(952) 내에 밀어넣고, 또한, 공간(954a) 내에 약액을 잔류시킨 상태로 간이 현탁법을 종료시켜야 한다. 통끝(954) 내의 공간(954a)에 잔류시켜야 할 약액도 환자에게 투여해버리면, 그만큼 계량한 양보다 과잉으로 약액을 투여해버리게 된다. 예를 들면, 적정량의 약액을 흡인한 주입기(950)을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하여, 배럴(952)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 후, 미온수 등을 주입기(950) 내에 흡인하여, 공간(954a) 내에 잔류되어 있는 약액을 미온수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해버리면, 계량한 양 이상의 약액이 환자에게 투여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것은, 의료 종사자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가족 등의 개호자인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한 경우에, 상기와 같이 부적절한 약액량 관리가 행해질 가능성이 있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끝(154) 내에, 수형 부재(11)의 선단과 소경부(157) 사이에 공간(154a)(도 6에 있어서 다수의 점을 찍은 부분)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수형 부재(11)가 통끝(154) 내에 깊게 삽입되도록 설계하면, 공간(154a)의 용적을 작게 하는(제로에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통끝(154) 내에 공간(154a)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 공간(154a) 내에 잔류한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해버리면, 약액을 과잉으로 투여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 2의 채액팁(2)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액팁(2)을 주입기(150)에 장착했을 때, 수형 부재(1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통형상의 봉지통(17)이 배럴(152)의 소경부(157)에 끼워넣어진다. 봉지통(17)과 소경부(157)는 액밀하게 접속되므로, 저액부(155) 내의 약액이, 봉지통(17)과 소경부(157) 사이를 통과해 통끝(154)측으로 새어나오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종래의 채액팁(940)이나 실시형태 1의 채액팁(1)과 달리, 채액팁(2)을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을 행한 경우에는 통끝(154) 내에 약액이 잔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2의 채액팁(2)을 이용한 경우에는, 어떤 작업자든지 간에, 계량한 양 이상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해버릴 가능성이 저감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2의 채액팁(2)은,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액량을 정확하게 관리하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형태 2는, 위에 기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형태 2에도 적용된다.
(실시형태 3)
<구성>
본 실시형태 3의 채액팁(3)은,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접속되는 부분의 구성에 관해서 실시형태 2와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 3의 채액팁(3)에, 노즐팁(350)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형태 1, 2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 3을 설명한다.
도 10의 A는 채액팁(3)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B는 채액팁(3)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채액팁(3)의 단면 사시도, 도 12는 채액팁(3)의 평면도이다.
도 10의 A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채액팁(3)은, 그 상단에, 실시형태 2의 봉지통(17)(도 7 참조)과 동일하게 기능하는, 중공 원통 형상의 봉지통(317)을 구비한다. 실시형태 2의 채액팁(2)은, 봉지통(17)에 대해 하측에 인접하여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테이퍼면(12)을 구비하고 있었는데, 채액팁(3)은, 그러한 수형 테이퍼면(12)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유로(308)가, 채액팁(3)을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봉지통(317)의 선단 및 채액침(320)의 선단에서 각각 개구하고 있다. 봉지통(317)과 채액침(320)은, 유로(308)를 통해 연통하고 있다.
봉지통(317)의 근방에, 채액침(320)을 둘러싸는 외통(313)이 설치되어 있다. 채액침(320)과 외통(313)은, 채액침(320)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 플랜지형상으로 돌출한 바닥판(314)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외통(313)의 채액침(320)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나사 결합 구조)(315)가 설치되어 있다. 암나사(315)는, 상술한 수형 커넥터(910)에 설치된 암나사(915)(도 23의 A 및 도 23의 B 참조)와 호환성을 갖고,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다. 따라서, 암나사(315)는, ISO80369-3에 준거한 배럴(152)의 통끝(154)에 설치된 나선형 돌기(수나사)(925)와 나사 결합 가능하다. 외통(313)의 외주면에는, 외통(313)을 파지하여 채액팁(3)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쉽도록, 대략 팔각기둥면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313)의 외주면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닥판(314)에는, 대략 「L」자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을 갖는 2개의 관통 구멍(322)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관통 구멍(322)은, 채액침(320)의 중심축에 대해 180도 회전 대칭이다. 바닥판(314)의 상면의 관통 구멍(322)의 끝가장자리 근방에, 경사면(324)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324)은, 채액침(32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승하도록 경사져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채액침(320)의 선단 근방의 외주면에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32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3의 A는 노즐팁(35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의 B는 노즐팁(35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는 노즐팁(35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팁(350)은, 중공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노즐팁(350)의 내강(351)을 규정하는 내주면의 내경은, 채액침(320)(도 10의 A 및 도 10의 B 참조)의 바닥판(314)보다 하측의 부분을 삽입할 수 있도록, 채액침(320)의 상기 부분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된다. 노즐팁(350)의 내경은, 그 선단(하단)에 설치된 개구(352)에 있어서 최소이다. 개구(352)의 내경은, 바람직하게는, 채액침(320)의 유로(308)의 선단에서의 개구(도 10의 B 참조)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된다. 개구(352)에 인접하여 그 상측에, 개구(352)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암형 테이퍼면)(358)이 설치되어 있다. 암형 테이퍼면(358)은, 채액침(320)의 선단 근방에 설치된 수형 테이퍼면(328)(도 10의 A 참조)과 테이퍼 각도 및 직경이 동일하다.
도 13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팁(350)의 상단에 2개의 돌기(354)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354)는, 노즐팁(35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수직부(354a)와, 수직부(354a)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걸어맞춤부(354b)를 구비한다. 2개의 돌기(354)는, 노즐팁(350)의 중심축에 대해 180도 회전 대칭이다. 또한, 노즐팁(350)에는 2개의 파지부(356)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356)는, 노즐팁(350)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후,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파지부(356)는, 노즐팁(35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356)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노즐팁(350)의 외주면에 정다각기둥면(정육각기둥면, 정팔각기둥면 등)을 설치하고, 이것을 파지부로 해도 된다. 파지부를 생략해도 된다.
도 13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팁(350)의 외주면에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355)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팁(350)의 선단에는, 노즐팁(350)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원형의 평면(353)이 설치되어 있다. 선단면(353)의 외경은, 채액침(320)의 선단(도 10의 B 참조)의 외경보다 크다. 선단면(353)의 중앙에 개구(352)가 설치되어 있다. 선단면(353)의 외주 끝가장자리는, 매끄럽게 모따기되어 있다.
노즐팁(350)은, 채액팁(3)에 반복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5의 A는 채액팁(3)에 노즐팁(350)이 장착된 채액 노즐(360)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B는, 채액 노즐(360)의 단면도이다.
채액팁(3)에 대한 노즐팁(350)의 장착은, 개략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채액침(320)을 노즐팁(350)의 내강(351)에 삽입하고, 노즐팁(350)의 돌기(354)를, 채액팁(3)의 바닥판(314)에 설치된 관통 구멍(322)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채액팁(3)과 노즐팁(35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즉, 상방에서 봤을 때, 노즐팁(350)에 대해 채액팁(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노즐팁(350)의 걸어맞춤부(354b)(도 13의 A 및 도 13의 B 참조)가, 채액팁(3)의 경사면(324)(도 12 참조) 상을 슬라이딩한다. 경사면(3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으므로, 채액팁(3)에 대해 노즐팁(350)이 회전함에 따라서, 채액침(320)이 노즐팁(350)의 내강(351) 내에 더욱 깊게 삽입되도록, 채액침(320)은 노즐팁(350)에 대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노즐팁(350)의 돌기(354)의 수직부(354a)가, 채액팁(3)의 관통 구멍(322)을 규정하는 끝가장자리의 회전 방향의 종단에 접촉할 때까지 채액팁(3)에 대해 노즐팁(350)을 회전시킨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채액침(320)의 수형 테이퍼면(328)과, 노즐팁(350)의 암형 테이퍼면(358)이 액밀 및 기밀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채액침(320)의 선단은, 노즐팁(350) 내에 수납되고, 노즐팁(350)으로 덮여 있다. 노즐팁(350)의 선단의 개구(352)와 채액침(320)의 유로(308)가 연통하고 있다.
채액팁(3)과 노즐팁(350)의 분리는, 상기와는 반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능하다.
채액팁(3)에 대한 노즐팁(350)의 상대적인 회전은, 채액팁(3)의 외통(313)의 외주면과, 노즐팁(350)의 파지부(356)를, 각각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채액팁(3)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채액팁(1)의 재료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노즐팁(350)은, 사람의 피부에 직접 닿기 때문에, 비교적 저경도의 재료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채액팁(3) 및 노즐팁(350)은, 각각 상기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용 방법>
도 16은, 주입기(150), 채액팁(3), 노즐팁(3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채액팁(3)을 주입기(150)에 장착한 상태로, 실시형태 1, 2와 동일하게, 간이 현탁법에 있어서 용기 내의 약액을 주입기(150)에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채액팁(3) 및 노즐팁(350)을 주입기(150)에 장착한 상태로 모유 채취를 할 수 있다.
먼저, 간이 현탁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17의 A 및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기(150)에 채액팁(3)을 장착한다. 도 1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와 동일하게, 채액팁(3)의 봉지통(317)이 배럴(152)의 소경부(157)에 끼워넣어져 있다. 봉지통(317)의 외경은, 소경부(157)의 내경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봉지통(317)의 외주면과 소경부(157)의 내주단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채액팁(3)의 유로(308)는 배럴(152)의 저액부(155)와 연통하고 있다. 채액팁(3)의 암나사(315)는, 배럴(152)의 나선형 돌기(925)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채액침(320)의 선단을, 정제를 붕괴시킨 약액 중에 침지하고, 플런저(158)를 조작하여, 약액을 배럴(152) 내에 흡인한다. 그 다음에, 채액팁(3)을 통끝(154)으로부터 제거한다(도 16 참조). 그 후,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통끝(154)을, 수형 커넥터(910)(도 23의 A 및 도 23의 B를 참조)에 접속하고, 저액부(155)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그 후, 통끝(154)을 수형 커넥터(91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모유 채취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유 채취는,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기(150)에 채액팁(3) 및 노즐팁(350)을 장착한 상태로 행한다. 노즐팁(350)의 선단면(353)을 유두에 대고, 플런저(158)를 조작하여 유두에 부착된 모유를 개구(352)를 통해 배럴(152) 내에 흡인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 3에 의하면,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 용기 내의 약액을 주입기(150) 내에 흡인하는 작업(흡인 작업)은, 통끝(154)에 채액팁(3)을 장착하여 행하고, 한편, 주입기(150)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작업(투여 작업)은, 채액팁(3)을 이용하지 않고, 통끝(15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하여 행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흡인 작업에서는, 나선형 돌기(925)를 포함하는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그 후, 통끝(15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했을 때에, 약액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특히 암나사(915))에 부착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910)가 장기간에 걸쳐서 환자에게 유치되었다고 해도, 수형 커넥터(910)가 비위생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채액팁(3)을 통끝(154)에 장착했을 때(도 17의 A 및 도 17의 B 참조), 채액팁(3)의 봉지통(317)과 배럴(152)의 소경부(157)는 액밀하게 접속된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2와 동일하게, 저액부(155) 내의 약액이, 봉지통(317)과 소경부(157) 사이를 통과해 통끝(154)측으로 새어나오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3의 채액팁(3)은,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액량을 정확하게 관리하는데 유리하다.
채액팁(3) 및 노즐팁(350)(즉, 채액 노즐(360))을 장착한 주입기(150)(도 18의 A 및 도 18의 B 참조)는, 모유 채취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유 채취에서는, 주입기(시린지)의 통끝을 유두에 직접 댄 상태로 모유를 배럴 내에 흡인한다. 예를 들면, 채액팁(940)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주입기(950)(도 22의 A 및 도 22의 B 참조)를 이용하여 모유 채취를 행할 수 있다. 통끝(954)의 선단에는, 비교적 큰 면적의 원형 평면이 설치되고, 그 중앙에 유로가 개구하고 있다. 이 원형 평면을 유두에 대고 모유를 흡인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 3의 노즐팁(350)은, 통끝(954)의 선단면과 동등하거나 이보다 큰 선단면(353)을 구비하므로, 선단면(353)을 유두에 대고 모유 채취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실시형태 1~3의 채액침(20, 320)의 선단은, 용기 내의 미량의 액체도 남기지 않고 채취할 수 있도록 비교적 소경이다. 이 채액침(20, 320)의 선단을 유두에 직접 대면, 엄마가 아픔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한편, 채액팁(1, 2, 3)을 제거한 주입기(150)(도 4의 A 및 도 4의 B 참조)는, 통끝(154)의 관형상부(921) 내에 큰 내경의 공동이 존재하므로, 미량의 모유를 흡인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형태 3의 노즐팁(350)은, 비교적 대경이며 또한 큰 면적의 선단면(353)을 가지므로, 노즐팁(350)의 선단이 피부에 직접 닿아도 아픔을 느끼는 경우는 없다. 노즐팁(350)의 이 선단면(353)을 유두에 밀착시킴으로써, 미량의 모유를 잔액이 적게 흡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에 의하면, 공통되는 주입기(150)를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 및 모유 채취를 모두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3에서는, 노즐팁(350)은, 채액팁(3)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 3과는 달리, 노즐팁(350)과 동등한 외형을 갖는 모유 채취 노즐을 제작해, 모유 채취를 하는 경우에는, 채액팁(3) 대신에 상기 모유 채취 노즐을 통끝(154)에 장착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모유 채취 노즐의 반경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두꺼운 모유 채취 노즐은, 일반적으로 수지 성형성이 나쁘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노즐팁(350)은 박육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지 성형성이 뛰어나다.
노즐팁(350)을 채액팁(3)에 장착했을 때, 노즐팁(350)의 개구(352)의 근방에서, 노즐팁(350)의 암형 테이퍼면(358)과 채액팁(3)의 수형 테이퍼면(328)이 끼워맞춰지고, 양면간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도 15의 B 참조). 이 시일은, 선단면(353)을 유두에 대고 누른 상태로 플런저(158)를 당겼을 때, 외계의 공기가, 노즐팁(350)의 상단(외통(313)측)의 개구로부터 노즐팁(350)과 채액침(32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해 채액팁(3)의 유로(308) 내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모유를, 노즐팁(350)의 개구(352)로부터 채액팁(3)의 유로(308)를 통과해 배럴(152) 내에 흡인할 수 있다. 또, 노즐팁(350)의 개구(352) 내에 유입된 모유 중, 노즐팁(350)과 채액침(320) 사이의 간극으로 흘러, 유로(308)에 유입되지 않는 모유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채액팁(3)과 노즐팁(350) 사이의 시일은, 모유를 효율적으로 채취하는데 유리하다. 채액팁(3)의 경사면(324)(도 12 참조)은, 채액팁(3)과 노즐팁(350)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노즐팁(350)의 외주면에는, 수형 테이퍼면(355)이 설치되어 있다(도 13의 A 참조).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예를 들면 증류수용 용기)(390)의 열린 개구(391)에 노즐팁(350)을 장착한 주입기(150)를 찔러넣을 수 있다. 노즐팁(350)의 수형 테이퍼면(355)이 용기(390)의 개구(391)의 끝가장자리에 끼워넣어지고, 개구(391)가 노즐팁(350)으로 막아진다. 주입기(150) 및 용기(390)를 이 상태로 일시적으로 방치해 두는 것은, 노즐팁(350)의 선단의 오염 방지와, 용기(390) 내의 액체(예를 들면 증류수)의 오염 방지 및 증발 방지에 유리하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수형 테이퍼면(355)은 필수는 아니다.
채액팁(3)은, 외통(313)을 구비한다(도 10의 A 참조). 실시형태 1의 외통(13)과 동일하게, 외통(313)은, 주입기(150)의 통끝(154)의 위생 상태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에 의해, 통끝(154)이 접속되는 수형 커넥터(910)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 환자의 감염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작업자는, 채액팁(3)의 외통(313)의 외주면을 유지함으로써, 채액침(320)에 접촉하지 않고,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채액팁(3)을 착탈할 수 있다. 채액침(320)에 노즐팁(350)이 장착된 채액 노즐(360)(도 15의 A 참조)을 주입기(150)의 통끝(154)에 장착하는 작업도, 마찬가지로 외통(313)의 외주면을 유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외통(313)에는, 주입기(150)의 나선형 돌기(925)에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3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채액팁(3)은, 실시형태 1, 2의 채액팁(1, 2)에 설치된, 배럴(152)의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에 끼워맞춰지는 수형 테이퍼면(12)(도 1의 A 및 도 7 참조)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배럴(152)에 단단히 장착할 수 있다.
채액팁(3)에 설치된 암나사(315) 및 주입기(150)에 설치된 나선형 돌기(925)는, 소위 오른나사이다. 이에 대해, 노즐팁(350)의 돌기(354)와 채액팁(3)의 바닥판(314)의 걸어맞춤 구조는, 상방으로부터 봤을 때, 노즐팁(350)에 대해 채액팁(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걸어맞춰지고, 노즐팁(350)에 대해 채액팁(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 및 그 해제와 회전 방향의 관계는 소위 왼나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기(150)에 채액팁(3) 및 노즐팁(350)을 장착한 상태로, 주입기(150)와 노즐팁(350)을 각각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주입기(150)측에서 봤을 때에 노즐팁(350)에 대해 주입기(1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주입기(150)의 나선형 돌기(925)와 채액팁(3)의 암나사(315)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고, 노즐팁(350)을 채액팁(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액팁(3)과 노즐팁(350) 사이에 왼나사에 준거한 걸어맞춤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도 18의 A 및 도 18의 B의 상태에서 한쪽 손으로 주입기(150) 및 채액팁(3)의 외통(313) 중 어느 것을 파지한 경우에도, 다른쪽 손으로 노즐팁(350)을 파지하여 상기와 같이 회전시키면, 노즐팁(350)을 채액팁(3)으로부터 확실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3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3의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 3은, 노즐팁(350)이 채액팁(3)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로서, 노즐팁(350)의 걸어맞춤부(354b)가 채액팁(3)의 바닥판(314)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조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로크 기구는, 이러한 걸어맞춤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크 기구가, 나사 결합 구조여도 된다. 일례에서는, 채액침(320)의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예를 들면 수나사)를 설치하고, 노즐팁(350)의 상단 근방의 내주면에, 상기 나선형 돌기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를 설치해도 된다. 다른 예에서는, 채액팁(3)의 외통(313)을 바닥판(314)보다 하방으로 연장시키고, 연장된 외통(313)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설치하고, 노즐팁(350)의 상단 근방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돌기(예를 들면 수나사)를 설치해도 된다. 나사 결합 구조는, 채액팁(3)과 노즐팁(350)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 결합 구조가 왼나사에 준거해 구성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 3의 상술한 걸어맞춤 구조와 마찬가지로,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기(150)에 채액팁(3) 및 노즐팁(350)을 장착한 상태로, 나선형 돌기(925)와 암나사(315)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고, 노즐팁(350)을 채액팁(3)으로부터 확실하게 떼어내는데 유리하다.
혹은, 상기 로크 기구를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액침(320)의 외주면에,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329)을 설치하고, 노즐팁(350)의 내주면에, 수형 테이퍼면(329)과 직경 및 테이퍼 각도가 동일한 암형 테이퍼면(359)을 설치한다. 수형 테이퍼면(329)과 암형 테이퍼면(359)이 끼워맞춰졌을 때의 양자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노즐팁(350)을 채액침(320)에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수형 테이퍼면(329)과 암형 테이퍼면(359) 사이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이 경우, 노즐팁(350)을, 변형이 비교적 용이한 유연 재료, 예를 들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 탄성을 갖는 재료(엘라스토머라고도 불림)로 구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 3에서는, 채액팁(3)의 수형 테이퍼면(328, 329)과 노즐팁(350)의 암형 테이퍼면(358, 359) 사이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었는데, 채액팁(3)과 노즐팁(350) 사이의 시일은, 끼워맞춰지는 2개의 테이퍼면 이외에 의해서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채액침(320)의 선단면(유로(308)의 선단측의 개구를 둘러싸는 면)과 노즐팁(350)의 선단의 내면(평면(353)과는 반대측인 면)을 채액침(320)의 길이 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양면 사이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어도 된다.
노즐팁(350)의 선단면(353)은, 정확한 평면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돔상으로 돌출 또는 패여 있어도 된다. 단, 예리한 에지를 갖지 않도록, 모서리는 둥글게 모따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채액침(320)의 선단을 덮는 노즐팁(350)을, 실시형태 1, 2의 채액팁(1, 2)에 적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 1~3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1~3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2의 채액팁(1, 2)에서는, 외통(13)은 한 쌍의 지지대(19)에 고정되어 있었는데, 외통(13)의 고정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이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3의 채액팁(3)의 바닥판(314)(도 10의 B, 도 11 참조), 또는, 수형 커넥터(910)의 바닥판(914)(도 23의 B 참조)과 마찬가지로, 수형 부재(11)의 기단(또는 기부(18))에, 반경 방향을 따라서 돌출한 바닥판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외주 끝가장자리에 외통(913)을 고정해도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지지대(19)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의 채액팁(3)이, 배럴(152)의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채액팁의 일례를 도 21의 A 및 도 21의 B에 나타낸다. 채액팁(4)은, 실시형태 1, 2의 채액팁(1, 2)과 마찬가지로, 외주면(12)이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테이퍼면인 수형 부재(11)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술한 채액팁(3)과 상이하다. 채액팁(4)은, 채액팁(3)과 동일하게, 배럴(152)의 통끝(15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외주면(12)은, 배럴(152)의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에 액밀하게 접속된다. 또, 봉지통(317)은, 배럴(152)의 소경부(157)에 액밀하게 접속된다. 채액팁(4)은, 채액팁(3)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채액팁(3)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 외통(13)이, 실시형태 3의 암나사(315)와 동일한, ISO80369-3에 준거한 암나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외통(13)을 생략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외통(313)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315)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암나사(315) 및 외통(313)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 1~3에 나타낸 채액팁(1~4)은, 전체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는데, 본 발명의 채액팁은, 별개로 제작한 2 이상의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채액침(20, 220)을 변형이 비교적 용이한 연질 재료(예를 들면 고무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하고, 채액침(20, 220) 이외의 부분을 경질 재료로 제작해도 된다. 채액침(20, 220)과 그 이외의 부분을, 유연한 튜브로 접속해도 된다.
실시형태 2, 3에 있어서, 봉지통(17, 317)의 외주면의 형상은, 원통면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경부(157)에 액밀하게 접속할 수 있으면, 봉지통(17, 317)의 형상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봉지통(17, 317)의 외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원뿔면)이어도 된다. 봉지통(17, 317)이 소경부(157)에 끼워넣어지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소경부(157)에 접촉함으로써, 봉지통(17, 317)이 소경부(157)와 액밀하게 접속되어도 된다. 혹은, 소경부(157)에, 하측(채액팁측)을 향해 돌출한 통형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통형상의 돌기가 봉지통(17, 317) 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봉지통(17, 317)이 소경부(157)와 액밀하게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 1~3에서는, 채액팁(1~4)을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채액팁은, 간이 현탁법 이외에 있어서, 임의의 액체(물, 약액, 혈액 등)를 주입기에 흡인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제한은 없지만, 의료 분야에 있어서, 임의의 액체(물, 약액, 모유, 혈액 등)를 주입기에 흡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2, 3, 4:의료용 채액팁
8, 308:유로
11:수형 부재
12:수형 부재의 외주면(수형 테이퍼면)
13, 313:외통
315:암나사(나사 결합 구조)
17, 317:봉지통
20, 320:채액침
150:주입기
152:배럴
154:통끝
155:저액부
157:소경부
350:노즐팁
352:노즐팁의 개구
354:돌기(로크 기구)
355:노즐팁의 수형 테이퍼면
360:채액 노즐
922:암형 테이퍼면
925:수나사(나선형 돌기)

Claims (15)

  1. 주입기의 배럴의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의료용 채액팁으로서,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의 내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며,
    상기 의료용 채액팁은, 일단에 상기 통끝에 삽입되는 수형 부재를 구비하고, 타단에 채액침을 구비하고,
    유로가, 상기 의료용 채액팁을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형 부재와 상기 채액침을 연통시키고 있고,
    상기 수형 부재의 외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이며, 상기 통끝의 상기 암형 테이퍼면에 액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채액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로부터 이격하고 또한 상기 수형 부재를 둘러싸는 외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를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에 삽입했을 때, 상기 외통은 상기 통끝을 둘러싸는, 의료용 채액팁.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유로와 연통한 봉지(封止)통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형 부재를 상기 통끝에 삽입했을 때, 상기 봉지통은, 상기 배럴의 상기 통끝과 저액부(貯液部) 사이의 소경부(小徑部)에 액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의료용 채액팁.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ISO80369-3에 준거하는, 의료용 채액팁.
  5. 주입기의 배럴의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의료용 채액팁으로서,
    상기 주입기는, 상기 통끝과 저액부 사이에 소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의료용 채액팁은, 일단에 상기 소경부에 액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된 봉지통을 구비하고, 타단에 채액침을 구비하고,
    유로가, 상기 의료용 채액팁을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봉지통과 상기 채액침을 연통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채액팁.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봉지통을 상기 소경부에 액밀하게 접속했을 때에 상기 통끝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외통을 더 구비하는, 의료용 채액팁.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의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형 돌기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의료용 채액팁.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의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형 돌기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의료용 채액팁.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의료용 채액팁.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료용 채액팁과,
    상기 채액침의 적어도 선단을 덮도록, 상기 의료용 채액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팁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팁은, 상기 노즐팁이 상기 의료용 채액팁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의료용 채액팁의 상기 유로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개구를 구비하는, 채액 노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이 상기 의료용 채액팁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의료용 채액팁과 상기 노즐팁 사이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는, 채액 노즐.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이 상기 의료용 채액팁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채액 노즐.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의 외주면에,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는, 채액 노즐.
  14. 상기 주입기와,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료용 채액팁을 구비한, 주입기 세트.
  15. 상기 주입기와, 상기 주입기의 상기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액 노즐을 구비한, 주입기 세트.
KR1020177022056A 2015-01-19 2016-01-19 의료용 채액팁, 채액 노즐, 및 주입기 세트 KR102507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8088 2015-01-19
JPJP-P-2015-008088 2015-01-19
PCT/JP2016/051411 WO2016117544A1 (ja) 2015-01-19 2016-01-19 医療用採液チップ、採液ノズル、及び注入器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367A true KR20170106367A (ko) 2017-09-20
KR102507582B1 KR102507582B1 (ko) 2023-03-08

Family

ID=5641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056A KR102507582B1 (ko) 2015-01-19 2016-01-19 의료용 채액팁, 채액 노즐, 및 주입기 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48196A1 (ko)
EP (1) EP3248639A4 (ko)
JP (3) JP7053148B2 (ko)
KR (1) KR102507582B1 (ko)
CN (1) CN107106789B (ko)
WO (1) WO2016117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2433B2 (en) 2014-10-15 2019-06-18 Doselogix, Llc Metering dispenser for flowable compositions
US10086146B2 (en) 2015-06-03 2018-10-02 Doselogix, Llc Flowable composition applicator
US10435226B2 (en) 2016-12-27 2019-10-08 Doselogix, Llc Dosing dispenser system
CN111466864B (zh) * 2020-04-16 2023-04-07 崇州市人民医院 一种用于肠镜检查操作时防止粪便溢漏的装置
EP4225254A2 (en) 2020-10-09 2023-08-16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USD999903S1 (en) * 2022-01-06 2023-09-26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article prevention adapt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7576A (ja) * 2005-12-26 2007-07-05 Jms Co Ltd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及びこのシリンジとアダプタとの組合せ
US20080287914A1 (en) * 2003-12-22 2008-11-20 Philip Wyatt Medicament administration apparatus
WO2008152871A1 (ja) 2007-06-08 2008-12-18 Jms Co., Ltd.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US20100094260A1 (en) * 2008-10-10 2010-04-15 Coeur, Inc. Luer lock adapter
WO2013059563A1 (en) * 2011-10-19 2013-04-25 Medrad, Inc. Sterility retaining med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WO2013183986A1 (en) * 2012-06-08 2013-12-12 N.V. Nutricia Flexible container with outle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2971A (en) * 1994-05-19 1998-11-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filling and delivery device
US6494865B1 (en) * 1999-10-14 2002-12-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derma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needle assembly
JP4191371B2 (ja) * 2000-07-06 2008-12-03 テルモ株式会社 導液具
CN2475417Y (zh) * 2001-03-06 2002-02-06 骆辉 医用注射器微旋式易装卸装置
US20030040720A1 (en) * 2001-08-22 2003-02-27 Steube Gregory Alan Needle hub assembly
JP4168237B2 (ja) * 2002-07-15 2008-10-22 ニプロ株式会社 2成分混合型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2004215783A (ja) * 2003-01-10 2004-08-05 Mitsubishi Pharma Corp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DE10340613A1 (de) * 2003-08-29 2005-03-24 Primojex Gmbh Vorrichtung zur Injektion eines injizierbaren Produktes
US8852167B2 (en) * 2005-12-01 2014-10-07 Bayer Medical Care Inc. Medical connector
MY151150A (en) * 2006-05-05 2014-04-30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Syringe with recessed nose for use with frontal attachments
US20080140055A1 (en) * 2006-12-08 2008-06-12 Utah Medical Products, Inc. Lockable enteral feeding adapter
JP2012010930A (ja) * 2010-06-30 2012-01-19 Terumo Corp 薬剤投与具
GB2495492A (en) * 2011-10-10 2013-04-17 Iden Shams Syringe tip with non-luer fitting
JP5936859B2 (ja) * 2011-12-26 2016-06-22 株式会社大協精工 二薬混合用シリンジキット
EP2719420A1 (en) * 2012-10-12 2014-04-16 Becton Dickinson France Adaptor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said adaptor thereon
CA2908822C (en) 2013-03-07 2019-05-07 David B. Brothers Low waste syringe and needle assemblage
CN203971071U (zh) * 2014-07-26 2014-12-03 刘焱 一种胰岛素注射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7914A1 (en) * 2003-12-22 2008-11-20 Philip Wyatt Medicament administration apparatus
JP2007167576A (ja) * 2005-12-26 2007-07-05 Jms Co Ltd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及びこのシリンジとアダプタとの組合せ
WO2008152871A1 (ja) 2007-06-08 2008-12-18 Jms Co., Ltd.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US20100094260A1 (en) * 2008-10-10 2010-04-15 Coeur, Inc. Luer lock adapter
WO2013059563A1 (en) * 2011-10-19 2013-04-25 Medrad, Inc. Sterility retaining med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WO2013183986A1 (en) * 2012-06-08 2013-12-12 N.V. Nutricia Flexible container with out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48196A1 (en) 2017-12-07
WO2016117544A1 (ja) 2016-07-28
JPWO2016117544A1 (ja) 2017-10-26
JP2022028925A (ja) 2022-02-16
CN107106789A (zh) 2017-08-29
EP3248639A4 (en) 2018-07-25
KR102507582B1 (ko) 2023-03-08
JP7053148B2 (ja) 2022-04-12
JP2021049393A (ja) 2021-04-01
EP3248639A1 (en) 2017-11-29
CN107106789B (zh)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581B1 (ko) 의료용 채액 주입기
KR20170106367A (ko) 의료용 채액팁, 채액 노즐, 및 주입기 세트
JP5161259B2 (ja) 液体薬剤の医療装置
US978252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dispensing colostrum
CZ20013506A3 (cs) Struková savička, dávkovací zařízení a spojovací prostředek
US20120315353A1 (en) Breast Milk Collection, Storage, and Fee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6976330B2 (ja) 接続デバイスによって操作されるコンテナークロージャ
WO2017094873A1 (ja) 拭き取りチップ
KR102698256B1 (ko) 어댑터
JP4191371B2 (ja) 導液具
KR20110042632A (ko) 정량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의약품 용기
JP7484894B2 (ja) 採液チップ
JP3243039U (ja) 医療用採液チップ
US20240139424A1 (en) Single-Hand Removable Tip Cap for Prefilled Syringe
EP3943060A1 (en) Wiping tip
JP3143802U (ja) 鼻腔洗浄用器具
JP2022041685A (ja) キャップ
JP2004215861A (ja) 薬液用接合栓のビン針
WO2007032354A1 (ja) シリンジ
JP2005144054A (ja) カニュー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