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285A - 유동암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암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285A
KR20170104285A KR1020160027150A KR20160027150A KR20170104285A KR 20170104285 A KR20170104285 A KR 20170104285A KR 1020160027150 A KR1020160027150 A KR 1020160027150A KR 20160027150 A KR20160027150 A KR 20160027150A KR 20170104285 A KR20170104285 A KR 20170104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fluid
shaft
rotation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788B1 (ko
Inventor
이병석
박철수
박성훈
박상규
백광엽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7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동암을 장갑차에 조립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과,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유동암을 그립하는 그리퍼와, 그리퍼에 링크 구조를 통해 연결되고, 그리퍼가 유동암을 파지하는 제1 위치와, 유동암에서 그리퍼를 분리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그리퍼가 이동 가능하도록 그리퍼를 가이드하는 레버와, 그리퍼에 연결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그리퍼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을 지지하며, 회전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롤러와,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감속기와, 회전축과 롤러 및 감속기를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테이블 리프트를 포함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동암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of travelling ar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동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동암(travelling arm)은, K9 자주포와 K10 탄약운반장갑차와 같은 차륜형 장갑차(이하 "장갑차")의 기동에 사용되는 무한궤도의 장력 조절에 관여하고, 전체적인 궤도의 틀을 잡아주는 구성품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리프팅되기 이전의 유동암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도 7은 테이블(20) 상에 전술한 유동암(10)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유동암(10)은 궤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갑차의 유동륜 및 궤도장력조절기와 연결되며, 궤도장력조절기에서 생성된 유압을 유동륜을 통하여 궤도에 장력으로 전달함으로써, 장갑차의 기동 중에 궤도를 지지하여 궤도의 이탈 현상을 방지하고, 궤도의 장력에 의해 발생된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데, 궤도장력조절기에서 생성된 힘에 따라 유동암의 축이 회전하며, 이에 따라 유동륜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조절되어 궤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유동암은 별도로 제조되어 장갑차에 조립된다. 현재 K9 자주포와 K10 탄약운반장갑차에 사용되는 유동암의 무게는 약 236kg으로, 크레인과 테이블 리프트를 이용하여 유동암을 인양한 뒤, 사용자가 직접 유동암을 조작하여 장갑차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유동암을 장갑차에 조립한다.
히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유동암을 장갑차에 조립할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암의 인양을 위해 필요한 크레인은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진다. 또한, 장갑차에 유동암(1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나타난 유동암(10)을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장갑차의 하우징의 구멍에 조립하여야 하나, 유동암(10)의 회전과 회전한 상태에서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아 인양 중 이탈하는 경우가 잦아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실시예들의 목적은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유동암을 장갑차에 조립할 수 있는 유동암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동암을 장갑차에 조립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과,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유동암을 그립하는 그리퍼와, 그리퍼에 링크 구조를 통해 연결되고, 그리퍼가 유동암을 파지하는 제1 위치와, 유동암에서 그리퍼를 분리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그리퍼가 이동 가능하도록 그리퍼를 가이드하는 레버와, 그리퍼에 연결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그리퍼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을 지지하며, 회전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롤러와,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감속기와, 회전축과 롤러 및 감속기를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테이블 리프트를 포함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회전판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리퍼가 유동암을 그립할 경우 유동암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유동암을 고정시키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속기는, 회전축의 타단에 설치되는 웜기어와, 회전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웜이 형성된 구동축과, 구동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리퍼는 유동암의 양측을 가압하도록 유동암의 양측에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되며, 한 쌍의 그리퍼는 유동암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러와 접촉하는 회전판의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 리프트는, 하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동바퀴와, 하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을 지지 및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와, 높이조절부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부가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를 가압하는 페달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유동암 리프팅 장치에 의하면 테이블 리프트 상에 일체로 설치되는 그리퍼 및 회전판을 이용함으로써 유동암을 용이하게 이동, 그립 및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동암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다른 작동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감속기를 투시하여 나타낸 투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테이블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리프팅되기 이전의 유동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에 의해 리프팅된 유동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동암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는 회전축(110)과, 회전축(110)의 일단에 연결되며, 유동암(10)을 그립하는 그리퍼(120)와, 그리퍼(1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그리퍼(120)를 움직이는 레버(130)와, 그리퍼(1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전판(140)과, 회전판(140)의 회전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롤러(150)와, 회전축(110)에 연결되어 회전축(110)을 회전시키는 감속기(160)와, 회전축(110), 롤러(150) 및 감속기(160)를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170)과, 지지 프레임(170)을 승강시키는 테이블 리프트(180)를 포함한다.
상세히, 그리퍼(120)는 레버(130)에 의해 작동하며, 레버(130)는 그리퍼(120)가 유동암(10)을 파지하는 제1 위치와, 유동암(10)에서 그리퍼(120)를 분리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그리퍼(120)가 이동 가능하도록 그리퍼(1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리퍼(120)는 유동암(10)의 양측을 가압하도록 유동암(10)의 양측에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그리퍼(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우측에 각각 제1 그리퍼(120L_1)와 제2 그리퍼(120R_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한 쌍의 제1 그리퍼(120L_1) 및 제2 그리퍼(120R_1)는 유동암(10)의 높이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그리퍼(120L_1)(120L_2)와 제2 그리퍼(120R_1)(120R_2)가 상하로 각각 두 쌍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는 회전판(140)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리퍼(120)가 유동암(10)을 그립할 경우 유동암(10)에 구비된 개구부(11)(도 7 참조)에 삽입되어 유동암(10)을 고정하는 가이드핀(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핀(190)은 그리퍼(120)의 양 측에 하나씩 두 개가 회전판(140)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가이드핀(190)은 개구부(11)에 삽입되어 유동암(10)을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에 고정시킴으로써, 회전판(140)이 회전할 경우나, 테이블 리프트(180)의 승강에 의해 유동암(10)이 승강할 경우 유동암(10)을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에 의해 리프팅된 유동암(10)을 이동시켜 장갑차에 유동암(10)을 조립할 경우, 유동암(10)이 조립될 장갑차의 특정 위치에 가이드핀(190)을 삽입하여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의 회전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의 감속기(160) 조작에 따른 회전판(140)의 회전 구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다른 작동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감속기를 투시하여 나타낸 투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회전판(140)은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에는 회전판(140)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회전판(140)은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다. 다만, 일반적으로 유동암(10)을 장갑차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유동암(10)을 가로 방향으로 눕혀야 하므로, 도 4에서는 유동암(10)을 가로로 눕히는 방향인 9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판(140)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또한, 회전판(140)을 회전시키면, 회전판(140)과 연결된 그리퍼(120)와 또한 회전판(14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판(140)이 회전하게 되면, 그리퍼(120)에 의해 그립된 유동암(10) 또한 회전판(1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롤러(150)와 접촉하는 회전판(140)의 외주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판(140)의 외주면과 롤러(150)가 서로 맞물리는 구조에 의해 롤러(150)가 회전판(14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140)은 회전축(110)에 연결되는 감속기(160)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감속기(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감속기(160)의 구체적인 구성과 구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감속기를 투시하여 나타낸 투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속기(160)는 회전축(110)의 타단에 설치되는 웜기어(161)와, 회전축(1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웜기어(161)에 맞물려 회전하는 웜(W)이 형성되는 구동축(162)과, 구동축(162)의 일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축(162)을 회전시키는 구동핸들(16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동핸들(163)을 조작하여 구동축(16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구동핸들(163)을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에 나타난 웜기어(161)는 Y축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구동핸들(163)이 X축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웜기어(161)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웜기어(161)가 회전하면, 웜기어(161)의 중심에 웜기어(161)를 관통하도록 결합된 회전축(11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110)이 회전하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축(110)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축(110)과 연결된 그리퍼(120)와 회전판(14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그리퍼(120)에 의해 그립된 유동암(10) 또한, 사용자가 구동핸들(163)을 조작하여 회전판(140)을 회전시키는 경우 함께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의 승강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의 테이블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테이블 리프트(180)는 하부 프레임(181)과, 구동바퀴(182)와, 상부 프레임(183)과, 높이조절부(184)와, 유압실린더(185)와, 페달(186)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181)은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의 베이스가 되는 구성요소로, 상술한 다른 모든 구성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다.
구동바퀴(182)는 하부 프레임(181)의 저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바퀴(182)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종래 유동암(10)을 인양하기 위해 필요했던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를 미는 힘 만으로도 유동암(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프레임(183)은 하부 프레임(181)과 지지 프레임(17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170)을 지지 및 고정한다.
높이조절부(184)는 하부 프레임(181)과 상부 프레임(183)을 연결하여, 상부 프레임(183)을 승강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부(184)는 하부 프레임(181) 및 상부 프레임(183)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링크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185)는 이러한 링크 구조의 높이조절부(184)에 연결되어 높이조절부(184)가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185)는 사용자가 페달(186)을 밟음으로써 구동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페달(186)을 밟게 되면, 사용자와 먼 쪽의 높이조절부(184)의 링크 구조의 각도가 변경된다. 즉, 사용자가 페달(186)을 조작하여 유압실린더(185)를 구동하며, 유압실린더(185)의 구동에 따라 높이조절부(184)의 링크 구조가 승강하면서 상부 프레임(183)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 테이블 리프트(180)의 구동에 의해, 지지 프레임(170) 및 지지 프레임(170) 상에 설치되는 회전축(110), 그리퍼(120), 레버(130), 회전판(140), 롤러(150) 및 감속기(160)와 같은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의 그립과 회전을 구동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작동 관계를 갖는다.
도 1 내지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의 손잡이(187)를 잡은 상태로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를 밀어 테이블(20) 상에 배치된 유동암(10) 근처로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의 가이드핀(190)이 유동암(10)의 개구부(11)에 삽입되도록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를 조작한다. 가이드핀(190)이 유동암(10)의 개구부(11)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이후, 사용자는 레버(130)를 조작하여 그리퍼(120)를 이동시켜 유동암(10)을 그립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페달(186)을 밟아 유압실린더(185)를 작동시킴으로써 높이조절부(184) 및 상부 프레임(183)을 상승시킨다. 상부 프레임(183)이 상승함에 따라 지지 프레임(170)이 상승하며, 지지 프레임(170)에 의해 고정된 그리퍼(120) 및 그리퍼(120)에 의해 그립된 유동암(10) 또한 함께 상승한다.
유동암(10)을 테이블(20)로부터 상승시킨 이후, 사용자는 구동핸들(163)을 조작하여 회전축(110)을 회전시킨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유동암 리프팅 장치에 의해 리프팅된 유동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축(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10)에 결합된 그리퍼(120)와 회전판(140)이 함께 회전하며, 그리퍼(120)에 의해 그립된 유동암(10) 또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140)과 롤러(150)는 서로 맞물려 그리퍼(120)의 회전 구동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가이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다시 손잡이(187)를 잡은 상태로 유동암 리프팅 장치(100)를 이동시켜, 유동암(10)이 설치될 장갑차의 하우징에 유동암(10)을 정렬한다. 이때, 가이드핀(190)은 장갑차의 하우징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유동암(10)과 장갑차 하우징을 안정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유동암 리프팅 장치 170: 지지 프레임
110: 회전축 180: 테이블 리프트
120: 그리퍼 181: 하부 프레임
130: 레버 182: 구동바퀴
140: 회전판 183: 상부 프레임
150: 롤러 184: 높이 조절부
160: 감속기 185: 유압실린더
161: 웜기어 186: 페달
162: 구동축 187: 손잡이
163: 구동핸들 190: 가이드핀

Claims (6)

  1. 유동암을 장갑차에 조립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암을 그립하는 그리퍼;
    상기 그리퍼에 링크 구조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그리퍼가 상기 유동암을 파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유동암에서 상기 그리퍼를 분리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그리퍼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그리퍼를 가이드하는 레버;
    상기 그리퍼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그리퍼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지지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롤러;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롤러 및 상기 감속기를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테이블 리프트;를 포함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그리퍼가 상기 유동암을 그립할 경우 상기 유동암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암을 고정시키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설치되는 웜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웜이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핸들을 포함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유동암의 양측을 가압하도록 상기 유동암의 양측에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그리퍼는 상기 유동암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접촉하는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성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리프트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동바퀴와,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 및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가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가압하는 페달을 포함하는, 유동암 리프팅 장치.
KR1020160027150A 2016-03-07 2016-03-07 유동암 리프팅 장치 KR102151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50A KR102151788B1 (ko) 2016-03-07 2016-03-07 유동암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50A KR102151788B1 (ko) 2016-03-07 2016-03-07 유동암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285A true KR20170104285A (ko) 2017-09-15
KR102151788B1 KR102151788B1 (ko) 2020-09-03

Family

ID=5992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50A KR102151788B1 (ko) 2016-03-07 2016-03-07 유동암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318A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포스코 Finex 풍구설치작업용 lift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731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자동변속기의 분해조립용 지지장치
KR20050069394A (ko) * 2003-12-31 2005-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KR20080012564A (ko) * 2006-08-04 2008-02-12 나경수 동력전달장치
KR20100013210A (ko) *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오버헤드 작업용 리프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731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자동변속기의 분해조립용 지지장치
KR20050069394A (ko) * 2003-12-31 2005-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KR20080012564A (ko) * 2006-08-04 2008-02-12 나경수 동력전달장치
KR20100013210A (ko) *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오버헤드 작업용 리프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318A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포스코 Finex 풍구설치작업용 lift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788B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4112B2 (en) Tracked climbing machine with compliant suspension apparatus
JP4631881B2 (ja) ワーク搬送装置
CN101028838B (zh) 步行式移动机器人
EP1304279A1 (en) Working vehicle with traversing system
JPS60116537A (ja) 輸送機械
EP1798139B1 (en) Crawler moving system having variable configuration
US6866113B2 (en) Forklift with transverse travel system
FI63698C (fi) Fyrhjulsdrivet midjestyrt fordon
JP2017052013A (ja) 複腕移動ロボット
KR20170104285A (ko) 유동암 리프팅 장치
US6854552B2 (en) Fork lift with traverse motion system
JP6817871B2 (ja) 橋形クレーンの移動システム
JPH04118388A (ja) 横走行可能な走行装置
JP2001180899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6807287B2 (ja) 車両移動台車
JP2004224177A (ja) 荷物搬送用台車
JP4092148B2 (ja) 飛行機用自走式移送車、及び飛行機用拘束移送装置
JP2023038071A (ja) 移動体
JP2000142413A (ja) ドラム缶運搬車
JP2600986Y2 (ja) 操作レバー操作装置
JP2023044065A (ja) 移動体
CN117886259A (zh) 车辆移动装置
KR100458897B1 (ko) 지게차의 구조
JPH0547185Y2 (ko)
JPS5841799Y2 (ja) 刈取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