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714A -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714A
KR20170101714A KR1020160024646A KR20160024646A KR20170101714A KR 20170101714 A KR20170101714 A KR 20170101714A KR 1020160024646 A KR1020160024646 A KR 1020160024646A KR 20160024646 A KR20160024646 A KR 20160024646A KR 20170101714 A KR20170101714 A KR 20170101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ehicle
user terminal
fuel cell
hydrogen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영
Original Assignee
하이리움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리움산업(주) filed Critical 하이리움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24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1714A/ko
Priority to US15/440,141 priority patent/US10427533B2/en
Publication of KR2017010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714A/ko
Priority to US16/548,272 priority patent/US1129235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9Fuel consumption; Energy use; Emission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60L2240/622Vehicle position by satellite 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60L2240/72Charging station selection relying on extern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Y02E60/3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결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연료 사용량 패턴을 기초로 상기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충전시점을 예측하는 단계; (b) 상기 연료 충전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충전알람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충전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HYDROGEN FUEL CELL VEHICLE CHARGING SERVICE}
본 발명은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수소연료전지차량과 이동 가능한 충전차량이 특정 충전위치에서 만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는 에너지는 대부분이 화석원료인 석유 및 석탄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자동차의 경우 휘발유 또는 경유와 같은 유류를 이용하는 것이 전부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이다. 하지만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는 그 매장량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각종 배출가스 및 분진은 환경오염과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로는 수소와 같은 청정에너지원과 수력, 풍력, 태양열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들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에너지원으로는 그 효율성을 감안하면 수소를 이용한 연료전지가 가장 바람직한 동력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즉, 수소를 이용한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동차는 수소를 산소와 결합해 발생하는 물과 전기를 이용하므로 소음이 적고 배기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원료인 수소의 주입은 일반 가스 자동차와 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그 효율성 면에서는 기존 자동차와 다름없다. 다만, 이러한 수소를 사용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내부에 고압의 수소가스 저장용기를 두고 충전할 수 있도록 주유소와 같은 형태로 수소충전소가 건설 되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수소공급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아 수소를 필요 시에 바로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7659호는 수소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전지 자동차용 고순도 수소 생산 설비와 고압 압축, 저장, 및 충전 시스템을 제어하여, 수소 충전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수소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적으로 제공하고 있을 뿐, 자동차가 실제 주행 중 수소 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76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충전 스테이션이 없는 지역에서 수소연료전지차량이 충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수소연료전지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과 이동식 충전차량과 연관된 단말을 통하여, 수소연료전지차량과 충전차량이 지정된 위치에서 만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연료 충전시점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이동계획인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에 따른 예상연료소모량을 기초로 충전횟수 및 충전위치에 대한 충전 계획을 생성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연료전지차량으로부터 충전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단말을 결정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은,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결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연료 사용량 패턴을 기초로 상기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충전시점을 예측하는 단계; (b) 상기 연료 충전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충전알람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충전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일자별 이동거리 및 일자별 연료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연료 사용량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 사용량 패턴을 기초로 상기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하로 떨어질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료 사용량 패턴은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위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충전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장 많이 이용한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충전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여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충전위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 중에서 상기 충전 위치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충전수행계획이 없는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관된 충전차량들은 각각 충전차량별로 기설정된 위치이동계획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충전위치까지의 이동예상시간, 및 상기 충전수행차량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면은,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결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예상연료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예상연료소모량을 기초로 충전횟수, 충전시점 및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충전위치, 및 상기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예상연료소모량을 기초로 연료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하로 떨어질 충전시점의 상기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예상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예상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충전위치와의 거리, 충전차량의 충전수행계획, 및 충전차량의 위치이동계획을 기초로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 중에서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관된 충전차량들은 각각 충전차량별로 기설정된 위치이동계획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 충전시점, 및 충전위치에 대한 정보를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 측면은,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결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충전위치 및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 중에서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충전위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상기 충전위치 간의 거리 및 이동예상시간, 및 상기 충전수행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에 대하여 상기 충전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충전수행계획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관된 충전차량들은 각각 충전차량별로 기설정된 위치이동계획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소충전 스테이션이 없는 지역에서도 이동식 충전차량을 통하여 수소연료전지차량이 충전을 할 수 있고, 수소연료전지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가장 근접한 충전위치 또는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이동경로에 있는 충전위치와 같은 최적의 위치에서 충전차량과 만나 충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이동거리 패턴 및 연료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여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충전 시점을 예측하고, 해당 시점에 도달하면 사용자로부터 충전요청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충전알람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연료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충전횟수, 충전위치 등의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충전계획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사용자가 직접 충전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단말을 결정하여, 연료 충전을 바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충전패턴 알람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충전계획 생성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상시충전 수행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의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의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충전차량 단말(120), 및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 및 충전차량 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소연료전지차량과 연관된 단말로서, 해당 수소연료전지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110)은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충전차량 단말들(120)은 수소연료전지차량에 수소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수소를 저장하고 있는 충전차량들과 연관된 단말로서, 해당 충전차량을 이용하는 충전기사의 단말이거나 또는 충전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전차량은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차량 단말 또한 각 충전차량과 연관된 하나 또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고,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120)은 모두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차량은 충전차량별로 기설정된 위치이동계획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위치이동계획은 복수개의 충전위치들을 일정시간간격으로 순환하는 방식으로 수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 및 충전차량 단말(120)은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 컴퓨터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연결되어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 및 충전차량 단말(1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수소연료전지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110) 및 충전차량 단말들(120)과 연결되어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일자별 평균 연료소모량을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소모량 패턴을 분석하여 충전 예상시점에 사용자 단말(110)에 충전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가 입력되면 연료 충전 계획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충전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충전위치, 충전차량 위치 등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110)과 연관된 수소 차량과 충전수행차량이 특정 충전위치에서 만나 충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충전차량의 이동계획 또는 일시별 위치이동계획을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일자별 평균 연료소모량을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충전패턴 알람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충전계획 생성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상시충전 수행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서버(130)는 충전패턴 알람부(210), 충전계획 생성부(220), 상시충전 수행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충전패턴 알람부(2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충전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연료 충전 시점을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충전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패턴 알람부(210)는 패턴 분석 모듈(211), 충전 예측 모듈(212),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 및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214)을 포함한다.
패턴 분석 모듈(211)은 사용자 단말(110)과 연관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충전 예측 모듈(212)은 연료 사용량 패턴을 기초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충전시점을 예측한다(단계 S601). 바람직하게, 패턴 분석 모듈(211)은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일자별 이동거리 및 일자별 연료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연료 사용량 패턴을 결정하고, 여기에서, 연료 사용량 패턴은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예측 모듈(212)은 연료 사용량 패턴을 기초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하로 떨어질 날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퇴근시에 수소연료전지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일별 이동거리의 패턴이 분석될 수 있고(예를 들어, 월요일 내지 금요일은 집과 직장 주변의 이동, 토요일 및 일요일은 장거리 이동), 연료 사용량에 대한 패턴 또한 분석될 수 있다(예를 들어, 월요일 내지 금요일은 연료 사용량이 일정하며 비교적 적고, 토요일 및 일요일은 연료 사용량이 일정하지 않고 비교적 많음). 또한, 분석된 패턴을 기초로 충전 예측 모듈(211)은 2016년 2월 22일~23일을 충전시점, 즉, 2016년 2월 22일~23일 정도에는 수소연료전지차량에 연료를 충전해야 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충전 예측 모듈(211)을 통하여 예측된 연료 충전시점에 도달하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충전위치 및 충전 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110)에 충전알람을 제공한다(단계 S602). 여기에서, 충전알람은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사용자로부터 충전요청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110)에 충전알람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수소연료전지차량에 충전을 해야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위치 중에서, 사용자 단말(110)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충전위치 또는 사용자 단말(110)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충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위치는 수소연료전지차량과 충전차량이 만나서 충전을 수행하는 장소로서, 미리 설정되어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사용자 단말(110)의 현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위치 중에서 사용자 단말(110)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충전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현위치로부터 특정 범위는 사용자 단말(110)의 이동 경로 또는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10)을 중심으로 하는 특정 반경 이내로 설정될 수 있으며, 특정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9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10)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현위치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한 충전위치4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충전위치는 사용자 단말(110)의 현위치와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110)이 가장 자주 이용하는 충전위치로 결정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하는 충전위치 정보는 별도로 수집 및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모든 충전위치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충전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여 충전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충전위치 4 및 5에 해당하는 충전위치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하여 충전위치5를 선택하면,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위치5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결정된 충전위치를 기초로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 중에서 충전위치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충전수행계획이 없는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수행차량 단말은 충전수행차량과 연관된 단말이고, 충전수행차량은 충전을 요청한 수소연료전지차량과 특정 충전위치에서 만나 해당 수소연료전지차량에 연료를 제공할 충전차량에 해당하며, 충전수행계획은 충전차량이 다른 수소연료전지차량에 연료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특정 충전위치로 이동할 계획이 있는지 여부에 해당한다.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120)에 대하여 충전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충전수행계획을 확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충전위치4가 결정된 경우에, 충전알람 제공 모듈(213)은 충전위치4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빨간색 점선)에 위치하는 충전차량들(검은색 십자 모양) 중에서, 충전수행계획(예를 들어, 다른 수소연료전지차량에 대한 충전 예약)이 없고 충전위치 4와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충전차량을 결정하거나, 또는 충전수행계획이 없고 위치이동계획을 기초로 충전위치4에 위치해 있거나 또는 충전위치 4로 이동할 예정에 있는 충전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214)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충전알람에 대한 충전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10) 및 충전위치에 대한 정보를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S603). 즉, 사용자는 충전알람을 통하여, 수소연료전지차량에 충전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 다음,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충전알람에 대하여 충전을 요청하면,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214)은 사용자 단말(110)에 충전위치까지의 이동 예상시간, 충전수행차량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사용자 단말(110)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충전계획 생성부(2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도착지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예상연료소모량을 기초로 충전 계획을 생성하고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가는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계획 생성부(220)는 경로정보 수신 모듈(221), 예상연료소모량 산출 모듈(222), 충전계획 결정 모듈(223), 이동경로 설정 모듈(224), 및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225)를 포함한다.
경로정보 수신 모듈(221)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701). 바람직하게, 경로정보 수신 모듈(221)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하여 수신된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예상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상연료소모량 산출 모듈(222)은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예상연료소모량을 산출한다(단계 S702). 바람직하게, 예상연료소모량 산출 모듈(222)은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예상이동경로를 따라 기설정된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에 소모될 예상연료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충전계획 결정 모듈(223)은 예상연료소모량을 기초로 충전횟수, 충전시점 및 충전위치를 결정한다(단계 S703). 바람직하게, 충전계획 결정 모듈(223)은 예상연료소모량을 기초로 연료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하로 떨어질 충전시점의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예상위치를 결정하고, 예상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충전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충전 알람 제공 모듈(213)을 통하여 충전위치가 결정되는 방법과 동일하고, 충전계획 결정 모듈(223)은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예상위치를 기초로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적용하여 충전위치를 결정하며,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충전계획 결정 모듈(223)은 충전위치와의 거리, 충전차량의 충전수행계획, 및 충전차량의 위치이동계획을 기초로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120) 중에서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충전 알람 제공 모듈(213)을 통하여 충전수행 차량 단말이 결정되는 방법과 동일하며,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이동경로 설정 모듈(224)은 충전위치, 및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10)의 이동경로를 설정한다(단계 S704). 즉, 이동경로 설정 모듈(224)은 출발지와 도착지까지 가는 경로 중에 충전계획 결정 모듈(223)을 통하여 결정된 충전 위치를 포함하는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225)은 사용자 단말(110), 충전시점, 및 충전위치에 대한 정보를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제공하고, 충전수행차량은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충전시점에 해당 충전위치로 이동하여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충전을 수행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상시충전 수행부(2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충전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충전위치를 결정하고, 충전위치를 기초로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시충전 수행부(230)는 충전 요청 수신 모듈(231), 충전 위치 결정 모듈(232), 충전수행차량 결정 모듈(233), 및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234)을 포함한다.
충전 요청 수신 모듈(231)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충전요청을 수신한다(단계 S80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잔류연료량을 확인하여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10)의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
충전 위치 결정 모듈(232)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초로 충전위치를 결정한다(S802). 충전수행차량 결정 모듈(233)은 충전위치 및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120)의 위치를 기초로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120) 중에서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한다(단계 S803). 여기에서,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충전 알람 제공 모듈(123)을 통하여 수행되는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234)은 충전위치,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와 충전위치 간의 거리 및 이동예상시간, 및 충전수행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단계 S804). 또한,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234)은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사용자 단말(11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10)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이 서로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충전패턴 알람부(210), 충전계획 생성부(220), 상시충전 수행부(230)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세가지 실시예들은 하나의 수소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서버로 구현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충전차량 단말
130: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
210: 충전패턴 알람부 220: 충전계획 생성부
230: 상시충전 수행부 240: 제어부
211: 패턴 분석 모듈 212: 충전 예측 모듈
213: 충전알람 제공 모듈 214: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
221: 경로정보 수신 모듈 222: 예상연료소모량 산출 모듈
223: 충전계획 결정 모듈 224: 이동경로 설정 모듈
225: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
231: 충전 요청 수신 모듈 232: 충전 위치 결정 모듈
233: 충전수행차량 결정 모듈 234: 충전수행정보 제공 모듈

Claims (14)

  1.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결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연료 사용량 패턴을 기초로 상기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 충전시점을 예측하는 단계;
    (b) 상기 연료 충전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충전위치 및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충전알람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충전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일자별 이동거리 및 일자별 연료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연료 사용량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 사용량 패턴을 기초로 상기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연료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하로 떨어질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료 사용량 패턴은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 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위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충전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장 많이 이용한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충전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여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충전위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 중에서 상기 충전 위치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충전수행계획이 없는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관된 충전차량들은 각각 충전차량별로 기설정된 위치이동계획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충전위치까지의 이동예상시간, 및 상기 충전수행차량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7.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결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예상연료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예상연료소모량을 기초로 충전횟수, 충전시점 및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충전위치, 및 상기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예상연료소모량을 기초로 연료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하로 떨어질 충전시점의 상기 수소연료전지차량의 예상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예상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충전위치와의 거리, 충전차량의 충전수행계획, 및 충전차량의 위치이동계획을 기초로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 중에서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관된 충전차량들은 각각 충전차량별로 기설정된 위치이동계획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충전시점, 및 충전위치에 대한 정보를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결된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충전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충전위치 및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 중에서 충전수행차량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충전위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상기 충전위치 간의 거리 및 이동예상시간, 및 상기 충전수행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에 대하여 상기 충전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충전수행계획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충전차량 단말들과 연관된 충전차량들은 각각 충전차량별로 기설정된 위치이동계획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충전수행차량 단말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024646A 2016-02-29 2016-02-29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01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646A KR20170101714A (ko) 2016-02-29 2016-02-29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US15/440,141 US10427533B2 (en) 2016-02-29 2017-02-23 Method of providing hydrogen fuel cell vehicle charging service
US16/548,272 US11292353B2 (en) 2016-02-29 2019-08-22 Method of providing hydrogen fuel cell vehicle charg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646A KR20170101714A (ko) 2016-02-29 2016-02-29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627A Division KR20170101768A (ko) 2016-12-15 2016-12-15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714A true KR20170101714A (ko) 2017-09-06

Family

ID=5967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646A KR20170101714A (ko) 2016-02-29 2016-02-29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427533B2 (ko)
KR (1) KR201701017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616A (ko) 2019-04-18 2020-10-2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충전소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08043A (ko) * 2020-02-25 2021-09-02 박경수 이동식 수소 충전 시스템
KR102384950B1 (ko) * 2021-03-02 2022-04-11 주식회사 티비유 차량 충전을 위한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220165296A (ko) * 2021-06-07 2022-12-15 한국자동차연구원 수소전기차 충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9543A2 (en) * 2016-04-01 2018-02-15 Ijuze Corporation Pte Ltd. An automated system for managing and providing a network of charging stations
US11796340B2 (en) 2017-04-03 2023-10-24 Power Hero Corp. Universal automated system for identifying, registering and verifying the existenc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lectric and other power outlets by random users and for retrieval and utilization of such parametric data and outlets by all users
JP2019103338A (ja) * 2017-12-06 2019-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力制御装置
KR102645040B1 (ko) * 2018-07-26 2024-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식 충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0013B2 (en) * 2006-03-29 2010-09-07 Safe Hydrogen, Llc Storing and transporting energy
US8860362B2 (en) * 2009-07-31 2014-10-1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for vehicle battery charging
KR101139340B1 (ko) 2010-09-06 2012-04-26 원영주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JP5556740B2 (ja) * 2010-10-28 2014-07-23 Smk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車両支援システム
WO2012092518A1 (en) * 2010-12-30 2012-07-05 Telenav, Inc. Navigation system with constrained resource route plann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30082957A (ko) 2011-12-26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자동차 카쉐어링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BR112014019920B1 (pt) * 2012-02-13 2021-02-23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método e sistema para inteligência distribuída de rastreio de energia e alocação de energia
AU2012100463B4 (en) * 2012-02-21 2012-11-08 Uniloc Usa, Inc. Renewable resourc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KR20130120228A (ko) 2012-04-25 2013-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US9577274B2 (en) * 2012-09-17 2017-02-21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uel cell vehicle system
JP6020151B2 (ja) * 2012-12-27 2016-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20140110291A (ko) 2013-03-07 2014-09-17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자동차의 모바일 충전 방법 및 그 시스템
US9151632B2 (en) * 2013-09-06 2015-10-0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riving route information of electric vehicle
US20150149221A1 (en) * 2013-11-24 2015-05-28 Martin Tremblay Methods and system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US10899235B2 (en) * 2014-01-02 2021-01-26 Causam Ener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user interface therefor
US10017068B2 (en) * 2014-06-19 2018-07-10 Proterra Inc. Charging of a fleet of electric vehicles
KR101601443B1 (ko) * 2014-07-02 2016-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US10037631B2 (en) * 2014-09-24 2018-07-3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mart dongle for use with telematics devices
JP6481344B2 (ja) * 2014-11-27 2019-03-13 株式会社Ihi 情報提供システム、受電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616A (ko) 2019-04-18 2020-10-2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충전소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08043A (ko) * 2020-02-25 2021-09-02 박경수 이동식 수소 충전 시스템
KR102384950B1 (ko) * 2021-03-02 2022-04-11 주식회사 티비유 차량 충전을 위한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WO2022186445A1 (ko) * 2021-03-02 2022-09-09 주식회사 티비유 차량 충전을 위한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220165296A (ko) * 2021-06-07 2022-12-15 한국자동차연구원 수소전기차 충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75310A1 (en) 2019-12-12
US10427533B2 (en) 2019-10-01
US11292353B2 (en) 2022-04-05
US20170246960A1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1714A (ko)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JP5970070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支援システムおよび充電支援方法
JP6371450B2 (ja) 電動車両用バッテリ交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RU257890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системы энергосбере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поездок
US9994118B2 (en) Optimizing vehicle recharging to maximize use of energy generated from particular identified sources
KR101768223B1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CN102916462B (zh) 电池充电系统和方法
JP4987054B2 (ja) 逆潮流低減システム及び逆潮流低減方法
WO201317998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30103378A1 (en) Electricity demand prediction
KR20140078623A (ko) 전기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부하 추정 및 관리
KR20200137304A (ko) 전기자동차의 운전자를 위한 배터리의 충전 및 교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A3088914C (en)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based on electricity quantity guidance of energy-storage charging piles
JP2012095377A (ja) 電気自動車充電制御装置および同方法並びに同装置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KR20170101768A (ko) 수소연료전지차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82959A (ko) 전기자동차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N107953798A (zh) 基于蓄能充电桩电量引导的电动运载工具导航方法及系统
KR20170077552A (ko) 전기 추진 장치의 충전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이에 의한 충전 관리 방법
KR20140046295A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40015740A (ko) 전기 자동차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1022972A (ja) 燃料補給システム、指令センタ、燃料補給方法、及び燃料補給プログラム
JP202104757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1171850A1 (ja) 推奨行動出力システム、推奨行動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886008A1 (en) Power calculation apparatus and power calculation method
CN113218402A (zh) 协调充电和/或充注的方法、存储器介质、移动终端设备、服务器设备、导航装置和机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