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894A -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 Google Patents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894A
KR20170095894A KR1020177017344A KR20177017344A KR20170095894A KR 20170095894 A KR20170095894 A KR 20170095894A KR 1020177017344 A KR1020177017344 A KR 1020177017344A KR 20177017344 A KR20177017344 A KR 20177017344A KR 20170095894 A KR20170095894 A KR 2017009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onia
phenylacetate
ornithine
administration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376B1 (ko
Inventor
라지브 잘란
라제쉬워 프로새드 무커지
크리스타 롬바우츠
파우스토 안드레올라
프란체스코 데 치아라
카렌 루이스 톰슨
Original Assignee
유씨엘 비즈니스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 비즈니스 피엘씨 filed Critical 유씨엘 비즈니스 피엘씨
Priority to KR102023700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526A/ko
Publication of KR2017009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2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원에서는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섬유증 및 간암과 같은, 간성상세포(HSCs)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예방, 치료 및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USING AMMONIA-LOWERING THERAPIES}
본 출원은 2012년 8월 29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제61/694,679호로 35 U.S.C. § 119(e) 하에 우선권을 청구하고, 이는 그의 전체가 참고문헌으로서 본원에 명확하게 통합된다.
분야
본 출원은 약학적 화학, 생화학 및 의학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은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관한 것이다.
연관된 기술의 서술
간성상세포(HSCs)는 간의 혈관 주위강(perisinusoidal space)에서 발견되는 주피세포(pericytes)이다. 간 내, 성상세포는 간의 건축학적 통합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섬유증 및 간암 발달에 수반된다. 정상 간에서, HSCs는 휴지 상태에 있다. 간이 손상되었을 때, HSCs는 활성화된 상태로 변할 수 있다. 활성화된 성상세포는 증식, 수축성 및 주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질병은 HSCs의 활성화, 예컨대,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섬유증 상태 및 간암을 일으킬 수 있다.
HSCs의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에 대한 다양한 예방, 치료 및 유지 전략은 증상의 중증도에 의존하여 최근 들어 이용 가능하다. 저러한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추가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본원에서는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섬유증 및 간암과 같은, 간성상세포(HSCs)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예방, 치료 및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원에서 개시된 일부 구현예는 간성상세포(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성상세포(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발병 또는 진행의 지연이 필요한 개체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의 수행은 상기 개체에 암모니아-저감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이다. 예를 들어, 상기 NAFLD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또는 지방증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간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섬유증 상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증 상태는 간 섬유증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개체는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에 걸린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제는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제품(MGP), 글리세롤 페닐부티레이(GPB),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소듐 페닐부티레이트(NaPBA), 글루타민, 소듐 벤조에이트, L-아라비노스, 완하제, 항생제,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제는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에서,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개체에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페닐부티레이트로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오르니틴은 유리 모노머 아미노산 또는 그의 물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위내 또는 혈관내 투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투여는 정맥내 투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이다.
본원에서는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섬유증 및 간암과 같은, 간성상세포(HSCs)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예방, 치료 및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a-c는 암모니아가 인비트로 1차 인간 간성상세포에서 세포 증식 및 대사를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도 1a는 암모니아가 DNA 합성(BrdU) 및 대사 활성(MTS)을 억제함을 나타내고, 도 1b는 억제가 세포 죽음을 유도하지 않고 달성됨을 나타낸다. 도 1c는 용량-의존적 방법으로 암모니아 유도된 강한 형태학적 변화, 즉, 근섬유아세포-유사 세포로부터 스핀들 유사 섬유아세포가 광학 현미경 및 Neutral Red 세포 생존력 시험에 의해 관찰됨을 나타낸다(20X, 40X). 막대 그래프는 3개의 독립적인 값들 ± SD의 평균을 나타낸다. * P <0.05, ** P <0.01 및 *** P <0.001 vs 무혈청 배지(SFM)의 값에 대응.
도 2a-f는 암모니아가 세포의 대사/기능, 수축 및 액틴 세포골격 구조에서 변화와 일치하는 세포질 스트레스의 변화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도 2a에서 투과 전자 현미경(TEM) 이미지는 농도 의존적인 방법으로 암모니아가 세포질 액포의 외형의 극적인 형태학적 변화를 야기함을 나타내고 (V=액포; N=핵), 도 2b는 암모니아-리치 배양 배지의 결핍 후에 세포 증식의 회복을 나타낸다. 막대 그래프는 3개의 독립적인 값들 ± SD의 평균을 나타낸다. * P <0.05 및 *** P <0.001 vs SFM. 도 2c 및 2d는 암모니아가 hHSC 수축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콜라겐 겔 수축 어세이로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낸다. 막대 그래프는 2개의 독립적인 실험들의 평균을 나타낸다(± SD 값들. *P < 0.05 및 **P < 0.01 vs SFM 의 값에 대응). 도 2e는 암모니아-유도된 HSC 수축이 형태에서 변화와 일치함을 나타낸다. 도 2f는 암모니아로 연장된 치료(72시간)가 섬유성 액틴의 재구성을 용량-의존적인 방법으로 유도함을 나타낸다(TRITC-Phalloidin 염색).
도 3a-c는 암모니아가 ROS 생성을 유도함을 나타낸다. 도 3a는 72 시간 동안 암모니아로 hHSC의 연장된 처리는 hHSC에서 ROS 생성을 유도함을 나타낸다. 반응성 산소 종(ROS)의 형성은 Image-IT ™ LIVE 녹색 반응성 산소 종 탐지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도 3b에서, ROS 신호의 평균 형광 강도(MFI)는 세포의 수(Hoechst 33342)에 따라 표준화되었고, 대조군의 백분율로서 표현되었다. 막대 그래프는 3개의 독립적인 값들 ± SD의 평균을 나타낸다. *** P <0.001 vs SFM 의 값에 대응. 도 3c는 고암모니아혈증이 3 및 24 시간에 ROS 마커 SOD2의 mRNA 발현 수준을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막대 그래프는 2개의 독립적인 값들 ± SD의 평균을 나타낸다. *** P <0.01 vs SFM에 대응하는 값. 도 3d는 NAC- 유도된 ROS 스캐빈저가 24시간에 암모니아-유도된 SOD2 mRNA 발현을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막대 그래프는 2개의 독립적인 값들 ± SD의 평균을 나타낸다. ** P <0.01 vs SFM의 값에 대응.
도 4a-c는 암모니아가 몇몇 전-염증성 및 HSC 활성화 마커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수준을 변형시킴을 나타낸다. 도 4a는 암모니아가 α-SMA, 비멘틴, PDGF-Rβ, 미오신 IIa 및 IIb 및 p-38 MAPK의 단백질 발현에 영향을 줌을 나타낸다. 도 4b는 암모니아가 TIMP1 mRNA는 하향-조절되는 반면, MMP2 mRNA는 상향-조절을 유도함을 나타낸다. 도 4c는 인터류킨 1β 및 인터류킨 IL6 mRNA 발현이 상향 조절됨을 나타낸다. 막대 그래프는 3개의 독립적인 값들 ± SD를 나타낸다. * P <0.05, ** P <0.01 및 *** P <0.001 vs SFM의 값에 대응.
도 5a-b는 고암모니아혈증 치료가 인비보 BDL-유도된 HSC 마커를 추가로 향상시킴을 나타낸다. 도 5a는 암모니아의 혈장 수준이 sham 조작된 래트와 비교하여 BDL 및 AAs-공급된 BDL 동물에서 유의적으로 상향 조절됨을 나타낸다(* P <0.05 및 ** P <0.01 vs Sham). OP 치료는 BDL 동물과 비교하여 BDL-AAs-공급된 동물에서 유의적으로 암모니아를 감소시킨다(** P <0.01). 도 5b는 BDL-유도된 섬유증에서 고암모니아혈증 치료는 BDL-유도된 섬유증과 비교하여 미오신 IIb, 콜라겐 타입I 및 PDGF-Rβ 단백질 발현을 추가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음을 나타낸다(** P <0.01 및 *** P <0.001). 반면에, OP로 치료는 모든 HSC-연관된 활성화 마커 상에 AAs-공급된 BDL의 강력한 영향을 배제하였다(* P <0.05, ** P <0.01 및 *** P <0.001)
도 6은 10개월 동안 정상 및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투여하고 2개월 동안 회복시킨 래트에서의 오르니틴 트랜스카르바밀라제(OTC)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을 나타낸다.
도 7은 4주 동안 메티오닌-콜린 결핍 식이(MCD)를 공급받고 탄소로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은 마우스에서의 OTC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다.
도 8은 비만 수술 동안 단순 지방증 또는 NASH + 섬유증을 가진 NAFLD 인간 환자에서의 OTC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본원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자료로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서 설명되는 실례가 되는 구현예는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제시된 주제의 취지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른 구현예는 활용될 수 있고, 다른 변형은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일반적으로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측면은 매우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배열되고, 치환되고, 결합되며, 설계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명백하게 고려되고 본 개시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개체”는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동물을 의미한다. "동물"은 냉- 및 온-혈 척추동물과 어류, 갑각류, 파충류 및 특히 포유류와 같은 무척추동물을 포함한다. "포유류"는 마우스; 래트, 토끼; 기니피그; 개; 고양이; 양; 염소; 암소; 말; 원숭이, 침팬지 및 유인원, 및 특히, 인간과 같은 영장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환자"는 특정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적어도 개선시키기 위해 또는 상기 질병 또는 장애가 1차 장소에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의학 의사(즉, 대증요법 의사 또는 정골요법 의사) 또는 수의사와 같은 의료 전문가에 의해 치료되는 개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투여" 또는 "투여하는"은 척추동물에게 약학적 활성 성분의 투여량을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위 투여량”은 단일 투여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치료제의 양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1일 투여량"은 매일 환자에게 투여되는 치료제의 총량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학적 유효량" 또는 "약학적 유효량"은 치료 효과를 갖는 치료제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에 유용한 약학적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치료학적 유효양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학적 유효량은 임상 시험 결과 및/ 또는 모델 동물 연구에 의해 판단된 바와 같은 원하는 치료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치료제의 그러한 양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학적 효과"는 질병 또는 장애의 증상 중 하나 이상을 어느 정도 완화시킨다. 예를 들어, 치료학적 효과는 개체에 의해 전달되는 주관적인 불편감의 감소(예컨대, 자기투약 환자 설문지에서 언급된 불편함 감소)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하다”, “치료” 또는 “치료하는” 은 예방 및/또는 치료 목적으로 화합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방적 치료"라는 용어는 질병 또는 상태의 증상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으나, 특정 질환 또는 상태에 걸릴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위험이 있는 개체를 치료하여, 그로 인해 상기 치료가 상기 환자가 상기 질병 또는 상태를 발전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치료학적 치료"라는 용어는 이미 질병 또는 상태를 겪고 있는 개체에 치료를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약어
BDL=담관 결찰
OP=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OTC=오르니틴 트랜스카르바밀라제
GS=글루타민 합성효소
HSC = 간성상세포
암모니아- 저감 치료
다양한 암모니아-저감 치료가 개체에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본원에 개시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암모니아-저감제가 상기 개체의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암모니아-저감제”라는 용어는 개체에서 암모니아 수준을 낮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암모니아-저감제가 상기 암모니아 수준을 낮추는 메커니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모니아-저감제는 상기 개체에서 상기 암모니아의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상기 개체에서 상기 암모니아를 흡수하거나, 상기 대장 내로 암모니아를 이동시키고 완하제 효과를 통해 암모니아를 제거함으로써 또는 그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 개체에서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개체에서 상기 암모니아 수준은 상기 개체의 상기 혈액(예컨대, 혈장)에서 암모니아의 수준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는 상기 개체에 하나 이상의 암모니아- 저감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암모니아-저감제의 비한정적인 예시는 인산 마그네슘 제품(MGP), 글리세롤 페닐 부티레이트(GPB),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소듐 페닐부티레이트(NaPBA), 글루타민, 소듐 벤조에이트, 클로로필, L-아라비노스, 완하제, 항생제,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 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 및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암모니아-저감제는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완하제는 대변을 느슨하게 하고 배변을 증가시키는 물질이다. 예를 들어, 완하제는 상기 개체의 위장관에서 박테리아 무리를 변경하고 암모니아를 생성할 수 있는 유기물을 거의 제조하지 않음으로써, 개체의 위장관에서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완하제의 예시는 락툴로스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암모니아 저감제는 하나 이상의 항생제이거나, 하나 이상의 항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모니아 저감제는 상기 항생제(들)이 상기 위장관에서 활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경구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의해 구애되지 않고, 상기 항생제(들)이 상기 개체에서 상기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장으로부터 암모니아-생성 박테리아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상기 항생제들의 비한정적인 예시는 네오마이신, 반코마이신 및 리팍시민(Xifaxan)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이한 암모니아 저하제는 상기 개체에서 상기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합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완하제 및 하나 이상의 항생제는 상기 개체에서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시로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는 상기 개체에서 장내 미생물군의 조성물을 조절하는 단계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개체의 장내 미생물군의 조성물의 조절은 대변 이식과 같은, 박테리아 이식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개체에서 장내 미생물군의 조성물의 조절은 상기 개체의 장내 미생물군에서 유라제(urase) 활성이 결핍되거나 낮은 유라제(urase) 활성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 종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개체에서 장내 미생물군의 조성물의 조절은 상기 개체의 자생 장내 미생물군을 유라제(urase) 활성이 결핍되거나 낮은 유라제(urase) 활성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 종의 높은 수준을 가지는 조성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개체에서 장내 미생물군의 조성물의 조절은 상기 개체에 유라제(urase) 활성이 결핍되거나 낮은 유라제(urase) 활성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 종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라제(urase) 활성이 결핍되거나 낮은 유라제(urase) 활성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의 예시는 파라박테로이드(Parabacteroides), 라크노스피래세애(Lachnospiraceae), 루미노코카세애(Ruminococcaceae), 유박테리움(Eubacterium), 무시스피릴룸(Mucispirillum),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및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라제(urase) 활성이 결핍되거나 낮은 유라제(urase) 활성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는 클로스트리디아(Clostridia), 무시스피릴룸 스캐들레리(Mucispirillum schaedleri), 파라박테로이드(Parabacteroides), 락토바실리(Lactobacilli)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는 1970년대에 집합되고 1978년에 국립 암연구소에 의해 표준화된 8개 쥐과 장내 공생 박테리아 균주로 구성된(Dewhirst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1999; 65(8):3287-3292), 스캐들러 군 (ASF)을 상기 개체에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한정되지 않고, 박테리아 유라제(urease)는 고암모니아혈증에 기여함으로써, 숙주-유래 요소를 암모니아 및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키고, 유라제 활성이 없거나 감소된 장내 미생물군은 암모니아 생성 및 그로 인해 상기 개체에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는 상기 개체에 고암모니아혈증을 기여하는 유전자 결핍을 정정하기 위한 유전자 치료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암모니아혈증은 요소 사이클에 수반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들에서 결핍에 의해 초래될 수 있고, 오르니틴 트랜스카르바밀라제(OTC) 유전자, 카르바밀 포스페이트 합성효소(CPS1) 유전자, 아르기닌숙신산 합성효소(AAS), 아르기닌숙시네이트 분해효소(ASL) 및 아르기나제(AG)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암모니아혈증은 시스타티온 베타 합성효소(CBS) 유전자 및 글루타민 합성효소 유전자에서 결핍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치료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조합 바이러스 벡터(예컨대, 아데노-연관된 바이러스 벡터 및 베큘로바이러스 벡터)는 상기 개체에 상기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개체에 상기 미싱(missing) 유전자(들)을 전달(예컨대, 상기 간 세포로 표적화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Torres-Vega et al. Gene Therapy (2015) 22, 5864(그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을 참고하라.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온전한 OTC 유전자를 포함하는 AAV 벡터는 상기 개체에 상기 암모니아 수준의 감소를 위해 필요로 하는 개체 내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온전한 글루타민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AAV 벡터는 상기 개체에 상기 암모니아 수준의 감소를 위해 필요로 하는 개체 내로 투여된다.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및 예방
간성상세포(HSCs)는 간 생리학 및 섬유 형성과 상기 간의 구조적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간-특이 간엽세포이다. HSCs는 일반적으로 상기 디세강(space of Disse)에 위치하고 사인파내피세포 및 간성상세포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유지한다. HSCs는 상기 간에서 많은 주요 기능을 조율하며, 그들의 기능 장애는 다양한 병리학적 상태와 연관된다. HSCs는 간 발달 및 재생 동안 다른 간 세포 유형의 분화, 증식 및 형태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상 간에서, HSCs는 휴지 상태에 있다. HSCs는 상기 간이 손상되었을 때, 활성된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성 또는 만성 간 손상 후, HSCs는 "정지"(비-증식 및 비-수축)으로부터 "활성화된"(전유사분열촉진(promitogenic), 전섬유형성(profibrogenic) 및 전염증성 근섬유아세포-유사(proinflammatory Myofibroblasts-like)) 세포로 표현형 변형을 겪는다. 더욱이, 활성화 과정 동안, HSCs는 수축성이 높아지고, 많은 용성 물질/자극의 반응하는 수축 또는 이완에 상기 필요한 기계를 가진다. 활성화된 HSCs는 간 전구 세포 및 간세포의 증식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광범위한 배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Cs는 섬유증 및 간암 발달에 수반된다. HSC 활성화는 다양한 질병, 상태 및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섬유증 상태(예를 들어, 간 섬유증), 간암 및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간암의 비한정적인 예시는 간세포 암(HCC) 및 간모세포종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은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에 걸리거나 이를 발달시키기 위한 위험이 있는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NAFLD, 간 섬유증, 간암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NAFLD는 알코올을 거의 또는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의 간에서 과도한 지방이 축적되는 조건의 그룹을 의미한다. NFALD는 선진국에서 흔한 간 장애이다. NAFLD의 가장 흔한 형태는 지방간이라고 불리는 심각하지 않은 상태이다. NAFLD는 지방이 상기 간에 축적될 때(지방증) 발생한다. 상기 간에서 지방 보유가 정상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 자체로는 아마도 상기 간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NAFLD는 섬유증의 일반적인 원인이다. NAFLD는 정기적인 혈액 검사 중 그들의 간 검사에서 가벼운 상승이 있거나, 복부 초음파 또는 CT 검사와 같은 방사선 검사에서 우발적으로 검출되는 과체중 또는 비만인에서 종종 의심된다.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은 NAFLD의 보다 심각한 형태이다. NASH에서 지방 축적은 간 세포 염증 및 흉터의 다양한 정도와 연관된다. NASH는 심각한 간 흉터 및 경화증을 일으킬 수있는 잠재적으로 심각한 상태이다. 특정한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NASH는 인간 및 설치류에서 오르니틴 트랜스카르바모일라제(OTC, 오르니틴 카르바모일전달효소라고도 함)의 발현 및 기능의 감소와 연관된다고 여겨진다. 예를 들어, 실험용 NASH에서, 미토콘드리아 요소 사이클 효소 오르니틴 트랜스카르바밀라제(OTC)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은 고암모니아혈증을 야기하는 요소 생성에 대한 인비보 능력의 기능적인 감소를 초래함으로써, 유의적으로 감소된다. 생검-입증된 NASH 환자에서, 혈장 암모니아 수치는 단순 지방증에 걸린 환자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된다. 포유류에서, 상기 OTC 효소는 요소 사이클의 일부이다. OTC 결핍된 포유류에서, 암모니아 수치는 증강될 것이고, 이는 고암모니아혈증 및 그다음 신경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암모니아가 인간 HSCs 및 인비보 담관 결찰된 래트(예를 들어, 산화 스트레스, 증가된 사이토카인, 활성화 마커의 발현, 매트릭스 단백질의 분비물에서 변형 및 심각한 형태학적 분열)에서 뚜렷한 형태학적 및 기능적 변화를 생성함이 본 명세서 내에 처음으로 개시된다.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고암모니아혈증이 인비보 및 인비트로에서 HSCs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이는 NAFLD(예컨대, NASH) 및 섬유증의 진행을 선호할 수 있다. 본원에 서술된 바와 같이, 개체에서 암모니아 수준의 감소는 상기 개체에서 상기 HSCs의 활성을 방지할 수 있고, 예컨대,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원에 서술된 일부 구현예는 상기 개체 상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필요로 한 개체에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서술된 일부 구현예는 상기 개체 상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필요로 한 개체에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의 수행은 상기 개체에 암모니아-저감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제는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제품(MGP), 글리세롤 페닐부티레이트(GPB),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소듐 페닐부티레이트(NaPBA), 글루타민, 소듐 벤조에이트, L-아라비노스, 완하제, 항생제,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개체에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조합된 오르니틴을 병용-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NAFLD, 예를 들어, NASH 또는 지방증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간암, 예를 들어, HCC 또는 간모세포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섬유증 상태, 예를 들어, 간 섬유증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간암 및/또는 섬유증 상태에 걸린 개체는 마찬가지로 NAFLD를 겪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둘 이상의 암모니아-저하제가 상기 개체에 병용-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암모니아-저하제는 상기 개체에 다른 약학적으로 활성 성분과 함께 병용-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개체에서 장내 미생물군의 조성물은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조절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전자 치료법은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암모니아-저하 치료로서 사용된다.
또한, 필요로 하는 개체에 암모니아-저하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NAFLD를 예방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의 수행은 상기 개체에 암모니아-저감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암모니아-저하제는 상기 방법에 사용될 수 있고,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제품(MGP), 글리세롤 페닐부티레이트(GPB),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소듐 페닐부티레이트(NaPBA), 글루타민, 소듐 벤조에이트, L-아라비노스, 완하제, 항생제,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개체에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을 병용-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개체에서 장내 미생물군의 조성물은 NAFLD를 예방하기 위해 조절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전자 치료법은 NAFLD를 치료하기 위해 상기 암모니아-저하 치료로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서술된 일부 구현예는 필요로 하는 개체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섬유증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는 필요로 하는 개체에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과 같은, 암모니아-저감제를 병용-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구현예는 치료학적 치료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는 예방학적 치료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섬유증 상태”는 섬유아세포의 조절되지 않은 증식 또는 활성 및/또는 피브로넥틴의 비정상적인 축적 및/또는 콜라겐성 조직의 병적 또는 과도한 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형적으로, 어떤 그러한 질병, 장애 또는 상태는 항-섬유증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의 투여에 의한 치료로 처리될 수 있다. 섬유증 장애는 간 섬유증(예컨대, 만성 활성 간염과 연관된 간섬유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는 필요로 하는 개체에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조합된 오르니틴을 병용-투여함으로써 간 섬유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는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조합된 오르니틴을 투여하기 전에, 섬유증 상태(예컨대, 간 섬유증)를 가지거나 이를 발달시키기 위한 위험이 있는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병용-투여(co-administration)"란 그들이 실제로 투여되는 시기 또는 방법에 관계없이, 둘 이상의 제제들이 동시에 환자의 혈류에서 발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제들은 동시에 투여된다. 하나의 그러한 구현예에서, 조합으로 투여는 단일 투여량 형태에서 상기 제제를 조합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제들은 경구로 투여되는 하나의 경로 및 i.v. 투여되는 다른 경로와 같이, 다른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NASH는 사람 및 설치류에서 요소 사이클 효소, 오르니틴 트랜스카르바모일라제(OTC) 수준의 감소된 발현 및 기능과 연관되고, 이는 고암모니아혈증을 초래한다.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암모니아는 NAFLD에서 상승되고 NAFLD 및 간암의 진행에 수반된다고 여겨진다. 추가적으로, 암모니아 저하제(예컨대, OP)는 NASH와 연관된 고암모니아혈증과 같은, 고암모니아혈증을 갖는 개체에서 혈액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NAFLD의 진행, NASH에서 섬유증 진행 및 간암(예컨대, HCC)의 발달을 예방, 한정 또는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하제는 NASH의 발병 또는 진행을 치료 및 지연시키는, 혈액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일부 구현예는 필요한 개체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섬유증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는 필요로 하는 개체에 암모니아-저감제, 예를 들어,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조합된 오르니틴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구현예는 치료학적인 치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는 예방학적인 치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는 상기 암모니아-저감제의 투여 전에, 상기 섬유증 상태(예컨대, 간 섬유증)를 가지거나 이를 발달시키기 위한 위험에 있는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는 필요한 개체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간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는 필요한 개체에 암모니아-저감제, 예를 들어,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조합된 오르니틴을 병용-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그러한 구현예는 치료학적인 치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는 예방학적인 치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는 상기 암모니아-저감제의 투여 전에, 간암을 가지거나 이를 발달시키기 위한 위험에 있는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는 상기 개체에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조합된 오르니틴, 예를 들어,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투여함으로써, 간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간암은 HCC 또는 간모세포종일 수 있다.
개체에서 암모니아 수준은 다양한 종래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는 정맥 (또는 동맥)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에서 일상적으로 측정된다. 또한, 이는 전혈, 적혈구, 타액, 땀 및 소변에서 측정될 수 있다. 암모니아 측정은 고암모니아혈증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암모니아는 간접적인 또는 직접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모니아는 암모늄 지시약, 예를 들어, 브로모페놀 블루를 활용하는 Vitros®(Ortho Diagnostic Ltd.) 암모니아 측정의 색깔 변화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항생제 노아틴 및 모노액틴의 혼합물에 전형적으로 기초하는 NH4+- 선택적인 멤브레인은 암모니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은 상기 암모니아-저하제의 투여 전 및/또는 후 상기 개체에 상기 암모니아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개체에서 상기 암모니아 수준은 상기 개체가 암모니아-저하제에 의한 상기 치료를 받는 기간 동안 모니터링된다. 인비보 암모니아 수준의 감소는 염증 (NFkB), 산화 스트레스 및 αSMA 발현을 감소시키고, 산화 질소 합성효소(eNOS) 활성 및 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하제(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조합된 오르니틴과 같은)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투여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용어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보유하고, 생물학적으로 또는 그렇지 않으면 약학적으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염을 의미한다. 많은 경우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암모니아-저하제는 아미노 및/또는 카르복실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의 존재 덕분에 산 및/또는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추가 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산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염이 유도될 수 있는 유기산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타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 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무기 및 유기 염기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 염기는 소듐,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알루미늄 등을 함유하는 염기;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칼륨, 소듐, 칼슘 및 마그네슘 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기 염기를 가진 본원에서 개시된 화합물의 치료는 상기 염이 Li+, Na+, K+, Mg2 +, Ca2 + 등과 같은 무기 양이온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화합물로부터 불안정한 수소의 손실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염이 유도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유기 염기는 1차, 2차 및 3차 아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치환된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 환형 아민, 염기성 이온교환 수지 등, 특히,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에탄올아민을 포함한다. 많은 그러한 염들은 1987년 9월 11일에 공개된 Johnston 등의 WO 87/05297(그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에서 서술된 바와 같은, 종래에 알려져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르니틴은 상기 오르니틴 HCl 염으로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는 그 소듐 염으로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르티틴 및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는 서로의 염(예컨대,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으로서 투여된다.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경로
상기 암모니아-저하제(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조합된 오르니틴과 같은)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하제는 약학적 분야에서 통상적 인 표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들) 및/또는 부형제(들)과 함께 의약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의 정확한 성질은 원하는 투여 경로를 포함하는 여러 인자에 좌우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암모니아-저하제(예컨대, 오르니틴과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는 경구, 정맥내, 위내, 혈관내 또는 복강내 투여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표준 약학적 제형화 기술은 그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 Remington's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르니틴(예컨대, L-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는 개별적으로 또는 단일 투여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조합은 상기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염 또는 상기 오르트닌 페닐아세테이트 염으로서 투여된다.
페닐아세테이트(또는 페닐아세테이트 염)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의 조성물의 상이한 형태는 그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08/0119554 및 US2010/ 0280119에서 서술된바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오르티닌 페닐 아세테이트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존재 및/또는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르티닌은 유리 모노머성 아미노산 또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존재 및/또는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페닐부티레이트로서 존재 및/또는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르티닌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개체에 투여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표면활성제, 담체, 희석제, 부형제, 평활 제, 현탁제, 필름 형성 물질, 코팅 보조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상기 오르니틴 및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는 상기 약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표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들) 및/또는 부형제(들)과 같이 의약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화의 정확한 성질은 원하는 투여 경로를 포함하는 여러 인자에 좌우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는 경구, 정맥내, 위내, 혈관내 또는 복강내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표준 약학적 제형화 기술은 그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 Remington's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라는 용어는 임의의 및 모든 용매, 분산 매질, 코팅제, 항균제 및 항진균제, 등장액 및 흡수 지연제 등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활성 물질을 위한 그러한 매질 및 제제의 용도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임의의 매질 또는 제제에 있어서 예외는 상기 활성 성분과 양립할 수 없고, 치료학적 조성물에서 그의 용도는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바와 같은 다양한 보조제는 포함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에서 다양한 성분의 포함을 위한 고려는 예컨대, 그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 Gilman et al. (Eds.) (1990);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8th Ed., Pergamon Press에서 서술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그의 성분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의 일부 예시는 락토오스, 글루코스 및 수크로스와 같은 당;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과 같은 전분;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분말형 트라가칸트; 맥아; 젤라틴; 탈크; 스테아르산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고체 윤활제; 황산 칼슘; 낙화생유,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테오브로마유와 같은 식물성 오일;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 알긴산; TWEENS와 같은 유화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습윤제; 착색제; 향료; 타정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방부제; 발열성물질-프리 물; 등장성 살린; 및 인산염 완충액이다.
상기 대상 화합물과 함께 사용되기 위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선택은 상기 화합물이 투여되기 위한 방법에 의해 기본적으로 결정된다.
본원에서 서술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단위 투여 형태로 제공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위 투여 형태”는 양호한 의학 실무에 따라, 단일 투여에서, 동물, 바람직하게 포유동물에게 투여되기 위해 적절한 화합물의 양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그러나, 단일 또는 단위 투여 형태의 준비는 상기 투여 형태가 1일 1회 또는 1회 치료 과정 당 1회 투여됨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한 투여 형태는 1일 1회, 2회, 3회 또는 그 이상 투여되는 것으로 고려되고, 일정시간(예컨대, 약 30분 내지 약 2~6시간)에 걸쳐 연속적인 주입으로서 투여되거나, 연속 주입으로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투여가 특별히 배제되지는 않지만, 치료과정 중에 한 번 이상 주어질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제형화가 치료의 전체 과정을 구체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제형화보다는 치료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그러한 결정을 남긴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유용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구, 비강, 직장, 국소(경피 포함), 안구, 뇌내, 두개내, 경막내, 동맥내, 정맥내, 근육내 투여를 위한 다양한 투여 경로 또는 다른 모체 투여 경로를 위한 임의의 다양한 적절한 형태일 수 있다. 당업자는 경구 및 비강 조성물이 흡입에 의해 투여되고 이용가능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포함함을 인식할 것이다. 원하는 특정 투여 경로에 따라, 당해 분야에서 잘알려진 다양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예를 들어, 고체 또는 액체 충전제, 희석제, 하이드로트로피, 표면 활성제 및 캡슐화 물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약학적인-활성 물질은 포함될 수 있고, 이는 상기 화합물의 저해 활성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화합물과 함께 채용되는 담체의 양은 상기 화합물의 단위 투여량 당 투여를 위한 물질의 실질적인 양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본원에 서술된 방법에서 유용한 투여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 및 조성물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 하기 참고문헌에서 서술된다: Modern Pharmaceutics, 4th Ed., Chapters 9 and 10 (Banker & Rhodes, editors, 2002); Lieberman et al., Pharmaceutical Dosage Forms: Tablets (1989); 및 Ansel,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Dosage Forms 8th Edition (2004).
다양한 경구 투여 형태는 정제, 캡슐 및 과립과 같은 고체 형태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정제는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희석제, 붕해제, 착색제, 방향제, 유동 유도제 및 용융제를 포함하여, 압축된, 정제 분말화된, 장용-코팅된, 당-코팅된, 필름-코팅된 또는 다중 코팅될 수 있다. 액체 경구 투여 형태는 비-발포성 과립으로부터 재구성된 수용액, 유화액, 현탁액, 용액 및/ 또는 현탁액 및 발포성 과립으로부터 재구성된 발포성 제제를 포함하고, 적합한 용매, 보존제, 유화제, 현탁제, 희석제, 감미제, 용융제, 착색제 및 방향제를 함유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단위 투여 형태의 준비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정제는 칼슘 카보네이트, 소듐 카보네이트, 만니톨, 락토스 및 셀룰로오스와 같은 불활성 희석재; 전분, 젤라틴 및 수크로스와 같은 결합제; 전분, 알긴산 및 크로스카멜로스와 같은 붕해제;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및 탈크와 같은 윤활제로서 종래 약학적으로-호환성 보조제를 포함한다. 이산화규소와 같은 유동화제는 분말 혼합물의 유동 특성을 개선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FD & C 염료와 같은 착색제는 외관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아스파탐, 사카린, 멘톨, 페퍼민트 및 과일 향과 같은 감미제 및 방향제는 츄어블 정제에 유용한 보조제이다. 전형적으로 캡슐은 상기 개시된 하나 이상의 고체 희석제를 포함한다. 담체 성분의 선택은 중요하지 아니한 맛, 비용 및 저장 안정성과 같은 2 차 고려 사항에 좌우되고, 당업자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경구 조성물은 액체 용액, 에멀젼, 현탁액 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조성물의 준비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시럽, 엘릭서, 에멀젼 및 현탁액을 위한 담체의 전형적인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체 수크로스, 소르비톨 및 물을 포함한다. 현탁액의 경우, 전형적인 현탁화제는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AVICEL RC-591, 트라가칸트 및 소듐 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전형적인 습윤제는 레시틴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며; 전형적인 보존제는 메틸 파라벤 및 소듐 벤조에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경구용 액체 조성물은 상기 개시된 감미제, 방향체 및 착색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화합물의 시스템적인 전달을 달성하는데 유용한 다른 조성물은 설하, 구강 및 비강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수크로스, 소르비톨 및 만니톨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가용성 충전제 물질; 아카시아, 미정질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결합제를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활택제, 윤활제, 감미제, 착색제, 항산화제 및 방향제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국소 사용을 위해, 본원에서 서술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크림, 연고, 겔, 용액 또는 현탁액 등이 채용된다. 일반적으로, 국소 제형화는 약학적 담체, 공용매, 유화제, 침투 증강제, 보존제 시스템 및 피부 연화제로 구성될 수 있다.
정맥내 투여를 위해, 본원에서 서술된 화합물 및 조성물은 살린 또는 덱스트로스 용액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에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는 원하는 pH를 달성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고, NaOH,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HCl 및 시트르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최종 조성물의 pH는 2 내지 8, 또는 바람직하게 4 내지 7이다. 항산화제 부형제는 소듐 바이설파이트, 아세톤 소듐 바이설파이트, 소듐 포름알데히드, 설포실레이트, 티오우레아 및 EDTA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정맥내 조성물에서 발견되는 적합한 부형제의 다른 비한정적인 예시는 소듐 또는 칼륨 포스페이트, 시트르산, 타타르산, 젤라틴 및 덱스트로스, 만니톨 및 덱스트란과 같은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그들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 Powell, et al., Compendium of Excipients for Parenteral Formulations, PDA J Pharm Sci and Tech 1998, 52 238-311 및 Nema et al., Excipients and Their Role in Approved Injectable Products: Current Usage and Future Directions, PDA J Pharm Sci and Tech 2011, 65 287-332에서 서술된다. 또한, 항균제는 제균작용 및 진균작용 용액을 달성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고, 질산페닐수은, 티메로살,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페놀, 크레졸 및 클로로부타올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맥 투여용 조성물은 투여 직전에 물 내 멸균수, 살린 또는 덱스트로스와 같은 적합한 희석제로 재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체의 형태로 보호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준비가 된 용액으로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투여 전에 추가로 희석된 용액으로 제공된다. 본원에 서술된 화합물 및 다른 제제의 조합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조합은 혼합물로서의 보호자에게 제공될 수 있거나, 상기 보호자가 투여 전에 두개의 제제를 혼합할 수 있거나, 두개의 제제는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비인간 동물 연구에서, 가능한 제품의 응용은 원하는 효과가 더이상 달성되지 않거나 부작용이 사라질 때까지 투여량을 감소시키면서 보다 높은 투여 수준에서 개시된다. 상기 투여량은 원하는 효과 및 치료 적응증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투여량은 약 0.1mg/kg 내지 4000mg/kg 체중, 예를 들어, 약 1mg/kg 내지 1600mg/kg 체중일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투여량은 상기 환자의 표면적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치료되기 위한 상태의 중증도 및 반응성에 의존하여, 또한, 약물 투여는 치료 과정이 수일 내지 수주 지속되거나 치료가 이루어지거나 질병 상태가 약화될 때까지 지속되는 치료의 과정으로, 서방형 조성물의 단독 투여일 수 있다. 물론, 투여될 조성물의 양은 치료되는 대상, 고통의 중증도, 투여 방식, 처방하는 의사의 판단을 포함하는 많은 인자에 의존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은 1일 당 상기 환자의 몸무게의 0.1 mg/kg 내지 4000 mg/kg 투여량으로 경구로 또는 주사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어른 인간에 대한 약물투여 범위는 일반적으로 1g 내지 100 g/일이다. 개별 단위로 제공되는 정제 또는 다른 형태의 제시는 그러한 투여량으로 또는 이의 배수, 예를 들어, 1g 내지 60g을 함유하는 단위(예를 들어, 약 5g 내지 20g, 약 10g 내지 50g, 약 20g 내지 40g 또는 약 25g 내지 35g)로 유효한 본원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의 양을 편리하게 함유할 수 있다. 환자에게 투여되는 화합물의 정확한 양은 담당 의사의 책임일 것이다. 그러나, 채용된 용량은 상기 환자의 나이 및 성별, 치료되는 정확한 장애 및 그 중증도를 포함하는, 많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또한, 투여 경로는 상기 상태 및 그 중증도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상기 암모니아-저감제(예를 들어, 오르티닌의 또는 페닐에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의)의 전형적인 용량은 그러한 변수에 의존하여, 예를 들어, 몸무게의 kg 당 0.1g 내지 0.5g, 몸무게의 kg 당 0.01 내지 1.25g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암모니아-저감제의 용량은 예를 들어, 10 g 내지 80g, 15g 내지 60g, 20g 내지 40g, 또는 25g 내지 35g인, 1g 내지 100g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페닐부티레이트는 예를 들어, 5:1 내지 1:5, 4:1 내지 1:4, 3:1 내지 1:3, 2:1 내지 1:2 또는 약 1:1인, 10:1 내지 1:10의 무게비로 투여될 수 있다. 의사는 임의의 특정 개체에 대하여 상기 암모니아-저감제(예를들어, 오르티닌의 또는 페닐에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의)의 요구되는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의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정확한 제형, 투여의 경로 및 투여량은 상기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개별 의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예컨대, 특히, Ch. 1이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되는, Fingl et al. 1975, in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전형적으로, 상기 환자에 투여되는 조성물의 용량 범위는 상기 환자의 몸무게의 약 0.1 내지 약 4000mg/kg일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환자에 의해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이, 1일 이상의 과정에서 단일 또는 두번 이상 연속으로 주어질 수 있다. 적어도 동일한 상태를 위해 확립된 조성물에 대한 인간 투여량인 경우, 본 명세서는 그들의 동일한 투여량 또는 상기 확립된 인간 투여량의 약 0.1% 및 약 500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 약 25% 및 약 1000% 사이에 있는 투여량을 사용할 것이다. 인간 투여량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 새롭게-발견된 약학적 화합물에 대한 케이스일 것과 같이, 적절한 인간 투여량은 ED 50 또는 ID 50 값 또는 동물에서 독성 연구 및 유효성 연구에 의해 정량화된 바와 같은 인비트로 또는 인비보 연구로부터 유래된 다른 적절한 값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담당 의사가 독성 또는 기관 기능장애로 인해 투여를 종결, 중단 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시기를 알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반대로, 상기 담당 의사는 상기 임상 반응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독성 제어) 보다 높은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해 역시 알 것이다. 관심의 장애의 관리에서 투여된 용량의 크기는 치료되기 위해 상태 및 투여의 경로의 중증도와 함께 다양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의 중증도는 표준 예후 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용량 및 아마 용량 빈도는 상기 개별 환자의 나이, 몸무게 및 반응도에 따라 역시 다양할 것이다. 상기 언급되어 비교가능한 프로그램은 수의학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정확한 투여량은 의약별 기초 상에 결정될 것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우, 상기 투여량 관련 일부 일반화는 이루어질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투여의 경우, 투여량은 상기 유리 염기로서 계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일 당 1 내지 4번 투여된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개시된 상기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1일당 최대 100g 각 활성 성분의 용량으로, 연속적인 정맥내 주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이해될 바와 같이, 특정 상황에서, 특히 공격적인 질병 또는 감염을 효과적이고 공격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상기-언급한 바람직한 투여량 범위를 초과하거나 심지어 훨씬 초과하는 양으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은 지속적인 치료 기간 동안, 예를 들어, 1주 이상 동안 또는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투여될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들) 또는 화합물의 조합의 약물 주입 요법은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주 내지 적어도 약 4주, 적어도 약 4주 이상 내지 적어도 약 8주, 적어도 약 4주 내지 적어도 약 12주, 적어도 약 4주 내지 적어도 약 16주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는 기간 동안 투여된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들) 또는 화합물의 조합의 약물 주입 요법은 1일 3회, 1일 2회, 매일, 격일, 주 3회, 격주, 매달 3회, 매달,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구현예의 일부 측면은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나, 이는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차 인간 HSCs 상에 인비트로 (in vitro) 효과
1차 인간 간성상세포(hHSCs)는 배양되었다. hHSC 증식(BrdU), 대사 활성 (MTS 분석), 생존력(Neutral-Red), 초미세구조적 변화(TE-M) 및 유전자/단백질 발현(q-PCR/웨스턴 블랏)에 대한 NH4Cl도전(24-72시간 동안 0.1-10 mM)의 영향은 연구되었다. 회복을 시험하기 위해, 암모니아 처리된 세포는 글루타민으로 보충되었고, 별도 실험에서, 글루타민 합성효소(GS)의 중요성을 결정하기 위해 L-메티오닌-설폭시 민(MSO-GS 억제제)으로 전처리되었다.
1차 hHSCs 내 고암모니아혈증은 50-100umol/L에서도 세포 팽창 및 근섬유 아세포-유사 표현형을 유도하는 반면, 증식 및 대사 활성의 시간 의존적 감소를 유도 하였다. 초미세구조적으로, 암모니아-처리된 hHSC는 용량-의존적인 세포내 ER 확대를 보였고, 이는 L-글루타민으로 배양물을 보충함으로써 가역적이었다. hHSC 증식의 NH3억제는 MSO로서 GS 활성, 세포 탈착이 유도된 고암모니아혈증, 글루타민이 hHSC 생존에 중요함을 제안하는 회복의 방지에 의존적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암모니아혈증이 hHSC’s를 변형시키고 암모니아 감소 상에 가역적인 부어오른 근섬유아세포 표현형을 부여함을 제안한다. 따라서, 암모니아를 감소시키는 치료가 놀랍게도 간 섬유화를 예방 및 반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2
BDL 래트에서 인비보 (in vivo ) 효과
28일 담즙 도관 결찰(BDL) 래트는 5일 동안 살린 또는 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로 처리되었다. 문맥압(Portal pressure)은 종결시 측정되었고 조직은 연구를 위해 수확되었다. 고암모니아혈증을 가진 BDL 래트는 전-섬유형성 hHSC-연관된 유전자(α-SMA, PDGFb-R, Myosin IIA/IIB 및 Coll1), 낮은 eNOS 활성 및 DDAH-1 및 고문맥압의 간장의 표현을 증가시켰고, 이들 모두는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로 처리됨으로써 교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로 인비보 암모니아 저하가 전-섬유형성 및 활성화된 HSC 유전자 및 단백질 표현을 감소시킴을 증명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간섬유증 및 간암(성상세포 활성화가 간암을 초래할 수 있음)의 치료에서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의 용도를 뒷받침한다.
실시예 3
암모니아가 인간 HSC 활성화를 조절함
본 실시예는 암모니아가 HSCs상에 유해한 형태학적 및 기능적 효과를 생성하고, HSCs의 암모니아-유도된 기능 장애가 암모니아-저감제 OP를 사용하여 가역성 있음을 보여준다.
방법
본 실시예에서, 1차 인간 HSCs (hHSCs)는 분리되고 배양되었다. 증식(BrdU), 대사 활성(MTS), 형태학(TEM, 광학 및 면역 형광학 현미경법), HSC 활성화 마커, 접촉 능력 및 산화 상태의 변화(ROS)는 24~72시간에 걸쳐 암모니아 도전(50μM, 100μM, 300μM)의 효과를 식별하기 위해 평가되었다. 혈장 암모니아 수준, HSC 활성화 마커, 문맥압 및 간장 eNOS 활성의 변화는 고암모니아성 BDL 동물에서 및 OP 치료 후 정량화되었다.
인간 HSC에서 인비트로 연구
1차 hHSCs는 사전동의(EC01.14-RF) 후 Royal Free Hospital에서 수술을 받은 환자로부터 획득한 간 조직의 웨지 부분에서 분리되었다. 세포는 Rombouts K, Carloni V(Determi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etraspanin-associated phosphoinositide-4 kinases in primary and neoplastic liver cells. In: Waugh MG, editor. Lipid Signaling Protocols, 2 ed. New York: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5. p. 203-212)에서 서술된 바와 같은 인간 간에 대한 변형으로 Mederacke et al. (Nature Protocols 2015, 10 : 305-315)에 따라 분리되었다. 요약하면, 총 인간 간 조직 10g은 관류를 수행하지 않고 0.01% 콜라게나아제, 0.05% 프로나아제 및 0.001% DNase I으로 소화되었다. 균질액은 100μm 세포 여과기를 통해 여과되었고, 통과액은 4℃에서 2분 동안 50xg 에서 원심분리되었다. 상등액을 세척한 후, 구배 원심분리는 11.5% Optiprep 구배제를 사용하여 4℃에서 17분 동안 1400xg 에서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경계면은 수집되었고 세척되었다. hHSCS의 순도는 CD140b (PDGFRbeta), CD29 (Integrin beta 1) 및 Cytoglobin (CYGB)의 검출에 의해 확립되었다.
획득된 HSCs는 후술하는 완전 HSC 배지로 언급되는 바와 같은, 20% 소 태아 혈청(FBS), GLUTAMAX, 비필수 아미노산 1X, 1.0mM 소듐 피루베이트, 1X 항생제-항균제(모두 Life Technologies)로 보충된 RPMI에서 배양되었다. 본 연구에서 서술된 실험은3 및 8 계대 사이에 적어도 3번의 독립적인 세포 준비의 hHSC에서 수행되었다.
세포는 24시간 동안 기본 세럼-리치 조건(CM 완전 배지) 하에 시드되었고(밀도 26 × 103/㎠), 이어서 다른 24 시간 동안 혈청 결핍시켰다(SFM). 외인성 글루타민은 암모니아의 제어되지 않은 발생을 피하기 위해 배양 배지로부터 제거되었다. NH4Cl처리로 특정 처리는 실험 동안 매일 교체되었다.
동물 모델
모든 동물 실험은 런던 대학의 동물 보육을 위한 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얻은 1986년 과학 절차법에서 영국 동물 하에 본사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220-250g 으로 칭량되는 수컷 Sprague-Dawley 래트(Charles River US, Margate, UK)로 수행되었다.
하나의 실험적 모델에서, 래트는 5일 동안 고단백질/암모니아성 식이(AAs)가 투여되었다. 더욱이, 모든 래트는 이전에 서술된 바와 같은, 경변증 또는 sham 수술을 유도하기 위해 BDL을 받았다.
연구 설계. (i) 첫 번째 프로토콜에서, HSC 세포 생물학에 대한 암모니아-유도된 효과의 이전 인비트로 관찰은 인비보에서 추가로 탐구되었다. 이러한 실험 프로토콜에서, 동물들은 BDL 수술을 받고 간 손상을 발달시키기 위한 4주가 주어졌다. 4번째 주 동안, BDL 동물을 3개의 그룹으로 무작위화되었다: 첫번째 그룹은 복강내(i.p.) 살린 용액의 주입에 더하여 아미노산-리치(AAs) 식이를 받는 BDL 래트를 함유하였다(n=4). 두번째 그룹은 AAs식이를 받고 5일 동안 1일 2회 암모니아-저감제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OP)의 i.p. 주입으로 처리되었다(n=4). 세번째 그룹은 살린 용액 i.p.를 받는 BDL 래트로 구성된다(n=4). BDL 동물에 더하여, sham-수술된 래트의 추가적인 그룹은 살린 용액을 받았다(i.p.)(n=4). 동물은 치료의 5일째 희생되었다.
(ⅱ) 두번째 프로토콜에서, 암모니아-유도된 문맥압에 대한 암모니아-저감제 OP의 효과가 조사되었다. BDL 또는 sham 수술 4주 후, 래트는 3개의 그룹으로 무작위화되었다: 5 일의 실험 기간 동안 1일 2 회 살린(i.p.)(n=18)를 받는 sham-수술된 래트; BDL 래트(n=20)는 5일 동안 1일 2회 i.p. 살린이 투여되었다; BDL 래트(n=11)의 추가적인 그룹은 5일 동안 1일 2회 OP 0.3 g/kg i.p. 주입을 받았다. 4 및 5주 사이에, 각 그룹으로부터 래트는 오른쪽 경동맥의 분리 및 삽관을 통한 평균 동맥압 평가를 받았다. 추가적으로, 문맥압은 주 문맥의 직접 삽관을 통해 측정되었다. 모든 측정은 Chart v5.0.1 소프트웨어에 연결된 Powerlab (4SP)로 변환되었다. 1분 간격으로 얻어진 3회의 판독 평균값은 기록되었다. 간 조직은 수확되었고 분석될때까지 -80℃에서 보관하기 위해 급속 동결되었다.
통계학적 분석
결과는 평균값 ± SEM으로 나타내었고, 적절한, 분산의 분산 편도 분석 다음 Dunnet 또는 Tukey의 다중 비교 사후 검증을 사용하여 비교되었다. P 값 ≤0.05는 유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인비보 실험적 데이터는 적절한, t 테스트 및 Mann-Whitney U 테스트에 의해 분석되었다; P 값 ≤0.05는 유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결과는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GraphPad, La Jolla, CA)를 사용하여 평균값 ± SEM으로서 제시된다.
결과
암모니아는 용량 의존적 방법으로 인비트로 인간 간성상세포(hHSCs)의 세포 증식 및 대사를 감소시킨다. 암모니아의 다른 농도로 72시간 동안 처리된 hHSCs는 세포 증식 (BrdU 어세이) 및 대사 활성 (MTS 분석)에서 유의적인 억제를 나타내었다 (도 1a). 또한, 암모니아로 세포의 장시간 치료는 세포 사멸 검출 ELISA를 배치함으로써 평가된 바와 같이 hHSCs에서 세포 사멸을 일으키지 않았다(도 1b). 또한, 이러한 암모니아-유도된 효과는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된 바와 같은, 용량-의존적인 방법으로 세포 형태학에서 강력한 변화와 일치하였다(도 1c). 리소솜에 의해 유지된 Neutral Red, 염색에 의해 평가된 바와 같이 암모니아로 처리된 경우, 완전 배지 및 혈청 기아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근섬유아세포-유사 세포로 알려진 hHSCs는 엔도-리소소말 구획의 탈규제의 신호로, 스핀들-유사 섬유아세포 표현형으로 그들의 형태학적으로 극단적으로 변화하였다(도 1c). hHSCs가 mRNA및 단백질 수준에서 글루타민 합성 효소(GS)를 발현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L- 메티오닌 설폭시민(MSO, GS의 생화학적 억제제)로 세포 전처리한 다음 암모니아에 노출은 오직 MSO 처리와 비교하여 증식 및 대사 활성을 추가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였다.
암모니아는 세포질 대사/기능 및 액틴 세포골격 구조의 변화와 일치하는 세포질 스트레스의 변화를 유도한다.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된 형태학적 변화는 미세 구조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추가로 특성화되었다. 암모니아는 세포질에서 극적으로 용량-존적인 변화를 야기하였고, 반투명 액포의 존재가 뚜렷하였다. 미토콘드리아의 변형 또는 자기소화작용의 구조(이중막이 특징인)의 존재는 관찰되지 않았다(도 2a). 암모니아-리치 배지가 제거되고 세포가 완전 배지로 보충되었을 때, 세포 증식 및 대사 활성은 회복되었는바(도 2b), 암모니아의 관찰된 효과가 일시적임을 뒷받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콜라겐 겔 상에 배양된 암모니아-처리된 hHSCs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수축력을 나타내었고(도 2c, 2d), 이는 3시간 후에 발생하였고, 이전에 관찰된 형태학적 변화와 일치하는 암모니아 처리의 24시간 후 지속되었다(도 2e). 더욱이, TRICT-Phalloidin 염색이 채용되었을 때, 암모니아로 장시간 처리(72시간)는 상기 세포골격에서 필라멘트성 액틴의 용량-의존적인 파괴를 유도하였다. F-액틴의 재구성은 용량 의존적인 방법에서 반투명 액포의 존재와 일치하였다(도 2f).
고암모니아혈증은 hHSC에서 ROS 생성을 유도한다. 최대 72시간 동안 암모니아로 세포의 연장된 처리는 사이토솔 카르복시-DCF의 존재에 의해 검출된 ROS의 점진적인 발달을 나타냈다(도 3a). 암모니아-유도된 ROS 생성의 발달은 Mookerjee et al., (Gastroenterology, 2007, 132 : 2533-2541)에 서술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정량적으로 측정되었고, 암모니아로 처리된 1차 hHSCs가 유의적인 반응 산소 종(ROS)을 생성하였음이 확인되었다(도 3b). 다른 시점 동안 암모니아로 처리된 세포는 3시간 후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 2(SOD2)의 mRNA 발현의 강력한 증가를 나타냈고, 이는 암모니아 처리의 24시간에 지속되었다(도 3c). 더욱이, ROS 스캐빈저로 알려진, N-아세틸 시스테인(NAC)으로 전-처리는 암모니아 처리의 3시간 후 SOD2 mRNA 발현의 이전 관찰된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냈다. 반대로, NAC로 전처리 후 24시간 동안 암모니아 처리함으로써, 암모니아-유도된 SOD2 mRNA 발현을 거의 완전하게 폐지하였다.
암모니아는 hHSCs에서 전-섬유형성/전-염증성 프로파일을 변화시킨다.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모니아는 α-SMA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μM 암모니아에서, 비멘틴(중요한 중간 필라멘트) 합성이 증가하였다. 미오신 IIa (HSC 수축에 중요한 역할을 함) 및 미오신 IIb (HSC 활성화에 관여함)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조절되었다. 또한, 암모니아에 대한 용량-의존적 반응은 P-38 MAPK 발현에서 관찰되었다. 더욱이, 콜라겐 타입 I 이 암모니아에 의한 증가 경향을 나타내나, 이들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은 반면, HSC 세포 증식에 중요한 PDGFR-β는 암모니아의 영향 하에 유의적인 상향조절을 나타냈다(도 4a). 더욱이, TIMP1의 mRNA 발현은 하향 조절된 반면, 암모니아는 MMP2 mRNA 발현의 강력하고 유의적인 상향 조절을 유도하였다(도 4b). 더욱이, 50μM과 100μM에서 암모니아가 인터류킨 6 mRNA 발현 수준을 유의하게 상향 조절한 반면, hHSCs가 72시간 동안 암모니아 300μM로 처리되었을때, 전-염증성 인터류킨-1β mRNA 발현은 유의적으로 유도되었다(도 4c). 반대로, 암모니아는 HSC에서 인터류킨 8 mRNA 발현을 변형시키지 않았다(도 4c). 이러한 데이터는 암모니아-유도된 ROS 형성이 HSC-연관된 활성화 마커 및 전-염증성 유전자에서 변화를 야기함을 보여준다.
담관 결찰 및 암모니아 처리는 인비보 HSC 세포 생물학을 변형시킨다. 간 조직 전체에서 HSC-연관 신호 경로에 대한 고암모니아혈증의 영향은 조사되었다. 암모니아 농도는 sham-수술된 래트와 비교하여 BDL 래트 혈장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된다(149.3μmol/L±51.1 vs. 107.4μmol/L±23.2, P < 0.05). 추가적으로, 동물이 BDL 수술과 조합되어 아미노산-리치(AAs) 식이가 공급되는 경우, 혈장 암모니아 수준은 증가하였다(199.1μmol/L±43.6 vs. 149.3μmol/L±51.1, P < 0.05) (도 5a). 보다 중요하게, BDL-AAs-식이 동물이 OP로 처리된 경우, 혈장 암모니아 수준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123.9μmol/L±16.1 vs.199.1μmol/L μM±43.6, P < 0.001) (도 5a).
OP 치료는 HSC-연관된 활성화 마커의 단백질 발현의 뚜렷한 감소를 초래하기 위한 것으로 발견되었다(도 5b). 보다 특히, 고암모니아혈증과 조합된 BDL(AAs 식이)는 BDL과 비교하여 미오신 IIb, 콜라겐 타입I 및 PDGF-Rβ 단백질 발현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반대로, 모든 HSC-연관된 활성 마커와 관련하여 BDL 래트 간에서 고암모니아혈증의 강력한 효과가 폐지된 OP로의 치료는 실험되었다(도 5b).
실시예는 병태생리학적 암모니아 농도가 인비트로 세포 증식, 대사 활성 및 hHSCs의 활성화 마커에서 유의적이고 가역적인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암모니아는 세포질 액포화, ROS 생성, α-SMA, 미오신 IIa, IIb 및 PDGF-Rβ와 같은 HSC-연관된 활성화 마커와 함께 전-염증 유전자 발현이 특징인, 세포 형태학에서 유의적인 변형을 유도하였다. 암모니아-저감제 OP로의 치료는 증가된 eNOS 활성 및 HSC 활성화 마커의 폐기와 연관된, 혈장 암모니아를 감소시켰다(BDL 199.1μmol/L±43.65 vs. BDL+OP 149.27μmol/L±51.1, P<.05).
실시예 4
OTC 유전자 발현 및 간 요소 처리는 NAFLD 동물에서 감소되고 식이 조절 및 박테리아 전좌 감소를 회복한다.
본 실시예는 오르니틴 트랜스카르바밀라제(OTC)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NASH의 동물 모델에서 변경되고, 변경은 식이를 저장함으로써 및 박테리아 전좌를 감소시킴으로써, 동물의 회복과 가역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OTC 유전자 발현이 NAFLD 환자에서 변경됨을 보여준다.
NASH의 2가지 동물 모델을 연구하였다: a) Wistar 래트는 10개월 동안 고지방, 고 콜레스테롤식이(HFHC)가 공급되었고, 그다음, 정상 식이로 2 달 동안 회복되었으며, b) 마우스는 4주 동안 메티오닌-콜린 결핍 식이(MCD)가 공급되었고, 박테리아 전좌를 감소시키기 위해 보여지는 나노다공성 카본, Yaq-001 (Yaqrit Ltd.)로 처리되었다. 추가적으로, 16명의 NAFLD 환자의 간 생검은 비만 수술 동안 획득되었고, 그들의 간 생검에서 OTC 유전자 발현은 측정되었다.
NASH 동물 모델 모두에서, OTC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상당히 감소되었고, 감소는 식이 조절 또는 박테리아 전좌에서 감소에 의해 회복되었다. 예를 들어, HFHC 래트에서, 식이를 일반 음식으로 변경함으로써 NASH의 역전은 OTC 유전자 발현(0.53(CI 0.41-0.68) vs. 0.32(CI 0.28-0.37), P<0.05; 대조군 1.00(CI 0.85-1.17)) 및 OTC 단백질 발현((5.33±0.21 vs. 3.06±0.20, P<0.01; 대조군 7.41±0.68)를 회복시켰다(도 6).
MCD 마우스에서, 박테리아 전좌의 감소는 NASH에서 염증은 OTC 유전자 발현에 기여함을 제안함으로써, NASH의 발달을 방지하였고, OTC 유전자 발현을 회복시켰다(0.89(CI 0.13-0.16) vs. 0.35(CI 0.08-0.09), P <0.01) 대조군 1.00(CI 0.12-0.17)(도 7).
NAFLD 환자에서, NASH 및 섬유화를 가진 것들은 지방증 단독을 가진 환자 보다 OTC 유전자 발현이 유의적으로 낮았다(0.82 ± 0.37 vs. 1.15 ± 0.24, P = 0.05) (도 8).
본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및 인간 NASH는 질소 항상성을 손상시키는 요소 사이클 효소 OTC의 유전자 발현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변화는 식이 중재와 함께 NASH의 동물 모델에서 가역적이었고, 또한, 박테리아 전좌를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는 NASH, OTC의 유전자 발현 및 기능 감소 및 박테리아 전좌 간의 연결을 나타낸다. 더욱이, 암모니아는 형태학적 변화 및 HSCs의 활성화를 생성하고, OTC 감소는 고암모니아혈증 및 간 손상 및 섬유증의 진행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NASH에 대한 치료로서 암모니아와 박테리아 전좌를 목표로 한다.
실시예 5
고암모니아혈증은 질병 진행을 유도하고 암모니아- 저감제의 투여는 NASH 및 섬유증의 진행을 감소시킴
2가지 동물 모델은 본 실시예에서 연구이다: (i) Sprague Dawley래트는 세분화되고,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에서 농축된 식이 또는 최대 16주 동안 고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 없이 표준 식이(표준 식이) 중 어느 하나가 투여된다; 또한, (ii) 래트는 최대 16주 동안 프럭토스로 보충된 고지방 식이(HFD + F식이)가 투여된다.
개입 연구: (i) 예방 치료 OP는 래트에게 지방 보충된 식이와 동시에 주어진다;
(ⅱ) 개입 치료는 확립된 NASH 래트 모델에서 치료적 개입을 모방하기 위한 식이-유도된 NASH 8주 후에 시작한다. 세부그룹은 OP(0.3 g/kg 1일 2회, 경구로) 또는 플라시보가 투여된다. 통틀어, 6개의 실험적 그룹은 조사된다: 1) 표준 식이 + 살린; 2) 표준 식이 + OP(1-16 주); 3) 표준 식이 + OP(8-16 주); 4) HFHC식이 + 살린; 5) HFHC식이 + OP(1-16 주) - 예방 치료; 및 6) HFHC식이 + OP (8-16 주) - 개입 치료.
(iii) 과대한(Exaggerated) 고암모니아혈증: 양성 대조군으로서 고암모니아혈증을 유도하기 위해 아미노산이 풍부한(AAs) 식이를 받는 1개의 추가적인 래트 그룹.
모든 동물은 희생되고 조직은 NASH 발달을 가진 OTC 기능장애 및 고암모니아혈증의 약학적인 조절을 연결시키는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수집된다.
이러한 실험의 1차 종료점은 다양한 그룹 연구에서 NASH 및 섬유증의 중증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NASH 및 섬유증 점수화를 위해, 조직학적 연구가 수행되었고 상기 NASH CRN 점수화 시스템은 상기 동물들에 의해 받아진 치료의 종류가 블라인드된 숙련된 간장-병리학자에 의해 사용된다(TVL; APD). NASH에서 공통적으로 서술된 변수는 헤마토실린-에오신 염색된 절편 상에서 분석된다: 1) 마크로/마이크로 액포 지방증, 2) 소엽의 염증, 3)간세포 풍선 및 4)아포토시스 바디. 섬유증/콜라겐 축적은 Sirius Red 염색된 절편을 사용하여 평가된다. 추가로, oil red O 염색은 지질 축적에서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Filipin 염색은 콜레스테롤에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수행된다.
2차 종료점 : 1) 혈액 샘플 : 혈장 생화학적 분석(혈청 ALT, AST, 요소, 암모니아, 알부민,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은 적절한 키트를 가진 Cobas Integra 400 멀티 분석기(Roche Diagnostics, Burgess Hill, West Sussex, UK)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2) OTC 효소 활성의 측정 및 OTC (및 다른 요소 주기 연관된 효소)의 평가는 qPCR 및 웨스턴 블롯 분석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OTC 국소화/대상분포에서 변화는 면역 조직화학을 사용하여 평가된다. 3) 전-섬유형성, 활성화-연관 HSC 마커가 검출된다. 4)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케모카인 및 대식세포 마커는 검출된다. 또한, 5) 아포토시스-연관된 마커가 검출된다.
전력 계산 및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실험은 80 % 전력을 가진 <0.05의 p값에서 조사 하에 상이한 상태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를 입증하기 위해 수행된다 (선택된 후-그룹 비교로 ANOVA를 사용함). 이전 연구는 유의적인 변화를 증명하기 위해 충분한 각 그룹에서 n=12 동물을 가르킨다.
(i) 칼로리 및 지방 밀도 웨스턴 블랏을 자극하는 NASH의 동물 모델은 고암모니아혈증 및 감소된 OTC 발현 및 기능을 가지고; (2) 암모니아-저감제(예를 들어 OP)로 치료는 간 손상의 생화학적, 염증 및 조직학적 지표를 감소시키고 OTC 기능장애 및 고암모니아혈증을 역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6
암모니아- 저감제가 간암을 치료함
본 실시예에서, 섬유증/HCC의 래트 모델은 암모니아-저감제 OP가 HCC 발달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물은 16주까지 연구되고, HCC의 발달에 대해 검사된다. 동물(6-8/그룹)은 이전에 서술된 바와 같이(Mohamed et al., Liver International 2015, 35(3):1063-1076) 섬유증/HCC를 유도하기 위해 디에틸니트로사민(DEN)/니트로소모르폴린(NMOR)으로 치료된다. 6개의 동물 그룹은 표 1에 나열된다.
동물 그룹
1. Sham + 살린 4. DEN + 살린
2. Sham + OP(1-14주) - 예방 5. DEN + OP(1-14주) - 예방
3. Sham + OP(7-14주) - 치료 6. DEN + OP(7-14주) - 치료
실시예 7
암모니아 수준의 감소가 NAFLD의 진행을 감소시킴
NAFLD는 최대 16주 동안 액상 고지방 식이(HFD)(kcal 지방의 71 %)를 수컷 래트에게 투여함으로써 래트에서 유도된다. 래트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NAFLD 모델 중 하나인 Obese Zucker 래트가 제공된다.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 예를 들어 OP는 HFD 래트 및 Obese Zucker 래트에 투여된다. HFD 래트 및 Obese Zucker 래트에서 암모니아 농도를 감소시키는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 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의 투여는 NAFLD의 유전적 래트 모델에서와 마찬가지로 식이-유도된 NAFLD 래트 모델에서 NAFLD의 진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8
고암모니아혈증은 NAFLD및 섬유증의 진행을 악화시킴
NAFLD는 3주 동안 수컷 래트에게 액상 고지방 식이(HFD)(kcal 지방의 71%)을 투여함으로써 래트에 유도된다. 래트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NAFLD 모델 중 하나인 Obese Zucker 래트가 제공된다. 자발적인 고암모니아혈증은 래트가 오르니틴 트랜스카바모일라제에서 결핍(OTC 결핍)되게 함으로써, 식이-유도된 및 유전적 NAFLD 래트 모델 모두에서 조작된다. OTC 결핍 래트는 래트에서 OTC 유전자를 돌연변이 또는 삭제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유도된 고암모니아혈증은 래트에게 고단백 식이를 투여함으로써 식이-유도된 및 유전적 NAFLD 래트 모델 모두에서 조작된다. 자발적 및 유도된 고암모니아혈증 모두가 NAFLD 및 섬유증의 진행을 악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9
체중 감소가 NAFLD의 진행을 감소시킴
NAFLD는 3주 동안 액상 고지방 식이(HFD)(kcal 지방의 71 %)를 수컷 래트에게 투여함으로서 래트에서 유도된다. 래트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NAFLD 모델 중 하나인 Obese Zucker 래트가 제공된다. 체중 감소 수술은 HFD 래트 및 비만 상에 수행된다. 체중 감소 수술은 NAFLD의 유전적 래트 모델에서와 마찬가지로, 식이-유도된 NAFLD 래트 모델에서 진행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체중 감소는 NAFLD 래트 모델에서 간 질소 취급, OTC 유전자/단백질 발현 및 기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는 실시예 및 예시를 참조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명세서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및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하기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원에 인용된 특허, 특허 출원, 논문, 교과서 등을 포함하는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과 아직 준비되지 않은 정도로 본원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그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다. 통합된 문헌 및 유사한 자료 중 하나 이상이 본 출원과 다르거나 모순되는 경우에는, 정의된 용어, 용어 사용, 서술된 기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은 조절한다.
이전에 서술된 구현예의 적어도 일부에서, 구현예에 사용된 하나 이상의 요소는 그러한 교체가 기술적으로 실현가능하지 않는 한, 다른 구현예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생략, 추가 및 변형이 상기 청구된 대상 주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기 서술된 방법 및 구조로 제조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모든 그러한 변형 및 변화는 상기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대상 문제의 범위 내에 속하기 위해 의도된다.
본원에서 실직적으로 임의의 복수 및/또는 단수 용어의 사용과 관련하여, 당업자는 상기 문맥 및/또는 출원에 적합하게 복수에서부터 단수로 및/또는 단수에서부터 복수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단수/복수 순열은 명료성을 위해 본원에서 명백하게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특히 첨부된 청구항(예컨대, 첨부된 청구항의 바디)는 일반적으로 "개방형" 용어로서 의도된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예컨대,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은”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가진”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가진”으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함유하는”이라는 용어는 “함유하나, 한정되지 않은” 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입된 청구항 설명의 특정 수가 의도된다면, 그러한 의도는 상기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언급될 것이고, 그러한 기재가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가 없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하기 첨부된 청구항은 청구항 설명을 도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도입 문구의 사용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문구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와 "하나(a 또는 an)"(예컨대, "하나(a 및/또는 an)"가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와 같은 부정관사를 포함하는 경우 조차, 그러한 문구의 사용은 부정관사 "하나(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설명의 도입이 그러한 도입된 청구항 설명을 함유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오직 하나의 그러한 설명을 함유하는 구현예로 한정함을 암시하기 위해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정의된 항목의 사용에 대한 동일한 유효성은 청구항 설명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추가적으로, 도입된 청구항 설명의 특정 수가 정확하게 설명되는 경우 조차, 당업자는 그러한 설명이 적어도 설명된 수를 의미하기 위해 해석되어야 하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예컨대, 다른 변형 없이, “둘의 설명”의 간단한 설명은 적어도 둘의 설명, 또는 둘 이상의 설명을 의미한다). 더욱이, “A, B 및 C 등 적어도 하나”에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성은 관례를 이해할 당업자에게 의도된다(예컨대,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함께, A 및 C 함께, B 및 C 함께 및/또는 A, B, 및 C 함께, 등을 가진 시스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러한 예시에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성은 관례를 이해할 당업자에게 의도된다(예컨대,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함께, A 및 C 함께, B 및 C 함께 및/또는 A, B, 및 C 함께, 등을 가진 시스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세한설명, 청구항 또는 도면에서든, 사실상 임의의 분리성 단어 및/또는 둘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가 용어의 하나, 용어 중 하나 또는 용어 모두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고려하기 위해 이해되어야 함은 당업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문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의 특징 또는 측면이 마쿠쉬 그룹의 용어로 서술되는 경우, 당업자는 본 명세서가 마쿠쉬 그룹의 임의의 개별 일부 또는 일부의 하위그룹의 면에서 역시 서술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재된 설명을 제공하는 면과 같은 임의의 및 모든 목적에 대하여, 본원에 개시된 모든 범위는 임의의 및 모든 가능성 있는 하위-범위 및 그의 하위-범위의 조합을 역시 포함한다. 임의로 나열된 범위는 적어도 동일한 1/2, 1/3, 1/4, 1/5, 1/10 등으로 파괴되는 동일한 범위를 충분히 서술하고 가능하게 함으로써, 쉽게 인식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본원에 개시된 각 범위는 보다 낮은 1/3, 중간 1/3, 보다 높은 1/3 등으로 쉽게 파괴될 수 있다. "최대", "적어도", "초과", "미만" 등과 같은 모든 언어는 인용된 숫자를 포함하고, 그 다음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하위-범위로 브레이크 다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당업자에게 이해될 바와 같이, 범위는 각 개별적인 멤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1-3개 항목을 가지는 그룹은 1개, 2개 또는 3개 항목을 가지는 그룹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1-5개 항목을 가지는 그룹은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 항목을 가지는 그룹 등을 의미한다.
다양한 측면 및 구현예가 본원에 개시되었지만, 다른 측면 및 구현예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측면 및 구현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하기 청구항에 의해 지시되는 진정한 범위 및 취지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인용된 특허, 특허 출원, 논문, 교과서 등을 포함하는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과 아직 준비되지 않은 정도로 본원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그의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다. 통합된 문헌 및 유사한 자료 중 하나 이상이 본 출원과 다르거나 모순되는 경우에는, 정의된 용어, 용어 사용, 서술된 기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은 조절한다.

Claims (32)

  1. 간성상세포(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성상세포(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2. 간성상세포(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발병 또는 진행의 지연이 필요한 개체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성상세포(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의 수행은 상기 개체에 암모니아-저감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저감제는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제품(MGP), 글리세롤 페닐부티레이트 (GPB),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소듐 페닐부티레이트(NaPBA), 글루타민, 소듐 벤조에이트, L-아라비노스, 완하제, 항생제,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저감제는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티닌과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개체에 투여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부티레이트로서 투여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니틴은 유리 모노머 아미노산 또는 그의 물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투여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로서 투여되는, 방법.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위내 또는 혈관내 투여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내 투여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NAFLD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인,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NAFLD는 지방증인,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간암인,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HSC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은 섬유증 상태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증 상태는 간 섬유증인,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에 걸린, 방법.
  20.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의 예방이 필요한 개체에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을 예방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저감 치료의 수행은 상기 개체에 암모니아-저감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NAFLD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인, 방법.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NAFLD는 지방증인, 방법.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저감제는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제품(MGP), 글리세롤 페닐부티레이트 (GPB),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소듐 페닐부티레이트(NaPBA), 글루타민, 소듐 벤조에이트, L-아라비노스, 완하제, 항생제,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저감제는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오르니틴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티닌과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개체에 투여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부티레이트로서 투여되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니틴은 유리 모노머 아미노산 또는 그의 물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투여되는,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로서 투여되는, 방법.
  30.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위내 또는 혈관내 투여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내 투여인,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방법.
KR1020177017344A 2014-11-24 2015-11-23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KR10248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0708A KR20230018526A (ko) 2014-11-24 2015-11-23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83814P 2014-11-24 2014-11-24
US62/083,814 2014-11-24
PCT/US2015/062223 WO2016085887A1 (en) 2014-11-24 2015-11-23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using ammonia-lowering therapi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708A Division KR20230018526A (ko) 2014-11-24 2015-11-23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894A true KR20170095894A (ko) 2017-08-23
KR102487376B1 KR102487376B1 (ko) 2023-01-10

Family

ID=560749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344A KR102487376B1 (ko) 2014-11-24 2015-11-23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KR1020237000708A KR20230018526A (ko) 2014-11-24 2015-11-23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708A KR20230018526A (ko) 2014-11-24 2015-11-23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3) US10039735B2 (ko)
EP (2) EP3685841A1 (ko)
JP (2) JP6797117B2 (ko)
KR (2) KR102487376B1 (ko)
CN (2) CN107206021B (ko)
AU (2) AU2015353703B2 (ko)
BR (1) BR112017010761B1 (ko)
CA (1) CA2968544A1 (ko)
DK (1) DK3223829T3 (ko)
EA (1) EA201790913A1 (ko)
ES (1) ES2769000T3 (ko)
HK (1) HK1243651A1 (ko)
IL (2) IL281349B (ko)
MX (2) MX2017006685A (ko)
NZ (1) NZ732632A (ko)
SG (1) SG11201704011XA (ko)
WO (1) WO2016085887A1 (ko)
ZA (1) ZA2017037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015A1 (ko) * 2018-09-14 2020-03-19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타제메토스타트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619235A (en) 2009-04-03 2015-06-26 Ocera Therapeutics Inc L-ornithine phenyl acetate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EP3517110A1 (en) 2009-06-08 2019-07-31 UCL Business PLC Treatment of inflammation using l-ornithine phenylacetate
WO2016085887A1 (en) 2014-11-24 2016-06-02 Ucl Business Plc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using ammonia-lowering therapies
WO2017031131A1 (en) 2015-08-18 2017-02-23 Oce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uscle loss using l-ornithine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f phenylacetate and phenylbutyrate
US11219611B2 (en) 2015-11-13 2022-01-11 Ocera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of L-ornithine phenylacetate
WO2017184583A1 (en) * 2016-04-19 2017-10-26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Anaplerotic agents for treatment of disorders of propionate and long chain fat metabolism
JOP20190146A1 (ar) 2016-12-19 2019-06-18 Axcella Health Inc تركيبات حمض أميني وطرق لمعالجة أمراض الكبد
WO2018170234A1 (en) * 2017-03-15 2018-09-2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CA3063134A1 (en) 2017-05-11 2018-11-15 Ocera Therapeutics, Inc. Processes of making l-ornithine phenylacetate
CN111093641A (zh) 2017-05-24 2020-05-01 托埃瑞斯有限责任公司 谷氨酰胺合成酶用于治疗高氨血症的用途
SG11202001142VA (en) 2017-08-14 2020-03-30 Axcella Health Inc Amino aci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TWI636788B (zh) * 2017-08-28 2018-10-01 長庚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戈氏副擬桿菌用於抑制脂肪肝疾病之用途
MA52971A (fr) 2018-06-20 2021-04-28 Axcella Health Inc Compositions et procédés pour le traitement de l'infiltration de graisse dans le muscle
WO2023223520A1 (ja) * 2022-05-19 2023-11-23 Ism株式会社 活性化肝星細胞に対する脱活性化誘導剤スクリーニング系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5637A (en) 1962-04-23 1964-08-06 Tanabe Seiyaku Co L-ornithine l-aspartate
NL302572A (ko) 1962-12-27
GB1067742A (en) 1963-09-16 1967-05-03 Kyowa Hakko Kogyo Kk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ornithine l-aspartate
ZA716628B (en) 1970-10-15 1972-06-28 Richardson Merrell Spa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hepatic disease and mental fatigue
FR2113774A1 (en) 1970-11-13 1972-06-30 Roques Ets Prepn of l-ornithine salts with org acids - using silver oxides
US4100161A (en) 1974-04-15 1978-07-1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omotion of protein synthesis and suppression of urea formation in the body by keto analogs of essential amino acids
US3950529A (en) 1975-02-03 1976-04-13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mino acid formulations for patients with liver disease and method of using same
US4320146A (en) 1978-03-17 1982-03-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reatment of hepatic and renal disorders with ornithine and arginine salts of branched chain keto acids
US4228099A (en) 1978-03-17 1980-10-1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Ornithine and arginine salts of branched chain keto acids and uses in treatment of hepatic and renal disorders
US4352814A (en) 1979-04-18 1982-10-0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reatment of hepatic and renal disorders with mixed salts of essential or semi-essential amino acids and nitrogen-free analogs
US4284647A (en) 1980-03-31 1981-08-1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ocess for waste nitrogen removal
US4457942A (en) 1982-08-20 1984-07-03 Brusilow Saul W Process for waste nitrogen removal
US4783443A (en) 1986-03-03 1988-11-08 The University Of Chicago Amino acyl cephalosporin derivatives
US5139981A (en) 1987-06-24 1992-08-18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silver(I)-exchanged resins
US5591613A (en) 1990-07-02 1997-01-07 Degussa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D-arginine and L-ornithine
DE4020980C1 (ko) 1990-07-02 1991-09-26 Degussa Ag, 6000 Frankfurt, De
JP3127484B2 (ja) 1991-02-28 2001-01-22 味の素株式会社 肝炎治療薬
US5767086A (en) 1992-04-03 1998-06-16 Terrapin Technologies, Inc. Bone marrow stimulation by certain glutathione analogs
US5571783A (en) 1993-03-09 1996-11-05 Clintec Nutrition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patients with hepatic disease
US6083953A (en) 1994-07-28 2000-07-04 Syntex (U.S.A.) Inc. 2- (2-amino-1,6-dihydro-6-oxo-purin-9-yl) methoxy-1,3- propanediol derivative
IL116674A (en) 1995-01-09 2003-05-29 Mendell Co Inc Edward Microcrystalline cellulose-based excipient having improved compressibil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said excipient and of solid dosage form thereof
AU2251897A (en) 1996-02-13 1997-09-02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The Method of treating liver disorders
ZA986614B (en) 1997-07-25 1999-01-27 Gilead Sciences Nucleotide analog composition
GB9815567D0 (en) 1998-07-18 1998-09-16 Glaxo Group Ltd Antiviral compound
US6258849B1 (en) 1998-07-23 2001-07-10 Stanislaw R. Burzynski Treatment regimen for administration of phenylacetylglutamine, phenylacetylisoglutamine, and/or phenylacetate
AU4778700A (en) 1999-05-21 2000-12-1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Liver function controlling agents
US6768024B1 (en) 2000-08-04 2004-07-27 Lion Bioscience Ag Triamine derivative melanocortin receptor ligand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3211824B1 (ja) 2000-10-26 2001-09-25 味の素株式会社 分岐鎖アミノ酸含有医薬用顆粒製剤とその製造方法
CN1304723A (zh) 2001-01-16 2001-07-25 中山大学 含二氢呋喃环结构的丹参酮类化合物用于治疗肝性脑病的药物
US20040192751A1 (en) 2001-03-15 2004-09-30 Takeshi Abe Amino acid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liver failure
US6503530B1 (en) 2001-11-01 2003-01-07 Chunghee Kimberly Kang Method of preventing development of severe metabolic derangement in inborn errors of metabolism
US20030105104A1 (en) 2001-11-27 2003-06-05 Burzynski Stanislaw R. Formulation of amino acids and riboflavin useful to reduce toxic effects of cytotoxic chemotherapy
US20030195255A1 (en) 2002-04-12 2003-10-16 Summar Marshall L. Method for treating hepatic encephalopathies
US20040229948A1 (en) 2002-04-12 2004-11-18 Summar Marshall L. Method for preventing hepatic encephalopathic episodes
CN1383815A (zh) 2002-05-08 2002-12-11 刘万忠 防治肝病、肝性脑病的鸟氨酸和门冬氨酸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US20040152784A1 (en) 2002-07-23 2004-08-05 Special Products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a urea cycle deficiency or sickle-cell anaemia
JPWO2004019928A1 (ja) 2002-08-30 2005-12-15 味の素株式会社 肝疾患治療剤
US20050059150A1 (en) 2003-09-17 2005-03-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Environments that maintain function of primary liver cells
MXPA03009902A (es) 2003-10-29 2005-05-03 Manuel Francisco Lara Och Jose Compuestos para reducir la hiperamonemia en pacientes con cirrosis u otras incapacidad para la eliminacion de amonio.
AU2005216251B2 (en) 2004-02-23 2011-03-10 Genentech, Inc. Heterocyclic self-immolative linkers and conjugates
KR20110124317A (ko) 2004-05-06 2011-11-16 오스테올로지스 에이에스 금속 유기 염의 제조를 위한 고 수율 및 고속 합성 방법
WO2006059237A1 (en) 2004-08-30 2006-06-08 Lunamed, Inc. 4-phenylbutyric acid controlled-release formulations for therapeutic use
GB0426141D0 (en) * 2004-11-26 2004-12-29 Ucl Biomedica Plc Treatment
AU2005308622B2 (en) 2004-11-26 2012-08-02 Ucl Business Plc Compositions comprising ornithine and phenylacetate or phenylbutyrate for treating hepatic encephalopathy
JPWO2007077995A1 (ja) 2006-01-05 2009-06-11 協和発酵バイオ株式会社 筋肉増量剤
AU2015221466B2 (en) 2009-04-03 2017-02-02 Ocera Therapeutics, Inc. L-ornithine phenyl acetate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NZ619235A (en) 2009-04-03 2015-06-26 Ocera Therapeutics Inc L-ornithine phenyl acetate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CA2763894A1 (en) * 2009-06-02 2011-01-13 Salix Pharmaceuticals, Ltd. Use of rifaximin to maintain remission of hepatic encephalopathy
EP3517110A1 (en) 2009-06-08 2019-07-31 UCL Business PLC Treatment of inflammation using l-ornithine phenylacetate
AU2014250643B2 (en) 2009-06-08 2016-07-14 Oce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portal hypertension and restoration of liver function using L-ornithine phenylacetate
JP2011236160A (ja) * 2010-05-11 2011-11-24 Shinshu Univ 非アルコール性肝疾患治療薬
WO2012048043A1 (en) 2010-10-06 2012-04-12 Ocera Therapeutics, Inc. Methods of making l-ornithine phenyl acetate
RS56757B1 (sr) * 2012-11-21 2018-04-30 Horizon Therapeutics Llc Postupci davanja i procene lekova za uklanjanje azota za lečenje hepatične encefalopatije
WO2016085887A1 (en) * 2014-11-24 2016-06-02 Ucl Business Plc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using ammonia-lowering therapies
AU2016252382A1 (en) 2015-04-20 2017-11-02 Ocera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of L-ornithine phenylacetate
WO2017031131A1 (en) 2015-08-18 2017-02-23 Oce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uscle loss using l-ornithine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f phenylacetate and phenylbutyrate
CA2998490A1 (en) 2015-09-25 2017-03-30 Oce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and prevention of neuronal cell loss using l-ornithine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f phenylacetate and phenylbutyrate
US11219611B2 (en) 2015-11-13 2022-01-11 Ocera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of L-ornithine phenylaceta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015A1 (ko) * 2018-09-14 2020-03-19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타제메토스타트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31745A (ko) * 2018-09-14 2020-03-2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타제메토스타트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526A (ko) 2023-02-07
MX2020010194A (es) 2020-10-20
US20170354627A1 (en) 2017-12-14
US20190070142A1 (en) 2019-03-07
NZ732632A (en) 2021-07-30
IL281349A (en) 2021-04-29
DK3223829T3 (da) 2020-02-10
JP7199400B2 (ja) 2023-01-05
JP2020169180A (ja) 2020-10-15
ZA201703779B (en) 2021-10-27
CN113633777A (zh) 2021-11-12
EP3223829A1 (en) 2017-10-04
US20200206175A1 (en) 2020-07-02
ES2769000T3 (es) 2020-06-24
IL252405A0 (en) 2017-07-31
SG11201704011XA (en) 2017-06-29
IL281349B (en) 2022-09-01
JP6797117B2 (ja) 2020-12-09
US10039735B2 (en) 2018-08-07
AU2015353703A1 (en) 2017-06-15
US10525029B2 (en) 2020-01-07
EP3685841A1 (en) 2020-07-29
CN107206021B (zh) 2021-09-03
WO2016085887A1 (en) 2016-06-02
AU2021203938A1 (en) 2021-07-08
US11040021B2 (en) 2021-06-22
JP2017535575A (ja) 2017-11-30
CN107206021A (zh) 2017-09-26
AU2015353703B2 (en) 2021-04-01
EP3223829A4 (en) 2018-04-25
BR112017010761B1 (pt) 2022-10-18
EP3223829B1 (en) 2019-10-23
CA2968544A1 (en) 2016-06-02
BR112017010761A2 (pt) 2018-01-09
EA201790913A1 (ru) 2017-11-30
IL252405B (en) 2021-03-25
KR102487376B1 (ko) 2023-01-10
HK1243651A1 (zh) 2018-07-20
MX2017006685A (es)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376B1 (ko) 암모니아-저감 치료를 이용한 간성상세포 활성화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
KR101740893B1 (ko) Akkermansia muciniphila 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10583125B2 (en) Method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JP6837835B2 (ja) トレハロースの非経口投与によるタンパク質凝集ミオパシーおよび神経変性疾患の治療
US11534416B2 (en) Hepatotoxicity-fre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cetaminophen drugs
US2021027548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reduction or treatment of fibrosis
TW201605434A (zh) 使用半胱胺及其衍生物治療粒腺體疾病
US20220249438A1 (en) Carbocyanine compounds for targeting mitochondria and eradicating cancer stem cells
JP2009501795A (ja) 高尿酸血に関連する健康状態の治療及び予防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IT201800006455A1 (it) Nuovo utilizzo degli inibitori della monoammino ossidasi B
US20150164979A1 (en) Use of des-aspartate-angiotensin i in inflammation-related pathologies and diseases
Hirata et al. Evaluation for peritoneal injury at an early stage using dual macromolecular markers
WO2008123759A1 (es) N-sulfoetilnicotinamida,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que la contienen y uso de las mismas para inhibir o evitar la formación no deseada de tejido fibroso
Wu The role of Toll-like Receptor 4 in the Modulation in Skeletal Muscle Metabol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