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628A -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628A
KR20170094628A KR1020160015620A KR20160015620A KR20170094628A KR 20170094628 A KR20170094628 A KR 20170094628A KR 1020160015620 A KR1020160015620 A KR 1020160015620A KR 20160015620 A KR20160015620 A KR 20160015620A KR 20170094628 A KR20170094628 A KR 20170094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insect
edible
insects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5377B1 (ko
Inventor
조영손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3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은 굼벵이, 메뚜기, 거저리, 누에, 귀뚜라미, 지렁이, 여치, 달팽이, 우렁이, 지네, 미꾸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식용 곤충이라 정의할 때, 상기 식용 곤충이 분쇄된 곤충 분말과 발아 씨눈이 분쇄된 씨눈 분말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MIXED POW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ILL}
본 발명은 곤충과 발아 씨눈이 포함된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굼벵이는 풍뎅이과에 속하는 곤충의 애벌레를 일컫는다.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굼벵이의 대부분은 사슴벌레류와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로, 일부 농가에서는 대량으로 사육하고 있다.
사슴벌레 애벌레는 40-55mm 정도이며 흰점박이꽃무지는 몸길이가 17~24mm로 약간 편평하며, 광택 있는 검정 구릿빛을 띠고 황백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 사슴벌레 애벌레는 회색이나 회갈색을 띤다.
사슴벌레 또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애벌레인 굼벵이는 약으로 많이 쓰이며, '동의보감'에는 사람의 간에서 비롯되는 질병 즉, 간암, 간경화, 간염, 누적된 피로 해소 등을 포함하여 시력 감퇴, 백내장, 악성 종기, 구내염, 파상풍, 중풍 등의 성인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적혀 있다.
이와 같은 효과에도 불구하고, 혐오감을 일으키는 외형에 따라 굼벵이의 식용은 활성화되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39300호에는 발효시켜 제조한 사료를 이용해 굼벵이를 사육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굼벵이의 식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39300호
본 발명은 굼벵이 등의 식용 곤충과 발아 씨눈을 용이하게 보관하고 섭취할 수 있는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은 굼벵이, 메뚜기, 거저리, 누에, 귀뚜라미, 지렁이, 여치, 달팽이, 우렁이, 지네, 미꾸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식용 곤충이라 정의할 때, 상기 식용 곤충이 분쇄된 곤충 분말과 발아 씨눈이 분쇄된 씨눈 분말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환 제조 방법은 굼벵이, 메뚜기, 거저리, 누에, 귀뚜라미, 지렁이, 여치, 달팽이, 우렁이, 지네, 미꾸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식용 곤충이라 정의할 때, 상기 식용 곤충이 분쇄된 곤충 분말과 발아 씨눈이 분쇄된 씨눈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곤충 분말과 상기 발아 씨눈을 1:9 내지 8: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반죽을 환 형태로 제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굼벵이, 메뚜기, 거저리, 누에, 귀뚜라미, 지렁이, 여치, 달팽이, 우렁이, 지네, 미꾸리 등의 식용 가능한 곤충으로 환을 만들 수 있다.
이외에도 쉽게 부패하고 외형상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곤충이 분말 형태로 제공되므로, 보관과 섭취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에는 곤충의 섭취만으로 부족한 각종 비타민 등의 보강을 위해 발아 씨눈의 분말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이 환 형태로 제환된 사진이다.
도 3은 식용 곤충이 분쇄기를 통해 분쇄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곤충 분말과 씨눈 분말이 혼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굼벵이의 사료로 호박이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건조된 굼벵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10)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10)이 환 형태로 제환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10)은 식용 곤충(90)이 조각조각 잘게 분쇄된 곤충 분말(11)을 포함할 수 있다.
식용 곤충(90)은 굼벵이, 메뚜기, 거저리, 누에, 귀뚜라미, 지렁이, 여치, 달팽이, 우렁이, 지네, 미꾸리 등과 같이 식용이 가능한 곤충일 수 있다.
굼벵이는 딱정벌레(Coleoptera) 유충으로 풍뎅이과(Scarabaeidae)와 사슴벌레과(Lucanidae)를 중심으로 한 곤충류의 유충이 여기에 속한다(우건석. 1988. 곤충분류학. 483 p. 집현사. 서울).
매미의 유충뿐만 아니라 다른 곤충의 유충에도 매미의 굼벵이와 동일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굼벵이라는 용어는 풍뎅이 또는 딱정벌레류 곤충의 유충을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중에 통용되는 굼벵이 역시 이와 같은 곤충들의 유충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굼벵이는 단백질, 지방, 무기물질 등이 풍부하며, 악혈과 어혈을 풀어주고 제거하는 혈액순환 활성화 기능이 있다. 근육과 뼈가 손상되어 쑤시고 아픈 증상, 여자의 생리가 끊어지고 배가 아픈 경우, 산모의 젖이 잘 안나오는 경우, 산후에 차가운 바람을 맞은 경우, 목구멍이 마비된 증상, 단독, 치루, 옹저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약재로 굼벵이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굼벵이는 간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간경화로 발생하는 복수를 내려주는 효과가 있고 간암에도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굼벵이는 식물의 지하부 뿌리를 취하면서, 목재의 셀룰로오스를 영양원으로 생존에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굼벵이 자신은 셀룰로오스를 분해시킬 수 있는 효소를 생성하지 못한다(Lo, N., H. Watanabe and M. Sugimura. 2003.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a cellulase gene in the last common ancestor of bilaterian animals. Proc. R. Soc. Lond. B 270: S69-S72).
굼벵이는 후장(hindgut)의 일부 영역에 공생세균을 밀생시킨 발효실 (fermentation chamber)에서 세균 기원의 C1-cellulase에 의해 셀룰로오스 분해를 유도한다(Chapman, R.F. 1998. The insects: Structure and function. 4th ed. 770 p.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참나무 목재 외에도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든 식물과, 발효된 유기물이 굼벵이 먹이로 사용가능하다. 굼벵이 먹이는 참나무 톱밥과 같이 톱밥 형태로 잘게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해 미생물과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굼벵이'라 함은 그 대표적인 예로서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을 포함하며 딱정벌레 (Coleoptera) 유충으로 풍뎅이과 (Scarabaeidae)와 사슴벌레과 (Lucanidae)를 중심으로 한 곤충류의 유충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알에서 부화하여 3령을 경과하여 번데기 방을 만든 후 우화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알 11일, 유충 50일, 번데기 28일, 성충 40일 정도의 생활사를 가지고 있고, 성충을 분리하여 쌍으로 사육시 집단으로 사육하는 것보다 오래 사는 특징이 있다.
예로부터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을 민간요법으로 많이 사용해 왔으며, 동의보감에서는 등을 땅에 기대고 하늘을 보며 기는 곤충이 제일 좋은 약재라고 했는데 그 곤충이 바로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이고, 흰점박이꽃무지는, 항암제, 간경화 치료제, 이뇨 작용제, 숙치 해소제, 자양 강장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메뚜기(Orthoptera)는 꼽등이, 땅강아지, 베짱이, 여치, 벼메뚜기, 섬서구메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뚜기에는 항암 효과, 항스트레스 작용, 항당뇨 작용, 항감염 작용,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가 있는 아스타산친(Astaxanthin)이 함유되어 있다. 아스타산친은 인체 내에서 토코페롤보다 수백배 많은 비타민 A를 제공하는 제공할 수 있다.
거저리(Neatus ventralis)는 흑갈색 몸에 광택이 있으며 길쭉한 모양을 갖는 곤충이다. 거저리의 성충 및 애벌레는 간암 세포를 저해하고, 아토피 치유 효능을 갖는 것을 알려져 있다.
누에(silkworm)는 누에나방과에 속하는 누에나방의 유충이다. 누에는 당뇨병 치료 효과가 있으며, 정력 증강,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귀뚜라미는 피로 회복, 숙취 해소, 이뇨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렁이는 혈압 강하 작용, 평활근 이완 작용, 진정 작용과 항경련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경련 치료, 이뇨 작용, 해독 작용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식용 곤충(90)은 섭취시 인체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나, 징그러운 외형으로 인해 섭취가 꺼려지기 쉽다. 아울러, 부패가 용이하므로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10)은 잘게 분말 형태로 분쇄된 식용 곤충(90)을 포함하므로, 외형적으로 혐오감을 유발하지 않으며,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식용 곤충(90)의 먹이는 참나무 톱밥과 같이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거나, 말똥과 같이 발효된 유기물을 주성분으로 할 수 있다. 톱밥 퇴비 또는 유기물을 먹이로 할 경우 톱밥 퇴비 또는 유기물에 포함된 독소가 굼벵이의 장기 또는 표피에 잔존할 수 있다.
이러한 독소는 섭취하기 곤란한 악취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식용 곤충(90)의 섭취시 식용 곤충(90)과 함께 인체로 유입되어, 복통 등의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식용 곤충(90)의 먹이 또는 사육 환경에 의해 식용 곤충(90)에 묻어 있는 독소는 적어도 분말 상태로 분쇄되기 전에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용 곤충(90)의 사육 과정에서 생성된 각종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 식용 곤충(90)을 뜨거운 물에 데칠 수 있다. 이후, 물에서 건져낸 식용 곤충(90)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식용 곤충(90)을 건조시킨 후 분말 상태로 분쇄하면 곤충 분말(11)이 완성될 수 있다. 해당 곤충 분말(11)에는 한 종류의 식용 곤충(90) 또는 복수 종류의 식용 곤충(90)이 포함될 수 있다.
식용 곤충(90)에 남아있는 독소는 크게 식용 곤충(90)의 장기에 남아있는 독소와 식용 곤충(90)의 표피에 남아있는 독소로 구분될 수 있다.
식용 곤충(90)을 뜨거운 물에 30분~60분 동안 데치는 것으로 식용 곤충(90)의 표피에 남아 있는 독소는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식용 곤충(90)의 장기에 남아있는 독소는 완전히 제거되기 힘들다.
장기에 남아 있는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 2~5일 동안 식용 곤충(90)을 굶길 수 있다. 또는 호박, 알로에와 같이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80) 또는 쌀겨, 씨눈과 같이 장기를 청소하는 때수건 기능의 기능성 사료(80)를 2~5일 동안 식용 곤충(90)에게 먹일 수 있다. 도 5는 굼벵이의 사료로 호박이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그 후, 식용 곤충(90)을 20~40도의 물에 20~30분 동안 담가둘 수 있다. 20~40도의 물에 담겨진 식용 곤충(90)은 배변 기능의 활성화되므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의 배변을 통해 장기에 남아있던 독소가 식용 곤충(9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기능성 사료(80)의 경우, 배변 후에도 식용 곤충(90)의 식도 등의 장기에 남아있게 되는데, 이를 통해 기능성 사료(80)가 갖는 약효 역시 식용 곤충(90)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장기에 남아있는 독소를 제거하는 공정은 최종적으로 살아있는 식용 곤충(90)의 배변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장기의 독소 제거는 뜨거운 물에 식용 곤충(90)을 데치는 공정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용 곤충(90)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식용 곤충(90)의 배를 세로로 가를 수 있다.
곤충의 배가 머리부터 엉덩이를 향하는 세로 방향으로 갈라지면, 변이 머무는 내장이 확실하게 절단되고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절단된 내장으로부터 변이 확실하게 배출되므로, 남아있는 변으로 인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보다 확실하게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식용 곤충(90)에서 배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장기의 독소와 변이 제거되고, 뜨거운 물에 데치는 과정을 통해 표피의 독소가 제거된 식용 곤충(90)은 60~70℃에서 18~24시간 건조될 수 있다. 도 6은 건조된 굼벵이를 나타낸 사진이다.
식용 곤충(90)은 건조를 통해 자체 수분 함량이 10%이하가 되었을 때 분쇄기(110)를 통해 분말 상태로 조각조각 분쇄될 수 있다.
도 3은 식용 곤충(90)이 분쇄기(110)를 통해 분쇄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분쇄시 뿔, 이빨 등 독성이 존재하는 부분과, 지나치게 단단한 부분은 제거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분쇄된 식용 곤충(90)을 체에 거를 수 있다. 이때의 체는 가로 1인치, 세로 1인치 내에 100개의 홀이 형성된 100메시 체일 수 있다.
이렇게 체에 걸러진 곤충 분말(11)이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10)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10)은 밀폐된 병, 비닐 봉지 등에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고, 물에 타먹는 것과 같이 용이하게 식용이 가능하다.
곤충 분말(11)은 고단백 식품에 해당될 수 있으나, 비타민 등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분말 형태일지라도 섭취자에게 혐오스럽다는 느낌을 주기 쉽다.
곤충 분말(11)에 부족한 영양분을 보강하고, 섭취자의 혐오감을 줄이기 위해 다른 종류의 분말이 추가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10)에는 발아 씨눈이 분쇄된 씨눈 분말(13)이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발아 씨눈이 쌀 등의 곡물에서 씨눈이 발아된 것일 수 있다.
최근, 당뇨 환자 및 성인변 환자의 증가로 인해 쌀눈의 기능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그러나, 발아 현미 등을 통으로 섭취할 경우 영양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 1인이 3g의 발아 현미를 통으로 섭취할 경우 13Kca의 열량이 발생하므로, 발아 현미를 과잉 섭취할 경우 가바, 비타민 등의 기능성 성분의 기능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쌀로부터 씨눈만 따로 분리하여 25~40℃에서 발아시켜 발아 씨눈을 만들 수 있다. 쌀로부터 분리된 발아 씨눈은 가바와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 물질 등이 배가 되는 반면 칼로리는 10Kcal 이하로 낮아지는 획기적이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당뇨 환자뿐만 아니라 저칼로리의 음식 섭취가 요구되는 환자나 어린이 등에 적합할 수 있다.
발아 씨눈의 경우 단백질 성분이 부족할 수 있는데, 부족한 단백질은 함께 혼합된 곤충 분말(11)이 충당할 수 있다.
발아 씨눈은 먼저 현미에서 호분층을 제거하여 씨눈만 남긴 상태에서 씨눈만 발아시키거나, 현미 상태에서 발아시킨 후 발아된 씨눈을 분리하는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씨눈을 쌀(현미)의 호분층으로부터 분리한 후 발아시키면 발아 시간과 발아 공간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분 사용 및 냄새 제거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발아된 씨눈은 식용 곤충(90)의 건조 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건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발아 씨눈은 60~70℃에서 18~24시간 건조될 수 있다.
건조된 발아 씨눈은 분쇄기(110)를 통해 분말 상태로 잘게 분쇄될 수 있다. 이렇게 조각조각 분쇄된 발아 씨눈은 씨눈 분말(13)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는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이 혼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은 서로 골고루 섞이는 것이 좋다.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이 골고루 섞이도록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은 도 1의 혼합기(130)에 투입될 수 있다. 혼합기(130)는 드럼 세탁기와 같이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과정에서 내부에 수용된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은 골고루 섞일 수 있다.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이 혼합된 본 발명의 분말 혼합물(10)에 따르면, 곤충 분말(11)의 악취가 씨눈 분말(13)에 의해 억제되거나 숨겨질 수 있다.
또한, 분말 혼합물(10)은 씨눈 분말(13)로 인해 평소 접하기 쉬운 식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소 생소한 곤충 분말(11)의 식감으로 인한 섭취 거부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섭취 과정에서 평소 익숙한 쌀의 맛을 느낄 수 있으므로, 섭취자는 별다른 거부감없이 분말 혼합물(10)을 섭취할 수 있다.
한편,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을 단순히 혼합시켜 둔 경우 보관 또는 이송 과정에서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의 혼합 상태가 흐트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 용기에서 특정 부위에는 곤충 분말(11)이 몰리고, 다른 부위에는 씨눈 분말(13)이 몰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분말이 보관 용기의 특정 부위에 몰리는 현상이 발생되면, 곤충 분말(11)과 식용 분말을 혼합으로 인해 유발되는 각종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다양한 상황에서도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이 고르게 섞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은 도 2와 같이 반죽되고 환 형태로 제환될 수 있다.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은 5:5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영양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다만, 고단백을 원하는 사용자에는 8:2 중량 비율이 적합할 수 있고, 비타민이나 기능성 성분을 요구하는 사용자에게는 1:9 중량 비율이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은 1:9 내지 8:2의 중량비율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비율로 혼합된 후 반죽될 수 있다. 반죽을 위해 물이 투여될 수 있으며, 이때 물은 분말 혼합물(10)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이하로 투여되는 것이 좋다. 물이 투여량이 많은 경우 환(20)이 부패될 수 있으므로, 물의 투여량은 반죽 가능한 범위내에서 적을수록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을 마련한다(S 510).
이때, 곤충 분말(11)은 식용 곤충(90)의 배를 세로로 가르거나 식용 곤충(90)의 배를 제거하는 단계, 식용 곤충(90)을 60~70℃에서 18~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식용 곤충(90)을 분말 상태로 분쇄하는 단계를 순서대로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식용 곤충(90)의 배를 가르기 전에 호박 등의 기능성 사료(80)를 먹여서 식용 곤충(90)의 내장에 남은 독소를 제거하는 단계가 추가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씨눈 분말(13)은 쌀에서 씨눈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씨눈을 25~40℃에서 발아시키는 단계, 발아된 씨눈을 60~70℃에서 18~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씨눈을 분말 상태로 분쇄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곤충 분말(11)과 발아 씨눈을 1:9 내지 8: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 수 있다(S 520).
다음으로, 반죽을 환 형태로 제환할 수 있다. 분말 혼합물(10)을 포함하는 환(20)은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이 고르게 섞인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곤충 분말(11)과 씨눈 분말(13)이 고르게 섞인 상태는 환(20)의 보관 또는 이송에도 불구하고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분말을 떠먹기 위한 스푼 등의 별도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용이하기 섭취가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환 제조 방법에는 환(20)의 외면에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코팅층은 꿀, 설탕, 초콜렛 등의 기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의 표면을 매끄러울 수 있다. 매끄럽고 달달한 코팅층에 따르면 사용자는 별다른 어려움이나 거부감없이 환(20)을 삼킬 수 있다. 또한, 표면이 매끄럽고 딱딱한 코팅층에 따르면 보관 과정에서 복수의 환(20)이 서로 붙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분말 혼합물 11...곤충 분말
13...씨눈 분말 20...환
80...기능성 사료 90...식용 곤충
110...분쇄기 130...혼합기

Claims (8)

  1. 굼벵이, 메뚜기, 거저리, 누에, 귀뚜라미, 지렁이, 여치, 달팽이, 우렁이, 지네, 미꾸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식용 곤충이라 정의할 때, 상기 식용 곤충이 분쇄된 곤충 분말과 발아 씨눈이 분쇄된 씨눈 분말이 혼합된 분말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 분말은 상기 식용 곤충이 물에 데쳐지고 건조된 후 분말 상태로 분쇄된 것이고,
    상기 씨눈 분말은 쌀로부터 분리된 씨눈이 25~40℃에서 발아된 후 분쇄된 것인 분말 혼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 분말은 상기 식용 곤충을 2~5일 동안 굶기거나, 상기 식용 곤충에 호박, 알로에, 쌀겨, 씨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기능성 사료를 먹인 후 60~70℃에서 18~24시간 건조시킨 후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인 분말 혼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 분말은 상기 식용 곤충의 배를 세로로 가르거나 배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식용 곤충을 건조시키고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인 분말 혼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 분말과 상기 씨눈 분말은 1:9 내지 8: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후 반죽되고 환 형태로 제환되는 분말 혼합물.
  6. 굼벵이, 메뚜기, 거저리, 누에, 귀뚜라미, 지렁이, 여치, 달팽이, 우렁이, 지네, 미꾸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식용 곤충이라 정의할 때, 상기 식용 곤충이 분쇄된 곤충 분말과 발아 씨눈이 분쇄된 씨눈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곤충 분말과 상기 발아 씨눈을 1:9 내지 8: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반죽을 환 형태로 제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식용 곤충의 배를 세로로 가르거나, 상기 식용 곤충의 배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식용 곤충을 60~70℃에서 18~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식용 곤충을 분말 상태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씨눈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는,
    쌀에서 씨눈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씨눈을 25~40℃에서 발아시키는 단계;
    발아된 씨눈을 60~70℃에서 18~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씨눈을 분말 상태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 제조 방법.
KR1020160015620A 2016-02-11 2016-02-11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 KR10177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20A KR101775377B1 (ko) 2016-02-11 2016-02-11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20A KR101775377B1 (ko) 2016-02-11 2016-02-11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628A true KR20170094628A (ko) 2017-08-21
KR101775377B1 KR101775377B1 (ko) 2017-09-06

Family

ID=5975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620A KR101775377B1 (ko) 2016-02-11 2016-02-11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3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097B1 (ko) * 2018-03-27 2019-02-28 이병진 홍삼을 먹은 굼벵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 방법
KR20200000074U (ko) * 2018-09-19 2020-01-08 홍영기 유충 가공 장치
KR102238831B1 (ko) * 2020-07-21 2021-04-09 박종광 오매육을 포함하는 공진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02850A1 (ko) * 2020-11-12 2022-05-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림 식용 굼벵이 냄새제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644B1 (ko) 2019-07-31 2021-03-08 단양군(단양군농산물마케팅사업소장) 굼벵이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건조방법 및 그 건조 방법에 따라 건조된 굼벵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분말 및 환
KR102590678B1 (ko) * 2022-11-22 2023-10-19 주식회사 미래푸드테크 2가지 이상의 곤충 원료를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동물사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30B1 (ko) 2012-11-05 2014-05-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의 성장발달과 영양성 증가를 위한 기능성 곤충 사료
KR101493916B1 (ko) * 2014-09-29 2015-02-17 김용욱 곤충의 식용화 방법, 그 식용화된 곤충, 이러한 식용화된 곤충을 이용한 식품용 반죽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097B1 (ko) * 2018-03-27 2019-02-28 이병진 홍삼을 먹은 굼벵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 방법
KR20200000074U (ko) * 2018-09-19 2020-01-08 홍영기 유충 가공 장치
KR102238831B1 (ko) * 2020-07-21 2021-04-09 박종광 오매육을 포함하는 공진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02850A1 (ko) * 2020-11-12 2022-05-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림 식용 굼벵이 냄새제거방법
KR20220064827A (ko) * 2020-11-12 2022-05-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림 식용 굼벵이 냄새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377B1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377B1 (ko) 분말 혼합물 및 환 제조 방법
KR101725057B1 (ko) 곤충 스프
CN104857337B (zh) 一种草亲鱼用发酵中药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212374A (zh) 一种绿壳蛋鸡的生态养殖方法
KR20190009884A (ko)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CN106305615A (zh) 一种蛇的养殖方法
CN1759719A (zh) 以活禽为生物反应器生产的绿色保健禽肉禽蛋及方法
US7045135B2 (en) Composition of koji of rice bran and non-propagating lactic acid bacteria,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18483B1 (ko) 식용곤충 및 약용식물의 숙성액을 이용한 성형쌀 제조방법
CN106912406A (zh) 一种草鱼的高产养殖方法
CN106376498A (zh) 一种草鱼的仿野生养殖方法
KR101891274B1 (ko) 분말 혼합물 및 곤충 국수
CN106721023A (zh) 增加仔猪抵抗力的饲料
CN1759718A (zh) 以水产活体为生物反应器生产绿色保健水产品及方法
KR101832725B1 (ko) 닭 사육 방법
CN104322945A (zh) 一种土鸡饲料及其制作方法
KR101938942B1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6577491B (zh) 一种富硒鹅的立体养殖方法
CN108850572A (zh) 一种无臊味山羊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850804A (zh) 一种防治鲫鱼肠炎的养殖方法
KR101944979B1 (ko) 벅스 푸드
CN108850571A (zh) 一种脆口型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70110964A (ko) 곤충 막걸리
CN108850633A (zh) 一种脆口肉鸡饲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