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196A -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196A
KR20170093196A KR1020177018421A KR20177018421A KR20170093196A KR 20170093196 A KR20170093196 A KR 20170093196A KR 1020177018421 A KR1020177018421 A KR 1020177018421A KR 20177018421 A KR20177018421 A KR 20177018421A KR 20170093196 A KR20170093196 A KR 20170093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buffer lay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앙보 야오
Original Assignee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01L51/56
    • H01L27/3246
    • H01L27/3248
    • H01L27/3258
    • H01L27/3262
    • H01L51/0097
    • H01L51/5203
    • H01L51/52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1) 상에 제 1 버퍼층(12), 스위치 어레이층(13), 디스플레이 유닛층(14) 및 박막 패키지층(15)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1)을 따라 측방(laterally)으로 굽어질 때, 제 1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제 1 버퍼층(12)은 제 1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버퍼층(12)은 유기 절연 재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더 많은 사람들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으며, 다양한 종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 또한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슬릿 코터(slit coater) 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플렉서블 언더레이(underlay) 재료(폴리이미드(polyimide, PI)와 같은)가 유리 기판 상에 코팅되고 가열되어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을 형성하고, 그 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에 사용된다. PI 필름을 제조하고 떼어낸(tearing off)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획득된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가볍고, 충격에 강하며, 유연하고, 휴대의 용이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다층 금속 전극들을 구비하고, 빈번한 굽힘은 디스플레이의 금속 전극의 균열 또는 손상을 야기하며, 또한 전기적 접속 및 안정성에 영향을 주어, 디스플레이 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굽힘 과정(bending process) 중 낮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초래하는 금속 전극 손상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은 다음과 같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으로서: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상에 제 1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버퍼층 상에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치 어레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은 적어도 2개의 픽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 유닛은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전극층에 접속되고, 상기 픽셀 유닛에 연관하여 배치되며, 픽셀 정의막이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픽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픽셀 정의막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제2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버퍼층 상에 박막 패키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을 따라 굽혀지면, 제1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제1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버퍼층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이며;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박막 패키지층을 따라 내부로 굽혀지면, 제2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2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버퍼층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서,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감광제(photosensitive agent) 및 수지(resi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상에 제1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버퍼층 상에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치 어레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은 적어도 2개의 픽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 유닛은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전극층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픽셀 유닛에 연관하여 배치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박막 패키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을 따라 굽혀지면, 제1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제1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버퍼층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서, 상기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제2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버퍼층 상에 박막 패키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박막 패키지층을 따라 내부로 굽혀지면, 제2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2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버퍼층의 재료는 절연 물질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서, 픽셀 정의막이 이웃한 두 개의 상기 픽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픽셀 정의막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서,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감광제(photosensitive agent)와 수지(resi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이다.
본 발명은 더 제공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상기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상에 배치되는 제1 버퍼층;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버퍼층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어레이층; 상기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층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은 적어도 2개의 픽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픽셀 유닛은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전극층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픽셀 유닛에 연관하여 배치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배치되는 박막 패키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을 따라 굽혀지면, 제1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제1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버퍼층의 재료는 절연 물질이다.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서, 제2 버퍼층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과 상기 박막 패키지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박막 패키지층을 따라 굽혀지면, 제2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2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버퍼층의 재료는 절연 물질이다.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서, 픽셀 정의막이 이웃한 두 개의 상기 픽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픽셀 정의막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이다.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감광제(photosensitive agent)와 수지(resin)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이다.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2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이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상에 유기 절연 버퍼층을 배치하여 굽힘 과정 동안 금속 전극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렉서블 유기 발광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확대 된 스위치 소자의 구조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 "하부", "전방", "후방", "좌측", "우측", "내부", "외부", "측면"등과 같이 본 발명에서 참조된 방향은 도면을 참조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방향성 용어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구조도인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언더레이(underlay) 기판(11),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11) 상에 배치된 제 1 버퍼층(12), 제 1 버퍼층(12) 상에 배치 된 스위치 어레이층(13), 스위치 어레이층(13)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층(14), 및 디스플레이 유닛층(14) 상에 배치된 박막 패키지층(15)을 포함한다.
전체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11)은 평탄한 경성(rigid)의 베이스(유리 기판과 같은) 상에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플렉서블 언더레이 재료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일 수 있고, 슬릿 코팅이 여기에 이용될 수 있다. 건조 후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의 두께는 10-100㎛이다. 그리고, 전자 소자들이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상에 배치된다.
스위치 어레이층(13)은 둘 이상의 스위치 소자(25)를 포함한다. 스위치 어레이층(13)은 제 3 버퍼층(21), 게이트 절연층(22), 층간 절연층(interlayer insulating layer)(23) 및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24)을 더 포함한다. 스위치 소자(25)는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는 소스 전극(26), 드레인 전극(27), 게이트 전극(28) 및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29)(채널로 사용됨)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층(14)은 적어도 2개의 픽셀 유닛(171)을 포함한다. 픽셀 유닛(171)은 제 1 전극층(16), 제 2 전극층(18) 및 제 1 전극층(16)과 제 2 전극층(18) 사이에 배치 된 유기 발광층(17)을 포함한다. 픽셀 정의막(pixel definition layer)(19)은 인접한 두 개의 픽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픽셀 정의막의 재료는 절연 물질이다. 제 1 전극층의 극성은 양이고, 제 2 전극층의 극성은 음이다.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면, 유기 발광층이 발광한다. 픽셀 정의막은 서로 다른 컬러의 유기 발광층을 분리하고 서로 다른 컬러의 유기 발광층들 사이의 크로스 토크(crosstalk)를 회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위치 소자(25)는 제 1 전극층(16)과 접속하고, 스위치 소자(25)는 픽셀 유닛(171)에 연관하여 배치된다. 픽셀 유닛 각각은 하나의 대응하는 배치된 스위치 소자를 갖는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을 따라 굽혀질 때(하향 굽힘), 제 1 굽힘 변형력(bending deformation force)이 발생된다. 제 1 버퍼층은 제 1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는 데 사용된다. 제 1 버퍼층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이다.
상술한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201 :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상에 제 1 버퍼층을 형성한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을 따라 굽혀질 때(하향 굽힘), 제 1 굽힘 변형력이 생성된다. 제 1 버퍼층은 제 1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버퍼층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이다.
S202 : 제 1 버퍼층 상에 스위치 어레이층을 형성한다. 스위치 어레이층은 적어도 2 개의 스위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S203 :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층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층은 적어도 2개의 픽셀 유닛을 포함하고, 픽셀 유닛은 제 1 전극층, 제 2 전극층 및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스위치 소자는 픽셀 유닛에 연관하여 배치되고, 스위치 소자는 대응하는 픽셀을 턴온 또는 턴 오프하기 위해 사용된다.
S204 :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박막 패키지층을 형성한다. 박막 패키지층은 습기가 플렉서블 발광 디스플레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의 플렉서블 언더레이 유기 발광 장치에서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과 스위치 어레이층 사이에 추가적인 유기 절연 버퍼층을 적용한다. 유기 절연 버퍼층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굽힘 과정동안 굽힘 변형력을 약화시키므로, 굽힘 변형력의 손상이 크게 감소되어 굽힘 변형력이 클 때 하향 굽힘 과정 동안 금속 전극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구조도인 도2 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와 제1 실시예와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유닛층(14)와 박막 패키지층(15) 사이에 제2 버퍼층(20)이 더 배치되고,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박막 패키지층(20)을 따라 굽혀질 때(상향 굽힘), 제2 굽힘 변형력이 발생된다. 제2 버퍼층은 제2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버퍼층의 재료는 절연 물질이다.
픽셀 정의막(19)이 인접한 2 개의 픽셀 유닛(171) 사이에 더 배치된다. 픽셀 정의막(19)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절연 물질일 수있다. 픽셀 정의막의 두께는 2.5 내지 4 ㎛ 일 수 있다. 버퍼층이 너무 얇으면, 인접한 2 개의 픽셀 유닛 사이의 크로스토크는 효율적으로 회피 될 수 없는 반면, 너무 두꺼운 버퍼층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과에 영향을 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감광제(photosensitive agent)와 수지(resin)로 구성되므로,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제조 공정에서 손상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버퍼층 또는 상기 제 2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 nm 일 수있다. 너무 얇은 버퍼층은 굽힘 변형력을 잘 흡수하지 못하는 반면, 너무 두꺼운 것은 디스플레이 결과에 영향을 준다.
제 1 전극은 화소 전극과 같이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박막을 재료로 할 수 있다. 박막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 ~ 100nm이다. 제 2 전극의 재료는 금속이다. 바람직하게는 은이 될 수 있다.
박막 패키지층은 대안적으로 다중층 실리콘 산화물막(multi-layer silicon oxide film)과 실리콘 질화물 절연막(silicon nitride insulating film)으로 구성된다. 박막 패키지층은 습기가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그 제조방법과 제 1 실시 예와의 차이는:
단계 S203에서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층을 형성 한 후, 박막 패키지층을 직접 형성하지 않고, 특별한 단계들이 있다:
S205 : 제 2 버퍼층을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형성한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박막 패키지층을 따라 굽어지는 경우, 제 2 굽힘 변형력이 발생된다. 제 2 버퍼층은 제 2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 2 버퍼층의 재질은 절연 물질이다.
S206 : 제 2 버퍼층 상에 박막 패키지층을 형성한다. 단계 S205 이후, 박막 패키지층이 형성된다.
S207 : 픽셀 정의 막을 인접한 2 개의 픽셀 유닛 사이에 배치한다. 픽셀 정의막의 재질은 감광제(photosensitive agent)와 수지(resin)의 함량 비를 조절하여 형성되는 유기 절연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버퍼층 또는 제 2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 nm이다. 너무 얇은 버퍼층은 굽힘 변형력을 잘 흡수하지 못하고: 반면 너무 두꺼운 것은 디스플레이 결과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서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과 스위치 어레이 사이에 추가적인 유기 버퍼층을 적용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유닛층과 박막 패키지층 사이에 추가적인 유기 버퍼층을 적용할 수 있다. 유기 절연 버퍼층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굽힘 과정동안 굽힘 변형력을 약화시키므로, 굽힘 변형력의 피해가 크게 감쇠되어, 굽힘 변형력이 클 때, 하향 굽힘 과정에서 금속 전극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을 갖고서 당업자가 본 발명 및 다양한 실시예를 이용하게 활성화하도록 본 발명의 원리 및 그의 실제 적용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가 선택되고 기술되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 및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보다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16)

  1.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으로서,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상에 제 1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버퍼층 상에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치 어레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은 적어도 2개의 픽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 유닛은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전극층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픽셀 유닛에 연관하여 배치되며, 픽셀 정의막이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픽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픽셀 정의막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제2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버퍼층 상에 박막 패키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을 따라 굽혀지면, 제1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제1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버퍼층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이며;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박막 패키지층을 따라 내부로 굽혀지면, 제2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2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버퍼층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감광제(photosensitive agent)와 수지(resin)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5.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상에 제1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버퍼층 상에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치 어레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은 적어도 2개의 픽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 유닛은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전극층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픽셀 유닛에 연관하여 배치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박막 패키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을 따라 굽혀지면, 제1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제1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버퍼층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제2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버퍼층 상에 박막 패키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박막 패키지층을 따라 내부로 굽혀지면, 제2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2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버퍼층의 재료는 절연 물질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픽셀 정의막이 이웃한 두 개의 상기 픽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픽셀 정의막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감광제(photosensitive agent)와 수지(resin)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11.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로서,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
    상기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상에 배치되는 제1 버퍼층;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버퍼층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어레이층;
    상기 스위치 어레이층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층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은 적어도 2개의 픽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픽셀 유닛은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전극층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상기 픽셀 유닛에 연관하여 배치됨;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 상에 배치되는 박막 패키지층; 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플렉서블 언더레이 기판을 따라 굽혀지면, 제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제1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버퍼층의 재료는 절연 물질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12. 제11 항에 있어서,
    제2 버퍼층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층과 상기 박막 패키지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박막 패키지층을 따라 굽혀지면, 제2 굽힘 변형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2 굽힘 변형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버퍼층의 재료는 절연 물질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13. 제11 항에 있어서,
    픽셀 정의막이 이웃한 두 개의 상기 픽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픽셀 정의막의 재료는 유기 절연 물질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감광제(photosensitive agent)와 수지(resin)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두께는 2 내지 10nm 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0177018421A 2014-12-31 2015-01-07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3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849194.2 2014-12-31
CN201410849194.2A CN104485351A (zh) 2014-12-31 2014-12-31 一种柔性有机发光显示器及其制作方法
PCT/CN2015/070267 WO2016106797A1 (zh) 2014-12-31 2015-01-07 一种柔性有机发光显示器及其制作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196A true KR20170093196A (ko) 2017-08-14

Family

ID=5275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421A KR20170093196A (ko) 2014-12-31 2015-01-07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680114B2 (ko)
JP (1) JP2018506836A (ko)
KR (1) KR20170093196A (ko)
CN (1) CN104485351A (ko)
EA (1) EA033953B1 (ko)
GB (1) GB2549030A (ko)
WO (1) WO2016106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729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975135A (zh) * 2016-06-22 2016-09-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电子设备及显示装置的制作方法
CN106023825B (zh) * 2016-06-22 2021-02-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屏幕、显示屏幕的制作方法及电子设备
KR102604018B1 (ko) * 2016-07-07 2023-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427249A (zh) 2017-08-31 2019-03-0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07507518A (zh) * 2017-09-05 2017-1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US10517196B2 (en) 2017-09-05 2019-12-24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CN107958920B (zh) * 2017-11-23 2020-10-0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TWI651698B (zh) * 2018-01-17 2019-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性顯示器及其製造方法
KR102395757B1 (ko) * 2021-01-28 2022-05-10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CN113053243B (zh) * 2021-03-10 2022-06-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437120B (zh) * 2021-06-11 2022-08-0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4141842B (zh) * 2021-11-29 2023-05-0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和柔性显示面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0450A (ja) * 2001-06-20 2003-04-0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2014138179A (ja) * 2013-01-18 2014-07-28 Nippon Hoso Kyokai <Nhk>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1828B2 (en) * 2001-06-20 2007-05-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548860B (en) * 2001-06-20 2003-08-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526771B2 (ja) * 2003-03-14 2010-08-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1363835B1 (ko) 2007-02-05 2014-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2178133B1 (en) * 2008-10-16 2019-09-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lexible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Light Emitting Device
KR101155907B1 (ko) * 2009-06-04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9000B1 (ko) * 2011-12-14 2013-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79188B1 (ko) * 2012-05-09 2020-02-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12238005A (ja) * 2012-07-02 2012-12-06 Japan Display East Co Ltd 表示装置
WO2014038158A1 (ja) * 2012-09-04 2014-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426904B (zh) 2013-08-02 2015-1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0450A (ja) * 2001-06-20 2003-04-0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2014138179A (ja) * 2013-01-18 2014-07-28 Nippon Hoso Kyokai <Nhk>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85351A (zh) 2015-04-01
US20170207286A1 (en) 2017-07-20
US9680114B2 (en) 2017-06-13
EA033953B1 (ru) 2019-12-13
US10096664B2 (en) 2018-10-09
JP2018506836A (ja) 2018-03-08
GB201710745D0 (en) 2017-08-16
US20160190488A1 (en) 2016-06-30
WO2016106797A1 (zh) 2016-07-07
EA201791488A1 (ru) 2017-11-30
GB2549030A (en)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3196A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192878B (zh) 柔性oled显示面板
CN106992259B (zh) 显示装置
KR102424597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836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55431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及製造其之方法
US925216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194618A1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8458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6206962A (zh) 柔性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2015005075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50088101A (ko)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6841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532841A (zh) 顯示裝置
US1043164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7114789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とその製造方法
KR2019006664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361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7203A1 (zh) 显示屏及其制作方法,以及显示设备
JP2010085537A5 (ko)
WO2019130431A1 (ja)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023243A1 (zh)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US916620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KR100711889B1 (ko)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9643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