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292A - 실외기 - Google Patents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292A
KR20170084292A KR1020177016441A KR20177016441A KR20170084292A KR 20170084292 A KR20170084292 A KR 20170084292A KR 1020177016441 A KR1020177016441 A KR 1020177016441A KR 20177016441 A KR20177016441 A KR 20177016441A KR 20170084292 A KR20170084292 A KR 2017008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information terminal
outdoor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335B1 (ko
Inventor
히로마사 야마네
도시유키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04B5/003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2011/0061
    • F24F2011/007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4Protection from terrorism or th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실외기는 통신 유닛 및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통신 유닛은 상기 실외기에 근접하는 정보 단말과의 비접촉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을 거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설정을 상기 실외기의 전원 투입으로부터 일정 시간만 허용한다.

Description

실외기{OUTDOOR UNIT}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냉동 사이클 장치,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이른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기능을 갖는 송 수신부를 냉동 사이클 장치,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배치하며, 그 송수신부와 정보 단말의 사이의 비접촉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실외기의 운전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설정하거나, 실외기 상태를 진단하는 설정·진단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공기 조화 장치의 관리자나 서비스맨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접근하여, 소지한 정보 단말을 실외기의 송수신부에 접근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의 설정이나 진단을 실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 5197549 호 공보
상기 실외기는 옥외에 설치되므로, 관리자나 서비스맨뿐만이 아니라, 누구나 실외기에 접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악의를 가진 제 3 자가 실외기에 접근하여, 설정이 종료된 데이터를 부정하게 변경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목적은 설정을 종료한 데이터의 부정한 변경 등을 회피할 수 있는 시큐리티성 및 신뢰성이 뛰어난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실외기는 통신 유닛 및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통신 유닛은 상기 실외기에 근접하는 정보 단말과의 비접촉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을 거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설정을 상기 실외기의 전원 투입으로부터 일정 시간만 허용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일 실시형태의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1)는 입방체형의 하우징(2)으로 외관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전면판(3, 4), 우측면판(5), 상면판(6, 7), 좌측면판, 배면판, 저면판을 포함한다. 상면판(6, 7)을 제외한 전면판(3, 4), 우측면판(5), 좌측면판, 배면판, 저면판이 금속제이다.
전면판(3)은 상하 방향으로 상측 전면판(3A)과 하측 전면판(3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상측 전면판(3A) 및 하측 전면판(3B)은 각각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방의 상측 전면판(3A)은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직사각형상의 통기구(흡기구)(3a)를 갖는다. 전면판(4)도, 전면판(3)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상측 전면판(4A)과 하측 전면판(4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상측 전면판(4A) 및 하측 전면판(4B)은 각각 착탈 가능하다. 상측 전면판(4A)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직사각형상의 통기구(흡기구)(4a)를 갖는다. 우측면판(5)은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직사각형상의 통기구(흡기구)(5a)를 갖는다. 좌측면판도, 우측면판(5)과 마찬가지로,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통기구(흡기구)를 갖는다. 상면판(6, 7)은 각각 원형의 배기구를 갖는다. 이들 상면판(6, 7)의 각각 배기구를 덮는 상태로, 원통형상의 팬 하우징(8, 9)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내부는, 중간 칸막이판(2x)에 의해, 상측의 열교환실(2A)과 하측의 기계실(2B)로 구분되어 있다. 열교환실(2A)은 상측 전면판(3A) 및 상측 전면판(4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기계실(2B)은 하측 전면판(3B) 및 하측 전면판(4B)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열교환실(2A) 내에, 실외 열교환기(10) 및 실외 팬(11, 12)이 수용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10)는,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U자형이며, 하우징(2)의 좌측면판, 상측 전면판(3A, 4A), 우측면판(5)을 따라서, 또한 이들 면판에 근접한 상태에서, 중간 칸막이판(2x) 상에 탑재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10)의 내측의 공간은 상면판(6, 7)의 각각 배기구를 통하여 팬 하우징(8, 9)에 연통되어 있으며, 그 팬 하우징(8, 9)과 대응하는 위치에 실외 팬(11, 12)이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2B)에, 냉동 사이클 구성 부품(30) 및 전장품 상자(40)가 수용되어 있다. 냉동 사이클 구성 부품(30)은, 압축기, 사방 밸브, 리시버 탱크, 어큐뮬레이터 등의 총칭이다. 전장품 상자(40)에는,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실외 팬(11, 12) 등을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가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회로 기판(41)이 수용되어 있다. 기계실(2B) 내의 부품의 교환·수리 등의 작업은 하측 전면판(3B, 4B)을 분리하여 실행된다.
실외 팬(11, 12)이 회전하면, 외기가, 좌측면판의 각 통기구, 상측 전면판(3B, 4B)의 각 통기구(3a, 4a), 우측면판(5)의 각 통기구(5a)를 통하여 열교환실(2A)로 흡입된다. 흡입된 외기는, 실외 열교환기(10)를 통하여, 또한 실외 팬(11, 12) 및 팬 하우징(8, 9)을 통하여 하우징(2) 외부로 배출된다. 실외 열교환기(10)를 통과하는 외기는 실외 열교환기(10)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한다.
하우징(2)의 상측 전면판(4A)과 실외 열교환기(10) 사이에, 또한 상측 전면판(4A)에 있어서의 각 통기구(4a) 중 예를 들어 위부터 2단째의 통기구(4a)와 대응하는 위치에, 통신 유닛(20)이 배치된다. 위부터 2단째의 통기구(4a)의 높이 위치는 하우징(2)의 옆에 서는 작업원의 거의 눈 높이이다.
통신 유닛(20)은, 예를 들어 1㎝ 내지 10㎝ 정도의 극히 짧은 거리의 범위에 정보 단말(100)이 근접한 경우에, 그 정보 단말(10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했을 때의 전자 유도에 의해 생기는 전력으로 동작하고, 정보 단말(100)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이른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기술에 의한 비접촉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21), 송수신부(22), CPU(23), 메모리(24), 통신 회로(25)를 포함한다.
안테나(21)는 근접하는 정보 단말(100)과의 사이에서 전파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송수신부(22)는 안테나(21)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안테나(21)에서 수신한 전파를 해당 통신 유닛(20)의 동작 전력으로서 도입한다. CPU(23)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24)는 CPU(23)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동시에, 수신 데이터나 송신 데이터를 일시 기억한다. 통신 회로(25)는 CPU(23)와 컨트롤러(42) 사이의 신호선을 거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통신 유닛(20)에는, 외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외기 온도 센서도 수용된다.
컨트롤러(42)는, 해당 실외기(1)와 함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하는 실내기와의 연계에 의해, 해당 실외기(1)에 있어서의 냉동 사이클 구성 부품(30) 및 상기 각 구동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원 회로(43)와 함께, 기계실(2B) 내의 회로 기판(41)에 탑재된다. 전원 회로(43)는, 건물 내의 상용 교류 전원(50)에 전원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으며, 그 상용 교류 전원(50)의 교류 전압을 해당 실외기(1)의 운전용 전력으로서 도입한다.
상용 교류 전원(50)이 설치되는 건물은, 사용자 및 공기 조화 장치의 관리자나 서비스맨은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지만, 그 이외의 사람은 들어갈 수 없다.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50)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은, 시큐리티 관리되고 있으며,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및 공기 조화 장치의 관리자나 서비스맨 밖에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상용 교류 전원(50)의 투입 및 차단의 조작은 사용자 및 공기 조화 장치의 관리자나 서비스맨은 가능하지만, 그 이외의 제 3 자는 불가능하다.
컨트롤러(42)는, 해당 실외기(1)의 데이터 설정 및 진단에 관한 주요한 기능으로서, 제 1 제어부(42a), 제 2 제어부(42b), 제 3 제어부(42c), 제 3 제어부(42d), 메모리(42e)를 포함한다.
제 1 제어부(42a)는 정보 단말(100)로부터 통신 유닛(20)을 거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설정을 해당 실외기(1)의 전원 투입(상용 교류 전원(50)의 투입)으로부터 일정 시간(t1s)만 허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제어부(42a)는 정보 단말(100)로부터 통신 유닛(20)을 거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실외기(1)의 전원 투입으로부터 일정 시간(t1s)만 수신한다.
제 2 제어부(42b)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해당 실외기(1)의 운전에 관한 데이터인 경우에, 그 데이터를 해당 실외기(1)의 운전용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운전용 데이터의 설정은 메모리(42d)로의 갱신 기억에 의해 완료된다.
제 3 제어부(42c)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해당 실외기(1)에 대한 진단의 지시인 경우에, 해당 실외기(1)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통신 유닛(20)을 거쳐서 정보 단말(100)에 알리는 진단 처리를 실행한다.
제 4 제어부(42d)는, 상기 일정 시간(t1s)의 종료가 가까워진 경우에 그 취지를 통신 유닛(20)을 거쳐서 정보 단말(100)에 통지하고, 이 통지에 따라서 정보 단말(100)로부터 내려진 시간 연장의 지시를 통신 유닛(20)을 거쳐서 받은 경우에 상기 일정 시간(t1s)을 연장한다.
다음에, 컨트롤러(42)가 실행하는 제어를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외기(1)의 설치시나 이동시, 혹은 공기 조화 장치에 어떤 트러블이 발생했을 때의 보수 점검시, 공기 조화 장치의 관리자나 서비스맨은 해당 실외기(1)의 운전에 관한 데이터를 해당 실외기(1)에 대하여 설정하는 작업, 혹은 실외기(1)가 어떤 상태인지 진단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실시시에, 공기 조화 장치의 관리자나 서비스맨은 상용 교류 전원(50)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 들어가서, 그 상용 교류 전원(50)을 투입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의 관리자나 서비스맨을, 이하, 작업원이라 칭한다.
상용 교류 전원(50)이 투입되었을 때(전원 온; 단계 S1의 예), 컨트롤러(42)는, 타임 카운트(t1)를 0부터 개시하고(단계 S2), 그 타임 카운트(t1)와 미리 정한 일정 시간(초기값)(t1s)을 비교한다(단계 S3). 일정 시간(t1s)은, 상기 데이터 설정 처리 및 상기 진단 처리에 필요한 작업을 작업원이 실행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5시간 내지 8시간 정도로 설정된다.
타임 카운트(t1)가 일정 시간(t1s) 미만인 경우(단계 S3의 아니오), 컨트롤러(42)는 정보 단말(100)과 통신 유닛(20)의 데이터 통신에 근거하는 데이터 설정 처리 및 진단 처리를 허용한다(단계 S4).
이러한 허용에 의해, 작업원은 데이터 설정 처리에 필요한 작업 및 진단 처리에 필요한 작업을 각각 실시할 수 있다. 즉, 작업원은, 하우징(2)의 상측 전면판(4A)에 접근하고, 소지한 정보 단말(100)을 상측 전면판(4A)에 있어서의 위로부터 2단째의 통기구(4a)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작업원은, 통기구(4a)에 접근한 정보 단말(100)을 조작하여, 그 정보 단말(100)과 통신 유닛(20) 사이에 비접촉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정보 단말(100)로서, 예를 들어 태블릿형 정보 단말이나 스마트폰형 정보 단말이 이용된다.
컨트롤러(42)는 정보 단말(100)로부터 통신 유닛(20)을 거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한 데이터가 해당 실외기(1)의 운전에 관한 데이터인 경우, 컨트롤러(42)는 수신한 데이터를 해당 실외기(1)의 운전용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수신한 데이터가 해당 실외기(1)에 대한 진단의 지시인 경우, 컨트롤러(42)는, 해당 실외기(1)가 어떤 상태인지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통신 유닛(20)을 거쳐서 정보 단말(100)에 알리는 진단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데이터 설정 처리에 의해 설정되는 운전용 데이터는, 예를 들면, 실외기(1)의 운전에 관한 각종 파라미터(외기 온도, 냉매 온도,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 복수 실내기의 주소 코드 등), 및 실외기(1)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펌웨어 등) 등이다. 상기 진단 처리에 의해 진단되는 상태는, 예를 들어 실외기(1)의 운전 이력, 실외기(1)의 고장 내용 등이다.
데이터 설정 처리를 위한 작업 및 진단 처리를 위한 작업은, 작업의 진행 등에 문제가 없으면, 일정 시간(t1s) 내에서 충분히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42)는, 상기 단계 S4의 허용에 수반하여, 타임 카운트(t1)가 일정 시간(t1s)보다 시간(Δta)만큼 짧은 소정 시간 "t1s-Δta"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5). 시간(Δta)은, 타임 카운트(t1)가 일정 시간(t1s)에 가까워진 내용을 작업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5분 정도이다. 타임 카운트(t1)가 소정 시간 "t1s-Δta"에 미치지 않는 경우(단계 S5의 아니오), 컨트롤러(42)는 상기 단계 S3으로 되돌아가 타임 카운트(t1)와 일정 시간(t1s)과 비교를 계속한다.
타임 카운트(t1)가 소정 시간 "t1s-Δta"에 도달한 경우(단계 S5의 예), 컨트롤러(42)는 처리 허용 시간의 종료가 가까워지고 있는 취지를 통신 유닛(20)을 거쳐서 정보 단말(100)에 통지한다(단계 S6). 이러한 통지를 받은 정보 단말(100)은, 처리 허용 시간의 종료가 가까워지고 있는 취지를 화상 표시나 부저음 발생에 의해 작업원에게 알린다. 이러한 알림을 받은 작업원은 실시 중의 작업이 처리 허용 시간의 종료까지 완료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 중의 작업이 작업 허용 시간의 종료까지 완료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작업원은 시간 연장을 정보 단말(100)로부터 통신 유닛(20)을 거쳐서 컨트롤러(42)에 지시한다. 컨트롤러(42)는, 이 시간 연장의 지시를 받은 경우(단계 S7의 예), 일정 시간(t1s)에 시간 Δtb(>Δta)를 더한 "t1s+Δtb"를 새로운 일정 시간(t1s)으로 하여 갱신 설정한다(단계 S8). Δtb는, 예를 들어 1시간이다. 그리고, 컨트롤러(42)는 상기 단계 S3으로 되돌아가 타임 카운트(t1)와 새로운 일정 시간(t1s)의 비교를 계속한다.
실시 중의 작업이 작업 허용 시간의 종료까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작업원은 상기 시간 연장의 지시를 내리는 일 없이 실시 중의 작업을 계속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42)는, 시간 연장의 지시를 받지 않으므로(단계 S7의 아니오), 일정 시간(t1s)의 갱신을 실행하는 일 없이, 상기 단계 S3으로 되돌아가 타임 카운트(t1)와 일정 시간(초기값)(t1s)의 비교를 계속한다.
타임 카운트(t1)가 일정 시간(t1s)에 도달한 경우(단계 S3의 예), 컨트롤러(42)는 정보 단말(100)과 통신 유닛(20)의 데이터 통신에 근거하는 데이터 설정 처리를 금지한다(단계 S9). 정보 단말(100)과 통신 유닛(20)의 데이터 통신에 근거하는 진단 처리에 대해서는, 계속 허용하여도 좋고, 데이터 설정 처리와 함께 금지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타임 카운트(t1)가 일정 시간(t1s)에 도달한 후는 데이터 설정 처리를 금지하는 것에 의해, 제 3 자가 정보 단말(100)을 가지고 통신 유닛(20)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실행했다고 하여도, 실외기(1)에 대하여 데이터를 설정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제 3 자로부터의 부정한 액세스에 대한 시큐리티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외기(1)에 대하여 이미 설정이 종료된 데이터를 제 3 자가 부정하게 변경하려고 하여도, 그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실외기(1)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옥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게다가 NFC의 기술에 의한 데이터 통신은 정보 단말(100)과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이른바 커플링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이 제 3 자로부터의 부정한 액세스에 대한 시큐리티성을 높이는 것은, 공기 조화 장치의 안전한 운전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나아가서는 공기 조화 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그런데, 작업원이 데이터 설정 처리를 위한 작업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타임 카운트(t1)가 일정 시간(t1s)에 도달하여 데이터 설정 처리가 금지되어 버리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원은, 건물 내에 들어가 상용 교류 전원(50)을 일단 차단(전원 오프)하고 나서 재투입(전원 온)하면 된다.
컨트롤러(42)는, 상기 단계 S9의 금지에 수반하여, 상용 교류 전원(50)의 차단(전원 온)을 감시한다(단계 S10의 예). 상용 교류 전원(50)이 차단된 경우(단계 S10의 예), 컨트롤러(42)는, 상용 교류 전원(50)이 차단되기 직전의 해당 컨트롤러(42)의 처리 내용을 메모리(42d)에 기억하고(단계 S11), 또한 일정 시간(ts1)을 초기값으로 되돌린다(단계 S12). 그리고, 컨트롤러(42)는 상기 단계 S1로 되돌아가 전원 온을 감시한다.
상용 교류 전원(50)이 재투입(전원 온)된 경우(단계 S1의 예), 컨트롤러(42)는 상기 단계 S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42)는, 메모리(42d)에 기억되어 있는 처리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금지에 의해 중단한 데이터 설정 처리를 계속적으로 재개한다. 이에 의해, 작업원은 데이터 설정 처리를 위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런데, 정보 단말(100)과 통신 유닛(20) 사이의 데이터 통신 시에, 정보 단말(100)로부터 송출되는 전파는, 자성체인 상측 전면판(4A)에 방해받는 일 없이, 통기구(4a)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통신 유닛(20)에 도달한다. 통신 유닛(20)으로부터 송출되는 전파도, 자성체인 상측 전면판(4A)에 방해받는 일 없이, 통기구(4a)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정보 단말(100)에 도달한다.
작업원에게는 정보 단말(100)을 통기구(4a)에 접근시켜 그 정보 단말(100)을 조작하기만 하면 되며, 상측 전면판(4A)을 분리하고 또 장착하는 것과 같은 귀찮은 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수 대의 실외기(1)가 병설되고, 그 각 실외기(1)의 측면판이 서로 간극 없이 인접하는 상태라도, 각 실외기(1)의 통신 유닛(20)이 각각의 하우징(2)의 전면측에 있으므로, 전체 실외기(1)의 통신 유닛(20)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전면판(4A)에 있어서의 위로부터 2단째의 통기구(4a)와 대응하는 위치에 통신 유닛(20)을 배치했지만, 그 높이 위치에 대하여 한정은 없으며, 적절히 선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큐리티의 관점에서, 내부가 보이기 어려운 하방 위치의 통기구(4a)와 대응하는 위치에 통신 유닛(20)을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정 시간(t1s)이 예를 들어 5시간 내지 8시간 정도로 설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일정 시간(t1s)에 대해서는, 실외기(1)의 종류나 대수 등에 따라서, 또한 작업원의 경험이나 기량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투입으로부터 일정 시간(t1s) 후에 데이터 설정 처리를 금지했지만, 실외기(1)의 운전 상황이나 이력을 제 3자에게 보이고 싶지 않은 경우는, 전원 투입으로부터 일정 시간(t1s) 후, 데이터 설정 처리를 금지하는 것에 부가하여, 제 3 자에게 보이고 싶지 않은 데이터의 판독을 금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실외기로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어 공랭식의 칠링 유닛(chilling unit), 히트 펌프식 급탕 장치의 열원 유닛, 히트 펌프식 가온 장치의 열원 유닛, 냉동·냉장 쇼케이스에 접속되는 냉동기에의 적용도 가능하다.
기타,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신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갱신,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변형은, 발명의 범위는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 실외기 2 : 하우징
3 : 전면판 3a : 통기구
4 : 전면판 4a : 통기구
5 : 우측면판 5a : 통기구
6, 7 : 상면판 8, 9 : 팬 하우징
10 : 실외 열교환기 11, 12 : 실외 팬
20 : 통신 유닛 42 : 컨트롤러
42a : 제 1 제어부 42b : 제 2 제어부
42c : 제 3 제어부 42d : 메모리
50 : 상용 교류 전원 100 : 정보 단말

Claims (6)

  1. 상기 실외기에 근접하는 정보 단말과의 비접촉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유닛과,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을 거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설정을 상기 실외기의 전원 투입으로부터 일정 시간만 허용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통기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수용하고 그 실외 열교환기에 외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기구를 갖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상기 통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을 거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실외기의 전원 투입으로부터 상기 일정 시간만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상기 실외기의 운전에 관한 데이터인 경우에, 그 데이터를 상기 실외기의 운전용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상기 실외기에 대한 진단의 지시인 경우에, 상기 실외기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상기 통신 유닛을 거쳐서 상기 정보 단말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일정 시간의 종료가 가까워진 경우에 그 취지를 상기 통신 유닛을 거쳐서 상기 정보 단말에 통지하고, 이러한 통지에 따라서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내려지는 시간 연장의 지시를 상기 통신 유닛을 거쳐서 받은 경우에 상기 일정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했을 때의 전자 유도에 의해 생기는 전력으로 동작하며, 상기 정보 단말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의 기술에 의한 비접촉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KR1020177016441A 2014-11-19 2015-11-16 실외기 KR101933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4413 2014-11-19
JPJP-P-2014-234413 2014-11-19
PCT/JP2015/082135 WO2016080353A1 (ja) 2014-11-19 2015-11-16 室外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292A true KR20170084292A (ko) 2017-07-19
KR101933335B1 KR101933335B1 (ko) 2019-03-15

Family

ID=5601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441A KR101933335B1 (ko) 2014-11-19 2015-11-16 실외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48336A1 (ko)
EP (1) EP3222927B1 (ko)
JP (2) JPWO2016080353A1 (ko)
KR (1) KR101933335B1 (ko)
CN (1) CN107076450B (ko)
WO (1) WO2016080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352A1 (ja) 2014-11-18 2016-05-2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室外機
WO2017077647A1 (ja) * 2015-11-06 2017-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JP2020148376A (ja) * 2019-03-13 2020-09-1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室外機
JP7450345B2 (ja) * 2019-05-27 2024-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収集システム、データ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201003A (ja) 2019-06-12 2020-12-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室外機システム
JP7466294B2 (ja) * 2019-11-14 2024-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16194721A (zh) * 2020-09-23 2023-05-30 东芝开利株式会社 空调机的室外机
CN115940998A (zh) * 2021-10-05 2023-04-07 开利公司 用于hvac设备的备选近场通信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7549A (ja) 1975-02-26 1976-08-27 Erekutorosuraguyosetsuho
JPH10111001A (ja) * 1996-10-04 1998-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特殊モード付き制御装置
JP2003148790A (ja) * 2001-11-12 2003-05-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7322086A (ja) * 2006-06-02 2007-12-13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3093766A (ja) * 2011-10-26 2013-05-16 Tokai Rika Co Ltd 双方向通信システム
JP2013120035A (ja) * 2011-12-08 2013-06-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9165A (en) * 1993-12-08 1995-05-30 Perkins; Jon T. Electrical panel locking apparatus
JPH0835713A (ja) * 1994-07-26 1996-02-0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1410198A2 (en) * 2000-08-22 2004-04-21 Symbian Limited A method of enabling a wireless information device to access data services
US20040176022A1 (en) * 2002-12-10 2004-09-09 Steven Thrasher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ventilation registers
JP2006132870A (ja) * 2004-11-08 2006-05-2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4458486B2 (ja) * 2005-08-02 2010-04-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管理装置
JP3992065B2 (ja) * 2006-02-01 2007-10-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8281231A (ja) * 2007-05-08 2008-11-20 Sharp Corp 電気機器、空気調和機、室外機及び室内機
JP2009237237A (ja) * 2008-03-27 2009-10-15 Brother Ind Ltd プロジェクタ
KR101622616B1 (ko) * 2009-05-15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진단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20100123486A (ko) * 2009-05-15 201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197549B2 (ja) * 2009-11-06 2013-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設定診断システム
JP2011149674A (ja) * 2010-01-25 2011-08-04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
US8589733B2 (en) * 2010-08-13 2013-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aving operational state of open applications when unexpected shutdown events occur
JP5168365B2 (ja) * 2011-01-20 2013-03-2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5981733B2 (ja) * 2012-03-05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6190617B2 (ja) * 2013-04-22 2017-08-30 尼寺空圧工業株式会社 エアーコンプレッサ
CN103884074B (zh) * 2013-12-27 2017-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无线控制器、空调器及其售后服务提供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7549A (ja) 1975-02-26 1976-08-27 Erekutorosuraguyosetsuho
JPH10111001A (ja) * 1996-10-04 1998-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特殊モード付き制御装置
JP2003148790A (ja) * 2001-11-12 2003-05-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7322086A (ja) * 2006-06-02 2007-12-13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3093766A (ja) * 2011-10-26 2013-05-16 Tokai Rika Co Ltd 双方向通信システム
JP2013120035A (ja) * 2011-12-08 2013-06-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6450A (zh) 2017-08-18
EP3222927B1 (en) 2020-03-18
JP6613349B2 (ja) 2019-11-27
WO2016080353A1 (ja) 2016-05-26
KR101933335B1 (ko) 2019-03-15
EP3222927A1 (en) 2017-09-27
CN107076450B (zh) 2020-04-21
US20170248336A1 (en) 2017-08-31
JP2019011945A (ja) 2019-01-24
JPWO2016080353A1 (ja) 2017-07-06
EP3222927A4 (en)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335B1 (ko) 실외기
US10330337B2 (en) Outdoor unit
US10844861B2 (en) Systems and method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electric motors
EP3009901B1 (en) Controller for a chi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iller
US201600285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electric motors
EP3279581B1 (en) Remote control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same
EP2413057A1 (en) Information conveyance system for refrigerating/air-conditioning device
US10371403B2 (en) Display device, method, and program
EP3318810B1 (en) Outdoor unit setting system, outdoor unit setting method, and outdoor unit
KR20160041561A (ko)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US11215377B2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cooling system
JP6746253B1 (ja) 空気調和機
JPWO2019239549A1 (ja) 機器管理システム
JP2020134021A (ja) 室外機
US20130076492A1 (en) Detection device for container data centers
TW202305296A (zh) 通訊控制裝置、冷卻裝置
CN111288717A (zh) 冰箱
JP3974609B2 (ja) キュービクル
KR20100089654A (ko) 멀티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7156064A (ja) 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