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561A -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561A
KR20160041561A KR1020140135771A KR20140135771A KR20160041561A KR 20160041561 A KR20160041561 A KR 20160041561A KR 1020140135771 A KR1020140135771 A KR 1020140135771A KR 20140135771 A KR20140135771 A KR 20140135771A KR 20160041561 A KR20160041561 A KR 2016004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ir conditioner
controller
uni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택
이규호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561A/ko
Priority to CN201510212075.0A priority patent/CN106196518A/zh
Priority to EP15166383.8A priority patent/EP3007018B1/en
Priority to US14/736,795 priority patent/US20160102883A1/en
Publication of KR2016004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67Control, human or man machine interface, interactive, HMI, MMI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36Display all subsystems, select one and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sub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78Display status of currently selected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4HVAC, heating, ventillation, clima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는, 공기조화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 및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관리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공기조화장치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출력장치는,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로부터 공기조화장치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품 정보와 대응되는 관리화면을 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Controller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명세서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트롤러는 TV, 비디오, 오디오, 공기조화기, 유선 방송 컨버터, 위성 방송 컨버터, 선풍기 등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경우에 따라서 컨트롤러는 원격에서 제어 주파수의 무선 송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각종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특정 가전기기에 특화된 장치이거나, 특정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장착한 컴퓨터일 수 있다.
컨트롤러는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빌딩 등 다수의 실내기가 필요한 대형 건물에서 많이 사용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61581호(공개일 2014.05.22)에는 공기조화기용 컨트롤러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은 공기조화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기조화기에 대한 사이클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공기조화기의 상태를 쉽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사이클뷰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용 컨트롤러를 개시한다.
그런데, 종래의 컨트롤러의 경우, 공기조화기용 컨트롤러가 공기조화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컨트롤러에 공기조화기의 제품 정보를 입력하여야 상기 컨트롤러가 입력된 공기조화기의 제품 정보와 대응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수동으로 공기조화기의 제품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제품 정보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 컨트롤러가 공기조화기의 제품 정보를 잘못 표시하거나 제품 정보를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컨트롤러의 경우, 공기조화기가 교체되는 것과 같이 제품 정보가 달라지는 경우, 사용자가 컨트롤러로 새로운 공기조화기의 제품 정보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컨트롤러의 경우, 공기조화기 제품 별로 구현되는 화면이 개별적으로 설계 및 저장되므로, 제1종류의 공기조화기가 통신 해제된 후에 제2종류의 공기조화기가 통신 연결되는 경우 제1종류의 공기조화기와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 제2종류의 공기조화기와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여야 하므로, 프로그램 생성에 따른 비용 및 화면 표시를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연결되는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는, 공기조화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 및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관리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공기조화장치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출력장치는,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로부터 공기조화장치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품 정보와 대응되는 관리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가 현재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와의 통신이 해제되고,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장치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관리화면에 상기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장치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관리화면은, 통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통신 상태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상태 표시영역은 정상 통신 중 또는 통신 에러 중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관리화면에 제품 표시영역과,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정보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나 종류와 무관하게 상기 관리화면 상에서 상기 다수의 정보 표시 영역과 상기 제품 표시 영역의 레이 아웃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하나 이상은,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나 종류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표시되는 고정 정보와,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나 종류에 따라서 가변되는 가변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출력장치는, 통신 연결되는 공기 조화장치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정보 표시 영역 상에서 고정 정보는 지속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가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거나 추가하거나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정보는,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정보 표시 영역 상에서 표시 위치가 가변된다.
또한, 상기 가변 정보는,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동일 카테고리의 공기조화장치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표시되는 공통 정보와,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나 종류가 다른 공기조화장치 별로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개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별 정보는 공기조화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거나 미표시된다.
또한, 상기 공통 정보는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개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 블럭을 포함하고, 다수의 표시 블럭 각각에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와 대응되는 고정 정보 및 개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장치는, 정보 표시를 위한 단위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단위 변경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변경 화면은, 온도, 압력, 유량 및 용량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의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변경 화면은, 기본 단위를 설정하기 위한 기본 단위 선택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의 단위가 컨트롤러에 설정된 단위와 다른 경우, 수신된 정보의 단위는 설정된 단위로 변환되고, 상기 출력장치는 단위가 변환된 정보를 상기 관리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컨트롤러에 통신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제품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상기 컨트롤러가 공기조화장치의 제품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공기조화장치의 제품 정보를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트롤러에 통신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제품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제품 정보 오입력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의 표시 오류 및 제어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와 공기조화장치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장치가 통신 연결된 경우에도 컨트롤러가 자동으로 상기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장치의 제품 정보를 확인 및 이에 대응하는 관리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카테고리나 종류의 변경과 무관하게 출력장치는 관리화면의 정보 표시 영역의 레이 아웃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표시되는 정보 만을 가변시키므로, 사용자가 공기조화장치의 종류와 상관없이 특정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 예인 칠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와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모듈과 컨트롤러가 통신 연결된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가 일 칠러 모듈과 연결된 상태에서 일 칠러 모듈과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고, 타 칠러 모듈과 통신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장치에서 표시되는 관리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표시 단위를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표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 예인 칠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와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인 칠러 시스템(10)은, 냉동 사이클이 형성되는 칠러 모듈(100)과, 상기 칠러 모듈(10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탑(20) 및 상기 칠러 모듈(100)과 열교환 되는 냉수가 순환하는 냉수 수요처(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 수요처(30)는 냉수를 이용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장치 또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칠러 모듈(100)과 냉각탑(20)의 사이에는, 냉각수 순환유로(4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순환유로(40)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탑(20)과 칠러 모듈(100)의 응축기(120)를 순환하도록 가이드 하는 배관이다.
상기 냉각수 순환유로(40)는, 냉각수가 상기 응축기(120)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냉각수 입수유로(42) 및 상기 응축기(120)에서 가열된 냉각수가 상기 냉각탑(20)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냉각수 출수유로(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입수유로(42) 및 냉각수 출수유로(44)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에는, 냉각수의 유동을 위하여 구동되는 냉각수 펌프(46)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는, 상기 냉각수 입수유로(42)에 상기 냉각수 펌프(46)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냉각수 출수유로(44)에는, 상기 냉각탑(20)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출수 온도센서(47)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입수유로(42)에는, 상기 냉각탑(20)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입수 온도센서(48)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칠러 모듈(100)과 냉수 수요처(30)의 사이에는, 냉수 순환유로(5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수 순환유로(50)는 냉수가 상기 냉수 수요처(30)와 칠러 모듈(100)의 증발기(140)를 순환하도록 가이드 하는 배관이다.
상기 냉수 순환유로(50)는, 냉수가 상기 증발기(140)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냉수 입수유로(52) 및 상기 증발기(140)에서 냉각된 냉수가 상기 냉수 수요처(30)로 유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냉수 출수유로(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 입수유로(52) 및 냉수 출수유로(54)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에는, 냉수의 유동을 위하여 구동되는 냉수 펌프(56)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는, 상기 냉수 입수유로(52)에 상기 냉수 펌프(56)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냉수 수요처(30)는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키는 수냉식 공조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수 수요처(30)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혼합한 후 혼합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켜 실내로 토출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AHU, Air Handling Unit),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 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팬 코일 유닛(FCU, Fan Coil Unit) 및 실내의 바닥에 매설된 바닥 배관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상기 냉수 수요처(30)가 에어 핸들링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세히,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은, 케이싱(61)과, 상기 케이싱(61)의 내부에 설치되며 냉수가 통과하는 냉수 코일(62) 및 상기 냉수 코일(62)의 양측에 제공되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기(63, 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63, 64)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상기 케이싱(61)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 1 송풍기(63) 및 공조공기가 상기 케이싱(6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송풍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61)에는, 실내공기 흡입부(65)와, 실내공기 배출부(66)와, 외기 흡입부(67) 및 공조공기 배출부(68)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기(63, 64)가 구동되면, 실내에서 상기 실내공기 흡입부(65)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실내공기 배출부(66)로 배출되며, 상기 실내공기 배출부(66)로 배출되지 않는 나머지는 상기 외기 흡입부(67)로 흡입된 실외 공기와 혼합되어 냉수 코일(62)과 열교환 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 코일(62)과 열교환 된(냉각된) 혼합 공기는 상기 공조공기 배출부(68)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칠러 모듈(10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와, 상기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응축기(120)와, 상기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장치(미도시) 및 상기 팽창장치(미도시)에서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120)에는 상기 냉각수 순환유로(40)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증발기(140)에는 상기 냉수 순환유로(5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칠러 모듈(100)은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칠러 모듈(100)은 상기 칠러 모듈(100)를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듈 컨트롤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컨트롤러(150)는 상기 칠러 모듈(10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컨트롤러(150)는 상기 칠러 모듈(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컨트롤러(150)는 원격 컨트롤러(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격 컨트롤러(200)는 상기 모듈 컨트롤러(15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컨트롤러(200)는 칠러 모듈(100) 외의 추가적인 공기조화장치(300)와도 통신할 수 있고, 추가적인 공기조화장치(300)를 제어하거나 추가적인 공기조화장치(30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때, 추가적인 공기조화장치(300)는 칠러 모듈이거나, 냉방용 공기조화장치이거나 냉난방이 가능한 히트 펌프이거나 환기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추가적인 공기조화장치(30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공조가 필요한 건물에 따라서 칠러 모듈(100)와 공기조화장치(300)가 함께 설치되거나 이들 중 하나 만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컨트롤러(200)는 공조가 필요한 건물에 설치된 칠러 모듈(100) 및/또는 공기조화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원격 컨트롤러(200)가 모니터링하는 정보나 표시하는 정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모듈 컨트롤러(1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원격 컨트롤러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트롤러(200)"라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0)가 칠러 모듈(100)과 통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210)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210)는,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 또는 빛을 방출하여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210)는 상기 컨트롤러(200)가 연결되는 대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칠러 모듈(10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210)는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입력장치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터치감지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디스플레이하고, 촉각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시각적인 출력은 그래픽,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210)가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장치(220)의 각각의 버튼들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장치(22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통신장치(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230)는 상기 칠러 모듈(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칠러 모듈(100)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230)가 상기 칠러 모듈(100)과 무선 통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230)는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230)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회로는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공지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장치(230)는 블루투스(Bluetooth), 전자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칠러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240)와,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에는 상기 출력장치(210)에서 표시될 화면을 구성하는 레이 아웃 정보와 공기조화장치 별로 표시할 정보 리스트가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모듈과 컨트롤러가 통신 연결된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200)와 상기 칠러 모듈(100)이 통신 연결될 수 있다(S1). 일 예로 상기 컨트롤러(200)와 상기 모듈 컨트롤러(150)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0)와 상기 칠러 모듈(100)이 통신 연결되면, 상기 컨트롤러(200)가 상기 칠러 모듈(100)로 제품 정보를 요청한다(S2).
그러면, 상기 칠러 모듈(100)은 상기 컨트롤러(200)로 자신의 제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 이 때, 제품 정보는 상기 칠러 모듈(100)의 카테고리 정보와, 제품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칠러 모듈(100)의 카테고리는 흡수식 칠러, 터보식 칠러, 스크류식 칠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 종류 정보는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서 작동 방식이나 구조 등에 따라서 구분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보 칠러의 경우 압축기의 개수에 따라서 제품 종류가 구분될 수 있고, 스크류식 칠러의 경우 공랭식 또는 수랭식 등으로 제품 종류가 구분될 수 있으며, 흡수식 칠러의 경우 스팀의 온도나 스팀 발생 여부 등으로 제품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칠러 모듈(100)이 상기 컨트롤러(200)로부터 제품 정보 요청을 받으면, 상기 칠러 모듈(100)은 상기 컨트롤러(200)로 카테고리 정보 및 제품 종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칠러 모듈(100)은 상기 컨트롤러(200)로 제품 종류 정보 만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0)의 출력장치(210)는 상기 칠러 모듈(100)로부터 전송받은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4).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컨트롤러(200)에 통신 연결되는 칠러 모듈(100)에 대한 제품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상기 컨트롤러(200)가 칠러 모듈(100)의 제품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칠러 모듈(100)의 제품 정보를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트롤러(200)에 통신 연결되는 칠러 모듈(100)에 대한 제품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제품 정보 오입력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200)의 제어 오류 또는 출력장치(210)에서의 표시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가 일 칠러 모듈과 연결된 상태에서 일 칠러 모듈과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고, 타 칠러 모듈과 통신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장치(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연결된 제품에 대응하는 관리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1).
이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칠러 모듈(100)과의 통신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컨트롤러(200)와 상기 칠러 모듈(100)과의 통신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는, 일 예로 상기 칠러 모듈(100)이 타 칠러 모듈로 교체되기 위하여 상기 칠러 모듈(100)과 상기 컨트롤러(2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일 수 있다.
단계 S1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칠러 모듈(100)과의 통신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출력장치(210)는 관리화면에 통신 에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13).
상기 관리화면에 통신 에러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200)는 칠러 모듈(100)과 통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단계 S14에서 판단 결과, 상기 칠러 모듈(100)과 통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0)는 통신 연결된 상기 칠러 모듈(100)로 제품 정보를 요청한다(S15).
그러면, 상기 칠러 모듈(100)은 상기 컨트롤러(200)로 자신의 제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6).
그리고, 상기 출력장치(210)는 통신 연결된 제품에 대응하는 관리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7).
이 때, 단계 S11에서 출력장치에서 표시하는 관리화면에 대응하는 제품(칠러 모듈)과 단계 S17에서 출력장치에서 표시하는 관리화면에 대응하는 제품(칠러 모듈)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장치에서 표시되는 관리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는 일 예로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종류의 칠러 모듈에 대응하는 관리화면이 도시되고, 도 7에는 일 예로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종류의 칠러 모듈에 대응하는 관리화면이 도시되고, 도 8에는 일 예로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종류의 칠러 모듈에 대응하는 관리화면이 도시된다.
도 6에는 컨트롤러가 칠러 모듈과 정상적으로 통신하는 중에 통신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의 출력장치에서 표시되는 관리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장치(210)는 통신 연결된 칠러 모듈(100)에 대응하는 관리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관리화면(400)은 상기 칠러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관리화면(400)은 칠러 모듈의 제품 정보와 상태 정보, 통신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관리화면(400)은 메뉴 영역(40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영역(409)에는 다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관리화면(400)은 칠러 모듈(100)의 작동과 관련한 메인 정보를 표시하는 제1정보 표시 영역(4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화면(400)은 칠러 모듈(100)의 사이클과 관련한 정보 또는 밸브와 관련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정보 표시 영역(4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화면(400)은 칠러 모듈(100)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와 관련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3정보 표시 영역(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화면(400)은 센서나 전장 정보 등을 표시하는 제4정보 표시 영역(4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화면(400)은 운전정보 표시영역(441)과, 제품 표시영역(451)과, 통신 상태 표시영역(4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러(200)와 통신 연결된 칠러 모듈의 카테고리나 종류에 관계 없이 상기 관리화면(400)은 상기 다수의 정보 표시 영역을 공통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화면(400) 상에서 다수의 정보 표시 영역에 대한 레이 아웃은 일정할 수 있다.
상기 운전정보 표시영역(441)에서는 칠러 모듈의 운전모드, 일 예로 온 또는 오프 정보나, 관리화면에서 표시되는 값 들의 단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품 표시영역(451)은 통신 연결된 칠러 모듈(100)의 제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품 표시영역(451)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적어도 제품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상태 표시영역(461)은 상기 칠러 모듈(100)과의 통신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200)가 상기 칠러 모듈(100)과 정상 통신 중인 경우 상기 통신 상태 표시영역(461)에는 정상 통신 중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401)에서는 칠러 모듈의 카테고리나 제품 종류와 무관한 고정 정보(402)와, 칠러 모듈의 카테고리나 제품 종류에 따라서 가변되는 가변 정보(403)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정보(402)는 칠러 모듈의 카테고리나 제품 종류가 가변되어도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402)에서 제거되지 않는 정보이다.
반면, 상기 가변 정보(403)는 카테고리나 제품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401)에서 표시되거나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401)에서 미표시되는 정보이다. 즉, 상기 출력장치(210)는, 통신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401) 상에서 고정 정보(402)는 지속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가변 정보(40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거나 추가하거나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401)에서 표시되는 고정 정보(402)와 가변 정보(403)에 대한 설명 내용은 나머지 정보 표시 영역(411, 421, 43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정보 표시 영역(411, 421, 431)에 따라서 고정 정보와 가변 정보가 함께 표시하거나 가변 정보 만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정보 표시 영역(401, 411, 421, 431)은 다수의 정보 들이 각각 구분되어 표시되기 위한 다수의 표시 블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수의 표시 블럭 각각에 고정 정보나 가변 정보 각각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수의 표시 블럭의 개수는 칠러 모듈의 카테고리나 제품 종류와 무관하게 일정 개수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관리 화면에 고정된 개수로 다수의 표시 블럭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칠러 모듈의 카테고리나 종류에 따라 상기 다수의 표시 블럭의 일부에 고정 정보나 가변 정보가 표시되거나 전부에 고정 정보 및 가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정보 표시 영역은 12개의 표시 블럭으로 구분될 수 있고, 12개의 표시 블럭 전부 또는 일부에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12개의 표시 블럭 중에서 9개의 블럭에 정보가 표시된 것이 도시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00)가 통신 에러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신 상태 표시영역(461)에서는 통신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00)가 상기 칠러 모듈(100)과 정상적으로 통신하는 중에 통신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관리화면(400)에서는 통신 상태 표시영역(461)에 표시되는 정보 외의 다른 영역에서는 이전에 표시되던 정보가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관리 화면에서 통신 에러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컨트롤러(200)가 칠러 모듈(100)과 통신 연결되면, 상기 출력장치(210)는 통신 연결된 칠러 모듈(100)에 대응하는 관리화면(400)을 표시한다. 이 때, 상기 관리화면(400)에서 상기 통신 상태 표시영역(461)에서는 정상 정상 통신 중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표시영역(451)에서는 통신 연결된 제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출력장치(210)는 일 예로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종류의 칠러 모듈에 대응하는 관리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도 5의 관리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종류의 칠러 모듈이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관리화면에서 각 정보 표시 영역 내에서 표시되는 정보 만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출력장치(210)는, 칠러 모듈의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한 관리화면의 레이 아웃 내에서 표시되는 정보 만을 가변시킨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401) 내에서 고정 정보(402)와 가변 정보(403)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정보(403)는 동일 카테고리의 칠러 모듈에서 종류에 관계없이 표시되는 정보인 공통 정보(404)와, 동일 카테고리의 칠러 모듈에서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개별 정보(4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정보(404)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며, 일 예로 냉수출구 설정온도, 응축기 현재압력, 증발기 현재압력, 오일탱크 현재압력, 오일펌프 현재압력일 수 있다.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종류의 칠러 모듈인 경우, 개별 정보(405)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냉수 현재유량, 냉각수 현재유량일 수 있다.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종류의 칠러 모듈인 경우, 개별 정보(405)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응축기2 현재압력, 증발기2 현재압력, 오일탱크2 현재압력, 오일펌프2 현재압력일 수 있다.
정리하면, 카테고리가 동일한 칠러 모듈인 경우, 공통 정보(404)는 칠러 모듈의 종류와 무관하게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개별 정보(405)는 칠러 모듈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거나 미표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200)에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종류의 칠러 모듈이 연결된 경우, 상기 출력장치(210)는 상기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종류의 칠러 모듈에 대응하는 관리화면(400)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품정보 표시영역은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종류의 칠러 모듈의 제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칠러 모듈의 카테고리가 가변되어도, 동일한 관리화면의 레이 아웃 내에서 표시되는 정보 만을 가변시킨다.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401)에는 고정 정보(402)와, 가변 정보(403)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도 8에서 표시된 가변 정보(403)와 도 5 또는 도 7에서 표시된 가변 정보(403)의 종류는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정보 표시 영역(401)에서 표시되는 고정 정보(402)는 칠러 모듈의 종류에 따라서 표시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정보(402)가 표시되는 표시 블럭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컨트롤러와 칠러 모듈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다른 종류의 칠러 모듈이 통신 연결된 경우에도 컨트롤러가 자동으로 상기 칠러 모듈의 제품 정보의 확인 및 이에 대응하는 관리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카테고리나 종류의 변경과 무관하게 출력장치는 관리화면의 정보 영역의 레이 아웃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표시되는 정보 만을 가변시키므로, 사용자가 칠러 모듈의 종류와 상관없이 특정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칠러 모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표시 단위를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표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메뉴 영역(409)에서 설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단위 변경을 위한 하위 메뉴가 표시될 수 있고, 단위 변경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도 9와 같이 단위 변경 화면(47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단위 변경 화면(470)은, 온도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온도 단위 선택부(47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단위 선택부(471)를 통하여 섭씨 또는 화씨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변경 화면(470)은 압력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압력 단위 선택부(472)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압력 단위 선택부(472)를 이용하여 kPa, psi, kgf/cm2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변경 화면(470)은 유량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유량 단위 선택부(473)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유량 단위 선택부(473)를 이용하여 m3/h 또는 gal/m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변경 화면(470)은 용량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용량 단위 선택부(474)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용량 단위 선택부(474)를 이용하여 KW 또는 kBtu/h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변경 화면(470)은 기본 단위를 선택하기 위한 기본 단위 선택부(275)와, 선택된 단위를 적용하기 위한 확인 선택부(275)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기본 단위 선택부(275)를 선택하면, 온도는 섭씨, 압력은 kPa, 유량은 m3/h, 용량은 kBtu/h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단위로 상기 관리화면(400)에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하나 이상의 공기조화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통신 과정에서 송수신하는 정보의 단위는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칠러 모듈은 상기 컨트롤러(200)로 압력 단위가 kgf/cm2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히트 펌프는 상기 컨트롤러(200)로 압력 단위가 kPa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컨트롤러(200)에서 압력 단위가 kPa로 설정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히트 펌프에서 수신한 압력 정보를 그대로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칠러 모듈에서 수신한 압력 정보의 경우 단위를 kPa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단위 변환 과정에서 연산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보정을 통하여 단위 별로 동일한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통신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단위의 정보가 상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정보와 다르더라도 상기 컨트롤러가 단위 변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위 변환이 가능한 경우 공기조화장치의 설치 국가에 따라 다른 단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의 종류에 따라 통신방식이 다르더라도 관리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되므로, 프로그램을 복수 개 제작 및 실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칠러 모듈 200: 컨트롤러
210: 출력장치 230: 통신장치

Claims (15)

  1. 공기조화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 및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관리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공기조화장치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출력장치는,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로부터 공기조화장치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품 정보와 대응되는 관리화면을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현재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와의 통신이 해제되고,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장치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관리화면에 상기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장치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화면은, 통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통신 상태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상태 표시영역은 정상 통신 중 또는 통신 에러 중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관리화면에 제품 표시영역과,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정보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나 종류와 무관하게 상기 관리화면 상에서 상기 다수의 정보 표시 영역과 상기 제품 표시 영역의 레이 아웃은 동일한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보 표시 영역 중 하나 이상은,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나 종류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표시되는 고정 정보와,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나 종류에 따라서 가변되는 가변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통신 연결되는 공기 조화장치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정보 표시 영역 상에서 고정 정보는 지속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가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거나 추가하거나 변경시키는 공기조화기용 컨트롤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정보는,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정보 표시 영역 상에서 표시 위치가 가변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정보는,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동일 카테고리의 공기조화장치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표시되는 공통 정보와,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나 종류가 다른 공기조화장치 별로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개별 정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는 공기조화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거나 미표시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정보는 공기조화장치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개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 블럭을 포함하고,
    다수의 표시 블럭 각각에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와 대응되는 고정 정보 및 개별 정보가 표시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정보 표시를 위한 단위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단위 변경 화면을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변경 화면은, 온도, 압력, 유량 및 용량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의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를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변경 화면은, 기본 단위를 설정하기 위한 기본 단위 선택부를 더 표시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15.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된 공기조화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의 단위가 컨트롤러에 설정된 단위와 다른 경우, 수신된 정보의 단위는 설정된 단위로 변환되고
    상기 출력장치는 단위가 변환된 정보를 상기 관리화면에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KR1020140135771A 2014-10-08 2014-10-08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KR20160041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71A KR20160041561A (ko) 2014-10-08 2014-10-08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CN201510212075.0A CN106196518A (zh) 2014-10-08 2015-04-29 空气调节装置用控制器
EP15166383.8A EP3007018B1 (en) 2014-10-08 2015-05-05 Controller for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4/736,795 US20160102883A1 (en) 2014-10-08 2015-06-11 Controller for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71A KR20160041561A (ko) 2014-10-08 2014-10-08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561A true KR20160041561A (ko) 2016-04-18

Family

ID=5352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71A KR20160041561A (ko) 2014-10-08 2014-10-08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02883A1 (ko)
EP (1) EP3007018B1 (ko)
KR (1) KR20160041561A (ko)
CN (1) CN1061965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1979B (zh) * 2017-01-22 2019-07-1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处理设备的控制装置、方法及系统
EP3805882B1 (de) * 2019-10-10 2022-06-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system für eine technische anlage mit trendkurvendiagramm
CN115247870B (zh) * 2022-05-31 2023-09-08 浙江中广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节能运转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607U (ja) * 1994-05-25 1994-11-22 東洋熱工業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0550556B1 (ko) * 2003-11-11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4561890B2 (ja) * 2008-07-01 2010-10-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群管理装置および群管理システム
US20100083110A1 (en) * 2008-09-30 2010-04-01 Scott Steven J Human-machine interface having multiple touch display navigation capabilities
US8694164B2 (en) * 2008-10-27 2014-04-08 Lennox Industries, Inc. Interactive user guidance interface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4667496B2 (ja) * 2008-11-17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20100245259A1 (en) * 2009-03-25 2010-09-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mall screen display with a data filtering and sorting user interface
KR20120020964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칠러 및 그 데이터 표시방법
KR101972038B1 (ko) * 2012-10-10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482139B1 (ko) * 2012-11-12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17084B1 (ko) 2012-11-12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7018B1 (en) 2022-09-14
EP3007018A1 (en) 2016-04-13
CN106196518A (zh) 2016-12-07
US20160102883A1 (en)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4806B2 (en) Controller for a chill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hiller
US940012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96434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US20130151016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er interface having a one-touch away featur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972039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60041561A (ko)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US11913661B2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170082765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101972040B1 (ko)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6662357B (zh) 空调系统
KR102010389B1 (ko) 제어장치
JP2015124948A (ja) 空調機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ー
JP2018021754A (ja) 冷熱装置の管理装置
KR101852824B1 (ko)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206363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20220146131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40132187A (ko) 제어장치
KR101698243B1 (ko) 칠러 시스템 및 칠러 세트
KR20150039023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WO2016051471A1 (ja) 冷熱装置の管理装置
CN116678091A (zh) 一种集控器、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20130104605A (ko) 공기 조화장치
KR20060069713A (ko) 멀티 에어컨의 실내기 운전 제어 장치
JP2005003267A (ja) 機器管理システム、稼働状態表示装置および機器稼働状態の確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