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634B1 -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634B1
KR102063634B1 KR1020180052241A KR20180052241A KR102063634B1 KR 102063634 B1 KR102063634 B1 KR 102063634B1 KR 1020180052241 A KR1020180052241 A KR 1020180052241A KR 20180052241 A KR20180052241 A KR 20180052241A KR 102063634 B1 KR102063634 B1 KR 102063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ler
units
outdoor
communic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278A (ko
Inventor
전한배
이학래
박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2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63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각 하나 이상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그룹, 제어기, 및,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소정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실외기들을 스캔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가 탐색된 실외기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실외기들 중 하나 이상의 실외기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선택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가 포함되는 그룹의 사용 통신 채널을 제어기에 대응하여 설정된 사용 통신 채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닛 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더욱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 유닛들은, 건물단위 또는 소그룹 단위로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 유닛이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기는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가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기로 실내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486호)은, 공기조화기 운전상태 데이터를 유선통신으로 노트북 등 장비와 연결하여 전달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편리하게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486호)은, 실외기 및, 실외기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단말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실외기 및 실내기의 운전상태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구조들에서는 실내기가 제어기가 직접 통신하지 못하고 실외기를 반드시 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내기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도, 실외기를 거치는 단계적 통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늦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486호)은,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은 여전히 유선 통신으로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무선으로 유닛 간에 통신하는 시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실내기. 실외기, 제어기 등 각 유닛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 등 다른 기기와도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기기들은, 사용자와 기기의 위치에 제약받지 않고, 기기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들을 그룹으로 설정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그룹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무선 통신으로 유닛들을 선택하여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이 쉽지 않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가 무선으로 다른 유닛들과 통신할 때, 기설정된 유닛 및 그룹들의 무선 통신 채널과 제어기의 무선 통신 채널을 효율적으로 설정하고 대응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의 통신 채널을 편리하고 빠르게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닛들의 통신 채널을 편리하고 빠르게 설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기가 모니터링할 그룹들의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동시에 변경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기를 추가 설치할 때 통신 채널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각 유닛들이 상호간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각 하나 이상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그룹, 제어기, 및,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소정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실외기들을 스캔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가 탐색된 실외기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실외기들 중 하나 이상의 실외기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선택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가 포함되는 그룹의 사용 통신 채널을 제어기에 대응하여 설정된 사용 통신 채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유닛들의 통신 채널을 편리하고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어기가 모니터링할 그룹들의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어기를 추가 설치할 때 통신 채널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각 유닛들이 상호간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통신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규모에 따라 칠러, 공조유닛, 냉각탑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 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건물 내, 이동장치, 보안장치, 경보장치 등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원격에서 유닛들의 동작 상태 등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도 4의 120 참조)을 포함하여, 다른 유닛들과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다른 유닛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제어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50), 유/무선 리모컨(미도시), 이동 단말기(도 2의 200 참조)일 수 있다.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실내기(20)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각각 실내기(20)에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내기(20)로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 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2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설정정보를 연결되는 리모컨(미도시)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을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리모컨(미도시)은 실내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방식에 따라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일방향 통신을 수행하거나, 실내기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복수의 실외기가 연결되는 경우, 각 실외기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분배기를 통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기,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 팬,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공기조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어기를 통해 외부의 서비스센터, 관리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에 접속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공기조화기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에 접속하여 제2의 제어기로써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은 상호간에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고,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은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 등과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자유롭게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실내기(20), 복수의 실외기(10), 제어기(50)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냉매배관(P1, P2, P3)으로 각각 연결되고,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복수의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기(2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와 통신할 뿐 아니라, 제어기(5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1 실외기(10)는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고, 제2 실외기(12)는 제4 내지 제6 실내기(23 내지 26)와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며, 제3 실외기(13)는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와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상 각 실외기에 3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예일뿐 도시된, 실내기의 수 또는 실내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제1 실외기(11)가 동작함에 따라 제1 실외기(10)로부터 제1 내지 제3 실내기로 냉매가 공급되고, 제2 실외기(12)의 동작에 의해 제4 내지 제6 실내기(23 내지 26)로 제2 냉매배관(P2)을 통해 냉매가 공급되며, 제3 실외기(13)로부터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로 제3 냉매배관(P3)을 통해 냉매가 공급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를 기준으로 그룹이 설정될 수 있고, 각 그룹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바탕으로 열교환을 수행하여 냉, 온의 공기를 토출하므로,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실외기는 하나의 그룹(group)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외기(11)는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1 그룹을 형성하고, 제2 실외기(12)는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는 제4 내지 제6 실내기(24 내지 26)와 제2 그룹을 형성하며, 제3 실외기(13)는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되는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와 제3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와 제어기 또한, 설치 위치에 따라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매배관에 의한 연결상태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운전하여 실외기의 냉매공급에 따른 실내기의 온도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동일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들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기가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다른 통신 채널이 설정된 그룹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즉, 각 그룹 별로, 다른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함으로써, 간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50)는 그룹에 관계없이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어기(50)는 복수의 그룹과 동일한 하나의 통신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제어기(50)는 복수의 실내기(20)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실외기와 통신하여 실외기를 제어하고 실외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한다.
제어기(5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호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의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제어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5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특정 제어기(50)는, 복수의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중앙 제어기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가 하나 구비되는 경우와 하나의 제어기(50)가 중앙 제어기로 동작할 수 있다. 중앙 제어기는 적어도 복수의 그룹을 제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내 모든 유닛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 및 복수의 유닛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제어기와 각 유닛에는 통신을 위한 주소가 저장된다. 각 주소는 실외기와, 제어기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를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실내기에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를 중심으로 그룹이 설정되더라도 모든 실외기 및 모든 실내기와 통신한다. 그에 따라 제어기는 그룹단위의 통신을 위한 주소 이외에 중앙제어용 주소를 복수의 유닛에 할당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기는 별도의 주소 할당 없이, 실외기와 실내기에 할당된 주소를 중앙제어용 주소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각 유닛은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의 전자 기기(유닛)와 시스템 내 전자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된 스마트 폰(200a), 노트북 PC(200b), 태블릿 PC(200c)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통신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도 3의 (a)는 유선통신을 이용한 유닛 간의 통신을 도시한 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유닛 간의 통신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3의 (a)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통신선으로 복수의 유닛이 연결된다. 복수의 유닛은 통신선의 연결에 한계가 있으므로 상호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의 연결 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실내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통신선으로 연결되고, 실외기는 제어기와 연결된다. 복수의 실외기가 구비되는 경우, 냉매배관의 연결상태를 기준으로 복수의 실내기가 실외기로 연결된다. 복수의 실외기는 제어기와 연결된다.
실내기를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는 실외기 데이터와 수신된 실내기 데이터를 제어기로 전송한다. 제어기는 실외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기가 실내기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제어기는 해당 실내기가 연결된 실외기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실외기는 수신된 제어명령을 해당 실내기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유선 통신의 경우, 복수의 유닛의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통신선의 연결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의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데이터 전송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외기는 실외기 데이터가 아닌 다른 유닛의 데이터를 처리해야하므로, 그에 따른 부하가 증가한다. 또한, 하나의 실외기에서 복수의 실내기의 데이터를 처리해야하므로, 연결된 실내기의 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를 통하여 유닛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경우에도, 실내기의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제어기(50) 등을 경유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각 유닛과 자유롭게 통신하지 못하고, 특정 유닛으로부터는 해당 정보만 수신하거나, 전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위의 제어기(50)와 통신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이동 단말기(200)는 상호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기(50) 및/또는 이동 단말기(200)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로 각각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실외기(10)와 실내기(20)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유닛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의 유동을 고려하여 실외기와 실내기간에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통신채널 이외에도, 제어기, 실외기, 실내기를 포함하는 통신채널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기(50) 및/또는 이동 단말기(200)는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기(2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상태(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실내기(20)의 운전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운전설정 변경에 따른 데이터를 실내기로 직접 전송한다. 이때, 실내기는 운전설정이 변경되면 해당 데이터를 실외기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실외기 또한 운전을 변경하게 된다.
제어기(50)는 실내기(20)가 지정된 시간에 설정된 운전을 수행하도록 스케줄이 설정된 경우, 실내기 및 실내기와 연결된 실외기로 각각 운전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실내기는 그에 대한 응답을 제어기(50)로 전송하고, 소정시간 간격으로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실내기(20)는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운전을 설정하고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실외기(10)는 수신되는 실내기의 데이터와, 복수의 실내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부하를 산출하여 압축기를 제어한다.
실외기(10)와 실내기(20)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제어기(5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고장 또는 이상 발생 시 주기에 관계없이 제어기(50)로 고장 또는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의 유닛(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기 유닛, 실외기 유닛, 제어기, 무선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100)은, 구동부(140), 센싱부(170), 출력부(160), 입력부(150), 저장부(130), 및,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 유닛(100)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구성으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는 풍향조절수단으로 베인 등이 구비되고, 실내기 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함에 따라 실내기 팬 구동부, 밸브제어부, 풍향제어부 등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닛(100)은 무선 통신 모듈(120)을 구비하거나 무선 통신 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에 내장되거나, 또는 유닛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도, 복수의 전자 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pattern)이 형성된 PCB 안테나일 수 있다. PCB 안테나는, 다른 방식보다 설계 자유도가 높고, 그라운드 소스(Groud source)량을 조절하여 방사패턴이 일정한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20)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에 따라 무선 신호를 변조, 복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변조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방식으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고 다중 경로(multi path) 손실에도 강인한 장점이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고속의 송신 신호를 수백개 이상의 직교(Orthogonal)하는 협대역 부 반송파(Subcarrier)로 변조시켜 다중화하는 방식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변조 및 다중화를 같이 수행하는 전송 기법으로, 단일 입력의 고속의 원천 데이터 열을, 다중의 반송파에 분할하여 실어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다중 반송파 변조 기술이며, 다중의 채널로 동시에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다중화 기술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고속 전송률을 가지는 데이터 열(data stream)을 낮은 전송률을 가지는 많은 수의 데이터 열로 나누고, 이들을 다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반송파 사이에 직교성(orthogonality)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송파의 주파수 성분은 상호 중첩되어도 수신단에서의 검출이 가능하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산란 반사파에 취약한 고속 데이터를 반사파에 강한 저속 데이터들로 병렬 전송하는 구조로, 각각의 부 반송파들을 선택적 스케쥴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이 상호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닛은, 적어도 2이상의 층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는 건물 옥상에 배치되고, 실내기는 건물 내부의 임의의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내기들도 여러 층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유닛은 단일 층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층에 각각 설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건물 내에는 층간 구조물, 벽, 가구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므로, 건물 내의 장애물을 통과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120)은, 주파수는 Sub 1GHz 주파수 중 통신속도가 기존 유선 통신(9.6kbps)보다 빠르고, 장거리(Open space 1km) 통신이 가능한 주파수인 700Mhz 내지 900Mhz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120)은, 층간 통신 및 안테나 길이를 고려하여, 900Mhz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종래의, 유선 통신의 경우, 복수의 유닛의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의 연결상태에 따라 복수의 유닛이 계층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의 데이터가 제어기 또는 원격제어장치로 직접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데이터 전송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외기의 처리 부하가 증가하고, 연결된 실내기의 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모듈(120)은, 방사 패턴 관리가 용이하고, 게인(gain) 확보에 유리한 PCB 안테나를 포함하고, 다채널에서 채널 간 간섭이 적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 2.4Ghz, 5Ghz 대역은 약 30m 이내의 실내 단거리용으로, 두꺼운 벽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얇은 벽이라도 신호 세기가 급격히 저하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유선 통신 속도 약 9.6 Kbps 대비, 약 150 Kbps 로서 15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층간 장애물이 존재해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선 및 통신선을 연결하는 작업 과정을 제거할 수 있어, 설치비 및 설치 시간이 줄어, 전체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한편, 실외기(10)는 압축기, 실외기 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외기의 구동부는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 팬 구동부, 밸브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유닛의 종류에 따라 센싱부(17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 및 그 수, 설치 위치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다른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 또는 그룹설정에 대한 통신데이터, 외부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유닛의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입력부(15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터에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실외기에는 전원키, 시운전키, 주소 설정키가 구비될 수 있고, 실내기에는 전원키, 메뉴입력키, 운전설정키, 온도조절키, 풍량키, 잠금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는 유닛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유닛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7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70)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습도센서, 유량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는 복수로 구비되어, 실내온도, 실외온도, 실내열교환기온도, 실외열교환기온도,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의 입출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뿐 아니라, 수관에도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대상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의 경우,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 팬, 및 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압축기구동부, 실외기 팬구동부, 밸브제어부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 팬, 밸브 등에 각각에 구비되는 모터로 동작전원을 인가하여 모터가 동작함에 따라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다른 유닛들을 스캔(scan)할 수 있다(S520).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각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그룹 및 제어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도 2의 200)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다른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및 이동 단말기(200)는,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층간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및 이동 단말기(200)가 구비하는 무선 통신 모듈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따라 변조된 무신 신호를,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pattern)이 형성된 PCB 타입 안테나를 통하여,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그룹 1 내지 그룹 4까지 4개의 그룹이 설정된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룹 1과 그룹 2에 포함되는 실외기와 실내기들은 채널 1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그룹 3에 포함되는 실외기와 실내기들은 채널 2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그룹 4에 포함되는 실외기와 실내기들은 채널 3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유선 환경의 실내외기 그룹들을 전체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하여 유선 중앙제어기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무선 환경으로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 다른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유닛들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 유닛들과 제어기는 사용 통신 채널이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제어기가 추가 설치된다면 기존의 실내외기들의 사용 통신 채널을 일일이 변경하거나 모든 사용 통신 채널을 확인한 후에 특정 유닛 및/또는 제어기의 사용 통신 채널을 설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통신 채널 설정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중앙제어기는 모든 그룹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야하므로 전체 장치들이 동일 채널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체 실내외기를 모니터링,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기 설치시 설치 비용과 설치 시간이 더욱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그룹을 제어하는 제어기의 경우에도, 사용 통신 채널을 확인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유닛들의 개수가 많으므로, 비용과 소요 시간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외기 무선 통신 적용하면서 제어기에도 무선 통신을 적용하여 위치에 제약 없이 설치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면서,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사용 통신 채널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 유닛들은 스캔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소정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다른 유닛들을 스캔할 수 있다(S520). 또는, 사용자가 특정 유닛에 인접한 위치 또는 임의의 위치에서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다른 유닛들을 스캔할 수 있다(S520). 작업 중에 특정 유닛을 찾고자 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휴대하고 사용중인 이동 단말기(200)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운 유닛을 더 빠르게 찾을 수 있다.
특히, 제어기(50)를 위한 일괄 채널 설정/변경 과정에서는, 소정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실외기들을 스캔할 수 있다(S52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캔(S520)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스캔(scan) 범위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수신된 스캔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기들을 스캔할 수 있다(S520).
여기서, 스캔(scan) 범위 설정 입력은 스캔 범위를 지정하는 입력으로, 최초 설정 이후에는, 설정 변경이 없다면, 가장 최근에 설정된 스캔 범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캔 목표 유닛 개수(N) 설정 입력은, 상기 스캔 대상 유닛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를 지정하여, 실내기 등은 스캔 결과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는, 제어기(50)를 위한 일괄 채널 설정/변경 과정에서는 실외기만을 대상으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캔(S420)은, 제어기(50) 및/또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캔(S420)은,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수신된 스캔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실외기들(10)이 상기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캔(S420)은, 상기 제어기(50)가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수신된 스캔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50)가 상기 수신된 스캔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실외기들(10)이 상기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제어기(50)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제어기(50)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스캔(S420)으로 탐색된 실외기들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된 실외기들 중 제어기(50)가 모니터링(monitoring)하길 원하는 실외기를 선택할 수 있다(S530).
상기 표시된 실외기들 중 하나 이상의 실외기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S530),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가 포함되는 그룹의 사용 통신 채널을 상기 제어기(50)에 대응하여 설정된 사용 통신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S540).
즉, 사용자가 제어기(50)로 모니터링(monitoring) 및 제어하길 원하는 실외기를 선택하면(S530), 선택된 실외기가 포함되는 그룹의 실내외기 유닛들의 사용 통신 채널을 상기 제어기(50)의 사용 통신 채널과 동일하게 일괄 변경할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들이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의 사용 통신 채널들을 상기 제어기(50)가 사용하는 하나의 사용 통신 채널로 일괄 변경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기(50)가 전체 그룹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제어기인 경우에, 사용자는 그룹 1 내지 그룹 4의 전체 실외기를 선택할 것이고, 그룹 1 내지 그룹 4의 전체 실외기와 실내기들의 사용 통신 채널이 제어기(50)와 동일한 채널 4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50)는, 그룹 1 내지 그룹 4에 포함되는 유닛들과 무선 통신 가능하며, 전체 유닛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이 적용된 공가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제어기 특히, 중앙제어기 설치 시, 실내외기 채널을 수동 설정 없이 자동으로 동시에 변경하여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사용 통신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S540)는,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들의 사용 통신 채널들을 상기 제어기가 사용하는 하나의 사용 통신 채널로 일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사용 통신 채널이 변경된 실외기가 상기 변경된 사용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소정 횟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수신한 실내기들이 상기 사용 통신 채널로 채널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제어기(50)의 사용 통신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 통신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의 사용 통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10)는, 결정된 사용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2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된 사용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는 결정된 사용 통신 채널로 통신 채널을 설정하라는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외기(10)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상기 결정된 사용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소정 횟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고, 실내기들(20)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10) 및 복수의 실내기(20)는, 상기 결정된 사용 통신 채널로 통신 채널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일괄 변경을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횟수를 최소화하여, 채널 설정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하여 공기조화기 시스템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가, 스캔으로 탐색된 실외기들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상기 제어기(50)에 대응하여 설정된 사용 통신 채널 정보 항목, 상기 탐색된 실외기들에 대응하는 항목, 상기 탐색된 실외기들의 사용 통신 채널 정보 항목을 포함하는 스캔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캔 결과 화면은 상기 탐색된 실외기들에 대응하는 위치 확인 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탐색된 실외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위치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위치 확인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로 소정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특정 유닛의 위치 확인을 빠르게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채널 설정 및/또는 스캔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스캔 범위 설정 항목(810), 제어기 항목(820), 선택 완료 항목(8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범위 설정 항목(810)은, 유닛 스캔을 위한 스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끝 지점(810a)은 스캔 범위를 반경 10M 이내의 좁은 범위로 지정하고, 우측 끝 지점(810c)은 스캔 범위를 반경 500M 이내의 넓은 범위를 지정하며, 중앙 지점(810b)은 스캔 범위를 반경 100M 이내의 중간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스캔 범위 설정 항목(810)을 통하여 설정된 스캔 범위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스캔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끝 지점(810a)은 신호 세기 0에 대응하고, 우측 끝 지점(810c)은 신호 세기 10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예시된 '0'과 '10' 수치는 상대적인 값으로, 각각 무선 통신 모듈(120)이 출력하는 신호의 최소값과 최대값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범위가 중앙 지점(810b)으로 설정되어 신호 세기가 '5'로 설정된다면, 무선 통신 모듈(120)이 스캔 시 사용하도록 설정된 최대 신호 세기의 50% 수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것이다.
제어기 항목(820)은 제어기(50)가 사용중인 통신 채널 정보(8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 항목(820)은 제어기(50)의 기기 정보, 맥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기 항목(820)은 특정 그룹이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그룹 정보는 그룹 식별 정보, 사용중인 통신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완료 항목(840)은 제어기(50)가 모니터링할 그룹의 실외기 선택을 완료시킬 수 있는 항목으로, 사용자가 터치 입력으로 선택한 실외기들을 최종 선택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 항목들(831, 832, 833, 834)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항목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입력된 스캔 범위에 따라서 스캔을 수행하거나 소정 유닛으로부터 스캔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스캔이 완료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스캔 결과 항목(8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캔 결과 항목(830)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캔 결과 화면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스캔 결과 화면은 응답 신호가 수신된 실외기들에 대응하는 항목들(831, 832, 833, 834)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세기가 클수록 이동 단말기(200)에 가까운 곳에 유닛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목들(831, 832, 833, 834)은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큰 순서부터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각 항목들(831, 832, 833, 834)은, 각 실외기의 사용 통신 채널 정보(831a, 832a, 833a, 834a),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채널 설정하고자 하는 그룹의 실외기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한편, 각 항목들(831, 832, 833, 834)은, 각 유닛의 명칭 정보, 맥 어드레스 또는 기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닛의 명칭 정보를 보고 더욱 빠르게 자신이 원하는 유닛을 찾을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스캔 결과 화면에 포함되는 항목들(831, 832, 833, 834)은, 위치 확인 메뉴 항목(831b, 832b, 833b, 83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항목들(831, 832, 833, 834)은, 신호 세기 항목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호 세기 항목들을 확인하여, 해당 유닛이 송신한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스캔 결과 화면을 보고, 항목들(831, 832, 833, 834)에 대응하는 위치 확인 메뉴 항목(831b, 832b, 833b, 83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찾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사용자는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1 항목(831)에 대응하는 위치 확인 메뉴 항목(831a)을 선택하여, 해당 유닛을 찾을 수 있다.
위치 확인 메뉴 항목(831a)이 선택되면,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제1 항목(831)에 대응하는 유닛으로 찾기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항목(831)에 대응하는 유닛은 피드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가 유선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는 유선 통신선을 보고 직관적으로 그룹을 설정하거나 현재의 그룹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는 특정 실내기를 원하는 실외기가 아닌 다른 실외기로 그룹 설정을 잘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특정 유닛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룹을 설정하는 것이 설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 중에 특정 유닛을 찾고자 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휴대하고 사용중인 이동 단말기(200)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운 유닛을 더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특정 유닛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선택 완료 항목(840)을 선택하여, 선택된 실외기가 포함되는 그룹의 실내외기들의 사용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일괄 변경하여 사용중인 통신 채널 정보(821)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에서 예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2 항목(832)과 제3 항목(833)을 선택한 후에, 선택 완료 항목(840)을 누르면, 제2 항목(832)과 제3 항목(833)에 대응하는 그룹 2와 그룹 3의 실외기가 선택된다.
이동 단말기(200)는 선택된 제2 항목(832)과 제3 항목(833)에 대응하는 그룹 2와 그룹 3의 실외기로 제어기(50)의 사용 통신 채널 정보(821)를 전송할 수 있다.
그룹 2와 그룹 3의 실외기는 수신된 사용 통신 채널 정보(821)에 따라 사용 통신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2 항목(832)과 제3 항목(833)의 사용 통신 채널 정보(832a, 833a)가 사용 통신 채널 정보(821)와 동일하게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룹 2와 그룹 3의 실외기는, 각각 그룹 2와 그룹 3에 포함되는 실내기들이 사용 통신 채널 정보(821)에 대응하여 사용 통신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신호를 그룹 2와 그룹 3에 포함되는 실내기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룹 2와 그룹 3에 포함되는 실내기들도 제어기(50)와 동일한 사용 통신 채널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그룹 2, 그룹 3의 실외기와 실내기들의 사용 통신 채널이 제어기(50)와 동일한 채널 4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50)는, 그룹 2, 그룹 3에 포함되는 유닛들과 무선 통신 가능하며, 그룹 2, 그룹 3에 포함되는 유닛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외기들을 스캔하고, 스캔으로 탐색된 실외기 그룹들 중 제어기가 모니터링 및 제어하고자 하는 실외기 그룹 모두 선택한다. 선택한 그룹의 채널을 제어기의 채널로 모두 일괄 변경함으로써, 간편하게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중앙제어기가 모든 채널의 통신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는 실내외기를 스캔(Scan)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중앙제어기에서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실내외기 그룹을 선택하여 선택한 그룹에 속하는 모든 장치들의 채널을 동일하게 자동으로 일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제어기를 선에 제약 없이 무선으로 설치가능 하다.
또한, 각 유닛들의 채널 및 그룹을 개별로 재설정 할 필요 없이 일괄로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유닛들의 통신 채널을 편리하고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어기가 모니터링할 그룹들의 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어기를 추가 설치할 때 통신 채널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각 유닛들이 상호간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유닛), 원격제어장치,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유닛), 원격제어장치,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실외기
20: 실내기
50: 제어기
100: 전자 기기(유닛)
200: 이동 단말기

Claims (10)

  1. 각각 하나 이상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그룹, 제어기, 및,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상기 실외기,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는,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를 통한 상기 복수개의 그룹 중 적어도 일부 그룹 내 유닛들의 모니터링에 사용될 통신 채널을 일괄 설정하기 위해, 소정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들 중에서 실외기들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탐색된 실외기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실외기들 중 하나 이상의 실외기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가 포함되는 그룹에서 각 유닛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사용 통신 채널을 상기 제어기에 대응하여 설정된 사용 통신 채널로 일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스캔(scan) 범위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스캔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기들을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스캔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실외기들이 상기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된 스캔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수신된 스캔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실외기들이 상기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통신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들이 포함되는 그룹의 사용 통신 채널들을 상기 제어기가 사용하는 하나의 사용 통신 채널로 일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통신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들의 사용 통신 채널들을 상기 제어기가 사용하는 하나의 사용 통신 채널로 일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사용 통신 채널이 변경된 실외기가 상기 변경된 사용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소정 횟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수신한 실내기들이 상기 사용 통신 채널로 채널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가 구비하는 무선 통신 모듈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따라 변조된 무신 신호를,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pattern)이 형성된 PCB 타입 안테나를 통하여,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탐색된 실외기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기에 대응하여 설정된 사용 통신 채널 정보 항목, 상기 탐색된 실외기들에 대응하는 항목, 상기 탐색된 실외기들의 사용 통신 채널 정보 항목을 포함하는 스캔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결과 화면은 상기 탐색된 실외기들에 대응하는 위치 확인 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탐색된 실외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위치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위치 확인 입력이 수신된 실외기로 소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80052241A 2018-05-08 2018-05-08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63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241A KR102063634B1 (ko) 2018-05-08 2018-05-08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241A KR102063634B1 (ko) 2018-05-08 2018-05-08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278A KR20190128278A (ko) 2019-11-18
KR102063634B1 true KR102063634B1 (ko) 2020-01-08

Family

ID=6872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241A KR102063634B1 (ko) 2018-05-08 2018-05-08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6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04B1 (ko) * 2010-03-29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검출 장치,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데이터 검출 방법
KR102526085B1 (ko) * 2016-08-29 2023-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보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278A (ko) 201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04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0989430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US1085202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US10551084B2 (en) Air conditioner
EP3505843B1 (en) Air conditioner system
US1076081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6363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135082B1 (ko)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56170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2021028567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2000070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16927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15754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275561B1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11200B1 (ko) 공기조화기
KR10197204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0069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4306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3948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43065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007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46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25058A (ko) 공기조화기
KR20190061859A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