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05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058A
KR20200125058A KR1020190048756A KR20190048756A KR20200125058A KR 20200125058 A KR20200125058 A KR 20200125058A KR 1020190048756 A KR1020190048756 A KR 1020190048756A KR 20190048756 A KR20190048756 A KR 20190048756A KR 20200125058 A KR20200125058 A KR 20200125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door
node
indoor unit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5058A/ko
Publication of KR2020012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각이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호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 각각은,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에 설치되면 자동으로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네트워크 연결되고, 이후에 오토 어드레싱(Auto Addressing)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네트워크 연결된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실내기에 실외기의 주소를 입력하는 것 없이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통해 실내를 냉난방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실내를 난방하는 경우에는,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열교환기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응축기로 기능하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열교환기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반대로, 실내를 냉방하는 경우에는, 실내열교환기는 증발기로 기능하고, 실외열교환기는 응축기로 기능한다.
나아가, 공기조화기에 급탕탱크를 설치하여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급탕탱크를 통과하는 물과 열교환됨으로써, 실내에 온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빌딩 등과 같이 다수의 실내 공간으로 구획된 건물에 공기조화기를 설치할 시,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에 연결된 복수 개의 실내기를 공기조화가 필요한 실내 공간에 설치하며, 이 경우 복수 개의 실내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구축은 유선통신방식에 의하는 것보다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하는 것이 장소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고,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이 개별적으로 실외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설치자가 직접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에 실외기의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한 후에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을 완료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의 실외기와의 통신 거리가 상이함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실외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장거리 통신용 외장형 안테나를 복수 개의 실내기 모두에 설치하는 낭비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사용자가 직접 실내기에 실외기의 주소를 입력하는 것 없이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공기조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실외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통신 안테나의 성능을 실내기 별로 최적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각이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호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 각각은,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에 설치되면 자동으로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네트워크 연결되고, 이후에 오토 어드레싱(Auto Addressing)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네트워크 연결된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된다.
상기 실내기는,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는, 상기 실외기와 직접 연결되는 리더 실내기; 및 상기 리더 실내기를 매개로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는 팔로워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는 실외 무선통신모듈; 상기 리더 실내기에 설치되는 리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팔로워 실내기에 설치되는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더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실외기와의 통신 거리를 제1 거리값 이상으로 확보하는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리더 실내기와의 통신 거리를 상기 제1 거리값보다 작은 제2 거리값 이상으로 확보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외기 및 리더 실내기 각각에 상기 실외 무선통신모듈 및 리더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면 상기 실외기 및 리더 실내기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 및 리더 실내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전제로, 상기 팔로워 실내기에 상기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면 상기 리더 실내기를 매개로 상기 실외기 및 팔로워 실내기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외기는, 마스터노드로 설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는, 슬레이브노드로 설정되고, 상기 마스터노드 및 슬레이브노드는, 상기 실외기, 리더 실내기 및 팔로워 실내기 각각에 상기 실외 무선통신모듈, 리더 무선통신모듈 및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될 시, 상호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노드 및 슬레이브노드 중에, 하위의 차일드노드는 상위의 페어런트노드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하고, 상기 차일드노드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을 받은 페어런트노드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시, 상기 연결 요청에 대응해 네트워크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차일드노드로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을 하여 상기 차일드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은,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에의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설치 및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의 입력에 대응해, 각각이 순차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유닛 중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된 유닛(이하, 그룹핑 완료 유닛)에 포함되는 실외기는, 상기 복수 개의 유닛 중 상기 그룹핑 완료 유닛을 제외한 유닛(이하, 그룹핑 예정 유닛)에 포함되는 실내기의 연결 요청을 무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무선통신모듈이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에 설치되면 자동으로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네트워크 연결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실내기에 실외기의 주소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둘째, 단거리 통신용 내장형 안테나를 설치된 실내기는, 실외기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장거리 통신용 외장형 안테나가 설치된 실내기를 통해 실외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으므로, 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상대적으로 값비싼 장거리 통신용 외장형 안테나를 실내기 모두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실내기 및 제어기 간의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계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의 제어 계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선통신을 위해 유닛에 저장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선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실내기 및 제어기 간의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계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의 제어 계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통해 실내를 냉난방시키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와, 실내기(20)와, 제어기(50)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공기조화기는 제가습 장치, 환기 장치, 급탕탱크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외기(10) 및 실내기(20)에 구비되는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실외기(10)는 어큐뮬레이터, 압축기, 절환밸브, 실외열교환기, 실외팬,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고, 실내기(20)는 실내열교환기 및 실내팬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압축기에 기상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압축할 수 있고, 압축기용 전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로서, 고정 스크롤과 회전 스크롤의 상대적인 위상차에 의하여 냉매가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압축기는 실린더 및 피스톤을 이용한 왕복동 압축기일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절환밸브를 거쳐 상기 실내열교환기 및 실외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냉방 모드일 시,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는 실외공기로 열 에너지를 전달하며 응축될 수 있다. 난방 모드일 시,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는 실외공기로부터 열 에너지를 전달받아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실외팬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제공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외팬은 실외팬용 전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냉방 모드일 시,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는 실내공기로부터 열 에너지를 전달받아 증발될 수 있다. 난방 모드일 시,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는 실내공기로 열 에너지를 전달하며 응축될 수 있다.
상기 실내팬은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제공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내팬은 실내팬용 전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 개도가 조절될 수 있고, 냉매를 저온, 저압의 상태로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는 전자 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일 수 있다.
상기 절환밸브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실내열교환기 및 실외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절환밸브는 4 개의 유로를 절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일 예로써 사방밸브일 수 있다.
실외기(10) 및 실내기(20)는 냉매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실외기(10)에 복수 개의 실내기(20)가 연결되는 경우 분배기를 통해 각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각각의 특성 및 부하(즉, 냉방 또는 난방 부하)에 따라 냉매의 유량을 개별, 분산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고효율의 가변 냉매 순환(VRF; Variable Refrigerant Flow) 시스템이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실외기(10) 및 실내기(20)에는 상기한 구성 외에도 각종 센서(온도, 습도, 압력 등을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실외기(10) 및 실내기(20)는 각각에 설치된 통신부를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입력되는 기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해 실외기(10) 및 실내기(2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실외기(10) 및 실내기(20)의 동작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 및 저장하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실내기(20)에 연결되어 실내기(20)의 운전 설정, 잠금 설정, 스케쥴 제어, 그룹 제어, 전력 사용에 대한 피크 제어, 디멘드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실외기(10)에 연결되어 실외기(10)를 제어하고, 실외기(10)의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상기한 제어기(50)의 명령에 대응해, 운전 모드 또는 실내기(20) 기타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는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공기조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어기(50)를 통해 외부의 서비스센터, 관리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에 접속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공기조화기에 접속하여 제2의 제어기로써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빌딩 등과 같이 다수의 실내 공간으로 구획된 건물에 설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와, 복수 개의 실내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가 제1 실외기(11), 제2 실외기(12) 및 제3 실외기(13)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는 예시적일 뿐 실외기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실외기(11)가 제1 실내기(21), 제2 실내기(22) 및 제3 실내기(23)와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고, 제2 실외기(12)가 제4 실내기(24), 제5 실내기(25) 및 제6 실내기(26)와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고, 제3 실외기(13)가 제7 실내기(27), 제8 실내기(28) 및 제9 실내기(29)와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는 예시적일 뿐 각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내기의 개수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그룹이 설정될 수 있고, 각 그룹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1 실외기(11)는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및 제3 실내기(21, 22, 23)와 함께 제1 그룹으로 설정되고, 제2 실외기(12)는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는 제4, 제5 및 제6 실내기(24, 25, 26)와 함께 제2 그룹으로 설정되고, 제3 실외기(13)는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되는 제7, 제8 및 제9 실내기(27, 28, 29)와 함께 제3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는 상기한 그룹에 관계없이 실외기(10) 및 실내기(2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50)가 복수 개인 경우, 상호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의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제어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실외기(10), 실내기(20) 및 제어기(50) 간의 유선통신을 설명하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실내기(20)가 실외기(10)에 통신선으로 연결되고, 실외기(10)가 제어기(50)에 통신선으로 연결됨에 따라, 실내기(20)가 실외기(1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10)는 실외기 데이터 및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된 실내기 데이터를 제어기(50)로 전송하고, 제어기(50)는 실외기(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기(2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가 실내기(20)에 제어 명령을 발령할 시, 제어기(50)는 실외기(10)로 해당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실외기(10)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실내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선통신을 이용한 통신의 경우 실외기(10), 실내기(20) 및 제어기(50)가 상호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의 연결 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실내기(20)의 데이터가 제어기(50)로 직접 전송되지 못해 데이터 전송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되고, 실외기(10)는 실외기 데이터 뿐만 아니라 수신된 실내기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부하가 증가하거나 데이터 전송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실외기(10), 실내기(20) 및 제어기(50) 간의 무선통신을 설명하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는 실외기(10) 및 실내기(20) 각각과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여 실외기(10) 및 실내기(20) 각각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무선통신을 이용한 통신의 경우 실외기(10), 실내기(20) 및 제어기(50)가 상호 일대일로 연결되어 상기한 유선통신방식에서 야기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 구축은 유선통신방식에 의하는 것보다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하는 것이 장소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고, 복수 개의 실내기(20) 각각이 개별적으로 실외기(10) 및/또는 제어기(50)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므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 실내기(20) 및 제어기(50) 상호 간에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상호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외기(10) 및 실내기(20)는 유닛(100)으로 통칭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100)은 구동부(140), 감지부(170), 통신부(200), 출력부(160), 입력부(150), 데이터부(130), 연결부(12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닛(100)은 통신부(200)와 연결될 수 있고, 통신부(200)는 유닛(100)에 내장되거나, 유닛(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실외기(10)의 구동부 및 실내기(20)의 구동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실외기(10)의 구동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부, 상기 실외기팬의 구동부, 상기 팽창밸브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실내기(20)의 구동부는 상기 실내기팬의 구동부, 풍향 조절부재(예를 들어, 루버 또는 베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7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 및 개수, 설치 위치 등은 유닛(10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감지부(170)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습도센서, 유량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부(130)에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다른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 또는 그룹 설정에 대한 통신 데이터, 외부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 데이터, 유닛(100)의 기능별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부(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다.
입력부(15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실외기(10)에는 전원키, 시운전키가 구비될 수 있고, 실내기(20)에는 전원키, 메뉴입력키, 운전설정키, 온도조절키, 풍량키, 잠금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점등 또는 점멸 제어되는 램프,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유닛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 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동작 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유닛(100)의 제어를 위한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유닛(100)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 상태를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제어부(1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다른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제어기(50), 실외기(10) 및 실내기(20) 간에 지정된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50) 및 출력부(16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데이터부(13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며, 통신부(20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연결부(120)를 통한 통신부(200)의 연결상태 및 통신상태를 감지하고, 에러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다른 유닛으로부터의 요청 또는 설정된 운전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140)로 인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구동부(140)는 연결되는 구성, 예를 들어 상기 압축기, 실외기팬, 밸브, 실내기팬, 풍향 조절부재 등이 각각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유닛(100)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감지부(170)의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해 동작 상태 및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통신부(200)는 연결부(120)를 통해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유닛(100)에 통신부(200)가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통신부(200)는 연결부(120)를 통해 유닛(1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출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유닛(100)으로 인가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건물 내 벽면, 바닥면, 장애물 등에도 통신 가능하도록 서브기가(Sub-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서브기가 대역의 주파수는 투과 및 회전 특성이 우수하여 벽체나 층간 장애물에 대한 감쇠영향이 작다.
통신부(200)는 서브기가대역 중, 소출력 무선국용으로 활용가능한 비면허 대역인 400MHz대역과 900MHz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통신부(200)는 지역 또는 나라에 따라 상이한 규정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400MHz와 900M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0)는 근거리 통신방식인 지그비, 블루투스, NFC 등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실외기(10) 및 실내기(20)와의 통신, 리모컨과의 통신, 제어기(50)와의 통신 시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통신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대상에 따라,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실내기(20)와의 통신, 제어기(50)와의 통신에 있어서 상이한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전파법 규정에 따르면, 400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용 특정소출력무선국용 무선설비를 위해, 424.7MHz 내지 424.95MHz 의 21개 채널, 447.8625MHz 내지 447.9875MHz 11개 채널, 그리고, RFID/USN 등의 무선설비를 위한 917 내지 923.5MHz 32개 채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국가별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살펴보면, 북미,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FCC Part 15.247)이고, 유럽은 433MHz, 915MHz, 863 내지 868MHz(ETSIEN300220), 일본 920 내지 928MHz(ARIB STD-T108), 중국은 920MHz, 한국은 424 내지 447MHz, 917 내지 923.5MHz(KC), 인도는 865 내지 867MHz(G.S.R 564(E))이고, 호주는 433, 915MHZ, 남아프리카는 433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북미 및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이고, 유럽은 863 내지 868MHz, 일본은 920 내지 928MHz, 한국은 917 내지 923.5MHz, 인도는 865 내지 867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을 이용하는 경우 전송속도 50kbps 이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00)는, 안테나(290), 신호제어부(240), 메모리(230), 표시부(260), 유닛연결부(220) 및 통신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에는 층간 벽, 가구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므로, 건물 내의 장애물을 통과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통신부(200)는 400MHz대역 또는 9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안테나(290)는 서브기가 대역의, 400MHz대역 또는 900MHz 대역 중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안테나(290)는 그 형태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90)의 길이는 전송 주파수의 λ/2 또는 λ/4이므로, 전송 주파수가 447MHz인 경우, 파장이 0.67m이므로, λ/2를 연산하면, 안테나(290)의 길이는 0.34m, λ/4의 경우 0.17m가 된다.
서브기가 대역 중, ISM대역(100MHz, 200MHz, 400MHz, 900MHz)의 경우 건물내 투과 특성이 우수하여 층간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송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안테나(290)의 길이가 결정되므로, 100MHz, 200MHz 대역의 경우 안테나가 길어지므로 설치에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통신부(200)는 층간 통신 및 안테나 길이를 고려하여, 앞서 개시된 주파수 대역 중, 400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안테나(290)는 신호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공기중으로 송출하고, 공기중의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제어부(240)로 인가한다.
신호제어부(240)는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대상 또는 사용하는 통신방식에 따라 변환한다.
또한, 신호제어부(240)는 안테나를 통한 신호의 송출 및 수신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신호제어부(240)는 안테나(290)의 임피던스가 설정값을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신호제어부(240)는 안테나(290)를 통해 송출 및 수신할 신호의 주파수대역에 맞춰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통신부(200)는 400 또는 900 MHz 대역의 서브기가대역을 사용하므로, 신호제어부(240)는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임피던스매칭을 수행한다.
유닛연결부(220)는 유닛(100)의 연결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부(200)와 유닛을 상호 연결한다. 유닛연결부(220)는 유닛(100)에 구비되는 연결부(120)에 결합되는 연결단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닛연결부 및 연결부는 통신부가 유닛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와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그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유닛연결부(220)는 유닛(100)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통신제어부(210)로 인가하고, 통신부(200)의 신호를 유닛(100)의 연결부(120)로 인가하여 제어부(110)로 전달되도록 한다.
통신제어부(210)는 통신설정에 따라 신호제어부(240)를 제어하여 유닛의 데이터가 설정된 출력으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닛으로 인가한다. 또한, 통신제어부(210)는 사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지정된 형태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통신제어부(210)는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260)를 통해 출력하고,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 그에 따른 경고가 표시부(2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통신제어부(210)는 통신 이상에 대하여 유닛연결부(220)를 통해 유닛(100)으로 전송한다.
통신제어부(210)는 유닛(100)과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유닛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다른 유닛으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응답을 생성하여 전송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유닛(100)으로 데이터를 요청한다.
통신제어부(210)는 유닛 간의 통신에 있어서 통신채널이 설정되는 경우 지정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한다.
통신제어부(210)는 유닛(100)에 요청에 따라 특정 대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유닛의 주소를 확인하여 지정된 유닛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데이터를 변화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또한, 통신제어부(210)는 수신되는 데이터가 연결된 유닛의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다른 유닛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유닛으로 전달하여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한다. 통신제어부(210)는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전, 유닛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표시부(260)는 통신부(200)의 동작상태, 네트워크 연결상태, 데이터의 송수신상태를 출력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 네트워크 구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각이 실외기(10) 및 실내기(20)를 포함하고, 상호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유닛 각각은, 실외기(10) 및 실내기(20) 각각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0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실내기(20)는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10)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실내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실내기(20)는 실외기(10)와 직접 연결되는 리더 실내기(D)와, 리더 실내기(D)를 매개로 실외기(10)와 연결되는 팔로워 실내기(N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외기(11)를 기준으로 제1 실내기(21)가 리더 실내기(D)가 되고, 제2 및 제3 실내기(22, 23)가 팔로워 실내기(ND)가 될 수 있다. 제2 실외기(12)를 기준으로 제4 실내기(24)가 리더 실내기(D)가 되고, 제5 및 제6 실내기(25, 26)가 팔로워 실내기(ND)가 될 수 있다. 제3 실외기(13)를 기준으로 제7 실내기(27)가 리더 실내기(D)가 되고, 제8 및 제9 실내기(28, 29)가 팔로워 실내기(ND)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통신부(200)는, 실외기(10)에 설치되는 실외 무선통신모듈과, 리더 실내기(D)에 설치되는 리더 무선통신모듈과, 팔로워 실내기(ND)에 설치되는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통신부(200)가 실외기(10) 및 실내기(20) 각각에 설치되면 자동으로 실외기(10) 및 실내기(20)가 네트워크 연결되고, 이후에 후술하는 오토 어드레싱(Auto Addressing)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네트워크 연결된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실내기에 실외기의 주소를 입력하는 것 없이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고, 주소 입력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갖출 필요가 없고, 사람이 직접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주소를 입력하는 것에 비해 정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외기(11)와, 리더 실내기(D)인 제1 실내기(21) 각각에 상기 실외 무선통신모듈 및 리더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면, 제1 실외기(11)와, 리더 실내기(D)인 제1 실내기(21)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실외기(11)와, 리더 실내기(D)인 제1 실내기(21)의 네트워크 연결을 전제로, 팔로워 실내기(ND)인 제2 및 제3 실내기(22, 23)에 상기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면 리더 실내기(D)인 제1 실내기(21)를 매개로 제1 실외기(11)와, 팔로워 실내기(ND)인 제2 및 제3 실내기(22, 23)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실외기(10) 및 실내기(20)에 통신부(200)가 설치될 시, 자동으로 네트워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실외기(10)는 마스터노드(Master Node)로 설정되고, 복수 개의 실내기(20)는 슬레이브노드(Slave Node)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외기(11)가 마스터노드이고, 제1, 제2 및 제3 실내기(21, 22, 23)가 제1, 제2 및 제3 슬레이브노드일 수 있다. 또한, 제2 실외기(12)가 마스터노드이고, 제4, 제5 및 제6 실내기(24, 25, 26)가 제4, 제5 및 제6 슬레이브노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노드 및 슬레이브노드는, 실외기(10), 리더 실내기(D) 및 팔로워 실내기(ND) 각각에 상기 실외 무선통신모듈, 리더 무선통신모듈 및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될 시, 상호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노드 및 슬레이브노드 중에, 하위의 차일드노드(Child Node)는 상위의 페어런트노드(Parent Node)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노드는 최상위의 페어런트노드이고, 예를 들어 제1 실내기(21)인 상기 제1 슬레이브노드는 제1 실외기(11)인 마스터노드를 페어런트노드로 하고, 제2 실내기(22)인 상기 제2 슬레이브노드를 차일드노드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내기(22)인 상기 제2 슬레이브노드는 제1 실내기(21)인 상기 제1 슬레이브노드를 페어런트노드로 하고, 제3 실내기(23)인 상기 제3 슬레이브노도를 차일드노드로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노드 및 슬레이브노드 중에, 상기 차일드노드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을 받은 페어런트노드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시, 상기 연결 요청에 대응해 네트워크 테이블을 업데이트(Network Table Update)하고 상기 차일드노드로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을 하여 상기 차일드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즉, 실외기(10) 및 실내기(20) 각각에 통신부(200)가 설치될 시, 차일드노드가 페어런트노드로 연결 요청을 하고, 페어런트노드는 상기 연결 요청에 대응해 연결 응답을 함으로써, 상호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일드노드의 연결 요청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페어런트노드의 상기 연결 요청한 차일드노드에 대한 연결 응답은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차일드노드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을 받은 페어런트노드가 상기 마스터노드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미완료된 경우에 만족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은, 상기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토 어드레싱(Auto Addressing) 명령이 입력되면 완료되는 것으로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이 미입력된 경우에 만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슬레이브노드인 제1 실내기(21)는 페어런트노드인 제1 실외기(11)에 상기 연결 요청을 하고, 상기 마스터노드인 제1 실외기(11)에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이 미입력되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시, 제1 실외기(11)는 차일드노드인 제1 실내기(21)에 상기 연결 응답을 함으로써 제1 실외기(11)와 제1 실내기(21) 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터노드에 상기 오토 어드레싱(Auto Addressing)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되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불만족될 시, 마스터노드를 페어런트노드로 하여 차일노드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이를 무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은, 그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고,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을 완료하는 명령으로서 사용자가 각 실외기에 별도로 구비되는 오토 어드레싱 버튼을 누름으로써 발령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스케쥴 등에 따라 발령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닛(100) 중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된 유닛(이하, 그룹핑 완료 유닛)에 포함되는 실외기는, 상기 복수 개의 유닛(100) 중 상기 그룹핑 완료 유닛을 제외한 유닛(이하, 그룹핑 예정 유닛)에 포함되는 실내기의 연결 요청을 무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룹핑 완료 유닛에 포함되는 제1 실외기(11)는, 상기 그룹핑 예정 유닛에 포함되는 제4 실내기(24)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이를 무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차일드노드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을 받은 페어런트노드가 상기 슬레이브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이하, 중계노드)인 경우, 상기 중계노드가 상기 마스터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된 경우에 만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슬레이브노드 중 마스터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슬레이브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슬레이브노드는 그것의 페어런트노드를 통해 마스터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슬레이브노드인 제2 실내기(22)는 페어런트노드인 제1 실내기(21)에 상기 연결 요청을 하고, 상기 슬레이브노드인 제1 실내기(21)가 상기 마스터노드인 제1 실외기(11)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시, 제1 실내기(21)는 차일드노드인 제2 실내기(22)에 상기 연결 응답함으로써 상기 중계노드인 제1 실내기(21)를 통해 제1 실외기(11)와 제2 실내기(22)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슬레이브노드인 제3 실내기(23)는 페어런트노드인 제2 실내기(22)에 상기 연결 요청을 하고, 상기 슬레이브노드인 제2 실내기(22)가 상기 마스터노드인 제1 실외기(11)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시, 제2 실내기(22)는 차일드노드인 제3 실내기(23)에 상기 연결 응답함으로써 상기 중계노드인 제1 및 제2 실내기(21, 22)를 통해 제1 실외기(11)와 제3 실내기(23)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계노드가 상기 마스터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되지 않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불만족될 시, 상기 중계노드에 대한 하위의 차일드노드는, 상기 중계노드가 상기 마스터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실외기(10), 리더 실내기(D) 및 팔로워 실내기(ND) 상호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연결 지연이 발생되더라도, 하위의 실내기가 반복적으로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실외기 및 복수 개의 실내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안정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구축 과정의 일 예를 도 7을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외기(11)는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된 그룹의 마스터노드이다.
제2 실외기(12)는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이 미입력되었고, 제4, 제5 및 제6 실내기(24, 25, 26)를 슬레이브노드로 하는 마스터노드이다.
제4 실내기(24)는 제2 실외기(12)를 페어런트노드로 하고 제5 실내기(25)를 차일드노드로 하는 리더 실내기(D)이고, 제5 실내기(25)는 제4 실내기(24)를 페어런트노드로 하고 제6 실내기(26)를 차일드노드로 하는 팔로워 실내기(ND)이고, 제6 실내기(26)는 제5 실내기(25)를 페어런트노드로 하는 팔로워 실내기(ND)이다.
제2 실외기(12)를 기준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제2 실외기(12), 제4, 제5 및 제6 실내기(24, 25, 26) 각각에 통신부(200)가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제2 실외기(12)에서는 유휴 채널을 검색한 후, 대역폭이 충분한 채널을 자동 선택하는 단계(S10)가 실행될 수 있고, 제4, 제5 및 제6 실내기(24, 25, 26) 각각에서는 채널별 Association 난수를 송신하는 단계(S21, S31, S41)가 실행될 수 있다.
먼저, 제2 실외기(12) 및 리더 실내기(D)인 제4 실내기(24)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명하면, 제4 실내기(24)로부터의 상기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S22)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통신 거리 내에 있는 실외기로 송신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실외기(11)는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된 마스터노드로서, 제4 실내기(24)로부터 수신된 상기 연결 요청을 무시(S23)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외기(12)는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미완료된 마스터노드로서, 제4 실내기(24)로부터 수신된 상기 연결 요청에 대응해 네트워크 테이블을 업데이트(S24)하고, 해당 차일드노드인 제4 실내기(24)로 상기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S25)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함으로써, 제2 실외기(12)와 리더 실내기(D)인 제4 실내기(24)가 상호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외기(12) 및 팔로워 실내기(ND)인 제5 실내기(25)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명하면, 제5 실내기(25)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S32)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리더 실내기(D)인 제4 실내기(24)로 송신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제2 실외기(12)와 제4 실내기(24) 간의 네트워크 연결 전에, 제4 실내기(24)가 제5 실내기(25)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S32)을 수신받은 경우에는 제4 실내기(24)는 제2 실외기(12)와 제5 실내기(25)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할 수 없으므로, 상기 연결 요청을 무시(S33)할 수 있다.
S33 단계 이후, 제5 실내기(25)는 재연결을 위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재전송(S34) 위한 작업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4 실내기(24)에 다시 상기 연결 요청(S35)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실외기(12)와 제4 실내기(24) 간의 네트워크 연결 후에, 제4 실내기(24)가 제5 실내기(25)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S35)을 수신받은 경우에는, 제5 실내기(25)로부터 수신된 상기 연결 요청에 대응해 네트워크 테이블을 업데이트(S36)하고, 해당 차일드노드인 제5 실내기(25)로 상기 연결 응답(S37)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함으로써, 제4 실내기(24)를 통해 제2 실외기(12)와 팔로워 실내기(ND)인 제5 실내기(25)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외기(12) 및 팔로워 실내기(ND)인 제6 실내기(26)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명하면, 제6 실내기(26)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S42)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팔로워 실내기(ND)인 제5 실내기(25)로 송신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제2 실외기(12)와 제5 실내기(25) 간의 네트워크 연결 전에, 제5 실내기(25)가 제6 실내기(26)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S42)을 수신받은 경우에는 제5 실내기(25)는 제2 실외기(12)와 제6 실내기(26)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할 수 없으므로, 상기 연결 요청을 무시(S43)할 수 있다.
S43 단계 이후, 제6 실내기(26)는 재연결을 위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재전송(S44) 위한 작업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5 실내기(25)에 다시 상기 연결 요청(S45)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제2 실외기(12)와 제5 실내기(25) 간의 네트워크 연결 전에, 제5 실내기(25)가 제6 실내기(26)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S45)을 수신받은 경우에는 제5 실내기(25)는 제2 실외기(12)와 제6 실내기(26)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할 수 없으므로, 상기 연결 요청을 무시(S46)할 수 있다.
S46 단계 이후, 제6 실내기(26)는 재연결을 위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재전송(S47) 위한 작업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5 실내기(25)에 다시 상기 연결 요청(S48)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실외기(12)와 제5 실내기(25) 간의 네트워크 연결 후에, 제5 실내기(25)가 제6 실내기(26)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S48)을 수신받은 경우에는, 제6 실내기(26)로부터 수신된 상기 연결 요청에 대응해 네트워크 테이블을 업데이트(S49)하고, 해당 차일드노드인 제6 실내기(26)로 상기 연결 응답(S50)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함으로써, 제4 및 제5 실내기(24, 25)를 통해 제2 실외기(12)와 팔로워 실내기(ND)인 제6 실내기(26)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제2 실외기(12)에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이 입력되면, 제2 실외기(12)를 기준으로 하는 제4, 제5 및 제6 실내기(24, 25, 26) 상호 간의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유닛(100)은, 각각에 포함되는 실외기(10) 및 실내기(20) 각각에의 통신부(200)의 설치 및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의 입력에 대응해, 각각이 순차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외기(10) 및 리더 실내기(D) 각각에 상기 실외 무선통신모듈 및 리더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면 실외기(10) 및 리더 실내기(D)가 네트워크 연결되고, 실외기(10) 및 리더 실내기(D)의 네트워크 연결을 전제로, 팔로워 실내기(ND)에 상기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면 리더 실내기(D)를 매개로 실외기(10) 및 팔로워 실내기(ND)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설치자가 직접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에 실외기의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한 후에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을 완료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연결 구축의 방식에서, 상기 리더 무선통신모듈은, 실외기(10)와의 통신 거리를 제1 거리값 이상으로 확보하는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실외기(10)와 리더 실내기(D) 간의 장거리 통신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써, 실외기(10)가 건물 옥상에 설치되고, 리더 실내기(D)가 건물 저층에 설치될 시, 양 자간의 통신을 위해 장거리 통신용 외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은, 리더 실내기(D)와의 통신 거리를 상기 제1 거리값보다 작은 제2 거리값 이상으로 확보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리더 실내기(D)와 팔로워 실내기(ND) 간의 단거리 통신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써, 동일 그룹에 속하는 복수 개의 실내기가 건물의 같은 층, 방 또는 복도에 설치될 시, 양 자간의 통신을 위해 단거리 통신용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일 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외기(11) 및 리더 실내기(D)인 제1 실내기(21)에는 외장형 안테나(291)가 설치되고, 팔로워 실내기(ND)인 제2 및 제3 실내기(22, 23)에는 내장형 안테나(292)가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실외기(12) 및 리더 실내기(D)인 제4 실내기(24)에는 외장형 안테나(291)가 설치되고, 팔로워 실내기(ND)인 제5 및 제6 실내기(25, 26)에는 내장형 안테나(29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 및 리더 실내기(D)에는 장거리 통신용 외장형 안테나를 설치하되, 팔로워 실내기(ND)에는 단거리 통신용 내장형 안테나를 설치하더라도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순차적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망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값비싼 외장형 안테나의 사용을 줄여 네트워크 구축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실제 이격 거리를 고려해, 구별없이 실내기 모두에 외장형 안테나 또는 내장형 안테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구축된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선통신을 위해 유닛에 저장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선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은, 서브기가(Sub-Ghz)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한다.
주파수대역이 낮을수록 사용가능한 대역폭이 작고, 주파수대역이 높을수록 대역폭은 증가한다. 서브기가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주파수대역이 낮아 대역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2.4G ZigBee(250Kbps) 같은 라우팅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신호지연이 발생하게 되고, 라우팅테이블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므로, 각 노드에서 신호를 처리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 노드에 저장되는 라우팅정보를 특정 노드에 한정하여 사용한다.
유닛은 각각 하나의 노드로써 동작하고,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노드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실외기(201)가 마스터노드이고, 나머지 유닛(202 내지 214)은 슬레이브노드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내기(202 내지 214) 또는 제어기(215)도, 마스터노드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실내기의 경우 실외기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실외기 또는 제어기가 마스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노드는 모든 노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테이블을 저장하고, 슬레이브노드는 페어런트노드와 차일드노드에 대한 정보만을 라우팅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복수의 노드는 라우팅테이블을 교환하는 경우, 페어런트노드의 정보만을 교환한다. 이에 따라 차일드노드는 페어런트노드와 차일드노드에 대한 라우팅만을 수행함으로써 트래픽을 감소시킨다.
제1 실외기(201)가 마스터노드로 설정되고, 제1 내지 제13 실내기(202 내지 214)는 제1 내지 제13 노드로써, 슬레이브노드로 설정된다. 제어기(215)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설정될 수 있다. 마스터노드는 항상 최상위 노드가 된다.
각 노드에는 주소가 설정된다.
마스터노드인 제1 실외기(201)는 00 00 00(251)의 주소가 설정되고, 제 4 실내기는 00 00 03(252)으로 주소가 설정된다. 제어기(215)는 FF FF FF(253)의 주소가 설정될 수 있다.
슬레이브노드인 실내기의 주소는, 연결되는 실외기의 주소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실외기(201)의 주소가 00 00 00이므로, 실내기는 00 00 01 내지 00 00 13이 설정된다. 한편, 제2 실외기의 주소가 00 01 00인 경우, 제2 실외기와 연결되는 실내기는 00 01 01 내지 00 01 13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는 하나의 실내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실내영역에 분산되어 설치되고, 또한, 하나의 층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층에 각각 설치된다. 그에 따라, 각 실내기가 중간노드로써 다른 유닛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서브기가대역의 주파수 신호의 도달거리를 벗어나는 곳에 위치한 노드는 다른 노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
슬레이브노드는 페어런트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차일드노드로 전송하고, 차일드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모두 페어런트노드로 전송한다. 단, 데이터의 수신대상이 자신인 경우에는 응답을 생성하여 페어런트노드로 전송한다.
마스터노드인 제1 실외기(201)와, 제3 실내기(207)가 통신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실내기(207)의 페어런트노드는 제2 실내기(206)이고, 제2 실내기(206)의 페어런트노드는 제1 실내기(202)이다. 제1 실내기(202)의 페어런트노드는 마스터노드인 제1 실외기(201)이고, 제2 실내기(206)가 차일드노드이다. 제2 실내기의 차일드노드는 제 3 실내기(207)이다.
마스터노드인 제1 실외기(201)에서 제3 실내기(207)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제1 실외기(201)는 저장된 라우팅테이블을 바탕으로 제3 실내기(207)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1 실외기(201)는 네트워크 테이블의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제1 실내기(202)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1 실내기(202)는 페어런트노드인 제1 실외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신의 데이터인지 확인하고, 차일드노드인 제2 실내기(206)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2 실내기(206)는 수신되는 데이터가 자신의 데이터인지 확인하고, 차일드노드인 제3 실내기(207)로 전송한다.
제3 실내기(207)는 자신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운전 설정 또는 동작을 변경한다. 제3 실내기(307)는 응답데이터를 생성하고, 페어런트노드인 제2 실내기(206)으로 전송한다.
제2 실내기(206)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페어런트노드인 제1 실내기(202)로 전송하고, 제1 실내기(202)는 페어런트노드인 제1 실외기(201)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각 노드는 차일드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페어런트노드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마스터노드인 제 1 실외기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드를 라우팅테이블을 포함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노드인 제1 실외기(201)에는 모든 노드에 대한 라우팅테이블(255)이 저장된다. 라우팅테이블(255)에는 하위의 슬레이브노드에 대한 전체 주소(263)가 포함된다.
도 9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노드는 페어런트노드와 차일드노드의 주소가 포함된 라우팅테이블을 저장한다.
제1 실내기(202)는 페어런트노드인 제1 실외기의 주소(258)와, 차일드노드인 제2 실내기의 주소(259)를 저장하고 제2 실내기(206)는 페어런트노드인 제1 실내기의 주소(261)와 차일드노드인 제3 실내기의 주소(262)를 저장한다.
공기조화기는, 건물 내에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Sub-GHz 대역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라우팅 알고리즘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ZigBee 방식 라우팅 알고리즘을 Sub-GHz에 접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거리 벡터 알고리즘, 링크 스테이트 알고리즘, 그리고 복합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서브기가 대역에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라우팅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인접 기기 탐색을 위한 거리 벡터(Distance Vector)알고리즘의 경우, 메모리 사용 적고, 라우팅을 통한 전송 성공율이 높고, 패스로스(Path loss) 시 다른 탐색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통신 트래픽이 높고, 대역폭이 부족한 경우 데이터 송수신이 제약이 발생한다.
주소체계 기반의 Rink State 알고리즘은, 최적경로를 통한 빠른 응답이 가능하고, 대역폭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송 성공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메모리 사용율이 높고, 패스로스 시 다른 패스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알고리즘을 결합한 복합방식의 경우, 메모리 사용율이 보통이고, 패스로스 시 다른 패스 탐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송 성공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한편, 라우팅방식 중, 지그비(ZigBee) 라우팅방식의 경우, 다음과 같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라우팅에 따른 메모리 사용량이 적다는 점이 장점이고, 각 노드는 신호가 도달하는 주변의 노드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경로를 찾기 위해 트래픽 응답 시 데이터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노드가 제3 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코디네이터노드는 대상인 제3 노드와의 연결을 확인하고, 없는 경우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제1 노드로 전송한다. 제1 노드는 제3 노드와 직접연결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노드의 주소를 라우팅필드에 포함하여 제2 노드로 브로트캐스트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2 노드 또한, 제3 노드가 직접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 노드의 주소를 라우팅필드에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3 노드로 전송한다.
이때, 제2 노드는 제3 노드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니캐스트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3 노드는 수신된 데이터의 라우팅필드, 즉 제2 노드에 대한 라우팅필드를 확인하여 제2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한 것을 확인한다. 제3 노드는 응답데이터를 유니캐스트방식으로 제2 노드로 전송한다. 제2 노드는 라우팅테이블을 확인하여 제1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1 노드는 라우팅필드를 확인하여 코디네이터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라우팅방식 중, 지그비(ZigBee) 라우팅방식의 경우, 라우팅에 따른 메모리 사용량이 적다는 점이 장점이고, 각 노드는 신호가 도달하는 주변의 노드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경로를 찾기 위해 트래픽 응답 시 데이터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Z웨이브라우팅의 경우,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노드에서 제4 노드로 데이터는 전송하는 경우, 제1 노드는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테이블에서 RSSI를 비교하여 제4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최적의 경로를 산출한다.
제1 노드는 유니캐스트방식으로 제2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노드는 저장된 네트워크 테이블에서 RSSI신호를 비교하여 최적의 경로를 생성한다. 제3 노드와 동일하게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RSSI비교를 통해 최적의 경로를 판단하여 유니캐스트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4 노드는 네트워크 테이블에서 RSSI를 비교하여 제1 노드로의 최적의 경로를 산출하여 데이터를 제3 노드로, 유니캐스트방식으로 전송한다.
제3 노드는 RSSI비교를 통해 제2 노드로 유니캐스트로 전송하고 제2 노드는 다시 RSSI비교를 통해 유니캐스트방식으로 제1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Z웨이브라우팅의 경우, 특별히 네트워크 관리하는 존재가 없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RSSI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 경로를 도출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노드들이 연결될 때 마다 노드들이 전체 네트워크의 라우팅테이블을 업데이트 및 저장하므로 메모리 사용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서브기가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지그비방식과 Z웨이브방식을 결합한 라우팅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노드는 코디네이터노드(241)로써 동작한다.
코디네이터노드인 마스터노드(241)에서 제3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다음과 같다.
코디네이터노드는 전송 대상인 제3 노드의 연결을 확인하고(S61), 브로드캐스트방식으로 데이터를 제1 노드(242)로 전송한다(S62).
제1 노드는 대상노드와의 연결을 확인하고(S63), 브로드캐스트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에 따라 제2 노드는 대상노드와의 연결을 확인하고(S65), 제3 노드가 차일드노드이므로 유니캐스트방식으로 제3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3 노드는 자신의 데이터인 것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생성하여(S67) 상위의 페어런트노드로 전송한다(S68).
제2 노드는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위노드로 응답데이터를 생성하고(S69)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페어런트노드인 제1 노드로 전송한다(S70).
제1 노드는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위로 응답데이터를 생성하고(S71), 페어런트노드인 제1 실외기로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한다(S72).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라우팅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각 노드가 라우팅테이블을 전부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페어런트노드와 차일드노드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하고, 코디네이터인 마스터노드만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메모리 사용양이 적고 네트워크의 연결 형태가 결정되므로, 중간에 계속 탐색할 필요성이 없어 네트워크 대역폭사용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노드에 문제가 생긴 경우 새로운 경로를 탐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해당 데이터는 포기하고 에러가 발생한 노드를 재구동하여 다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범위내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실외기 20: 실내기
50: 제어기 100: 유닛
110: 제어부 200: 통신부
210: 통신제어부 290: 안테나
D: 리더 실내기 ND: 팔로워 실내기

Claims (14)

  1. 각각이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호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 각각은,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에 설치되면 자동으로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네트워크 연결되고, 이후에 오토 어드레싱(Auto Addressing)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네트워크 연결된 실외기 및 실내기 간의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는,
    상기 실외기와 직접 연결되는 리더 실내기; 및
    상기 리더 실내기를 매개로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는 팔로워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는 실외 무선통신모듈;
    상기 리더 실내기에 설치되는 리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팔로워 실내기에 설치되는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실외기와의 통신 거리를 제1 거리값 이상으로 확보하는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리더 실내기와의 통신 거리를 상기 제1 거리값보다 작은 제2 거리값 이상으로 확보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및 리더 실내기 각각에 상기 실외 무선통신모듈 및 리더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면 상기 실외기 및 리더 실내기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 및 리더 실내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전제로, 상기 팔로워 실내기에 상기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면 상기 리더 실내기를 매개로 상기 실외기 및 팔로워 실내기가 네트워크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마스터노드로 설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는, 슬레이브노드로 설정되고,
    상기 마스터노드 및 슬레이브노드는,
    상기 실외기, 리더 실내기 및 팔로워 실내기 각각에 상기 실외 무선통신모듈, 리더 무선통신모듈 및 팔로워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될 시, 상호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노드 및 슬레이브노드 중에,
    하위의 차일드노드는 상위의 페어런트노드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노드 및 슬레이브노드 중에,
    상기 차일드노드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을 받은 페어런트노드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시, 상기 연결 요청에 대응해 네트워크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차일드노드로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을 하여 상기 차일드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이 불만족될 시, 상기 연결 요청을 무시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노드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연결 요청을 하고,
    상기 페어런트노드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연결 응답을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차일드노드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을 받은 페어런트노드가 상기 마스터노드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미완료된 경우에 만족되는 공기조화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차일드노드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을 받은 페어런트노드가 상기 슬레이브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이하, 중계노드)인 경우, 상기 중계노드가 상기 마스터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된 경우에 만족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노드가 상기 마스터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되지 않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불만족될 시,
    상기 중계노드에 대한 하위의 차일드노드는,
    상기 중계노드가 상기 마스터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연결 요청을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은,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에의 상기 통신부의 설치 및 상기 오토 어드레싱 명령의 입력에 대응해, 각각이 순차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닛 중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및 그룹핑이 완료된 유닛(이하, 그룹핑 완료 유닛)에 포함되는 실외기는,
    상기 복수 개의 유닛 중 상기 그룹핑 완료 유닛을 제외한 유닛(이하, 그룹핑 예정 유닛)에 포함되는 실내기의 연결 요청을 무시하도록 설정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48756A 2019-04-25 2019-04-25 공기조화기 KR20200125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56A KR20200125058A (ko) 2019-04-25 2019-04-2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56A KR20200125058A (ko) 2019-04-25 2019-04-2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58A true KR20200125058A (ko) 2020-11-04

Family

ID=7357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756A KR20200125058A (ko) 2019-04-25 2019-04-2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50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430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KR10205804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0830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0532978C (zh) 空调的中央控制系统及其操作方法
US20060090483A1 (en) Communication system of a multi-type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US7814756B2 (en) Air-conditioning system
CN104154629B (zh) 一拖多空调系统的冷媒流量的控制方法及装置
CN102589087A (zh) 空调的无线控制方法和空调无线网络系统
EP3376127A1 (en) Air conditioner
CN113294892B (zh) 一种云多联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CN113587391A (zh) 一种基于蓝牙通信的多联机系统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125058A (ko) 공기조화기
KR1023936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6170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70078548A (ko)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KR101275561B1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646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6927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US11493223B2 (en) Air conditioner
CN109974221A (zh) 根据建筑特征自适应控制的空调器及控制空调器的方法
KR20090044776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CN215724005U (zh) 一种空调设备智慧能源管理系统
CN111683153A (zh) 基于城市管理的物联网多级通讯系统
CN115264767A (zh) 一种多联机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