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489B1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489B1
KR102039489B1 KR1020180118489A KR20180118489A KR102039489B1 KR 102039489 B1 KR102039489 B1 KR 102039489B1 KR 1020180118489 A KR1020180118489 A KR 1020180118489A KR 20180118489 A KR20180118489 A KR 20180118489A KR 102039489 B1 KR102039489 B1 KR 10203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unit
units
sett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한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유닛을 탐색하고, 탐색된 유닛에 주소를 설정하여 무선통신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탐색되는 유닛을 선택적으로 주소를 할당할 수 있고, 간단한 설정만으로 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유닛을 스캔하여 자동으로 주소를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유닛과 제어기가 신호의 충돌없이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Air-conditioner and method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주소를 설정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공기조화기 내 실외기, 실내기 등 유닛들은, 건물단위 또는 소그룹 단위로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기는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가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 제어기로 실내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각 실내기에는 유선 리모컨이 연결되고, 사용자는 유선 리모컨을 조작하여 특정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유선 리모컨 등을 이용한 주소 설정 시, 유선 리모컨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여 각각 주소를 입력해야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무선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 간에 통신하는 추세로, 공기조화기뿐 아니라 휴대단말 등의 다른 기기와도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기와 실외기는 상호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하는 물리적인 연결관계를 갖으며, 그 설치위치를 파악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무선통신에 있어서 각 기기의 위치나 배관의 연결상태를 고려하여 제어해야 한다.
무선통신을 통해 주소를 설정하더라도 해당 유닛이 설치되는 위치와 정확하게 매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18079 에는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되는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고 있다. 실내기와 실외기 간에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블루투스의 통신거리의 제약으로 인하여 룸 내에서의 통신은 가능하나 건물에 복수의 실내기가 설치되는 환경에서는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건물 내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실내기와 실외기가 설치되더라도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복수의 실내기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주소를 할당하여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서 통신가능한 위치의 유닛을 스캔하여 무선통신을 위한 주소를 할당하여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유닛을 탐색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한 탐색결과를 목록으로 표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목록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에 대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앙제어용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유닛에 대하여, 주소 설정을 위한 설정키를 상기 목록에 표시하고, 주소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값을 유닛의 주소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목록으로부터 유닛이 복수개 선택되면, 선택된 복수개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주소 설정을 위한 설정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주소값으로부터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나머지 다른 유닛에 자동으로 주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복수의 유닛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제어기가 상기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을 탐색하는 단계; 복수의 유닛에 대한 탐색결과를 목록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유닛의 수에 따라 중앙제어용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유닛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록으로부터 제 1 유닛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제 1 유닛의 주소설정을 위한 설정키를 상기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설정키가 선택되면 주소입력창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주소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주소값을 상기 제 1 유닛의 주소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록으로부터 복수개의 유닛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 1 유닛에 대하여, 주소설정을 위한 설정키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설정키가 선택되면 주소입력창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주소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주소값을 상기 제 1 유닛의 주소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은,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제어기와 충돌없이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 위치로 이동하여 주소를 설정하지 않고 용이하게 주소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인식되는 실내기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설정만으로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기에 대하여 자동으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유닛을 스캔하여 주소를 설정함으로써 단시간에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별 유닛에 대한 주소설정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유닛에 대한 주소설정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소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제어부 및 그 외 각 부의 구성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상호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80),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60)은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규모에 따라 칠러, 공조유닛, 냉각탑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 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건물 내, 이동장치, 보안장치, 경보장치 등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실내기(20)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각각 실내기(20)에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내기(20)로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2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설정정보를 연결되는 리모컨(미도시)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을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리모컨(미도시)은 실내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방식에 따라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일방향 통신을 수행하거나, 실내기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복수의 실외기가 연결되는 경우, 각 실외기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분배기를 통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기,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는 실내기(20), 실외기(10) 등 유닛들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200)은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연결되는 제 2 제어기로써 동작한다. 단말(2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휴대 단말일 수 있고, PDA, PC, 태블릿PC, 스마트폰, 제어용 단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외 공기조화기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 가능한 단말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요청받은 경우, 요청받은 데이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단말(200) 또는 제어기(50)의 요청의 내용에 따라서, 송신하는 데이터 정보의 내용을 달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단말(200) 및 제어기(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수신완료했음을 단말(200) 또는 제어기(50)에 보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이는 공기조화기에서 채택하는 통신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운전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주기 또는 저장기간을 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주기적 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최근에 저장한 데이터 정보의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최근에 저장한 데이터 정보를 다른 정보와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데이터 정보는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는 공기온도, 응축온도, 증발온도, 토출온도, 열교환기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에 관련되는 광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운전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단말(200) 또는 제어기(5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온/오프 여부 또는 운전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단말(200) 또는 제어기(5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이벤트 발생시 또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단말(200) 또는 제어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는 각 유닛에 대한 고장 진단이 가능한 상세 사이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는 데이터 정보를 수치 등의 문자로 표시하는 경우, 실내기(20)의 데이터 정보, 실외기(10)의 데이터 정보, 실내기(20)와 실외기(10) 등을 연결하는 배관의 밸브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는 선택된 실외기(10) 및 실내기(20)의 동작상태를 그림의 변화 또는 색상의 변화 등으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는 선택된 실외기(10)와 실내기(20)를 연결하는 배관상태 또는 밸브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는 실시간으로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200) 또는 제어기(50)는 실시간으로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는 통신 거리에 의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없는 유닛 간에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로써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80)는, 공기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공기 상태에 대응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80)는, 공기 상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은, 수신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일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80)는, 수신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공기 상태 데이터를 특정 통신망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대상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동작, 및 부품을 절약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80)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는, 실외기(10) 또는 실내기(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8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는, 제어기(50) 또는 단말(2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측정되는 공기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합한 공기 조화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제어기(50) 또는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80)는, 공기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공기 상태에 대응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기 상태는, 온도, 습도, 기압, 먼지의 양, 이산화탄소의 양, 및 산소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장치(80)는, 온도, 습도, 기압, 먼지의 양, 이산화탄소의 양, 및 산소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공기 상태 데이터는, 온도, 습도, 기압, 먼지의 양, 이산화탄소의 양, 및 산소의 양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은 상호 간에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고,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은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 등과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자유롭게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공기조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어기를 통해 외부의 서비스센터, 관리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에 접속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공기조화기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에 접속하여 제2의 제어기로써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들이 무선통신방식으로 상호 통신하여 무선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무선통신의 경우,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유닛의 정보 확인, 제어를 위해, 제어기(50) 등 특정 유닛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 대상 유닛과 통신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통신 시간,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빌딩, 아파트 등 많은 유닛들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작업 또는 관리 중에 특정 유닛을 찾을 때, 바로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단말(200)의 모니터링 화면상의 실내기와 실내기의 실제 위치를 바로 매칭(matching)하지 못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무선통신으로 통신을 위해 초기 설치 과정에서 중앙제어용 주소를 설정하여 특정 유닛의 위치를 확인하고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냉매배관(P1, P2, P3)으로 각각 연결되고,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복수의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기(2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와 통신할 뿐 아니라, 제어기(5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1 실외기(10)는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고, 제2 실외기(12)는 제4 내지 제6 실내기(23 내지 26)와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며, 제3 실외기(13)는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와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상 각 실외기에 3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예일 뿐 도시된, 실내기의 수 또는 실내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제1 실외기(11)가 동작함에 따라 제1 실외기(10)로부터 제1 내지 제3 실내기로 냉매가 공급되고, 제2 실외기(12)의 동작에 의해 제4 내지 제6 실내기(23 내지 26)로 제2 냉매배관(P2)을 통해 냉매가 공급되며, 제3 실외기(13)로부터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로 제3 냉매배관(P3)을 통해 냉매가 공급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를 기준으로 그룹이 설정될 수 있고, 각 그룹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바탕으로 열교환을 수행하여 냉, 온의 공기를 토출하므로,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실외기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외기(11)는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1 그룹을 형성하고, 제2 실외기(12)는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는 제4 내지 제6 실내기(24 내지 26)와 제2 그룹을 형성하며, 제3 실외기(13)는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되는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와 제3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와 제어기 또한, 설치 위치에 따라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냉매배관에 의한 연결상태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운전하여 실외기의 냉매공급에 따른 실내기의 온도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그룹에 관계없이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제어기(50)는 복수의 실내기(20)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실외기와 통신하여 실외기를 제어하고 실외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한다.
제어기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호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의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제어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 및 복수의 유닛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제어기와 각 유닛에는 통신을 위한 주소가 저장된다. 각 주소는 실외기와, 제어기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를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실내기에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를 중심으로 그룹이 설정되더라도 모든 실외기 및 모든 실내기와 통신한다. 그에 따라 제어기(50)는 그룹단위의 통신을 위한 주소 이외에 중앙제어용 주소를 복수의 유닛에 할당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기(50)는 별도의 주소 할당 없이, 실외기와 실내기에 할당된 주소를 중앙제어용 주소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각 유닛은 단말(200)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공기조화기의 유닛(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유닛, 실외기 유닛, 제어기, 무선통신장치,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각 유닛은 기능에 따라 특정 구성, 예를 들어 실외기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으나, 이하 각 유닛의 공통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유닛(100)은, 구동부(140), 센싱부(170), 출력부(160), 입력부(150), 저장부(130), 및,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닛(100)은 무선 통신 모듈(120)을 구비하거나 무선 통신 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에 내장되거나, 또는 유닛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각 유닛(100)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구성으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10)는 압축기, 실외기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실외기의 구동부는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팬구동부, 밸브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실내기(20)는 풍향조절수단으로 루버 또는 베인이 구비되고, 실내기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함에 따라 실내기팬구동부, 밸브제어부, 풍향제어부 등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닛의 종류에 따라 센싱부(17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 및 그 수, 설치 위치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다른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 또는 그룹설정에 대한 통신데이터, 외부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유닛의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입력부(15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터에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실외기에는 전원키, 시운전키, 주소설정키가 구비될 수 있고, 실내기에는 전원키, 메뉴입력키, 운전설정키, 온도조절키, 풍량키, 잠금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는 유닛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유닛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7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70)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습도센서, 유량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는 복수로 구비되어, 실내온도, 실외온도, 실내열교환기온도, 실외열교환기온도,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의 입출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뿐 아니라, 수관에도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대상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의 경우,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팬, 및 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압축기구동부, 실외기팬구동부, 밸브제어부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팬, 밸브 등에 각각에 구비되는 모터로 동작전원을 인가하여 모터가 동작함에 따라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며,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다른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제어기, 실외기, 실내기 간에 지정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인가한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 간의 통신을 위한 주소를 설정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 및 신호를 처리한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의 동작을 시작하면, 무선통신을 통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유닛을 탐색하고, 연결을 확인한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초기 동작 시 임시주소를 할당하거나 수신되는 임시주소를 설정하여, 통신한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주소설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로 제품번호를 요청하여 제품번호를 바탕으로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품번호는 유닛의 고유번호, 시리얼번호, 맥어드레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50) 및 출력부(16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며, 통신부(미도시)의 무선 통신 모듈(12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의 연결상태 및 통신상태를 감지하고, 에러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다른 유닛으로부터의 요청 또는 설정된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140)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구동부(140)는 연결되는 구성, 예를 들어 압축기, 실외기팬, 밸브, 실내기팬, 풍향조절수단 등이 각각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유닛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센싱부(170)의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이상을 판단하여 에러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100) 내부에 구비되거나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연결부를 통해 유닛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출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유닛으로 인가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모듈(120)은 건물 내 벽면, 바닥면, 장애물 등에도 통신 가능하도록 서브 기가(Sub-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는 투과 및 회전 특성이 우수하여 벽체나 층간 장애물에 대한 감쇠 영향이 적다. 따라서, 벽체로 구획되는 건물에 다수의 유닛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통신용으로 사용하기에 효과적이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서브 기가 대역 중, 소출력 무선국용으로 활용가능한 비면허 대역인 400MHz대역과 900MHz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지역 또는 나라에 따라 상이한 규정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400MHZ와 900M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20)은 근거리 통신방식인 지그비, 블루투스, NFC 등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실외기 및 다른 실내기와의 통신, 리모컨과의 통신, 제어기와의 통신 시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통신하고자하는 대상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통신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대상에 따라,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실내기와의 통신, 제어기와의 통신에 있어서 상이한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전파법 규정에 따르면, 400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용 특정 소출력무선국용 무선설비를 위해, 424.7MHz 내지 424.95MHz 의 21개 채널, 447.8625MHz 내지 447.9875MHz 11개 채널, 그리고, RFID/USN 등의 무선설비를 위한 917 내지 923.5MHz 32개 채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국가별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살펴보면, 북미,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FCC Part 15.247)이고, 유럽은 433MHz, 915MHz, 863 내지 868MHz(ETSIEN300220), 일본 920 내지 928MHz(ARIB STD-T108), 중국 920MHz, 한국 424 내지 447MHz, 917 내지 923.5MHz(KC), 인도는 865 내지 867MHz(G.S.R 564(E))이고, 호주 433, 915MHZ, 남아프리카 433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 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북미 및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이고, 유럽은 863 내지 868MHz, 일본 920 내지 928MHz, 한국 917 내지 923.5MHz, 인도는 865 내지 867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을 이용하는 경우 전송속도 50kbps 이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건물에는 층간 벽, 가구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므로, 건물 내의 장애물을 통과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서브 기가 대역 중, ISM대역(100MHz, 200MHz, 400MHz, 900MHz)의 경우 건물내 투과 특성이 우수하여 층간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송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안테나의 길이가 결정되는데, 100MHz, 200MHz 대역의 경우 안테나가 길어지므로 설치에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모듈(120)은, 층간 통신 및 안테나 길이를 고려하여, 앞서 개시된 주파수 대역 중, 400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선 통신 모듈(120)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탐색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탐색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자 기기 찾기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60)가 램프(lamp)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된 피드백 동작은, 상기 램프가 켜지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출력부(16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된 피드백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출력부(160)가 오디오 출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된 피드백 동작은, 상기 오디오 출력부가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해당 전자 기기에 연결된 리모컨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리모컨에서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유닛(100)이 실내기인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자 기기 찾기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루버 또는 베인을 소정 횟수 스윙(swing)시키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건물에 배치된 다수의 유닛(100) 중 특정 유닛을 빠르고 간편하게 찾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유닛에 대한 탐색 신호는 복수의 유닛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탐색 신호일 수 있다. 응답 신호는 복수의 유닛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 모듈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유닛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가 수신된 유닛들에 대응하는 항목들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탐색된 기기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응답 신호가 수신된 전자 기기들에 대응하는 항목들은,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항목부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별 유닛에 대한 주소설정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의 유닛, 즉 복수의 실내기 및 복수의 실외기를 검색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단말(200 또한, 제어기와 같이 복수의 유닛을 스캔하여 등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수의 유닛을 등록할 수도 있다. 제어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단말이 제어기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은 기본채널이 설정되므로, 제어기(50)는 기본채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기본채널을 통해 스캔되는 복수의 유닛, 실내기 또는 실외기에 대하여 중앙 제어용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된 주소를 이용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주소가 할당된 이후에는 다른 유닛과의 통신 간섭, 혼선을 피하기 위하여 통신 채널을 변경하여, 변경된 채널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는 복수의 유닛을 스캔한다.
제어기의 화면의 상단에는 진행상태(510), 새로고침키(521)가 표시되고, 현재통신하는 채널정보(523)가 표시된다. 채널정보는 현재 무선통신으로 이용하는 통신채널에 대한 정보이다. 새로고침키가 선택되면, 신규 스캔된 유닛의 정보를 포함하여 목록이 갱신되고, 각 유닛의 정보가 갱신되며, 통신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채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제어기(50)에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스캔한 결과, 복수의 유닛이 목록(524)으로 표시된다.
각 목록(65245)에는, 스캔된 유닛의 종류(525), 주소정보(526), 연결방식(527), 그리고 위치확인키(528)가 표시된다.
유닛의 종류(525)는, 실내기, 실외기, 환기장치, 히터,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유닛의 종류가 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되며, 경우에 따라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는 Indoor unit을 줄임말로, IDU가 표시될 수 있고, 실외기는 ODU가 표시될 수 있다.
주소정보(526)는 유닛의 고유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맥어드레스가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품번호(시리얼번호)가 표시되거나 제품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주소가 표시될 수 있다.
연결방식은 통신선을 이용한 유선연결, 또는 무선연결임을 나타내는 아이콘, 이미지, 이모티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무선연결 중에도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등, 통신방식에 따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위치확인키(528)는 해당 유닛이 설치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하면 유닛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되거나, 또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동 1층 강의실105호 와 같이 특정 건물의 룸넘버가 표시될 수 있고, 지도, 약도, 건물의 평면도로 표시될 수도 있다.
목록(524)의 하단에는, 설정을 완료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선택완료키(529)가 표시된다. 경우에 따라 취소키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록(524)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인 제 1 실내기(531)가 선택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목록상의 다른 항목과는 상이하게 표시된다. 경우에 따라 체크박스가 표시될 수 있고, 다른 항목과는 상이한 색상 또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목록에는, 제 1 실내기에 대한 정보 중, 중앙제어주소확인키(532)가 신규 표시된다.
중앙제어주소확인키(532)가 선택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입력창(540)이 표시된다. 주소입력창(540)은 화면전환을 통해 표시될 수 있고, 채널정보창에 팝업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화면이 분할되어 어느 일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주소입력창(540)에는 키입력을 위한 복수의 소프트키(키보드)(543)가 표시되고, 키입력된 입력주소(541)가 표시된다. 또한, 입력주소의 하단에는 주소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해 안내하는 주소입력범위(542)가 표시된다.
키보드를 통해 주소가 입력되면, 입력된 주소는 입력주소에 표시된다.
한편, 해당 유닛의 주소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키 입력 없이도 유닛의 주소가 입력주소(541)에 표시된다. 필요에 따라 키입력을 통해 변경할 수 있고, 입력완료키가 선택되면, 해당 유닛의 주소가 변경된다.
주소입력범위를 벗어난 키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입력오류에 대한 경고가 표시된다. 또한, 다른 유닛의 주소가 입력된 경우에는 주소 중복에 따른 경고가 표시될 수 있다. 경고는 경고메시지 또는 경고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소정의 경고음이 출력될 수 있다.
주소입력 후, 입력완료(545)가 선택되면, 주소입력창(540)은 닫히고 채널정보창(530)으로 복귀한다. 유닛의 주소가 신규 설정되거나 변경된 경우 변경된 주소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유닛에 대한 주소설정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정보창(550)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와, 스캔된 복수의 유닛의 목록이 표시된다. 목록 중, 복수의 유닛이 선택되는 경우, 예를 들어 제 1 실내기(552)와 제 2 실내기(553)의 항목이 각각 선택될 수 있다.
복수의 유닛이 선택되는 경우, 목록에는 선택된 유닛의 항목이 다른 항목과 상이하게 표시되고, 중앙제어주소확인키(554)가 표시된다.
이때, 중앙제어주소확인키(554)는 복수의 유닛 중 가장 상위에 위치한 항목에만 표시된다. 다른 유닛의 항목은 선택되지 않은 항목과 상이하게 표시되기는 하나, 중앙제어주소확인키는 표시되지 않는다.
즉 제 1실내기와 제2 실내기 항목이 선택된 경우 제 1 실내기의 항목에만 중앙제어주소확인키(554)가 표시된다.
중앙제어주소확인키(554)가 선택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입력창(560)이 표시된다.
주소입력창은, 키입력을 위한 소프트키(키보드)(563),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입력주소(561)가 표시된다. 주소 설정 가능범위(562)가 표시된다. 입력완료키(564)가 입력되면, 채널정보창으로 복귀한다.
이때, 선택된 복수의 유닛 중, 제일 상단에 위치하는 유닛에 대하여 주소를 설정하면, 그 하부의 항목에 대응하는 유닛에는 자동으로 주소가 할당된다.
제일 상단의 유닛, 즉 제 1 실내기에 대하여 중앙제어주소확인키 입력에 따른 주소입력창에서 주소가 설정되면, 선택된 복수의 유닛에 순차적으로 주소가 자동으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제 1 실내기의 주소가 A0인 경우, 목록 중 제 1 실내기의 하부에 표시되는 제 2 실내기에는 A1이 설정될 수 있다.
주소는 입력주소로부터 내림차순으로 자동 할당된다. 경우에 따라 오름차순 할당 또한 가능하고, 설정을 통해 일정 숫자 간격 즉 A1, A3, A5와 같이 주소가 할당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기(50)복수의 유닛이 선택되면,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주소를 설정함으로써, 나머지 유닛에 대하여 일일이 주소를 설정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주소 할당이 가능해진다.
또한, 목록에는 응답 순서에 따라 유닛이 목록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므로, 그에 따라 주소가 내림차순 등의 설정에 의해 자동 할당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목록에서 특정 유닛을 선택하면, 전술한 도 4와 같이 선택된 특정 유닛에 대한 주소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제어기(50)는 중앙제어용 주소가 할당되면, 할당된 주소에 대한 정보를 각 유닛으로 전송하고, 이후 통신 시 할당된 중앙제어용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한다. 제어기(50)는 각 유닛의 정보 및 주소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특정 유닛의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그에 따라 제어기(50)는, 필요에 의해 특정 유닛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각 유닛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인접한 유닛을 통해 특정 유닛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주소설정이 완료되면, 제어기(50)는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여 단말에서 공기조화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제어기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제어기로써 동작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기와 같이 통신채널을 통해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주소를 할당하고 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소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상호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복수의 유닛을 탐색하여 등록하고 중앙제어용 주소를 할당하여 유닛과 일 대 일로 통신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은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해 기본채널을 설정한다(S310).
복수의 유닛은 기본 채널을 바탕으로 지정된 통신방식으로 통신한다. 복수의 유닛은 유닛의 종류, 제품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주소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는 기본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기본 채널을 통해 복수의 유닛을 탐색한다(S320).
제어기(50)는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닛의 리스트, 예를 들어 실내기 리스트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330).
앞서 설명한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현재 사용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와 함께, 탐색된 유닛의 목록이 화면에 표시된다. 목록에는 유닛의 종류, 주소정보, 통신방식, 위치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기(50)는 주소를 할당할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선택한다.
제어기(50)는 복수의 유닛이 선택되는지 또는 하나의 유닛이 선택되는지 여부에(S340) 따라 선택된 유닛에 대한 주소를 할당한다.
주소설정 대상이 복수인 경우, 선택된 복수의 유닛에 대한 항목 중, 상위 항목에 중앙제어용 주소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키, 즉 중앙제어주소확인키를 표시한다(S350). 복수의 항목이 선택되더라도 상위의 하나의 항목에만 설정키를 표시한다.
설정키, 즉 중앙제어주소확인키가 선택되면, 주소입력창이 표시되고, 키입력에 대응하여 주소가 입력된다.
제어기(50)는 입력된 주소를 상위 항목의 유닛에 할당하고, 또한, 하부의 다른 항목에는 입력된 주소를 바탕으로 주소를 자동 생성하여 선택된 복수의 유닛에 자동으로 할당한다(S390).
즉 상위의 항목에 대하여 주소 A0이 되면, 나머지 다른 유닛에는 A1, A2, A3 순으로 순차적으로 주소를 자동 할당한다.
한편, 스캔된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대한 항목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항목에 주소설정을 위한 설정키, 즉 중앙제어주소확인키가 표시된다(S370).
설정키가 선택되면 주소입력창이 표시되고, 주소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를 선택된 항목의 유닛에 할당한다(S380).
제어기(50)는 설정된 주소를 저장하고(S400), 각 유닛으로 할당된 주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410).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가 무선으로 통신하면서 제어기가 중앙제어용 주소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에 대한 주소를 설정하는 경우 하나하나 주소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한번의 입력으로 복수의 유닛에 대한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실외기 20: 실내기
50: 제어기
110: 제어부 120: 무선통신모듈
130: 저장부 140: 구동부
150: 입력부 170: 센싱부
200: 단말

Claims (15)

  1.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유닛을 탐색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한 탐색결과를 목록으로 표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기본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닛과 통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을 탐색하고, 상기 목록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에 대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앙제어용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주소설정이 완료되면 설정된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유닛과 통신하고,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닛에 대하여, 주소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주소값을 상기 유닛의 주소로 설정하고,
    상기 목록으로부터 유닛이 복수개 선택되면, 상기 주소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주소값을 선택된 복수개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 1 유닛의 주소로 설정하고, 상기 주소값을 바탕으로 나머지 다른 유닛에 자동으로 주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유닛에 대하여, 주소 설정을 위한 설정키를 상기 목록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목록으로부터 유닛이 복수개 선택되면, 선택된 복수개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주소 설정을 위한 설정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나머지 다른 유닛을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주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주소값으로부터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나머지 다른 유닛에 자동으로 주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설정된 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으로 설정된 주소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삭제
  9. 복수의 유닛이 무선통신 방식으로, 기본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제어기가 상기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한 탐색결과를 목록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목록으로부터 제 1 유닛이 선택되면, 주소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주소값을 상기 제 1 유닛의 중앙제어용 주소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목록으로부터 복수개의 유닛이 선택되면, 상기 주소값을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상기 제 1 유닛의 중앙제어용 주소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상기 제 1 유닛을 제외한 다른 유닛에 상기 주소값을 바탕으로 중앙제어용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주소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중앙제어용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유닛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으로부터 제 1 유닛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제 1 유닛의 주소설정을 위한 설정키를 상기 목록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키가 선택되면 상기 주소입력창이 표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상기 제 1 유닛에 대하여, 주소설정을 위한 설정키가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키가 선택되면 상기 주소입력창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상기 제 1 유닛에만 상기 설정키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에 대한 상기 주소값으로부터,
    상기 목록에 위치한 순서대로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상기 다른 유닛에 자동으로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값으로부터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주소를 자동 생성하여 상기 다른 유닛에 주소를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유닛에 제 1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소값을 n 만큼 증가시킨 후,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제 2 유닛에 제 2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소값을 2n 만큼 증가시킨 후,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제 3 유닛에 제 3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KR1020180118489A 2018-10-04 2018-10-04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3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89A KR102039489B1 (ko) 2018-10-04 2018-10-04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89A KR102039489B1 (ko) 2018-10-04 2018-10-04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489B1 true KR102039489B1 (ko) 2019-11-01

Family

ID=6853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489A KR102039489B1 (ko) 2018-10-04 2018-10-04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4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663B1 (ko) * 2004-11-10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2728A (ko) * 2008-01-28 200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137167A (ko) * 2011-06-10 2012-12-20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자동통신 주소할당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663B1 (ko) * 2004-11-10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2728A (ko) * 2008-01-28 200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137167A (ko) * 2011-06-10 2012-12-20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자동통신 주소할당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04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0079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66020B1 (ko) 공기조화기
KR10197927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7721558B2 (en) Multi-air conditioner and group-unit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2295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9008272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N103807975A (zh) 用于控制空调的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03948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50999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936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6170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7204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46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0007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93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전자 기기
KR102411200B1 (ko) 공기조화기
KR10216927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04306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43065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00125058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