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070B1 -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070B1
KR102000070B1 KR1020180014156A KR20180014156A KR102000070B1 KR 102000070 B1 KR102000070 B1 KR 102000070B1 KR 1020180014156 A KR1020180014156 A KR 1020180014156A KR 20180014156 A KR20180014156 A KR 20180014156A KR 102000070 B1 KR102000070 B1 KR 10200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bile terminal
channel
unit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박철민
이학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현재 점유중인 통신 채널에 대해서만 유닛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빠르게 특정 유닛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닛 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더욱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 유닛들은, 건물단위 또는 소그룹 단위로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 유닛이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기는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가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기로 실내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486호)은, 공기조화기 운전상태 데이터를 유선통신으로 노트북 등 장비와 연결하여 전달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편리하게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486호)은, 실외기 및, 실외기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단말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실외기 및 실내기의 운전상태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구조들에서는 실내기가 제어기가 직접 통신하지 못하고 실외기를 반드시 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내기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도, 실외기를 거치는 단계적 통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늦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486호)은, 실외기에 별도 무선 통신 모듈을 추가 장착할 필요가 있고,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은 여전히 유선 통신으로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외기와 단말 간의 와이파이(Wifi) 통신으로, 동일층이나 단거리 이내에서만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실외기가 건물의 지하에 설치되거나 옥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설치 환경에서,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거리로 인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건물 내의 장애물로 인하여 신호가 감쇄되는 등, 신호의 품질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통신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무선으로 유닛 간에 통신하는 시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실내기. 실외기, 제어기 등 각 유닛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 등 다른 기기와도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기기들은, 사용자 및 기기의 위치에 제약받지 않고, 기기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장거리 내 많은 기기들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구현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특정 유닛을 찾는데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
도 13은 종래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 스캔 서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20개의 통신 채널이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작업자의 명령 입력 등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특정 유닛을 찾기 위한 스캔 서치를 시작한다(S1310).
이동 단말기는 전체 통신 채널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해당 통신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유닛이 있는지 스캔을 수행한다(S1320).
이동 단말기는 채널 1번을 스캔하여, 채널 1번을 사용하고 있는 유닛 유무를 확인하고(S1320a), 채널 2번을 스캔하여, 채널 2번을 사용하고 있는 유닛 유무를 확인한다(S1320b). 이동 단말기는 동일한 방식으로 마지막 채널 20번(1320n)까지 스캔하게 된다.
이후, 이동 단말기가 전체 스캔 결과를 표시하면(S1330), 설치자 등 작업자는 스캔 결과를 확인하고, 결과 내에서 특정 유닛을 선택하거나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1340).
이와 같이, 작업자가 특정 위치 또는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 유닛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 유닛들이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전체 통신 채널을 스캔하여 유닛들을 확인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체 통신 채널을 스캔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유닛을 선택하는 시간도 길어지므로 전체 작업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1번부터 20번까지 순차적으로 스캔을 실시하면, 전체 스캔 시간은 한 채널당 소요 시간의 20배가 소요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많은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 원활한 무선 통신을 위하여, 다수의 통신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체 통신 채널의 개수 증가 따라, 전체 스캔 과정 및 유닛 확인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더 증가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더욱 크게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무선 통신 환경을 구현하고,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유닛을 더욱 빠르게 편리하게 찾을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탐색된 유닛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각 유닛 및 이동 단말기가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현재 점유중인 통신 채널에 대해서만 유닛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빠르게 특정 유닛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에 대해서 탐색 신호를 출력하며, 탐색 신호를 수신한 유닛들이 응답 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며, 이동 단말기가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을 포함하는 스캔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유닛을 더욱 빠르게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유닛 중 특정 유닛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탐색된 유닛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각 유닛 및 이동 단말기가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통신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 스캔 서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규모에 따라 칠러, 공조유닛, 냉각탑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 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건물 내, 이동장치, 보안장치, 경보장치 등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원격에서 유닛들의 동작 상태 등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하여, 다른 유닛들과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다른 유닛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제어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50), 유/무선 리모컨(60), 이동 단말기(200)일 수 있다.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실내기(20)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각각 실내기(20)에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내기(20)로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 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2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설정정보를 연결되는 리모컨(미도시)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을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리모컨(미도시)은 실내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방식에 따라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일방향 통신을 수행하거나, 실내기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복수의 실외기가 연결되는 경우, 각 실외기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분배기를 통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기,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 팬,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공기조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어기를 통해 외부의 서비스센터, 관리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에 접속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공기조화기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에 접속하여 제2의 제어기로써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은 상호간에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고,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은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 등과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자유롭게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실내기(20), 복수의 실외기(10), 제어기(50)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냉매배관(P1, P2, P3)으로 각각 연결되고,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복수의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기(2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와 통신할 뿐 아니라, 제어기(5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1 실외기(10)는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고, 제2 실외기(12)는 제4 내지 제6 실내기(23 내지 26)와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며, 제3 실외기(13)는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와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상 각 실외기에 3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예일뿐 도시된, 실내기의 수 또는 실내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제1 실외기(11)가 동작함에 따라 제1 실외기(10)로부터 제1 내지 제3 실내기로 냉매가 공급되고, 제2 실외기(12)의 동작에 의해 제4 내지 제6 실내기(23 내지 26)로 제2 냉매배관(P2)을 통해 냉매가 공급되며, 제3 실외기(13)로부터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로 제3 냉매배관(P3)을 통해 냉매가 공급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를 기준으로 그룹이 설정될 수 있고, 각 그룹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바탕으로 열교환을 수행하여 냉, 온의 공기를 토출하므로,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실외기는 하나의 그룹(group)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외기(11)는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1 그룹을 형성하고, 제2 실외기(12)는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는 제4 내지 제6 실내기(24 내지 26)와 제2 그룹을 형성하며, 제3 실외기(13)는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되는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와 제3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와 제어기 또한, 설치 위치에 따라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매배관에 의한 연결상태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운전하여 실외기의 냉매공급에 따른 실내기의 온도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동일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들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기가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다른 통신 채널이 설정된 그룹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즉, 각 그룹 별로, 다른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함으로써, 간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50)는 그룹에 관계없이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제어기(50)는 복수의 실내기(20)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실외기와 통신하여 실외기를 제어하고 실외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한다.
제어기(5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호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의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제어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 및 복수의 유닛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제어기와 각 유닛에는 통신을 위한 주소가 저장된다. 각 주소는 실외기와, 제어기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를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실내기에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를 중심으로 그룹이 설정되더라도 모든 실외기 및 모든 실내기와 통신한다. 그에 따라 제어기는 그룹단위의 통신을 위한 주소 이외에 중앙제어용 주소를 복수의 유닛에 할당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기는 별도의 주소 할당 없이, 실외기와 실내기에 할당된 주소를 중앙제어용 주소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각 유닛은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의 전자 기기(유닛)와 시스템 내 전자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된 스마트 폰(200a), 노트북 PC(200b), 태블릿 PC(200c)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통신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도 3의 (a)는 유선통신을 이용한 유닛 간의 통신을 도시한 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유닛 간의 통신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3의 (a)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통신선으로 복수의 유닛이 연결된다. 복수의 유닛은 통신선의 연결에 한계가 있으므로 상호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의 연결 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실내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통신선으로 연결되고, 실외기는 제어기와 연결된다. 복수의 실외기가 구비되는 경우, 냉매배관의 연결상태를 기준으로 복수의 실내기가 실외기로 연결된다. 복수의 실외기는 제어기와 연결된다.
실내기를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는 실외기 데이터와 수신된 실내기 데이터를 제어기로 전송한다. 제어기는 실외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기가 실내기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제어기는 해당 실내기가 연결된 실외기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실외기는 수신된 제어명령을 해당 실내기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유선 통신의 경우, 복수의 유닛의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통신선의 연결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의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데이터 전송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외기는 실외기 데이터가 아닌 다른 유닛의 데이터를 처리해야하므로, 그에 따른 부하가 증가한다. 또한, 하나의 실외기에서 복수의 실내기의 데이터를 처리해야하므로, 연결된 실내기의 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를 통하여 유닛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경우에도, 실내기의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제어기(50) 등을 경유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각 유닛과 자유롭게 통신하지 못하고, 특정 유닛으로부터는 해당 정보만 수신하거나, 전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위의 제어기(50)와 통신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이동 단말기(200)는 상호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기(50) 및/또는 이동 단말기(200)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로 각각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실외기(10)와 실내기(20)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유닛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의 유동을 고려하여 실외기와 실내기간에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통신채널 이외에도, 제어기, 실외기, 실내기를 포함하는 통신채널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기(50) 및/또는 이동 단말기(200)는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기(2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상태(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실내기(20)의 운전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운전설정 변경에 따른 데이터를 실내기로 직접 전송한다. 이때, 실내기는 운전설정이 변경되면 해당 데이터를 실외기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실외기 또한 운전을 변경하게 된다.
제어기(50)는 실내기(20)가 지정된 시간에 설정된 운전을 수행하도록 스케줄이 설정된 경우, 실내기 및 실내기와 연결된 실외기로 각각 운전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실내기는 그에 대한 응답을 제어기(50)로 전송하고, 소정시간 간격으로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실내기(20)는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운전을 설정하고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실외기(10)는 수신되는 실내기의 데이터와, 복수의 실내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부하를 산출하여 압축기를 제어한다.
실외기(10)와 실내기(20)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제어기(5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고장 또는 이상 발생 시 주기에 관계없이 제어기(50)로 고장 또는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의 유닛(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기 유닛, 실외기 유닛, 제어기, 무선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100)은, 구동부(140), 센싱부(170), 출력부(160), 입력부(150), 저장부(130), 및,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닛(100)은 무선 통신 모듈(120)을 구비하거나 무선 통신 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에 내장되거나, 또는 유닛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각 유닛(100)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구성으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는 풍향조절수단으로 베인 등이 구비되고, 실내기 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함에 따라 실내기 팬 구동부, 밸브제어부, 풍향제어부 등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실외기(10)는 압축기, 실외기 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외기의 구동부는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 팬 구동부, 밸브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유닛의 종류에 따라 센싱부(17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 및 그 수, 설치 위치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다른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 또는 그룹설정에 대한 통신데이터, 외부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유닛의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입력부(15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터에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실외기에는 전원키, 시운전키, 주소 설정키가 구비될 수 있고, 실내기에는 전원키, 메뉴입력키, 운전설정키, 온도조절키, 풍량키, 잠금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는 유닛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유닛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7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70)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습도센서, 유량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는 복수로 구비되어, 실내온도, 실외온도, 실내열교환기온도, 실외열교환기온도,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의 입출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뿐 아니라, 수관에도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대상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의 경우,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 팬, 및 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압축기구동부, 실외기 팬구동부, 밸브제어부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 팬, 밸브 등에 각각에 구비되는 모터로 동작전원을 인가하여 모터가 동작함에 따라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전자 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00)은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무선 통신 모듈(120)과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통신 모듈(300)은 무선 통신부(210)의 일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의 각 유닛(100)과 서브 기가 대역으로 무선 통신하는 경우에, 서브 기가 대역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300)을 이용할 수 있다. 모든 범용의 이동 단말기(200)가 서브 기가 대역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300)을 내장한 체 출시되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므로, 전용 무선 통신 모듈(300)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무선 통신 모듈(300)은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하여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3), 무선 인터넷 모듈(215), 근거리 통신 모듈(217), 및 GPS 모듈(2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이동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7)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217)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200)와 다른 이동 단말기(2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2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2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205)를 포함할 수 있고,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부(2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240)는 이동 단말기(2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240)는, 감지 센서(241), 압력 센서(243), 및 모션 센서(2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2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 모듈(253), 알람부(255), 및 햅틱(haptic) 모듈(2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253)은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2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255)는 이동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2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동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2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120)은, 안테나(620), 송신부(640), 수신부(630), 프로세서(610), 인터페이스(6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송신부(640)를 제어하여, 안테나(620)를 통하여 소정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수신부(630)를 제어하여, 안테나(6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620)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pattern)이 형성된 PCB 안테나일 수 있다. PCB 안테나는, 다른 방식보다 설계 자유도가 높고, 그라운드 소스(Groud source)량을 조절하여 방사패턴이 일정한 장점이 있다.
한편, 송신부(640)는, 소정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641), 및, 상기 부호화부(641)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반송파를 이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에 따라 변조하는 변조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620)는 변조부(642)에서 변조된 신호에 기초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소정 신호는 이진 신호로서 부호화부(641)로 입력된다. 상기 부호화부(641)는 입력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데이터 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방식으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고 다중 경로(multi path) 손실에도 강인한 장점이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고속의 송신 신호를 수백개 이상의 직교(Orthogonal)하는 협대역 부 반송파(Subcarrier)로 변조시켜 다중화하는 방식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변조 및 다중화를 같이 수행하는 전송 기법으로, 단일 입력의 고속의 원천 데이터 열을, 다중의 반송파에 분할하여 실어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다중 반송파 변조 기술이며, 다중의 채널로 동시에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다중화 기술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고속 전송률을 가지는 데이터 열(data stream)을 낮은 전송률을 가지는 많은 수의 데이터 열로 나누고, 이들을 다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반송파 사이에 직교성(orthogonality)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송파의 주파수 성분은 상호 중첩되어도 수신단에서의 검출이 가능하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산란 반사파에 취약한 고속 데이터를 반사파에 강한 저속 데이터들로 병렬 전송하는 구조로, 각각의 부 반송파들을 선택적 스케쥴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송신부(640)는, 상기 변조된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6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부(640)는,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직병렬 변환부(Serial to Parallel converte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부(640)는 다중화부(643)와 직병렬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직병렬 변환부는, 직렬로 입력되는 심벌(Symbol) 열을 병렬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 전송률을 가지는 데이터 열은, 직병렬 변환부를 통해 다수의 낮은 전송률의 데이터 열로 변환되고, 상기 병렬로 변환된 다수의 데이터 열은 상호 직교성을 가지는 부 반송파에 실어져서 전송될 수 있다.
송신부(640)는, 송신 신호 처리부(6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신호 처리부(645)는 OFDM 변조된 신호를 주파수 천이를 통해 부 반송파에 실어, 안테나(6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수신부(630)는, 상기 안테나(6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복조하는 복조부(633), 및, 상기 복조부(633)에서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63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630)는, 수신 신호 처리부(6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신호 처리부(631)는 안테나(620)로부터 전달받은 반송파를 주파수 천이하여 다수의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부(630)는, 병직렬 변환부(Parallel to Serial converte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병직렬 변환부에서 변환된 병렬 신호는 상기 복조부(633)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송신부(640)는, 상기 변조된 신호를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부(74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부(630)는, 상기 안테나(6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하는 푸리에 변환부(7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조 후, 역 고속 푸리에 변환된 신호는 안테나(620)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고, 안테나(62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는 고속 푸리에 변환된 후에 복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조부(642)와 복조부(633)의 효율적인 디지털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주파수 선택적 감쇄(frequency-selective fading)현상을 보이는 채널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채널을 단순히 평탄 감쇄(flat-fading)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 통신 모듈(120)은, 안테나(620)와 송신부(640) 또는 수신부(630) 간을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인 듀플렉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듀플렉서는, 방식에 따라 시간 또는 주파수를 분리하는 소자로, 안테나(620)를 송신부(640) 측에 연결시키거나, 수신부(630) 측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120)은, 주파수는 Sub 1GHz 주파수 중 통신속도가 기존 유선 통신(9.6kbps)보다 빠르고, 장거리(Open space 1km) 통신이 가능한 주파수인 700Mhz 내지 900Mhz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120)은, 층간 통신 및 안테나 길이를 고려하여, 900Mhz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안테나(620)는 전송 주파수에 따라 그 길이가 설정되고, 길이는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안테나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 천장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따라 설치 가능 여부가 좌우될 수 있다.
안테나(620)는, 전송 주파수가 작을수록 안테나 길이가 길어지므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중, 안테나의 길이를 고려하여 주파수가 설정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길이는 전송 주파수의 λ/2 또는 λ/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주파수가 447MHz인 경우, 파장이 0.67m이므로, λ/2를 연산하면, 안테나의 길이는 34cm, λ/4의 경우 17cm가 된다. 900MHz 대역의 경우, 안테나 길이는 λ/2의 경우 약 17cm, λ/4의 경우 약 8.5cm가 될 수 있다. 전송 주파수가 2.4GHZ인 경우, 파장은 0.12m이므로, 안테나의 길이는 λ/2의 경우 0.06m, λ/4의 경우 0.03m가 된다.
안테나의 길이를 고려할 때, 2.4GHz 대역의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건물 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해 2.4GHz ISM 대역을 이용한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기술의 경우, 2.4GHZ 대역의 전파는 바닥, 창문, 벽, 파티션 등 장애물들에 의해 반사 또는 회절되는 경향이 강하고, 건물 내 도달 거리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4GHz 대역은 별도의 주파수 사용 허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려는 무선기기가 증가하고 있어, 기기 간의 간섭이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120)은, 9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안테나(620)의 길이는, 900MHz 대역 전송 주파수의 λ/2 또는 λ/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안테나(620)는, 유닛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620)는 돌출되거나 외부에 부착되지 않고, 실외기, 실내기의 본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실내기 유닛에 포함되는 안테나는 실내기의 본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되거나 외부에 부착된 안테나가 실내 인테리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이 상호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닛은, 적어도 2이상의 층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는 건물 옥상에 배치되고, 실내기는 건물 내부의 임의의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내기들도 여러 층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유닛은 단일 층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층에 각각 설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건물 내에는 층간 구조물, 벽, 가구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므로, 건물 내의 장애물을 통과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안테나(620)는 서브기가 대역의 700MHz 대역 내지 900MHz 대역 중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안테나는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안테나(620)는, 송신부(6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공기 중으로 송출하고, 공기 중의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부(630)로 인가할 수 있다.
송신부(640)와 수신부(630)는, 프로세서(6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송출하고자 하는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송신부(7405)는 출력임피던스, 즉 안테나(620)의 임피던스가 설정값을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신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송신부(640)와 수신부(630)는, 안테나(620)를 통해 송출 및 수신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맞춰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은 가장 널리 알려진 50Ω 매칭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안테나(620)는, 다중 입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안테나일 수 있고,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병렬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송신부(640)와 수신부(630)는, MIMO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중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송신부(640)는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부(630)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MIMO는 공간 다중화,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빔포밍(beam forming)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이다.
공간 다중화는 다수의 송신안테나를 통해 여러 개의 정보를 전송하여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고,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로 동일한 정보를 여러번 전송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기술이며, 빔포밍은 원하는 방향으로 전파를 송출하여 간섭을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무선 통신 모듈(120)는, MIMO를 통해,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함에 따라 건물 등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유닛 간에 상호 통신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인터페이스(650)를 통해 인가된 유닛(100)의 데이터가 설정된 출력으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안테나(62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유닛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사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지정된 형태로 변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50)는 유닛(100)과 통신부(120)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20)은 인터페이스(650)를 통하여, 유닛(100)의 제어부(11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종래의, 유선 통신의 경우, 복수의 유닛의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의 연결상태에 따라 복수의 유닛이 계층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의 데이터가 제어기 또는 원격제어장치로 직접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데이터 전송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외기의 처리 부하가 증가하고, 연결된 실내기의 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모듈(120)은, 방사 패턴 관리가 용이하고, 게인(gain) 확보에 유리한 PCB 안테나를 포함하고, 다채널에서 채널 간 간섭이 적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 2.4Ghz, 5Ghz 대역은 약 30m 이내의 실내 단거리용으로, 두꺼운 벽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얇은 벽이라도 신호 세기가 급격히 저하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유선 통신 속도 약 9.6 Kbps 대비, 약 150 Kbps 로서 15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층간 장애물이 존재해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선 및 통신선을 연결하는 작업 과정을 제거할 수 있어, 설치비 및 설치 시간이 줄어, 전체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20), 실외기(10), 리모컨(60), 무선 센서(80), 및,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제어기, 환기장치, 제상장치, 가습장치, 히터, 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60)은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200) 및 제어기(도 1의 50 참조)는 실내기(20), 실외기(10) 등 유닛들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요청받은 경우, 요청받은 데이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의 요청의 내용에 따라서, 송신하는 데이터 정보의 내용을 달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및 제어기(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수신완료했음을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에 보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이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채택하는 통신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운전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주기 또는 저장기간을 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주기적 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최근에 저장한 데이터 정보의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최근에 저장한 데이터 정보를 다른 정보와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데이터 정보는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는 공기온도, 응축온도, 증발온도, 토출온도, 열교환기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에 관련되는 광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운전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온/오프 여부 또는 운전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이벤트 발생시 또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각 유닛에 대한 고장 진단이 가능한 상세 사이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데이터 정보를 수치 등의 문자로 표시하는 경우, 실내기(20)의 데이터 정보, 실외기(10)의 데이터 정보, 실내기(20)와 실외기(10) 등을 연결하는 배관의 밸브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상기 밸브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을 색상 또는 그림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밸브가 열린 경우 파란색, 밸브가 닫힌 경우 회색으로 표시하거나,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의 형태를 그림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그 색상 또는 그림의 종류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가 데이터 정보를 시계열적인 영상으로 표시하는 경우, 표시하고자 하는 실외기(10) 또는 실내기(2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복수의 실외기(10) 중 표시하고자 하는 실외기(10)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실외기(1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실내기(20) 중 확인할 실내기(20)를 선택할 수 있다.
실외기(10) 및 실내기(20)를 선택한 경우,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선택된 실내기(20)의 운전상태 및 선택된 실외기(10)와 선택된 실내기(20)의 연결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는 배관의 연결상태, 배관 내부의 흐름, 밸브의 온오프(on/off)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선택된 실외기(10) 및 실내기(20)의 동작상태를 그림의 변화 또는 색상의 변화 등으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선택된 실외기(10)와 실내기(20)를 연결하는 배관상태 또는 밸브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실시간으로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실시간으로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 센서(80)는, 공기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공기 상태에 대응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기 상태는, 온도, 습도, 기압, 먼지의 양, 이산화탄소의 양, 및 산소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센서(80)는, 온도, 습도, 기압, 먼지의 양, 이산화탄소의 양, 및 산소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공기 상태 데이터는, 온도, 습도, 기압, 먼지의 양, 이산화탄소의 양, 및 산소의 양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센서(80)는, 공기 상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은, 수신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일 수 있다. 무선 센서(80)는, 수신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공기 상태 데이터를 특정 통신망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대상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동작, 및 부품을 절약할 수 있다.
무선 센서(80)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는, 실외기(100) 또는 실내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센서(8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는, 제어기(50) 또는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센서(80)도 상술한 무선 통신 모듈(120)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센서(8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을 포함하여, 복수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으로 센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으로 센싱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센서(80)는, 소정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상기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반송파를 이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따라 변조하는 변조부,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변조된 신호에 기초한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무선 센서(80)는, 무선 통신 모듈(120)에서 수신부(6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센싱 데이터의 송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수신되는 공기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합한 공기 조화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제어기(50) 또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의 유닛들을 무선으로 연결하면,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유닛의 정보 확인, 제어를 위해, 제어기(50) 등 특정 유닛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 대상 유닛과 통신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통신 시간,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20)은, 방사 패턴 관리가 용이하고, 게인(gain) 확보에 유리한 PCB 안테나를 포함하며, 다채널에서 채널 간 간섭이 적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외기가 건물의 지하에 설치되거나 옥상에 설치되고, 유닛들이 분산 배치되어, 유닛들 사이에 층, 벽 등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시스템 설치 환경에서도, 유닛들 상호 간에 무선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유닛에는 실외기, 실내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실외기와 실내기들을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고,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실외기와 실내기들은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 그룹으로 설정된 유닛들을 상호 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즉, 동일 그룹 내 실외기-실내기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실내기-실내기 간에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실외기와 2 이상의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며, 소정 실외기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실내기들은,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되고, 유닛 상호 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기가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다른 통신 채널이 설정된 그룹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그룹 별로, 다른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하는 유닛들을 탐색하여 스캔 결과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의 스캔 명령 입력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가 특정 유닛을 찾기 위한 스캔 서치(scan search)를 시작할 수 있다(S810).
또는, 이동 단말기(200)에 연결된 무선 통신 모듈(300) 전원 인가,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이동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등 기설정된 특정 이벤트(event)의 발생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가 특정 유닛을 찾기 위한 스캔 서치(scan search)를 시작할 수 있다(S810).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채널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S820a).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채널 부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방식을 이용하여, 전체 통신 채널 중 현재 사용 유닛이 있는 점유중인 채널을 확인하는 스캔을 에너지 스캔(Energy Scan)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부(280)는,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소정값 이상의 에너지가 검출된 통신 채널을 점유중인 통신 채널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와 유닛(100)들은 상호간에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에너지 스캔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중 소정 범위로 설정된 복수의 채널 전체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스캔은 서브 기가 대역에 기설정된 20개의 채널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기설정된 전체 통신 채널을 에너지 스캔하고, 각 통신 채널을 스캔할 때 에너지가 검출되는 지 여부에 따라 해당 통신 채널의 사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단말기(200)는 소정값 이상의 에너지가 검출되는 경우에 해당 통신 채널이 점유중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채널 부하량을 확인하는 과정을 소정 횟수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체 통신 채널에 대한 에너지 스캔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스캔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에 대해서만 유닛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S820b). 이에 따라, 전체 통신 채널에 대해서 유닛 유무를 확인하는 경우보다 유닛 탐색을 위한 스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에 대해서 탐색 신호를 출력하고,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채널의 유닛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200), 상기 점유중인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탐색 신호의 송신 횟수를 채널당 1회로 감소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점유중인 통신 채널들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순차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점유중인 통신 채널들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에, 유닛들의 응답 신호를 기다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이 제1 통신 채널과 제2 통신 채널이라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제1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출력하고, 제2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제1 통신 채널과 제2 통신 채널을 사용중인 유닛들의 응답 신호를 기다릴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점유중인 제1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제1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에, 점유중인 제2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즉, 제1 통신 채널에 대하여, 탐색 신호를 출력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유닛 유무 확인한 후에, 다음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유닛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점유중인 통신 채널이 제1 통신 채널과 제2 통신 채널 이외에도 존재한다면, 동일하게 순차적으로 소정 통신 채널에 대한 유닛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탐색 신호를 수신한 유닛들(100)은, 상기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이동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이동 단말기(200)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유닛 위치 파악 시, 전체 통신 채널에서 유닛의 유무를 스캔하던 도 13의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스캔을 통해 현재 점유중인 채널 또는 점유율이 소정 기준치보다 높은 채널만을 선택하여 유닛을 검색할 수 있다.
도 13의 예에서 전체 통신 채널이 20개이고, 한 채널당 유닛 유무 확인이 10초 소요된다면, 전체 스캔 과정(S1320)에는 200초가 소요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캔 과정(S820)은, 에너지 스캔에 1초가 소요되고, 점유중인 채널에 대해서만 10초의 탐색이 수행된다. 따라서, 스캔 과정(S820)은, 1초+20*N초가 소요될 수 있다.
전체 통신 채널은 전체 통신 부하량에 비하여 상당한 여유를 가지도록 설계되므로 전체 통신 채널이 전부 사용중인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 따라, 스캔 과정(S820)의 소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통신 채널이 점유중이면, 스캔 과정(S820)은, 41초가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유중인 채널에 대해서 탐색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해당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유닛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당 유닛 유무 확인 시간을 100ms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통신 채널이 점유중이면, 스캔 과정(S820) 소요 시간은, 41초에서 1.2초로 단축될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부(2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100)을 포함하는 스캔 결과 화면을 표시하면(S830), 설치자 등 작업자는 스캔 결과를 확인하고, 결과 내에서 특정 유닛을 선택하거나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840).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캔 결과 화면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을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 등은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가까운 유닛을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캔 결과 화면에 포함되는 유닛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위치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위치 확인 입력이 수신된 유닛으로 소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신호를 수신한 유닛은 기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 등은 찾으려는 유닛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유닛의 찾기 또는 선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닛을 빠르게 찾음으로써, 설치 시간 및 서비스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채널(900a) 내지 제n 채널(900n)을 통신 채널로 사용하고 있는 유닛들과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채널(900a) 내지 제n 채널(900n)을 통신 채널로 사용하고 있는 각 유닛들 상호간에도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들이 하나의 통신 채널을 사용하고, 다른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서브 기가(Sub GHz) 대역 내에서 다른 통신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에너지 스캔을 수행하여, 제1 채널(900a) 내지 제n 채널(900n)에 대해서 점유중인 채널을 확인할 수 있다(S910).
이동 단말기(200)는, 전체 채널에 대해서, 에너지를 검출하고, 소정값 이상의 에너지가 검출된 통신 채널을 점유중인 통신 채널로 판별할 수 있다.
에너지 스캔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중 소정 범위로 설정된 복수의 채널 전체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설정된 전체 통신 채널을 스캔하고, 각 채널을 스캔할 때 에너지가 검출되는 지 여부에 따라 채널의 사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0은 전체 통신 채널에 대한 에너지 스캔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0과 같이, 1회의 에너지 스캔 시간은 짧을수록 좋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체 채널에 대한 에너지 스캔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스캔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만약, 특정 채널에 대한 1회의 에너지 스캔 시간을 크게 설정하는 경우에, 해당 채널의 통신 신호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검출하지 못할 확률이 오히려 높아진다. 따라서, 특정 채널에 대한 에너지 스캔은 소정 주기에 따라 반복 수행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게 에너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는 설정된 전 채널의 스캔을 소정 횟수 반복 수행할 수 있고, 반복 수행으로 검출된 에너지에 기초하여 통신 부하량을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전체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에 대해서만 유닛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체 통신 채널 중 제1 채널(900a)과 제n 채널(900n)이 점유중이라면,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채널(900a)과 제n 채널(900n)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탐색 신호를 출력하고(S920, S930), 제1 채널(900a)과 제n 채널(900n)를 사용하도록 설정된 그룹의 유닛들 중에서, 상기 탐색 신호를 수신한 유닛들이 송신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925, S935).
이에 따라, 상기 탐색 신호를 수신할 정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유닛들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유닛들을 탐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200), 상기 점유중인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탐색 신호의 송신 횟수를 채널당 1회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을 포함하는 스캔 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940).
도 11은 스캔 결과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하여 공기조화기 시스템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스캔 범위 설정 항목(910), 상위 항목(920), 스캔 항목(930), 그룹 설정 항목(9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이 수행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스캔 결과 항목(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범위 설정 항목(910)은, 유닛 찾기를 위한 스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끝은 스캔 범위를 반경 10M 이내의 좁은 범위로 지정하고, 우측 끝은 스캔 범위를 반경 500M 이내의 넓은 범위를 지정하며, 중앙 지점은 스캔 범위를 반경 100M 이내의 중간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상위 항목(920)은 이동 단말기(200)의 기기 정보, 맥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위 항목(920)은 특정 그룹이 선택된 경우에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위 항목(920)에는 선택되는 항목에 관련된 상세 정보, 명령 수행 결과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스캔 항목(930)은 복수의 유닛에 대한 탐색 명령에 대응하는 항목이고, 그룹 설정 항목(940)은 실내기와 실외기를 소정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다.
사용자는 스캔 항목(930)을 선택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유닛에 대한 탐색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캔 결과 화면은 응답 신호가 수신된 유닛들에 대응하는 항목들(1110, 1120, 1130, 1140)을 포함할 수 있고, 항목들(1110, 1120, 1130, 1140)은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큰 순서부터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각 항목들(1110, 1120, 1130, 1140)은, 각 유닛의 명칭 정보(1111, 1121, 1131, 1141), 맥 어드레스 또는 기타 식별 정보(1112, 1122, 1132, 1142), 위치 확인 메뉴 항목(1113, 1123, 1133, 11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유닛의 명칭 정보(1111, 1121, 1131, 1141)가, 실내기에 대응하는 항목(1121, 1131)은 'IDU'로 표시되고, 실외기에 대응하는 항목(1111, 1141)은 'ODU'로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사용자는 유닛의 명칭 정보(1111, 1121, 1131, 1141)를 보고 더욱 빠르게 자신이 원하는 기기를 찾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캔 결과 화면에 포함되는 항목들(1110, 1120, 1130, 1140)은, 위치 확인 메뉴 항목(1113, 1123, 1133, 1143), 복사 항목(1114, 1124, 1134, 1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스캔 결과 화면을 보고, 항목들(1110, 1120, 1130, 1140)에 대응하는 위치 확인 메뉴 항목(1113, 1123, 1133, 114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찾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사용자는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1 항목(1110)에 대응하는 위치 확인 메뉴 항목(1113)을 선택하여, 해당 유닛을 찾을 수 있다.
위치 확인 메뉴 항목(1113)이 선택되면,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300)은 제1 항목(1110)에 대응하는 유닛으로 찾기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항목(1110)에 대응하는 유닛은 피드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스캔 결과 화면에서 유닛들을 선택한 후에 그룹 설정 항목(940)을 선택하여, 선택된 기기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그룹으로 지정된 기기들을 그룹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캔 결과 화면에 포함되는 항목들(1110, 1120, 1130, 1140)은, 복사 항목(1114, 1124, 1134, 1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복사 항목(1114, 1124, 1134, 1144)을 선택하여, 그룹 ID를 스크린 키보드 사용 없이 간편하게 복사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설정된 그룹에 개별 유닛을 하나씩 추가할 때 특히 유용하다.
한편,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가 유선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는 유선 통신선을 보고 직관적으로 그룹을 설정하거나 현재의 그룹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는 특정 실내기를 원하는 실외기가 아닌 다른 실외기로 그룹 설정을 잘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특정 유닛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룹을 설정하는 것이 설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 중에 특정 유닛을 찾고자 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휴대하고 사용중인 이동 단말기(200)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운 유닛을 더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특정 유닛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제품 위치 파악을 위한 스캔 소요 시간 개선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유중인 채널만 유닛 유무를 확인하여 빠르게 스캔함으로써, 유닛 위치 파악을 위한 스캔 리스트(SCAN List)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채널(CH1)부터 제20 채널(CH20)까지 전체 채널에 대해서 무선 통신 신호에 의한 에너지를 검출하는 에너지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에너지 스캔은 전체 채널에 대해서 약 1초가 소요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에너지가 검출되어 현재 점유중인 채널에 대해서 유닛 유무를 탐색하고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스캔 결과 점유중인 채널이 제1 채널(CH1)과 제20 채널(CH20)이라면,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채널(CH1)과 제20 채널(CH20)에 대해서 소정 크기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1 채널(CH1)과 제20 채널(CH20)을 사용하면서 탐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에 존재하는 유닛을 탐색할 수 있다.
기존에는 순차적으로 제1 채널(CH1)부터 제20 채널(CH20)까지 스캔을 순착적으로 실시하였다. 예를 들어, 제1 채널(CH1)에 대한 유닛 유무를 확인한 후에, 제2 채널(Ch2)에 대한 유닛 유무를 확인하고, 마지막 제20 채널(CH20)까지 동일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경우에, 각 채널 당 약 10초의 응답 대기 시간이 설정되어,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채널에 대한 스캔 및 응답 대기에 시간이 낭비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유중인 채널이 제1 채널(CH1)과 제20 채널(CH20)에 대해서만 유닛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채널에 대한 스캔 및 응답 대기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팅(Broad Casting) 패킷으로 탐색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유닛 유무를 확인하는 응답 시간까지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캔 리스트(SCAN List)는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 순서로 유닛들을 정렬하어 표시함으로써, 작업자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유닛을 제일 위에(먼저)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유닛 중 특정 유닛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탐색된 유닛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각 유닛 및 이동 단말기가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실외기
20: 실내기
50: 제어기
100: 전자 기기(유닛)
200: 이동 단말기

Claims (11)

  1.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하는 실외기 및,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그룹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상기 그룹에 설정된 통신 채널로 무선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캔 명령 입력 또는 기설정된 특정 이벤트(event)의 발생에 따라, 유닛을 찾기 위한 스캔 서치(scan search)가 시작되면, 상기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와 무선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에 대해서 탐색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탐색 신호를 수신한 유닛들이, 상기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을 포함하는 스캔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에 대해서 탐색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점유중인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점유중인 통신 채널들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순차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점유중인 통신 채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점유중인 제1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제1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에, 점유중인 제2 통신 채널의 주파수를 가지는 탐색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결과 화면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을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결과 화면에 포함되는 유닛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위치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위치 확인 입력이 수신된 유닛으로 소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신호를 수신한 유닛이 기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채널 부하량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소정값 이상의 에너지가 검출된 통신 채널을 점유중인 통신 채널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채널 부하량을 확인하는 과정을 소정 횟수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80014156A 2018-02-05 2018-02-05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56A KR102000070B1 (ko) 2018-02-05 2018-02-05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56A KR102000070B1 (ko) 2018-02-05 2018-02-05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070B1 true KR102000070B1 (ko) 2019-07-15

Family

ID=6725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56A KR102000070B1 (ko) 2018-02-05 2018-02-05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17B1 (ko) * 2020-07-15 2020-09-29 이종훈 온도차 기반의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559A (ko) * 2008-09-30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검색 방법
JP2012021170A (ja) * 2011-10-31 2012-02-02 Mitsubishi Plastics Inc 塗布フィルム
KR20120081485A (ko) * 2011-01-11 201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의 통신 방법
KR20160077992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채널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559A (ko) * 2008-09-30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검색 방법
KR20120081485A (ko) * 2011-01-11 201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의 통신 방법
JP2012021170A (ja) * 2011-10-31 2012-02-02 Mitsubishi Plastics Inc 塗布フィルム
KR20160077992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채널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17B1 (ko) * 2020-07-15 2020-09-29 이종훈 온도차 기반의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448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US1085202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KR102251549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US1076081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KR10213746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000070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135082B1 (ko)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56170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0069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15754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US11879655B2 (en) Air conditioner
KR1023936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642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4306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43065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7204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927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06363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007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9585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493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전자 기기
JP2005249337A (ja) 冷凍・空調装置、冷凍・空調装置の制御方法
KR20190048076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