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976A - 분리 조립식 도마 - Google Patents

분리 조립식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976A
KR20170079976A KR1020150191092A KR20150191092A KR20170079976A KR 20170079976 A KR20170079976 A KR 20170079976A KR 1020150191092 A KR1020150191092 A KR 1020150191092A KR 20150191092 A KR20150191092 A KR 20150191092A KR 20170079976 A KR20170079976 A KR 20170079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rotrusion
protruding
boar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성환
Original Assignee
편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성환 filed Critical 편성환
Priority to KR102015019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976A/ko
Priority to PCT/KR2016/015474 priority patent/WO2017116162A1/ko
Publication of KR2017007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는 제1도마부 및 제1도마부로부터 탈, 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측부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손잡이 개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밴딩시키는 제2도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리 조립식 도마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조립식 도마{SEPARATATION ASSEMBLING CHOPPING BOAR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식 재료를 손질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손질한 재료를 용기에 바로 투하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리 조립식 도마에 관한 것이다.
도마는 각종 야채나, 고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식 재료를 손질하기 위해 주방에서 사용되는 용품 중 하나이다. 기존의 도마는 나무 등을 주로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위생상의 문제나, 유지 관리 또는 사용의 편리함 등을 위해 다양한 재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도마는 재료의 손실을 용이하게 하거나, 재료 손질 시 도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드하게 형성하거나, 소정의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다.
또한, 도마를 제작할 때 두 가지 재질을 함께 사용하여, 예컨대 외부 재질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고, 내부 재질은 펄프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도마를 제작하기도 한다. 이 경우 내부 재질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재질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도마는, 주로 수분이 많이 함유되거나 다양한 식재료들이 올려져 손질됨에 따라 다양한 세균 등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생상의 이유로 도마를 세척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물이나 세제 등을 통해 세척하여 자연 살균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나무 재질의 도마의 경우 세제를 사용하게 되면 나무 사이 사이로 세제가 스며들거나 기존의 식재료들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스며들어 깨끗하게 세척이 될 수 없으며, 세균 번식이 용이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합성 수지로 구비되는 도마의 경우에도 하드하게 제작됨에 따라 물이나 세제 등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자연 살균을 할 수 밖에 없으며, 칼 등에 따른 흠집의 발생에 따라 미세한 흠집 사이 사이로 기존의 식재료들에서 발생되는 수분 등이 유입되어 세척에 따라 세균들을 완벽하게 살균 할 수 없다.
또한, 도마의 경우, 식재료를 손질 시 유동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일면, 예컨대 바닥면으로 별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마의 일면 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마는 미사용 시에는 별도의 보관 장소에 구비하다가 사용 시에는 보관 장소에서 꺼내 사용한다. 그런데, 도마에 별도의 유동 방지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 식재료의 손질 시 도마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도마의 무게를 증가 시켜 움직임을 방지하는데, 도마의 무게에 따라 사용자가 도마의 사용에 따른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마는 하드하게 제작되는데 이 경우, 식재료에 수분이 많은 경우 예컨대 김치 등이나 고기 등을 손질 할 때 도마 외측으로 수분이 넘쳐 흘러 사용자가 추후 도마 주변으로 흘러 별도로 주변을 정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마에서 손질한 재료를 조리하기 위해 조리 기구에 넣을 때 식재료가 손질된 도마를 조리 기구의 입구에 놓고 재료를 투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조리 기구의 입구에 도마를 잘 맞추어도 손질한 재료들이 조리 기구 밖으로 떨어져 식재료의 손실은 물론 추후 주변을 별도로 정리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마에서 손질한 재료를 조리 기구에 넣을 때, 사용자가 도마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도마 상에 준비된 식재료들이 용기, 예컨대 조리 기구나 그릇 등의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식재료를 손질하는 도마를 양면으로 다 사용할 수 있으며, 일면 또는 타면으로 식재료를 손질할 때 도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체형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도 세척을 가능하게 하며, 분리와 조립이 용이한 분리 조립식 도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도마는 제1도마부; 및 상기 제1도마부로부터 탈, 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측부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손잡이 개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밴딩시키는 제2도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는, 제1도마부; 및 상기 제1도마부로부터 탈, 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도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마부는 적어도 일측부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 개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개구의 주변부는 상기 제1도마부의 외측면보다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는, 제2도마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 개구를 구비하여, 손잡이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한 쪽 손으로 제2도마부를 용이하게 쥘 수 있음은 물론, 쥔 상태에서 제2도마부를 밴딩시킬 수 있어, 제2도마부 상에 준비된 손질된 재료를 중앙으로 모아줄 수 있어, 제2도마부 상에 준비된 재료를 중앙으로 용이하게 모을 수 있고, 용기의 주변으로 이탈되지 않고 용기에 쉽고, 깔끔하게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는, 제2도마부의 손잡이 개구 주변을 제1도마부의 외측보다 돌출되게 구비하여 사용자가 제2도마부를 제1도마부에 탈, 부착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는, 제2도마부의 주변 둘레를 내측으로 커버 또는 라운딩 처리함에 따라,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제2도마부를 제1도마부에서 탈부착할 수 있고 밴딩 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변형된 제2도마부만 조리 기구로 옮기면 됨에 따라 사용자가 들어야 하는 도마의 하중 부담감도 저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도마가 각각 일면과 타면에 배치됨에 따라 식 재료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면으로 식재료를 손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마의 일면, 예를 들어 나무나 합성 수지 등의 제1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도마부에서 식재료를 손질하는 경우, 도마의 다른면에 구비된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 등의 제2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도마부가 바닥면과 밀착됨에 따라 도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도마의 타면,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 등의 제2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도마부에서 식재료를 손질하는 경우, 도마의 일면에 구비된 재질, 예를 들어 나무나 합성 수지 등의 제2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도마부의 하중으로 인해 도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는 제1도마부와 제2도마부가 서로 분리 및 조립될 수 있어, 제1도마부와 제2도마부를 별도로 세척할 수 있고, 제1도마부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플렉서블한 제2도마부의 경우 삶거나 또는 전자 레인지 등을 통해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어 도마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1도마부에 제2도마부의 주변둘레에 대응되도록 돌기부를 형성함에 따라 제2도마부가 제1도마부에 결합 시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게 함은 물론 제1도마부에서 제2도마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의 다른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1도마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1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제1돌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1도마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1돌기부가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1돌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1도마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1도마부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2도마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2도마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손잡이 개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며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2도마부의 실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분리형의 제2돌기부가 제2도마부의 테두리 전체면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분리형의 제2돌기부가 제2도마부의 테두리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1도마부와 제2도마부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의 다른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 조립식 도마(100)는, 제1도마부(110)와 제2도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는 제2도마부(120)가 플렉서블하게 구비되어, 제1도마부(110)에서 분리, 결합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자가 제2도마부(120)의 일측부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 개구(124)를 통해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쉽게 잡고 밴딩할 수 있도록 하여 제2도마부(120) 상에서 손질된 재료들을 용이하게 용기 등에 집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2도마부(120)가 제1도마부(110)에 결합이나 분리될 때, 용이하게 탈, 부착될 수 있도록 제2도마부(120), 구체적으로 손잡이 개구(124)의 주변 둘레가 제1도마부(110)의 외측보다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할 수 있다.
또한, 제1도마부(110)와 제2도마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도마부(110)의 노출된 면(후술하는 '제1면(111)'에 해당됨.) 또는 제2도마부(120)의 노출된 면(후술하는 '제4면(121)'에 해당됨.)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통해 식재료를 손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도마부(110)의 제1면(111)을 통해 식재료를 손질하는 경우, 제2도마부(120)는 분리 조립식 도마(100)의 바닥에 해당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제2도마부(120)의 제4면(121)을 통해 식재료를 손질하는 경우, 제1도마부(110)는 분리 조립식 도마(100)의 바닥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제1도마부(110)는 하드하게 구비되는 구성으로, 나무 재질이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도마부(110)는 식재료의 손질 및 후술하는 제2도마부(120)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제1면(111)과 제2면(11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면(11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재료를 손질하도록 구비되는 면이면서, 후술하는 제2도마부(120)의 제4면(121)을 통해 식재료 손질하는 경우 도마(100)의 바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면(112)은 제1면(111)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며, 후술하는 제2도면부의 일면, 구체적으로는 제3면(122)과 대면되는 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1도마부(11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1면(111)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제1돌기부(115)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1도마부(11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참조하면, 제1면(111)의 테두리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이하 '제1돌기부(115)'라 함.)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돌기부(115)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첫번째로 사용자가 제1도마부(110), 예컨대 제1면(111)을 사용하여 수분이 많이 함유된 식재료를 손질하는 경우,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외부로 수분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두번째로 사용자가 제2도마부(120) 예컨대 제4면(121)을 사용하여 식재료를 손질하는 경우, 제1돌기부(115)는 도마(100)가 놓이는 테이블 등에 놓여 도마(100)가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사용 여부에 따라 수분이 많은 음식에서 수분이 제1도마부(110)의 외측으로 흘러 넘침을 방지하거나 또는 테이블에 놓여 제4면(121)을 사용할 때 도마(100)가 테이블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제1돌기부(115)는 제1도마부(110)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도 5 및 후술하는 도 8 함께 참조). 도 5는 제1돌기부(115)가 제1도마부(110)의 테두리 전체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후술하나, 도 8은 제1돌기부(115)가 제1도마부(110)의 테두리 전체면에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일 몸체(one body)'는 두 개의 구성물이 결합 부분이 없으며, 서로 분리 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일컬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마부(110)가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성형을 통해 제1면(111)의 테두리에 제1돌기부(115)가 함께 성형됨에 따라 제1면(111)과 제1돌기부(115)는 같은 재질을 가지며 제3면(122) 없이 제1도마부(110)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6 내지 도 8은 제1돌기부(115)가 제1면(111)에 일 몸체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분리 형'은 서로 같은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재질이 서로 다르게 공정된 후 이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1면(111) 및 제2면(112)을 가진 플레이트를 먼저 합성 수지 재질 또는 나무 등으로 성형하고, 제1돌기부(115)를 합성 수지 재질 또는 별도의 미끄럼 방지 재질, 예컨대 실리콘 등으로 별도로 성형한 후, 접착제 또는 결합 구조 등을 통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도 10 내지 도 11에서 제1돌기부(115)가 제1면(111)에 분리 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테두리 전체면이 아니라, 테두리 전체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각각의 모서리 위치로 복수개의 돌기,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돌기들(115a~115d)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각 모서리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로가 대향하는 테두리 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제1돌기부(115)의 형상, 구조, 구성 및 개수 등은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1돌기부(115)가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1돌기부(115)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1도마부(11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도마부(110)에서, 제1돌기부(115)가 제1면(111)에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돌기부(115)도 앞선 실시 예(도 6 내지 도 8의 '제1돌기부(115)'에 해당됨)의 제1돌기부(115)와 같이 두 가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사용 여부에 따라 수분이 많은 음식에서 수분이 제1도마부(110)의 외측으로 흘러 넘침을 방지하거나 또는 테이블에 놓여 제4면(121)을 사용할 때 도마(100)가 테이블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제1돌기부(115)는 제1도마부(110)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형성되도록 오링 형상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도 8 참조).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에 접착제 또는 별도의 체결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돌기부(115)와 제1면(111)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돌기부(115)가 제1면(111)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면(111)의 테두리 상에 제1돌기부(115)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고, 제1돌기부(115)가 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도 8을 참조하면,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면(111)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테두리 전체면이 아니라, 테두리 전체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각각의 모서리 위치로 복수개의 돌기(115a~115d)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돌기부(115)는 제1면(111)의 각 모서리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로가 대향하는 테두리 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제1돌기부(115)의 형상, 구조, 구성 및 개수 등은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1도마부(110)의 제2면(11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도마부(110)의 제2면(112)은 제2도마부(120)의 제3면(122)과 결합되는 면이다. 제1도마부(110)의 제2면(112)에는 제2도마부(120)가 제1도마부(110)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2도마부(120)의 둘레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할 수 있다.
또한, 제2면(112)에는 후술하는 제2도마부(120)에 형성되는 개구(124)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구(124)의 위치로 안착돌기(1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2도마부(12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2도마부(120)의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도마부(120)는 제1도마부(110)에 탈,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밴딩되거나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도마부(120)는 식재료의 손질 및 상술한 제1도마부(110)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제4면(121)과 제3면(122)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4면(121)과 제3면(122) 사이의 둘레면(1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4면(12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재료를 손질하도록 구비되는 면이면서, 상술한 제1도마부(110)의 제1면(111)을 통해 식재료 손질하는 경우 도마(100)의 바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3면(122)은 제4면(121)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며, 제1도마부(110) 제2면(112)과 맞물려 결합되는 면이다.
제2도마부(120)는 사용에 따라 제1도마부(110)에서 이탈되면서 밴딩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제2도마부(120)의 밴딩 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밴딩할 수 있도록 제2도마부(120)의 둘레면(123)에는 라운딩 처리된 부분(123a~123e)들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도마부(120)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측 둘레면(123),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개구(124)가 구비되는 일측 둘레면에는 제1커브부(first curve portion)(123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브부(123a)는 한 쌍의 개구(124) 사이에서 제1도마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도마부(120)의 둘레면 중 상기 일측 둘레면과 연결되는 양측 둘레면(123)에는 내측으로 라운딩 된 제2커브부(123b) 및 제3커브부(123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브부(123a)가 형성된 일측 둘레면(123)과 대향하는 제2도마부(120)의 타측 둘레면(123) 양단부에는 볼록한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된 한 쌍의 곡선부(123d, 123e)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브부(123a)는 사용자가 후술하는 개구(124)를 통해 제2도마부(120)를 잡고 밴딩할 때 그 힘을 분산시켜 적은 힘으로 제2도마부(120)가 제1도마부(110)에서 이탈 및 밴딩될 수 있도록 하며, 제2커브부(123b) 및 제3커브부(123c) 및 곡선부(123d, 123e)도 사용자가 제2도마부(120)의 일측 부분을 잡고 밴딩 시 그 힘을 분산시켜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제2도마부(120)의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개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며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에서, 제2도마부의 실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도마부(120)는 제1도마부(110)에서 분리 결합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제2도마부(120)를 제1도마부(110)에서 잡고 분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한 쌍의 손가락 개구(124)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손가락 개구(124)는 제2도마부(120)의 적어도 일측부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직사각형과 유사하게 형성된 제2도마부(120)에서는 4 개의 모서리 중 서로 이웃한 두 개의 모서리 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두 개의 손가락 개구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손가락 개구(124)로 사용자의 한쪽 손, 예컨대 도시된 도 15와 같이 왼쪽 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각각 서로 대향한 손가락 개구(124)에 끼우면 제2도마부(120)의 양측면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고, 재료가 제2도마부의 접힌 밴딩 부분(중앙 부분)으로 모일 수 있다.
즉, 제1도마부(110) 제2도마부(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도마부의 제4면(121)을 사용하여 식재료를 손질하는 경우, 제2도마부(120)의 제4면(121)상에는 손질된 식재료가 놓여지게 된다. 손질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한 쪽 손의 엄지와 검지를 손잡이 개구(124)에 끼운 상태에서 쥐는 것과 같이 힘을 가하게 되면, 제2도마부(120)는 제1도마부(110)에서 결합이 해제되면서 플렉서블한 제2도마부(120)의 양 측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도마부(120)의 중앙을 기점으로 접히게 된다.
제4면(121) 상에 준비된 식재료는 제4면(121)의 중앙 측으로 모아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접힌 제2도마부(120)를 조리기구의 입구에 놓고 기울이게 되면, 제4면(121)의 중앙에 모인 식재료들이 일제히 조리기구 안으로 투하될 수 있어, 조리기구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개구(124)에는 상기 한 쌍의 개구(124)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파여지는 홈(124a)이 더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한쌍의 개구(124)에 끼워진 상태에서 밴딩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개구(124)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대적으로 쥐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도마부(120)가 제1도마부(110)에 결합될 때, 손가락 개구(124)의 주변둘레는 제2도마부의 외측 둘레보다 돌출되도록 돌출면(127, 도 1a 및 도 15 함께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면(127)이 형성됨에 따라 제2도마부(120)가 제1도마부(110)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탈될 때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도마부(120)의 제4면(121)에는 제4면(121)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이하 '제2돌기부(125)'라 함.)가 구비될 수 있다(도 12 및 도 13 참조).
상기 제2돌기부(125)는 상기 제4면(121)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제4면(121)의 전체면 중 적어도 부분들이 서로 이격되어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부(125)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로 사용자가 제2도마부(120), 예컨대 제4면(121)을 사용하여 수분이 많이 함유된 식재료를 손질하는 경우, 제2돌기부(125)는 제4면(121)의 외부로 수분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두번째로 사용자가 제1도마부(110) 예컨대 제1면(111)을 사용하여 식재료를 손질하는 경우, 제2돌기부(125)는 도마(100)가 놓이는 테이블 등에 놓여 도마(100)가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돌기부(125)는 제4면(121)의 사용 여부에 따라 수분이 많은 음식에서 수분이 제2도마부(120)의 외측으로 흘러 넘침을 방지하거나 또는 테이블에 놓여 제1면(111)을 사용할 때 도마(100)가 테이블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돌기부(125)는 제4면(121)과 일체형으로 제2도마부(120)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도 12 및 도 13 함께 참조).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2돌기부(125)는 제4면(121)과 일체형으로 제2도마부(120)의 테두리 전체면 중 적어도 일부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잇다. 또한, 제2돌기부(125)는 후술하나,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제2돌기부(125)가 제2도마부(120)의 테두리 전체면 또는 일부에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체형(one body type)'는 두 개의 구성물이 결합 부분이 없으며, 서로 분리 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일컬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도마부(120)가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성형을 통해 제4면(121)의 테두리에 제2돌기부(125)가 함께 성형됨에 따라 제4면(121)과 제2돌기부(125)는 같은 재질을 가지며 제3면(122) 없이 제2도마부(120)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형(separate body type)'은 서로 같은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재질이 서로 다르게 공정된 후 이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4면(121) 및 제3면(122)을 가진 플레이트를 먼저 실리콘 재질로 성형하고, 제2돌기부(125)를 합성 수지 재질 또는 별도의 미끄럼 방지 재질, 예컨대, 실리콘 재질 등으로 별도로 성형한 후, 접착제 또는 결합 구조 등을 통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분리형의 제2돌기부(125)가 제2도마부(120)의 테두리 전체면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분리형의 제2돌기부(125)가 제2도마부(120)의 테두리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도마부(120)에서, 제2돌기부(125)가 제4면(121)에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돌기부(125)는 제4면(121)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4면(121)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고(도 14), 이와는 달리 제4면(121)의 테두리 전체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도 15).
한 실시 예에서 제2돌기부(125)는 제4면(121)의 각각의 모서리 위치로 서로 가 서로에게 이격되어 분리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2돌기부(125)는 제4면(121)의 각 모서리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로가 대향하는 테두리 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제2돌기부(125)의 형상, 구조, 구성 및 개수 등은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조립식 도마(100)에서, 제1도마부(110)와 제2도마부(120)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 도 18e를 참조하면,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도마부(110)의 제2면(112)에는 제2도마부(120)가 제1도마부(110)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2도마부(120)의 둘레면과 맞물리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113)는 상기 제1도마부(110)의 제2면(112)에서 상기 제2도마부(120) 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131, 1132)로 구비될 수 있다(도 17의 (a) 및 (b)참조).
결합부(113)는, 제1커브부의 라운딩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제1커브부(123a)가 안착되게 돌출되는 제1돌기(113a)와, 제2커브부(123b)의 라운딩 형상에 대응되어 제2커브부(123b)가 안착되게 돌출되는 제2돌기(113b)와, 제3커브부(123c)의 라운딩 형상에 대응되어 제3커브부(123c)가 안착되게 돌출되는 제3돌기(113c) 및 곡선부(123d, 123e)에 대응되어 곡선부(123d, 123e)가 안착되게 돌출되는 제4돌기(113d, 113e)가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 18a와 같이, 결합돌기(1131)의 단부에는 상기 제2도마부(120)의 둘레면에 걸리는 후크부가 형성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8b와 같이, 결합돌기(1132) 만으로 구비되어 제2도마부(120)의 둘레면이 맞물려 안착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실리콘 재질의 제2도마부(120)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결합돌기 등이 구비되지 않고, 제2도마부(120)가 제1도마부(110)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8c와 같이, 제1도마부(110)의 제2면(112)과 제2도마부(120)의 제3면(122) 사이에 탈 부착 가능한 접착제(1133), 예를 들어 접착력을 가진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 등이 구비되어 제1도마부(110)와 제2도마부(120)를 탈, 부착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8d나 도 18e와 같이, 제2도마부(120)의 제3면(122)에는 결합부(113)와 대응되게 돌출 돌기(126) 또는 인입 홈(127)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결합부(113)는 돌출돌기(126)와 결합되는 결합 개구(1134) 또는 상기 인입 홈(127)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입 돌기(1135)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8d와 같이, 제2도마부(120)의 제3면(122)에는 돌출 돌기(126)가 형성되고, 결합부(113)는 돌출 돌기(126)에 맞물리는 결합 개구(1134)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돌기(126)의 단부에는 돌출 돌기(126)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 볼(126a)이 구비되고, 결합 개구(1134)에는 결합 볼(126a)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 홀(1134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돌출 돌기(126) 및 결합 볼(126a)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돌출 돌기(126)가 결합 개구(1134)에 끼워지면 돌출 돌기(126) 및 결합 볼(126a)은 탄성력에 의해 그 형태가 변하면서 결합 개구(1134)에 끼워지고, 결합 볼(126a)이 고정 홀(1134a)에 맞물려 안착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8e와 같이, 제2도마부(120)의 제3면(122)에는 인입 홈(127)이 형성되고, 결합부(113)는 인입 홈(127)에 맞물리는 인입 돌기(1135)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인입 돌기(1135)의 단부에는 인입 돌기(1135)보다 크게 형성되는 인입 볼(1135a)이 구비될 수 있고, 인입 홈(127)에는 인입 볼(1135)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결합 홈(127a)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이에, 인입 홈(127) 및 결합 홈(127a)은 탄성력을 가지므로, 인입 돌기(1135) 및 인입 볼(1135a)이 인입 홈(127)에 끼워지면, 인입 홈(127)은 탄성력에 의해 인입 돌기(1135) 및 인입 볼(1135a)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형태가 변하게 되고, 인입 볼(1135a)이 인입 홈(127a)에 맞물려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도마부(110)는 제2도마부(120)에서 분리될 수 있어, 제1도마부(110)는 제2도마부와 별도로 세척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도마부(120)도 제1도마부(110)와 별도로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마부(110)와 제2도마부(120)를 별도로 고온의 스팀으로 세척할 수 있고, 제2도마부(120)는 밴딩될 수 있으므로 뜨거운 수건 등을 감싼 후 전자 레인지와 같은 기기에서 구동됨에 따라 살균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개시된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리 조립식 도마 110: 제1도마부
120: 제2도마부

Claims (21)

  1. 분리 조립식 도마에 있어서,
    제1도마부; 및
    상기 제1도마부로부터 탈, 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측부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손잡이 개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밴딩시키는 제2도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개구의 주변부는 상기 제1도마부의 외측보다 돌출된 돌출 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마부는 하드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도마부의 사용 시에는 상부로 노출되어 재료를 손질하고, 상기 제2도마부의 사용 시에는 바닥에 밀착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도마부가 결합되는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도마부는 플렉서블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면에 탈, 부착되는 제3면과, 상기 제3면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도마부의 사용이나 상기 제2도마부의 사용에 따라 재료를 손질하거나 바닥에 밀착되는 제4면을 구비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마부의 상기 일측부 테두리로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개구 사이로 상기 제2도마부의 내측 방향으로 라운딩된 제1커브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도마부의 상기 일측부 테두리와 연결되는 양측 둘레면에는 각각 서로 내측으로 라운딩된 제2커브부 및 제3커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테두리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면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제1면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도마부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마부의 상기 일측부와 대향하는 타측부에는 라운딩 처리된 한 쌍의 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마부의 상기 제2면에는 상기 제2도마부의 둘레면이 안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면에서 상기 제2도마부 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커브부의 라운딩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제1커브부가 안착되게 돌출되는 제1돌기;
    상기 제2커브부의 라운딩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제2커브부가 안착되게 돌출되는 제2돌기;
    상기 제3커브부의 라운딩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제3커브부가 안착되게 돌출되는 제3돌기; 및
    상기 곡선부에 대응되어 상기 곡선부가 안착되게 돌출되는 제4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2도마부의 둘레면에 걸리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에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돌출 돌기 또는 인입 홈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출돌기와 결합되는 결합 개구 또는 상기 인입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입 돌기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에는 상기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출 돌기에 맞물리는 상기 결합 개구로 구비되며,
    상기 돌출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돌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결합 볼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개구에는 상기 결합 볼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마부의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인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입 홈에 맞물리는 인입 돌기로 구비되며,
    상기 인입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인입돌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인입 볼이 구비되고, 상기 인입 홀에는 상기 인입 볼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결합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면에는 상기 제4면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4면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제1면의 테두리 전체면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분리 조립식 도마.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도마부에 일체형 또는 분리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는 상기 개구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개구에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개구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파여지는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21. 분리 조립식 도마에 있어서,
    제1도마부; 및
    상기 제1도마부로부터 탈, 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도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마부는 적어도 일측부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 개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개구의 주변부는 상기 제1도마부의 외측면보다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조립식 도마.
KR1020150191092A 2015-12-31 2015-12-31 분리 조립식 도마 KR20170079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092A KR20170079976A (ko) 2015-12-31 2015-12-31 분리 조립식 도마
PCT/KR2016/015474 WO2017116162A1 (ko) 2015-12-31 2016-12-29 분리 조립식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092A KR20170079976A (ko) 2015-12-31 2015-12-31 분리 조립식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976A true KR20170079976A (ko) 2017-07-10

Family

ID=5922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092A KR20170079976A (ko) 2015-12-31 2015-12-31 분리 조립식 도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79976A (ko)
WO (1) WO20171161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68A (ko) 2018-06-01 2019-12-11 임성운 식재료 보관이 가능한 분리형 도마
KR20200030814A (ko) * 2018-09-13 2020-03-23 도창회 도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3699S1 (en) 2022-06-23 2024-04-23 BigNJ, Inc. Cutting boar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452A (ko) * 2008-04-15 2009-10-20 김환동 분리조립식 위생양면도마
KR20110024314A (ko) * 2009-09-02 2011-03-09 김미경 박판도마 각각이 분리되는 박판도마 카트리지를 이용한 도마
KR20110006961U (ko) * 2010-01-04 2011-07-12 강태구 일회용 도마
JP3180421U (ja) * 2012-09-29 2012-12-20 新輝合成株式会社 まな板
KR20150087930A (ko) * 2014-01-23 2015-07-31 진수 하 상판이 분리되는 도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68A (ko) 2018-06-01 2019-12-11 임성운 식재료 보관이 가능한 분리형 도마
KR20200030814A (ko) * 2018-09-13 2020-03-23 도창회 도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6162A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470B1 (en) Cutting board with funnel
JP3217854U (ja) ケース付きまな板
KR20170079976A (ko) 분리 조립식 도마
JP2015527143A (ja) 容器に載置するキッチン用具、キッチン用具とさまざまな機能的ユニットとを備えたキッチン用具セット
CN106993953B (zh) 用于夹持烹饪器具的多轴机械手及自动烹饪机用烹饪器具
KR20100105225A (ko) 착탈형 미끄럼 방지부를 갖는 청결 경량구조의 대나무 도마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50088Y1 (ko) 조립형 집게
KR102181890B1 (ko) 도마
KR101452153B1 (ko) 주방용 조리기구
CN116322440A (zh) 具备按压板的多用途烹饪器具
US20110180981A1 (en) Interchangeable cutting board device with detachable cutting assembly
KR101697691B1 (ko) 시트 교환형 도마
KR200377364Y1 (ko) 위생 양면 도마
KR200479353Y1 (ko) 식재료 손질을 위한 조리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도마세트
KR20130138454A (ko) 위생적 양면 사용이 가능한 도마
KR20090000531U (ko) 다목적 조리기구
US20090133493A1 (en) Measuring scoop for prep cooking
KR20140005529U (ko) 도마셋트에 사용되는 위생 도마
KR20190119768A (ko) 탈 부착형 다기능 조리도구
KR100973440B1 (ko) 일회용 용기
CN213605990U (zh) 新型净菜放置盒及放置装置
CN109700400A (zh) 台阶式水槽清洗机
KR101467550B1 (ko)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분리형 조리기구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130004595U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