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88Y1 - 조립형 집게 - Google Patents

조립형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88Y1
KR200450088Y1 KR2020080009558U KR20080009558U KR200450088Y1 KR 200450088 Y1 KR200450088 Y1 KR 200450088Y1 KR 2020080009558 U KR2020080009558 U KR 2020080009558U KR 20080009558 U KR20080009558 U KR 20080009558U KR 200450088 Y1 KR200450088 Y1 KR 200450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assembled
handle portion
present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898U (ko
Inventor
김정순
Original Assignee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2020080009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8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8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8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부와 조립형 집게부가 분리된 상태로 각각 제작하여 각각 분리된 손잡이부와 조립형 집게부를 분해하거나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작원가가 절감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형 집게에 관한 것이다.
조립형 집게, 손잡이부, 조립형 집게부

Description

조립형 집게{constructing gripper}
본 고안은 조립형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부와 조립형 집게부가 분리된 상태로 각각 제작하여 각각 분리된 손잡이부와 조립형 집게부를 분해하거나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작원가가 절감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형 집게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음식 용구는 크게 나누어 목재,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으며 사용 후 폐기되는 일회용과 사용후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반복용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용구는 일반적으로 포장이 된 상태로 공급되어 손님이 직접 이를 개봉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매우 위생적인 장점이 있지만 한번 사용후 폐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후자의 용구는 반복해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세척과 소독을 철저히 하지 못할 경우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손잡이부와 조립형 집게부가 분리된 상태로 각각 제작하여 각각 분리된 손잡이부와 조립형 집게부를 분해하거나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작원가가 절감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형 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조립형 집게부는 손잡이부의 양쪽에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형 집게부를 삽입하거나 손잡이부의 양쪽에 야채를 집을 수 있는 야채형 집게부를 삽입하거나 손잡이부의 양쪽에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는 후라이팬용 뒤집개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조립형 집게부는 손잡이부의 한쪽에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형 집게부를 삽입하고 다른 한쪽에 야채를 집을 수 있는 야채형 집게부 또는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는 후라이팬용 뒤집개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는 손잡이부와 조립형 집게부가 분리된 상태로 각각 제작하여 각각 분리된 손잡이부와 조립형 집게부를 분해하거나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작원가가 절감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특성을 가지며 사용자의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발생하기 쉬운 불결성이나 불쾌감, 전염병 전파, 세균감염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취사도구의 개량화로 건강한 식사와 식도락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형 집게부(30)를 삽입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양쪽 하단에 삽입소켓(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형 집게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소켓(12)의 외측면에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10); 상기 손잡이부(10)의 삽입소켓(12)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삽입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돌기(32)의 외측면에 걸림홈(34)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형 집게부(30, 30-1, 30-2); 조립형 집게부(30)의 삽입돌기(32)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42)과 고정돌기(44)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구(40); 손잡이부(10)의 삽입소켓(12)에 조립형 집게부(30)의 삽입돌기(32)를 삽입하여 손잡이부(10)의 걸림홈(14)과 조립형 집게부(30)의 걸림홈(34)이 겹쳐진 상태에서 걸림홈(14, 34)에 고정돌기(22)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고정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에 있어서 조립형 집게부는 뜨거운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형 집게부(30); 야채를 집을 수 있는 야채집게형 집게부(30-1); 및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는 후라이팬용 뒤집개(30-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에 있어서 손잡이부는 내측에 압착축(16, 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에 있어서 고정구는 한쪽에 시이소누름판(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는 손잡이부(10)와 조립형 집게부(30, 30-1, 30-2)가 분리된 상태로 각각 제작하여 각각 분리된 손잡이부(10)와 조립형 집게부(30, 30-1, 30-2)를 분해하거나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조립형 집게부는 손잡이부(10)의 양쪽에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형 집게부(30)를 삽입하거나 손잡이부(10)의 양쪽에 야채를 집을 수 있는 야채형 집게부(30-1)를 삽입하거나 손잡이부(10)의 양쪽에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는 후라이팬용 뒤집개(30-2)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조립형 집게부는 손잡이부(10)의 한쪽에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형 집게부(30)를 삽입하고 다른 한쪽에 야채를 집을 수 있는 야채형 집게부(30-1) 또는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는 후라이팬용 뒤집개(30-2)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조립형 집게부에서 집게형 집게부(30)는 스텐레스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야채형 집게부(30-1)는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라이팬용 뒤집개(30-2)는 스텐레스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에서 손잡이부(10)는 조립형 집게부(30)를 삽입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양쪽 하단에 삽입소켓(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형 집게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소켓(12)의 외측면에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에서 조립형 집게부(30, 30-1, 30-2)는 손잡이부(10)의 삽입소켓(12)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삽입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돌기(32)의 외측면에 걸림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는 조립형 집게부(30)의 삽입돌기(32)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42)과 고정돌기(44)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구(40)가 장착되어 있어 단단하게 고정되며 집게부에서 기름 등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는 손잡이부(10)의 삽입소켓(12)에 조립형 집게부(30)의 삽입돌기(32)를 삽 입하여 손잡이부(10)의 걸림홈(14)과 조립형 집게부(30)의 걸림홈(34)이 겹쳐진 상태에서 걸림홈(14, 34)에 고정돌기(22)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고정구(20)가 장착되어 있다.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는 손잡이부의 내측에 압착축(16, 16')이 형성되어 있어 집게를 집는 경우 집게에 압착되는 힘을 가하고 압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과같이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는 고정구 한쪽에 시이소누름판(24)이 형성되어 있어 도 8과 같이 시이소누름판(24)을 압착 경우 고정구의 중심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시이소 형태로 작동이 되기 때문에 걸림홈(14)에 끼워져 있는 고정구가 잘 빠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조립형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손잡이부 12: 삽입소켓
14: 걸림홈 20: 고정구
30, 30-1, 30-2: 집게부 40: 받침구

Claims (4)

  1. 조립형 집게부(30)를 삽입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양쪽 하단에 삽입소켓(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형 집게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소켓(12)의 외측면에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10); 상기 손잡이부(10)의 삽입소켓(12)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삽입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돌기(32)의 외측면에 걸림홈(34)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형 집게부; 조립형 집게부(30)의 삽입돌기(32)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42)과 고정돌기(44)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구(40); 손잡이부(10)의 삽입소켓(12)에 조립형 집게부(30)의 삽입돌기(32)를 삽입하여 손잡이부(10)의 걸림홈(14)과 조립형 집게부(30)의 걸림홈(34)이 겹쳐진 상태에서 걸림홈(14, 34)에 고정돌기(22)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고정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집게부는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형 집게부(30); 야채를 집을 수 있는 야채집게형 집게부(30-1); 및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는 후라이팬용 뒤집개(30-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집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내측에 압착축(16, 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집게.
  4. 삭제
KR2020080009558U 2008-07-18 2008-07-18 조립형 집게 KR200450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558U KR200450088Y1 (ko) 2008-07-18 2008-07-18 조립형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558U KR200450088Y1 (ko) 2008-07-18 2008-07-18 조립형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98U KR20100000898U (ko) 2010-01-27
KR200450088Y1 true KR200450088Y1 (ko) 2010-10-07

Family

ID=4419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558U KR200450088Y1 (ko) 2008-07-18 2008-07-18 조립형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4533A1 (en) * 2017-02-24 2018-08-30 Wrubel Jon Multi-functional utensil
KR101982598B1 (ko) * 2018-04-26 2019-05-27 노찬영 집게
CN109596383B (zh) * 2018-11-29 2021-07-23 国网天津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专用于煤的元素分析试验的试样抓取装置
KR102540449B1 (ko) * 2022-01-11 2023-06-08 최병영 손잡이형 조리기구 결합체 구비한 주방용 집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930Y1 (ko) * 1988-07-05 1990-10-22 정무진 주방용 집게
KR920004129Y1 (ko) * 1990-08-31 1992-06-22 김영기 주방용 집게
KR940000276Y1 (ko) * 1991-08-29 1994-01-19 기종봉 주방용 집게
KR970016153U (ko) * 1995-10-27 1997-05-23 이영수 주방용 집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930Y1 (ko) * 1988-07-05 1990-10-22 정무진 주방용 집게
KR920004129Y1 (ko) * 1990-08-31 1992-06-22 김영기 주방용 집게
KR940000276Y1 (ko) * 1991-08-29 1994-01-19 기종봉 주방용 집게
KR970016153U (ko) * 1995-10-27 1997-05-23 이영수 주방용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98U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86814A1 (en) Connection mechanism for grilling utensil with a removable tip
USD580705S1 (en) Handle for a cooking utensil
KR200450088Y1 (ko) 조립형 집게
US20070033809A1 (en) Combination eating utensil
US9161643B2 (en) Implement with a handle for a user having an impaired hand grip
CA2588640A1 (en)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US9149157B2 (en) Universal pot l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USD519332S1 (en) Combined spatula and Tong culinary utensil
USD533399S1 (en) Utensil handle
KR20170079976A (ko) 분리 조립식 도마
USD527581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for cooking and heating of food
USD533024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for cooking and heating of food
KR200248506Y1 (ko) 학습용 젓가락
JP5466682B2 (ja) 折り畳みトング
US20020108256A1 (en) Kitchen utensil
US20080295343A1 (en) Kitchen utensil with multiple integrally formed resting surfaces
KR200484686Y1 (ko) 음식물의 버무림과 덜어냄이 가능하도록 집게가 구비된용기
KR200417605Y1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USD541104S1 (en) Grip for cooking utensils
KR200419069Y1 (ko) 위생 젓가락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0435606Y1 (ko)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개량한 음식용구
USD587522S1 (en) Kitchen utensil handle
KR200436971Y1 (ko) 휴대용 수저통
KR970001763Y1 (ko) 조립식 음식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