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328A -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328A
KR20170077328A KR1020150187094A KR20150187094A KR20170077328A KR 20170077328 A KR20170077328 A KR 20170077328A KR 1020150187094 A KR1020150187094 A KR 1020150187094A KR 20150187094 A KR20150187094 A KR 20150187094A KR 20170077328 A KR20170077328 A KR 20170077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oken
vehicle
user
acces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328A/ko
Priority to US15/226,958 priority patent/US9911255B2/en
Priority to CN201610792645.2A priority patent/CN106921647B/zh
Priority to DE102016217504.1A priority patent/DE102016217504A1/de
Publication of KR2017007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ith more than one way to gain acce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4Access control involving a hierarchy in access r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자동차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편리하게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자동차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할 때의 보안 수준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관리 시스템은, 제 1 단말기의 자동차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을 생성하고, 제 1 토큰을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와; 제 1 단말기로부터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가진 액세스 키의 요청이 발생하면, 제 1 단말기의 제 1 토큰과 제 2 단말기의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액세스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액세스 키를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제 1 단말기가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갖도록 하는 제 3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자동차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때의 자동차 관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도어의 잠금과 해제, 엔진의 시동 등을 위한 키(Key)가 사용된다. 자동차의 일반적인 키는 도어의 손잡이 옆에 마련되는 키 홀에 키를 삽입하여 도어를 잠금/해제하고 자동차 실내에 마련되는 또 다른 키 홀에 삽입하여 엔진을 시동/정지시키는 물리적인 키이다. 근래에는 '스마트 키'로 불리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 가능한 형태의 키의 보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고전적인 키 또는 원격 제어를 위한 스마트 키 모두 하나의 자동차에는 일반적으로 두 개 정도의 키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키 들은 무단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더 많은 키를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복잡한 인증(확인) 과정을 거친 후 키를 복제해야 한다.
만약 하나의 자동차(예를 들면 패밀리 카)를 다수의 가족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경우 키의 수량이 제한적인 것은 가족 구성원들 모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렌터카 업체처럼 하나의 자동차에 다수의 고객들이 대응되는 경우와, 또는 기업의 업무용 자동차에 다수의 임직원들이 대응되는 경우에는 키의 관리가 매우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자동차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편리하게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자동차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할 때의 보안 수준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관리 시스템은, 제 1 단말기의 자동차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을 생성하고, 제 1 토큰을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와; 제 1 단말기로부터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가진 액세스 키의 요청이 발생하면, 제 1 단말기의 제 1 토큰과 제 2 단말기의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액세스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액세스 키를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제 1 단말기가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갖도록 하는 제 3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제 3 단말기는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조합한 결과가 미리 정의된 액세스 키 생성 조건에 부합할 때 액세스 키를 생성한다.
상술한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상술한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제 1 단말기는 자동차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제 2 단말기는 자동차의 관리 권한을 가진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상술한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제 3 단말기는 자동차 사용 권한의 대상 자동차가 대기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무인 단말기이다.
상술한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액세스 키를 획득한 제 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원격 제어 명령이 원격지의 서버를 통해 자동차 사용 권한의 대상 자동차에 전달되어 대상 자동차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는 텔레매틱스 센터의 서버이다.
상술한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가 원격 제어 명령을 대상 자동차에 전달할 때 제 1 단말기의 액세스 키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상술한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액세스 키를 획득한 제 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원격 제어 명령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차 사용 권한의 대상 자동차에 전달되어 대상 자동차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자동차 관리 시스템에서, 제 1 단말기의 자동차 사용 요청은 자동차를 사용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을 생성할 때 사용자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관리 방법은, 제 1 단말기에서 자동차 사용 요청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제 2 단말기에서 제 1 단말기의 자동차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을 생성하고, 제 1 토큰을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단말기로부터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가진 액세스 키의 요청이 발생하면, 제 3 단말기에서 제 1 단말기의 제 1 토큰과 제 2 단말기의 제 2 토큰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조합한 결과가 미리 정의된 액세스 키 생성 조건에 부합할 때 액세스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액세스 키를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제 1 단말기가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동차 관리 방법은, 제 1 단말기에서 자동차 사용 요청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제 2 단말기에서 제 1 단말기의 자동차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승인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와; 제 3 단말기에서, 제 2 단말기로부터 승인 토큰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 1 단말기로부터 승인 토큰의 다운로드 요청이 발생하면 승인 토큰을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제 1 단말기가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동차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의 제 2 단말기와; 사용자의 제 1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 1 토큰과 관리자의 제 2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액세스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액세스 키를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제 1 단말기에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제 3 단말기를 포함하고; 제 3 단말기가 자동차 사용 권한의 대상 자동차가 대기하는 장소에 무인 단말기 형태로 설치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동차 관리 시스템은, 제 1 사용자의 제 1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 1 토큰과 제 2 사용자의 제 2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액세스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액세스 키를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제 1 단말기에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제 3 단말기를 포함하고; 제 3 단말기가 제 1 단말기의 사용자와 제 2 단말기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장소에 사물 인터넷 기기의 형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자동차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편리하게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자동차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할 때의 보안 수준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동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AVN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수의 사용자를 위한 자동차 운행 관리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자동차(100)는, 자동차(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탑승자에게 자동차(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면서 바람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윈드쉴드(windshield)(112), 탑승자에게 자동차(100)의 측면 및 측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아웃사이드 미러(114), 자동차(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90), 통신을 위한 안테나(152) 및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바퀴(122), 자동차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바퀴(124)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쉴드(112)는 본체(1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자동차(100) 내부의 탑승자가 자동차(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웃사이드 미러(114)는 좌측과 우측의 도어(190) 각각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자동차(100)의 탑승자는 아웃사이드 미러(114)를 통해 자동차(100)의 측면 및 측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190)는 본체(1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탑승자의 출입이 가능하며, 폐쇄 시에 자동차(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190)는 도어 시건 장치(192)를 이용하여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어 시건 장치(192)의 잠금/해제는 사용자가 자동차(100)에 접근하여 도어 시건 장치(192)의 버튼이나 레버를 직접 조작하는 방법과 자동차(10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잠금/해제하는 방법이 있다.
안테나(152)는 텔레매틱스와 DMB, 디지털 TV, GPS 등의 방송/통신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기능 안테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일 기능 안테나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동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100)의 내부는 탑승자가 자동차(100)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256), 자동차(100)의 탑승자(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258), 자동차(100)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260)(262), 탑승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인 AVN(Audio Video Navigation)(200)을 포함할 수 있다. AVN(200)은 경로 안내를 위한 내비게이션 기능과 함께 오디오 기능 및 비디오 기능을 수행한다.
대시 보드(256)는 윈드쉴드(112)의 하부로부터 탑승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탑승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256)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석(258)은 대시 보드(256)의 후방에 마련되어 탑승자(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자동차(100)의 전방과 대시 보드(256)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자동차(100)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부(260)(262)는 대시 보드(256)의 운전석(258) 측에 마련되며, 자동차(100)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260),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알피엠(rpm) 게이지(262)를 포함할 수 있다.
AVN(200)은 자동차(100)가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탑승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4) 및 탑승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VN(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탑승자가 휴대한 외부 기기(25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외부 기기(250) 역시 AVN(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AVN(200)은 USB 케이블(Universal Serial Bus Cable)과 같은 유선 방식으로 외부 기기(250)와 연결될 수 있다.
AVN(200)은 음성 인식 제어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티어링 휠(202)에는 음성 인식 버튼(204)이 장착되고, 운전석의 상부에는 마이크로폰(206)이 장착된다. 음성 인식 버튼(204)과 마이크로폰(206), 스피커(216) 등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보조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AVN(200)에는 외부 기기인 외부 기기(250)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AVN(200)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기기(25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는 물론, 외장 HDD(Hard Disk Drive)와 외장 SSD(Solid State Device), USB 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Memory)와 같은 외부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기기(IoT Device)와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자도 외부 기기(250)로서 AVN(200)에 연결될 수 있다. AVN(200)은 외부 기기(25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아 AVN(200)의 디스플레이(214)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AVN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VN(200)의 구성은 크게 음성 인식 기능을 위한 요소와, 일반적인 입력 기능을 위한 요소, 방송/통신 기능을 위한 요소, 내비게이션 기능을 위한 요소, 오디오/비디오 기능을 위한 요소, 복수의 기능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음성 인식 기능을 위한 구성은 음성 인식 버튼(204)과 마이크로폰(206), 미들웨어(322), 음성 인식 처리부(308), 명령 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한다. AVN(200)의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외부 기기로서의 모바일 단말기(252)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모바일 음성 인식 처리부(324)가 미들웨어(322) 및 제어부(312)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방송/통신 기능을 위한 요소는 안테나(352)와 튜너부(354), 방송 신호 처리부(356), 통신 신호 처리부(358)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기능을 위한 요소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362)와 내비게이션 구동부(364)를 포함한다. 오디오/비디오 기능을 위한 요소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와 오디오/비디오 재생부(374)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입력 기능을 위한 구성은 입력부(372)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능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는 메모리(310)와 제어부(312), 디스플레이(214), 스피커(2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능 상의 구분은 위에 기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느 하나의 기능을 위한 요소가 다른 기능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04)은 탑승자가 AVN(200)의 오디오 기능과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정보 통신 기능 등의 복합 기능을 실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음성 인식 버튼(204)은 푸쉬-투-토크(Push-To-Talk, PTT) 방식의 원-키 조작을 지원한다. 음성 인식 버튼(204)은 탑승자가 운전 중에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202)에 설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202)은 자동차(100)의 바퀴를 좌우로 움직여 자동차(100)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데 사용되는 조향 장치이다. 탑승자(운전자)는 운전하는 동안 항상 스티어링 휠(202)을 파지하기 때문에, 음성 인식 버튼(204)을 스티어링 휠(202)에 설치하면 탑승자가 운전 중에 음성 인식 버튼(204)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202) 외에, 탑승자가 운전 중에 음성 인식 버튼(204)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라면 자동차(100)의 어느 위치에도 음성 인식 버튼(204)이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06)은 음성 인식 제어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탑승자가 발성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마이크로폰(206)은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해 마련된 마이크로폰이거나, 자동차(100)의 핸즈프리용 마이크로폰을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206)은 탑승자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할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AVN(200)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AVN(200)의 음성 인식 처리부(308)는 마이크로폰(206)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를 미들웨어(322)를 통해 전달받아 변환된 전기 신호를 대상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의 결과로서 음성 명령 정보로서의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음성 인식 처리부(308)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는 제어부(312)에 전달되기에 앞서 미들웨어(322)로 전달된다.
미들웨어(322)는 중계 수단으로서, AVN(200)의 음성 인식 처리부(308)로부터 전달받은 텍스트 데이터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인지 아니면 모바일 단말기(252)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인지를 판단한다. 미들웨어(322)는 텍스트 데이터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일 때 텍스트 데이터를 AVN(200)의 제어부(312)로 전송하여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달리, 만약 텍스트 데이터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가 아닐 때 텍스트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52)로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기(252)의 음성 인식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탑승자의 발화에 의해 생성되는 음성 신호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인지 아니면 모바일 단말기(252)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인지를 미들웨어(322)에서 자동으로 판단하여 중계한다. 이 과정에서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와 모바일 단말기(252)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의 구분을 위한 탑승자의 의도된 개입은 필요치 않다.
명령 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음성 인식의 결과로서 추출되는 음성 명령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의 신호를 제어부(312)로부터 제어 대상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안테나(352)는 방송 신호의 수신을 위한 목적 또는 통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목적으로 공중의 전파를 받거나 또는 공중으로 전파를 보내기 위한 장치이다. 안테나(352)는 튜너부(354)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안테나(352)가 받은 전파는 튜너부(354)에 전달된다. 안테나(352)는 복수의 서로 다른 형태의 방송/통신 신호를 위해 복수의 형태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안테나(152)는 DMB 방송을 수신하고 또 3G/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으로 텔레매틱스 신호를 송수신한다.
튜너부(354)는 안테나(352)가 받은 전파를 전달받아 중간 주파수 신호 등으로 변환한다. 또한 튜너부(354)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공중에 전파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안테나(352)를 통해 공중으로 보낸다. 즉, 튜너부(354)는 특정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거나 반송파 신호에 데이터 신호를 결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튜너부(354)는 방송 신호의 수신과 통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방송 신호는 라디오 방송 신호와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신호는 전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이하 GPS 위성)과의 위성 통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신호는 텔레매틱스(Telematics)를 위한 통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354)에서 어떤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것인지는 제어부(312)에서 튜너부(354)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312)에서 특정 채널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튜너부(354)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면 튜너부(354)는 제어부(312)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만약 제어부(312)에서 텔레매틱스 신호의 송신을 위한 제어 신호 및 송신 데이터를 튜너부(354)로 전달하면, 튜너부(354)는 제어부(312)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 데이터를 공중으로 보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352)를 통해 공중으로 보낸다. 또한 튜너부(354)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채널의 정보를 획득한다. 튜너부(354)에 입력되는 방송 신호에는 방송 채널의 명칭과 서비스 ID(IDentification),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다. 튜너부(354)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채널의 명칭과 서비스 ID,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후단의 방송 신호 처리부(356)와 제어부(312)에 전달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356)는 튜너부(354)를 거친 방송 신호를 비디오 방송 신호와 오디오 방송 신호로 구분하여 일련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356)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신호 처리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이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14)를 구동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신호 처리부(358)는 GPS 위성과의 통신 신호와 텔레매틱스 통신 신호의 처리를 수행한다. 즉, 통신 신호 처리부(358)는 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제어부(312)에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거나, 튜너부(354) 및 안테나(352)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제어부(312)로부터 전달받아 통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362)는 내비게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362)는 메모리 카드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유선/무선 방식의 링크(예를 들면 카플레이(CarPlay) 또는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 구동부(364)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36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14) 상에 내비게이션 화면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 탑승자가 설정한 목적지와 경유지, 경로 형태 등의 내비게이션 설정 정보를 제어부(312)로부터 제공받는다. 또한 내비게이션의 구현을 위해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확보한 자동차(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어부(312)로부터 제공받는다.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일 수 있다. 또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는 범용 직렬 버스(USB) 입출력 장치 또는 예비 입출력 단자(일명 AUX)일 수 있다. 또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에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휴대용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일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재생부(374)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스피커(216) 또는 디스플레이(214)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가 광 디스크 드라이브일 때,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광 디스크(CD/DVD/BD 등)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인출하고, 오디오/비디오 재생부(374)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에 의해 인출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스피커(216) 또는 디스플레이(214)를 구동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16) 또는 디스플레이(214)로 전달함으로써 오디오/비디오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광 디스크 이외의 다른 매체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도 오디오/비디오 재생부(374)를 거치면서 스피커(216) 또는 디스플레이(214)를 구동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입력부(382)는 AVN(20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214) 상에 구현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탑승자는 입력부(382)의 조작을 통해 AVN(200)의 복합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기능으로부터 기대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설정을 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스티어링 휠(202)의 음성 인식 버튼(204)도 입력부(382)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포트(392)는 예를 들면 USB 포트나 파이어와이어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통신 포트(392)에 통신 케이블을 삽입함으로써 AVN(200)이 통신 케이블에 연결된 외부 기기(25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 포트(392)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392)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등)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AVN(200)의 제어부(312) 또는 다른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 신호는 자동차(100)의 도어(190)의 잠금/해제를 위한 원격 제어 신호이거나, 또는 엔진의 시동/정지를 원격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312)는 AVN(200)의 동작 전반에 관여하여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 버튼(204)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310)의 음성 인식 기능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초기 진입 화면이 표시되고 관련 음성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2)는 음성 인식 처리부(308)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명령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음성 명령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발생시켜서 음성 명령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2)는 방송/통신 신호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방송/통신 신호의 처리 후 발생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스피커(216) 또는 디스플레이(214)로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 해당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스피커(216) 또는 디스플레이(214)로 전달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2)는 탑승자가 내비게이션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362)와 내비게이션 구동부(364), 디스플레이(214), 스피커(216)를 제어하여 내비게이션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2)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오디오/비디오 재생부(374)에 의해 재생되어 스피커(216) 또는 디스플레이(214)로 전달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2)는 튜너부(354)가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한 방송 채널의 명칭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음성 인식 처리부(308)로 전달한다.
메모리(310)는 AVN(200)의 음성 인식 기능과 방송/통신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비디오 기능 각각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과,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필요한 화면 표시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디스플레이(214)는 AVN(200)의 음성 인식 기능과 방송/통신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비디오 기능 등의 복합 기능이 수행될 때 수반되는 비디오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각 기능 별 안내 화면이나 메시지, 비디오 자료 등이 디스플레이(214)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214)는 탑승자가 AVN(200)의 복수의 기능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AVN(200)에 마련되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방송(라디오/DMB) 기능, 공조 기능, 그 밖에 오디오 기능 등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214)에 표시된다. 다만, 자동차(100)가 주행 중인 동안에는 운전자가 안전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14)를 통한 비디오 컨텐츠의 표출이 제한될 수 있다.
스피커(216)는 AVN(200)의 음성 인식 기능과 방송/통신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비디오 기능 등의 복합 기능이 수행될 때 수반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각 기능 별 안내 멘트나 효과 음, 오디오 자료 등이 스피커(216)를 통해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수의 사용자를 위한 자동차 운행 관리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관리자(402)가 다수의 사용자(구성원)(404)을 대상으로 자동차(100)의 자동차의 사용 권한을 이중 체크를 통해 보안 수준을 높인 후 제한적으로 사용자(구성원)(404)에게 부여한다.
관리자(402)는 자동차(100)의 소유주이거나 또는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을 관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렌터카 회사 또는 카 쉐어링 회사의 자동차 관리 담당자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402)는 기업의 업무용 자동차의 관리 담당자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402)는 가족 구성원 가운데 키를 소유한 사람일 수 있다.
사용자(구성원)(404)는 관리자(402)로부터 사용 권한을 부여 받아 자동차(100)를 사용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402)는 렌터카 회사의 고객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402)는 기업의 임직원(구성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402)는 한 가정의 가족 구성원일 수 있다.
자동차(100)는 렌터카 회사 또는 카 쉐어링 회사의 렌트용 자동차일 수 있다. 또한 자동차(100)는 기업 내에서 다수의 임직원에 의해 공유되는 업무용 자동차일 수 있다. 또한 자동차(100)는 하나의 가정 내에서 가족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자동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관리자(402)는 사용자(구성원)(404)에게 직접 실물 키(Key)를 전달하지 않고 단말기에서 단말기로(Device to Device) 데이터 통신을 통해 온라인 상으로 사용 권한을 부여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100)는 사용자(구성원)(404)이 휴대한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통신에 의해 도어(192)의 잠금/해제와 엔진의 시동이 제어되는 원격 제어(시동)를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사용자(구성원)(404)는 관리자(402)로부터 실물 키를 직접 수령하거나 또는 실물 키를 반환하기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게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을 획득하고 또 자동차9100)를 반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다음과 같은 또 다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구성원)(404)는 관리자(402)가 사용자(구성원)(404)에게 직접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사용 권한과 별도의 우회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또 다른 사용 권한의 이중 체크를 통해 비로소 온전한 사용 권한을 부여 받아 자동차(100)를 사용할 수 있다. 직접 경로와 우회 경로 가운데 어느 하나의 경로만을 통해 사용 권한을 부여 받는 경우 해킹 시도가 오류 발생에 취약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처럼 사용자(구성원)(404)가 우회 경로와 직접 경로 모두를 통해 이중 체크가 이루어진 사용 권한을 부여 받아 자동차(100)를 사용하게 되면 보안이 더욱 강화된 상태로 사용 권한을 부여하거나 부여 받을 수 있다.
<제 1 실시 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제 1 실시 예는 사용자(404)가 관리자(402)에게 자동차(100)의 사용을 요청하고 관리자(402)로부터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을 획득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업체(500)의 관리자(402)와 사용자(404) 사이의 무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서비스 업체(500)는 렌트용 자동차를 구비한 렌터카 업체이거나 업무용 자동차를 구비한 기업체, 또는 카 쉐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 쉐어링 업체일 수 있다.
서비스 업체(500)에는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이 마련된다.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은 사용자(404)가 자동차(100)의 사용 승인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관리자의 1차 승인과 함께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의 2차 승인을 통해 보안 레벨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404)는 관리자(402)로부터 자동차(100)의 1차 승인을 획득한 후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부터 2차 승인을 획득해야만 비로소 자동차(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은 자동차(100)가 주차되어 있는 주차 공간에 설치된다. 이로써 사용자(404)는 2차 승인과 자동차(100)의 픽업을 같은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관리자(402)와 사용자(404) 사이의 무선 통신은 모바일 디바이스(502)(504)(예를 들면 '스마트폰)를 통해 이루어진다. 관리자(402)의 모바일 디바이스(502)(제 2 단말기)에는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404)로부터 자동차(100)의 사용 신청을 접수하고 이에 응답하여 승인 토큰 #1을 생성하여 사용자(404)에게 전송하며, 또한 사용자 정보 및 승인 토큰 #2를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제 3 단말기)으로 전송하여 이중 체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제 1 단말기)에는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공개된 어플리케이션 제공 사이트 등에서 자유롭게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자(402)에게 자동차(100)의 사용 요청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자(402)로부터 승인 토큰 #1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 사용자 정보 및 승인 토큰 #1을 제공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부터 액세스 키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액세스 키는 자동차(100)의 물리적 키와 달리 소프트웨어 적으로 생성되는 일련의 코드화된 정보로서, 사용자(404)는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통해 액세스 키를 획득해야만 비로소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을 갖는다. 액세스 키를 갖게 되면 원격 제어를 통해 자동차(100)의 도어(190)의 잠금/해제 및 엔진의 시동/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402)와 사용자(404) 사이의 통신은 모바일 디바이스(502)(504) 이외에 서비스 업체(500)의 서버(미도시)와 사용자(404)의 컴퓨터(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등)(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404)가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태블릿 등을 통해 서비스 업체(5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을 얻기 위해 필요한 내용들을 입력하면 입력된 내용들이 서비스 업체(500)의 서버로 전송되어 관리자(402)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404)의 컴퓨터(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등)와 관리자(402)의 모바일 디바이스(502) 사이의 통신도 가능하다.
사용자(404)가 자동차(100)의 사용을 요청하고 사용 권한을 획득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도 6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404)는 서비스 업체(500)의 자동차(100)를 사용하기 위해 서비스 업체(500)의 관리자(402)에게 자동차(100)의 사용을 요청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404)는 모바일 디바이스(504)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차 사용 요청을 입력한다(602). 자동차 사용 요청은 사용자 정보(이름, 생년월일, 전화 번호, 면허증 소지 여부, 희망 자동차 종류, 희망 사용 기간 등)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통한 사용자(404)의 자동차 사용 요청 입력에 의해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관리자(402)의 모바일 디바이스(502)로 자동차 사용 요청이 전송된다(604)(도 5의 ① 참조).
사용자(404)로부터 자동차 사용 요청을 접수한 관리자(404)는 자동차 사용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의 내용 및 유효성을 확인한다(606). 사용자 정보의 유효성은 이름과 생년 월일, 전화 번호 등을 이용한 실명 확인 및 성년/미성년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정보의 내용 및 유효성의 확인은 사용자(404)가 자동차(100)를 사용할 자격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확인 내용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의 내용 및 유효성이 확인되면, 관리자(402)는 모바일 디바이스(502)를 통해 승인 토큰 #1을 생성한다(608). 관리자(402)의 모바일 디바이스(502)에서 생성된 승인 토큰 #1은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로 전송된다(610)(도 5의 ② 참조).
또한 관리자(402)는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승인 토큰 #2를 생성하고(612), 생성된 승인 토큰 #2를 사용자 정보와 함께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 전송한다(614)(도 5의 ③ 참조).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서의 사용자 정보 및 승인 토큰 #2의 사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620 단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관리자(402)로부터 승인 토큰 #1을 수신한 사용자(404)는 자동차(100)가 대기하고 있는 곳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 이동하여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통해 액세스 키의 생성을 요청한다(616). 사용자(404)에 의해 생성된 액세스 키 요청에 의해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 사용자 정보 및 승인 토큰 #1이 전송된다(618)(도 5의 ④ 참조).
앞서 설명한 614 단계에서 관리자(402)는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 사용자 정보 및 승인 토큰 #2를 전송하였고, 618 단계에서는 사용자(404)가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 사용자 정보 및 승인 토큰 #1을 전송하였다. 이는 사용자(404)의 자동차 사용 요청 여부를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서 이중으로 확인하여 보안 레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서는 관리자(402)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404)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620) 관리자(402) 측 통신 해킹이나 사용자(404) 측 통신 해킹을 통한 비정상적인 자동차 사용 요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서는 관리자(402)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404)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가 일치할 때 비로소 관리자(402)로부터 전송되는 승인 토큰 #2와 사용자(404)로부터 전송되는 승인 토큰 #1을 조합하여 액세스 키를 생성한다(620). 승인 토큰 #1과 승인 토큰 #2는 사용자 정보를 비공개의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변형하여 각각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승인 토큰 #1과 승인 토큰 #2는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서 미리 정해진 비공개의 또 다른 규칙에 따라 조합이 이루어져서 사용자(404)에게만 부여되는 고유의 값을 갖는 액세스 키가 만들어질 수 있다. 승인 토큰 #1과 승인 토큰 #2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비공개의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해 생성되므로 1차 보안이 이루어지고, 승인 토큰 #1과 승인 토큰 #2를 조합하기 위해 또 다른 비공개의 미리 정해진 규칙을 사용함으로써 2차 보안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2차에 걸친 보안을 통해 액세스 키의 보안 레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중 보안을 통해 생성되는 액세스 키는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서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로 전송된다(622)(도 5의 ⑤ 참조).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부터 액세스 키를 전송받은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는 액세스 키를 획득한 것이 되어 사용자(404)가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을 갖게 된다. 액세스 키를 획득한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는 자동차(100)의 키(Key)로 사용되어 자동차(100)와의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자동차(100)의 도어(190)를 잠금/해제할 수 있고 또 엔진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제 2 실시 예는 사용자(404)가 관리자(402)로부터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인 액세스 키를 획득한 후 액세스 키를 이용하여 자동차(100)를 운행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제 2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발생한 원격 제어 요청이 텔레매틱스 센터(700)를 통해 자동차(100)에 전달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404)와 텔레매틱스 센터(700), 자동차(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텔레매틱스 센터(700)는 WCDMA 망(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을 통해 자동차(100)의 텔레매틱스 모듈과 통신하여 자동차(100) 내에서 인터넷과 이메일, 교통 정보, 전화, 경로 안내, 사고 통보, 생활 정보, 도난 감지, 음성 메모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텔레매틱스 모듈은 도 3의 안테나(152)와 튜너부(354), 통신 신호 처리부(35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404)는 액세스 키를 획득한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이용하여 텔레매틱스 센터(700)를 통해 자동차(100)와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404)가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통해 자동차(100)의 원격 제어를 요청하면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텔레매틱스 센터(700)의 서버로 액세스 키 및 원격 제어 요청이 전송된다. 텔레매틱스 센터(700)에서는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로부터 전송된 액세스 키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유효한 경우 원격 제어 명령을 자동차(100)로 전송하여 자동차(100)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비록 자동차(100)가 원격으로 제어되기는 하지만, 사용자(404)가 자동차(100)로부터 반드시 원거리에 위치한 것은 아니며, 자동차(100)의 바로 옆에서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로 발생시킨 원격 제어 요청 신호가 원거리의 텔레매틱스 센터(700)를 경유하여 자동차(100)에 전달된다.
액세스 키를 획득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이용하여 자동차(100)의 도어 잠금/해제 및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 8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404)는 렌터카 업체 또는 카 쉐어링 업체 등의 서비스 업체(500)로부터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에 해당하는 액세스 키를 획득한다(802). 액세스 키 획득 과정은 앞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일련의 과정일 수 있다.
액세스 키를 획득한 사용자(404)는 자동차(1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를 요청한다(804). 원격 제어 요청은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404)가 모바일 디바이스(504)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희망하는 원격 제어 요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원격 제어 요청의 내용은 자동차(100)의 도어(190)를 대상으로 하는 잠금/해제와, 자동차(100)의 엔진(미도시)을 대상으로 하는 엔진 시동/정지가 있을 수 있다. 이 밖에도 트렁크 도어의 개방이나 등화류의 점등/소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요청의 내용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더 다양한 내용으로 확장될 수 있다.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발생한 원격 제어 요청은 액세스 키와 함께 텔레매틱스 센터(700)의 서버로 전송된다(806)(도 7의 ① 참조).
액세스 키 및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한 텔레매틱스 센터(700)의 서버는 수신한 액세스 키의 유효성을 확인하고(808), 유효성이 확인되면 원격 제어 요청 내용을 자동차(100)로 전송한다(810) (도 7의 ② 참조). 액세스 키는 앞서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한 것처럼 서비스 업체(500)의 관리자(402)와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을 통해 이중으로 보안 체크가 이루어져 높은 수준의 보안 레벨이 확보된 상태이다. 또한 액세스 키의 유효성은 사용자(404)가 자동차(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부여된 권한의 마감 시한을 한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404)의 권한을 yyyy년 mm월 dd일 13:00부터 72시간 이내로 제한함으로써 그 이후에는 사용자(404)가 자동차(10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404)의 편의를 위해 마감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알람을 발생시켜서 사용자(404)가 사용 권한의 마감 시한이 임박하였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한 자동차(100)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미도시)는 원격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하여 사용자(404)가 희망하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812). 예를 들면 도어(19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엔진을 시동하는 등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용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404)가 자동차(100)를 이용하는 도중에 자동차(100)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는 경우 사용자(404)는 관리자(402)에게 통보하여 분실/도난 사실을 통보하고, 관리자(402)는 해당 자동차(100)에 관련된 액세스 코드의 유효성을 해제하여 무효화함으로써 권한을 부여 받지 않은 다른 사람이 해당 차량을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제 3 실시 예는 사용자(404)가 관리자(402)로부터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인 액세스 키를 획득한 후 액세스 키를 이용하여 자동차(100)의 운행을 시작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제 3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발생한 원격 제어 요청이 텔레매틱스 센터(7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자동차(100)에 전달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와 자동차(100) 사이의 직접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와 자동차(100) 사이의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와 자동차(100)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404)는 액세스 키를 획득한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휴대하고 자동차(100)에 접근하여 도어(190)의 잠금 해제를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발생시킴으로써 자동차(100)의 도어(19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404)는 액세스 키를 획득한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이용하여 엔진의 시동을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발생시킴으로써 자동차(100)의 엔진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액세스 키를 획득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이용하여 자동차(100)의 도어 잠금/해제 및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 10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404)는 렌터카 업체 또는 카 쉐어링 업체 등의 서비스 업체(500)로부터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에 해당하는 액세스 키를 획득한다(1002). 액세스 키 획득 과정은 앞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일련의 과정일 수 있다.
액세스 키를 획득한 사용자(404)는 자동차(1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를 요청한다(1004). 원격 제어 요청은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404)가 모바일 디바이스(504)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희망하는 원격 제어 요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원격 제어 요청의 내용은 자동차(100)의 도어(190)를 대상으로 하는 잠금/해제와, 자동차(100)의 엔진(미도시)을 대상으로 하는 엔진 시동/정지가 있을 수 있다. 이 밖에도 트렁크 도어의 개방이나 등화류의 점등/소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요청의 내용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더 다양한 내용으로 확장될 수 있다.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발생한 원격 제어 요청은 액세스 키와 함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자동차(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 전송된다(1006)(도 9의 ① 참조).
액세스 키 및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한 자동차(100)의 ECU는 수신한 액세스 키의 유효성을 확인한다(1008). 액세스 키의 유효성은 사용자(404)가 자동차(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부여된 권한의 마감 시한을 한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404)의 권한을 yyyy년 mm월 dd일 13:00부터 72시간 이내로 제한함으로써 그 이후에는 사용자(404)가 자동차(10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404)의 편의를 위해 마감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사용자(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알람을 발생시켜서 사용자(404)가 사용 권한의 마감 시한이 임박하였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한 자동차(100)의 ECU는 원격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하여 사용자(404)가 희망하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1012). 예를 들면 도어(19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엔진을 시동하는 등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용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404)가 자동차(100)를 이용하는 도중에 자동차(100)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는 경우 사용자(404)는 관리자(402)에게 통보하여 분실/도난 사실을 통보하고, 관리자(402)는 해당 자동차(100)에 관련된 액세스 코드의 유효성을 해제하여 무효화함으로써 권한을 부여 받지 않은 다른 사람이 해당 차량을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 4 실시 예>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제 4 실시 예는 하나의 가족을 구성하는 가족 구성원들이나 소규모의 비개방형 집단의 구성원들이 자동차(100)를 공유할 때 키(Key)를 소유한 구성원 #2(402)이 다른 구성원(404)에게 자동차(100)의 사용 권한을 부여하여 자동차(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 관리 시스템은 자동차(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구성원 #1(404)이 다른 구성원들에게 자동차 사용 권한에 해당하는 승인 토큰을 요청하면, 구성원들 가운데 키를 소유한 구성원 #2(402)이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 승인 토큰을 전송하고, 승인 토큰을 요청한 구성원 #1(404)은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부터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로 승인 토큰을 다운로드하여 자동차(100)를 원격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 예 내지 제 3 실시 예에서 체크아웃 스테이션(도 5, 7, 9의 506 참조)은 자동차(100)가 대기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전용 무인 기기의 형태이지만, 도 11에 나타낸 제 4 실시 예의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은 가정 내 또는 소규모 비개방형 집단이 공유하는 공간 내에 설치된 무선 통신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 기기(Internet of Things, IoT)가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의 실시 예는 스마트 도어 록(Smart Door Lock)으로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일종이다.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 록은 메모리를 내장하고, 액세스 포인트(1102)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은 스마트 도어 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를 구비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라면 어떤 기기라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는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 물리적으로 설치된 메모리 형태이거나 또는 웹 상에서 구현되는 가상 드라이브, 웹하드, 클라우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한 집에 함께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의 경우, 구성원 #1(404)의 승인 토큰 요청에 응답하여 키를 소유한 다른 구성원 #2(402)이 모바일 디바이스(502)를 통해 승인 토큰을 생성하여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도어 록에 업로드해 두면, 승인 토큰을 요청한 구성원 #1(404)이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이용하여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도어 록으로부터 승인 토큰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승인 토큰을 다운로드 한 구성원 #1(404)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동차(100)의 키(Key)처럼 동작한다. 즉, 구성원 #1(404)은 승인 토큰을 획득한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휴대하고 자동차(100)에 접근하여 도어(190)의 잠금 해제를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발생시킴으로써 자동차(100)의 도어(19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구성원 #1(404)은 승인 토큰을 획득한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이용하여 엔진의 시동을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발생시킴으로써 자동차(100)의 엔진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액세스 키를 생성하지 않고 승인 토큰 만으로 자동차(100)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은 가족 구성원들이나 비개방형 집단의 구성원들은 말 그대로 개방되지 않은 폐쇄형 집단이기 때문에 보안 처리 단계를 줄여서 좀 더 간편하게 자동차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가족 구성원들이나 비개방형 집단의 구성원들처럼 개방되지 않은 폐쇄형 집단 내에서도 보안 수준을 높이기 위해 보안 처리 단계를 추가하거나, 또는 복수의 승인 토큰을 이용한 액세스 키 생성 단계를 추가할 수도 있다.
가족의 구성원 또는 소규모 집단의 구성원이 자동차(100)의 사용을 요청하고 사용 권한을 획득하여 자동차(100)를 사용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도 12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하나의 가족 또는 하나의 비공개 소규모 집단에서 자동차(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구성원 #1(404)이 나머지 구성원 #2(402) 전체를 대상으로 승인 토큰을 요청한다(1202). 구성원 #1(404)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승인 토큰의 신청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승인 토큰을 요청할 수 있다.
구성원 #1(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통해 발생한 승인 토큰 요청은 나머지 구성원 #2(402) 전체에게 전송된다(1204)(도 11의 ① 참조). 여기서 구성원 #1(404)로부터 다른 구성원 #2(402)로의 승인 토큰 요청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특정 구성원을 지정하여 승인 토큰을 요청하는 형식이 아닌 미리 정해진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승인 토큰의 요청이 이루어진다.
나머지 구성원 #2(402) 가운데 키(Key)를 소유하거나 또는 승인 토큰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2(402)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502)를 통해 승인 토큰을 생성한다(1206). 즉 구성원 #2(402)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502)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승인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승인 토큰을 생성할 있다.
구성원 #2(402)의 모바일 디바이스(502)에서 생성된 승인 토큰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으로 전송된다(1208)(도 11의 ② 참조). 전송된 승인 토큰은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 승인 토큰이 저장되면, 앞서 승인 토큰을 요청한 구성원 #1(404)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504)를 통해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 접속하여 저장되어 있는 승인 토큰을 다운로드 한다(1210)(도 11의 ③ 참조).
승인 토큰을 획득한 사용자 #1(404)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에서 자동차(1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1212)(도 11의 ④ 참조). 원격 제어 명령의 생성은 사용자 #1(404)의 모바일 디바이스(504)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 #1(404)이 모바일 디바이스(504)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희망하는 원격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원격 제어 명령은 자동차(100)의 도어(190)를 대상으로 하는 잠금/해제와, 자동차(100)의 엔진(미도시)을 대상으로 하는 엔진 시동/정지가 있을 수 있다. 이 밖에도 트렁크 도어의 개방이나 등화류의 점등/소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요청의 내용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더 다양한 내용으로 확장될 수 있다.
구성원 #1(404)이 구성원 #2(402)로부터 직접 승인 토큰을 전달받지 않고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을 통해 승인 토큰을 전달받는 것은 구성원 #1(404)이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편리한 시간에 약속된 장소(체크아웃 스테이션(506)이 설치된 장소)에서 승인 토큰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구성원 #1(404)이 구성원 #2(402)로부터 직접 승인 토큰을 전달받고자 한다면 구성원 #1(404)과 구성원 #2(402)가 모두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구성원 #2(402)가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 승인 토큰을 저장해 놓으면 구성원 #1(404)은 언제든지 자유롭게 체크아웃 스테이션(506)에 접속하여 승인 토큰을 다운로드 할 수 있어 편리하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자동차
200 : AVN(Audio Video Navigation)
402 : 관리자(키 소유자)
404 : 사용자(구성원)
500 : 서비스 업체
502 : (관리자 또는 키 소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504 : (사용자 또는 구성원의) 모바일 디바이스
506 : 체크아웃 스테이션(무인 단말기 또는 사물 인터넷 기기)
700 : 텔레매틱스 센터

Claims (14)

  1. 제 1 단말기의 자동차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토큰을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가진 액세스 키의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제 1 단말기의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단말기의 상기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액세스 키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기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갖도록 하는 제 3 단말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말기는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조합한 결과가 미리 정의된 액세스 키 생성 조건에 부합할 때 상기 액세스 키를 생성하는 자동차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인 자동차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자동차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단말기는 상기 자동차의 관리 권한을 가진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인 자동차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말기는 상기 자동차 사용 권한의 대상 자동차가 대기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무인 단말기인 자동차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키를 획득한 상기 제 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원격 제어 명령이 원격지의 서버를 통해 상기 자동차 사용 권한의 대상 자동차에 전달되어 상기 대상 자동차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자동차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텔레매틱스 센터의 서버인 자동차 관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상기 대상 자동차에 전달할 때 상기 제 1 단말기의 상기 액세스 키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자동차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키를 획득한 상기 제 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원격 제어 명령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자동차 사용 권한의 대상 자동차에 전달되어 상기 대상 자동차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자동차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상기 자동차 사용 요청은 상기 자동차를 사용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큰 및 상기 제 2 토큰을 생성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자동차 관리 시스템.
  11. 제 1 단말기에서 자동차 사용 요청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자동차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토큰 및 제 2 토큰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토큰을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가진 액세스 키의 요청이 발생하면, 제 3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단말기의 상기 제 2 토큰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조합한 결과가 미리 정의된 액세스 키 생성 조건에 부합할 때 상기 액세스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액세스 키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기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갖도록 하는 자동차 관리 방법.
  12. 제 1 단말기에서 자동차 사용 요청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자동차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승인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와;
    제 3 단말기에서,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토큰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토큰의 다운로드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승인 토큰을 상기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기 자동차 사용 권한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관리 방법.
  13. 관리자의 제 2 단말기와;
    사용자의 제 1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 1 토큰과 상기 관리자의 제 2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액세스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액세스 키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에 상기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제 3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말기가 자동차 사용 권한의 대상 자동차가 대기하는 장소에 무인 단말기 형태로 설치되는 자동차 관리 시스템.
  14. 제 1 사용자의 제 1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 1 토큰과 제 2 사용자의 제 2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 2 토큰을 이용하여 액세스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액세스 키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에 상기 자동차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제 3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말기가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와 상기 제 2 단말기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장소에 사물 인터넷 기기의 형태로 설치되는 자동차 관리 시스템.
KR1020150187094A 2015-12-28 2015-12-28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7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094A KR20170077328A (ko) 2015-12-28 2015-12-28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5/226,958 US9911255B2 (en) 2015-12-28 2016-08-03 Ca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201610792645.2A CN106921647B (zh) 2015-12-28 2016-08-31 汽车管理系统和方法
DE102016217504.1A DE102016217504A1 (de) 2015-12-28 2016-09-14 Fahrzeug-Management-System und Verfah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094A KR20170077328A (ko) 2015-12-28 2015-12-28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328A true KR20170077328A (ko) 2017-07-06

Family

ID=5901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094A KR20170077328A (ko) 2015-12-28 2015-12-28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11255B2 (ko)
KR (1) KR20170077328A (ko)
CN (1) CN106921647B (ko)
DE (1) DE10201621750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314B1 (ko) * 2018-02-12 2018-07-16 (주)케이사인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19148059A (ja) * 2018-02-26 2019-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鍵情報管理装置及び鍵情報管理方法
WO2020091330A1 (ko) * 2018-11-02 2020-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모빌라이저 토큰 관리 시스템
KR20210026728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번호에 기반을 둔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07553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인증코드 기반의 절차 승인 장치 및 방법
WO2021172876A1 (ko) *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인증코드 기반의 절차 승인 장치 및 방법
WO2022186492A1 (ko) * 2021-03-04 2022-09-09 주식회사 센스톤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0962A1 (en) * 2014-12-09 2017-10-1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308362A4 (en) * 2015-06-12 2018-10-31 Phrame, Inc. System and methods for vehicle sharing
JP2017106296A (ja) * 2015-12-03 2017-06-15 株式会社東芝 鍵管理プログラム、及び鍵管理装置
CA3076208A1 (en) * 2016-09-21 2018-03-29 Equipmentshare.Com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quipment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US10580242B2 (en) * 2017-01-20 2020-03-03 Macron International, Inc. Asset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 mobile application
SG10201704077UA (en) * 2017-05-18 2018-12-28 Huawei Int Pte Ltd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s access based on portable devices
DE102017209961B4 (de) * 2017-06-13 2022-05-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hentisieren eines Nutzers an einem Fahrzeug
JP6908451B2 (ja) * 2017-06-29 2021-07-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リング方法
KR102385474B1 (ko) * 2017-07-19 202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04227B1 (ko) * 2017-09-12 2023-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30462B1 (ko) * 2017-09-25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N107567009B (zh) * 2017-09-28 2020-04-10 北京地平线机器人技术研发有限公司 蓝牙设备分享请求和控制方法及设备、计算机存储介质
JP6717793B2 (ja) * 2017-10-10 2020-07-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装置
JP6635103B2 (ja) * 2017-10-24 2020-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07708099B (zh) * 2017-11-03 2020-04-10 北京地平线机器人技术研发有限公司 蓝牙设备分享请求和控制方法及设备、可读存储介质
JP2019091222A (ja) * 2017-11-14 2019-06-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レットキー制御システム及びバレットキー
CN108122311B (zh) * 2017-11-30 2021-03-26 北京九五智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车辆虚拟钥匙实现方法及系统
US10249182B1 (en) * 2018-01-04 2019-04-02 Directed, Llc Remote vehicle system configuration, control, and telematics
US11316898B2 (en) * 2018-01-08 2022-04-26 Irdeto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olicy-based management of assets
CN110351180A (zh) * 2018-04-03 2019-10-18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物联信息管理系统
US10449930B1 (en) 2018-06-07 2019-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oud based cognitive radio frequency intrusion detection audit and reporting
JP7102242B2 (ja) * 2018-06-15 2022-07-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遠隔運転システム
JP7182113B2 (ja) * 2018-10-09 2022-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および停止スイッチ装置
KR20200050610A (ko) * 2018-11-02 202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시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762734B2 (en) * 2018-12-21 2020-09-01 2162256 Alberta Ltd. Automatically generating a commercial driver logbook based on vehicular data
US10733819B2 (en) * 2018-12-21 2020-08-04 2162256 Alberta Ltd. Secure and automated vehicular control us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10878490B2 (en) * 2018-12-21 2020-12-29 2162256 Alberta Ltd. Secure and automated vehicular control using automated authentication
EP3933154B1 (en) * 2019-02-25 2024-06-05 Honda Motor Co., Ltd. Vehicle, vehicle onboard device, and management method
US11285919B2 (en) * 2019-09-30 2022-03-29 GM Cruise Holdings, LLC Secure layered autonomous vehicle access
US11657338B2 (en) 2021-10-22 2023-05-23 Geotab Inc. Systems for shared vehicle access
US11787367B1 (en) 2022-04-07 2023-10-17 Geotab Inc. Systems for shared vehicle access
CN114826624B (zh) * 2022-06-28 2022-10-11 宁波均联智行科技股份有限公司 向用户提供车载应用的线上服务的方法及系统
US11814010B1 (en) * 2022-08-29 2023-11-14 Geotab Inc. Devices for shared vehicle access
US20240067124A1 (en) * 2022-08-29 2024-02-29 Geotab Inc. Methods for Shared Vehicle Access
US11970135B2 (en) * 2022-08-29 2024-04-30 Geotab Inc. Methods for shared vehicle access
CN116436629A (zh) * 2022-12-27 2023-07-14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双向认证方法及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3148B2 (ja) 2002-12-06 2006-07-05 三井住友海上火災保険株式会社 自動車電子鍵システム、自動車電子鍵サーバ、自動車電子鍵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70533A1 (en) * 2005-02-03 2006-08-03 France Telecom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networked wireless locks
KR100682263B1 (ko) 2005-07-19 2007-0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원격 권한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8588421B2 (en) * 2007-01-26 2013-11-19 Microsoft Corporation Cryptographic key containers on a USB token
JP2008293253A (ja) * 2007-05-24 2008-12-0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ーシェアリング管理システム
CN101132281A (zh) * 2007-09-18 2008-02-27 刘亚梅 一种防止密钥被窃取的网络安全认证系统
US20090249081A1 (en) * 2008-03-31 2009-10-01 Kabushiki Kaisha Toshiba-1 Shibaura 1-Chomominatoku Storage device encryption and method
JP5703667B2 (ja) 2010-10-01 2015-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881167B1 (ko) * 2011-06-13 2018-07-23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제어 시스템
JP2013037568A (ja) 2011-08-09 2013-02-21 Aisin Seiki Co Ltd 車両の共同利用における操作権限付与システム、車載制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947202B2 (en) * 2011-10-20 2015-02-03 Apple Inc. Accessing a vehicle using portable devices
CN102521968B (zh) * 2011-12-15 2014-01-15 上海一嗨汽车租赁有限公司 基于动态密码验证的自助租车方法
DE102012008395A1 (de) * 2012-04-27 2013-10-31 Lock Your World Gmbh & Co. Kg Verfahren und System für eine gesicherteSchlüssel-Übergabe
US8768565B2 (en) * 2012-05-23 2014-07-01 Enterprise Holdings, Inc.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4146186A1 (en) * 2013-03-22 2014-09-25 Keyfree Technologies Inc. Manag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CN104216907B (zh) * 2013-06-02 2018-12-18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提供数据库访问控制的方法、装置与系统
KR20150053849A (ko) 2013-11-08 2015-05-19 주식회사 티모넷 무선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차량 세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8370B1 (ko) 2013-11-29 2020-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카 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25037A1 (en) * 2014-03-28 2015-09-30 Nxp B.V. NFC-based authorization of access to data from a third party device
CA2952084C (en) * 2014-06-11 2022-09-13 Veridium Ip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user access to vehicles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CN104363266B (zh) * 2014-10-23 2018-07-10 北京远特科技股份有限公司 远程控制车辆的方法、tsp后台系统以及车载终端
CN104683354B (zh) * 2015-03-24 2017-09-22 武汉理工大学 一种基于标识的动态口令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314B1 (ko) * 2018-02-12 2018-07-16 (주)케이사인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19148059A (ja) * 2018-02-26 2019-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鍵情報管理装置及び鍵情報管理方法
WO2020091330A1 (ko) * 2018-11-02 2020-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모빌라이저 토큰 관리 시스템
US11870888B2 (en) 2018-11-02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mobilizer token management system
KR20210026728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번호에 기반을 둔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07553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인증코드 기반의 절차 승인 장치 및 방법
WO2021172876A1 (ko) *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인증코드 기반의 절차 승인 장치 및 방법
WO2022186492A1 (ko) * 2021-03-04 2022-09-09 주식회사 센스톤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21647B (zh) 2021-08-31
DE102016217504A1 (de) 2017-06-29
US20170186251A1 (en) 2017-06-29
US9911255B2 (en) 2018-03-06
CN106921647A (zh)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7328A (ko)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643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access to a vehicle
US9224289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ccupant location using connected devices
EP27135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ed access to automotive telematic services
US9349231B2 (en) Key fob security copy to a mobile phone
US83464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vehicle components from a nomadic communication device or computer
US88632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flexible identity management in a vehicular environment
US20140164559A1 (en) Offline configuration of vehicle infotainment system
US10479226B2 (en) Management of mobile device control of vehicle systems using policies
WO2018040640A1 (zh) 虚拟钥匙的授权方法、服务器及授权系统
US20150356797A1 (en) Virtual key fob with transferable user data profile
CN110191434A (zh) 车辆安全性
KR102459537B1 (ko)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DE102014204747A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bestimmen des insassenorts unter verwendung verbundener vorrichtungen
JP6984380B2 (ja) 音響出力制御装置、音響出力制御方法、車両、および施解錠システム
US11285917B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11645731B2 (en) Simplified authentication of mobile device by vehicle for shared or autonomous vehicles
JP2013204254A (ja) 移動体端末、移動体端末の制御方法、移動体、移動体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CN107031529A (zh) 用于管理与车辆通信的移动装置的方法和系统
CN108367732B (zh) 用于车辆的认证控制系统
US11500392B2 (en) Selective digital key
US10974696B2 (en) Authentication manager
JP2021067152A (ja) 車両用認証システム
JP2023070775A (ja) 移動体機能設定システム、端末装置、端末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9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0

Effective date: 2018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