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694A -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694A
KR20170075694A KR1020170077998A KR20170077998A KR20170075694A KR 20170075694 A KR20170075694 A KR 20170075694A KR 1020170077998 A KR1020170077998 A KR 1020170077998A KR 20170077998 A KR20170077998 A KR 20170077998A KR 20170075694 A KR20170075694 A KR 2017007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over
folding
image displa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571B1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ublication of KR2017007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iquid Crystal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레 형상이 불변인 판상형의 기존 영상표시장치들과 달리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접힘축 접힘 또는 펼침 회동에 의해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펼침된 경우 케이스의 펼침 유지 부위가 최소화되도록 함으로 인해 펼침 상태에서의 사용자 한손 조작감 향상을 이루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긁힘 방지와 같은 덮개판 기능 수행과 함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받게되는 둘레 부위의 충격을 제한적으로 흡수하는 범퍼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Case for Out Folding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 긁힘, 찍힘, 봉지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케이스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면이 서로 등을 지며 접혀지는 방식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케이스가 적용되어도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이 제한을 받지 않고, 펼침 상태 전환시 케이스가 최소화된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한손 그립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접혀있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을 용이하게 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판상형 스마트폰 및 테블릿 장치와 같은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들의 보편화로 인해 충격으로부터 액정화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범퍼 케이스(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9079), 다이어리 형태의 커버 내측 공간에 영상표시장치를 수납 보관하며 카드 수납기능도 가능한 다이어리형 케이스(대한민국 등록특허:10-119228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30-0473451), 범퍼 케이스에 다이어리 형 케이스 기능을 결합시킨 범퍼 일체형 케이스(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20-0460260)와 같은 부가제품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관련하여 다양한 특허들이 제시되고 있다.
범퍼 케이스 형태의 제품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과 같은 기존의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 제품 둘레를 불연속 부위 없이 감싸며 고정되고, 화면이 표시되는 상부면은 둘레로부터 개방 형성되어져 있어 터치조작 및 화면표시가 가능하며, 화면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은 둘레가 연장되어 막혀있거나 또는 개방 형성되어져 있는 형태를 갖는다.
다이어리형 케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과 같은 기존의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 제품의 화면 표시면 반대면에 밀착 고정 되거나 조립 고정되는 하부면 고정판, 하부면 고정판으로부터 일단이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하부면 고정판의 끝단 부분에 일측 끝단 부분이 접착 연결되는 회동 연결판, 회동 연결판의 반대측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되거나 접착 연결되어 화면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는 상부면 덮개판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상부면 덮개판의 내측면에는 카드 수납을 위한 포켓들이 형성될 수 있다.
범퍼 케이스와 다이어리형 케이스가 결합된 범퍼 일체형 케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과 같은 기존의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 제품의 둘레를 끊어짐 없이 감싸며 고정되고, 화면이 표시되는 상부면측은 둘레로부터 개방 형성되어 있으며,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반대측 면은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표시면의 반대측 면에 고정되는 범퍼 하부판, 범퍼 하부판의 일면에 일측 끝단 부분이 접착 고정되는 회동 연결판, 회동 연결판의 끝단 부분에 연결되어 화면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는 상부면 덮개판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기존의 범퍼 케이스, 다이어리형 케이스 및 범퍼 일체형 케이스는, 모두 판상형태로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이 수행되어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는 적용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이 수행되어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보호케이스들이 본 발명인에 의해 특허로 제시되었다.(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5-0109280)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접힘부(여기서, 접힘부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접히므로, 이하, “접힘축”이라 함)를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케이스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전환시 최소화되어 유지되도록 함으로 인해 펼침 상태에서의 거추장스러움 없이 사용자의 한손 그립 조작 용이성이 향상되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힌지의 적용 유무와 관련없이 접힘과 펼침이 수행되는 접힘축 부위의 불가피한 치수변화가 발생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고정을 위한 전용 구성품의 적용 없이도 케이스가 자체 고정되며, 접힘축을 중심으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이 간섭받지 않고 자유로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케이스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긁힘 방지와 같은 덮개판 기능만을 수행하지 않고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받게되는 둘레 부위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한적 범퍼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넷째, 자체 펼침 기능이 반영되어있지 않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케이스가 적용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펼침 조작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고자 한다.
다섯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최대한 노출시켜 자체의 디자인을 살리면서도 필수 보호부위만을 최소화시켜 선택적으로 보호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호해제 또는 펼침 조작시 사용자 한손 그립 조작 용이성이 방해받지 않도록 고정 해제 및 최소화되어 유지되며, 접힘상태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에서도 접힘상태로 보관 유지되고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앞뒤면 어느 면에도 터치조작 및 영상표시의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이어리형 케이스의 화면 표시면 반대면에 고정되는 하부면 고정판에 상응하지만 회동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지 않고,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 및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실시 예로서 아래와 같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이어리형 케이스의 화면 표시면 반대면에 고정되는 하부면 고정판에 상응하지만 회동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지 않고,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있어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전환시 단순 회동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영역밖에 유지되지 않고 다단 접힘되거나 또는 접힘축에 위치되는 끝단 부분을 감김축으로 하여 감김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최소화된 상태로 유지되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는 하부 열림커버의 접힘축 끝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조립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시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는 곡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곡면 커버에는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발생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 및 접힘 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곡면 커버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부분이 낙하 충격으로 인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 커버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에 범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분에는 다단 접힘 또는 감김 상태로 보관되어 있는 하부 열림커버 및 곡면 커버 부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펼칠수 있도록 당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서 하부 열림커버는 다단 접힘이 가능한 하부 열림커버가 일정한 위치들에서 병풍 형태로 접힘이 수행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며 함몰 형성되어있는 접힘 홈부 또는 일정한 위치들에서 병풍 형태로 접힘이 수행될 수 있도록 다단 접힘 폭을 고려한 폭을 갖는 다수의 판재들이 간격을 유지하며 내측 또는 외부에 고정되어 하부 열림커버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접힘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실시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 반대편 모서리 부분에 적용되며 감김 대상을 위한 감김축 및 수용공간을 갖는 수납 하우징 및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이어리형 케이스의 화면 표시면 반대면에 고정되는 하부면 고정판에 상응하지만 일측 끝단이 수납 하우징의 감김축에 연결되고 반대측 끝단은 수납 하우징을 벗어나 펼침되어 접힘 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덮어주거나 또는 감김되어 수납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태로 유지됨이 가능한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감김축에 연결된 하부 열림커버의 반대편 자유단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되어 펼침 상태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시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감김 상태시 하부 열림커버와 함께 순차적으로 감김되어 수납 하우징에 자유단 측 끝단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감김 수용되는 곡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곡면 커버에는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방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손상 방지 및 펼침 과정을 위한 수납 하우징 인출구 밖에서의 끝단 걸림 형성을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곡면 커버의 다른 예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감김축에 연결된 하부 열림커버의 반대편 자유단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조립되어 펼침 상태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시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감김 상태시 하부 열림커버와 달리 수납 하우징 밖에 감김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곡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곡면 커버에는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방지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손상 방지를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 및 접힘 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곡면 커버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부분이 낙하 충격으로 인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 커버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에 형성되어있는 범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수납 하우징에 감김 수용되어있는 부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펼칠 수 있도록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분에 당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3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평면상태인 화면표시면 보호 및 케이스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성품 없이 단독 적용되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접힘축 부분에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보호하고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이다.
제 3실시예에서 독립형 곡면 커버에는 접힘 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곡면 커버의 모서리 부분들이 낙하 충격으로 인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 커버의 모서리들에 범퍼 및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와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일측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측은 독립형 곡면 커버에 연결되는 분실방지 연결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3실시예에서 독립형 곡면 커버의 접힘축 방향에 위치하는 양측 끝단에는 독립형 곡면 커버가 접힘축 방향으로 미끌어지며 이탈되지 않도록 독립형 곡면 커버의 상단 모서리 또는 하단 모서리를 각각 폐쇄시켜 형성된 축방향 폐쇄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3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독립형 곡면 커버의 다른 적용례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어 분리될시 최소공간 점유를 위해 접힘축 방향으로 양측 끝단이 마주보며 수축되어 유지되고 접힘축 부분에 고정 적용될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일측 끝단 걸림 고정후 반대측 끝단을 잡아당김으로 인해 접힘축 방향으로 신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4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한 화면 표시면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화면 표시면 관통구를 제외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접힘축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모두가 일체형으로 밀착 고정되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4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접힘축과 마주보며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조립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위치되는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펼침 조작 관통구,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 조작 관통구가 형성된 모서리 양측 끝에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손가락 걸림턱 및 상부 손가락 걸림턱에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펼침 조작 관통구를 경유하여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에서 펼침 조작 관통구가 형성되지않은 모서리에 형성된 하부 손가락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범퍼 돌출부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부분 중에서 접힘축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에 해당되는 접힘축 관련 부분은 둘레 치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직접 고정된 인접 부위들에 의해서 간접 고정되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부분 중에서 둘레 가변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이 둘레 치수 변화를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 지거나 둘레 가변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이 주름부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5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한 화면 표시면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화면 표시면 관통구를 제외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접힘축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모두가 일체형으로 밀착 고정되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 및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화면 표시면 관통구를 폐쇄시키며 화면 표시면 관통구 둘레에 고정되고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보호 및 표시화면 투과를 위한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5실시예에서 보호필름은 접힘축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5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위치되는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펼침 조작 관통구,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 조작 관통구가 형성된 모서리 양측 끝에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손가락 걸림턱 및 상부 손가락 걸림턱에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펼침 조작 관통구를 경유하여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에서 펼침 조작 관통구가 형성되지않은 모서리에 형성된 하부 손가락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5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범퍼 돌출부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5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부분 중에서 접힘축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에 해당되는 접힘축 관련 부분은 둘레 치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직접 고정된 인접 부위들에 의해서 간접 고정되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부분 중에서 둘레 가변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이 둘레 치수 변화를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6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한 화면 표시면 개방구가 접힘축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모두에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화면 표시면 개방구를 제외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접힘축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 및 접힘축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이며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가 적용되지 않은 부분에 적용되는 가변 연결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6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접힘축과 마주보며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조립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6실시예에서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는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위치되는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펼침 조작 관통구,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 조작 관통구가 형성된 모서리 양측 끝에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손가락 걸림턱 및 상부 손가락 걸림턱에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펼침 조작 관통구를 경유하여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에서 펼침 조작 관통구가 형성되지않은 모서리에 형성된 하부 손가락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6실시예에서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는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범퍼 돌출부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6실시예에서 가변 연결 커버는 단절된 상태의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양측 끝단 사이에 적용되며 접힘축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7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한 화면 표시면 개방구가 접힘축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모두에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화면 표시면 개방구를 제외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접힘축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 접힘축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이며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가 적용되지 않은 부분에 적용되는 가변 연결 커버 및 접힘축을 기준으로 분리되어있는 양측 화면 표시면 개방구들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을 폐쇄시키며 양측 화면 표시면 개방구들의 둘레에 고정되고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보호 및 표시화면 투과를 위한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7실시예에서 보호필름은 접힘축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7실시예에서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는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의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위치되는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펼침 조작 관통구,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 조작 관통구가 형성된 모서리 양측 끝에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손가락 걸림턱 및 상부 손가락 걸림턱에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펼침 조작 관통구를 경유하여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에서 펼침 조작 관통구가 형성되지않은 모서리에 형성된 하부 손가락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7실시예에서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는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범퍼 돌출부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7실시예에서 가변 연결 커버는 단절된 상태의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양측 끝단 사이에 적용되며 접힘축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8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해 화면 표시가능 영역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사이의 영역이 연장되어 제거됨으로 인해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이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8실시예에서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의 부분 중에서 접힘축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에 해당되는 접힘축 관련 부분은 둘레 치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직접 고정된 인접 부위들에 의해서 간접 고정되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제 8실시예에서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의 부분 중에서 둘레 가변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이 둘레 치수 변화를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둘레 가변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이 주름부를 갖을 수 있다.
제 8실시예에서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는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및 범퍼 돌출부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8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접힘축 부분에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보호하고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 및 일측은 독립형 곡면 커버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측은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 또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는 분실방지 연결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9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 반대편에 위치하는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인접 부위에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모서리분리형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9실시예에서 모서리분리형 커버의 접힘축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을 마주보는 나머지 반대편 모서리에도 형성된 손가락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9실시예에서 모서리분리형 커버는 모서리분리형 커버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및 범퍼 돌출부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9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접힘축 부분에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보호하고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 및 일측은 독립형 곡면 커버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측은 모서리분리형 커버 또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는 분실방지 연결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10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 반대편에 위치하는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부위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모퉁이분리형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0실시예에서 모퉁이분리형 커버는 모퉁이분리형 커버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및 범퍼 돌출부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0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접힘축 부분에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보호하고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 및 일측은 독립형 곡면 커버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측은 모퉁이분리형 커버 또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는 분실방지 연결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전면 및 후면으로 형성되는 화면 표시면 및 접힘 수납 표시면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긁힘 방지와 같은 덮개판 기능뿐만 아니라,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받게되는 둘레 부위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한적 범퍼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셋째,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케이스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전환시 최소화되어 유지되도록 함으로 인해 펼침 상태에서의 거추장스러움 없이 사용자의 한손 그립 조작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폴딩 기능이 없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순환형 범퍼케이스가 적용된 예시도 및 조립도이고,
도 2는 폴딩 기능이 없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다이어리형 케이스가 적용된 예시도 및 조립도이며,
도 3은 폴딩 기능이 없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범퍼 일체형 케이스가 적용된 예시도 및 조립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정면도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정면도들이고,
도 6은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다단 접힘 되거나 또는 감김 되지 않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7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다단 접힘 되거나 또는 감김 되지 않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 사시도 및 펼침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다단 접힘 되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10은 하부 열림커버에 형성된 접힘 홈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1은 하부 열림커버를 구성하는 접힘판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감김 되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14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다단 접힘 되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C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Section A-A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수납 하우징이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18은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수납 하우징을 포함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Section B-B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수납 하우징을 포함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Section C-C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수납 하우징이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23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수납 하우징을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Section D-D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5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수납 하우징을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Section E-E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서,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독립형 곡면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28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독립형 곡면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29는 도 28의 Section F-F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 4,5실시예로서,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31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Section F-F에 대한 단면도, Section G-G에 대한 단면도, Section H-H에 대한 단면도, Section I-I에 대한 단면도, Section J-J에 대한 단면도 및 Section K-K에 대한 단면도 이며,
도 33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4는 하부 열림커버가 구비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5는 본 발명의 제 6,7실시예로서,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36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37은 도 36의 Section L-L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로서,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39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로서,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모서리분리형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41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모서리분리형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로서,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모퉁이분리형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43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모퉁이분리형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폴딩 기능이 없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순환형 범퍼케이스가 적용된 예시도 및 조립도이고, 도 2는 폴딩 기능이 없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다이어리형 케이스가 적용된 예시도 및 조립도이며, 도 3은 폴딩 기능이 없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범퍼 일체형 케이스가 적용된 예시도 및 조립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기존의 판상형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같은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에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보호 또는 수납 기능 추가를 위해 순환형 범퍼 케이스(11)(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9079), 다이어리형 케이스(12)(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228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30-0473451) 및 범퍼 일체형 케이스(16)(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0260)와 같은 부가 제품들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순환형 범퍼 케이스(11)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바깥 둘레 부분이 끊어진 부위 없이 둘레 전체를 순환하는 형태로 감싸며 고정되고, 화면 표시 부분은 개방되어 터치조작 및 화면정보 확인이 용이하게 되어있다.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바깥 둘레부분이 끊어진 부위 없이 둘레 전체를 순환하는 형태로 감싸며 고정되는 방식이 적용되므로 순환형 범퍼 케이스(11)는 휘어짐이 자유로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힌지 접힘 및 펼침이 수행되어 영상표시장치의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다이어리형 케이스(12)는 사용자에 의해 회동되어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화면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는 상부면 덮개판(13), 상부면 덮개판(13)의 회동축 끝단 일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면 덮개판(13)과는 별도로 펼침 및 접힘이 용이한 재질로 상부면 덮개판(13)의 회동축 끝단 부분에 접착 또는 연결 고정되는 회동 연결판(14), 회동 연결판(14)의 일측 끝단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회동 연결판(14)의 일측 끝단에 접착 연결되며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화면 표시면 반대면에 접착 고정되거나 걸림끈(82)에 의해 모서리들에 걸림 고정되어 회동이 불가능한 하부면 고정판(15)을 포함해 구성된다.
하부면 고정판(15)에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고정은 접착방식, 고정끈을 이용한 걸림방식 및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화면 표시면 반대면에 고정 나사를 이용한 하부면 고정판(15)의 나사 고정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범퍼 일체형 케이스(16)는 사용자에 의해 회동되어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화면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는 상부면 덮개판(13), 상부면 덮개판(13)의 회동축 끝단 일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면 덮개판(13)과는 별도로 펼침 및 접힘이 용이한 재질로 상부면 덮개판(13)의 회동축 끝단 부분에 접착 연결되는 회동 연결판(14),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바깥 둘레부분을 끊어진 부위 없이 둘레 전체를 순환하는 형태로 감싸며 고정되어 회동이 불가능하고 화면 표시 부분은 개방되어있으나 화면 표시면 반대측 면은 막힌 상태로 회동 연결판(14)에 접착 연결되는 범퍼 하부판(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부면 고정판(15) 및 범퍼 하부판(17)은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표시면 반대면에 고정되어 상부면 덮개판(13)과 같은 열림 회동이 불가능한 구조를 이루므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다이어리형 케이스(12) 또는 범퍼 일체형 케이스(16)를 적용하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힌지 펼침시 열림 회동이 불가능한 하부면 고정판(15) 또는 범퍼 하부판(17)으로 인해 하부면 고정판(15) 및 범퍼 하부판(17) 내측에 접힘 수납되어있는 접힘 수납 표시면(23)이 접힘 상태로 구속되어 펼침이 불가능한 구조적 문제점을 갖게 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따라서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와 달리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형상이 변화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순환형 범퍼 케이스(11), 다이어리형 케이스(12) 및 범퍼 일체형 케이스(16)를 적용할 수 없게 되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를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요구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인에 의해 특허가 제시된 바이다.(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5-0109280)
본 발명은 본 발명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5-0109280)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되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를 여러 실시 예들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정면도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정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20)는, 그 전면에 형성된 화면 표시면(22)과, 화면 표시면(22)에서 연장되어 접힘을 통해 그 후면으로 수납되는 접힘 수납 표시면(23)을 포함한다. 접힘 수납 표시면(23)은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상의 접힘축(25)을 중심으로 접힘되어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20)의 후면에 수납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21)는, 화면 표시면(22)과 접힘 수납 표시면(23)을 각각의 프레임에 형성시키고, 각 프레임이 힌지 접힘 및 펼침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힌지 접힘 및 펼침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접힘축(25)을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화면 표시면(22)과 접힘 수납 표시면(23)의 아웃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다단 접힘 되거나 또는 감김 되지 않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7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다단 접힘 되거나 또는 감김 되지 않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 사시도 및 펼침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다단 접힘 되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10은 하부 열림커버에 형성된 접힘 홈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1은 하부 열림커버를 구성하는 접힘판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감김 되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14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다단 접힘 되는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C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Section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부 열림커버(110)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에서 다단 접힘 되거나 또는 감김 되지 않으면 펼침된 하부 열림커버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25) 반대편 모서리를 벗어난 영역에서 판상의 형태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열림커버(110)가 펼침되어 판상의 형태로 유지되면 하부 열림커버(110)로 인해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에서 느낄 수 있던 한손 그립 조작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 다른 실시 예들을 제시한다.
제 1실시예
이러한 한손 그립 조작의 용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에 적용되는 다이어리형 케이스(12)의 화면 표시면 반대면에 고정되는 하부면 고정판(15)에 상응하지만 회동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지 않고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25)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23)을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있어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전환시 단순 회동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영역밖에 유지되지 않고 다단 접힘되거나 또는 접힘축(25)에 위치되는 끝단 부분을 감김축으로 하여 감김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최소화된 상태로 유지되는 하부 열림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는 하부 열림커버(110)의 접힘축(25) 끝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조립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시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는 곡면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곡면 커버(120)에는, 곡면 커버(120)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발생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손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121) 및 접힘 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곡면 커버(120)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부분이 낙하 충격으로 인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 커버(120)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에 범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곡면 커버(120)의 자유단측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분에는, 다단 접힘 또는 감김 상태로 보관되어 있는 하부 열림커버(110) 및 곡면 커버(120) 부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펼칠수 있도록 당김수단(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제 1실시예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서 하부 열림커버(110)는 다단 접힘이 가능한 하부 열림커버(110)가 일정한 위치들에서 병풍 형태로 접힘이 수행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며 함몰 형성되어있는 접힘 홈부(111) 또는 일정한 위치들에서 병풍 형태로 접힘이 수행될 수 있도록 다단 접힘 폭을 고려한 폭을 갖는 다수의 판재들이 간격을 유지하며 내측 또는 외부에 고정되어 하부 열림커버(110)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접힘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부 열림커버(110)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25) 반대편 모서리에 다단 접힘된 최소화 상태로 유지되면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에서 느낄 수 있던 한손 그립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10)의 하부면 고정판(15)은 다단 접힘이 불가능한 경질의 재질 특성을 갖으며 또한 일정한 위치에서 상시적인 접힘을 허용할 수 있는 접힘 홈부(111)가 반영되어있지 못하다.
이와 달리 다단 접힘이 허용되는 제 1실시예의 하부 열림커버(11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어진 하부 열림커버(110)의 단면도와 같이 일정한 위치에서 상시적인 접힘을 허용할 수 있도록 접힘 홈부(111) 또는 다단 접힘폭을 고려한 일정한 폭을 갖는 다수의 접힘판(112)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부 열림커버(110)에 적용된다.
도 12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20)에 적용된 감김 되는 하부 열림커버(110)를 포함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20)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에 대한 상세도이다.
하부 열림커버(110)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시 최소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방법은 도 8에 나타내어진 다단 접힘 방법 외에도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감김 방식의 적용도 가능하다.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부 열림커버(110)의 감김 수행을 위해서는 하부 열림커버(110)의 재질이 감김을 상시 허용할 수 있는 연성 재질 특성을 갖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시 개방되며 회동하는 하부 열림커버(110)가 감김 태엽과 같이 자체적으로 감기며 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력 축적이 가능한 재질 특성을 갖음도 바람직하다.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감김이 수행되는 하부 열림커버(110)의 감김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25)에 위치되는 하부 열림커버(110)의 자유단 끝단을 감김축으로 하여 수행된다.
도 8,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다단 접힘 또는 감김 수행이 가능한 하부 열림커버(110)의 자유단 끝단에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시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는 곡면 커버(12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곡면 커버(120)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발생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손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121) 및 접힘 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곡면 커버(120)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부분이 낙하 충격으로 인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 커버(120)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에 범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다단 접힘 또는 감김이 허용되는 하부 열림커버(110)가 적용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도 다단 접힘 또는 감김 상태로 보관되어 있는 하부 열림커버(110) 및 곡면 커버(120) 부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펼칠수 있도록 곡면 커버(120)의 자유단측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분에 형성된 관통구에 연결되어있는 당김줄과 같은 당김수단(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 도 12 및 도 14에는 다단 접힘 또는 감김 상태로 인해 당김수단(123)을 도시될 수가 없어 도 6으로 대체 설명하였으며 당김줄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제 2실시예
도 17은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수납 하우징이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18은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수납 하우징을 포함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Section B-B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수납 하우징을 포함하는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Section C-C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수납 하우징이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23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수납 하우징을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Section D-D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5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수납 하우징을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Section E-E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7, 도 18, 도 20, 도 22, 도 23 및 도 2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실시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25)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25) 반대편 모서리 부분에 적용되며 감김 대상을 위한 감김축 및 수용공간을 갖는 수납 하우징(140) 및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이어리형 케이스의 화면 표시면 반대면에 고정되는 하부면 고정판에 상응하지만 일측 끝단이 수납 하우징(140)의 감김축에 연결되고 반대측 끝단은 수납 하우징(140)을 벗어나 펼침되어 접힘 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덮어주거나 또는 감김되어 수납 하우징(140)에 수용되는 상태로 유지됨이 가능한 하부 열림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7, 도 18,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감김축에 연결된 하부 열림커버(110)의 반대편 자유단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되어 펼침 상태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시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감김 상태시 하부 열림커버(110)와 함께 순차적으로 감김되어 수납 하우징(140)에 자유단 측 끝단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감김 수용되는 곡면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곡면 커버(120)에는 곡면 커버(120)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방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손상 방지 및 펼침 과정을 위한 수납 하우징(140) 인출구 밖에서의 끝단 걸림 형성을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1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곡면 커버(120)의 다른 예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감김축에 연결된 하부 열림커버(110)의 반대편 자유단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조립되어 펼침 상태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시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감김 상태시 하부 열림커버(110)와 달리 수납 하우징(140) 밖에 감김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곡면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곡면 커버(120)에는 곡면 커버(120)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방지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손상 방지를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121) 및 접힘 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곡면 커버(120)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부분이 낙하 충격으로 인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 커버(120)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에 형성되어있는 범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수납 하우징(140)에 감김 수용되어있는 부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펼칠 수 있도록 곡면 커버(120)의 자유단측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분에 형성된 관통구에 연결되어있는 당김줄과 같은 당김수단(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당김줄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제 3실시예
도 27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독립형 곡면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28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독립형 곡면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29는 도 28의 Section F-F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7, 도 28 및 도 2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3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25)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평면상태인 화면표시면 보호 및 케이스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성품 없이 단독 적용되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접힘축(25) 부분에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보호하고,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25)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150)이다.
*제 3실시예에서 독립형 곡면 커버(150)에는 접힘 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곡면 커버(120)의 모서리 부분들이 낙하 충격으로 인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 커버(120)의 모서리들에 범퍼(122) 및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25)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150)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와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일측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측은 독립형 곡면 커버(150)에 연결되는 분실방지 연결줄(1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3실시예에서 독립형 곡면 커버(150)의 접힘축(25) 방향에 위치하는 양측 끝단에는 독립형 곡면 커버(150)가 접힘축(25) 방향으로 미끌어지며 이탈되지 않도록 독립형 곡면 커버(150)의 상단 모서리 또는 하단 모서리를 각각 폐쇄시켜 형성된 축방향 폐쇄면(1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독립형 곡면 커버(150)의 다른 적용례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25)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어 분리될시 최소공간 점유를 위해 접힘축(25) 방향으로 양측 끝단이 마주보며 수축되어 유지되고 접힘축(25) 부분에 고정 적용될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일측 끝단 걸림 고정후 반대측 끝단을 잡아당김으로 인해 접힘축(25) 방향으로 신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4실시예
도 30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31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접힘상태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Section F-F에 대한 단면도, Section G-G에 대한 단면도, Section H-H에 대한 단면도, Section I-I에 대한 단면도, Section J-J에 대한 단면도 및 Section K-K에 대한 단면도 이며, 도 33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4는 하부 열림커버가 구비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0부터 도 34의 도면들에 의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4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25)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한 화면 표시면 관통구(201)가 형성되어 있고 화면 표시면 관통구(201)를 제외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접힘축(25)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모두가 일체형으로 밀착 고정되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접힘축(25)과 마주보며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조립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의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위치되는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펼침 조작 관통구(203),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 조작 관통구(203)가 형성된 모서리 양측 끝에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손가락 걸림턱(204) 및 상부 손가락 걸림턱에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펼침 조작 관통구(203)를 경유하여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에서 펼침 조작 관통구(203)가 형성되지 않은 모서리에 형성된 하부 손가락 걸림턱(2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2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25)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20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범퍼 돌출부(206)가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의 모퉁이 부분에 형성됨으로 인해 범퍼케이스를 적용하기 어려운 대칭형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도 제한적인 범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의 부분 중에서 접힘축(25)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202)에 해당되는 접힘축(25) 관련 부분은 둘레 치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직접 고정된 인접 부위들에 의해서 간접 고정되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의 부분 중에서 둘레 가변 영역(202)에 해당되는 부분이 둘레 치수 변화를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둘레 가변 영역(202)에 해당되는 부분이 주름부(미도시)를 갖을 수 있다.
제 5실시예
도 3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5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한 화면 표시면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화면 표시면 관통구를 제외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접힘축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모두가 일체형으로 밀착 고정되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 및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화면 표시면 관통구를 폐쇄시키며 화면 표시면 관통구 둘레에 고정되고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보호 및 표시화면 투과를 위한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5실시예에서 보호필름(700)은 접힘축(25)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5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는 제 4실시예의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와 동일하다.
도 31,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의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위치되는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펼침 조작 관통구(203),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 조작 관통구(203)가 형성된 모서리 양측 끝에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손가락 걸림턱(204) 및 상부 손가락 걸림턱에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펼침 조작 관통구(203)를 경유하여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에서 펼침 조작 관통구(203)가 형성되지않은 모서리에 형성된 하부 손가락 걸림턱(2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5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는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2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25)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20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5실시예에서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의 부분 중에서 접힘축(25)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202)에 해당되는 접힘축(25) 관련 부분은 둘레 치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직접 고정된 인접 부위들에 의해서 간접 고정되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의 부분 중에서 둘레 가변 영역(202)에 해당되는 부분이 둘레 치수 변화를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200)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6실시예
도 35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36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37은 도 36의 Section L-L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7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5,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6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25)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한 화면 표시면 개방구(301)가 접힘축(25)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모두에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화면 표시면 개방구(301)를 제외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접힘축(25)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300) 및 접힘축(25)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202)이며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300)가 적용되지 않은 부분에 적용되는 가변 연결 커버(3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의 도 34와 마찬가지로 제 6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접힘축(25)과 마주보며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조립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5 실시예와 제 6 실시예의 차이점을 발생시키는 둘레 가변 영역(202) 부위에 대한 대응 방법과 무관하므로 제5 실시예의 도 34를 이용해 설명은 생략한다.
제 5 실시예의 도 34와 마찬가지로 제 6실시예에서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는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위치되는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펼침 조작 관통구(203),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 조작 관통구(203)가 형성된 모서리 양측 끝에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손가락 걸림턱(204) 및 상부 손가락 걸림턱(204)에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펼침 조작 관통구(203)를 경유하여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에서 펼침 조작 관통구(203)가 형성되지않은 모서리에 형성된 하부 손가락 걸림턱(2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6실시예에서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는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2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25)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20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6과 도 37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제 6실시예에서 가변 연결 커버(302)는 단절된 상태의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양측 끝단 사이에 적용되며 접힘축(25)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제 7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7실시예는 도 3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25)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한 화면 표시면 개방구(301)가 접힘축(25)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모두에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화면 표시면 개방구(301)를 제외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접힘축(25)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300), 접힘축(25)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202)이며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300)가 적용되지 않은 부분에 적용되는 가변 연결 커버(302) 및 접힘축(25)을 기준으로 분리되어있는 양측 화면 표시면 개방구(301)들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을 폐쇄시키며 양측 화면 표시면 개방구(301)들의 둘레에 고정되고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보호 및 표시화면 투과를 위한 보호필름(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7실시예에서 보호필름(700)은 접힘축(25)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7실시예에서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300)는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300)의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에 위치되는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펼침 조작 관통구(203),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 조작 관통구(203)가 형성된 모서리 양측 끝에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부 손가락 걸림턱(204) 및 상부 손가락 걸림턱에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펼침 조작 관통구(203)를 경유하여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에서 펼침 조작 관통구(203)가 형성되지않은 모서리에 형성된 하부 손가락 걸림턱(2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도 32와 마찬가지로 제 7실시예에서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300)는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300)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2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25)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20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7실시예에서 가변 연결 커버(302)는 단절된 상태의 좌우분리형 전면 개방구 커버의 양측 끝단 사이에 적용되며 접힘축(25)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제 8실시예
도 38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39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8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25)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해 화면 표시가능 영역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사이의 영역이 연장되어 제거됨으로 인해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부분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가 고정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바깥면 위에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이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8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접힘축(25)과 마주보며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조립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8실시예에서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400)의 부분 중에서 접힘축(25)의 접힘 및 펼침시 둘레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둘레 가변 영역(202)에 해당되는 접힘축(25) 관련 부분은 둘레 치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직접 고정된 인접 부위들에 의해서 간접 고정되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제 8실시예에서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400)의 부분 중에서 둘레 가변 영역(202)에 해당되는 부분이 둘레 치수 변화를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400)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둘레 가변 영역(202)에 해당되는 부분이 주름부(미도시)를 갖을 수 있다.
제 8실시예에서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400)는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400)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206) 및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25)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2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8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접힘축(25) 부분에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보호하고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25)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150) 및 일측은 독립형 곡면 커버(150)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측은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400) 또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는 분실방지 연결줄(1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9실시예
도 40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모서리분리형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41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모서리분리형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9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25)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25) 반대편에 위치하는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인접 부위에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모서리분리형 커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9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접힘축(25)과 마주보며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조립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9실시예에서 모서리분리형 커버(500)의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들 중 펼침력 작용을 위한 손가락 걸림이 용이하도록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이 반대 방향으로 펼침관련 걸림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나머지 반대편 모서리에도 형성된 손가락 걸림부(5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9실시예에서 모서리분리형 커버(500)는 모서리분리형 커버(500)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206) 및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25)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2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9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접힘축(25) 부분에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보호하고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25)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120)(150) 및 일측은 독립형 곡면 커버(120)(150)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측은 모서리분리형 커버(500) 또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는 분실방지 연결줄(1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0실시예
도 42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모퉁이분리형 커버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43은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모퉁이분리형 커버를 포함하는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펼침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10실시예는 접힘이 발생되는 접힘축(25)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화면 표시가능 영역 노출을 위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축(25) 반대편에 위치하는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부위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모퉁이분리형 커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0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접힘축(25)과 마주보며 반대편에 있는 모서리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조립되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수납 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덮는 하부 열림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0실시예에서 모퉁이분리형 커버(600)는 모퉁이분리형 커버(600)의 모퉁이 부위 중에서 접힘축(25)을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상단 및 하단 모퉁이 영역으로부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을 일정 길이를 갖으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둘레영역 밖으로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206) 및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형성이 시작되는 부위가 접힘축(25)에 수직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에 걸쳐 범퍼 돌출부(206)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된 범퍼 돌출부 지지면(2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0실시예에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접힘축(25) 부분에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6)의 곡면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어주며 보호하고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상태 전환시 접힘축(25) 부분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독립형 곡면 커버(150) 및 일측은 독립형 곡면 커버(150)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측은 모퉁이분리형 커버(600) 또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는 분실방지 연결줄(1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잇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잇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 11: 순환형 범퍼 케이스
12: 다이어리형 케이스 13: 상부면 덮개판
14: 회동 연결판 15: 하부면 고정판
16: 범퍼 일체형 케이스 17: 범퍼 하부판
20: 비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21: 대칭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22: 상시 화면 표시면 23: 접힘 수납 표시면
25: 접힘축
26: 유연성있는 표시장치 30: 개방형 범퍼 케이스
31: 간섭 제거 영역 32: 모서리 걸림턱
33: 힌지부위 걸림턱
110: 하부 열림커버 111: 접힘 홈부
112: 접힘판 120: 곡면 커버
121: 보호 프레임 122: 범퍼
123: 당김수단 130: 상부 열림커버
140: 수납 하우징 150: 독립형 곡면 커버
151: 분실방지 연결줄 152: 축방향 폐쇄면
200: 일체형 전면 개방구 커버 201: 화면 표시면 관통구
202: 둘레 가변 영역 203: 펼침 조작 관통구
204: 상부 손가락 걸림턱 205: 하부 손가락 걸림턱
206: 범퍼 돌출부 207: 범퍼 돌출부 지지면
300: 좌우 분리형 전면 커버
301: 화면 표시면 개방구 302: 가변 연결 커버
400: 상하분리형 전면 커버 500: 모서리분리형 커버
501: 손가락 걸림부 600: 모퉁이분리형 커버
700: 보호필름

Claims (15)

  1.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로서:
    상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화면 표시면;
    상기 화면 표시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측면에서 접힘되는 접힘부; 및
    상기 접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후면에 수납되는 접힘 수납 표시면을 포함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부 측면의 대향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힘 수납 표시면을 수납하는 가변가능한 하부 열림커버를 포함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열림커버는, 상기 대향측면에서 다단 접힘되어 유지되거나, 상기 대향측면을 감김축으로 하여 감김되어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열림커버의 끝단에는 상기 접힘부를 덮는 곡면 커버가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커버는 상기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발생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커버는 접힘 상태인 상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상기 곡면 커버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부분이 낙하 충격으로 인한 상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곡면 커버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에 형성되어있는 범퍼;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분에는 다단 접힘 또는 감김 상태로 보관되어 있는 상기 하부 열림커버 및 상기 곡면 커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펼칠수 있도록 당김수단;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접힘이 가능한 상기 하부 열림커버는 일정한 위치들에서 접힘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상기 하부 열림커버에 함몰 형성되어있는 접힘 홈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접힘이 가능한 상기 하부 열림커버는 일정한 위치들에서 접힘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갖는 다수의 판재들이 일정간격으로 상기 하부 열림커버의 내측 또는 외부에 고정되는 접힘판;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측면에 감김 대상을 위한 감김축 및 수용공간을 갖는 수납 하우징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열림커버는, 그 일측 끝단이 상기 수납 하우징의 감김축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하우징에 감김되어 상기 수납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태로 유지되며, 그 반대측 끝단은 상기 수납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열림커버의 반대측 끝단에는 상기 접힘부를 덮는 곡면 커버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 끝단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납 하우징에 감김 수용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커버는 상기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방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손상 방지 및 펼침 과정을 위한 수납 하우징 인출구 밖에서의 끝단 걸림 형성을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열림커버의 반대측 끝단에는 상기 접힘부를 덮는 곡면 커버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 커버를 제외한 상기 하부 열림커버가 상기 수납 하우징에 감김 수용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커버는 상기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 끝단 모서리 또는 모퉁이로 인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처 방지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손상 방지를 위해 자유단측 끝단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있는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커버는 접힘 상태인 상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낙하시 상기 곡면 커버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부분이 낙하 충격으로 인한 상기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곡면 커버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에 형성되어있는 범퍼;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15.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커버의 자유단측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분에는 상기 수납 하우징에 감김 수용되어있는 부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펼칠 수 있도록 당김수단;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20170077998A 2015-08-03 2017-06-20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1837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80 2015-08-03
KR20150109280 2015-08-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862A Division KR101837569B1 (ko) 2015-08-03 2016-08-03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694A true KR20170075694A (ko) 2017-07-03
KR101837571B1 KR101837571B1 (ko) 2018-03-13

Family

ID=5794326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862A KR101837569B1 (ko) 2015-08-03 2016-08-03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20170077998A KR101837571B1 (ko) 2015-08-03 2017-06-20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20170077997A KR101800214B1 (ko) 2015-08-03 2017-06-20 에지 커버 케이스
KR1020170155480A KR102290745B1 (ko) 2015-08-03 2017-11-21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20210101761A KR102448047B1 (ko) 2015-08-03 2021-08-03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862A KR101837569B1 (ko) 2015-08-03 2016-08-03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997A KR101800214B1 (ko) 2015-08-03 2017-06-20 에지 커버 케이스
KR1020170155480A KR102290745B1 (ko) 2015-08-03 2017-11-21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20210101761A KR102448047B1 (ko) 2015-08-03 2021-08-03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80213902A1 (ko)
JP (2) JP6787593B2 (ko)
KR (5) KR101837569B1 (ko)
CN (4) CN107920642B (ko)
WO (1) WO2017023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692B1 (ko) * 2016-10-25 2017-06-20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화면 투과창이 적용된 하부 커버를 갖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US11134336B2 (en) * 2018-07-12 2021-09-28 Clean Energy Labs, Llc Cover-baffle-stand system for loudspeak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9120749A (zh) * 2018-07-25 2019-01-01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手持式通信终端
CN108990330B (zh) * 2018-08-29 2020-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KR102075846B1 (ko) * 2018-11-14 2020-02-10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악세사리
KR102587879B1 (ko) * 2018-11-2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300B1 (ko) * 2018-12-02 2019-08-0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108908B1 (ko) * 2018-12-13 2020-05-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CN109462674A (zh) * 2018-12-26 2019-03-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102660605B1 (ko) * 2019-01-08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장치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장치
CN111610818B (zh) 2019-02-22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终端和可折叠终端的亮屏控制方法
KR102006301B1 (ko) * 2019-03-24 2019-08-0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CN111789363B (zh) * 2019-04-09 2022-04-19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JP7065112B2 (ja) * 2019-04-25 2022-05-11 北京小米移動軟件有限公司 画面展開・収納ユニット及び端末
KR20200130574A (ko) * 2019-05-10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M582287U (zh) * 2019-05-16 2019-08-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保護殼
WO2020242036A1 (en) 2019-05-31 2020-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JP6773272B1 (ja) * 2019-06-04 2020-10-21 齋藤 敬 スマートフォン・タブレット
US10790869B1 (en) 2019-06-07 2020-09-29 Fosmon IP Holding Company, LLC Split screen phone carrying case with stand
JP7356339B2 (ja) * 2019-07-09 2023-10-04 任天堂株式会社 カバー
CN110519437B (zh) * 2019-08-15 2021-02-05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移动终端的保护套
KR20220125211A (ko) * 2019-09-03 2022-09-14 마이클 제이. 얼 스프링-장전형 언폴딩-디스플레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EP4075765A4 (en) 2019-12-13 2023-11-08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CN111223409A (zh) * 2020-03-24 2020-06-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20230185341A1 (en) * 2020-06-05 2023-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2153255B (zh) * 2020-09-07 2021-12-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531797B (zh) 2020-11-23 2024-05-10 投机性产品设计有限责任公司 用于可折叠移动设备的外壳
WO2022119321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KR102628918B1 (ko) * 2020-12-18 2024-01-2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롤러블 모바일 디바이스용 확장형 케이스
DE112021007009T5 (de) * 2021-03-03 2023-12-21 Lg Electronics Inc. Mobiles endgerät
CN113129757B (zh) * 2021-04-22 2023-03-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3191423A1 (ko) * 2022-03-30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장치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039A (ja) * 1997-05-14 1998-12-04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の耐衝撃構造
JP3678593B2 (ja) * 1998-12-15 2005-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用プロテクタ
JP2004139558A (ja) * 2002-09-27 2004-05-13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およびそのカバー部材
TWM270706U (en) * 2005-01-14 2005-07-21 Quanta Comp Inc Changeable mobile phone leather cover
US7724508B2 (en) * 2005-05-20 2010-05-25 Polymer Vision Limited Protective cover for flexible display screen
US20070227923A1 (en) * 2006-03-29 2007-10-04 Michael Kidakarn Protecting cas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TWI413037B (zh) * 2007-06-15 2013-10-21 Creator Technology Bv 具有可改變角度的可撓性顯示器的電子裝置
JP2009045160A (ja) * 2007-08-16 2009-03-05 Sony Corp 撮像装置用ケース
TWI441116B (zh) 2008-04-22 2014-06-11 Creator Technology Bv 附加具有能有進一步功能之本體的可撓性顯示器之電子裝置
TW201014758A (en) * 2008-10-07 2010-04-16 Chia-Hao Chiang Goods protecting bag
CN201370214Y (zh) * 2008-12-31 2009-12-30 惠州市臻晖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小型折叠式电子设备的保护套
US9025317B2 (en) * 2010-03-17 2015-05-05 Otter Products, Llc Multi-material protective case for sliding/articulating/rotat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201716630U (zh) * 2010-06-22 2011-01-1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具有收纳式保护套的装置
US20120153116A1 (en) * 2010-06-25 2012-06-21 Doug Harrison Convertible Case for a Tablet Computer
JP2012043182A (ja) * 2010-08-19 2012-03-01 Hakuba Shashin Sangyo Kk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用ケース
US8281924B2 (en) * 2010-08-20 2012-10-09 Cyber Acoustics, Llc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03702U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폰 보호대
KR101776777B1 (ko) * 2011-01-11 201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축 접이식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접이식 디스플레이장치
CN202043757U (zh) * 2011-04-19 2011-11-23 钱懿 一种卷帘式手机保护套
KR20120124194A (ko) * 2011-05-03 2012-11-13 신두일 착탈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겸용 화면출력장치
KR101229079B1 (ko) * 2011-06-23 2013-02-06 (주)제이엠씨 휴대단말기용 범퍼케이스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ITRE20110071A1 (it) * 2011-09-19 2013-03-20 Eurotek Italia Srl Custodia per apparecchi elettronici tascabili
CN202445339U (zh) * 2011-12-26 2012-09-26 三星电子株式会社 保护套以及具有该保护套的便携式装置
KR101297555B1 (ko) 2012-01-25 2013-08-16 이진영 휴대기기 케이스
KR200469396Y1 (ko) * 2012-03-08 2013-10-08 민근식 전자기기용 다기능 파우치
KR101329617B1 (ko) * 2012-07-27 2013-11-14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서블 전자소자 커버
JP5399579B1 (ja) * 2012-09-10 2014-01-29 株式会社パワーサポート タブレット端末用アタッチメント
US20140138265A1 (en) * 2012-10-02 2014-05-22 Hendra Bong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EP2728434B1 (en) * 2012-11-02 2017-07-26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JP6198194B2 (ja) * 2012-12-05 2017-09-27 齋藤 敬 表示装置
KR101441081B1 (ko) * 2012-12-14 2014-09-23 이유구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US9294597B2 (en) * 2013-01-25 2016-03-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flexible display on a mobile device
KR101269070B1 (ko) * 2013-03-29 2013-06-03 조한빈 이중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접이식 모바일 기기용 보호 커버
KR101441888B1 (ko) * 2013-05-23 2014-09-23 이미화 셀프 카메라 촬영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구조체
US9417668B2 (en) * 2013-06-25 2016-08-16 Nicholas Wiley Sun shade case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421220B1 (ko) * 2013-07-16 2014-07-25 이유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CN203986552U (zh) * 2013-10-24 2014-12-10 何洪国 一种金属结构手机保护套
US9042950B1 (en) * 2013-11-19 2015-05-26 Heidi OH Detachable front flip cover for cell-phone case
KR101502272B1 (ko) 2014-03-10 2015-03-12 맹용주 모바일 단말기용 가변형 케이스
CN203761443U (zh) * 2014-03-12 2014-08-06 叶南辉 移动装置的收展式保护套结构
CN204103961U (zh) * 2014-07-13 2015-01-14 王傲立 一种折叠式手机
CN104158926B (zh) * 2014-07-16 2018-01-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移动终端
KR101779012B1 (ko) * 2014-08-15 2017-09-18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CN204273521U (zh) 2014-09-29 2015-04-22 梁志聪 具有支撑功能的手机套
CN204189088U (zh) * 2014-10-24 2015-03-0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1618594B1 (ko) 2014-11-18 2016-05-09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591075B1 (ko) * 2014-12-29 2016-02-02 임유섭 사용자의 펼침조작력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를 갖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WO2016111555A2 (en) * 2015-01-07 2016-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9814289B2 (en) * 2015-04-08 2017-11-1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JP6261674B1 (ja) * 2016-07-19 2018-01-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47021B (zh) 2019-11-12
KR20170132114A (ko) 2017-12-01
US20180352924A1 (en) 2018-12-13
KR20210100565A (ko) 2021-08-17
KR102448047B1 (ko) 2022-09-28
CN107920642A (zh) 2018-04-17
JP6787593B2 (ja) 2020-11-18
CN107920642B (zh) 2020-08-25
JP2018530934A (ja) 2018-10-18
JP2018530933A (ja) 2018-10-18
KR20170016306A (ko) 2017-02-13
KR102290745B1 (ko) 2021-08-20
KR101837569B1 (ko) 2018-03-13
KR101800214B1 (ko) 2017-11-24
CN110840038B (zh) 2021-11-19
CN110916314A (zh) 2020-03-27
US20180213902A1 (en) 2018-08-02
CN110840038A (zh) 2020-02-28
CN107847021A (zh) 2018-03-27
KR101837571B1 (ko) 2018-03-13
WO2017023069A1 (ko) 2017-02-09
KR20170075693A (ko) 2017-07-03
JP6713115B2 (ja)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571B1 (ko)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2006300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CN106662744B (zh) 用于头部安装设备的紧凑折叠结构
JP2018530934A5 (ko)
KR102006301B1 (ko)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1439237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837570B1 (ko)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WO2015018960A1 (es) Funda para teléfonos móviles o dispositivos similares
US20140190840A1 (en) Eyeglass storage case
KR20200064756A (ko)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WO2018080116A1 (ko) 화면 투과창이 적용된 하부 커버를 갖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20130053681A (ko) 휴대전화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WO2017023121A1 (ko)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개선된 보호케이스 및 보호케이스 적용방안
KR20180087826A (ko)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20200114958A (ko)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108908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JP2024520467A (ja) 折り畳み可能な携帯電子機器用ケース
US20210052053A1 (en) Cover for a mobile device with a screen and a case having such a cover
KR101163981B1 (ko) 휴대용단말기의 거치겸용 케이스
JP3177367U (ja) 眼鏡プロテクター
TWM482993U (zh) 行動裝置之收展式保護套結構
KR200466974Y1 (ko) 핸드폰 케이스
ES1140933U (es) Soporte de sujeción de elementos enrollables
KR20120094289A (ko) 디스플레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