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908B1 -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908B1
KR102108908B1 KR1020180161332A KR20180161332A KR102108908B1 KR 102108908 B1 KR102108908 B1 KR 102108908B1 KR 1020180161332 A KR1020180161332 A KR 1020180161332A KR 20180161332 A KR20180161332 A KR 20180161332A KR 102108908 B1 KR102108908 B1 KR 102108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protective case
display device
cover
fold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KR102018016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0Chains or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의 바깥 원주면 및 접힘 발생 축 끝단의 폴더블 몸체 바깥측 둘레면을 감싸며 보호하고 펼침상태 전환시 자동으로 걸림 또는 보호상태가 해제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for 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의 바깥 원주면 및 접힘 발생 축 끝단의 폴더블 몸체 둘레면을 감싸며 보호하고 평면 상태의 화면표시면 부분들 중 어느 한면을 보호하며 펼침상태 전환시 고정상태 또는 보호상태가 해제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시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보호케이스들이 본 발명인에 의해 특허로 제시되었다.(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5-0109280, 10-2016-0098862, 10-2016-0138950)
또한 접힘 상태시 밀착이 이루어 지지않는 내측면의 간격이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좁아지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외력에 의한 힌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인에 의해 대한민국 출원특허(10-2018-0139604 및 10-2018-1204647)가 제시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분리된 형태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가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개방된 끝단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의 바깥 원주면 및 접힘 발생 축 끝단의 폴더블 몸체 둘레면을 감싸며 보호하고 펼침 상태 전환시 고정상태 또는 보호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평면 상태의 화면표시면 부분들 중 어느 한면을 보호하며 펼침상태 전환시 화면표시면 측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는 폴더블 몸체에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양측 끝단에 각각 적용되어 일측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을 각각 감싸며 접힘 발생 축 부분이 개방된 개방형 둘레 벽면을 갖는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개방형 둘레 벽면에는 폴더블 몸체의 둘레 부분에 걸림 고정을 수행하는 베젤 걸림턱이 형성되어있다.
베젤 걸림턱은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및 펼침 전환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의 접힘 발생 축 끝단 부분 평면 또는 곡면 부분과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 밖에 형성되어있다.
개방형 둘레 벽면의 개방된 끝단 부분에는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의 접힘 발생 축 인접 부위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에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걸림 고정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다.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에 밀착되는 개방형 둘레 벽면의 내측 면들 중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내측 면에는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원주면을 덮을 수 있는 터널 형상의 원주면 덮개 형상과 접힘 발생 축의 양측 끝단 부분을 덮을수 있는 고정벽면 형상을 갖는 에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에지커버는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특징을 갖는다.
에지커버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보호케이스1 또는 보호케이스2의 개방형 둘레 벽면의 접힘 발생 축 반대편 임의 부분에는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고 반대편 자유단 부분은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 회전 또는 접힘 이동되어 폴더블 몸체의 접힘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평면 부분 중 어느 한쪽과 원주면 부분을 덮어주며 펼침 상태 전환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밖으로 이동되는 회전커버가 적용될 수 있다.
개방형 둘레 벽면의 개방된 끝단 부분에는 폴더블 몸체의 바깥측 원주면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의 반원형 둘레면을 덮어주는 덮개형상을 갖는 축 끝단 덮개형상이 형성되어있다.
축 끝단 덮개형상의 바깥면에는 개방형 둘레 벽면의 바깥면보다 돌출 형성된 범퍼형상이 형성되어있다.
개방형 둘레 벽면에는 마이크 또는 통화 스피커의 노출을 위한 관통구1, 물리버튼의 노출을 위한 버튼 개방부 및 외부장치 연결을 위해 관통 형성된 연결 개방부가 형성되어있다.
개방형 둘레 벽면에는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폴더블 몸체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의 걸림 고정 부분에 선택적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이 형성되어있다.
에지커버의 분실 방지를 위해 에지커버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반대편 일측은 보호케이스1 또는 보호케이스2의 개방형 둘레 벽면 어느 한쪽에 연결되는 분실 방지줄이 적용되어있는 특징을 갖는다.
회전커버에는 카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있다.
회전커버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투과를 위해 투명한 재질 특성을 갖거나 또는 불투명 재질을 갖는 경우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평면 화면표시면을 투과하는 제1투과창 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바깥측 원주면 부분을 투과하는 제2투과창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커버가 적용되는 보호케이스1 또는 보호케이스2의 개방형 둘레 벽면 끝단에는 회전커버의 자유단 측 끝단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자석, 벨크로 또는 걸림형상을 포함하는 회전커버 고정부1이 적용되고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바깥측 원주면 부분을 감싸고 있는 회전커버의 자유단 측 끝단 부분에는 회전커버 고정부1에 대응되는 회전커버 고정부2가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
첫째, 폴더블 몸체의 접힘상태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분리된 형태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가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개방된 끝단 부분이 벌어지지 않게 된다.
둘째,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의 바깥 원주면 및 접힘 발생 축 끝단의 폴더블 몸체 둘레면을 감싸며 보호하고 펼침 상태 전환시 고정상태 또는 보호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취약부위인 바깥측 원주면을 선택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평면 상태의 화면표시면 부분들 중 어느 한면을 보호하며 펼침상태 전환시 화면표시면 측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어 화면표시면의 선택적인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펼침상태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구성품인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에지커버가 적용된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SECTION CUT A-A, SECTION CUT B-B 및 SECTION CUT C-C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펼침상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밑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SECTION CUT D-D, SECTION CUT E-E, SECTION CUT F-F 및 SECTION CUT G-G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에 적용된 보호케이스2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밑면도이고,
도 10은 도 3에 적용된 에지커버의 사시도, 정면도, SECTION CUT H-H 및 SECTION CUT I-I에 대한 단면도 이며,
도 11은 도 3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밑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SECTION CUT J-J, SECTION CUT K-K, SECTION CUT L-L 및 SECTION CUT M-M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구성품인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회전커버가 적용된 접힘상태 개념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SECTION CUT N-N 및 SECTION CUT O-O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펼침상태 정면도, 밑면도 및 SECTION CUT P-P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다른 실시예의 회전커버가 적용된 도 14의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SECTION CUT Q-Q 및 SECTION CUT R-R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SECTION CUT S-S 및 SECTION CUT T-T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펼침상태에서 회전커버가 화면표시면 밖의 뒷면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21은 도 1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14 및 도 17에 적용된 보호커버2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인에 의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가 제시(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7570, 출원특허 10-2018-0139604 및 10-2018-1204647 포함)되었다.
본 발명인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7570은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의 가로 치수가 비대칭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바깥 둘레부분 중에서 접힘 또는 펼침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한 형상과 위치를 유지하는 불변영역의 둘레 부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7570에 제시된 보호케이스는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가로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폴더블 몸체의 일측 둘레부분을 감싸며 고정되고 접힘 발생 축 부분 전부가 아닌 일부분만이 개방된 형태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접힘 발생 축 부분의 둘레 부분 중에서 개방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둘레부분은 접힘 발생 축의 양측 끝단 부분을 감싸며 띠 형상의 보호케이스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7570에서 제시된 보호케이스는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의 가로 치수가 다른 비대칭 형태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서만 적용 가능하며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가로 치수가 동일한 대칭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는 적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별도로 본 발명인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8-1204647에 제시된 보호케이스는 폴딩 안쪽면에 접힘 공간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인은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가로 치수가 동일한 대칭 특징을 갖으며 접힘 상태시 폴딩 안쪽면에 접힘 공간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어도 보호케이스의 고정 및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작동에 간섭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보호케이스를 이하 제시한다.
도 1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펼침상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진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0)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이 발생하는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가로 치수가 동일한 대칭 특징을 갖으며 접힘 상태시 폴딩 안쪽면에 접힘 공간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가 폴딩 바깥면에 적용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이다.
이하 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들에 나타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 및 도 2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이지만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특정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폴딩 영상표시장치로 변경하여 적용하여도 본 발명인에 의해 이하 제시될 본 발명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화면표시면과 화면표시면의 반대편 면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의 둘레를 이루는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들 중 접힘 발생 축(111) 인접 점선 밖의 영역 부분은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시 형상이 변경되지 않으나 접힘 발생 축(111) 인접 점선 안쪽의 영역 부분은 형상이 변경되고 수축 또는 팽창되는 특징을 갖음으로 인해 고정된 형상을 갖는 보호케이스가 접힘 발생 축(111) 부분에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인에 의해 이하 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고정된 형상을 갖는 보호케이스 한쌍이 일측 둘레 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분리되어 적용되며 이로 인해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시 형상 변경이 일어나는 부분에 보호케이스가 직접 고정되지는 않고 연장된 끝단 부분이 접힘 발생 축 인접 부분을 덮어주는 특징을 갖게된다.
도 3은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구성품인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에지커버가 적용된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SECTION CUT A-A, SECTION CUT B-B 및 SECTION CUT C-C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펼침상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밑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SECTION CUT D-D, SECTION CUT E-E, SECTION CUT F-F 및 SECTION CUT G-G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에 적용된 보호케이스2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밑면도이고, 도 10은 도 3에 적용된 에지커버의 사시도, 정면도, SECTION CUT H-H 및 SECTION CUT I-I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3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밑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SECTION CUT J-J, SECTION CUT K-K, SECTION CUT L-L 및 SECTION CUT M-M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사시도이다.
도 3 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인에 의해 제시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대한 실시예는 폴더블 몸체(110)에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0)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양측 끝단에 각각 적용되어 일측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을 각각 감싸며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이 개방된 개방형 둘레 벽면(210)을 갖는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원주면을 덮을 수 있는 터널 형상의 원주면 덮개(401) 형상과 접힘 발생 축(111)의 양측 끝단 부분을 덮을 수 있는 고정벽면(402) 형상을 갖는 에지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에지커버(400)는 펼침상태시 접힘 발생 축(111)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특징을 갖는다.
에지커버(400)의 분실 방지를 위해 에지커버(400)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반대편 일측은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개방형 둘레 벽면(210) 어느 한쪽에 연결되는 분실 방지줄(410)이 적용된다.
도 4,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개방형 둘레 벽면(210)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둘레 부분인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에 걸림 고정을 수행하는 베젤 걸림턱(211)이 형성되어있으며 베젤 걸림턱(211)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및 펼침 전환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 부분 평면 또는 곡면 부분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있다.
도 8의 SECTION CUT F-F 및 SECTION CUT G-G와 도 12의 SECTION CUT L-L 및 SECTION CUT M-M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베젤 걸림턱(211)이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 부분에는 적용되지 않도록 함으로 인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폴더블 몸체(110)에 고정 적용되어도 자유로운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3부터 도 9 및 도 1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는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의 둘레 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갖음으로 인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에 적용되어도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이 자유롭다.
그러나 본 발명인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7570의 보호케이스와 달리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 기준점이 없어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으로부터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이탈되는 문제 또는 개방된 끝단 부분이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으로부터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접힘 발생 축(111) 둘레 부분의 개방형 형상 특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부터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개방형 둘레 벽면(210)의 개방된 끝단 부분에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의 접힘 발생 축(111) 인접 부위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130)에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걸림 고정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관통구(212)가 형성되어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몸체(110)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130)와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에 형성된 고정 관통구(212)는 보호케이스 고정나사(700)에 의해 나사체결 고정될 수 있다.
폴더블 몸체(110)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130)가 돌출 걸림 형상인 경우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에 형성된 고정 관통구(212)는 보호케이스 고정구(130)에 걸림 고정되는 개념이 적용될 수 있고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에 형성된 고정 관통구(212)가 폴더블 몸체(110)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130) 측으로 돌출 걸림되는 쐐기 형상을 갖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고정방식은 보호케이스 고정나사(700) 적용방식과 동등하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폴더블 몸체(110)의 보호케이스 고정구(130)는 폴더블 몸체(110)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몸체(110)에 보호케이스 고정구(130)가 적용되어있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구성품인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에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개방형 둘레 벽면(210) 내측 면들 중 접힘 발생 축(111)에 수직인 내측 면에는 접착제(710)가 적용된다.
접착제(710)는 접힘 발생 축(111)에 평행한 반대편의 개방형 둘레 벽면(210) 내측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별도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3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방형 둘레 벽면(210)의 개방된 끝단 부분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바깥측 원주면(112)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상태시 접힘 발생 축(111)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110)의 반원형 둘레면을 덮어주는 덮개형상을 갖는 축 끝단 덮개형상(213)이 형성되어있으며 축 끝단 덮개형상(213)에는 고정 관통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베젤 걸림턱(211)이 형성되어있는 영역을 넘어 개방형 둘레 벽면(210)의 개방된 끝단 부분 위치가 접힘 발생 축(111) 측의 바깥측 원주면(112)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축 끝단 덮개형상(213)으로 인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 부분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원주면 부분을 덮어줄 수 있게 된다.
축 끝단 덮개형상(213)의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원주면 부분을 덮어주는 내측면 부분에는 베젤 걸림턱(211)이 형성되어있지 않아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을 이루는 평면 또는 곡면과의 간섭이 발생치 않으며 평면 펼침상태를 넘어 노트북 모드로 추가적인 펼침 회전이 가능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기능을 구현함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에 축 끝단 덮개형상(213)이 적용됨으로 인해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원주면 부분의 보호 및 접힘 발생 축(111) 끝단으로 작용되는 낙하 충격을 흡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힘 발생 축(111) 끝단으로 작용되는 낙하 충격 흡수 능력을 높이기 위해 축 끝단 덮개형상(213)의 바깥면에는 개방형 둘레 벽면(210)의 바깥면 보다 돌출 형성된 범퍼형상이 형성되어있으며 별도의 식별부호는 도면에 표시 생략되었다.
도 7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개방형 둘레 벽면(210)에는 마이크 또는 통화 스피커의 노출을 위한 관통구1(214), 물리버튼의 노출을 위한 버튼 개방부(215) 및 외부장치 연결을 위해 관통 형성된 연결 개방부(216)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개방형 둘레 벽면(210)에는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0)가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의 걸림 고정 부분에 선택적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217)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217)이 적용됨으로 인해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폴딩 안쪽면들이 밀착되며 안쪽으로 접혀있는 경우에도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거치대가 폴더블 몸체(110)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그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펼침 전환시에도 폴더블 몸체(110)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하에 도 14부터 도 22가 제시되며 도 3부터 도 13의 실시예에서 에지커버(400)가 회전커버(500)로 변경되었고 회전커버(500)와 관련된 사항만 이전의 실시예와 다르므로 이전의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사항들 중 동일한 사항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구성품인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회전커버가 적용된 접힘상태 개념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SECTION CUT N-N 및 SECTION CUT O-O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펼침상태 정면도, 밑면도 및 SECTION CUT P-P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다른 실시예의 회전커버가 적용된 도 14의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SECTION CUT Q-Q 및 SECTION CUT R-R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SECTION CUT S-S 및 SECTION CUT T-T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펼침상태에서 회전커버가 화면표시면 밖의 뒷면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21은 도 1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14 및 도 17에 적용된 보호커버2의 사시도이다.
도 14 부터 도 2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인에 의해 제시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폴더블 몸체(110)에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0)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양측 끝단에 각각 적용되어 일측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3)을 각각 감싸며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이 개방된 개방형 둘레 벽면(210)을 갖는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개방형 둘레 벽면(210)의 접힘 발생 축(111) 반대편 임의 부분에는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고 반대편 자유단 부분은 접힘 발생 축(111) 부분으로 회전 또는 접힘 이동되어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평면 부분 중 어느 한쪽과 원주면 부분을 덮어주는 덮개판을 갖으며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상태 전환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 밖으로 선택적 이동되는 회전커버(500)가 적용된다.
회전커버(500)는 투명한 재질 특성을 갖을 수 있으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0)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인 경우 화면표시면 투과 특징을 갖을 수 있어 회전커버(500)가 덮혀있는 상태에서도 화면표시면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게된다.
도 17부터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100)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이고 회전커버(500)가 불투명 재질을 갖는 경우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평면 화면표시면을 투과하는 제1투과창(510) 또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바깥측 원주면(112) 부분을 투과하는 제2투과창(520)을 갖을 수 있다.
도 14, 도 16, 도 17, 도 19,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회전커버(500)는 후방 카메라(115)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 카메라 개방부(550)를 갖는다.
또한 도 17부터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회전커버(500)에는 카드 수납공간(5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카드수납 인출구는 회전커버(500)의 화면표시면 접촉면인 안쪽면 또는 바깥면 어느 한쪽에 둘 수 있다.
도 15, 도 18 및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회전커버(500)가 적용되는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개방형 둘레 벽면(210) 끝단에는 회전커버(500)의 자유단 측 끝단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자석, 벨크로 또는 걸림형상을 포함하는 회전커버 고정부1(232)이 적용되고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바깥측 원주면(112) 부분을 감싸고 있는 회전커버(500)의 자유단 측 끝단 부분에는 회전커버 고정부1(232)에 대응되는 회전커버 고정부2(530)가 적용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10: 폴더블 몸체
111: 접힘 발생 축 112: 바깥측 원주면
113: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 114: 전방 카메라
115: 후방 카메라 116: 통화 스피커
117: 마이크 118: 외부 연결부
120: 유연성있는 표시장치 130: 보호케이스 고정구
200: 보호케이스1 210: 개방형 둘레 벽면
211: 베젤 걸림턱 212: 고정 관통구
213: 축 끝단 덮개형상 214: 관통구1
215: 버튼 개방부 216: 연결 개방부
217: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 218: 분실 방지줄 연결구
220: 에지커버 걸림구 230: 회전커버 회전 지지부
231: 회전커버 함몰 적용부 232: 회전커버 고정부1
300: 보호케이스2 400: 에지커버
401: 원주면 덮개 402: 고정벽면
410: 분실 방지줄 420: 걸림 돌출부
500: 회전 커버 501: 회전커버 회전축
510: 제1투과창 520: 제2투과창
530: 회전커버 고정부2 540: 카드 수납공간
550: 후방 카메라 개방부 600: 카드
700: 보호케이스 고정나사 710: 접착제

Claims (16)

  1. 폴더블 몸체에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양측 끝단에 각각 적용되어 일측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을 각각 감싸며 접힘 발생 축 부분이 개방된 개방형 둘레 벽면을 갖는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를 구비하되,
    상기 각 개방형 둘레 벽면에는 폴더블 몸체의 둘레 부분에 걸림 고정을 수행하는 베젤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형 둘레 벽면의 개방된 끝단 부분에는 폴더블 몸체의 바깥측 원주면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의 반원형 둘레면을 덮어주는 덮개형상을 갖는 축 끝단 덮개형상;이 형성되어있으며,
    베젤 걸림턱은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및 펼침 전환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의 접힘 발생 축 끝단 부분 평면 또는 곡면 부분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개방형 둘레 벽면의 개방된 끝단 부분에는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의 접힘 발생 축 인접 부위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에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걸림 고정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에 밀착되는 개방형 둘레 벽면의 내측 면들 중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내측 면에는 접착제;가 적용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원주면을 덮을 수 있는 터널 형상의 원주면 덮개 형상과 접힘 발생 축의 양측 끝단 부분을 덮을수 있는 고정벽면 형상을 갖는 에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에지커버는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보호케이스1 또는 보호케이스2의 개방형 둘레 벽면의 접힘 발생 축 반대편 임의 부분에는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고
    반대편 자유단 부분은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 회전 또는 접힘 이동되어 폴더블 몸체의 접힘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평면 부분 중 어느 한쪽과 원주면 부분을 덮어주는 덮개판을 갖으며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 전환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밖으로 선택적 이동되는 회전커버;가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개방형 둘레 벽면에는 마이크 또는 통화 스피커의 노출을 위한 관통구1;
    물리버튼의 노출을 위한 버튼 개방부; 및
    외부장치 연결을 위해 관통 형성된 연결 개방부;가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개방형 둘레 벽면에는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폴더블 몸체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의 걸림 고정 부분에 선택적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10. 제 4항에 있어서
    에지커버의 분실 방지를 위해 에지커버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반대편 일측은 보호케이스1 또는 보호케이스2의 개방형 둘레 벽면 어느 한쪽에 연결되는 분실 방지줄;이 적용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11. 제 5항에 있어서
    회전커버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투과를 위해 투명한 재질 특성을 갖거나 또는
    불투명 재질을 갖는 경우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평면 화면표시면을 투과하는 제1투과창; 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바깥측 원주면 부분을 투과하는 제2투과창;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12. 제 5항에 있어서
    회전커버에는 카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13. 제 5항에 있어서
    회전커버가 적용되는 보호케이스1 또는 보호케이스2의 개방형 둘레 벽면 끝단에는 회전커버의 자유단 측 끝단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자석, 벨크로 또는 걸림형상을 포함하는 회전커버 고정부1;이 적용되고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바깥측 원주면 부분을 감싸고 있는 회전커버의 자유단 측 끝단 부분에는 회전커버 고정부1에 대응되는 회전커버 고정부2;가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14. 제 9항에 있어서
    에지커버의 고정벽면 내측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 끝단 부분 또는 축 끝단 덮개형상에 형성된 에지커버 걸림구에 선택적 걸림 및 해제되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15. 삭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 끝단 덮개형상의 바깥면에는 개방형 둘레 벽면의 바깥면 보다 돌출 형성된 범퍼형상;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0180161332A 2018-12-13 2018-12-13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108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332A KR102108908B1 (ko) 2018-12-13 2018-12-13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332A KR102108908B1 (ko) 2018-12-13 2018-12-13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908B1 true KR102108908B1 (ko) 2020-05-13

Family

ID=7072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332A KR102108908B1 (ko) 2018-12-13 2018-12-13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022B1 (ko) * 2020-09-29 2022-01-03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사이드 커버가 회전하는 폴드 케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364A (ko)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20170075693A (ko) * 2015-08-03 2017-07-0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에지 커버 케이스
KR101759612B1 (ko) * 2017-02-21 2017-07-20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1837570B1 (ko) * 2017-01-25 2018-03-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US20180139857A1 (en) * 2016-11-14 2018-05-17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364A (ko)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20170075693A (ko) * 2015-08-03 2017-07-0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에지 커버 케이스
US20180139857A1 (en) * 2016-11-14 2018-05-17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837570B1 (ko) * 2017-01-25 2018-03-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1759612B1 (ko) * 2017-02-21 2017-07-20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플렉시블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022B1 (ko) * 2020-09-29 2022-01-03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사이드 커버가 회전하는 폴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047B1 (ko)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2006300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CN106662744B (zh) 用于头部安装设备的紧凑折叠结构
KR102006301B1 (ko)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108908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20200097385A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049557B1 (ko)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KR101837570B1 (ko)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20200075183A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20200114958A (ko)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US20140268005A1 (en) Collapsible eyeglasses
KR200479865Y1 (ko) 카드수납공간부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2544188B1 (ko) 폴더블 힌지 결합 구조를 갖는 모바일 단말 보호용 케이스
KR102148682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1163981B1 (ko) 휴대용단말기의 거치겸용 케이스
KR102448048B1 (ko) 힌지 커버가 구비된 보호케이스
KR200226761Y1 (ko) 휴대용 표시 장치 케이스
KR20220002439U (ko) 접이식 휴대보관 마스크.
KR19980013449U (ko) 캠코더의 뷰파인더 보호덮개
KR19990025765U (ko) 노트북 컴퓨터 보호 케이스
KR20080004845U (ko) 휴대용 접이식 모바일 스크린 장치
JPH09269454A (ja) 光学装置およびそのレンズ保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