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758A - 인터넷 플렛폼 기반의 커피 디스팬서 - Google Patents

인터넷 플렛폼 기반의 커피 디스팬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758A
KR20170071758A KR1020150179812A KR20150179812A KR20170071758A KR 20170071758 A KR20170071758 A KR 20170071758A KR 1020150179812 A KR1020150179812 A KR 1020150179812A KR 20150179812 A KR20150179812 A KR 20150179812A KR 20170071758 A KR20170071758 A KR 20170071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ispenser
undiluted solution
data
t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705B1 (ko
Inventor
서인원
Original Assignee
서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원 filed Critical 서인원
Priority to KR102015017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7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제조에 관한 기술로서 판매자가 임의로 만든 맛이 아닌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맛을 제조하는 커피 자동 판매기에 관한것으로서 원두상태에서부터 블랜딩하여 커피를 만드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각각의 맛을 대표하는 원두의 고농도 원액을 3개에서 5개 까지 만들고 커피 디스팬서에서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원액의 비율 및 량을 결정하고 냉수 또는 온수로 희석하여 소비자에게 공급 하는 시스템이다. 수많은 소비자의 제각각 다른 입맛에 대해서 각자의 원액 혼합 비율을 디스팬서가 인지 할수 없음으로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소비자 자신은 물론이고 바리스터가 혼합 비율을 지정하여 website에 게시하고 그 비율에 대한 유일한 커피 번호를 부여 받고 그 번호를 디스팬서에 입력하면 동작 되도록 하였다. 원액의 농도가 제각각일 경우 혼합 비율 및 투입 량이 달라지는데 디스팬서 내부에 원액의 농도를 측정 할수 있는 TDS( Total Dissolved Solid-총용존고형물) 측정 도구를 구성하여 원액의 농도차를 보정 할 수 있도록하였다

Description

인터넷 플렛폼 기반의 커피 디스팬서{ Coffee dispenser on internet platform }
커피 자동 판매기,Internet website
커피 맛을내기 위해 수많은 종류의 커피와 각각의 커피를 블랜딩 하여 다양한 맛을 냄에 있어 언제 어디에서나 동일한 맛을 내고 맛의 종류를 다양화 함으로써 다양한 고객의 취향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 현장에서 액체 커피 원액을 internet 서버와 연동하여 블랜딩하는 기술
커피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양한 장소와 시점에서 고객이 요구하는 맛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고자 커피 원액의 농도차에의한 맛의 차이를 보정하고 다양한 맛에 대한 블랜딩 데이터를 관리하며 수 많은 사람이 공유 할 수 있도록 해야함..
다양한 맛에 대한 고유 번호를 지정하고 고객이 요구하는 번호로 주문 할때 커피 디스팬서가 그 번호에 해당하는 커피를 블랜딩할수 있도록 커피의 원액의 관리와 최종 커피의 TDS값을 제어하기위한 TDS측정기를 구성하며 냉온수의 정확한 량을 결정하기 위해 전자저울을 구성하여 원액 및 냉온수의 정확한 량을 제어함. 다양한 블랜딩 데이타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포탈 사이트를 통하여 커피의 맛과 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블랜딩 데이터를 대신하는 유일의 번호 체계를 공급 한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입맛의 커피를 일정한 맛과 향을 유지하며 공급 할수 있어서 다양한 입맛의 커피를 제공 할 수 있음.
커피 원액 메이커가 항상 균일한 맛의 원액을 생산하도록 유도 함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제조할 수 있고 모든 디스팬서가 하나의 서버와 연동 함으로써 커피 원액의 재고 관리, 생산, 유통이 합리적으로 운영 될 수 있슴.
도 1 커피 디스팬서 외관도
도 2 인터넷 기반의 플렛폼 운영 및 디스팬서 작동 다이아 그램
도 3 디스팬서 구성 다이아그램 및 제어도
도 4 디스팬서 구성 조립도
도 5 TDS 측정기 구조도
커피는 원두에 따라 맛과 향이 다른데 대표적인 원두에 따른 맛과 향을 보면 브라질 산토스는 신맛과 쓴맛이 특징이고 에디오피아 시다모는 카페인이 거이 없으면서 단맛과 신맛이 좋으며 에디오피아 예가체프는 신맛이 두드러지고 케냐 AA는 새콤한 과일맛 및 톡쏘는 신맛이 특징이며 콜롬비아 수프리모는 로스팅정도에 따라 달콤하고 부드러운 신맛이 어우러진 맛이 나는데 사실은 로스팅 정도에 따라 생산시 일조량등 많은 변수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커피 맛을 추구하는 소비자 각자의 기호를 충족 시키기 위해서 특징있는 맛을 대표로 하는 원두를 이용하여 고 농도의 커피 원액을 추출하고 3개에서 5개 정도의 원액을 어떤 비율로 블랜딩 하느냐에 따라 매우 다양한 맛과 커피를 제조하는 시스템을 구성 하고자 한다. 이는 마치 칼러 프린터가 3원색의 안료를 이용하여 수많은 색을 구현 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 할 수 있다.
이를 구현 하기 위해서 커피 디스팬서에 각각 원액을 어떤 비율로 혼합할것인지 농도를 맞추기 위해서 냉수 혹은 온수를 어느정도 넣을 것인지 설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할 수 있어야 하고 혹은 바리스터가 추천하는 혼합 비율에 대한 대표 번호를 입력하여 어디에서나 디스팬서가 설치된 곳이라면 인터넷을 통해서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혼합 데이터를 내려 받아 동일한 맛을 유지 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현장에 설치하는 자동 디스팬서로서 커피원액에 따른 블랜딩 비율을 입력하고 농도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1,2,8)이 구성되며 향기 마켓팅을 위한 원두 로스팅 방향기(5)가 구성되어 있다 원액통을 리필하는 입구(7)가 있으며 전자저울로 구성된 컵 받침대(4) 가 구성되어 커피 원액의 량 및 냉,온수의 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 는 인터넷 플랫폼상의 디스팬서 운영도를 표현한 것인데 Web site를 통하여 고객 및 커피 관련 사업자들이 자유롭게 접속하여 담론의 장을 펼치면서 개개인의 기호에 맞는 커피 맛에 대한 커피 원액 블랜딩 데이타를 제안하고 그 데이타에 대한 고유의 번호를 지정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디스팬서에는 커피의 고유 번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였고 소비자에 의해서 고유 번호가 아닌 블랜딩 데이터를 직접 입력 함으로써 새로운 블랜딩 데이터에 의한 맛과 향을 시험할 수 있으며 블랜딩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탑재될 수 있는 어플을 통해서 집접 디스팬서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설정할 수도 있고 주문서를 통해 관리자에게 입력을 도움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원액은 생산시에 등록된 회사에 의해서 생산 되는데 포탈 Web site에서 각각의 충진 통에 대하여 고유의 바코드를 부여 받아 충진 통에 인쇄 될 수 있도록하고 서버는 각각의 바코드를 관리하여 디스팬서가 인식 할수 있도록 제어 한다.
동일한 충진통을 재 사용할 수 없도록함은 물론 현장의 원액에 대한 재고 관리를 함으로써 자동 물류시스탬의 자료가 되도록 한다.
도 3은 커피 디스팬서의 구성에 대한 다이아그램으로써 온도 및 TDS 데이타를 수집하고 펌프, 콤프레서, fan 방향기,온수 보일러를 제어 하기위한 마이컴 기반의 제어기가 구성되며 인터넷과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냉장고는 원통형 구조물 외벽에 동관을 병열로 2가닥이 서로 밀착하여 감기는데 하나는 냉매가 기화하여 냉각 시키기 위함이고 하나는 냉수를 만들기 위해 구성 하였다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4도시 정도 유지하여 원액의 장기 보관시 변질, 부패를 막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제어 함은 물론이다. 원액통에 보관된 원액을 정량 펌프로 이송하여 외부의 노즐로 컵에 보내게 되는데 노즐 배출 전에 경로상에서 원액의 TDS값을 측정하는데 도 5를 참고하면 원통형 유리관(31) 외벽에 평판형 전극(32,33)이 마주보며 유리관 외벽에 밀착되어 구성되고 두 극판 사이의 정전용량을 측정 함으로써 내부에 흐르는 원액의 유전율을 측정하게 되고 일정 함수를 대입하여 TDS값을 추출하도로 하였다. 종래의 TDS값 추출 기법은 용액의 전기 전도도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는데 이는 원액과 전극이 접촉식이다 보니 청소나 전기 분해등의 효과가 있어 문제가 있었다. 본 TDS 측정기는 원액과 비접촉식으로 흐르는 원액을 실시간 측정 할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팬서 내부 구성 조립도인데 원액통(9)이 냉장고(20)안에 보관될 수 있도록하였고 냉.온수를 만들기 위해 급수되는 물이 정제 되도록 필터(11)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밸브뭉치(13)을 거쳐 온수용 보일러(16)로 인입되던가 냉수 냉각 열교환 파이프(22)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냉장고용 압축기(14)를 통하여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3)를 통하여 액화되고 냉장고 주변에 냉수 냉각용 열교환 파이프(22)와 밀착되어 감기 증발기(21)를 통하여 흐른다.
일반적인 커피 메이커의 경우 내부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하면서 일정향이 발산되는데 본 장비의 경우 원액이 냉각 보관 됨으로써 기기주변에 커피 향이 없는데 이를 보완하 기위햐여 원통형 단열체에 상부를 절개하여 내부에 소형 히터를 장착하여 소량의 원두를 로스팅하면서 커피 향을 낼수 있도록한 방향기(5)를 설치하여 향기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컵을 거치하는 컵받이는 전자저울(4)로 구성하여 원액 및 냉.온수를 정교하게 제어하도록 하였고 소비자가 카운터에서 결재를 마치면 기기 작동 가능 램프(18)가 동작되고 컵을 컵받이에 올려 놓으면 디스팬서는 자동으로 공정을 수행 하도록 하였다.
1. 원액 선택 KEY 2. 농도선택 KEY 3. 노즐 4.전자저울 컵 받침대 5.방향기 6.결재 후 작동가능 램프 7.냉장고 덮개 8.커피 번호 입력 KEY 9.원액통 10. 제어기 11.정수 필터 12.온수 퇴수 밸브 13.냉온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14.냉동기 콤프레서 15.정량펌프 16.순간 온수 보일러 17.순간온수 보일러 히터 20.냉장고 21.냉장고 냉각 파이프 22.냉수 냉각 열교환 파이프 23.냉동기 응축기 30.TDS측정기 31.유리관 32,33. 전극판 34.TDS 보드 35.온도센서

Claims (9)

  1. 인터넷 플렛폼 기반의 커피 판매기를 구성 함에 있어 소비자 또는 전문 바리스터가 접속하여 website에서 제공하는 디스팬서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원액의 종류와 각 원액의 맛과 향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맛의 커피 블랜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타가 일반인에게 노출되어 주문 할 수 있도록 고유의 주문 번호가 생성되며 이 번호가 커피 자판기에 입력 되었을시 자판기의 요청에 의해 번호에 따른 커피 블랜딩 데이터를 서버가 디스팬서에 내려보내 디스팬서가 설치된 곳에서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일정한 맛의 커피를 공급할 수 있는 인터넷 플렛폼 기반의 커피 자판기.
  2. 1항에 있어서 디스팬서에 투입된 원액에 대한 각각의 번호가 주어지고 그 번호에 따른 맛과 향의 특징 및 블랜딩된 원액일 경우 블랜딩 데이터와 원액의 TDS(Total Dissolved Solid-총용존고형물)값을 명기하여 전문 바리스터 또는 네티즌이 각각의 원액을 블랜딩하여 고유의 맛과 향을 내는 블랜딩 데이터를 생성하고 등록하여 새로운 블랜딩 커피 번호를 지정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website.
  3. 1항에 있어서 원액 제조 메이커가 원액을 제조하고 원액에 대한 데이터인 블랜딩된 또는 단일 원두의 내용, TDS값, 충진용량 등의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원액에 대한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지정 받아 원액이 충진되 병에 인쇄 할수 있도록 바코드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website.
  4. 1항에 있어서 커피 디스팬서에 원액통을 투입하기 전 디스팬서에 장착된 바코드리더에 의해 원액통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고 서버로 전송 했을시 이미 사용된 고유 번호인가를 판단하며 승인된 원액인가를 판별하여 사용 여부를 승인하는 시스템이 구축된 website.
  5. 디스팬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특별히 구성된 website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고 소비자의 스마트폰과 교신 할 수 있도록 불루투스 통신 시스템이 구비되고 원액통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바코드 리더가 구비되고 다양한 원액의 블랜딩 비율에 대한 데이터를 대표하는 커피의 고유 번호를 일력하는 key pad와 일력된 고유 번호에 따른 원액을 컵에 배출 하는 정량 펌프와 정량 펌프 후단에 설치되어 흐르는 원액의 TDS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TDS측정기 및 최종 커피의 농도를 제어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디스팬서.
  6. 5항에 있어서 커피의 최종 농도를 결정하기위해서 원액에 냉수 또는 온수를 투입 하게 되는데 투입되는 물의 량을 결정하기위해서 컵거치대 하부에 전자저울이 구비되고 이 전자저울을 통해서 소비자가 컵을 올려 놓았을 때 미리 설정한 컵의 무게에 따라 범위안에 들었을시 주문한 커피가 자동적으로 블랜딩되어 컵을 채울수 있는 시작 버튼 스위치로 인식할 수 있는 커피 디스팬서.
  7. 5항에 있어서 냉수를 만들 기위해 원액을 보관하는 원통형 냉장 보관통의 외벽에 냉매가 기화하는 배관과 병렬로 또하나의 배관이 밀착하여 감겨서 평소 냉장고의 온도 약 4도시 정도를 유지한 배관에 물을 통괴시키면서 에어컨을 가동시켜 냉수가 만들어지고 온수를 만들기 위해서 일정량의 물이 보관되고 약 50정도 유지되었다가 온수버튼을 눌럿을시 통내부에 구성된 할로겐 히터에 의해 순간가열되어 90도 안밖의 뜨거운 물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여 냉온수를 연속 공급 할 수 있도록하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농도에 따라 컵하부에 설치된 저울에 의해 적정량의 물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팬서.
  8. 5항에 있어서 흐르는 액체의 TDS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통형 유리관의 외벽에 평판형 도체가 원통의 외벽을 따라 마주보며 밀착되었고 두 평판사이의 정전 용량을 실시간 측정 함으로서 내부를 흐르는 액체의 유전율을 측정하고 이 유전율에 따라 커피의 TDS값으로 변환하되 온도에 따라 변하는 유전율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유리관 외벽에 요삽된 온도센서로 부터 온도를 검출하여 보정 하는 TDS 측정기.
  9. 5항에 있어서 디스팬서 내부에 작은 원통형 구조물이 설치되고 이 구조물은 손쉽게 착탈되는 구조로서 원통내부에 소용량 히터가 구성되어 공간을 가열하고 이 공간에 소량의 원두를 넣어 주기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원두가 로스팅되어 커피향이 내부의 에어컨 응축기를 발열시키기위한 fan의 바람에 의해 밖으로 나와 디스팬서 주변에 커피향이 나도록 함으로써 향기 마케팅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디스팬서.
KR1020150179812A 2015-12-16 2015-12-16 인터넷 플랫폼 기반의 커피 디스펜서 KR10182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12A KR101824705B1 (ko) 2015-12-16 2015-12-16 인터넷 플랫폼 기반의 커피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12A KR101824705B1 (ko) 2015-12-16 2015-12-16 인터넷 플랫폼 기반의 커피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758A true KR20170071758A (ko) 2017-06-26
KR101824705B1 KR101824705B1 (ko) 2018-02-01

Family

ID=5928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812A KR101824705B1 (ko) 2015-12-16 2015-12-16 인터넷 플랫폼 기반의 커피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7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733A (ko) * 2017-09-28 2019-04-05 정순원 커피 tds/수율 측정기
WO2019190050A1 (ko) * 2018-03-27 2019-10-03 김창재 다양한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12043B1 (ko) * 2020-02-18 2021-02-04 (주)마나에프앤비 사용자 취향 기반의 맞춤형 커피 제공장치
KR20210034938A (ko) * 2019-09-23 2021-03-31 봉승우 음료 분배 시스템
WO2022234994A1 (ko) * 2021-05-06 2022-11-10 비전세미콘 주식회사 재료 추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569B1 (ko) * 2018-07-19 2020-10-05 주식회사 후로웰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WO2024101649A1 (ko) * 2022-11-10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2697B2 (en) 2008-10-08 2011-05-31 Voice Systems Technology, Inc. Coffee refractometer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733A (ko) * 2017-09-28 2019-04-05 정순원 커피 tds/수율 측정기
WO2019190050A1 (ko) * 2018-03-27 2019-10-03 김창재 다양한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10034938A (ko) * 2019-09-23 2021-03-31 봉승우 음료 분배 시스템
KR102212043B1 (ko) * 2020-02-18 2021-02-04 (주)마나에프앤비 사용자 취향 기반의 맞춤형 커피 제공장치
WO2022234994A1 (ko) * 2021-05-06 2022-11-10 비전세미콘 주식회사 재료 추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705B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1758A (ko) 인터넷 플렛폼 기반의 커피 디스팬서
US11759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brew process of a coffee maker
US9533867B2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user customizable inputs
CN109863112B (zh) 无容器定制饮品售货机发明
US10017372B2 (en) Container-less custom beverage vending invention
US20160368753A1 (en) Container-less custom beverage vending invention
CA2626484C (en) Lime tolerant brewing system and method
CN107427150B (zh) 用于制备具有可重现特质的饮品的机器
CN115397764A (zh) 用于混合的饮料的自动化模块化分配系统
US1140621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US200501996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beverage having a customized color
US20220313007A1 (en) Machine to prepare coffee beverages and corresponding regulation method
WO2017160193A1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a limited quantity of beverage
KR20240033698A (ko) 음료의 자동 색상 맞춤화 시스템
TWI537855B (zh) Drink formula control method for beverage sale device
Higuchi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beverage vending machine technology in Japan
KR102127572B1 (ko) IoT기반 식용유지 산패관리 및 생산예측 스마트 시스템
TWM620344U (zh) 可根據偏好即時調配飲品風味的咖啡調配系統
Senaviratne et al. Enabling user level customization for tea making
KR20200052455A (ko) IoT기반 식용유지 산패관리방법
JPH03136194A (ja) 濃縮飲料供給装置
JPH04105192A (ja) 飲料供給装置
JPH01271895A (ja) 嗜好飲料の供給装置
JPH03176789A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