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058A -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058A
KR20170071058A KR1020150178936A KR20150178936A KR20170071058A KR 20170071058 A KR20170071058 A KR 20170071058A KR 1020150178936 A KR1020150178936 A KR 1020150178936A KR 20150178936 A KR20150178936 A KR 20150178936A KR 20170071058 A KR20170071058 A KR 20170071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probe
axis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인
Original Assignee
이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인 filed Critical 이동인
Priority to KR102015017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058A/ko
Publication of KR2017007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9Interfaces, e.g. between probe and tes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활용도를 높이며 유지 관리가 용이한 글래스 패널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일변에 단자부가 구비된 글래스 패널이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및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 글래스 패널의 사변 외측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글래스 패널에 구비된 단자부에 접속 가능한 프로브핀이 구비된 프로브유닛을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Contact device for circuit of glass panel and testing method for circuit of glass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판 글래스 패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렬이 가능하여 글래스 패널 단자부의 불량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액정글래스 패널(LCD)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방식의 글래스 패널 등의 평판글래스 패널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그 제작도 늘어나고 있다.
제작되는 글래스 패널 중 일부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측변에 단자부가 적용되며, 제조과정에서 단자부 내 배치된 접속핀 등의 불량 유무를 검사하여 후속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글래스 패널 단자부 검사에 사용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10)는 중앙에 글래스 패널이 배치되는 공간부가 구비된 메인프레임(12)에 상기 공간부 측으로 검사용 프로브핀(33)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프레임(12)은 도시된 화살표 방향 등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메인프레임(12) 전체를 회전시키는 이동장치가 별도로 적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2) 중앙 공간부로 글래스 패널을 이송시킨 후, 상기 메인프레임(12)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프로브핀(33)이 글래스 패널의 단자부에 접속되도록 하면서 단자부의 불량 유무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대용량의 글래스 패널이 개발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서 단자부 검사를 위한 검사장치 또한 상당한 크기로 제작될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대형화된 장비에서는 어느 한 변의 단자에 대해서 프로브핀(33)을 정렬시키면 다른 변의 단자에 대해서는 정렬이 흐트러질 수 있으며, 조그마한 각도의 변화에도 큰 변위를 야기할 수 있어 정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글래스 패널의 모든 변에 단자부가 적용된 경우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2)을 다수 번 이동시키며 각 변 단자부의 불량 여부를 체크할 수 밖에 없으므로,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장치가 상당한 크기로 제작될 수 밖에 없으므로, 운영 및 보관상의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실제 현장의 제조라인에 있어서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서,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글래스 패널 단자부의 검사가 가능하도록 새로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검사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성이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부피가 줄어든 대용량 글래스 패널용 단자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동작을 일으키는 프로브유닛 등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래스 패널 단자부의 불량 여부를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일변에 단자부가 구비된 글래스 패널이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및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 글래스 패널의 각 사변 외측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며, 글래스 패널에 구비된 단자부에 접속 가능한 프로브핀이 구비된 프로브유닛을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면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프로브핀이 설치된 기판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로부터 X축 및 Y축으로 이송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동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X축 및 Y축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상부연결부 및 상기 상부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하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X축레일과, 상기 X축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Y축레일과, 상기 Y축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X축레일을 따라서 상기 Y축레일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X축구동부와, 상기 Y축레일을 따라서 상기 보조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회전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유닛 각각은 글래스 패널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얼라인카메라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핀, 상기 이송부 및 상기 얼라인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글래스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배치된 글래스 패널의 적어도 일변 측까지의 거리를 두 개 이상의 위치에서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결과에 따라서 단자부가 위치된 측의 프로브유닛을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두 개 이상의 프로브유닛을 정렬 시, 일측 프로브유닛이 정렬된 후에는 잔여 프로브유닛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 형상의 글래스 패널 각각의 변 측에 독립적인 프로브유닛을 적용하여 글래스 패널 단자부의 측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에 프로브유닛이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여 지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패널 각 변마다 별개로 프로브유닛을 운영하게 되어 정밀도가 높은 검사 신뢰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유닛 자체에서도 프로브핀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구성이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현장에서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글래스 패널 단자부 검사에 사용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에 적용되는 프로브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에 적용되는 프로브유닛의 일부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를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이동연결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100)는 외부로부터 글래스 패널 이송모듈에 의하여 이송된 글래스 패널이 테스트되고자 하는 위치로 배치되는 공간을 이루는 글래스 패널 배치부(115)가 형성된 메인프레임(1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글래스 패널 배치부(115)에 배치된 글래스 패널의 사방 외측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이송된 글래스 패널 측부에 구비된 한 개 이상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프로브핀(177)가 구비된 프로브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로브유닛(130)은 이송되어 배치되는 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진 글래스 패널의 사방 측변 외부 위치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4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프로브유닛(130)은 그 크기 등이 달리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각각의 프로브유닛(130)을 구성하는 기본 구성들은 그 동작원리 및 형태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상 배치위치에 따른 상기 프로브유닛(130)의 크기 등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프로브유닛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에 적용되는 프로브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에 적용되는 프로브유닛의 일부 결합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프로브유닛(130)은 고정플레이트(144), 슬라이딩플레이트(146), 기판플레이트(162) 및 이동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44)는 글래스 패널이 배치되는 사방 측 각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44)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되, 상기 안착부에 상기 고정플레이트(144)가 억지끼움이나 별도의 나사결합 등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44)에 대면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고정플레이트(144)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고정플레이트(144)와 슬라이딩플레이트(146)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를 상기 고정플레이트(144)로부터 X축 및 Y축으로 이송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이동연결부(150)가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연결부(15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44)를 X축 및 Y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144)에 연결되는 상부연결부(156) 및 상기 상부연결부(15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에 고정되는 하부연결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156) 상측에 X축레일부(154)와 Y축레일부(152)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는 상기 하부연결부(151)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14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를 상기 X축레일부(154)와 Y축레일부(152)를 따라서 이동시키거나 상부연결부(156)와 하부연결부(151)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작동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작동부는 모터방식 또는 피스톤-실린더 방식이나 솔레노이드 방식 등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에 착탈 가능하게 기판플레이트(162)가 배치되되, 상기 기판플레이트(162)의 일측으로 글래스 패널이 배치되는 측으로 글래스 패널의 단자부에 연결되도록 프로브핀(164)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 일면 측으로 설치부(147)가 구비되되, 상기 설치부(147)에 상기 기판플레이트(161)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유닛(130)은 글래스 패널 단자부까지의 거리 센싱이 가능하도록 얼라인카메라(177)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얼라인카메라(177)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44)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두 개 이상의 지점에서 글래스 패널 단자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프로브유닛(130)으로부터의 거리 및 프로브유닛(130)과 글래스 패널 단자부 사이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지와 평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브유닛(130)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서 엇갈린 각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100)는 별도의 제어부(19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90)와,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상, 하, 좌, 우 각각에 위치되는 프로브유닛(130)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제2, 제3, 제4 이동연결부(150)와, 상기 각 프로브유닛(130)에 설치되는 제1, 제2, 제3, 제4얼라인카메라(177)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제1, 제2, 제3, 제4 이동연결부(150) 및 제1, 제2, 제3, 제4얼라인카메라(17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배치된 프로브유닛(130)에 각각 구비된 이동연결부와 얼라인카메라의 임시 부여 명칭이다.
한편, 이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90)를 이용하여 상기 각 프로브유닛(130)에 있어서의 이동연결부(150)의 작동 및 얼라인카메라(177)를 통한 글래스 패널의 거리 및 평행 측정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를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외부로부터 글래스 패널 이송모듈을 이용하여 글래스 패널을 상기 테스트모듈의 메인프레임(110) 중앙부로 이송한 후 배치시킨다(S10). 이와 같은 글래스 패널 이송모듈은 상기 메인프레임(110) 측으로 글래스 패널을 이송하는 평행이송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치부(115)로 글래스 패널이 이송된 후, 프로브유닛(130)의 프로브핀(164)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글래스 패널을 상승시키는 상승부가 구비될 것이며, 다양한 기 공지된 형태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각 프로브유닛(130)에 위치된 얼라인카메라(177)를 이용하여 배치된 글래스 패널과의 이격 거리 또는 글래스 패널이 프로브유닛(130)과 평행하게 배치되었는지 등 배치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
그리고 난 후, 상기 각 글래스 패널의 사변 측 각각에 위치된 프로브유닛(130)에 있어서 이동연결부(15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146)를 X축, Y축 또는 슬라이딩플레이트(146) 자체를 회전시키어 상기 글래스 패널의 단자부와 프로브유닛(130) 보다 자세하게는 프로브핀(164)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정렬단계를 수행한다(S40).
다음으로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를 글래스 패널의 단자부 각각으로 이송시키어 글래스 패널 단자부와 프로브핀(164)을 서로 컨택시키고(S40), 단자부의 불량 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함으로써(S50) 글래스 패널 단자부 상태에 대한 테스트가 진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글래스 패널 각 변에 위치된 프로브유닛(130)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진행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각 변의 프로브 유닛(130)마다 독립적으로 정렬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어느 한 변의 프로브 유닛(130)이 정렬을 위해 이동되더라도 다른 변의 프로브 유닛(130)들은 위치가 이동되지 않을 수 있어 정렬이 용이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변의 프로브 유닛(130)을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도 있으며, 또는 각 변의 프로브 유닛(130)을 동시에 움직여 정렬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은 상기 각 변의 프로브 유닛(130)이 독립적으로 움직여 정렬 될 수 있다면 그 순서에는 상관없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의 이송에 있어서, 글래스 패널의 각변이 정확하게 사각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하나의 프로브유닛(130)의 얼라인카메라(177)를 이용하여 글래스 패널 단자부 위치 및 평행 상태 등을 측정한 후, 하나의 프로브유닛(130)의 슬라이딩플레이트(146)를 정렬 배치 시, 나머지 프로브유닛(130)의 슬라이딩플레이트(146)는 상술한 선 정렬 배치된 슬라이딩플레이트(146)의 이동 상태를 기준으로 자동적으로 정렬상태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하나의 프로브유닛(130)에 구비된 얼라인카메라(177)만을 이용 디스플레이 일측 변의 배치상태를 측정 후, 타측 변에 위치된 프로브유닛(130)도 함께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단순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이동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2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44)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X축레일(284)과 상기 X축레일(284)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Y축레일(282) 및 상기 Y축레일(28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조브라켓(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X축레일(284)을 따라서 상기 Y축레일(282)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X축구동부(288)가 더 구비되며, 상기 Y축레일(282)을 따라서 상기 보조브라켓(240)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Y축구동부(28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브라켓(240) 일측으로는 회전구동부(250)와 상기 회전구동부(250)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브라켓(25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브라켓(252)은 다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46)의 일측 면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230)도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150)에 대응되는 위치로 각각 적용되어 프로브유닛(130)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며, 또 다른 형태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230)는 메인프레임(110)과 고정플레이트(144)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10)을 기준으로 고정플레이트(144) 자체가 X축, Y축 또는 회전 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150)와 동시에 설치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에 의하면, 사각 형상의 글래스 패널 각각의 변 측에 독립적인 프로브유닛을 적용하여 글래스 패널 단자부의 측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프로브유닛(130)이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여 지게 된다.
또한, 글래스 패널 각 변마다 별개로 프로브유닛(130)을 운영하게 되어 정밀도가 높은 검사 신뢰도를 얻을 수 있게 됨은 물론, 전체적으로 검사장치가 콤팩트한 구성을 이루게 되어 실제 현장에서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110: 메인프레임
115: 배치부 130: 프로브유닛
144: 고정플레이트 146: 슬라이딩플레이트
148: 삽입홈 150: 이동연결부
151: 하부연결부 152: Y축레일부
154: X축레일부 156: 상부연결부
162: 기판플레이트 164: 프로브핀
177: 얼라인카메라 190: 제어부

Claims (8)

  1.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일변에 단자부가 구비된 글래스 패널이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및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 글래스 패널의 각 사변 외측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며, 글래스 패널에 구비된 단자부에 접속 가능한 프로브핀이 구비된 프로브유닛;
    을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단자부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면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프로브핀이 설치된 기판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로부터 X축 및 Y축으로 이송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동연결부;
    를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X축 및 Y축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상부연결부; 및
    상기 상부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하부연결부;
    를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X축레일;
    상기 X축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Y축레일;
    상기 Y축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플레이트;
    상기 X축레일을 따라서 상기 Y축레일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X축구동부;
    상기 Y축레일을 따라서 상기 보조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회전브라켓;
    을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유닛 각각은,
    글래스 패널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얼라인카메라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핀, 상기 이송부 및 상기 얼라인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7. 글래스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배치된 글래스 패널의 적어도 일변 측까지의 거리를 두 개 이상의 위치에서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결과에 따라서 단자부가 위치된 측의 프로브유닛을 정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프로브유닛을 정렬 시,
    일측 프로브유닛이 정렬된 후에는 잔여 프로브유닛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 정렬되도록 하는,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KR1020150178936A 2015-12-15 2015-12-15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KR20170071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36A KR20170071058A (ko) 2015-12-15 2015-12-15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36A KR20170071058A (ko) 2015-12-15 2015-12-15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058A true KR20170071058A (ko) 2017-06-23

Family

ID=5928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936A KR20170071058A (ko) 2015-12-15 2015-12-15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0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7759A (zh) * 2018-05-09 2018-10-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信号检测用的辅助设备和信号检测系统
CN109491319A (zh) * 2019-01-22 2019-03-19 蓝思智能机器人(长沙)有限公司 玻璃面板检测方法及玻璃面板取料检测装置
KR102149698B1 (ko) * 2019-02-27 2020-08-31 주식회사 이엘피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변 검사장치
CN111796123A (zh) * 2019-04-09 2020-10-20 株式会社Elp 基于显示面板的尺寸的间隔可变检查装置
KR20220157667A (ko) * 2021-05-21 2022-11-29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Oled 기판 검사용 파레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7759A (zh) * 2018-05-09 2018-10-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信号检测用的辅助设备和信号检测系统
CN108627759B (zh) * 2018-05-09 2022-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信号检测用的辅助设备和信号检测系统
CN109491319A (zh) * 2019-01-22 2019-03-19 蓝思智能机器人(长沙)有限公司 玻璃面板检测方法及玻璃面板取料检测装置
CN109491319B (zh) * 2019-01-22 2023-11-28 蓝思智能机器人(长沙)有限公司 玻璃面板检测方法及玻璃面板取料检测装置
KR102149698B1 (ko) * 2019-02-27 2020-08-31 주식회사 이엘피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변 검사장치
CN111627364A (zh) * 2019-02-27 2020-09-04 利尔富(苏州)科技设备有限公司 显示面板的两边检测装置
CN111796123A (zh) * 2019-04-09 2020-10-20 株式会社Elp 基于显示面板的尺寸的间隔可变检查装置
CN111798775A (zh) * 2019-04-09 2020-10-20 利尔富(苏州)科技设备有限公司 根据显示面板尺寸间距可变的检测装置
CN111798775B (zh) * 2019-04-09 2022-11-15 利尔富(苏州)科技设备有限公司 根据显示面板尺寸间距可变的检测装置
KR20220157667A (ko) * 2021-05-21 2022-11-29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Oled 기판 검사용 파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1058A (ko)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KR101682378B1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장치
JP4808135B2 (ja) プローブ位置合わせ方法及び可動式プローブユニット機構並びに検査装置
KR101174860B1 (ko) 피검사물과 테스트 기판의 정렬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용 패널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72765B1 (ko) 셀 접촉 프로빙 패드를 사용한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의 전기적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8204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비 및 방법
KR101616564B1 (ko) 프로브 이동장치
KR20090026638A (ko) 오토 프로브 유니트
KR101129195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JP2010156684A (ja) アレイテスト装置と、該アレイテスト装置の基板一地点位置測定方法と、カメラアセンブリーに撮像された特定位置座標測定方法
TW201315973A (zh) 發光元件之檢查裝置及檢查方法
KR101871648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유닛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KR20120077289A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JP6184301B2 (ja) 検査装置
KR20180126106A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용 위치 정렬 장치
KR101286250B1 (ko) 다수의 헤드 유니트를 갖는 어레이 테스트 장치
JP6956030B2 (ja) 検査システム
KR101663755B1 (ko) 인덱스형 액정 셀 검사장치
JP2007285727A (ja) プローブカード配置ユニット及びプローブカードを有する測定装置
KR100731308B1 (ko) 엘씨디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다규격 패널 지지장치
CN109084709A (zh) 一种自动检测装置
KR20180091510A (ko) 디스플레이 셀의 검사 장치
KR101007107B1 (ko) Led 모듈의 검사 장치
KR101607087B1 (ko) 프로브
TWI460431B (zh) 設有彈簧針(pogo pin)之探針單元及利用其之基板修復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