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278A - 반사-방지/연무-방지 코팅 - Google Patents

반사-방지/연무-방지 코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278A
KR20170070278A KR1020177016100A KR20177016100A KR20170070278A KR 20170070278 A KR20170070278 A KR 20170070278A KR 1020177016100 A KR1020177016100 A KR 1020177016100A KR 20177016100 A KR20177016100 A KR 20177016100A KR 20170070278 A KR20170070278 A KR 20170070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composition
average particle
partic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칼하인츠 힐덴브란트
페터 카펠렌
프리드리히-칼 브루더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로 도이칠란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로 도이칠란드 아게 filed Critical 코베스트로 도이칠란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7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27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7/1266
    • C09D7/1291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1Preformed hollow element-containing
    • Y10T428/249974Metal- or silicon-contain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b) 1종 이상의 유기 가용성 중합체 수지, c) 1종 이상의 UV-가교가능한 반응성 희석제, d) 용매 및 e) UV-개시제 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한 기재를 코팅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 및 상기 언급된 종류의 조성물로 코팅된 기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사-방지/연무-방지 코팅 {ANTI-REFLEX/ANTI-FOG COATINGS}
본 발명은 a)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b) 1종 이상의 유기 가용성 중합체 수지, c) 1종 이상의 UV 가교가능한 반응성 희석제, d) 용매 및 e) UV 개시제 계를 함유하는 조성물, 투명한 기재를 코팅함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용도,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전반적으로 상기 계는 "연무-방지" 성질(수증기로 김이 서리는 경향의 감소)과 조합된 양호한 "반사-방지" 성질(투과율 증가)로 구별된다. 기재에 따라, 표면 성질에 추가의 기계적 및 화학적 개선, 예를 들어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의 개선이 수득된다. 그들의 표면 친수성으로 인하여, 이와 같이 코팅된 기재는 고분자전해질 개념으로 수성 조성물로 코팅될 수 있다.
실리카를 도입함으로써 코팅의 성질을 개선하는 것은 원리적으로 비교적 오래 전부터 공지되어 있다. 실리카 입자를 가함으로써, 코팅을, 예를 들어 마모, 내긁힘성, 반사 성질, 광택, 정전방지 성질, 가연성, UV 내성, 수증기에 의한 김서림에 대한 내성 (연무-방지), 물에 의한 습윤적성, 및 내약품성의 면에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특성의 면에서 더욱 개선된 전반적 성질을 갖는 실리카-(이산화 규소-)함유 코팅 조성물에 대한 시도가 과거에 적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까지 모든 이러한 특성, 또는, 상기 특성의 특정 조합, 특히 후술하는 조합을 하나의 코팅 계에서 만족스런 방식으로 조합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DE 103 11 639 A1은 정전방지 성질을 갖는 성형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크릴레이트-함유 결합제, 알콜 용매, 나노-규모의 전기 전도성 금속 산화물, 이산화 규소와 같은 나노-규모의 비활성 입자, 및 임의로, 예를 들어 분산 보조제와 같은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표면-코팅 계가 이와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다. 사용되는 비활성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2 nm 내지 100 nm이고, 상기 나노입자는 건조 필름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JP-A-61-181809에는, 물 또는 저가 알콜에 분산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콜로이드성 이산화 규소 입자를 포함하는, 높은 내마모성 뿐만 아니라 양호한 접착 성질을 갖는 코팅용 UV-경화가능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JP 2005-179539 A는 0 중량% 내지 80 중량%의 미세 입자, 예를 들어 이산화 규소, 및 100 중량% 내지 20 중량%의 플라스틱 물질, 뿐만 아니라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2개의 음이온성 치환기를 갖는 술포숙시네이트로 이루어진 혼합물 20 중량% 내지 99 중량%를 포함하는 연무-방지 코팅을 기재하고 있다.
높은 투명도, 기후 안정성 및 내긁힘성을 갖는 코팅의 제조를 위한 다관능성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기재로 하는 표면-코팅 조성물이 EP-A 0 050 996에 기재되어 있다. 언급된 아크릴산 유도체에 더하여, 상기 조성물은 중합 개시제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1 nm 내지 1 μm의 평균 입자 직경 및 1.40 내지 1.60의 굴절율을 갖는 이산화 규소와 같은 무기 충전제를 함유한다.
US-A 4,499,217에는, 10 μm 내지 50 μm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콜로이드성 이산화 규소, 및 예를 들어 멜라민-알키드 수지와 같은 열-경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무수의 표면-코팅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경화된 코팅은 양호한 내마모성, 각종 기재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 및 내약품성 및 내열성을 갖는다.
JP 2001-019874 A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광개시제, 분산 보조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높은 접착성 및 증가된 내긁힘성을 갖는 코팅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WO 2006/049008 A1은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고-비점 용매에 분산된 실리카 입자를 기재로 하는 친수성 코팅을 기재하고 있으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L-77)의 알콜 용액을 상기 분산액에 가한 다음, 100℃에서 10 분 동안 템퍼링을 수행한다. 코팅은 친수성 표면을 생성하며, 20°이하의 물과의 습윤 각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정은 "연무-방지" 성질의 면에서 안경 렌즈의 코팅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조건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매에 대한 플라스틱 기재의 민감성 때문에, 플라스틱 기재 위의 코팅에 적합하지 않다.
폴리비닐부티랄의 유기 용액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알콜 분산액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동성 배합물이 US-A 4,383,057에 기재되어 있다.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은 20 중량% 내지 95 중량%의 폴리비닐부티랄 및 80 중량% 내지 5 중량%의 실리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긁힘성, 내약품성 및 가연성과 같은 안정성 값을 개선함에 있어서, 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은 가교되며,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알킬 에테르로 개질된 메틸올멜라닌이 사용된다. 친수성 또는 물 습윤 각과 같은 표면 성질에 관하여 더 이상의 세부사항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출원과 비교하면, 상기 조성물은 UV-가교가능하지 않다.
WO 2006/048277 A에 기재된 것과 같이, 특히 높고 조밀한 실리카 구조를 갖는 표면이 제조되어야 할 경우, 실리카의 침착은 종종, 실리카 전구체로부터, 예를 들어 헥사메틸디실라잔 또는 테트라에톡시실란으로부터의 화염 가수분해에 의해 국소적으로 수행된다. 이들 코팅의 소수성은 플루오로알킬실란의 도입에 의해 더 향상될 수 있다.
EP-A 337 695는 고체, 특히 투명한 기재의 내마모성 코팅을 위한 이산화 규소 분산액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분산액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양성자 치환된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에 분산된, 10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75 n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n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콜로이드성 이산화 규소를 함유한다. 사용되는 불포화 단량체 1 중량부 당 0.1 내지 2.5 중량부의 이산화 규소가 사용된다. 광개시제의 첨가 후, 분산액은 UV 방사에 의해 적합한 기재 위에서 경화될 수 있다.
EP-A 0 505 737은 메타크릴레이트-관능화된 콜로이드성 실리카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UV-가교가능한 아크릴레이트 계를 기재하고 있다. 뛰어난 기후 성질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표면 코팅은 양호한 마모 값, 예를 들어 500 주기 후 6-8%의 타버 (Taber) 탁도를 나타낸다. 메타크릴레이트-관능화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메타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 나노입자로부터 제조된다. 한편, 아크릴레이트-개질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또한, 나노레진즈(Nanoresins)로부터 상품명 "나노크릴(Nanocryl)" 하에, 또는 클래리언트(Clariant)로부터 "하이링크 나노 (Highlink Nano)" 하에 시판된다. 긁힘-방지 및 마모-방지 첨가제로 공급되는 이들 제품은 그들의 복잡한 화학 때문에 그 성질 면에서 그다지 좁게 정의되지 않는다.
WO 2009-090003 A는 개질되지 않은, 양성자화된 실리카 나노입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극성 용매 및 UV 개시제 계를 함유하고, 개질되지 않은, 양성자화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중량에 의한 양이 코팅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초과하며 적어도 50.1 중량%인 UV-가교가능한 조성물, 기재의 코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용도,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기재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코팅은 매우 양호한 내긁힘성, 낮은 탁도 값, 양호한 재코팅가능성 및 각종 기재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성으로 구별된다. 그러나, 이들 코팅으로는 현저하게 증가된 투과율, 또는 감소된 반사가 수득되지 않는다.
문헌["Technische Optik", G. Schroeder, 1998, Vogel Verlag]에서는, 코팅된 기재에서 전자기파의 최소 반사 또는 최대 투과를 수득하기 위해 다음 조건이 공식화되어 있다: 공기(굴절율 n: 1.0)와 투명 기재 (굴절율 ns) 사이에 굴절율 nb의 중간 층을 적용함으로써 간섭에 의한 반사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반사의 적정한 감소는 코팅의 굴절율 nb
Figure pat00001
의 값에 도달할 때에 이루어진다. 적정 층 두께에 관해서는 관계 db:λ/4ns가 적용된다. 따라서, 가시광선 파장 범위(380-780 nm)의 경우, 더 긴-파장의 전자기파, 예를 들어 적외선 범위(열선)로부터 수득된 것보다 더 낮은 층 두께가 확립되어야 한다. 적정 값이 수득되지 않을 경우, 반사-방지 효과가 감소된다.
다공성 실리카 및 그의 유리용 반사-방지 코팅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 97/07056 A는 2 내지 20 nm의 세공 크기를 갖는 SiO2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단일분산, 다공성, 구형 입자, 및 상기 입자의 제조 및 유도체화된 실리카 겔의 제조에 있어서 그들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SiOx(OH)y]n 입자를 함유하고, 제1 입자 크기 범위를 갖는 제1 입자 분획과 제2 입자 크기 범위를 갖는 제2 입자 분획을 포함하는 졸로부터 제조된, 유리용 다공성 실리카 반사-방지 코팅이 WO 03/027015 A 및 WO 03/027034 A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유리를 위해 충분히 안정한 반사-방지 코팅을 제조하기 위해, 유리의 유리 전이 온도에 가까운 온도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기재된 코팅 조성물 및 코팅 공정을 수백 ℃의 경화 조건으로 플라스틱에 전이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로부터 적당한 온도에서 반사-방지 코팅이 제조될 수 있어서, 유리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과 같이 더 낮은 가공 온도를 갖는 투명 기재에 코팅이 가능한, 투명 코팅 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코팅은 증가된 투과율, 또는 감소된 반사율을 수득함과 동시에 연무-방지 성질을 나타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표면을 코팅하는 것은 다양한 기재에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야 한다. 플라스틱의 투명 기재는 증가된 내후성, 향상된 정전방지 성질, 증가된 내약품성, 뿐만 아니라 친수성 조성물, 특히 묽은 고분자전해질 수용액을 이용한 재코팅가능성의 면에서 향상된 친화성을 나타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침지, 분무 또는 범람과 같은 간단한 기술에 의해 문제의 기재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1종 이상의 유기 가용성 중합체 수지 중 특정의 실리카 나노입자 및 UV-가교된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특징되는 코팅 조성물을 함유하는 투명 계가, 개선된 투과율, 반사율, 연무-방지, 친화성 및 표면 성질의 요구되는 조합을 갖는다는 것이 놀랍게도 이제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1종 이상의 유기 가용성 중합체 수지 중 특정의 실리카 나노입자 및 UV-가교된 성분을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함유하는 투명 계는 개선된 투과율, 반사율, 연무-방지, 친화성 및 표면 성질의 요구되는 조합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5 내지 15 중량부의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b) 0.5 내지 6 중량부의 1종 이상의 유기 가용성 중합체 수지,
c) 0.2 내지 3.0 중량부의 1종 이상의 UV-가교가능한 반응성 희석제,
d) 용매,
e) 0.02 내지 0.1 중량부의 UV 개시제 계
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 중량부의 용매가 존재하지만, 더 높은 희석도 가능하며, 이는 그 후 보다 얇은 표면-코팅 층을 생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a) 8 내지 12 중량%의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b) 1 내지 4 중량%의 1종 이상의 유기 가용성 중합체 수지, c) 0.5 내지 2.0 중량%의 반응성 희석제, d) 80 내지 90 중량%의 용매 및 0.03 내지 0.1 중량%의 UV 개시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은 코팅된 제품에서 매우 양호한 제품 성질을 가능하게 함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상기 코팅은 1.45 미만, 바람직하게는 1.40 미만,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 미만의 굴절율 nB를 갖는다.
성분 a)인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는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알콜, 특히 바람직하게는 1-메톡시-2-프로판올 (MOP) 중 분산액의 형태이다. 상기 분산액의 입자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중량%(분산액 기준)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는, 그것을 사용하여 1.22에 근접하는 굴절율을 갖는 유리 위에 다공성 코팅이 제조될 수 있는 실리카 나노입자이다. 예를 들어, 다공성 실리카 입자 및 유리 코팅을 위한 그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는 문헌[M. Kursawe, V. Hilarius, G. Pfaff, Merck KGaA, "Beschichtungen ueber Sol-Gel Prozesse" in "Moderne Beschichtungsverfahren", Wiley-VCH, 2005]을 참고한다. 상기 언급된 선행 기술도 본원에 마찬가지로 참고되며, 여기에서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는 수백℃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유리 위에 반사-방지 코팅을 위한 졸-겔 공정으로 사용된다.
사용되는 실리카 나노입자는 WO 97/07056 A에 기재된 것과 같이 단일분산 형태(즉, 단일모드 입자 크기 분포)로 존재하거나, WO 03/027015 A에 기재된 것과 같이, 하나의 분획은 1 내지 15 nm 범위의 입자 직경을, 제2 분획은 15 내지 60 nm 범위의 입자 직경을 갖는 이중모드 분포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 평균 10 내지 5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nm의 입자 직경(d50)을 갖는 단일분산 다공성 이산화 규소 (실리카) 나노입자, 또는 1 내지 10 n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nm, 및 10 내지 30 n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nm 범위의 직경을 갖는 입자의 다양한 분획을 함유하는 다중모드, 바람직하게는 이중모드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입자 직경은 중량-평균 입자 크기를 기준으로 하며, 평균 입자 크기 d50은 입자의 50 중량%가 d50 이하의 직경을 갖는 값을 기준으로 한다. 입자 크기 분포는, 예를 들어 초원심분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가장 특별히 바람직한 것은 머크 사(Merck KGaA, 다름슈타트)의 제품인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이산화 규소 하이브리드-졸 시오졸 (Siosol)™" 제품 번호 102264를 사용하는 것이다.
성분 b)는 유기 가용성 중합체 (중합체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공)중합체, 특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특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중합체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성분 c)인 반응성 희석제로, UV-가교가능한, 30개 미만의 탄소 원자 및 지방족 또는 지환족 라디칼을 갖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사용된다. 저분자량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 예는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HDDA),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DPHA),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TPGDA),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PETA),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HEMA), 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페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뿐만 아니라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관능성 실란이다. 이들 반응성 희석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성분 d)인 용매는, 그 안에서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및 나머지 성분들, 특히 조성물의 결합제가 모두 상용성인, 극성, 바람직하게는 양성자성 용매이다. 특히 적합한 것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프로필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메톡시프로판올 (MOP, 1-메톡시-2-프로판올) 또는 디아세톤 알콜 (DAA, 4-히드록시-4-메틸-2-펜탄온)과 같은 알콜,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과 같은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에틸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 뿐만 아니라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N-메틸피롤리돈과 같은 아미드계 용매이다. 가장 특히 바람직한 것은 MOP 및/또는 DAA와 같은 알콜이다. 톨루엔과 같이, 순수한 형태로 그 자체로서는 부적합한 소량의 용매를 함유할 수도 있는,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성분 d)인 UV 개시제 계는, 공기 중 또는 비활성 기체 하에, 자외선 조사 하에 아크릴레이트 성분의 중합을 개시하는 계이다.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의 양을 기준으로 몇 중량% (대략 2 내지 10)의 양으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상기 계는 예를 들어 "이르가큐어 (Irgacure)®" 또는 다로큐어(Darocure)®라는 제품명 하에 입수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르가큐어 184/다로큐어 TPO와 같은 혼합물도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르가큐어 184®는 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이고, 다로큐어 TPO®는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시드이다.
UV 처리에 의해 수행되는 대신, 코팅 계의 이어지는 가교는 전자 빔 처리에 의해, 또는 전자 빔 처리와 조합된 UV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코팅 조성물의 적용에 의해 더욱 개선될 수 있는 기재에 있어서는, 투명 및 반투명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맥락에서 불투명 물질, 예컨대 세라믹, 대리석 또는 목재의 넓은 범위의 선택이 가능하다. 신규의 표면-코팅 계의 우수한 "투명 보호 성질" 때문에, 매우 투명한 기재가 자연히 바람직하다. 가장 특히 바람직한 것은 투명 열가소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마크롤론 (Makrolon)®, 아펙 (Apec)®)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블렌드 (마크로블렌드 (Makroblend)®, 바이블렌드 (Bayblend)®),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플렉시글라스 (Plexiglas)®), 폴리에스테르, 지환족 올레핀, 예컨대 제오노르 (Zeonor)®, 및 유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2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50,000, 특히 5000 내지 100,00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0 내지 80,000, 특히 12,000 내지 70,000의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을 갖는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보정에 의한 GPC로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해, 예를 들어 문헌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D.C. PREVORSEK, B.T. DEBONA and Y. KESTEN, Corporate Research Center, Allied Chemical Corporation, Moristown, New Jersey 07960, "Synthesis of Poly(ester)carbonate Copolymers" in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Chemistry Edition, Vol. 19, 75-90 (1980)], [D. Freitag, U. Grigo, P.R. Mueller, N. Nouvertne, BAYER AG, "Polycarbonate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1, Second Edition, 1988, pages 648-718] 및 마지막으로 [Dres. U. Grigo, K. Kircher and P.R. Mueller, "Polycarbonate"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Volume 3/1, Polycarbonate, Polyacetale,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ages 117-299]를 참고한다. 제조는 계면 공정 또는 용융물 에스테르교환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단량체 비스페놀 A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을 기재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또는 기타 적합한 비스페놀 화합물을 탄산 화합물, 특히 포스겐과, 또는 용융물 에스테르교환 공정에서,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 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문제의 중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조성물에 추가의 성분으로서 코팅 첨가제, 예를 들어 유동제,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대한 안정화제, 예컨대 트리아졸 및 입체 방해된 아민이 첨가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양호한 반사-방지 및 연무-방지 성질을 갖는 내마모- 및 내긁힘성 코팅으로, 즉 보호 코팅으로, 및 또한 추가의 코팅을 위한 기재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층 두께는 0.2 내지 200 μ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μm의 범위이다.
반사-방지, 내마모- 및 내긁힘성의 매우 투명한 보호 코팅의 사용 분야는 유리가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카르보네이트로 대체되는 분야, 예를 들어 자동차 부문, 건축물 광택 또는 안경 렌즈와 같은 광학 분야이다. 공지의 통상적인 내긁힘성 코팅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은, 그들의 특히 양호한 반사-방지 성질에 더하여, 또한, 정전방지 효과 뿐만 아니라 연무-방지 성질을 나타낸다. 연무-방지 성질은 해당 표면 위에 입김을 불어, 양호한 연무-방지 성질의 경우 공기로부터 습기에 의한 김서림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쉽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코팅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코팅된 표면을 갖는 성형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면 위에 제2 층을 가지며, 상기 제2 층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기재 층을 포함하는 다층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다층 제품은 양이온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화합물의 추가 층을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
A. 성분
1. 실리카 나노입자
a. 이산화 규소 하이브리드-졸 시오졸™
머크의 제품인 다공성 이산화 규소 나노입자 (d50 = 33 nm를 갖는 단일모드의 입자 크기 분포), 1-메톡시-2-프로판올 (MOP) 중 21 중량% 분산액 또는 디아세톤 알콜 중 21.5 중량% 분산액
b. 하이링크®나노 G 실리카 오르가노졸 (Organosol):
이소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 글리콜과 같은 알콜 중, 13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비-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의 30 중량% 분산액. 이들 입자는 비교예에서 사용되었음.
2. 열-경화 중합체 수지
a. 데갈란 (Degalan)® M 912: 데구사(Degussa)의 제품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기재로 하는 과립화된 벌크 중합체. 분자량 (Mw): 180,000 g/mol, Tg (유리 전이 온도): 122℃
b. 엘바시트 (Elvacite)® 2041: 고분자량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루시트 인터내셔널 사(Lucite International Inc.), Mw: 410,000 g/mol, Tg: 105℃.
3. UV-가교가능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a. HDDA: 알파 애자르(Alfa Aesar)의 제품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b. 데스모룩스 (Desmolux) U 100: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Bayer MaterialScience AG)의 제품인 불포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B. 기재
1.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의 제품인 마크롤론®), 치수: 100 x 150 x 3 mm,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짐:
a. 마크롤론® M 2808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 중간-점도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 ISO 1133에 준하여 300℃ 및 1.2 kg에서 MFR 10 g/10 min, UV 안정화 및 이형제 없이)
b. 마크롤론® Al 2647 (UV 안정화제 및 이형제를 갖는 중간-점도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 ISO 1133에 준하여 300℃ 및 1.2 kg에서 MFR 13 g/10 min)
2. 포일
a. 폴리카르보네이트 포일: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의 제품인 마크로폴 (Makrofol)® DE 1-1, 층 두께: 375 μm, 양면 위에 고-광택
C. 시험 방법
코팅된 제품의 제조 및 시험
a) 굴절율
코팅의 굴절율 nB 및 굴절율의 가상 요소 k(이하 흡수 상수 k라고도 함)를 투과 및 반사 스펙트럼으로부터 수득하였다. 이를 위해, 대략 100 내지 300 nm의 두께를 갖는 코팅의 필름을, 묽은 용액으로부터 스핀 코팅에 의해 수정 유리 담체에 적용하였다. 상기 다층 코팅의 투과 및 반사 스펙트럼을, 스티그 이티에이-옵틱(STEAG ETA-Optik)의 제품인 분광계, CD-측정 시스템 ETA-RT를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층 두께 및 n과 k의 스펙트럼 진행을 측정된 투과 및 반사 스펙트럼에 적응시켰다. 이는 분광계의 내장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석영 유리 기재의 n 및 k 데이터를 추가로 필요로 하는데, 이는 공시험 측정에서 미리 측정되었다. k는 다음 수학식과 같이 빛의 강도의 붕괴 상수와 관계된다:
Figure pat00002
식 중, λ는 빛의 파장이다.
투과 및 반사: 스펙트럼을 위해 퍼킨 엘머(Perkin Elmer)의 제품인 람다 900 광도계를 사용하였고, 측정은 200 내지 2300 nm의 파장 범위에서 ASTM E 308에 따라 수행되었다. 측정은, 수직의 광조사 시에 직접 및 확산 요소의 양자가 고려되도록, 광도계 구의 도움으로 수행되었다.
b) 연무-방지 성질의 측정
b.1) 호흡 시험: 기재의 반을 시험할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고, 그 코팅된 기재 위에 숨을 불어낸다. 연무-방지 효과의 경우, 코팅된 면에 김이 서리지 않는 한편, 코팅되지 않은 기재는 김으로 불투명하게 된다.
b.2) 온실 시험: 코팅된 시트를, 코팅된 면이 아래로 향하게 60°의 각으로 모델 온실의 지붕에 고정시켜, 물방울 형성을 관찰함으로써 물-퍼짐 효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모델 온실에서, 물을 열원을 이용하여 증발시켜 50℃의 온도 및 100%의 대기 습도가 성립되게 하였다.
상기 시트를 상기 조건 하에 6시간 동안 두고, 이어서 건조 가열 캐비넷에서 4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후, 상기 과정을 모델 온실에서 및 건조 캐비넷에서 교대로, 물-퍼짐 효과가 사라질 때까지 반복하였다 (이는 시트 위에 방울의 형성으로 알 수 있다). 물-퍼짐 효과가 80 주기 후에도 여전히 존재할 경우, 장시간 성능은 긍정적으로 평가되며, 시험은 종료된다.
c) 층 두께는 백색광 간섭계(ETA SPB-T, 에타-옵틱 게엠베하 (ETA-Optik GmbH))에 의해 측정되었다.
d) 접착성은 DIN EN ISO 2407(횡절단 시험)에 준하여 측정되었다. 0의 횡단 등급은 모든 절단 모서리가 완전히 매끈하고 절단 정사각형이 전혀 박리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5의 횡단 등급은 모든 횡단 정사각형이 박리되었음을 의미한다.
e) 탁도: 탁도는 넓은-각 광 산란에 의해 ASTM D 1003-00에 준하여 측정되었다. 상기 값은 % 탁도(H)로 주어지며, 낮은 값, 예를 들어 1% H는 낮은 탁도 및 높은 투명도를, 1% H 미만의 값은 우수한 투명도를 의미한다.
f) 마모 시험: 내마멸(마모)성은 산란광의 증가에 의해 마모성 디스크 방법(DIN 53 754)에 의해 측정되었다. CS-10F 캘리브레이즈 (Calibrase) 마모 디스크(유형 IV)를 갖는 모델 5151 타버 (Taber) 마모기를, 디스크 당 500 g의 중량을 적용하여 사용하였다. 탁도 값을 예를 들어 100, 500 또는 1000 주기 후에 측정하였으며, 낮은 값, 예를 들어 0.5% H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의미한다.
g) 황변 지수 (YI, ASTM E 313): YI 시험은 시험 시료의 UV 광에 의한 황변의 척도이다. 낮은 값, 예를 들어 YI:0.5는 낮은 정도의 황변을 의미한다.
h) 장시간 안정성 및 기후 시험
장시간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을 다음의 응력 조건 하에 수행하였다.
수중 보관: ASTM 870-02에 따라 시료를 65±2℃ 온도의 물에서 10일 동안 보관하였고, 상기-언급된 시험을 매일 수행하였다.
비등 시험: 시료를 끓는 물에 넣고, 0.5, 1, 2, 3 및 4시간 후에 상기-언급된 값을 측정하였다. 예를 들어 4-시간 비등 시험이 손상 없이 합격되었다면, 양호한 장시간 안정성이 예상될 수 있다.
기후: 자연적인 시험에 비하여, 물질의 빛/기후 안정성의 가속화된 측정이 수행되었다. 가장 중요한 기후 인자(방사선, 열, 습기, 비)는 소위 웨더-오미터즈(Weather-Ometers)®를 이용하여 모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STM G 155에 따르는 소위 크세논 웜(Xenon WOM) 및 DIN EN ISO 4892-2에 따르는 크세논 고 에너지 시험이 수행되었다.
D. 코팅의 제조
실시예 1: 중합체 수지의 용리
데갈란(Degalan)® M 912: 12.5 g의 데갈란 M 912를 87.5 g의 디아세톤 알콜(DAA)에 8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켜, 맑은 12.5% 중합체 용액을 수득하였다. 점도: 94.0 mPa·s ± 0.3 mPa.s.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름) : 건조 필름 중량을 기준으로 한 70 중량%의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및 HDDA와 조합된 데갈란 M 912를 함유하는 15 중량%의 유동성 배합물의 제조
자석 교반기를 갖는 500 ml 유리 비커에, 다음 성분을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균일한 유동성 용액을 형성하였다:
56.0 g DAA 중 12.5% 데갈란 용액 M 912 (실시예 1)
54.0 g 디아세톤 알콜
113.0 g 1-메톡시-2-프로판올 (MOP) 중 실리카 나노입자 이산화 규소 하이브리드-졸 시오졸™ 21%
3.0 g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HDDA), 알파 에자르
0.15 g 이르가큐어 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광개시제, 시바 (CIBA)).
다음, 10 분 동안 더 교반을 수행하여, 무색 투명의 유동성 용액을 수득하고, 이를 3 μm 여과지를 통해 갈색 유리병 내로 여과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름) : 건조 필름 중량을 기준으로 한 70 중량%의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및 HDDA와 조합된 엘바시트® 2041을 함유하는 15 중량%의 유동성 배합물의 제조
유동성 용액은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56.0 g DAA 중 12.5%의 엘바시트 2041 용액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제조)
56.0 g 디아세톤 알콜
110.5 g 실리카 나노입자 이산화 규소 하이브리드-졸 시오졸™, 1-메톡시-2-프로판올 (MOP) 중 21%
3.0 g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HDDA), 알파 애자르
0.16 g 이르가큐어 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광개시제, 시바).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건조 필름 중량을 기준으로 한 70 중량%의 비-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및 HDDA와 조합된 엘바시트® 2041을 함유하는 15 중량%의 유동성 배합물의 제조
56.0 g DAA 중 12.5%의 엘바시트 2041 용액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제조)
56.0 g 디아세톤 알콜
110.5 g 실리카 나노입자 하이링크® 나노 G 실리카 오르가노졸, 1-메톡시-2-프로판올 (MOP) 중 21%
3.0 g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HDDA), 알파 애자르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건조 필름 중량을 기준으로 한 70 중량%의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및 반응성 희석제 (HDDA) 없이, 엘바시트® 2041을 함유하는 8 중량%의 유동성 배합물의 제조
하기 성분으로부터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유동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7.0 g DAA 중 12.5%의 엘바시트 2041 용액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제조)
11.0 g 디아세톤 알콜
18.5 g 나노입자: 이산화 규소 하이브리드-졸 시오졸™, 1-메톡시-2-프로판올 (MOP) 중 21%.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건조 필름 중량을 기준으로 한 70 중량%의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및 유기 가용성 중합체 수지 성분 없이, 데스모룩스 U 100을 함유하는 15 중량%의 유동성 배합물의 제조
하기 성분으로부터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유동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56.0 g 데스모룩스 U 100
10.0 g 디아세톤 알콜
114.0 g 나노입자: 이산화 규소 하이브리드-졸 시오졸™, 1-메톡시-2-프로판올 (MOP) 중 21%
0.5 g 이르가큐어 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광개시제, 시바).
기재 시트의 코팅
실시예 2 내지 6에 기재된 분산액을 범람 코팅에 의해 각종 기재에 적용하였다.
실시예 7 내지 13에서, 표면 치수 10 x 15 cm를 갖는 시트를 기재로 사용하였다.
기재 1: 마크롤론® M 2808
기재 2: 마크롤론® Al 2647
시트를 먼저 이소프로판올로 세정하고, 이온화된 공기로 송풍 건조시켰다. 범람 코팅에 의해 적용된 상기 유동성 용액을 먼저 실온(RT)에서 5분 동안 공기에 노출시킨 다음 80℃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켰다. 다음, 상기 코팅을 Hg 램프의 도움으로, 약 5 J/cm2의 에너지를 적용하며 자외선 경화시켰다.
실시예 7: 실시예 2에 따르는 유동성 용액으로 범람 코팅된 기재 1의 시트. 연무-방지 시험 및 내약품성 시험을 위해, 각 경우 기재의 반만 범람 코팅하였다.
실시예 8 (비교예): 범람 코팅되지 않은 기재 1의 시트
실시예 9: 실시예 2에 따르는 유동성 용액으로 범람 코팅된 기재 2의 시트. 연무-방지 시험 및 내약품성 시험을 위해, 각 경우 기재의 반만 범람 코팅하였다.
실시예 10 (비교예): 범람 코팅되지 않은 기재 2의 시트
실시예 7 내지 10의 특성:
실시예 7 및 9에서는,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 매우 투명한 코팅이 수득되었다.
a) 실시예 7 및 9 - 층 두께;
상단: 3.1 μm, 바닥: 1.4 μm (범람 공정의 결과로서 줄어드는 층 두께)
b) ASTM 1003-00에 따르는 탁도계에 의한 탁도
실시예 7 및 9 - 탁도: 0.3%, 이와 같이 낮은 값은 우수한 투명성에 해당한다.
한편, 코팅되지 않은 기재(실시예 8)의 경우, 0.9%의 탁도 값이 측정되었다.
c) 캘리브레이즈 CS-10F 디스크를 이용하는 마모 디스크 방법 (타버 시험) DIN 53 754에 의한 내마모성
실시예 7 및 9 - Δ탁도: 100 주기 후 9%.
한편, 코팅되지 않은 기재(실시예 8 및 10)의 경우, 같은 방법으로 Δ탁도: 29%의 현저하게 더 높은 마모가 측정되었다.
d) 실시예 7 및 9 - 횡단 후 테이프 시험은 완전히 매끈한 모서리를 보였고, 따라서 DIN EN ISO 2409에 따르는 등급 0으로 평가될 수 있었다. 상기 코팅은 두 기재 모두에 완전한 접착성을 나타냈다.
f) 연무-방지 성질: 그 표면의 반만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된 시트에 숨을 불었다. 코팅되지 않은 부분은 김이 서려 불투명하게 되었지만, 코팅된 부분에는 변화가 감지되지 않았으며, 즉, 투명성이 완전히 유지되었다.
g) 실시예 7 및 9 - 코팅의 굴절율: 1.315
h) 투과/반사: 코팅되지 않은 시트(실시예 8 및 10)의 경우 투과율은 가시광선 파장 범위에서 약 90%인 반면, 코팅(실시예 7 및 9)에 의해 대략 93 내지 95%의 값이 수득될 수 있었다.
i) 내약품성: 본 발명에 따라 그 표면의 반만 코팅된, 시트의 코팅되지 않은 면은 즉시 흐려진 반면, 예상한 대로, 기재의 코팅된 면은 아세톤에 대하여 현저하게 더 나은 내성(실제로 흐려짐이 없음)을 나타냈다.
실시예 11: 실시예 3에 따르는 유동성 용액으로 범람 코팅된 기재 1의 시트
층 두께 (범람 코팅): 1.5 - 3.0 μm
탁도: 0.43%
굴절율: 1.36
내마모성: Δ탁도 (100 주기): 11%
투과율 (450-800 nm): 약 93-95%
연무-방지: 코팅된 면은 숨을 불었을 때 김이 서리지 않은 반면, 코팅되지 않은 표면은 숨을 불었을 때 흐려졌다.
실시예 12 (비교예): 실시예 4에 따르는 유동성 용액으로 범람 코팅된 기재 1의 시트
UV 가교 후, 미세한 머리칼 같은 균열을 갖는 코팅이 수득되었다. 그러므로 더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지 않았다.
실시예 13 (비교예): 실시예 5에 따르는 유동성 용액으로 범람 코팅된 기재 1의 시트
UV 가교 후, 투명한, 하기 성질을 갖는 흠-없는 코팅이 수득되었다:
층 두께: 0.8 - 1.4 μm
탁도: 0.13%
굴절율: 1.48.
놀랍게도, 여기 기재된 코팅은 굴절율에 눈에 띄는 하락을 초래하지 않았고, 따라서 주목할만한 반사-방지 성질을 제공하지 않았으며, 그러한 이유로 더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지 않았다.
실시예 14 (비교예): 실시예 4에 따르는 유동성 용액으로 범람 코팅된 기재 1의 시트 (비-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를 갖는 유동성 용액):
층 두께 (범람 코팅): 2.0 - 3.5 μm
탁도: 0.43%
굴절율: 1.48
내마모성: Δ탁도 (100 주기): 11%
투과율 (450-800 nm): 약 91%
연무-방지: 코팅된 면은 숨을 불었을 때 김이 서리지 않은 반면, 코팅되지 않은 표면은 숨을 불었을 때 흐려졌다.
상기 결과가 보여주듯이,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실시예 3으로부터 이산화 규소 하이브리드-졸 시오졸™)를 비-다공성 유사물(실시예 5로부터 하이링크® 나노 G 실리카 오르가노졸)로 대체하는 것은 현저하게 더 높은 굴절율 및 더 낮은 투과율(감소된 반사-방지 효과)을 갖는 코팅을 제공하였다.
기재 포일의 연속 코팅
실시예 15: 파일럿 코팅 설비를 이용한 마크로폴® DE 1-1 포일의 코팅
375 μm 두께의 폴리카르보네이트 포일(마크로폴® DE 1-1)을 전술한 유동성 용액으로 코팅하고, 하기의 유동 변수가 관찰되었다:
벨트 속도: 2 m/분
적용 방법: 왕복 롤러코팅.
온풍을 이용한 건조: 제1 영역: 50℃, 제2 영역: 90℃, 제3 영역: 100℃, 각각의 건조기 영역의 길이는 1 m였고, 1.5분의 총 체류 시간이 초래되도록 하였다.
IR 방사체를 이용한 건조: 온풍 영역 건조에 이어, IR 방사체를 이용한 추가의 건조가 75℃의 T에서 수행되었다.
UV 가교: IR 건조에 이어, 약 550 mJ/cm2의 UV 투여량에 해당하는 Hg 증기 램프를 이용하는 UV 가교에 의해 아크릴레이트 성분의 가교가 수행되었다. 흠없고, 매우 투명한, 약 360 nm의 두께를 갖는 코팅이 수득되었다.
전술한 방법의 도움으로 포일의 시험은 다음의 측정 결과를 제공하였다:
탁도: 0.3%
굴절율: 1.315
내마모성: Δ탁도 (100 주기): 9%
M 2808에 대한 접착: 매우 양호: 등급 0
투과율 (450-800 nm): 약 93-95%.
연무-방지: 기재의 코팅된 면은 숨을 불었을 때 김이 서리지 않은 반면, 코팅되지 않은 표면은 숨을 불었을 때 흐려졌다.

Claims (13)

  1. a) 중량-평균 입자 직경 d50 = 10 내지 50 nm를 갖는 단일모드 입자 크기 분포를 갖거나, 한 분획은 평균 입자 직경 d50 = 1 내지 10 nm를, 다른 한 분획은 평균 입자 직경 d50 = 10 내지 30 nm를 갖는 2개의 분획을 갖는 이중모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5 내지 15 중량부,
    b) 폴리비닐 (공)중합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 가용성 중합체 수지 0.5 내지 6 중량부,
    c)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페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및 관능성 실란의 군 중 적어도 1종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UV 가교가능한 반응성 희석제 0.2 내지 3.0 중량부,
    d) 용매,
    e) UV 개시제 계 0.02 내지 0.1 중량부
    를 함유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가 유기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굴절율 nB가 1.45 미만인 코팅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굴절율 nB가 1.40 미만인 코팅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굴절율 nB가 1.35 미만인 코팅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a) 중량-평균 입자 직경 d50 = 10 내지 50 nm를 갖는 단일모드 입자 크기 분포를 갖거나, 한 분획은 평균 입자 직경 d50 = 1 내지 10 nm를, 다른 한 분획은 평균 입자 직경 d50 = 10 내지 30 nm를 갖는 2개의 분획을 갖는 이중모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5 내지 15 중량부;
    b)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0.5 내지 6 중량부;
    c) 30개 미만의 탄소 원자 및 지방족 또는 지환족 라디칼을 갖는, UV- 또는 전자 빔-가교가능한 에틸렌계 불포화 저분자량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0.2 내지 3.0 중량부;
    d) 알콜(들);
    e) 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또는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시드 0.02 내지 0.1 중량부
    를 함유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표면에 적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의 코팅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중 하나로 코팅되거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표면에 적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코팅 방법으로 코팅된 표면을 갖는 성형체.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유기 가용성 중합체 수지, UV-가교된 중합체 수지 및 UV 개시제를 함유하는 표면 코팅을 갖는,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의 성형체.
  11. 적어도 하나의 면 위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제2층을 갖는, 기재 층을 함유하는 다층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층이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카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제품.
KR1020177016100A 2009-02-12 2010-02-02 반사-방지/연무-방지 코팅 KR20170070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8605 2009-02-12
DE102009008605.6 2009-02-12
PCT/EP2010/000609 WO2010091802A1 (de) 2009-02-12 2010-02-02 Antireflex- / antifog-beschichtung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714A Division KR20110124232A (ko) 2009-02-12 2010-02-02 반사-방지/연무-방지 코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278A true KR20170070278A (ko) 2017-06-21

Family

ID=420257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714A KR20110124232A (ko) 2009-02-12 2010-02-02 반사-방지/연무-방지 코팅
KR1020177016100A KR20170070278A (ko) 2009-02-12 2010-02-02 반사-방지/연무-방지 코팅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714A KR20110124232A (ko) 2009-02-12 2010-02-02 반사-방지/연무-방지 코팅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318567A1 (ko)
EP (1) EP2396373B1 (ko)
JP (1) JP5819198B2 (ko)
KR (2) KR20110124232A (ko)
CN (1) CN102317381B (ko)
ES (1) ES2491615T3 (ko)
WO (1) WO201009180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882A (ko) * 2017-09-14 2020-05-15 에이비 루드빅 스벤쏜 온실 스크린
US11428848B2 (en) 2018-01-24 2022-08-30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US11506820B2 (en) 2018-01-24 2022-11-22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401A2 (ko) * 2010-10-14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융 가공용 수지 혼합물
US10036831B2 (en) 2011-08-17 2018-07-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anostructured articles and methods to make the same
JP2015511254A (ja) * 2012-02-01 2015-04-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ナノ構造化材料及び同材料を製造する方法
RU2613408C2 (ru) 2012-03-22 2017-03-16 Зм Инновейтив Пропертиз Компани Композиция тверд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основе полиметилметакрилата и изделие с покрытием
KR102243999B1 (ko) * 2013-06-26 2021-04-26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게엠베하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 및 그 용도
US10400109B2 (en) 2013-10-04 2019-09-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able composition, antistatic composition, antistatic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15148312A1 (en) 2014-03-27 2015-10-01 Innosense, Llc Hydrophilic anti-fog coatings
KR102352742B1 (ko) * 2015-03-25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7023120A1 (ko) * 2015-08-03 2017-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용 코팅 조성물
KR102107736B1 (ko) 2015-08-03 2020-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용 코팅 조성물
KR102094450B1 (ko) * 2015-08-03 2020-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
KR101862252B1 (ko) 2015-08-03 2018-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
EP3401909A1 (de) * 2017-05-09 2018-11-14 Covestro Deutschland AG Folienaufbau enthaltend eine photopolymerschicht zur holographischen belichtung und eine lackschicht hoher beständigkeit
TW201906882A (zh) 2017-05-09 2019-02-16 德商科思創德意志股份有限公司 含有用於全像照射的光聚合物層及高度耐性漆層之薄膜結構
US11640136B2 (en) 2017-05-09 2023-05-02 Covestro Deutschland Ag System consisting of two UV-curing dry-transfer coating layers for the protection of a hologram in a photopolymer film composite
US10520647B2 (en) 2017-08-16 2019-12-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nti-fog and anti-reflective dual-functional coating for optical articles
BR112020006717A2 (pt) * 2017-10-04 2020-11-03 Mcs Industries, Inc. revestimento antiembaçante e processo de aplicação
CN113861844A (zh) * 2020-06-30 2021-12-31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一种水性涂料组合物
KR102523108B1 (ko) 2022-01-13 2023-05-26 주식회사 가든 김 서림 방지용 코팅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방법
CN115820101A (zh) * 2022-10-10 2023-03-21 惠州市杜科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汽车摄像头用光固化涂料及其制备方法
CN115975508B (zh) * 2022-12-22 2023-09-22 惠州市日大实业有限公司 光固化防雾耐磨层料、光固化防雾增透涂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997B2 (ja) 1979-05-15 1984-09-20 触媒化成工業株式会社 コ−テイング組成物
JPS5774369A (en) 1980-10-28 1982-05-10 Mitsui Petrochem Ind Ltd Coating composition
JPS57128760A (en) 1981-02-02 1982-08-10 Shokubai Kasei Kogyo Kk Liquid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JPH0611767B2 (ja) 1985-02-06 1994-02-1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光硬化性組成物
IL89696A0 (en) 1988-04-11 1989-09-28 Minnesota Mining & Mfg Abrasion resistant coatings comprising silicon dioxide dispersions
EP0505737A1 (en) * 1991-03-27 1992-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UV curable abrasion resistant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
JPH0748117A (ja) * 1993-08-06 1995-02-21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多孔質シリカゾルとその製法
DE19530031A1 (de) 1995-08-16 1997-02-20 Merck Patent Gmbh Poröse monodisperse SiO¶2¶-Partikel
JP2001019874A (ja) 1999-07-09 2001-01-23 Nof Corp 被覆剤組成物及びそれを硬化させた被覆物
FR2800635B1 (fr) 1999-11-05 2002-07-26 Bio Merieux Nanospheres composites, conjugues derives,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JP4923345B2 (ja) * 2001-07-13 2012-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の塗膜、反射防止膜、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4440639B2 (ja) 2001-09-21 2010-03-24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耐摩耗性SiO2反射防止層を製造するための新規な混成ゾル
DE10146687C1 (de) 2001-09-21 2003-06-26 Flabeg Solarglas Gmbh & Co Kg Glas mit einer porösen Antireflex-Oberflächenbesch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Glases und Verwendung eines derartigen Glases
JP4419422B2 (ja) * 2002-06-24 2010-02-24 三菱化学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有機無機ハイブリッド樹脂組成物
JP2004083856A (ja) 2002-06-26 2004-03-18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DE10311639A1 (de) 2003-03-14 2004-09-23 Röhm GmbH & Co. KG Antistatisch beschichteter Formkö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20040191420A1 (en) 2003-03-24 2004-09-30 Rearick Brian K. Protective coatings for microporous sheets
US20060269733A1 (en) * 2003-08-28 2006-11-30 Dai Nippon Printing Co., Ltd. Antireflection laminate
JP2005179539A (ja) 2003-12-19 2005-07-07 Nippon Arc Co Ltd 防曇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塗布して得られる防曇性物品
JP2005262799A (ja) 2004-03-22 2005-09-2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53708A1 (de) 2004-11-03 2006-05-04 Schot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rzeugnisses mit Antibeschlag-Beschichtung, sowie verfahrensgemäß herstellbares Erzeugnis
WO2006049008A1 (ja) 2004-11-08 2006-05-1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無機塗料組成物、親水性塗膜及び親水性塗膜の形成方法
US7419707B2 (en) 2005-02-21 2008-09-02 Fujifilm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 for the formation of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982953B2 (en) * 2005-03-07 2011-07-19 Fujifilm Corporation Antireflection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726198B2 (ja) * 2005-04-27 2011-07-20 日本化薬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ITMI20052496A1 (it) * 2005-12-27 2007-06-28 Getters Spa Sistemi compositi assorbitori di gas e metodi per la loro produzione
US20100178512A1 (en) * 2006-12-06 2010-07-15 Ciba Corporation Changing surface properties by functionalized nanoparticles
JP5023769B2 (ja) * 2007-03-30 2012-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WO2008122596A2 (en) * 2007-04-05 2008-10-16 Cinvention Ag Curable therapeutic implant composition
DE102008004622A1 (de) 2008-01-16 2009-07-23 Bayer Materialscience Ag Silikahaltige UV-vernetzbare Hardcoatbeschichtungen mit Urethanacrylat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882A (ko) * 2017-09-14 2020-05-15 에이비 루드빅 스벤쏜 온실 스크린
US11428848B2 (en) 2018-01-24 2022-08-30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US11506820B2 (en) 2018-01-24 2022-11-22 Lg Chem, Ltd.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1802A1 (de) 2010-08-19
JP5819198B2 (ja) 2015-11-18
JP2012517513A (ja) 2012-08-02
ES2491615T3 (es) 2014-09-08
KR20110124232A (ko) 2011-11-16
EP2396373B1 (de) 2014-06-18
CN102317381B (zh) 2014-09-24
US20110318567A1 (en) 2011-12-29
CN102317381A (zh) 2012-01-11
EP2396373A1 (de)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0278A (ko) 반사-방지/연무-방지 코팅
US8101673B2 (en) Silica-containing UV-crosslinkable hardcoat coatings comprising urethane acrylates
EP2935483B1 (en) Radiation curable hardcoat with improved weatherability
US20100285321A1 (en) Hydrophilic hardcoat coatings
KR101440635B1 (ko) 열가소성 기판을 위한 uv-경화 보호 코트
US9017819B2 (en) Plastic substrates having a scratch-resistant coating, in particular housings of electronic devices, having high transparency,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EP2599799B1 (en) Single-layer film and hydrophilic material comprising same
US9273213B2 (en) Special UV absorbers for curable UV-protective coatings
EP2657293B1 (en) Water-absorbable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produced using same
JP6937311B2 (ja) 防曇被膜
KR20150029560A (ko) 경화성 조성물, 그 경화물, 하드 코팅재, 및 하드 코팅막
JP6354665B2 (ja) 光硬化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被覆物品
EP3081578A1 (en) Composition for hydrophilic cured product
EP3505345A1 (en) Antireflective laminate
JP5353843B2 (ja) グレージング用プラスチック基材
KR101755101B1 (ko) 표면 보호용 자외선 경화 도료 조성물
CN111741999A (zh) 含有功能性微粒的带硬涂层的基材的制造方法
TWI648356B (zh) 低油光、抗刮且抗溶劑之聚碳酸酯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