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079A -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079A
KR20170069079A KR1020150176323A KR20150176323A KR20170069079A KR 20170069079 A KR20170069079 A KR 20170069079A KR 1020150176323 A KR1020150176323 A KR 1020150176323A KR 20150176323 A KR20150176323 A KR 20150176323A KR 20170069079 A KR20170069079 A KR 20170069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required speed
speed
stack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480B1 (ko
Inventor
김재연
원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480B1/ko
Priority to US15/180,733 priority patent/US9840163B2/en
Priority to CN201610480370.9A priority patent/CN106864281B/zh
Priority to JP2016134244A priority patent/JP6670191B2/ja
Priority to DE102016118681.3A priority patent/DE102016118681A1/de
Publication of KR2017006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3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cooling
    • B60L11/18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L11/18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n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은 스택용 라디에이터와,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병렬 배치되는 컨덴서와,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의 후방에서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상기 컨덴서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제2 쿨링팬을 포함하는 쿨링모듈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에어컨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제2 쿨링팬의 작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시동을 온 시켜 주행을 하는 단계; 스택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를 설정하는 단계; 전장품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를 설정하는 단계; 에어컨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에어컨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에어컨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컨덴서가 요구하는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COOLING FAN CONTROL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전기 자동차에서 쿨링모듈에 듀얼로 구비되는 쿨링팬의 작동을 제어하여 소모동력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효율과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면서 내연기관 자동차를 실질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는 보통 연료전지나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나, 엔진과 전기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구분된다.
여기서, 전기자동차에는 연료전지 또는 배터리를 냉각하기 위한 스택 라디에이터와, 전장품을 냉각하는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컨덴서, 및 쿨링팬을 포함하는 쿨링모듈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쿨링모듈은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따라 연료전지 또는 배터리와 전장품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에어컨 시스템의 냉방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성능 확보가 요구된다.
그러나 쿨링모듈의 성능 확보를 위해서는 쿨링팬의 용량을 증대시키거나 쿨링팬을 효율적으로 제어해야 하지만, 한정된 엔진룸 공간에서 장착공간의 확보가 어려워 용량 증대에 한계가 있고, 각 구성요소들의 요구 냉각온도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들의 요구 냉각온도에 맞게 쿨링팬을 제어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의 요구 냉각온도 중, 최대 냉각온도에 따라 쿨링팬을 작동시킬 경우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불필요하게 냉각되고, 쿨링팬의 소모동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차량의 최대 주행거리가 짧아지는 단점도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자동차에서 주행 상태 및 에어컨 작동에 따라 쿨링모듈에 듀얼로 구비되는 쿨링팬의 작동 시, 각 구성요소들의 쿨링팬 요구속도를 비교하여 각 쿨링팬의 작동을 독립 제어함으로써, 쿨링팬의 소모동력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차량의 전체 주행거리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은 스택용 라디에이터와,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병렬 배치되는 컨덴서와,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의 후방에서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상기 컨덴서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제2 쿨링팬을 포함하는 쿨링모듈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에어컨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제2 쿨링팬의 작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시동을 온 시켜 주행을 하는 단계; 스택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를 설정하는 단계; 전장품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를 설정하는 단계; 에어컨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에어컨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에어컨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컨덴서가 요구하는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컨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에어컨이 작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스택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를 설정하는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에 의하면, 주행 상태 및 에어컨 작동에 따라 전기자동차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쿨링모듈에 듀얼로 구비되는 쿨링팬의 작동 시, 각 구성요소들의 쿨링팬 요구속도를 비교하여 각 쿨링팬의 작동을 독립 제어함으로써, 쿨링팬의 소모동력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차량의 전체 주행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쿨링팬의 용량 증대 없이도 쿨링모듈의 성능 확보가 가능함에 따라 한정된 장착공간 내에서 쿨링모듈의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에 탑재된 스택, 전장품, 및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성능 및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쿨링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쿨링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은 전기자동차에 적용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전방에는 쿨링모듈(1)이 장착되며, 상기 쿨링모듈(1)은 스택용 라디에이터(3), 전장용 라디에이터(5), 컨덴서(7), 및 제1, 제2 쿨링팬(10, 20)을 포함한다.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3)는 스택(연료전지)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의 전방 일측에는 전장품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5)가 배치된다.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3)의 전방 타측에는 에어컨 시스템의 냉매를 응축하도록 상기 컨덴서(7)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5)와, 상기 컨덴서(7)는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병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쿨링팬(10, 20)은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3)의 후방에서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5)와 상기 컨덴서(7)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쿨링모듈(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팬 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에어컨 시스템의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쿨링팬(10)과 상기 제2 쿨링팬(20)의 작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을 온 시켜 주행하는 상태(S1)에서, 상기 스택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3)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를 설정한다(S2).
그런 후, 차량에 탑재된 전장품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5)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를 설정한다(S3).
그리고 차량에서 에어컨의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S4).
상기 단계(S4)에서 차량의 에어컨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에어컨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컨덴서(7)가 요구하는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를 설정한다(S5).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S6).
상기 단계(S6)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10)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10)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킨다(S7).
그런 후,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고(S8),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를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컨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에서 상기 에어컨이 작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S9).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9)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10)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쿨링팬(20)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킨다(S10).
그런 후, 상기 제1 쿨링팬(10)과 제2 쿨링팬(20)이 작동되면,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리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9)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10)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쿨링팬(20)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킨다(S11).
그런 후, 상기 제1 쿨링팬(10)과 제2 쿨링팬(20)이 작동되면,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리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10)를 냉각하도록 요구되는 상기 제1, 제2 쿨링팬(10, 20)의 요구속도와,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5)를 냉각하도록 요구되는 제1 쿨링팬(10)의 요구속도를 비교하여 큰 요구속도로 제1, 제2 쿨링팬(10, 20)을 독립 제어하여 쿨링모듈(1)의 효율적인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6)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12).
상기 단계(S12)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10)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쿨링팬(20)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로 작동시킨다(S13).
그런 후, 상기 제1 쿨링팬(10)과 제2 쿨링팬(20)이 작동되면,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리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단계(S12)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S14).
상기 단계(S14)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10)은 상기 제1 쿨링팬의(10) 제2 요구속도(C)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20)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킨다(S15).
그런 후, 상기 제1 쿨링팬(10)과 제2 쿨링팬(20)이 작동되면,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다시 리턴된다.
반면에, 상기 단계(S14)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16).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S16), 상기 제1 쿨링팬(10)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2 요구속도(C)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20)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2 요구속도(D)로 작동시킨다(S17).
그런 후, 그런 후, 상기 제1 쿨링팬(10)과 제2 쿨링팬(20)이 작동되면,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다시 리턴된다.
반면, 상기 단계(16)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10)은 상기 제1 쿨링팬(10)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20)은 상기 제2 쿨링팬(20)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8)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스택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를 설정하는 단계(S2)로 리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은 전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차량의 주행 상태와 에어컨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10)를 냉각하도록 요구되는 상기 제1, 제2 쿨링팬(10, 20)의 요구속도,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5)를 냉각하도록 요구되는 제1 쿨링팬(10)의 요구속도, 및 상기 컨덴서(7)를 냉각하도록 요구되는 제2 쿨링팬(20)의 요구속도를 각각 비교하여 큰 요구속도로 제1, 제2 쿨링팬(10, 20)을 각각 독립 제어함으로써, 쿨링모듈(1)의 효율적인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을 적용하면, 주행 상태 및 에어컨 작동에 따라 전기자동차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쿨링모듈(1)에 듀얼로 구비되는 제1, 제2 쿨링팬(10, 20)의 작동 시, 각 구성요소들의 쿨링팬 요구속도를 비교하여 제1, 제2 쿨링팬(10, 20)의 작동속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1, 제2 쿨링팬(10, 20)의 소모동력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차량의 전체 주행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쿨링팬(10, 20)의 용량 증대 없이도 상기 쿨링모듈(1)의 성능 확보가 가능함에 따라 한정된 장착공간 내에서 상기 쿨링모듈(1)의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에 탑재된 스택, 전장품, 및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성능 및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쿨링모듈
3 : 스택용 라디에이터
5 : 전장용 라디에이터
7 : 컨덴서
10 : 제1 쿨링팬
20 : 제2 쿨링팬

Claims (12)

  1. 스택용 라디에이터와,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병렬 배치되는 컨덴서와,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의 후방에서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와 상기 컨덴서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제2 쿨링팬을 포함하는 쿨링모듈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에어컨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제2 쿨링팬의 작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시동을 온 시켜 주행을 하는 단계;
    스택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를 설정하는 단계;
    전장품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전장용 라디에이터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를 설정하는 단계;
    에어컨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에어컨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에어컨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컨덴서가 요구하는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에어컨이 작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C) 보다 작고,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2 요구속도(D)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쿨링팬은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쿨링팬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로 작동시키는 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스택 및 전장품의 냉각수온과 에어컨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치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스택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스택용 라디에이터가 요구하는 상기 제1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A)와 상기 제2 쿨링팬의 제1 요구속도(B)를 설정하는 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KR1020150176323A 2015-12-10 2015-12-10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KR10175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323A KR101755480B1 (ko) 2015-12-10 2015-12-10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US15/180,733 US9840163B2 (en) 2015-12-10 2016-06-13 Cooling fan control method for vehicle
CN201610480370.9A CN106864281B (zh) 2015-12-10 2016-06-27 用于车辆的冷却风扇控制方法
JP2016134244A JP6670191B2 (ja) 2015-12-10 2016-07-06 車両用クーリングファン制御方法
DE102016118681.3A DE102016118681A1 (de) 2015-12-10 2016-09-30 Kühlventilatorsteuerverfahren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323A KR101755480B1 (ko) 2015-12-10 2015-12-10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079A true KR20170069079A (ko) 2017-06-20
KR101755480B1 KR101755480B1 (ko) 2017-07-10

Family

ID=5877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323A KR101755480B1 (ko) 2015-12-10 2015-12-10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40163B2 (ko)
JP (1) JP6670191B2 (ko)
KR (1) KR101755480B1 (ko)
CN (1) CN106864281B (ko)
DE (1) DE1020161186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614A (ko) * 2017-12-04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CN112060980A (zh) * 2020-08-21 2020-12-1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车辆的冷却模块总成及冷却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8267B2 (ja) * 2017-11-10 202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
DE102018214705A1 (de) * 2018-08-30 2020-03-05 Audi Ag Kühlsystem
SE543280C2 (en) 2019-03-08 2020-11-10 Scania Cv Ab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in association with a descent, a powertrain, a vehicle, a computer program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CN112060979B (zh) * 2020-08-21 2022-03-29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车辆的冷却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4537A (en) * 1987-04-29 1988-12-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cheduled comfort control system with adaptive compensation for stall and overshoot
US4988930A (en) * 1990-04-25 1991-01-29 Oberheide George C Plural motor fan system with improved speed control
JP2782968B2 (ja) 1991-03-12 1998-08-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
KR0176323B1 (ko) 1995-08-11 1999-03-20 박원훈 삼불화메틸 디히드로옥사티인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5660149A (en) * 1995-12-21 1997-08-26 Siemens Electric Limited Total cooling assembly for I.C. engine-powered vehicles
US6067489A (en) * 1997-06-04 2000-05-23 Detroit Diesel Corporation Method for engine control
JP2001317353A (ja) 2000-05-11 2001-11-1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モータファンの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411037B1 (ko) 2000-09-04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라디에이터 냉각팬의 제어방법
US6629411B2 (en) * 2001-05-09 2003-10-07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Dual displacement motor control
JP4053327B2 (ja) * 2002-03-27 2008-02-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2004353554A (ja) 2003-05-29 2004-12-1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冷却ファンの制御装置
US7508146B2 (en) * 2004-10-18 2009-03-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Multi-speed dual fan module system for engine cooling applications
DE102005057989A1 (de) * 2004-12-06 2006-06-14 Denso Corp., Kariya Elektrisches Lüftersystem für ein Fahrzeug
US9057317B2 (en) * 2006-10-26 2015-06-16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power management for a vehicle
JP4443588B2 (ja) * 2007-05-22 2010-03-3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蓄冷システム
KR20090111946A (ko) 2008-04-23 2009-10-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19282A (ja) * 2008-10-17 2010-05-27 Denso Corp 熱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JP5379537B2 (ja) * 2009-03-31 2013-1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用冷却装置
US8209073B2 (en) * 2009-05-06 2012-06-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of a vehicle
KR101558594B1 (ko) 2009-08-31 2015-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쿨링시스템
US9180753B2 (en) * 2009-12-03 2015-11-10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cooling system for eco-friendly vehicle
JP5633737B2 (ja) * 2010-09-22 2014-1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261509B2 (ja) * 2011-01-14 2013-08-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WO2012127348A1 (en) * 2011-03-23 2012-09-27 Tata Motor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a fuel cell stack
US8590650B2 (en) * 2011-04-01 2013-11-26 Agco Corporation Cooling package assembly for work vehicles
JP5957233B2 (ja) 2012-01-30 2016-07-27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
KR101438603B1 (ko) 2012-10-05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CN103266945B (zh) * 2013-05-22 2016-01-20 吉林大学 一种工程机械集约式散热系统
US20150101778A1 (en) * 2013-10-14 2015-04-16 Hyundai Motor Company Cooling module for vehicle
KR101534724B1 (ko) 2013-12-18 2015-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제어방법
KR101534708B1 (ko) * 2013-12-18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제어방법
US9527404B2 (en) * 2014-09-23 2016-12-27 Atieva, Inc. EV adaptive thermal management system optimiz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614A (ko) * 2017-12-04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US10493815B2 (en) 2017-12-04 2019-12-03 Hyundai Motor Company Cooling fan control method for vehicle
CN112060980A (zh) * 2020-08-21 2020-12-1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车辆的冷却模块总成及冷却系统
CN112060980B (zh) * 2020-08-21 2022-02-1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车辆的冷却模块总成及冷却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480B1 (ko) 2017-07-10
US9840163B2 (en) 2017-12-12
CN106864281B (zh) 2020-09-22
JP2017105426A (ja) 2017-06-15
CN106864281A (zh) 2017-06-20
DE102016118681A1 (de) 2017-06-14
US20170166083A1 (en) 2017-06-15
JP6670191B2 (ja)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480B1 (ko)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KR101588767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제어방법
KR101534708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제어방법
KR20190065614A (ko) 차량용 쿨링팬 제어방법
US97962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electric vehicle
US9649908B2 (en)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US867777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US7621142B2 (en) Cooling system and hybrid vehicle including cooling system
JP4434220B2 (ja) 電気機器の冷却装置、その冷却方法および冷却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00100266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US2015010135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high-voltage battery of vehicle
US11097635B2 (en) Battery heat management integr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20100189A (ja) 電気自動車における温調制御システム
KR101961796B1 (ko) 이차전지의 냉각 및 히팅 시스템
JP2010167886A (ja) 電気自動車の冷却装置
US20160121694A1 (en) Cooling system for vehicle
KR20150067842A (ko) 배터리 냉각팬 제어 장치 및 방법
JP3722145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冷却システム
US20180099672A1 (en) Integrated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Motor for Electric Vehicle
KR101865947B1 (ko) 배터리구동차량의 통합공조방법 및 시스템
KR102160631B1 (ko)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배터리 온도 관리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80040093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동 압축기의 제어방법
WO2009096584A1 (ja) 車両用バッテリの保護装置及び方法
JP2004027945A (ja) 車両用モータファンの制御装置
JP2004090776A (ja) 車両用冷却ファ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