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077A -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077A
KR20170067077A KR1020150173512A KR20150173512A KR20170067077A KR 20170067077 A KR20170067077 A KR 20170067077A KR 1020150173512 A KR1020150173512 A KR 1020150173512A KR 20150173512 A KR20150173512 A KR 20150173512A KR 20170067077 A KR20170067077 A KR 2017006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ensor
state
touch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462B1 (ko
Inventor
이선영
이채경
전하영
김희진
신동준
안성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462B1/ko
Priority to CN201680071407.0A priority patent/CN108369438B/zh
Priority to US15/368,106 priority patent/US10466808B2/en
Priority to PCT/KR2016/014095 priority patent/WO2017099428A1/en
Priority to EP16873293.1A priority patent/EP3371676B1/en
Publication of KR2017006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1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detection at multiple resolutions, e.g. coarse and fine scanning; using detection within a limited area, e.g. object tracking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1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플랙서블 터치 스크린과, 장치의 벤딩 및 체결을 인식하는 센서와, 디스플레이 및 센서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될 때 전자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착용 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A FLEXABLE ELECTRONIC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노트북(notebook)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장치들의 기능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등과 같은 통화 기능,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전자메일(e-mail) 등과 같은 메시지 송수신 기능, 전자수첩 기능, 촬영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인터넷 기능, 메신저 기능, 게임 기능,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되고 있다. 이런 형태 중의 하나가 플렉서블 장치 및/또는 웨어러블 장치가 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웨어러블 전자장치로 발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와 착용 후의 전자장치 형태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착용할 때 전자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의 상황을 판단하여 전자장치를 활성화시킨 후 착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구부러짐이 인식될 때 미리 활성화시키고 착용 후 전자장치의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플렉서블 장치의 구부러짐이 인식될 때 전자장치의 동작모드를 분석하고 잠금 상태이면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켜 잠금 해제 입력 창을 표시하고, 착용 후 입력되는 잠금 해제 정보에 의해 전자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 설정되는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장치의 구부러짐이 인식될 때 전자장치의 동작모드를 분석하고 동작 중인 모드에 수행할 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착용 후 활성화된 장치들에 설정된 입력되는 잠금 해제 정보에 의해 전자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설정되는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플랙서블 터치 스크린과, 장치의 벤딩 및 체결을 감지하는 센서와, 디스플레이 및 센서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에 의해 수행될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전환된 기능 및/또는 UI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착용된 상기 전자장치에서 수행될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전환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상기 전환된 기능 및/또는 UI에 따라 착용 상태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폰 및 웨어러블 형태로 변환이 가능한 플렉서블 전자장치에서 전자장치의 형태가 변형될 때의 상황을 판단하여 적합한 기능/UI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착용할 때 미착용 및 착용 상황에서 구부러짐이 인식될 때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각 상황에 따라 전자장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가 형태 변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평탄상 상태의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에 착용된 상태의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a은 도 3a의 라인 A-A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a의 라인 B-B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사시도 및 착용 상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다른 사시도 및 착용 상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상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생체센서가 장착되는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HRM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센서의 전극 구조의 측면도이며, 도 10b는 스크린 센서의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 도 11c는 터치스크린 센서에서 지문 인식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화면 내의 지문인식영역 1200의 전극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b는 지문인식영역1200과 인터페이스 회로 간의 배선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구성되는 지문 인식 센서의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상태 전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a - 도 1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a - 도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다른 전자장치가 벤딩을 인식할 때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 - 도 1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가 벤딩 상태에서 설정하는 표시 영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동작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및 압력 인식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터치 입력 및 압력 인식 타입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전환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잠금 상태 해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잠금 상태 해제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생체 측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생체 측정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생체 측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생체 측정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생체 측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수행되는 생체 측정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결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결제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결제 동작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결제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결제 동작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 전환시에서 통화 모드를 서비스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의 통화 모드에서 통화 볼륨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상태 전환 시에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미착용 상태로 전환시에 통화 모드를 서비스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 전환시에 문자 서비스 모드를 서비스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상태 전환 시에 문자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알람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이며, 웨어러블 전자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전자장치는 웨어러블 전자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프로세서 100, 메모리 110, 통신부 120, 센서부 130, 카메라 140, 입력부 150, 디스플레이 16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의 전자장치에서 입력부 150 및 디스플레이 160은 플렉서블 장치로써,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센서)가 될 수 있다. 도 1의 전자장치에서 프로세서 100, 메모리 110, 통신부 120, 센서부 130 및/또는 카메라 140의 전부 또는 일부 구성요소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플렉서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C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 센서와 함께 휘거나(curved), 구부러지거나(bending), 말리거나(rolling), 접혀질(folding)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부러짐이라는 용어는 휨, 구부러짐, 말림 및 접혀짐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프로세서 100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110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10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command) 또는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110은 소프트웨어(software) 및/또는 프로그램(program)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커널(kernel), 미들웨어(middleware),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미들웨어, 또는 API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부 120은 무선 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모듈을 셀룰라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셀룰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라 통신 모듈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100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ST는 전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고, 펄스는 자기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는 자기장 신호를 POS(point of sales)에 전송하고, POS는 MST 리더(MST reader)를 이용하여 자기장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자기장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예를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 13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부 130은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기압 센서(barometer),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그립 센서(grip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컬러 센서(color sensor) 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medical sensor), 온/습도 센서(temperature-humid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UV(ultra violet) 센서 또는 전자장치의 휘어짐을 감지하는 플렉서블 감지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 130은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인 경우, 상기 전자장치의 휘어짐(flex, bending)을 감지하기 위한 벤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 센서는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 제공 장치 또는 착용 상태 제공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 130은 전자장치가 웨어러블 전자장치의 착용을 인식할 수 있는 체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센서는 전자장치의 체결부에 설치될 수 있다. 체결 센서는 체결부의 양단에 극이 서로 다른 자석을 배치하고, 체결 여부에 따라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자기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센서는 체결부에 위치되어 체결부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생체센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부 130의 생체 센서는 HRM 센서(heart rate monitoring sensor) 및/또는 UV 센서(ultraviolet light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HRM 센서는 전자장치의 후면(예를들면 사용자의 손목과 접촉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UV 센서는 전자장치의 전면(예를들면 태양 광등 외부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부 13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10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부 13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 100이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부 130을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부 140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 1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부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keypad)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부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는 터치 패널이 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은 압력 센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화면(예: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비디오(video), 아이콘(icon), 또는 심볼(symbol)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 150과 디스플레이 160은 각각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프로세서 100의 제어 하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touch), 제스처(gesture), 근접(proximity),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장치가 웨어러블 전자장치이면, 상기 입력부 150 및 디스플레이 160은 플렉서블 디바이스(flexible device)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들 간에 연동하는 동작은 상기 웨어러블 전자장치와 다양한 전자 장치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와 같이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다양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21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전자장치가 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플렉서블하면서 웨어러블한 전자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플렉서블 전자장치와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다른 전자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디바이스의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따라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에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기능을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도 있다.
프로세서 100은 메모리 110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홈(home), 다이얼러(dialer), SMS/MMS(short messaging service/multimedia messaging service), IM(instant message), 브라우저(browser), 카메라, 알람, 컨택트(contact), 음성 다이얼, 이메일, 달력, 미디어 플레이어, 앨범, 시계,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장치(다른 전자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가 형태 변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미 착용 상태 210에서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착용 상태 230에서는 웨어러블 전자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미착용 상태 210에서 착용 상태 230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착용 상태 230에서 미착용 상태 2210으로 전환할 때에는 참조번호 220과 같이 전자장치를 사용자의 신체(예를들면 손목)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이탈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미착용 상태 210에서 착용 상태 230으로 전환할 때, 사용자는 참조번호 220과 같이 전자장치를 구부려서 신체에 접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착용 상태 / 미착용 상태로 변환이 가능할 수 있으며, 형태를 변환할 때(예를들면 전자장치가 구부러질 때 또는 펴질 때) 전자장치의 상황을 판단하여 변환된 이후의 상태에서 적합한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벤딩을 인식하는 과정 및 착용을 판단하는 과정에 따라 기능 및 UI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벤딩이 인식되면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착용되는 시점에서 미착용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착용 상태의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벤딩이 인식될 때, 전자장치는 기능 및/또는 UI의 변경을 수행하지 않고 착용이 인식되는 시점에서 기능 및/또는 UI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벤딩이 인식되면, 미착용 상태에서의 동작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를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수행될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 210에서 착용 상태 230으로 변환되는 참조번호 220과 같은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 210에서의 동작이 착용 상태 230에서 원할하게(또는 빠르게) 실행될 수 있도록 미리 관련된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예를들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가 플렉서블하면서 착용이 가능한 전자장치가 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평탄상 상태의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에 착용된 상태의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손목이나 팔목 등의 인체 특정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3a는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제1위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제2위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1위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가 대략적으로 평탄한 상태이고, 제2위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가 힘을 받아서 손목 등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언급된 힘을 제공하는 동력원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하나의 본체 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 30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대략적으로 밴드 형상으로서, 제1면 301과, 제1면 301과 반대 방향인 제2면 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면 301은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외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고, 제2면 302는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내면, 예를 들어 인체 피부와 접촉하는 착용면일 수 있다. 제1면 301은 플렉서블 전자장치 상부에 있어서 상면일 수 있고, 제2면 302는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하부에 있어서, 하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 300은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본체로서, 휘거나(curved), 굽혀지거나(bending), 말리거나(rolling), 접혀질(folding)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예를 들어, 손목에 시계와 같은 유형으로 인체에 착용될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 300은 손목에 착용하게 하는 착용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 300은 제1면 301에 디스플레이 160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는 16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60은 본체 300과 함께 휘거나, 벤딩되거나, 접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본체 300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60과, 착용상태 제공 장치 320(도 4a, 도 4b에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 300의 제1면 301에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예를 들어 베젤 영역에 스피커, 마이크, 전면 카메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제1면 301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60은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플렉시블 전자장치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도시된 홈 버튼은 본체 300에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홈 버튼이 눌려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측면 테두리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 음량 버튼,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다른 측면에는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 잭(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 잭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본체 300은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에 의해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300의 굽혀지는 케이스 부분은 연성 재질(flexible material, 예를들면 thin steel spring)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6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서, 평탄하거나, 롤링 타입으로 말아서 배치하거나, 접혀지거나, 굽혀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 300은 미도시된 메인 보드와, 메인 보드에 실장된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도시된 메인 보드는 연성 회로부에 의해 관절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는 미 도시된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체결부 307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 307은 본체 300 양단이 체결되어, 손목에 착용하는 구조나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307은 본체 제1단 부분 305와 본체 제2단 부분 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 부분 305는 본체 300의 일단을 지칭하고, 제2단 부분 306은 제1단 부분 305의 반대 방향에 있는 타단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는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a의 체결부 307은 요철 구조로, 각각 자성 물질의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단 부분 305는 제2면 302에 제1리세스(recess) 303이 형성되고, 제2단 부분 306은 제1면 301에 제2리세스 304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리세스 303 및 제2 리세스 304는 홈 형상으로 각각 구성되고, 각각 제2면 302 및 제1면 301로부터 각각 단차진 형상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 부분 305 및 제2단 부분 306이 체결되면, 제1리세스 303은 제2단 부분 306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고, 제2리세스 304는 제1단 부분 305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 부분 305 및 제2단 부분 306이 체결되면, 제1리세스 303은 제2단 부분 306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체결되고, 제2리세스 304는 제1단 부분 305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307의 두께는 대략적으로 체결부를 제외한 다른 본체 300 부분의 두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307은 극성이 다른 자성 물질을 이용하거나, 자성 물질과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 부분 305에 N극의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2단 부분 306에 S극의 자성 물질을 포함한다면,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제1단 부분 305 및 제2단 부분 306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제1단 부분 305 및 제2단 부분 306 간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 부분 305에 N극/S극의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2단 부분 306에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면,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제1단 부분 305 및 제2단 부분 306은 자력에 의해 체결 될 수 있다.
도 4a은 도 3a의 라인 A-A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a의 라인 B-B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본체 300을 손목에 착용하게 하는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은 반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은 제1위치 상태에서,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에 일정한 힘을 가하면, 도 3b와 같은 제2위치 상태로 손목을 감싸게 착용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은 금속 재질의 박판(thin plate)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은 대략적으로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손목에 놓고, 감싸는 방향에 일정 힘을 가하면, 손목을 감싸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에 의해 본체 300은 손목에 감싸지게 배치되어,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손목에 착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에 착용된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이 있는 본체 부분을 손목에서 일정 힘을 가해 분리되면,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이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본체 300은 도 3a와 같은 평탄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참조부호 330은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A)를 지칭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A)는 연성 재질(flexible material)로 구성되거나, 관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본체 350과, 본체 350의 제1단 부분 353 및 제2단 부분 354를 체결하는 체결부 35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355는 요철 구조로서, 제1단 부분 353에 형성된 제1체결 부분과, 제2단 부분 354에 형성된 제2체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체결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체결 부분은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제2체결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체결 부분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355는 극성이 다른 자성 물질을 이용하거나, 자성 물질과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 부분 353에 N극의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2단 부분 354에 S극의 자성 물질을 포함한다면,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제1단 부분 353 및 제2단 부분 354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제1단 부분 353 및 제2단 부분 354 간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 부분 353에 N극/S극의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2단 부분 354에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면,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제1단 부분 353 및 제2단 부분 354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제1단 부분 353 및 제2단 부분 354 간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본체 370과, 본체 370의 제1단 부분 373 및 제2단 부분 37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제1단 부분 373 및 제2단 부분 374가 접촉되지 않게 구성되어서, 체결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단 부분 373 및 제2단 부분 374는 근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본체 370은 손목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3a - 도 6b는 착용 상태 제공 장치 320이 플렉서블한 재질(예를들면 thin steel spring)을 예로들어 설명되었지만,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의 하단에 복수의 연결부재(connecting member)들과 연결부재들을 이어주는 힌지들로 본체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들에 도 1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 기판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의 하단에 위치되는 본체를 홈과 돌기들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는 전자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체결부들은 자석으로 구현되는 예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체결부는 후크(hook) 또는 버클(buckle)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체결부는 고리(예를들면 가죽 시계줄의 연결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체결부 또는 체결부에 인접되는 위치에 체결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상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 착용 상태 및 전환 상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710과 같은 미착용 상태에서 참조번호 720과 같은 전환 상태를 통해 참조번호 730과 같은 착용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730과 같은 착용 상태에서 참조번호 740과 같은 전환 상태를 통해 참조번호 750과 같은 미착용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착용 상태 및 미착용 상태에서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전환상태(전자장치를 착용하기 위하여 전자장치를 벤딩시키거나 또는 착용된 전자장치의 체결을 해제하여 전자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키지 않고,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전환 상태에서 전환 후에 실행될 기능 및/또는 UI를 미리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720 및/또는 740과 같은 전환 상태에서 전환 이후의 상태에 적합한 기능(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장치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예를들어 설명될 것이다. 예를들면, 미착용 상태에서 잠금 모드(lock mode)를 전자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720과 같은 전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키고 잠금 해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잠금 해제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참조번호 730과 같이 착용 상태로 천이되면, 전자장치를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되는 잠금 해제창에서 입력되는 잠금 해제 정보에 따른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전자장치를 설정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참조번호 740과 같이 착용 상태에서 참조번호 750과 같은 미착용 상태로 전환할 때,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착용 해제를 인식하고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에서 생체 측정을 수행하는 중에 전자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720과 같은 상태에서 대응되는 생체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가 신체에 접촉되면, 전자장치는 미리 활성화된 생체 센서를 통해 안정된 상태에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740과 같이 착용 상태에서 참조번호 750과 같이 미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 전자장치는 생체센서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생체 측정 기능, 지불 결제(pay) 기능, 음성 통화 기능, 메시지 통신 기능, 스케듈링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는 위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센서부 130은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부 150은 압력 감지 기능 및/또는 지문 인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 120은 지불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플렉서블 전자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생체 센서를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생체센서가 장착되는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생체센서는 HRM 센서가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810은 전자장치의 전면이 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전면은 체결부 813 및 815와 디스플레이 160이 위치될 수 있다. 참조번호 820 및 830은 전자장치의 후면이 될 수 있으며, 823, 825, 833, 835 위치는 생체 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측정 동작을 수행할 때, 생체센서는 생체를 측정하기 가장 좋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예를들면, 생체 측정은 생체센서를 손목의 내측 또는 외측의 중앙에 위치시켜 측정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할 때, 체결부의 위치는 참조번호 840과 같이 손목의 내측(손목 안쪽)의 중앙 또는 외측(손 등과 같은 방향의 손목 바깥쪽)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손목 시계를 착용할 때와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 160의 후면 중앙 위치 823 또는 체결부의 위치 825 중 한 곳 이상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체결부에 인쇄회로 기판, 키 버튼들 및/또는 센서들과 같은 장치들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는 디스플레이가 위치되는 다른 영역들에 비해 부피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부가 참조번호 850과 같이 손목의 중앙이 아닌 방향(예를들면 손날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전자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생체센서는 참조번호 830의 833 및/또는 835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체센서는 전자장치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생체센서는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였을 때 손목의 내측 또는 외측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센서는 심박 센서(heart rate monitor sensor, HRM sensor)가 될 수 있다. 도 9a -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HRM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HRM 센서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심박을 측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b는 HRM 센서의 출력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c는 전자장치에서 HRM 센서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도 9c를 참조하면, 심장이 수축 이완을 반복하면서 말초혈관의 혈류량이 변화하게 되고, 혈관의 부피가 변하게 된다. HRM 센서(heart rate monitor sensor)는 혈관의 변환에 따른 빛의 투과량을 측정하여 심장의 박동을 파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HRM 센서는 혈류량 검사(PPG: Photoplethysmography)를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혈류량 검사는 혈관 내 혈액양의 변화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HRM 센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 920및 수광 소자 9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HRM 센서를 신체의 일부(예를들면 손목 등)를 밀착시킨 후 광혈류량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HRM 센서는 생체(예를들면 혈류량, 심박 수, 산소 포화도 등)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할 때, HRM 센서의 발광 소자 920(예를들면 light emitting diode, LED)에서 조사되는 빛은 신체의 여러 매질 930을 지나 확산 및/또는 분산되면서 넓게 퍼지게 되고, 확산 및/또는 분산된 빛은 수광 소자(예를들면 photo diode) 910을 통해 검출되어질 수 있다.
HRM 센서는 심장의 박동에 따라, 수축기에는 혈관에 혈액이 많아져 약간 어둡게 되고, 이완기에는 혈액이 빠지면서 밝아 지는 변화를 이용하여 생체의 변화(예를들면, 심장 박동 수 등)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축기일 때는 수광 소자에서 수광되는 빛이 적어지지만, 이완기일 때에는 수광되는 빛이 많아 지게 될 수 있다. 센서는 최소 밝기 점을 찾아 변화량을 분석하고, 특정 문턱치 이상에서의 변화 빈도 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결과에 따른 시간당 펄스 수(예를들면 초당 측정되는 펄수 수)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계산할 수 있다.
HRM 센서는 초기 구동시 사용자의 심박수(실제 심박수) 940과 다른 측정값을 출력할 수 있다. HRM 센서는 참조번호 945와 같이 HRM 센서의 동작이 안정화되는 시간(초기 구동 시간)에서 사용자의 실제 HR 값과 다른 결과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생체 측정 모드에서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할 때 미리 HRM 센서를 활성화시켜 생체 측정 동작을 준비하고, 착용 후에 미리 활성화된 HRM 센서를 통해 생체 측정을 수행하므로, 초기 구동시의 생체 측정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HRM 센서를 제어하는 구성은 발광소자 920 및 수광소자 910으로 구성되는 광학부와, 광학부에서 센싱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950 및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960으로 구성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는 하나의 수광 소자와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광학부는 광검출기(photo detector)와 IR LED 및 red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photo detector와 green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photo detector와 IR LED, red LED 및 green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LED들을 사용하면 산소 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부 (예를들면 가속도 센서) 130과, 신호 처리부 출력과 움직임 감지부의 출력을 분석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 및 분석하는 프로세서 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3축 이상의 가속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모션제거 알고리즘, HR 계산 알고리즘 포함할 수 있다.
HR 측정 동작을 살펴보면, HRM 센서의 발광소자 920에서 출력되는 빛은 사용자의 피부 93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930에 전달된 빛은 신체의 매질을 통해 확산 및/분산되며, 확산 및/또는 분산된 빛은 HRM 센서의 수광소자 9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수광소자(광검출기, photo detector) 910에서 검출된 빛은 증폭기 950을 통해 증폭되고,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960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로세서 100에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성분을 보상하면서 HR을 측정할 수 있다.
HRM 센서에서 출력되는 PPG(photoplethysmography) 신호는 PPI(peak to peak interval)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변환된 PPG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잡음(예를들면 조명에 의한 잡음)을 제거하고,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의해 모션에 의한 영향을 제거한 후, HR 값을 처리할 수 있다. HRM 센서는 PPG를 이용하여 HR을 측정할 수 있다. HR 측정 모드에서, 전자장치는 안정된 HR 값들을 취득하기 전까지 추정된 HR 값을 출력으로 제공하며, 안정된 HR 값을 취득하게 되었을 때 해당 값을 출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두번째로 플렉서블 전자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지문센서에 대하여 살펴본다.
지문인식 센서는 지문 크기의 실리콘 칩을 사용하여 칩에 접촉되는 지문을 인식하는 반도체 방식의 센서(capacitive array sensor; 예를들면 Authentec 센서), 광원으로부터 프리즘에 입사된 빛의 전반사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광학 방식 센서(optical array sensor), 지문이 센서에 접촉될 경우 손가락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차이에 따른 변화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열방식 센서(thermal array sensor), 센서에 접촉된 손가락 접촉 부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CCD/CMOS 센서, 접촉 표면에 놓인 손가락에 초음파를 투사하여 반사되는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등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지문 인식 방법은 손가락이 전극에 접촉되어야 하거나, FPCB 형태로 모듈이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지문 인식 센서들은 부피가 커서 소형 전자장치에 사용하기에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센서 상에 사용자가 터치하기 용이한 위치에 지문 인식 센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널(touch panel)은 LCD 또는 OLED 등의 디스플레이와 조합시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핑거 또는 펜 터치(또는 호버링) 입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패널에 지문인식 센서를 장착하여 보안 기능을 강화할 수도 있다. 지문 인식센서를 터치패널 내에 구성하는 경우,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내용을 가리지 않기 위해 투과율이 높은 ITO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문인식을 위한 전극의 폭은 기존 터치패널을 위한 전극의 폭보다 상당히 작고, 지문의 골과 산의 간격보다 작아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터치패널의 경우보다 전극 저항이 수십배 이상 커지게 되며, 이로인해 RC-delay, 수신감도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 내에 ITO를 이용한 지문인식이 가능한 센서를 배치하고자 할 경우 터치스크린 위에 놓여져야 하므로 화면의 투과도가 저하되며, ITO 지문인식 센서와 터치스크린이 겹쳐질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의 감지 동작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과 디스플레이를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전자장치에서 일반 터치(또는 호버링) 입력과 지문 입력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사이의 블랙 매트릭스 라인 영역에 금속 와이어를 증착하여 터치 패널의 전극을 형성하므로써, 픽셀을 가리지 않으면서 해상도가 높은 터치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센서의 전극 구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b는 스크린 센서의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a -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지문 감지 방법은 스와이프 타입(swipe type) 또는 고정영역 타입(area type)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와이프 타입은 화면 내의 정해진 위치를 손가락으로 드래그하는 방법으로써, 1차원 또는 선형으로 배치된 터치센서 전극에서 드래그되는 손가락(즉, 지문)을 순차적으로 인식한 뒤, 후 처리를 통해 2차원의 지문 이미지로 합성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영역 타입은 2차원으로 배치된 터치센서에 손가락을 대고 있는 동안 2차원 지문 이미지를 얻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센서는 전극이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예를들면 터치센서) 150 및 디스플레이 16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 센서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센서는 화소 셀 어레이와 컬러필터 어레이 사이에 터치센서 어레이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소 셀 어레이는 LCD 셀 또는 OLED, LED 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a는 상기 화소 셀 어레이가 LCD 셀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하는 도면이 될 수 있다.
도 10a는 2차원으로 배치되는 터치센서의 전극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내의 센서 전극 1031 및 1035는 LCD 셀 1041과 컬러 필터 글래스 1015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LCD 셀 1041은 LCD 의 TFT 글래스(glass)1043과 컬러 필터 글래스(Color filter glass) 1015 사이에 액정이 위치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터치센서의 전극은 상기 LCD 셀 1041 위에, 그리고 컬러 필터 글래스 1015의 아래 면에 금속 전극을 증착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컬러필터 1021은 R,G,B 필터들이 될 수 있으며, 컬러필터 1021은 블랙 매트릭스(BM) 1017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1017은 R,G,B 컬러필터 1021들 사이에 갭(gap)을 만들고, 그 갭에 흑색 물질을 넣은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 1017은 스크린 센서의 외광 반사를 흡수하고, 컬러 간의 색의 간섭을 제거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터치센서의 전극 1031 및 1035는 상기 컬러필터 1021과 LCD 셀 1037 사이에 배치하며, 배치 위치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 1017의 하단에 동일한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의 폭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 1017의 폭보다 이하(약간 작은 폭을 갖도록)로 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볼때 센서 전극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10a에서 LCD 셀 1041은 화소 전극, 이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 라인들과 액정 (liquid crystal)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 어레이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전극 1031 및 제2전극 1035, 그리고 제1전극 및 제2전극들을 절연하는 제1절연층 1033 및 제2전극 1035와 LCD 셀 1041을 절연하는 제2절연측 1037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는 화소 어레이에 의해 화소들을 표현하기 위한 컬러필터들 1021 및 컬러 필터들 사이에 갭을 형성하여 화소들을 표시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들 1017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의 전극 1031 및 1035는 2차원의 전극 구조로 만들기 위해 2개 층의 금속 전극 1031 및 1035로 만들어지며, 전극 1031 및 1035 사이의 절연을 위해 두 개층의 절연층 1033 및 1037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층(insulation layer 1) 1033은 제1전극(electrodes 1) 1031과 제2전극 (electrodes 2)1035 사이를 절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2절연층(insulation layer 2)1037은 제2전극 1035와 LCD 셀(cell) 1041사이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 1031 및 제2전극 1035의 두개의 전극 층 사이에 놓인 제1절연층 1033에 홀(via hole)을 형성하여 전극의 구성에 따라 필요한 부분에서 두 전극 층을 연결시켜줄 수 있다.
도 10b은 상기 터치스크린 센서에 배치되는 터치센서의 전극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될 수 있다.
도 10b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160의 일부 화면 1050을 확대하면 1060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면 1060에서 참조번호 1065는 컬러필터 1021이 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 라인 1061 및 1063은 상기 컬러필터 1021 사이에 만들어지는 갭으로써 검은 물질로 채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 라인 1061은 열 방향(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블랙 매트릭스 라인이 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 라인 1063은 행 방향(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매트릭스 라인이 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의 전극은 참조번호 1070과 같이 블랙매트릭스 라인의 배열과 일치되는 배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매트릭스 라인 1061의 하부에 전극 1071이 위치되도록 하고, 블랙 매트릭스 라인 1063의 하부에 전극 1073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센서의 전극 1071 및 1073이 폭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 라인 1061 및 1063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센서장치에서, 컬러필터 어레이는 화면의 전체영역에 배치되는 컬러필터 1021들과, 상기 컬러필터 1021들의 열 및 행 사이에 갭으로 형성되어 열 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 라인과 행 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센서 어레이는 상기 컬러필터 1021의 하단에 행 및 열 블랙 매트릭스의 배열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전극 1031 및 1035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열 방향을 제1방향, 행 방향을 제2방향으로 가정하면, 제1 블랙매트릭스 라인 1061의 하단에 제1전극 1031이 배치되고, 제2블랙매트릭스 라인 1063 하단에 제2전극 1035가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 1031 및 제2전극 1035는 상기 블랙매트릭스 라인 1061 및 1063의 폭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 1031 및 제2전극 1035는 상기 도 10b의 10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2차원으로 구성하고, 제1전극 1031과 제2전극 1035 사이에 제1절연층 1033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전극 1035과 LCD 셀 1037 사이에 제2절연층 1037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 1031 및 제2전극 1037은 금속 와이어 증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컬러필터 1021을 가리지 않는 크기로 블랙 매트릭스 1017과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1a - 도 11c는 터치스크린 센서에서 지문 인식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경우, 터치센서의 전극들은 도 10b의 참조번호 10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 grid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지문인식을 하는 경우, 상기 터치센서는 지문의 골(valley)과 산(ridge 의 크기 및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전극들을 배치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의 접촉면적(예를들면 10mm x 10mm) 안에 수백 개의 전극이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센서는 화면의 화소 수가 증가함에 따라 화소 사이의 간격 또는 블랙 매트릭스 위에 형성된 전극 사이의 간격이 수십 um 이하가 되어 지문인식에 충분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지문 인식을 위한 터치센서의 전극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극들을 프로세서(예를들면 터치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sensor controller)100에 연결하기 위한 배선의 개수 또한 증가하여 배선 배치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지문 인식 위치는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11c와 같이 터치센서의 전체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1a를 참조하면, 지문 인식을 하는 경우 터치센서는 지문의 산 및 골(fingerprint ridges and valleys)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전극을 배치하여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문의 인식하기 위한 영역 1100을 고정시키고, 고정영역 1100 위치에서만 지문인식에 필요한 밀도로 전극을 배치함으로써 지문인식에 필요한 전극 및 전극 배선의 숫자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지문인식의 터치센서의 전극들은 화면 전체에 화소 밀도(pixel density, resolution)와 같이 배치할 수 있으며, 또는 고정 영역에서만 화소의 밀도와 같이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도 11a에서 참조번호 1100 영역은 지문인식을 위한 고정영역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영역 1100은 터치센서의 전극이 화소의 밀도와 동일하게 배치되는 영역이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160에서 지문인식이 가능한 위치의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1111은 영역 1100의 터치여부를 스캔하기 위한 신호를 드라이브하기 위한 드라이브 라인(drive line)(또는 드라이브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라인(sensing line))이 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 1121은 상기 1100의 터치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라인(또는 드라이브 라인)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브 라인은 드라이브 채널(drive channel) 또는 스캔포트(scan port)로 불리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 라인은 센싱 채널(sensing channel) 또는 센싱 포트(sensing port)로 불리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영역 1100 이외의 영역은 상기 1100영역과 터치센서의 전극의 밀도는 같지만 배선(routing)단계에서 여러 개의 전극을 묶어주는 형태로 프로세서(또는 센서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1a에서 상기 영역 1100 이외의 영역은 손가락 및/또는 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영역으로, 드라이브 라인(또는 센싱 라인) 1113 및 센싱 라인(또는 드라이브 라인) 1123은 모두 사용하지 않고 일정 전극 수 단위로 건너 뛰면서 드라이브 라인 및 센싱 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프로세서 100은 전극 라인 1113들을 드라이브 라인으로 사용할 때 M개의 제1전극수 단위를 인터레이싱하면서(즉, 사용하지 않는 라인들을 건너뛰면서) N개의 전극 라인들에 드라이브신호를 인가하고, 전극라인 1123을 센싱 라인으로 사용할 때 센싱 라인으로 사용하지 않는 Y개의 제2전극 라인들을 단위를 인터레이싱하면서(즉, 드라이브신호를 감지하지 않으면서) 센싱 라인으로 사용하는 X개의 제2전극 라인들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a와 같이 형태로 지문 인식을 위한 영역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영역 1100에 위치된 전극들은 각각의 전극 라인이 개별 채널로 동작하도록 하여 지문인식을 하도록 하며, 나머지 영역의 전극들은 설정된 전극 라인들 단위로 건너뛰면서 손가락 및/또는 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드라이브 라인 및 센싱 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 지문인식은 잠금화면을 풀기 위한 인증, 지불 결제 등의 보안 인증 등을 위한 단계 등에서만 이루어지고, 손가락 및/또는 펜 터치와 같이 연속적인 사용이 아니고, 한정된 시간과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문 인식 영역은 도 11a와 같이 UI를 고려하여 자연스러운 위치에 한정되어 화면 위에 지정할 수 있다.
도 11b는 지문 인식 영역 1100이 고정된 터치센서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1b를 참조하면, 터치센서의 특정 영역을 지문인식 영역1100으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된 지문인식 영역 1100은 상기 도 11a와 같은 방법으로 터치센서의 전극이 화소의 밀도와 동일하게 배치되는 곳으로 화면 위에서 지문인식이 가능한 위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1131은 영역 1100의 터치여부를 스캔하기 위한 드라이브 라인(또는 센싱 라인)이 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 1141은 상기 1100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라인(또는 드라이브 라인)들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라인 및 센싱 라인의 수는 영역 1100에 존재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역 1100 이외의 영역은 손가락 및/또는 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영역으로 상기 1100 영역과 터치센서의 전극의 밀도와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센서의 전극을 구성할 때, 손가락 및/또는 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크기 및 간격으로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배치하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전극을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영역 1151 및 1155는 터치센서의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이며, 1153 영역 및 1157 영역은 터치센서의 전극을 설치하지 않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즉, 지문인식 영역 1100을 제외한 터치센서의 영역에서 영역 1153(예를들면 M개의 전극수 간격) 및 영역 1157(예를들면 Y개의 전극수 간격)은 구간 단위로 인터레이싱하면서 영역 1151(예를들면 N개의 전극수 간격) 및 영역 1155(예를들면 X개의 전극수 간격)구간에 제1 및 제2전극을 배치하며, 상기 제어부 100은 1151 및 1155 영역을 스캔하기 위하여 드라이브신호를 인가하고, 드라이브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151 영역 및 1155 영역의 라인들을 통해 드라이브 및 감지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제어부 100은 전체의 라인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라인들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1151 영역 - 1157 영역에 배치되는 전극들의 수는 상기 N≠M≠X≠Y, N=X or M=Y, N=M=X=Y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1c는 터치센서의 전체 영역을 지문인식 및 손가락 및/또는 펜 터치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극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c를 참조하면, 터치센서의 전체영역에 배치되는 전극들은 화소의 밀도와 동일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00은 상기 터치센서의 전체영역에 배치된 모든 전극들의 드라이브 및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도 11a와 달리 지문인식의 위치를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체 화면 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지문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11c의 경우, 상기 도 11a와 같이 화면 내의 지문인식을 위한 센서 전극의 배치는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가 터치센서의 전체영역을 드라이브 및 감지할 수 있도록 배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영역(예를들면 1172, 1174, 1176 등)에서도 지문인식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지문인식은 전자장치를 초기 기동하는 경우, 또는 보안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문인식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들면 pay application,)과 지문 인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문 인식 시점에서는 터치센서의 모든 전극들을 드라이브 및 감지하여 지문을 인식하고, 지문 인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상기 도 11a 및 도 11b의 드라이브 및 감지 동작과 같이 큰 스케일의 물체 (손가락 및/또는 펜)의 접촉을 인식하는 위치에서는 여러 개의 전극선을 함께 묶어 드라이브 및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1a -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서의 전극들은 화소의 밀도와 동일하게 또는 일부 영역을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지문을 인식하는 방법은 고정 또는 가변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2a는 화면 내의 지문 인식 영역 1200의 전극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지문 인식 영역 1200은 지문인식 및 손가락/펜 터치를 모두 인식할 수 있어야 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영역 1200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터치센서는 지문 인식 영역 120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손가락/펜터치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센서는 1211과 같이 전극으로 사용하지 않는 영역, 1213과 같이 세로전극(예를들면 제2전극) 영역, 1215와 같은 가로전극(예를들면 제1전극), 1221과 같이 지문인식에만 전용으로 사용하는 전극, 1223과 같은 지문 및 손가락/펜 겸용 세로전극, 1225와 같은 지문 및 손가락/펜 전용 가로전극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영역의 센서 전극은 그 기능에 따라 7개의 영역으로 구분해서 구성할 수 있다. 1211 영역은 화소의 블랙 매트릭스 부분에 전극을 설치하지 않아 빈 공간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1213 및 1215 영역은 지문 인식 영역 밖에 있는 전극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1213 영역은 화소의 BM을 따라 형성된 각각의 전극들을 하나로 묶어 한 개의 전극처럼 동작하도록 하는 부분으로, 손가락/펜 터치를 인식하는 센서 전극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215 영역은 상기 1213 영역 같은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가로 방향의 전극이 될 수 있다.
그리고 1221 영역은 지문인식 전용 영역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 전극이 형성된 부분으로 각 전극 라인이 개별로 구분되어 구동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1223 영역은 지문 인식 영역 1200 내에서 지문인식이 끝나고 손가락과 같은 큰 물체를 인식하도록 동작이 전환될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때 지문인식이 진행될 때에는 1221영역과 같이 각 전극 라인이 개별로 동작하도록 하고, 손가락을 인식할 때에는 각 라인이 하나로 합쳐져서 한 개의 전극처럼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지문 인식 또는 손가락 인식으로 동작이 전환할 때에는 프로세서(또는 센서제어부) 내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1225 영역은 상기 1223 영역 같은 기능을 하는 영역으로, 상기 1223 영역은 세로방향 전극, 1225 영역은 가로방향 전극이 될 수 있다.
이때 센서전극이 설치되지 않은 세로방향으로 지문인식 영역의 가로방향 전극의 배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문인식영역에서 지문 인식 전용 전극들의 배선 방법은 가로 방향으로 배선을 뽑은 뒤 세로 방향(즉, 세로 전극이 설치되지 않은 영역)으로 바꿔 화면 밖으로 배선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12a와 같이 전극이 배치되는 경우, 전극과 프로세서 간의 배선이 길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터치센서의 전체영역에서 손가락/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채널 수(즉, 센서 전극의 수)가 86*54라고 가정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터치센서의 손가락/펜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140개의 채널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문인식을 위한 영역이 10.7mm * 10.7mm라고 가정하고, 지문 인식의 채널 수(즉, 가로 및 세로 전극의 수)가 160*160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지문인식영역에서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총 320개의 채널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지문 인식 영역에 배치되는 전극들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채널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프로세서 100와 입력부 150인 터치센서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배선이 복잡해질 수 있다. 지문인식 영역은 프로세서 100 또는 프로세서 100과 터치센서를 인터페이스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와 근접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위한 전극들과 인터페이스부 간의 배선 길이는 짧은 것이 좋다.
도 12b는 지문 인식 영역 1200과 인터페이스 회로 간의 배선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b는 지문 인식영역 1200이 디스플레이 160의 중앙 또는 측면(예를들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위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지문 인식영역 1200에서 세로전극이 배치되는 영역 1261은 지문 및 손가락/펜 터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전극이므로, 1261 영역의 세로 전극 배선은 1253 영역으로 배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지문 인식 영역 1200에서 지문인식 전용으로 사용되는 세로 전극의 배선은 가로 방향에서 전극으로 사용되지 않는 1273 영역으로 연장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선할 수 있다. 이는 세로전극의 배선을 짧게 하기 위함이다. 즉, 가로방향에서 1271과 같이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은 손가락/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극이 배치된 영역이다. 그러나 1273과 같은 가로 영역은 손가락/펜 터치시에 사용되지 않는 영역이므로 가로 전극을 배치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또한 1265와 같은 세로 영역은 손가락/펜 터치 시에 사용되지 않는 영역이므로 세로 전극을 배치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따라서 지문 인식 영역 1200에서 지문 인식 전용으로 사용되는 세로전극을 전극이 배치되지 않은 세로 영역 1265와 가로 영역 1273을 이용하여 배선하여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12b와 같은 구조의 지문 인식 센서는 디스플레이 160의 중앙 또는 측면에 배치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지문인식 센서는 세로 방향 160채널, 가로 방향 160 채널을 가지는 area type 센서가 될 수 있다. 이때 지문인식 센서 전극 전용의 배선 배치 영역에서 전극 배선을 하는 경우, 지문 인식 센서 영역에서 세로방향의 160 개 전극들은 가로 방향(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에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문 인식 센서에서 가로 방향의 160개의 전극은 1263과 같이 가로 방향(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에서 배선이 연결되는 부분과 1261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선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나뉘며, 두 방향으로 배선이 분산됨으로써 배선으로 차지하는 면적부분을 나눌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문인식 센서의 동작을 위해서 송신부 (Tx) 또는 수신부 (Rx) 로 기능적인 구분을 할 수 있으며, 도 12b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송신부(Tx)가 연결되고 가로 방향으로 수신부(Rx)가 연결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2b의 Tx 및 Rx 의 구분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반대로 연결할 수도 있다. 지문인식 센서는 지문에 스케일에 맞도록 미세 선폭의 전극을 가지므로, 전극 연결에 의한 저항이 배선 연결 형태에 따라 차이가 나고, 채널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2b와 같이 지문인식 센서의 전극 배선을 짧게 하면 저항 변화의 폭도 줄일 수 있다.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구성되는 지문 인식 센서의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c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지문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지문 인식 영역의 전극 배치는 블랙 매트릭스의 배치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해상도가 높으면 배치되는 전극의 수들도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지문 인식을 터치 전극들의 배선을 짧게 하기 위하여 도 12b와 같이 지문 센서의 드라이브 채널 및 센싱 채널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문 인식 영역 1200을 터치스크린에 배치할 때, 참조번호 1291 또는 1293과 같이 디스플레이 160의 중앙 또는 중앙에서 측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가 손목의 중앙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예를들면 도 8의 850), 지문 인식 영역 1200은 도 12c의 참조번호 1295와 같이 착용시 손목의 중앙 또는 중앙의 측면 위치가 될 수 있는 영역에 지문 인식 영역 1200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전극 배선을 간단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도 12c의 참조번호 1297과 같이 체결부에 근접한 위치에 지문 인식 영역 1200을 배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센서에서 터치센서의 전극들을 블랙 매트릭스의 하단 영역에 설치하면,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화면의 투과도를 해치지 않고 터치센서를 구성할 수 있으며, ITO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터치스크린에 투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LCD의 경우 컬러 필터 글래스 밑의 금속 와이어(예를들면 Cu wire)를 전극으로 사용함으로써 FPCB type 지문인식 센서에 비해 전극 저항의 감소가 크지 않다. 또한 화면의 특정영역을 지문 인식 센서 영역으로 사용하거나, 화면 내의 임의의 영역을 지문인식이 가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지문인식 센서 동작을 위한 구동회로를 동적인 채널 전환을 이용하여 화면 전 채널에 적용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로인해 터치스크린의 터치 센서는 지문인식, 손가락 터치, 펜 터치 및 호버링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복합 패널로 구현할 수 있다.
세번째로 상기 입력부 150을 터치 센서로 구성할 때, 터치 센서는 터치 압력을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착용이 가능한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착용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미착용 상태로 착용 상태로 전환할 때,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구부려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터치하고 압력을 가하여 전자장치를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는 일정 세기 이상의 압력이 인식되면 착용하기 위한 의도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장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독립적인 압력 센서(예를들면 piezo sensor)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압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및/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는 터치 센서에 인가되는 압력(또는 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터치 센서의 표면 상의 접촉의 면적(또는 그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압력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터치 면적이 크기는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는 터치 면적(또는 변화율)에 따라 인가되는 압력을 근사화하여 추정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터치 센서의 하단 위치에 빛을 조사하고, 터치 압력에 따라 변화되는 광량을 분석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의 하단 위치에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필름(투명 압력 감지 레이어)을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터치 센서와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센서에서 터치되는 입력의 위치 및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된 위치를 인식하고, 압력 센서를 통해 압력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다.
압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센서의 구성은 복수의 전극 레이어들(예를들면 도 10a에서 제1 전극 레이어(electrodes 1 및 제2 전극 레이어 electrodes 2) 및 제1 전극 레이어 및 제2전극 레이어 센서들 사이에 위치되는 투명 압력감지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 레이어들은 투명 도전성 트레이스들로 패터닝(patterning)된 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도전성 트레이스들은 다른 회로에 전기적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탭들을 각각 가질 수 있다(예를들면 도 12a의 드라이브 채널들 및 센싱 채널들). 도전성 전극들은 터치스크린 센서의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배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터치센서의 압력 센서의 제1 전극 레이어는 투명 압력감지 레이어의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전성 트레이스들은 제1 방향(예를들면 X 축과 정렬 및/또는 평행)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2 전극 레이어는 투명 압력감지 레이어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전성 트레이스들은 제2 방향(예를들면 Y 축과 정렬 및/또는 평행)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전극 레이어 및 제2 전극 레이어들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은 서로 직교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트레이스들의 직교 배향으로 인해, 전극 레이어들은 도전성 트레이스들이 z축을 따라 오버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위치에서 제1 전극 레이어의 도전성 트레이스들로부터 투명 압력 감지 레이어를 통해 제2 전극 레이어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에 이르는 복수의 가능한 전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 레이어들은 투명 압력 감지 레이어를 통하는 잠재적 전도 경로들의 m x n 어레이(또는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제1 전극 레이어(또는 제2 전극 레이어)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의 열(column)(또는 행(row)들의 수이고, n은 제2 전극 레이어(또는 제1 전극 레이어) 도전성 트레이스들의 행(또는 열)들의 수가 될 수 있다.
투명 압력감지 레이어는 투명한 도전성 미립자들이 균일하게 분산된 탄성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압력 감지 레이어는 투명 단성 중합체 매트릭스(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러버 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재료 내에 투명한 도전성 미립자(예를들면 인듐 주석 산화물, 주석 산화물 등)들이 분산될 수 있다. 터치센서에 압력(또는 힘)이 가해질 때(예를들면 Z축 방향) 투명 압력감지 레이어는 압축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투명 압력 감지 레이어 내에 분산된 미립자들 사이의 평균 거리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미립자들에 의해 형성되는 전도 경로의 밀도가 증가(percolation)되어 투명 압력 감지 레이어의 컨덕턴스가 증가(저항의 감소)될 수 있다.
투명 압력 감지 레이어는 전극 레이어들 사이의 각 전도 경로와 전기적으로 직렬인 가변 저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투명 압력 감지 레이어는 각 전도 경로에 대한 저항의 양은 각각의 전도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즉, z축을 따른 전도 경로 위의 위치)에서 터치 센서에 인가되는 압력(또는 힘)의 크기와 직접 관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전도 경로의 각각의 전도 경로, 즉 m x n 어레이의 각 위치에 대해 저항(또는 그의 변화)을 측정 또는 결정하여, (예를 들어, z축을 따라 위에 놓인) 각각의 전도 경로에 대응하는 터치 센서의 표면에 인가된 압력(또는 힘)을 감지할 수 있다. 각 전도 경로에 대한 저항(또는 그 변화)에 기초하여, 각 전도 경로에 대한 압력(또는 힘) 메트릭이 얻어질 수 있으며, 이런 압력(또는 힘) 메트릭은 각각의 전도 경로 위에 놓인 터치 센서에 인가되는 압력(또는 힘)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장치는 예를들면, 제1 전극 레이어의 도전성 트레이스에 기준 전압(또는 전류)을 인가하고, 제2 레이어의 각 도전성 트레이스들에서 전압(또는 전류)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각 전도 경로(예로서, m x n 어레이의 각각의 위치)를 스캐닝할 수 있다. 제2 전극 레이어의 각 도전성 트레이스에 대한 측정 전압(또는 전류)은 제1 전극 레이어의 도전성 트레이스들과 제2 전극 레이어의 각 도전성 트레이스들 사이의 투명 압력 감지 레이어의 저항(즉, 터치센서에서 터치되는 압력의 세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전압(또는 전류)이 제1 전극 레이어의 도전성 트레이스들과 제2 레이어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의 오버랩에 의해 z축을 따라 인가되는 압력(또는 힘)과 관련된 전압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센서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 입력의 압력 값(예를들면 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압력 값에 따라 단순 터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압력 값의 크기에 따라 다른 기능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압력 센서 기능을 포함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는 입력되는 터치 정도(눌러지는 세기)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전자장치는 터치 입력에 따른 측정 전압이 임계전압 Th1 이하이면 2차원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된 터치입력을 처리할 수 있으며, 측정 전압이 임계전압 Th1 이상 Th2 이하의 값을 가지면 측정된 압력 값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센서 상에 하나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전자장치는 해당 압력에 대한 측정 전압(z 값)들을 구하고, 압력이 발생된 이차원(x, y) 위치 정보를 매핑시켜, 각 압력 신호들에 대한 각각의 위치 및 압력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압력신호가 감지되는 위치가 변하는 경우(예를들면 사용자가 터치 센서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동하는 경우), 전자장치는 압력이 감지되는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이동 방향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입력 제스처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신호들에 대한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조정 및/또는 조작하는 신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조정 및/또는 조작의 크기는 감지되는 압력 값이 이동 크기 및/또는 방향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네 번째로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착용 및 미착용 상태에서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결제어플리케이션(payment application, wallet application) 및/또는 결제매니저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어플리케이션은 결제어플리케이션(예: 삼성 페이 어플리케이션 (Samsung PayTM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어플리케이션은 결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UI(user interface) 또는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월렛 사용자 인터페이스(wallet UI/UX)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결제어플리케이션은, 카드등록(card registration), 지불(payment), 또는 거래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어플리케이션은, 예를들면, 문자판독기(예: OCR(optical character reader/recognition)) 또는 외부 입력(예: 사용자입력)을 통한 카드 등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신원확인(ID&V,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을 통한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어플리케이션은, 결제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결제어플리케이션은 Simple Pay, Quick Pay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사용자에게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결제 기능과 연관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매니저는 카드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결제매니저는 카드사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에 포함된 결제어플리케이션과 결제서버에 포함된 결제서비스서버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결제어플리케이션은 결제서버로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에 포함된 결제매니저와 결제서버에 포함된 토큰요구자서버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결제매니저는 토큰요구자서버로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결제 기능을 동작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카드(예: 마스터카드 또는 비자 등의 신용카드)를 전자장치 또는 결제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결제서버는 전자장치를 통해서 등록된 카드 외에도, 전자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장치를 통해서 등록된 카드 또는 다른 사용자의 전자장치를 통해서 등록된 다른 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등록된 카드 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근거리통신(예: 블루투스 또는WiFi)에 기반하여 기능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장치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전자장치는 액세서리(예: LoopPayTM사의fob형태장치)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전자장치는 그 입출력 인터페이스(예: 이어폰)를 통하여 액세서리(예: LoopPayTM사의 fob 형태 장치)과 기능적으로 연결 될 수 있다.
도 1의 구성에서, 카메라부 140은 결제에 필요한 카드를 촬영하여 카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부 140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능을 통해 카드에 표기되어 있는 카드정보(예: 카드회사, 카드넘버, 카드유효날짜, 또는카드 소유주 등)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장치 (예: 터치패널 및 펜센서의 입력부 150, 키, 초음파 입력장치, 또는 마이크 입력장치 등)을 이용하여 필요한 카드 정보를 전자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센서부 130의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는 결제시 전자장치의 위치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의 위치 정보는 프로세서 100에 전달되고, 프로세서 100은 획득된 전자장치의 위치 상태에 기반하여 통신부 120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모듈에서 POS 단말(point of sale terminal)로 송출되는 자기장의 세기(전류세기)를 조절하거나, 코일 안테나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되는 코일 안테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MST 모듈은 데이터수신모듈 및 출력변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수신모듈은 프로세서 100(예를들면 보안모듈(예: eSE))이 전송하는 결제정보를 포함한 logical low/high 형태의 펄스 시그널(pulse signal)을 전달받을 수 있다. 데이터수신모듈이 수신한 데이터는 토큰과 결제인증(verification) 데이터를 삽입한 형태일 수 있다. 출력변환모듈은 데이터수신모듈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MST 모듈로 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형태로 변환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결제정보 메모리 110 또는 별도의 보안모듈(예: eSE)에 필요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루프 안테나 중 MST 안테나의 대략적인 위치를 디스플레이 160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이 잘되는 위치를 가이드해 줄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미착용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제스쳐(예를들면, 전자 장치의 하단 베젤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스윕) 입력을 통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예: Samsung pay: 삼성에서 제조되는 전자장치에 신용 카드 기능을 탑재시켜 신용카드 없이 NFC 모듈 또는 MST 모듈을 통해 결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기 위하여 전자장치를 구부리면, 프로세서 100은 이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160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센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착용 상태로 천이되면, 프로세서 100은 체결 센서를 통해 전자장치의 착용을 감지하고, 지문 센서 영역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지문 입력이 설정된 사용자로 인증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디스플레이 160을 통해 전자 장치에 기 등록된 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10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기 등록된 복수의 카드 중 결제에 사용할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장치는 좌/우 스크롤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복수의 카드 중 결제에 사용할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선택된 카드의 결제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인증을 재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재인증 요청시 전자 장치는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자장치는,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플랙서블 터치 스크린과, 장치의 벤딩 및 체결을 인식하는 센서와, 디스플레이 및 센서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될 때 전자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착용 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및/또는 UI를 연속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패널에서 멀티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벤딩을 감지하는 센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벤딩을 감지하는 센서에서 벤딩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패널에서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되는 멀티 터치 위치의 압력 세기를 분석하며, 압력 세기가 설정 세기 이상이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생체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패널에서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생체센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센서는 심박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벤딩을 감지하는 센서는 압력센서 및 생체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패널에서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압력센서에 설정 세기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생체센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상기 서브 표시영역 보다 밝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의 동작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를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수행될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잠금 상태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벤딩이 인식되면 잠금 해제 입력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입력되는 잠금 해제 정보에 의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잠금 해제 정보는 지문 인식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지문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생체 측정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며, 상기 착용이 감지되면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센서는 HRM(heart rate monitor)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착용 상태에서 상기 HRM 센서의 압박이 인식되면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결제 동작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보안 입력창을 표시하고, 착용이 인식되면 보안 입력에 따라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 상태에서 설정된 멀티 위치의 터치 압력이 인식되면 보안 입력 창을 표시하고, 보안 입력이 인식되면 보안 인증을 수행하고 결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통화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벤딩이 인식되면 스피커 폰을 온시키며, 착용이 인식되면 착용 상태의 스피커폰 통화 동작을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 상태의 스피커 폰 통화에서 멀티 터치 및 탭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면 탭 위치에 따라 통화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문자 입력 동작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설정하고 착용 상태에서 음성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알람 경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착용 가능한 플렉서블 전자장치가 될 수 있으며, 미착용/착용 상태의 전환 시점에서 전자장치의 형태가 변화될 때 전자장치의 동작을 판단하여 변환 후의 동작 기능/UI들을 미리 활성화시키고, 상태 미착용/착용 상태의 전환이 완료되면 활성화된 기능/UI를 이용하여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상태 전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1311 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는 도 7의 710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전자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미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가 벤딩되면, 전자장치는 1313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고, 1315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동작 모드를 분석하고, 착용 후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킨다. 이후 전자장치는 1317 단계에서 도 7의 730과 같이 전자장치의 착용을 인식하면, 1319 단계에서 착용 상태의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4a - 도 1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a - 도 14c를 참조하면, 전자장치의 벤딩은 다양한 방법으로 인식할 수 있다.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를 착용 상태로 전환할 때,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도 2의 220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상하로 터치하고 압력을 가하여 전자장치를 벤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벤딩된 전자장치를 손목에 위치시키고 체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벤딩 동작을 수행하면,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멀티 터치 입력(예를들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체결부의 상하 터치 입력)들을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부림 동작에 의한 압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가 사용자의 손목에 위치될 생체를 인식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는 입력부 150을 통해 사용자의 멀티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입력부 150의 터치패널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압력 센서 또는 센서부 130에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압력 센서에 의해 전자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센서부 130에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벤딩센서(예를들면 전자장치의 베젤 영역에 설치되여 장치의 구부러짐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에 의해 전자장치의 구부러짐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센서부 130에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생체센서(예를들면 HRM 센서)에 의해 전자장치가 손목에 위치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1411 단계에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1413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벤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압력 센서, 벤딩 센서 및/또는 생체 센서들이 될 수 있다. 벤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전자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면, 전자장치는 1415 단계에서 벤딩을 감지하고, 1417 단계에서 전자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1431 단계에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1433 단계에서 사용자의 생체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생체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면, 전자장치는 1435 단계에서 전자장치가 사용자의 생체 접촉되었음을 감지하고, 1437 단계에서 전자장치가 벤딩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1451 단계에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1453 단계에서 압력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1455 단계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전자장치는 1457 단계에서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후 1459 단계에서 전자장치가 사용자의 생체가 감지되면, 전자장치는 1461 단계에서 전자장치가 벤딩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착용 상태에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터치되면 압력센서, 벤딩센서 및/또는 생체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전자장치가 벤딩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동작 없이 압력센서, 벤딩센서 및/또는 생체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전자장치가 벤딩되었음을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미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가 잠금 상태인 경우,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장치는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예를들면 장치를 벤딩하기 위해 터치될 수 있는 특정 위치의 터치 센서)는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하게 되는 특정 위치에 버튼을 설치하고,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잡을 때 버튼이 눌려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a - 도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전자장치가 벤딩을 인식할 때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210과 같이 미착용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과 도 2의 230과 같이 착용 상태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160의 화면 표시 영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미착용 상태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착용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예를들면, 잠금 상태에서 벤딩되는 경우, 전자장치는 벤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160에 잠금 해제 창을 표시하고 착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생체 측정 모드에서 벤딩되는 경우, 전자장치는 벤딩 상태에서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착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벤딩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1511 단계에서 착용 상태에서 표시될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메인 표시 영역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160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1513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을 온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160에 정보를 표시할 때, 메인 표시영역의 정보는 서브 표시영역의 정보보다 상대적으로 밝게 표시하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벤딩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1531 단계에서 착용 상태에서 표시될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1533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1535 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에서 수행되는 동작이 착용 상태에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해당하는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6a - 도 1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가 벤딩 상태에서 설정하는 표시 영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 - 도 16c를 참조하면, 도 16a의 참조번호 1610은 체결부 1640가 손목의 외측 방향(손등 방향)에 위치되도록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도 16a의 참조번호 1615와 같이 손목 내측 방향(손등의 반대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화면을 볼 수 있다. 도 16b의 참조번호 1620은 체결부 1640가 손목의 내측 방향(손등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도록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도 16b의 참조번호 1625와 같이 손목 외측 방향(손등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상기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16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을 주로 볼 수 있으며, 체결부 1610에 가깝게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160의 영역들의 화면은 자주 보지 않을 수 있다.
전자장치는 벤딩이 인식되면, 도 16c와 같이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도 15a의 151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중앙 영역을 메인 표시영역 1650으로 설정하고 체결부 1643 및 1645 측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들은 서브 표시영역 1655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도 15a의 1513 단계에서 메인 표시영역 1650은 밝게 표시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키고, 서브 표시영역 1655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 1650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시되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체결부 1640이 손목 내측 또는 외측의 중앙에 위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 1640은 전자장치의 체결 장치 및 회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체결부 1640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상기 체결부 1640이 손날 방향의 손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손목 내측 및 외측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체결부 1640이 손날 방향의 손목에 위치되면,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160의 전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160에서 체결부 1643 또는 1645 중 어느 한 측의 체결부에 인접하는 영역을 메인 표시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는 상기 체결부 1640의 위치 및 사용자의 손목 방향(손목 내측 또는 손목 외측 방향)을 분석하고, 분석 방향에 따른 체결부 1643 또는 1645에 인접하는 영역을 메인 표시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면, 전자장치는 착용 상태에서 화면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들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의 동작을 분석한 후, 착용 상태에서 수행될 동작에 관련된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후 체결 센서에서 착용 감지신호를 발생하면, 전자장치는 도 13의 1317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착용을 인식하고, 1319 단계에서 착용 상태의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동작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는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착용 상태를 인식하면, 전자장치는 1711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상태는 전자장치의 체결부 위치를 분석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체결부는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 안쪽 또는 바깥쪽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체결부는 전자장치를 손목에 착용할 때 전자장치의 양 끝단을 체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체결부는 체결을 위한 구성(예를들면, 버클, 고리 및/또는 자석을 포함하는 접합부 등)과, 전자장치의 회로부(예를들면, 프로세서, 메모리, 카메라, 센서부 등)의 전부 또는 일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는 디스플레이 160이 위치되는 부분보다 더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상기 체결부를 손목의 손날(hand knife, Sonnal) 방향에 위치되도록 착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자장치의 체결부는 사용자 손목의 손날 방향에 위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를 분석한 후, 전자장치는 1713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영역은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의 위치가 손목 내측 또는 외측의 중앙 위치이면, 전자장치는 1713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도 16c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의 위치가 손날 방향의 손목이면,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착용된 전자장치를 보는 위치(손목의 내측 또는 외측)에 따라 디스플레이 160의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설정한 후, 전자장치는 1715 단계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의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잠금 상태에서 착용된 경우, 전자장치는 메인 표시영역에 잠금 해제창을 표시할 수 있으며, 잠금 해제 정보가 입력되면 전자장치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이후 설정되는 동작 모드의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측정 모드에서 착용된 경우, 전자장치는 생체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160의 메인 표시영역에 생체 측정에 관련된 UI들을 표시하고, 서브 표시영역에 생체 측정에 관련된 부가적인 UI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1717 단계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의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하며, 입력부 15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따. 이때 입력 정보는 터치(또는 호버링)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착용 상태에서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착용 상태를 해제하면, 전자장치는 1719 단계에서 체결센서의 해제를 인식하고 미착용 상태의 동작으로 전환하여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는 전자장치가 손목의 외측 방향으로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9b는 전자장치가 손목의 내측 방향으로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될 수 있다.
도 18 - 도 19b를 참조하면, 착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screen on)시키거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장치는 1811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착용 상태는 도 19a의 참조번호 1913 또는 도 19b의 참조번호 1953과 같이 체결부가 손날 방향의 손목에 위치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착용 상태는 센서부 130의 출력 또는 카메라부 140의 출력을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체결부의 근접한 위치에 카메라부 140을 장착하고, 카메라부 140의 출력에서 얼굴 인식 여부에 따라 손목의 내측 또는 외측 착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 130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손목의 내측 또는 외측 착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설정된 입력(예를들면 터치 입력)에 따라 손목의 내측 또는 외측 착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착용 상태가 손목의 외측 방향이면, 전자장치는 1813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815 단계에서 체결부에서 제1 방향으로 메인 표시영역 1930을 설정하고, 1817단계에서 메인 표시영역 1930에서 체결부까지를 서브 표시영역 1935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 상태가 손목의 내측 방향이면, 전자장치는 1813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831단계에서 체결부에서 제2 방향으로 메인 표시영역 1930을 설정하고, 1833 단계에서 메인 표시영역 1930에서 체결부까지를 서브 표시영역 1935로 설정할 수 있다.
1817 단계 또는 1833 단계를 수행한 후, 전자장치는 1819 단계에서 메인 표시영역 1930의 표시 밝기를 서브 표시영역 1935 보다 밝게 설정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1819 단계에서 입력부 150을 통해 발생되는 터치(또는 호버링) 인터렉션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전자장치는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정보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하면(예를들면 손목을 회전하면), 전자장치는 182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811 단계로 되돌아가 위오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설정하고,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설정된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동작은 착용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 상태가 해제되면, 전자장치는 1823 단계에서 착용 해제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 영역을 전체 영역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1913과 같이 전자장치가 착용되었으면, 전자장치는 1815 단계 및 1817 단계에서 도 19a의 참조번호 1915와 같이 체결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설정된 크기의 메인 표시영역 1930을 설정하고, 메인 표시영역 1930에서 체결부의 타단 까지를 서브 표시영역 1935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초기 상태에서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1917과 같이 메인 표시영역 1930 영역에 “A” 정보를 표시하고, 서브 표시영역 1935에 “B” 및 “C”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 1930 영역에서 상측 방향으로 터치 인터렉션(예를들면 upward swipe)을 발생하면, 전자장치는 1819 단계에서 표시정보를 스크롤하여 도 19a의 참조번호 1919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 1930에 “B”를 표시하고 서브 표시영역 1935에 “C”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1953과 같이 전자장치가 착용되었으면, 전자장치는 1831 단계 및 1833 단계에서 도 19b의 참조번호 1955와 같이 체결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설정된 크기의 메인 표시영역 1930을 설정하고, 메인 표시영역 1930에서 체결부의 타단 까지를 서브 표시영역 1935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1819 단계에서 메인 표시영역 1930의 표시 밝기를 서브 표시영역 1935 보다 밝게 설정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1819 단계에서 입력부 150을 통해 발생되는 터치(또는 호버링) 인터렉션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초기 상태에서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1917과 같이 메인 표시영역 1930 영역에 “A” 정보를 표시하고, 서브 표시영역 1935에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인 표시 영역 1930 영역에서 상측 방향으로 터치 인터렉션(예를들면 upward swipe)을 발생하면, 전자장치는 1819 단계에서 표시정보를 스크롤하여 도 19a의 참조번호 1919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 1930에 “B”를 표시하고 서브 표시영역 1935에 “A”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전자책(e-book)과 같은 텍스트 뷰 어플리케이션의 예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디스플레이이 160의 서브 표시영역에는 다른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메인 표시영역 1930에 표시되는 정보와 연관성이 있는 정보들을 서브 표시영역 1935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표시영역 1935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되면, 전자장치는 메인 표시영역 1930을 확장하여 선택된 서브 표시영역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1717 단계 및 도 18의 1819 단계에서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거나 실행 중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및 압력 인식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터치 입력 및 압력 인식 타입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자장치는 착용 및 미착용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인터렉션을 사용할 수 있다.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160에 동작 모드 전환이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소프트 버튼, 위젯 및/또는 인디케이터들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에 비해 표시영역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및 압력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입력은 멀티 터치 입력(예를들면 2 point touch)이 될 수 있으며, 멀티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터치 입력들의 압력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 터치 및 압력 여부를 분석한 후, 추가적인 터치 인터렉션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착용 상태에서 멀티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전자장치는 2011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013 단계에서 압력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입력부 150에서 멀티 터치를 감지하면 압력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멀티 터치 위치에서 설정된 세기 이상의 압력이 인식되는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멀티 터치 입력의 각 위치에서 설정된 세기 이상의 압력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015 단계에서 멀티 터치 및 멀티 압력을 감지(예를들면 2 point touch 및 2 point press)하고, 2017 단계에서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의 수에 설정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1의 참조번호 2110과 같이 착용된 전자장치에서 2 포인트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전자장치는 2011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013단계에서 압력 센서를 활성화한 후, 2015단계에서 2 포인트 터치 입력의 설정된 세기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2 포인트 터치 입력을 발생하면, 전자장치는 2015단계에서 참조번호 2120과 같이 터치 입력들의 위치 및 압력이 감지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장치는 2017 단계에서 추가적인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참조번호 2123과 같이 설정된 세기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 터치 입력들이 참조번호 2123과 같이 내측 방향으로 스와이프되면 이에 대응되는 기능(예를들면 move inside)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측 방향으로 스와이프되면 이에 대응되는 기능(예를들면 move outside)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015 단계에서 멀티 터치 입력 중 하나의 터치 입력에서만 설정된 세기 이상의 압력이 인식(예를들면 2 point touch 및 1 point press)되면, 전자장치는 압력이 인식되지 않은 포인트의 터치 인터렉션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인터렉션은 탭(tap) 또는 스와이프(swipe)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2021 단계에서 탭 터치가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023 단계에서 압력이 감지되는 터치 위치 및 탭이 인식되는 위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025 단계에서 스와이프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027 단계에서 압력이 감지되는 터치 위치 및 스와이프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탭 및 스와이프가 아닌 인터렉션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031 단계에서 해당하는 터치 인터렉션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1의 참조번호 2110과 같이 착용된 전자장치에서 2 포인트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전자장치는 2011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013단계에서 압력 센서를 활성화한 후, 2015단계에서 2 포인트 터치 입력의 설정된 세기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2 포인트의 터치 입력들 중 하나의 터치 입력에서만 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015단계에서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포인트의 입력은 도 21의 참조번호 2133 및 2137과 같이 착용 상태의 하단 터치 입력에서만 압력이 인식될 수 있으며, 또는 참조번호 2135 및 2139와 같이 상단 터치 입력에서만 압력이 인식될 수 있다. 이때 압력이 감지되지 않은 터치 입력에서 탭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02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023 단계에서 도 21의 2133 또는 2135와 같이 인식되는 터치 인터렉션에 설정된 기능(예를들면 volume up/down)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압력이 감지되지 않은 터치 입력에서 스와이프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025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027 단계에서 도 21의 2137 또는 2139와 같이 인식되는 터치 인터렉션에 설정된 기능(예를들면 화면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scroll)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전환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2211단계에서 도 7의 참조번호 730과 같이 착용된 상태에서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착용이 해제되면, 전자장치는 2213 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착용 해제를 인식할 수 있다. 착용 해제가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215 단계에서 미착용 상태 동작 모드의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들면, 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면, 전자장치는 도 7의 740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서 착용이 해제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의 동작모드로 UI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착용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 160에 설정된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전환되면, 전자장치는 측정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결제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전환되면, 전자장치는 보안레벨을 변환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도 7의 참조번호 750과 같이 펼치면, 전자장치는 2217단계에서 벤딩 해제를 인식하고, 2219 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의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 구부러짐을 인식할 때 미착용 상태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분석하여 착용상태에서 연속적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적합한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2311 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이며, 미착용 상태에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를 착용하기 위하여 벤딩시키면, 전자장치는 2313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설정된 터치입력이 인식되면 압력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압력 센서에서 설정된 세기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이를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설정된 터치 입력은 멀티 터치 입력, 설정된 위치들에서 감지되는 멀티 터치 입력, 특정 위치에서 감지되는 입력(예를들면 터치패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활성화되는 특정 위치의 터치 입력, 특정 버튼 입력(예를들면 홈 버튼) 등)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설정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압력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압력 센서에 설정된 세기 이상의 압력이 인식되면 생체센서를 활성화시키며, 생체센서에서 사용자의 생체를 인식하면 이를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설정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벤딩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벤딩 센서가 전자장치의 구부러짐을 감지하면 이를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멀티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벤딩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벤딩 센서가 전자장치의 구부러짐을 감지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생체 센서가 생체를 인식하면 이를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활성화시키며, 압력 센서에서 설정된 세기 이상의 멀티 압력들이 인식되면, 벤딩 센서 및/또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키며, 벤딩센서 및/또는 생체센서에 장치의 벤딩 및/또는 생체 감지가 인식되면 이를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도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면, 2315 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의 동작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가 잠금 상태이면, 전자장치는 2315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317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온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킬 때, 이때 전자장치는 전자장치를 착용한 후에 정보의 표시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영역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를 착용한 후에 사용자가 화면을 잘 볼 수 있는 영역을 메인 표시영역으로 설정하고, 잘 보이지 않는 영역을 서브 표시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160의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을 서로 다른 밝기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입력 150의 터치패널들은 전체 영역에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2317 단계에서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160에 잠금 해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잠금 해제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창은 지문 입력 창, 패턴 정보 입력 창 또는 비밀 번호 입력창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잠금 해제 정보가 지문으로 등록된 경우, 터치 스크린 센서에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상기 10a 및 도 10b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1a - 도 11c와 같은 방법들 중에 한가지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센서는 도 12b와 같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지문 입력 창을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때, 도 12와 같은 표시 방법들 중의 한 가지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신체(예를들면 손목)에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2319 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착용을 인식하며, 디스플레이 160에는 잠금 해제 창((예를들면 지문 입력 창, 패턴 입력 창, 비밀번호 입력 창 등)의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잠금 해제 창에 잠금 해제 정보(예를들면 지문 터치, 패턴 정보, 비밀번호 등)를 입력하면, 전자장치는 2321 단계에서 입력된 잠금 해제 정보를 분석하고, 잠금 해제 정보가 등록 정보와 일치하면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디스플레이 160에 초기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2323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동작 모드를 착용 상태에서 서비스할 수 있다.
벤딩을 인식하는 시점에서 전자장치가 잠금 상태가 아니면, 전자장치는 2315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331 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에서 실행되고 있던 동작 모드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2333 단계에서 분석된 동작모드에 따른 기능 및/또는 UI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기 위한 전자장치를 벤딩시킬 때), 착용 전의 동작이 착용 후에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수행중이던 동작 모드의 기능 및/또는 UI를 전자장치가 벤딩되는 동안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2333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착용 후에 표시될 디스플레이 160의 화면 영역(예를들면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경우이면, 전자장치는 벤딩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160을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으로 설정하고, 생체 센서를 온시키며, 메인 표시영역에 생체 측정 모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 있던 경우이면, 전자장치는 벤딩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160을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으로 설정하고, 스피커폰을 활성화시켜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 전자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며, 벤딩이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160에 잠금 해제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는 기능은 전자장치에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미착용 상태에서 동작 모드이고,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 잠금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조건이면, 상기 전자장치가 벤딩될 때 잠금 해제 입력창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벤딩하여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2335 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착용을 인식하고, 2337 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에서 수행 중이던 동작 모드를 연속하여 수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장치가 벤딩되는 동안에 미착용 상태에서 수행 중이던 기능 및/또는 UI를 미리 활성화시킨 상태이므로, 전자장치는 착용 후에 신속하고 일관되게 설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행 중인 동작모드가 종료되면, 전자장치는 2337 단계에서 동작모드를 종료 처리하고 대기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다른 동작 모드가 설정되면, 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는 2337 단계에서 설정된 동작모드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잠금 상태 해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잠금 상태 해제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2411단계에서 잠금 상태의 미착용 상태에서 벤딩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4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온시키고, 2415단계에서 잠금 해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160을 온시킬 때,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160의 전체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또는 착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으로 설정하고, 메인 표시 영역을 밝게 그리고 서브 표시영역을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2417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전자장치의 착용을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잡금 해제 입력 창에 잠금 해제 정보를 입력하면 2419 단계에서 잠금 해제 정보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장치는 입력된 잠금 해제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잠금 해제 정보이면 2421단계에서 전자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2423 단계에서 설정되는 동작모드의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510과 같이 미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의 잠금 상태는 디스플레이 160이 오프된 상태, 홈 스크린 상태,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참조번호 2520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을 위해 전자장치를 벤딩시키면, 전자장치는 241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4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온시킨 후 2415 단계에서 잠금 해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5의 참조번호 2520은 착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메인 및 서브 표시영역으로 사용하지 않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잠금 기능은 지문으로 실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참조번호 2530과 같이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지문 입력에 따라 전자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참조번호 2540과 같이 잠금 해제된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생체 측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생체 측정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6을 참조하면, 생체 측정은 미착용 상태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 설정된 생체 측정을 연속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측정은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측정은 특정한 상황에서 전자장치를 착용할 때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특정한 상황은 장시간 미착용 상태에 있었던 경우(예를들면 취침시 착용 해제한 후 기상해서 착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운동한 후 등이 될 수 있다.
2611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에서 벤딩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26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킬 때, 전자장치는 표시영역 전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착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으로 설정하고, 메인 표시 영역을 밝게 그리고 서브 표시영역을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장치의 상태에 따라 잠금 해제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하는 상황이면, 전자장치는 2615단계에서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2615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에 생체 센서가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2617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전자장치의 착용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는 2619 단계에서 생체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측정 동작을 수행할 때, 전자장치는 2619 단계에서 생체 측정 타입에 따라 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생체 측정에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HRM 센서는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후면(전자장치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될 수 있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HRM 센서가 위치된 영역에 압력을 가하여 HRM 센서가 신체에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가이드 정보는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음성으로 안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설정된 타입의 생체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측정 동작이 종료되면, 전자장치는 2621 단계에서 생체 측정 결과를 메모리 1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생체 측정 동작이 종료되면, 전자장치는 2623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에 대기 모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다른 동작모드들도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측정 모드는 사용자가 생체 측정모드를 설정한 상태, 또는 생체 측정모드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특정 상황 및/또는 전자장치가 착용될 때(예를들면 미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로 전환되면 자동으로 생체 측정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상황) 등이 될 수 있다. 도 27은 전자장치가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 생체 측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경우의 예가 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2710과 같이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는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동작모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참조번호 2710과 같이 전자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참조번호 2720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을 위해 전자장치를 벤딩시키면, 전자장치는 261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6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2613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킨 후, 잠금 해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2615 단계에서 생체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27의 참조번호 2720은 착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메인 및 서브 표시영역으로 사용하지 않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생체 센서인 HRM 센서가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참조번호 2730과 같이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2619단계에서 참조번호 2740과 같이 생체 측정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안내하면서 생체 측정 모드의 측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측정이 종료되면,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160에 생체 측정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생체 측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생체 측정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생체 측정 센서는 HRM 센서가 될 수 있다. HRM 센서는 전자장치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HRM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예를들면 손목)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HRM 센서는 도 9a와 같이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HRM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신호는 도 9c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9a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HRM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장치는 심박수, 스트레스, 산소 포화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HMR 센서를 이용하여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할 때, 사용자는 HRM 센서가 장착된 위치에 압력을 가하여 HRM 센서가 신체에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HRM 센서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 160의 일부 영역을 가리게 될 수 있다. HRM 센서를 이용하여 생체를 측정할 때,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 이외의 표시영역에 생체 측정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8은 도 26의 2619 단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가 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a - 도 29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2811 단계에서 생체 측정 타입 및 생체 측정 방법을 가이드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측정 타입은 도 29b의 참조번호 2961, 2963, 296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심박수, 스트레스, 산소 포화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측정 방법은 HRM 센서가 신체에 접촉될 수 있도록 HRM 센서가 위치된 영역을 눌러 측정을 시작하라는 안내 메시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2813 단계에서 전자장치가 착용된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도 29a의 참조번호 2910과 같이 HRM 센서가 손목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착용될 수 있으며, 도 29a의 참조번호 2915와 같이 HRM 센서가 손목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착용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2815 단계에서 HRM 센서를 압박(squeeze)하는 위치(터치 위치 및 면적)를 인식할 수 있다. HRM 센서의 압박할 때, 디스플레이 160의 가시영역은 도 29a의 2910과 같은 손목의 측면(예를들면 엄지 손가락 방향 또는 손날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때 도 19a의 참조번호 2920과 같이 HRM 센서를 압박하면 사용자의 손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가시영역이 가려지지 않지만, 도 19a의 2925와 같이 HRM 센서를 압박하면 사용자의 손에 디스플레이의 가시영역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HRM 센서를 이용하여 생체 측정모드를 수행할 때 디스플레이 160의 가시영역이 가려지지 않도록 HRM 센서를 압박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HRM 센서의 위치 및 압박을 가하는 위치를 인식한 후, 2817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에 가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2819단계에서 설정된 타입의 생체 측정 동작을 수행하며, 측정되는 결과를 메모리 1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도 29b의 참조번호 2950과 같이 생체 측정 모드에서 생체 측정을 위한 센서의 압박(squeeze)이 인식되면, HRM 센서의 방향(예를들면 착용된 전자장치의 방향(top/bottom))을 인식하고, 압박이 가해지는 위치(터치 위치) 및 터치 면적을 인식한 후, 디스플레이 160에서 측정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가시영역 298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시영역은 도 29b의 2961, 2963, 29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을 가시영역 298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도 29b의 참조번호 2970과 같이 생체 측정 동작을 수행하면서 디스플레이 160의 가시영역에 측정 메뉴, 측정 진행 현행 등을 표시하면서 생체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생체 측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수행되는 생체 측정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착용 상태에서 멀티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멀티 터치 및 터치 입력의 압력 세기에 따라 각각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착용된 상태에서 생체센서 위치 또는 생체 센서의 인접 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터치가 인식되고, 생체센서의 압박이 인식되면, 생체 측정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3011 단계에서 착용된 상태이며, 착용된 전자장치는 임의(any status)의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생체 센서의 위치에 압박을 가하여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측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착용된 전자장치의 생체센서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생체 센서가 장착된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들에서 압력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3013 단계에서 이를 생체 측정 요구로 인식하고, 3015단계에서 생체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체 측정은 도 28 및 도 29a - 도 29b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3017 단계에서 측정되는 생체 결과를 메모리 1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측정 동작 중에 착용이 해제되면, 전자장치는 3019 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착용 해제를 인식하고, 3021 단계에서 측정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의 착용이 해제된 후 전자장치의 벤딩이 해제 동안(전자장치가 펼쳐지는 동안)에는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110과 같이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전자장치는 임의의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3110과 같이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참조번호 3120과 같이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위치들에 멀티 터치 및 압박이 가해지면, 전자장치는 멀티 터치 및 압박을 인식하고, 참조번호 3130과 같이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켜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측정 모드를 종료한 후 또는 생체 측정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착용이 해제되면, 참조번호 3140과 같이 착용이 해제되어 전자장치의 벤딩이 해제 동안에는 터치 입력을 무시하고 생체 측정 모드가 종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착용상태가 해제되어 미착용 상태로 전환되면,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3140과 같이 디스플레이 160에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결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결제 동작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2를 참조하면, 결제 동작은 미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 설정된 결제 동작을 연속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제 동작은 특정한 장소(예를들면, 결제 동작을 빈번하게 수행한 특정 장소(예를들면, 백화점. 음식점, 매장 등)에서 전자장치를 착용할 때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특정 장소에서 계산대의 POS 단말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3211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에서 벤딩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32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킬 때, 전자장치는 표시영역 전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착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으로 설정하고, 메인 표시 영역을 밝게 그리고 서브 표시영역을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시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는 3215 단계에서 보안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입력 창은 잠금 해제 입력 창과 같은 형태의 입력 창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3217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전자장치의 착용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보안 입력 창에 보안 정보를 입력하면, 전자장치는 3219 단계에서 보안 정보를 보안 등록 정보와 비교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 입력 정보와 보안 등록 정보가 일치하면, 전자장치는 3221 단계에서 보안레벨을 변경(security level down)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3223 단계에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결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결제 동작을 수행한 후, 전자장치는 3225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에 대기 모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다른 동작모드들도 수행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310과 같이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는 결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결제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참조번호 3320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을 위해 전자장치를 벤딩시키면, 전자장치는 321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213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는 3213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을 활성화시킨 후, 3215 단계에서 보안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3의 참조번호 3320은 착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160의 표시영역을 메인 및 서브 표시영역으로 사용하지 않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참조번호 3330과 같이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3219단계에서 입력되는 보안정보와 등록된 보안 정보를 분석하며, 두 보안 정보들이 일치하면 참조번호 3340과 같이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안 레벨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결제 동작에 의해 처리되는 결과를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결제 동작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결제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6a 및 도 3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에서 결제 동작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착용 상태에서 멀티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멀티 터치 및 터치 입력의 압력 세기에 따라 각각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착용된 상태에서 임의의 두 포인트를 터치하고 일정 세기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결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대기모드에서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측 및 하측을 멀티 터치하고 압박을 가하고, 전자장치는 두 터치 입력의 압력이 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인식되면 다른 입력없이 결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3411 단계의 동작모드는 대기 모드가 될 수 있다. 대기모드에서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장치는 3413 단계에서 터치입력들의 압력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멀티 터치 입력의 압력 세기가 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3415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417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에 결제 모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제 처리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전자장치는 3411 단계의 착용 상태 동작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다. 그러나 결체 처리 모드를 처리하는 중에 착용 상태가 해제되면, 전자장치는 3421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423 단계로 되돌아가 미착용 상태의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3610과 같이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3610은 착용 상태의 대기모드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참조번호 3620과 같이 착용 상태의 디스플레이 160의 화면에서 상측 및 하측을 터치하고 일정 세기의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전자장치는 3413단계 및 3415 단계에서 멀티 터치 및 압력을 인식하고, 결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결제모드로 전환되면, 전자장치는 3417 단계에서 참조번호 3630과 같이 디스플레이 160에 결제 모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결제모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처리되는 결제 동작을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한 상태는 잠금 상태를 해제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착용할 때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 상태의 해제는 지문 또는 비밀 번호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결제 동작을 수행할 때, 별도의 보안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는 결제 모드로 전환될 때 보안 인증 절차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3511 단계의 동작모드는 대기 모드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의 대기모드에서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장치는 3513 단계에서 터치입력들의 압력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멀티 터치 입력의 압력 세기가 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3515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517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영역에 보안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입력 창은 지문 인식을 위한 입력 창이 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은 상기한 도 10a - 도 12c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지문 인식 입력창은 디스플레이 160의 화면 상의 설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보안 입력창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위치시키면, 사용자는 3519 단계에서 터치되는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 분석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두 지문이 일치하면, 전자장치는 3519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결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및/또는 POS 단말장치와 통신에 의해 결제처리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처리모드가 종료되면 3511 단계의 동작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3513 단계에서 멀티 터치 입력이 아니거나, 3515 단계에서 멀티 터치의 압력이 설정된 세기 이하이거나, 3519 단계에서 두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3523 단계에서 각각 대응되는 상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체 처리 모드를 처리하는 중에 착용 상태가 해제되면, 전자장치는 3531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533 단계로 되돌아가 미착용 상태의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3650과 같이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3650은 착용 상태의 대기모드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참조번호 3620과 같이 착용 상태의 디스플레이 160의 화면에서 상측 및 하측을 터치하고 일정 세기의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전자장치는 3513단계 및 3515 단계에서 멀티 터치 및 압력을 인식하고, 3517 단계에서 도 19b의 참조번호 3670과 같이 결제 모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참조번호 3670의 결제 화면은 보안 입력 창 3675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입력 창 3675는 지문 인식 센서의 영역으로, 지문 인식 센서는 도 12b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참조번호 3680과 같이 보안 입력 창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전자장치는 지문 인식을 수행하고, 3519 단계에서 인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두 지문이 일치하면, 전자장치는 3521 단계에서 참조번호 3690과 같이 디스플레이 160에 결제 모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결제모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처리되는 결제 동작을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 전환시에서 통화 모드를 서비스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의 통화 모드에서 볼륨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상태 전환 시에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미착용 상태로 전환시에 통화 모드를 서비스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통화를 서비스할 수 있다.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벤딩하면, 전자장치는 3711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고, 3713 단계에서 통화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상태는 일반 통화(예를들면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귀에 대고 통화하는 상태), 스피커폰 통화, 이어폰/휴대폰 통화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이어폰/휴대폰 통화 상태이면 전자장치는 3717 단계에서 이어폰/휴대폰 통화 서비스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반 통화이면, 전자장치는 3713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715 단계에서 스피커폰을 활성화시킨 후 스피커폰 통화모드를 서비스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3719 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이를 인식하고, 3721 단계에서 통화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스피커폰을 활성화시켜 통화모드를 수행한 경우이면, 전자장치는 3721 단계에서 스피커폰 통화 모드로 서비스를 계속 실행할 수 있다.
상기 3721단계에서 스피커폰 통화모드를 수행할 때, 사용자는 스피커폰 통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착용 상태에서 볼륨을 조절하는 경우, 전자장치는 상기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되고 설명된 방법으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스피커폰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도 21의 참조번호 2110과 멀티터치가 발생되면, 전자장치는 381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813 단계에서 압력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도 21의 참조번호 2130과 같이 하나의 터치 입력의 압력(싱글 터치 압력, 1 point press) 세기가 설정된 세기 이상이면, 전자장치는 3813에서 이를 인식하고, 3815 단계에서 다른 터치 입력의 인터렉션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다른 터치 입력의 인터렉션이 탭이면, 전자장치는 3817 단계에서 탭 터치 인터렉션이 발생된 위치(또는 터치 압력이 유지되는 위치)를 분석한다. 이때 하단이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press)에서 상단에서 탭 입력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3817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819 단계에서 탭이 발생되는 횟수에 대응되는 크기로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단이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press)에서 하단에서 탭 입력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3817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821 단계에서 탭이 발생되는 횟수에 대응되는 크기로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압력이 유지되는 위치 및 탭 입력이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는 동작은 위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3910과 같이 전자장치를 미착용한 상태에서 통화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가 참조번호 3920과 같이 벤딩되면, 전자장치는 371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713 단계에서 통화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일반 통화 상태이면, 전자장치는 3715 단계에서 스피커폰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참조번호 3930과 같이 착용 상태로 전환되면, 전자장치는 3719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719 단계에서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스피커폰 통화 모드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착용 상태의 전자장치에서 스피커폰 통화 모드를 서비스할 때,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멀티 터치 입력 및 압력 세기에 따라 도 38과 같이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39의 참조번호 3950과 같이 착용 상태의 전자장치 상단 및 하단에 멀티 터치입력을 인식하고, 상단의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하단의 탭 터치 인터렉션을 인식하면, 전자장치는 통화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9의 참조번호 3955와 같이 착용 상태의 전자장치 상단 및 하단에 멀티 터치입력을 인식하고, 하단의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단의 탭 터치 인터렉션을 인식하면, 전자장치는 통화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7의 상기 3719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지 않으면, 전자장치는 전자자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설정된 통화 모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가 벤딩 상태를 유지하면, 전자장치는 스피커 폰 통화모드 또는 이어폰/헤드폰 통화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벤딩이 해제되면(즉, 전자장치가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로 펼쳐지면), 전자장치는 벤딩 이전의 통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일반 통화 상태에서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전환된 경우, 전자장치는 벤딩이 해제되면 다시 일반 통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통화중인 상태에서 전자장치의 착용을 해제할 수 있다. 4011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착용 상태이고 통화 모드를 서비스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장치의 착용을 해제하면, 전자장치는 4013 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화 전자장치의 착용 해제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착용 해제가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4015단계에서 통화 상태를 분석하고, 이어폰/헤드폰 통화 상태이면 4019 단계에서 이어폰/헤드폰 통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4015 단계에서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4017 단계에서 스피커폰을 오프시키고 일반 통화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후 벤딩이 해제되면, 전자장치는 402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4203단계에서 해당하는 상태로 통화모드 서비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전자장치는 4025 단계에서 미착용 상태의 동작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3930과 같이 착용 상태에서 통화모드를 수행하고, 통화모드는 스피커폰 통화 모드일 때, 전자장치는 4011 단계에서 스피커폰 통화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참조번호 3940과 같이 착용이 해제되면, 전자장치는 4013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4017 단계에서 스피커폰을 오프시킬 수 있다.이후 전자장치는 4021 단계에서 참조번호 3910과 같이 벤딩 해제를 인식하면, 4023 단계에서 참조번호 3910과 같이 미착용 상태에서 일반 통화 상태의 통화 서비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착용 상태 전환시에 문자 서비스 모드를 서비스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상태 전환 시에 문자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미착용 상태의 전자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문자 서비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문자 서비스 모드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거나 통신할 수 있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들면, 문자 서비스 모드는 SMS 서비스, MMS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SNS 서비스, 키패드를 이용하는 검색 서비스, 키패드를 이용하는 통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벤딩하면, 전자장치는 4111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의 벤딩은 전자장치를 착용하기 위한 전 단계의 동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는 벤딩이 인식되면, 신체 접촉 여부를 인식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벤딩 및 신체접촉이 인식되면, 전자장치는 4113 단계에서 음성 입력 모드(speech to text mode, STT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키패드를 통해 문서를 작성하는 대신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4115 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이를 인식하고, 4117 단계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STT 모드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후 문자 서비스 모드가 종료되면, 전자장치는 4119 단계에서 착용 상태에서 설정되는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STT 모드의 문자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착용 해제(예를들면 착용 해제 및 신체접촉 해제(가 발생되면, 전자장치는 4115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미착용 상태의 문자 서비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미착용 상태의 문자 서비스 모드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 및/또는 통신할 수 있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210과 같이 미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160에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키패드를 통해 선택되는 문자들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참조번호 4210은 SMS 어플리케이션 또는 SNS 어플리케이션의 예가 될 수 있다. 참조번호 4210과 같이 미착용 상태에서 문자 서비스를 하는 중에 사용자가 문자장치를 벤딩하면, 전자장치는 4111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면, 전자장치는 생체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활성화된 생체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전자장치가 사용자의 생체에 접촉되는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참조번호 4220과 같이 전자장치의 벤딩은 인식하였지만 사용자의 신체 접촉이 인식되지 않으면, 전자장치는 키패드를 표시하면서 키패드 입력을 통한 문자서비스 모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의 인식 및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인식하면, 전자장치는 411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4115단계에서 참조번호 4230과 같이 STT 모드가 활성화되었음을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참조번호 4240과 같이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착용하면, 전자장치는 4115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STT 모드로 문자 서비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참STT 모드로 문자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면,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4240과 같이 디스플레이 160에 STT 모드에 의해 처리되는 문자들을 표시할 수 있다. STT 모드로 문자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착용을 해제하면, 전자장치는 4131단계에서 사용자의 신체 접촉이 해제됨을 인식하고, 4133 단계에서 참조번호 4250과 같이 디스플레이 160에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 상태에서 문자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전자장치의 착용 해제를 인식하면,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4250과 같이 STT 모드를 종료하고 키패드를 표시하여 문자 서비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알람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4311 단계는 알람 경보(예를들면 alarm ringing) 상태가 될 수 있다. 알람 경보 상태에서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미착용 상태이면, 전자장치는 4313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4315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착용하여 알람 경보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생체센서에서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전자장치는 4315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4317 단계에서 알람 경보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알람 경보가 발생되면, 사용자는 전자장치의 착용을 해제하여 알람 경보를 해제할 수 있다. 착용 상태이면, 전자장치는 4313단계에서 이를 인식할 수 있으며, 4321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착용이 해제되는가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장치의 착용을 해제하면, 전자장치는 4321 단계에서 체결 센서를 통해 이를 인식하고 4317 단계에서 알람 경보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도 4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 또는 미착용 상태에서 사용자가 알람 해제 버튼을 선택하면, 알람 경보를 해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상기 미착용 상태의 기능 및/또는 UI를 착용 상태의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는 멀티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면, 벤딩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벤딩 센서에 벤딩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멀티 터치의 압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 터치의 압력이 설정 세기 이상이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멀티 터치의 압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 터치의 압력이 설정 세기 이상이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 단계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메인 표시영역에 전환할 기능 및/또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영역은 착용된 전자장치의 가시영역이며, 상기 서브 표시영역 보다 밝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착용된 전자장치의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 해제가 인식되면 착용 상태에서의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미착용 상태에서 전자장치의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된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를 착용된 전자장치의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잠금 상태이며,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잠금 해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잠금 해제 입력 창은 지문 입력 창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지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생체 측정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생체 센서는 HRM(heart rate monitor)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HRM 센서의 압박이 인식되면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결제 동작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디스플레이에 보안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동작을 수행할 때,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멀티 터치에 의한 압력이 인식되면 보안 입력 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보안 입력이 인식되면 보안 인증을 수행하고 결제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통화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스피커 폰을 온시켜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통화모드시 멀티 터치 및 탭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면 탭 위치에 따라 통화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문자 입력 동작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이 감지되면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알람 경보이며, 상기 착용 상태의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플랙서블 터치 스크린과,
    장치의 벤딩 및 체결을 인식하는 센서와,
    디스플레이 및 센서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될 때 전자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착용 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및/또는 UI를 연속 수행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상기 서브 표시영역 보다 밝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패널에서 멀티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벤딩을 감지하는 센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벤딩을 감지하는 센서에서 벤딩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패널에서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되는 멀티 터치 위치의 압력 세기를 분석하며, 압력 세기가 설정 세기 이상이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생체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패널에서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생체센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벤딩을 감지하는 센서는 압력센서 및 생체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패널에서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압력센서에 설정 세기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생체센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의 동작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를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수행될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잠금 상태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벤딩이 인식되면 잠금 해제 입력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입력되는 잠금 해제 정보에 의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정보는 지문 인식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지문 입력 창을 표시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생체 측정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며, 상기 착용이 감지되면 생체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는 심박 센서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착용 상태에서 상기 HRM 센서의 압박이 인식되면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하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결제 동작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보안 입력창을 표시하고, 착용이 인식되면 보안 입력에 따라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결제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 상태에서 설정된 멀티 위치의 터치 압력이 인식되면 보안 입력 창을 표시하고, 보안 입력이 인식되면 보안 인증을 수행하고 결제 모드를 수행하는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통화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벤딩이 인식되면 스피커 폰을 온시키며, 착용이 인식되면 착용 상태의 스피커폰 통화 동작을 서비스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 상태의 스피커 폰 통화에서 멀티 터치 및 탭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면 탭 위치에 따라 통화 볼륨을 조절하는 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문자 입력 동작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설정하고 착용 상태에서 음성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알람 경보이며,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알람을 해제하는 장치.
  21.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상기 미착용 상태의 기능 및/또는 UI를 착용 상태의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는,
    멀티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면, 벤딩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벤딩 센서에 벤딩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멀티 터치의 압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 터치의 압력이 설정 세기 이상이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을 인식하는 단계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멀티 터치의 압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 터치의 압력이 설정 세기 이상이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벤딩이 인식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의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를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수행될 동작의 기능 및/또는 UI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단계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메인 표시영역에 전환할 기능 및/또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은 착용된 전자장치의 사용자 가시영역이며, 상기 서브 표시영역 보다 밝게 표시하는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된 전자장치의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 해제가 인식되면 착용 상태에서의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잠금 상태이며,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잠금 해제 입력 창을 표시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입력 창은 지문 입력 창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지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생체 측정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는 HRM(heart rate monitor) 센서인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HRM 센서의 압박이 인식되면 생체 측정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결제 동작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디스플레이에 보안 입력창을 표시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멀티 터치에 의한 압력이 인식되면 보안 입력 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보안 입력이 인식되면 보안 인증을 수행하고 결제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통화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스피커 폰을 온시켜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전환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통화모드시 멀티 터치 및 탭 터치 인터렉션이 인식되면 탭 위치에 따라 통화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문자 입력 동작이며,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벤딩이 인식되면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센서에서 신체 접촉이 감지되면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미착용 상태의 동작은 알람 경보이며,
    상기 착용 상태의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의 착용이 인식되면 알람을 해제하는 방법.
KR1020150173512A 2015-12-07 2015-12-07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79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12A KR102479462B1 (ko) 2015-12-07 2015-12-07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1680071407.0A CN108369438B (zh) 2015-12-07 2016-12-02 柔性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15/368,106 US10466808B2 (en) 2015-12-07 2016-12-02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PCT/KR2016/014095 WO2017099428A1 (en) 2015-12-07 2016-12-02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16873293.1A EP3371676B1 (en) 2015-12-07 2016-12-02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12A KR102479462B1 (ko) 2015-12-07 2015-12-07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077A true KR20170067077A (ko) 2017-06-15
KR102479462B1 KR102479462B1 (ko) 2022-12-21

Family

ID=5879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512A KR102479462B1 (ko) 2015-12-07 2015-12-07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66808B2 (ko)
EP (1) EP3371676B1 (ko)
KR (1) KR102479462B1 (ko)
CN (1) CN108369438B (ko)
WO (1) WO201709942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320A (ko) * 2017-11-09 2019-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15291A (ko) * 2018-08-03 2020-02-12 서정호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22982A (ko) * 2019-04-17 2020-10-28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기 스크린의 표시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WO2021246659A1 (ko) * 2020-06-05 2021-1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217639B2 (en) 2018-09-27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90583B2 (en) 2019-09-03 2022-03-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30023862A (ko) * 2021-08-10 2023-02-20 박종국 손목 밴드형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추적 시스템
US11793465B2 (en) 2020-04-06 2023-10-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1410B2 (en) * 2011-06-20 2020-04-14 Benjamin Zimchoni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keyboard with multi functional keys, using fingerprints recognition
KR102564523B1 (ko) * 2015-12-15 2023-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동작 방법
USD850443S1 (en) 2015-12-22 2019-06-04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D841612S1 (en) * 2016-03-31 2019-02-26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10335045B2 (en) 2016-06-24 2019-07-02 Universita Degli Studi Di Trento Self-adaptive matrix completion for heart rate estimation from face videos under realistic conditions
JP1583195S (ko) * 2016-07-27 2017-08-07
US10066987B1 (en) * 2017-03-02 2018-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ultraviolet sensor data to determine a pseudo location of a user
US10733589B2 (en) 2017-04-28 2020-08-04 Square, Inc. Point of sale device power management and under voltage protection
CN107180599B (zh) * 2017-05-12 2019-08-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幕、显示装置和移动终端
TWI639110B (zh) * 2017-09-05 2018-10-21 奇景光電股份有限公司 穿戴式電子裝置及其反射電容式觸控面板
US10691072B1 (en) * 2017-09-11 2020-06-23 Apple Inc. Identification of band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WO2019081975A1 (en) * 2017-10-24 2019-05-02 Orcam Technologies Ltd. PORTABLE CAMERA SYSTEMS AND METHODS OF IDENTITY AUTHENTICATION
CN107566660B (zh) * 2017-10-24 2020-06-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话降噪方法、装置及终端
US11257058B1 (en) 2017-10-30 2022-02-22 Square, Inc. Sharing output device between unsecured processor and secured processor
US10970698B1 (en) * 2017-12-08 2021-04-06 Square, Inc. Reader detection signal bypassing secure processor
CN108322592A (zh) * 2017-12-19 2018-07-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终端控制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135401A1 (ja) * 2018-01-05 2019-07-11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9125072A (ja) * 2018-01-15 2019-07-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検出装置及び検出装置付き表示機器
CN108280446A (zh) * 2018-02-27 2018-07-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采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951936S1 (en) * 2018-05-25 2022-05-17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smart device
JP7124616B2 (ja) * 2018-10-03 2022-08-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誘導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9286706B (zh) * 2018-10-12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N109375804B (zh) * 2018-10-17 2021-1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CN109407818A (zh) * 2018-11-23 2019-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显示屏及其全屏超声指纹识别模块
CN109542310A (zh) * 2018-11-26 2019-03-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交互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72268B1 (ko) * 2019-01-02 2023-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9873884A (zh) * 2019-02-22 2019-06-1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组件、柔性屏模组及穿戴设备
CN110018732A (zh) * 2019-03-29 2019-07-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显示方法、控制装置及存储介质
KR20200122896A (ko) 2019-04-19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069103B (zh) * 2019-04-29 2022-06-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交互操作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64313B (zh) * 2019-05-31 2022-07-2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CN110309752B (zh) * 2019-06-24 2021-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超声波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213416B (zh) * 2019-06-24 2021-07-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超声波传感器模组、显示屏模组及电子设备
CN110427121A (zh) * 2019-07-05 2019-11-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具有指纹识别功能的触控显示装置
CN110475024A (zh) * 2019-08-21 2019-11-19 广东乐心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柔性屏切换模式的设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987956A (zh) *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2107088B (zh) * 2020-09-09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感应模组及可穿戴设备
WO2023096940A2 (en) * 2021-11-29 2023-06-0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representation of a user
IL305195A (en) * 2021-12-09 2023-10-01 Nirman Entpr Ltd A wearable smartphone that changes itsel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824A (ko) * 2012-12-10 201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뱅글 타입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및 ui 표시 방법
KR20150000206A (ko) * 2013-06-24 2015-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WO2015031426A1 (en) * 2013-08-27 2015-03-05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and detection of flex stat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6783A1 (en) * 2001-07-06 2010-06-24 Bajramovic Mark Wearable data input device
US7020508B2 (en) * 2002-08-22 2006-03-28 Bodymedia, Inc. Apparatus for detecting human physiologic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KR100849204B1 (ko) 2006-08-07 2008-07-31 주식회사 세이프온 위난신호 발생 휴대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위난관리 시스템
US7980141B2 (en) * 2007-07-27 2011-07-19 Robert Connor Wearable position or motion sensing systems or methods
KR101595384B1 (ko) 2009-07-20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KR101615379B1 (ko) 2009-10-14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US9176530B2 (en) * 2011-08-17 2015-11-03 Apple Inc. Bi-stable spring with flexible display
KR20130056674A (ko)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102148717B1 (ko) * 2011-12-0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8669956B2 (en) * 2011-12-30 2014-03-11 Lg Electronics Inc. Bending threshold and releas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US9851811B2 (en) * 2012-02-20 2017-12-2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64620B1 (ko) * 2012-05-09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EP3617843A1 (en) 2012-12-10 202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ui display method
KR20150010516A (ko) 2013-07-19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659310B (zh) * 2013-08-13 2021-02-26 飞利斯有限公司 电子显示区域的优化
US9317155B2 (en) * 2013-12-27 2016-04-19 Intel Corporation Ruggedized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203786602U (zh) * 2014-01-04 2014-08-2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的电子终端设备
KR20160025830A (ko)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4848798B (zh) * 2015-06-08 2018-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及柔性显示屏的弯曲状态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824A (ko) * 2012-12-10 201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뱅글 타입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및 ui 표시 방법
KR20150000206A (ko) * 2013-06-24 2015-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WO2015031426A1 (en) * 2013-08-27 2015-03-05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and detection of flex stat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320A (ko) * 2017-11-09 2019-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520440B2 (en) 2017-11-09 2022-12-06 Samsung Display Co., Ltd. Sensing par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15291A (ko) * 2018-08-03 2020-02-12 서정호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US11217639B2 (en) 2018-09-27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00122982A (ko) * 2019-04-17 2020-10-28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기 스크린의 표시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11087662B2 (en) 2019-04-17 2021-08-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isplay control method for terminal screen,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11290583B2 (en) 2019-09-03 2022-03-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41416B2 (en) 2019-09-03 2023-05-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93465B2 (en) 2020-04-06 2023-10-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1246659A1 (ko) * 2020-06-05 2021-1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23862A (ko) * 2021-08-10 2023-02-20 박종국 손목 밴드형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9438B (zh) 2021-07-30
EP3371676A1 (en) 2018-09-12
US10466808B2 (en) 2019-11-05
KR102479462B1 (ko) 2022-12-21
US20170160819A1 (en) 2017-06-08
CN108369438A (zh) 2018-08-03
EP3371676A4 (en) 2018-11-14
WO2017099428A1 (en) 2017-06-15
EP3371676B1 (en)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462B1 (ko)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191574B2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42098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을 통한 이미지 표시 방법
KR102613731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401772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021860B (zh) 用于减小指纹传感器的噪声输入的装置
KR102491287B1 (ko) 전자 장치
CN105391937B (zh) 电子设备及控制电子设备的方法和移动终端
KR102631887B1 (ko) 전자 장치
KR102348486B1 (ko) 전자 장치
KR102620178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80220972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KR20180088099A (ko)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80090507A (ko) 생체 정보 인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12494A (k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6034224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80039837A (ko) 복수의 지문 센싱 모드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6150A (ko) 전자 장치에 있어서 분광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460423B1 (ko) 전자 장치
KR20180098058A (ko)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픽셀을 이용하여 센서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70077637A (ko)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표시 방법
KR10247758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98291B1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73457B1 (ko) 윈도우의 속성에 기반한 센서의 감도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90025278A (ko) 전자 커버,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