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447A -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447A
KR20170057447A KR1020177011770A KR20177011770A KR20170057447A KR 20170057447 A KR20170057447 A KR 20170057447A KR 1020177011770 A KR1020177011770 A KR 1020177011770A KR 20177011770 A KR20177011770 A KR 20177011770A KR 20170057447 A KR20170057447 A KR 20170057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ox
electrical
wiring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774B1 (ko
Inventor
고우지 아즈미
도모오 마스다
다카요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7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12Arrangements for exhibiting specific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케이싱 내에서 전기품 상자를 반전시켜도, 상이한 종류의 외부 배선을 개별로 전기품 상자 내에 인입할 수 있는 실내기를 제공한다. 실내기는, 공기의 유통구를 케이싱(11)의 저면에 형성하는 제1 형태와, 유통구를 케이싱(11)의 일측면에 형성하는 제2 형태를 선택 가능하다. 전기품 상자(40)는, 점검구(48)가 형성된 제1 측면(41)을 구비하고, 제1 형태에서는 점검구(48)를 케이싱(11)의 내측을 향해, 제2 형태에서는 점검구(48)를 케이싱(11)의 외측을 향한 상태로 케이싱((11) 내에 배치되어, 제1 측면(41)에 인접하는 전기품 상자(40)의 제2, 제3 측면(42, 43)에, 외부 배선(k, j)을 전기품 상자(40) 내에 인입하기 위한 제1 인입구(61, 62)가 형성되고, 케이싱(11)의 다른 측면(20)에, 제2 형태에서 점검구(48)에 대향하는 개구(33)와, 개구(33)의 양측부에서, 외부 배선(k, j)을 케이싱(11) 내에 인입하기 위한 제2 인입구(35A, 35B)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관해, 특히 전기품 상자로의 전기 배선의 인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빌딩 등의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되는 공기 조화 장치로서, 천장 매립 덕트형 실내기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천장 매립 덕트형 실내기는, 케이싱의 하면으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형태(이하, 제1 형태라고 함)와, 케이싱의 배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형태(이하, 제2 형태라고 함)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실내기는, 제1 형태와 제2 형태 중 어느 것을 선택적으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실내기는, 제1 형태와 제2 형태로,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품 상자를 공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품 상자의 일측면에는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형태(하면 흡입)의 경우에는 전기품 상자의 점검구를 케이싱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하고, 흡입구로부터 점검구를 통해 전기품 상자 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형태(배면 흡입)의 경우에는, 전기품 상자를 반전시켜 점검구를 케이싱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하고, 케이싱 외부로부터 점검구를 통해 전기품 상자 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9364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전기품 상자에는, 전원선과 같은 강전 배선과, 제어 신호의 통신 등에 사용되는 약전 배선이 실내기의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인입된다. 강전 배선과 약전 배선은, 노이즈의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각각의 장소로부터 전기품 상자에 인입되는 것이 권장된다. 따라서, 제1 형태와 제2 형태로 전기품 상자를 반전시키는 경우,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강전 배선과 약전 배선을 개별로 인입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전기품 상자에 대해 외부 배선이 1개소로부터 인입되어 있고, 강전 배선 및 약전 배선과 같은 상이한 종류의 전기 배선을 외부로부터 개별로 인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케이싱 내에서 전기품 상자를 반전시켜도, 상이한 종류의 외부 배선을 개별로 전기품 상자 내에 인입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은 송풍 팬과 전기품 상자가 수용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송풍 팬에 의해 공기가 유통하는 유통구를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형성하는 제1 형태와, 상기 유통구를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에 형성하는 제2 형태를 선택 가능한 실내기이며,
상기 전기품 상자는, 점검구가 형성된 제1 측면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검구를 상기 케이싱의 내측을 향하고,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검구를 상기 케이싱의 외측을 향한 상태로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해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전기품 상자의 제2 및 제3 측면에는, 각각 외부 배선을 상기 전기품 상자 내에 인입하기 위한 제1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에 대향하는 개구와, 이 개구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배선을 상기 케이싱 내에 인입하기 위한 제2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형태와 제2 형태의 양쪽 경우에 있어서, 제2 인입구를 통해 케이싱 내에 2종류의 외부 배선을 개별로 케이싱 내에 인입할 수 있고, 또한 각 외부 배선을 제1 인입구를 통해 개별로 전기품 상자에 인입할 수 있다.
(2) 상기 제2 및 제3 측면에 형성된 각 제1 인입구에는, 강전 배선과 약전 배선이 각각 개별로 인입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강전 배선과 약전 배선이 하나의 인입구로부터 인입되는 것에 기인하는 노이즈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3) 상기 전기품 상자 내에, 2개의 단자대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의 대향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측면에 형성된 2개의 상기 제1 인입구에는, 각 단자대에 접속되는 배선이 각각 개별로 인입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단자대에 접속되는 외부 배선을, 가장 가까운 인입구로부터 인입할 수 있다.
(4) 상기 전기품 상자의 상기 제2 및 제3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 인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으로 향해 연장되고, 상기 외부 배선을 유도하는 제1 유도로와, 상기 제1 인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4 측면으로 향해 연장되고, 상기 외부 배선을 유도하는 제2 유도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형태와 제2 형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제1 인입구로의 외부 배선의 인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5)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전기품 상자를 걸림 결합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기품 상자에는,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걸림 결합하는 제2 걸림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형태와 제2 형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동일한 지지부에 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시켜, 전기품 상자를 지지할 수 있다.
(6) 상기 전기품 상자의 저벽 위에는, 상기 외부 배선을 접속하는 단자대가 설치되고, 상기 저벽이, 일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방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형태에 있어서, 케이싱의 하면으로부터 전기품 상자 내를 점검하는 경우에, 전기품 상자의 저벽을 개방하여 액세스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 내에서 전기품 상자를 반전시켜도, 상이한 종류의 외부 배선을 개별로 전기품 상자 내에 인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
도 2는 동 실내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실내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
도 4는 실내기의 케이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전기품 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제1 형태에 있어서의 도 3의 A의 화살표 방향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제2 형태에 있어서의 도 3의 A의 화살표 방향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케이싱에 형성된 개구의 정면도.
도 9는 케이싱 및 전기품 상자의 외부 배선의 인입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전기품 상자의 저벽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실내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 도 4는, 실내기의 케이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실내기(10)는, 천장 이측에 설치되어, 천장(70)에 접속된 덕트를 통해 흡기 및 배기를 행하는 천장 매립 덕트형이다. 실내기(10)는, 케이싱(11), 송풍 팬(12), 열 교환기(13) 및 드레인 팬(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1)은, 상하 방향으로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이며, 천장판(16)과, 이 천장판(16)의 하방에 대향하는 저판(17)과, 천장판(16) 및 저판(17)의 4변을 따라 설치된 측판(18 내지 21)을 갖고 있다. 측판(18 내지 19)은, 전방측판(18)과, 이 전방측판(18)의 후방에 대향하는 후방측판(배면판)(19)과, 전방측판(18) 및 후방측판(19)의 좌우 각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좌측판(20) 및 우측판(21)을 포함한다.
케이싱(11)의 전방측판(18)에는, 공기의 분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분출구(23)에는, 분출 덕트(24)의 일단이 접속되고, 이 분출 덕트(24)의 타단(도시 생략)은, 천장(70)에 접속되어 있다. 분출 덕트(24)는, 복수로 분기되어 있어도 된다.
공기의 흡입구(유통구)(26A, 26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판(17)의 후부측에 형성되는 경우(제1 형태)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판(19)에 형성되는 경우(제2 형태)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실내기(10)는, 어느 하나의 형태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제1 형태에서는, 저판(17)에 형성된 흡입구(26A)에 흡입 덕트(27A)의 상단이 접속되고, 흡입 덕트(27A)의 하단은 천장(70)의 개구(71)에 접속된다. 도 2에 도시하는 제2 형태에서는, 후방측판(19)에 형성된 흡입구(26B)에 흡입 덕트(27B)의 일단이 접속되고, 이 흡입 덕트(27B)의 타단(도시 생략)이 천장(70)에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형태를 선택한 경우, 흡입구(26B)는 폐쇄판(28B)으로 폐쇄되어, 이 폐쇄판(28B)이 후방측판(19)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형태를 선택한 경우, 흡입구(26A)는 폐쇄판(28A)으로 폐쇄되어, 이 폐쇄판(28A)이 저판(17)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도 4는, 제1 형태를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 흡입구(26A)를 개방하고, 흡입구(26B)를 폐쇄판(28B)으로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판(29)이 전방측판(18) 및 후방측판(19)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구획판(29)은, 케이싱(11)의 내부를 전후 2개의 영역(31, 32)으로 구획한다. 구획판(29)의 전방측 영역(31)은, 열 교환기(13)가 배치되는 열 교환실이 되고, 후방측의 영역(32)은, 송풍 팬(12)이 배치되는 송풍실이 되어 있다.
전술한 분출구(23)는, 열 교환실(31)에서 개구되고, 흡입구(26A, 26B)는, 송풍실(32)에서 개구되어 있다.
송풍 팬(12)은, 예를 들어 시로코 팬 등의 다익형 팬이며, 모터(12a)에 의해 구동된다. 송풍 팬(12)의 케이싱은, 구획판(29) 등으로 고정되어, 그 분출구(12b)가 열 교환실(31)에서 개구되어 있다.
송풍 팬(12)은, 실내기(10)의 케이싱(11)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26A, 26B)를 통해 케이싱(11) 내에 흡입하고, 구획판(29)의 전방 열 교환실(31)에 흐르는 공기류를 생성한다.
송풍 팬(12)은, 송풍실(32) 내에서 좌우 방향 일방측(우측)에 편의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실(32) 내의 좌우 방향 타방측(좌측)에 전기품 상자(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기품 상자(40) 내에는, 제어 기판이나 단자대 등이 수용되고, 케이싱(11)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전기 배선이 인입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좌측판(20)에는, 케이싱(11)의 외부에서 전기 배선을 인입하기 위한 인입구(35A, 35B)가 전후로 간격을 두고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소의 인입구(35A, 35B)의 사이에는, 제2 형태에 있어서 전기품 상자(40)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3)는, 제1 형태에서는 덮개(34)에 의해 폐쇄된다. 이 전기품 상자(4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는, 예를 들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핀과, 이 핀을 관통하는 전열관을 포함하는 크로스핀 타입의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열 교환기(13)는, 송풍 팬(12)에 의해 생성된 공기류가 통과하고, 그 과정에서 전열관을 흐르는 냉매와 공기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한다. 열 교환기(13)는, 상부측이 전방에, 하부측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는, 이 열 교환기(13)를 증발기로서 사용함으로써 냉방 운전이 가능하고, 응축기로서 사용함으로써 난방 운전이 가능하다.
냉방 운전 중, 열 교환기(13)에서 발생된 결로수는, 열 교환기(13)의 하방에 배치된 드레인 팬(14)에 의해 받아 들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는, 열 교환실(31) 내의 좌우 방향 일방측(우측)에 약간 편의되어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실(31)의 좌우 타방측(좌측)의 영역(37)에는, 열 교환기(13)에 접속되는 분류기나 헤더 등의 배관군 외에, 드레인 펌프, 실내 팽창 밸브, 서미스터 등의 전기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전기 부품의 전기 배선은, 열 교환실(31)로부터 구획판(29)을 관통하여 전기품 상자(40)에 인입된다. 또한, 송풍 팬(12)의 모터(12a)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배선도 전기품 상자(40)에 인입된다.
<전기품 상자(40)의 구체적 구성>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품 상자(40)는, 상벽(45)과, 이것에 대향하는 저벽(46)과, 상벽(45) 및 저벽(46)의 4 변을 따른 측벽(41 내지 44)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대략 6면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기품 상자(40)의 하나의 측벽(41)(제1 측면)은, 그 외측 에지부의 일부를 제외한 대략 전체에 점검구(48)가 형성되어 있다. 점검구(48)는, 고정 나사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49)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이 덮개(49)가, 전기품 상자(40)의 실질적인 측벽을 구성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기품 상자(40)에 있어서, 점검구(48)가 형성된 측벽(41)을 전방측벽으로 하고, 그 양측에 인접하는 측벽을 좌우측벽(제2, 제3 측면)(42, 43)으로 하고, 전방측벽(41)의 후방에 대향하는 측벽을 후방측벽(제4 측면)(44)으로 한다.
전기품 상자(40)의 후방측벽(44)의 내측에는, 제어 기판(51)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품 상자(40)의 상벽(45)의 내측에도 제어 기판(5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어 기판(51, 52)은, 실내기(10) 내의 전기 부품, 예를 들어 송풍 팬(12), 드레인 펌프, 실내 팽창 밸브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각 전기 부품의 전기 배선이 접속되어 있다. 각 전기 부품의 전기 배선은, 전기품 상자(40)의 후방측벽(44)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인입된다.
전기품 상자(40)의 저벽(46) 위에는, 2개의 단자대(55, 5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대(55, 56)는, 점검구(48)로부터 보아 좌우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단자대(55)는, 전원선을 포함하는 강전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쪽의 단자대(56)는, 제어 신호의 통신 등에 사용되는 약전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단자대(55, 56)가 장착된 저벽(46)의 상면은 점검구(48)측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경사져 있다.
점검구(48)가 형성된 전방측벽(41)의 양측에 인접하는 좌우측벽(42, 43)에는, 각각 케이싱(11)의 외부에서 전기품 상자(40) 내에 강전 배선 및 약전 배선을 인입하기 위한 제1 인입구(61, 62)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제1 인입구(61, 62)는, 동일 직경의 원 형상 구멍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인입구(61, 62)는, 단자대(55, 56)에 가까운, 좌우측벽(42, 43)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제1 인입구(61, 62)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강전 배선은, 강전 배선용 단자대(55)에 가장 가까운 제1 인입구(61)로부터 인입된다. 한편, 약전 배선은, 약전 배선용 단자대(56)에 가장 가까운 제1 인입구(62)로부터 인입된다. 이에 의해, 전기품 상자(40) 내에 있어서의 강전 배선 및 약전 배선의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전기품 상자(40)의 배치>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10)는, 흡입구(26A)가 케이싱(11)의 저판(17)에 형성되는 제1 형태(도 1 참조)와, 흡입구(26B)가 케이싱(11)의 후방측판(19)에 형성되는 제2 형태(도 2 참조)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전기품 상자(40)는, 제1 형태에 있어서는 점검구(48)를 케이싱(11)의 내측으로 향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2 형태에 있어서는, 점검구(48)를 케이싱(11)의 외측으로 향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제1 형태와, 제2 형태 사이에서 전기품 상자(40)는 반전된다.
도 6은, 제1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품 상자(40)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품 상자(40)의 점검구(48)는, 케이싱(11)의 내측으로 향해 있다. 점검구(48)에는 덮개(49)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49)를 떼어내서 점검구(48)를 개방함으로써, 케이싱(11)의 저판(17)에 형성된 흡입구(26A)로부터 전기품 상자(40) 내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싱(11)의 좌측벽(20)에 형성된 개구(33)는, 덮개(34)에 의해 막혀 있다.
도 7은, 제2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품 상자(40)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품 상자(40)의 점검구(48)는, 케이싱(11)의 외측으로 향해 있다. 그리고, 점검구(48)는, 케이싱(11)의 좌측판(20)에 형성된 개구(33)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형태를 나타내는 도 6 및 도 4에서는, 개구(33)는, 덮개(34)에 의해 막혀 있었지만, 제2 형태에 있어서는, 점검구(48)를 막는 덮개(49)가, 동시에 개구(33)도 막고 있다. 즉, 덮개(34)와 덮개(49)는 대략 동일한 형상이 되고, 제2 형태에 있어서는, 덮개(34) 대신 덮개(49)가 사용되고 있다. 단, 이것과는 반대로, 개구(33)를 막는 덮개(34)가, 동시에 점검구(48)를 막아도 된다. 또한, 덮개(34) 및 덮개(49)가, 각각 개구(33) 및 점검구(48)를 막아도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33)의 좌우 양측에는, 제2 인입구(35A, 3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인입구(35A, 35B)는, 개구(33)의 주연에서 개방된 오목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제2 인입구(35A, 35B)는, 개구(33)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구(33)를 폐쇄하는 덮개(34, 49)의 좌우 양 에지에는, 제2 인입구(35A, 35B)에 대응하는 오목부(34a, 34b, 49a, 4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인입구(35A, 35B)와, 오목부(34a, 34b, 49a, 49b)에 의해, 전체 주위가 폐쇄된 구멍이 형성된다.
케이싱(11)의 제2 인입구(35A, 35B)와, 전기품 상자(40)의 제1 인입구(61, 62)는, 서로 중복되는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11)의 제2 인입구(35A, 35B)로부터 인입된 전기 배선을 전기품 상자(40)의 제1 인입구(61, 62)에 인입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형태에서는, 강전 배선용 단자대(55)는, 도면 중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인입구(35A)로부터 케이싱(11) 내에 강전 배선 k가 인입되고, 또한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인입구(61)로부터 전기품 상자(40) 내에 강전 배선 k가 인입된다. 따라서, 강전 배선용 단자대(55)에 가장 가까운 경로에서 배선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약전 배선용 단자대(56)는, 도면 중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인입구(35B)로부터 케이싱(11) 내에 약전 배선 j가 인입되고, 또한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인입구(62)로부터 전기품 상자(40) 내에 약전 배선 j가 인입된다. 따라서, 약전 배선용 단자대(56)에 가장 가까운 경로에서 배선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품 상자(40)를 반전시킨 제2 형태에서는, 강전 배선용 단자대(55)는, 도면 중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인입구(35B)로부터 케이싱(11) 내에 강전 배선 k가 인입되고,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인입구(61)로부터 전기품 상자(40) 내에 강전 배선 k가 인입된다. 따라서,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강전 배선용 단자대(55)에 가장 가까운 경로에서 배선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약전 배선용 단자대(56)는, 도면 중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인입구(35A)로부터 케이싱(11) 내에 약전 배선 j가 인입되고, 또한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인입구(62)로부터 전기품 상자(40) 내에 약전 배선 j가 인입된다. 따라서,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약전 배선용 단자대(56)에 가장 가까운 경로에서 배선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제1 형태 및 제2 형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강전 배선 k와 약전 배선 j를 개별로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강전 배선 k와 약전 배선 j를 공통된 인입구로부터 인입함으로써 기인하는 노이즈의 영향 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전기품 상자(40) 내에 강전 배선 k와 약전 배선 j를 크로스시키지 않고 단자대(55, 56)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접속 작업이나 유지 보수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품 상자(40)의 좌우측벽(42, 43)에는, 각각 제1 인입구(61, 62)측으로부터 전방측벽(41) 및 후방측벽(44)을 향해 전후로 연장되는 유도로(64a, 64b, 65a, 6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로(64a, 64b, 65a, 65b)는, 오목 형상의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도로(64a, 64b, 65a, 65b)는, 제1 인입구(61, 62)로부터 이격될 만큼 깊어지도록 홈 바닥이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인입구(61, 62)의 양측에 배치된 유도로(64a, 64b, 65a, 65b)는, 제1 인입구(61, 62)를 기준으로 하여 대략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34, 49)에 형성된 오목부(34a, 34b, 49a, 49b)는, 유도로(64a, 64b, 65a, 65b)의 개방측의 단부 에지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도로(64a, 64b, 65a, 65b)가 형성됨으로써, 케이싱(11)의 제2 인입구(35A, 35B)로부터 인입된 배선을 전기품 상자(40)의 제1 인입구(61, 62)에 적합하게 유도할 수 있고, 배선 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도로(64a, 64b, 65a, 65b)는, 제1 인입구(61, 62)를 사이에 놓고 전후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형태와 제2 형태의 어떤 경우든 제1 인입구(61, 62)에의 인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품 상자(40)의 저벽(46)은, 그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지지 축(68)을 통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46)을 하방에 요동시킴으로써 전기품 상자(40)를 하방에 개방할 수 있다.
전기품 상자(40)의 저벽(46)은, 통상은, 상부로 요동시킨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형태에 있어서, 흡입구(26A)로부터 전기품 상자(40)의 점검을 행하는 경우는, 고정 나사를 제거하여 저벽(46)을 하방에 요동시킴으로써, 전기품 상자(40)의 내부 시인성을 높이고,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벽(46)을 하방에 요동시킴으로써 저벽(46)에 설치된 단자대(55, 56)도 크게 노출되기 때문에, 단자대(55, 56)에 대한 배선 접속 작업 등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품 상자(40)의 상벽(45)의 상면에는, 상방에 돌출되는 걸림 결합부(66a, 66b)가 전후로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걸림 결합부(66a, 66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1)의 천장판(16)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부(67)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걸림 결합부(제1 걸림 결합부)(66b)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지지부(67)의 전방측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전기품 상자(40)의 상부측이 후방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쪽의 걸림 결합부(제2 걸림 결합부)(66a)는, 제2 형태에 있어서 지지부(67)의 전방측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전기품 상자(40)의 상부측이 후방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형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하나의 지지부(67)에 의해 전기품 상자(4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 결합부(66a, 66b)는, 반드시 상벽(45)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좌우의 측벽(42, 43)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는, 측벽(42)에 대향하는 케이싱(11)의 내면에 지지부(67)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기품 상자(40)의 좌우측벽(42, 43)에 형성된 제1 인입구(61, 62)는, 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각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1 인입구(61, 62)는, 서로 동일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양쪽 제1 인입구(61, 62)는, 서로 대향하지 않고, 전후 또는 상하로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인입구(61, 62)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유도로(64a, 64b, 65a, 65b)의 형상에 대해서도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인입구(61, 62)의 전방측 유도로(64a, 65a)와 후방측의 유도로(64b, 65b)는, 서로 홈 폭, 홈 깊이, 홈 길이 등이 다른 비대칭인 형상이어도 된다.
실내기(10)의 케이싱(11)에 형성된 제2 인입구(35A, 35B)는, 개구(33)와는 이격된 위치에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좌우의 제2 인입구(35A, 35B)는, 서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그 크기, 상하의 높이, 형상 등이 서로 상이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품 상자(40)의 저벽(46)이, 그 후단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지만, 좌우 단부, 또는 전단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저벽(46)이 그 후단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입구(26A)로부터 전기품 상자(40) 내의 액세스가 한층 용이해져,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단자대(55, 56)가 강전 배선용 및 약전 배선용으로 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이한 용도의 2개의 단자대(55, 56)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팬(12)에 의해 공기가 유통하는 본 발명의 유통구가, 공기의 흡입구(26A, 26B)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당해 유통구는, 공기의 분출구여도 된다. 예를 들어, 송풍 팬(12)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반대로 해, 분출구(23)를 흡입구로 하고, 흡입구(26A, 26B)를 분출구로 한 것이어도 된다.
10: 실내기
11: 케이싱
12: 송풍 팬
26A: 흡입구(유통구)
26B: 흡입구(유통구)
33: 개구
35A: 제2 인입구
35B: 제2 인입구
40: 전기품 상자
41: 전방측벽(제1 측면)
42: 좌측벽(제2 측면)
43: 우측벽(제3 측면)
44: 후방측벽(제4 측면)
46: 저벽
48: 점검구
55: 단자대
56: 단자대
61: 제1 인입구
62: 제1 인입구
64a: 유도로
64b: 유도로
65a: 유도로
65b: 유도로
66a: 걸림 결합부
66b: 걸림 결합부
67: 지지부
j: 약전 배선
k: 강전 배선

Claims (6)

  1. 송풍 팬(12)과 전기품 상자(40)가 수용되는 케이싱(11)을 구비하고, 상기 송풍 팬(12)에 의해 공기가 유통하는 유통구(26A, 26B)를 상기 케이싱(11)의 저면에 형성하는 제1 형태와, 상기 유통구(26A, 26B)를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형성하는 제2 형태를 선택 가능한 실내기이며,
    상기 전기품 상자(40)는, 점검구(48)가 형성된 제1 측면(41)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검구(48)를 상기 케이싱(11)의 내측을 향하고,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검구(48)를 상기 케이싱(11)의 외측을 향한 상태로 상기 케이싱(11)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41)에 인접해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전기품 상자(40)의 제2 및 제3 측면(42, 43)에는, 각각 외부 배선(k, j)을 상기 전기품 상자(40) 내에 인입하기 위한 제1 인입구(61, 6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48)에 대향하는 개구(33)와, 이 개구(33)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배선(k, j)을 상기 케이싱(11) 내에 인입하기 위한 제2 인입구(35A, 35B)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측면(42, 43)에 형성된 각 제1 인입구(61, 62)에는, 강전 배선(k)과 약전 배선(j)이 각각 개별로 인입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품 상자(40) 내에, 2개의 단자대(55, 56)가 상기 제2 측면(42)과 상기 제3 측면(43)의 대향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및 제3 측면(42, 43)에 형성된 2개의 상기 제1 인입구(61, 62)에는, 각 단자대(55, 56)에 접속되는 배선(k, j)이 각각 개별로 인입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품 상자(40)의 상기 제2 및 제3 측면(42, 43)에는, 각각 상기 제1 인입구(61, 62)측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41)으로 향해 연장되고, 상기 외부 배선(k, j)을 유도하는 제1 유도로(64a, 65a)와, 상기 제1 인입구(61, 62)측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41)에 대향하는 제4 측면(44)으로 향해 연장되고, 상기 외부 배선(k, j)을 유도하는 제2 유도로(64b, 65b)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내부에는, 상기 전기품 상자(40)를 걸림 결합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7)가 형성되고, 상기 전기품 상자(40)에는,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7)에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결합부(66b)와,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7)에 걸림 결합하는 제2 걸림 결합부(66a)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품 상자(40)의 저벽(46) 위에는, 상기 외부 배선(k, j)을 접속하는 단자대(55, 56)가 설치되고, 상기 저벽(46)이, 일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방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20177011770A 2014-12-17 2015-12-14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782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5635 2014-12-17
JP2014255635A JP6020543B2 (ja) 2014-12-17 2014-12-17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PCT/JP2015/084929 WO2016098728A1 (ja) 2014-12-17 2015-12-14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447A true KR20170057447A (ko) 2017-05-24
KR101782774B1 KR101782774B1 (ko) 2017-09-27

Family

ID=5612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770A KR101782774B1 (ko) 2014-12-17 2015-12-14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024570B2 (ko)
EP (1) EP3236172B1 (ko)
JP (1) JP6020543B2 (ko)
KR (1) KR101782774B1 (ko)
CN (1) CN107110555B (ko)
AU (1) AU2015364800B2 (ko)
BR (1) BR112017008638B1 (ko)
ES (1) ES2849729T3 (ko)
WO (1) WO2016098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8303B2 (ja) * 2017-02-24 2019-02-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107702300A (zh) * 2017-09-30 2018-02-16 深圳沃海森科技有限公司 空调电控盒及空调
KR102479090B1 (ko) * 2017-12-14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N108361835A (zh) * 2018-02-08 2018-08-0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JP6635275B2 (ja) * 2018-03-30 2020-01-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11902678B (zh) * 2018-04-06 2021-07-02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机
CN111207449B (zh) * 2018-11-22 2021-12-2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吸顶机及其安装方法
CN109631159A (zh) * 2019-02-01 2019-04-16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风管机
US20210239353A1 (en) * 2020-02-02 2021-08-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lectrical enclosure integral with a housing of a terminal unit
JP7547908B2 (ja) 2020-09-30 2024-09-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CN113551317A (zh) * 2021-08-04 2021-10-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器盒及空调室外机
JP2024052211A (ja) * 2022-09-30 2024-04-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
JP2024052185A (ja) * 2022-09-30 2024-04-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4316U (ko) * 1981-01-07 1982-07-15
JPH0734257Y2 (ja) * 1990-12-28 1995-08-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電気品箱取付構造
WO1998026228A1 (en) * 1996-12-11 1998-06-18 Springer Carrier S/A Air conditioner indoor section construction
JP2000039176A (ja) * 1998-07-27 2000-02-0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WO2000016351A1 (en) * 1998-09-16 2000-03-23 Springer Carrier S.A. Mounting of capacitors in electrical control box
KR100303815B1 (ko) * 1998-10-30 2001-09-24 윤종용 슬라이드도어개폐장치
JP3806536B2 (ja) * 1999-02-25 2006-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JP2000249362A (ja) * 1999-02-25 2000-09-12 Sanyo Electric Co Ltd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WO2001055649A1 (en) * 2000-01-28 2001-08-02 Toshiba Carrier Corporation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for mounting in the ceiling
KR100384508B1 (ko) * 2000-11-11 200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354214B1 (ko) * 2008-02-20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2291962B (zh) * 2010-06-21 2015-02-1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可燃性制冷剂空调机组用电器盒及其应用
WO2013046899A1 (ja) * 2011-09-29 2013-04-04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516554B2 (ja) * 2011-11-30 2014-06-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WO2013129300A1 (ja) * 2012-02-28 2013-09-0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電気機器及び空気調和機
JP5786086B2 (ja) * 2012-02-29 2015-09-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CN202630254U (zh) * 2012-06-27 2012-1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外机的电器盒及包括该电器盒的空调
CN203116169U (zh) * 2012-12-24 2013-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CN203231461U (zh) * 2013-02-28 2013-10-09 大金工业株式会社 用于空调机室内机的电气部件盒
KR102168584B1 (ko) * 2013-11-12 2020-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JP6238759B2 (ja) * 2014-01-15 2017-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品箱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20160209055A1 (en) * 2015-01-20 2016-07-21 Allied Air Enterpris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heating and cooling unit and component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14336A (ja) 2016-06-23
AU2015364800B2 (en) 2017-09-14
ES2849729T3 (es) 2021-08-20
US10024570B2 (en) 2018-07-17
WO2016098728A1 (ja) 2016-06-23
JP6020543B2 (ja) 2016-11-02
BR112017008638A2 (pt) 2017-12-19
US20170276396A1 (en) 2017-09-28
BR112017008638B1 (pt) 2023-03-07
KR101782774B1 (ko) 2017-09-27
EP3236172B1 (en) 2021-01-27
CN107110555A (zh) 2017-08-29
EP3236172A1 (en) 2017-10-25
AU2015364800A1 (en) 2017-06-15
CN107110555B (zh) 2018-12-04
EP3236172A4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774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EP2023048B1 (en) Air conditioner having electrical equipment box cooling mechanism
KR2015008437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315427B1 (ko) 공기조화기
JP2013015318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US20190113243A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RU2018146516A (ru)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под потолком помещения
WO2011152321A1 (ja) 油冷却装置
JP2009186169A (ja) 風向調整ユニットならびに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2016223679A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
KR20080019357A (ko) 공기조화기
US8675370B2 (en) Heat source unit
WO2014175109A1 (ja) 空気調和機
JP2010107054A (ja) 空気調和機
JP200509862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7003223A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616607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780792B1 (ko) 공기조화기
WO2021054464A1 (ja) 冷凍装置の室外機
JP2013120037A (ja) 空気調和装置室内機
JP2009198035A (ja) 空調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通風機構
JP2005214429A (ja) 室内ユニット
JP5050966B2 (ja) 発熱体収納装置
KR20160028539A (ko) 항온조
KR20150062400A (ko) 천장형 에어컨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